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02948B1 - 충격소이신관이 결합된 사거리연장 예광자폭탄 - Google Patents

충격소이신관이 결합된 사거리연장 예광자폭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02948B1
KR100302948B1 KR1019990015117A KR19990015117A KR100302948B1 KR 100302948 B1 KR100302948 B1 KR 100302948B1 KR 1019990015117 A KR1019990015117 A KR 1019990015117A KR 19990015117 A KR19990015117 A KR 19990015117A KR 100302948 B1 KR100302948 B1 KR 1003029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gent
fuse
target
soy
imp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151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67371A (ko
Inventor
강인영
윤원환
김남진
Original Assignee
정훈보
주식회사 풍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훈보, 주식회사 풍산 filed Critical 정훈보
Priority to KR10199900151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02948B1/ko
Publication of KR200000673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673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29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2948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00Water flushing devices with cisterns ; Setting up a range of flushing devices or water-closets; Combinations of several flushing devices
    • E03D1/02High-level flushing systems
    • E03D1/14Cisterns discharging variable quantities of water also cisterns with bell siphons in combination with flushing valves
    • E03D1/142Cisterns discharging variable quantities of water also cisterns with bell siphons in combination with flushing valves in cisterns with flushing valv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00Water flushing devices with cisterns ; Setting up a range of flushing devices or water-closets; Combinations of several flushing devices
    • E03D1/38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flushing pip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5/00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 E03D5/003Grey water flushing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Aiming, Guidance, Guns With A Light Source, Armor, Camouflage, And Targ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존 예광자 폭탄에 비해 사거리 증대 및 목표물 적중시 목표물을 관통후 폭발되며 폭발력과 관통력을 증대시킨 충격소이 신관이 결합된 사거리연장 예광자폭탄에 관한 것이다.
구성으로는 내부에 점화제(11), 소이제(12)가 적층수납된 신관몸체(10)와,
상기 신관몸체에 결합되어 밀봉되며 내부에는 소이제(21) 고폭제(22) 추진제(23) 예광제(24) 점화제(25)가 수납되며 외주면에는 발사체의 포구내 강선과 마찰력 감소를 위한 소결합금 회전탄대(26)가 구비된 탄체몸체(20)와,
상기 신관몸체에 수납된 소이제(12)와 탄체몸체에 수납된 소이제(21) 사이의 수납부를 격리하여 장착된 점화관(13)으로 구성된다.
효과로는 탄이 목표물에 적중시 목표물을 관통한후 목표물 내부에서 폭발되며 탄체몸체가 고경도 금속으로 구성됨과 아울러 고폭제의 폭발력을 향상시켜 목표물에 강한 타격을 가하는 효과와, 탄이 목표물에 적중되지 않는 경우 비행중 자폭되어 아군지역에 낙하폭발하여 발생되는 아군피해를 방지시켜 주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충격소이신관이 결합된 사거리연장 예광자폭탄{Range Extended Tracer Self-destruct Projeotile with Incendiary Impact Fuze}
