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17308B1 - 간이교환기의다이얼번호자동저장방법 - Google Patents

간이교환기의다이얼번호자동저장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17308B1
KR100317308B1 KR1019980009786A KR19980009786A KR100317308B1 KR 100317308 B1 KR100317308 B1 KR 100317308B1 KR 1019980009786 A KR1019980009786 A KR 1019980009786A KR 19980009786 A KR19980009786 A KR 19980009786A KR 100317308 B1 KR100317308 B1 KR 1003173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er
speed dial
abbreviated dial
main control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097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75539A (ko
Inventor
김완경
Original Assignee
서평원
엘지정보통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평원, 엘지정보통신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평원
Priority to KR10199800097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17308B1/ko
Publication of KR199900755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55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73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730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4Additional connecting arrangements for providing access to frequently-wanted subscribers, e.g. abbreviated dial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025Calling or Called party identification service
    • H04M3/42034Calling party identification service
    • H04M3/42059Making use of the calling party identifi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314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in private branch exchan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Sub-Exchange Stations And Push- Button Telepho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환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착신된 상대방의 ID나 전화번호를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통화중에 단축다이얼로 저장하여, 나중에 단축 다이얼 기능을 통해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간이교환기의 다이얼번호 자동저장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간이교환기는, 수신된 상대방의 국선번호나 발신자 ID가 단말기의 표시부에 디스플레이는 되나 저장하는 기능이 없는 바, 사용자가 수신된 발신자의 ID를 사용하여 다시 전화 하고자 하면 디스플레이 되었던 ID나 전화번호를 기억하거나 별도로 메모해 두었다가 다이얼링 해야 하므로 사용이 번거러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착신된 상대방의 ID나 전화번호를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통화중에 단축다이얼로 저장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나중에 단축 다이얼 기능을 통해 용이하게 상대방측으로 전화를 할 수 있다.

