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12403B1 - Predistorter for the Linear Output Character of a Power Amplifier - Google Patents

Predistorter for the Linear Output Character of a Power Amplifi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12403B1
KR100312403B1 KR1019990006500A KR19990006500A KR100312403B1 KR 100312403 B1 KR100312403 B1 KR 100312403B1 KR 1019990006500 A KR1019990006500 A KR 1019990006500A KR 19990006500 A KR19990006500 A KR 19990006500A KR 100312403 B1 KR100312403 B1 KR 1003124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unit
distortion
power amplifier
ph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0650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00056815A (en
Inventor
이승학
Original Assignee
이승학
주식회사 엘티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학, 주식회사 엘티아이 filed Critical 이승학
Priority to KR10199900065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12403B1/en
Publication of KR200000568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5681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24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2403B1/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1/00Details of 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nly semiconductor devices or only unspecified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1/32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educe non-linear distortion
    • H03F1/3241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educe non-linear distortion using predistortion circui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mplifi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력증폭기용 전단왜곡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전력증폭기의 증폭과정에서 발생되는 3차 혼변조 성분뿐만 아니라 3차 이외의 고차 혼변조 성분까지 총괄적으로 상쇄시킬 수 있도록 한 전력증폭기의 선형화를 위한 전단왜곡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ear amplifier for a power amplifier, and more particularly, a power amplifier capable of totally canceling not only the third-order intermodulation components generated in the amplification process of the power amplifier but also the third-order intermodulation components other than the third order. Its purpose is to provide a shearing strainer for the linearization of.

본 발명은, 전력증폭기용 전단왜곡기에 있어서: 입력신호를 제 1, 제 2 신호(S1)(S2)로 분할 출력시키는 메인 분할부(10); 메인 분할부(10)의 제 2 신호 출력단에 연결되고, 전력증폭기의 최종단 능동소자와 동종인 능동소자를 구비하며, 상기 제 2 신호(S2)가 상기 동종인 능동소자를 통과하도록 하여 발생되는 비직선 왜곡신호(SN1)만을 추출하여 출력시키는 왜곡신호 발생수단(30); 메인 분할부(10)의 제 1 신호 출력단에 연결되며, 상기 비직선 왜곡신호(SN1)와 제 1 신호(S1)가, 상호 역위상을 갖도록 제 1 신호(S1)의 위상을 변환시키는 위상변환수단(20); 그리고, 상기 위상변환수단(20)으로부터 출력되는 제 1 신호(S1)와 상기 왜곡신호 발생수단(30)으로부터 출력되는 비직선 왜곡신호(SN1)를 입력받고, 입력된 신호들을 합성하여 출력시키는 메인 혼합부(40);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hear amplifier for a power amplifier comprising: a main divider (10) for splitting and outputting an input signal into first and second signals (S1) and (S2); Non-linear, which is connected to the second signal output terminal of the main divider 10 and has an active element of the same type as the last stage active element of the power amplifier, and the second signal S2 passes through the same active element. Distortion signal generating means (30) for extracting and outputting only the distortion signal (SN1); A phase shifter connected to the first signal output terminal of the main dividing unit 10 and shifting the phase of the first signal S1 so that the nonlinear distortion signal SN1 and the first signal S1 have mutually opposite phases. Means 20; The main signal receiving the first signal S1 output from the phase shifting means 20 and the nonlinear distortion signal SN1 output from the distortion signal generating means 30, synthesizes the input signals, and outputs the main signal. Mixing section 40; Characterized in having a.

Description

전력증폭기의 선형화를 위한 전단왜곡기 { Predistorter for the Linear Output Character of a Power Amplifier }Shear Distortor for Linearizing Power Amplifiers {Predistorter for the Linear Output Character of a Power Amplifier}

본 발명은 전력증폭기용 전단왜곡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전력증폭기의 최종단에 사용된 능동소자와 동종의 능동소자를 이용하여, 전력증폭기의 출력신호에서 발생되는 비직선 왜곡성분의 신호를 발생시키고, 이 비직선 왜곡신호를 증폭하려는 신호와 함께 전력증폭기에 입력시킴으로써, 전력증폭기의 증폭과정에서 발생되는 3차 혼변조 성분뿐만 아니라 3차 이외의 고차 혼변조 성분까지 총괄적으로 상쇄시킬 수 있도록 한 전력증폭기의 선형화를 위한 전단왜곡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ear amplifier for a power amplifier, and more particularly, a signal of a nonlinear distortion component generated in an output signal of a power amplifier by using an active device of the same type as the active device used in the final stage of the power amplifier. By inputting the nonlinear distortion signal to the power amplifier together with the signal to be amplified, it is possible to collectively cancel not only the third-order intermodulation components generated during the amplification process of the power amplifier but also the third-order intermodulation components other than the third orde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ear strainer for linearization of a power amplifier.

일반적으로, 고주파(High Frequency), 무선주파수(Radio Frequency) 및 마이크로파 등의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 전송되는 신호가 교신거리의 자승에 반비례로 감쇄하므로, 먼거리까지 신호를 전달하기 위하여는 상당히 큰 전력의 신호를, 안테나를 통하여 출력해 주어야 한다.In general, in case of transmitting signals such as high frequency, radio frequency, and microwave, the transmitted signal attenuates inversely with the square of the communication distance, so that a large amount of power is required to transmit the signal over a long distance. Signal must be output through the antenna.

그리고, 안테나를 통하여 큰 전력의 신호를 전송하려면, 가능한 한 출력이 큰 전력증폭기가 필요하게 되는데, 상기 전력 증폭기는 증폭율이 클수록 출력된 신호에서 비직선 왜곡성분을 증가시키게 되며, 이러한 비직선 왜곡성분은 신호의 신뢰성을 떨어뜨릴 뿐만 아니라, 경우에 따라서는 신호의 전송이 불가능하게 하는 것이다.In addition, in order to transmit a signal having a large power through an antenna, a power amplifier with a large output is required, and the power amplifier increases the nonlinear distortion component in the output signal as the amplification rate increases. The component not only reduces the reliability of the signal, but also makes it impossible to transmit the signal in some cases.

따라서, 통신 시스템에서 요구하는 비직선 왜곡성분의 규정을 만족시키려면, 시스템이 필요로 하는 출력보다 현저하게 큰 출력을 발생시키는 전력증폭기를 적용하여야 한다. 즉, 대부분의 실제 전력증폭기에서 증폭하여 발생되는 출력은, 전력증폭기에서 출력이 가능한 최대출력에 비해서 현저하게 작은 출력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가능한 최대출력보다 작은 출력이 나오도록 전력증폭기를 동작시키는 것을, 전력증폭기를 파워 백 오프(Power Back 0ff) 하여 동작시킨다고 한다. 이러한 파워 백 오프의 레벨이 크면 클수록, 전송되는 신호의 신뢰성은 높아지나, 전송시스템의 전력증폭기의 크기 및 소모전력이 커지게 되고, 발생되는 열을방열시키기 위한 장치의 구조가 복잡하게 됨으로써, 전체적인 시스템의 구성을 위한 비용이 증대되는 것이다.Therefore, in order to satisfy the requirements of the nonlinear distortion components required by the communication system, a power amplifier that generates an output significantly larger than that required by the system must be applied. That is, the output generated by amplifying most of the actual power amplifiers is configured to generate a significantly smaller output than the maximum output that the power amplifier can output. The operation of the power amplifier such that the output is smaller than the maximum possible output is said to operate by powering off the power amplifier (Power Back 0ff). The greater the level of such power back-off, the higher the reliability of the transmitted signal, the larger the size and power consumption of the power amplifier of the transmission system, and the more complicated the structure of the device to dissipate generated heat. The cost for the construction of the system is increased.

