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04728B1 - 자석을 이용한 절첩식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장치 - Google Patents

자석을 이용한 절첩식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04728B1
KR100304728B1 KR1019990010169A KR19990010169A KR100304728B1 KR 100304728 B1 KR100304728 B1 KR 100304728B1 KR 1019990010169 A KR1019990010169 A KR 1019990010169A KR 19990010169 A KR19990010169 A KR 19990010169A KR 100304728 B1 KR100304728 B1 KR 1003047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
unit
hinge device
magnets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101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61253A (ko
Inventor
권재화
어승권
Original Assignee
김동연
텔슨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연, 텔슨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동연
Priority to KR10199900101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04728B1/ko
Publication of KR200000612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612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47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472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using combined folding and rotation mo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16Foldable in one direction,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 H04M1/022The hinge comprising two parallel pivoting axes

Abstract

본 발명은 절첩식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자석을 이용하여 구성을 단순화시킨 절첩식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힌지장치는, 제1 및 제2 유닛을 미리정한 각도로 회동되게 조립하기 위한 절첩식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유닛에는 힌지장치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힌지장치 결합홈에 고정 설치되는 케이스부재와, 상기 케이스부재의 내부에 고정 설치되며, 중앙에 관통홀이 형성된 제1 자석과, 일측에 상기 제2 유닛과 결합되기 위한 결합부재가 일체로 고정되고, 상기 제1 자석의 중앙 관통홀에 삽입되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자석과, 상기 케이스부재에 고정 결합되는 덮개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유닛과 제2 유닛이 밀착된 상태에 있는 경우의 상기 제1 자석과 제2 자석이 접하는 면과 상기 제1 유닛과 제2 유닛이 미리정한 각도로 개방된 상태에 있는 경우의 상기 제1 자석과 제2 자석이 접하는 면은 상기 제1 자석과 제2 자석이 각각 서로 다른 극성이면서도, 자신에 대해서는 동일한 극성이 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 자석의 극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석을 이용한 절첩식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장치{HINGE FOR A PORTABLE PHONE USING MAGNETS}
본 발명은 절첩식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자석을 이용하여 구성을 단순화시킨 절첩식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사용자가 어느 위치에 있든지간에 이동전화 시스템을 이용해 전화 통신을 할 수 있는 휴대용 전화기의 사용이 급증하고 있다. 휴대용 전화기는 종래의 공중전화 교환망과 접속되는 기지국에 저전력의 무선 고주파수 신호를 전달한다. 또한, 일정 영역내에서 이동하면서 휴대용 전화기가 보내온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일정 영역내의 고정 위치에 여러개의 기지국이 이격 설치된다. 이러 휴대용 전화기는 힌지기구를 이용해 두개의 하우징 소자가 절첩되도록 하여 소형화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작은쪽의 하우징을 플립(Flip) 부재라 하고, 큰쪽의 하우징을 본체 하우징이라 한다. 이러한 플립부재와 본체 하우징을 결합시키기 위한 다양한 힌지구조가 제안되고 있다. 종래 힌지장치는 대부분 탄성체와 캠 구조를 이용하고 있다. 그 중 한 예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0138235호에는 휴대용 무선 전화기의 힌지장치에 대해 기술되어 있는데, 그 구조는 다음과 같다. 본체 하우징의 하단부에는, 플립부재를 삽입하기 위한 플립부재삽입부와, 탄성체를 고정하기 위한 탄성체 장착홈이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플립부재삽입부의 양측 벽면에는 힌지축을 조립하기 위한 힌지축지지부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플립부재에는 상기 본체 하우징의 플립부재삽입부에 조립하기 위한 힌지축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힌지축결합부에는 힌지축을 끼워 조립하기 위한 힌지축삽입장공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본체 하우징과 상기 플립부재를 연결하기 위한 힌지축에는, 탄성체와 접촉되어 탄성체의 탄력을 받는 탄성체접촉부와, 힌지축을 상기 힌지축결합부의 힌지축삽입장공에 끼워 조립하기 위한 플립부재결합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힌지축의 탄성체접촉부에 밀착되어 상기 힌지축에 탄력을 가하기 위한 탄성체에는 상기 힌지축의 탄성체접촉부에 접촉되는 힌지축접촉부와, 탄성체가 상기 본체 하우징의 탄성체 장착홈에 고정되기 위한 탄성체고정부가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종래 힌지장치의 동작상태를 도1a 내지 도1c를 참조하여 살펴본다.
