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11232B1 - 칠비트스트링치환문을씨언어로변환하는방법 - Google Patents

칠비트스트링치환문을씨언어로변환하는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11232B1
KR100311232B1 KR1019980048478A KR19980048478A KR100311232B1 KR 100311232 B1 KR100311232 B1 KR 100311232B1 KR 1019980048478 A KR1019980048478 A KR 1019980048478A KR 19980048478 A KR19980048478 A KR 19980048478A KR 100311232 B1 KR100311232 B1 KR 1003112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work
modeling
identifying
diagram
analysis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484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32115A (ko
Inventor
금창섭
박경숙
이준경
이동길
Original Assignee
오길록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길록,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오길록
Priority to KR10199800484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11232B1/ko
Publication of KR200000321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321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12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1232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8/00Arrangements for software engineering
    • G06F8/20Software design
    • G06F8/24Object-orient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8/00Arrangements for software engineering
    • G06F8/10Requirements analysis; Specification techniqu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ored Programmes (AREA)
  • Devices For Executing Special Programs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본 발명은 객체지향 분석정보를 이용한 프레임워크 모델링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임.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UML을 이용하여 생성된 분석정보로부터 프레임워크내의 클래스, 제어 흐름 및 인터페이스를 식별하여 프레임워크를 구조적이고 동적으로 모델링함으로써, 프레임워크 구현에 필요한 여러 가지 정보들을 용이하게 획득하기 위한 프레임워크 모델링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고자 함.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일반적인 컴퓨팅 시스템에 적용되는 프레임워크 모델링 방법에 있어서, 통합모델링언어(UML)를 이용한 사용 케이스 다이어그램, 사건 흐름, 순차 다이어그램, 클래스 다이어그램을 작성하는 제 1 단계; 상기 사용 케이스 다이어그램에서 서로 관련성이 있는 사용 케이스들을 클러스터링하여 프레임워크들을 식별하는 제 2 단계; 상기 순차 다이어그램의 메시지와 객체를 식별하고, 상기 클래스 다이어그램내의 클래스와 클래스간의 관계를 식별하여 구조적으로 모델링하는 제 3 단계; 상기 순차 다이어그램의 메시지, 메시지 흐름 및 객체를 식별하고, 프레임워크내의 클래스, 제어 흐름 및 인터페이스를 식별하여 동적으로 모델링하는 제 4 단계; 및 상기 프레임워크를 구현하기 위해 상기 구조적 및 상기 동적 모델링된 분석정보를 처리하는 제 5 단계를 포함함.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본 발명은 컴퓨팅 시스템의 소프트웨어 개발시 하부구조 등에 이용됨.

Description

객체지향 분석정보를 이용한 프레임워크 모델링 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framework modeling with object-oriented analytic information}
본 발명은 통합모델링언어(UML : Unified Modeling Language)를 이용한 객체지향 분석정보로부터 프레임워크를 구현하는데 필요한 여러 가지 정보들을 얻기 위하여 프레임워크를 구조적, 동적으로 모델링하는 프레임워크 모델링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소프트웨어 재사용성에 대한 중요성이 점차 증가하면서 프레임워크에 대한 연구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특정 도메인에 적합한 상용제품도 나와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전반적으로 프레임워크에 대한 연구는 초창기에 불과하며, 특히 UML을 기반으로 프레임워크를 모델링하는 연구는 물론 프레임워크 개발 방법론 등에 관한 연구도 전무한 실정이다.
따라서, 이러한 분야에 대한 연구가 활성화된다면, 프레임워크를 개발하는데 많은 도움을 줄 수 있으며, 기존의 객체지향 분석정보를 활용함으로써 소프트웨어의 재사용성을 확대시킬 수 있어, 이에 대한 연구가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요구에 부응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UML을 이용하여 생성된 분석정보로부터 프레임워크내의 클래스, 제어 흐름 및 인터페이스를 식별하여 프레임워크를 구조적이고 동적으로 모델링함으로써, 프레임워크 구현에 필요한 여러 가지 정보들을 용이하게 획득하기 위한 프레임워크 모델링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이용되는 프레임워크의 구조적 모델링을 위한 다이어그램간의 관계를 나타낸 일실시예 설명도.
