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03852B1 - Convergence device for color braun tube of inline shape - Google Patents

Convergence device for color braun tube of inline shap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03852B1
KR100303852B1 KR1019980030459A KR19980030459A KR100303852B1 KR 100303852 B1 KR100303852 B1 KR 100303852B1 KR 1019980030459 A KR1019980030459 A KR 1019980030459A KR 19980030459 A KR19980030459 A KR 19980030459A KR 100303852 B1 KR100303852 B1 KR 1003038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ic flux
pair
pole
flux density
po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3045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9980072177A (en
Inventor
방종호
이종배
김태영
Original Assignee
김순택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홍상민
주식회사 이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순택,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홍상민, 주식회사 이앤텍 filed Critical 김순택
Priority to KR10199800304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03852B1/en
Publication of KR199800721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7217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38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3852B1/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70Arrangements for deflecting ray or beam
    • H01J29/701Systems for correcting deviation or convergence of a plurality of beams by means of magnetic fields at least
    • H01J29/702Convergence correction arrangements therefor
    • H01J29/703Static convergence syste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48Electron guns
    • H01J29/51Arrangements for controlling convergence of a plurality of beams by means of electric field on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29/00Details of cathode ray tubes or electron beam tubes
    • H01J2229/56Correction of beam optics
    • H01J2229/568Correction of beam optics using supplementary correction devices
    • H01J2229/5681Correction of beam optics using supplementary correction devices magnetic

Abstract

PURPOSE: A convergence device of an inline shape color braun tube is provided to conveniently control static convergence within a permit range. CONSTITUTION: A 4 polar pair(P4) contains a first magnet ring. The 4 polar pair moves beams toward a reverse direction of each other. An electronic beam(20) is converged to a point of a phosphor face(40) through a shadow mask(30) in a raster state. The electronic beam scans the position of the phosphor face through a horizontal and vertical deflection unit(50). The magnet ring is composed of different polar. The pair controls the relative angle of the magnet ring to control the convergence through controlling movement of the beam. Thereby, a convergence device of the inline shape color braun tube conveniently controls the static convergence within a permitted range. Moreover, the convergence device of the inline shape color braun minimizes movement of the beam.

Description

인라인형 칼라브라운관의 컨버전스장치Convergence device of in-line color brown tube

본 발명은 인라인(in-line)형 칼라 브라운관에 관한 것으로, 특히 그 컨버전스(convergence)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line type CRT,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nvergence device thereof.

인라인형 칼라 브라운관은 전자총 어셈블리가 횡(橫)으로 나란히 배열된 세 전자총을 형성하게 되는 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 전자총(10)에서 발사된 전자빔(20)은 래스터(raster) 상태에서 섀도우마스크(shadow mask;30)를 통해 형광면(40)상의 한 점에 컨버전스되어야 한다.In-line color CRT forms three electron guns in which the electron gun assembly is arranged side by side. As shown in FIG. 1, the electron beam 20 emitted from the three electron guns 10 is in a raster state. It should be converged to a point on the fluorescent surface 40 through a shadow mask 30.

여기서 전자빔(20)은 수평 및 수직 편향수단(50)에 의해 형광면(40)상의 각 위치를 주사(scan)하게 되는데, 이러한 주사시 각 위치에서 세 전자빔(20)은 역시 한점에 컨버전스되어야 한다.In this case, the electron beam 20 scans each position on the fluorescent surface 40 by horizontal and vertical deflection means 50. In this scanning, three electron beams 20 should be converged at one point at each position.

이에 따라 칼라브라운관에는 스태틱(static) 및 다이나믹(dynamic) 컨버전스 수단이 구비되는데, 스태틱 컨버전스수단은 2극, 4극 및 6극의 세 페어(pair;P2,P4,P6; 이하 필요시 P로 총칭함)로 구성되어 일반적으로 CPM(Convergence Purity Magnet)으로 불리는 컨버전스장치로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Accordingly, the color-brown tube is provided with static and dynamic convergence means, which are referred to collectively as P, P2, P4 and P6; It is generally composed of a convergence device called CPM (Convergence Purity Magnet).

여기서 컨버전스장치의 각 페어(P2,P4,P6)는 부분적으로 착자(着磁)되어 N 및 S의 두 종류의 극(極)들을 구성하는 두 마그네트 링(magnet ring)으로 구성된다.Here, each pair P2, P4, P6 of the convergence device is partially magnetized and is composed of two magnet rings forming two kinds of poles, N and S.

먼저 도 2(A)에 도시된 2극페어(P2)는 퓨리티 마그네트(purity magnet)으로 불리는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N극과 S극간의 자속(磁束)에 의해 R,G,B 세 빔을 한 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된다.First, the bipolar pair P2 shown in FIG. 2A is called a purity magnet. As shown in FIG. 2A, the three R, G and B beams are generated by the magnetic flux between the N pole and the S pole. Will move in one direction.

한편 도 2(B)에 도시된 4극 페어(P4)는 외측의 R,B 두 빔을 서로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되고, 도 2(C)의 6극 페어(P6)는 외측의 R,B 두 빔을 동일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되며, 4극 페어(P4)와 6극 페어(P6)를 함께 컨버전스 마그네트로 호칭하고 있다.Meanwhile, the 4-pole pair P4 shown in FIG. 2B moves two R and B beams in opposite directions to each other. The two beams are moved in the same direction, and the 4-pole pair P4 and the 6-pole pair P6 are called convergence magnets together.

