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06623B1 - 파라솔 프레임지지구 - Google Patents

파라솔 프레임지지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06623B1
KR100306623B1 KR1019990022606A KR19990022606A KR100306623B1 KR 100306623 B1 KR100306623 B1 KR 100306623B1 KR 1019990022606 A KR1019990022606 A KR 1019990022606A KR 19990022606 A KR19990022606 A KR 19990022606A KR 100306623 B1 KR100306623 B1 KR 1003066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asol
frame
pin
flange
suppor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226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23891A (ko
Inventor
박태상
Original Assignee
박태상
주식회사명진공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태상, 주식회사명진공업 filed Critical 박태상
Priority to KR10199900226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06623B1/ko
Publication of KR200000238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38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66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6623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31/00Othe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 F25D31/002Liquid coolers, e.g. beverage cooler
    • F25D31/003Liquid coolers, e.g. beverage cooler with immersed cooling el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31/00Details or arrangements of othe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31/80Type of cooled receptacles
    • F25D2331/805C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라솔을 지지하는 지지봉에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 중공관과, 상기 중공관의 상부 영역에 수평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상부프레임의 일단을 수용하여 핀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다수 형성된 수용부를 가지며 상기 수용부의 양측 벽에 형성되어 상기 핀의 양단부를 지지하는 핀공이 형성된 상부플랜지와, 상기 상부플랜지와 소정간격을 두고 상기 중공관의 하부 영역에서 수평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하부프레임의 일단을 수용하여 핀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다수 형성된 수용부를 가지며 상기 수용부의 양측 벽에 형성되어 상기 핀의 양단부를 지지하는 핀공이 형성된 하부플랜지를 구비하는 파라솔 프레임지지구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상부플랜지의 수용부에 형성된 핀공의 위치는 상기 하부플랜지에 형성된 핀공의 위치보다 소정간격을 두고 외측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소, 대형 파라솔에 관계없이 파라솔을 절첩 하였을 때, 그 부피를 보다 더 작게 함으로서 파라솔의 이동 및 보관이 용이할 수 있는 파라솔 프레임지지구가 제공된다.

