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10063B1 - Optical pick-up - Google Patents

Optical pick-up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10063B1
KR100310063B1 KR1019990003933A KR19990003933A KR100310063B1 KR 100310063 B1 KR100310063 B1 KR 100310063B1 KR 1019990003933 A KR1019990003933 A KR 1019990003933A KR 19990003933 A KR19990003933 A KR 19990003933A KR 100310063 B1 KR100310063 B1 KR 1003100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lens holder
space
holding
optical pick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0393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9990072452A (en
Inventor
이와나가아쓰시
Original Assignee
가타오카 마사타카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타오카 마사타카,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타오카 마사타카
Publication of KR199900724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245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00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0063B1/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 G11B7/09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 G11B7/0925Electromechanical actuators for lens positioning
    • G11B7/093Electromechanical actuators for lens positioning for focusing and track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35Means for guiding the beam from the source to the record carrier or from the record carrier to the detector
    • G11B7/1372Lenses
    • G11B7/1374Objective lens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37Optical disc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ptical Recording Or Reprod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렌즈홀더와 베이스간에 가설되는 복수개의 와이어에 대하여 균일한 댐퍼 효과를 작용하게 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uniform damper effect on a plurality of wires provided between a lens holder and a base.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베이스 (21) 의 후단에 일체로 형성된 유지부 (26) 의 양측면에, 편측에 대하여 2 개씩 총 4 개의 공간부 (28) 를 형성하고, 각 공간부 (28) 를 유지부 (26) 의 측면을 개구한 오목홈 형상으로 한다. 각 공간부 (28) 의 길이 방향을 따르는 일 단면은 유지부 (26) 의 전면 (26a) 으로 되어 있고, 당해 부분에 V 홈 (29a) 과 U 홈 (29b) 으로 구성되는 삽입통과부 (29) 를 형성한다. 광학식 픽업의 조립단계에서 유지부 (26) 의 측방에서 각 와이어 (30) 를 공간부 (28) 와 삽입통과부 (29) 내에 삽입하고, 디스펜서 등을 사용하여 겔화 전의 유동 상태에 있는 점탄성재를 각 공간부 (28) 내에 주입한 후, 이것을 겔화시켜 각 와이어 (30) 의 후단부를 댐퍼제 (34) 로 감싼다.As means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a total of four space portions 28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holding portion 26 integrally formed at the rear end of the base 21, two each on one side, and each space portion 28 is provided. ) Is a concave groove shape in which the side surface of the holding portion 26 is opened. One end surfac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each space part 28 is the front surface 26a of the holding | maintenance part 26, and the insertion part 29 comprised by the V groove 29a and the U groove 29b in the said part is shown. ). In the assembling step of the optical pickup, the wires 30 are inserted into the space 28 and the insertion passage 29 on the side of the holding portion 26, and a viscoelastic material in the flow state before gelation is removed using a dispenser or the like. After inject | pouring into each space part 28, it gels and wraps the rear end part of each wire 30 with the damper agent 34. As shown in FIG.

Description

광학식 픽업{OPTICAL PICK-UP}Optical pickup {OPTICAL PICK-UP}

본 발명은 컴팩트 디스크 또는 미니 디스크 등의 매체에서 정보를 기록 또는 재생하는 광학식 픽업에 관한 것으로, 특히 렌즈홀더를 베이스의 유지부에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와이어의 댐퍼 구조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ptical pickup for recording or reproducing information on a medium such as a compact disc or a mini disc.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amper structure of a wire that elastically supports a lens holder in a holding portion of a base.

광학식 픽업은, 대물렌즈를 유지하는 렌즈홀더와, 이 렌즈홀더를 복수개의 와이어를 통하여 지지하는 베이스와, 렌즈홀더를 포커스 방향 또는 트래킹 방향으로 구동시키는 전자구동기구 등으로 개략 구성되어 있고, 렌즈홀더측에 감긴 포커스 코일 및 트래킹 코일과 베이스 측에 고정된 자기회로에 의하여 전자구동기구가 구성되는 무빙 코일 (MC) 방식으로 불리는 타입과, 렌즈홀더측에 고정된 자기회로와 베이스측에 설치된 포커스 코일 및 트래킹 코일에 의하여 전자구동기구가 구성되는 무빙 마그네트 (MM) 방식으로 불리는 타입으로 크게 구분된다.The optical pickup is roughly composed of a lens holder for holding an objective lens, a base for supporting the lens holder through a plurality of wires, an electronic drive mechanism for driving the lens holder in a focusing direction or a tracking direction, and the like. A type called a moving coil (MC) method in which an electronic drive mechanism is formed by a focus coil and a tracking coil wound on the side and a magnetic circuit fixed on the base side, and a magnetic circuit fixed on the lens holder side and a focus coil installed on the base side. And a moving magnet (MM) type in which the electronic drive mechanism is configured by the tracking coil.

도 6 은 종래의 MC 방식의 광학식 픽업의 요부를 나타내는 외관도, 도 7 은 도 6 의 A-A 선을 따른 단면도로서, 이것들은 일본공개실용신안공보 평4-121027 호에 기재된 것이다.Fig. 6 is an external view showing the main part of a conventional MC optical pickup, and Fig. 7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6, which is described in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Hei 4-121027.

