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02391B1 - Air bubble generator with blow-down nozzles - Google Patents

Air bubble generator with blow-down nozzl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02391B1
KR100302391B1 KR1019980053873A KR19980053873A KR100302391B1 KR 100302391 B1 KR100302391 B1 KR 100302391B1 KR 1019980053873 A KR1019980053873 A KR 1019980053873A KR 19980053873 A KR19980053873 A KR 19980053873A KR 100302391 B1 KR100302391 B1 KR 1003023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diameter
air bubble
bubble generator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5387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00038770A (en
Inventor
임무생
홍대영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10199800538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02391B1/en
Publication of KR200000387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3877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23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2391B1/en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17/00Washing machines having receptacles, stationary for washing purposes, wherein the washing action is effected solely by circulation or agitation of the washing liquid
    • D06F17/12Washing machines having receptacles, stationary for washing purposes, wherein the washing action is effected solely by circulation or agitation of the washing liquid solely by gases, e.g. air or steam, introduced into the washing liquid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5/00Washing machines, apparatu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35/002Washing machines, apparatu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bubb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Abstract

축소-확대 노즐형식의 분출공이 형성된 공기방울 발생판을 가지는 공기방울 발생기는 미세한 공기방울을 발생할 수 있다. 상기 분출공은 상기 공기방을 발생판의 외측에 형성되는 외측 분출공과 상기 공기방울 발생판의 내측에 형성되는 내측 분출공으로 구성된다.A bubble generator having an air bubble generating plate in which blow-holes of a reduction-expansion nozzle type are formed may generate fine air bubbles. The blowing hole is composed of an outer blowing hole formed in the outside of the air generating plate and the inner blowing hole formed inside the air generating plate.

상기한 분출공은 그 직경이 서로 다른 유입부, 응축부, 및 유출부를 동축상에 연결하여 축소-확대 노즐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는데, 상기 유입부의 직경은 상기 유출부의 직경보다 작고 상기 응축부의 직경보다 크다.The blowout hole is formed to have a reduction-enlargement nozzle shape by connecting inlets, condensers, and outlets having different diameters coaxially with each other, wherein the diameter of the inlet is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outlet and is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condenser. Big.

상기한 응축부의 길이는 상기 유입부의 길이보다 길고, 상기 유출부의 길이보다 짧으며, 외측 분출공의 응축부의 직경은 내측 분출공의 응축부의 직경보다 작다.The length of the condensation part is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inlet part, and is shorter than the length of the outlet part, and the diameter of the condensation part of the outer ejection hole is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condensation part of the inner ejection hole.

상기한 구조의 분출공을 가지는 공기방울 발생기는 미세한 공기방울을 생성할 수 있다.The bubble generator having a blowhole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may generate fine bubbles.

Description

축소-확대 노즐 형상의 분출공들을 가지는 공기방울 발생장치Bubble generator with blow-down nozzles

일반적으로, 의류와 같은 세탁물들을 세탁하는 세탁기는 두 종류로 분류할 수 있다. 첫 번째 카테고리는 와류형 세탁기를 포함하는데, 상기 와류형 세탁기에서 세탁물들은 저수조내에 와류를 형성하도록 회전하는 펄세이터에 의하여 세탁된다. 두 번째 카테고리는 드럼식 세탁기를 포함하는데, 상기 드럼식 세탁기는 세탁수에 부분적으로 잠기는 수평 회전 드럼을 가진다. 이러한 드럼 세탁기에서는, 드럼이 수평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므로 회전 드럼 내에 포함된 세탁물들이 서로 마찰되어 세탁된다.In general, washing machines for washing laundry such as clothes can be classified into two types. The first category includes vortex washers, where laundry is washed by a rotating pulsator to form a vortex in the reservoir. The second category includes drum washing machines, which have horizontal rotating drums that are partially submerged in the wash water. In such a drum washing machine, since the drum rotates about a horizontal axis, the laundry contained in the rotating drum is rubbed and washed with each other.

