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14606B1 - 무기의 총열 크리너 - Google Patents

무기의 총열 크리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14606B1
KR100314606B1 KR1019990017493A KR19990017493A KR100314606B1 KR 100314606 B1 KR100314606 B1 KR 100314606B1 KR 1019990017493 A KR1019990017493 A KR 1019990017493A KR 19990017493 A KR19990017493 A KR 19990017493A KR 100314606 B1 KR100314606 B1 KR 1003146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g
barrel
nonwoven
fixing member
clea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174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73907A (ko
Inventor
송화웅
이연택
박효선
Original Assignee
송화웅
대한동방 주식회사
박효선
이연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화웅, 대한동방 주식회사, 박효선, 이연택 filed Critical 송화웅
Priority to KR10199900174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14606B1/ko
Publication of KR200000739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739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46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4606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A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COMMON TO BOTH SMALLARMS AND ORDNANCE, e.g. CANNONS; MOUNTINGS FOR SMALLARMS OR ORDNANCE
    • F41A29/00Cleaning or lubricating arrangements
    • F41A29/02Scrapers or cleaning ro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2209/00Details of machines or methods for cleaning hollow articles
    • B08B2209/02Details of apparatuses or methods for cleaning pipes or tubes
    • B08B2209/027Details of apparatuses or methods for cleaning pipes or tubes for 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9/00Cleaning hollow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9/02Cleaning pipes or tubes or systems of pipes or tubes
    • B08B9/027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기의 총열 크리너에 관한 것으로서, 자루막대(11)와, 상기 자루막대(11)의 단부면에 길이방향으로 결합된 고정부재(13)와, 상기 고정부재의 외주면에 끼워져 결합된 다수의 강모링(15)와, 상기 강모링에서 자루막대측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상기 고정부재의 외주면에 끼워진 다수의 제1부직포링(17)와, 상기 제1부직포링의 사이 사이에 상기 제1부직포링보다 작은 외경으로 형성되어 끼워진 다수의 제2부직포링(19)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대포나 소총등의 무기의 총열 내부를 말끔히 청소할 뿐만 아니라 청소를 단시간에 쉽게 할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무기의 총열 크리너{barrel cleaner for firearms}
본 발명의 무기의 총열 크리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포나 소총등의 무기의 앞측에는 포탄이나 총알을 안내하도록 포신 또는 총열(이하, 포신과 총열을 '총열'이라 한다.)이 결합되어 있다. 포탄이나 총알은 화약의 폭발력에 의해 상기 총열의 내부를 지나 안내된 후 날아 가므로, 발포후에는 총열의 내주면에는 화약등의 오염물이 부착하게 된다.
이러한 오염물을 장기간 내버려 두면 무기의 수명을 단축시키게 되므로, 반드시 총열의 내부를 청소하게 되는데, 종래 군대에서는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은 크리너로 총열의 내부를 청소하고 있었다.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크리너는 긴 자루막대(1)의 단부에 구멍(1a)를 내고, 상기 구멍(1a)에 소정길이로 된 다수의 헝겁조각(3)의 끼운 구조로 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크리너는 그 자루막대(1)를 잡고, 헝겁조각(3)을 총열 내부로 밀어넣고 왕복운동시킴으로써, 총열의 내부에 묻은 오염물을 제거하게 된다.
그런데,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무기의 총열 크리너에 의하면, 헝겁조각에 묻은 오염물이 총열의 내부면을 따라 왕복운동하므로 총열의 내부에 오염물이 남아있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총열의 내부는 나선상의 홈이 파여 있으므로 그 골에 오염물이 남아 있게 돤다.
또한, 헝겁조각은 오염물에 의해 쉽게 오염되므로, 헝겁조각을 자주 갈아주어야 하며, 수입(크리너의 왕복운동)하는 도중에 헝겁조각이 구멍(1a)에서 빠지게 되는 문제점도 있으며, 장시간 수입하여야 하므로 총열을 청소하기가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대포나 소총등의 무기의 총열 내부를 말끔히 청소할 뿐만 아니라 청소를 단시간에 쉽게 할수 있는 무기의 총열 크리너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1은 종래 무기의 총열 크리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2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무기의 총열 크리너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3은 도2의 총열 크리너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4는 본 발명에 의한 무기의 총열 크리너의 강모링의 가장자리부(A부)를 나타내는 상세도,
도5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무기의 총열 크리너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무기의 총열 크리너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7은 도6의 단부 브러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자루막대 13 : 고정부재
15 : 강모링 17 : 제1부직포링
19 : 제2부직포링 21 : 와셔
23 : 핀볼트 27 : 단부 브러쉬
31,41 : 링 33, 43 : 브러쉬사
35, 45 : 바인딩부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이루어진 본 발명에 의한 무기의 총열 크리너는 자루막대와, 상기 자루막대의 단부면에 길이방향으로 결합된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의 외주면에 끼워져 결합된 다수의 강모링와, 상기 강모링에서 자루막대측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상기 고정부재의 외주면에 끼워진 다수의 제1부직포링와, 상기 제1부직포링의 사이 사이에 상기 제1부직포링보다 작은 외경으로 형성되어 끼워진 다수의 제2부직포링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부직포링의 단부는 자루막대의 길이방향으로 구부려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부재는 핀볼트에 의해 상기 자루막대와 고정되어 있을 수도 있다.