본 발명은 충격소이 신관이 결합된 예광자폭탄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충격에 의해 기능을 발휘하는 충격소이신관과 예광제의 점화지연에 의한 연소열로 추진제(23)가 점화되고 동시에 고폭제(22)로 연결 자폭되는 기능 그리고 탄체몸체(20)와 신관몸체(10)의 길이를 유선형으로 길게하여 탄두 비행시 공기항력 감소로 사거리를 연장시킨 사거리연장 예광자폭탄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탄은 지면 혹은 목표물과 충돌시 발생하는 충격에 의해 폭발되는 기계식신관으로 탄의 발사시 발생되는 탄의 회전에 의해 기폭관(110)과 격침(120)이 정열된후 목표물과 충돌시 충격에 의해 격침이 기폭관에 충격을 가해 기폭관이 점화되고 동시에 전폭약집을 점화시켜 폭발파에 의한 고폭제가 점화되어 폭발되는 매카니즘을 따르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탄은 탄이 목표물에 적중되어 그 충격에 의한 기폭관이 점화되고 그 여파로 고폭제가 폭발되는 시간이 상대적으로 짧은 시간내에 진행되게 되어 목표물과 충돌과 동시에 탄이 폭발되어 목표물을 관통시킬 시간적 여유가 없어 탄이 목표물을 관통하는 효과가 적어 목표물에 가해지는 타격도 상대적으로 감소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탄두비행시 공기저항이 커서 목표물 까지의 도달시간이 길고 포구로부터 탄두비행 잔류속도 마하1까지의 비행거리가 1.2km밖에 도달되지 못하여 대공 목표물 사격 명중률 및 유효사거리가 저조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도록 탄이 목표물에 적중한후 일정시간이 경과하여 탄이 목표물을 관통할 수 있는 시간을 부여한후 기폭 폭발하여 목표물에 막대한 타격을 가할수 있도록 고폭제의 폭발시간을 지연시켜줌과 아울러 탄이 목표물에 적중하지 않은 경우 일정시간 경과후 비행중 자폭되도록 하여 탄착점 부근 아군의 피해를 방지시켜주며, 포구로부터 탄두비행 잔류속도 마하1까지의 비행거리 연장을 위해 탄의 외형 형상을 결정하여 유효사거리 및 명중률 향상이 된 탄을 제공함에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탄체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2 가는 본 발명에 따른 충격소이신관 종단면도
나는 본 발명에 따른 점화관 종단면도
다는 본 발명에 따른 충격소이신관의 작동을 도시한 종단면도
도 3 가는 종래 기술에 따른 충격신관의 단면도
나는 종래 기술에 따른 예광자폭탄의 충격신관의 작동을 도시한 단면도
*도면중 주요부호에 관한 설명*
10 : 신관몸체 10' : 수납부
11 : 점화제 12 : 소이제
13 : 점화관 13-1 : 홀
20 : 탄체몸체 20' : 제1수납부
20' : 제2수납부 21 : 소이제
22 : 고폭제 23 : 추진제
24 : 예광제 25 : 점화제
26 : 회전탄대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성취시키기 위한 구성은 유선형으로 형성되어 탄두를 구성하며 내부에는 수납부를 구비하는 신관몸체와 상기신관몸체에 결합되어 밀봉되어 있으며 내부에는 분리된 제1,제2 수납부가 구비되어 탄저부를 형성하는 탄체몸체와, 상기 신관몸체에 구비된 수납부에 순차적으로 수납되는 점화제, 소이제와,
상기 탄체몸체에 구비된 제1수납부에 순차적으로 수납되는 소이제, 고폭제, 추진제와 상기 탄체몸체에 구비된 제1수납부와 격리되어 하측으로 구비된 제2수납부에 순차적으로 적층수납된 예광제 및 점화제와,
상기 신관몸체에 수납된 소이제와 탄체몸체에 수납된 소이제 사이의 수납부를 격리하여 장착되어 있으며 중앙에는 관통홀이 구비된 점화관으로 구성된다.
이하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외측이 유선형으로 형성되어 탄두를 구성하며 내부에는 점화제(11) 소이제(12)가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있는 신관몸체(10)와,
상기 신관몸체(10) 하저부에 밀봉되게 결합되어 있으며 그 내측에 구비된 제1수납부(20')에는 소이제(21) 고폭제(22) 추진제(23)가 적층수납되어 있고,
상기 제1수납부 하측으로 격리되어 구비된 제2수납부(20')에는 예광제(24) 점화제(25)가 적층되어 수납되어 있으며 외측에는 발사체의 포구내 강선과의 마찰력 감소를 위한 금속 소결합금 회전탄대(26)가 구비되어 있고 폭발시 파편효과 증대를 위하여 고경도로 열처리되 탄체몸체(20)와,
상기 신관몸체(10)에 수납된 소이제(12)와 탄체몸체(20)에 수납된 소이제(21)사이의 수납부를 격리되게 장착되어 있으며 중앙에는 관통홀(13-1)이 구비된 점화관(13)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탄체몸체(20)는 비행시 항력을 감소시켜 사거리를 증대하기 위하여 탄저부 사면각도를 6.7。 유선형으로 형성시킴과 동시에 유선형인 신관몸체(10)의 길이를 길게하고 신관두부 사면각도를 12。로 하여 탄두 비행시 공기항력을 감소시켜 포구로부터 탄두비행 잔류속도 마하1까지의 비행거리를 1.8km이상 도달되게 하였다.
