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05763B1 - 무선가입자망 무선접속장치 송신시스템 및 송신전력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무선가입자망 무선접속장치 송신시스템 및 송신전력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05763B1
KR100305763B1 KR1019990022983A KR19990022983A KR100305763B1 KR 100305763 B1 KR100305763 B1 KR 100305763B1 KR 1019990022983 A KR1019990022983 A KR 1019990022983A KR 19990022983 A KR19990022983 A KR 19990022983A KR 100305763 B1 KR100305763 B1 KR 1003057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transmission
output
amplification
wirel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229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02919A (ko
Inventor
이장호
Original Assignee
서평원
엘지정보통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평원, 엘지정보통신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평원
Priority to KR10199900229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05763B1/ko
Publication of KR200100029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29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57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5763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9/00Forming or shuttering elements for general use
    • E04G9/02Forming boards or similar elements
    • E04G9/05Forming boards or similar elements the form surface being of plastic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9/00Forming or shuttering elements for general use
    • E04G9/02Forming boards or similar elements
    • E04G2009/028Forming boards or similar elements with reinforcing ribs on the undersi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ransmit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광대역 부호분할다중접속방식 무선가입자망 가입자 단말에서 송신신호를 증폭하여 무선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데에 있어서, 각 가입자단말에서 송신되는 신호의 전력을 규격에 맞는 안정적인 신호를 유지시킴으로써, 전체 통신 서비스의 품질을 향상시키고, 그에 따라 기지국에서 관리할 수 있는 가입자단말의 수를 최대화함으로써, 통신 서비스에 소요되는 비용을 최소화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구성은, 무선가입자망 무선접속장치의 송신시스템에 있어서, 입력되는 송신증폭신호(CTL)에 따라 해당하는 송신신호의 증폭률을 산출하고, 그에 따라 실제 증폭되어 출력되는 신호값(RFC)을 입력받아, 두 값의 차이에 따라 산출된 증폭률을 재조정하여 디지털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프로세서(50); 상기 프로세서(50)로부터 출력되는 디지털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한 증폭제어신호(TX_CNTL)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모뎀(60); 송신하고자 하는 신호(TX_I, TX_Q)를 입력받아 변조시키고, 상기 모뎀(60)으로부터 출력되는 증폭제어신호에 따라 해당하는 만큼 증폭시켜 무선전송신호로 변환하여 무선전송하는 신호처리부(70); 상기 신호처리부(7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의 전력값을 감지하여 그에 따른 신호(RFC)를 상기 프로세서(50)로 출력하는 전력감지부(80)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무선가입자망 무선접속장치 송신시스템 및 송신전력 제어방법{Transmitting System for WLL(Wireless Local Loop) RIU(Radio Interface Unit) and Transmitting Power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무선가입자망(WLL; Wireless Local Loop) 무선접속장치 송신시스템 및 송신전력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 말하자면, 광대역 부호분할다중접속(W-CDMA; Wide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방식 무선가입자망 가입자 단말에서 송신신호를 증폭하여 무선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데에 있어서, 안정적인 증폭률을 가진 출력신호를 생성하도록 하는 무선가입자망 무선접속장치 송신시스템 및 송신전력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무선가입자망 시스템은 기존의 공중 회선 교환망(PSTN;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시스템에서 각 가입자 가정과 공중회선 교환기 사이의 일정 구간을 유선 대신 무선으로 대치하는 시스템이다.
이 기술은 농어촌지역과 같이 인구밀도가 희박한 지역에 전화를 가설할 경우 가설비를 줄이기 위한 방편으로, 70년대 초 미국 벨연구소에서 처음 고안되었지만 무선주파수의 확보가 쉽지 않았고, 안테나와 무선 송수신장치의 제조 및 설치비용이 과다하여 상용화 단계에까지 이르지 못했었다.
그러나, 1990년대 중반 전자통신기술의 급속한 발전과 더불어 여러 제조업체에서 경제성 있는 제품을 시장에 속속 출시하고 있고, 통신사업자들도 상기 무선가입자망의 상용화에 지대한 관심을 보이고 있다.