여기서 컨버전스장치는 칼라브라운관의 제조과정에서의 오차에 의해 R,G,B 세 전자빔이 정확히 정렬되지 못한 것을 조정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각 페어(P2,P4,P6)가 한쌍의 마그네트링으로 구성되는 이유는 그 사이의 상대각을 조절함으로써 브라운관별로 서로 다른 제조오차에 대해 빔 이동량을 조절하여 컨버전스를 조정하기 위한 것이다.The convergence device is used to adjust the three R, G, B electron beams are not aligned correctly due to errors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color CRT, each pair (P2, P4, P6) is composed of a pair of magnet ring The reason for this is to adjust the convergence by adjusting the beam shift amount for different manufacturing errors for each CRT by adjusting the relative angle therebetween.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쌍의 페어(P)는 스페이서(spacer;A)를 개재(介在)하여 두 링(R1,R2)의 N극과 S극이 서로 대응되도록 위치함으로써 진입된 전자빔(20)을 2회 편향시킴으로써 형광면(40)상의 랜딩(landing) 위치를 조정하게 된다.That is, as shown in FIG. 3, a pair of pairs P of electrons entered by positioning the N pole and the S pole of the two rings R1 and R2 to correspond to each other through a spacer A is provided. By deflecting 20 twice, the landing position on the fluorescent surface 40 is adjusted.

그런데, 컨버전스장치로 조정될 브라운관은 허용공차 이내의 다양한 크기의 편이량을 가지고 있으므로 브라운관에 따라서는 컨버전스의 조정이 불필요한 것들이 존재한다. 이 경우 컨버전스 장치의 존재는 브라운관의 정렬상태를 오히려 해치게 되므로, 브라운관 제조의 정도(精度)가 향상됨에 따라 컨버전스 장치의 특성은 최대빔 이동량보다 오히려 최소빔 이동량이 더욱 중요하게 된다. 이에 따라 종래 컨버전스장치의 개발은 주로 최소빔 이동량의 최소화에 주안점을 두어 왔다.However, since the CRT to be adjusted by the convergence device has a deviation amount of various sizes within the allowable tolerance, there are some unnecessary adjustments of the convergence depending on the CRT. In this case, the presence of the convergence device rather impairs the alignment of the CRT. As the precision of CRT production is improv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nvergence device become more important than the maximum beam displacement. Accordingly, the development of the conventional convergence device has mainly focused on minimizing the minimum beam shift amount.

도 3에 도시된 것은 특히 미국 특허 4,570,140호로 개시된 것으로 전자총측의 제1링(R1)의 자속밀도가 형광면측의 제2링(R2)보다 크도록 함으로써 최소 빔이동량을 감소시킬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3 is disclosed in US Pat. No. 4,570,140. The magnetic flux density of the first ring R1 on the electron gun side is larger than the second ring R2 on the fluorescent surface side so as to reduce the minimum beam shift amount.

즉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링(R1)의 자속밀도가 제2링(R2)의 자속밀도보다 커지도록 착자되어, 도4(B)와 같이 양(+)의 페어율(H-L)/L×100%을 가지게된다. 이때 최소 빔이동량은 소정의 사용 오차범위의 외단에서의 빔 이동량이 된다.That is, as shown in Fig. 4A, the magnetic flux density of the first ring R1 is magnetized so as to be larger than the magnetic flux density of the second ring R2, and as shown in Fig. 4B, a positive pair ratio is obtained. (HL) / L × 100%. In this case, the minimum beam shift amount is a beam shift amount at an outer end of a predetermined use error range.

한편 최소 빔이동량을 더욱 감소시키기 위한 기술로서 대한민국 특허공고 96-11769호가 개시된 바, 이는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링(R2)의 자속밀도를 제1링(R1)의 자속밀도보다 높게 착자하여 역(逆) 페어로 구성하되, 제2링(R2)의 각 극은 주(主)착자와 이 주착자의 고조파(高調波) 형태의 부(副) 착자의 결합으로 구성하여 최소 조정시 다수의 미세한 N,S극을 형성함으로써 최소빔 이동량을 0으로 하고자 하는 것이다.Meanwhile,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96-11769 has been disclosed as a technique for further reducing the minimum beam shift amount, which is shown in FIG. 5 (A), and the magnetic flux density of the second ring R2 is determined by the magnetic flux of the first ring R1. It is composed of inverse pairs by magnetizing higher than density, and each pole of the second ring (R2) is composed of a combination of a main magnetizer and a harmonic-shaped sub-magnet of the main magnetizer. The minimum beam shift amount is set to zero by forming a plurality of fine N and S poles during the minimum adjustment.

그러나 이러한 기술은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링(R2)의 극의 폭이 좁아져 빔이동량 그래프의 기울기가 커지므로 약간의 회전으로도 빔이 크게 이동하여 컨버전스 조정이 매우 어려울 뿐 아니라, 사용오차범위 외단의 최소 빔이동량은 오히려 도 4의 경우보다 증가되는 문제가 있다.However, as shown in FIG. 5 (B), the width of the pole of the second ring R2 is narrowed to increase the slope of the beam shift amount graph, so that the beam moves largely even with a slight rotation, thereby making it very difficult to adjust the convergence. In addition, the minimum beam shift amount at the outer end of the use error range is rather increased than in the case of FIG. 4.

한편 한 페어를 구성하는 두 링의 두께 차이에 따른 유효 자속밀도의 차이를 감안하여 일본 특허공고 소55-30659호는 도 6(A) 및 (B)와 같이 N극이 S극보다 큰 자속밀도로 착자된 두 링(R1,R2)을 구성하여, 두 링(R1,R2)이 90°간격으로 겹쳐지는 경우 도 6(C)와 같이 R,G,B가 전자빔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즉, 최소 빔이동량을 0으로 하고자 하는 기술을 개시하였다.On the other hand, in consideration of the difference in the effective magnetic flux density according to the thickness difference between the two rings constituting a pair, Japanese Patent Publication No. 55-30659 has a magnetic flux density of which the N pole is larger than the S pole as shown in Figs. 6 (A) and (B). When the two rings R1 and R2 are magnetized to each other, the two rings R1 and R2 overlap each other by 90 °, so that R, G and B do not affect the electron beam as shown in FIG. A technique for zeroing the minimum beam shift amount has been disclosed.

