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15395B1 - 화면비에 따른 화면 위치 설정 방법 - Google Patents

화면비에 따른 화면 위치 설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15395B1
KR100315395B1 KR1019990026007A KR19990026007A KR100315395B1 KR 100315395 B1 KR100315395 B1 KR 100315395B1 KR 1019990026007 A KR1019990026007 A KR 1019990026007A KR 19990026007 A KR19990026007 A KR 19990026007A KR 100315395 B1 KR100315395 B1 KR 1003153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aspect ratio
image source
setting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260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05204A (ko
Inventor
이상수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900260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15395B1/ko
Publication of KR200100052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52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53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539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1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 H04N7/0117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involving conversion of the spatial resolution of the incoming video signal
    • H04N7/0122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involving conversion of the spatial resolution of the incoming video signal the input and the output signals having different aspect ratio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6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receiving on more than one standard at wil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위치 설정에 있어서, 각 화면비에 대한 오프셋 값을 미리 설정하는 과정과, 입력되는 영상 소스의 화면의 벗어남을 검출하기 위하여 화면 출력 영역을 벗어나는 영역중 일부 영역을 검출 영역으로 미리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검출 영역에서 입력되는 영상 소스의 화면이 위치하는 경우에 상기 오프셋 값에 따라 화면 위치를 설정하는 과정을 가지므로, 화면비의 변화시에 그에 따른 화면 위치의 설정을 즉각적으로 한다.

Description

화면비에 따른 화면 위치 설정 방법{METHOD FOR SETTING SCREEN ACCORDING TO THE ASPECT RATIO}
본 발명은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화면비에 따른 화면 위치 설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의 하나인 텔레비전은 입력 화면의 화면비(aspect ratio)에 관계없이 세로방향의 화소비율을 다양하게 확대시켜 시청자가 수직방향의 화면 종횡비를 선택하도록 하여 원하는 화면 종횡비로 화면을 시청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지금까지 사용되어 왔던 대부분의 텔레비전의 디스플레이 포맷은 프로젝션 텔레비전을 위한 화면 뿐만아니라 통상적인 음극선관(Cathode ray tube)의 이미지 디스플레이 영역에 의해 구현된 화면에 있어서도 4:3의 화면비를 가진다. 이와 마찬가지로 대부분의 영상 소스(image source)들의 화면비도 4:3이다. 그러나 모든 영상 소스들이 4:3의 화면비로 만들어지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영화는 텔레비전 신호로서 재생 또는 전송하기 위해 필름 포맷으로부터 비디오 테이프 포맷으로 전환되어진다. 이러한 영화 소스들을 비디오 포맷으로 변환할 때 관습적으로 화면비를 대부분의 텔레비전에 적합한 화면비인 4:3으로 변경하여 왔었다. 이와같은 영화소스의 일예로 16:9 화면비의 디스플레이 포맷을 가지는 와이드 스크린 소스들이 있다.
상기와 같은 영화 소스들을 비디오테이프 포맷으로 변환할때 플라잉 스포트 텔레시네(flying spot telecine)와 같은 장치를 사용한다. 플라잉 스포트 텔레시네는 4:3 화면비를 가지는 윈도우 또는 프레임(frame)을 가지는데, 통상적으로 운용자는 필름에 있어서의 액션(action)의 중앙을 추적하는 동시에 이미지의 좌,우부분을 필요한 만큼 잘라내면서 윈도우를 좌우로 이동시킨다. 이는 필름 이미지의 수직 높이를 4:3 화면비의 화면에 맞출경우 필름 이미지의 수평 폭이 4:3 화면비 화면의 수평 폭보다 넓어지기 때문이다. 이에따라 16:9 화면비의 영화 소스로부터 4:3 화면비로 변환된 영상신호는 필름 이미지에서 잘라낸 만큼의 좌우 부분이 유실되게 된다.
