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02842B1 - 휴대형 무선 통신 단말기의 상태에 따른 캐릭터 표출방법 - Google Patents

휴대형 무선 통신 단말기의 상태에 따른 캐릭터 표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02842B1
KR100302842B1 KR1019980008973A KR19980008973A KR100302842B1 KR 100302842 B1 KR100302842 B1 KR 100302842B1 KR 1019980008973 A KR1019980008973 A KR 1019980008973A KR 19980008973 A KR19980008973 A KR 19980008973A KR 100302842 B1 KR100302842 B1 KR 1003028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acter
terminal
image data
image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089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75016A (ko
Inventor
이화경
위선희
조시형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800089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02842B1/ko
Publication of KR199900750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50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28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284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27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supporting games or graphical anim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6Mem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8Displ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휴대형 무선 통신 단말기에서 사용자에게 부가적인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나.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사용자가 흥미를 가지면서 휴대형 무선 통신 단말기를 사용하도록 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한다.
다.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생명력을 나타내게 도안된 적어도 어느 한가지의 캐릭터에 대한 각종 모습의 캐릭터 화상들의 화상데이터를 휴대형 단말기의 메모리에 미리 저장시킨 상태에서 휴대형 단말기의 사용 빈도, 착신에 대한 응답 여부, 전지 전압 레벨 등의 조건을 기준으로 한 상태의 변화에 대응되는 모습의 캐릭터 화상을 선택하여 휴대형 단말기의 표시부를 통해 디스플레이한다.
라. 발명의 중요한 용도
각종 휴대형 무선 통신 단말기에 이용한다.

Description

휴대형 무선 통신 단말기의 상태에 따른 캐릭터 표출방법
본 발명은 휴대형 무선 통신 단말기(hand held radio communication terminal)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에게 부가적인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전부터 사용되어 오고 있는 무선 호출 수신기나 핸드폰(handphone)뿐만아니라 최근에 시판되기 시작한 스마트 폰(smart phone)과 같은 각종 휴대형 무선 통신 단말기 시장은 가히 폭발적이라할만큼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PCS(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의 가세로 인해 더욱 그러하다. "페이저(pager)" 또는 "삐삐"라 불리우는 무선 호출 수신기는 원격지의 무선 호출에 응답하여 경보를 발생함과 아울러 호출측의 전화 번호나 문자와 같은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한다. 핸드폰은 이동 전화 통화를 기본으로 하여 화상 정보와 같은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스마트 폰은 핸드폰과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가 복합된 형태이다.
이들 휴대형 무선 통신 단말기는 이러한 기본 기능이외에도 사용의 편리성이나 효율성을 증대시키기 위한 여러 가지 부가적인 기능이 채용되고 있다. 부가기능의 예를들면 현재 시각을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해주는 기능을 들 수 있다. 그러나 이전에 채택되어 왔었던 부가기능은 사용의 편리성이나 효율성 증대에 주안점을 두었었다. 이에따라 무선 통신 단말기를 사용함에 있어서 사용자에게 흥미를 제공하는 것과는 거리가 멀거나 어느 정도 애용하는지 파악하기 곤란한 점이 있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휴대형 무선 통신 단말기는 흥미를 제공하는 것과는 거리가 멀뿐만아니라 어느 정도 애용하는지 파악하기 곤란한 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흥미를 가지고 휴대형 무선 통신 단말기를 사용하도록 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을 위한 네트워크 구성도,
도 2는 도 1의 휴대형 무선 통신 단말기의 블록구성도,
도 3은 휴대형 무선 통신 단말기의 사용 빈도에 따라 캐릭터를 표출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캐릭터 화상의 예시도,
도 4는 휴대형 무선 통신 단말기의 사용 빈도에 따라 캐릭터를 표출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2의 MPU(200)의 처리 흐름도,
도 5는 휴대형 무선 통신 단말기의 착신 응답 여부에 따라 캐릭터를 표출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캐릭터 화상의 예시도,
도 6은 휴대형 무선 통신 단말기의 착신 응답 여부에 따라 캐릭터를 표출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2의 MPU(200)의 처리 흐름도,
도 7은 휴대형 무선 통신 단말기의 전지 전압 레벨에 따라 캐릭터를 표출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캐릭터 화상의 예시도,
