KR100317385B1 - 커서 위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커서 위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17385B1
KR100317385B1 KR1019990062662A KR19990062662A KR100317385B1 KR 100317385 B1 KR100317385 B1 KR 100317385B1 KR 1019990062662 A KR1019990062662 A KR 1019990062662A KR 19990062662 A KR19990062662 A KR 19990062662A KR 100317385 B1 KR100317385 B1 KR 1003173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oadcast program
cursor
epg
channel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626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58390A (ko
Inventor
이목상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900626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17385B1/ko
Publication of KR200100583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583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73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738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2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커서 위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방송 프로그램 안내 화면에서 다른 채널의 방송 프로그램으로 커서를 이동시킬 때 현재 시간을 기준으로 가장 근접한 방송 프로그램에 커서를 위치시키도록 함으로써 시청자가 원하는 방송 프로그램을 편리하게 선택하도록 함에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의 본 발명은 소정 시간대의 방송 프로그램 안내를 표시하는 방법에 있어서, EPG 표시 설정시 현재 시청중인 방송 프로그램 정보가 있으면 해당 방송 프로그램 위치에 커서를 표시하고 현재 시청중인 채널의 방송 프로그램 정보가 없으면 인접 채널의 방송 프로그램중 현재 시간의 방송 프로그램 위치에 커서를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커서의 이동으로 판단되면 상하 이동인지 또는 좌우 이동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상측(또는 하측) 이동으로 판단되면 현재 시간의 상측(또는 하측) 채널의 방송 프로그램 위치로 커서를 이동시키는 단계와, 상기에서 좌측(또는 우측) 이동으로 판단되면 좌측(또는 우측)의 방송 프로그램중 현재 시청중인 방송 프로그램과 가장 근접한 방송 프로그램 위치로 커서를 이동시키는 단계를 수행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커서 위치 제어 방법{CURSOR POSITION CONTROL METHOD}
본 발명은 티브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방송 프로그램 안내 표시에 있어서 커서 위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티브이 시스템에서 채널을 설정하는 기술은 이미 제시되어 있다.
특히, 근래에는 EPG(Electronics Program Guide ; 전자식 프로그램 안내)를 이용하여 채널을 설정하는 방법이 제시되었다.
상기 EPG란 다채널 시대에 사용자에게 채널 선택의 편리성을 주기 위한 방송 프로그램 안내 기능으로서, 데이터 방송의 일종이다.
기존의 EPG 시스템은 EPG 방송 전문 채널에서 각 방송국의 프로그램 정보를 EPG 방송 채널로 전송하면 EPG 수신기는 EPG 채널을 디코딩하여 티브이 화면 디스플레이 형태로 변환한 후 티브이 화면에 방송 프로그램 정보를 표시하도록 되어 있었다.
현재 국내에서는 KBPS(Korean Broadcasting Program Service) 신호를 이용하는 방법이 제시되어 있다.
이러한 방법은 각 방송국에서 자기 방송국에 대한 프로그램 정보를 영상 신호의 수직 귀선 구간(VBI)의 16번째 오드 필드에 실어 전송하면 EPG 수신기는 지정된 채널의 영상 신호에서 일정 시간동안 KBPS 신호를 추출하여 프로그램 정보를 분석한 후 저장하고 이 후, 다른 채널의 KBPS 신호도 디코딩하여 저장하는 동작을 반복 수행하는 것이다.
즉, KBPS 신호를 이용하는 방법은 각 방송국별 KBPS 신호를 분석하여 저장하고, 사용자가 프로그램 정보 표시를 요구하면 프로그램 정보를 티브이 화면에 표시하는 것이다.
상기 KBPS 신호에는 각 방송국에서 입력한 현재 시간 정보(년,월,일 및 시간)를 포함한 방송국명과 시간대별 방송 프로그램명,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상세 설명(예로, 줄거리)등의 여러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일반적인 EPG 수신 시스템은 도2의 블럭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튜너(102), EPG 수신기(103), 영상 분리기(104), 이 영상 분리기(104)에서의 휘도/색 신호(Y/C)를 처리한 후 상기 EPG 수신기(103)에서의 KBPS 데이터를 삽입하는 화면 표시기(108)에 출력하는 영상 처리기(105) 및 음성 신호를 스피커(107)에 출력하는 음성 처리기(105)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일반적인 EPG 수신 시스템에 대한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튜너(102)는 수신 안테나(101)로 수신된 티브이 고주파 신호중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채널의 고주파 신호를 분리하여 기저대역의 복합 영상 신호로 변환한 후 EPG 수신기(103), 영상 분리기(104) 및 음성 처리기(105)로 출력한다.