그러나 이러한 도 6의 구성은 실제의 자속분포를 고려하지 않은 단순한 이론에 불과한 것으로, 실제적인 효과를 기대하기는 어렵다.However, the configuration of FIG. 6 is merely a theory without considering the actual magnetic flux distribution, and it is difficult to expect a practical effect.

그런데 이와 같은 도 3 내지 도 6의 각 형식의 페어(P)들은 방식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모두 축(軸) 대칭이라는 공통점을 가진다. 이와 같은 축대칭의 페어(P)들은 컨버전스 조정에 있어서 다음과 같은 공통적인 문제를 야기하게 된다.However, the pairs P of each type of FIGS. 3 to 6 have a common point of axial symmetry in spite of the difference in the methods. These axisymmetric pairs P cause the following common problems in convergence adjustment.

먼저 도 7을 통해 조정될 R,G,B 세 전자빔의 기하학적 정의를 살펴본다. 먼저 외단의 전자빔 R,B간의 거리를 OCV로 표시하고, 외단 전자빔 R,B간의 거리의 중심과 중앙전자빔 G간의 거리를 CCV로 표시한다. 여기서 OCV는 4극페어에 의해, CCV는 6극페어에 의해 조정된다.First, look at the geometric definition of the three R, G, B electron beam to be adjusted through FIG. First, the distance between the electron beams R and B at the outer end is indicated by OCV,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center of the distance between the electron beams R and B at the outer end and the central electron beam G is indicated by CCV. Here OCV is adjusted by 4 pole pairs and CCV is adjusted by 6 pole pairs.

그러면 외단 전자빔 R,B간의 거리(OCV)가 소정범위 이내이고, 중심간 거리(CCV)가 0이면 이론적으로는 세 빔의 완전한 정합이 이뤄지게 된다. 실제적으로 R,B간의 거리(OCV)의 허용오차는 예를들어 0.2mm이고, 중심간거리(CCV)의 허용오차는 0.05mm 정도로 설정되어, 세 빔이 이 범위내로 정합되면 완전한 컨버전스 조정이 이뤄진 상태가 된다.Then, when the distance (OCV) between the outer electron beams R and B is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centers (CCV) is 0, theoretically, the three beams are completely matched. In practice, the tolerance of the distance between R and B (OCV) is 0.2mm, for example, and the tolerance of the center distance (CCV) is set to 0.05mm. When three beams are matched within this range, full convergence adjustment is made. Becomes

그런데 도 3 내지 도 6의 축대칭 페어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문제를 야기하게 된다.However, the axisymmetric pairs of FIGS. 3 to 6 cause problems as shown in FIG. 8.

먼저 도 7과 같은 정합특성을 가지는 브라운관을 도 8(A)와 같이 4극 페어()로 조정하는 과정을 살펴본다.First, a process of adjusting a CRT having a matching characteristic as shown in FIG. 7 to a 4-pole pair () as shown in FIG. 8 (A) will be described.

이론적으로 4극페어(P4)에 의하면 N-S 자속에 의해 두 외단빔 R,B은 중심빔G에 대해 실선과 같이 이동하여 R,B간의 거리(OCV)가 감소해야 한다.Theoretically, according to the four-pole pair P4, the two outer beams R and B should move in a solid line with respect to the center beam G by the N-S magnetic flux, so that the distance (OCV) between the R and B should be reduced.

그러나 각 페어(P2)는 두 링(R1,R2)의 결합으로 구성되어 자속밀도의 크기를 조정하기 위해서는 두 링(R1,R2)을 상대회전시켜야 하므로, 자속의 방향은 N-S로부터 N'-S'로 회전하게 되며, 이에 따라 외단 빔 R,B은 실선이 아니라 일점쇄선방향, 즉 사선(斜線)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However, since each pair P2 is composed of a combination of two rings R1 and R2, in order to adjust the magnitude of the magnetic flux density, the two rings R1 and R2 must be rotated relatively, so the direction of the magnetic flux is N'-S from NS. ', So that the outer beams R, B move in a dashed-line direction, that is, in an oblique line direction, rather than a solid line.

즉 R빔은 우상방으로 B빔은 좌하방으로 이동되므로, R,G,B를 수평선상에 위치시키기 위해서는 다시 R,B빔을 상하 반대방향으로 재이동시키지 않으면 안된다.That is, since the R beam moves to the upper right and the B beam moves to the lower left, the R and B beams must be moved again in the up and down directions in order to place the R, G and B on the horizontal line.

이러한 문제는 도 8(B)의 6극페어(P6)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인 바, 도 8(A)의 4극 페어(P4)에 의해 일단 조정된 두 외단빔 R,B가 자속방향의 회전에 의해 좌하방으로 이동하므로, 다시 전체적으로 상방으로 재이동시키지 않으면 안된다.This problem also applies to the six-pole pair P6 of FIG. 8B, and the two outer beams R and B, once adjusted by the four-pole pair P4 of FIG. 8A, are rotated in the magnetic flux direction. Since it moves to the lower left, it must be moved upward again as a whole.

이에 따라 2극페어(P2)를 제외한 종래의 축대칭 페어(P4,P6)들은 각 조정이 재조정이 필요한 편이를 야기하게 되므로 도 8(A) 내지 도 8(B)의 조정의 다수회 반복을 필요로 하여 컨버전스의 조정이 매우 어려워지게 된다.Accordingly, the conventional axisymmetric pairs P4 and P6 excluding the two-pole pair P2 cause a shift in which adjustment is necessary for each adjustment, so that the multiple repetitions of the adjustment in FIGS. 8A to 8B are repeated. This makes it very difficult to adjust convergence.

