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04942B1 - Device for sending/receiving data between board in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for sending/receiving data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Device for sending/receiving data between board in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for sending/receiving data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04942B1
KR100304942B1 KR1019990025405A KR19990025405A KR100304942B1 KR 100304942 B1 KR100304942 B1 KR 100304942B1 KR 1019990025405 A KR1019990025405 A KR 1019990025405A KR 19990025405 A KR19990025405 A KR 19990025405A KR 100304942 B1 KR100304942 B1 KR 1003049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ard
data
signal
boards
b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2540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10004694A (en
Inventor
최상준
Original Assignee
서평원
엘지정보통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평원, 엘지정보통신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평원
Priority to KR10199900254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04942B1/en
Publication of KR200100046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469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49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4942B1/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DWORKING VENEER OR PLYWOOD
    • B27D5/00Other working of veneer or plywood specially adapted to veneer or plywoo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7/00Coffins; Funeral wrappings; Funeral urns
    • A61G17/007Coffins; Funeral wrappings; Funeral urn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material used, e.g. biodegradable material; Use of several materials
    • A61G17/0073Cardboard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Information Transfer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지국 보드간 데이터 송수신시 불필요한 대기 시간을 줄여 데이터 송수신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통신 장치의 보드간 데이터 송수신 장치 및 그를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통신 장치의 보드간 데이터 송수신 장치는 하나의 마스터 보드와 서로 다른 어드레스를 갖는 다수의 종속 보드가 공유된 글로벌 버스로 연결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보드 또는 다수의 종속 보드중 어느 하나의 보드에서 상기 마스터 보드 또는 다른 종속 보드중 어느 하나 이상의 보드로 상기 글로벌 버스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동안 상기 보드중 어느 하나 이상의 보드에서 임의의 하나 이상의 다른 보드로 새로이 송신할 데이터들이 발생하였다는 신호를 상기 마스터 보드로 전송하기 위해 오운 요구(OWN_REQ) 신호를 제어하는 글로벌 버스 제어부가 구성된다. 따라서, 각 보드간 데이터 전송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oard-to-board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apparatus and a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method using the same of a communication apparatus capable of improving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efficiency by reducing unnecessary waiting time during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between base station boards. The board-to-board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device of such a communication device is a device in which a plurality of slave boards having different addresses are connected to a shared global bus. While transmitting data using the global bus to any one or more of the master board or other subordinate boards, signals that data to be newly transmitted from any one or more of the boards to any one or more other boards has occurred. The global bus controller is configured to control the OWN_REQ signal for transmission to the master board. Therefore, data transfer efficiency between boards can be improved.

Description

통신 장치의 보드간 데이터 송수신 장치 및 그를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 방법{Device for sending/receiving data between board in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for sending/receiving data using the same}Device for sending / receiving data between boards in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for sending / receiving data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통신 장치의 보드간 데이터 송수신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기지국 장치를 구성하는 다수의 보드간 데이터 송수신 시, 순서 제어에 따른 불필요한 대기 시간을 줄여 송수신 효율을 높이기에 적당하도록 한 통신 장치의 보드간 데이터 송수신 장치 및 그를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board-to-board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of a communication device. In particular, when transmitting / receiving data between a plurality of boards constituting a base station device, the board-to-board communication device is adapted to increase transmission / reception efficiency by reducing unnecessary waiting time due to sequence control.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apparatus and a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method using the same.

코드분할 다중접속(CDMA) 기지국 장치는 복수개의 보드로 구성된다.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base station apparatus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boards.

이와 같은 복수개의 보드에는 호 제어 및 호 자원 관리와 상태관리, 경보 관리를 하는 ECPA(Enhanced Control Processor circuit board Assembly), 경보 감지를 하는 BAMA(BTS Alarm collection & Maintenance board Assembly), 시스템 클럭을 제공하는 BTMA(BTS Timing Management circuit board Assembly), 기지국 네트워크 기능을 제공하는 ENIA(Enhanced Network Interface circuit board Assembly), CDMA 디지털 신호 처리 기능을 갖는 MCPA(Multi-Channel Processing board Assembly 20), 무선 주파수(RF) 디바이스 제어 기능을 갖는 RCPA(Radio & Channel Processing board Assembly), 송수신 신호의 주파수 변환기능을 갖는 BUDA(Base station sector conversion & Up/Down converter Assembly - L), 송신 출력 모니터링 기능을 갖는 PACA(Power Adjust & Control Assembly - EL), 송신 신호 증폭 기능을 갖는 HPAU(High Power Amplifier Unit - EL), 기지국 송수신 안테나 VSWR 측정 기능을 갖는 BADA(Base station Analyze & Diagnostic Assembly - L) 및 신호 증폭 기능을 갖는 HPAU(High Power Amplifier Unit - EL) 등 하나의 기지국에는 약 100개 정도의 보드가 구성된다.These boards provide call control and call resource management and status management, enhanced control processor circuit board assembly (ECPA) for alarm management, BTS alarm collection & maintenance board assembly (BAMA) for alarm detection, and system clock. BTS Timing Management Circuit Board Assembly (BTMA), Enhanced Network Interface Circuit Board Assembly (ENIA) providing base station network functionality, Multi-Channel Processing board Assembly 20 (MCPA) with CDMA digital signal processing, radio frequency (RF) devices RCPA (Radio & Channel Processing board Assembly) with control function, Base station sector conversion & Up / Down converter Assembly (L) with frequency conversion function of transmit / receive signal, PACA (Power Adjust & Control) with transmit output monitoring function Assembly-EL), High Power Amplifier Unit (HPAU) with transmit signal amplification, BADA (Base with base station transmit / receive antenna VSWR measurement) About 100 boards are configured in one base station, such as the Station Analyze & Diagnostic Assembly (L) and the High Power Amplifier Unit (HPAU) with signal amplification.

이와 같은 보드들은 31개의 종속 보드와 하나의 마스터 보드가 각각 연결되어 보드간의 데이터를 주고받는다. 그와 같은 데이터에는 보드에서의 동작에 필요한 프로그램 데이터, 신호 데이터, 다운로딩 데이터 등이 있고, 보드들간에는 그와 같은 데이터를 데이터 버스를 통해 주고받는다.These boards are connected with 31 slave boards and one master board to exchange data between boards. Such data includes program data, signal data, and downloading data necessary for operation on a board, and such boards exchange data through a data bus.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 기지국 장치의 보드간 데이터 송수신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board-to-board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method of a conventional base station apparatu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종래 기지국 장치의 보드들의 연결 상태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nection state of boards of a conventional base station apparatus.

종래 기지국 장치의 보드들의 연결 상태는 프레임 동기 신호 및 기준 클럭 신호를 발생시키는 마스터 보드부(50)와, 상기 마스터 보드(50)와 함께 이동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을 구성하는 제 1 내지 제 31 종속 보드(1∼31)로 이루어진 종속보드부(40)에 있어서, 마스터 보드부(50)와 제 1 내지 제 31 종속 보드(1∼31)가 공유된 글로벌 버스(serial bus)로 연결된 것을 나타내고 있다.The connection state of the boards of the conventional base station apparatus includes a master board unit 50 for generating a frame synchronization signal and a reference clock signal, and first to thirty-first slave boards that together with the master board 50 form a base st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In the subordinate board part 40 which consists of (1-31), it shows that the master board part 50 and the 1st-31st subordinate boards 1-31 are connected by the shared global bus.

글로벌 버스는 제 1 내지 제 31 종속보드부(1∼31)의 동작에 필요한 프레임 동기 신호와 기준 클럭을 발생시키는 프레임 동기 신호(Frame Synchronous Signal : FRS) 버스 및 어서트 클럭(Assert Clock : ASTCLK) 신호 버스와, 제 1 내지 제 31 종속 보드부(1∼31)에서 상기 프레임 동기 신호에 맞춰 자신의 순서가 왔을 때 데이터 버스를 점유하기 위한 신호를 마스터 보드부(50)로 전송하는 어서트(Assert : AST) 신호 버스와, 전송될 데이터의 비트율(Bit Rate)을 알리는 비트율 클럭 신호(BRCLK) 버스와,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 버스(DATA)로 구성된다.The global bus includes a frame synchronization signal (FRS) bus and an assert clock (ASTCLK) for generating a frame synchronization signal and a reference clock required for the operation of the first to thirty-first slave boards 1 to 31. Assertion that transmits a signal bus and a signal for occupying the data bus to the master board unit 50 when its order comes from the first to thirty-first slave board units 1 to 31 according to the frame synchronization signal ( Assert: AST signal bus, a bit rate clock signal (BRCLK) bus for indicating the bit rate (bit rate) of the data to be transmitted, and a data bus (DATA) for transmitting data.