이들 도면에서와 같이, 대물렌즈 (1) 가 렌즈홀더 (2) 에 설치되어 있고, 이 렌즈홀더 (2) 에는 포커스 코일 (3) 과 트래킹 코일 (4) 이 각각 감겨져 있다. 렌즈홀더 (2) 에 가요성 금속재로 이루어지는 4 개의 와이어 (5) 가 고정되어 있고, 이들 와이어 (5) 의 일단은 포커스 코일 (3) 과 트래킹 코일 (4) 에 각각 납땜이 되어 있다. 광투과성재료로 이루어지는 유지부재 (6) 에 4 개의 오목부 (7) 가 형성되어 있고, 이 유지부재 (6) 는 도시를 생략한 베이스에 일체화되어 있다. 각 오목부 (7) 는 유지부재 (6) 의 전면에서 내부로 향하여 소정의 깊이로 형성되고, 와이어 (5) 의 직경과 거의 동일한 직경의 관통공 (8) 을 통하여 유지부재 (6) 의 배면에까지 도달되고 있다. 각 와이어 (5) 의 타단은 각각 오목부 (7) 와 관통공 (8) 에 삽입통과되고, 오목부 (7) 내에 충전된 댐퍼제 (10) 에 의하여 포위되어 있다. 이 댐퍼제 (10) 는 겔화된 자외선 경화형 수지 등의 점탄성재로 이루어지고, 겔화 전의 유동 상태에서 오목부 (7) 내에 충전된 후, 유지부재 (6) 를 투과하여 자외선을 조사함으로써 경화된다. 또한, 각 와이어 (5) 의 타단은 유지부재 (6) 의 배면에서 회로기판 (9) 의 랜드에 납땜되어 있고, 각 와이어 (5) 는 포커스 코일 (3) 과 트래킹 코일 (4) 에 흐르는 전류를 유도하는 작용을 겸하고 있다.As shown in these figures, the objective lens 1 is provided in the lens holder 2, and the focus coil 3 and the tracking coil 4 are wound around the lens holder 2, respectively. Four wires 5 made of a flexible metal material are fixed to the lens holder 2, and one end of these wires 5 is soldered to the focus coil 3 and the tracking coil 4, respectively. Four recessed parts 7 are formed in the holding member 6 made of a light transmissive material, and the holding member 6 is integrated in a base not shown. Each recess 7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depth from the front surface of the holding member 6 to the inside, and the rear surface of the holding member 6 through a through hole 8 having a diameter substantially equal to the diameter of the wire 5. Is being reached. The other end of each wire 5 is inserted through the recess 7 and the through hole 8, and surrounded by a damper agent 10 filled in the recess 7. The damper agent 10 is made of a viscoelastic material such as a gelled ultraviolet curable resin, and is filled in the recess 7 in a flow state before gelation, and then cured by penetrating the holding member 6 and irradiating with ultraviolet rays. In addition, the other end of each wire 5 is soldered to the land of the circuit board 9 on the back surface of the holding member 6, and each wire 5 is a current flowing through the focus coil 3 and the tracking coil 4. It also serves to induce.

한쌍의 영구자석 (12, 13) 이 포커스 코일 (3) 과 트래킹 코일 (4) 을 사이에 두고 대향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고, 이들 영구자석 (12, 13) 은 서로 동극이 마주보도록 요크 (11) 에 고착되어 있다. 요크 (11) 는 유지부재 (6) 와 일체인 상기 베이스 상에 설치되어 있고, 이들 요크 (11) 와 영구자석 (12, 13) 으로 자기회로가 구성되어 있다. 이로써, 영구자석 (12, 13) 은 포커스 코일 (3) 과 트래킹 코일 (4) 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 즉 도 6 의 좌표측인 Y 방향으로 자속을 발생시킨다. 따라서, 포커스 코일 (3) 에 흐르는 전류에 의하여 발생되는 힘은 좌우 모두 Z 방향으로 발생되게 되고, 렌즈홀더 (2) 는 대물렌즈 (1) 의 포커스 방향으로 움직이게 된다. 마찬가지로, 트래킹 코일 (4) 에 흐르는 전류에 의해서도 좌표축의 X 방향의 힘이 작용하고, 렌즈홀더 (2) 는 대물렌즈 (1) 의 트래킹 방향으로 움직이게 된다. 그 때, 대물렌즈 (1) 또는 렌즈홀더 (2) 등으로 구성되는 가동부가 그 질량과 와이어 (5) 의 스티프니스 (stiffness) 에 의하여 결정되는 주파수로 공진시키려면, 와이어 (5) 의 댐퍼제 (10) 로 감싸여 있는 부분도 도 6 의 좌표축의 X 및 Z 방향으로 변위되고, 이 변위에 의하여 발생되는 왜곡이 댐퍼제 (10) 로 흡수됨으로써, 대물렌즈 (1) 또는 렌즈홀더 (2) 등으로 구성되는 가동부의 공진이 억제된다.A pair of permanent magnets 12 and 13 are disposed at opposite positions with the focus coil 3 and the tracking coil 4 interposed therebetween, and the permanent magnets 12 and 13 are yoke 11 so that their opposite poles face each other. ) The yoke 11 is provided on the base integral with the holding member 6, and the yoke 11 and the permanent magnets 12, 13 are constituted by a magnetic circuit. As a result, the permanent magnets 12 and 13 generate magnetic flux in the direction intersecting with the directions of the current flowing in the focus coil 3 and the tracking coil 4, that is, in the Y direction, which is the coordinate side of FIG. Therefore, the force generated by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focus coil 3 is generated in both the left and right Z directions, and the lens holder 2 is moved in the focus direction of the objective lens 1. Similarly, a force in the X direction of the coordinate axis also acts by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tracking coil 4, and the lens holder 2 moves in the tracking direction of the objective lens 1. At that time, if the movable portion composed of the objective lens 1 or the lens holder 2 or the like resonates at a frequency determined by its mass and the stiffness of the wire 5, the damper agent of the wire 5 ( 10) the portion enclosed by 10) is also displaced in the X and Z directions of the coordinate axis of FIG. 6, and the distortion generated by the displacement is absorbed by the damper 10, thereby providing the objective lens 1 or the lens holder 2, or the like. Resonance of the movable portion constituted of is suppressed.