상기 EPG 수신기(103)는 기저 대역의 복합 영상 신호에 실려 있는 KBPS 신호를 추출하여 프로그램 정보를 디코딩하고 그 프로그램 정보를 합성하여 온스크린 표시 형태의 영상 신호로 구성한 후 영상 처리기(106)로 출력한다.
상기 영상 분리기(104)는 기저 대역의 복합 영상 신호를 휘도(Y)/색(C) 신호로 분리하여 영상 처리기(106)로 출력한다.
상기 영상 처리기(106)는 영상 분리기(104)에서의 휘도(Y)/색(C) 신호를 티브이 디스플레이가 가능하도록 신호 처리한 후 EPG 수신기(103)에서의 온스크린 형태의 영상 신호를 삽입하여 화면 표시기(108)로 출력한다.
상기 화면 표시기(108)는 영상 처리기(106)에서의 영상 신호를 입력으로 디스플레이 소자를 이용하여 시각적으로 변환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EPG 화면을 표시하게 된다.
상기 음성 처리기(105)는 기저 대역의 복합 영상 신호에서 음성 신호를 추출하여 음성 다중 또는 스테레오(stereo) 처리등을 수행함과 아울러 사용자가 청취할 수 있는 음성 신호로 변환하고 그 음성 신호를 소정 레벨 증폭하여 스피커(107)를 구동함으로써 사용자가 화면에 표시되는 영상에 대응하는 음성 신호를 청취할 수 있게 한다.
즉, 방송 프로그램 안내를 표시하기 위해서는 EPG 수신기를 필요로 한다.
종래의 EPG 수신기는 도2의 블럭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정된 채널에 해당하는 고주파 신호를 복합 영상 신호로 변환하는 튜너(212)와, 상기 튜너(212)의 복합 영상신호를 실제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할 수 있는 형태로 처리하는 영상 처리기(213)와, 이 영상 처리기(213)에서 출력되는 CPT 구동용 수직 및 수평 동기신호를 기준으로 그 동기신호에 동기되는 클럭(dot clock)을 발생시키는 PLL 블럭(208)와, 온스크린 영상과 상기 영상 처리기(213)의 영상 신호를 합성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에 출력하는 영상 합성기(214)와, 상기 튜너(212)의 각각의 복합 영상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각기 변환하는 A/D 콘버터(202)와, 상기 튜너(212)의 각각의 복합 영상 신호로부터 복합 동기신호, 수직 동기신호 및 수평 동기신호를 분리하는 동기 분리부(203)와, 상기 동기 분리부(203)의 동기 신호를 기준으로 상기 A/D 콘버터(202)의 디지털 영산신호중 KBPS 구간의 데이터를 추출하는 데이터 슬라이서(204)와, EPG 기능 온시 EPG 채널에 대한 상기 상기 데이터 슬라이서(204)에서의 KBPS 데이터를 분석하여 채널별로 방송 프로그램 정보를 저장하고 사용자에 의한 EPG 표시 설정시 EPG 그래픽 화면을 구성하도록 상기에서 저장된 채널별 방송 프로그램 정보를 출력하는 EPG 제어용 프로세서(205)와, 이 EPG 제어용 프로세서(205)에서의 방송 프로그램 정보를 디코딩하여 비디오 램(211)에 저장함에 의해 EPG 그래픽 화면을 구성하면서 폰트 롬(210)의 문자 데이터를 읽어 문자를 삽입하고 그 EPG 그래픽 화면을 아날로그 R,G,B 형태의 온스크린 영상으로 변환하여 상기 PLL 블럭(208)에서의 클럭(dot clock)을 기준으로 상기 영상 합성기(214)에 출력하는 온스크린 표시 블럭(209)과, EPG 온 동작을 위해 상기 튜너(212)를 제어하며 EPG 제어 관련 정보(EPG 설정 채널, EPG 온/오프, EPG 표시 설정)를 상기 EPG 제어용 프로세서(205)에 전송하는 티브이 마이크로 컴퓨터(201)로 구성된다.