마스터 보드부(50)와 제 1 내지 제 31 종속 보드(1∼31)는 각각 글로벌 버스를 제어하기 위한 필드 프로그램 가능 게이트 어레이(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 이하, 마스터 FPGA라 약칭 함)(50b) 및 제 1 내지 제 31 종속 FPGA(1b∼31b)와, 직렬 버스에 연결되어 마스터 보드부(50) 또는 제 1 내지 제 31 종속 보드(1∼31)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입출력부(50c) 및 제 1 내지 제 31 종속 입출력부(1c∼31c)와, 구동부(50d) 및 제 1 내지 제 31 종속 구동부(1d∼31d) 그리고, 마스터 보드부(50)를 제어하는 중앙 처리부(CPU)(50a) 및 제 1 내지 제 31 종속 보드부(1∼31)를 제어하는 제 1 내지 제 31 종속 중앙 처리부(1a∼31a)로 구성된다.The master board unit 50 and the first to thirty-first slave boards 1 to 31 may each include a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50b for controlling a global bus, and A first to thirty-first slave FPGAs 1b to 31b and an input / output unit 50c connected to a serial bus to transmit and receive data to and from the master board unit 50 or the first to thirty-first slave boards 1 to 31; Central processing unit (CPU) 50a for controlling the first to thirty-first slave input / output units 1c to 31c, the driver unit 50d, the first to thirty-first slave driver units 1d to 31d, and the master board unit 50. And first to thirty-first slave central processing units 1a to 31a which control the first to thirty-first slave board units 1 to 31.

여기서, 마스터 보드부(50)와 제 1 내지 제 31 종속보드(1∼31)는 각각의 어드레스를 갖고 있으며, 각각의 어드레스에 따라 마스터 보드(50) 및 제 1 내지 제 31 종속보드(1∼31)는 일정한 송신 순서를 갖는다.Here, the master board unit 50 and the first to thirty-first slave boards 1 to 31 have respective addresses, and the master board 50 and the first to thirty-first slave boards 1 to 31 according to respective addresses. 31) has a certain transmission order.

도 2는 도 1에 나타낸 기지국 장치의 보드중 종속 보드의 상세 구성도이다.FIG. 2 is a detailed configuration diagram of slave boards among the boards of the base station apparatus shown in FIG. 1.

종래 기지국 장치의 종속 보드의 상세 구성은 제 1 종속 보드(1)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slave board of the conventional base station apparatus will be described taking the first slave board 1 as an example.

종속 FPGA(1b)는 마스터 보드(50)에서 제공되는 프레임 동기 신호(FRS), 어서트 클럭 신호(ASTCLK), 그리고 자신의 보드 ID(ID 0∼4)와 비교하여 자신이 데이터를 전송할 순서를 결정한다.The slave FPGA 1b compares the frame synchronization signal FRS, the assert clock signal ASTCLK, and its own board IDs ID 0 to 4 with the master board 50 to determine the order in which it transmits data. Decide

종속 입출력부(1c)는 자신이 전송할 데이터가 있을 경우 RTS 신호를 로우(LOW)로 어써트하여 데이터 전송을 요구하며, 종속 FPGA(Ib)는 자신이 전송할 차례가 되었을 때 종속 입출력부(1c)로는 CTS 신호를 로우(LOW)로 어서트하여 전송을 허락하고, 종속 구동부(1d)에 데이터 전송을 위한 TX_BRCLK를 공급한다. 또한 어서트(AST) 신호를 어서트하여 자기가 데이터를 전송중임을 다른 종속 보드들에게 알리고 다른 보드는 RX_BRCLK에 맞춰 들어오는 고수준 데이터 링크 제어 절차(High level data link control pressure : HDLC) 포맷의 데이터 어드레스 영역을 자신의 어드레스와 비교하여, 자신에게 송신된 데이터를 수신한다.When there is data to be transmitted, the slave input / output unit 1c asserts the RTS signal low to request data transmission. When the slave FPGA Ib is ready to transmit, the slave input / output unit 1c The furnace asserts the CTS signal low to permit transmission, and supplies the slave drive unit 1d with TX_BRCLK for data transmission. It also asserts an AST signal to notify other slave boards that it is transmitting data, while the other boards receive data addresses in High Level Data Link Control Pressure (HDLC) format that is matched to RX_BRCLK. The area is compared with its address to receive the data sent to it.

도 3은 도 2에 나타낸 종속 보드중 프로그램 가능 게이트 어레이(FPGA)의 상세 블록 구성도이다.3 is a detailed block diagram of a programmable gate array (FPGA) of the slave board shown in FIG.

종속 FPGA(1b)는 프레임 동기 신호(FRS), 어서트 클럭 신호(ASTCLK), 수신 어서트(RX_AST) 신호를 받아서 데이터 전송을 위한 순서를 정하는 스테이트 머신인 카운터(1ba)와, 종속 입출력부(1c)로부터의 RTS 신호와 카운터(1ba)의 출력과, ID(ID 0∼4)에 따라 데이터 송신을 위한 신호를 생성하는 논리부(1bb)로 구성된다.The slave FPGA 1b receives a frame synchronizing signal FRS, an assert clock signal ASTCLK, a receiving assert signal RX_AST, and a counter 1ba, which is a state machine that determines an order for data transmission, and a slave input / output unit ( And a logic section 1bb for generating a signal for data transmission in accordance with the IDs (IDs 0 to 4) and the output of the RTS signal from 1c and the counter 1ba.

도 4는 도 1에 나타낸 기지국 장치의 보드간 데이터 전송을 나타낸 타이밍도이다.4 is a timing diagram illustrating board-to-board data transmission of the base station apparatus shown in FIG. 1.

마스터 보드부(50) 및 제 1 내지 제 31 종속 보드(1∼31)는 프레임 동기 신호(Frs)와 어서트 클럭 신호(Astclk)에 동기되어 동작하는데 마스터 보드부(50) 및 제 1 내지 제 31 종속 보드(1∼31)의 각 CPU(50a, 1a∼31a)에서는 데이터 신호에서 자신의 어드레스를 참고하여 자신이 수신하여야할 데이터인지 아닌지를 판단하여 데이터를 수신한다.The master board unit 50 and the first to thirty-first slave boards 1 to 31 operate in synchronization with the frame synchronizing signal Frs and the assert clock signal Astclk. Each of the CPUs 50a and 1a to 31a of the slave boards 1 to 31 refers to its own address in the data signal to determine whether it is data to be received or not to receive data.

그 다음, 마스터 보드부(50) 및 제 1 내지 제 31 종속 보드(1∼31)는 자신의 어드레스를 5비트 송신 번호(0∼31)로 정의된 자신의 어드레스에 따라 송신할 시기가 결정되는 라운드 로빈(Round-Robin) 방식으로 각각의 송신 보드에서 발생하는 데이터를 하나 이상의 수신 보드에 차례로 송신한다.Then, when the master board section 50 and the first to thirty-first slave boards 1 to 31 transmit their own addresses according to their own addresses defined by 5-bit transmission numbers 0 to 31, it is determined. In a round-robin manner, data generated from each transmission board is sequentially transmitted to one or more receiving boards.

즉,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레임 동기 신호(FRS)가 하이(high)가 되면 어서트 클럭 신호(ASTCLK) 역시 동작하면서 송신 번호가 0번인 보드(예를 들면, 마스터 보드부(50))가 다른 보드로 송신을 시작한다. 이때, 송신할 데이터가 있을 경우 어서트 신호(AST)를 로우(low)로 액티브(Active Low)시킨 다음 데이터를 송신한다. 그러나, 송신할 데이터가 없을 경우에는 어서트 클럭 신호(ASTCLK)의 다음 상승 에지(edge)에서 송신번호 1인 보드(예를 들면, 제 1 종속 보드(1))가 송신할 차례가 된다. 이와 같은 송신 동작은 송신 번호 31인 보드(예를 들면, 제 31 종속 보드(31))까지 계속된다.That is, as shown in Fig. 4, when the frame synchronizing signal FRS becomes high, the assert clock signal ASTCLK also operates, and the transmission number 0 is the board (for example, the master board unit 50). Starts transmitting to the other board. At this time, if there is data to be transmitted, the assert signal AST is activated low and then data is transmitted. However, when there is no data to transmit, the board having the transmission number 1 (for example, the first slave board 1) is in turn to transmit at the next rising edge of the assert clock signal ASTCLK. This transmission operation continues to the board having the transmission number 31 (for example, the 31st slave board 31).

