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14654B1 - 수퍼 픽셀과 선형 양자화를 이용한 복합 히스토그램 생성 방법 - Google Patents
수퍼 픽셀과 선형 양자화를 이용한 복합 히스토그램 생성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314654B1 KR100314654B1 KR1019990008383A KR19990008383A KR100314654B1 KR 100314654 B1 KR100314654 B1 KR 100314654B1 KR 1019990008383 A KR1019990008383 A KR 1019990008383A KR 19990008383 A KR19990008383 A KR 19990008383A KR 100314654 B1 KR100314654 B1 KR 10031465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lor
- histogram
- brightness
- bins
- component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0
- 238000013139 quantiza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
- 239000002131 composite material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03086 colora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8000010606 normaliza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605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04 transi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5/00—Image enhancement or restoration
- G06T5/40—Image enhancement or restoration using histogram techniqu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10—Image acquisition modality
- G06T2207/10016—Video; Image sequence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20—Special algorithmic details
- G06T2207/20048—Transform domain processing
- G06T2207/20052—Discrete cosine transform [DC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acsimile Image Signal Circuits (AREA)
- Compression Of Band Width Or Redundancy In Fax (AREA)
- Image Analysis (AREA)
Abstract
Description
Claims (7)
- 압축된 영상 데이터의 컬러 정보(Cr, Cb 성분)와 밝기 정보(Y 성분)를 이용하여 색상, 밝기, 에지 히스토그램을 생성하는 방법에 있어서,상기 압축된 영상의 매크로 블록을 수퍼 픽셀의 단위로 설정하고, 하나의 수퍼 픽셀을 형성하는 4개의 DCT 블록의 밝기 DC값을 구하는 제1단계와;상기 4개의 DCT 밝기 DC값을 이용하여 상기 수퍼 픽셀 내에 에지가 존재하는 지를 판정하여, 에지 히스토그램의 해당 에지 성분을 증가시키는 제2단계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히스토그램 생성 방법.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제2단계에서 상기 수퍼 픽셀 내에 에지가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수퍼 픽셀의 색상과 밝기를 판별하여, 유채색이면 색상 히스토그램의 해당 색상 성분을 증가시키고, 무채색이면 색상 히스토그램과 밝기 히스토그램의 해당 색상 성분과 밝기 성분을 증가시키는 제3단계를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히스토그램 생성 방법.
- 압축된 영상 데이터의 컬러 정보(Cr, Cb 성분)와 밝기 정보(Y 성분)를 이용하여 색상, 밝기, 에지 히스토그램을 생성하는 방법에 있어서,상기 히스토그램의 빈 사이의 거리에 따른 선형적인 가중치를 적용하여 상기 색상, 밝기 히스토그램의 각 빈을 카운트함으로써, 빈과 빈 사이에서 발생하는 양자화 오차를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히스토그램 생성 방법.
- 제3항에 있어서,입력 영상의 색차(Cr, Cb) 정보를 이용하여 의사 색조(ph)값과 포화도(의사 색농도:ps)값을 구하는 제1단계와,상기 포화도값을 이용하여 상기 입력 영상을 무채색과 유채색으로 구분하는 제2단계,상기 의사 색조값 및 포화도값을 이용하여 색상 빈과 빈 사이의 선형 가중치(α)와, 무채색과 유채색 빈 사이의 선형 가중치(β)를 구하는 제3단계,상기 제2단계에서 입력 영상이 유채색으로 구분되면, 상기 색상 빈과 빈 사이의 선형 가중치(α)를 이용하여 해당 색상 히스토그램의 증가분을 계산하는 제4단계, 및상기 제2단계에서 입력 영상이 무채색으로 구분되면, 상기 색상 빈과 빈 사이의 선형 가중치(α)와 무채색과 유채색 빈 사이의 선형 가중치(β)를 이용하여 해당 색상 히스토그램의 증가분 및 밝기 히스토그램의 증가분을 계산하는 제5단계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히스토그램 생성 방법.
