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02272B1 - 가스보일러에서 이상운전에 따른 재운전방법 - Google Patents
가스보일러에서 이상운전에 따른 재운전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302272B1 KR100302272B1 KR1019990017245A KR19990017245A KR100302272B1 KR 100302272 B1 KR100302272 B1 KR 100302272B1 KR 1019990017245 A KR1019990017245 A KR 1019990017245A KR 19990017245 A KR19990017245 A KR 19990017245A KR 100302272 B1 KR100302272 B1 KR 10030227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urning
- ignition
- solenoid valve
- abnormal operation
- predetermined number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3
- 230000002159 abnorm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1
- 238000002485 combustion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
- 238000010926 purge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8
- 230000009118 appropriate response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7
- 239000007789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4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1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8236 heating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021 overhe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467 substitu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399 tap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679 tap water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44 upstream manufactu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12 waste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2—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2D29/14—Covers for manholes or the like; Frames for covers
- E02D29/1427—Lock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gulation And Control Of Combus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스보일러의 이상운전을 각 상태별로 판단하여 그 판단에 절적한 대응을 수행함으로서 시스템의 이상운전을 방지하고, 보다 효과적인 보일러의 운전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가스보일러에서는 발생할 수 있는 여러가지 이상운전에 대해 그 원인을 확실히 분석하지 않으며, 또한 그 대응도 단순히 재동작시킨 후에 이상운전이 여전히 남아있으면 에러로 처리함으로서 보일러의 신뢰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의 가스보일러에서 이상운전에 따른 재운전방법은 시스템이 온되어 각 구성품들에 대한 프리퍼지를 수행하는 제1단계; 상기 프리퍼지 수행 중 스파크플러그(15)를 작동시킨 후 프레임로드(16)가 온되지 않으면 점화에러에 의한 시스템 재운전을 수행하는 제2단계; 상기 프리퍼지를 수행한 후 정상연소를 하다가 회전수가 급격히 증가한 경우 배기폐쇄로 판단하여 시스템 재운전을 수행하는 제3단계; 상기 배기폐쇄로 판단되지 않으면 프레임로드(16)가 오프상태를 검지하는 제4단계; 및 상기 프레임로드(16)가 온상태이면 정상연소를 수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도중실화에 의한 시스템 재운전을 수행하는 제5단계가 순차적으로 수행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가스보일러에서 이상운전에 따른 재운전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가스보일러의 이상운전을 각 상태별로 판단하여 그 판단에 절적한 대응을 수행함으로서 시스템의 이상운전을 방지하고, 보다 효과적인 보일러의 운전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가스보일러는 스파크플러그가 작동되고 제1전자밸브와제2전자밸브(51)가 온된후 프레임로드(16)가 온되지 않으면 정상운행 중 도중실화로 판단하여 다시 점화시켰다.