도1a는 플립부재(2)가 본체 하우징(1)에 밀착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힌지축(3)의 제1 평면(4)은 탄성체의 힌지축접촉부(7)와 접촉되어 탄성체의 탄력을 받고 있으므로, 플립부재(2)가 외력을 받지 않는 한 그 상태를 유지한다. 도1b는 플립부재를 개방시키는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플립부재(2)를 본체 하우징(1)으로부터 이탈시키면 힌지축(3)이 플립부재(2)와 함께 회전하여 힌지축(3)의 제1 꼭지점(6)이 탄성체의 힌지축접촉부(7)를 밀고, 탄성체는 힌지축(3)의 제1 꼭지점(6)에 탄력을 가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는 탄성체의 탄력이 힌지축(3)의 제1 꼭지점(6)을 강하게 밀므로, 탄성체의 힌지축접촉부(7)는 힌지축(3)의 제1 평면(4)과 제2 평면(5) 중의 어느 하나에 접촉되려는 성질을 가진다. 이때, 사용자가 플립부재(2)에 개방되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면 플립부재(2)는 똑뛰듯이 개방되는데, 이것은 탄성체의 힌지축접촉부(7)가 힌지축(3)의 제1 꼭지점(6)을 누르고 있다가 플립부재(2)가 회전함에 따라 힌지축(3)이 회전하여, 도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축의 제2 평면(5)이 탄성체의 힌지축접촉부(7)와 접촉되면서, 제2 평면(5)에 탄력이 가해지므로, 외력을 가하지 않는 한 그 상태를 유지하려고 하며, 따라서, 플립부재(2)는 본체 하우징(1)과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절첩식 휴대 전화기의 힌지장치는 그 구조가 복잡하고, 부피가 커서, 힌지장치를 보다 소형화 하는데 한계가 있었으며, 조립이 용이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경제적인 면에서 힌지장치의 제조에 많은 비용이 소요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와 같이 탄성체와 캠 구조의 힌지축을 사용하지 않고, 원하는 각도에 극성을 형성한 자석을 이용하여 힌지장치의 구조를 단순화시키고, 소형화 하며, 제작 단가를 절감한 새로운 구조의 힌지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1a 내지 도1c는 종래 휴대용 단말기 힌지장치의 동작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힌지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힌지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된 힌지장치가 본체 하우징에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31 : 케이스
22,23,32,34 : 자석
24,33 : 플립부재결합부
25 : 스프링
26,35 : 덮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적어도 두개 이상의 제1 및 제2 유닛으로 분리되어 상기 제1 및 제2 유닛을 미리정한 각도로 회동되게 조립하기 위한절첩식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유닛에는 힌지장치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유닛의 힌지장치 결합홈에 고정 설치되며, 중앙에 관통홀이 형성된 제1 자석과, 일측에 상기 제2 유닛과 결합되기 위한 결합부재가 일체로 고정되며, 상기 제1 자석의 중앙 관통홀에 삽입되어 회동가능하게 상기 힌지장치 결합홈에 설치된 제2 자석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유닛과 제2 유닛이 밀착된 상태에 있는 경우의 상기 제1 자석과 제2 자석이 접하는 면과 상기 제1 유닛과 제2 유닛이 미리정한 각도로 개방된 상태에 있는 경우의 상기 제1 자석과 제2 자석이 접하는 면은 상기 제1 자석과 제2 자석이 각각 서로 다른 극성이면서도, 자신에 대해서는 동일한 극성이 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 자석의 극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적어도 두개 이상의 제1 및 제2 유닛으로 분리되어 상기 제1 및 제2 유닛을 미리정한 각도로 회동되게 조립하기 위한 절첩식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유닛에는 힌지장치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유닛의 힌지장치 결합홈에 고정 설치되는 제1 자석과, 일측에 상기 제2 유닛과 결합되기 위한 결합부재가 일체로 고정되고, 상기 제1 자석과 접한 상태에서 회전가능하게 상기 힌지장치 결합홈에 설치된 제2 자석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유닛과 제2 유닛이 밀착된 상태에 있는 경우의 상기 제1 자석과 제2 자석이 접하는 면과 상기 제1 유닛과 제2 유닛이 미리정한 각도로 개방된 상태에 있는 경우의 상기 제1 자석과 제2 자석이 접하는 면은 상기 제1 자석과 제2 자석이 각각 서로 다른 극성이면서도, 