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10292B1 - 대칭형 가변속도의 디지털 가입자 회선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대칭형 가변속도의 디지털 가입자 회선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10292B1
KR100310292B1 KR1019990061915A KR19990061915A KR100310292B1 KR 100310292 B1 KR100310292 B1 KR 100310292B1 KR 1019990061915 A KR1019990061915 A KR 1019990061915A KR 19990061915 A KR19990061915 A KR 19990061915A KR 100310292 B1 KR100310292 B1 KR 1003102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sdsl
subscriber line
variable speed
data
digital subscri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619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63818A (ko
Inventor
김진태
소운섭
장재득
Original Assignee
오길록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길록,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오길록
Priority to KR10199900619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10292B1/ko
Publication of KR200100638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638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02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029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64Hybrid switching systems
    • H04L12/6418Hybrid transpor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04M11/06Simultaneous speech and data transmission, e.g. telegraphic transmission over the same conductors
    • H04M11/062Simultaneous speech and data transmission, e.g. telegraphic transmission over the same conductors using different frequency bands for speech and other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64Hybrid switching systems
    • H04L12/6418Hybrid transport
    • H04L2012/6478Digital subscriber line, e.g. DSL, ADSL, HDSL, XDSL, VDSL

Abstract

본 발명은 MSDSL 선로에 연결되어 2Mbps이하의 중저속 데이터를 서비스 할 수 있는 대칭형 가변속도의 디지털 가입자 회선 처리장치(MSDSL)에 관한 것으로서, 2Mbps이하의 가변속도로 중저속 대칭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하여, 대칭형 가변속도의 디지털 가입자 회선 처리장치에 있어서, 데이터 신호, 주소 신호, 제어 신호를 발생시켜 로컬 버스에 공급하는 프로세싱 수단; 상기 로컬 버스에 연결된 저장 수단; 상기 로컬 버스에 접속되고 상기 대칭형 가변속도의 디지털 가입자 회선 처리장치에서 송수신되는 데이터가 타이밍에 맞도록하는 가변속도 타이밍 정합 수단; 상기 로컬 버스에 접속되어 있으며, 하향 스트림 데이터를 MSDSL 송신 프로토콜 처리하며, 상향 데이터를 MSDSL 수신 프로토콜 처리를 하는 MSDSL 송수신 수단; 상기 MSDSL 송수신 수단에 연결되어 송수신되는 차동 아날로그 신호를 여파하고 증폭시키며, 하이브리드 정합 기능 및 트랜스포머 정합 기능을 갖는 선로 정합 수단을 포함하며, 교환기 및 디지털 가입자 회선서비스하는 단말장치에 이용됨.

Description

대칭형 가변속도의 디지털 가입자 회선 처리장치{Apparatus For Processing Multi-rate Symmetric Digital Subscriber Line}
본 발명은 상향과 하향의 데이터 전송 속도가 같은 MSDSL 선로에 연결되어 272kbps 에서 784kbps까지의 중저속 데이터를 서비스 할 수 있는 대칭형 가변속도의 디지털 가입자 회선 처리장치(Multi-rate Symmetric Digital Subscriber Line ; 이하, 'MSDSL'이라 칭함)에 관한 것이다.