그런데, 전술한 종래의 광학식 픽업에서는, 유지부재 (6) 의 전면에 개설된 4 개의 오목부 (7) 내에 디스펜서 등을 사용하여 미경화의 점탄성재를 주입한 후, 이것을 경화시켜 각 오목부 (7) 내에 댐퍼제 (10) 를 충전시키게 되어 있으므로, 각 오목부 (7) 내에 있어서의 댐퍼제 (10) 의 충전량이 모두 동일하지 않으면, 4 개의 와이어 (5) 에 걸리는 댐퍼제 (10) 의 길이가 불균일 (도 7 의 L1, L2 참조) 해지고, 가동부에 비틀림 등의 불필요한 진동이 발생되게 된다. 그러나, 디스펜서 등을 사용하여 댐퍼제 (10) 의 주입량을 엄밀하게 관리하는 것은 매우 곤란하고, 이것이 광학식 픽업의 조립작업성을 저하시키는 요인으로 되어 있다.By the way, in the conventional optical pickup mentioned above, after inject | pouring an unhardened viscoelastic material into the four recesses 7 opened in the front surface of the holding member 6 using a dispenser etc., it hardened | cured it and each recessed part ( 7) the damper agent 10 is filled in the damper agent 10. Therefore, if the amount of the damper agent 10 in each recess 7 is not the same, the damper agent 10 is applied to the four wires 5. The length becomes uneven (see L1 and L2 in FIG. 7), and unnecessary vibration such as torsion in the movable portion is generated. However, it is very difficult to strictly control the injection amount of the damper agent 10 using a dispenser or the like, which is a factor that degrades the assembly workability of the optical pickup.

또한, 오목부 (7) 내에 댐퍼제 (10) 를 충전시키기 전에, 와이어 (5) 를 유지부재 (6) 전면의 개구에서 오목부 (7) 에 삽입통과시켜야만 하는데, 유지부재(6) 의 전방에 렌즈홀더 (2) 가 존재하므로, 각 와이어 (5) 를 대응하는 오목부 (7) 에 삽입통과시키는 작업도 번거로와지고, 이 또한 조립작업성을 저하시키는 요인으로 되어 있다.In addition, before the damper 10 is filled in the recess 7, the wire 5 must be inserted into the recess 7 at the opening in the front of the retaining member 6, but in front of the retaining member 6; Since the lens holder 2 exists in the grooves, the work of inserting the wires 5 into the corresponding recesses 7 is also cumbersome, which is also a factor that lowers the assembly workability.

나아가, 이러한 문제는 MC 방식의 광학식 픽업에 한하지 않고, MM 방식의 광학식 픽업에서도 동일하게 발생된다.Furthermore, such a problem is not limited to the optical pickup of the MC system, but also occurs in the optical pickup of the MM system.

도 1 은 실시예에 관계되는 광학식 픽업의 조립 도중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during assembly of an optical pickup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2 는 도 1 의 요부를 나타내는 사시도,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ain portion of FIG.

도 3 은 도 2 의 공간부에 댐퍼제를 충전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damper is filled in the space part of FIG. 2;

도 4 는 조립 완료 상태의 광학식 픽업을 나타내는 평면도,4 is a plan view showing the optical pickup in the assembled state;

도 5 는 상기 광학식 픽업의 사시도,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optical pickup,

도 6 은 종래의 광학식 픽업의 요부를 나타내는 외관도,6 is an external view showing a main portion of a conventional optical pickup;

도 7 은 도 6 의 A-A 선을 따른 단면도이다.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6.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20 : 렌즈홀더 21 : 베이스20: lens holder 21: base

22 : 연결부 23 : 일체 성형품22: connection 23: integrally molded product

25, 27 : 와이어 고정부 26 : 유지부25, 27: wire fixing part 26: holding part

28 : 공간부 29 : 삽입통과부28: space portion 29: insertion portion

29a : V 홈 29b : U 홈29a: V groove 29b: U groove

30 : 와이어 31 : 대물렌즈30: wire 31: objective lens

32 : 전자구동기구 33 : 접착제32: electronic drive mechanism 33: adhesive

34 : 댐퍼제34: damper

본 발명은, 댐퍼제가 충전되는 공간부를 와이어의 길이 방향을 따르는 면이 개구된 오목홈 형상으로 하고, 이 공간부에 연속되는 유지부의 전면에 와이어를 삽입통과시키는 삽입통과부를 형성하는 것으로 한다. 이렇게 구성하면, 와이어의 단부를 감싸는 댐퍼제의 길이가 유지부에 형성된 공간부의 기계적 치수에 의하여 결정되므로, 모든 와이어에 대하여 균일한 댐퍼 효과가 작용하고, 가동부에 비틀림 등의 불필요한 진동이 발생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댐퍼제의 충전량을 엄밀하게 관리할 필요가 없어지므로 조립작업성을 간략화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space portion filled with a damper is formed into a concave groove shape in which a surfac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wire is opened, and an insertion passage portion for inserting the wire through the front surface of the holding portion continuous to the space portion is formed. In this configuration, since the length of the damper covering the end of the wire is determined by the mechanical dimensions of the space portion formed in the holding portion, a uniform damper effect is applied to all the wires, and unnecessary vibration such as twisting occurs in the movable portion. It is possible to reliably prevent and at the same time eliminate the need to strictly control the amount of damper filling, thereby simplifying assembly work.