상기 무선가입자망의 장점은, 기존의 유선망 시스템보다 전화망을 쉽게 설치할 수 있고, 시설 확장 비용이 적게 들며, 가입자 증가에 따른 망설계의 유연성이 좋다는 점이다.
또한, 전파가 도달하는 지역은 어디에나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어 통신망 구축이 유연한 장점이 있다.
무선가입자망용으로 개발된 제품으로는 위성을 이용한 시스템, 고정용 마이크로웨이브를 응용한 시스템, 셀룰러(cellular) 기술을 응용한 시스템, 코드리스(codeless) 기술을 응용한 시스템 등이 있다.
그런데, 상기 무선가입망에 적용하는 다중 접속 방식으로는 하나의 중계기대역에 다수의 국이 서로 스펙트럼이 겹치지 않도록 주파수 대역을 분할해 상호 통신을 하는 다중 접속방식인 주파수분할 다중접속(FDMA;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방식과, 하나의 중계기에 다수의 국이 동일한 반송주파수로 신호가 시간적으로 겹치지 않도록 하여 상호통신을 하는 방식인 시분할 다중접속(TDMA; Time Division Multiple Access)방식과, 각 회선 가입자에게 특정의 부호(code)를 할당해 동일 반송주파수의 변조파를 부호로 스펙트럼 확산하여 동일중계기에 송신, 수신측에서는 각각의 부호동기를 취해 바라는 회선을 식별, 접속하는 다중접속방식인 부호분할 다중접속(CDM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방식이 있다.
현재 나온 상용제품으로는 주파수분할 다중접속방식과 시분할 다중접속방식이 주류를 이루고 있으나, 다른 접속 방식에 비해 가입자 수용 용량이 월등히 큰 부호분할 다중접속방식으로 전환되고 있다.
또한 상기 부호분할다중접속방식을 응용한 광대역 부호분할다중접속방식 무선가입자망 시스템은 기존 협대역 부호분할다중접속방식 무선가입자망과는 달리, 호(call), 팩시밀리(facsimile) 및 데이터 전송뿐만 아니라 아이에스디엔(ISDN; Integrated Services Data Network)서비스 및 패킷(packet)망 구현도 가능하게 하는 장점이 있어 개발이 활발해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광대역 부호분할다중접속방식 무선가입자망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각 가정에 있는 전화기(1)로부터 사용자의 신호를 받아 기지국에 전달하는 가입자 무선접속장치(RIU; Radio Interface Unit, 2)와, 상기 무선접속장치(2)와 무선으로 베어러(bearer)의 연결 및 해제를 담당하는 무선기지국(3)과, 기존의 공중 회선 교환망(6)과 호의 링크 설정을 담당하는 무선가입자망 교환기(5)와, 상기 무선기지국(3)과 무선가입자망 교환기(5)와의 호 링크를 연결해주는 무선기지국 조정기(4)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무선가입자망에서, 상기 무선접속장치(2)는 각각의 가입 단말마다 옥내에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서, 각 가정의 전화기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무선기지국(3)에 전달할 수 있는 무선신호로 변환하여 전송하는 송신시스템과, 상기 무선기지국(3)으로부터 전송되어 입력되는 무선신호를 입력받아 전화기(1)에서 처리할 수 있는 신호로 변환하는 수신시스템으로 이루어진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 기술의 광대역 부호분할다중접속방식 무선가입자망 시스템의 무선접속장치 송신시스템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2에 도시되어 있듯이, 종래 기술의 광대역 부호분할다중접속방식 무선가입자망 시스템의 무선접속장치 송신시스템의 구성은,
입력되는 송신증폭신호(CTL)에 따라 해당하는 송신신호의 증폭률을 산출하여 그에 따른 디지털(digital)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프로세서(processor, 10),
상기 프로세서(10)로부터 출력되는 디지털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한 증폭제어신호(TX_CNTL)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모뎀(MODEM, 20)
송신하고자 하는 신호를 입력받아 변조시키고, 상기 모뎀(20)으로부터 출력되는 증폭제어신호(TX_CNTL)에 따라 해당하는 만큼 증폭시켜 무선전송신호로 변환하여 무선전송하는 신호처리부(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신호처리부(30)의 구성은,