따라서, 전송 시스템에 있어서, 파워 백 오프레벨을 작게 하여도 비직선 왜곡성분이 적은 전력증폭기, 즉, 선형화된 출력특성을 갖는 전력증폭기의 제작이 요구되었다.Therefore, in the transmission system, it is required to manufacture a power amplifier having a low nonlinear distortion component even when the power back off level is small, that is, a power amplifier having linearized output characteristics.

이러한 전력증폭기의 선형화 방식으로는, 전력증폭기에 선형성이 높은 능동소자를 적용하는 방법과, 비직선 왜곡성분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회로설계하는 방법, 그리고, 피드 포워드(feed forward) 방법 등이 있다.The linearization method of the power amplifier includes a method of applying an active element having a high linearity to the power amplifier, a circuit design to minimize nonlinear distortion components, and a feed forward method.

그러나, 선형성이 높은 능동소자는 그 가격이 고가 일 뿐만 아니라, 능동소자의 전력 허용치에도 한계가 있으므로, 비직선 왜곡성분을 최소시킬 수 있는 회로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으며, 비직선 왜곡성분을 최소화시킨 회로설계는 그 회로구성이 복잡하여 제작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상기 피드 포워드방법은, 전력증폭기의 출력에서 발생되는 비직선 왜곡성분과 동일한 왜곡성분을 발생시켜 전력증폭기의 출력 측에서 서로 상쇄되도록 구성한 것으로서, 전력증폭기와 동일한 왜곡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증폭기가 별도로 구성되어야 할뿐만 아니라, 회로 구조가 복잡하고, 회로 조정이 어려워서 사용에 어려운 문제점이 있는 것이었다.However, since active elements with high linearity are not only expensive but also have a limit in power allowance of active elements, there is a need for a circuit capable of minimizing nonlinear distortion components and minimizing nonlinear distortion components. Circuit design has a problem in that the circuit configuration is complicated and difficult to manufacture. The feed forward method is configured to cancel the mutual distortion at the output side of the power amplifier by generating the same distortion components as the nonlinear distortion components generated at the output of the power amplifier, and separately configured an amplifier for generating the same distortion signal as the power amplifier. In addition, the circuit structure was complicated and the circuit adjustment was difficult, which made it difficult to use.

따라서, 근래 전력증폭기에서는, 전단왜곡기(predistorter)를 사용하여 만든 왜곡신호를, 입력신호와 함께 전력증폭기에 입력시킴으로써, 전력증폭기에서 발생되는 비직선 왜곡성분을 상쇄시키도록 하는 방법이 주로 적용되고 있다.Therefore, in the recent power amplifier, a method for canceling the nonlinear distortion component generated in the power amplifier is mainly applied by inputting a distortion signal generated by using a shearing predistorter to the power amplifier together with the input signal. have.

즉, 종래의 전단왜곡기는, 다이오드나 듀얼게이트 MOSFET를 이용하여 3차 혼변조 신호를 발생시키고, 이 3차 혼변조 신호를 증폭하고자 하는 입력신호와 함께 전력증폭기에 입력시킴으로써, 전력증폭기의 출력에서 발생되는 3차 혼변조 신호를 상쇄시키도록 구성된 것이었다. 이는, 전력증폭기의 비직선 왜곡성분중에서 3차 혼변조 성분이, 입력신호의 주파수대역에 가장 가까워서 제거하기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그 크기가 다른 혼변조 성분보다 커서 증폭된 신호의 신뢰성을 저하시키는 가장 큰 요소로 작용하기 때문이었다.In other words, a conventional shearing distortion generator generates a third-order intermodulation signal by using a diode or a dual gate MOSFET, and inputs the third-order intermodulation signal to a power amplifier together with an input signal to be amplified. It was configured to cancel the third order intermodulation signal generated. This is because the third-order intermodulation component among the nonlinear distortion components of the power amplifier is the closest to the frequency band of the input signal, which is difficult to remove, and its size is larger than that of other intermodulation components, thereby degrading the reliability of the amplified signal. Because it acts as an element.

그러나, 종래의 전단왜곡기는, 전력증폭기로부터 출력되는 3차 혼변조 신호와 대칭되는 왜곡신호를 만들기 위하여, 출력되는 왜곡신호의 크기 및 위상을 조정하는 기능이 포함되어야 하므로 회로구조가 복잡할 뿐만 아니라, 그 조정이 복잡하고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order to make a distortion signal symmetrical with the third-order intermodulation signal output from the power amplifier, the conventional shearing distorter has to include a function of adjusting the magnitude and phase of the output distortion signal. The adjustment was complicated and difficult.