본 발명의 광학식 픽업에서는, 대물렌즈를 유지하는 렌즈홀더와, 유지부를 가지는 베이스와, 상기 렌즈홀더와 상기 유지부간에 가설된 복수개의 와이어와, 상기 렌즈홀더를 포커스 방향 또는 트래킹 방향으로 구동시키는 전자구동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유지부에 형성된 공간부에 상기 와이어의 단부를 감싸는 댐퍼제가 충전되어 있는 광학식 픽업에 있어서, 상기 유지부의 상기 렌즈홀더와 대향하는 전면에 상기 와이어가 삽입통과되는 삽입통과부를 형성하고, 이 삽입통과부에 상기 공간부를 연속 형성함과 동시에, 이 공간부를 상기 와이어의 길이 방향을 따르는 면이 개구된 오목홈 형상으로 하였다.In the optical pickup of the present invention, a lens holder for holding an objective lens, a base having a holding portion, a plurality of wires arranged between the lens holder and the holding portion, and an electron for driving the lens holder in a focusing or tracking direction An optical pickup having a drive mechanism and filled with a damper for enclosing an end portion of the wire in a space formed in the holding portion, wherein the insertion passage portion through which the wire is inserted is inserted into a front surface of the holding portion facing the lens holder. The space portion was formed continuously, and the space portion was formed into a concave groove shape in which the surfac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wire was opened.

이렇게 구성하면, 와이어의 단부를 감싸는 댐퍼제의 길이가 유지부에 형성된 공간부의 기계적 치수에 의하여 결정되므로, 모든 와이어에 대하여 균일한 댐퍼 효과가 작용하고, 가동부에 비틀림 등의 불필요한 진동이 발생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댐퍼제의 충전량을 엄밀하게 관리할 필요가 없어지므로 조립작업성을 간략화시킬 수 있다.In this configuration, since the length of the damper covering the end of the wire is determined by the mechanical dimensions of the space portion formed in the holding portion, a uniform damper effect is applied to all the wires, and unnecessary vibration such as twisting occurs in the movable portion. It is possible to reliably prevent and at the same time eliminate the need to strictly control the amount of damper filling, thereby simplifying assembly work.

상기 공간부의 개구를 상기 유지부의 측면에 위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나, 유지부의 상면 또는 하면에 공간부의 개구를 위치시킬 수도 있다.Preferably, the opening of the space portion is positioned on the side of the holding portion, but the opening of the space portion may be positioned on the upper or lower surface of the holding portion.

또한, 상기 삽입통과부는 유지부의 전면에 형성된 구멍일 수도 있으나, 상기 공간부와 동일 방향을 개구한 노치 형상의 삽입통과부로 하면, 와이어를 삽입통과부와 공간부에 대하여 동일한 방향에서 삽입할 수 있어 조립작업성이 보다 간단해진다.In addition, the insertion through portion may be a hole formed in the front surface of the holding portion, but when the notch-shaped insertion through portion open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space portion, the wire can be inserted in the sam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insertion portion and the space portion. Assembly work becomes simpler.

[실시예]EXAMPLE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하면, 도 1 은 실시예에 관계되는 광학식 픽업의 조립 도중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 는 도 1 의 요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 은 도 2 의 공간부에 댐퍼제를 충전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 는 조립 완료 상태의 광학식 픽업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5 는 상기 광학식 픽업의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ate during assembly of the optical pickup according to the embodiment,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ain part of FIG. 1, and FIG. 3 is a space portion of FIG. Sectional drawing which shows the state which filled the damper agent, FIG. 4 is a top view which shows the optical pickup of the assembled state, and FIG. 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aid optical pickup.

본 실시예에 관계되는 광학식 픽업을 조립하는 경우에는, 도 1 에서와 같이 가동부를 이루는 렌즈홀더 (20) 와 고정부를 이루는 베이스 (21) 를 한쌍의 연결부(22) 를 통하여 연결한 일체 성형품 (23) 을 미리 사출 성형한다. 이 때, 렌즈홀더 (20) 에는 환 형상의 렌즈 유지부 (24) 와, 양측면에 2 개씩 총 4 개의 와이어 고정부 (25) 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베이스 (21) 의 후단에는 유지부 (26) 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이 유지부 (26) 의 양측면에는 2 개씩 총 4 개의 와이어 고정부 (25) 가 형성됨과 동시에, 각 와이어 고정부 (25) 에 인접하는 총 4 개의 공간부 (28) 가 형성되어 있다.When assembling the optical pickup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s shown in Fig. 1, an integrally molded article in which the lens holder 20, which forms the movable portion, and the base 21, which forms the fixed portion, are connected through a pair of connecting portions 22 ( 23) is injection molded in advance. At this time, the lens holder 20 is formed with an annular lens holding portion 24 and four wire fixing portions 25 in total, two on each side. On the other hand, the holding part 26 is integrally formed in the rear end of the base 21, and a total of four wire fixing parts 25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holding part 26, and each wire fixing part is provided. A total of four space portions 28 are formed adjacent to the 25.

