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16354B1 - A-2수용체친화성을갖는2-치환된아데노신 - Google Patents

A-2수용체친화성을갖는2-치환된아데노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16354B1
KR100316354B1 KR1019950701220A KR19950701220A KR100316354B1 KR 100316354 B1 KR100316354 B1 KR 100316354B1 KR 1019950701220 A KR1019950701220 A KR 1019950701220A KR 19950701220 A KR19950701220 A KR 19950701220A KR 100316354 B1 KR100316354 B1 KR 1003163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enosine
receptor
receptors
binding
comp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7012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703572A (ko
Inventor
노턴피.피트
데이비드알.모르체르딩
넬슨엘.렌츠
필립엠.웨인트라우브
Original Assignee
메렐 파마슈티칼스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메렐 파마슈티칼스 인크. filed Critical 메렐 파마슈티칼스 인크.
Publication of KR9507035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7035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63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6354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HSUGARS; DERIVATIVES THEREOF; NUCLEOSIDES; NUCLEOTIDES; NUCLEIC ACIDS
    • C07H19/00Compounds containing a hetero ring sharing one ring hetero atom with a saccharide radical; Nucleosides; Mononucleotides; Anhydro-derivatives thereof
    • C07H19/02Compounds containing a hetero ring sharing one ring hetero atom with a saccharide radical; Nucleosides; Mononucleotides; Anhydro-derivatives thereof sharing nitrogen
    • C07H19/04Heterocyclic radicals containing only nitrogen atoms as ring hetero atom
    • C07H19/16Purine radic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61P9/12Antihypertensiv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ard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Saccharide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데노신 수용체에 선택적으로 작용하고, 통상 아데노신 효능제로서 작용하는 아데노신 동족체에 관한 것이다. 시험관내 연구로부터 특이적 생리학적 효과가 이러한 선택성의 결과로서 특징지워지고, 시험관내 아데노신 수용체 활성이 생체내 아데노신 수용체 활성과 상관됨이 공지되어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의 약제학적 제제는, 본원중 기재된 화합물의 선택적 결합 활성을 기본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 심박도수를 저하시키지 않으면서 혈압을 저하시키는 것과 같이 문제를 최소화하며 특정 생리학적 효과를 향상시킬 것이다.

Description

A-2 수용체 친화성을 갖는 2-치환된 아데노신{2-Substituted adenosines with A-2 receptor affinity}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아데노신 수용체에 선택적으로 작용하는 아데노신 동족체인 화합물 그룹에 관한 것이다.
발명의 배경
1989년 7월 12일 공개된 유럽 공개특허공보 제0323807호는 치료학적으로 유효한 아데노신 A-2 효능제인 다양한 2-치환된 아데노신 유도체를 기술하고 있다.
아데노신의 혈압저하, 진정, 항경련성 및 혈관확장 작용은 50년 전에 최초로 인지되었다. 이어서, 아데노신에 대해 제안된 생물학적 역할의 수는 상당히 증가되어 왔다. 아데노신 수용체는 다수의 세포에서 아데닐레이트 사이클라제와 연루된 것으로 보인다. 다양한 아데노신 동족체가 최근 이러한 수용체 기능의 연구를 위해 도입되었다. 카페인 및 테오필린과 같은 알킬크산틴이 아데노신 수용체의 가장 널리 공지된 길항제이다.
아데노신은 특정 세포 타입 또는 조직에만 기인하여 형성되는 것으로 보이지 않기 때문에 전반적인 조절 물질인 것으로 추측된다. 이점에 있어서, 아데노신은 각종 내분비 호르몬과는 상이하다. 신경 세포 또는 기타 세포가 아데노신을 저장하거나 이를 방출하는데에 대한 증거도 없다. 따라서, 아데노신은 다양한 신경 전달물질과도 상이하다.
아데노신은 생리학적 조절제로서 프로스타글란딘과 비견될 수 있다. 두가지 모두 이의 신진대사적 형성과 관련된 효소가 편재되어 있고 세포의 생리학적 상태의 변화에 반응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아데노신에 대한 수용체는 프로스타글란딘에 대한 것과 마찬가지로, 도처에 편재되어 있는 것으로 입증되었다. 결국, 프로스타글란딘 및 아데노신 모두 칼슘 이온과 관련된 조절 기능과 연관있는 것으로 보인다. 물론, 프로스타글란딘은 막 전구체로부터 유도되는 반면, 아데노신은 사이토졸 전구체로부터 유도된다.
아데노신이 다양한 생리학적 기능에 영향을 줄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임상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작용에 대한 특별한 관심이 수년에 걸쳐 집중되어 왔다. 특히 혈관확장 및 혈압저하를 야기하는 한편 심기능 저하도 초래하는 아데노신의 심장혈관 작용이 주목되었다. 아데노신의 지방분해억제, 혈전억제 및 항경련 작용 또한 관심이 집중되어 왔다. 아데노신은 또다시 아마도 아데닐레이트 사이클라제의 활성화를 통해 부신 세포 내에서 스테로이드 생성을 자극한다. 아데노신은 신경전달 및 중추 신경의 자발적 활성에 있어 억제 효과를 나타낸다. 최종적으로, 아데노신의 기관 수축 작용 및 크산틴에 의한 이의 길항작용은 중요한 연구 분야이다.