상기 세탁기의 세탁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공기방울 발생장치를 구비한 세탁기가 제안되었다. 도 1은 종래 공기방울 발생장치가 장착된 와류식 세탁기의 종단면도이고, 도 2는 종래 공기방울 발생장치가 장착된 드럼식 세탁기의 종단면도이고, 및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공기방울 발생장치의 확대 단면도이다. 아래에서, 상기 도 1 내지 도 3을 참조로 하여 종래 공기방울 발생장치가 설명될 것이다.In order to increase the washing efficiency of the washing machine, a washing machine having an air bubble generator has been proposed. 1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a vortex type washing machine equipped with a conventional air bubble generator, FIG. 2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a drum type washing machine equipped with a conventional air bubble generator, and FIG. 3 is an air illustrated in FIGS. 1 and 2.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droplet generator. In the following, a conventional air bubble generator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3.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류식 세탁기에 있어서, 세탁조(20)는 저수조(10) 내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저수조(10) 바닥면에는 공기방울 발생장치(30)가 설치된다. 상기 공기방울 발생장치(30)는 공기관(35)을 통해 공기펌프(도시되지 않음)로부터 공기를 공급받는다. 와류를 형성하기 위한 펄세이터(23)는 상기 세탁조(20) 바닥면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상기 세탁조(20)의 바닥면에는 공기방울 통로(25)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공기방울 발생장치(30) 하부 상기 저수조(10)의 바닥면에는 배수관(15)이 연결되어 있다.In the vortex type washing machine as shown in FIG. 1, the washing tub 20 is rotatably installed in the reservoir 10. The air bubble generator 30 is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reservoir 10. The air bubble generator 30 receives air from an air pump (not shown) through the air pipe 35. The pulsator 23 for forming the vortex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washing tank 20. An air bubble passage 25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washing tub 20. The drain pipe 15 is connect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water reservoir 10 below the air bubble generator 30.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럼식 세탁기는 하우징(40) 및 세탁수를 보유하도록 상기 하우징(40) 내에 설치되는 저수조(50)를 가진다. 세탁물을 포함하는 회전 드럼(60)은 상기 저수조(50) 내에 수평으로 설치되어 있다.As shown in FIG. 2, the drum type washing machine has a housing 40 and a reservoir 50 installed in the housing 40 to hold wash water. The rotating drum 60 including the laundry is horizontally installed in the reservoir 50.

상기한 회전드럼(60)은 세탁수의 유입 및 유출을 허용하는 다수의 분출공들(64)을 가지며, 이와 함께 회전축 방향으로 형성되어 공기방울을 받아들이는 공기 방울 통로(68)를 갖는다.The rotating drum 60 has a plurality of ejection holes 64 to allow the inflow and outflow of the wash water, and together with the air bubble passage 68 formed in the rotation axis direction to receive air bubbles.

또한, 상기한 회전드럼(60)의 하부는 세탁수 내에 잠겨 있으며, 공기방울 발생장치(70)는 상기한 저수조(50)의 바닥면에 설치된다.In addition, the lower portion of the rotating drum 60 is locked in the wash water, the air bubble generator 70 is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reservoir (50).

상기한 공기방울 발생장치(70)는 공기관(75)을 통해 압축공기를 공급받는다.The air bubble generator 70 receives the compressed air through the air pipe (75).

도 3에는 상기 도 1 및 도 2에 적용할 수 있는 공기방울 발생장치가 도시되어 있다.3 shows an air bubble generator applicable to FIGS. 1 and 2.

상기한 공기방울 발생장치는 도시되지 않은 공기펌프에 연결할 수 있는 유입구(84) 및 상기 유입구(84)에 대향되는 경사진 유출부(88)를 가지는 케이스(80)를 포함하며, 상기한 케이스(80) 내에는 다공성 부재(85)가 설치된다.The air bubble generator includes a case 80 having an inlet port 84 that can be connected to an air pump (not shown) and an inclined outlet portion 88 opposite to the inlet port 84, wherein the case ( In the 80, a porous member 85 is provided.

상기한 다공성 부재(85)는 도시되지 않은 공기펌프로부터 유입된 압축공기가 세탁수와 만나는 경계면으로, 압축된 공기는 상기 다공성 부재(85)를 통과함으로써 다량의 미세한 공기방울로 부서지며, 이와 함께 다수의 분출공들(94)을 가지는 공기방울 발생판(90)은 상기 유출부(88)에 밀착될 것이다.The porous member 85 is an interface where compressed air introduced from an air pump (not shown) meets the wash water, and the compressed air is broken into a large amount of fine air bubbles by passing through the porous member 85. The bubble generating plate 90 having a plurality of blow holes 94 will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let 88.

계속해서 탄성덮개(98)의 일측은 상기 공기방울 발생판(90)의 분출공들(94)을 차단하도록 상기 공기방울 발생판(90) 상면 일측에 고정되며, 상기한 탄성덮개(98)의 고정되지 않은 타측은 상기 공기방울 발생장치가 동작하기 시작하면 공기방울이 상기 공기방울 발생장치로부터 방출될 수 있도록 상기 분출공들(94)을 오픈한다.Subsequently, one side of the elastic cover 98 is fixed to one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air bubble generating plate 90 to block the ejection holes 94 of the air bubble generating plate 90, and the The other side, which is not fixed, opens the ejection holes 94 so that the bubble can be released from the bubble generator when the bubble generator starts to operate.

상기한 분출공들(94)은 공기방울 유입구로부터 공기방울 유출구까지의 직경이 동일한 원통형상이다.The blowing holes 94 have a cylindrical shape having the same diameter from the air bubble inlet to the air bubble outlet.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을 가지는 종래의 공기방울 발생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The operation of the conventional air bubble generator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공기방울 발생장치가 동작하기 시작하면, 유입구(84)를 통해 유입된 압축공기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공성 부재(85)에 의해 미세한 공기방울들로 부서지며, 상기한 과정에 따라 미세하게 부서진 공기방울들은 상기 분출공들(94)을 통해 세탁수로 방출된다.When the bubble generator starts to operate, the compressed air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84 is broken into fine bubbles by the porous member 85 as shown in FIGS. 1 and 2, and the process described above. As finely broken air bubbles are discharged into the wash water through the blow holes (94).