Description

파라솔 프레임지지구{PARASOL FLAME HOLDER}
본 발명은, 태양광선을 차단할 목적으로 사용되는 파라솔에 있어서, 파라솔 의 프레임을 지지할 수 있는 파라솔 프레임지지구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파라솔의 상부에 환기구를 형성하는 상부프레임과, 그 하부에 설치되어 파라솔을 지지하는 하부프레임을 지지할 수 있는 파라솔 프레임지지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환기구를 형성하는 상부프레임이 접힐 때 파라솔을 지지하는 지지봉과 길이방향에서 거의 평행을 이룰 수 있도록 함으로서 접힐 때의 부피를 더 한층 줄일 수 있도록 한 파라솔 프레임지지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파라솔을 지지하는 지지봉에 삽입되는 파라솔 프레임 지지구에는, 다수의 상하프레임이 설치되며, 하부프레임을 지지하는 지지프레임은 별도의 프레임받침대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상하프레임에 방수천을 씌어 파라솔을 형성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파라솔을 대형화시키고 파라솔의 상부측에 환기구를 설치하고 있는 추세이다.
여기서, 도 1은 종래 파라솔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따른 종래의 파라솔 프레임지지구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은 종래의 파라솔 프레임지지구(50)는, 파라솔(80)을 지지하는 지지봉(73)에 삽입될 수 있도록 내부가 관통된 중공관(60)을 형성하고 있다.
중공관(60)의 상부 영역에 수평방향을 따라 연설되는 상부플랜지(63)에는 환기구(85)를 형성하는 상부프레임(65)을 수용 지지하는 수용부(67)가 다수 형성되어 있고, 수용부(67)에는 상부프레임(65)의 일단을 수용하여 지지할 수 있도록핀공(69)과 이에 삽입된 핀(71)이 설치되어 있다.
중공관(60)의 하부 영역에는 수평방향을 따라 연설되어 상부플랜지(63)와 소정간격을 두고 대향하는 방향 및 동일한 위치에 하부플랜지(73)를 형성하고 있으며, 이 하부플랜지(73)에 형성되어 하부프레임(75)을 수용하는 다수의 수용부(77)와 이 수용부(77)에 형성되는 핀공(79)을 형성하는 구성을 채용하고 있으며, 파라솔 프레임지지구(50)의 하부에는 하부프레임(75)을 지지하는 지지프레임(76)이 설치된 별도의 프레임받침대(78)가 설치되어 있다.
그런데, 파라솔(80)을 사용하지 않을 때는 이를 접게 되는데, 이 때에는 프레임받침대(78)를 손으로 잡고 걸림구(74)를 해제한 후 하향시켜 접게된다.
종래의 파라솔 프레임의지지구(50)는 접힐 때 환기구(85)를 형성하는 상부프레임(65)이 수용부(67)의 핀(71)을 중심으로 회동할 때, 상부프레임(65)이 하부플랜지(73)에 접하게 되면서 더 이상 파라솔(80)을 지지하는 지지봉(73)측으로 이동할 수 없게되고 따라서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프레임(65)의 누여진 각도가 상측으로부터 하측을 향할수록 벌려지는 현상 즉, 상협하광 형상으로 위치하기 때문에 이에 씌워진 방수천의 접히는 부피가 크게 되므로 파라솔의 이동 및 보관시 불편한 단점이 있다.
이렇게 접어진 부피가 크게 되면 소형 파라솔은 불편함이 적을 수 있으나, 대형 파라솔은 그 부피가 크므로 이에 따른 여러 가지 측면에서 매우 불편한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소, 대형 파라솔에 관계없이 파라솔을 접었을 때, 그 부피를 보다 더 작게 함으로서 파라솔의 이동 및 보관이 용이할 수 있는 파라솔 프레임지지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파라솔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예시도,
도 2는 도 1에 따른 종래의 파라솔 프레임지지구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파라솔 프레임지지구의 분리사시도,
도 4는 도 3에 따른 조립된 상태의 종단면도,
도 5는 도 4에 따른 절첩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파라솔 프레임 지지구 13 : 중공관
15 : 상부플랜지 17 : 상부프레임
19 : 수용부 21 : 핀공
23 : 핀 25 : 하부플랜지
26 : 저지턱 27 : 하부프레임
29 : 수용부 31 : 핀공
33 : 핀 35 : 나사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파라솔을 지지하는 지지봉에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 중공관과, 상기 중공관의 상부 영역에 수평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상부프레임의 일단을 수용하여 핀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다수 형성된 수용부를가지며 상기 수용부의 양측 벽에 형성되어 상기 핀의 양단부를 지지하는 핀공이 형성된 상부플랜지와, 상기 상부플랜지와 소정간격을 두고 상기 중공관의 하부 영역에서 수평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하부프레임의 일단을 수용하여 핀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다수 형성된 수용부를 가지며 상기 수용부의 양측 벽에 형성되어 상기 핀의 양단부를 지지하는 핀공이 형성된 하부플랜지를 구비하는 파라솔 프레임지지구에 있어서, 상기 상부플랜지의 수용부에 형성된 핀공의 위치는 상기 하부플랜지에 형성된 핀공의 위치보다 소정간격을 두고 외측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라솔 프레임지지구.