또한 저부에 구비된 예광제(24)를 기존탄보다 증대시켜 예광에 의한 자폭시간을 증가시킴으로 실제적인 유효사거리가 증대되도록 되어 있으며 폭발시 폭발력 증가를 위한 목적으로 기존의 Comp. A4:Al 분말이 64:36인 고폭제에 비해 Comp. A4 100%인 고폭약이 충전된다.
또한 폭발시 관통효과 증대를 위하여는 상술한 바와 같이 탄체몸체(20)에 열처리를 하여 고경도의 탄체를 사용함으로 폭발시 목표물에 대한 관통효과와 파편효과를 증대시키고 있다.
이하 작용에 관하여 서술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작용은 첫째로 발사체에서 발사된 탄이 목표물과 접촉되어 충격이 발생되는 경우 충격에 의해 신관내에 적층된 점화제(11)가 기폭되고 그 기폭력에 의해 소이제(12)가 점화되며, 신관몸체(10)의 소이제(12)가 연소되면서 발생된 연소열이 점화관(13)에 구비된 홀(13-1)을 통과하여 탄체몸체(20)의 고폭소이제(21)를 연소시키게 되며 고폭소이제(21)의 연소열에 의해 고폭제(22)가 폭발되게 된다.
따라서 상술한 과정을 따라 폭발하는 탄체는 탄이 목표물에 충격을 가한후 일정시간이 경과 된후에 폭발하게 되며 일정시간 즉 폭발지연 시간중에 탄두는 목표물 내부로 침투하게 되어 탄체는 목표물 내부에서 폭발되며 목표물에 강한 타격을 가하게 된다.
둘째로는 탄이 목표물에 접촉되지 않아 신관내에 장착된 점화제(11)에 충격이 가해지지 않고 이에 따라 점화제(11)가 점화되지 않는 경우로 탄이 발사와 동시에 추진제의 연소열에 의해 탄미부의 점화제(25)가 점화되고 점화제(25) 상측에 적층된 예광제(24)를 연소시키게 된다.
예광제(24)의 연소에 의해 탄체몸체(20)는 열을 받게되며 예광제(24)가 적층수납된 제2수납부(20') 상측에 구비된 제1수납부(20')에 적층된 추진제(23)에 열전달이 이루어 지게 되어 이열에 의해 추진제(23)를 점화시켜 추진제 상측에 적층된고폭제(22)를 폭발시켜 탄체가 폭발하여 자폭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술한 자폭작용은 탄이 발사됨과 동시에 작용하게 되어 탄이 목표물에 적중시에는 목표물과 접촉충격에 의해 탄이 먼저 폭발하여 자폭현상은 발생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자폭작용에 소요되는 시간은 일정시간이 요구되게 되며 이를 조정하는 방법은 예광제의 양을 늘려 예광제의 연소시간을 조정함으로 달성하게 된다.
이는 예광제의 장착량을 조절함으로서 탄의 사거리를 조정할수 있는 원리와 동일하다.
즉, 예광제의 양이 적은 경우 일정거리를 비행하여 목표물에 도달전에 폭발할수 있게 되고 예광제의 양이 너무 많은 경우 탄이 목표물에 적중하지 않는 상태에서 자연낙하하여 충격에 의해 폭발시 자폭작용은 발생되지 않게 되어 예광제의 장착량이 중요하게 된다.