또한, 방출된 공기방울들은 저수조(20, 50)에 유입되어 의류와 같은 세탁물을 세탁한다.In addition, the released air bubbles flow into the reservoirs 20 and 50 to wash laundry such as clothes.

그러나, 상기한 구조를 갖는 공기방울 발생장치에 의하면, 공기방울들 중 상기 분출공(94)의 직경보다 큰 구경을 가지는 공기방울들은 상기 분출공(94)을 통과하지 못하여 분출공(94)의 입구를 막거나 부서진다.However, according to the air bubble generator having the above structure, the air bubbles having a diameter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air outlet 94 among the air bubbles do not pass through the air outlet 94, Block or break the entrance.

따라서, 상기 공기방울 발생판에서 공기방울이 발생하는 확률이 낮아지며, 결과적으로, 저수조에 공기방울이 유입되는 확률이 낮아지고 그에 따라 세탁력이 저하된다.Therefore, the probability of air bubbles being generated in the air bubble generating plate is lowered. As a result, the probability of air bubbles entering the reservoir is lowered, and thus the washing power is lowered.

또한, 발생된 공기방울들은 세탁수의 부력에 의해 수면 가까이로 떠오른다.In addition, the generated bubbles rise near the water surface due to the buoyancy of the wash water.

이때, 수압이 낮아지므로, 공기방울의 크기가 커지면서 공기방울의 형태가 흐트러지므로 충분히 미세한 크기의 공기방울들을 생성하여야 세탁력을 높일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since the water pressure is lowered, since the size of the air bubble is disturbed, the shape of the air bubble is disturbed, so that air bubbles having a fine enough size can be generated to increase the washing power.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s follows.

본 발명의 첫 번째 목적은 공기방울 발생장치로부터 저수조 안의 세탁수에 투입되는 공기방울 직경을 최대한 미세하게 하는 분출공를 가진 공기방울 발생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 first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ir bubble generator having a jet hole for minimizing the diameter of the air droplets introduced into the wash water in the reservoir from the air bubble generator.

본 발명의 두 번째 목적은 저수조에 공기방울이 유입되는 확률을 높이는 공기방울 발생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 second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ir bubble generator which increases the probability of air bubbles flowing into the reservoir.

본 발명의 세 번째 목적은 세탁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공기방울 발생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 third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ir bubble generator that can improve the washing efficiency.

상기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다음 사항들이 고려되어야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following points should be considered.

먼저, 저수조에 투입되는 공기방울의 구경을 미세하게 하려면, 분출공들의 직경을 작게하여야 한다.First, in order to make the diameter of the air bubbles introduced into the water reservoir fine, the diameter of the blow holes must be made small.

그러나, 분출공 직경은 이론적으로 작은 것이 좋으나 공기방울 발생기 두께에 비해서 너무 작게 되면 구멍 사이에 유막이 형성되어 공기가 빠져나가지 못하게 된다.However, although the ejection hole diameter is preferably small, if it is too small for the thickness of the bubble generator, an oil film is formed between the holes to prevent air from escaping.

두 번째, 세탁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저수조에 공기방울이 유입되는 확률을 높여야 하는데, 이와 같이 공기방울 유입확률을 높이려면, 초기에 저수조로 투입되는 공기방울의 크기가 작을수록 좋다.Second, in order to improve the washing power,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probability that air bubbles are introduced into the reservoir, and in order to increase the probability of introducing the air bubbles in this way, the smaller the size of the air bubbles initially introduced into the water tank, the better.

한편, 물속에서 구멍을 통하여 공기가 분출될 경우, 분출속도는 공기방울 크기에 영향을 미치게 되는데, 예로써 분출속도가 빠를 경우, 공기방울이 부력에 의하여 부상하기 전에 공기가 연속적으로 공급됨으로써 또는 합체에 의해서 입경이 커질 가능성이 높다.On the other hand, when air is blown out through the hole in the water, the blowing speed affects the size of the bubble. For example, when the blowing speed is fast, the air is continuously supplied before the air bubble floats due to buoyancy or in the coalescence. The particle size is likely to increase.

그러나, 느린 속도로 분출할 경우에는 공기방울이 부력에 의해 상승할 충분한 시간인 주어지기 때문에 공기방울은 단속적으로 형성된다.However, when ejecting at a slow speed, bubbles are formed intermittently because the bubbles are given sufficient time to rise by buoyancy.

즉 입경이 작아질 가능성이 높으며, 이러한 분출속도는 유입, 유출 면적비를 조절함으로써 제어할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particle diameter is likely to be small, and the blowing speed can be controlled by adjusting the inflow and outflow area ratios.