송신하고자 하는 I신호와 Q신호를 입력받아 증폭하는 각각의 증폭기(31A, 31B)로 이루어진 입력증폭부(31)와
상기 입력증폭부(31)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받아 무선전송에 적절한 신호로 변환시키는 변조기(32),
상기 변조기(32)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모뎀(20)으로부터 출력되는 증폭제어신호(TX_CNTL)에 따라 해당하는 만큼 증폭하는 중간주파수 증폭기(33),
상기 중간주파수 증폭기(33)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받아 무선전송 주파수로 이동시키는 주파수 혼합기(34),
상기 주파수 혼합기(34)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무선 전송전력의 신호로 증폭시키는 고주파 증폭기(35),
상기 고주파 증폭기(35)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받아 송신 주파수 대역의 신호만 통과시켜 안테나로 전송하는 대역 통과 여과기(3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종래 기술의 광대역 부호분할다중접속방식 무선가입자망 시스템의 무선접속장치 송신시스템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프로세서(10)는 무선접속장치의 전반적인 제어를 담당하는데, 송신 시스템에 있어서는, 입력되는 송신증폭신호(CTL)에 따라 해당하는 송신신호의 증폭률을 산출하여 그에 따른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며, 모뎀(20)의 소자를 조정하여, 무선접속 규격에 맞도록 모뎀을 설정한다.
그리고, 모뎀(20)은 일반적인 확산(spreading) 기능을 하며, 가입자의 전화기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를 I신호(TX_I)와 Q신호(TX_Q)로 변환하여 출력하며, 상기 프로세서(10)로부터 출력되는 디지털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한 증폭제어신호(TX_CNTL)를 생성하여 신호처리부(30)로 출력한다.
신호처리부(30)는 송신하고자 하는 신호(TX_I, TX_Q)를 입력받아, 증폭하고 변조시키며, 상기 모뎀(20)으로부터 출력되는 증폭제어신호(TX_CNTL)에 따라 증폭시켜 무선전송신호로 변환하여 안테나를 통해 무선 전송함으로써, 무선가입자망 가입자의 신호를 기지국으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하, 상기 신호처리부(30)의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입력증폭부(31)는 제1증폭기(31A)와 제2증폭기(31B)를 이용하여 전화기(미도시)로부터 송신하고자 출력되는 I신호(TX_I)와 Q신호(TX_Q)를 각각 입력받아 증폭하여 출력한다.
그리고, 변조기(32)는 상기 입력증폭부(31)의 제1증폭기(31A)와 제2증폭기(31B)로부터 출력되는 각각의 신호를 입력받아 무선전송에 적절한 신호로 변조하는데, 일반적으로 위상시프트키잉(PSK; Phase Shift Keying) 변조를 한다.
그리고, 중간주파수 증폭기(33)는 상기 변조기(32)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모뎀(20)으로부터 출력되는 증폭제어신호(TX_CNTL)에 따라 신호를 증폭시켜 출력한다.
주파수 혼합기(34)는 상기 중간주파수 증폭기(33)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받아, 입력되는 고주파의 캐리어(carrier) 주파수신호(fc)를 이용하여 무선전송을 할 수 있는 주파수대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고주파 증폭기(35)는 상기 주파수 혼합기(34)로부터 출력되는 고주파의 신호를 무선으로 전송할 전력신호로 증폭하여 출력하고, 대역 통과 여과기(36)는 상기 고주파 증폭기(35)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받아 송신 주파수 대역의 신호만 통과시키고 그 이외의 신호는 제거하여 안테나로 전송한다.
상기와 같이 동작함으로써, 가입자가 전화기를 통하여 기지국으로 전송하고자 하는 신호를 무선전송에 적절한 신호로 변환하여 전송한다.
