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08875B1 - 휴대용 충전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충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08875B1
KR100308875B1 KR1019980050087A KR19980050087A KR100308875B1 KR 100308875 B1 KR100308875 B1 KR 100308875B1 KR 1019980050087 A KR1019980050087 A KR 1019980050087A KR 19980050087 A KR19980050087 A KR 19980050087A KR 100308875 B1 KR100308875 B1 KR 1003088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determined
power
charging
generating means
charg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500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33279A (ko
Inventor
김상규
Original Assignee
이우용
동아전기부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우용, 동아전기부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우용
Priority to KR10199800500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08875B1/ko
Publication of KR200000332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332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88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887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4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 H02J9/06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with automatic change-over, e.g. UPS systems
    • H02J9/08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with automatic change-over, e.g. UPS systems requiring starting of a prime-mov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6Accumulators structurally combined with charging apparatu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3/00Alleged dynamo-electric perpetua mobilia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Connection Of Motors, Electrical Generators, Mechanical Devices, And The Like (AREA)

Abstract

개시된 내용은 전원의 공급없이 휴대 이동에 의하여 발생되는 흔들림에 의하여 얻어지는 유동력을 이용하여 소정의 전력을 발전하고, 이를 소형 전자기기의 충전전력으로 이용하기 위한 무전원 휴대용 충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소정의 움직임에 따라 좌,우 회전동력을 발생하는 동력 발생수단(100); 소정의 자극배치구조를 갖고 상기 동력전달수단의 유동력에 의하여 유동하므로서 소정의 자극을 교번형성하는 유동자극(230)과, 유동자극(230)과 원형의 간극을 두고 대향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유동자극(230)과 서로 다른 극성의 자극이 유도형성되는 유도체(240) 및 상기 자성물질의 변화가 일어나는 상기 유도체(240)의 소정위치에 권취되는 코일부재(250)로 이루어진 전류발생수단(200); 및 상기 발생전류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수단(300)을 포함하는 충전장치로서 달성된다.