상기한 제반 사항들을 고려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다음과 같다.Considering the above-mentioned matters,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s follows.

유입된 압축공기로부터 공기방울들을 발생시키고 상기 발생된 공기방울들을 세탁조 안의 세탁수에 분출하는 공기방울 발생장치에 있어서,In the air bubble generator for generating air bubbles from the compressed air flows into the washing water in the washing tank,

상기 공기방울 발생장치는 축소-확대 노즐 형상을 갖는 다수의 분출공이 형성된 공기방울 발생판을 포함하되, 상기 분출공은 공기방울 발생판의 바깥부분에 설치되는 외측 분출공 및 상기 공기방울 발생판의 안쪽에 설치되는 내측 분출공으로 구성하고, 상기 각 외측 분출공의 직경은 내측 분출공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air bubble generator includes an air bubble generating plate having a plurality of blow holes having a shrink-expanded nozzle shape, wherein the air blow holes are formed on an outer portion of the air bubble generating plate and the air bubble generating plate. It consists of the inner blower hole installed inside, The diameter of each said outer blower hole is formed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inner blower hole, It is characterized by the above-mentioned.

여기서 분출공은, 상기한 공기방울 발생판의 외측 및 내측에 각각 형성하며, 특히 내측 분출공은 외측 분출공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한다.The blowing holes are formed on the outside and the inside of the air bubble generating plate, respectively, and the inside blowing holes have a larger diameter than the outside blowing holes.

상기 각 분출공은 원통 형상의 유입부, 상기 유입부에 연결되어 상기 유입부로 유입된 공기를 응축하는 응축부, 상기 응축부에 연결되어 상기 응축된 공기를 분출하는 유출부로 구성되며, 상기한 유입부, 응축부, 및 유출부는 동축상에 원통형으로 형성된다.Each blowing hole is composed of a cylindrical inlet, a condenser connected to the inlet to condense the air introduced into the inlet, an outlet connected to the condenser to eject the condensed air. The part, the condensation part and the outlet part are formed coaxially in a cylindrical shape.

이때, 상기한 유출부의 직경은 유입부의 직경보다 작고, 응축부의 직경보다 크며, 상기한 응축부의 길이는 유출부의 길이보다 길고, 상기 유입부의 길이보다 짧다.At this time, the diameter of the outlet portion is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inlet portion,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condensation portion, the length of the condensation portion is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outlet portion, it is shorter than the length of the inlet portion.

도 1은 종래의 와류식 세탁기에 있어서, 회전튜브 및 드레인 파이프와 관련한 공기방울 발생장치의 위치관계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1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positional relationship of an air bubble generator in relation to a rotating tube and a drain pipe in a conventional vortex washing machine;

도 2는 종래의 드럼식 세탁기에 있어서, 회전드럼과 공기방울 발생장치의 위치관계를 도시한 단면도,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a rotating drum and a bubble generator in a conventional drum type washing machine;

도 3은 종래의 공기방울 발생장치의 확대 사시도,3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air bubble generator,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상적인 공기방울 분출공을 가지는 공기방울 발생판을 도시한 종단면도,4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an air bubble generating plate having an ideal air bubble ejection ho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방울 분출공을 가지는 공기방울 발생판을 도시한 종단면도,Figure 5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bubble generating plate having a bubble ejection ho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방울 발생판의 내측 분출공과 외측 분출공의 확대 종단면도,6 is an enlarged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inner blower hole and the outer blower hole of the air bubble generating 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방울 발생판을 가지는 공기방울 발생기의 실시예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7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bubble generator having a bubble generating 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 공기방울 발생판 150 : 탄성덮개100: air bubble generating plate 150: elastic cover

200 : 내측 분출공 300 : 외측 분출공200: inner ejection hole 300: outer ejection hole

250 : 제 1 분출공 350 : 제 2 분출공250: first jet hole 350: second jet hole

400 : 케이스 410 : 유입구400 case 410 inlet

430 : 다공성 부재 450 : 경사진 유출부430: porous member 450: inclined outlet portion

상기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를 도 4 내지 도 7을 참조로 하여 이하에서 설명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FIGS. 4 to 7.

본 발명에 따른 공기방울 발생장치는 공기펌프(도시않음)에 연결할 수 있는 유입구(410) 및 상기 유입구(410)에 대향되는 경사진 유출부(450)를 가지는 케이스(400)를 포함하며, 상기한 케이스(400)의 내부에는 다공성 부재(430)가 설치된다.The apparatus for generating air bubbl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se 400 having an inlet 410 that can be connected to an air pump (not shown) and an inclined outlet 450 opposite to the inlet 410. The porous member 430 is installed inside the case 400.

상기한 다공성 부재(430)는 공기펌프로부터 유입된 압축공기가 경유하도록 함으로써 압축공기가 다량의 미세한 공기방울로 부서지도록 한다.The porous member 430 allows the compressed air to be broken into a large amount of fine air bubbles by passing through compressed air introduced from the air pump.