자신에 대해서는 동일한 극성이 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 자석의 극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적어도 두개 이상의 제1 및 제2 유닛으로 분리되어 상기 제1 및 제2 유닛을 미리정한 각도로 회동되게 조립하기 위한 절첩식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유닛에는 힌지장치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유닛의 힌지장치 결합홈에 고정 설치되는 케이스부재와, 상기 케이스부재의 내부에 고정 설치되며, 중앙에 관통홀이 형성된 제1 자석과, 일측에 상기 제2 유닛과 결합되기 위한 결합부재가 일체로 고정되고, 상기 제1 자석의 중앙 관통홀에 삽입되어 회동가능하게 상기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되, 상기 결합부재가 상기 케이스부재의 일측에 형성된 관통홀로 돌출되도록 설치되는 제2 자석과, 상기 케이스부재의 내부에 설치된 상기 제1 및 제2 자석을 일체화하기 위해 상기 케이스부재의 타측에 고정 결합되는 덮개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유닛과 제2 유닛이 밀착된 상태에 있는 경우의 상기 제1 자석과 제2 자석이 접하는 면과 상기 제1 유닛과 제2 유닛이 미리정한 각도로 개방된 상태에 있는 경우의 상기 제1 자석과 제2 자석이 접하는 면은 상기 제1 자석과 제2 자석이 각각 서로 다른 극성이면서도, 자신에 대해서는 동일한 극성이 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 자석의 극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적어도 두개 이상의 제1 및 제2 유닛으로 분리되어 상기 제1 및 제2 유닛을 미리정한 각도로 회동되게 조립하기 위한 절첩식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유닛에는 힌지장치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유닛의 힌지장치 결합홈에 고정 설치되는 케이스부재와, 상기 케이스부재의 내부에 설치된 구성품을 일체화된 형태로 유지하기 위해 상기 케이스부재에 고정 결합된 덮개부재와, 일측에 상기 제2 유닛과 결합되기 위한 결합부재가 일체로 고정되고, 상기 케이스부재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결합부재가 상기 케이스부재의 일측에 형성된 관통홀로 돌출되도록 설치되는 제1 자석과, 상기 제1 자석과 접한 상태로 일측이 상기 덮개부재에 고정 설치되는 제2 자석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유닛과 제2 유닛이 밀착된 상태에 있는 경우의 상기 제1 자석과 제2 자석이 접하는 면과 상기 제1 유닛과 제2 유닛이 미리정한 각도로 개방된 상태에 있는 경우의 상기 제1 자석과 제2 자석이 접하는 면은 상기 제1 자석과 제2 자석이 각각 서로 다른 극성이면서도, 자신에 대해서는 동일한 극성이 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 자석의 극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2 이하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힌지장치의 분해 사시도로서, 도면에서 21은 케이스, 22는 제1 자석, 23은 제2 자석, 24는 플립부재결합부, 25는 스프링, 26은 덮개를 각각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힌지장치에서는 종래 힌지장치들과는 다르게, 힌지장치를 구성하는 부품들을 담아 일체화 하기 위한 케이스(21)가 구비되는데, 상기 케이스(21)는 일측이 플립부재와 결합되는 플립부재결합부(24)가 돌출되기 위한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고, 타측이 힌지장치의 구성 부품이 담아진 후, 덮개(26)에 의해 지지되기 위해, 덮개의 고정편이 걸리기 위한 홀이 대응되는 양 측면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1 자석(22)은 케이스(21)에 삽입된 후, 회전 불가능하게 지지되기 위해 케이스(21)와 대응되는 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의 중앙부에는 원형의 관통홀이 형성되어, 제2 자석(23)이 상기 제1 자석의 중앙부에 형성된 관통홀로 삽입되도록 되어 있다. 제2 자석(23)은 원통형으로, 일 측면에 플립부재가 결합되기 위한 플립부재결합부(24)가 일체로 고정되어 있다. 제1 자석(22)의 두께와 제2 자석(23)의 두께는 거의 동일하며, 또한 제1 자석(22)의 원형 관통홀의 내경 지름과 제2 자석(23)의 지름의 차이는 약 0.5mm 정도로 극히 미세하여, 제2 자석(23)이 제1 자석의 관통홀로 삽입되는 경우, 제1 자석과 제2 자석은 붙어 있는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다음, 제1 자석(22)과 제2 자석(23)에 형성된 극성 상태를 살펴보는데, 이하의 설명에서는 플립부재가 본체 하우징에 밀착되어 있는 상태를 0°로 정의한다.