도면의 미설명 부호 '206'은 EPG 제어용 프로그램을 저장하여 EPG 제어용 프로세서(205)로 제공하기 위한 프로그램 롬이고, '207'은 상기 EPG 제어용 프로세서(205)가 프로그램 실행시 필요한 데이터를 임시 저장하기 위한 프로그램 램이다.
이와같은 종래 기술에 대한 동작 과정을 도3의 동작 순서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티브이 시스템의 전체 동작을 제어하는 티브이 마이크로 컴퓨터(201)는 EPG 기능을제어하기 위한 신호(예로, RESET, EPG ON/OFF, 입력 채널 상태 등)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EPG 채널 정보를 EPG 제어용 프로세서(205)에 제공하고 아울러 그 EPG 제어용 프로세서(205)로부터 필요한 정보를 입력받는다.
이때, EPG 제어용 프로세서(205)는 티브이 마이크로 컴퓨터(201)에서의 제어 신호를 분석하여 EPG 관련 초기값을 셋업함으로써 EPG 화면의 표시를 위한 준비 과정을 수행한다.
이 후, 티브이 마이크로 컴퓨터(201)에서 EPG 기능을 온시킨 후 튜너(212)를 제어하여 임의의 채널을 선국시키면 상기 튜너(212)는 해당 채널의 고주파 신호를 추출하여 기저대역의 복합 영상 신호로 변환하고 그 복합 영상 신호를 A/D 콘버터(202), 동기 분리부(203) 및 영상 처리기(213)로 입력시킨다.
이때, 영상 처리기(213)는 튜너(212)에서 출력되는 복합 영상신호를 실제 사용자가 티브이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시청할 수 있도록 영상 처리를 수행하여 영상 합성기(214)로 출력하고 아울러 CPT 구동용 수직/수평 동기신호(Hsync, Vsync)를 PLL 블럭(208)으로 출력하여 그 동기 신호에 동기된 클럭(dot clock)을 생성시킨다.
이에 따라, 영상 합성기(214)는 영상 처리기(213)에서 출력되는 영상 신호를 제반 신호 처리를 수행한 후 디스플레이 장치에 출력함으로써 사용자는 원하는 영상을 볼 수 있게 된다.
그리고, A/D 콘버터(202)는 KBPS 신호의 디코딩을 위하여 튜너(212)에서의 아날로그 복합 영상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고 그 변환된 디지털 영상 신호를 데이터 슬라이서(204)로 입력시키며, 동기 분리부(203)는 상기 복합 영상 신호에서 복합 동기신호, 수직 동기신호 및 수평 동기신호를 분리하여 상기 데이터 슬라이서(204)로 공급한다.
이때, 데이터 슬라이서(204)는 동기 분리부(203)에서의 동기신호를 기준으로 A/D 콘버터(202)에서의 디지털 영상신호중 KBPS 구간의 신호만을 분리하여 EPG 제어용 프로세서(205)로 출력한다.
이에 따라, 프로그램 롬(206)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EPG 제어용 프로세서(205)는 EPG 온으로 판단한 경우 데이터 슬라이서(204)에서의 출력 신호를 입력으로 KBPS 신호의 유무를 판단하고, KBPS 신호가 있으면 그 KBPS 신호를 분석하여 방송 프로그램 정보를 다른 채널의 방송 프로그램 정보와 분류하여 프로그램 램(207)에 저장한다.
상기의 과정은 사용자에 의한 EPG 표시 기능이 설정될 때까지 반복적으로 수행된다.
이 후, EPG 표시 기능이 설정되면 EPG 제어용 프로세서(205)는 프로그램 램(207)에 저장된 프로그램 정보를 온스크린 표시 블럭(209)에 출력하면서 사용자의 설정에 맞게 EPG 그래픽을 구성하도록 상기 온스크린 표시 블럭(209)을 제어한다.
이때, 온스크린 표시 블럭(209)은 방송 프로그램 정보를 이용하여 비디오 램(211)에 사용자가 원하는 그래픽 형태의 EPG 화면을 구성하면서 폰트 롬(210)으로부터 문자 데이터를 읽어 그래픽 형태의 EPG 화면에 문자를 삽입한다.
