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03501B1 - 양란 심비디움 신품종 미스킴 식물 - Google Patents

양란 심비디움 신품종 미스킴 식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03501B1
KR100303501B1 KR1019990009050A KR19990009050A KR100303501B1 KR 100303501 B1 KR100303501 B1 KR 100303501B1 KR 1019990009050 A KR1019990009050 A KR 1019990009050A KR 19990009050 A KR19990009050 A KR 19990009050A KR 100303501 B1 KR100303501 B1 KR 1003035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mbidium
seed
new variety
kim
mi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090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46074A (ko
Inventor
김영우
Original Assignee
김영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우 filed Critical 김영우
Priority to KR10199900090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03501B1/ko
Publication of KR199900460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460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35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350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HNEW PLANTS OR NON-TRANSGENIC PROCESSES FOR OBTAINING THEM; PLANT REPRODUCTION BY TISSUE CULTURE TECHNIQUES
    • A01H6/00Angiosperms, i.e. flowering plants, characterised by their botanic taxonomy
    • A01H6/62Orchidaceae [Orchid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00Vegetative propagation
    • A01G2/10Vegetative propagation by means of cutt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2/00Cultivation of specific crops or 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01G22/60Flowers; Ornamental plants
    • A01G22/63Orchi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HNEW PLANTS OR NON-TRANSGENIC PROCESSES FOR OBTAINING THEM; PLANT REPRODUCTION BY TISSUE CULTURE TECHNIQUES
    • A01H1/00Processes for modifying genotypes ; Plants characterised by associated natural traits
    • A01H1/02Methods or apparatus for hybridisation; Artificial pollination ; Fertility
    • A01H1/021Methods of breeding using interspecific crosses, i.e. interspecies cross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HNEW PLANTS OR NON-TRANSGENIC PROCESSES FOR OBTAINING THEM; PLANT REPRODUCTION BY TISSUE CULTURE TECHNIQUES
    • A01H1/00Processes for modifying genotypes ; Plants characterised by associated natural traits
    • A01H1/12Processes for modifying agronomic input traits, e.g. crop yield
    • A01H1/122Processes for modifying agronomic input traits, e.g. crop yield for stress resistance, e.g. heavy metal resistance
    • A01H1/1245Processes for modifying agronomic input traits, e.g. crop yield for stress resistance, e.g. heavy metal resistance for biotic stress resistance, e.g. pathogen, pest or disease resistanc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HNEW PLANTS OR NON-TRANSGENIC PROCESSES FOR OBTAINING THEM; PLANT REPRODUCTION BY TISSUE CULTURE TECHNIQUES
    • A01H4/00Plant reproduction by tissue culture techniques ; Tissue culture techniques therefor
    • A01H4/005Methods for micropropagation; Vegetative plant propagation using cell or tissue culture techniqu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HNEW PLANTS OR NON-TRANSGENIC PROCESSES FOR OBTAINING THEM; PLANT REPRODUCTION BY TISSUE CULTURE TECHNIQUES
    • A01H4/00Plant reproduction by tissue culture techniques ; Tissue culture techniques therefor
    • A01H4/008Methods for regeneration to complete pla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HNEW PLANTS OR NON-TRANSGENIC PROCESSES FOR OBTAINING THEM; PLANT REPRODUCTION BY TISSUE CULTURE TECHNIQUES
    • A01H5/00Angiosperms, i.e. flowering plants, characterised by their plant parts; Angiosperms characterised otherwise than by their botanic taxonomy
    • A01H5/02Flow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HNEW PLANTS OR NON-TRANSGENIC PROCESSES FOR OBTAINING THEM; PLANT REPRODUCTION BY TISSUE CULTURE TECHNIQUES
    • A01H5/00Angiosperms, i.e. flowering plants, characterised by their plant parts; Angiosperms characterised otherwise than by their botanic taxonomy
    • A01H5/12Leav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reeding Of Plants And Reproduction By Means Of Culturing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자색을 가지는 분화용의 우수한 양란 심비디움 신품종에 속하는 식물 '미스킴'를 제공하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양란 심비디움 신품종 미스킴 식물 {New variety of plant cymbidium Miss Kim}
본 발명은 양란 심비디움(Cymbidium) 신품종 '미스킴' 식물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적자색을 가지는 분화용의 우수한 신품종으로 고정된 양란 심비디움 신품종에 속하는 식물 '미스킴(Miss Kim)'에 관한 것이다.
양란(洋蘭)으로 부르는 심비디움의 원종(原種)은 대체로 인도 북부, 버마, 타이, 베트남 등 열대 동남아시아의 고지대(800∼1,500m)에 자생하는 반지생종(半地生種)이며 원예품종은 이들 원종들 간을 교배하거나 이들 원종과 일본종, 중국종과의 교배에 의해 육성된 것들이다.