도 8은 휴대형 무선 통신 단말기의 전지 전압 레벨에 따라 캐릭터를 표출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2의 MPU(200)의 처리 흐름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캐릭터 화상을 다운로드시키기 위한 도 1의 서비스 제공 서버(102)의 처리 흐름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캐릭터 화상을 다운로드받기 위한 도 2의 MPU(200)의 처리 흐름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단말기간에 캐릭터 화상을 전송하기 위한 도 2의 MPU(200)의 처리 흐름도.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생명력을 나타내게 도안된 적어도 어느 한가지의 캐릭터에 대한 각종 모습의 캐릭터 화상들의 화상데이터를 휴대형 무선 통신 단말기의 메모리에 미리 저장시킨 상태에서 휴대형 무선 통신 단말기의 사용 빈도, 착신에 대한 응답 여부, 전지 전압 레벨 등의 조건을 기준으로 한 상태의 변화에 따라 대응되는 모습의 캐릭터 화상을 선택하여 휴대형 무선 통신 단말기의 표시부를 통해 디스플레이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구체적인 캐릭터나 그의 변형 모습 등과 같은 많은 특정 상세들이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나타나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해 예시한 것으로 본 발명이 그에 한정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하기 설명에서 편의상 "휴대형 무선 통신 단말기"를 "단말기"라 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을 위한 네트워크 구성도로서, 클라이언트(client)들(104)과 가입자 전화기들(106)이 통신망(100)을 통해 서버(102)에 접속되고, 단말기(110)가 통신망(100)에 연결된 휴대형 무선 통신 기지국(108)과 통신을 하는 네트워크 구성을 보인 것이다. 서버(102)는 본 발명에 따라 생명력을 나타내게 도안된 여러 가지의 캐릭터들 각각에 대한 각종 모습의 캐릭터 화상들의 화상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database)로 가지고 있게 되는 서비스 제공 서버이다. 클라이언트들(104)은 컴퓨터 통신 서비스나 인터넷(Internet) 서비스에 의해 서버(102)에 접속한다. 인터넷은 클라이언트-서버 모델(client-server model)에 기초한 컴퓨터 네트워크로 알려져 있다. 개념적으로 인터넷은 클라이언트들(104)에 의해 액세스 가능한 서버들의 대규모 네트워크를 구비한다. 클라이언트들(104)은 전형적으로 PC(Personal Computer)들의 사용자들이다. 클라이언트들(104)은 어떤 사설 인터넷 액세스 공급자(Internet access provider) 또는 온라인(on-line) 서비스 공급자를 통해 서버들을 액세스 가능하다. 가입자 전화기들(106)은 통신망(100)에 포함되는 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을 통해 서비스 제공 서버(102)로부터 음성 응답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러한 음성 응답 서비스는 통상적으로 "700 서비스"라고도 불리우고 있다.
도 2는 상기한 도 1에 보인 단말기(110)의 블록구성도를 보인 것으로, 본 발명이 적용되는 통상적인 단말기의 하나인 핸드폰의 블록구성을 보인 것이다. 도 2에서 MPU(Micro-processor Unit)(200)는 기본적으로 통상적인 핸드폰에 있어서 전화 통화나 데이터 통신을 위한 처리 및 제어하는 블록으로,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캐릭터 표출 서비스에 따른 동작을 수행한다. 그러므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통상적인 전화 통화나 데이터 통신에 대한 MPU(200)의 처리 및 제어에 관한 설명은 생략한다. 롬(Read Only Memory)(202)은 MPU(20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의 마이크로 코드와 각종 참조 데이터를 저장한다. 램(RAM: Random Access Memory)(204)은 MPU(200)의 워킹 메모리(working memory)로 제공된다. 메모리(206)은 갱신 가능한 각종 보관용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영역을 제공하는데,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캐릭터 화상의 화상데이터와 그에 대응하는 소리의 음성데이터를 저장하는데 이용한다. 이러한 메모리(206)로서는 예를 들어 플래쉬 램(flash RAM)을 사용한다. 키 패드(key pad)(208)는 다수의 숫자키와 기능키를 구비하여 사용자에 의한 키 입력을 MPU(200)에 제공한다. 표시부(21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를 구비하여 MPU(200)의 제어에 따른 화상정보를 LCD를 통해 디스플레이한다. MPU(200)와 연결된 코덱(CODEC: Coder-Decoder)(212)과, 코덱(212)에 접속된 마이크(214) 및 스피커(216)는 전화 통화 및 음성 녹음에 사용되는 음성 입출력 블록이다. 전지 전압 검출부(218)는 전지(도시하지 않았음)의 전압 레벨을 검출하여 MPU(200)에 알린다. 또한 듀플렉서(duplexer)(222)는 안테나(220)를 통해 휴대형 이동 전화 기지국(108)과 송,수신되는 신호를 분리한다. RF 송신부(224)는 인터페이스(228)를 통해 MPU(200)로부터 입력되는 송신할 신호를 변조하여 RF신호를 듀플렉서(222) 및 안테나(220)를 통해 송신하고, RF 수신부(226)는 안테나(220) 및 듀플렉서(222)를 통해 수신되는 RF신호를 복조하여 인터페이스(228)를 통해 MPU(200)로 출력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단말기(110)에서 본 발명은 생명력을 나타내게 도안된 캐릭터 화상과 그에 대응하는 소리를 단말기(110)의 사용 빈도, 착신에 대한 응답 여부, 전지 전압 레벨 등 여러 가지 조건에 따라 모습이 변하는 캐릭터를 표출한다. 이때 출력 형태는 화상뿐만아니라 소리도 포함한다. 이를 위해 메모리(206)에 생명력을 나타내게 도안된 캐릭터의 각종 모습의 캐릭터 화상들의 화상데이터와 그에 대응하는 소리의 음성데이터를 미리 저장한다.
도 3은 단말기(100)의 사용 빈도에 따라 캐릭터를 표출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캐릭터 화상의 예시도이다. 도 3(a) 내지 도 3(e)에 보인 캐릭터 화상들 각각을 최상의 모습과 정상적인 모습부터 점차적으로 불량스럽게 변화하는 모습 중에 어느 한 가지 모습으로 서로 다르게 설정하는 것을 보인다. 도 3(a)는 최상의 모습으로서 활짝 웃는 모습을, 도 3(b)는 정상적인 모습을, 도 3(c)는 지루한 모습으로서 하품하는 모습을, 도 3(d)는 추해지고 삐쩍 마른 모습을, 도 3(e)는 죽음을 나타내는 모습을 보인 것이다. 이러한 도 3(a) 내지 도 3(e)와 같은 모습의 캐릭터 화상의 화상데이터를 단말기(110)를 제조할 때 제조업체에서 메모리(206)에 미리 저장시켜 놓는다. 이러한 메모리(206)는 별도로 제공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렇치 않으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사용자가 인터넷이나 PC 통신 또는 음성응답 서비스와 같은 통신 서비스를 통해 도 1의 서버(102)로부터 다운로드(download)받거나 다른 사용자로부터 전송받을 수도 있다.