도 2 에서와 같이, 베이스 (21) 측의 와이어 고정부 (27) 의 하나는, V 자 형상의 홈 (27a) 과, 이 V 자 형상의 홈 (27a) 의 계곡부에 위치하는 U 자 형상의 홈 (27b) 과, U 자 형상의 홈 (27b) 의 도중에 위치하는 저장부 (27c) 로 구성되어 있고, 나머지의 와이어 고정부 (27) 도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다. V 자 형상의 홈 (27a) 의 개구단의 폭 치수는 후술하게 될 와이어 (30) 의 직경에 비하여 충분히 크게 설정되어 있으나, U 자 형상의 홈 (27b) 의 폭 치수는 와이어 (30) 의 직경과 거의 동일한 폭으로 설정되어 있고, 저장부 (27c) 는 U 자 형상의 홈 (27b) 보다도 폭이 넓고 또한 깊숙이 형성되어 있다. 렌즈홀더 (20) 측의 각 와이어 고정부 (25) 도 베이스 (21) 측의 와이어 고정부 (27) 와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어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나, V 자 형상의 홈 (25a) 과 U 자 형상의 홈 (25b) 및 저장부 (25c) 로 구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 2, one of the wire fixing portions 27 on the base 21 side has a U-shape located at the valley portion of the V-shaped groove 27a and the V-shaped groove 27a. And the storage part 27c located in the middle of the U-shaped groove 27b, and the remaining wire fixing part 27 is also configured in the same way. The width dimension of the opening end of the V-shaped groove 27a is set sufficiently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wire 30 to be described later, but the width dimension of the U-shaped groove 27b is the diameter of the wire 30. The storage portion 27c is wider and deeper than the U-shaped groove 27b. Each wire fixing portion 25 on the lens holder 20 side is also configured in the same manner as the wire fixing portion 27 on the base 21 side, and overlapping description is omitted, but V-shaped grooves 25a and U are omitted. It is composed of a groove 25b and a storage portion 25c.

각 공간부 (28) 는 유지부 (26) 의 측면을 개구한 오목홈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들 공간부 (28) 의 길이 방향의 치수 (L) 은 모두가 동일하게 설정되어 있다. 또한, 각 공간부 (28) 의 길이 방향을 따르는 일 단면은 유지부 (26) 의전면 (26a) 으로 되어 있고, 당해 부분에 삽입통과부 (29) 가 형성되어 있다. 삽입통과부 (29) 는 공간부 (28) 와 동일 방향을 개구한 노치로서, 와이어 고정부 (27) 의 V 자 형상의 홈 (27a) 과 동일한 경사면을 가지는 V 홈 (29a) 과, V 홈 (29a) 의 계곡부에 위치하는 U 홈 (29b) 으로 구성되고, U 홈 (29b) 의 폭 치수는 와이어 (30) 의 직경에 비하여 충분히 크게 설정되어 있다.Each space part 28 is formed in the recessed groove shape which opened the side surface of the holding part 26, and the dimension L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se space parts 28 is set all the same. Moreover, one cross section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each space part 28 is the front surface 26a of the holding | maintenance part 26, and the insertion part 29 is formed in the said part. The insertion passage portion 29 is a notch that opens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space portion 28, and has a V groove 29a having the same slope as the V-shaped groove 27a of the wire fixing portion 27, and a V groove. It consists of U groove 29b located in the valley part of 29a, and the width dimension of U groove 29b is set large enough compared with the diameter of the wire 30. As shown in FIG.