현재 아데노신 작용과 관련되어 1개가 아니라 2개 이상의 세포외 수용체 그룹이 존재함이 인지되었다. 이들 중 하나는 아데노신에 대한 친화성이 높고, 적어도 일부 세포에서는 길항 방식으로 아데닐레이트 사이클라제와 커플링된다. 이들은 일부에 의해 A-1 수용체로서 명명되었다. 다른 계열의 수용체는 아데노신에 대한친화성이 낮고 다수의 세포 타입에서 자극적 방식으로 아데닐레이트 사이클라제와 커플링된다. 이들은 A-2 수용체로 명명된다.
이제 다양한 구조적 동족체를 사용하여 아데노신 수용체의 특성화가 가능해졌다. 신진대사 또는 흡수 기작에 내성이 있는 아데노신 동족체가 이용 가능해졌다. 이들 아데노신 동족체들이 특히 중요한 이유는, 이들의 명백한 효능(potency)이 주효체(effector) 시스템으로부터의 신진대사적 제거에 의해 영향을 덜 받기 때문이다. 아데노신 동족체는 A-1 및 A-2 아데노신 수용체에서 상이한 등급의 효력을 나타내며, 아데노신 수용체 특성과 관련된 생리학적 반응을 분류하는 단순한 방법을 제공하게 된다. 아데노신 수용체의 차단(길항작용)으로 아데노신 수용체의 관련에 관한 반응을 분류하는 또 다른 방법이 제공된다. A-1 또는 A-2 아데노신 수용체에 대해 특이적인 강력한 길항제의 개발은 이러한 연구분야에서와 동물에서 특이적 생리학적 효과를 갖는 아데노신 수용체 선택적 약물학적 제제를 제조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돌파구가 되었음을 주목해야 한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은 일반식(I)의 화합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식에서,
R1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1-C4알킬이고,
R3은 C1-C4알킬, C1-C4알콕시 또는 할로겐이며,
n은 0 내지 3의 정수이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C1-C4알킬"은 탄소수 1 내지 4의 직쇄 또는 측쇄 포화 탄화수소 라디칼을 의미한다. 여기에는 메틸, 에틸, n-프로필, 이소프로필, n-부틸, 이소부틸 등이 포함된다. 용어 "C1-C4알콕시"는, 탄소수 1 내지 4의 직쇄 또는 측쇄 포화 탄화수소 라디칼을 갖는 산소 라디칼로 구성된 알킬옥시 라디칼을 의미하며, 구체적으로 메톡시, 에톡시, 프로필옥시, 이소프로필옥시, n-부틸옥시, 이소-부틸옥시, 2급-부틸옥시, 3급-부틸옥시 등을 포함한다. 용어 "할로겐"은 불소, 염소, 브롬 또는 요오드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로 입체이성화가 가능하며, 상기한 화학적 구조는 가능한 모든 입체이성체 및 이러한 입체이성체의 라세미체 혼합물을 모두 포괄하는 것으로서 간주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R1및 R2가 일반식(I)에서 정의한 바와 같고 동일하지 않다면, 각각의 탄소원자는 키랄이고 광학 이성화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화합물의 예로서 하기를 들 수 있다:
1. (R)-2-[(페닐이소프로필)아미노]아데노신
2. (S)-2-[(페닐이소프로필)아미노]아데노신
3. (R)-2-[(1-페닐프로필)아미노]아데노신
4. (S)-2-[(1-페닐프로필)아미노]아데노신
일반식(I)의 화합물에 대한 일반적 합성 공정이 반응도식 A에 설명되어 있다. 달리 지시하지 않는 한 모든 치환체가 상기 정의된 바와 같다. 본 방법에 사용하기 위한 시약 및 출발 물질은 당해 분야의 통상의 숙련가가 용이하게 입수할 수 있다.
반응 도식 A
반응도식 A, 단계 a에서, 2-클로로아데노신(1)의 2'- 및 3'-하이드록실 그룹은 구조식(2)에서 정의된 아세토나이드로서 보호된다. 햄톤의 문헌[참죄: HamPton, J. Am. Chem. Soc., 83, 3640 (1961)]의 일반적 방법에 따라, 2-클로로아데노신 1당량을 N,N-디메틸포름아미드와 같은 적절한 용매 중에서 2,2-디메톡시프로판 약 10당량 및 p-톨루엔설폰산 약 5당량과 합한다. 실온에서 약 20시간 교반한 후 당해분야의 숙련가에게 널리 공지된 기술에 의해 생성물을 분리하고 정제한다. 예를 들면, 포화 중탄산나트륨과 같은 적합한 수성 염기 과량을 가하고 용매를 진공하에 제거한다. 잔사를 클로로포름과 같은 적합한 유기 용매로 추출하고, 황산마그네슘에서 건조한 후, 여과하고, 진공하에 농축시킨다. 조 생성물을 섬광 크로마토그래피 또는 재결정화방법으로 정제하여 아세토나이트(2)를 수득할 수 있다.
