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12586B1 - 에어컨 실내기용 하우징 조립체 - Google Patents

에어컨 실내기용 하우징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12586B1
KR100312586B1 KR1019990050717A KR19990050717A KR100312586B1 KR 100312586 B1 KR100312586 B1 KR 100312586B1 KR 1019990050717 A KR1019990050717 A KR 1019990050717A KR 19990050717 A KR19990050717 A KR 19990050717A KR 100312586 B1 KR100312586 B1 KR 1003125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door unit
air conditioner
conditioner indoor
housing assembly
f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507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46813A (ko
Inventor
김준우
Original Assignee
황한규
만도공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한규, 만도공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황한규
Priority to KR10199900507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12586B1/ko
Publication of KR200100468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468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25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2586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8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4Means for preventing or suppressing noi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5Mounting a ventilator fan there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Conditioning Room Units, And Self-Contained Units In General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우징의 내부에 블로어 가이드를 설치하여 에어컨 실내기의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는 에어컨 실내기용 하우징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러한 본 발명의 에어컨 실내기용 하우징 조립체는 에어컨 실내기의 하우징(1)의 내부 쪽으로 흡입공기를 유동시키는 팬(2)과, 이런 팬(2)을 구동시키는 모터(3)와, 공기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는 벨 마우스(4)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에어컨 실내기용 하우징 조립체는 상기 벨 마우스(4)와 간격을 유지하면서, 흡입구(5) 쪽의 상기 하우징(1)의 내면에 고정된 블로어 가이드(10)를 포함하며, 상기 블로어 가이드(10)는 중공형 원반의 테두리(11)의 내경에서 수직하게 원형벽(12)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상기 블로어 가이드(10)의 원형벽(12)의 높이(h)는 상기 팬(2)의 평균 블레이드 폭 길이(c)의 1/2 정도이며, 상기 블로어 가이드(10)의 내경의 크기는 팬(2)의 외경을 기준으로 틈새(b) 3.0㎜ ∼ 15.0㎜의 범위를 갖는다.
이런 본 발명의 에어컨 실내기용 하우징 조립체는 블로어 가이드를 장착하여 상대적으로 매우 작은 소음을 발생시키므로써, 에어컨 실내기의 소음 문제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에어컨 실내기용 하우징 조립체{A housing assembly for indoor unit of air-conditioner}
본 발명은 에어컨 실내기용 하우징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팬 블로어 하우징 조립체(fan & blower housing assembly)에서 발생하는 공기 유동학적 소음을 저감하는 에어컨 실내기용 하우징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에어컨은 공기조화장치의 일종으로서, 액냉매가 증발할 때에 주위 공기와 열교환되고, 이를 냉각시키는 작용을 이용하여 실내 공간을 냉방시키는 냉방장치이다. 이런 냉방장치는 냉방작용 이외에도 제습작용을 함께 수행한다.
이런 에어컨은 산업용과 업소용 및 일반 가정용과 같이 사용장소에 따라 여러 가지 종류로 나눌 수 있다. 영업점이나 일반가정의 거실에 주로 설치하는 분리형 에어컨은 실외기와 실내기로 구분되어 있다. 여기에서, 실외기는 냉매를 압축시키는 압축기와 이를 응축시키는 응축기에 해당되는 것으로서, 소음 및 열방출로 인하여 건물의 옥상이나 건물 외벽에 설치하게 된다. 그리고, 실내기는 응축기에서 보내진 냉매를 증발시켜 실내로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이런 역할을 하는 실내기는 캐비닛의 내부에 응축기와, 증발기 및, 블로어 하우징 조립체를 장착하고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른 에어컨 실내기용 하우징 조립체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기의 블로어 하우징 조립체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하우징(1)과, 팬(2)과, 모터(3) 및, 벨 마우스(4)로 구성되어 있다.