도 4는 단말기(110)의 사용 빈도에 따라 상기한 도 3과 같은 캐릭터를 표출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2의 MPU(200)의 처리 흐름도이다. 먼저 도 4의 (300)단계에서 MPU(200)는 도 2와 같은 단말기(110)의 사용 빈도를 확인한다. 여기서 사용 빈도는 단말기(110)가 단위 시간동안에 얼마만큼 자주 사용되었는지를 수치화한 것으로, 이와 같이 사용 빈도를 계산하는 것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공지된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에 MPU(200)는 (302)단계에서 사용 빈도가 정상인가를 검사한다. 이때 사용 빈도가 제조업체나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는 일정값 이상이면 정상인 것으로 결정한다. 만일 사용 빈도가 정상인 경우라면, MPU(200)는 (304)단계에서 상기한 바와 같이 메모리(226)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캐릭터 화상들의 화상데이터 중에 도 3(b)와 같은 정상적인 모습의 캐릭터 화상의 화상 데이터를 선택한다. 이와 같이 선택한 화상데이터에 따른 캐릭터 화상을 (306)단계에서 표시부(210)를 통해 디스플레이한다.
이와 달리 사용 빈도가 정상이 아닌 경우라면, MPU(200)는 (308)단계에서 사용 빈도가 미리 설정된 규정값 이하인지 여부를 검사한다. 상기 규정값은 사용 빈도가 현저히 작은 경우에 해당하는 값을 의미하며, 제조업체에서 단말기(110)의 통계적인 사용 빈도를 조사하여 설정할 수 있다. 이뿐만 아니라 필요하다면 사용자가 원하는 임의의 값으로 설정하도록 할 수도 있다. 만일 사용 빈도가 상기한 규정값 이하라면 MPU(200)는 (310)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치 않으면 (316)단계로 진행한다. 여기서 사용 빈도가 규정값 이하라면 아주 오랫동안 사용되지 않은 상태에 해당하며, 사용 빈도가 규정값 이하가 아니라면 비록 정상은 아니지만 어느 정도 사용되고 있는 상태에 해당한다.
상기 (310)단계에서 MPU(200)는 착신 여부를 검사한다. 만일 착신이 없다면 상기 (316)단계로 진행하며, 착신이 있는 경우라면 MPU(200)는 메모리(206)에 저장되어 있는 도 3(a)∼도 3(e)와 같은 캐릭터 화상들 중에 도 3(a)의 최상의 모습의 캐릭터 화상의 화상데이터와 그에 대응되는 소리의 음성데이터를 선택한다. 이 경우 아주 오랫동안 사용되지 않고 있다가 착신이 된 경우이므로 활짝 웃는 모습으로 캐릭터 화상을 선택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에 대응되는 소리는 예를 들어 "아! 좋아라"와 같은 기분 좋은 소리의 음성데이터를 메모리(206)에 화상데이터와 마찬가지로 저장해 놓는다. 이와 같이 선택한 화상데이터에 따른 캐릭터 화상을 (314)단계에서 표시부(210)를 통해 디스플레이함과 아울러 음성데이터에 따른 소리를 스피커(216)를 통해 출력한다.
상기 (316)단계에서 MPU(200)는 메모리(206)에 저장되어 있는 캐릭터 화상들의 화상데이터 중에 한 가지를 사용 빈도에 대응되게 선택함과 아울러 그에 대응하는 소리의 음성데이터를 선택한 다음에 상기한 (314)단계로 진행한다. 이때 캐릭터 화상에 대응되는 소리의 예를 들면, 도 3(c)와 같은 경우에는 "아이, 심심해"와 같은 소리의 음성데이터를 메모리(206)에 화상데이터와 마찬가지로 저장해 놓는다.
상술한 바를 정리해 보면, 사용 빈도가 상대적으로 낮아질수록 최악의 상황에는 죽어버리게 되는 불량한 모습의 캐릭터 화상이 디스플레이됨과 아울러 경우에 따라 그에 대응하는 소리가 출력된다. 반면에 사용 빈도가 상대적으로 높아질수록 양호한 모습의 캐릭터 화상이 디스플레이됨과 아울러 경우에 따라 그에 대응하는 소리가 출력된다. 그러므로 단말기(110)를 단순한 휴대용 통신 기기로 사용하는데 그치지 않고 일종의 게임 측면에서 사용자에게 흥미를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자 자신과 함께 생활하는 개성있는 창조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단말기(110)의 사용 상태를 사용자가 흥미를 가지고 인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단말기(110)의 부가 가치 및 유용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도 5는 상기한 바와 달리 단말기(110)의 착신 응답 여부에 따라 캐릭터를 표출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캐릭터 화상의 예시도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캐릭터 화상들 각각을 정상적인 모습과 그에 비해 불량한 모습 중에 어느 한 가지 모습으로 서로 다르게 설정하는 것을 보인다. 도 5(a)는 정상적인 모습을 보인 것이다. 도 5(b),(c)는 불량한 모습을 보인 것으로 둘중에 어느 한가지 모습의 캐릭터를 이용하게 되는데, 도 5(b)는 삐진 모습을, 도 5(c)는 화난 모습을 보인 것이다. 도 5(a)와 도 5(b) 또는 도 5(c)의 캐릭터 화상 역시 상술한 도 3에 대해 설명한 바와 마찬가지로 메모리(206)에 저장되게 된다.