Description

간이교환기의 다이얼번호 자동저장 방법
본 발명은 교환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착신된 상대방의 ID나 전화번호를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통화중에 단축다이얼로 저장하여, 나중에 단축 다이얼 기능을 통해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간이교환기의 다이얼번호 자동저장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간이교환기에서 상대방의 착신 호에 응답할 때, 국선번호가 제공되는 망인 경우에는 국선의 번호를 단말기의 표시부에 디스플레이 해 주고, 발신자 ID가 제공되는 망인 경우, 수신된 발신자 ID가 단말기의 표시부에 디스플레이 된다. 즉, 수신된 발신자 ID는 착신호가 어디서 걸려 왔는지를 사용자가 착신호에 응답하기 전에 알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사용자가 수신된 발신자 ID를 사용하여 전화 하고자 하면, 디스플레이 되었던 발신자 ID를 기억하거나 메모해 두었다가 다시 다이얼링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간이교환기는, 수신된 상대방의 국선번호나 발신자 ID가 단말기의 표시부에 디스플레이는 되나 저장하는 기능이 없는 바, 사용자가 수신된 발신자의 ID를 사용하여 다시 전화 하고자 하면 디스플레이 되었던 ID나 전화번호를 기억하거나 별도로 메모해 두었다가 다이얼링 해야 하므로 사용이 번거러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착신된 상대방의 ID나 전화번호를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통화중에 단축다이얼로 저장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나중에 단축 다이얼 기능을 통해 용이하게 상대방의 ID나 전화번호를 사용하여 전화를 할 수 있도록 하는 간이교환기의 다이얼번호 자동저장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상대방으로 부터 링신호가 수신되면 내선단말기가 응답하여 통화 하는 제1과정과; 상기 통화하는 중에 내선단말기로부터 단축다이얼 설정버튼이 입력되면 사용가능한 단축다이얼 메모리부의 기억장소에 대응하는 단축다이얼 번호를 상기 내선단말기에게 디스플레이하는 제2과정과; 상기 내선단말기로부터 단축다이얼 번호 및 단축다이얼 저장버튼이 입력되면 현재 통화중인 상대방의 발신자 ID나 국선번호를 해당 단축다이얼 번호에 대응하는 단축다이얼 메모리부의 기억장소에 저장하는 제3과정과; 상기 내선단말기로부터 이름이 입력되면, 해당 입력된 이름을 상기 발신자 ID나 국선번호에 대응하여 단축 다이얼 메모리부에 저장하는 제4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간이교환기의 구성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간이교환기의 다이얼번호 자동저장 방법의 동작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국선인터페이스부 20 : 내선인터페이스부
30 : 단축다이얼메모리부 40 : 주제어부
50a∼50n : 내선단말기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간이교환기는 첨부된 도면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국선인터페이스부(10), 내선인터페이스부(20), 단축다이얼메모리부(30), 주제어부(40) 및 다수의 내선단말기(50a∼50n)를 구비한다.
국선인터페이스부(10)는 국선과 간이교환기를 정합하며, 착신호 감지 및 발신자 ID등의 정보를 수신하고, 해당 수신된 정보를 주제어부(40)측으로 인가한다.
내선인터페이스부(20)는 간이교환기와 다수의 내선단말기(50a∼50n)를 정합하며, 착신호의 발신자 ID정보가 있을 경우, 해당 내선단말기(50a∼50n)의 표시부에 정보를 디스플레이한다.
단축다이얼메모리부(30)는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수신된 발신자 ID나 국선번호 및 이에 대응하는 이름을 저장한다.
주제어부(40)는 간이교환기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특히,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착신된 발신자 ID 나 국선번호 및 이에 대응하는 이름을 단축다이얼메모리부(30)에 저장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간이교환기에서, 본 발명의 동작을 첨부된 도면 도2의 동작순서도에 따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1내선단말기(50a)측으로 착신호가 발생하면(스텝 S1), 주제어부(40)는 발신자 ID가 함께 인가되는지를 검사하여(스텝 S2), 발신자 ID가 함께 인가될 경우, 착신호와 발신자 ID정보를 해당 제1내선단말기(50a)의 표시부에 디스플레이한다(스텝 S3). 이에 해당 제1내선단말기(50a)의 사용자가 응답을 할 경우(스텝 S4), 통화를 가능하도록 한다(스텝 S5). 이후에, 사용자가 수신된 발신자 ID를 단축다이얼로 기억시키려면 제1내선단말기(50a)의 키패드에 구비되어 있는 단축다이얼설정버튼을 입력하고, 이에 주제어부(40)는 단축다이얼설정버튼이 입력되는지를 검사하는 바(스텝 S6), 단축다이얼설정버튼이 입력되었으므로, 현재 단축다이얼메모리부(30)에 할당된 기억장소를 검색하여 사용가능한 단축다이얼번호를 제1내선단말기(50a)의 표시부에 디스플레이한다(스텝 S7,S8). 예를들어 10개의 단축다이얼설정이 가능한 단축다이얼메모리부(30)를 구비한 간이교환기에서 '9'와 '10'이 제1내선단말기(50a)의 표시부에 디스플레이되었다면, 현재 1번부터 8번까지 8개의 단축다이얼이 설정되었고, 나머지 9번과 10번이 비어있는 단축다이얼임을 뜻한다.따라서, 주제어부(40)는 단축다이얼번호 및 단축다이얼저장버튼을 입력받는 바(스텝 S9), 사용자가 키패드의 '9'를 입력하고 단축다이얼저장버튼을 입력하면 주제어부(40)는 단축다이얼메모리부(30)의 단축다이얼 9번에 대응하는 기억장소에 발신자 ID를 저장하게 된다(스텝 S10). 이후에 계속해서 사용자가 저장된 발신자 ID에 대응하는 사람의 이름을 입력한 후(스텝 S11), 단축다이얼저장버튼을 입력하면(스텝 S12), 주제어부(40)는 현재 저장된 발신자 ID에 대응하는 사람의 이름을 단축다이얼메모리부(30)에 저장한다(스텝 S13). 또한 상기 스텝 S2에서 발신자 ID를 제공하지 않는 망이면, 주제어부(40)는 상대방의 국선번호를 해당 제1내선단말기(50a)의 표시부에 디스플레이하고(스텝 S14), 상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상기 스텝 S4부터 스텝 S13까지의 동작을 수행하여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단축다이얼번호에 대응하는 기억장소에 상대방의 국선번호를 저장함과 아울러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사람의 이름을 상대방 국선번호에 대응하여 저장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라 설정된 단축다이얼의 사용방법은 일반적인 전화기의 단축다이얼 사용방법과 동일하다. 즉, 제1내선단말기(50a)의 대기상태에서 사용자가 키패드에 구비된 단축다이얼버튼을 입력하면 주제어부(40)는 사용자의 이름으로 단축다이얼을 사용할 것인지, 단축다이얼번호로 사용할 것인지를 입력받는 바, 사용자가 이름에 따른 단축다이얼 사용을 선택하면, 단축다이얼메모리부(30)에 저장되어 있는 이름을 제1내선단말기(50a)의 표시부에 디스플레이하고, 이에 사용자가 특정이름을 선택하면, 선택된 이름에 대응하는 전화번호를 단축다이얼메모리부(30)에서 읽어들인 후, 이에 따라 자동으로 다이얼을 하게 된다. 또한, 사용자가 단축다이얼번호에 따른 단축다이얼 사용을 선택한 후, '9'를 입력하게 되면, 주제어부(40)는 단축다이얼메모리부(30)의 '9'에 대응하는 기억장소에 저장되어 있는 전화번호를 읽어들인 후, 이에 따라 자동으로 다이얼을 하게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착신된 상대방의 ID나 전화번호를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통화중에 단축다이얼로 저장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나중에 단축 다이얼 기능을 통해 용이하게 상대방측으로 전화를 할 수 있다.