기존 대칭형 디지털 가입자 회선 처리장치는 양방향으로 동일한 전송 속도로 전송하고, 2선식이 아닌 4선식 가입자 선로를 사용한다. 또한, 디지털 전송 데이터의 계위에 따라 제 1 계위인 2Mbps의 고정 속도로 전송됨으로 전송 거리가 제한적이다. 따라서 가입자선로가 2Mbps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없는 장거리 가입자 회선인 경우 2Mbps이하의 중저속 대칭속도의 디지털 가입자회선 처리장치에 의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므로 장거리의 가입자에게 서비스 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대칭 디지털 가입자 회선 처리장치는 4선식으로 연결되므로 기존의 2선식의 전화선을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교환국측의 디지털 가입자 회선 처리장치와 가입자측의 가입자 단말장치에서 모듈형태로 사용되며 원거리에 있는 가입자에게 선로 상황에 따라 2Mbps이하의 가변속도로 중저속 대칭 데이터를 기존의 2선식 선로에서 전송해 줄 수 있도록 대칭형 가변속도의 디지털 가입자 회선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대칭형 가변속도의 디지털 가입자 회선처리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대칭형 가변속도의 디지털 가입자 회선처리장치에 대한 MSDSL처리부의 구성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2 : 중앙 제어부 104 : 송신셀 처리부
106 : ATM 물리층 처리부 108 : MSDSL 처리부
110 : 수신셀 처리부 112 : 제어신호 정합부
114 : 송수신 셀버스 정합부 202 : 프로세서부
204 : 메모리부 206 : 가변속도 타이밍 정합부
208 : MSDSL 송수신부 210 : MSDSL 선로 정합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대칭형 가변속도의 디지털 가입자 회선 처리장치에 있어서, 데이터 신호, 주소 신호, 제어 신호를 발생시켜 로컬 버스에 공급하는 프로세싱 수단; 상기 로컬 버스에 연결된 저장 수단; 상기 로컬 버스에 접속되고 상기 대칭형 가변속도의 디지털 가입자 회선 처리장치에서 송수신되는 데이터가 타이밍에 맞도록하는 가변속도 타이밍 정합 수단; 상기 로컬 버스에 접속되어 있으며, 하향 스트림 데이터를 MSDSL 송신 프로토콜 처리하며, 상향 데이터를 MSDSL 수신 프로토콜 처리를 하는 MSDSL 송수신 수단; 상기 MSDSL 송수신 수단에 연결되어 송수신되는 차동 아날로그 신호를 여파하고 증폭시키며, 하이브리드 정합 기능 및 트랜스포머 정합 기능을 갖는 선로 정합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대칭형 가변속도의 디지털 가입자 회선처리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가변속도의 디지털 가입자 회선처리장치는 중앙 제어부(102), 송신셀 처리부(104), 수신셀 처리부(110), ATM 물리층 처리부(106), MSDSL 처리부(108), 제어신호 정합부(112), 송수신 셀버스 정합부(114)로 구성된다.
중앙 제어부(102)는 32비트 프로세서를 구비하며, 데이터 신호, 주소 신호, 제어 신호를 발생시켜 이들을 버퍼링하여 로컬 버스에 공급해 주고, 이들 신호들을 조합하여 가입자 정합장치 내의 각부에 속한 디바이스 및 레지스터들에 대한 주소를 지정한다. 중앙 제어부(102)는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롬과 각종 데이터 저장을 위한 램을 구성하여 MSDSL 가입자 처리장치 전체를 제어하는 기능에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한다. 또 49.152MHz와 25MHz의 클럭 발생기를 내장하며, 클럭 발생기에 발생한 클럭을 버퍼링하고 분주하여 로컬 버스, 송신셀 처리부, 수신셀 처리부에 공급한다. 중앙 제어부(102)는 전원 공급시 및 리셋 스위치에 의한 수동 리셋시에 리셋 신호를 생성하여 로컬 버스에 전원을 공급한다. 또한, 직렬 입출력 기능을 구비하여 RS-232C 통신 포트를 통하여 디버깅을 위한 터미널 연결 기능을 제공한다.
송신셀 처리부(104)는 로컬 버스에 접속되고, 송수신 셀버스 정합부(114)로부터 16비트 송신셀을 수신하여 8비트로 변환한다. 변환된 데이터는 점대점 송신셀인 경우는 바로 각 가입자 별로 처리하되, 이를 위해서 송신셀 처리부(104)와 로컬버스 사이에 있는, 미도시된 송신셀 피포(FIFO)에 상술한 변화된 데이터를 저장하였다가 ATM 물리층 처리부(106)로 전송한다. 점대 다중점 송신일 경우는 변환할 가상 경로 식별자(Virtual Path Identifier ; 이하, 'VPI'라 칭함)와 가상 채널 식별자(Virtual Channel Identifier ; 이하, 'VCI'라 칭함) 테이블을 참조하여 VPI와 VCI를 병렬 형식의 송신셀로 변환하여 송신셀 피포에 일시 저장하였다가 ATM 물리층 처리부(106)로 출력한다.
ATM 물리층 처리부(106)는 각 가입자 별로 한 개씩 4개로 구성되어 송신셀피포에서 받은 병렬 송신셀을 직렬로 변환한다. 직렬로 변환된 병렬 송신셀을 ATM 물리층 처리를 하여 MSDSL 처리부(108)로 송신하고, MSDSL 처리부로부터 수신한 직렬 데이터 셀을 병렬로 변환하고 ATM 물리층 수신 처리를 하여 수신셀 처리부로 출력한다. ATM 물리층 규격에 따른 기능을 처리하고 사용자 셀이 없을 때에는 자동으로 휴지 셀을 송수신하여 항상 MSDSL 가입자와의 연결을 유지한다.