영구 자석의 특성 상, 제1 자석(22)의 약 350°∼ 0°지점의 전면에 N극을 형성하면, 제1 자석(22)의 약 350°∼ 0°지점의 후면에는 S극이 형성된다. 그리고, 제1 자석(22)의 약 40°∼ 50°지점의 전면에 S극을 형성하면, 마찬가지로 이와 대향되는 후면에는 N극이 형성된다. 그리고, 플립부재가 개방되었을 때, 본체 하우징과 플립부재가 이루는 각도인 약 150°를 유지하도록 하기 위해, 제1 자석(22)의 약 140°∼ 150°지점의 전면에 N극을 형성하고, 후면에 S극을 형성한다. 또한, 제1 자석(22)의 약 190°∼ 200°지점의 전면에 S극을 형성하고, 대향되는 후면에는 N극을 형성한다. 한편, 제2 자석(23)에 있어서, 제2 자석의 약 350°∼ 0°지점의 전면에 S극을 형성하고, 이와 대향되는 후면에는 N극을 형성하며,제2 자석의 약 140°∼ 150°지점의 전면에 S극을 형성하고, 이와 대향되는 후면에는 N극을 형성한다. 그리고, 나머지 영역에는 자성을 형성하지 않는다. 이와 같은 자성을 원하는 각도에 형성하는 것은 자석의 제조시에 공지의 기술을 이용해 실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제2 자석(23)의 완충작용을 위해 제2 자석의 플립부재결합부(24) 대향되는 타 측면에 접하도록 스프링(25)이 구비되고, 덮개(26)에는 상기 스프링이 고정될 수 있도록 중앙부에 돌기가 형성되어 있으며, 대향되는 양 측면에는 고정편이 설치되어 있어, 케이스(21)의 양 측면에 설치된 결합홀에 상기 고정편이 삽입되어 케이스(21)에 내장된 구성 부품들이 조립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동작 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자석의 전면과 후면은 서로 대응되게 극성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설명의 편이상 자석의 전면에 형성된 극성만을 예로들어 설명한다.
플립부재가 본체 하우징을 덮고 있는 상태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자석 및 제2 자석의 약 350°∼ 0°지점과 약 140°∼ 150°지점은 각각 N극과 S극이 접하고 있으므로, 자석의 끌어당기는 힘에 의해 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인력에 의해 플립부재가 개방되게 되면, 플립부재와 결합된 제2 자석(23)만이 회전하게 되는데, 제2 자석이 회전하면서 제2 자석의 약 350°∼ 0°지점에 형성된 S극은 제1 자석의 약 40°∼ 50°지점에 형성된 S극과 접하고, 제2 자석의 약 140°∼ 150°지점에 형성된 S극은 제1 자석의 약 190°∼ 200°지점에 형성된 S극과접하게 된다. 이러한 결과로 인해, 그 지점에서는 서로 밀어내는 힘이 강하게 발생되고, 따라서 제2 자석(23)은 제1 자석의 약 350°∼ 0°지점에 형성된 N극 혹은 제1 자석의 약 140°∼ 150°지점에 형성된 N극으로 접하려는 힘이 강하게 발생된다. 이 상태에서, 제2 자석을 조금 더 회전시키게 되면, 제2 자석의 약 350°∼ 0°지점의 S극은 제1 자석의 약 140°∼ 150°지점의 N극과 붙게 되고, 제2 자석의 약 140°∼ 150°지점에 형성된 S극은 제1 자석의 약 290°∼ 300°지점의 극성이 형성되지 않는 위치에 붙게 된다. 여기서, 극성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부분과 극성이 형성되어 있는 부분이 접하는 경우에 서로 붙을 수 있으나, 극성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부분이라 하더라도 자장의 영향권에 속하고, 또한 서로 다른 극성이 끌어당기는 힘이 훨씬 크게 작용하므로, 크게 문제되지는 않는다.
