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08734B1 - 운모 세라믹 패드와 그 제조방법과 운모 세라믹 패드를 이용한 매트 - Google Patents

운모 세라믹 패드와 그 제조방법과 운모 세라믹 패드를 이용한 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08734B1
KR100308734B1 KR1019990006056A KR19990006056A KR100308734B1 KR 100308734 B1 KR100308734 B1 KR 100308734B1 KR 1019990006056 A KR1019990006056 A KR 1019990006056A KR 19990006056 A KR19990006056 A KR 19990006056A KR 100308734 B1 KR100308734 B1 KR 1003087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ca
ceramic
pad
nonwoven fabric
mica ceram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060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56589A (ko
Inventor
신상실
Original Assignee
신상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상실 filed Critical 신상실
Priority to KR10199900060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08734B1/ko
Publication of KR200000565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565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87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873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20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22Non-woven fab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6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characterised by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mechanically connected, e.g. by needling to another layer, e.g. of fibres, of pa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1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arrangement of fibres or filaments of different layers, e.g. the fibres or filaments being parallel or perpendicular to each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0/00Layered product comprising an impregnated, embedded, or bonded layer wherein the layer comprises an impregnation, embedding, or binder material
    • B32B2260/02Composition of the impregnated, bonded or embedded layer
    • B32B2260/021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0/00Layered product comprising an impregnated, embedded, or bonded layer wherein the layer comprises an impregnation, embedding, or binder material
    • B32B2260/04Impregnation, embedding, or binder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15/00Other materials containing non-metallic inorganic compound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32B2311/00 - B32B2313/04
    • B32B2315/10Mic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Radiation-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운모와 세라믹 분말을 부직포 등의 섬유원단에 침투시켜 원적외선을 방사시키는 운모 세라믹 패드와 그 패드의 제조방법 및, 운모 세라믹 패드를 이용한 매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운모와 세라믹 분말을 물과 혼합하여 소정의 점성을 지닌 운모 세라믹 혼합물을 만들고, 이 운모 세라믹 혼합물을 부직포에 침투시켜 부직포의 섬유조직 사이사이에 운모 세라믹 혼합물이 침투되도록 하고, 운모 세라믹 혼합물이 침투된 부직포를 탈수 및 건조하여 제조되는 운모 세라믹 패드와 그 제조방법으로서, 운모 세라믹 패드를 겉감, 탄성층, 운모 세라믹 패드, 열판, 보온층, 동판, 보온층, 밑감의 적층구조에 적용하여 전기매트를 구성함으로써 원적외선을 방출시키고, 이 원적외선에 의한 신진대사의 촉진, 혈액순환 촉진, 방충 등의 효과를 상승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Description

운모 세라믹 패드와 그 제조방법과 운모 세라믹 패드를 이용한 매트{ILLITE CERAMIC PAD AND METHOD OF ILLITE PAD AND MAT USING ILLITE CERAMIC PAD}
본 발명은 운모 세라믹 분말을 부직포에 침투시켜 운모 세라믹 패드를 제조하는 방법과 그 방법으로 제조된 운모 세라믹 패드, 그리고 운모 세라믹 패드를 이용한 전기담요, 방석 등의 매트에 관한 것이다.
알려진 바와같이 원적외선은 물을 활성화하는 특성을 가지는데 따른 혈액순환 촉진작용, 신진대사의 촉진작용, 방충작용의 효과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원적외선의 효과와 효능을 이용한 각종 생활용품이 제시되고 있는데, 그 중에서도 특히 전기담요, 전기방석, 담요, 방석 등의 매트류에 그 응용의 범위가 넓어지고 있다.
종래에 위와같은 원적외선을 방사하는 물질로서 이른바 황토를 이용한 매트류가 제시되었다.
황토를 이용한 매트류는 대략, 황토분말을 비닐튜브에 넣고 밀봉한 황토 비닐팩을 소재로 하여 겉감과 안감, 탄성재(솜)등으로 황토 비닐팩을 감싸서 재봉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때 황토 비닐팩 속에 내장되는 황토분말이 매트의 사용시에 한쪽으로 쏠려서 뭉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황토 비닐팩 내부를 다수의 작은 방으로 나누는 격자형 구조를 가지도록 하고, 각각의 비닐방 마다 소량씩 황토분말을 채워넣는 구조이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의 황토 비닐팩의 경우에도 매트를 사용할 때 황토가 분말형태이기 때문에 각각의 비닐 방안에서 한쪽으로 쏠리는 현상을 완전하게 배제하기 어렵고, 황토 분말이 한쪽으로 쏠려있기 때문에 매트위에 앉거나 누웠을 때 신체와 접촉하는 부분이 굴곡지게 되어 감각적으로 매우 불편하게 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비닐팩은 통기가 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찢어지기 쉬워서 사용중에 황토분말이 새나오는 경우가 비일비재하였다.