다음으로, 이러한 일체 성형품 (23) 을 사출 성형한 후, 렌즈홀더 (20) 의 렌즈 유지부 (24) 에 대물렌즈 (31) 를 설치함과 동시에, 렌즈홀더 (20) 와 베이스 (21) 에 전자구동기구 (32) 의 각 구성 부품을 설치한다. 본 실시예에 관계되는 광학식 픽업은 MM 방식이므로, 렌즈 유지부 (24) 의 배면에 요크와 마그네트로 구성되는 자성체를 설치하고, 베이스 (21) 상에 포커스 코일과 트래킹 코일을 설치한다. 나아가, 렌즈홀더 (20) 와 베이스 (21) 측의 쌍을 이루는 와이어 고정부 (25, 27) 간에 와이어 (30) 를 가설하고, 각 와이어 (30) 를 공간부 (28) 와 삽입통과부 (29) 내에 위치시킨다. 이 경우, 렌즈홀더 (20) 와 유지부 (26) 의 측방에서 와이어 (30) 를 V 자 형상의 홈 (25a, 27a) 의 폭이 넓은 개구 내에 삽입시키면, 와이어 (30) 는 V 자 형상의 홈 (25a, 27a) 의 좁혀 들어가는 가이드면에 의해 안내되면서 계곡부로 향하고, 계곡부에 형성된 U 자 형상의 홈 (25b, 27b) 내에 자동적으로 끼워지므로, 각 와이어 (30) 를 렌즈홀더 (20) 와 베이스에 대하여 간단하고도 정확하게 위치 결정할 수 있다. 나아가, 본 실시예에서는 렌즈홀더 (20) 와 베이스 (21) 가 동일한 사출 성형 금형을 사용하여 일체로 성형되어 있고, 렌즈홀더 (20) 측의 각 와이어 고정부 (25) 와 베이스 (21) 측의 각 와이어 고정부 (27) 의 상대위치를 금형의 형 (型) 정밀도까지 높일 수 있으므로, 렌즈홀더 (20) 와 베이스 (21) 측의 쌍을 이루는 U 자 형상의 홈 (25b, 27b) 의 직선성을 높은 정확도로 확보할 수 있고, 각 와이어 (30) 를 보다 정확하게 위치 결정할 수 있다.Next, after the injection molding of the integrally molded article 23, the objective lens 31 is attached to the lens holding portion 24 of the lens holder 20, and the lens holder 20 and the base 21 are provided. Each component of the electronic drive mechanism 32 is provided. Since the optical pickup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an MM system, a magnetic body composed of a yoke and a magnet is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lens holding part 24, and a focus coil and a tracking coil are provided on the base 21. Furthermore, the wire 30 is hypothesized between the pair of wire fixing portions 25 and 27 on the lens holder 20 and the base 21 side, and each wire 30 is provided with a space portion 28 and an insertion passage portion ( 29). In this case, when the wire 30 is inserted into the wide opening of the V-shaped grooves 25a and 27a from the sides of the lens holder 20 and the retaining portion 26, the wire 30 is V-shaped. Guided by the narrow guide surface of the grooves 25a and 27a, and directed toward the valley portion, the wire 30 is automatically inserted into the U-shaped grooves 25b and 27b formed in the valley portion, so that each wire 30 is connected to the lens holder 20. Simple and accurate positioning with respect to and base. Furthermore, in this embodiment, the lens holder 20 and the base 21 are integrally molded by using the same injection molding die, and the wire fixing portions 25 and the base 21 side of the lens holder 20 side are molded integrally. Since the relative positions of the respective wire fixing portions 27 can be increased to the mold accuracy of the mold, the U-shaped grooves 25b and 27b of the pair of the lens holder 20 and the base 21 are formed. Linearity can be ensured with high accuracy, and each wire 30 can be positioned more accurately.

그리고, 이렇게 각 와이어 (30) 를 U 자 형상의 홈 (25b, 27b) 내에 위치 결정시킨 상태에서, 디스펜서 등을 사용하여 저장부 (25c, 27c) 내에 접착제 (33) 를 주입하고, 이 접착제 (33) 를 저장부 (25c, 27c) 에 인접하는 U 자 형상의 홈 (25b, 27b) 에 침입시킴으로써, 각 와이어 (30) 를 대응하는 와이어 고정부 (25, 27) 에 접착 고정시킨다. 그렇게 한 후, 겔화 전의 유동 상태에 있는 점탄성재를 디스펜서 등을 사용하여 각 공간부 (28) 의 개구단에서 내부로 주입하고, 이 점탄성재를 겔화시킴으로써, 도 3 에서와 같이 각 와이어 (30) 에 있어서의 유지부 (26) 측의 단부를 댐퍼제 (34) 로 감싼다. 이 때, 와이어 (30) 와 삽입통과부 (29) 간에 소정의 틈새가 확보되어 있으나, 주입된 점탄성재는 자체의 점성에 의하여 공간부 (28) 의 주위벽에 막혀 점탄성재가 삽입통과부 (29) 에서 유출되지는 않는다. 또한, 접착제 (33) 와 댐퍼제 (34) 의 재료로서 함께 자외선 경화형의 것을 사용하면, 디스펜서 등을 사용하여 미경화 상태의 접착제 (33) 와 댐퍼제 (34) 를 각각 저장부 (25c, 27c) 와 공간부 (28) 내에 주입한 후, 이들 접착제 (33) 와 댐퍼제 (34) 를 동시에 UV 경화시킬 수 있으므로, 접착제 (33) 와 댐퍼제 (34) 를 일련의 공정으로 동시에 충전시킬 수 있다. 마지막으로, 일체 성형품 (23) 의 양 연결부 (22) 를 프레스 등으로 절단함으로써, 도 4 와 도 5 에서와 같이 베이스 (21) 의 유지부 (26) 에 대하여 렌즈홀더 (20) 를 4 개의 와이어 (30)로 탄성적으로 지지한 광학식 픽업을 얻을 수 있다.Then, in the state where each wire 30 is positioned in the U-shaped grooves 25b and 27b, the adhesive 33 is injected into the storage portions 25c and 27c using a dispenser or the like, and the adhesive ( 33 is penetrated into the U-shaped grooves 25b and 27b adjacent to the storage portions 25c and 27c to thereby adhesively fix the respective wires 30 to the corresponding wire fixing portions 25 and 27. After doing so, the viscoelastic material in the fluidized state before gelation is injected into the inside of the open end of each space portion 28 by using a dispenser or the like, and the respective viscoelastic material is gelled to form each wire 30 as shown in FIG. The edge part by the side of the holding | maintenance part 26 in the inside is wrapped by the damper agent 34. FIG. At this time, a predetermined gap is secured between the wire 30 and the insertion part 29, but the injected viscoelastic material is blocked by the circumferential wall of the space part 28 by its viscosity, and the viscoelastic material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part 29. It does not flow out of. In addition, when using the ultraviolet curable type | mold together as a material of the adhesive agent 33 and the damper agent 34, using the dispenser etc., the adhesive agent 33 and the damper agent 34 of a non-hardened state are respectively stored 25c, 27c. ) And the damper agent 34 can be UV-cured at the same time after being injected into the cavity and the space part 28, so that the adhesive agent 33 and the damper agent 34 can be simultaneously filled in a series of processes. have. Finally, by cutting both connecting portions 22 of the integrally molded article 23 with a press or the like, the lens holder 20 is connected to four wires with respect to the holding portion 26 of the base 21 as shown in FIGS. 4 and 5. An optical pickup supported elastically at 30 can be obtained.