또한, 분출공들(200, 300)을 가진 공기방울 발생판(100)은 상기한 경사진 유출부(450)에 밀착되며, 탄성덮개(150)의 일측은 상기 공기방울 발생판(100)의 분출공들(200, 300)을 차단하도록 상기 공기방울 발생판(100) 상면 일측에 고정된다.In addition, the air bubble generating plate 100 having the ejection holes (200, 30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clined outlet portion 450, one side of the elastic cover 150 of the air bubble generating plate (100) It is fixed to one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ubble generating plate 100 to block the blow holes (200, 300).

상기한 공기방울 발생장치가 동작하기 시작하면 공기방울이 상기 공기방울 발생장치로부터 방출될 수 있도록 상기 탄성덮개(150)의 고정되지 않은 타측은 상기 분출공들(200, 300)을 오픈시킨다.When the air bubble generator starts to operate, the other unfixed side of the elastic cover 150 opens the blow holes 200 and 300 so that air bubbles may be discharged from the air bubble generator.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초기에 저수조로 투입되는 공기방울의 크기를 작게 하려면 상기 분출공들의 직경을 작게 해야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reduce the size of the air bubbles initially introduced into the reservoir, the diameter of the blowout holes should be reduced.

상기한 분출공 직경은 이론적으로 작은 것이 좋으나 유로길이(공기방울 발생기의 두께)에 비해서 너무 작게 되면 구멍 사이에 유막이 형성되어 공기가 빠져나가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It is preferable that the above-mentioned ejection hole diameter is theoretically small, but when it is too small compared with the flow path length (thickness of the air bubble generator), an oil film is formed between the holes to prevent air from escaping.

또한, 물속에서 구멍을 통하여 공기가 분출될 경우, 분출속도는 공기방울 크기에 영향을 미친다.In addition, when air is blown out through the hole in the water, the blowing speed affects the bubble size.

이때 유속은 유관의 단면적에 반비례하므로, 상기 분출속도는 유입, 유출 면적비를 조절함으로써 제어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기본적인 분출공의 직경은 발생 시키고자 하는 공기방울 직경보다 작아야 하며 유동저항 및 분출압은 작게하는 것이 좋다.At this time, the flow rate is inversely proportional to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oil pipe, so the blowing speed can be controlled by adjusting the inflow and outflow area ratio. Accordingly, the diameter of the basic blowing hole must be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air bubble to be generated, and the flow resistance and the blowing pressure are It is good to make small.

유동저항이나 분출압을 낮게 하려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로의 단면변화가 완만한 축소-확대 노즐 형상이 유리하다. 즉, 상기 공기방울 발생판(100)은 내측에 형성한 제 1 분출공(250) 및 외측에 형성한 제 2 분출공(350)을 갖는다.In order to lower the flow resistance or the ejection pressure, a reduction-expansion nozzle shape having a gentle cross-sectional change of the flow path is advantageous as shown in FIG. That is, the air bubble generating plate 100 has a first blow hole 250 formed in the inner side and the second blow hole 350 formed in the outer side.

상기한 제 1 분출공(250) 및 제 2 분출공(350)은 각각 유입구의 직경이 유출구의 직경보다 크고 단면변화가 완만한 축소-확대 노즐형상으로, 상기한 제 1 분출공(250)의 유입구는 상기 제 2 분출공(350)의 유입구보다 단면적이 넓고, 제 1 분출공(250)의 유출구는 상기 제 2 분출공(350)의 유출구보다 단면적이 넓다.Each of the first jet hole 250 and the second jet hole 350 has a reduction-enlargement nozzle shape in which the diameter of the inlet is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outlet and the cross-sectional change is gentle. The inlet has a wider cross-sectional area than the inlet of the second spout 350, and the outlet of the first spout 250 has a larger cross-sectional area than the outlet of the second spout 350.

그러나 저속 유체의 흐름에서는 유출구가 지나치게 확대되면 유체가 팽창되거나 후속유체의 연속적인 공급에 의해 공기 덩어리가 커질 가능성이 있으므로 적절한 확대가 필요하다.In low velocity flows, however, an excessive enlargement of the outlet is likely to cause the fluid to expand or a large mass of air due to subsequent supply of subsequent fluid, so proper expansion is necessary.

상기한 제한사항에 따르면, 축소-확대 노즐 형상의 분출공이 필요하다. 그러나, 이러한 형태의 노즐은 실제 가공하기 힘든 형상이므로 분출공은 단을 두어 그 형상에 근접하도록 형성한다. 이러한 실시예가 도 5내지 도 7에 도시되어 있다.According to the above limitations, a blowhole having a shrink-expanded nozzle shape is required. However, since this type of nozzle is a shape that is difficult to be processed in practice, the ejection hole is formed to have a step to be close to the shape. Such an embodiment is illustrated in FIGS. 5 to 7.