더구나, 비닐팩 내부에 황토분말이 들어있기 때문에 황토분말에서 방사되는 원적외선이 비닐을 투과할 때 감쇄되어 실제로 신체에 도달되는 원적외선이 차단되는 효과가 나타나므로 원적외선 효과를 충분하게 누리기에는 어려움이 따랐다.
본 발명은 원적외선을 방사하는 물질로서 운모분말을 부직포에 침투시켜 원적외선 방사 패드를 구성함으로써 종래의 황토 비닐팩이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한 운모 세라믹 패드와 그 제조방법을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원적외선을 방사하는 물질로서 운모분말과 함께 세라믹 분말을 부직포에 침투시켜 원적외선 방사 패드를 구성함으로써 종래의 황토 비닐팩이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한 운모 세라믹 패드와 그 제조방법을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방법으로 제조된 운모 세라믹 패드를 이용해서 매트를 구성함을 목적으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운모 세라믹 패드의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의 운모 세라믹 패드의 제조공정의 수순을 나타낸 플로우차트
도3은 본 발명에 의해서 제조된 운모 세라믹 패드를 이용한 매트의 구성을 보인 도면
도1은 본 발명의 운모 세라믹 패드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로서, 운모 세라믹 패드(101)를 보이고 있다.
이 운모 세라믹 패드(101)는 부직포 등의 원단에 운모와 세라믹 혼합물을 침투시켜 제조한 것이다.
도2는 상기 도1의 운모 세라믹 패드(101)를 제조하는 공정을 나타낸다.
제1공정(201)에서는 운모원석을 준비한다.
이 운모 원석은 적당한 크기로 파쇄된 상태이며 아직 가공되지 않은 것을 준비하고, 이 공정에서 세라믹 분말을 함께 준비해도 된다.
제2공정(202)에서는 운모원석을 알려진 분쇄기를 이용해서 미세한 분말로 분쇄하는 공정이며, 분쇄의 정도는 운모 세라믹 패드를 적용할 제품의 유형에 따라적절하게 선택하면 된다.
제3공정(203)에서는 혼합공정으로서 운모분말에 세라믹 분말을 혼합하고 이 혼합물에 물을 투입하여 운모 세라믹 혼합물을 소정의 점성을 가지는 상태로 잘 개어서 운모 세라믹 혼합물을 만드는 공정이다.
이 공정에서는 예를 들어 중량비로, 운모분말 55%, 세라믹 분말 15%, 물 30%의 비율로 운모 세라믹 혼합물을 제조한다.
이렇게 제조된 혼합물은 소정의 점성을 가지는데, 물의 혼합비율에 따라 그 점성이 조정되며, 후술하는 부직포 침투가 충분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정도로 묽은 점성을 유지하면 족하다.
제4공정(204)에서는 부직포에 상기 운모 세라믹 혼합물을 적셔서 운모 세라믹 혼합물이 부직포의 각각의 섬유조직 사이로 침투되도록 하는 공정이다.
침투하는데 필요한 소정 시간동안 부직포를 운모 세라믹 혼합물에 적시는데 이 공정에서는 예를 들어, 운모 세라믹 혼합물을 부직포상에 부직포가 충분하게 젖을 정도로 분사시키는 방법을 사용할 수도 있고, 용기안에 운모 세라믹 혼합물을 담아두고 그 속에 부직포를 직접 투입하여 운모 세라믹 혼합물이 부직포의 섬유조직 속으로 침투되도록 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이 공정에서는 운모 세라믹 분말의 점성에 따라 그 침투시간을 조절함으로써 운모 세라믹 혼합물이 부직포의 섬유조직 사이로 침투하는 양을 조절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5공정(205)에서는 운모 세라믹 혼합물이 침투된 부직포에서 수분을 제거하는 탈수공정을 수행한다.
탈수하는 방법은 운모 세라믹 혼합물이 침투된 부직포를 로울러 사이를 통과시켜 가압함으로써 수행할 수 있다.
제6공정(206)에서는 탈수된, 운모 세라믹 혼합물이 침투된 부직포를 건조시킨다.