여기서, 상기 하부플랜지는 그 하부로부터 나사 결합되며 상기 하부프레임의 일단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부가 다수 형성된 하부플랜지 덮개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하부플랜지에 형성된 상기 수용부는 적어도 상기 상부프레임의 절첩시 상기 지지봉과 길이방향에서 평행을 이룰 수 있도록 상기 상부프레임을 저지하는 저지턱을 갖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파라솔 프레임 지지구의 분리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에 따른 조립된 상태의 종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에 따른 절첩 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파라솔 프레임지지구(10)는, 파라솔(80)을 지지하는 지지봉(73)에 삽입될 수 있도록 내부가 관통된 중공관(13)을 형성하고, 이 중공관(13)의 상부 영역에는 수평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상부플랜지(15)를 형성하고 있다.
상부플랜지(15)에는 상부프레임(17)의 일단을 수용하여 지지할 수 있도록 다수의 수용부(19)를 형성하고 있으며, 이 수용부(19)의 양측 벽에는 핀공(21)을 형성시켜 수용된 상부프레임(17)의 일단부를 핀(23)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상부플랜지(15)의 하부에는 상부플랜지(15)와 소정간격을 두고 중공관(13)의 하부 영역에서 수평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하부플랜지(25)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하부플랜지(25)에는 하부프레임(27)의 일단을 수용하여 지지할 수 있는 수용부(29)를 형성하고 있으며, 하부프레임(27)의 일단은 하부로부터 조립되는 하부플랜지 덮개(25a) 에 형성된 핀공(31)과, 이에 축설된 핀(33)에 의해 회동 가능하도록 수용부(29a) 지지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부플랜지(15)의 수용부(19)에 형성된 핀공(21)의 위치는, 하부플랜지(25)에 형성된 핀공(31)의 위치보다 소정간격을 두고 외측으로 형성하여, 상부프레임(17) 절첩시 파라솔(80)을 지지하는 지지봉(73)과 길이방향에서 상호 평행을 이룰 수 있도록 형성하고 있다.
하부플랜지(25)의 하부에는 하부프레임(27)의 일단부를 수용할 수 있도록 다수의 수용부(29a)가 형성되어 있는 하부플랜지 덮개(25a)를 나사(35)로 조립함으로서, 하부플렌지(25)에 형성된 수용부(29)와 하나의 수용부를 형성한다.
그리고 하부플랜지(25)는 적어도 상부프레임(17)의 절첩시 지지봉(73)의 길이방향에서 평행을 이룰 수 있도록 상부프레임(17)을 저지하는 저지턱(26)을 형성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파라솔 프레임지지구(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관(13)은 파라솔(80)을 지지하는 지지봉(73)에 삽입되고, 중공관(13)의 상하부 영역에 연설된 상부플렌지(15) 및 하부플랜지(25)에 형성된 각 수용부(19)(29)에는 상 하부프레임(17)(27)이 각각 핀(23)(33)에 의해 축설되어 있는 상태로 파라솔(80)은 펼쳐 있는 상태이다.
따라서, 필요에 따라 파라솔(80)을 접을 때는 지지봉(73)에 지지되어 있는 프레임받침대(78)를 손으로 잡고 걸림구(74)를 해제 한 후 프레임받침대(78)를 하방으로 이동시키면서 접는다.
이렇게 하면 환기구(85)를 형성하고 있는 상부프레임(17)은, 상부플렌지(15)에 형성된 수용부(19)의 핀(23)에 축설된 상태에서 핀(23)을 중심으로 하향하면서절첩된다.
그리고, 하부플렌지(25)의 수용부(29)에 설치된 핀(33)에 지지되어 있던 하부프레임(27)도 파라솔 프레임지지구(10)와 함께 하향하면서 절첩된다.
절첩되는 상부프레임(15)은 파라솔(80)을 지지하는 지지봉(73) 측으로 이동하는데 이동되어 절첩되는 상부프레임(17)은 하부플랜지(25)의 단턱(26)에 접하게 되므로 더 이상 내측으로 이동하지 않으며, 이동 완료된 상부프레임(17)은 지지봉(73)과의 길이방향에서 거의 평행을 이루고 멈춘다.
즉, 상부프레임(17)의 일단을 축설하고 있는 핀(23)의 중심보다, 하부플랜지(25)에 형성된 핀(33)의 중심부가 소정간격을 두고 외측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절첩 완료된 상부프레임(17)과 하부프레임(27)의 아래방향까지 평행을 이루며 고르게 절첩 되는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도면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파라솔 프레임지지구의 형상을 8각형으로 형성하는 것만을 도시하고 있으나, 본원 발명과 동일한 기술적 구성을 갖는 것이라면, 그 형상에 구애받지 않으며,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하부플랜지의 하부에서 조립되는 하부플랜지 덮개를 구비하고 있으나 이 역시 하부플랜지 만을 형성하여서도 본 발명에 따른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으므로 이 또한 본 발명에 기술범위에 속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소, 대형 파라솔에 관계없이 파라솔을 절첩 하였을 때, 그 부피를 보다 더 작게 함으로서 파라솔의 이동 및 보관이 용이할 수 있는 파라솔 프레임지지구가 제공된다.