이렇게 하여 조립된 광학식 픽업에 의하면, 와이어 (30) 의 단부를 감싸는 댐퍼제 (34) 의 길이가 유지부 (26) 에 형성된 공간부 (28) 의 기계적 치수 (도 2 의 L 치수) 에 의하여 결정되므로, 4 개의 모든 와이어 (30) 에 대하여 균일한 댐퍼 효과가 작용하고, 렌즈홀더 (20) 등의 가동부에 비틀림 등의 불필요한 진동이 발생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댐퍼제 (34) 의 충전량을 엄밀히 관리할 필요가 없어지므로 조립작업성을 간략화시킬 수 없다. 또한, 삽입통과부 (29) 가 공간부 (28) 와 동일 방향을 개구한 노치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와이어 (30) 를 공간부 (28) 와 삽입통과부 (29) 에 대하여 동일 방향에서 삽입할 수 있어 조립작업성을 더 한층 향상시킬 수 있다. 나아가, 미리 렌즈홀더 (20) 와 베이스 (21) 를 연결부 (22) 를 통하여 일체 성형하고, 각 와이어 (30) 의 가설 후에 연결부 (22) 를 절단하여 렌즈홀더 (20) 와 베이스 (21) 를 분리하도록 구성하였기 때문에, 와이어 (30) 를 와이어 고정부 (25, 27) 에 접착하거나 공간부 (28) 에 댐퍼제 (34) 를 충전할 때, 렌즈홀더 (20) 와 베이스 (21) 의 위치 정확도가 연결부 (22) 에 의하여 높은 정확도로 유지된 상태가 되고, 이런 점에 의해서도 조립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optical pickup assembled in this way, the length of the damper 34 surrounding the end of the wire 30 is determined by the mechanical dimension (L dimension in FIG. 2) of the space portion 28 formed in the holding portion 26. Therefore, a uniform damper effect is applied to all four wires 30, and it is possible to reliably prevent unnecessary vibration such as torsion from occurring in movable parts of the lens holder 20 and the like. ) The assembly work can not be simplified because it is not necessary to strictly control the filling amount. Moreover, since the insertion part 29 is formed in the notch shape which opened the same direction as the space part 28, the wire 30 is inserted in the sam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space part 28 and the insertion part 29. As shown in FIG. The assembly workability can be further improved. Furthermore, the lens holder 20 and the base 21 are integrally molded through the connecting portion 22 in advance, and after the temporary construction of the respective wires 30, the connecting portions 22 are cut to cut the lens holder 20 and the base 21. Since it is configured to separate, the position of the lens holder 20 and the base 21 when the wire 30 is bonded to the wire fixing portions 25 and 27 or the damper agent 34 is filled into the space portion 28. Accuracy is maintained in a state of high accuracy by the connecting portion 22, and as a result, assembly workability can be improved.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연결부 (22) 를 통하여 일체화 된 렌즈홀더 (20) 와 베이스 (21) 에 와이어 고정부 (25, 27) 를 형성하고, 와이어 (30) 의 가설 후에 연결부 (22) 를 절단하여 렌즈홀더 (20) 와 베이스 (21) 를 분리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했으나, 본 발명은 렌즈홀더 (20) 와 베이스 (21) 를 별도로 성형한 것에도 적용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above embodiment, the wire fixing portions 25 and 27 are formed in the lens holder 20 and the base 21 integrated through the connecting portion 22, and the connecting portion 22 is cut after the provision of the wire 30. Although the case where the lens holder 20 and the base 21 are separated has been described,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the case where the lens holder 20 and the base 21 are separately molded.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무빙 마그네트 (MM) 방식의 광학식 픽업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무빙 코일 (MC) 방식의 광학식 픽업에도 적용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above embodiment, the optical pickup of the moving magnet (MM) method has been described, bu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pplied to the optical pickup of the moving coil (MC) method.

본 발명은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형태로 실시되고, 이하에 기재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in the form described above, and the effects described below can be obtained.