그러나 가스보일러에서 발생할 수 있는 여러가지 이상운전에 대해 그 원인을 확실히 분석하지 않으며, 또한 그 대응도 단순히 재동작시킨 후에 이상운전이 여전히 남아있으면 에러로 처리함으로서 보일러의 신뢰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이 동작되는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주 목적은 가스보일러의 이상운전에 대한 판단을 면밀히 하고 그에 대한 대응작동을 적절히 하여 가스보일러의 신뢰성을 높이도록 한 가스보일러에서 이상운전에 따른 재운전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가스보일러 전체 시스템을 나타낸 개략구성도,
도 2a 및 2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상운전에 대한
재운전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3: 배기팬 15: 스파크플러그
16: 프레임로드(16) 51: 제1전자밸브
52: 제2전자밸브(51)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을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가스보일러(1)를 나타낸 것으로서, 상기 가스보일러(1)의 케이싱(Casing, 2)안에 설치되어 난방이나 급탕을 위한 온수를 데우기 위해 가스를 연소시키는 연소기(10)와, 난방순환수에 물을 보충하기 위한 물탱크(20)와, 외부로부터 들어온 직수를 급탕수로 데어기 위해 이미 가열된 난방수와 서로 다른 경로를 지나 열을 교환하는 2차 열교환기(30)를 상호 결합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연소기(10)의 케이싱(11)내에 다수개의 버너로 이루어진 버너군(12)이 형성되고, 그의 상측방향에는 과열을 방지시키기 위한 1차 열교환기(14)가 설치되어 그곳을 통과하는 물을 상기 버너군(12)이 가열하게 되며, 상기 연소기케이싱(11)의 바닥면에는 연소용 공기를 공급하는 팬(13)이 설치되고 상기 버너군(12)의 근방에는 버너군(12)을 점화하는 스파크플러그(Spark Plug, 15)와 상기 버너군의 착화를 감지하는 프레임로드(16)(Flame Rod, 16)가 설치되며, 상기 연소기케이싱(11)의 상면에는 폐가스를 배출시키기 위한 배기부(18)가 상기 가스보일러(1)의 케이시(2)을 뚫고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버너군(12)의 하방에는 가스를 공급시키기 위한 가스관(50)이 설치되는데, 여기에는 통전시 가스를 통과시키는 2개의 전자밸브(51, 52)와 가스공급량을 조절하기 위한 비례밸브(53)가 가스공급의 경로에 대하여 가스관(50)의 상류로부터 설치되어진다.
한편, 상기 물탱크(20)에는 물탱크내의 수량을 검지하기 위한 고수위검지센서(21)와 넘치는 물을 배출시키기 위한 오버플로우관(Overflow Pipe, 22), 관로에 물이 비었는지 또는 차있는지를 감지하는 저수위검지센서(32), 온돌바닥을 회전한 난방수를 회수하는 기수분리기(23)가 설치된 난방환수관(24) 및 상기 1차 열교환기(14)에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관(25)에는 물의 순환을 조정하기 위한 순환펌프(26)가 아래방향에 설치되어진다.
그리고, 상기 1차 열교환기(14)로부터 열교환되어 나가는 난방출탕수의 온도를 검지하는 써미스터1(Thermistor1, TH1) 및 상기 1차 열교환기(14)으로 열교환되기 위해 들어가는 난방환수의 온도를 검지하는 써미스터2(Thermistor2, TH2)가 부착되어 각 난방축탕수와 난방환수의 온도를 측정하며, 가스보일러의 외부로부터 찬물을 유입시 수류의 유무를 검지하는 수류스위치(Flow Swith: FLS, 33) 및 직수온도에 따른 일정수량을 통과시켜 안정된 온도특성을 얻을 수 있도록 하는 기계적 자동수량제어장치가 설치된 직수유입관(34) 및 상기 물공급관(25)은 삼방밸브(36)를 통하여 난방을 위한 물이 통과되는 난방온수공급관(37)에 연결되어진다.
또한, 상기 난방환수관(24)과 직수유입관(34) 사이에는 상기 물탱크(20)에 물이 부족할 때 물을 보충해주기 위한 수도물보급밸브(35)가 설치되고 난방필터의 막힘, 난방분배기의 막힘 및 난방분배관이 막혀있을 때 가스보일러(1)의 내부폐회로를 만들어 순환시키기 위한 바이패스관(By-pass Pipe, 38)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가스보일러에서 이상운전에 따른 재운전방법은 시스템이 온되어 각 구성품들에 대한 프리퍼지를 수행하는 제1단계; 상기 프리퍼지 수행 중 스파크플러그를 작동시킨 후 프레임로드(16)가 온되지 않으면 점화에러에 의한 시스템 재운전을 수행하는 제2단계; 상기 프리퍼지를 수행한 후 정상연소를 하다가 회전수가 급격히 증가한 경우 배기폐쇄로 판단하여 시스템 재운전을 수행하는 제3단계; 상기 배기폐쇄로 판단되지 않으면 프레임로드(16)가 오프상태를 검지하는 제4단계; 및 상기 프레임로드(16)가 온상태이면 정상연소를 수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도중실화에 의한 시스템 재운전을 수행하는 제5단계가 순차적으로 수행하도록 구성하되,