본 발명의 효과로는 탄이 목표물을 적중하는 경우 목표물을 관통하여 목표물 내부에서 폭발되며 탄체몸체가 고경도 금속으로 구성됨과 아울러 고폭제의 폭발력을 향상시켜 목표물에 강한 타격을 가하는 효과와, 탄이 목표물에 적중되지 않은 경우 비행중 자폭되게 되어 지상에서 폭발시 발생되는 아군지역에 피해를 방지시켜 주는 효과와 탄의 외형 즉 신관몸체와 탄체몸체를 유선형으로 하여 사거리를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유선형으로 형성되어 탄두를 구성하며 내부에는 수납부를 구비하는 신관몸체(10)와,
    상기 신관몸체에 결합되어 밀봉되어 있으며 내부에는 분리된 제1수납부(20') 제2수납부(20')가 구비되어 탄저부를 형성하는 탄체몸체(20)와,
    상기 신관몸체(20)에 구비된 수납부(10')에 순차적으로 수납되는 점화제(11) 소이제(12)와,
    상기 탄체몸체(20)에 구비된 제1수납부(20')에 순차적으로 수납되는 소이제(21)고폭제(22) 추진제(23)와,
    상기 탄체몸체에 구비된 제1수납부(20')와 격리되어 하측으로 제2수납부(20')에 구비된 예광제(24) 및 점화제(25)와,
    상기 신관몸체에 구비된 소이제와 탄체몸체에 수납된 소이제(21) 사이의 수납부를 격리하여 장착되어 있으며 중앙에는 관통홀(13-1)이 구비된 점화관(13)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소이신관이 결합된 사거리연장 예광자폭탄
  2. 제 1 항에 있어서, 탄체몸체(20)는 경화 열 처리하여 고경도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소이신관이 결합된 사거리연장 예광자폭탄
  3. 제 1 항에 있어서 탄체몸체(10)에 수납되는 고폭제(22)는 Comp,A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소이신관이 결합된 사거리연장 예광자폭탄
  4. 제 1 항에 있어서 신관몸체(10)의 외형이 유선형으로 형성되며 탄체몸체(20)외형은 탄저부측이 가늘어 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소이신관이 결합된 사거리연장 예광자폭탄
  5. 제 1 항에 있어서 예광제(24)의 장착량을 증대시켜 예광제(24) 연소시간을 증대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소이신관이 결합된 사거리연장 예광자폭탄.
KR1019990015117A 1999-04-27 1999-04-27 충격소이신관이 결합된 사거리연장 예광자폭탄 KR1003029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5117A KR100302948B1 (ko) 1999-04-27 1999-04-27 충격소이신관이 결합된 사거리연장 예광자폭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5117A KR100302948B1 (ko) 1999-04-27 1999-04-27 충격소이신관이 결합된 사거리연장 예광자폭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7371A KR20000067371A (ko) 2000-11-15
KR100302948B1 true KR100302948B1 (ko) 2001-09-13

Family

ID=195825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15117A KR100302948B1 (ko) 1999-04-27 1999-04-27 충격소이신관이 결합된 사거리연장 예광자폭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0294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0554B1 (ko) * 2010-11-23 2012-06-27 국방과학연구소 로켓모터부 분리방지구를 구비한 로켓추진 사거리 연장탄
KR101987170B1 (ko) 2017-10-18 2019-06-10 주식회사 풍산 포 발사 적용을 위한 점화보조물질이 도포된 램제트 고체연료
KR102352186B1 (ko) * 2020-04-01 2022-01-19 옥재윤 리필 탄피, 모의 총기 및 이를 이용한 사격 훈련 시뮬레이션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7371A (ko) 2000-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53302A (en) Arrangement in or relating to a projectile
RU2362962C1 (ru) Осколочно-пучковая надкалиберная граната "тверитянка"
US3967553A (en) Flammability promoting ammunition for use against airborne targets
US7752972B1 (en) Low reaction rate, high blast shaped charge waveshaper
CN1019143B (zh) 穿甲弹头的改进
US7025001B2 (en) Super long range crash-bang round
EA038243B1 (ru) Цельнооболочечный безопасный снаряд, в частности для универсальных использований
US7152532B2 (en) Projectile with a sub-caliber penetrator core
US3101053A (en) Combination fragmentation structural incendiary damage projectile
KR100302948B1 (ko) 충격소이신관이 결합된 사거리연장 예광자폭탄
US4833994A (en) Dual purpose explosive lead for a projectile having a shaped charge warhead
US20110011296A1 (en) Subprojectile having an energy content
KR940004649B1 (ko) 폭발탄체를 갖춘 산탄총 카트리지
RU2294520C1 (ru) Патрон
US4421033A (en) Exercise projectile
US5612505A (en) Dual mode warhead
RU2365861C1 (ru) Артиллерийский малокалиберный снаряд
RU2206862C1 (ru) Бетонобойный боеприпас
RU2363920C1 (ru) Осколочно-пучковый снаряд "вертязин"
RU2331837C2 (ru) Патрон шумового действия для гранатомета
KR101098114B1 (ko) 이중 탄두형 폭발탄
RU2084812C1 (ru) Бронебойная пуля
CN113091534B (zh) 一种高灵敏度碰击触发的超音速弹头引信
RU2229679C1 (ru) Выстрел для гранатомета
RU2738687C2 (ru) Бронебойный оперенный подкалиберный снаря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6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6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5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4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5

Year of fee payment: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4

Year of fee payment: 1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