무선가입자망에 있어서, 각각의 가입자단말에서 전송되는 신호, 즉 무선접속장치의 송신시스템으로부터 송신되는 신호의 크기는 규격에 정해진 전력을 가지고 출력되어야 각각의 통신상태를 정상적으로 운용할 수 있다.
즉, 각각의 가입자단말에서 전송되는 신호의 전력이 규격에 맞게 일정한 값으로 전송되어야, 하나의 기지국에서 관리하는 가입자단말의 이론적인 수에 가깝게 통신 서비스를 할 수 있다.
그런데, 상기 프로세서(10)에서 이론적인 규격에 맞는 전력으로 증폭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그에 따라 모뎀(20)에서 증폭제어신호(TX_CNTL)가 출력되어도, 상기 신호처리부(30)의 중간주파수 증폭기(33)를 비롯한 각각의 소자들은 아날로그(analog) 소자이기에 온도 등 주위의 상태나 또는 제품 출하시의 상태 등 환경에 따라 각각 다른 특성을 나타낼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출력되는 신호의 전력은 이론값과 차이가 발생한다.
그에 따라, 무선가입자망 시스템의 각각의 가입자단말의 출력 전력이 균일하지 못하기 때문에, 각각의 단말들 중에서 상대적으로 전력이 미약한 것으로 판단되는 가입자단말은 통신 서비스 상태를 정상적으로 회복하기 위하여 전력을 증가시킨다.
그리고, 그 다음에는 또 상대적으로 송신전력이 미약한 가입자단말에서는 통신 서비스 상태가 불량하므로, 다시 자기 송신신호의 전력을 증가시키며, 그러한 동작이 반복되면서, 전반적으로 해당 기지국이 관리하는 가입자단말들의 송신 전력이 전반적으로 상승하게 된다.
그런데, 각 가입자단말들의 송신전력이 규격 이상으로 상승하게 되면, 기지국에서 관리할 수 있는 가입자단말의 서비스 회선이 줄어들게 되며, 이는 추가적인 기지국의 건설 등이 필요하게 되어, 시스템 운용 비용이 상승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해 각 기지국에서 각 가입자단말에게 송신전력을 조정하라는 역방향 전력제어를 1밀리초마다 수행하는 방법이 있는데, 그러한 경우, 해당 가입자단말 무선접속장치의 프로세서와 해당 기지국의 기능에 무리를 주게 되어 다른 기능에 장애를 가져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광대역 부호분할다중접속방식 무선가입자망 가입자 단말에서 송신신호를 증폭하여 무선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데에 있어서, 각 가입자단말에서 송신되는 신호의 전력을 규격에 맞는 안정적인 신호를 유지시킴으로써, 전체 통신 서비스의 품질을 향상시키고, 그에 따라 기지국에서 관리할 수 있는 가입자단말의 수를 최대화함으로써, 통신 서비스에 소요되는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무선가입자망 무선접속장치 송신시스템 및 송신전력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해당 가입자단말 무선접속장치의 프로세서나 해당 기지국이 역방향 전력제어에 무리한 기능을 구현함으로써 다른 기능에 장애를 가져오는 것을 방지하는 데에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무선가입자망 시스템을 적용한 블럭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무선가입자망 무선접속장치 송신시스템을 적용한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가입자망 무선접속장치 송신시스템을 적용한 블럭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가입자망 무선접속장치 송신전력 제어방법을 적용한 동작 순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50 : 프로세서 60 : 모뎀
70 : 신호처리부 80 : 전력감지부
71 : 증폭부 72 : 변조기
73 : 중간주파수 증폭기 74 : 주파수 혼합기
75 : 고주파 증폭기 76 : 대역 통과 여과기
81 : 핀 다이오드 82 :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무선가입자망 무선접속장치의 송신시스템에 있어서,
입력되는 송신증폭신호에 따라 해당하는 송신신호의 증폭률을 산출하고, 그에 따라 실제증폭되어 출력되는 신호값을 입력받아, 두 값의 차이에 따라 산출된증폭률을 재조정하여 디지털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제어수단;
상기 제어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디지털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한 증폭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신호변환수단;
송신하고자 하는 신호를 입력받아 변조시키고, 상기 신호변환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증폭제어신호에 따라 해당하는 만큼 증폭시켜 무선전송신호로 변환하여 무선전송하는 신호처리수단;