도식 A의 단계 b에서, 아세토나이드(2)를 적절히 치환된 1급 아민으로 처리하여 구조식(3)의 2급 아민을 수득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아세토나이드(2)를, 질소와 같은 불활성 기체의 대기하에서, 매우 과량의 L-(-)-암페타민, D-(+)-암페타민, (R)-1-페닐프로필아민 또는 (S)-1-페닐프로필아민과 같은 적절히 치환된 1급 아민과 함께 합한다. 이어서, 혼합물을 약 3 내지 6시간 교반하며 대략 130℃로 가열한다. 냉각 후, 생성물을 당해 분야의 숙련가에게 널리 공지된 기술에 의해 분리하고 정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조 혼합물은 섬광 크로마토그래피로 직접 정제한 후 3 내지 6% 메탄올/클로로포름과 같은 적절한 용출제를 사용하는 방사상 크로마토그래피 처리 후 2급 아민(3)을 수득할 수 있다.
도식 A의 단계 c에서, 이어서 2급 아민(3)을 산성 조건하에 탈보호시켜 일반식(I)의 화합물을 수득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2급 아민(3)을 과량의 적합한 산(예: 1M 염산)으로 처리하고 약 40 내지 50℃에서 약 30분 동안 가열한다. 냉각후, 생성물을 당해 분야의 숙련가에게 널리 공지된 기술에 의해 분리 및 정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반응물을 포화 수성 중탄산나트륨과 같은 적합한 약염기 과량으로 처리한 후 클로로포름과 같은 적합한 유기 용매로 추출한다. 유기 추출물을 무수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하고, 여과 후 진공하에 농축시킨다. 이어서, 조 잔사를 방사상 크로마토그래피와 같은 크로마토그래피 기술로 정제한 후 에테르성 염화수소로 처리하여 일반식(I)의 하이드로클로라이드 염을 수득할 수 있다.
선택적 아데노신 수용체 제제의 치료학적 유용성
하기 표는 본 발명에 따라 선택적 아데노신 수용체 제제의 잠재적인 치료학적 유용성을 보다 자세히 나타내고 있다:
심장혈관, 폐동맥 및 신장계의 목표지점에 있어서, 수용체 결합 연구에 의해 확인된 고안된 화합물은, 사람 생리학적 반응의 직접적인 지표인 생체내 시험으로 기능을 평가할 수 있다. 퓨린 수용체의 약리학 및 기능상 의의에 대한 기술이 문헌[참조: M. Williams inAnn. Rev. Pharmacol, Toxicol.27, 31(1987)]에 나타나 있다. "아데노신 수용체 조절제의 치료학적 표적화"란 소제의 섹션에서, "아데노신 효능제는 고혈압 억제제로서, 아편제 금단증의 치료에 있어, 면역 경쟁 및 레닌 방출의 조절제로서, 정신병치료제로서 및 최면제로서 효과적일 수 있다. 달리 말하면, 길항제는 중추 자극제, 변력제, 심장강장제, 스트레스해소제, 천식치료제 및 호흡 질환 치료에 유용할 수 있다"라고 기술되어 있다. 아데노신 수용체 제제에 의해 나타나는 다수의 활성은 치료에 대한 이들의 강력한 잠재적 유용성 및 중심적 제제에 대한 필요를 강조한다.
아데노신은 세포-표면 수용체에 대한 작용을 통해 이의 다양한 생물학적 효과를 발휘한다. 이들 아데노신 수용체는 2가지 타입, 즉 A-1 및 A-2가 있다. A-1 수용체는, R-페닐이소프로필아데노신(R-PIA) 및 사이클로아데노신(CHA)과 같은 몇몇6C-N 치환된 아데노신 동족체가 2-클로로아데노신 및 N-5'-에틸카복스아미도아데노신(NECA) 보다 더 강력하게 작용하는 수용체로서 기능상 정의된다. A-2 수용체에서 효력이 큰 순서는 NECA > 2-클로로아데노신 > R-PIA > CHA이다.
상기 표에서 입증되는 바와 같이, 아데노신 수용체는 다양한 생리학적 기능을 조절한다. 아데노신 수용체의 2가지 주요 부류는 이미 정의된 바 있다. 이들은A-1 아데노신 수용체로서, 아데닐레이트 사이클라제의 억제제이고, A-2 아데노성의 A-2 수용체에 먼저 결합한 후, 용량이 증가함에 따라 고친화성 A-2 수용체에 결합한 후, 훨씬 고용량에서는 친화성이 매우 높은 A-1 아데노신 수용체와 결합한다는 사실로 복잡해진다[참조: J. W. Daly, et al., Subclasses of Adenosine Receptors in the Central Nervous System: Interaction with Caffeine and Related Methylxanthines, Cellular and Molecular Neurobiology, 3, (1), 69-80(1983)].