또한, 최근 급부상하고 있는 디지털 통신과 같은 신호의 변조방식에서는, 증폭된 신호의 스펙트럼 재생(spectral regrowth)시, 3차 이외의 고차 혼변조 왜곡신호가 새로운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특히, 코드분할 다중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과 같은 4위상 편이변조(QPSK) 방식의 경우, 전력증폭기의 스펙트럼 재생에는 3차 혼변조뿐만 아니라 3차 이외의 고차 혼변조 왜곡성분이 많이 포함되어 있으며, 따라서, 이러한 디지털 신호를 증폭하는 전력증폭기를 선형화 하기 위하여는, 비직선 왜곡성분중에서 3차 혼변조 성분뿐만 아니라, 그 외의 고차 혼변조 왜곡성분까지도 총괄적으로 상쇄시킬 필요가 있게 되었다.In addition, in signal modulation schemes such as digital communication, which are rapidly emerging in recent years, higher order intermodulation distortion signals other than the third order have emerged as a new problem in spectral regrowth of amplified signals. Particularly, in the four-phase shift keying (QPSK) method such as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the spectral reproduction of the power amplifier includes not only third-order intermodulation but also high-order intermodulation distortion components other than third-order. Therefore, in order to linearize the power amplifier for amplifying such a digital signal, it is necessary to collectively cancel not only the third-order intermodulation component but also other higher-order intermodulation distortion components among the nonlinear distortion components.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전력증폭기의 최종단에 사용된 능동소자와 동종의 능동소자를 이용하여, 전력증폭기의 출력신호에서 발생되는 비직선 왜곡성분의 신호를 발생시키고, 이 비직선 왜곡신호를 증폭하려는 신호와 함께 전력증폭기에 입력시킴으로써, 전력증폭기의 증폭과정에서 발생되는 3차 혼변조 성분뿐만 아니라 3차 이외의 고차 혼변조 성분까지 총괄적으로 상쇄시킬 수 있도록 하며, 이에 따라, 작은 용량의 전력증폭기를 이용하여 파워 백 오프레벨을 현저하게 낮게 설정하여도 전력증폭기의 선형적인 출력특성을 유지할 수 있으며, 디지털 신호의 처리를 위한 증폭시 그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전력증폭기의 선형화를 위한 전단왜곡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by using an active element of the same type as the active element used in the final stage of the power amplifier, the signal of the nonlinear distortion component generated in the output signal of the power amplifier By inputting the nonlinear distortion signal to the power amplifier together with the signal to be amplified, it is possible to collectively cancel not only the third-order intermodulation components generated during the amplification process of the power amplifier but also the third-order intermodulation components other than the third order. Accordingly, the linear output characteristics of the power amplifier can be maintained even if the power back off level is set to a low value using a small power amplifier, and the reliability of the digital signal can be improved. The purpose is to provide a shear distortion device for the linearization of power amplifiers.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력증폭기의 증폭과정에서 발생되는 3차 혼변조 성분뿐만 아니라 3차 이외의 고차 혼변조 성분까지 총괄적으로 상쇄시킬 수 있는 전단왜곡기의 조정을 단순화시킴과 동시에, 이러한 전단왜곡기를 저렴한 가격으로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도록 한 전력증폭기의 선형화를 위한 전단왜곡기를 제공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implify the adjustment of the shear strainer that can collectively cancel not only the third-order intermodulation components generated in the amplification process of the power amplifier but also the third-order intermodulation components other than the third, and at the same time, such shear distortion It is to provide a shear distortion device for the linearization of power amplifiers, which makes it easy to manufacture a low cost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단왜곡기의 회로 구성도,1 is a circuit diagram of a shear str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전력증폭기의 대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2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power amplifier.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reference numera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메인 분할부, 20:위상변환수단, 21:메인 감쇄부, 22:제 2 시간지연부, 23:위상 변환부, 30:왜곡신호 발생수단, 31:서브 분할부, 32:신호 왜곡부, 33:위상 조정부, 34:제 1 서브감쇄부, 35:제 2 서브감쇄부, 36:제 1 시간지연부, 37:서브 혼합부, 40:메인 혼합부, R1,R2,R3,R4:터미네이션 저항, PA:전력증폭기, PD:전단왜곡기.10: main division unit, 20: phase conversion unit, 21: main attenuation unit, 22: second time delay unit, 23: phase conversion unit, 30: distortion signal generating unit, 31: sub division unit, 32: signal distortion unit 33: phase adjuster, 34: first sub attenuator, 35: second sub attenuator, 36: first time delay, 37: sub mix, 40: main mix, R1, R2, R3, R4: Termination resistors, PA: power amplifiers, PD: shear strainers.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다수의 능동소자를 포함하는 전력증폭기의 비직선 왜곡성분을 상쇄시키기 위하여 전력증폭기 전단에 설치되는 전단왜곡기에 있어서: 입력신호를 제 1 신호와 제 2 신호로 분할하여 출력시키는 메인 분할부; 상기 메인 분할부의 제 2 신호 출력단에 연결되고, 상기 전력증폭기의 최종단 능동소자와 동종인 능동소자를 구비하며, 상기 제 2 신호가 상기 동종인능동소자를 통과하도록 하여 비직선 왜곡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비직선 왜곡신호만을 추출하여 출력시키는 왜곡신호 발생수단; 상기 메인 분할부의 제 1 신호 출력단에 연결되며, 상기 왜곡신호 발생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비직선 왜곡신호와 상기 제 1 신호가, 상호 역위상을 갖도록 상기 제 1 신호의 위상을 변환시키는 위상변환수단; 그리고, 상기 위상변환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제 1 신호와 상기 왜곡신호 발생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비직선 왜곡신호를 입력받고, 입력된 신호들을 합성하여 출력시키는 메인 혼합부;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a shear distortion device provided in front of the power amplifier to cancel the non-linear distortion component of the power amplifier including a plurality of active elements: the input signal to the first signal and the second signal A main divider for dividing the output into; A non-linear distortion signal, connected to a second signal output terminal of the main divider, having an active element that is the same as the last active element of the power amplifier, and allowing the second signal to pass through the homogeneous active element; Distortion signal generating means for extracting and outputting only the nonlinear distortion signal; Phase conversion means connected to a first signal output terminal of the main divider and converting a phase of the first signal such that the non-linear distortion signal and the first signal output from the distortion signal generating means have an inverse phase with each other; A main mixing unit configured to receive the first signal output from the phase shifting unit and the nonlinear distortion signal output from the distortion signal generating unit, and synthesize the input signals; Characterized in having a.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전력증폭기의 선형화를 위한 전단왜곡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술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 preferred embodiment of a shear distortion device for linearization of the power ampl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증폭기의 선형화를 위한 전단왜곡기의 회로 구성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전력증폭기 전단에 설치되는 전단왜곡기(PD)가, 메인 분할부(10), 위상변환수단(20), 왜곡신호 발생수단(30) 및 메인 혼합부(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면상에서, R1∼R4 는 신호의 입출력이 없는 터미네이션에 연결되는 저항들을 나타낸다.1 is a circuit configuration diagram of a shear distortion device for linearization of a power ampl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the present invention, a shear distortion device (PD) installed in the front of the power amplifier, the main component The installment unit 10, the phase conversion unit 20, the distortion signal generating unit 30, and the main mixing unit 40 are configured to be included. In the figure, R1 to R4 represent resistors connected to the termination without signal input and output.

상기 메인 분할부(hybrid coupler)(10)는, 입력단으로 입력되는 무선주파수신호의 전력을 분할하여 제 1, 제 2 신호(S1)(S2)를 발생시키고, 발생된 제 1, 제 2 신호(S1)(S2)를 2개의 출력단자를 통하여 각각 출력시키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 1, 제 2 신호(S1)(S2)는, 상기 입력단자로 입력되는 무선주파수 신호와 동일한 주파수 및 90°차의 위상을 갖는다.The main coupler 10 generates the first and second signals S1 and S2 by dividing the power of the radio frequency signal input to the input terminal, and generates the generated first and second signals ( It is configured to output S1) S2 through two output terminals, respectively. In this case, the first and second signals S1 and S2 have the same frequency and a phase of 90 ° with the radio frequency signal input to the input terminal.

상기 왜곡신호 발생수단(30)은, 상기 메인 분할부(10)로부터 출력되는 제 2신호(S2)를 입력받도록 제 2 신호 출력단에 접속되고, 상기 전력증폭기(PA)의 최종단 능동소자와 동종인 능동소자를 구비하며, 상기 제 2 신호(S2)가 상기 동종인 능동소자를 통과하면서 비직선 왜곡신호(SN1)를 발생시킨 다음, 이 비직선 왜곡신호(SN1)만을 추출하여 출력시키도록 구성된다.The distortion signal generating means 30 is connected to a second signal output terminal to receive the second signal S2 output from the main dividing unit 10, and is the same type as the last active element of the power amplifier PA. And an active element, the second signal S2 passes through the same active element to generate a nonlinear distortion signal SN1, and then extracts and outputs only the nonlinear distortion signal SN1.