Claims (3)

  1. 파라솔을 지지하는 지지봉에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 중공관과, 상기 중공관의 상부 영역에 수평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상부프레임의 일단을 수용하여 핀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다수 형성된 수용부를 가지며 상기 수용부의 양측 벽에 형성되어 상기 핀의 양단부를 지지하는 핀공이 형성된 상부플랜지와, 상기 상부플랜지와 소정간격을 두고 상기 중공관의 하부 영역에서 수평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하부프레임의 일단을 수용하여 핀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다수 형성된 수용부를 가지며 상기 수용부의 양측 벽에 형성되어 상기 핀의 양단부를 지지하는 핀공이 형성된 하부플랜지를 구비하는 파라솔 프레임지지구에 있어서,
    상기 상부플랜지의 수용부에 형성된 핀공의 위치는 상기 하부플랜지에 형성된 핀공의 위치보다 소정간격을 두고 외측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라솔 프레임지지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플랜지는 그 하부로부터 나사 결합되며 상기 하부프레임의 일단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부가 다수 형성된 하부플랜지 덮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라솔 프레임지지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플랜지에 형성된 상기 수용부는 적어도 상기 상부프레임의 절첩시 상기 지지봉과 길이방향에서 평행을 이룰 수 있도록 상기 상부프레임을 저지하는 저지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라솔 프레임지지구.
KR1019990022606A 1999-06-16 1999-06-16 파라솔 프레임지지구 KR1003066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2606A KR100306623B1 (ko) 1999-06-16 1999-06-16 파라솔 프레임지지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2606A KR100306623B1 (ko) 1999-06-16 1999-06-16 파라솔 프레임지지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3891A KR20000023891A (ko) 2000-05-06
KR100306623B1 true KR100306623B1 (ko) 2001-09-24

Family

ID=195929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2606A KR100306623B1 (ko) 1999-06-16 1999-06-16 파라솔 프레임지지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0662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21752U (ko) * 1993-03-02 1994-10-19 오세용 자동개폐식 우산
KR19990036485U (ko) * 1998-02-23 1999-09-27 박태상 파라솔의 받침살작동용 손잡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21752U (ko) * 1993-03-02 1994-10-19 오세용 자동개폐식 우산
KR19990036485U (ko) * 1998-02-23 1999-09-27 박태상 파라솔의 받침살작동용 손잡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3891A (ko) 2000-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85201B2 (en) Button-type central locking device for folding tent
US8448656B2 (en) Roof connecting mechanism of foldable tent
US6776271B2 (en) Traveling case with erectly expanded case body
ES2289443T3 (es) Aparato de ajuste de altura y electrodomestico provisto del mismo.
KR100306623B1 (ko) 파라솔 프레임지지구
KR101876083B1 (ko) 조립식 스탠딩 해먹장치
US20070113879A1 (en) Car awning
JP2007132097A (ja) 折畳式の屋根構造及び該屋根構造を有する二脚の屋根構造体
KR101080822B1 (ko) 우산꽂이
JP2740501B2 (ja) ボール籠用枠体
KR200187520Y1 (ko) 조립식 파라솔
KR20120099565A (ko) 손잡이 케이스, 버팀대 및 회전이 가능하고 움직이지 않게 고정시킬 수 있는 중심 막대가 있는 접이식 우산
JP3102692U (ja) 折り畳み式物干し台
KR200349484Y1 (ko) 접이식 세탁물 건조대
KR102153227B1 (ko) 포터블 스탠드형 행거
JPS6033162Y2 (ja) 補助梯子付マンホ−ル
CN216919766U (zh) 一种翻转晾杆结构
KR200230947Y1 (ko) 목발
KR200183273Y1 (ko) 파라솔 지주
KR200228798Y1 (ko) 다목적 절첩식 방충장
KR200300780Y1 (ko) 접이식 빨래 건조대
KR200411125Y1 (ko) 파라솔의 살대 연결 구조
KR200285368Y1 (ko) 절첩식 상다리
JP2001129299A (ja) 携帯用物干し具
JP3169516U (ja) 開閉式物干し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pub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020109

Effective date: 20030228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30527

Effective date: 20041228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INVALIDATION

J2X2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FOR INVALIDATION

EXTG Ip right invalidated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50129

Effective date: 200510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