건조시키는 방법은 자연건조가 있을 수도 있으나, 이 것 보다는 전열에 의해서 가열하여 강제 건조시키는 방법이 생산성이나 작업성면에서 뛰어나다.
이와같이 부직포를 건조시키면 수분은 증발하고 운모 세라믹이 부직포의 섬유조직 사이에 침투한 상태로 남게되어 운모 세라믹 패드(101)가 완성되는 것이다.
제7공정(207)은 운모 세라믹 패드를 완성한 단계를 나타내며, 본 발명의 운모 세라믹 패드(101)는 원단 형태를 가지게 되므로 자유롭게 재단하여 사용할 수 있고, 또 운모 세라믹이 부직포의 섬유조직 사이에 침투해 있기 때문에 운모 세라믹 물질이 누설될 염려가 전혀없다.
또한, 부직포는 섬유조직이므로 통풍이 뛰어나고 평평한 상태를 항시 유지시킬 수 있게 되며, 운모 세라믹 패드의 섬유조직 사이에 침투된 운모 세라믹으로부터 방사되는 원적외선이 장애없이 신체에 전달될 수 있다.
도3은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제조된 운모 세라믹 패드를 이용한 매트의 구성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운모 세라믹 패드를 이용한 매트는 다음과 같은 각각의 소재가 층층이 적층된 형태를 유지한다.
(a). 겉감(301)은 신체와 접촉되는 최상위층을 이루며 순면 카페트의 원단이 그 한 예가 될 수 있다.
(b). 탄성층(302)은 솜(302a)을 세라믹이 침투된 부직포(302b)에 누벼서 부착한 층을 이루며, 신체와 접촉시 쿠션감을 느낄수 있도록 해주고 또한 그 아래의 층에 직접 체중이 실려 충격이 가해지는 것을 완충시켜주는 역할도 한다.
여기서 세라믹이 침투된 부직포(302b)는 도2에서 설명한 공정으로 세라믹 분말을 부직포에 침투시켜 제조한다.
(c). 운모 세라믹 패드(303)은 상기 도2에서 제조된 운모 세라믹 패드 층으로서 원적외선을 방사한다.
(d). 열판(304)은 열선(304a)을 알미늄판(304b)에 내장한 것으로서 은박지 알미늄판 안에 실리콘으로 차폐된 열선을 내장한 것이다.
이 구조는 전자파의 차단을 위한 것이고, 또한 열선(304a)에 전원을 공급함으로써 전열에 의한 가온은 물론, 알미늄판(304b)이 운모 세라믹 패드(303)에서 방사된 원적외선을 반사시켜 그 방사효율을 높여주는 동시에 방사를 신체쪽으로 집중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e). 제 1 보온층(305)은 열판(304)에서 방출된 열을 유지하는 층으로서 하이론 솜이 적절하다.
(f). 동판층(306)은 수맥파를 차단하기 위한 소재로서, 부직포(306a)와 비닐(306b) 및 동박(306c)을 일체화(가압 접착)한 구조를 이룬다.
또한 이 동판층(306)의 동박(306c)은 순동 99.9%의 코팅층으로서 열판(304)에서 방출된 열을 겉감(301) 방향으로 반사시켜 열효율을 높여주고, 동박(306c)을 비닐(306b)을 이용해서 부직포(306a)에 압착한 구조이기 때문에 매트에 접촉시의 금속재(동)에 의한 소음발생도 억제할 수 있도록 하였다.
(g). 제 2 보온층(307)은 지면과 열판(304) 사이의 단열에 주로 기여하여, 열판(304)에서 방출된 열이 지면으로 빼앗기지 않도록 함으로써 보온 효과를 더욱 높여준다.
(h). 밑감(308)은 방수원단을 소재로 하며, 겉감(301)과 함께 매트의 가장 바깥쪽 구조물을 이루어 그 내부의 각각의 층을 보호하고 또한 방수원단을 사용함으로써 내부의 각각의 소재들이 수분에 의해서 손상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원단이므로 재단 등의 성형,가공이 용이하고 제품 유형에 따른 적응성이 뛰어나며, 종래 황토 비닐팩에 대비하여 볼 때 원적외선 방사물질이 누설될 염려가 전혀없고 또한 항상 평판형 원단의 형태를 유지하여 앉거나 누웠을 때 신체와의 접촉부분에서 이질감 없이 항상 편안한 감을 느낄 수 있게 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운모 세라믹 패드와 이 운모 세라믹 패드를 이용한 매트는 통풍성이 뛰어나고 원적외선의 방사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는 구조이고, 또한 이 것에 따른 원적외선의 혈액순환, 신진대사 촉진, 방충 등의 효과를 누릴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운모 세라믹 패드를 이용한 매트는 원적외선 효과는 물론,동판층에 의한 수맥파의 차단효과가 있고, 전열을 효율적으로 집중시킨다.