상기한 공기방울 발생판(100)은 내측 분출공들(200) 및 외측 분출공들(300)로 구성되며, 상기 각 내측 분출공(200)은 제 1 유압부(I1), 제 1 응축부(C1), 및 제 1 유출부(O1)로 구성된다.The air bubble generating plate 100 is composed of the inner blower holes 200 and the outer blower holes 300, each of the inner blower holes 200 is the first hydraulic unit (I1), the first condensing unit (C1) and the first outlet portion O1.

상기한 제 1 유입부(I1), 상기 제 1 응축부(C1), 및 상기 제 1 유출부(O1)는 차례로 동축상에 형성되는데, 제 1 유압부(I1)는 그 직경이 D11이고, 그 높이는 H11인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The first inlet portion I1, the first condensation portion C1, and the first outlet portion O1 are sequentially formed coaxially, and the first hydraulic portion I1 has a diameter of D11, The height is formed in the cylindrical shape which is H11.

상기한 제 1 응축부(C1)와 연결되는 상기 제 1 유입부(I1)의 일 개구는 상기 제 1 응축부(C1)와 동일한 직경을 가진다.One opening of the first inlet part I1 connected to the first condensation part C1 has the same diameter as the first condensation part C1.

상기한 제 1 응축부(C1)는 그 직경이 D12이고, 그 높이는 H12인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 1 응축부(C1)와 연결되는 상기 제 1 유출부(O1)의 일개구는 상기 제 1 응축부(C1)와 동일한 직경을 가진다.The first condensation unit C1 has a cylindrical shape having a diameter of D12 and a height of H12, and one opening of the first outlet portion O1 connected to the first condensation unit C1 is It has the same diameter as the first condensation unit (C1).

상기한 제 1 유출부(O1)는 그 직경이 D13이고, 그 높이는 H13인 원통 형상을 가지며, 상기한 제 1 유출부(O1)의 높이(H13)는 상기 제 1 응축부(C1)의 높이(H12)보다 높고, 상기 제 1 유입부(I1)의 높이(H11) 보다 낮다.The first outlet portion O1 has a cylindrical shape having a diameter of D13 and a height of H13, and the height H13 of the first outlet portion O1 is the height of the first condensation portion C1. It is higher than (H12) and lower than the height (H11) of the first inlet (I1).

상기한 제 1 유출부(O1)의 직경(D13)은 제 1 응축부(C1)의 직경(D12)보다 크고, 상기 제 1 유입부(I1)의 직경(D11)보다 작다.The diameter D13 of the first outlet portion O1 is larger than the diameter D12 of the first condensation portion C1 and smaller than the diameter D11 of the first inlet portion I1.

또한, 상기 각 외측 분출공(300)은 제 2 유입부(I2), 제 2 응축부(C2), 및 제 2 유출부(O2)로 구성되며, 상기한 제 2 유입부(I2), 상기 제 2 응축부(C2), 및 상기 제 2 유출부(O2)는 차례로 동축상에 형성된다.In addition, each of the outside blow holes 300 includes a second inlet part I2, a second condensation part C2, and a second outlet part O2. The second condensation part C2 and the second outlet part O2 are sequentially formed coaxially.

상기한 제 2 유입부(I2)는 그 직경이 D21이고, 그 높이는 H21인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한 제 2 응축부(C2)와 연결되는 상기 제 2 유입부(I2)의 일 개구는 상기 제 2 응축부(C2)와 동일한 직경을 가진다.The second inlet part I2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having a diameter of D21 and a height of H21, and one opening of the second inlet part I2 connected to the second condensation part C2 is It has the same diameter as the second condensation unit (C2).

계속해서 상기한 제 2 응축부(C2)는 그 직경이 D22이고, 그 높이는 H22인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한 제 2 응축부(C2)와 연결되는 상기 제 2 유출부(O2)의 일 개구는 제 2 응축부(C2)와 동일한 직경을 가진다.Subsequently, the second condensation part C2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having a diameter of D22 and a height of H22, and the second outlet part O2 connected to the second condensation part C2. The opening has the same diameter as the second condensation part C2.

또한, 상기한 제 2 유출부(O2)는 그 직경이 D23이고, 그 높이는 H23인 원통 형상을 가지며, 상기한 제 2 유출부(O2)의 높이(H23)는 상기 제 2 응축부(C2)의 높이(H22) 보다 높고, 상기 제 2 유입부(I2)의 높이(H21) 보다 낮다.In addition, the second outlet portion O2 has a cylindrical shape whose diameter is D23, and its height is H23, and the height H23 of the second outlet portion O2 is the second condensation portion C2. Is higher than the height H22 and lower than the height H21 of the second inlet portion I2.

상기한 제 2 유출부(O2)의 직경(D23)은 제 2 응축부(C2)의 직경(D22)보다 크고, 제 2 유입부(I2)의 직경(D21)보다 작다.The diameter D23 of the second outlet portion O2 is larger than the diameter D22 of the second condensation portion C2 and smaller than the diameter D21 of the second inlet portion I2.