일반적으로, 아데노신의 생리학적 효과는 아데닐레이트 사이클라제의 자극 또는 억제에 의해 조절된다. 아데닐레이트 사이클라제의 활성화로, 통상 세포내 제2 메신저로서 인지되는 사이클릭 AMP의 세포내 농도를 증가시킨다. 따라서, 아데노신 동족체의 효과는 배양된 세포주내 사이클릭 AMP를 증가시키는 능력 또는 이의 증가를 길항시키는 능력에 의해 평가될 수 있다. 이때 2가지 중요한 세포주는 VA 13(WI-38 VA 13 2RA)[SV-40 형질전환된 WI 38 사람 태아 폐 섬유아세포, 아데노신 수용체의 A-2 서브타입을 갖는 것으로 공지됨] 및 지방세포[아데노신 수용체의 A-1 서브타입을 갖는 것으로 공지됨]이다[참조: R.F. Bruns, Adenosine Antagonism by Purines, Pteridines and Benzopteridines in Human Fibroblasts, Chemical Pharmacology, 30, 325-33(1981)].
시험관내 연구로부터, 8-페닐-1,3-디프로필크산틴(XCC)의 카복실산 협동작용 물은 비선택적 아데노신 수용체로, 래트 뇌 막의 A-1 수용체에서 Ki은 58±3nM이고, 래트 뇌 조각 검정시 A-2 수용체에서 Ki는 34±13nM인 것으로 널리 공지되어 있다. 한편, 8-페닐-1,3-디프로필크산틴(XAC)의 아미노 협동 작용물은 A-2 수용체에서 Ki값 49±17nM과 비교시, Ki값 1.2± 0.5nM로 A-1 아데노신 수용체에 대해 40배 더 큰 친화성을 갖는다. 추가로, XAC는 혈압보다 심박도수에 대해 아데노신 동족체 작용을 길항시키는데 훨씬 강력하다. 아데노신 동족체로 유도된 효과가 심장에 대해서는 A-1 수용체를 통해, 혈압에 대해서는 A-2 수용체를 통해 조절되는 것으로 통상적으로 공지되어 있기 때문에, 생체내 조건하에서 XAC의 선택성은 시험관내 아데노신 수용체 활성이 생체내 아데노신 수용체 활성과 상관되고 특이적 생리학적 효과가 이러한 선택성의 결과로서 특징지워질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참조:B. B. Fredholm, K. A. Jacobsen, B. Jonzon, K. L. Kirk, Y.O. Li, and J.W. Daly, Evidence That a Novel 8-Phenyl-Substituted Xanthine Derivative is a Cardioselective Adenosine Receptor Antagonist In Vivo, Journal of Cardiovascular Pharmacology, 9, 396-400, (1987), and also K.A. Jacobsen, K.L. Kirk, J.W. Daly, B. Jonzon, Y.O. Li, and B.B. Fredholm, Novel 8-Phenyl-Substituted Xanthine Derivative Is Selective Antagonist At Adenosine Receptors In Vivo, Acta Physiol. Scand, 341-42 (1985)].
또한 아데노신은 혈압을 현저하게 강하시킨다. 이러한 혈압 저하는 아마도 말초 내성에 있어서 A-2 수용체-매개된 저하에 의존적인 것 같다. 아데노신 동족체는 또한 심박도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러한 효과는 A-1 서브타입의 아데노신 수용체를 통해 조절되는것 같다.
따라서, 본원에서 기술된 아데노신 수용체 선택적 아데노신 동족체의 약물학적 투여로 A-2 또는 A-1 수용체 중의 하나에 선택적인 결합이 이루어지며, 그 결과혈압강하 또는 심박도수 감소가 선택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예를 들면 이들 생체내 생리학적 효과를 디커플링(decoupling)시키게 된다. 이러한 아데노신 수용체 선택적 제제의 선별은 하기 상세한 설명에서 기술되는 방법에 의해 결정할 수 있다.
뇌 아데노신 A-2 수용체에 대한 친화성 시험
하기 시험을 사용하여 동물 뇌 막으로부터 준비된 아데노신 A-2 수용체에 대한 시험 화합물의 효능을 리간드[3H]-5'-N-에틸-카복스아미도아데노신(NECA)에 견주어서 측정한다[참조: R.R. Bruns, G.H. Lu, and T.A. Pugsley, Characterization of the A-2 Adenosine Receptor Labeled by [3H] NECA in Rat Striatal Membranes, Mol. Pharmacol., 29, 331-346 (1986)]. 찰스 리버(Charles River)로부터 수득한 어린 랫트 숫컷(C-D 계통)을 단두시켜 죽이고 뇌를 적출한다. 리간드 결합을 위한 막을 레트 뇌 선조체로부터 분리한다. 조직을 폴리트론을 사용하여 20배 용적의 빙냉 50mM 트리스-HCl 완충액(pH 7.7)에서 균질화시킨다(6 내지 20초로 셋팅), 균질물을 4℃에서 10분간 50,000xg에서 원심분리한다. 펠렛을 20배 완충액 중의 폴리트론에서 재균질화하고, 상기와 같이 원심분리한다. 펠렛을 최종적으로 조직의 본래 습윤 중량 g당 50mM 트리스-HCl(pH 7.7) 40배 용적 중에 재현탁시킨다.