MSDSL 처리부(108)는 각 가입자 별로 한 개씩 4개로 구성되어 ATM 물리층 처리부(106)로부터 수신한 직렬 데이터 셀을 MSDSL 변조 방식에 따라 송신 처리를 하여 MSDSL 가입자 선로로 하향 스트림을 출력하고, MSDSL 가입자 선로로부터 입력된 상향 스트림을 MSDSL 수신 처리를 하여 ATM 물리층 처리부(106)로 전달해 준다.
수신셀 처리부(110)는 로컬 버스에 접속되고, ATM 물리층 처리부(106)로부터 8비트로 입력된 수신셀을 분석하고 16비트로 변환하며, 수신셀 처리부(110)와 로컬 버스 사이에 있는 미도시된 수신셀 피포에 일시 저장하였다가 송수신 셀버스 정합부(114)로 전송한다. 또한 미도시된 시험셀 송신 피포와 시험셀 수신 피포를 가지고 있어 자체 루프백 시험용 셀을 일시 저장하는 기능을 갖는다.
송수신 셀버스 정합부(114)는 중앙 제어부(102)의 제어를 받아 자체의 루프백 시험을 할 때는 수신셀 피포에서 받은 시험셀을 송신셀 처리부(104)로 보내도록 루프백 경로를 형성해 주며, 루프백 시험이 아닐 경우에는 송수신 셀버스를 통하여 ATM층 처리장치로 부터 송신셀을 받아서 버퍼링 한 후 송신셀 처리부(104)로 전달해 주고, 수신셀 피포로 부터 수신셀을 받아서 버퍼링 한 후 ATM 물리층 처리부(106)로 전달해 준다.
제어신호 정합부(112)는 로컬 버스에 접속되어 로컬 주소 신호 11비트, 각종 제어 신호(AS*, SD*, R*W) 및 8비트의 데이터 신호를 로컬 버스를 통하여 송수신한다. 또한, 제어신호 정합부(112)는 제어 신호 버스를 통하여 미도시된 ATM층 처리장치와 접속되어 11비트의 주소 신호(EA1 ~ EA11)와 각종 제어 신호(EAS*, EDS*, ER*W)를 수신하고, 8비트 데이터 신호(ED0 ~ ED7)를 송수신하며 2kB의 듀얼포트램을 구성하여 ATM층 처리장치와 상호 통신한다. 제어 신호 버스로부터 주클럭과 셀버스 클럭을 이미터 결합 논리회로(Emitter Coupled Logic ; 이하, 'ECL'이라 칭함) 레벨로 공급 받아서 트렌지스터-트랜지스터 로직(Transistor Transistor Logic) 레벨로 변환하여 로컬 버스를 통하여 송신셀 처리부(104)와 수신셀 처리부(110)에 공급해 준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대칭형 가변속도의 디지털 가입자 회선처리장치에 대한 MSDSL 처리부(108)의 구성도이다. MSDSL 처리부(108)는 프로세서부(202), 메모리부(204), 가변속도 타이밍 정합부(206), MSDSL 송수신부(208), MSDSL 선로 정합부(210)로 구성된다.
프로세서부(202)는 8비트 프로세서를 구비하여 데이터 신호, 주소 신호, 제어 신호을 발생시켜 이들을 로컬 버스에 공급해 주고, 메모리부(204)의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MSDSL 처리부(108)를 제어한다. 로컬 버스는 외부와도 연결되며, MSDSL 처리부(108)가 정상임을 나타내는 신호(CTS*), MSDSL 송수신부 리셋 신호(CRST*), 외부와의 통신 선택 신호(EOE*)도 포함된다. 25MHz의 자체 클럭을 가지며 직렬 입출력 기능을 구비하여 RS-232C 통신 포트를 통하여 디버깅을 위한 터미널 연결 기능을 제공해 준다.
메모리부(204)는 상술한 로컬버스에 연결되어 프로세서부(202)로부터 로컬버스를 통하여 주소 신호를 공급 받고, 16비트 데이터를 주고 받는다. 가변속도 타이밍 정합부(206)로부터 메모리 선택 신호, 메모리 읽기 신호, 메모리 쓰기 신호를 공급 받는다. 본 발명을 실행한 구성의 예를 들면, 메모리부(204)는 기본 모니터 프로그램, 오퍼레이팅 시스템 프로그램, MSDSL 송수신부(208) 제어 프로그램 및 사용자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128kB 롬 1개와 각종 데이터 저장을 위한 256kB 램 1개로 구성된다.