한편, 심비디움의 대량 생산이 가능한 것은 조직배양(Tissue Culture)기법 특히, 경정분열조직(apical meristem)을 적출하여 배양·증식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영양계(營養系) 즉, mericlone의 기술에 의해서이다.
특히, 심비디움은 상기 mericlone 기술에 의해 대량 생산이 가능하고 새로운 품종의 육성이 용이해지고 그 결과 저렴한 가격에 의해 소비자의 수요를 만족할 수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수요자가 만족할 수 있는 심비디움의 신품종을 값싸게 대량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기존의 양란 심비디움을 모본과 부본으로 선택하여 이를 교잡하고 화색(花色), 잎의 자세(草姿), 꽃피는 시기(開花期)가 모·부본과 다른 신품종을 무균종자 발아에 의하여 육성한 후 그 영양체 특히, 경정(莖頂)을 적출하여 이를 조직배양한 후 계대배양함으로써 달성하였다.
도 1 은 본 발명의 양란 심비디움 신품종에 속하는 식물의 꽃, 잎, 줄기 등의 표현형질을 나타낸 사진도.
본 발명은 실생종자의 무균종자 발아단계와; 경정절취단계와; 경정배양단계와; 배양된 Mericlone의 3대에 걸친 계대배양 단계로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성 및 작용을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들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Lapine Boy(♀) × 997-1(♂) 계통이 교배된 무균종자 발아 및 생장
심비디움 실생종자를 발아시키기 위하여 Nudson C배지를 선택하고 SO4 -2, Ca+2, NH4 +1이온의 비율을 낮추고 대신 K+1이온의 비율을 높힌 수정배지에서 무균적으로 발아시켜 보통의 방법으로 비배(肥培) 관리하여 생장시켰다.
실생종자는 모본(母本)으로 Lapine Boy 계통을, 부본(父本)으로 997-1(No Name) 계통을 교배한 종자를 선택하였다.
종피의 살균은 10Ca(CLO)2용액에 20분간 살균한 후 멸균수에 투입하여 자력교반기를 사용하여 침전된 종자를 사용하였다.
실시예 2
초대 조직배양 배지의 조성
상기 실시예 1의 종자배양배지와는 달리 경정(莖頂)의 활착 또는 양란의 초기생육을 촉진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조성된 배지를 사용하였다.
성 분 함 량
KNO3 0.52g/L
CaHPO4 0.20g/L
KH2PO4 0.25g/L
(NH4)2SO4 0.50g/L
MgSO4·7H2O 0.25g/L
Fe2(C4H4O6)3 0.30g/L
Tryptone 2g/L
서당 20g/L
한천(agar) 7.5g/L
경정적출용 배지는 8g/L의 한천을 첨가해 PLB의 증식에 사용한다. pH는 5.5로 조성하였다.
실시예 3
원괴체(PLB) 증식
원괴체의 증식을 위하여 다음의 KC 배지를 사용하였다.
성 분 함 량
KH2PO4 0.25g/L
Ca(NO3)4H2O 1.00g/L
(NH4)2SO4 0.5g/L
MgSO4·7H2O 0.25g/L
FeSO4·7H2O 0.025g/L
MnSO4·4H2O 0.0075g/L
서당 20g/L
한천(agar) 7.5g/L
실시예 4
본 발명 신품종 식물체 유도 및 발근
본 발명 신품종 식물체를 유도하고 발근을 위한 배지는 아래 Knudson(1946) 배지를 사용하고 여기서 활성탄을 첨가하여 발근율과 지상 및 지하부 생장을 촉진시켰다.
성 분 함 량
KH2PO4 0.25g/L
Ca(NO3)4H2O 1.00g/L
(NH4)2SO4 0.5g/L
MgSO4·7H2O 0.25g/L
FeSO4·7H2O 0.025g/L
MnSO4·4H2O 0.0075g/L
ZnSO4·4H2O 0.0033g/L
CuSO4 0.0004g/L
서당 20g/L
한천(agar) 7.5g/L
상기 배지조성액들은 100배 액을 만들어 냉장고에 보관하여 사용하되 Ca+2와 SO4 -2, Mg+2와 PO4 -는 불용성 침전물을 형성하므로 이들은 사용시 첨가하였다.
한편, 원괴체로부터 신초(shoot)가 분화되면 육묘용 300mL Flask에 이식하되 300mL 플라스크에 20주, 500mL 플라스크에 40주를 기준으로 육묘하여 3대에 걸쳐 계대배양하여 품종을 고정하였으며, 본 발명 신품종 '미스킴' 식물의 원예적 특성은 다음 표와 같다.