도 6은 단말기(110)의 착신 응답 여부에 따라 상기한 도 5와 같은 캐릭터를 표출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2의 MPU(200)의 처리 흐름도이다. 우선 도 6의 (400)단계에서 MPU(200)는 착신이 있을 때 사용자의 응답 여부를 확인한다. 이때 사용자가 착신에 응답하는 경우에는 (402)단계에서 이에 응답하여 메모리(206)에 저장되어 있는 도 5(a)와 같은 정상적인 모습의 캐릭터 화상의 화상데이터를 선택한다. 이와 달리 사용자가 착신에 응답하지 않는 경우에는 (408)단계에서 메모리(206)에 저장되어 있는 도 5(b) 또는 도 5(c)와 같은 불량한 모습의 캐릭터 화상의 화상데이터를 선택한다. 이후 MPU(200)는 상기 (404)단계 또는 (408)단계에서 선택한 화상데이터에 따른 캐릭터 화상을 (406)단계에서 표시부(210)를 통해 디스플레이한다.
따라서 착신이 있을 때 사용자가 응답하는 경우에는 정상적인 모습의 캐릭터 화상을 표출하는 반면에 응답하지 않는 경우에는 불량한 모습의 캐릭터 화상을 표출하게 된다.
도 7은 상기한 바와 달리 단말기(110)의 전지 전압 레벨에 따라 캐릭터를 표출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캐릭터 화상의 예시도이다. 도 7(a) 내지 도 7(e)는 캐릭터 화상들 각각을 정상적인 모습부터 점차적으로 불량스럽게 변화하는 모습 중에 어느 한 가지 모습으로 서로 다르게 설정하는 것을 보인다. 도 7(a)는 정상적인 모습을, 도 7(b)는 마른 모습을, 도 7(c)는 삐쩍 마른 모습을, 도 7(d)는 더욱 말라 거의 뼈의 형태만 남을 모습을, 도 7(e)는 죽음을 나타내는 모습을 보인 것이다. 즉, 도 7(a) 내지 도 7(e)의 캐릭터 화상은 단말기(110)의 전원이 전지임을 감안하여 전지 상태를 전지 전압 레벨 변화에 단계적으로 대응되게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는 모습을 보인다. 이러한 캐릭터 화상 역시 상술한 도 3에 대해 설명한 바와 마찬가지로 메모리(206)에 저장되게 된다.
도 8은 단말기(110)의 전지 전압 레벨에 따라 상기한 도 7(a) 내지 도 7(e)의 캐릭터를 표출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2의 MPU(200)의 처리 흐름도이다. 우선 도 8의 (500)단계에서 MPU(200)는 전지 전압 레벨 검출부(218)를 통해 전지 전압 레벨을 확인한다. 다음에 (502)단계에서 전지 전압 레벨이 정상 전압 레벨 이하인지 여부를 검사한다. 만일 전지 전압 레벨이 규정된 정상 전압 레벨 이상일 경우에는 (504)단계에서 메모리(206)에 저장되어 있는 도 7(a)와 같은 정상적인 모습의 캐릭터 화상의 화상데이터를 선택한다. 이와 같이 선택한 화상데이터에 따른 캐릭터 화상을 (506)단계에서 표시부(210)를 통해 디스플레이한다.
이와 달리 전지 전압 레벨이 정상 전압 레벨보다 낮을 경우에는 MPU(200)는 (508)단계에서 메모리(206)에 저장되어 있는 도 7(b) 내지 도 7(e)와 같은 캐릭터 화상들의 화상데이터중에 한가지를 전지 전압 레벨에 대응되게 선택하고 그에 대응하는 소리의 음성데이터를 선택한다. 이 경우에는 전지 전압 레벨이 낮아질수록 상대적으로 불량한 모습의 캐릭터 화상의 화상데이터를 선택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에 대응되는 소리는 예를 들어 "배고파", "꼬르륵"과 같은 소리의 음성데이터를 메모리(206)에 화상데이터와 마찬가지로 저장해 놓는다. 이와 같이 선택한 화상데이터에 따른 캐릭터 화상을 (510)단계에서 표시부(210)를 통해 디스플레이함과 아울러 음성데이터에 따른 소리를 스피커(216)를 통해 출력한다.