이와 같이 한 보드가 다른 보드로 데이터를 송신하고자 할 경우 자신의 차례가 올 때까지 대기한 다음 자신의 차례가 되었을 때 어서트 클럭 신호(ASTCLK)의 상승 에지에서 어서트 신호(AST)를 액티브시켜 다른 보드로 송신할 데이터가 있음을 알리고, 비트율 클럭 신호(BRCLK)에 맞춰 고수준 데이터 링크 제어 절차(High level data link control pressure : 이하 HDLC라 약칭 함) 포맷으로 데이터를 송신한다. 이때, 비트율 클럭(BRCLK)는 2M 또는 4M를 사용하며, 데이터를 송신하는 보드가 데이터와 함께 비트율 클럭 신호(BRCLK)도 공급한다.In this way, when one board wants to send data to another board, it waits until its turn comes and then activates the assert signal AST on the rising edge of the assert clock signal ASTCLK when its turn comes. It notifies that there is data to be transmitted to another board, and transmits data in the format of high level data link control pressure (hereinafter abbreviated as HDLC) according to the bit rate clock signal (BRCLK). At this time, the bit rate clock BRCLK uses 2M or 4M, and the board transmitting the data also supplies the bit rate clock signal BRCLK together with the data.

그리고, 하나 이상의 수신 보드들은 송신 보드에서 발생시킨 비트율 클럭 신호(BRCLK)에 맞춰 데이터를 수신하여 HDLC 포맷의 데이터에 포함되어 있는 어드레스를 자신의 어드레스와 비교하여 동일한 경우에 데이터를 수신한다.One or more receiving boards receive data according to the bit rate clock signal BRCLK generated by the transmitting board, and compare the address included in the data of the HDLC format with its own to receive the data in the same case.

또한, 데이터를 송신하는 보드는 송신하고자 하는 모든 데이터를 송신한 다음 어서트(AST) 신호를 디액티브(Deactive)시키며, 그에 따라 다음 송신 번호를 갖는 보드가 송신 권한을 갖게 된다. 계속해서,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다음 송신 번호를 갖는 보드가 보낼 데이터가 없을 경우 그 다음 송신 번호를 갖는 보드가 송신 권한을 갖는 라운드 로빈 방식으로 데이터 송신이 진행된다.In addition, the board transmitting the data transmits all the data to be transmitted and then deactivates the assert signal, so that the board having the next transmission number has a transmission authority. Subsequently, as described above, when there is no data to be transmitted by the board having the next transmission number, data transmission proceeds in a round robin manner in which the board having the next transmission number has a transmission authority.

이와 같은 종래 직렬 버스로 연결된 복수개 보드의 데이터 송수신 방법에 있어서는 하나의 보드에서 다른 하나의 보드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에 직렬 버스를 이용하는 라운드 로빈 방식을 사용한다. 이와 같은 라운드 로빈 방식에 따른 데이터 송수신에 있어서는 한번 데이터를 전송한 다음에는 순서제어에 따라 최소한 어서트 클럭(ASTCLK)의 31개 클럭 만큼의 시간을 소비한 후 다음 번 데이터를 송신할 권한을 갖게 되므로 다음 번 자신의 순서가 올 때까지 순서 제어에 따라 일정 시간 대기하므로 데이터 송신이 효율적이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In the conventional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method of a plurality of boards connected by a serial bus, a round robin method using a serial bus is used to transmit data from one board to another board. In the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using the round robin method, after data is transmitted once, at least 31 clocks of the assert clock (ASTCLK) are consumed according to the order control, and thus the right to transmit the next data is obtained. There is a problem that data transmission is not efficient because the user waits for a predetermined time until order comes next time.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순서 제어에 따른 불필요한 대기시간을 줄여 데이터 송수신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통신 장치의 보드간 데이터 송수신 장치 및 그를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f the prior art, the board-to-board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apparatus of the communication device that can increase the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efficiency by reducing unnecessary waiting time according to the order control and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method using the same It is to provide.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하나의 마스터 보드와 서로 다른 어드레스를 갖는 다수의 종속 보드가 공유된 글로벌 버스로 연결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보드 또는 다수의 종속 보드중 어느 하나의 보드에서 상기 마스터 보드 또는 다른 종속 보드중 어느 하나 이상의 보드로 상기 글로벌 버스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동안 상기 보드중 어느 하나 이상의 보드에서 임의의 하나 이상의 다른 보드로 새로이 송신할 데이터들이 발생하였다는 신호를 상기 마스터 보드로 전송하기 위해 오운 요구(OWN_REQ) 신호를 제어하는 글로벌 버스 제어부가 구성된다.According to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 a device in which a plurality of slave boards having a different address with one master board is connected to a shared global bus, the master board or a plurality of slave boards Data to be newly transmitted from any one or more of the boards to any one or more other boards is generated while data is being transmitted from any one board to any one or more of the master board or other dependent boards using the global bus. A global bus controller is configured to control an OWN_REQ signal to transmit a signal to the master board.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하나의 마스터 보드와 서로 다른 어드레스를 갖는 다수의 종속 보드로 구성된 장치의 보드간 데이터 송수신 방법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보드 또는 다수의 종속 보드중 어느 하나의 보드에서 상기 마스터 보드 또는 다른 종속 보드중 어느 하나 이상의 보드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제 1 단계, 상기 데이터가 전송되는 동안 상기 데이터를 전송중인 보드를 제외한 다른 보드중 어느 하나 이상의 보드에서 새로이 송신할 데이터들이 발생하면 상기 마스터 보드로 새로이 송신할 데이터들이 발생하였다는 신호를 전송하는 제 2 단계, 상기 마스터 보드가 상기 새로이 송신할 데이터가 발생하였다는 신호를 전송한 상기 보드들을 일정순서로 대기시키는 제 3 단계, 상기 제 1 단계에서 상기 데이터의 전송이 종료되면 상기 대기 순서에 따라 상기 보드들이 일정순서로 새로운 데이터를 하나 이상의 상기 마스터 보드 또는 종속 보드로 전송하도록 하는 제 4 단계로 이루어진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 the board-to-board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method of the device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lave boards having a different address and one master board, the master board or multiple A first step of transmitting data from any one of the slave board of the master board or one or more of the other dependent boards, any one or more of the other boards except the board that is transmitting the data while the data is being transmitted A second step of transmitting a signal indicating that data to be newly transmitted has been generated to the master board when data to be newly transmitted from the board is generated; The third step of waiting in sequence, the first step When the transfer is the end of the data it takes place in response to the standby procedure as Step 4 of the board are to transmit new data in a certain order in one or more of the master or slave board Board.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기지국의 마스터 보드 및 각 종속 보드간 데이터 전송시 각 보드들에서 다른 보드로 데이터를 전송할 때 전송 효율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transmission efficiency is improved when transmitting data from each board to another board when transmitting data between the master board and each slave board of the base station.

도 1은 종래 기지국 장치의 보드들의 연결 상태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nection state of boards of a conventional base station apparatus

도 2는 도 1에 나타낸 기지국 장치의 보드중 종속 보드의 상세 구성도FIG. 2 is a detailed configuration diagram of slave boards among the boards of the base station apparatus shown in FIG.

도 3은 도 2에 나타낸 종속 보드중 프로그램 가능 게이트 어레이(FPGA)의 상세 블록 구성도3 is a detailed block diagram of a programmable gate array (FPGA) of the slave board shown in FIG.

도 4는 도 1에 나타낸 기지국 장치의 보드간 데이터 전송을 나타낸 타이밍도4 is a timing diagram showing board-to-board data transmission of the base station apparatus shown in FIG.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 장치의 보드들의 연결 상태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5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nection state of the boards of the base st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도 5에 나타낸 기지국 장치의 보드중 종속 보드의 상세 구성도FIG. 6 is a detailed configuration diagram of slave boards among the boards of the base station apparatus shown in FIG.

도 7은 도 6에 나타낸 종속 보드중 프로그램 가능 게이트 어레이(FPGA)의 상세 블록 구성도FIG. 7 is a detailed block diagram of a programmable gate array (FPGA) in the slave board shown in FIG.