사용자가 과도하게 플립부재를 개방하면, 플립부재와 함께 제2 자석(23)이 회전하여, 제2 자석의 350°∼ 0°지점에 형성된 S극이 제1 자석(22)의 190°∼ 200°지점에 형성된 S극과 근접해 지고, 약 180°지점에서는 플립부재의 일단과 본체 하우징의 일단이 서로 접촉되어 더 이상 개방되지 않게 되는데, 이 상태에서 외력이 중지되면 S극과 S극의 서로 밀어내는 힘에 의해 다시 플립부재가 개방된 상태로 복원된다.
도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힌지장치의 분해 사시도로서, 도면에서 31은 케이스, 32는 제1 자석, 33은 플립부재결합부, 34는 제2 자석 35는 덮게를 각각 나타낸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는 원판형의 두 개의 자석을 이용해 구성한다.즉,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31)의 외부는 사각형 등의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케이스(31)의 내부는 원형으로 이루어져 있고,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케이스의 일측에는 플립부재결합부(33)가 돌출되기 위한 홀이 형성되어 있고, 타측은 덮개(35)가 고정설치되기 위한 홀이 대응되는 양쪽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1 자석(32)에는 플립부재결합부(33)가 일체로 고정되어 있으며, 제2 자석(34)은 덮개(35)에 고정설치되어 있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는 제2 자석이 고정체가 되며, 제1 자석이 회전체가 된다. 따라서, 제1 자석의 제2 자석과 접하는 면의 약 350°∼ 0°지점(도면에서는 제1 자석(32)의 후면)에 S극을 형성하고, 제1 자석의 제2 자석과 접하는 면의 약 140°∼ 150°지점에 S극을 형성한다. 물론, 이와 대응되는 제1 자석의 전면에는 각각 N극이 형성된다. 한편, 제2 자석(34)은 일측이 덮개(35)에 일체로 고정되며, 제1 자석과 접하는 면의 약 350°∼ 0°지점(도면에서는 제2 자석(34)의 전면)에 N극이 형성되고, 제1 자석과 접하는 면의 약 40°∼ 50°지점에 S극이 형성되며, 제1 자석과 접하는 면의 약 140°∼ 150°지점에 N극이 형성되고, 제1 자석과 접하는 면의 약 190°∼ 200°지점에 S극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제1 자석(32)은 플립부재와 결합된 상태에서 회전하게 되며, 제2 자석(34)은 덮개(35)에 고정되어 있다. 플립부재가 본체 하우징과 밀착된 상태에서는 제1 자석의 약 350°∼ 0°지점의 S극과 제2 자석의 약 350°∼ 0°지점의 N극과 제1 자석의 약 140°∼ 150°지점의 S극과 제2 자석의 약 140°∼ 150°지점의 N극이 접하게 되므로,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한 그 상태를 유지한다. 이 상태에서 외력이 가해져 플립부재가 개방되기 시작하면 제1 자석(32)은 제2 자석(34)과 접한 상태에서 회전하게 된다. 제1 자석(32)이 회전하여 제1 자석의 약 350°∼ 0°지점에 형성된 S극과 제2 자석의 약 40°∼ 50°지점에 형성된 S극이 접하고, 제1 자석(32)의 약 140°∼ 150°지점에 형성된 S극과 제2 자석의 약 190°∼ 200°지점에 형성된 S극과 접하게 되면, 서로 밀어내는 힘이 강하게 된다. 그러므로, 이 상태에서는 서로 끌어당기는 힘이 작용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려는 힘이 강하게 작용된다. 이 상태에서 이 지점을 넘겨 플립부재를 개방하면 전술한 바와 같은 원리에 의해 제1 자석의 약 350°∼ 0°지점에 형성된 S극은 제2 자석의 약 140°∼ 150°지점에 형성된 N극에 붙게 된다. 