한편 상기 와이드 스크린 이미지(16:9)를 수평 폭이 4:3 화면비의 화면의 좌우 경계선과 일치할 때까지 축척에 있어 감소시킨다면, 이미지의 수직 높이가 보다 작아진다. 이러한 결과로서, 4:3 화면비의 화면에 필름 소스 이미지가 완전히 나타나게 되나, 이때 4:3 화면비 화면의 상부 및 하부에는 이미지가 채워지지 않는 부분이 생긴다. 이와같이 이미지가 나타나지 않는 부분에 있어서 발생할 수 있는 스퓨리어스(spurious)신호를 피하기 위해 4:3 화면비로 변환된 이미지의 상부 및 하부에 흑대(dark bar)를 전송한다. 이와같이 처리된 특별한 디스플레이 포맷을 통상적으로 레터박스 포맷이라 칭한다. 이에따라 레터박스 신호라 하면 통상적인 비디오신호보다 작은 액티브 화면 부분을 가지는 영상신호로서 생각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레터박스 포맷의 영상신호를 예를들면, 레터박스 크기의 영상신호와 시네마스코프 크기의 영상신호가 있다. 그리고 예를들어 레터박스 크기의 영상신호는 360라인의 유효한 수평주사라인을 가지며 시네마스코프 크기의 영상신호는 320라인의 유효한 수평주사라인을 가진다.
일예로서 상기한 바와 같은 레터박스 또는 시네마스코프 크기의 이미지를 별도의 신호처리를 하지않고 16:9 화면비의 텔레비전 화면에 그대로 디스플레이한다면, 영상 소스의 이미지가 좌우로 퍼지는 이화감(異和感)이 발생한다.
한편, 텔레비전과 같은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입력되는 영상 소스의 화면비가 변하게 되면, 디스플레이하는 화면도 이에 따라 연동하여 변하여야 하는데, 이때에는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의 위치가 바뀌어야 한다. 화면의 위치 설정은 텔레비전의 중앙처리장치나 마이컴 등에서 입력되는 영상 소스의 화면비를 파악하고 이에 따라 설정하였다. 그런데, 이때 화면비를 파악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길어지게 되면, 도 4는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의 위치가 어긋나서 순간적으로 디펙(defect)이 발생할 수 있다.
도 4는 화면비의 변화에 따른 화면 위치의 설정시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의 (a)는 입력되는 영상 소스의 화면비가 4:3인 경우에 화면(42)의 위치가 적정 출력 영역(40)에 설정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4의 (b)는 입력되는 영상 소스의 화면비가 4:3에서 16:9로 변한 경우에 화면(44)의 위치를 미처 적절히 변환하지 못하여 화면(44)이 적정 출력 영역(40)에서 어긋한 경우를 나타낸다.
따라서 본 발명의 화면비의 변화시에 그에 따른 화면 위치의 설정을 즉각적으로 하여 디펙 발생을 억제하는 화면 위치 설정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위치 설정 방법에 있어서, 각 화면비에 대한 오프셋 값을 미리 설정하는 과정과, 입력되는 영상 소스의 화면의 벗어남을 검출하기 위하여 화면 출력 영역을 벗어나는 영역중 일부 영역을 검출 영역으로 미리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검출 영역에서 입력되는 영상 소스의 화면이 위치하는 경우에 상기 오프셋 값에 따라 화면 위치를 설정하는 과정을 가짐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적용되는 디지털 텔레비전의 개략적인 전체 블록 구성도
도 2는 도 1 중 비디오처리 및 출력부의 상세 블록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면비의 변화에 따른 화면 위치 설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화면비의 변화에 따른 화면 위치의 설정시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소자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이러한 특정 사항들이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소정의 변형이나 혹은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가 적용되는 디지털 텔레비전의 개략적인 전체 블록 구성도로서, MPEG(Moving Picture Expert Group) 규격을 채용하는 HDTV(High Definition Television)의 블록 구성도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튜너(Tuner)(102)는 안테나(100)를 통해 수신되는 디지털 TV 방송신호를 입력하여 마이컴(124)의 제어에 따라 채널을 선국하고 선국에 따른 IF(Intermediate Frequency)신호를 출력한다. IF 모듈(104)은 튜너(102)로부터 출력되는 IF신호를 베이스밴드(Baseband)신호로 변환한다. 채널 디코더(Channel Decoder)(106)는 IF 모듈(104)로부터 출력되는 베이스밴드신호를 채널 복호화하여 데이터 비트열을 재생해낸다. TS(Transport Stream) 디코더(108)는 채널 디코더(106)에 의해 재생된 데이터 비트열로부터 오디오 데이터와 비디오 데이터와 부가 데이터를 분리한다. 이와 같이 분리된 데이터 중에서 상기 오디오 데이터는 오디오 디코더(110)에 인가되어 MPEG 규격 또는 돌비(Dolby) AC-3 규격에 따라 디코딩되고 오디오 처리 및 출력부(112)에서 처리된 후 스피커(114)를 통해 음성으로 출력된다. 그리고 비디오 데이터는 비디오 디코더(116)에 인가되어 MPEG 규격에 따라 디코딩되고 OSG(On Screen Graphic) 믹서(Mixer)(118)에 인가되어 마이컴(124)의 제어에 따른 OSG 데이터와 합쳐져 비디오 처리 및 출력부(120)에서 처리된 후 수상관(122)을 통해 화면상에 출력된다. 여기서 OSG 데이터는 마이컴(124)이 화면상에 각종 정보를 그래픽(Graphic)이나 텍스트(Text)로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데이터이다.