상기 점화에러에 의해 시스템 재운전을 수행하는 제2단계는
점화에러에 대한 1회를 카운트하는 단계; 프리퍼지를 재수행하는 단계; 제1전자밸브를 온시키고 응답신호(Answer Signal)로 확인하는 단계; 상기 확인이 되면 제2전자밸브(51)를 온시키고 응답신호(Answer Signal)로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2전자밸브(51)의 온이 확인되면 스파크플러그(15)를 온시키는 단계; 상기 스파크플러그를 온시킨 후 프레임로드(16)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확인결과 점화가 확인되면 점화에러에 대한 카운트를 클리어하고 정상연소를 수행하고, 점화가 확인되지 않으면 점화에러에 대한 카운트를 더하는 단계; 및 상기 카운트된 횟수가 소정의 횟수(A)와 일치하는지를 판단하는여 일치하면 에러모드를 수행하고, 상기 소정의 횟수(A) 미만이면 상기 프리퍼지를 재수행하는 단계부터 다시 순차적으로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배기폐쇄에 의해 시스템 재운전을 수행하는 제3단계는
배기폐쇄에 대한 1회를 카운트하는 단계; 프리퍼지를 재수행하는 단계; 제1전자밸브를 온시키고 응답신호(Answer Signal)로 확인하는 단계; 상기 확인이 되면 제2전자밸브(51)를 온시키고 응답신호(Answer Signal)로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2전자밸브(51)의 온이 확인되면 스파크플러그(15)를 온시키는 단계; 상기 스파크플러그를 온시킨 후 프레임로드(16)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확인결과 점화가 확인되면 배기폐쇄에 대한 카운트를 클리어하고 정상연소를 수행하고, 점화가 확인되지 않으면 배기폐쇄에 대한 카운트를 더하는 단계; 및 상기 카운트된 횟수가 소정의 횟수(B)와 일치하는지를 판단하는여 일치하면 에러모드를 수행하고, 상기 소정의 횟수(B)에 미만이면 상기 프리퍼지를 재수행하는 단계부터 다시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도중실화에 의해 시스템 재운전을 수행하는 제5단계는
도중실화에 대한 1회를 카운트하는 단계; 프리퍼지를 재수행하는 단계; 제1전자밸브를 온시키고 응답신호(Answer Signal)로 확인하는 단계; 상기 확인이 되면 제2전자밸브(51)를 온시키고 응답신호(Answer Signal)로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2전자밸브(51)의 온이 확인되면 스파크플러그(15)를 온시키는 단계; 상기 스파크플러그를 온시킨 후 프레임로드(16)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확인결과 점화가 확인되면 도중실화에 대한 카운트를 클리어하고 정상연소를 수행하고, 점화가 확인되지 않으면 도중실화에 대한 카운트를 더하는 단계; 및 상기 카운트된 횟수가 소정의 횟수와 일치하는지를 판단하는여 일치하면 에러모드를 수행하고, 상기 소정의 횟수(C)에 미만이면 상기 프리퍼지를 재수행하는 단계부터 다시 순차적으로 수행하는 단계를 구성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횟수(A)는 3이며, 상기 소정의 횟수(B)는 6이며, 소정의 횟수(C)는 19회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취할 수 있으며 하기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a와 2b는본 발명의 전체적인 동작흐름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우선, 사용자가 전원스위치를 눌러 시스템을 온시키고(S2), 이미 마이컴에 입력된 프로그램대로 각 구성품들에 대한 프리퍼지를 수행한다(S4).
상기 프리퍼지를 수행하던 중(S4)에 스파크플러그(15)를 작동시킨 후에도 프레임로드(16)(16)가 온되지 않으면(S10) 점화에러에 의한 시스템 재운전을 수행한다.
즉, 점화에러에 대한 1회를 카운트하고(S12), 프리퍼지를 재수행한 후(S14) 제1전자밸브(51)를 온시키고(S16) 응답신호(Answer Signal)로 확인한다(S18). 상기 제1전바밸브의 동작이 확인이 되면 제2전자밸브(51)(51)를 온시키고(S20) 응답신호(Answer Signal)로 다시 확인한다(S22). 상기 제2전자밸브(51)(51)의 동작에 대한 응답신호가 온으로 확인되면 스파크플러그(15)를 온시키고(S24) 프레임로드(16)(16)를 확인한다(S26).