따라서, 플립부재는 본체 하우징과 약 140°∼ 150°의 각도를 이루면서 개방되게 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는 제1 자석과 제2 자석의 동일 극성이 접하면서 발생되는 밀어내는 힘이 발생되는 경우가 있는데, 이 힘을 무시한 상태로 제1 자석과 제2 자석을 접하도록 설치해도 무방하나, 보다 더 좋은 동작을 위해 케이스의 내면과 제1 자석에 일체로 고정된 플립부재결합부 사이에 완충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수단을 설치하고, 플립부재와 플립부재결합부의 결합시에 수평방향으로의 미세한 이동이 보장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완충 수단으로는 스프링이나, 탄력있는 고무링 등이 있을 수 있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된 힌지장치가 본체 하우징에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 본 발명에 따른 힌지장치는 좌, 우측이 구별되게 일체화 되며, 상기 일체화된 힌지장치는 본체 하우징의 내면에 형성된 힌지 결합홈에 삽입되어 본체 하우징과 고정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제1 자석과 제2 자석의 극성의 형성 상태는 일 예에 불과하며, 플립부재의 원하는 개방 상태에 따라 그 각도의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제1 자석과 제2 자석에 형성된 극성은 그 각을 유지하면서 극성이 반대로 형성되거나, 제1 자석과 제2 자석의 역할이 바뀌어도 무방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모두 케이스에 의해 일체화된 상태에서 본체 하우징에 결합되는 구조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종래와 같이 본체 하우징의 하단부에 본 발명에 따른 힌지장치의 주요 구성 요소인 제1 및 제2 자석과 완충용 스프링을 수납하기 위한 결합홈이 형성되어 있고, 이 결합홈에 주요 구성 요소가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원하는 위치에 극성이 형성된 두개의 자석을 이용해 절첩식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장치를 구현함으로써, 힌지장치를 매우 단순화시켜 소형화가 가능하고, 조립이 용이하며, 제작 단가를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0)

  1. 적어도 두개 이상의 제1 및 제2 유닛으로 분리되어 상기 제1 및 제2 유닛을 미리정한 각도로 회동되게 조립하기 위한 절첩식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유닛에는 힌지장치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유닛의 힌지장치 결합홈에 고정 설치되며, 중앙에 관통홀이 형성된 제1 자석과,
    일측에 상기 제2 유닛과 결합되기 위한 결합부재가 일체로 고정되며, 상기 제1 자석의 중앙 관통홀에 삽입되어 회동가능하게 상기 힌지장치 결합홈에 설치된 제2 자석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유닛과 제2 유닛이 밀착된 상태에 있는 경우의 상기 제1 자석과 제2 자석이 접하는 면과 상기 제1 유닛과 제2 유닛이 미리정한 각도로 개방된 상태에 있는 경우의 상기 제1 자석과 제2 자석이 접하는 면은 상기 제1 자석과 제2 자석이 각각 서로 다른 극성이면서도, 자신에 대해서는 동일한 극성이 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 자석의 극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와 대향되는 상기 제2 자석의 면에 접해 상기 제1 유닛의 힌지장치 결합홈 내부에 고정 설치되어, 완충 작용을 제공하기 위한 완충수단을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수단은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닛과 제2 유닛이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및 제2 자석이 접하는 지점을 0°라 정의할 때, 상기 제1 및 제2 자석 중 어느 하나의 자석의 30°내지 50°중 어느 각도의 지점에는 상기 0°지점의 극성과는 다른 극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닛과 제2 유닛이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및 제2 자석이 접하는 지점을 0°라 정의할 때, 상기 제1 및 제2 자석 중 어느 하나의 자석의 160°내지 200°중 어느 각도의 지점에는 상기 30°내지 50°중 어느 각도의 지점에 형성된 극성과 동일한 극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장치.