가변속도 타이밍 정합부(206)는 상술한 로컬 버스에 연결되어 주소 신호와 제어 신호를 프로세서부(202)로부터 공급 받아 외부 디바이스를 선택하거나 제어하기 위한 외부 제어신호를 만들어 로컬 버스에 공급해 준다. MSDSL 송수신부(208)로부터 출력된 포트 클럭(BIT-CLK)과 수신 포트 데이터 가능 신호(RFP)를 조합하여 수신데이터(RDATA)를 수신하고, ATM 물리층 처리부(106)의 타이밍에 맞춰서 하향 스트림 클럭(ACLK)을 ATM 물리층 처리부(106)로 공급해 주면서 동시에 ATM 물리층 처리부(106)에 하향 스트림 클럭(ACLK)에 동기된 하향 스트림 데이터(ADAT)를 송신한다. 마찬가지로 상향의 경우 ATM 물리층 처리부(106)의 타이밍에 맞춰서 상향 스트림 클럭(ECLK)을 ATM 물리층 처리부(106)로 공급해 주고, ATM 물리층 처리부(106)로부터 상향 스트림 클럭(ECLK)에 동기된 상향 스트림 데이터(EDAT)를 수신하며, MSDSL 송수신부(208)로부터 수신된 포트 클럭(BIT-CLK)과 송신 포트 데이터 가능 신호(TFP)를 조합하여 송신 데이터(TDATA)를 출력한다.
MSDSL 송수신부(208)는 상기 가변속도 타이밍 정합부(206)로부터 수신된 하향 스트림 데이터를 다중화, 전진 에러 수정, 코딩, 변조,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의 MSDSL 송신 프로토콜 처리를 하여 선로 정합부로 전달해 준다. 반대로 MSDSL 선로 정합부(210)로부터 입력된 아날로그 데이터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고, 역변조, 디코딩, 전진 에러 수정, 역다중화의 MSDSL 수신 프로토콜 처리를 하여 가변속도 타이밍 정합부(206)로 전달하여 준다. 상기 프로세서부(202)와 8비트 데이터를 주고 받으며, 주소 신호와 호스트 선택 신호(HCS*), 호스트 읽기 쓰기 신호(HR*W)를 입력 받고 인터럽트 신호(HIRQ*)를 프로세서부(202)로 출력해 준다.
MSDSL 선로 정합부(210)는 MSDSL 송수신부(208)로부터 수신한 차동 아날로그 신호(TXP, TXN)를 증폭시켜서 MSDSL 가입자 선로로 전송하고, MSDSL 가입자 선로로부터의 신호를 여파하고 증폭한 차동 아날로그 신호(RXP, RXN)를 MSDSL 송수신부(208)로 전달해 주며 하이브리드 정합 기능 및 트랜스포머 정합 기능을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대칭형 가변속도의 디지털 처리장치로서 상향과 하향의 데이터 전송 속도가 같은 MSDSL 선로에 연결되어 2Mbps이하의 중저속으로서 272kbps 에서 784kbps까지 가변 전송속도에 의해 원거리 가입자에게 데이터 서비스 할 수 있으며, 교환국측의 MSDSL 가입자 처리장치와 가입자측의 단말장치에 기존의 전화 선로를 사용하여 서비스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대칭형 가변속도의 디지털 가입자 회선(Multi-rate Symmetric Digital Subscriber Line : MSDSL) 처리장치에 있어서,
    데이터 신호, 주소 신호, 제어 신호를 발생시켜 로컬 버스에 공급하는 프로세싱 수단;
    상기 로컬 버스에 연결된 메모리 수단;
    상기 로컬 버스에 접속되고 상기 대칭형 가변속도의 디지털 가입자 회선 처리장치에서 송수신되는 데이터가 타이밍에 맞도록하는 가변속도 타이밍 정합 수단;
    상기 로컬 버스에 접속되어 있으며, 하향 스트림 데이터를 대칭형 가변속도의 디지털 가입자 회선MSDSL 송신 프로토콜 처리하며, 상향 데이터를 MSDSL 수신 프로토콜 처리를 하는 MSDSL 송수신 수단;
    상기 MSDSL 송수신 수단에 연결되어 송수신되는 차동 아날로그 신호를 여파하고 증폭시키며, 하이브리드 정합 기능 및 트랜스포머 정합 기능을 갖는 선로 정합 수단
    을 포함하는 대칭형 가변속도의 디지털 가입자 회선 처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 수단은
    기본 모니터 프로그램, 오퍼레이팅 시스템 프로그램, MSDSL 송수신부 제어 프로그램 및 사용자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칭형 가변속도의 디지털 가입자 회선 처리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MSDSL 송신 프로토콜 처리는,
    상기 가변속도 타이밍 정합 수단에서 입력된 데이터를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 다중화, 코딩 및 변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칭형 가변속도의 디지털 가입자 회선 처리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MSDSL 수신 프로토콜 처리는,
    선로 정합부로부터 입력된 아날로그 데이터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고, 역변조, 디코딩 및 역다중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칭형 가변속도의 디지털 가입자 회선 처리장치.