그래서 점화가 확인되면 점화에러에 대한 카운트를 클리어하고(S27) 정상연소를 수행하고(S30), 점화가 확인되지 않으면 점화에러에 대한 카운트를 하나 더한 후 상기 카운트된 횟수가 소정의 횟수(A)와 일치하는지를 판단하는여 일치하면 에러모드를 수행하고, 상기 소정의 횟수(A) 미만이면 상기 프리퍼지를 재수행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이 소정의 횟수(A)는 3으로 하여 4번부터는 에러모드로 인식하여 사용자에게 알린다.
상기 프리퍼지를 수행한 후 정상연소를 하다가 회전수가 급격히 증가(일반 팬회전수의 1.15배)한 경우 가스보일러의 마이컴은 배기폐쇄로 판단하여(S32) 시스템 재운전을 수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프레임로드(16)(16)가 오프상태를 검지하여(S34) 도중실화에 대한 시스템이상을 판단하다.
상기 프레임로드(16)(16)가 온상태이면 정상연소를 수행하고(S30), 그렇지 않으면 도중실화에 의한 시스템 재운전을 수행한다.
한편, 상기 배기폐쇄에 의해 시스템 재운전을 수행해야 한다는 판단이 있을 경우에는 배기폐쇄에 대한 1회를 카운트하고(S36), 프리퍼지를 재수행한(36) 후 제1전자밸브(51)를 온시키고(S40) 응답신호(Answer Signal)로 확인한다(S42).
상기 제1전자밸브(51)의 동작이 확인이 되면 같은 과정으로 제2전자밸브(51)를 온시키고(S44) 응답신호(Answer Signal)로 확인한다(S46).
상기 제2전자밸브(51)의 온이 확인되면 스파크플러그(15)를 온시키고(S48), 상기 스파크플러그(15)를 온시킨 후 프레임로드(16)(16)를 확인한 후(S50) 상기 확인결과 점화가 확인되면 배기폐쇄에 대한 카운트를 클리어하고(S52), 정상연소를 수행한다(S30).
점화가 확인되지 않으면 배기폐쇄에 대한 카운트를 하나 더한 후(S54) 상기 카운트된 횟수가 소정의 횟수(B)와 일치하는지를 판단하는여 일치하면 에러모드를 수행하고, 상기 소정의 횟수(B)에 미만이면 S36단계부터 다시 수행한다.
한편, 상기 도중실화에 의해 시스템 재운전은 도중실화에 대한 1회를 카운트한 후(S58) 프리퍼지를 재수행하고(S60), 제1전자밸브(51)를 온시키고(S62) 응답신호(Answer Signal)로 확인한다(S64). 같은 순서로 상기 확인이 되면 제2전자밸브(51)를 온시키고(S66) 응답신호(Answer Signal)로 확인한다(S68).
상기 제2전자밸브(51)의 온이 확인되면 스파크플러그(15)를 온시킨 후(S70) 상프레임로드(16)(16)를 확인하여(S72) 점화가 확인되면 도중실화에 대한 카운트를 클리어하고(S73) 정상연소를 수행하고(S30), 점화가 확인되지 않으면 도중실화에 대한 카운트를 하나 더한다(S74).
상기 카운트된 횟수가 소정의 횟수와 일치하는지를 판단하는여 일치하면 에러모드를 수행하고(S8), 상기 소정의 횟수(C)에 미만이면 S60부터 다시 순차적으로 수행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최상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횟수에서 A는 3회, B는 6회이며, C는 19회로 설정하면 최대의 효과를 나타낸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가스보일러의 스파크플러그와 프레임로드 및 배기팬의 회전수 등을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이상운전에 대한 분석을 하고, 이에 대한 대응운전을 적절히 수행함으로서 보일러의 신뢰성을 극대화시키는 매우 유익한 발명임이 명백하다.