또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외단빔 R,B간의 최소조정 OCV는 각각의 최소 빔이동량의 합이 되는 바, 예를들어 도 3 및 도 4의 페어의 최소 빔이동량이 0.15mm라면 최소조정 OCV는 그 2배인 0.3mm가 되는 바, 이는 브라운관의 기능상 필요한 허용 OCV 0.2mm보다 커서, 완성된 브라운관의 색순도등 화상품질이 저하되는 문제를 야기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는 6극페어에 의한 CCV의 조정에서도 마찬가지로 발생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9, the minimum adjustment OCV between the two outer beams R and B is the sum of the respective minimum beam shift amounts. For example, if the minimum beam shift amount of the pairs of FIGS. 3 and 4 is 0.15 mm, the minimum adjustment OCV is performed. The OCV is twice that of 0.3 mm, which is larger than the allowable OCV 0.2 mm necessary for the function of the CRT, which causes a problem of deterioration of image quality such as color purity of the finished CRT. This problem also occurs in the adjustment of CCV by 6-pole pairs.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조정이 용이하고 허용범위 이내의 최소 조정상태를 달성할 수 있는 인라인형 칼라브라운관의 컨버전스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vergence device for an in-line color brown tube that can easily adjust and achieve a minimum adjustment state within an acceptable range.

제1도는 인라인형 칼라브라운관의 구성을 보이는 개략적인 단면도,1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inline color brown tube,

제2a도 내지 제2c는 컨버전스장치의 각 페어의 기능을 보이는 개략도,2a to 2c are schematic views showing the function of each pair of convergence devices,

제3도는 종래의 한 페어의 작용을 보이는 빔 경로도,3 is a beam path diagram showing the action of a conventional pair,

제4a도는 제3도의 페어의 자화상태도, 제4b도는 그 빔 이동량 그래프,4a is a magnetization state diagram of the pair of FIG. 3, FIG. 4b is a graph of the beam shift amount,

제5a도 및 제5b도는 종래의 다른 페어의 자화상태도 및 빔 이동량 그래프,5a and 5b are a graph of the magnetization state and the beam shift amount of another conventional pair,

제6a도 내지 제6c도는 종래의 또다른 페어의 구성과 작용을 보이는 개략도,6a to 6c is a schematic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another conventional pair,

제7도는 컨버전스 장치에 의해 조정될 세 빔의 기하학적 정의를 보이는 그래프,7 is a graph showing the geometric definition of three beams to be adjusted by the convergence device,

제8도는 종래의 대장형 페어의 의한 조정상의 문제를 보이는 도면들로 제8a도는 4극 페어, 제8b도는 6극 페어에 대한 도면,FIG. 8 is a view showing adjustment problems with a conventional large pair. FIG. 8A is a 4-pole pair, FIG. 8B is a 6-pole pair.

제9도는 종래 페어에 의한 최소빔 이동량을 보이는 도면,9 is a view showing a minimum beam shift amount by a conventional pair,

제10도는 본 발명에 의한 4극 페어를 도시한 도면으로 제10a도 제10b도는 한 페어를 이루는 두 링의 도면이며, 제10c도는 한 링의 자화상태도,FIG. 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 four-pole pa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S. 10a and 10b are views of two rings forming a pair, and FIG. 10c is a magnetization state of one ring.

제11도는 본 발명에 의한 6극 페어를 도시한 도면으로 제11a도 및 제11b도는 한 페어를 이루는 두 링의 도면이며, 제10c도는 한 링의 자화상태도,FIG. 1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ix-pole pa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S. 11a and 11b are views of two rings forming a pair, and FIG. 10c is a magnetization state of one ring.

제 12도는 본 발명에 의한 최소 빔 이동량 그래프,12 is a graph of a minimum beam shift amou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13도는 및 제14도는 본 발명의 4극페어 및 6극 페어의 작용을 설명하는 도면들,13 and 14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four-pole pair and six-pole pair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5도는 본 발명에 의한 조정특성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제15a도는 제4극 페어, 제15b도는 6극 페어에 대한 도면,15 is a view showing the adjustment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5a is a fourth pole pair, Figure 15b is a view for the six-pole pair,

제16도는 본 발명에 의한 최소빔 이동량을 보이는 도면,16 is a view showing a minimum beam shift amou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17a도 및 제17b도는 본 발명에 의한 또 다른 페어를 보이는 도면이다.17A and 17B show another pa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P2 : 2극페어(pair)P2: 2 pole pair

P4 : 4극페어P4: 4-pole pair

P6 : 6극페어P6: 6 pole pair

R1,R2 : (각 페어의)(마그네트) 링(ring)R1, R2: (magnet) ring (of each pair)

(제1 및 제2링으로 구분 호칭함)(Classified as 1st and 2nd ring)

N,S : N 및 S극(極)N, S: N and S poles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컨버전스장치는 각 페어의 적어도 한 링이, 그 중심축을 중심으로 2분할할 때 일측 반부의 적어도 어느 한 극이 타측 반부의 대향측 극보다 낮은 자속밀도로 착자되어 비대칭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convergenc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when at least one ring of each pair is divided into two about its central axis, at least one pole of one half is magnetized with a lower magnetic flux density than the opposite pole of the other half.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asymmetrical configuration.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각 페어의 다른 한 링은 역시 비대칭으로 구성되되, 이 링과 반대극성으로 착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feature of the invention, the other ring of each pair is also configured asymmetrically, magnetizing in opposite polarity with this ring.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4극 및 6극 페어의 구성시 외단의 R,B빔의 이동량이 비대칭, 즉 일측은 크고 타측은 작아지게 된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when the 4-pole and 6-pole pairs are configured, the amount of movement of the R and B beams at the outer ends is asymmetric, that is, one side is large and the other side is small.