Claims (3)

  1. 섬유원단에 운모 분말과 세라믹 분말을 침투시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모 세라믹 패드.
  2. 운모 분말과 세라믹 분말을 물과 혼합하여 소정의 점성을 가지는 운모 세라믹 혼합물을 제조하는 운모 세라믹 혼합물 제조공정과, 상기 제조된 운모 세라믹 혼합물을 섬유원단에 침투시키는 운모 세라믹 침투공정과, 상기 운모 세라믹이 침투된 섬유원단에서 수분을 탈수 및 건조시켜 운모 세라믹이 침투된 섬유원단을 제조하는 탈수 및 건조공정으로 진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운모 세라믹 패드의 제조방법.
  3. 다음의 순서로 적층된 구조의 매트로서; (a). 겉감(301), (b). 세라믹이 침투된 부직포에 솜을 누빈 탄성층(302), (c). 운모 세라믹 패드(303), (d). 열선을 알미늄판에 내장하여 구성된 열판(304), (e). 제 1 보온층(305), (f). 부직포와 비닐 및 동박을 일체화하여 구성된 동판층(306), (g). 제 2 보온층(307), (h). 밑감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모 세라믹 패드를 이용한 매트.
KR1019990006056A 1999-02-24 1999-02-24 운모 세라믹 패드와 그 제조방법과 운모 세라믹 패드를 이용한 매트 KR1003087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6056A KR100308734B1 (ko) 1999-02-24 1999-02-24 운모 세라믹 패드와 그 제조방법과 운모 세라믹 패드를 이용한 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6056A KR100308734B1 (ko) 1999-02-24 1999-02-24 운모 세라믹 패드와 그 제조방법과 운모 세라믹 패드를 이용한 매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6589A KR20000056589A (ko) 2000-09-15
KR100308734B1 true KR100308734B1 (ko) 2001-09-26

Family

ID=195748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06056A KR100308734B1 (ko) 1999-02-24 1999-02-24 운모 세라믹 패드와 그 제조방법과 운모 세라믹 패드를 이용한 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08734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6589A (ko) 2000-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57381B1 (ko) 온돌식침대의 황토매트 및 그 제조방법
KR910004084Y1 (ko) 봉재완구
KR100308734B1 (ko) 운모 세라믹 패드와 그 제조방법과 운모 세라믹 패드를 이용한 매트
KR940005048B1 (ko) 유연성 가·보온(加·保溫) 시이트
KR100315461B1 (ko) 건축용내장재의패널
KR200231389Y1 (ko) 건강 매트
KR101850982B1 (ko) 다기능성 건강 매트리스 및 침대
KR200339651Y1 (ko) 천일염 숯 패널 내장형 온열 매트리스
KR100345524B1 (ko) 황토침대용 황토보료 및 황토패드
KR102144915B1 (ko) 세라믹 에어 쿠션 온열전기 매트
KR100257054B1 (ko) 개량 온돌 흙 침대
KR101850976B1 (ko) 다기능성 건강 매트리스 및 침대
KR20010044694A (ko) 원적외선이 방출되는 휴대용 찜질기
KR100497470B1 (ko) 소금 및 게르마늄이 함유된 갯뻘매트를 구비한 온돌식침대
KR101777862B1 (ko)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기능성 침구
KR200387026Y1 (ko) 나무 상판을 구비하는 전기매트
KR200335835Y1 (ko) 천일염 숯 패널 내장형 온열 매트리스
KR200269202Y1 (ko) 다용도 침대 패드
KR200330115Y1 (ko) 원적외선 방출솜
KR19990038020U (ko) 황토를 이용한 전기 매트
KR102397284B1 (ko) 다기능 그래핀 복합시트
KR100362241B1 (ko) 숯한지를 이용한 돌침대
JP2008200629A (ja) 石材塗装板、石材塗装板熱器具、及び岩盤浴装置
KR0123576Y1 (ko) 토분층과 석분층이 형성된 침대용 매트
KR19980024981U (ko) 전기 매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83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