Description

휴대용 충전장치
본 발명은 휴대용 충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전원의 공급없이 휴대 이동에 의하여 얻어지는 유동력으로 발전하고, 이를 소형 전자기기의 전원으로 이용하기 위한 휴대용 충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통용되는 휴대폰이나 휴대용 오디오등의 휴대용 전자기기들은 대부분의 경우 충전용 밧데리에 충전하여 이를 사용한다. 최근에는 장시간 사용이 가능한 충전밧데리가 등장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공급된 전원에 어댑터를 꽂아 일정시간 충전하는 번거로움이 해소되지는 않았다.
한국 공개실용신안 공개공보 제97-15440호의 충전장치는 휴대용 기기의 측면에 누름손잡이를 부착하여 손잡이를 누름에 따라 부채꼴기어가 회전하여 회전력을 얻고 그 회전력을 발전하여 충전하는 충전장치로서 상기한 충전밧데리보다는 편리하다.
그러나 이 충전장치는 다음과 같은 몇가지 문제점이 있다.
첫째, 손잡이가 휴대용 전자기기의 측면에 노출되어야 함으로 손이나 신체에 부딪혀 손잡이 파손, 그로인한 휴대용 기기의 고장등이 예상되며,
둘째, 충전시에는 손잡이를 상당시간 반복작동하여 눌러주지 않으면 안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손잡이와 같은 누름수단이 노출되지 않고 일일이 손잡이를 누르지 않고도 충전이 가능한 휴대용 충전장치가 필요로 되어 왔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충전밧데리를 사용하는 휴대용 전자제품의 충전장치가 갖는 문제점을 감안하여 손잡이의 사용없이 단지 휴대중에 발생하는 흔들림만으로도 자동충전이 가능한 휴대용 충전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 제 1실시예의 분해도.
도 2는 도 1의 본 발명 1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 제 2 실시예의 분해도.
도 4는 본 발명 제 3실시예의 분해도.
도 5a는 본 발명 제 1실시예의 결합 단면도이고, 도 5b는 본 발명 제 2실시예의 결합 단면도이며,도 5c는 본 발명 제 3실시예의 결합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 충전장치의 발생 전류를 정류,충전하기 위한 충전장치개략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동력발생수단 110 : 반원형 진자
120 : 왕복추 121 : 가이드핀
122 : 가이드 레일 123 : 헬리컬기어
130 : 회전축 132 : 헬리컬기어
140 : 손잡이 150 : 원판체
200 : 발전수단 210 : 메인기어
220 : 종동기어 230 : 회전자
231, 232 : 영구자석 240 : 고정자
250 : 코일 300 : 충전장치
310 : 정류부 320 : 정전압부
이와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휴대용 충전장치는, 반원형 원판의 직선부에 정점을 형성하고 이 정점을 축으로 좌우 유동되는 반원형 진자로 이루어진 동력발생수단; 상기 동력발생수단에 의하여 발생된 동력을 증가시키면서 정속 유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정점을 따라 축상 연속접속되는 기어들로 이루어진 동력전달수단; 상기 기어의 말단에 접속되어 소정의 자력선을 발생하는 회전자와, 이 회전자의 외측에 소정의 코일이 권취되고 이 코일을 통하여 소정 전류를 출력하는 발전수단; 및 상기 발전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전류를 정류하고, 정류된 전류를 정전압으로 출력한 뒤 충전하는 충전장치를 포함하는 휴대용 충전장치로서 달성된다.
상기 동력발생수단은 상하동이 자유로운 왕복추와, 이 왕복추에 헬리컬기어 상태로 수직접설되어 회전력을 발생하는 회전축으로 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 도면중 도 1은 본 발명 제 1실시예의 분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작용을 나타내는 개략 평면도이며, 도 5a는 본 발명 제 1실시예의 결합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 발생 전류를 정류하기 위한 정류부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상기 도면에 따르는 본 발명은 크게 동력을 발생하는 동력발생수단(100)과, 상기 동력발생에 따라 움직이는 자성체로서 소정의 유도코일을 통하여 전류를 얻어 내는 발전수단(200)과, 상기 발생전류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장치(300)로 이루어진다.
이하에서는 상기 발전수단(200)의 발생전류를 정류하기 위한 일반적인 정류부(310)와 정전압부(320) 및 구체적인 충전구조의 설명은 생략한다.
먼저, 상기 동력발생수단(100)은 첨부 도면 도 1과 도 2에서 도시하는 바와같이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반원형 진자(110)를 동력발생원으로 한다. 이 진자 (110)는 정밀한 수평상태의 유지가 어려워 항상 소정 방향 유동한다. 이때의 유동력을 소정의 기어수단(200)으로 증속함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는 유동력을 전달받는 메인기어(210)를 통하여 초기 유동력(좌우 회동력)을 종동기어(220)에 전달하므로서 기어잇수의 비례에 의한 소정의 유동력을 얻어낸다. 본 발명에서 실시된 기어비는 100대 1의 다단기어장치를 사용하므로서 대략 100,000rpm이상의 회전력을 얻는다.