도 2 는 본 발명에 이용되는 프레임워크의 동적 모델링을 위한 다이어그램간의 관계를 나타낸 일실시예 설명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워크 모델링 장치의 일실시예 구성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워크 모델링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전체 흐름도.
도 5a 는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워크 구조적 모델링 과정에 대한 일실시예 상세 흐름도.
도 5b 는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워크 동적 모델링 과정에 대한 일실시예 상세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1 : 분석정보 작성부 32 : 프레임워크 식별부
33 : 프레임워크 구조적 모델링부 34 : 프레임워크 동적 모델링부
35 : 프레임워크 분석정보 처리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프레임워크 모델링 장치에 있어서, 통합모델링언어(UML)를 이용한 사용 케이스(Use Case) 다이어그램, 사용 케이스 사건 흐름, 순차(Sequence) 다이어그램, 클래스 다이어그램을 작성하는 분석정보 작성수단; 상기 사용 케이스 다이어그램에서 서로 관련성이 있는 사용 케이스들을 클러스터링하고, 클러스터링된 각각의 사용 케이스들을 프레임워크들로 식별하는 식별수단; 상기 분석정보 작성수단 및 상기 식별수단의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순차 다이어그램의 메시지와 객체를 식별하고, 상기 클래스 다이어그램내의 클래스와 클래스간의 관계를 식별하여 구조적으로 모델링하는 구조적 모델링수단; 상기 분석정보 작성수단 및 상기 식별수단의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순차 다이어그램의 메시지, 메시지 흐름 및 객체를 식별하고, 프레임워크내의 클래스, 제어 흐름 및 인터페이스를 식별하여 동적으로 모델링하는 동적 모델링수단; 및 상기 프레임워크를 구현하기 위해, 상기 구조적 모델링수단 및 상기 동적 모델링수단에 의해 모델링된 분석정보를 처리하는 분석정보 처리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일반적인 컴퓨팅 시스템에 적용되는 프레임워크 모델링 방법에 있어서, 통합모델링언어(UML)를 이용한 사용 케이스 다이어그램, 사건 흐름, 순차 다이어그램, 클래스 다이어그램을 작성하는 제 1 단계; 상기 사용 케이스 다이어그램에서 서로 관련성이 있는 사용 케이스들을 클러스터링하여 프레임워크들을 식별하는 제 2 단계; 상기 순차 다이어그램의 메시지와 객체를 식별하고, 상기 클래스 다이어그램내의 클래스와 클래스간의 관계를 식별하여 구조적으로 모델링하는 제 3 단계; 상기 순차 다이어그램의 메시지, 메시지 흐름 및 객체를 식별하고, 프레임워크내의 클래스, 제어 흐름 및 인터페이스를 식별하여 동적으로 모델링하는 제 4 단계; 및 상기 프레임워크를 구현하기 위해 상기 구조적 및 상기 동적 모델링된 분석정보를 처리하는 제 5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UML을 이용한 객체 지향 분석 정보로부터 프레임워크를 구현하는데 필요한 여러 가지 정보들을 얻기 위하여 프레임워크를 구조적 및 동적으로 모형화하는 것이다.
프레임워크를 구조적 및 동적으로 모델링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구조적 모델링 과정은 UML을 이용한 분석정보인 사용 케이스(Use Case) 사건 흐름(Flow of Events), 순차(Sequence) 다이어그램, 클래스 다이어그램간의 상관성을 이용하여 프레임워크를 구성하는 클래스들과 그들간의 관계성을 식별하는 과정으로서, 사건 흐름내에 있는 사건은 순차 다이어그램의 메시지로 매핑되며, 순차 다이어그램의 메시지는 클래스 다이어그램내에 있는 클래스의 메소드로 매핑된다는 사실을 이용하여 이들간의 관계성을 프레임워크 구현시에 적용할 수 있다.
한편, 동적 모델링 과정은 사용 케이스 사건 흐름, 순차 다이어그램을 이용하여 프레임워크내의 제어 흐름 및 인터페이스를 식별하는 과정으로서, 사용 케이스 사건 흐름내의 제어 흐름 정보는 순차 다이어그램의 메시지 흐름으로 표현되며, 순차 다이어그램의 메시지 흐름은 프레임워크의 제어 흐름으로 매핑된다는 사실을 이용하여 객체간의 메시지 흐름을 명확히 파악할 수 있다.