이에 따라 신속하고 용이한 컨버전스 조정이 가능하며, 최소 조정상태를 허용범위 이내로 달성할 수 있게 된다.This allows for quick and easy convergence adjustment and achieves a minimum adjustment within the acceptable range.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구체적 특징과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의 설명으로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Such specific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0 및 도 11은 각각 본 발명에 의한 4극페어(P4) 및 6극페어(P6)를 도시하고 있는데, 먼저 도 10의 4극페어(P4)를 살펴보기로 한다.10 and 11 illustrate a 4-pole pair P4 and a 6-pole pair P6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rst, the 4-pole pair P4 of FIG. 10 will be described.

4극페어(P4)중 도 10(A)의 제1링(R1)은 상하의 중심축을 따라 2분할할 때 우측의 반부의 두 S,N극이 좌측의 반부의 두 대향하는 N,S극보다 낮은 자속밀도로 착자되고, 이에 대응되는 도 10(B)의 제2링(R2)은 좌측반부가 S,N극으로 우측반부가 낮은 자속밀도의 N,S극으로 착자되어 역시 비대칭이나 제1링(R1)과 반대극성으로 착자된다.In the four-pole pair P4, the first ring R1 of FIG. 10 (A) has two S and N poles on the right half more than two opposite N and S poles on the left half when divided into two along the upper and lower center axes. The second ring R2 of FIG. 10 (B) is magnetized to a low magnetic flux density and the left half is magnetized to the S and N poles, and the right half is magnetized to the N and S poles of low magnetic flux density. Magnetized in the opposite polarity to the ring (R1).

이에 따라 전체적인 자화상태는 도 10(C)에 보인 바와 같이 H-H-L-L이 된다.Accordingly, the overall magnetization state becomes H-H-L-L as shown in FIG. 10 (C).

한편 도 11에 도시된 6극페어(P6)는 도 10과 유사하게 좌상부의 S-N-S극보다 우하부의 N-S-N극이 낮은 자속밀도는 착자된 도 11(A)의 제1링(R1)과, 이와 반대극성으로 착자된 도 11(B)의 제2링(R2)으로 구성되어, 도 11(C)와 같이 H-H-H-L-L-L의 자화상태를 가지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six-pole pair P6 shown in FIG. 11 has a magnetic flux density lower than that of the upper left NSN pole than the upper left SNS pole, similar to FIG. 10, and the first ring R1 of FIG. It consists of the 2nd ring R2 of FIG. 11 (B) magnetized by the opposite polarity, and has the magnetization state of HHHLLL like FIG. 11 (C).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페어(P4,P6)는 각 링(R1,R2)내의 극들이 비대칭으로 자속밀도의 차이를 가지게 되므로 도 12와 같은 빔 이동특성을 나타내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pairs P4 and P6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xhibit a beam shift characteristic as shown in FIG. 12 because the poles in each ring R1 and R2 have an asymmetric difference in magnetic flux density.

도 12에서 빔 이동량 그래프는 도 4 내지 도 5와 달리 2중으로 나타나게 되는데, 즉 상대적으로 높은 자속밀도의 극들간에는 내측의 큰 기울기의 그래프로, 상대적으로 낮은 자속밀도의 극들간에는 외측의 작은 기울기의 그래프로 나타난다. 즉 동일한 페어(P4,P6)내에서 크고 작은 2가지의 빔 이동량이 나타날 수 있게 되는바, 페어(P2,P4)의 양 링(R1,R2)이 서로 대응하는 자속밀도로 구성되는 경우 페어율은 0이 되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 페어는 제로 OCV 및 제로 CCV를 달성하게 되므로 최종적인 오차범위는 ± 허용오차 범위가 된다.In FIG. 12, the beam shift amount graph is shown as double, unlike FIGS. 4 to 5, that is, a graph of a large inward slope between the poles of relatively high magnetic flux density, and a graph of a small slope of the outside between the poles of the relatively low magnetic flux density. Appears. That is, two large and small beam shifts can be displayed in the same pair P4 and P6. When both rings R1 and R2 of the pair P2 and P4 are configured with magnetic flux densitie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the pair ratio Becomes 0, and a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pair of the present invention achieves zero OCV and zero CCV, so the final error range becomes ± tolerance range.

이를 명확히 하기 위해 4극 및 6극 페어의 작용과 제로 OCV 및 CCV의 달성 과정을 살펴보기로 한다.To clarify this, let's look at the behavior of 4-pole and 6-pole pairs and the achievement of zero OCV and CCV.

먼저 도 13은 4극페어(P4)에 대한 구성을 도시하고 있는데, (A)와 같이 좌반부의 N,S극보다 우반부의 S,N극이 자속밀도가 낮으므로, 그 사이에 형성되는 자속도 우반부가 좌반부보다 작아, 결국 (B)와 같이 좌측빔 이동량보다 우측빔 이동량이 작아지게 된다.First, FIG. 13 shows the configuration of the four-pole pair P4. As shown in (A), since the S and N poles of the right half portion have lower magnetic flux densities than the N and S poles of the left half portion, The speed right half is smaller than the left half, so that the right beam shift amount becomes smaller than the left beam shift amount as shown in (B).

한편 도 14의 6극페어(P6)에서도 4극페어(P4)와 마찬가지 작용으로 좌측빔 이동량보다 우측빔 이동량이 작아지게 된다.Meanwhile, in the six-pole pair P6 of FIG. 14, the right-beam shift amount is smaller than the left-beam shift amount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four-pole pair P4.

도 13 및 14에서는 우반부에 작은 자속밀도의 극들이 배열되어 있으므로 우측빔 이동량이 좌측빔 이동량보다 작아지게 되나, 반대의 경우도 성립하며, 각 페어(P4,P6)의 두 링(R1,R2)은 서로 반대극성으로 착자되어 있으므로 조정의 필요에 따라 좌측빔 또는 우측빔의 어느 하나의 이동량을 작게 설정할 수 있게 된다.13 and 14, since the poles of the small magnetic flux density are arranged in the right half, the right beam shift amount becomes smaller than the left beam shift amount, but the opposite is also true, and the two rings R1 and R2 of each pair P4 and P6 are arranged. ) Are magnetized in opposite polarities so that the amount of movement of either the left beam or the right beam can be set small according to the need of adjustment.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비대칭 페어에 의해 컨버전스를 조정하는 과정을 도 15를 통해 살펴보기로 한다.Such a process of adjusting convergence by the asymmetric pair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5.