기 관 특 성 표현형질
잎의 길이(葉長) 70㎝ 내외
잎의 수(葉數) 10∼12장
꽃의 수 21∼30개
꽃대의 길이 50∼80㎝
꽃 색(花色) 적자색
꽃 크기 가로 7.2㎝, 세로 6.2㎝
꽃대 기울기 2
개화기(開花期) 11∼1월
품종의 용도 분화용
내병성 B급
실시예 5
신품종 식물의 순화
계대배양하여 3개월 정도 경과한 15㎝내외의 유묘는 Flask에 물을 넣어 핀셋으로 배지를 허물고 적취하여 배지를 증류수로 깨끗이 제거한다.
순화조건은 자연광의 10정도인 5,000∼10,000lux가 되도록 대기습도는 차광하고 통기성이 양호한 바구니에 식재하고 70∼80를 유지하여 건조되지 않도록 주의하였다.
순화된 본 발명 신품종 '미스킴' 식물의 개화된 전체의 모습은 사진도 1과 같으며 기존의 양란계통과 현저히 구별되는 적자색을 나타내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적자색을 가지는 분화용의 우수한 양란 심비디움 신품종에 속하는 식물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으므로 식물 신품종 육성산업상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1)

  1. 기존의 Lapine Boy(♀) × 997-1(♂) 계통의 교배종자를 무균 발아생장시킨 다음 경정(莖頂)을 적출하여 원괴체(PLB)를 증식하고 원괴체로부터 신초(shoot)가 분화되면 이를 Flask에 분주 육묘하여 3대 이상 계대배양에 의하여 무성번식시켜 고정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하기 원예적 특성을 가지는 양란 심비디움에 속하는 '미스킴' 식물.
    1) 잎의 길이 : 70㎝ 내외
    2) 잎의 수 : 10∼12장
    3) 꽃의 수 : 21∼30개
    4) 꽃대의 길이 : 50∼80㎝
    5) 꽃 색 : 적자색
    6) 꽃의 크기 : 가로 7.2㎝, 세로 6.2㎝
    7) 꽃대 기울기 : 2
    8) 개화기 : 11∼1월
    9) 품종의 용도 : 분화용
    10) 내병성 : B급
KR1019990009050A 1999-03-17 1999-03-17 양란 심비디움 신품종 미스킴 식물 KR1003035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9050A KR100303501B1 (ko) 1999-03-17 1999-03-17 양란 심비디움 신품종 미스킴 식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9050A KR100303501B1 (ko) 1999-03-17 1999-03-17 양란 심비디움 신품종 미스킴 식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6074A KR19990046074A (ko) 1999-06-25
KR100303501B1 true KR100303501B1 (ko) 2001-09-24

Family

ID=375297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09050A KR100303501B1 (ko) 1999-03-17 1999-03-17 양란 심비디움 신품종 미스킴 식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03501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6074A (ko) 1999-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03497B1 (ko) 양란 심비디움 신품종 차트레저 식물
KR100330123B1 (ko) 양란 심비디움 신품종 아구리 식물
KR100303500B1 (ko) 양란 심비디움 신품종 유에프오 칼라 식물
KR100303498B1 (ko) 양란 심비디움 신품종 큐트 식물
KR100303501B1 (ko) 양란 심비디움 신품종 미스킴 식물
KR100303499B1 (ko) 양란 심비디움 신품종 노부코 식물
KR100490150B1 (ko) 양란 심비디움 신품종 앤잔 클라식 말리브 걸 식물
KR19990046057A (ko) 양란심비디움신품종마리코식물
KR100330121B1 (ko) 양란 심비디움 신품종 카페테리아 식물
KR19990046062A (ko) 양란심비디움신품종핫슈코이식물
KR19990046051A (ko) 양란심비디움신품종원더랜드식물
KR19990046058A (ko) 양란심비디움신품종밀레필레식물
KR100490146B1 (ko) 양란 심비디움 신품종 앤잔 스트림 올페우스 식물
KR19990046053A (ko) 양란심비디움신품종러브식물
KR100330122B1 (ko) 양란 심비디움 신품종 마키스페샬 식물
KR19990046052A (ko) 양란심비디움신품종스카이민트패티식물
KR19990046060A (ko) 양란심비디움신품종이즈미식물
KR19990046061A (ko) 양란심비디움신품종파르나쎄식물
KR19990046068A (ko) 양란심비디움신품종메이컵식물
KR19990046067A (ko) 양란심비디움신품종알렉산더식물
KR19990046075A (ko) 양란심비디움신품종쿠잔식물
KR19990046076A (ko) 양란심비디움신품종라핀헷식물
KR19990046081A (ko) 양란심비디움신품종쉐리로망스식물
KR19990046055A (ko) 양란심비디움신품종로망스식물
KR19990046077A (ko) 양란심비디움신품종신세이끼식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pub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71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