- 압축된 영상 데이터의 컬러 정보(Cr, Cb 성분)와 밝기 정보(Y 성분)를 이용하여 색상, 밝기, 에지 히스토그램을 생성하는 방법에 있어서,상기 압축된 영상에서 매크로 블록을 수퍼 픽셀의 단위로 설정하여, 하나의 수퍼 픽셀을 형성하는 4개의 밝기(Y) DCT 블록의 DC값을 추출하는 제1단계와,상기 수퍼 픽셀을 형성하는 각 DCT 블록의 밝기 DC값을 이용하여 에지가 존재하는 지를 판정하는 제2단계,상기 제2단계의 판단 결과, 수퍼 픽셀 내에 에지가 존재하면 해당되는 에지 패턴에 대한 히스토그램 성분을 증가시키는 제3단계,상기 제2단계의 판단 결과, 수퍼 픽셀 내에 에지가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수퍼 픽셀이 유채색 또는 무채색인지를 판별하는 제4단계,상기 제4단계에서 입력 영상이 유채색으로 판별되면, 각 빈과 빈 사이의 거리에 따른 선형적인 가중치를 적용하여 색상 히스토그램의 해당 색상 성분을 증가시키는 제5단계, 및상기 제4단계에서 입력 영상이 무채색으로 판별되면, 각 빈과 빈 사이의 거리에 따른 선형적인 가중치를 적용하여 색상 및 밝기 히스토그램의 해당 색상 성분 및 밝기 성분을 증가시키는 제6단계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히스토그램 생성 방법.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5단계 및 제6단계에서,하나의 수퍼 픽셀에 해당되는 색상 히스토그램 및 밝기 히스토그램의 증가분의 합은 '1'로 정규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히스토그램 생성 방법.
- 압축된 영상 데이터 비트열로부터 정규화된 히스토그램을 생성하는 방법을 실행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있어서,상기 압축된 영상에서 매크로 블록을 수퍼 픽셀의 단위로 설정하여, 하나의 수퍼 픽셀을 형성하는 4개의 밝기(Y) DCT 블록의 DC값을 추출하는 제1단계와,상기 수퍼 픽셀을 형성하는 각 DCT 블록의 밝기 DC값을 이용하여 에지가 존재하는 지를 판정하는 제2단계,상기 제2단계의 판단 결과, 수퍼 픽셀 내에 에지가 존재하면 해당되는 에지 패턴에 대한 히스토그램 성분을 증가시키는 제3단계,상기 제2단계의 판단 결과, 수퍼 픽셀 내에 에지가 존재하지 않으면 입력 영상의 색차(Cr, Cb) 정보를 이용하여 의사 색조(ph)값과 포화도(의사 색농도:ps)값을 구하는 제4단계,상기 포화도값을 이용하여 상기 입력 영상을 무채색과 유채색으로 구분하는 제5단계,상기 의사 색조값 및 포화도값을 이용하여 색상 빈과 빈 사이의 선형 가중치(α)와, 무채색과 유채색 빈 사이의 선형 가중치(β)를 구하는 제6단계,상기 제5단계에서 입력 영상이 유채색으로 구분되면, 상기 색상 빈과 빈 사이의 선형 가중치(α)를 통해 해당 색상 히스토그램의 증가분을 계산하여 증가시키는 제7단계, 및상기 제5단계에서 입력 영상이 무채색으로 구분되면, 상기 색상 빈과 빈 사이의 선형 가중치(α)와 무채색과 유채색 빈 사이의 선형 가중치(β)를 통해 해당 색상 히스토그램의 증가분 및 밝기 히스토그램의 증가분을 계산하여 증가시키는 제8단계를 실행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90008383A KR100314654B1 (ko) | 1999-03-12 | 1999-03-12 | 수퍼 픽셀과 선형 양자화를 이용한 복합 히스토그램 생성 방법 |
US09/493,841 US6807298B1 (en) | 1999-03-12 | 2000-01-28 | Method for generating a block-based image histogram |
US10/881,807 US7106900B2 (en) | 1999-03-12 | 2004-06-30 | Method for generating a block-based image histogram |
US11/350,626 US7697754B2 (en) | 1999-03-12 | 2006-02-08 | Method for generating a block-based image histogram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90008383A KR100314654B1 (ko) | 1999-03-12 | 1999-03-12 | 수퍼 픽셀과 선형 양자화를 이용한 복합 히스토그램 생성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00060248A KR20000060248A (ko) | 2000-10-16 |
KR100314654B1 true KR100314654B1 (ko) | 2001-11-15 |
Family
ID=195764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90008383A KR100314654B1 (ko) | 1999-03-12 | 1999-03-12 | 수퍼 픽셀과 선형 양자화를 이용한 복합 히스토그램 생성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314654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09178B1 (ko) * | 2000-03-13 | 2006-08-02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칼라 왜곡 정보를 이용한 내용기반 멀티미디어 데이터 검색 방법 |
KR100375222B1 (ko) * | 2000-07-19 | 2003-03-08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스케일러블 칼라 히스토그램 엔코딩 방법 |
KR100730770B1 (ko) * | 2005-08-19 | 2007-06-20 | 엠텍비젼 주식회사 | 에지 성분을 이용한 양자화 계수 조정에 의한 화상 데이터압축 장치 및 그 방법과 이를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기록한 기록매체 |
-
1999
- 1999-03-12 KR KR1019990008383A patent/KR100314654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00060248A (ko) | 2000-10-1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807298B1 (en) | Method for generating a block-based image histogram | |