  6. 적어도 두개 이상의 제1 및 제2 유닛으로 분리되어 상기 제1 및 제2 유닛을 미리정한 각도로 회동되게 조립하기 위한 절첩식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유닛에는 힌지장치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유닛의 힌지장치 결합홈에 고정 설치되는 제1 자석과,
    일측에 상기 제2 유닛과 결합되기 위한 결합부재가 일체로 고정되고, 상기 제1 자석과 접한 상태에서 회전가능하게 상기 힌지장치 결합홈에 설치된 제2 자석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유닛과 제2 유닛이 밀착된 상태에 있는 경우의 상기 제1 자석과 제2 자석이 접하는 면과 상기 제1 유닛과 제2 유닛이 미리정한 각도로 개방된 상태에 있는 경우의 상기 제1 자석과 제2 자석이 접하는 면은 상기 제1 자석과 제2 자석이 각각 서로 다른 극성이면서도, 자신에 대해서는 동일한 극성이 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 자석의 극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가 고정된 상기 제2 자석의 면과 상기 제1 유닛의 힌지장치 결합홈이 접하는 부분에 설치되어, 완충 작용을 제공하기 위한 완충수단을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수단은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장치.
  9.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닛과 제2 유닛이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및 제2 자석이 접하는 지점을 0°라 정의할 때, 상기 제1 및 제2 자석 중 어느 하나의 자석의 30°내지 50°중 어느 각도의 지점에는 상기 0°지점의 극성과는 다른 극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닛과 제2 유닛이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및 제2 자석이 접하는 지점을 0°라 정의할 때, 상기 제1 및 제2 자석 중 어느 하나의 자석의 160°내지 200°중 어느 각도의 지점에는 상기 30°내지 50°중 어느 각도의 지점에 형성된 극성과 동일한 극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장치.
  11. 적어도 두개 이상의 제1 및 제2 유닛으로 분리되어 상기 제1 및 제2 유닛을 미리정한 각도로 회동되게 조립하기 위한 절첩식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유닛에는 힌지장치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유닛의 힌지장치 결합홈에 고정 설치되는 케이스부재와,
    상기 케이스부재의 내부에 고정 설치되며, 중앙에 관통홀이 형성된 제1 자석과,
    일측에 상기 제2 유닛과 결합되기 위한 결합부재가 일체로 고정되고, 상기 제1 자석의 중앙 관통홀에 삽입되어 회동가능하게 상기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되, 상기 결합부재가 상기 케이스부재의 일측에 형성된 관통홀로 돌출되도록 설치되는 제2 자석과,
    상기 케이스부재의 내부에 설치된 상기 제1 및 제2 자석을 일체화하기 위해 상기 케이스부재의 타측에 고정 결합되는 덮개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유닛과 제2 유닛이 밀착된 상태에 있는 경우의 상기 제1 자석과 제2 자석이 접하는 면과 상기 제1 유닛과 제2 유닛이 미리정한 각도로 개방된 상태에 있는 경우의 상기 제1 자석과 제2 자석이 접하는 면은 상기 제1 자석과 제2 자석이 각각 서로 다른 극성이면서도, 자신에 대해서는 동일한 극성이 되도록 상기제1 및 제2 자석의 극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와 대향되는 상기 제2 자석의 면과 상기 덮개부재 사이에 고정 설치되어, 완충 작용을 제공하기 위한 완충수단을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수단은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장치.
  14. 제 11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닛과 제2 유닛이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및 제2 자석이 접하는 지점을 0°라 정의할 때, 상기 제1 및 제2 자석 중 어느 하나의 자석의 30°내지 50°중 어느 각도의 지점에는 상기 0°지점의 극성과는 다른 극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닛과 제2 유닛이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및 제2 자석이 접하는 지점을 0°라 정의할 때, 상기 제1 및 제2 자석 중 어느 하나의 자석의 160°내지 200°중 어느 각도의 지점에는 상기 30°내지 50°중 어느 각도의 지점에 형성된 극성과 동일한 극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장치.