따라서 단말기(110)의 전지의 잔여 용량이 정상인지 아니면 비정상인지 여부뿐만아니라 비정상인 경우에는 어느 정도 상태인지까지 흥미있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술한 도 3, 도 5, 도 7에 보인 바와 같은 캐릭터 화상과 그에 대응하는 소리는 제조업체에서 미리 메모리(206)에 저장시켜 놓을 수도 있지만, 사용자가 인터넷이나 PC 통신 또는 음성응답 서비스와 같은 통신 서비스를 통해 도 1의 서비스 제공 서버(102)로부터 다운로드받거나 다른 사용자로부터 전송받을 수도 있다. 만일 서비스 제공 서버(102)로부터 다운로드받도록 하는 경우에는 다양한 형태의 여러 가지의 캐릭터 각각에 대한 각종 모습의 캐릭터 화상의 화상데이터와 그에 대응하는 소리의 음성데이터를 각각 파일(file) 형태로 만들어 데이터베이스로 서비스 제공 서버(102)에 저장시켜 놓는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 2와 같은 단말기(110)의 사용자가 캐릭터를 다운로드받기를 원하는 경우, 먼저 통신망(100)에 연결된 PC 또는 전화기를 이용하여 통신 서비스를 통해 서비스 제공 서버(102)에 접속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사용자가 클라이언트들(104)중 하나에 해당하는 자신의 PC를 통해 서비스 제공 서버(102)에 접속하는 것으로 예를 든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서비스 제공 서버(102)에 접속하면, 서비스 제공 서버(102)는 도 9의 처리 흐름도에 따른 동작을 수행한다.
상기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캐릭터 화상을 다운로드시키기 위한 도 1의 서비스 제공 서버(102)의 처리 흐름도이다. 먼저 서비스 제공 서버(102)는 도 9의 (600)단계에서 사용자가 접속하는 것에 응답하여 (602)단계를 수행한다. 상기 (302)단계에서 서비스 제공 서버(102)는 데이터베이스로 가지고 있는 캐릭터 화상 파일들에 대한 리스트를 통신망(100)을 통해 사용자에게 전송하고 (604)단계에서 사용자가 캐릭터 화상 파일을 선택하여 다운로드 요구하기를 대기한다. 이와 같이 전송된 캐릭터 화상 파일은 통상적인 PC 통신인 경우와 마찬가지로 PC 모니터 화면상에 디스플레이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는 캐릭터 화상 파일 리스트에 있는 캐릭터 화상 파일들중에 원하는 캐릭터 화상 파일에 대한 다운로드를 요구한다. 그러면 서비스 제공 서버(102)는 상기 (604)단계에서 이에 응답하여 (606)단계에서 캐릭터 화상 파일을 다운로드할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통신망(100)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입력하고, (608)단계에서 다운로드할 단말기를 호출한다. 이때 호출은 통신망(100)과 휴대형 무선 통신 기지국(108)을 통해 이루어진다.
이때 만일 다운로드할 단말기가 호출에 응답하면 서비스 제공 서버(102)는 (610)단계에서 이에 응답하여 (612)∼(614)단계에서 다운로드할 단말기로 다운로드 요구된 캐릭터 화상의 화상데이터를 전송하고, 전송을 종료하면 사용자에게 전송 완료 메시지를 전송하여 PC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도록한후 종료한다. 이와 달리 단말기가 호출에 응답하지 않으면 서비스 제공 서버(102)는 (618)단계에서 사용자에게 에러 메시지를 전송한후 종료한다. 여기서 캐릭터 화상 파일 전송은 통상적인 문자 서비스를 이용하면 되는데, 통상적인 문자 서비스와 다른 점은 문자 데이터를 전송하는 대신에 화상데이터를 전송하면 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상기한 바와 같이 캐릭터 화상을 다운로드받기 위한 도 2의 MPU(200)의 처리 흐름도이다. MPU(200)는 도 10의 (700)단계에서 착신을 대기하고 있다가 착신이 있으면 (702)단계를 수행한다. 상기 (702)단계에서 MPU(200)는 상기한 바와 같은 서비스 제공 서버(102)로부터의 호출에 따른 캐릭터 화상 다운로드 착신인지를 확인한다. 만일 캐릭터 화상 다운로드 착신이 아니라면, MPU(200)는 (708)단계에서 통상적인 착신 서비스를 한후 종료한다. 이와 달리 캐릭터 화상 다운로드 착신인 경우에는 (704)단계에서 캐릭터 화상의 화상데이터를 수신하여 (706)단계에서 메모리(206)에 저장되어 있었던 캐릭터 화상의 화상데이터 대신에 메모리(206)에 저장하여 갱신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서비스 제공 서버(102)에 있는 여러 가지의 캐릭터중에 자신의 취향에 맞는 캐릭터를 선택하여 자신의 단말기로 다운로드시킴으로써 다양하고 용이하게 변경시킬 수 있다. 이때 화상데이터를 다운로드시킬 때 그에 대응하는 소리의 음성데이터도 함께 다운로드시킬 수도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통신 서비스를 통해서 캐릭터를 다운로드받는 이외에도 사용자는 자신의 캐릭터가 최악의 상태에서 죽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다른 사용자의 단말기에 있는 양호한 모습을 유지하고 있는 캐릭터를 전송받을 수도 있을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단말기(110)간에 캐릭터 화상을 전송받기 위한 도 2의 MPU(200)의 처리 흐름도이다. 먼저 MPU(200)는 도 11의 (800)∼(802)단계에서 키 패드(208)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캐릭터 갱신 요구가 있는지 아니면 착신이 있는지를 확인한다. 캐릭터 갱신을 요구하는 키는 제조업체에서 키 패드(208)에 별도로 마련하거나 기존에 있는 키의 조합 또는 메뉴 선택에 의해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만일 캐릭터 갱신을 요구하는 키가 입력된다면, MPU(200)는 (804)단계에서 캐릭터 화상 파일을 전송받을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키 패드(208)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입력하고, (806)단계에서 입력한 전화번호의 단말기를 호출한다. 이때 다운로드할 단말기(110)가 호출에 응답하면 MPU(200)는 (808)단계에서 이에 응답하여 (810)단계에서 캐릭터 전송을 요구한다. 이때 상대 단말기가 본 발명에 따른 캐릭터 전송 기능을 구비한 단말기라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이에 응답하여 캐릭터를 전송할 것이고, 그렇치 않고 통상적인 단말기라면 무시할 것이다. 그러므로 MPU(200)는 (812)단계에서 화상데이터 수신 여부를 검사하여 수신되지 않으면 (818)단계로 진행한다. 이와달리 화상데이터가 수신되면, MPU(200)는 (814)단계에서 이를 수신하고 (816)단계에서 메모리(206)에 저장되어 있는 캐릭터 화상 대신에 수신한 캐릭터 화상데이터를 메모리(206)에 저장하여 갱신한다.