도 15(A)는 두 외단빔 R,B를 반대방향으로 이동시켜 OCV를 조정하는 4극 페어(P4)에 관한 도면인바, 종래의 대칭 페어에서는 링의 상대회전에 의한 조정시 자속방향의 변화에 의해 R,B빔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동일 크기만큼 이동하여 R1,B2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FIG. 15 (A) is a diagram of a four-pole pair P4 for adjusting OCV by moving two outer beams R and B in opposite directions. In the conventional symmetric pair, a change in magnetic flux direction during adjustment by relative rotation of the ring is shown. As a result, the R and B beams are moved in the opposite directions by the same size to the R1 and B2 positions.

그러나 본 발명의 비대칭 페어에 있어서는 자속밀도가 작은 우반부의 자속에 의한 B빔은 상대적으로 작은 거리만큼만 이동하여 B1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However, in the asymmetric pai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 beam caused by the magnetic flux of the right half of the magnetic flux density is moved only by a relatively small distance to the B1 position.

도 15(B)의 6극페어(P6)에 있어서도 자속밀도가 작은 우반부측의 B빔은 역시 R빔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거리만큼만 이동하게 된다.Also in the six-pole pair P6 of Fig. 15B, the B beam on the right half side having a small magnetic flux density also moves only by a distance relatively smaller than that of the R beam.

이와 같은 결과는 실제적인 조정에 있어서, R빔이 B빔보다 G빔으로부터 더 편이되어 있는 경우 페어(P4,P6)의 자속밀도가 큰 쪽을 R빔측에 위치시켜 R빔에 주안점을 두어 조정하여도 B빔의 이동량이 작으므로 쉽게 전체적인 컨버전스의 조정이 가능하게 된다는 의미가 된다. 한편 B빔이 반대로 더 큰 편이를 가지는 경우에는 페어(P4,P6)를 반대로 회전시키고 B빔에 주안점을 두어 컨버전스를 조정하여도 전체적인 컨버전스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This result shows that in the actual adjustment, when the R beam is shifted further from the G beam than the B beam, the magnetic flux density of the pairs P4 and P6 is placed on the R beam side and adjusted with the focus on the R beam. Since the amount of movement of the B beam is small, the overall convergence can be easily adjusted. On the other hand, if the B beam has a larger shift, the overall convergence can be achieved by rotating the pairs P4 and P6 in reverse and focusing on the B beam.

여기서 일측 반부의 극들의 자속밀도가 타측 반부의 극들의 자속밀도가 낮다는 의미는, 타측반부의 자속밀도가 도 3 내지 도 5의 종래 페어들의 일반적인 자속밀도를 가지며 일측반부의 자속밀도가 이보다 낮다는 의미가 된다.Here, the magnetic flux density of the poles of one half is lower than the magnetic flux density of the poles of the other half, the magnetic flux density of the other half has a general magnetic flux density of the conventional pairs of FIGS. 3 to 5 and the magnetic flux density of one half is lower than this. Is meant.

예를들어 타측반부의 자속밀도를 일반적인 크기인 100G로 하고 일측반부의 자속밀도를 그 절반인 50G로 하는 경우, 일측반부에 의한 빔 이동량은 타측 반부의 1/2이 되고, 최소 빔이동량도 1/2이 된다.For example, when the magnetic flux density of the other half is set to 100G, which is a general size, and the magnetic flux density of one half is 50G, which is half of that, the amount of beam movement by the one half is 1/2 of the other half, and the minimum beam shift is 1 as well. / 2.

이에 따라 최소 조정 OCV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빔의 최소이동량과 우측빔의 최소이동량의 합이 되며, 도 9와 같은 예에서 최소조정 OCV는 0.15mm와 그 절반 0.075mm의 합인 0.225mm가 되어 허용 OCV인 0.2mm보다 약간 큼을 알수 있다.Accordingly, as shown in FIG. 16, the minimum adjusted OCV is the sum of the minimum movement amount of the left beam and the minimum movement amount of the right beam. In the example of FIG. 9, the minimum adjustment OCV is 0.225 mm, which is the sum of 0.15 mm and the half of 0.075 mm. It can be seen that it is slightly larger than the allowable OCV of 0.2mm.

이 경우 좌반부의 자속밀도를 100G보다 높이거나 우반부의 자속밀도를 50G보다 낮추는 경우 허용 OCV인 0.2mm 이하의 최소조정 OCV가 달성될 수 있음을 알수 있다.In this case, it can be seen that when the magnetic flux density of the left half is higher than 100G or the magnetic flux density of the right half is lower than 50G, a minimum adjusted OCV of 0.2 mm or less, which is an allowable OCV, can be achieved.

이와 같은 작용은 CCV의 조정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될 수 있는 바, 결국 본 발명은 페어자체의 특성을 개선하여 최소 빔이동량을 감소시키려고 시도했던 종래기술들과는 달리, 페어내의 극들이 자속밀도를 비대칭으로 구성함으로써 전체적인 최소빔 이동량을 허용범위 이내로 한정, 즉 제로 OCV 및 제로 CCV를 달성하고 있다.This effect can be similarly applied to the adjustment of the CCV. In the end, unlike the prior arts in which the present invention has attempted to improve the characteristics of the pair itself to reduce the minimum beam shift, the poles in the pair have an asymmetrical magnetic flux density. The minimum beam shift is limited within the allowable range, i.e., zero OCV and zero CCV are achieved.