특히, 본 발명은 메인기어(210)에 전달되는 좌우 회동력을 일방향의 회전력으로 변경 가능한 소정의 래칫기어수단등의 적용도 가능하다. 그러나 본 발명은 좌우 유동력만으로도 소기의 목적하는 교번전류를 얻음이 가능하므로 굳이 일방향 회전력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발전수단(200)은 상기한 동력발생수단(100)의 축상에 설치된 메인기어 (210)와, 이 기어(210)에 접속되어 증속되는 종동기어(220)와, 이 기어(220)에 접속되어 소정의 자성을 유도하는 회전자(230)와, 이 회전자(230)가 위치하는 고정자 (240) 및 코일(250)로 이루어진다.
상기에서 회전자(230)는 소정의 N,S극의 영구자석(231)(232)이 적어도 2개이상 배치된 자석이 배치된 회전체이다. 아울러 미세한 여자전류의 공급이 가능한 전자석의 적용도 가능하다.
상기에서 고정자(240)는 도면에서 도시하는 형상을 따르지 않아도 되며, 극소형 충전장치에 적당한 어떠한 형태로도 변경 가능하다. 상기 고정자(240)는 유동력에 의하여 하나의 축상에서 회전하거나 좌, 우 교번 회동하는 회전자(230)에 의한 교번 자계를 형성한다. 이 자계에는 상기 유도된 자극에 의하여 순간 순간 형성되는 자장에 의하여 전류를 발생하는 코일(250)이 권취되어 있다. 이를 트랜스포머형태의 마그네트로 구성할 수 있다.(코일이 권취된 고정자 전체를 마그네트라 함)
상기 고정자(240)는 회전자(230)의 회전으로 발생되는 유도자장의 확산에 유리한 금속재질이 적당하다.
본 발명은 상기 동력발생수단(100)에 의하여 소정의 유동력이 발생되고, 이에 따라 소정의 일방향 내지는 좌,우 반복적인 회전력을 회전자(230)에 전달하게 되고 이 회전자(230)의 일방향 혹은 반복적인 좌, 우 회전력에 의하여 반대 극성의자극이 고정자(240)에 유도되며 이 유도된 자극에 의하여 고정자(240)내 금속물질은 소정의 자계를 순간적으로 형성하므로 그 때마다 코일(250)에는 소정의 전류가 유도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유도된 전류는 정류부(310)와 정전압부(320)를 거쳐 충전장치 즉 충전용 밧데리에 충전이 이루어지게 된다.
첨부 도면중 도 3은 본 발명 제 2 실시예의 분해도이고, 도 5b는 본 발명 제 2실시예의 결합 단면도이다 이 도면들에 따르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의 휴대용 충전장치는 동력발생수단(100)으로 소정의 미세한 상,하 구동으로도 쉽게 상,하 유동하는 추(120) 및 회전축(130)으로 이루어진다. 이 왕복추(120)는 양측으로 분기된 가이드핀(121)을 갖고, 원통형의 외주에 제 1헬리컬기어(122)를 형성하여 상기 회전축 (130)의 외주를 따라 형성된 제 2헬리컬기어(122)에 대응하도록 설치된다.
아울러 상기한 왕복추(120)를 지지하는 수단은 상기 가이드핀(121)이 상,하 작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가이드 레일(122)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소정의 밀폐된 구조내에서 소정의 수직상태를 벗어나는 미동에 의하여 왕복추(120)은 상,하작동하고 이에 따라 회전축(130)은 소정의 회전력을 발생하는 것이다.
회전축(130)의 회전력은 본 발명 상기 제 1실시예에서 설명한 발전수단(200)이 그대로 적용된다.
즉, 상기 회전축(130)에 의한 회동력은 소정의 기어수단(200)으로 증속되고,이 회동력은 메인기어(210)를 통하여 종동기어(220)에 전달되며, 상기 종동기어 (220)는 소정의 자력을 발생하는 회전자(230)를 회전시키게 된다. 이 회전자(230)는 고정자(240)를 자화시켜 이 고정자(240)에 권취된 코일(250)에 전류를 발생하게 한다.
첨부 도면중 도 4는 본 발명 제 3실시예의 분해도이고, 도 5c는 본 발명 제 3실시예의 결합 단면도이다.
상기 도면에 따르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는 다음과 같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와 같은 미세이동으로부터 전류를 얻고자 함이 아니라 긴급하고도 비상적인 상태에서 수동으로 발전하기 위한 충전장치를 제공한다.
즉, 손잡이(140)를 갖는 원판체(150)에서 손잡이(140)로서 원판체(150)를 강제 회전시켜 메인기어(210), 종동기어(220)를 회전시키며, 이 회전력은 소정의 배율로 증속되어 회전자(230)을 회전시키게 된다. 이 회전자(230)는 고정자(240)에 반대극성의 유도자기를 발생하게 되고 고정자(240)에 권취된 코일(250)를 통하여 전류를 발생하는 구조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 휴대용 충전장치는 각종의 휴대용 전자제품에 사용되는 충전장치들이 갖는 문제점을 보완하여 간단히 휴대함에 의하여 발생되는 흔들림으로 소정의 전류를 발생, 충전하도록 하므로서 휴대폰등의 충전 밧데리의 소모가 완료된 상황에서도 필요한 소전력의 재충전이 가능하게 한 효과가 있고 그 결과 비상적인 통화를 가능하게 하므로서 종래 전원을 통한 충전장치들이 갖는 사용한계를 보완 가능하게 한 효과가 있다.