이러한 모델링 과정을 통해서 얻어진 정보는 프레임워크를 구현하는데 필요한 분석정보로서 활용될 수 있으며, 이렇게 구현된 프레임워크가 소프트웨어 개발시에 하부 구조로써 활용된다면 소프트웨어 재사용과 유지보수면에서 많은 장점을 제공할 것이다.
이처럼, 본 발명은 소프트웨어 개발시에 UML을 이용한 객체 지향 방법으로 분석된 정보의 상관관계를 활용하여 프레임워크 구현에 필요한 정보를 추출함으로써, 프레임워크 구현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이용되는 프레임워크의 구조적 모델링을 위한 다이어그램간의 관계를 나타낸 일실시예 설명도로서, 프레임워크의 구조적 모델링을 위하여 UML을 이용한 분석정보인 사용 케이스(Use Case) 사건 흐름(11)과 순차(Sequence) 다이어그램(12)과 클래스 다이어그램(13)간의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프레임워크의 구조적 모델링 과정을 살펴보면, 사용 케이스(Use Case) 사건 흐름(11)내의 각각의 사건들은 순차(Sequence) 다이어그램(12)의 메시지로 표현되며, 순차(Sequence) 다이어그램(12)내의 메시지는 클래스 다이어그램(13)내에 있는 클래스의 메소드로 매핑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사용 케이스(Use Case) 사건 흐름(11)에는 6개의 사건(T1 내지 T6)이 있으며, 제3 및 제5 사건(T3,T5)은 각각 순차(Sequence) 다이어그램(12)의 제1 및 제4 메시지(F1,F4)로 매핑된다. 그리고, 순차(Sequence) 다이어그램(12)의 제1 및 제4 메시지(F1,F4)는 각각 클래스 다이어그램(13)의 클래스A의 메소드[f1()]와 클래스C의 메소드[f4()]로 매핑됨을 알 수 있다.
도 2 는 본 발명에 이용되는 프레임워크의 동적 모델링을 위한 다이어그램간의 관계를 나타낸 일실시예 설명도로서, 프레임워크의 동적 모델링을 위하여 UML을 이용한 분석정보인 사용 케이스(Use Case) 사건 흐름(11)과 순차(Sequence) 다이어그램(12)과 프레임워크X(21)의 제어흐름 및 인터페이스와의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프레임워크의 동적 모델링 과정을 살펴보면, 사용 케이스(Use Case) 사건 흐름(11)의 제어 정보는 순차(Sequence) 다이어그램(12)의 메시지 흐름으로 표현되며, 순차(Sequence) 다이어그램(12)의 메시지 흐름은 프레임워크X(21)의 제어 흐름으로 매핑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사용 케이스(Use Case) 사건 흐름(11)에는 6개의 사건(T1 내지 T6)이 있으며, 제1,2,4,5,6 사건(T1,T2,T4,T5,T6)은 각각 순차(Sequence) 다이어그램(12)의 제1 내지 5 메시지(F1,F2,F3,F4,F5)로 매핑된다.
그리고, 이러한 메시지 흐름과 관련된 객체(a,b,c,d)는 프레임워크(21)내의 클래스들로 매핑이 되는데, 이때 각 클래스들간의 메시지 흐름이 프레임워크X(21)의 제어 흐름이 된다. 즉, 순차(Sequence) 다이어그램(12)의 메시지 흐름(F1->F2->F3->F4->F5)은 프레임워크X(21)의 제어흐름(f1()_1->f1()_2->f1()_3 ->f1()_4->f1()_5)이 된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워크 모델링 장치의 일실시예 구성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워크 모델링 장치는 통합모델링언어(UML)을 이용한 사용 케이스(Use Case) 다이어그램, 사용 케이스 사건 흐름, 순차(Sequense) 다이어그램, 클래스 다이어그램을 작성하는 분석정보 작성부(31)와, 사용 케이스 다이어그램에서 프레임워크들을 식별하는 프레임워크 식별부(32)와, 분석정보 작성부(31) 및 프레임워크 식별부(32)의 결과를 이용하여 순차 다이어그램의 메시지와 객체를 식별하고, 클래스 다이어그램내의 클래스와 그들간의 관계를 식별하는 프레임워크 구조적 모델링부(33)와, 분석정보 작성부(31) 및 프레임워크 식별부(32)의 결과를 이용하여 순차 다이어그램의 메시지, 메시지 흐름 및 객체를 식별하고, 프레임워크내의 클래스, 제어 흐름 및 인터페이스를 식별하는 프레임워크 동적 모델링부(34)와, 프레임워크 모델링 장치는 프레임워크를구현하기 위해 프레임워크 구조적 모델링부(33) 및 프레임워크 동적 모델링부(34)에 의해 모델링된 분석정보를 처리하는 프레임워크 분석정보 처리부(35)를 포함한다.