상기 전단왜곡기(PD)의 후단에 결합되는 전력증폭기(PA)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능동소자(P1∼P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전력증폭기(PA)에 의해 증폭된 신호에 포함되는 비직선 왜곡신호의 대부분은, 다른 능동소자(P1∼P4)에 비하여 현저하게 큰 출력값을 갖는 최종단 능동소자(P5)에 의하여 발생된다. 따라서, 상기 전력증폭기(PA)의 최종단 능동소자(P5)와 동종인 능동소자를 상기 왜곡신호 발생수단(30)에 구비시키고, 입력되는 무선주파수 신호가 상기 동종인 능동소자를 거치도록 구성함으로써, 상기 전력증폭기(PA)에 의해 발생되는 비직선 왜곡신호(SN2)와 동일한 크기의 비직선 왜곡신호(SN1)를 발생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e power amplifier PA coupled to the rear end of the shear strainer PD includes a plurality of active elements P1 to P5, as shown in FIG. 2. Most of the nonlinear distortion signals included in the signal amplified by the power amplifier PA are generated by the last stage active element P5 having a significantly larger output value than the other active elements P1 to P4. do. Accordingly, the distortion signal generating means 30 includes an active element that is the same type as the last stage active element P5 of the power amplifier PA, and the input radio frequency signal passes through the same active element. The nonlinear distortion signal SN1 having the same magnitude as that of the nonlinear distortion signal SN2 generated by the power amplifier PA may be generated.

이러한 왜곡신호 발생수단(30)은, 서브 분할부(31), 신호 왜곡부(32), 위상 조정부(33), 제 1 서브감쇄부(34), 제 1 시간지연부(36) 및 서브 혼합부(37)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distortion signal generating means 30 includes a sub dividing unit 31, a signal distorting unit 32, a phase adjusting unit 33, a first sub attenuating unit 34, a first time delay unit 36, and a sub-mixing unit. It may be configured with a portion 37.

상기 서브 분할부(31)는, 상기 메인 분할부(10)로부터 출력되는 제 2 신호(S2)를 제 3, 제 4 신호(S3)(S4)로 전력 분할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하이브리드 커플러(hybrid coupler)로서, 입력단자가 상기 메인 분할부(10)의 제 2 신호 출력단에 접속되어 제 2 신호(S2)를 입력받고, 입력된 제 2 신호(S2)의 전력을 분할하여 제 3, 제 4 신호(S3)(S4)를 발생시키며, 상기 제 3 및 제 4 신호(S3)(S4)를 2 개의 출력단을 통하여 각각 출력시키도록 구성된다.The sub dividing unit 31 is a hybrid coupler provided to divide the second signal S2 output from the main dividing unit 10 into third and fourth signals S3 and S4. ), An input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second signal output terminal of the main division unit 10 to receive the second signal S2, and divides the power of the input second signal S2 to generate the third and fourth signals. And generate the third and fourth signals S3 and S4 through two output stages, respectively.

상기 신호 왜곡부(32)는, 상기 전력증폭기(PA)의 최종단 능동소자(P5)와 동종인 능동소자로 구성되며, 서브 분할부(31)로부터 출력되는 제 3 신호(S3)를 입력받도록, 입력단이 서브 분할부(31)의 제 3 신호 출력단에 접속된다. 따라서, 상기 신호 왜곡부(32)를 통과하면서 증폭되는 상기 제 3 신호(S3)는, 후단에 설치될 전력증폭기(PA)에 의해 발생되는 비직선 왜곡신호(SN2)와 유사한 비직선 왜곡신호(SN1)를 포함한 상태로 출력되게 된다.The signal distortion unit 32 includes active elements that are the same type as the last stage active element P5 of the power amplifier PA, and receives the third signal S3 output from the sub dividing unit 31. An input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third signal output terminal of the sub dividing unit 31. Accordingly, the third signal S3 that is amplified while passing through the signal distortion unit 32 is a nonlinear distortion signal (similar to the nonlinear distortion signal SN2 generated by the power amplifier PA to be installed later). It is outputted with SN1) included.

상기 신호 왜곡부(32)는, 상기 전력증폭기(PA)의 최종단 능동소자(P5)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즉, 전력증폭기(PA)의 최종단 능동소자로서 FET가 적용되었을 경우에는, 이와 유사하면서 그 출력이 낮은 FET 나, FET 를 응용한 모노리틱 마이크로파 직접회로(MMIC)로 신호 왜곡부(32)를 구성하며, 또한, 상기 전력증폭기(PA)의 최종단 능동소자로서 BJT가 적용되었을 경우에는, 이와 유사하면서 그 출력이 낮은 BJT, 또는 BJT 를 응용한 모노리틱 마이크로파 직접회로(MMIC)로 신호 왜곡부(32)를 구성함으로써, 상기 전력증폭기(PA)에 의해 발생되는 비직선 왜곡신호(SN2)와 유사한 비직선 왜곡신호(SN1)를 상기 신호 왜곡부(32)를 통하여 발생시킬 수 있을 것이다.The signal distortion unit 32 may be configured in various ways according to the last stage active device P5 of the power amplifier PA. That is, when the FET is applied as an active device of the last stage of the power amplifier PA, the signal distortion unit 32 is replaced by a similar low FET or a monolithic microwave integrated circuit (MMIC) using the FET. In addition, when the BJT is applied as the last stage active element of the power amplifier PA, the signal distortion unit is similar to the low-output BJT or the monolithic microwave integrated circuit (MMIC) using BJT. The non-linear distortion signal SN1 similar to the non-linear distortion signal SN2 generated by the power amplifier PA may be generated through the signal distortion unit 32.

상기 위상 조정부(33)는, 상기 신호 왜곡부(32)의 출력단에 접속되며, 제 3 신호(S3)와 상기 제 4 신호(S4)가 상호 역위상을 갖도록 상기 제 3 신호(S3)의 위상을 조정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제 1 서브감쇄부(34)는, 상기 위상 조정부(33)의 출력단에 접속되며, 상기 제 3 신호(S3)와 상기 제 4 신호(S4)가 상호 동일한 진폭을 갖도록 상기 제 3 신호(S3)의 진폭을 감쇄시키는 작용을 한다.The phase adjustment unit 33 is connected to an output terminal of the signal distortion unit 32 and phases of the third signal S3 such that the third signal S3 and the fourth signal S4 have mutually out of phase. Serves to adjust the The first sub attenuator 34 is connected to an output terminal of the phase adjuster 33, and the third signal S3 and the fourth signal S4 have the same amplitude as each other. It acts to attenuate the amplitude of (S3).