이상의 설명에 있어서는 각 페어를 2분할하여 일측 반부의 극들이 타측반부의 극들보다 자속밀도가 낮은 구성들을 예시하고 있으나, 이러한 2분할은 본 발명의 특징구현에 필수적인 것이 아니며, 제조나 조정등의 편의를 위해서는 오히려 어느 하나 또는 두 극만이 대향측의 극들을 포함한 다른 극들보다 더 크거나 작은 자속밀도를 가지도록 구성하는 것이 실용상 더욱 바람직하다.In the above description, each pair is divided into two to illustrate configurations in which the poles of one half are lower in magnetic flux density than the poles of the other half. However, these two splits are not essential to the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easy to manufacture or adjust. Rather, it is more practically preferable to configure only one or two poles to have a magnetic flux density that is larger or smaller than other poles including the opposite poles.

예를 들어 도17에서 6극페어(P6)를 구성하는 (A) 및 (B) 의 두 링(R1,R2)은 각각 좌상단의 N극 및 S극이 나머지 극들보다 더 큰(또는 반대로 더 작은) 자속밀도로 착자되어 있다.For example, in FIG. 17, the two rings R1 and R2 of (A) and (B) constituting the 6-pole pair P6 have the upper and lower N poles and the S poles larger than the other poles (or vice versa). ) It is magnetized with magnetic flux density.

이하의 <표1>에는 외측빔중 B빔에 인접한 위치에 작은 자속밀도의 극을 위치시키는 경우 형광면에서의 최소 빔이동량의 측정결과를 나타냈다. <표2>의 결과는 도3 및 도4에 도시된 히다치의 미국특허에 의한 컨버전스 장치이다.Table 1 below shows the measurement result of the minimum beam shift amount on the fluorescent surface when the small magnetic flux density pole is positioned at the position adjacent to the B beam among the outer beams. The result of Table 2 is a convergence device according to Hitachi's U.S. patent shown in FIGS. 3 and 4.

<표1> <Table 1>

<표2> <Table 2>

이상에서 알 수 있다시피 본 발명에 의하면 두 외단빔을 비대칭을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용이하게 제로 OCV 및 CCV를 달성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As can be seen from the above, it can be seen tha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hift the asymmetry of the two outer beams so that zero OCV and CCV can be easily achieved as described above.

이때 이러한 비대칭 이동은 자속밀도가 낮은 극과 대향측의 극과의 자속밀도의 차이에 의해 발생되는 바, 이를 비율로 표시할 때 자속밀도차는 대향측 극의 5% 내지 95%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5%라는 하한은 착자시 및 사용할 때 자속밀도의 변화가 발생될 수 있는 오차의 한계이며, 90%의 상한 이상에서는 전체 자속분포가 지나치게 일그러져 오히려 조정을 어렵게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여기서 자속밀도의 측정은 링(R1,R2)의 내단이나 중심으로부터 5.5mm 이격된 위치에서 측정하는 것이 일반적이다.At this time, the asymmetrical movement is caused by the difference in magnetic flux density between the pole having the low magnetic flux density and the pole of the opposite side, and when expressed as a ratio, the magnetic flux density difference is preferably 5% to 95% of the opposite pole. Here, the lower limit of 5% is a limit of an error that a change of magnetic flux density may occur when magnetizing and using, and the upper magnetic flux distribution may be excessively distorted at an upper limit of 90%, making adjustment difficult. In this case, the magnetic flux density is generally measured at a position 5.5 mm away from the inner ends or the centers of the rings R1 and R2.

한편 이상에서 본 발명을 주로 4극페어(P4) 및 6극페어(P6)를 통해 설명하였는데, 본 발명은 2극페어(P2)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되어 비대칭 조정의 효과를 달성할 수 있으나, 2극페어(P2)에서는 4극 및 6극페어(P4,P6)에서와 같은 조정시의 대칭이동의 문제가 발생되지 않으므로 그 적용에 큰 실익은 없을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험에 의하면 4극 페어(P4)을 구성하는 링의 그 중심을 기준으로 하여 양분된 위치에 있는 양측 극의 자속밀도의 차이가 일측 극을 기준ㅇ르ㅗ 하여 30 내지 65%인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6ㄱ그 페어(P6)을 구성하는 두 링의 중심을 기준으로 하여 양분된 위치에 있는 양측 극의 자속밀도의 차이가 일측의 극을 기준으로 하여 20 내지 50%인 것을 알 수 있었다.Mean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mainly through the 4-pole pair (P4) and the 6-pole pair (P6),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similarly applied to the 2-pole pair (P2) to achieve the effect of asymmetrical adjustment, but the 2-pole In the pair P2, the problem of symmetrical movement during adjustment as in the 4-pole and 6-pole pairs P4 and P6 does not occur, so there will be no great advantage in the application thereof. However, according to the exper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gnetic flux density of the two poles in the divided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ring constituting the 4-pole pair P4 is 30 to 65% based on one pole. Preferably, the magnetic flux density of the two poles in the bisected position based on the center of the two rings constituting the 6 pair (P6) is 20 to 50% based on the pole of one side there was.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인라인형 칼라 브라운관의 컨버전스 장치는 2,4,6극 페어를 구성하는 각각의 두 링의 중심을 기준으로 하여 양측에 위치된 극의 자속밀도 차이를 둠으로써 각 링의 상대 회전으로 변이되는 최소 전자빔 변위량을 0에 수렴시킬 수 있으므로 스태틱 컨버전스의 조정이 매우 용이하며 허용범위 이내의 컨버전스를 달성하는 매우 큰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convergence device of the in-line color C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difference in magnetic flux density of the poles positioned at both sides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each of the two rings constituting the 2, 4, 6 pole pairs. Since the minimum electron beam displacement that is shifted by the relative rotation of can be converged to 0, the adjustment of the static convergence is very easy and there is a great effect of achieving the convergence within the allowable range.