여기서 상기한 내측 분출공(200)과 상기 외측 분출공(300)을 비교하면, 상기 제 1 유입부(I1)의 높이는 상기 제 2 유입부(I2)의 높이와 동일하며, 상기 제 1 유입부(I1)의 직경(D11)은 상기 제 2 유입부(I2)의 직경(D21)보다 크다.Here, when comparing the inner ejection hole 200 and the outer ejection hole 300, the height of the first inlet (I1) is the same as the height of the second inlet (I2), the first inlet The diameter D11 of I1 is larger than the diameter D21 of the second inlet I2.

또한, 상기한 제 1 응축부(C1)의 높이는 상기 제 2 응축부(C2)의 높이와 동일하며, 상기 제 1 응축부(C1)의 직경(D12)은 상기 제 2 응축부(C2)의 직경(D22)보다 크다.In addition, the height of the first condensation unit (C1) is the same as the height of the second condensation unit (C2), the diameter (D12) of the first condensation unit (C1) of the second condensation unit (C2) It is larger than diameter D22.

상기한 제 1 유출부(O1)의 높이는 상기 제 2 유출부(O2)의 높이와 동일하며, 제 1 유출부(O1)의 직경(D13)은 제 2 유출부(O2)의 직경(D23)보다 크다.The height of the first outlet O1 is equal to the height of the second outlet O2, and the diameter D13 of the first outlet O1 is the diameter D23 of the second outlet O2. Greater than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발생시키고자 하는 공기방울의 직경을 1-2㎜로 가정하고, 공기방울 발생장치의 두께는 1.5㎜로 가정하였다.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assumed that the diameter of the bubble to be generated is 1-2mm, the thickness of the bubble generator is assumed to be 1.5mm.

이때, 필요한 분출공 직경은 0.6-0.8㎜이며, 상기 조건에 따라 상기 제 1 유입부(I1) 및 상기 제 2 유입부(I2)의 높이는 동일하게 0.7㎜이다.At this time, the required blow hole diameter is 0.6-0.8 mm, and the height of the said 1st inflow part I1 and the said 2nd inflow part I2 is 0.7 mm according to the said conditions.

상기한 제 1 유입부(I1)의 직경(D11)은 1.6㎜이고, 상기 제 2 유입부(I2)의 직경(D21)은 1.4㎜이다.The diameter D11 of the first inlet I1 is 1.6 mm, and the diameter D21 of the second inlet I2 is 1.4 mm.

상기한 제 1 응축부(C1) 및 상기 제 2 응축부(C2)의 높이는 동일하게 0.5㎜이고, 제 1 응축부(C1)의 직경(D12)은 0.8㎜이며, 상기 제 2 응축부(C2)의 직경(D22)은 0.6㎜이다.The height of the first condensation unit C1 and the second condensation unit C2 is equal to 0.5 mm, the diameter D12 of the first condensation unit C1 is 0.8 mm, and the second condensation unit C2 ), The diameter D22 is 0.6 mm.

또한, 상기한 제 1 유출부(O1) 및 상기 제 2 유출부(O2)의 높이는 동일하게 0.3㎜이고, 제 1 유출부(O1)의 직경(D13)은 1.2㎜이며, 상기 제 2 유출부(O2)의 직경(D23)은 1㎜이다.In addition, the height of the first outlet portion O1 and the second outlet portion O2 is equal to 0.3 mm, the diameter D13 of the first outlet portion O1 is 1.2 mm, and the second outlet portion is The diameter D23 of (O2) is 1 mm.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공기방울 발생장치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air bubble gen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effects can be obtained.

첫째, 분출공의 형상이 축소-확대 노즐 형상이므로 유동저항이나 분출압이 낮다.First, since the blowhole has a shrink-expanded nozzle shape, the flow resistance or the blowout pressure is low.

둘째, 직경이 작은 응축부의 길이는 상기 공기방울 발생장치의 두께에 비하여 매우 작으므로 유막 형성을 방지하여 공기가 잘 빠져나간다.Second, since the diameter of the small condensation part is very small compared with the thickness of the air bubble generator, air is easily escaped by preventing the formation of an oil film.

셋째, 상기 분출공은 직경이 작은 응축부를 가지므로 미세한 공기방울을 생성할 수 있다.Third, since the blow holes have a small condensation part, they may generate fine air bubbles.

넷째, 상기 외측 분출공의 직경이 상기 내측 분출공의 직경보다 작게 설계되어 있으므로 상기 공기방울 발생판의 외측에서의 공기방울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공기방울 발생기 내측에서 발생되는 공기방울의 양을 증가시킬 수 있다.Fourth, since the diameter of the outside blow hole is designed to be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inside blow hole,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generation of air bubbles on the outside of the air bubble generating plate. Accordingly, the amount of bubbles generated inside the bubble generator can be increased.