한편, 상기 서브 분할부(31)의 제 4 신호 출력단에는 제 1 시간지연부(36)가 접속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서브감쇄부(34)를 통과한 제 3 신호와, 상기 제 1 시간지연부(36)를 경유한 제 4 신호는, 상기 서브 혼합부(37)의 2개의 입력단에 각각 입력된다. 이때, 상기 제 1 시간지연부(36)에 의하여 상기 제 4 신호(S4)가 소정의 시간동안 지연됨으로써, 상기 서브 분할부(31)로부터 출력된 제 3 신호(S3)와 제 4 신호(S4)가 동시에 상기 서브 혼합부(37)의 입력단으로 입력되게 된다.On the other hand, a first time delay unit 36 is connected to the fourth signal output terminal of the sub dividing unit 31. The third signal passing through the first sub attenuator 34 and the fourth signal via the first time delay unit 36 are respectively input to two input terminals of the sub mixing unit 37. do. In this case, the fourth signal S4 is delayed for a predetermined time by the first time delay unit 36, so that the third signal S3 and the fourth signal S4 output from the sub dividing unit 31 are delayed. ) Is input to the input terminal of the sub mixing section 37 at the same time.

상기 서브 혼합부(37)에서는, 상기 신호 왜곡부(32)에 의해 왜곡된 제 3 신호(S3)와 상기 제 4 신호(S4)를 동시에 입력받고, 입력된 제 3 신호(S3)와 제 4 신호(S4)를 혼합시키게 되는데, 이때, 상기 서브 분할부(31)로부터 출력된 원래의 제 3, 제 4 신호(S3)(S4)가 상호 상쇄됨으로써, 상기 신호 왜곡부(32)에 의하여 발생된 비직선 왜곡신호(SN1)만이 추출되어 진 후, 상기 서브 혼합부(37)의 출력단을 통하여 출력되도록 구성된다.In the sub mixing unit 37, the third signal S3 and the fourth signal S4 distorted by the signal distorting unit 32 are simultaneously input, and the input third signal S3 and the fourth are input. When the signal S4 is mixed, the original third and fourth signals S3 and S4 outputted from the sub dividing unit 31 cancel each other and are generated by the signal distortion unit 32. After the extracted nonlinear distortion signal SN1 is extracted, it is configured to be output through the output terminal of the sub mixing section 37.

한편, 상기 제 1 서브감쇄부(34) 만으로 상기 제 3 신호(S3)와 제 4 신호(S4)의 진폭을 일치시키기 어려울 경우, 상기 서브 분할부(31)의 제 4 신호 출력단과 상기 제 1 시간지연부(36) 사이에 제 2 서브감쇄부(35)가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2 서브감쇄부(35)에 의하여, 상기 제 4 신호(S4)의 진폭을 조절할 수 있게 됨으로써, 상기 서브 혼합부(37)로 입력되는 제 3 신호(S3)와 제 4 신호(S4)의 진폭을 좀 더 용이하고도 정확하게 일치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when it is difficult to match the amplitude of the third signal S3 and the fourth signal S4 with only the first sub attenuator 34, the fourth signal output terminal of the sub dividing unit 31 and the first A second sub attenuator 35 may be additionally installed between the time delay units 36. That is, by the second sub attenuator 35, the amplitude of the fourth signal S4 may be adjusted, so that the third signal S3 and the fourth signal input to the sub mixer 37 may be adjusted. The amplitude of S4) can be matched more easily and accurately.

상기 위상변환수단(20)은, 상기 메인 분할부(10)의 제 1 신호 출력단에 연결되며, 상기 제 1 신호(S1)가 상기 왜곡신호 발생수단(30)으로부터 출력되는 비직선 왜곡신호(SN1)와 역위상을 가질 수 있도록, 상기 제 1 신호(S1)의 위상을 변환시키기 위한 수단으로써, 메인 감쇄부(21), 제 2 시간지연부(22) 및 위상 변환부(2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phase shifting means 20 is connected to a first signal output terminal of the main division part 10, and the nonlinear distortion signal SN1 is output from the distortion signal generating means 30 by the first signal S1. As a means for converting the phase of the first signal (S1) so as to have an out of phase (), including a main attenuator 21, a second time delay unit 22 and a phase shifter 23 It is composed.

상기 메인 감쇄부(21)는 상기 메인 분할부(10)의 제 1 신호 출력단에 접속되어 상기 제 1 신호(S1)의 진폭을 조절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2 시간지연부(22)는 상기 제 1 신호(S1)의 전달시간을 조절하도록 상기 메인 감쇄부(21)의 출력단에 접속되며, 상기 위상 변환부(23)는 상기 제 1 신호(S1)의 위상을 변환시키도록 상기 제 2 시간지연부(22)의 출력단에 접속된다.The main attenuator 21 is connected to the first signal output terminal of the main divider 10 to adjust the amplitude of the first signal S1, and the second time delay unit 22 is configured to control the amplitude of the first signal S1. It is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main attenuator 21 to adjust the propagation time of the first signal (S1), the phase shifter 23 is the second time delay to convert the phase of the first signal (S1) It is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unit 22.

그리고, 상기 위상변환수단(20)을 통과하면서 위상 변환된 제 1 신호(S1)와, 상기 신호 왜곡부(32)를 통과하면서 발생 추출된 비직선 왜곡신호(SN1)는, 상기 메인 혼합부(40)의 2개 입력단에 각각 입력된다. 이때, 상기 제 2 시간지연부(22)에 의하여, 상기 비직선 왜곡신호(SN1)와 상기 제 1 신호(S1)가, 동시에 상기 메인 혼합부(40)의 각 입력단으로 입력되게 된다.The first signal S1 phase-shifted while passing through the phase shifting means 20 and the nonlinear distortion signal SN1 generated while passing through the signal distortion part 32 are the main mixing unit ( 40 inputs to each of the two input stages. In this case, the non-linear distortion signal SN1 and the first signal S1 are simultaneously input to each input terminal of the main mixing unit 40 by the second time delay unit 22.

상기 메인 혼합부(40)는, 한 쌍의 입력단을 통하여 입력되는 상기 제 1 신호(S1)와 상기 비직선 왜곡신호(SN1)를 혼합하는데, 이때, 전력증폭기(PA)의 최종단 능동소자(P5)에 의해 발생되는 비직선 왜곡신호(SN2)와 유사한 비직선 왜곡신호(SN1)가, 상기 제 1 신호(S1)에 반대 위상으로 혼합되게 된다. 다시 말해, 상기 메인 혼합부(40)에서는, 상기 제 1 신호(S1)와 상기 비직선 왜곡신호(SN1)가, 상호반대 위상으로 혼합된 합성신호를 출력시키도록 구성되며, 출력된 합성신호는 상기 전력증폭기(PA)에 입력되어 증폭된다.The main mixer 40 mixes the first signal S1 and the nonlinear distortion signal SN1 input through a pair of input terminals, wherein the last stage active element of the power amplifier PA is present. The nonlinear distortion signal SN1 similar to the nonlinear distortion signal SN2 generated by P5 is mixed in the opposite phase to the first signal S1. In other words, in the main mixing section 40, the first signal S1 and the nonlinear distortion signal SN1 are configured to output a mixed signal mixed in opposite phases, and the output synthesized signal is It is input to the power amplifier PA and amplified.