이 후, 온스크린 표시 블럭(209)는 비디오 램(211)에서 그래픽 형태의 EPG 화면을읽어 온스크린 영상의 아날로그 R,G,B 신호로 변환한 후 PLL 블럭(208)에서의 클럭(dot clock)을 기준으로 영상 합성기(214)에 출력한다.
이에 따라, 영상 합성기(214)가 영상 처리기(213)에서의 영상 신호에 온스크린 표시 블럭(209)에서의 EPG 영상 신호를 삽입함으로써 사용자는 원하는 방송 프로그램 안내(EPG) 화면을 볼 수 있게 된다.
다시 말해서, 상기의 과정은 도3의 동작 순서도와 동일하며, 이를 간략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EPG 제어용 프로세서(205)는 티브이 마이크로 컴퓨터(201)과 인터페이스하여 EPG 제어 관련 데이터를 분석함에 의해 초기값을 셋업한다.
즉, EPG 제어용 프로세서(205)는 EPG 제어 관련 데이터 예로, EPG 설정 채널, EPG 온/오프등의 정보를 분석하여 EPG 화면을 구성하기 위한 준비 작업을 수행한다.
이 후, EPG 제어용 프로세서(205)는 데이터 슬라이서(204)에서 입력되는 KBPS 데이터를 분류하여 저장하는 동작을 반복하면서 EPG 표시 기능이 설정되는지 판단한다.
이 후, 사용자에 의해 EPG 표시 기능이 설정되었음을 판단하면 EPG 제어용 프로세서(205)는 사용자의 설정에 맞게 그래픽 형태의 EPG 화면을 구성하도록 온스크린 표시 블럭(209)을 제어한다.
이때, 온스크린 표시 블럭(209)은 그래픽 형태의 EPG 화면을 구성하면서 폰트 롬(210)에 저장되어 있는 문자 데이터를 참조하여 필요로 하는 문자를 삽입한 후 영상 합성기(214)에 출력한다.
이에 따라, 영상 합성기(214)가 영상 처리기(213)에서의 영상 신호와 온스크린 표시블럭(209)에서의 EPG 그래픽 화면을 합성하여 티브이 표시 장치에 출력함으로써 사용자는 원하는 방송 프로그램 안내(EPG) 화면을 볼 수 있게 된다.
이때, 방송 프로그램 안내 화면에는 커서가 현재 시간에 근접하는 방송 프로그램에 커서를 위치시키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기술은 방송 프로그램 안내 화면에서 다른 채널의 방송 프로그램으로 커서를 이동시키는 경우 이전에 선택되었던 방송 프로그램의 시작 시간을 기준으로 커서를 이동시키고자 하는 다른 채널의 방송 프로그램 정보를 점검하여 근접하는 방송 프로그램에 커서를 위치시킴으로 이전에 방영되었던 방송 프로그램에 커서가 위치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종래에는 사용자가 이전에 방영되었던 방송 프로그램의 위치부터 커서를 하나씩 이동시키면서 원하는 방송 프로그램을 찾아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방송 프로그램 안내 화면에서 다른 채널의 방송 프로그램으로 커서를 이동시킬 때 현재 시간을 기준으로 가장 근접한 방송 프로그램에 커서를 위치시키도록 함으로써 원하는 방송 프로그램을 선택하는 사용자에게 편리성을 제공하도록 창안한 커서 위치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도1은 일반적인 아날로그 EPG 수신 시스템의 블럭도.
도2는 종래의 EPG 수신기의 블럭도.
도3은 종래의 EPG 화면 표시를 위한 동작 순서도.
도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EPG 화면을 보인 예시도.
도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EPG 수신기의 블럭도.