먼저, 하우징(1)은 상자형상으로 형성되어서, 외부의 공기를 흡입시킬 수 있는 흡입구(5)와, 토출구(6)를 형성하고 있다. 이런 하우징(1)의 내부에 장착되는 모터(3)는 상기 팬(2)과 축결합되어서, 팬(2)을 소정속도로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렇게 회전하는 팬(2)은 흡입구(5)를 통하여 외부의 공기를 하우징(1)의 내부로 흡입하고, 팬(2)을 통과한 공기를 토출구(6)에서 정압 상승을 하게 한 후 토출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벨 마우스(4)는 흡입구(5)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를 팬(2) 쪽으로 부드럽게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종래의 에어컨 실내기용 하우징 조립체는 팬과 벨 마우스의 사이에 일정한 크기의 틈을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이 틈을 통과하는 공기의 흐름에 의한 소음을 발생시키는 단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본 발명의 목적은 하우징의 내부에 블로어 가이드를 설치하여 에어컨 실내기의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는 개량된 에어컨 실내기용 하우징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에어컨 실내기용 하우징 조립체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에어컨 실내기용 하우징 조립체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에어컨 실내기용 하우징 조립체의 중요부위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에어컨 실내기용 하우징 조립체의 형상을 비교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에어컨 실내기용 하우징 조립체의 작동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하우징 2 : 팬
3 : 모터 4 : 벨 마우스
5 : 흡입구 10 : 블로어 가이드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에어컨 실내기의 하우징의 내부 쪽으로 흡입공기를 유동시키는 팬과, 상기 팬을 구동시키는 모터와, 공기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는 벨마우스를 구비한 에어컨 실내기용 하우징 조립체에 있어서, 벨 마우스와 간격을 유지하면서, 흡입구 쪽의 하우징의 내면에 고정된 블로어 가이드를 포함하며, 블로어 가이드는 중공형 원반의 테두리의 내경에서 수직하게 원형벽을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 실내기용 하우징 조립체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블로어 가이드의 원형벽의 높이는 상기 팬의 평균 블레이드 폭 길이의 1/2 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블로어 가이드의 내경의 크기는 팬의 외경을 기준으로 틈새 3.0㎜ ∼ 15.0㎜의 범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한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에어컨 실내기용 하우징 조립체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본 발명의 에어컨 실내기용 하우징 조립체는 블로어 가이드를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하고 있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본질적으로 종래 기술의 구성요소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그러므로, 도 1 내지 도 5에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도면부호가 부여될 것이며, 이것들에 대한 설명은 여기에서 생략될 것이다.
도면에서,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에어컨 실내기용 하우징 조립체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에어컨 실내기용 하우징 조립체의 중요부위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에어컨 실내기용 하우징 조립체의 형상을 비교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에어컨 실내기용 하우징 조립체의 작동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2에 보이듯이, 본 발명의 에어컨 실내기용 하우징 조립체는 블로어 가이드(10)를 하우징(1)의 내부에 장착하고 있는 것으로서, 흡입공기를 유동시키는 팬(2)과, 이런 팬(2)을 구동시키는 모터(3)와, 공기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는 벨 마우스(4)를 구비하고 있다.
그러한 본 발명의 에어컨 실내기용 하우징 조립체에서 블로어 가이드(10)는 'ㄴ'자 단면을 갖는 원형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런 블로어 가이드(10)는 흡입구(5) 쪽의 하우징(1)의 내면에서 벨 마우스(4)와 간격을 유지하게 고정되어 있다.
아래에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블로어 가이드(10)의 형상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겠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로어 가이드(10)는 중공형 원반의 테두리(11)의 내경에서 수직하게 원형벽(12)을 형성하고 있다. 이런 블로어 가이드(10)의 원형벽(12)은 본 발명의 에어컨 실내기의 하우징 조립체의 내부로 흡입공기가 들어올 경우, 팬과 벨 마우스의 사이에 형성된 일정한 크기의 틈을 통해 흡입공기가 빠져나가는 것을 막는 역할을 한다.
이런 역할을 하는 블로어 가이드(10)는 팬(2)에서 발생하는 진동에도 흔들림이 거의 없는 두께로 형성되어 있다. 그러한 블로어 가이드(10)에서 원형벽(12)의 높이(h)는 도 4에 보이는 바와 같이, 팬(2)의 평균 블레이드 폭 길이(c)의 1/2 정도이다.
또한, 블로어 가이드(10)의 내경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팬(2)의 외경을 기준으로 최적의 틈새(b) 3.0㎜ ∼ 15.0㎜의 범위를 갖는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이렇게 형성된 블로어 가이드(10)를 장착한 본 발명의 에어컨 실내기용 하우징 조립체는 흡입구의 벨 마우스를 통과하는 흡입 공기를 원활하게 유도하므로써, 풍량을 상대적으로 증가시키고, 이와 반면 진동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런 본 발명의 에어컨 실내기용 하우징 조립체의 작동성능을 아래의 표 1에 나타내었다.