Claims (1)

  1. 상대방으로 부터 링신호가 수신되면 내선단말기가 응답하여 통화 하는 제1과정과; 상기 통화하는 중에 내선단말기로부터 단축다이얼 설정버튼이 입력되면 사용가능한 단축다이얼 메모리부의 기억장소에 대응하는 단축다이얼 번호를 상기 내선단말기에게 디스플레이하는 제2과정과; 상기 내선단말기로부터 단축다이얼 번호 및 단축다이얼 저장버튼이 입력되면 현재 통화중인 상대방의 발신자 ID나 국선번호를 해당 단축다이얼 번호에 대응하는 단축다이얼 메모리부의 기억장소에 저장하는 제3과정과; 상기 내선단말기로부터 이름이 입력되면, 해당 입력된 이름을 상기 발신자 ID나 국선번호에 대응하여 단축다이얼 메모리부에 저장하는 제4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교환기의 다이얼번호 자동저장 방법.
KR1019980009786A 1998-03-20 1998-03-20 간이교환기의다이얼번호자동저장방법 KR1003173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09786A KR100317308B1 (ko) 1998-03-20 1998-03-20 간이교환기의다이얼번호자동저장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09786A KR100317308B1 (ko) 1998-03-20 1998-03-20 간이교환기의다이얼번호자동저장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5539A KR19990075539A (ko) 1999-10-15
KR100317308B1 true KR100317308B1 (ko) 2002-02-19

Family

ID=376827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09786A KR100317308B1 (ko) 1998-03-20 1998-03-20 간이교환기의다이얼번호자동저장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1730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487886A1 (en) * 2005-06-30 2012-08-15 Core Wireless Licensing S.a.r.l. User interfac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8663A (ko) * 1996-11-26 1998-08-05 배순훈 발신전용 휴대전화기의 다이얼링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8663A (ko) * 1996-11-26 1998-08-05 배순훈 발신전용 휴대전화기의 다이얼링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487886A1 (en) * 2005-06-30 2012-08-15 Core Wireless Licensing S.a.r.l. User interface
US8391929B2 (en) 2005-06-30 2013-03-05 Core Wireless Licensing S.A.R.L. User interface
US8666458B2 (en) 2005-06-30 2014-03-04 Core Wireless Licensing S.A.R.L. User interfa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5539A (ko) 1999-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1640999A (en) Device and method for searching directory memory of portable cellular phone
US7162275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erforming a dialing operation using a phone book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317308B1 (ko) 간이교환기의다이얼번호자동저장방법
KR100360226B1 (ko) 사설간이전자교환장치를이용한발신자전화번호의저장,조회및호출방법
JP3442231B2 (ja) ボタン電話装置
KR100194467B1 (ko) 상대방의 다수 전화번호 자동 다이얼링 방법
KR0171301B1 (ko) 디지탈 국설 교환기의 국선 메시지 대기방법
JPH05244243A (ja) 電話機
JP3692651B2 (ja) 電話通信方法及び電話通信端末
JP3702875B2 (ja) 通信装置
KR100235648B1 (ko) 전화번호부 자동 형성 장치 및 방법
KR20020054684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발신 번호 등록방법
JPH10243079A (ja) コードレス電話システムの携帯端末
JPH04208748A (ja) 電話機の発信制御方式
KR960011825B1 (ko) 키폰의 재다이얼 방법
KR100240444B1 (ko) 전화기의 전화번호 자동저장 방법
JPH0287751A (ja) 通信装置
JP3289569B2 (ja) 簡易交換装置
JPH04248737A (ja) 通信端末装置
KR930006454B1 (ko) 자동차 전화기 및 휴대용 전화기 자동연속 통화방법
KR100379408B1 (ko) 문자입력에의한자동다이얼링방법
KR20040073062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대기화면에서 전화번호를 검색하는 방법
KR980007378A (ko) 교환기의 발신측 전화 자동 호출방법 및 장치
JPH03208447A (ja) 短縮ダイヤル自動登録装置
KR19990001890A (ko) 키폰시스템에서 호출자 식별정보의 전화번호로 재다이얼하는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00904

Effective date: 20010927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0101002037;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00904

Effective date: 20010927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01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5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