도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EPG 화면 표시를 위한 동작 순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501 : 티브이 마이크로 컴퓨터 502 : A/D 콘버터
503 : 동기 분리부 504 : 데이터 슬라이서
505 : EPG 제어용 프로세서 508 : PLL 블럭
509 : 온스크린 표시 블럭 510 : 폰트 롬
511 : 비디오 램 512 : 튜너
513 : 영상 처리기 514 : 영상 합성기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전체 안내 화면에서 커서를 방송국별로 이동시(상,하 이동) 지난 시간대의 프로그램 정보에 위치시키지 않고 현재 시간에근접한 프로그램 정보에 커서를 위치시키도록 하고 또한, 방송 시간대별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를 알고자 커서를 시간대를 기준으로 이동시(좌우 이동) 방송이 없는 시간대에는 커서를 위치시킴이 없이 방송 정보가 있는 시간대로 커서를 이동시킴으로써 시청자가 커서를 한시간 단위로 한번씩 한번씩 이동시키는 불편함을 제거함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소정 시간대의 방송 프로그램 안내를 표시하는 방법에 있어서, EPG 표시 설정시 현재 시청중인 방송 프로그램 정보가 있는지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현재 시청중인 방송 프로그램 정보가 있으면 해당 방송 프로그램 위치에 커서를 표시하고 현재 시청중인 방송 프로그램 정보가 없으면 현재 시청중인 채널의 인접 채널의 방송 프로그램을 추출하여 현재 시간의 방송 프로그램 위치에 커서를 표시하는 단계와, 커서의 이동 유무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커서의 이동으로 판단되면 상하 이동인지 또는 좌우 이동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상측 이동으로 판단되면 현재 시간의 상측 채널의 방송 프로그램 위치로 커서를 이동시키는 단계와, 상기에서 하측 이동으로 판단되면 현재 시간의 하측 채널의 방송 프로그램 위치로 커서를 이동시키는 단계와, 상기에서 좌측 이동으로 판단되면 좌측의 방송 프로그램중 현재 시청중인 방송 프로그램과 가장 근접한 방송 프로그램 위치로 커서를 이동시키는 단계와, 상기에서 우측 이동으로 판단되면 우측 방송 프로그램중 현재 시청중인 방송 프로그램과 가장 근접한 방송 프로그램 위치로 커서를 이동시키는 단계를 수행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5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위한 EPG 수신기의 블록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정된 채널에 해당하는 고주파 신호를 복합 영상 신호로 변환하는 튜너(512)와, 상기 튜너(512)의 복합 영상신호를 실제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할 수 있는 형태로 처리하는 영상 처리기(513)와, 이 영상 처리기(513)에서 출력되는 CPT 구동용 수직 및 수평 동기신호를 기준으로 그 동기신호에 동기되는 클럭(dot clock)을 발생시키는 PLL 블럭(508)와, 온스크린 영상과 상기 영상 처리기(513)의 영상 신호를 합성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에 출력하는 영상 합성기(514)와, 상기 튜너(512)의 각각의 복합 영상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각기 변환하는 A/D 콘버터(502)와, 상기 튜너(512)의 각각의 복합 영상 신호로부터 복합 동기신호, 수직 동기신호 및 수평 동기신호를 분리하는 동기 분리부(503)와, 상기 동기 분리부(503)의 동기 신호를 기준으로 상기 A/D 콘버터(502)의 디지털 영산신호중 KBPS 구간의 신호만을 추출하는 데이터 슬라이서(504)와, EPG 기능 온시 EPG 채널에 대한 상기 상기 데이터 슬라이서(504)에서의 KBPS 신호를 분석하여 채널별로 방송 프로그램 정보를 저장하고 사용자에 의한 EPG 표시 설정시 EPG 그래픽 화면을 구성하도록 상기에서 저장된 채널별 프로그램 정보를 출력하는 EPG 제어용 프로세서(505)와, 이 EPG 제어용 프로세서(505)에서의 방송 프로그램 정보를 디코딩하여 비디오 램(511)에 저장함에 의해 EPG 그래픽 화면을 구성하면서 폰트 롬(510)의 문자 데이터를 읽어 문자를 삽입하고 그 EPG 그래픽 화면을 아날로그 R,G,B 형태의 온스크린 영상으로 변환하여 상기 PLL 블럭(508)에서의 클럭(dot clock)을 기준으로 상기 영상 합성기(514)에 출력하는 온스크린 표시 블럭(509)과, 방송 프로그램 안내 화면에서 사용자의 키입력에 의한 커서 위치를 이동하도록 상기 온스크린 표시 블럭(50)에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커서 위치 제어부(515)와, EPG 온 동작을 위해 상기 튜너(512)를 제어하며 EPG 제어 관련 정보(EPG 설정 채널, EPG 온/오프, EPG 표시 설정, 커서 위치 이동)를 상기 EPG 제어용 프로세서(505)에 전송하는 티브이 마이크로 컴퓨터(501)로 구성된다.