분석정보 작성부(31)는 UML을 이용하여 사용 케이스 다이어그램, 사용 케이스 다이어그램을 설명하는 사용 케이스 사건 흐름, 객체들간의 메시지 교환을 표현하는 순차 다이어그램, 클래스들과 그들간의 관계를 표시하는 클래스 다이어그램을 작성한다.
프레임워크 식별부(32)는 분석정보 작성부(31)에서 작성된 사용 케이스 다이어그램에서 프레임워크들을 식별한다.
프레임워크 구조적 모델링부(33)는 분석정보 작성부(31)와 프레임워크 식별부(32)의 결과를 이용하여 프레임워크의 구조적 모델링을 수행한다.
프레임워크 구조적 모델링부(33)의 기능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용 케이스 사건 흐름내의 사건과 매핑되는 순차 다이어그램의 메시지를 식별한다. 여기서, 사용 케이스 사건 흐름의 각 사건들은 순차 다이어그램의 메시지로 매핑되므로 특정 사용 케이스에 속하는 메시지를 추출할 수 있다.
둘째, 식별된 메시지를 수신하는 객체를 순차 다이어그램에서 식별한다. 여기서, 이러한 객체는 메시지에 해당하는 메소드를 가지고 있으므로 클래스 추출에 사용된다.
셋째, 클래스 다이어그램으로부터 메시지와 객체에 부합되는 메소드와 클래스를 식별한다. 여기서, 식별된 클래스는 프레임워크를 구성하는 클래스가 된다.
넷째, 프레임워크를 구성하는 클래스들간의 관계성을 식별한다. 여기서, 이러한 과정은 모든 프레임워크들에 적용될 수 있다.
프레임워크 동적 모델링부(34)는 분석정보 작성부(31)와 프레임워크 식별부(32)의 결과를 이용하여 프레임워크의 동적인 모델링을 수행한다.
프레임워크 동적 모델링부(34)의 기능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용 케이스 사건 흐름내의 사건과 매핑되는 순차 다이어그램의 메시지와 메시지 흐름을 식별한다.
둘째, 식별된 메시지 흐름과 관련된 객체를 식별한다.
셋째, 식별된 객체들과 매핑되는 프레임워크의 클래스들을 식별한다. 이때, 이 과정에서 프레임워크 구조적 모델링 과정에서 추출된 프레임워크의 클래스들이 이용될 수 있다.
넷째, 식별된 프레임워크내의 클래스간의 메시지 흐름을 식별한다. 따라서, 식별된 메시지 흐름이 프레임워크의 제어 흐름이 된다.
다섯째, 제어 흐름의 시작점이 되는 메소드를 식별한다. 따라서, 식별된 메소드가 프레임워크의 인터페이스가 된다.
프레임워크 분석정보 처리부(35)는 프레임워크 구조적 모델링부(33) 및 프레임워크 동적 모델링부(34)를 통해 구조적, 동적 모델링을 거친 결과를 프레임워크를 구현하는데 필요한 분석 정보로 활용한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워크 모델링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전체 흐름도이다.
먼저, 분석정보 작성부(31)가 UML을 이용하여 사용자 케이스(Use Case) 다이어그램, 사용자 케이스 다이어그램을 설명하는 사용자 케이스 사건 흐름, 객체들간의 메시지 교환을 표현하는 순차(Sequence) 다이어그램, 클래스들과 그들간의 관계를 표시하는 클래스 다이어그램을 작성한다(401).