도 8은 도 5에 나타낸 기지국 장치의 보드에서의 글로벌 버스 점유 요구 신호 스캐닝 타이밍도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global bus occupancy request signal scanning timing in the board of the base station apparatus shown in FIG.

도 9는 도 8에 나타낸 글로벌 버스 점유 요구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종속보드에서의 논리회로 구성도FIG. 9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logic circuits in a slave board for generating the global bus occupancy request signal shown in FIG. 8; FIG.

도 10은 도 5에 나타낸 기지국 장치의 보드에서의 글로벌 버스 점유 확인을 나타낸 타이밍도FIG. 10 is a timing diagram showing global bus occupancy confirmation on the board of the base station apparatus shown in FIG. 5; FIG.

도 11은 도 10에 나타낸 글로벌 버스 점유 확인 메시지를 발생시키기 위한 종속 보드에서의 논리회로 구성도FIG. 11 is a schematic diagram of a logic circuit in a slave board for generating the global bus occupancy confirmation message shown in FIG. 10.

도 12는 도 5에 나타낸 기지국 장치의 마스터 보드의 논리 회로 구성도12 is a logic circuit diagram of a master board of the base station apparatus shown in FIG.

도 13은 도 5에 나타낸 복수개의 보드간 데이터 전송을 나타낸 타이밍도FIG. 13 is a timing diagram illustrating a plurality of board-to-board data transfers shown in FIG. 5.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60 : 종속 보드부 70 : 마스터 보드부60: slave board 70: master board

71 : 마스터 CPU 72 : 마스터 FPGA71: master CPU 72: master FPGA

73 : 마스터 입출력부 74 : 마스터 구동부73: master input and output unit 74: master drive unit

81, 91 : 카운터부 82, 92 : 논리부81, 91: counter 82, 92: logic

83, 93 : 래치부 84, 94 : 버퍼부83, 93: latch portion 84, 94: buffer por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 configuration and an operation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 장치의 보드들의 연결 상태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5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nection state of the boards of the base st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 장치의 보드들의 연결 상태는 하나의 마스터보드부(70)와 제 1 내지 제 n 종속보드(60a∼60n)로 이루어진 종속 보드부(60)를 구비한 기지국 장치에 있어서, 마스터 보드부(70)와 종속보드부(60)는 공유된 글로벌 버스(Global Bus)(예로써, 직렬 버스)로 연결되어 있다.In the base station apparatus of the base station apparatus having a slave board unit 60 consisting of one master board unit 70 and the first to nth slave boards 60a to 60n, the connection state of the boards of the base st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master. The board unit 70 and the slave board unit 60 are connected to a shared global bus (eg, a serial bus).

글로벌 버스는 제 1 내지 제 n 종속보드(60a∼60n)의 동작에 필요한 프레임 동기 신호와 기준 클럭을 발생시키는 프레임 동기 신호(Frame Synchronous : FRS) 버스 및 어서트 클럭 신호(Assert Clock : ASTCLK) 버스와, 제 1 내지 제 n 종속 보드(60a∼60n)에서 상기 프레임 동기 신호에 맞춰 자신의 순서가 왔을 때 데이터 버스를 점유하기 위한 신호를 마스터 보드부(70)로 전송하는 어서트(ASSERT) 신호 버스와, 비트율(Bit Rate) 클럭 신호(BRCLK) 버스와,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DATA) 버스와, 기준 클럭 시그널인 오운 프레임 동기 신호(OWN_FRS) 버스 및 오운 클럭(OWN_CLK) 버스와, 순서 제어 신호 버스인 오운 버스(OWN_BUS)와, 각 종속 보드(60a∼60n)에서 마스터 보드부(70)로 버스 점유를 요구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오운 요구(OWN_REQ) 버스로 구성된다.The global bus includes a frame synchronization signal (FRS) bus and an assert clock signal (ASTCLK) bus for generating a frame synchronization signal and a reference clock required for the operation of the first to nth slave boards 60a to 60n. And an assert signal for transmitting a signal for occupying the data bus to the master board unit 70 when the first to n-th slave boards 60a to 60n receive their order in accordance with the frame synchronization signal. Bus, Bit Rate Clock Signal (BRCLK) Bus, Data Bus for Data Transfer, Own Frame Sync Signal (OWN_FRS) Bus and Own Clock (OWN_CLK) Bus as Reference Clock Signals An oun bus OWN_BUS, which is a control signal bus, and an oun request bus OWN_REQ, which transmits a signal for requesting bus occupancy from each slave board 60a to 60n to the master board unit 70.

마스터 보드부(70)와 제 1 내지 제 n 종속 보드(60a∼60n)는 각각 글로벌 버스를 제어하기 위한 글로벌 버스 제어부(70b) 및 제 1 내지 제 n 종속 글로벌 버스 제어부(60a2∼60n2)와, 글로벌 버스에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입출력부(70c) 및 제 1 내지 제 n 종속 입출력부(60a3∼60n3)와, 구동부(70d) 및 제 1 내지 제 n 종속 구동부(60a4∼60n4)와, 마스터 보드부(70)와 제 1 내지 제 n 종속 보드부(60a∼60n)를 제어하는 중앙 처리부(CPU)(70a) 및 제 1 내지 제 n 종속 중앙처리부(60a1∼60n1)로 구성된다. 이때, 글로벌 버스 제어부(70b, 60a2∼60n2)는 FPGA로 구성할 수 있다.The master board unit 70 and the first to nth slave boards 60a to 60n respectively include a global bus controller 70b and first to nth slave global bus controllers 60a 2 to 60n 2 for controlling the global bus. And an input / output unit 70c and first to n-th slave input / output units 60a 3 to 60n 3 connected to the global bus to transmit and receive data, and a driver 70d and first to n-th slave drives 60a 4 to 4 . 60n 4 ), a central processing unit (CPU) 70a for controlling the master board unit 70 and the first to nth subordinate board units 60a to 60n, and the first to nth subordinate central processing units 60a 1 to 60n. 1 ). In this case, the global bus controllers 70b and 60a 2 to 60n 2 may be configured as FPGAs.

도 6은 도 5에 나타낸 기지국 장치의 보드중 종속 보드의 상세 구성도이고, 도 7은 도 6에 나타낸 종속 보드중 프로그램 가능 게이트 어레이의 상세 블록 구성도이다.6 is a detailed block diagram of a slave board among the boards of the base station apparatus shown in FIG. 5, and FIG. 7 is a detailed block diagram of a programmable gate array among the slave boards shown in FIG. 6.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 장치의 종속 보드의 상세 구성은 제 1 종속 보드(60a)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slave board of the base st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taking the first slave board 60a as an example.

종속 글로벌 버스 제어부(60a2)는 마스터 보드(50)에서 제공되는 프레임 동기 신호(FRS), 어서트 클럭 신호(ASTCLK), 자신의 ID(ID 0∼4), 글로벌 버스에 연결한 다른 보드로부터 전달되는 수신 어서트(RX_AST) 신호에 따라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은 스테이트 머신을 유지한다.The slave global bus controller 60a 2 is provided from the frame synchronization signal FRS, the assert clock signal ASTCLK provided by the master board 50, its IDs ID 0-4, and other boards connected to the global bus. The state machine as shown in FIG. 7 is maintained in accordance with the received assert (RX_AST) signal.

또한, 글로벌 버스 제어부(60a2)는 한 보드가 송신중에 다음에 송신할 보드를 정하기 위해 오운 프레임 동기 신호(OWN_FRS), 오운 클럭(OWN_CLK) 신호, 오운 버스(OWN_BUS) 신호, 오운 요구(OWN_REQ) 신호를 사용하는 스테이트 머신(도 9 및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이 있다. 도 9 및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할 스테이트 머신은 임의의 어느 한 보드가 어서트(AST) 신호를 로우(LOW)로 어서트하여 데이터를 송신하는 동안 구동되며, 다른 보드는 마스터 보드(70)에서 제공된 오운 프레임 동기(OWN_FRS) 신호, 오운 클럭(OWN_CLK) 신호에 맞춰 동작한다.In addition, the global bus control unit 60a 2 is configured to determine a next frame to transmit during a transmission, such as an Own Frame Synchronization Signal (OWN_FRS), an Own Clock (OWN_CLK) Signal, an Own Bus (OWN_BUS) Signal, and an Own Request (OWN_REQ). There is a state machine (which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9 and 11) using a signal. The state machine to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9 and 11 is driven while any one board asserts the assert signal LOW to transmit data and the other board is the master board 70. It operates in accordance with the Own Frame Synchronization (OWN_FRS) signal and the Own Clock (OWN_CLK) signal.