다섯째, 저수조에 공기방울이 유입되는 확률이 높아진다. 그에 따라 세탁효율이 향상된다.Fifth, the probability of introducing air bubbles into the reservoir increases. Accordingly, the washing efficiency is improved.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상기한 실시예를 들어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고, 당업자의 통상의 지식의 범위 내에서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하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odifications and improvement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ordinary knowledge of those skilled in the art.

Claims (4)

유입된 압축공기로부터 공기방울들을 발생시키고 상기 발생된 공기방울들을 세탁조 안의 세탁수에 분출하는 공기방울 발생장치에 있어서,In the air bubble generator for generating air bubbles from the compressed air flows into the washing water in the washing tank, 상기 공기방울 발생장치는 축소-확대 노즐 형상을 갖는 다수의 분출공이 형성된 공기방울 발생판을 포함하되, 상기 분출공은 공기방울 발생판의 바깥부분에 설치되는 외측 분출공 및 상기 공기방울 발생판의 안쪽에 설치되는 내측 분출공으로 구성하고, 상기 각 외측 분출공의 직경은 내측 분출공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소-확대 노즐 형상의 분출공들을 가지는 공기방울 발생장치.The air bubble generator includes an air bubble generating plate having a plurality of blow holes having a shrink-expanded nozzle shape, wherein the air blow holes are formed on an outer portion of the air bubble generating plate and the air bubble generating plate. Containing the inner blower is installed in the inner side, the diameter of each of the outer blower is a bubble generator having a narrowing-expanded nozzle-shaped blower,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inner blowe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출공은 압축공기를 모르는 원통형상의 유입부;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lowing hole is a cylindrical inlet portion that does not know compressed air; 상기 유입부에 연결되어 모아진 공기를 응축하는 원통형상의 응축부; 및A cylindrical condenser connected to the inlet to condense the collected air; And 상기 응축부에 연결되어 상기 응축된 공기를 분출하는 원통형상의 유출부를 동축상에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소-확대 노즐 형상의 분출공들을 가지는 공기방울 발생장치.And a blow-out nozzle in the form of a reduction-enlargement nozzle, characterized in that a cylindrical outlet connected to the condenser to eject the condensed air is formed coaxially.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유출부는, 유입부보다 작고, 응축부보다 큰 직경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축소-확대 노즐 형상의 분출공들을 가지는 공기방울 발생장치.The air bubble generator of claim 2, wherein the outlet portion has a diameter smaller than that of the inlet portion and larger than that of the condensation portion.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부는, 유출부보다 길고, 유입부보다 짧은 길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방울 발생장치.The air bubble generator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condensation unit has a length longer than that of the outlet portion and shorter than the inlet portion.
KR1019980053873A 1998-12-09 1998-12-09 Air bubble generator with blow-down nozzles KR10030239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3873A KR100302391B1 (en) 1998-12-09 1998-12-09 Air bubble generator with blow-down nozzl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3873A KR100302391B1 (en) 1998-12-09 1998-12-09 Air bubble generator with blow-down nozzl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8770A KR20000038770A (en) 2000-07-05
KR100302391B1 true KR100302391B1 (en) 2001-11-22

Family

ID=195619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53873A KR100302391B1 (en) 1998-12-09 1998-12-09 Air bubble generator with blow-down nozzl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02391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88222B2 (en) 2017-09-29 2023-10-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Bubble generator and washing machine having the sam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88222B2 (en) 2017-09-29 2023-10-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Bubble generator and washing machine hav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8770A (en) 2000-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43751B1 (en) Immersion type apparatus for processing substrates
JP3734969B2 (en) Bubble generator with jet nozzles with medium and fine nozzles
KR0138704B1 (en) Detergent melting apparatus of a washing machine
KR0135677B1 (en) A detergent melting apparatus
US5287878A (en) Free float steam trap
KR100302391B1 (en) Air bubble generator with blow-down nozzles
US5868905A (en) Paper-making machine including a deaerator for a fiber suspension
JP2011504803A (en) Deaerator
BRPI0902021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verting a scrubber spray to a desired location in a cleaning apparatus
US4276059A (en) Deaerator for pulp stock
US6630014B1 (en) Mist eliminator
JP3043315B2 (en) Bubble generator
JP2015100428A (en) Washing machine
JPH11239694A (en) Drain valve device of washing machine
KR100441097B1 (en) Foam outlet protecting structure of drum washer
KR200161002Y1 (en) The tub guide filter of a washing machine
US11377794B2 (en) Pulp washer mist eliminator and foam remover system
KR200240557Y1 (en) Air Bubble Disperser of Air Bubble Washer_
JP2003285049A (en) Deaerator
KR100287322B1 (en) Air bubble generator of drum type washing machine
KR100293871B1 (en) Pulsator in washing machine
JPH06198110A (en) Gas-liquid separator
KR200244391Y1 (en) Air bubble generator of drum washing machine
SU1761194A1 (en) Degassing device
KR100280921B1 (en) Pulsator in washing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0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1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