그리고 상기한 (808)단계에서 호출에 대한 응답이 없거나 상기한 (812)단계에서 전송 요구에 대해 타 단말기로부터 응답이 없으면, MPU(200)는 (818)단계에서 에러 메시지를 표시부(210)를 통해 디스플레이한다.
또한 상기한 (800)∼(802)단계에서 착신이 있는 경우라면, MPU(200)는 (820)단계에서 상기한 바와 같은 타 단말기로부터 캐릭터 전송을 요구하는 착신인지를 확인한다. 만일 캐릭터 전송을 요구하는 착신이 아니라면, MPU(200)는 (824)단계에서 통상적인 착신 서비스를 한후 종료한다. 이와 달리 캐릭터 전송을 요구하는 착신인 경우에는 (822)단계에서 자신의 메모리(206)에 저장되어 있는 캐릭터 화상들의 화상데이터를 전송 요구한 타 단말기로 전송한다.
따라서 단말기간에도 캐릭터를 전송함으로써 타인의 캐릭터를 양도받거나 줄 수 있게 됨으로써 더욱 다양한 형태로 캐릭터 표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을 스마트폰에 적용하는 예를 보였으나, 무선 호출 수신기나 핸드폰과 같은 모든 휴대형 무선 통신 단말기에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다만, 예를들어 많은 양의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하거나 출력할 수 없는 무선 호출 수신기와 같은 단말기에 적용하는 경우에는 적은 양의 데이터만을 필요로 하면 간단히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단순한 형태의 캐릭터를 적용하거나 아니면 이를 가능케 하도록 무선 호출 수신기를 변경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단말기의 사용 빈도, 착신에 대한 응답 여부, 전지 전압 레벨 등 여러 가지 조건에 따라 모습이 변하는 캐릭터를 표출하는 예를 들었으나, 그 조건은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도 있고, 출력 형태도 화상이나 소리 중에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그리고 외부로부터 캐릭터 화상을 다운로드 또는 전송받는 예도 역시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적용하거나 아니면 생략할 수 있으며 캐릭터의 가지수도 한가지뿐만 아니라 여러 가지를 단말기에 저장하여 사용자가 수시로 변경하도록 할 수도 있다. 따라서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특허청구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하여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단말기 상태 변화에 대응되는 모습의 캐릭터를 표출함에 따라 게임 측면에서 단말기를 사용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단말기를 사용함에 따른 흥미를 제공하며 사용상태나 전지 상태를 흥미있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단말기의 부가 가치 및 유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잇점이 있다.

Claims (18)

  1. 휴대형 무선 통신 단말기에서 사용자에게 부가적인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의 사용 빈도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단말기의 메모리에 미리 저장되며 생명력을 나타내게 도안된 적어도 어느 한가지의 캐릭터에 대한 각종 모습의 캐릭터 화상들의 화상데이터 중에 한 가지를 상기 사용 빈도에 대응되게 선택하는 과정과,
    상기 선택한 화상데이터에 따른 캐릭터 화상을 상기 단말기의 표시부를 통해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무선 통신 단말기의 상태에 따른 캐릭터 표출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릭터 화상들 각각이, 최상의 모습과 정상적인 모습부터 점차적으로 불량스럽게 변화하는 모습 중에 어느 한 가지 모습으로 서로 다르게 설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무선 통신 단말기의 상태에 따른 캐릭터 표출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과정이, 상기 사용 빈도가 상대적으로 낮아질수록 불량한 모습의 캐릭터 화상의 화상데이터를 선택하며, 상기 사용 빈도가 상대적으로 높아질수록 양호한 모습의 캐릭터 화상의 화상데이터를 선택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무선 통신 단말기의 상태에 따른 캐릭터 표출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 빈도가 현저히 작은 경우를 나타내는 미리 설정된 규정값과 비교하여 상기 규정값 이하인 경우 착신 여부를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착신이 있는 경우 상기 캐릭터 화상들 중에 상기 최상의 모습의 캐릭터 화상의 화상데이터를 선택하는 과정과,
    상기 선택한 화상데이터에 따른 캐릭터 화상을 상기 표시부를 통해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무선 통신 단말기의 상태에 따른 캐릭터 표출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기분 좋음을 나타내는 모습의 캐릭터 화상의 화상데이터를 선택할 경우에는 상기 메모리에 미리 저장되며 상기 최상의 모습의 캐릭터 화상에 대응되는 소리의 음성데이터를 선택하는 과정과,
    상기 선택한 음성데이터에 따른 소리를 상기 단말기의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과정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무선 통신 단말기의 상태에 따른 캐릭터 표출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최상의 모습이, 활짝 웃는 모습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무선 통신 단말기의 상태에 따른 캐릭터 표출방법.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 빈도가 현저히 작은 경우를 나타내는 미리 설정된 규정값 이하인 경우에는 상기 메모리에 미리 저장되며 그 경우에 해당하는 캐릭터 화상들에 대응되는 소리들의 음성데이터 중에 상기 선택과정에 의해 선택한 캐릭터 화상의 화상데이터에 대응되는 소리의 음성데이터를 선택하는 과정과,
    상기 선택한 음성데이터에 따른 소리를 상기 단말기의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과정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무선 통신 단말기의 상태에 따른 캐릭터 표출방법.