상기 강모링과 상기 고정부재의 머리부사이에는 자루막대의 길이방향으로 향하는 브러쉬사가 구비된 단부 브러쉬가 결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2 및 도3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무기의 총열 크리너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및 분해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대체로 원통형의 긴 봉으로 된 자루막대(11)의 단부에는 고정부재(13)가 나사결합되어 있고, 상기 고정부재(13)의 머리부측 외주면에는 브러쉬를 갖춘 다수의 강모링(15)이 끼워져 있고, 상기 강모링(15)에서 상기 자루막대측 방향으로 상기 고정부재(13)의 외주면에는 제1부직포링(17)이 소정의 간격을 두고 끼워져 있고, 상기 제1부직포링(17)의 사이 사이에는 다수의 제2부직포링(19)이 끼워져 있다.
상기 자루막대(11)의 상기 고정부재(13)가 결합되는 측에는 걸림턱(11a)이 형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상기 고정부재(13)가 결합되는 암나사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걸림턱(11a)이 형성된 반대측에는 사용자가 손으로 용이하게 잡도록 손잡이부(11b)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손잡이부(11b)에는 사용자의 손에서 미끄러지지 않도록 다수의 돌기가 오돌토돌하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걸림턱(11a)에는 가장 바깥측에 결합된 제2부직포링(19)을 구속하도록 와셔(21)가 끼워져 있다.
상기 고정부재(13)는 머리부(13a)와, 상기 강모링과 제1, 제2부직포링이 끼워지는 링삽입부(13b)와, 상기 자루막대의 암나사부에 결합되는 나사부(13c)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머리부(13a)에는 드라이버로 나사결합을 용이하게 하도록 십자홈 또는 일자홈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강모링(15)은 도4에 그 가장자리 일부를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재(13)에 끼워지는 원판형의 링(31)과, 상기 링(31)의 가장자리를 따라 결합된 브러쉬사(33)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링(31)에는 그 가장자리를 따라 원을 그리며 소정의 간격을 두고 구멍(31a)이 형성되고, 상기 구멍(31a)에는 다수의 상기 부러쉬사(33)가 U형으로 끼워져 바인딩(binding)부재(35)에 의해 묶여져 있다. 상기 링(31)은 스테인레스 강재로 되어 있고, 상기 브러쉬사(33)는 나일론에 탄화규소를 혼합하여 압출가공으로 제조된 사(絲)로 되어 있다.
상기 제1부직포링(17)은 면과 나일론을 거의 동일한 비율로 하여 혼합하여 제조한 링으로서, 상기 강모링(15)의 외경보다 다소 큰 외경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총열의 내면에는 상기 제1부직포링(17)이 변형하여 밀착하게 된다.
총열의 내부청소를 용이하게 하도록 상기 제1부직포링(17)과 강모링(15)의 외경은 총열의 내경보다 크게 되어 있다.
상기 제2부직포링(19)은 나일론, 면, 폴리에스터등을 혼합한 일반적인 부직포로 제조한 링으로서, 상기 강모링(15) 및 제1부직포링(17)의 외경보다 작게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각 제1부직포링(17)의 사이에는 공간(S)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강모링(15)와 제2부직포링(19)은 다수개씩 하나의 묶음으로 끼워져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무기의 총열 크리너의 자루막대(11)를 잡고 고정부재측을 총열의 내부로 밀어 넣어 수입하게 되면, 강모링(15)의 브러쉬사(33)와 제1부직포링(17)에 의해 총열의 내부에 부착된 오염물이 닦여지게 되는데, 이때, 오염물은 각 제1부직포링(17)사이의 공간(S)에 모이게 된다.
이러한 청소과정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즉, 상기 강모링(15)의 브러쉬사(33)가 먼저 총열의 내부에 부착된 오염물을 이탈시키고, 이탈된 오염물은 상게 제1부직포링(17)에 의해 닦여지고, 제1부직포링(17)에 묻은 오염물은 수입중에 상기 공간(S)에 모이게 되어, 이탈된 오염물이 다시 총열에 밀착하는 일이 없게 되므로, 청소가 깨끗이 용이하게 되고 청소시간이 획기적으로 감소한다.
수입이 끝나면, 크리너의 고정부재측을 털어서 상기 공간(S)에 모인 오염물을 제거한다.