항온처리 튜브 3개에[3H] NECA (검정시 94nM) 100μl, 1μM 사이클로헥실아데노신 (CHA) 100μl, 100mM MgCl2100μl, 1IU/ml 아데노신 데아미나제 100μl, 검정 완충액(50mM 트리스-HCl, pH 7.7)으로 10-10M 내지 10-4M 희석된 다양한 농도의 시험 화합물 100μl 및 막 현탁액(5mg 습윤 중량) 0.2μl를 넣고 50mM 트리스-HCl(pH 7.7)로 최종 용적 1ml가 되게 한다. 항온처리는 25℃에서 60분간 수행한다. 각각의 튜브를 진공을 사용하여 GF/B 유리 섬유 필터를 통해 여과한다. 필터를 빙냉 완충액 5ml로 2회 세정한다. 필터상의 막을, 5% 프로토솔이 있는 옴니플루오르 8ml이 가해진 신틸레이션 바이알로 옮긴다. 필터를 액체 신틸레이션 분광계로 카운팅한다.
[3H] NECA의 특이적 결합은 100μM 2-클로로아데노신의 존재하에 진행하는 블랭크 시험보다 과량으로 측정된다. 총 막-결합된 방사능은 시험 튜브에 부가된 것의 약 2.5%이다. 이러한 조건이 방사능의 10% 미만으로 총 결합을 제한하기 때문에, 유리 리간드의 농도는 결합 검정 중에 인지될 정도로 변하지는 않는다. 막에 대한 특이적 결합은 총 결합의 약 50%이다. 막 현탁물의 단백질 함량은 문헌에 기재된 방법으로 측정한다[참조: O.H Lowry, N.J. Rosebrough, A.L. Farr and R.J. Randall, Protein Measurements With Folin Phenol Reagent,J. Biol. Chem., 193, 265-275 (1951)].
시험 화합물에 의해 15% 이상의 [3H] NECA 결합의 대체는 아데노신 A-2 부위에 대한 친화성의 지표이다. 리간드 결합을 50% 억제시키는 화합물의 몰 농도는 IC50이다. 100 내지 1000nM 범위의 값이 고도로 강력한 화합물을 나타낼 것이다.
뇌 아데노신 A-1 수용체 결합 부위에 대한 친화성 시험
하기 시험을 사용하여 리간드 뇌 막으로부터 준비된 아데노신 A-1 수용체에 대한 시험 화합물의 효능을 리간드[3H] 사이클로아데노신과 견주어 측정한다. 스프라그-도울리 랫트 숫컷을 단두시켜 죽이고 동물의 전제 뇌로부터 막을 분리한다[참조: R. Goodman, M. Cooper, M. Gavish, and S. Synder, Guanine Nucleotide and Cation Regulation of the Binding of [3H] Diethylphenylxanthine to Adenosine A-1 Receptors in Brain Membrane, Molecular Pharmacology, 21, 329-335 (1982)].
막을 25배 용적의 빙냉 50mM 트리스-HCl 완충액 (pH 7.7)중에서 균질화한다(10초 동안 7로 셋팅한 폴리트론 사용). 균질물을 19,000rpm에서 4℃에서 10분 원심분리한다. 펠렛을 1ml당 2IU의 아데노신 데아미나제와 함께 완충액 25배 용적중 재현탁시켜 세척하고 37℃에서 30분 항온처리한다. 균질물을 재원심분리한다. 최종 펠렛을 빙냉 완충액 25배 용적 중에서 재현탁시킨다.
항온처리 튜브 3개에 [3H] 사이클로헥실아데노신 (검정시 0.8nM) 100μl, 트리스-HCl 완충액(50nM, pH 7.7)으로 10-10M 내지 10-6M 희석된 다양한 농도의 시험 화합물 200μl 및 막 현탁물(습윤 중량 8mg) 0.2ml를 넣고, 트리스 완충액으로 최종 용적이 2ml가 되게 한다. 항온처리는 25℃에서 2시간 동안 수행하고 각각을 진공을 사용하여 GF/B 유리 섬유 필터를 통해 여과하여 10초 이내에 종결시킨다. 필터 상의 막을 신틸레이션 바이알로 옮긴다. 필터는 5% 프로토솔을 함유하는 옴니플루오르 8ml중에서 액체 신틸레이션 분광계로 카운팅한다.
[3H] 사이클로아데노신의 특이적 결합을 10-5M 2-클로로 아데노신 존재하에 취해진 블랭크 시험에서보다 과량으로서 측정한다. 총 막-결합된 방사능은 시험 튜브에 부가된 것의 약 5%이다. 막에 대한 특이적 결합은 총 결합의 약 90%이다. 막현탁물의 단백질 함량은 문헌에 기재된 방법으로 측정한다[참조: Lowry et al., 상기, 265].
15% 이상의 [3H] 사이클로헥실아데노신 결합을 시험 화합물로 대체한 것이 아데노신 결합 부위에 대한 친화성의 지표이다.
상기 시험 방법을 사용하여 수득된 아덴노신 수용체 결합 친화성 측정값
하기는 본 발명의 영역내에서 몇몇 화합물(화합물명에 대한 상호 참조를 위해 제5면 화합물예 참조)에 대한 아데노신 수용체 결합 친화성을 나타내는 표이다.