이후, 프레임워크 식별부(32)가 분석정보 작성부(31)에서 작성된 사용자 케이스 다이어그램에서 프레임워크들을 식별한다(402).
다음으로, 프레임워크 구조적 모델링부(33)가 분석정보 작성부(31) 및 프레임워크 식별부(32)의 결과를 이용하여 프레임워크의 구조적 모델링을 수행한다(403).
도 5a를 참조하여 프레임워크의 구조적 모델링 과정(403)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 케이스 사건 흐름내의 사건과 매핑되는 순차 다이어그램의 메시지를 식별한다(501). 여기서, 사용자 케이스 사건 흐름의 각 사건들은 순차 다이어그램의 메시지로 매핑되므로 특정 사용 케이스에 속하는 메시지를 추출할 수 있다.
이후, 식별된 메시지를 수신하는 객체를 순차 다이어그램에서 식별하게 되는데(502), 이러한 객체는 메시지에 해당하는 메소드를 가지고 있으므로 클래스 추출에 사용된다.
다음으로, 클래스 다이어그램으로부터 메시지와 객체에 부합되는 메소드와클래스를 식별한다(503). 이때, 이렇게 식별된 클래스는 프레임워크를 구성하는 클래스가 된다.
이어서, 프레임워크를 구성하는 클래스들간의 관계성을 식별한다(504).
상기한 바와 같은 프레임워크 구조적 모델링 과정(403)은 모든 프레임워크들에 적용될 수 있다.
한편, 프레임워크 동적 모델링부(34)가 분석정보 작성부(31) 및 프레임워크 식별부(32)의 결과를 이용하여 프레임워크의 동적인 모델링을 수행한다(404).
도 5b를 참조하여 프레임워크의 동적 모델링 과정(404)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 케이스 사건 흐름내의 사건과 매핑되는 순차 다이어그램의 메시지와 메시지 흐름을 식별하고(511), 식별된 메시지 흐름과 관련된 객체를 식별한다(512).
이후, 식별된 객체들과 매핑되는 프레임워크의 클래스들을 식별한다(513). 이 과정에서 구조적 모델링 과정에서 추출된 프레임워크의 클래스들이 이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이렇게 식별된 프레임워크내의 클래스간의 메시지 흐름을 식별하면(514), 식별된 메시지 흐름이 프레임워크의 제어 흐름이 된다.
이어서, 제어 흐름의 시작점이 되는 메소드를 식별하면(515), 식별된 메소드가 프레임워크의 인터페이스가 된다.
마지막으로, 프레임워크 분석정보 처리부(35)에서 구조적, 동적 모델링을 거친 결과가 프레임워크를 구현하는데 필요한 분석정보로 활용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UML을 이용한 분석정보로부터 프레임워크를 구조적 및 동적으로 모델링하여 프레임워크 구현에 필요한 정보를 용이하게 획득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UML을 이용하여 생성된 분석정보로부터 프레임워크를 구조적, 동적으로 모델링하여 프레임워크를 구현하기 위한 분석정보를 제공하고, 이러한 분석정보를 이용하여 구현된 프레임워크를 소프트웨어 개발시 하부 구조로서 활용한다면 소프트웨어의 재사용과 유지보수면에서 많은 장점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2)

  1. 프레임워크 모델링 장치에 있어서,
    통합모델링언어(UML)를 이용한 사용 케이스(Use Case) 다이어그램, 사용 케이스 사건 흐름, 순차(Sequence) 다이어그램, 클래스 다이어그램을 작성하는 분석정보 작성수단;
    상기 사용 케이스 다이어그램에서 서로 관련성이 있는 사용 케이스들을 클러스터링하고, 클러스터링된 각각의 사용 케이스들을 프레임워크들로 식별하는 식별수단;
    상기 분석정보 작성수단 및 상기 식별수단의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순차 다이어그램의 메시지와 객체를 식별하고, 상기 클래스 다이어그램내의 클래스와 클래스간의 관계를 식별하여 구조적으로 모델링하는 구조적 모델링수단;
    상기 분석정보 작성수단 및 상기 식별수단의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순차 다이어그램의 메시지, 메시지 흐름 및 객체를 식별하고, 프레임워크내의 클래스, 제어 흐름 및 인터페이스를 식별하여 동적으로 모델링하는 동적 모델링수단; 및
    상기 프레임워크를 구현하기 위해, 상기 구조적 모델링수단 및 상기 동적 모델링수단에 의해 모델링된 분석정보를 처리하는 분석정보 처리수단