계속해서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임의의 어느 한 보드(예를 들면 제 1 종속 보드(60))에서 전송할 데이터가 있을 경우 종속 입출력부(60a3)는 종속 글로벌 버스 제어부(60a2)로 RTS 신호를 로우(LOW)로 어서트하여 데이터 전송을 요구하며, 종속 글로벌 버스 제어부(60a2)는 이 요구에 따라 하나의 보드가 송신 중에 오운 요구(OWN_REQ) 신호를 이용하여 버스 점유를 마스터 보드(70)로 요청하며, 마스터 보드(70)는 오운 요구(OWN_REQ) 신호를 점검하여 송신을 요구한 보드 중에서 가장 우선권이 있는 보드에게 오운 버스(OWN_BUS) 신호를 통하여 버스 점유권을 준다. 버스 점유권을 받은 보드는 현재 보드의 송신이 끝난 다음 바로 데이터를 송신한다. 그리고, 자신의 보드의 종속 입출력부(60a3)에 CTS 신호를 로우(LOW)로 어서트하여 데이터 전송을 허락하고, 송신을 위한 송신 비트율 클럭(TX_BRCLK) 신호를 종속 구동부(60a4)에 공급한다. 또한, 글로벌 버스 제어부(60a2)는 종속 구동부(60a4)로 송신 어서트(TX_AST)신호를 로우(LOW)로 어서트하여 보드가 데이터를 송신중임을 알린다.Subsequently, as shown in FIG. 6, when there is data to be transmitted from any one board (eg, the first slave board 60), the slave input / output unit 60a 3 transmits the RTS to the slave global bus controller 60a 2 . By asserting a signal low to request data transmission, the slave global bus controller 60a 2 uses the request (OWN_REQ) signal that one board is busy during transmission to use the master board ( 70), the master board 70 checks the OWN_REQ signal and gives the bus occupancy right through the OWN_BUS signal to the board having the highest priority among the boards requesting transmission. The board that receives the bus occupancy rights transmits the data immediately after the current board finishes transmitting. Then, the CTS signal is asserted low to the slave input / output unit 60a 3 of its own board to allow data transmission, and the transmission bit rate clock TX_BRCLK signal for transmission is supplied to the slave driver 60a 4 . do. In addition, the global bus controller 60a 2 asserts the transmit assert signal TX_AST to LOW to the slave driver 60a 4 to indicate that the board is transmitting data.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은 종속 보드의 글로벌 버스 제어부(60a2)는 마스터 보드(70)에서 제공되는 프레임 동기 신호(FRS), 어서트 클럭 신호(ASTCLK), 그리고 글로벌 버스 제어부(60a2)에 연결된 임의의 다른 보드로부터 전달되는 수신 어서트(RX_AST)에 따라 내부에 스테이트 머신인 카운터(60a21)를 유지하며 카운터(60a21)의 출력, 보드 ID(ID0∼4), 버스 오운(BUS_OWN) 신호에 따라 데이터송신 순서를 정하는 논리부(60a22)가 있다.The global bus controller 60a 2 of the slave board as shown in FIG. 7 is connected to the frame sync signal FRS, the assert clock signal ASTCLK, and the global bus controller 60a 2 provided from the master board 70. The counter 60a 21 , which is a state machine, is maintained in accordance with the receiving assert (RX_AST) transmitted from any other board, and the output of the counter 60a 21 , the board IDs ID0 to 4, and the bus OWN signal There is a logic unit 60a 22 which determines the data transmission order in accordance with this.

따라서 한 보드는 스테이트 머신(60a21)의 출력과 보드 어드레스인 보드 ID를 비교하여 자신의 차례가 되었을 경우 송신 어서트(TX_AST)를 로우(LOW)로 어서트하여 데이터를 송신하거나, 오운 요구(OWN_REQ)를 통해 버스 점유를 요청하고, 오운 버스(OWN_BUS)를 통해 버스 점유 권한을 받았을 때 송신 어서트(TX_AST)를 로우(LOW)로 어서트하여 데이터를 송신한다.Therefore, one board compares the output of the state machine 60a 21 with the board address, which is the board address, and transmits data by asserting the transmit assert (TX_AST) low when it is its turn, or by requesting a cool request ( Requests to occupy the bus through OWN_REQ, and transmits data by asserting the transmit assert (TX_AST) low when receiving the bus occupancy authority through the OWN_BUS.

도 8은 도 5에 나타낸 기지국 장치의 보드에서의 글로벌 버스 점유 요구 신호에 대한 스캐닝 타이밍도이다.8 is a scanning timing diagram for a global bus occupancy request signal in the board of the base station apparatus shown in FIG. 5.

이때, 보드에서의 글로벌 버스 점유 요구 신호에 대한 스캐닝 타이밍도는 종속보드가 31개인 경우를 예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In this case, the scanning timing diagram for the global bus occupancy request signal on the board will be described with an example of 31 slave boards.

복수개의 보드에서 발생되는 글로벌 버스 점유 요구 신호는 마스터 보드부(70)로 전송되고, 마스터 보드부(70)는 전송된 글로벌 버스 점유 요구 신호에 따라 글로벌 버스 점유 신호를 발생시킨다. 이와 같은 글로벌 버스 점유 요구 신호에 대한 스캐닝은 오운 프레임 동기 신호(OWN_FRS)와, 오운 클럭 신호(OWN_CLK)에 동기 되어 이루어지는데, 순서번호 0인 마스터 보드부(70)를 포함한 순서 번호 1 내지 순서번호 31의 제 1 내지 제 31 종속 보드(60a∼60n)까지 차례로 이루어진다.The global bus occupancy request signals generated by the plurality of boards are transmitted to the master board unit 70, and the master board unit 70 generates a global bus occupancy signal according to the transmitted global bus occupancy request signals. The scanning of the global bus occupancy request signal is performed in synchronization with the Own frame sync signal OWN_FRS and the Own clock signal OWN_CLK. The first to thirty-first slave boards 60a to 60n are formed in order.

각각의 보드는 자신에게 할당된 시간에 전송할 데이터가 있을 경우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로우(low) 신호(순서번호 3인 보드)를 발생시키고, 전송할 데이터가 없을 경우에는 하이 신호를 발생시킨다(제 1 OWN_REQ). 이때, 오운 프레임 동기 신호(OWN_FRS)의 한 사이클에서 여러 보드가 전송할 데이터가 있다는 로우 신호를 발생시키는 경우도 있다. 도 8에서는 순서번호 5와 29인 보드에서 자신에게 할당된 시간에 전송할 데이터가 있다는 로우신호를 발생시킨 것을 알 수 있다(제 2 OWN_REQ).Each board generates a low signal (a board having sequence number 3) when there is data to be transmitted at the time allocated to it, and a high signal when there is no data to transmit. 1 OWN_REQ). In this case, a low signal indicating that there are data to be transmitted by several boards may be generated in one cycle of the OLD_FRS signal. In FIG. 8, it can be seen that the boards having sequence numbers 5 and 29 generate a low signal indicating that there is data to be transmitted at the time allocated to the board (second OWN_REQ).

도 9는 도 8에 나타낸 글로벌 버스 점유 요구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종속 보드에서의 논리 회로 구성도이다.FIG. 9 is a logic circuit diagram of a slave board for generating the global bus occupancy request signal shown in FIG. 8.