뉴클레오타이드 구아노신 트리포스페이트(GTP)는 다양한 신경전달 수용체에 대한 효능제 및 길항제 결합에 상이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적으로, 구아닌 뉴클레오타이드는 길항제 친화성에 있어서 동시적 감소 없이 수용체에 대한 효능제 친화성을 감소시킨다. 따라서, GTP는 효능제의 효력은 감소시키지만, 아데노신 길항제 [3H]3-디에틸-8-페닐 크산틴의 결합 억제제로서 길항제의 효력은 억제시키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상, GTP는 퓨린 효능제의 효력은 감소시키지만 [3H] 페닐이소프로필 아데노신 결합의 억제제로서 길항제의 효력은 감소시키지 않음으로써, 효능제와 길항제간을 구별할 수 있는 효과적인 제제인 것으로 나타났다[참조: L.P. Davies, S.C. Chow, J.H. Skerritt, D.E. Brown and G.A.R. Johnston, Pyrazolo [3,4-d] Pyrimidines as Adenosine Antagonists, Life Sciences, 34,2117-28(1984)]. 통상적으로, 아데노신 동족체는 R1위치에서의 분자에 β-D-리보푸라노실이 존재하는 경우 효능제로서 작용하고, R1이 수소 또는 페닐인 경우 길항제로서 작용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아데노신 수용체 선택적 아데노신 동족체의 약제학적 제제
사용되는 화합물 또는 화합물들의 정확한 양, 즉 목적하는 효과를 제공하기에 충분한 대상 화합물 또는 화합물들의 양은 사용되는 화합물; 투여 형태; 동물의 크기, 연령 및 종; 투여 경로, 시간 및 횟수; 및 목적하는 생리학적 효과에 좌우된다. 특정한 경우, 투여되는 양은 통상적 범위의 기술에 의해 확인될 수 있다.
화합물은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즉 활성 화합물에 화학적으로 불활성이며 사용 조건하에 부작용 또는 독성이 없는 담체와 혼합하여 포함된 조성물 형태로 투여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와 배합하여 담체 1ml당 활성 화합물 약 0.1μg-500mg 내지 활성 화합물이 약 99중량%가 되게 함유할 수 있다.
조성물은, 정제, 캡슐제, 입제, 식이 혼합물, 식이 보충물 및 농축물, 산제, 과립 등과 같은 고체형; 및 멸균 주사 현탁액, 경구 투여용 현탁액 또는 용액과 같은 액체형일 수 있다.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는 표면 활성 분산제, 현탁제, 정제 결합제, 윤활제, 향료 및 착색제 같은 부형제를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부형제가 문헌에 기술되어 있다[참조: Remington's Pharmaceutical Manufacturing, 13 Ed., Mack Publishing Co., Easton, Pennsylvania (1965)].
(R)-2-[(페닐이소프로필)아미노]아데노신을 사용하여 아포모르핀-유도된 탐색(seeking) 행동의 길항작용을 시험한 결과 LD50은 32mg/kg 이상이었다.
하기 실시예는 반응도식 A에 기재된 일반적 합성을 나타낸다. 이들 실시예는 단지 예시를 위함이고 어떠한 방식으로도 본 발명의 영역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없음을 이해해야 한다. 다음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다음에 명시된 바와 같다: "[α]20"은 나트륨 D광을 사용한 20℃에서의 화합물의 광학 회전값을 의미하고, "g"는 그램을, "mmol"은 밀리몰을, "ml"는 밀리리터를, "℃"는 섭씨 온도를, "TLC"는 박층 크로마토 그래피를, "mg"은 밀리그램을, "μl"는 마이크로리터를 "δ"는 테트라메틸실란으로부터 하향 ppm을 의미한다.
실시예 1
(R)-2-[(페닐이소프로필)아미노]아데노신
반응도식 A, 단계 a
2-클로로아데노신 반수화물(0.96g, 3.09mmol), 2,2-디메톡시프로판(3.2g,30.9mmol) 및 p-톨루엔설폰산(2.93g, 15.5mmol)을 N,N-디메틸포름아미드(40ml) 중에서 혼합한다. 반응물을 20시간 교반한 후 포화 중탄산나트름(70ml)을 가한다. 반응물을 진공하에 농축한다. 잔사를 클로로포름으로 추출한다(3 x 300ml). 유기 추출물을 합하고, 무수 황산마그네슘에서 건조한 후, 여과하고, 진공 농축한다. 잔사를 방사상 크로마토그래피(5% 메탄올/클로로포름, 4mm 평판)로 정제하여 아세토나이드(2) 1.14g을 수득한다.
반응도식 A, 단계 b
아세토나이드(2)(444mg, 0.13mmol)을 L-(-)-암페타민(3.4g)과 합하고 130℃로 3.5시간 동안 교반하며 질소하에 가열한다. 냉각시킨 후, 섬광 크로마토그래피(3%→4%→5% 메탄올/클로로포름)로 정제한 후 방사상 크로마토그래피(3%→4%→5% 메탄올/클로로포름, 4mm 평판)하여 2급 아민(3) (262mg)을 수득한다.