Claims (7)
- 시스템이 온되어 각 구성품들에 대한 프리퍼지를 수행하는 제1단계;상기 프리퍼지 수행 중 스파크플러그(15)를 작동시킨 후 프레임로드(16)가 온되지 않으면 점화에러에 의한 시스템 재운전을 수행하는 제2단계;상기 프리퍼지를 수행한 후 정상연소를 하다가 회전수가 급격히 증가한 경우 배기폐쇄로 판단하여 시스템 재운전을 수행하는 제3단계;상기 배기폐쇄로 판단되지 않으면 프레임로드(16)가 오프상태를 검지하는 제4단계; 및상기 프레임로드(16)가 온상태이면 정상연소를 수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도중실화에 의한 시스템 재운전을 수행하는 제5단계가 순차적으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보일러에서 이상운전에 따른 재운전방법.
- 청구항 1 에 있어서,상기 점화에러에 의해 시스템 재운전을 수행하는 제2단계는점화에러에 대한 1회를 카운트하는 단계;프리퍼지를 재수행하는 단계;제1전자밸브(51)를 온시키고 응답신호(Answer Signal)로 확인하는 단계;상기 확인이 되면 제2전자밸브(51)를 온시키고 응답신호(Answer Signal)로 확인하는 단계;상기 제2전자밸브(51)의 온이 확인되면 스파크플러그(15)를 온시키는 단계;상기 스파크플러그(15)를 온시킨 후 프레임로드(16)를 확인하는 단계;상기 확인결과 점화가 확인되면 점화에러에 대한 카운트를 클리어하고 정상연소를 수행하고, 점화가 확인되지 않으면 점화에러에 대한 카운트를 더하는 단계; 및상기 카운트된 횟수가 소정의 횟수(A)와 일치하는지를 판단하는여 일치하면 에러모드를 수행하고, 상기 소정의 횟수(A) 미만이면 상기 프리퍼지를 재수행하는 단계부터 다시 순차적으로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보일러에서 이상운전에 따른 재운전방법.
- 청구항 2 에 있어서,상기 소정의 횟수(A)는 3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보일러에서 이상운전에 따른 재운전방법.
- 청구항 1 에 있어서,상기 배기폐쇄에 의해 시스템 재운전을 수행하는 제3단계는배기폐쇄에 대한 1회를 카운트하는 단계;프리퍼지를 재수행하는 단계;제1전자밸브(51)를 온시키고 응답신호(Answer Signal)로 확인하는 단계;상기 확인이 되면 제2전자밸브(51)를 온시키고 응답신호(Answer Signal)로 확인하는 단계;상기 제2전자밸브(51)의 온이 확인되면 스파크플러그(15)를 온시키는 단계;상기 스파크플러그(15)를 온시킨 후 프레임로드(16)를 확인하는 단계;상기 확인결과 점화가 확인되면 배기폐쇄에 대한 카운트를 클리어하고 정상연소를 수행하고, 점화가 확인되지 않으면 배기폐쇄에 대한 카운트를 더하는 단계; 및상기 카운트된 횟수가 소정의 횟수(B)와 일치하는지를 판단하는여 일치하면 에러모드를 수행하고, 상기 소정의 횟수(B)에 미만이면 상기 프리퍼지를 재수행하는 단계부터 다시 수행하는 단계가 순차적으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보일러에서 이상운전에 따른 재운전방법.
- 청구항 4 에 있어서,상기 소정의 횟수(B)는 6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보일러에서 이상운전에 따른 재운전방법.