본 발명 음극선관의 전자빔의 이동경로를 조정하기 위한 마그네트 조립체는 상술한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본원 발명의 기술적 범위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The magnet assembly for adjusting the movement path of the electron beam of the cathode ray tub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can be modifi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7)

각각 한쌍의 마그네트링으로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페어를 가지는 인라인형 칼라브라운관의 컨버전스장치에 있어서,In the convergence device of the in-line color brown tube having at least one pair each consisting of a pair of magnet rings, 상기 각 페어의 적어도 어느 한 마그네트 링이 그 중심축을 중심으로 2분할할 때, 일측 반부의 적어도 어느 한 극의 자속밀도가 타측반부의 대향측의 극의 자속밀도보다 낮아 비대칭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라인형 칼라브라운관의 컨버전스장치.When the at least one magnet ring of each pair is divided into two centers around its central axis, the magnetic flux density of at least one pole of one half is lower than the magnetic flux density of the pole of the opposite side of the other half so that it is asymmetrically configured. Convergence device of inline type CRT.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각 페어의 나머지 한 마그네트 링이 상기 마그네트 링과 반대극성의 비대칭으로 구성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라인형 칼라브라운관의 컨버전스장치.And the other magnet ring of each pair is configured to have an asymmetrical polarity opposite to that of the magnet ring.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낮은 자속밀도의 극이 대향측 극의 자속밀도에 대해 5 내지 90%의 자속밀도차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라인형 칼라 브라운관의 콘버어전스 장치.And said low magnetic flux density pole has a magnetic flux density difference of 5 to 90% with respect to the magnetic flux density of the opposite pol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각 마그네트링의 중심을 기준으로 하여 양분되는 위치에 있는 극의 자속밀도가 서로 다르며, 한쌍의 마그네트링이 상호 회전되지 않고 정열된 상태에서 각 마그네트링의 상호 대응되는 측의 양 극은 상호 동일한 자속밀도를갖도록 착자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라인형 칼라 브라운관의 콘버어전스 장치.The magnetic flux densities of the poles at the positions divided by the center of the magnet rings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the two poles on the mutually opposite sides of each magnet ring are identical to each other in a state where the pair of magnet rings are not rotated with each other. An in-line type CRT converg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magnetized to have a magnetic flux density.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마그네트링들은 4극 또는 6극으로 착자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라인형 칼라 브라운관의 콘버어전스 장치.And said magnet rings are magnetized into 4 or 6 poles. 제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각 4극으로 착자된 마그네트링의 중심을 기준으로 하여 양분된 위치에 있는 양측 극의 자속밀도의 차이가 일측 극을 기준으로 하여 30 내지 6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라인형 칼라 브라운관의 콘버어전스 장치.Convection of inline type CRT tube, characterized in that the difference in magnetic flux density of the two poles in the bisected position on the basis of the center of the magnet ring magnetized into each of the four poles is 30 to 65% based on one pole Device. 제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각 6극로 착자된 마그네트링의 중심을 기준으로 하여 양분된 위치에 있는 양측 극의 자속밀도의 차이가 일측의 극을 기준으로 하여 20 내지 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라인형 칼라 브라운관의 콘버어전스 장치.Convection of inline type CRT tube, characterized in that the difference in the magnetic flux density of the two poles in the bisected position based on the center of the magnet ring magnetized into each of the six poles is 20 to 50% based on the one pole Device.
KR1019980030459A 1998-07-29 1998-07-29 Convergence device for color braun tube of inline shape KR10030385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0459A KR100303852B1 (en) 1998-07-29 1998-07-29 Convergence device for color braun tube of inline shap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0459A KR100303852B1 (en) 1998-07-29 1998-07-29 Convergence device for color braun tube of inline shap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2177A KR19980072177A (en) 1998-10-26
KR100303852B1 true KR100303852B1 (en) 2001-11-22

Family

ID=375298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30459A KR100303852B1 (en) 1998-07-29 1998-07-29 Convergence device for color braun tube of inline shap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03852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248438A (en) * 1988-03-30 1989-10-04 Toshiba Corp Color image tube devic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248438A (en) * 1988-03-30 1989-10-04 Toshiba Corp Color image tube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2177A (en) 1998-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01870B1 (en) Color display tube
KR0141589B1 (en) Color cathode ray tube system with reduced spot growth
EP0489432B1 (en) Electron gun for color cathode-ray tube
KR900008202B1 (en) Electron gun of color crt
KR100303852B1 (en) Convergence device for color braun tube of inline shape
KR100216090B1 (en) Color crt
US6456017B1 (en) Electron gun for cathode ray tube
KR100303928B1 (en) Convergence device of color cathode ray tube
KR100496272B1 (en) Convergence magnet assembly of color cathode ray tube
KR920000940B1 (en) The color picture tube and the deflection yoke apparatus
KR100345339B1 (en) Purity convergence magnet yoke
KR200242233Y1 (en) Convergence Magnet Assembly for Cathode Ray Tube
KR100335087B1 (en) electron gun for a cathode ray tube
KR960006527Y1 (en) Convergence magnetic devices
KR100311203B1 (en) Convergence device for a color picture tube
EP0173940A1 (en) Color picture device
JPH04324229A (en) Electron gun for in-line type color picture tube
KR960000917B1 (en) In-line type electron gun
KR19990064459A (en) Beam rotation adjusting magnet for an in-line type color picture tube
KR200179735Y1 (en) Purity convergence magnet yoke
KR960004348Y1 (en) Electron gun magnetics
KR100346413B1 (en) Convergence device for a color picture tube
JPH0278138A (en) Color television picture tube and deflection device
KR19980066968A (en) Electron gun for color cathode ray tube
JPS58123639A (en) Inline type electron gun body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62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