JP4071701B2 (ja) | カラー画像の圧縮方法及びカラー画像圧縮装置 | |
EP1233374B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extracting objects based on feature matching between segmented regions in images | |
EP1038269B1 (en) | A histogram method for characterizing video content | |
JP2003228712A (ja) | イメージからテキスト状のピクセルを識別する方法 | |
US6721447B1 (en) | Representative color designating method using reliability | |
KR20010033552A (ko) | 비디오 시퀀스의 변환 검출 | |
CN102521606B (zh) | 一种对jpeg图像的像素块分类方法及基于此的图像篡改检测和被篡改区域定位方法 | |
KR100314654B1 (ko) | 수퍼 픽셀과 선형 양자화를 이용한 복합 히스토그램 생성 방법 | |
JPH1166301A (ja) | カラー画像分類方法及び装置及びこの方法を記録した記録媒体 | |
Antonacopoulos et al. | An anthropocentric approach to text extraction from WWW images | |
JP4035456B2 (ja) | 画像圧縮方法、画像圧縮装置 | |
US8472716B2 (en) | Block-based noise detection and reduction method with pixel level classification granularity | |
KR100369370B1 (ko) | 블록기반 영상 히스토그램 생성 방법 | |
US5204738A (en) | Method of an apparatus for compressing images data | |
Nirmalkar et al. | A review of image forgery techniques and their detection | |
CN108053452B (zh) | 一种基于混合模型的数字图像色彩提取方法 | |
Karatzas et al. | Two approaches for text segmentation in web images | |
Antonacopoulos et al. | Fuzzy segmentation of characters in web images based on human colour perception | |
Antonacopoulos et al. | Text extraction from web images based on human perception and fuzzy inference | |
US7324704B2 (en) | Method of repairing scratches in digital images | |
JPH10200777A (ja) |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媒体 | |
US6937253B2 (en) | Method for determining color space of an image | |
AU2007249099B2 (en) | Block-based noise detection and reduction method with pixel level classification granularity | |
KR100730770B1 (ko) | 에지 성분을 이용한 양자화 계수 조정에 의한 화상 데이터압축 장치 및 그 방법과 이를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기록한 기록매체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90312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012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1073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1103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1110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4100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5100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6100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7091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8100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9100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01001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1007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1011 Year of fee payment: 1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1011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923 Year of fee payment: 13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923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926 Year of fee payment: 1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926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609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