    을 포함하는 객체지향 분석정보를 이용한 프레임워크 모델링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적 모델링수단은,
    실질적으로, 사용 케이스 사건 흐름내에 있는 사건을 상기 순차 다이어그램의 메시지로 매핑시키고, 상기 순차 다이어그램의 메시지를 상기 클래스 다이어그램의 메시지로 매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객체지향 분석정보를 이용한 프레임워크 모델링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적 모델링수단의 구조적 모델링 과정은,
    사용 케이스 사건 흐름내의 사건과 매핑되는 상기 순차 다이어그램의 메시지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메시지를 수신하는 객체를 상기 순차 다이어그램에서 식별하며, 상기 클래스 다이어그램으로부터 메시지와 객체에 부합되는 메소드와 클래스를 식별하고, 상기 프레임워크를 구성하는 클래스들간의 관계성을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객체지향 분석정보를 이용한 프레임워크 모델링 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동적 모델링 수단은,
    실질적으로, 사용 케이스 사건 흐름내의 제어 흐름 정보를 상기 순차 다이어그램의 메시지 흐름으로 매핑시키고, 상기 순차 다이어그램의 메시지 흐름을 상기 프레임워크의 제어 흐름으로 매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객체지향 분석정보를 이용한 프레임워크 모델링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동적 모델링 수단의 동적 모델링 과정은,
    실질적으로, 사용 케이스 사건 흐름내의 사건과 매핑되는 상기 순차 다이어그램의 메시지와 메시지 흐름을 식별하고, 식별된 메시지 흐름과 관련된 객체를 식별하며, 식별된 객체들과 매핑되는 프레임워크의 클래스들을 식별하고, 식별된 상기 프레임워크내의 클래스간의 메시지 흐름을 식별하며, 제어 흐름의 시작점이 되는 메소드를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객체지향 분석정보를 이용한 프레임워크 모델링 장치.
  6. 일반적인 컴퓨팅 시스템에 적용되는 프레임워크 모델링 방법에 있어서,
    통합모델링언어(UML)를 이용한 사용 케이스 다이어그램, 사건 흐름, 순차 다이어그램, 클래스 다이어그램을 작성하는 제 1 단계;
    상기 사용 케이스 다이어그램에서 서로 관련성이 있는 사용 케이스들을 클러스터링하여 프레임워크들을 식별하는 제 2 단계;
    상기 순차 다이어그램의 메시지와 객체를 식별하고, 상기 클래스 다이어그램내의 클래스와 클래스간의 관계를 식별하여 구조적으로 모델링하는 제 3 단계;
    상기 순차 다이어그램의 메시지, 메시지 흐름 및 객체를 식별하고, 프레임워크내의 클래스, 제어 흐름 및 인터페이스를 식별하여 동적으로 모델링하는 제 4 단계; 및
    상기 프레임워크를 구현하기 위해 상기 구조적 및 상기 동적 모델링된 분석정보를 처리하는 제 5 단계
    를 포함하는 객체지향 분석정보를 이용한 프레임워크 모델링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단계는,
    실질적으로, 사용 케이스 사건 흐름내에 있는 사건을 상기 순차 다이어그램의 메시지로 매핑시키고, 상기 순차 다이어그램의 메시지를 상기 클래스 다이어그램의 메시지로 매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객체지향 분석정보를 이용한 프레임워크 모델링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단계의 구조적 모델링 과정은,
    사용 케이스 사건 흐름내의 사건과 매핑되는 상기 순차 다이어그램의 메시지를 식별하는 제 6 단계;
    상기 식별된 메시지를 수신하는 객체를 상기 순차 다이어그램에서 식별하는 제 7 단계;
    상기 클래스 다이어그램으로부터 메시지와 객체에 부합되는 메소드와 클래스를 식별하는 제 8 단계; 및
    상기 프레임워크를 구성하는 클래스들간의 관계성을 식별하는 제 9 단계
    를 포함하는 객체지향 분석정보를 이용한 프레임워크 모델링 방법.