  8. 휴대형 무선 통신 단말기에서 사용자에게 부가적인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착신이 있을 때 상기 사용자의 응답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단말기의 메모리에 미리 저장되며 생명력을 나타내게 도안된 적어도 어느 한가지의 캐릭터에 대한 2가지 모습의 캐릭터 화상들의 화상데이터 중에 한 가지를 상기 응답 여부에 대응되게 선택하는 과정과,
    상기 선택한 화상데이터에 따른 캐릭터 화상을 상기 단말기의 표시부를 통해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무선 통신 단말기의 상태에 따른 캐릭터 표출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캐릭터 화상들 각각이, 정상적인 모습과 그에 비해 불량한 모습 중에 어느 한 가지 모습으로 서로 다르게 설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무선 통신 단말기의 상태에 따른 캐릭터 표출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과정이, 상기 사용자가 상기 착신에 응답하는 경우에는 상기 정상적인 모습의 캐릭터 화상의 화상데이터를 선택하며, 상기 사용자가 상기 착신에 응답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불량한 모습의 캐릭터 화상의 화상데이터를 선택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무선 통신 단말기의 상태에 따른 캐릭터 표출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불량한 모습이, 화난 모습이나 삐진 모습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무선 통신 단말기의 상태에 따른 캐릭터 표출방법.
  12. 휴대형 무선 통신 단말기에서 사용자에게 부가적인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의 전지의 전압 레벨을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단말기의 메모리에 미리 저장되며 생명력을 나타내게 도안된 적어도 어느 한가지의 캐릭터에 대한 각종 모습의 캐릭터 화상들의 화상데이터 중에 한 가지를 상기 전지 전압 레벨에 대응되게 선택하는 과정과,
    상기 선택한 화상데이터에 따른 캐릭터 화상을 상기 단말기의 표시부를 통해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무선 통신 단말기의 상태에 따른 캐릭터 표출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캐릭터 화상들 각각이, 정상적인 모습부터 점차적으로 불량스럽게 변화하는 모습 중에 어느 한 가지 모습으로 서로 다르게 설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무선 통신 단말기의 상태에 따른 캐릭터 표출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과정이, 상기 전지 전압 레벨이 규정된 정상 전압 레벨 이상일 경우에는 상기 정상적인 모습의 캐릭터 화상의 화상데이터를 선택하며, 상기 정상 전압 레벨보다 낮을 경우에는 낮아질수록 상대적으로 불량한 모습의 캐릭터 화상의 화상데이터를 선택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무선 통신 단말기의 상태에 따른 캐릭터 표출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전지 전압 레벨이 상기 정상 전압 레벨 이하인 경우에는 상기 메모리에 미리 저장되며 상기 정상 전압 레벨 이하인 경우에 해당하는 캐릭터 화상들에 대응되는 소리들의 음성데이터 중에 상기 선택과정에 의해 선택한 캐릭터 화상에 대응되는 소리의 음성데이터를 선택하는 과정과,
    상기 선택한 음성데이터에 따른 소리를 상기 단말기의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과정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무선 통신 단말기의 상태에 따른 캐릭터 표출방법.
  16. 생명력을 나타내게 도안된 적어도 어느 한가지의 캐릭터에 대한 각종 모습의 캐릭터 화상들의 화상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를 구비하는 휴대형 무선 통신 단말기에서 상기 단말기의 상태 변화에 대응되는 모습의 캐릭터를 표출하는 방법에 있어서,
    여러 가지의 캐릭터 각각에 대한 각종 모습의 캐릭터 화상의 화상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로 가지는 서비스 제공 서버에게 상기 단말기의 사용자가 통신 서비스를 통해 접속하고 원하는 캐릭터 화상을 지정하여 다운로드를 요구하고 상기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입력하면,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가 상기 입력된 전화번호의 단말기를 호출한후 상기 다운로드 요구된 캐릭터 화상의 화상데이터를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단말기가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의 상기 호출에 따른 착신에 응답하여 상기 캐릭터 화상의 화상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었던 캐릭터 화상의 화상데이터 대신에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여 갱신하는 과정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무선 통신 단말기의 상태에 따른 캐릭터 표출방법.