  5. 제 1 항 또는 제 2 항 또는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대칭형 가변속도의 디지털 가입자 회선 처리장치의 속도는 가입자 회선의 상태에 따라 가변적으로 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칭형 가변속도의 디지털 가입자 회선 처리장치.
KR1019990061915A 1999-12-24 1999-12-24 대칭형 가변속도의 디지털 가입자 회선 처리장치 KR1003102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1915A KR100310292B1 (ko) 1999-12-24 1999-12-24 대칭형 가변속도의 디지털 가입자 회선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1915A KR100310292B1 (ko) 1999-12-24 1999-12-24 대칭형 가변속도의 디지털 가입자 회선 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3818A KR20010063818A (ko) 2001-07-09
KR100310292B1 true KR100310292B1 (ko) 2001-09-28

Family

ID=196294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61915A KR100310292B1 (ko) 1999-12-24 1999-12-24 대칭형 가변속도의 디지털 가입자 회선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1029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4850B1 (ko) * 2001-08-08 2004-03-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데이터 전송 속도 변환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4850B1 (ko) * 2001-08-08 2004-03-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데이터 전송 속도 변환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3818A (ko) 2001-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50820A (en) Multiple protocol personal communications network system
US5926479A (en) Multiple protocol personal communications network system
KR100286791B1 (ko) 네트워크 링크 엔드포인트 자격검출
US7007296B2 (en) Active cable modem outside customer premises servicing multiple customer premises
US6498806B1 (en) Shared asymmetric digital subscriber line modem
US6944587B2 (en) Ethernet adapting apparatus
KR100310292B1 (ko) 대칭형 가변속도의 디지털 가입자 회선 처리장치
KR100306742B1 (ko) 비동기 전송모드 교환기의 비대칭 디지털 가입자 회선 가입자처리장치
KR100316744B1 (ko) 비대칭 디지털 가입자 회선 프로토콜 처리장치
US20010040876A1 (en) Device for a radio-communication system, in particular for point-to-multipoint connections
JP4319855B2 (ja) アクセスネットワークへ/からの広帯域ネットワークトラフィックの伝送のための区分されたインターフェイス構成
KR100261288B1 (ko) 비대칭 디지털 가입자 회선(에이디에스엘) 가입자 정합모듈
KR100366999B1 (ko) 에이티엠 교환시스템의 비대칭 디지털 가입자 회선 다중화 정합모듈
KR100233257B1 (ko) 비동기 전달 모드 교환기에서의 비대칭 디지털 가입자 회선 처리 장치
KR100233241B1 (ko) 비동기 전달 모드 교환기의 고속 디지털 가입자 회선 정합 장치
KR100238428B1 (ko) 원거리 데이터 통신용 고속 디지털 가입자 회선 장치
KR100242293B1 (ko) 데이타 전송장치
KR100206742B1 (ko) 고속 데이타 전송 장치
KR100223657B1 (ko) 주문형 비디오(vod) 서비스의 네트워크 장치와 전화국사 장치 사이의 제어정보 송수신 방법 및 장치
KR20020016045A (ko) 에이티엠 교환기의 디에스엘 가입자 정합 장치
KR20010057403A (ko) 유 에스 비포트를 이용한 에이 디 에스 엘 모뎀
JPS6161543A (ja) 加入者線収容方式
JPH10304072A (ja) テレックス信号回線交換システム
KR20030034568A (ko) 비동기식 imt-2000시스템에서 기지국과 기지국제어기간 신호전송장치
KR20020038239A (ko) Ds램과 원격 ds램간 데이터 전송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83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