Claims (2)

  1. 휴대용 충전장치에 있어서, 반원형 원판의 직선부에 정점을 형성하고 이 정점을 축으로 좌우 유동되는 반원형 진자로 이루어진 동력발생수단; 상기 동력발생수단에 의하여 발생된 동력을 증가시키면서 정속 유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정점을 따라 축상 연속접속되는 기어들로 이루어진 동력전달수단; 상기 기어의 말단에 접속되어 소정의 자력선을 발생하는 회전자와, 소정의 코일이 권취되고 이 코일을 통하여 소정전류를 출력하기 위하여 상기 회전자의 외측에 위치하는 고정자로 이루어진 발전수단; 및 상기 발전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전류를 정류하고, 정류된 전류를 정전압으로 출력한 뒤 충전하는 충전장치를 포함하는 휴대용 충전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발생수단은, 상하동이 자유로운 왕복추와, 이 왕복추에 헬리컬기어상태로 접설되는 회전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충전장치.
KR1019980050087A 1998-11-21 1998-11-21 휴대용 충전장치 KR1003088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0087A KR100308875B1 (ko) 1998-11-21 1998-11-21 휴대용 충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0087A KR100308875B1 (ko) 1998-11-21 1998-11-21 휴대용 충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3279A KR20000033279A (ko) 2000-06-15
KR100308875B1 true KR100308875B1 (ko) 2001-12-17

Family

ID=195592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50087A KR100308875B1 (ko) 1998-11-21 1998-11-21 휴대용 충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0887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9875A (ko) * 2002-05-20 2003-11-28 최원기 휴대용 핸드폰 충전장치
KR101648529B1 (ko) 2015-06-12 2016-08-17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휴대폰 비상 충전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7375A (ko) * 2001-01-04 2002-07-11 이용일 무전원 축전지 충전기
KR100743571B1 (ko) * 2005-05-10 2007-08-01 오현택 무전원 전기에너지 발생방법 및 그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15440U (ko) * 1995-09-25 1997-04-28 김성윤 휴대용 발전 충전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15440U (ko) * 1995-09-25 1997-04-28 김성윤 휴대용 발전 충전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9875A (ko) * 2002-05-20 2003-11-28 최원기 휴대용 핸드폰 충전장치
KR101648529B1 (ko) 2015-06-12 2016-08-17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휴대폰 비상 충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3279A (ko) 2000-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7215755B2 (en) Planetary geared motor and dynamo
EP0838236A2 (en) Magnetic stimulating apparatus for a living body
WO1998016989A1 (en) Generator
US5905359A (en) Combination flywheel and electrical storage cell and method of use
KR100308875B1 (ko) 휴대용 충전장치
KR101758315B1 (ko) 자이로스코프를 이용한 자가발전장치
KR100743571B1 (ko) 무전원 전기에너지 발생방법 및 그 장치
JPH1052000A (ja) 小型偏平発電機
KR20100077660A (ko) 자가발전기가 구비된 운동기구
KR100764240B1 (ko) 영구 자석을 이용한 발전기
KR200409082Y1 (ko) 영구 자석을 이용한 발전기
KR100424839B1 (ko) 위성기어를 갖는 수동형 발전기
US20050242673A1 (en) Earth's magnetic lines of force motor/generator
JP4011066B2 (ja) 情報機器
RU2820336C1 (ru) Портативное устройство хранения электроэнергии с самогенерацией и структурой хранения на основе наноконденсатора
RU2001118970A (ru) Линейный электродвигатель на постоянных магнитах
RU2549346C2 (ru) Генератор электрической энергии многополюсный магнитнокомпенсированный
RU123599U1 (ru) Генератор электрической энергии многополюсный магнитно-компенсированный
KR20030082005A (ko) 초소형 발전기
WO2018127808A1 (en) Energy conversion apparatus
KR101182656B1 (ko) 가변 발전기
KR20010027086A (ko) 자석을 이용한 회전기
RU27754U1 (ru) Заряд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аккумуляторов
KR200281404Y1 (ko) 초소형 발전기
KR20240111116A (ko) 발전기를 일체화한 발전형 모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715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