종속 보드에서의 논리 회로는 데이터를 송신중인 임의의 보드로부터 전달되는 수신 어서트(RX_AST) 신호와, 오운 프레임 동기 신호(OWN_FRS), 오운 클럭(OWN_CLK)신호를 입력받아 현재 오운 프레임 동기 신호(OWN_FRS)와 기준 신호인 오운 클럭(OWN_CLK) 신호를 카운트하는 스테이트 머신인 카운터부(81)와, 카운터부(81)에서 카운터하여 출력한 현재 순서 번호와 각 종속 보드(60a∼60n)가 갖고 있는 자신의 순서 번호(address)(ID 0∼4)를 비교하는 논리부(82)와, 각 종속 보드(60a∼60n)에서의 데이터 전송을 요구하는 RTS 신호를 래치하는 래치부(83)와, 상기 논리부(82)의 비교결과 기준 클럭에 따른 현재 순서 번호가 종속보드 자신의 어드레스와 동일할 경우 래치 상태의 데이터 신호를 버퍼링하고 있다가 자신의 차례인 경우에 송신할 데이터가 있으면 오픈 컬렉터에 의한 로우(LOW) 신호를 출력시켜 마스터 보드(70)로 오운 요구 신호(OWN_REQ)신호를 발생시키는 버퍼(84)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논리 회로는 종속 보드(60a∼60n)의 제 1 종속 글로벌 버스 제어부(60a2) 내지 제 n 종속 글로벌 버스 제어부(60n2)에 구성된다.The logic circuit in the slave board receives a receive assert (RX_AST) signal, an oak frame sync signal (OWN_FRS), and an o clock (OWN_CLK) signal from an arbitrary board transmitting data, and receives a currently-owned frame sync signal (OWN_FRS). ), A counter unit 81 that is a state machine that counts the OWN_CLK signal, which is a reference signal, the current sequence number counted by the counter unit 81, and the slave boards 60a to 60n. A logic unit 82 for comparing the order numbers (IDs 0 to 4) of the first, a latch unit 83 for latching an RTS signal for requesting data transfer from each slave board 60a to 60n, and As a result of the comparison of the logic unit 82, if the current sequence number according to the reference clock is the same as the slave board's own address, it is buffering the data signal in the latched state. low( And a buffer 84 for outputting a LOW signal and generating a request signal OWN_REQ signal to the master board 70. Such a logic circuit is configured in the first slave global bus controller 60a 2 to the nth slave global bus controller 60n 2 of the slave boards 60a to 60n.

도 10은 도 5에 나타낸 복수개의 보드에서 글로벌 버스 점유 확인을 나타낸 타이밍도이다.FIG. 10 is a timing diagram illustrating global bus occupancy confirmation in the plurality of boards shown in FIG. 5.

이때, 보드에서의 글로벌 버스 점유 요구 확인을 나타낸 타이밍도는 종속보드가 31개인 경우를 예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At this time, a timing diagram showing the confirmation of the global bus occupancy request on the board will be described using 31 sub-boards as an example.

우선, 복수개의 보드중 글로벌 버스 점유 확인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은 스캐닝시 순서 번호 3인 보드에서 전송할 데이터가 있다는 로우(LOW) 신호를 발생시켰으므로 오운 프레임 동기 신호(OWN_FRS)와 오운 버스(OWN_BUS) 신호를 통해 해당되는 순서 번호 3인 보드의 시간에 하이 신호를 송신하고 나머지는 로우로 유지한다(OWN_BUS).First of all, the global bus occupancy check of the plurality of boards generates a low signal indicating that there is data to be transmitted from the board having sequence number 3 during scanning as shown in FIG. 6, and thus, the Own frame sync signal (OWN_FRS) and the Own bus (OWN_BUS). ) Signal is sent at the time of the board with the corresponding sequence number 3, and the rest is kept low (OWN_BUS).

여기서, 동시에 여러 개의 보드로부터 버스 점유를 요구하면 마스터 보드(70)는 각 보드의 현재 카운터 값과 순서 번호를 비교하여 버스 점유권을 줄 보드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도면상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현재 송신 번호 10인 보드가 데이터를 송신중일 때 송신번호 3과 20인 보드가 동일한 스캐닝 주기(Cycle)에 동시에 데이터 송신을 요구한 경우에는 이 보드들의 현재 카운터 값을 비교한다. 비교결과 순서번호 3인 보드와 20인 보드가 현 스캐닝 주기에 처음 버스 점유 요구를 하였다면 두 보드 모두 0의 카운트 값을 갖고 있으므로 그때는 순서 번호가 늦은 보드인 순서 번호 20인 보드에게 버스 점유권을 제공한다. 만약 둘 중 하나의 보드에 펜딩(pending)된 카운터 값이 있다면 펜딩된 카운터 값이 있는 보드에게 버스 점유권을 제공한다.Here, when requesting bus occupancy from several boards at the same time, the master board 70 compares the current counter value and sequence number of each board to determine a board to give bus occupancy rights. For example,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when a board with transmission number 10 is currently transmitting data, when the boards with transmission numbers 3 and 20 request data transmission simultaneously in the same scanning cycle, the current counter values of these boards are used. Compare As a result of the comparison, if the boards with sequence numbers 3 and 20 requested the first bus occupancy in the current scanning cycle, both boards had a count value of 0. Then, the bus number was given to the board with sequence number 20, the board with the later sequence number. do. If one of the boards has a counter value that is pending, then the board with the pending counter value gives bus occupancy rights.

도 11은 도 10에 나타낸 글로벌 버스 점유 확인 메시지를 발생시키기 위한 종속 보드에서의 논리회로 구성도이다.FIG. 11 is a logic circuit diagram of a slave board for generating the global bus occupancy confirmation message shown in FIG. 10.

종속 보드(60)에서의 논리 회로는 데이터를 송신중인 임의의 보드로부터 전달되는 수신 어서트(RX_AST) 신호와, 오운 프레임 동기 신호(OWN_FRS), 오운 클럭(OWN_CLK) 신호를 입력받아 현재 프레임 동기 신호(OWN_FRS)와 오운 클럭(OWN_CLK) 신호를 카운트하는 스테이트 머신인 카운터부(91)와, 카운터부(91)에서 카운터하여 출력한 현재 순서 번호와 각 종속보드(60a ∼ 60n)가 갖고 있는 자신의 순서번호(address)(ID 0∼4)를 비교하는 논리부(82)와, 버스 점유 요청에 따른 버스 점유 허가 신호가 입력되면(OWN_BUS), 자신의 차례인 경우 오픈 컬렉터에 의한 로우(LOW) 신호를 래치부(83)로 발생시키는 버퍼(84)와, 버퍼(84)로부터 로우 신호가 입력되면 마스터보드(70)로 오운 버스 신호를 확인하였다는 신호를 출력시키는 래치부(83)로 구성된다.The logic circuit in the slave board 60 receives a receive assert (RX_AST) signal, an oval frame sync signal (OWN_FRS), and an o clock (OWN_CLK) signal transmitted from an arbitrary board transmitting data, and receives a current frame sync signal. Counter unit 91, which is a state machine that counts the (OWN_FRS) and the Own Clock (OWN_CLK) signals, the current sequence number counted by the counter unit 91 and its slave boards 60a to 60n. When the logic portion 82 for comparing the sequence numbers (ID 0 to 4) and the bus occupancy permission signal corresponding to the bus occupancy request are input (OWN_BUS), in the case of its own turn, it is low by the open collector. A buffer 84 for generating a signal to the latch unit 83 and a latch unit 83 for outputting a signal indicating that the bus signal has been checked to the master board 70 when a low signal is input from the buffer 84. do.

도 12는 도 5에 나타낸 기지국 장치의 마스터 보드의 논리 회로 구성도이다.12 is a logic circuit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master board of the base station apparatus shown in FIG. 5.

마스터 보드(70)에서의 논리회로는 오운 프레임 동기 신호(QWN_FRS)와 오운 클럭(OWN_CLK) 신호를 입력받아 현재 프레임 동기 신호(OWN_FRS)와 오운 클럭(OWN_CLK) 신호를 카운트하는 카운터부(91)와, 카운터부(91)에서 카운터되는 임의의 종속 보드(60a∼60n)중 어느 하나의 종속 보드(60a∼60n)로 리드 인에이블(READ ENABLE) 신호를 출력시키는 논리부(92)와, 상기 논리부(92)의 리드 인에이블 신호와 오운 요구 신호(OWN_REQ) 및 오운바 클럭(/OWN_CLK) 신호에 따라임의의 종속 보드에게 버스 점유 확인 신호(DATA)를 발생시키는 래치부(93)로 구성된다.The logic circuit of the master board 70 receives a clock frame synchronization signal QWN_FRS and clock clock OWN_CLK, and counts a counter unit 91 for counting a current frame synchronization signal OWN_FRS and a clock clock OWN_CLK. A logic unit 92 for outputting a read enable signal to any one of the slave boards 60a to 60n of the slave boards 60a to 60n countered by the counter 91; The latch unit 93 generates a bus occupancy confirmation signal DATA to an arbitrary subordinate board according to the read enable signal of the unit 92, the Own Request signal OWN_REQ, and the Own Bar Clock / OWN_CLK signal. .

이와 같은 논리 회로는 종속 보드(60a∼60n)의 제 1 종속 글로벌 버스 제어부(60a2) 내지 제 n 종속 글로벌 버스 제어부(60n2)에 구성된다.Such a logic circuit is configured in the first slave global bus controller 60a 2 to the nth slave global bus controller 60n 2 of the slave boards 60a to 60n.