반응도식 A, 단계 c
2급 아민(3)(249mg, 0.57mmol)을 1M 염산(20ml)으로 처리하고 반응물을 50℃에서 30분 동안 가열한다. 반응물을 냉각시키고 포화 중탄산나트륨(200ml)에 붓는다. 반응물을 클로로 포름으로 추출한다(3 x 150ml). 유기 추출물을 합하고, 무수 황산마그네슘에서 건조하며, 여과하고 진공하에 농축한다. 잔사를 방사상 크로마토그래피(2%→4%→8%→15% 메탄올/클로로포름, 4mm 평판)로 4회 처리하여 유리 염기로서 표제 화합물(105mg)을 수득한다. 이것을 에테르성 염화수소로 처리하고, 여과시킨 후 오산화인에서 고진공하에 고체를 건조시켜 일반식(I)의 하이드로클로라이드염(48mg)을 수득한다. 융점 153℃ 분해; [α]20=-30˚ (c=1.04, H2O).
실시예 2
(S)-2-[(페닐이소프로필)아미노]아데노신
반응도식 A, 단계 a
2-클로로아데노신 반수화물(0.96g, 3.09mmol), 2,2-디메톡시프로판(3.2g, 30.9mmol) 및 p-톨루엔설폰산(2.93g, 15.5mmol)을 N,N-디메틸포름아미드(40ml) 중에서 혼합한다. 반응물을 20시간 동안 교반한 후 포화 중탄산나트륨(70ml)을 가한다. 반응물을 진공하에 농축한다. 잔사를 클로로포름으로 추출한다(3 x 300ml). 유기 추출물을 합하고, 무수 황산마그네슘에서 건조시킨 후, 진공 농축한다. 잔사를 방사상 크로마토그래피(5% 메탄올/클로로포름, 4mm 평판)로 정제하여 아세토나이드(2) 1.14g을 수득한다.
반응도식 A, 단계 b
아세토나이드(2)(638mg, 1.87mmol)을 D-(+)-암페타민(4.5g)과 합하고 130℃로 5시간 동안 교반하며 질소하에 가열한다. 냉각후, 섬광 크로마토그래피(3%→5%→10% 메탄올/클로로포름)로 정제한 후 방사상 크로마토그래피(2%→4%→6%→8%→10% 메탄올/클로로포름, 4mm 평판)하여 2급 아민(3) (0.56g)을 수득한다.
반응도식 A, 단계 c
2급 아민(3)(0.46g, 1.05mmol)을 1M 염산(40ml)으로 처리하고 반응물을 45℃에서 15분 가열한다. 반응물을 냉각시키고 포화 중탄산나트륨(300ml)에 붓는다. 반응물을 클로로포름으로 추출한다(3 x 150ml). 유기 추출물을 합하고, 무수 황산마그네슘에서 건조하며, 여과후 진공하에 농축시켜 유리 염기로서 표제 화합물(0.40g)을 수득한다. 이것을 에테르성 염화 수소로 처리하고 오산화인에서 고진공하에 고체를 건조시킨다. 10% 메탄올/디에틸 에테르로부터 재결정화하여, 오산화인에서 고진공하에 건조시킨 후 일반식(I)의 하이드로클로라이드 염(184mg)을 수득한다. 융점 155℃ 분해; [α]D 20=+9.75˚ (c=1.01, H2O).
실시예 3
(R)-2-[(1-페닐프로필)아미노]아데노신
반응도식 A, 단계 b
아세토나이드(2)(3.4g, 9.95mmol)을 (R)-1-페닐프로필아민(8.62g)과 합하고 환류에서 18시간 동안 가열한다. 증류시켜 과량의 아민 일부를 제거한다. 냉각후, 섬광 크로마토그래피(디클로로메탄중 3% 메탄올)로 정제한다. 생성물을 디에털 에테르로 연마하여 2급 아민(3)(1.38g)을 수득한다.
1H NMR (CDCl3) δ 7.41 (1H, s), 7.21-7.34 (4H, m), 7.14-7.22 (1H, m), 5.69 (1H, d), 5.50.(2H, s), 5.25 (1H, d), 5.10 (1H, t), 5.01 (1H, q), 4.90 (1H, q), 4.41 (1H, s), 3.93 (1H, d), 3.80 (1H, d), 1.82 (2H, 펜트), 1.60 (3H, s), 1.32 (3H, s), 0.94 (3H, t); IR (KBr) 3450-3100, 1633, 1599cm-1.
C22H28N6O4에 대한 원소분석 :
계산치 : C, 59.99; H, 6.41; N, 19.08
실측치 : C, 59.99; H, 6.38; N, 18.71.
반응도식 A, 단계 c
상기 2급 아민(3)을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20ml)으로 용해시키고 물(2ml)로 처리한다. 15분 후 진공하에 용매를 제거한다. 잔사를 물/디클로로메탄으로 처리하고 포화 중탄산나트륨으로 염기성이 되게 한다. 층을 분리하고 무수 황산마그네슘에서 건조시킨 후, 여과하고 진공 농축한다. 수득된 고체를 섬광 크로마토그래피(5%→10%→15% 메탄올/디클로로메탄)로 정제한 후 아세톤으로부터재결정화하여 표제 화합물 (62mg)을 수득한다.