따라서, 상기 전력증폭기(PA)에서는, 제 1 신호(S1)와 비직선 왜곡신호(SN1)가 함께 증폭되며, 이때, 상기 제 1 신호(S1)의 증폭시 발생되는 비직선 왜곡신호(SN2)와 상기 제 1 신호(S1)에 포함되어 있던 비직선 왜곡신호(SN1)가, 상호 반대 위상을 갖게 됨으로써 상호 상쇄되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전력증폭기(PA)의 출력신호에 어떠한 비직선 왜곡성분도 포함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Accordingly, in the power amplifier PA, the first signal S1 and the nonlinear distortion signal SN1 are amplified together, and at this time, the nonlinear distortion signal SN2 generated when the first signal S1 is amplified. And the nonlinear distortion signal SN1 included in the first signal S1 cancel each other by having mutually opposite phases, and thus, any nonlinear distortion component is added to the output signal of the power amplifier PA. It will not be included.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전력증폭기의 선형화를 위한 전단왜곡기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operation of the shear strainer for the linearization of the power amplifier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as follows.

먼저, 상기 메인 분할부(10)로 입력된 무선주파수 신호는, 메인 분할부(10)에 의해 제 1 신호(S1)와 제 2 신호(S2)로 전력이 분할된 후, 상기 제 1 신호(S1)는 메인 감쇄부(21)로 입력되고, 상기 제 2 신호(S2)는 서브 분할부(31)로 입력된다.First, the radio frequency signal inputted to the main divider 10 is divided into power by the main divider 10 into a first signal S1 and a second signal S2, and then the first signal ( S1 is input to the main attenuator 21, and the second signal S2 is input to the sub dividing unit 31.

상기 서브 분할부(31)로 입력된 제 2 신호(S2)는, 제 3 신호(S3)와 제 4 신호(S4)로 그 전력이 재분할된 후 출력된다. 그리고, 상기 제 3 신호(S3)는 신호 왜곡부(32), 위상 조정부(33) 및 제 1 서브감쇄부(34)를 경유하고, 상기 제 4 신호(S4)는 제 2 서브감쇄부(35) 및 제 1 시간지연부(36)를 경유한 후, 각각 상기 서브 혼합부(37)의 2개 입력단을 통하여 동시에 입력된다.The second signal S2 input to the sub dividing unit 31 is output after the power is redivided into a third signal S3 and a fourth signal S4. The third signal S3 passes through the signal distortion unit 32, the phase adjusting unit 33, and the first sub attenuator 34, and the fourth signal S4 is the second sub attenuator 35. And the first time delay unit 36, respectively, are simultaneously input through the two input terminals of the sub mixing unit 37.

이때, 상기 제 3 신호(S3)는, 전력증폭기(PA)의 최종단 능동소자와 동종의능동소자로 구성된 상기 신호 왜곡부(32)에 의하여, 상기 무선주파수 신호를 전력증폭기(PA)로 증폭시켰을 때 발생되는 비직선 왜곡신호(SN2)와 유사한 형태의 비직선 왜곡신호(SN1)를 포함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 3 신호(S3)는, 상기 위상 조정부(33)에 의하여 상기 제 4 신호(S4)와 반대 위상을 갖도록 조정된 후 상기 서브 혼합부(37)로 입력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시간지연부(36)에 의하여, 상기 서브 분할부(31)로부터 출력된 제 3 신호(S3)와 제 4 신호(S4)가 동시에 상기 서브 혼합부(37)로 입력되도록 조절되며, 이와 같이 상기 서브 혼합부(37)로 입력되는 상기 제 3, 제 4 신호(S3)(S4)는, 제 1, 제 2 서브감쇄부(34)(35)에 의하여 동일한 진폭을 갖도록 조절되게 된다.At this time, the third signal S3 is amplified by the power amplifier PA by the signal distortion unit 32 composed of active devices of the same type as the last stage active element of the power amplifier PA. The nonlinear distortion signal SN1 is similar to the nonlinear distortion signal SN2 generated when the signal is generated. In addition, the third signal S3 is adjusted to have a phase opposite to that of the fourth signal S4 by the phase adjusting unit 33 and then input to the sub mixing unit 37. In addition, the first time delay unit 36 adjusts the third signal S3 and the fourth signal S4 output from the sub dividing unit 31 to be simultaneously input to the sub mixing unit 37. In this way, the third and fourth signals S3 and S4 input to the sub mixing unit 37 are adjusted to have the same amplitude by the first and second sub attenuators 34 and 35. Will be.

따라서, 상기 서브 혼합부(37)로 입력되는 신호에는, 제 3 신호(S3)와 제 4 신호(S4), 및 상기 신호 왜곡부(32)에 의해 발생된 비직선 왜곡신호(SN1)가 포함되어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서브 혼합부(37)의 혼합과정에서, 상호 역위상임과 동시에 동일한 진폭과 주파수를 갖는 제 3 신호(S3)와 제 4 신호(S4)는 상호 상쇄되게 됨으로써, 상기 신호 왜곡부(32)에 의해 발생된 비직선 왜곡신호(SN1)만이 상기 서브 혼합부(37)의 출력단을 통하여 출력되게 된다.Accordingly, the signal input to the sub mixing unit 37 includes a third signal S3 and a fourth signal S4 and a nonlinear distortion signal SN1 generated by the signal distortion unit 32. It becomes. In the mixing process of the sub mixing unit 37, the third and fourth signals S3 and S4 having the same amplitude and frequency while being in phase with each other are canceled with each other, thereby causing the signal distortion unit 32 to be cancelled. Only the nonlinear distortion signal SN1 generated by) is output through the output terminal of the sub mixing unit 37.

한편, 상기 메인 분할부(10)의 제 1 신호 출력단을 통하여 출력된 제 1 신호(S1)는, 메인 감쇄부(21), 제 2 신호지연부(22) 및 위상 변환부(23)를 차례로 통과한 후, 상기 서브 혼합부(37)를 통하여 출력된 비직선 왜곡신호(SN1)와 함께 상기 메인 혼합부(40)의 입력단으로 입력되어 혼합된다.Meanwhile, the first signal S1 output through the first signal output terminal of the main division unit 10 sequentially turns the main attenuator 21, the second signal delay unit 22, and the phase shifter 23. After passing, the mixture is input to the input terminal of the main mixing unit 40 and mixed with the nonlinear distortion signal SN1 output through the sub mixing unit 37.