도 13은 도 5에 나타낸 복수개의 보드간 데이터 전송을 나타낸 타이밍도이다.FIG. 13 is a timing diagram illustrating a plurality of inter-board data transfers shown in FIG. 5.

마스터 보드부(70) 및 제 1 내지 제 n 종속 보드(60a∼60n)는 프레임 동기 신호(Frs)와 어서트 클럭 신호(Astclk)에 동기되어 동작한다. 마스터 보드부(70) 및 제 1 내지 제 n 종속 보드(60a∼60n)의 각 CPU(70, 60a∼60n)에서는 데이터 신호에서 마스터 보드(70)나 제 n 종속보드(60a∼60n)의 어드레스를 참고하여 자신이 수신하여야할 데이터인지 아닌지를 판단하여 데이터를 수신한다.The master board unit 70 and the first to nth slave boards 60a to 60n operate in synchronization with the frame synchronization signal Frs and the assert clock signal Astclk. In the CPUs 70 and 60a to 60n of the master board unit 70 and the first to nth slave boards 60a to 60n, the address of the master board 70 or the nth slave boards 60a to 60n in the data signal is given. Receive the data by determining whether it is data to be received or not.

마스터 보드부(70) 및 제 1 내지 제 n 종속 보드(60a∼60n)는 자신의 어드레스 그대로 n비트 송신 번호(예를 들면 5비트)로 정의한후 그에 따라 송신할 시기가 결정되는 라운드 로빈(Round-Robin) 방식으로 데이터를 차례로 송신한다.The master board unit 70 and the first to n-th subordinate boards 60a to 60n are defined as n-bit transmission numbers (for example, 5 bits) as their addresses, and then round robin determined when to transmit accordingly. -Robin) sends data in order.

우선 프레임 동기 신호(FRS)가 하이가 되면 어서트 클럭 신호(ASTCLK) 역시 동작하면서 송신 번호가 0번인 보드(예를 들면, 마스터 보드부(70))가 다른 보드로 송신을 시작한다. 이때, 송신할 데이터가 있을 경우 어서트 신호(AST)를 로우로 액티브(Active Low)시킨 다음 데이터를 송신한다(DATA). 그리고, 송신 번호가 0인 보드에서 다른 보드로 데이터를 송신하는 도중에 마스터 보드(70)에서는 다른 보드에서 오운 요구 신호(OWN_REQ)가 발생하였는지를 검사한다.First, when the frame synchronizing signal FRS becomes high, the assert clock signal ASTMCLK also operates, and the board having the transmission number 0 (for example, the master board unit 70) starts transmitting to another board. At this time, if there is data to be transmitted, the assert signal AST is active low and then data is transmitted (DATA). In the middle of transmitting data from the board having the transmission number 0 to the other board, the master board 70 checks whether a request signal OWN_REQ is generated from the other board.

이와 같은 검사는 현재 송신중인 보드를 제외한 나머지 보드중의 하나에서 오운 프레임 동기 신호(OWN_FRS)와 오운 클럭 신호(OWN_CLK)에 맞춰 마스터 보드(70)로 발생시킴에 따라 마스터 보드(70)에서 검출할 수 있다(OWN_REQ).Such a check is generated by the master board 70 in accordance with the Own Frame Synchronization signal OWN_FRS and the Own Clock signal OWN_CLK in one of the remaining boards except the currently transmitting board. OWN_REQ

그러면, 마스터 보드(70)는 데이터가 전송중인 도중 오운 버스(OWN_BUS)를 통해 오운 요구 신호를 발생시킨 보드에 버스 점유가 허가되었음을 알린다.Then, the master board 70 informs that the board that has generated the request signal on the Own bus OWN_BUS while the data is being transferred is allowed to occupy the bus.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은 본 발명은 한 보드가 메시지를 송신하고 있는 동안 다음에 송신할 보드가 데이터 버스를 예약함으로써 글로벌(직렬) 버스에서 순서를 기다리기 위해 소비되는 시간을 없앨 수 있으며, 순서 번호와 카운터를 계산하여 순서를 정함으로써 데이터가 발생한 시점에 최대한 빨리 송신할 수 있어 데이터 전송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eliminates the time spent waiting for an order on the global (serial) bus by reserving the data bus while the next board is sending a message, and the sequence number and counter By calculating the order and determining the order, the data can be transmitted as soon as possible when the data is generated, thereby improving the data transmission efficiency.

Claims (9)