도면의 미설명 부호 '506'은 EPG 제어용 프로그램을 저장하여 EPG 제어용 프로세서(505)로 제공하기 위한 프로그램 롬이고, '507'은 상기 EPG 제어용 프로세서(505)가 프로그램 실행시 필요한 데이터를 임시 저장하기 위한 프로그램 램이다.
이와같이 구성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동작 및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서 티브이 마이크로 컴퓨터(501)의 EPG 제어 관련 정보를 입력으로 EPG 기능을 위한 초기값을 셋업하고 EPG 온시 사용자가 설정한 채널별로 KBPS 신호를 분석하여 방송 프로그램 정보를 저장하고 EPG 표시 기능이 설정되는지 판단하는 과정까지의 동작은 종래 기술과 동일하다.
다만, 본 발명에서는 EPG 기능 온시 현재 시간을 점검한 후 KBPS 신호에 포함된 현재 시간을 추출하여 해당 방송 프로그램 정보와 함께 저장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EPG 표시 기능이 선택된 경우에 대하여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EPG 표시 기능이 설정되면 EPG 제어용 프로세서(505)에 의해 온스크린 표시 블럭(509)는 그래픽 형태의 EPG 화면을 구성하면서 폰트 롬(210)에 저장되어 있는 문자 데이터를 참조하여 필요로 하는 문자를 삽입한 후 영상 합성기(214)에 출력한다.
이에 따라, 영상 합성기(214)가 영상 처리기(213)에서의 영상 신호와 온스크린 표시 블럭(209)에서의 EPG 그래픽 화면을 합성하여 티브이 표시 장치에 출력함으로써 사용자는 원하는 방송 프로그램 안내(EPG) 화면을 볼 수 있게 된다.
이때, EPG 제어용 프로세서(505)는 현재 시간을 기준으로 현재 시청중인 채널의 방송 프로그램 정보가 수신되어 있는지를 판단한다.
이에 따라, 현재 시청중인 채널의 방송 프로그램 정보가 수신되어 있으면 EPG 제어용 프로세서(505)는 현재 시청중인 채널의 방송 프로그램에 커서를 위치시키도록 커서 위치 제어부(515)를 제어한다.
이때, 커서 위치 제어부(515)는 그래픽 형태의 EPG 화면에서 현재 시청중인 채널의 방송 프로그램 위치에 커서를 표시하도록 온스크린 표시 블럭(509)를 제어한다.
따라서, 온스크린 표시 블럭(509)가 커서가 표시된 그래픽 형태의 EPG 화면을 영상 합성기(214)에 출력함으로써 사용자는 도4의 예시도와 같이 현재 시청중인 채널의 방송 프로그램 위치에 커서가 표시된 방송 프로그램 안내(EPG) 화면을 볼 수 있게 된다.
만일, 현재 시청중인 채널의 방송 프로그램 정보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 EPG 제어용 프로세서(505)는 현재 시간의 인접 채널의 방송 프로그램 정보를 추출하여 해당 방송 프로그램 위치에 커서를 표시하도록 커서 위치 제어부(515)를 제어하게 된다.
이 후, EPG 제어용 프로세서(505)는 티브이 마이크로 컴퓨터(501)와 인터페이스하면서 사용자에 의한 커서 이동이 있는지 판단한다.
만일, 커서 이동이 있다고 판단되면 EPG 제어용 프로세서(505)는 커서 이동이 상하 방향인지 또는 좌우 방향인지 판단한다.
이때, 커서 이동이 상하 방향으로 판단되면 EPG 제어용 프로세서(505)는 상측 또는 하측 채널의 방송 프로그램중 현재 시간에 근접한 방송 프로그램을 선택하고 그 선택된 방송 프로그램의 시작 시간과 끝 시간사이에 현재 시간이 존재하는지 판단한다.
이에 따라, 현재 시간이 상기에서 선택된 방송 프로그램의 시작 시간과 끝 시간 사이에 존재하면 EPG 제어용 프로세서(505)는 그 방송 프로그램 위치에 커서를 표시하도록 커서 위치 제어부(515)를 제어한다.