1H NMR (DMSO-d6) δ 7.87 (1H, s), 7.38 (1H, d), 7.27 (2H, t), 7.16 (1H, t), 6.60-6.73 (3H, m, 교환 가능성), 5.59 (1H, d), 5.31 (1H, d), 5.02 + 5.12 (2H, brs + d), 4.83 (1H, q), 4.52 (1H, dd), 4.17 (1H, dd), 3.88 (1H, dd), 3.64-3.73 (1H, m), 3.47-3.59 (1H, m), 2.08 (3H, s, Me2SO), 1.63-1.89 (2H, m), 0.96 (3H, t), IR (KBr) 3423-3290 cm-1
C19H24N6O4·1/2C3H6O에 대한 원소분석 :
계산치 : C, 57.33; H, 6.34; N, 19.57
실측치 : C, 59.96; H, 6.73; N, 19.92.

Claims (4)

  1. (R)-2-[(페닐이소프로필)아미노]아데노신인 화합물.
  2. (R)-2-[(페닐이소프로필)아미노]아데노신 하이드로클로라이드인 화합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르는 화합물을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와 혼합하여 포함하는, 혈압 강하용 약제학적 조성물.
  4. 다음 구조식의 화합물을 적합한 산과 반응시킴을 포함하는, (R)-2-[(페닐이소프로필)아미노]아데노신 또는 이의 하이드로클로라이드 염의 제조방법.
KR1019950701220A 1992-09-30 1993-09-02 A-2수용체친화성을갖는2-치환된아데노신 KR10031635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95418092A 1992-09-30 1992-09-30
US07/954180 1992-09-30
PCT/US1993/008269 WO1994007905A1 (en) 1992-09-30 1993-09-02 2-substituted adenosines with a-2 receptor affinit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703572A KR950703572A (ko) 1995-09-20
KR100316354B1 true KR100316354B1 (ko) 2002-09-26

Family

ID=254950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701220A KR100316354B1 (ko) 1992-09-30 1993-09-02 A-2수용체친화성을갖는2-치환된아데노신

Country Status (19)

Country Link
EP (1) EP0662975B1 (ko)
JP (1) JPH08502069A (ko)
KR (1) KR100316354B1 (ko)
AT (1) ATE150761T1 (ko)
AU (1) AU672226B2 (ko)
CA (1) CA2145682C (ko)
DE (1) DE69309293T2 (ko)
DK (1) DK0662975T3 (ko)
ES (1) ES2102679T3 (ko)
FI (1) FI109129B (ko)
GR (1) GR3023761T3 (ko)
HU (1) HU220760B1 (ko)
IL (2) IL107101A0 (ko)
MX (1) MX9306032A (ko)
NO (1) NO303875B1 (ko)
NZ (1) NZ256195A (ko)
TW (1) TW302367B (ko)
WO (1) WO1994007905A1 (ko)
ZA (1) ZA93710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21753B2 (en) 2000-06-27 2005-07-26 Pfizer Inc Purine derivatives
GB0015727D0 (en) * 2000-06-27 2000-08-16 Pfizer Ltd Purine derivatives
GB0022695D0 (en) 2000-09-15 2000-11-01 Pfizer Ltd Purine Derivatives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34381A (en) * 1988-01-07 1991-07-23 Ciba-Geigy Corporation 2-(substituted amino) adenosines as antihypertensiv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R3023761T3 (en) 1997-09-30
HU9500918D0 (en) 1995-05-29
HUT72611A (en) 1996-05-28
NO303875B1 (no) 1998-09-14
FI109129B (fi) 2002-05-31
IL107101A0 (en) 1993-12-28
CA2145682A1 (en) 1994-04-14
CA2145682C (en) 1998-11-10
ATE150761T1 (de) 1997-04-15
DE69309293T2 (de) 1997-07-10
FI951500A (fi) 1995-03-29
DK0662975T3 (ko) 1997-04-28
NO951213D0 (no) 1995-03-29
NO951213L (no) 1995-03-29
AU672226B2 (en) 1996-09-26
DE69309293D1 (de) 1997-04-30
JPH08502069A (ja) 1996-03-05
KR950703572A (ko) 1995-09-20
NZ256195A (en) 1996-05-28
IL107101A (en) 2000-07-16
EP0662975A1 (en) 1995-07-19
TW302367B (ko) 1997-04-11
HU220760B1 (hu) 2002-05-28
WO1994007905A1 (en) 1994-04-14
MX9306032A (es) 1994-03-31
ES2102679T3 (es) 1997-08-01
EP0662975B1 (en) 1997-03-26
FI951500A0 (fi) 1995-03-29
AU4844693A (en) 1994-04-26
ZA937108B (en) 1994-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390112B1 (en) Selective adenosine receptor agents
EP0449175B1 (en) Selective adenosine receptor agents
US5329007A (en) Selective adenosine receptor agents
KR100316354B1 (ko) A-2수용체친화성을갖는2-치환된아데노신
US5064947A (en) Selective adenosine reseptor compounds
CA2013381C (en) Selective adenosine receptor compounds
US5426101A (en) 2-substituted adenosines with A-2 receptor affinity
US5391739A (en) Selective adenosine receptor agents
US5086176A (en) Tricyclic fused adenine derivatives
US5734052A (en) 8-substituted xanthines as selective adenosine receptor ag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