상기 신호처리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의 전력값을 감지하여 그에 따른 신호를 상기 제어수단으로 출력하는 전력감지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구성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무선가입자망 무선접속장치 송신시스템의 송신전력 제어방법에 있어서,
증폭제어값을 판독하여 그에 따른 예상 송신전력값을 산출하는 단계;
실제 송신전력값을 판독하는 단계;
상기 예상 송신전력값과 실제 송신전력값을 비교하여 그 값이 다른 경우, 증폭제어값을 변화시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3에 도시되어 있듯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무선가입자망 무선접속장치 송신시스템의 구성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무선가입자망 무선접속장치의 송신시스템에 있어서,
입력되는 송신증폭신호(CTL)에 따라 해당하는 송신신호의 증폭률을 산출하고, 그에 따라 실제증폭되어 출력되는 신호값(RFC)을 입력받아, 두 값의 차이에 따라 산출된 증폭률을 재조정하여 디지털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프로세서(50);
상기 프로세서(50)로부터 출력되는 디지털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한 증폭제어신호(TX_CNTL)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모뎀(60);
송신하고자 하는 신호(TX_I, TX_Q)를 입력받아 변조시키고, 상기 모뎀(60)으로부터 출력되는 증폭제어신호에 따라 해당하는 만큼 증폭시켜 무선전송신호로 변환하여 무선전송하는 신호처리부(70);
상기 신호처리부(7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의 전력값을 감지하여 그에 따른 신호(RFC)를 상기 프로세서(50)로 출력하는 전력감지부(8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신호처리부(70)의 구성은,
송신하고자 하는 I신호와 Q신호를 입력받아 증폭하는 각각의 증폭기(71A, 71B)로 이루어진 입력증폭부(71)와
상기 입력증폭부(71)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받아 무선전송에 적절한 신호로 변환시키는 변조기(72),
상기 변조기(72)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모뎀(20)으로부터 출력되는 증폭제어신호(TX_CNTL)에 따라 해당하는 만큼 증폭하는 중간주파수 증폭기(73),
상기 중간주파수 증폭기(73)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받아 무선전송 주파수로 이동시키는 주파수 혼합기(74),
상기 주파수 혼합기(74)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무선 전송전력의 신호로 증폭시키는 고주파 증폭기(75),
상기 고주파 증폭기(75)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받아 송신 주파수 대역의 신호만 통과시켜 안테나로 전송하는 대역 통과 여과기(7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전력감지부(80)의 구성은,
상기 신호처리부(70)의 고주파 증폭기(75)로부터 출력되는 전송신호에서 전력값을 추출하여 일정한 규격의 신호로 변환시켜 출력하는 핀 다이오드(PIN diode, 81),
상기 핀 다이오드(81)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받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프로세서(50)로 출력하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82)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실시예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우선, 개괄적인 동작을 설명하면, 무선가입자망 무선접속장치의 프로세서(50)는 무선접속장치의 전반적인 제어를 담당하는데, 송신시스템에 있어서는, 입력되는 송신증폭신호(CTL)에 따라 해당하는 송신신호의 증폭률을 산출하고, 그에 따라 실제증폭되어 출력되는 신호값(RFC)을 입력받아, 두 값의 차이에 따라 산출된 증폭률을 재조정하여 디지털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한다.
그리고, 프로세서(50)는 모뎀(60)의 소자를 조정하여, 무선접속 규격에 맞도록 모뎀(60)을 설정한다.
모뎀(60)은 일반적인 확산 기능을 수행하며, 가입자의 전화기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를 I신호(TX_I)와 Q신호(TX_Q)로 변환하여 출력하며, 상기 프로세서(50)로부터 출력되는 디지털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한 증폭제어신호(TX_CNTL)를 생성하여 신호처리부(70)로 출력한다.