분류 시 료 조 건 작동성능 테스트 결과
에어컨 실내기 용량 블로어 가이드직경 팬과 블로어 가이드의 틈새 풍량(CMM) 회전수(RPM) 소음(dB[A])
종래기술 3HP 없음 없음 16.76 713 50.9
본 발 명 3HP 318㎜ 5.0㎜ 16.82 706 50.0
표 1에서 비교 분석한 결과, 본 발명의 에어컨 실내기용 하우징 조립체를 장착한 에어컨 실내기는 회전수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은 풍량과, 상대적으로 적은 소음을 발생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도 5에 도시된 에어컨 실내기 작동성능 테스트 결과에서는 점선으로 나타낸 본 발명의 에어컨 실내기용 하우징 조립체를 장착한 에어컨 실내기가 각각의 주파수 대에서 적은 소음을 발생시키는 것을 알 수 있다.
앞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에어컨 실내기용 하우징 조립체는블로어 가이드를 장착하여 상대적으로 매우 작은 소음을 발생시키므로써, 에어컨 실내기의 소음 문제를 최소화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에어컨 실내기용 하우징 조립체는 상대적으로 매우 적은 팬 회전수에 비해 많은 풍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에어컨 실내기용 하우징 조립체는 저소음의 실내기를 구현할 수 있기 때문에, 에어컨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에어컨 실내기용 하우징 조립체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Claims (3)

  1. 에어컨 실내기의 하우징(1)의 내부 쪽으로 흡입공기를 유동시키는 팬(2)과, 이런 팬(2)을 구동시키는 모터(3)와, 공기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는 벨 마우스(4)를 구비한 에어컨 실내기용 하우징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벨 마우스(4)와 간격을 유지하면서, 흡입구(5) 쪽의 상기 하우징(1)의 내면에 고정된 블로어 가이드(10)를 포함하며,
    상기 블로어 가이드(10)는 중공형 원반의 테두리(11)의 내경에서 수직하게 원형벽(12)을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 실내기용 하우징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로어 가이드(10)의 원형벽(12)의 높이(h)는 상기 팬(2)의 평균 블레이드 폭 길이(c)의 1/2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 실내기용 하우징 조립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로어 가이드(10)의 내경의 크기는 팬(2)의 외경을 기준으로 틈새(b) 3.0㎜ ∼ 15.0㎜의 범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 실내기용 하우징 조립체.
KR1019990050717A 1999-11-15 1999-11-15 에어컨 실내기용 하우징 조립체 KR1003125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0717A KR100312586B1 (ko) 1999-11-15 1999-11-15 에어컨 실내기용 하우징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0717A KR100312586B1 (ko) 1999-11-15 1999-11-15 에어컨 실내기용 하우징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6813A KR20010046813A (ko) 2001-06-15
KR100312586B1 true KR100312586B1 (ko) 2001-11-05

Family

ID=196202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0717A KR100312586B1 (ko) 1999-11-15 1999-11-15 에어컨 실내기용 하우징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12586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6813A (ko) 2001-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99823B1 (ko) 창문형공기조화기의덕트
KR100312586B1 (ko) 에어컨 실내기용 하우징 조립체
KR100468468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1419941B1 (ko) 천장형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KR100784841B1 (ko) 투인원 초슬림 공기조화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200178057Y1 (ko) 개량된 에어컨 실내기용 하우징 조립체
KR20200114497A (ko) 일체형 공기조화기
KR100455203B1 (ko) 일체형 에어컨
KR100925585B1 (ko) 액자형 공기조화기용 실내기
KR100556436B1 (ko) 패키지 에어컨의 실내기
JPH11287474A (ja) 窓型エアコンのファンケ―シング
KR100382522B1 (ko) 공기조화기의 컨버터블형 실내기
KR100789817B1 (ko) 공기조화기용 원심팬
KR101468739B1 (ko) 공기 조화기 및 공기 조화기의 팬 어셈블리
KR100677517B1 (ko) 공기 조화기
KR100432692B1 (ko) 필터장착이 용이한 에어컨의 다방면 흡입판넬 구조
KR200231321Y1 (ko) 분리형에어컨의풍량조절용스태빌라이저
KR200340246Y1 (ko) 에어컨용블레이드고정장치
KR200228662Y1 (ko) 공조기기
KR200306893Y1 (ko) 원통형 에어컨
KR100443926B1 (ko) 패키지 에어컨 실내기의 송풍기 조립체
KR100444923B1 (ko) 공기조화기
KR20000065578A (ko) 에어컨디셔너의 흡음 오리피스
KR101419943B1 (ko) 공기 조화기 및 공기 조화기의 팬 어셈블리
KR200201608Y1 (ko)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1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7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