  16. 적어도 두개 이상의 제1 및 제2 유닛으로 분리되어 상기 제1 및 제2 유닛을 미리정한 각도로 회동되게 조립하기 위한 절첩식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유닛에는 힌지장치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유닛의 힌지장치 결합홈에 고정 설치되는 케이스부재와,
    상기 케이스부재의 내부에 설치된 구성품을 일체화된 형태로 유지하기 위해 상기 케이스부재에 고정 결합된 덮개부재와,
    일측에 상기 제2 유닛과 결합되기 위한 결합부재가 일체로 고정되고, 상기 케이스부재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결합부재가 상기 케이스부재의 일측에 형성된 관통홀로 돌출되도록 설치되는 제1 자석과,
    상기 제1 자석과 접한 상태로 일측이 상기 덮개부재에 고정 설치되는 제2 자석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유닛과 제2 유닛이 밀착된 상태에 있는 경우의 상기 제1 자석과 제2 자석이 접하는 면과 상기 제1 유닛과 제2 유닛이 미리정한 각도로 개방된 상태에 있는 경우의 상기 제1 자석과 제2 자석이 접하는 면은 상기 제1 자석과 제2 자석이 각각 서로 다른 극성이면서도, 자신에 대해서는 동일한 극성이 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 자석의 극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가 고정된 상기 제1 자석의 면과 상기 케이스부재가 접하는 부분에 설치되어, 완충 작용을 제공하기 위한 완충수단을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수단은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장치.
  19. 제 16 항 또는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닛과 제2 유닛이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및 제2 자석이 접하는 지점을 0°라 정의할 때, 상기 제1 및 제2 자석 중 어느 하나의 자석의 30°내지 50°중 어느 각도의 지점에는 상기 0°지점의 극성과는 다른 극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장치.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닛과 제2 유닛이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및 제2 자석이 접하는 지점을 0°라 정의할 때, 상기 제1 및 제2 자석 중 어느 하나의 자석의 160°내지 200°중 어느 각도의 지점에는 상기 30°내지 50°중 어느 각도의 지점에 형성된 극성과 동일한 극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장치.
KR1019990010169A 1999-03-24 1999-03-24 자석을 이용한 절첩식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장치 KR1003047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0169A KR100304728B1 (ko) 1999-03-24 1999-03-24 자석을 이용한 절첩식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0169A KR100304728B1 (ko) 1999-03-24 1999-03-24 자석을 이용한 절첩식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1253A KR20000061253A (ko) 2000-10-16
KR100304728B1 true KR100304728B1 (ko) 2001-09-26

Family

ID=195776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10169A KR100304728B1 (ko) 1999-03-24 1999-03-24 자석을 이용한 절첩식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0472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5810A (ko) * 2000-12-29 2002-07-10 안준범 마그네트를 이용한 휴대폰 힌지
KR100442595B1 (ko) * 2001-09-14 2004-08-02 삼성전자주식회사 자성을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 장치
CN215058838U (zh) * 2020-12-09 2021-12-07 杭州安费诺飞凤通信部品有限公司 一种双轴同步铰链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1253A (ko) 2000-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16492B2 (en) Magnetic hinge apparatus
KR100651497B1 (ko)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 장치
KR100617688B1 (ko) 휴대 단말기의 힌지 장치
US20070077972A1 (en) Hinge assembly for a foldable electronic device
US20060112517A1 (en) Hinge assembly for foldable electronic device
US20080309098A1 (en) Switch assembly and foldable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ing same
KR20050097455A (ko) 스윙 타입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 장치
KR100630068B1 (ko) 디스플레이 회전형 휴대 단말기의 힌지 장치
GB2300881A (en) Hinge for a radiotelephone
US20070077971A1 (en) Hinge assembly for a foldable electronic device
KR20090058614A (ko) 회전 힌지 모듈과 이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US7859585B2 (en) Portable terminal having camera lens assembly
KR100304728B1 (ko) 자석을 이용한 절첩식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장치
US7493674B2 (en) Cover restricting mechanism of foldable electronic device
KR100594016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스윙 힌지 장치
KR100678039B1 (ko) 폴더형 휴대폰의 카메라 도어 개폐장치
KR100442595B1 (ko) 자성을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 장치
KR100296038B1 (ko) 휴대폰의 힌지장치
KR20050117203A (ko)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KR100672467B1 (ko)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힌지모듈
KR101058715B1 (ko)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 장치
KR100616224B1 (ko) 마그네틱을 이용한 회전 힌지를 가지는 이동 통신 단말기
KR100790103B1 (ko) 휴대형 단말기의 로터리형 힌지 장치
EP2326064B1 (en) Magnetic hinge electronic mobile device
KR100630173B1 (ko)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유닛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71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