따라서, 커서 위치 제어부(515)가 그래픽 형태의 EPG 화면에서 커서의 위치를 상측 또는 하측의 해당 방송 프로그램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온스크린 표시 블럭(509)을 제어함으로써 사용자는 커서가 이동된 방송 프로그램의 위치를 알 수 있게 된다.
만일, 상기에서 선택된 방송 프로그램의 시작 시간과 끝 시간사이에 현재 시간이 존재하지 않으면 EPG 제어용 프로세서(505)는 현재 시간과 가장 근접한 방송 프로그램을 찾은 후 그 방송 프로그램 위치로 커서를 이동시키도록 커서 위치 제어부(515)를 제어하게 된다.
예를 들어, 도4에서 MBC 방송의 '휴먼TV 즐거운..'이라는 방송 프로그램에 커서가 위치할 때 현재 시간이 오후 8시인 경우 상측 방향으로 커서를 이동시키면 KBS2 방송의 '긴급 구조 119'라는 방송 프로그램의 위치로 커서를 이동시키게 된다.
만일, '긴급 구조 119'라는 방송 프로그램이 없는 경우를 가정한다면 KBS2 방송의프로그램중 오후 8시에 가장 근접한 프로그램은 '뉴스..'이므로 커서를 '뉴스..'라는 방송 프로그램 위치로 이동시키게 된다.
또한, 커서 이동이 현재 방송에 대한 방송 프로그램 정보를 확인한 후 시간대별 방송 프로그램을 확인하고자 커서를 좌우로 이동시 EPG 제어용 프로세서(505)는 현재 시청중인 채널의 방송 프로그램 정보를 판독하여 현재 시청중인 방송 프로그램의 시작 시간 또는 끝시간에 가장 근접하는 방송 프로그램으로 커서를 이동시키도록 커서 위치 제어부(515)를 제어한다.
즉, 커서를 좌측으로 이동시키는 경우 EPG 제어용 프로세서(505)는 현재 채널의 방송 프로그램 정보를 판독한 후 현재 시청중인 방송 프로그램의 시작 시간에 가장 근접하는 방송 프로그램의 위치로 커서를 이동시키도록 커서 위치 제어부(515)를 제어한다.
반대로, 커서를 우측으로 이동시키는 경우 EPG 제어용 프로세서(505)는 현재 채널의 방송 프로그램 정보를 판독한 후 현재 시청중인 방송 프로그램의 끝 시간에 가장 근접하는 방송 프로그램의 위치로 커서를 이동시키도록 커서 위치 제어부(515)를 제어한다.
그런데, 현재 방송중인 채널에서 방송이 없는 시간대에는 방송 프로그램 정보가 없기 때문에 공백으로 표시된다.
이때, 커서를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시킬 때 방송 프로그램 정보가 없는 경우 EPG 제어용 프로세서(505)는 공백으로 커서를 이동시키지 않고 근접하는 방송 프로그램(예로, 다음날 아침 시간대의 방송 프로그램 정보)를 찾아 해당 방송 프로그램의 위치에 커서를 표시하며 방송 프로그램 안내 화면의 상부에 표시된 시간을 변경하게 된다.