가동부인 렌즈홀더와 고정부인 베이스의 유지부간에 복수개의 와이어를 가설하고, 유지부에 형성된 공간부에 와이어의 단부를 감싸는 댐퍼제가 충전되어 있는 광학식 픽업에 있어서, 상기 공간부를 와이어의 길이 방향을 따르는 면이 개구된 오목홈 형상으로 하고, 이 공간부에 연속되는 유지부의 전면에 와이어를 삽입통과시키는 삽입통과부를 형성하면, 와이어의 단부를 감싸는 댐퍼제의 길이가 유지부에 형성된 공간부의 기계적 치수에 의하여 결정되므로, 모든 와이어에 대하여 균일한 댐퍼 효과가 작용되고, 가동부에 비틀림 등의 불필요한 진동이 발생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댐퍼제의 충전량을 엄밀하게 관리할 필요가 없으므로 조립작업성을 간략화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삽입통과부를 상기 공간부와 동일 방향을 개구한 노치 형상으로 하면, 와이어를 삽입통과부와 공간부에 대하여 동일 방향에서 삽입할 수 있으므로 조립작업성을 보다 간략화시킬 수 있다.In the optical pickup in which a plurality of wires are provided between the lens holder as the movable portion and the holding portion of the base as the fixed portion, and a damper agent is filled in the space formed in the holding portion to wrap the ends of the wires. If the surface is formed in a concave groove shape and an insertion through portion for inserting the wire is inserted into the front surface of the holding portion continuous to the space portion, the length of the damper covering the end of the wire is determined by the mechanical dimension of the space portion formed on the holding portion.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reliably prevent the occurrence of unnecessary vibration such as torsion in the movable part and to ensure the damping effect of all the wires. You can simplify the last name. In addition, when the insertion portion is formed in a notch shape having the same direction as that of the space portion, the wire can be inserted in the sam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insertion portion and the space portion, thereby simplifying the assembly workability.

Claims (2)

대물렌즈를 유지하는 렌즈홀더와, 유지부를 가지는 베이스와, 상기 렌즈홀더와 상기 유지부간에 가설된 복수개의 와이어와, 그리고 상기 렌즈홀더를 포커스 방향 또는 트래킹 방향으로 구동시키는 전자구동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유지부에 형성된 공간부에 상기 와이어의 단부를 감싸는 댐퍼제가 충전되어 있는 광학식 픽업에 있어서,A lens holder for holding an objective lens, a base having a holding portion, a plurality of wires arranged between the lens holder and the holding portion, and an electronic driving mechanism for driving the lens holder in a focusing or tracking direction, In the optical pickup in which the damper agent surrounding the end of the wire is filled in the space formed in the holding portion, 상기 유지부의 상기 렌즈홀더와 대향하는 전면에 상기 와이어가 삽입통과되는 삽입통과부를 형성하고, 이 삽입통과부에 상기 공간부를 연속하여 형성함과 동시에, 이 공간부의 상기 와이어의 길이 방향을 따르는 면이 개구된 오목홈 형상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식 픽업.An insertion passage portion through which the wire is inserted is formed on the front surface facing the lens holder of the holding portion, and the surface portion is formed continuously in the insertion passage portion, and the surfac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wire portion of the space portion is formed. An optical pickup,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n open concave groove shap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통과부가 상기 공간부와 동일 방향을 개구한 노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식 픽업.The optical pickup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nsertion through portion is a notch which opens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space portion.
KR1019990003933A 1998-02-17 1999-02-05 Optical pick-up KR100310063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8-034814 1998-02-17
JP10034814A JPH11232670A (en) 1998-02-17 1998-02-17 Optical pickup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2452A KR19990072452A (en) 1999-09-27
KR100310063B1 true KR100310063B1 (en) 2001-10-29

Family

ID=124246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03933A KR100310063B1 (en) 1998-02-17 1999-02-05 Optical pick-up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H11232670A (en)
KR (1) KR100310063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39132B2 (en) * 1998-11-24 2005-04-20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Optical pickup
JP3981509B2 (en) 1999-11-22 2007-09-26 パイオニア株式会社 LENS DRIVE DEVICE, ITS MANUFACTURING DEVICE, AND LENS DRIVE DEVICE MANUFACTURING METHOD
JP2002260255A (en) * 2001-02-28 2002-09-13 Sony Corp Objective lens driving device and optical pickup device
KR100505644B1 (en) * 2002-10-16 2005-08-03 삼성전자주식회사 Optical pick-up actuator and apparatus for recording and/or reproducing data
JP4543254B2 (en) * 2004-11-04 2010-09-15 船井電機株式会社 Optical head and optical disk apparatu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10883A (en) * 1994-01-20 1995-08-11 Canon Inc Optical pickup driving devic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10883A (en) * 1994-01-20 1995-08-11 Canon Inc Optical pickup driv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2452A (en) 1999-09-27
JPH11232670A (en) 1999-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25105B2 (en) Pickup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6160771A (en) Objective lens drive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0310063B1 (en) Optical pick-up
US6462892B1 (en) Lens driving apparatus,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lens driving apparatus
US20030161228A1 (en) Optical pickup
JP2002367204A (en) Biaxial device of optical disk device
KR100294554B1 (en) Objective lens actuator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JPH0349137B2 (en)
US7870572B2 (en) Objective lens driving apparatus, assembling method thereof and optical head
JPH10334486A (en) Optical pickup
JP3641168B2 (en) Objective lens drive
KR100326827B1 (en) Optical pick-up
JP4399103B2 (en) Optical pickup
US20050111311A1 (en) Optical pickup
JP3306197B2 (en) Objective lens drive
JP2001344784A (en) Lens drive device, optical pickup using the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lens driving device
JP3639132B2 (en) Optical pickup
KR100238033B1 (en) Damper of optical pickup actuator
JP4160929B2 (en) Objective lens support mechanism of optical pickup
JPH087305A (en) Apparatus for supporting optical system
KR19990077684A (en) Optical pick-up
JP3592412B2 (en) Optical pickup
KR0127518B1 (en) Light pick-up actuator
JPH11175993A (en) Supporting mechanism for optical pickup
JP3837323B2 (en) Actuator suspension installation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82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