이때, 후단의 전력증폭기(PA)에 의한 제 1 신호(S1)의 증폭시 발생되는 비직선 왜곡신호(SN2)와, 상기 서브 혼합부(37)로부터 출력되는 비직선 왜곡신호(SN1)가 상호 역위상이 될 수 있도록, 상기 위상 변환부(23)에 의하여 상기 제 1 신호(S1)의 위상이 조정된다. 또한, 후단의 상기 전력증폭기(PA)에 의한 제 1 신호(S1)의 증폭시 발생되는 비직선 왜곡신호(SN2)와, 상기 서브 혼합부(37)로부터 출력되는 비직선 왜곡신호(SN1)가 상호 동일한 진폭을 갖도록, 상기 메인 감쇄부(21)에 의하여 제 1 신호(S1)의 진폭이 조정된다.At this time, the non-linear distortion signal SN2 generated when the first signal S1 is amplified by the power amplifier PA of the next stage and the non-linear distortion signal SN1 output from the sub mixing unit 37 are mutually mutual. The phase of the first signal S1 is adjusted by the phase shifter 23 so as to be out of phase. In addition, the nonlinear distortion signal SN2 generated when the first signal S1 is amplified by the power amplifier PA at a later stage and the nonlinear distortion signal SN1 output from the sub mixer 37 are The amplitude of the first signal S1 is adjusted by the main attenuator 21 so as to have the same amplitude.

따라서, 상기 메인 혼합부(4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에는, 제 1 신호(S1)와 비직선 왜곡신호(SN1)가 혼합되어 있는 상태가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비직선 왜곡신호(SN1)가 포함된 제 1 신호(S1)는 전력증폭기(PA)를 통하여 증폭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제 1 신호(S1)에 포함되어 있는 비직선 왜곡신호(SN1)가, 상기 제 1 신호(S1)의 증폭시 발생되는 비직선 왜곡신호(SN2)와 상호 반대 위상을 갖게 됨으로써, 2개의 비직선 왜곡신호(SN1)(SN2)는 상호 상쇄되게 되며, 이에 따라, 전력증폭기(PA)에 의하여 증폭된 제 1 신호(S1)에는 어떠한 비직선 왜곡신호도 포함되어 있지 않게 되는 것이다.Therefore, in the signal output from the main mixing section 40, the first signal S1 and the nonlinear distortion signal SN1 are mixed. In addition, the first signal S1 including the nonlinear distortion signal SN1 is amplified by the power amplifier PA. In this case, the nonlinear distortion signal included in the first signal S1 ( SN1 has a phase opposite to that of the nonlinear distortion signal SN2 generated when the first signal S1 is amplified, so that the two nonlinear distortion signals SN1 and SN2 cancel each other out. Therefore, the non-linear distortion signal is not included in the first signal S1 amplified by the power amplifier PA.

상기에서, 비직선 왜곡신호(SN1)와 상기 비직선 왜곡신호(SN2)의 상쇄를 위한 상기 제 1 신호(S1)의 진폭 조정시, 상기 제 1 신호(S1)와 함께 증폭되게 되는 비직선 왜곡신호(SN1)의 증폭분을 고려하여 조정하여야 함은 물론이다.In the above, when the amplitude of the first signal S1 for canceling the nonlinear distortion signal SN1 and the nonlinear distortion signal SN2 is adjusted, the nonlinear distortion is amplified together with the first signal S1. Of course, it should be adjusted in consideration of the amplification of the signal SN1.

상기 일 실시예에 의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을 따른 전력증폭기의 선형화를 위한 전단왜곡기에 의하여, 전력증폭기의 최종단에 사용된 능동소자와동종의 능동소자를 이용하여, 전력증폭기의 출력신호에서 발생되는 비직선 왜곡성분의 신호를 발생시키고, 이 비직선 왜곡신호를 증폭하려는 신호와 함께 전력증폭기에 입력시킴으로써, 전력증폭기의 증폭과정에서 발생되는 3차 혼변조 성분뿐만 아니라 3차 이외의 고차 혼변조 성분까지 총괄적으로 상쇄시킬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As can be seen by the above embodiment, the output of the power amplifier by using the active element of the same type as the active element used in the final stage of the power amplifier by the shear distortion for linearization of the power ampl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generating a signal of the nonlinear distortion component generated in the signal and inputting the nonlinear distortion signal to the power amplifier together with the signal to be amplified, the third-order intermodulation component generated in the amplification process of the power amplifier,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collectively canceled even higher order intermodulation components.

또한, 상기와 같은 작용에 의하여, 작은 용량의 전력증폭기를 이용하여 파워 백 오프레벨을 현저하게 낮게 설정하여도 전력증폭기의 선형적인 출력특성을 유지할 수 있으며, 디지털 신호의 처리를 위한 증폭시 그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러한 기능을 갖는 전단왜곡기를 저렴한 가격으로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조정을 단순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linear output characteristics of the power amplifier can be maintained even when the power back off level is set to a low value by using a small capacity power amplifier.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easily produce a shearing strainer having such a function at a low cost, and to simplify the adjustment thereof.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력증폭기의 선형화를 위한 전단왜곡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아니하며, 당업자라면 여러 가지로 그 변형과 응용이 가능할 것이다.Although the shear distortion for linearizing the power amplifier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variously modify and apply the same.

Claims (3)