  17. 생명력을 나타내게 도안된 적어도 어느 한가지의 캐릭터에 대한 각종 모습의 캐릭터 화상들의 화상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를 구비하는 휴대형 무선 통신 단말기에서 상기 단말기의 상태 변화에 대응되는 모습의 캐릭터를 표출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의 사용자로부터 캐릭터 갱신 요구와 함께 타 단말기의 전화번호가 입력되면 상기 입력된 전화번호의 타 단말기를 호출하는 과정과,
    상기 타 단말기가 상기 호출에 응답하면 상기 타 단말기로 캐릭터 전송을 요구하는 과정과,
    상기 전송 요구에 응답하여 상기 타 단말기로부터 캐릭터 화상의 화상데이터가 수신되면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캐릭터 화상 대신에 상기 수신한 캐릭터 화상데이터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여 갱신하는 과정과,
    상기 전송 요구에 대해 상기 타 단말기로부터 응답이 없으면 에러 메시지를 상기 단말기의 표시부를 통해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무선 통신 단말기의 상태에 따른 캐릭터 표출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어느 하나의 타 단말기로부터의 호출에 응답하였을 때 캐릭터 전송 요구가 있으면 자신의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캐릭터 화상들의 화상데이터를 상기 전송 요구한 타 단말기로 전송하는 과정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무선 통신 단말기의 상태에 따른 캐릭터 표출방법.
KR1019980008973A 1998-03-17 1998-03-17 휴대형 무선 통신 단말기의 상태에 따른 캐릭터 표출방법 KR1003028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08973A KR100302842B1 (ko) 1998-03-17 1998-03-17 휴대형 무선 통신 단말기의 상태에 따른 캐릭터 표출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08973A KR100302842B1 (ko) 1998-03-17 1998-03-17 휴대형 무선 통신 단말기의 상태에 따른 캐릭터 표출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5016A KR19990075016A (ko) 1999-10-05
KR100302842B1 true KR100302842B1 (ko) 2001-09-28

Family

ID=375296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08973A KR100302842B1 (ko) 1998-03-17 1998-03-17 휴대형 무선 통신 단말기의 상태에 따른 캐릭터 표출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0284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489148B2 (en) 2005-11-09 2013-07-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Device and method for expressing status of terminal using charact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3294B1 (ko) * 1999-12-16 2007-04-03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무선 단말기의 수신측 상태 통보 방법
KR20000024043A (ko) * 2000-01-14 2000-05-06 오세남 게시판 내의 캐릭터를 주기적으로 변환하기 위한 방법.
JP4163839B2 (ja) * 2000-02-08 2008-10-0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コミニュケーション装置
KR20020060373A (ko) * 2001-01-10 2002-07-18 구자홍 이동 통신망을 통한 연인간의 친밀도 서비스 방법
KR100789801B1 (ko) * 2001-07-07 2007-12-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이미지 표시 방법 및 이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KR100582527B1 (ko) * 2002-02-20 2006-05-23 양미나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애정 상태 표시 방법
KR100810343B1 (ko) * 2003-07-23 2008-03-04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빈도에 따라 캐릭터를 변형하는 방법
KR100773505B1 (ko) * 2005-09-23 2007-11-06 엘지전자 주식회사 펀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의 에이전트발생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489148B2 (en) 2005-11-09 2013-07-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Device and method for expressing status of terminal using character
US9786086B2 (en) 2005-11-09 2017-10-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Device and method for expressing status of terminal using charac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5016A (ko) 1999-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03574B1 (ko) 이동전화단말기를위한벨소리다운로드서비스방법및그시스템
US7093198B1 (en) Skins for mobile communication devices
US20040067768A1 (en) User interface for a cellular telephone functioning as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KR20010111166A (ko) 휴대폰의 메뉴 아이콘 변경 방법 및 메뉴 구성 편집 방법
KR20090046124A (ko) 프레즌스를 이용한 상대방 단말 정보 표시방법 및 그방법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
KR100735227B1 (ko) 문자의 폰트를 변경할 수 있는 휴대용 통신 단말기 및이를 이용한 문자의 폰트 변경 방법
KR100302842B1 (ko) 휴대형 무선 통신 단말기의 상태에 따른 캐릭터 표출방법
EP1940129A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630175B1 (ko)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폰트 변경 방법
US7593720B2 (en) Method and an apparatus for providing multimedia services in mobile terminal
KR100651542B1 (ko)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환경설정방법
KR20070005859A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주소록 사진 등록 방법
KR100366435B1 (ko) 이미지 문자정보의 송수신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020001979A (ko) 인터넷을 이용한 휴대폰 배경화면 다운로드 시스템 및휴대폰의 배경화면 디스플레이방법
KR100532075B1 (ko) 휴대형 이동 전화 단말기를 위한 글자체 데이터 다운로드서비스 방법
US20080234007A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providing backgroud picture during communication
KR20000073341A (ko) 이미지 수신 가능한 단말기, 이를 이용한 이미지 전송 서비스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474692B1 (ko) 휴대폰의 메뉴 구성 편집방법
TW451574B (en) Method of accessing the menu of the base station of a wireless telephone from a handset of said telephone, with selection of the access language
KR100713449B1 (ko) 휴대용 이동 전화기의 벨소리 변경방법
KR100422134B1 (ko) 이동통신시스템의 단말기를 이용한 개인정보 전달방법
JP4693251B2 (ja) 通信端末装置及び制御プログラム
JP2003244283A (ja) 端末装置およびその処理方法
KR20030037949A (ko) 글자체 데이터를 다운로드 받는 기능을 가지는 휴대형이동 전화 단말기
KR20010067822A (ko) 휴대형 이동 전화 단말기에 대한 벨소리 다운로드서비스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604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