그리고 HDTV 수상기의 제어부인 마이컴(124)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128)를 통해 키패드(Keypad)(130)와 IR(Infrared) 수신부(134)가 접속된다. 마이컴(124)은 키패드(130)나 IR 수신부(134)를 통해 리모콘(132)으로부터 입력되는 명령에 따른 동작을 메모리부(126)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따라 수행한다. 또한 메모리부(126)는 마이컴(124)의 프로그램을 저장하기 위한 롬(ROM: Read Only Memory)과, 마이컴(124)의 프로그램 수행에 따른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기 위한 램(RAM: Random Access Memory)과, 각종 참조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OM)등을 구비한다.
상기 마이컴(124)은 또한 영상 소스의 신호에서 화면비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아 화면비를 파악하고 이에 따라 화면의 적절한 위치를 설정하게 된다. 그런데, 이때 화면비를 파악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길어지게 되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의 위치가 어긋나서 순간적으로 디펙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상기 비디오처리 및 출력부(120)에서 하드웨어적으로 화면비를 검출하여 즉각적으로 이에 대응하여 화면의 위치를 설정하게 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 비디오처리 및 출력부(120)의 구성 및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도 1 중 비디오처리 및 출력부의 상세 블록 구성도이며, 도 3은 본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면비의 변화에 따른 화면 위치 설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비디오신호처리부(20)는 통상 롬(ROM) 메모리(24)의 동작 프로그램에 따라 입력되는 영상 신호를 처리하여 CRT구동부(22)를 동작시키므로 수상관(122)에 화면이 출력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메모리(24)에는 각각의 화면비에 대한 오프셋(offset) 값이 미리 설정된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화면의 출력 영역(30)을 벗어나는 특정 영역을 영상 소스의 화면의 벗어남을 검출하기 위한 검출 영역(32)으로 미리 설정한다. 도 3에는, 상기 검출 영역(32)이 상기 출력 영역(30)의 상하, 좌우 외곽을 벗어나는 일정한 범위의 영역으로 설정되어 있음을 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검출 영역(32)에서 입력되는 영상 소스의 화면이 위치하는 경우에 상기 오프셋 값에 따라 화면 위치를 설정하게 된다.
도 3의 (a)의 빗금칠한 부분은 검출 영역(30)으로서, 입력되는 영상 소스의 화면비에 따라 화면의 크기가 변화면서 출력되는 화면이 화면의 출력 영역(30) 밖으로 벗어날 수 있는 부분을 표시한 것으로, 이곳에서 화면이 위치함이 검출될 경우에는 하드웨어적으로 미리 설정된 화면 위치에 대한 오프셋 값에 따라 화면 위치를 변경하므로 화면이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도 3의 (b)와 (c)는 도 3의 (a)의 검출 영역(30)에 화면이 위치해 있을 때에, 즉 입력되는 영상 소스의 화면비가 바뀜으로 해서 화면의 위치가 바뀔때 때에 화면 위치의 오프셋 값에 화면을 출력하기 것을 나타낸 것으로, 도 3의 (b)는 오프셋 값에 따라 화면이 오른쪽으로 정렬된 것을 나타내며, 도 3의 (c)는 왼쪽으로 정렬된 것을 나타낸다.