다수의 능동소자를 포함하는 전력증폭기의 비직선 왜곡성분을 상쇄시키기 위하여 전력증폭기 전단에 설치되는 전단왜곡기에 있어서:In shear shears installed in front of a power amplifier to cancel the nonlinear distortion component of a power amplifier comprising a plurality of active elements: 입력신호를 제 1 신호와 제 2 신호로 분할하여 출력시키는 메인 분할부;A main dividing unit dividing an input signal into a first signal and a second signal and outputting the divided signal; 상기 메인 분할부의 제 2 신호 출력단에 연결되고, 상기 전력증폭기의 최종단 능동소자와 동종인 능동소자를 구비하며, 상기 제 2 신호가 상기 동종인 능동소자를 통과하도록 하여 비직선 왜곡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비직선 왜곡신호만을 추출하여 출력시키는 왜곡신호 발생수단;A non-linear distortion signal, connected to a second signal output terminal of the main divider, having an active element of the same type as an active element of the last stage of the power amplifier, and allowing the second signal to pass through the same active element; Distortion signal generating means for extracting and outputting only the nonlinear distortion signal; 상기 메인 분할부의 제 1 신호 출력단에 연결되며, 상기 왜곡신호 발생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비직선 왜곡신호와 상기 제 1 신호가, 상호 역위상을 갖도록 상기 제 1 신호의 위상을 변환시키는 위상변환수단; 그리고,Phase conversion means connected to a first signal output terminal of the main divider and converting a phase of the first signal such that the non-linear distortion signal and the first signal output from the distortion signal generating means have an inverse phase with each other; And, 상기 위상변환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제 1 신호와 상기 왜곡신호 발생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비직선 왜곡신호를 입력받고, 입력된 신호들을 합성하여 출력시키는 메인 혼합부; 를 포함하며,A main mixing unit configured to receive a first signal output from the phase shifting unit and a nonlinear distortion signal output from the distortion signal generating unit, and synthesize the input signals; Including; 상기 왜곡신호 발생수단은, 상기 메인 분할부의 제 2 신호 출력단에 연결되며, 입력되는 제 2 신호를 제 3 신호와 제 4 신호로 분할하여 출력시키는 서브 분할부;The distortion signal generating means may include: a sub dividing unit connected to a second signal output terminal of the main dividing unit and dividing an input second signal into a third signal and a fourth signal; 상기 전력증폭기의 최종단 능동소자와 동종인 능동소자로서, 상기 서브 분할부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제 3 신호를 증폭 왜곡시켜, 비직선 왜곡신호가 포함된 제 3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시키는 신호 왜곡부;An active element that is the same type as the last active element of the power amplifier, the amplifying and distorting the third signal output from the sub dividing unit to convert the third signal into a third signal including a nonlinear distortion signal and output the converted signal; 상기 신호 왜곡부의 출력단에 연결되며, 상기 제 4 신호와 역위상을 갖도록 상기 제 3 신호의 위상을 조정하는 위상 조정부;A phase adjuster connected to an output terminal of the signal distortion part and adjusting a phase of the third signal to have an antiphase with the fourth signal; 상기 위상 조정부를 통하여 출력되는 상기 제 3 신호의 진폭을 조절하여 상기 제 4 신호와 동일한 진폭을 갖도록 하는 제 1 서브감쇄부;A first sub attenuator configured to adjust the amplitude of the third signal output through the phase adjuster to have the same amplitude as the fourth signal; 상기 서브 분할부로부터 출력되는 제 4 신호가, 상기 신호 왜곡부, 위상 조정부 및 제 1 서브감쇄부를 경유한 후 출력되는 제 3 신호와, 시간적으로 일치된 상태로 출력될 수 있도록, 상기 서브 분할부의 제 4 신호 출력단에 연결되는 제 1 시간지연부; 그리고,The sub-division unit so that the fourth signal outputted from the sub-division unit can be output in a state that is consistent with the third signal output after passing through the signal distortion unit, the phase adjusting unit, and the first sub-attenuation unit; A first time delay connected to a fourth signal output terminal of the first delay unit; And, 상기 제 1 서브감쇄부로부터 출력되는 왜곡된 제 3 신호와 상기 제 1 시간지연부로부터 출력되는 제 4 신호를 입력받고 혼합하여, 상기 제 3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비직선 왜곡성분의 신호만을 추출하며, 추출된 비직선 왜곡성분의 신호를 상기 메인 혼합부로 출력시키는 서브 혼합부; 를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증폭기의 선형화를 위한 전단왜곡기.Input and mix the distorted third signal output from the first sub-attenuator and the fourth signal output from the first time delay unit, and extract only the signal of the nonlinear distortion component included in the third signal. A sub mixing unit configured to output the extracted nonlinear distortion component signal to the main mixing unit; Shear strainer for linearization of the power amplifier, characterized in that comprising a.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서브 분할부의 제 4 신호 출력단과 상기 제 1 시간지연부 사이에는, 상기 제 4 신호와 상기 제 3 신호의 진폭을 일치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 4 신호의 진폭을 조절하는 제 2 서브감쇄부가 추가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증폭기의 선형화를 위한 전단왜곡기.Between the fourth signal output terminal of the sub dividing unit and the first time delay unit, a second sub attenuator for adjusting the amplitude of the fourth signal to match the amplitude of the fourth signal and the third signal is added. Shear distortion for linearization of the power amplifier, characterized in that coupled to.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위상변환수단은, 메인 분할부의 제 1 신호 출력단에 결합되며, 제 1 신호의 진폭을 조절하는 메인 감쇄부;The phase shifting unit may include: a main attenuation unit coupled to the first signal output terminal of the main division unit and adjusting an amplitude of the first signal; 상기 메인 감쇄부의 출력단에 접속되며, 상기 왜곡신호 발생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비직선 왜곡신호와 반대되는 위상을 갖도록 상기 제 1 신호의 위상을 변환시키는 위상 변환부; 그리고,A phase conversion unit connected to an output end of the main attenuation unit and converting a phase of the first signal to have a phase opposite to a nonlinear distortion signal output from the distortion signal generating unit; And, 상기 메인 감쇄부와 상기 위상 변환부 사이에 결합되며, 상기 위상변환수단을 경유한 제 1 신호와 상기 왜곡신호 발생수단을 경유한 제 2 신호가 동시에 상기 메인 혼합부에 입력되도록 하는 제 2 시간지연부;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증폭기의 선형화를 위한 전단왜곡기.A second time delay coupled between the main attenuator and the phase shifter, such that a first signal via the phase shifter and a second signal via the distortion signal generator are simultaneously input to the main mixer; part; Shear distortion for linearizing the power amplifi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KR1019990006500A 1999-02-26 1999-02-26 Predistorter for the Linear Output Character of a Power Amplifier KR10031240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6500A KR100312403B1 (en) 1999-02-26 1999-02-26 Predistorter for the Linear Output Character of a Power Amplifi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6500A KR100312403B1 (en) 1999-02-26 1999-02-26 Predistorter for the Linear Output Character of a Power Amplifi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6815A KR20000056815A (en) 2000-09-15
KR100312403B1 true KR100312403B1 (en) 2001-11-03

Family

ID=195751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06500A KR100312403B1 (en) 1999-02-26 1999-02-26 Predistorter for the Linear Output Character of a Power Amplifi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12403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5661B1 (en) * 2007-05-22 2008-07-10 한국정보통신대학교 산학협력단 Linearizer having inter-modulation distor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6815A (en) 2000-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97157B1 (en) High-frequency amplifier
CN100466463C (en) Predistortor for use in wireless transmitter
US6922552B2 (en) Linearization method and signal processing device
KR20060136227A (en) Doherty Amplifier and Transmitter Using Mixer
KR20070000257A (en) Doherty amplifier and transmitter using mixer
JPH03198511A (en) Low distortion high frequency amplifier
US5043673A (en) Compensating circuit for a high frequency amplifier
KR100312403B1 (en) Predistorter for the Linear Output Character of a Power Amplifier
KR100371531B1 (en) Feedforward linear power amplifier using error feedback
KR101131910B1 (en) Output power unit for a mobile telecommunication equipments
EP1394954A2 (en) Transmitter
KR0141434B1 (en) Multi-radio transmitter
KR100377915B1 (en) Apparatus for mixing frequency in a RF Transceiver
KR100375315B1 (en) Mixer for reducing of distortion
JP4014404B2 (en) Distortion compensation circuit
JP2004080333A (en) Multicarrier transmitter and single carrier transmission method therefor
KR0148454B1 (en) Linear amplifier
KR200252145Y1 (en) A small-sized predistortion linearizer using diode mixer for improving intermodulation distortion of broadband power amplifier
KR200222047Y1 (en) An up/down converter
KR20020093327A (en) Feedforward linearizer in a IMT-2000 system
KR100406872B1 (en) A postdistortion linearizer using diode mixer for improving intermodulation distortion of power amplifier
JP3978919B2 (en) Limiter circuit
KR0171024B1 (en) Linearization circuit
KR100323596B1 (en) Linear amplifier for wave shape make-up
KR20000033110A (en) Linear high power amplifier using feedbac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