상기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방송 프로그램 안내 화면에서 커서를 이동시킬 때 현재 시간에 해당하는 방송 프로그램으로 커서를 이동시키며 또한, 커서를 좌우로 이동시킬 때 커서를 한칸씩 이동시키지 않고 현재 커서가 위치하는 방송 프로그램과 가장 근접한 방송 프로그램 위치로 커서를 이동시키므로 시청자에게 방송 프로그램 선택의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소정 시간대의 방송 프로그램 안내를 표시하는 방법에 있어서, EPG 표시 설정시 방송 프로그램 안내 화면을 표시하면서 현재 시청중인 채널의 방송 프로그램 위치에 커서를 표시하는 제1 단계와, 상기에서 커서의 이동 유무를 판단하는 제2 단계와, 상기에서 커서의 이동으로 판단되면 상하 이동인지 또는 좌우 이동인지를 판단하는 제3 단계와, 상기에서 커서의 상하 이동으로 판단되면 커서 이동 방향으로 현재 시청중인 채널과 근접한 채널의 현재 시간의 방송 프로그램 위치로 커서를 이동시키는 제4 단계와, 상기에서 커서의 좌우 이동으로 판단되면 커서 이동 방향으로 현재 시청중인 방송 프로그램과 가장 근접한 방송 프로그램 위치로 커서를 이동시키는 제5 단계를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커서 위치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제1 단계는 EPG 표시 설정시 현재 시청중인 방송 프로그램 정보가 있는지 판단하는 제1 과정과, 상기에서 현재 시청중인 방송 프로그램 정보가 있으면 해당 방송 프로그램 위치에 커서를 표시하는 제2 과정과, 상기에서 현재 시청중인 방송 프로그램 정보가 없으면 현재 시청중인 채널의 인접 채널의 방송 프로그램을 추출하여 현재 시간의 방송 프로그램 위치에 커서를 표시하는 제3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서 위치 제어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제4 단계는 커서 이동 방향으로 인접한 채널의 방송 프로그램중 현재 시간에 근접한 방송 프로그램을 선택하는 제1 과정과, 상기에서 선택한 방송 프로그램의 시작 시간과 끝 시간사이에 현재 시간이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제2 과정과, 상기에서 현재 시간이 시작 시간과 끝 시간사이에 존재하면 그 선택된 방송 프로그램 위치로 커서를 이동시키는 제3 과정과, 상기에서 현재 시간이 시작 시간과 끝 시간 사이에 존재하지 않으면 다른 방송 프로그램을 선택하여 상기 과정을 반복하는 제4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서 위치 제어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제5단계는 커서의 이동 방향으로 방송 프로그램이 없는 경우 다음날의 방송 프로그램중 현재 방송 프로그램에 가장 근접한 방송 프로그램 위치로 커서를 이동시키고 방송 프로그램 안내 화면에 표시된 시간 정보를 변경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서 위치 제어 방법.
KR1019990062662A 1999-12-27 1999-12-27 커서 위치 제어 방법 KR1003173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2662A KR100317385B1 (ko) 1999-12-27 1999-12-27 커서 위치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2662A KR100317385B1 (ko) 1999-12-27 1999-12-27 커서 위치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8390A KR20010058390A (ko) 2001-07-05
KR100317385B1 true KR100317385B1 (ko) 2001-12-24

Family

ID=196301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62662A KR100317385B1 (ko) 1999-12-27 1999-12-27 커서 위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17385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8390A (ko) 2001-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735750B1 (en) Program guide signal receiver for television
US2003022757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broadcast signals and broadcast screen obtained from broadcast signals
US20020140863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selecting caption language
JP2000270277A (ja) テレビジョン受像機
KR100317385B1 (ko) 커서 위치 제어 방법
EP2519003B1 (en) Broadcast receiver apparatus and program information voice output method in broadcast receiver apparatus
KR100331834B1 (ko) 티브이의 epg 구현장치 및 방법
US7068321B2 (en) Television receiving apparatus
KR100347358B1 (ko) 방송 프로그램 안내 표시를 위한 채널 자동 설정 방법
KR100282061B1 (ko) 텔레비젼에서의 자막 표시 제어 방법
KR100323680B1 (ko) 티브이의 문자표시장치 및 방법
KR100233528B1 (ko) Xds데이타 선별 팝업 표시방법 및 그 장치
KR101306704B1 (ko) 수신기 및 이 수신기에서 데이터 방송을 시청하는 방법
KR100620988B1 (ko) 커서 위치 제어 방법
KR20020007656A (ko) 티브이의 캡션 표시 제어장치 및 방법
JPH1155633A (ja) テレビジョン受信装置
JPH11298815A (ja) 番組情報を表示可能な受信装置
KR200307008Y1 (ko) 문자 정보 표시 장치
KR20000010256A (ko) 티브이의 화면 제어 방법
KR970057020A (ko) 음성인식에 의한 텔레비전 제어장치
JPH10313447A (ja) テレビジョン受像機
JP2001339659A (ja) 放送内容受信装置
KR20000041984A (ko) 텔레비전에서의 캡션 자동 디스플레이 방법
KR100542556B1 (ko) 텔레텍스트 표시 기능 내장형 텔레비전 및 상기텔레텍스트 포맷 변환 방법
KR20070028725A (ko) 사용자 채널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4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4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3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