그리고, 신호처리부(70)는 송신하고자 하는 신호(TX_I, TX_Q)를 입력받아 변조시키고, 상기 모뎀(60)으로부터 출력되는 증폭제어신호(TX_CNTL)에 따라 해당하는 만큼 증폭시켜 무선전송신호로 변환하여 무선 전송한다.
한편, 전력감지부(80)는 상기 신호처리부(7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의 전력값을 감지하여 그에 따른 신호(RFC)를 상기 프로세서(50)로 출력함으로써, 역방향 전력제어에 비교값으로 이용하도록 한다.
이하, 도 3과 도 4를 참조하여, 상기의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가입자가 전화기(미도시)를 이용하여 전송하고자 하는 신호를 전송하면, 상기 모뎀(60)에서 I신호(TX_I)와 Q신호(TX_Q)를 생성하여 출력하고, 상기 신호처리부(70)의 입력증폭부(71)는 제1증폭기(71A)와 제2증폭기(71B)를 이용하여 상기 I신호(TX_I)와 Q신호(TX_Q)를 입력받아 변조기(72)에서 처리할 수 있는 신호 규격으로 증폭하여 출력한다.
변조기(72)는 상기 입력증폭부(71)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받아 무선전송에 적절한 신호로 변환시키고, 중간주파수 증폭기(73)는 상기 변조기(72)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모뎀(20)으로부터 출력되는 증폭제어신호(TX_CNTL)에 따라 해당하는 만큼 증폭시킨다.
주파수 혼합기(74)는 상기 중간주파수 증폭기(73)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받아, 캐리어 주파수신호(fc)를 이용하여 무선전송을 할 수 있는 주파수대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고주파 증폭기(75)는 상기 주파수 혼합기(74)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받아, 기지국(미도시)까지 무선 전송할 수 있는 전력의 신호로 증폭시키고, 대역 통과 여과기(76)는 상기 고주파 증폭기(75)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받아 송신 주파수 대역의 신호만 통과시키고, 그 이외의 잡음 성분이나 수신 주파수 성분의 신호는 제거하여 안테나로 전송한다.
상기와 같이 함으로써, 상기 신호처리부(70)는 송신하고자 하는 신호를 기지국까지 전송할 수 있는 신호로 변환하고 증폭하여 출력한다.
그런데, 상기 신호처리부(70)에서 출력되는 신호의 전력은 항상 일정한 규격에 맞추어 출력되어야 하는데, 출력되는 전력의 크기를 조정하는 기능은 상기 중간주파수 증폭기(73)에서 담당하며, 그 증폭제어신호(TX_CNTL)는 상기 프로세서(50)에서 모뎀(60)을 조정함으로써 조정된다.
그리고, 상기 프로세서(50)에서 증폭제어신호(TX_CNTL)의 값을 조정하는 데에 있어서는,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증폭신호(CTL)와, 상기 전력감지부(80)로부터 출력되는 전력감지신호(RFC)를 이용한다.
여기서, 상기 전력감지부(80)는 핀 다이오드(81)를 통하여 상기 신호처리부(70)의 고주파 증폭기(75)로부터 출력되는 전송신호에서 전력값을 추출하여 컴퓨터에서 처리할 수 있는 신호 규격으로 변환시켜 출력하고,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82)를 이용하여 상기 핀 다이오드(81)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받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함으로써, 상기 프로세서(50)에서 처리할 수 있는 신호로 출력한다.
상기 프로세서(50)에서 증폭제어신호(TX_CNTL)를 조정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우선 기지국(미도시)으로부터 수신되는 규격에 의한 증폭신호(CTL)를 입력받아, 그에 따른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나타나는 모뎀(60)에서 출력되는 증폭제어신호(TX_CNTL)를 판독한다(S10).
그리고, 상기 프로세서(50)는 상기 단계(S10)에서 판독한 증폭제어신호(TX_CNTL)에 따른 예상 전력값을 산출하고(S20), 상기 전력감지부(80)로부터 출력되는 실제 전력값에 따른 전력감지신호(RFC)를 판독하여(S30), 두 값을 비교한다(S40).