상기 도 3의 (b)와 (c)에서, 참조부호 34, 36은 입력되는 영상 소스의 화면비가 변하기 전의 화면 위치이며, 빗금친 참조부호 35, 36은 입력되는 영상 소스의 화면비에 따른 오프셋 값에 따라 화면 위치를 정하여 출력된 화면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 및 동작에 의해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화면비에 따른 화면 위치 설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청구범위와 청구의 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하여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위치 설정 방법에 있어서, 각 화면비에 대한 오프셋 값을 미리 설정하는 과정과, 입력되는 영상 소스의 화면의 벗어남을 검출하기 위하여 화면 출력 영역을 벗어나는 영역중 일부 영역을 검출 영역으로 미리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검출 영역에서 입력되는 영상 소스의 화면이 위치하는 경우에 상기 오프셋 값에 따라 화면 위치를 설정하는 과정을 가지므로, 화면비의 변화시에 그에 따른 화면 위치의 설정을 즉각적으로 하여 디펙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Claims (3)

  1.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비에 따른 화면 위치 설정 방법에 있어서,
    각 화면비에 대한 오프셋 값을 미리 설정하는 과정과,
    입력되는 영상 소스의 화면의 벗어남을 검출하기 위하여 화면 출력 영역을 벗어나는 영역중 일부 영역을 검출 영역으로 미리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검출 영역에 상기 입력되는 영상 소스의 화면이 위치하는지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검출 영역에 상기 입력되는 영상 소스의 화면이 위치하는 경우에 상기 오프셋 값에 따라 화면 위치를 설정하는 과정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위치 설정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지털 텔레비전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위치 설정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영역은 상기 출력 영역의 상하, 좌우를 벗어나는 영역중 일부 영역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위치 설정 방법.
KR1019990026007A 1999-06-30 1999-06-30 화면비에 따른 화면 위치 설정 방법 KR1003153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6007A KR100315395B1 (ko) 1999-06-30 1999-06-30 화면비에 따른 화면 위치 설정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6007A KR100315395B1 (ko) 1999-06-30 1999-06-30 화면비에 따른 화면 위치 설정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5204A KR20010005204A (ko) 2001-01-15
KR100315395B1 true KR100315395B1 (ko) 2001-11-28

Family

ID=195981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6007A KR100315395B1 (ko) 1999-06-30 1999-06-30 화면비에 따른 화면 위치 설정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15395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5204A (ko) 2001-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07504B2 (en) Caption display method of digital television
JP4492973B2 (ja) テレビジョン受信機
US6732371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guiding broadcasting information of TV
US5949494A (en) Aspect ratio discrimination apparatus and image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20020027600A (ko) 비디오 디스플레이 스크린 세이버에 대한 시스템 및 방법
US6031580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displaying broadcasting program information in television receiver
US20020036712A1 (en) Apparatus and method of displaying video data in digital TV
KR100315395B1 (ko) 화면비에 따른 화면 위치 설정 방법
US794593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video signal processing apparatus
JP3196191B2 (ja) 文字多重放送デコーダ内蔵機器
US20040021794A1 (en) Video display apparatus
KR100487203B1 (ko) 영상디스플레이장치의디스플레이방법
JP4876848B2 (ja) ビデオスケーリングシステムおよびテレビ受像装置
KR20040098852A (ko) 디지털 텔레비전의 채널 전환시 화면 표시 방법 및 그 장치
KR100193098B1 (ko) 더블 윈도우 화면을 이용한 자막위치 이동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970009458B1 (ko) 단일 튜너를 가지는 영상신호 처리장치의 자 화면 표시방법 및 장치
KR20090067524A (ko) 영상표시기기 및 화면 비 조정 방법
KR100222703B1 (ko) 화면 사이즈 조절방법
KR0169307B1 (ko) 다화면 텔레비전의 오에스디 표시중 부화면 위치 자동이동방법
KR100222667B1 (ko) 상, 하, 좌, 우 모서리 선택에 의한 tv 화면 위치 이동장치 및 그 방법
KR100242113B1 (ko) 텔레비젼수상기의 한글자막삭제장치
KR100282062B1 (ko) 문자방송의 녹화기능을 구비한 텔레비전의 운영방법
KR19980040699A (ko) 다수의 외부신호 입력단자를 가진 텔레비젼 수상기에서 외부신호 입력시 자동 선택장치 및 그 방법
KR19980029613A (ko) 텔레비젼 수상기로 문자방송 시청시 문자정보 자동 인식에 의한 문자크기 설정장치 및 그 방법
KR970024992A (ko) 티브이(tv)의 방송프로그램명과 자막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028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