도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무기의 총열 크리너는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상기 제2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부직포링(17')의 단부는 자루막대의 길이방향으로 구부려 있다. 그리고, 고정부재(13')는 자루막대에 나사결합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핀볼트(23)에 의해 자루막대(11')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핀 볼트(23)는 캡너트(25)와 한쌍으로 사용된다. 상기 캡너트(25)는 결합시 핀볼트(23)의 나사선이 외부로 보이지 않게 한다.
상기 제2실시예에 의한 무기의 총열 크리너에 의하면, 제1부직포링(17)의 단부가 구부려 있으므로, 공간(S)에 오염물이 더욱 용이하게 포집되므로 총열청소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고정부재(13')가 핀볼트(23)에 의해 재차 고정되어있으므로, 소총등과 같이 그 내부면에 나사선이 형성된 총열을 수입할 시에 상기 고정부재(13')가 풀리는 염려가 없게 된다.
도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무기의 총열 크리너는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강모링(15')과 상기 고정부재(13')의 머리부사이에는 단부브러쉬(27)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 단부브러쉬(27)는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부재(13')가 끼워지는 구멍(41a)이 그 중간부에 형성되고 그 가장자리를 따라 원을 그리며 소정의 간격을 두고 구멍(41b)이 형성된 원판형의 링(41)과, 인접하는 상기 구멍(41b)에 U형으로 끼워져 바인딩부재(45)에 의해 묶여진 다수의 브러쉬사(43)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상기 브러쉬사(43)는 자루막대의 길이방향으로 향하고 있다.
상기 링(41)은 스테인레스 강재로 되어 있고, 상기 브러쉬사(43)는 나일론에 탄화규소를 혼합하여 압출가공으로 제조된 사(絲)로 되어 있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무기의 총열 크리너는, 상기 단부브러쉬(27)에 의해 이물질을 털면서 왕복운동하므로 총열의 청소가 더욱 효과적으로 이루어 진다.
본 발명에 의한 무기의 총열 크리너에 의하면, 총열의 내부청소를 말끔하게 할 뿐만 아니라 용이하게 하며, 단시간에 청소를 끝낼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자루막대와,
    상기 자루막대의 단부면에 길이방향으로 결합된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의 외주면에 끼워져 결합된 다수의 강모링와,
    상기 강모링에서 자루측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상기 고정부재의 외주면에 끼워진 다수의 제1부직포링와,
    상기 제1부직포링의 사이 사이에 상기 제1부직포링보다 작은 외경으로 형성되어 끼워진 다수의 제2부직포링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기의 총열 크리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직포링의 단부는 상기 자루막대의 길이방향으로 구부려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기의 총열 크리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강모링과 상기 고정부재의 머리부사이에는 자루막대의 길이방향으로 향하는 브러쉬가 구비된 단부 브러쉬가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기의 총열 크리너.
KR1019990017493A 1999-05-15 1999-05-15 무기의 총열 크리너 KR1003146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7493A KR100314606B1 (ko) 1999-05-15 1999-05-15 무기의 총열 크리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7493A KR100314606B1 (ko) 1999-05-15 1999-05-15 무기의 총열 크리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73907A KR20000073907A (ko) 2000-12-05
KR100314606B1 true KR100314606B1 (ko) 2001-11-15

Family

ID=195857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17493A KR100314606B1 (ko) 1999-05-15 1999-05-15 무기의 총열 크리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14606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73907A (ko) 2000-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57871A (en) Brush for cleaning the bore of a gun barrel
US5337505A (en) Tool kit for cleaning firearms
AU723977B2 (en) Gun barrel and tube cleaning device
CA2832435C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leaning the barrel of a firearm
US4901465A (en) Rifle gun barrel cleaner
US4674218A (en) Interchangeable gun cleaning devices
US4930240A (en) Gun barrel cleaning device
US9995555B2 (en) Firearm barrel cleaning jag and apparatus using same
US6701658B1 (en) Multiple device gun barrel cleaning tool
US9134087B2 (en) Gun bore cleaning device
US4503578A (en) Brush assembly apparatus for cleaning cannons
WO2007046856A2 (en) Configurable firearm barrel cleaning device and kit
US20220146228A1 (en) Firearm cleaning device
US5038509A (en) Combination magazine receiver magazine and bore gun brush
US20190137209A1 (en) Gun Bore Cleaner
KR20150009971A (ko) 무기의 보어를 클리닝하기 위한 범용 패치 조립체
US6691446B2 (en) Rifle barrel cleaning, retrieval tool
US3602935A (en) Firearms-cleaning tool
KR100314606B1 (ko) 무기의 총열 크리너
US20210190454A1 (en) Firearm cleaning device
US3765045A (en) Fire arms cleaning tool
RU99136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чистки ствола оружия (варианты)
US2637865A (en) Tube cleaning tool
US20230288166A1 (en) Firearm cleaning device
US20120272559A1 (en) Patch and device for cleaning firear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91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