상기 단계(S40)에서 실제 전력값과 예상 전력값이 같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프로세서(50)는 송신전력이 규격에 맞는 값으로 설정되었으므로, 설정된 시간동안 기지국(미도시)으로부터 수신되는 증폭신호(CTL)에 의한 증폭제어를 그 시간동안 중단하고, 상기에서 설정된 전력으로 출력하도록 제어한다(S70).
그러나, 상기 단계(S40)에서 실제 전력값이 예상 전력값보다 작은 경우, 프로세서(50)는 상기 모뎀(60)에서 출력되는 증폭제어신호(TX_CNTL)를 증가시키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하고(S50), 반대로 상기 단계(S40)에서 실제 전력값이 예상 전력값보다 큰 경우, 프로세서(50)는 상기 모뎀(60)에서 출력되는 증폭제어신호(TX_CNTL)를 감소시키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한다(S60).
그리고, 다시 증폭제어신호(TX_CNTL)를 판독하는 단계(S10)로 돌아가서 예상 전력값과 실제 전력값을 비교하는 과정을 반복하며, 그러한 결과 예상 전력값과 실제 전력값이 같아지면, 설정된 시간동안 그때의 제어신호를 유지시킨다.
그리고, 설정시간이 지나면, 다시 기지국(미도시)으로부터 수신되는 증폭신호(CTL)에 의하여 제어를 실시한다.
상기와 같이 함으로써, 본 송신시스템은 주위의 온도등 환경이 변화함에 따라 신호처리부(70)의 각 소자의 성능이 변화하더라도 송신되는 신호의 전력은 규격을 유지할 수가 있으며, 상기 신호처리부(70)의 각 소자가 제품 출하시부터 성능이 조금 다르더라도, 출력신호는 원하는 값으로 증폭률을 조정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된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환 및 변경이 가능한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동작하는 본 발명은, 광대역 부호분할다중접속방식 무선가입자망 가입자 단말에서 송신신호를 증폭하여 무선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데에 있어서, 각 가입자단말에서 송신되는 신호의 전력을 규격에 맞는 안정적인 신호를 유지시킴으로써, 전체 통신 서비스의 품질을 향상시키고, 그에 따라 기지국에서 관리할 수 있는 가입자단말의 수를 최대화함으로써, 통신 서비스에 소요되는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동작함으로써, 일단 송신전력을 안정화시킨 후에는 역방향 전력제어를 일정시간동안 하지 않음으로써, 해당 가입자단말 무선접속장치의 프로세서나 해당 기지국이 역방향 전력제어에 무리한 기능을 부담시키지 않아, 다른 기능에 많은 시간을 할애할 수 있기에, 통신 서비스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무선가입자망 무선접속장치의 송신시스템에 있어서,
    입력되는 송신증폭신호에 따라 해당하는 송신신호의 증폭률을 산출하고, 그에 따라 실제증폭되어 출력되는 신호값을 입력받아, 두 값의 차이에 따라 산출된 증폭률을 재조정하여 디지털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제어수단;
    상기 제어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디지털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한 증폭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신호변환수단;
    송신하고자 하는 신호를 입력받아 변조시키고, 상기 신호변환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증폭제어신호에 따라 해당하는 만큼 증폭시켜 무선전송신호로 변환하여 무선전송하는 신호처리수단;
    상기 신호처리수단에 의하여 출력되는 신호의 전력값을 감지하여 그에 따른 신호를 상기 제어수단으로 출력하는 전력감지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가입자망 무선접속장치 송신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처리수단의 구성은,
    송신하고자 하는 I신호와 Q신호를 입력받아 무선전송에 적절한 신호로 변환시키는 변조수단;
    상기 변조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신호변환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증폭제어신호에 따라 증폭하는 중간주파 증폭수단;
    상기 중간주파 증폭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받아 무선전송 주파수로 이동시키는 주파수 혼합수단;
    상기 주파수 혼합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무선 전송전력의 신호로 증폭시키는 고주파 증폭수단;
    상기 고주파 증폭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받아 송신 주파수 대역의 신호만 통과시켜 안테나로 전송하는 대역 통과 여과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가입자망 무선접속장치 송신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감지수단의 구성은,
    상기 신호처리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전송신호에서 전력값을 추출하여 일정한 규격의 신호로 변환시켜 출력하는 핀 다이오드;
    상기 핀 다이오드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받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제어수단으로 출력하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가입자망 무선접속장치 송신시스템.