  9. 제 6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단계는,
    사용 케이스 사건 흐름내의 제어 흐름 정보를 상기 순차 다이어그램의 메시지 흐름으로 매핑시키고, 상기 순차 다이어그램의 메시지 흐름을 상기 프레임워크의 제어 흐름으로 매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객체지향 분석정보를 이용한 프레임워크 모델링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단계의 동적 모델링 과정은,
    사용 케이스 사건 흐름내의 사건과 매핑되는 상기 순차 다이어그램의 메시지와 메시지 흐름을 식별하는 제 6 단계;
    식별된 메시지 흐름과 관련된 객체를 식별하는 제 7 단계;
    식별된 객체들과 매핑되는 프레임워크의 클래스들을 식별하는 제 8 단계;
    식별된 상기 프레임워크내의 클래스간의 메시지 흐름을 식별하는 제 9 단계; 및
    제어 흐름의 시작점이 되는 메소드를 식별하는 제 10 단계
    를 포함하는 객체지향 분석정보를 이용한 프레임워크 모델링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9 단계의 식별된 메시지 흐름은,
    실질적으로, 상기 프레임워크의 제어 흐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객체지향 분석정보를 이용한 프레임워크 모델링 방법.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0 단계의 식별된 메소드는,
    실질적으로, 상기 프레임워크의 인터페이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객체지향 분석정보를 이용한 프레임워크 모델링 방법.
KR1019980048478A 1998-11-12 1998-11-12 칠비트스트링치환문을씨언어로변환하는방법 KR1003112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8478A KR100311232B1 (ko) 1998-11-12 1998-11-12 칠비트스트링치환문을씨언어로변환하는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8478A KR100311232B1 (ko) 1998-11-12 1998-11-12 칠비트스트링치환문을씨언어로변환하는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2115A KR20000032115A (ko) 2000-06-05
KR100311232B1 true KR100311232B1 (ko) 2001-11-17

Family

ID=195580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48478A KR100311232B1 (ko) 1998-11-12 1998-11-12 칠비트스트링치환문을씨언어로변환하는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11232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2115A (ko) 2000-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ishwick Simpack: getting started with simulation programming in C and C++
KR100311231B1 (ko) 객체지향분석정보를이용한프레임워크모델링장치및그방법
Schlenoff et al. A robust process ontology for manufacturing systems integration
CN111796809A (zh) 接口文档生成方法、装置、电子设备及介质
CN103838711A (zh) 基于规则的可定义式语义解析系统及方法
CN109086044B (zh) 一种基于组件的仿真模型开发方法
CN105426676B (zh) 一种钻井数据处理方法和系统
CN111311461B (zh) 基于b-s的结构化动态病历表单的编辑器及生成方法
Rahman et al. Tarsier and ICMS: two approaches to framework development
Ramesh et al. A toolset for modelling and verification of GALS systems
KR100311232B1 (ko) 칠비트스트링치환문을씨언어로변환하는방법
Schlenoff et al. Process specification language (psl): Results of the first pilot implementation
KR100428715B1 (ko) 클래스 다이어그램을 기반으로 한 엔터프라이즈 자바빈생성 장치 및 그 방법
CN116756338A (zh) 面向ar装配引导的工艺知识图谱构建方法及系统
Rajala et al. InSight: reverse engineer case tool
CN116028647A (zh) 基于知识图谱的融合教育智能评语方法及系统
Perry State of the art: Software architecture
CN109388398B (zh) 虚拟化系统中界面生成方法和装置
KR100289047B1 (ko) 프레임워크 식별 시스템 및 프레임워크 식별방법
CN113806556A (zh) 基于电网数据的知识图谱的构建方法、装置、设备及介质
KR101045346B1 (ko) 인터페이스 자동 생성부를 가진 데이터 분산처리 시스템 및 그 방법
JP4328623B2 (ja) オーディオビジュアルコンテンツの分散型意味的記述
CN117234503A (zh) 一种指挥大屏的生成方法、装置、设备和介质
Kim et al. Techniques for Systematically Generating Framework Diagram Based on UML
JP2005512213A5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901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