하나의 마스터 보드와 서로 다른 어드레스를 갖는 다수의 종속 보드가 공유된 글로벌 버스로 연결된 장치에 있어서,In a device in which multiple slave boards having different addresses from one master board are connected to a shared global bus, 상기 마스터 보드 또는 다수의 종속 보드중 어느 하나의 보드에서 상기 마스터 보드 또는 다른 종속 보드중 어느 하나 이상의 보드로 상기 글로벌 버스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동안 상기 보드중 어느 하나 이상의 보드에서 임의의 하나 이상의 다른 보드로 새로이 송신할 데이터들이 발생하였다는 신호를 상기 마스터 보드로 전송하기 위해 오운 요구(OWN_REQ) 신호를 제어하는 글로벌 버스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의 보드간 데이터 송수신 장치.Any one or more of any one or more of the boards while transferring data using the global bus from one of the master board or any of a plurality of slave boards to any of the master boards or other of the other dependent boards. And a global bus controller configured to control an OWN_REQ signal to transmit a signal indicating that data to be newly transmitted to another board has been generated to the master boar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글로벌 버스 제어부는 상기 마스터 보드와 상기 다수의 종속 보드간 동작에 필요한 프레임 동기 신호와 기준 클럭을 발생시키는 프레임 동기 신호 버스, 어서트 클럭 신호 버스, 오운 프레임 동기 신호 버스 및 오운 클럭 버스와, 상기 다수의 종속 보드에서 상기 프레임 동기 신호에 맞춰 상기 글로벌 버스의 데이터 버스를 점유하기 위한 신호를 상기 마스터 보드로 전송하는 어서트 신호 버스와, 상기 마스터 보드와 다수의 종속 보드간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 버스와, 상기 마스터 보드 또는 다수의 종속 보드중 어느 하나의 보드에서 상기 데이터 버스를 점유하였다는 신호를 상기 다수의 종속 보드로 전송하는 오운 버스(OWN_BUS)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의 보드간 데이터 송수신장치.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global bus controller comprises: a frame synchronization signal bus, an assert clock signal bus, an oval frame synchronization signal bus for generating a frame synchronization signal and a reference clock required for operation between the master board and the plurality of slave boards; An asserted clock bus, an assert signal bus for transmitting a signal for occupying the data bus of the global bus in accordance with the frame synchronization signal in the plurality of slave boards to the master board, and between the master board and the plurality of slave boards. A data bus for transmitting data and an OWN bus that transmits a signal indicating that the data bus is occupied by one of the master board or a plurality of slave boards to the plurality of slave boards. Board-to-board data transceiver of a communication devic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오운 요구 버스와 상기 오운 버스는 상기 오운 프레임 동기 버스와 상기 오운 클럭 버스에서 각각 발생하는 오운 프레임 동기 신호(OWN_FRS)와 오운 클럭(OWN_CLK) 신호에 동기되어 동작됨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의 보드간 데이터 송수신 장치.3. The owl request bus and the owl bus are operated in synchronization with the owl frame synchronization signal OWN_FRS and the own clock signal OWN_CLK generated by the owl frame synchronization bus and the owl clock bus, respectively. Board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device of the communication devic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보드는 오운 프레임 동기 신호(OWN_FRS)와 오운 클럭(OWN_CLK) 신호를 입력받아 현재 오운 프레임 동기 신호(OWN_FRS)와 오운 클럭(OWN_CLK) 신호를 카운트하는 카운터부와, 상기 카운터부에서 카운터되는 임의의 종속 보드의 순서 번호를 리드 인에이블 신호를 통해 출력시키는 논리부와, 상기 종속 보드중 하나 이상의 임의의 종속 보드에서 상기 데이터 버스를 점유하기 위해 발생하는 오운 요구 신호(OWN_REQ)를 버퍼링하는 버퍼부와, 상기 오운 클럭(OWN_CLK) 신호, 상기 논리부의 상기 리드 인에이블 신호와 상기 버퍼부에서의 오운 요구 신호(OWN_REQ)를 입력받아 상기 오운 요구 신호를 발생시킨 종속 보드로 버스 점유 확인 데이터를 전송하는 래치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의 보드간 데이터 송수신 장치.The counter board of claim 2, wherein the master board receives a new frame synchronization signal OWN_FRS and a clock signal OWN_CLK and counts a current frame frame synchronization signal OWN_FRS and a clock signal OWN_CLK. A logic unit for outputting a sequence number of any subordinate board counted by the counter unit through a read enable signal, and a request signal (OWN_REQ) generated to occupy the data bus in one or more subordinate boards of the subordinate boards; A buffer for buffering the < RTI ID = 0.0 > and < / RTI > the clock signal OWN_CLK, the read enable signal of the logic section and the request signal OWN_REQ from the buffer section to generate a bus request signal. A board-to-board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device of a communic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latch unit for transmitting occupancy confirmation data.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종속 보드는 상기 오운 프레임 동기 신호(OWN_FRS)와 오운 클럭(OWN_CLK)신호를 입력받아 현재 프레임 동기 신호(OWN_FRS)와 기준 신호(OWN_CLK)를 카운트하는 카운터부와, 상기 카운터부에서 카운터한 현재 순서 번호를 입력받아 상기 현재 순서 번호와 자신의 보드의 순서 번호(address)를 비교하는 논리부와, 상기 종속 보드에서의 데이터 신호를 래치하고 있는 래치부와, 상기 논리부의 비교결과 기준 클럭에 따른 현재 순서 번호가 상기 종속보드 자신의 어드레스와 동일할 경우 래치 상태의 상기 데이터 신호를 버퍼링하고 있다가 자신의 차례인 경우에 송신할 데이터가 있으면 상기 마스터 보드로 오운 요구 신호(OWN_REQ)신호를 발생시키는 버퍼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의 보드간 데이터 송수신 장치.The counter board of claim 2, wherein the slave board receives the right frame synchronization signal OWN_FRS and the right clock signal OWN_CLK, and counts a current frame synchronization signal OWN_FRS and a reference signal OWN_CLK. A logic unit for receiving the current sequence number counted by the unit and comparing the current sequence number with an address number of its own board, a latch unit for latching a data signal in the slave board, and a comparison of the logic unit Result If the current sequence number according to the reference clock is the same as the slave board's own address, the data signal in the latched state is buffered, and if there is data to be transmitted in its turn, the request signal OWN_REQ is sent to the master board. Board-to-board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device of a communic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buffer for generating a signal. 하나의 마스터 보드와 서로 다른 어드레스를 갖는 다수의 종속 보드로 구성된 장치의 보드간 데이터 송수신 방법에 있어서,In the board-to-board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method of a device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lave boards having a different address from one master board, 상기 마스터 보드 또는 다수의 종속 보드중 어느 하나의 보드에서 상기 마스터 보드 또는 다른 종속 보드중 어느 하나 이상의 보드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제 1 단계;A first step of transferring data from any one of the master board or a plurality of slave boards to any one or more boards of the master board or other slave boards; 상기 데이터가 전송되는 동안 상기 데이터를 전송중인 보드를 제외한 다른 보드중 어느 하나 이상의 보드에서 새로이 송신할 데이터들이 발생하면 상기 마스터 보드로 새로이 송신할 데이터들이 발생하였다는 신호를 전송하는 제 2 단계;A second step of transmitting a signal indicating that data to be newly transmitted to the master board is generated when data to be newly transmitted are generated from at least one board other than the board to which the data is being transmitted while the data is being transmitted; 상기 마스터 보드가 상기 새로이 송신할 데이터가 발생하였다는 신호를 전송한 상기 보드들을 일정순서로 대기시키는 제 3 단계;A third step of waiting, by the master board, the boards having transmitted a signal indicating that data to be newly transmitted have occurred in a predetermined order; 상기 제 1 단계에서 상기 데이터의 전송이 종료되면 상기 대기 순서에 따라상기 보드들이 일정순서로 새로운 데이터를 하나 이상의 상기 마스터 보드 또는 종속 보드로 전송하도록 하는 제 4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의 보드간 데이터 송수신 방법.And a fourth step of allowing the boards to transmit new data to one or more master boards or slave boards in a predetermined order when transmission of the data is terminated in the first step. How to send and receive data between boards.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에서 상기 새로이 송신할 데이터들에 대한 스캐닝은 상기 마스터 보드에서 상기 다수의 종속 보드로 프레임 동기 신호와 기준 클럭을 발생시키는 단계와, 상기 프레임 동기 신호와 기준 클럭에 맞춰 상기 마스터 보드 또는 다수의 종속 보드의 어느 하나 이상의 보드에서 상기 마스터 보드로 송신할 데이터가 있음을 알리는 버스 점유 요구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의 보드간 데이터 송수신 방법.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scanning of the newly transmitted data in the second step comprises: generating a frame synchronization signal and a reference clock from the master board to the plurality of slave boards; And transmitting a bus occupancy request signal indicating that there is data to be transmitted from the at least one board of the master board or the plurality of subordinate boards to the master board.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단계에서 상기 새로이 송신할 데이터가 발생하였다는 신호를 전송한 상기 보드를 일정순서로 대기시킬 때 상기 마스터 보드와 종속 보드의 어드레스를 참조하여 현재 데이터 전송중인 보드의 어드레스보다 다음의 어드레스를 갖는 보드를 우선 대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의 보드간 데이터 송수신 방법.The board of claim 6, wherein the board is waiting for a predetermined order when the board that has transmitted the signal to be newly transmitted has been generated in the third step. Characterized in that the board having the next address is waited first than the address Method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between boards of communication device.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단계에서 상기 새로이 송신할 데이터가 발생하였다는 신호를 전송한 상기 보드를 일정 순서로 대기시킬 때 펜딩된 값을 갖고 있는 보드를 우선 대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의 보드간 데이터 송수신방법.7. The communication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in the third step, the board having the pending value is first waited when the board that has transmitted the signal that the new data to be transmitted has been waited in a certain order. To send and receive data between boards.
KR1019990025405A 1999-06-29 1999-06-29 Device for sending/receiving data between board in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for sending/receiving data using the same KR10030494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5405A KR100304942B1 (en) 1999-06-29 1999-06-29 Device for sending/receiving data between board in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for sending/receiving data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5405A KR100304942B1 (en) 1999-06-29 1999-06-29 Device for sending/receiving data between board in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for sending/receiving data us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4694A KR20010004694A (en) 2001-01-15
KR100304942B1 true KR100304942B1 (en) 2001-11-01

Family

ID=195971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5405A KR100304942B1 (en) 1999-06-29 1999-06-29 Device for sending/receiving data between board in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for sending/receiving data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04942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5295B1 (en) * 2000-12-06 2002-10-11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Interface device and method between channel card and if board in bt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0444B1 (en) * 2001-11-06 2004-07-15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Method for Communication between Master and Slave in Basestatio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5295B1 (en) * 2000-12-06 2002-10-11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Interface device and method between channel card and if board in b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4694A (en) 2001-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209743B (en) Receive clock calibration for serial bus
EP3055779B1 (en) Coexistence of i2c slave devices and camera control interface extension devices on a shared control data bus
US9684624B2 (en) Receive clock calibration for a serial bus
US20150199287A1 (en) Camera control interface extension with in-band interrupt
KR20160065206A (en) Camera control interface slave device to slave device communication
US7453833B2 (en) Hybrid-type data transmission apparatus and method suitable for high-performance wireless LAN
JP2991046B2 (en) Master-slave communication method
US20060176830A1 (en)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circuit and communication method
EP203623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data in a flexray node
US7013355B2 (en) Device and method for improved serial bus transaction using incremental address decode
KR100304942B1 (en) Device for sending/receiving data between board in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for sending/receiving data using the same
CN115956355A (en) Communication apparatus, communic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method
KR101143690B1 (en) A system and method for transmitting data
EP1344139B1 (en) A digital bus system
JP2006304011A (en) Interface circuit
US7350002B2 (en) Round-robin bus protocol
JP2007074641A (en) Communication system
JP2003163653A (en) Serial data communication method
JP4095216B2 (en) Printer and data communication method in printer
KR100366791B1 (en) Apparatus for sub-highway conversion in communication system
JP3769538B2 (en) ATM cell transmission / reception control method and method, and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apparatus
JP2003152745A (en) Data transmission system, transmitter, and receiver
JP2000295114A (en) Data transfer circuit
KR100246773B1 (en) Simultaneous transmission junction device and method of multiple tdm channel
KR100364203B1 (en) Method for communicating multi between higher board and lower boar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