  4. 무선가입자망 무선접속장치 송신시스템의 송신전력 제어방법에 있어서,
    증폭제어값을 판독하여 그에 따른 예상 송신전력값을 산출하는 단계;
    실제 송신전력값을 판독하는 단계;
    상기 예상 송신전력값과 실제 송신전력값을 비교하여 그 값이 다른 경우, 증폭제어값을 변화시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가입자망 무선접속장치 송신시스템 송신전력 제어방법.
KR1019990022983A 1999-06-18 1999-06-18 무선가입자망 무선접속장치 송신시스템 및 송신전력 제어방법 KR1003057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2983A KR100305763B1 (ko) 1999-06-18 1999-06-18 무선가입자망 무선접속장치 송신시스템 및 송신전력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2983A KR100305763B1 (ko) 1999-06-18 1999-06-18 무선가입자망 무선접속장치 송신시스템 및 송신전력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2919A KR20010002919A (ko) 2001-01-15
KR100305763B1 true KR100305763B1 (ko) 2001-11-01

Family

ID=195934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2983A KR100305763B1 (ko) 1999-06-18 1999-06-18 무선가입자망 무선접속장치 송신시스템 및 송신전력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0576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8141B1 (ko) * 2009-12-01 2016-10-0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 및 액정표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2919A (ko) 2001-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93974B2 (en) Adaptive digital pre-distortion circuit using adjacent channel power profile and method of operation
RU2168860C2 (ru) Радиочастотная приемопередающая система для цифровой связи
KR100350491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주파수 송신 전력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0430458B1 (ko) 무선 주파수 증폭기에 대한 적응성 프리리미터
US6449466B1 (en) Adaptive digital pre-distortion correction circuit for use in a transmitter in a digital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of operation
US7539516B2 (en) Wireless base station apparatus
JPH0846466A (ja) 送信機の飽和防止方法及び電力制御回路
JPS63306727A (ja) 無線通信装置
KR100305764B1 (ko) 무선가입자망 시스템 순방향 전력비 제어장치 및 방법
US6370109B1 (en) CDMA signal power control using quadrature signal calculations
JP3618055B2 (ja) 携帯移動端末および送信装置
US6766150B1 (en) System and method for tuning a narrowband cavity filter used in a CDMA transmitter
JP2002290263A (ja) 無線通信装置
KR100305763B1 (ko) 무선가입자망 무선접속장치 송신시스템 및 송신전력 제어방법
US20080297124A1 (en) Transmission method, apparatus and module
JP3300552B2 (ja) 光ケーブルを利用した中継装置
US6839544B1 (en) System and method for remote monitoring of a transmitter in a wireless base station
KR100293242B1 (ko) 무선가입자망 무선접속장치 수신시스템 및 수신전력 제어방법
WO2002071648A1 (ko) System of mobile communication for in-building using frequence transfer method
KR100377935B1 (ko) 무선 기지국의 인접채널파워 모니터링 시스템
KR19990018816A (ko) Wll 및 imt-2000 시스템의 실내 가입자 장치 통신방법 및 그 장치
KR19990011052A (ko) 광대역 코드 분할 다중 접속 무선 가입자 망 기지국 시스템의 송수신기 장치
KR100322382B1 (ko) 동일 fa를 이용한 cdma용 광대역 중계 장치 및 방법
KR0119559B1 (ko) 무선 랜의 주파수 송수신 장치
KR100321481B1 (ko) 공간파 유기를 이용한 이동전화망에서의 가상주파수 변환 발생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