- 청구항 1 에 있어서,상기 도중실화에 의해 시스템 재운전을 수행하는 제5단계는도중실화에 대한 1회를 카운트하는 단계;프리퍼지를 재수행하는 단계;제1전자밸브(51)를 온시키고 응답신호(Answer Signal)로 확인하는 단계;상기 확인이 되면 제2전자밸브(51)를 온시키고 응답신호(Answer Signal)로 확인하는 단계;상기 제2전자밸브(51)의 온이 확인되면 스파크플러그(15)를 온시키는 단계;상기 스파크플러그(15)를 온시킨 후 프레임로드(16)를 확인하는 단계;상기 확인결과 점화가 확인되면 도중실화에 대한 카운트를 클리어하고 정상연소를 수행하고, 점화가 확인되지 않으면 도중실화에 대한 카운트를 더하는 단계; 및상기 카운트된 횟수가 소정의 횟수(C)와 일치하는지를 판단하는여 일치하면 에러모드를 수행하고, 상기 소정의 횟수(C)에 미만이면 상기 프리퍼지를 재수행하는 단계부터 다시 순차적으로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보일러에서 이상운전에 따른 재운전방법.
- 청구항 6 에 있어서,상기 소정의 횟수(C)는 19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보일러에서 이상운전에 따른 재운전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90017245A KR100302272B1 (ko) | 1999-05-13 | 1999-05-13 | 가스보일러에서 이상운전에 따른 재운전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90017245A KR100302272B1 (ko) | 1999-05-13 | 1999-05-13 | 가스보일러에서 이상운전에 따른 재운전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00073762A KR20000073762A (ko) | 2000-12-05 |
KR100302272B1 true KR100302272B1 (ko) | 2001-09-22 |
Family
ID=195854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90017245A KR100302272B1 (ko) | 1999-05-13 | 1999-05-13 | 가스보일러에서 이상운전에 따른 재운전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302272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88182B1 (ko) * | 2013-06-28 | 2015-01-30 |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 보일러의 초기 운전시 써미스터 오결선 검출방법 |
-
1999
- 1999-05-13 KR KR1019990017245A patent/KR100302272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00073762A (ko) | 2000-12-0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279885B1 (ko) | 순환유량 및 유속에 따른 가스보일러의 순환펌프제어 방법 | |
KR100302272B1 (ko) | 가스보일러에서 이상운전에 따른 재운전방법 | |
KR100294416B1 (ko) | 가스보일러의난방출탕수와난방환수의온도를이용한난방작동시연소제어방법 | |
KR102522032B1 (ko) | 보일러의 삼방변 고장 검출장치 및 방법 | |
KR100302273B1 (ko) | 가스보일러에서 드레인 현상을 억제하는 방법 | |
KR100294415B1 (ko) | 가스보일러의시스템상태에따른펌프제어방법 | |
KR100283257B1 (ko) | 가스보일러의 난방출탕수와 난방환수의 온도를 이용한 온수작동시 연소제어방법 | |
KR100302274B1 (ko) | 가스보일러에서 역풍을 검지하여 시스템을 제어하는 방법 | |
KR100283259B1 (ko) | 가스보일러의 온도감지센서 이상유무 판단방법 및 장치 | |
KR200188231Y1 (ko) | 가스보일러용 연소실커버의 화염확인창 고정구조 | |
KR100279884B1 (ko) | 가스보일러의 잔화안전 운전방법 | |
KR200191039Y1 (ko) | 가스보일러용 가열버너장치 | |
CN111306800A (zh) | 冷凝式壁挂炉、冷凝换热器及堵塞故障检测方法 | |
JP7564440B2 (ja) | 給湯装置 | |
KR100291491B1 (ko) | 가스보일러의 가스압저하에 따른 운전방법 | |
KR100254801B1 (ko) | 가스보일러의 팬회전수 제어방법 | |
KR100361149B1 (ko) | 콘덴싱 보일러의 응축수받이 수위제어장치 및 그 방법 | |
KR100245421B1 (ko) | 가스보일러의 착화방법 | |
KR100709581B1 (ko) | 보일러내 삼방밸브의 이상 감지방법 | |
KR100279883B1 (ko) | 가스보일러의 보온운전 제어방법 | |
KR100283264B1 (ko) | 가스보일러의 동결방지 운전방법 | |
KR0157001B1 (ko) | 가스보일러의 열교환기 비등음 방지방법 | |
KR200188228Y1 (ko) | 가스보일러용 순환펌프의 회전검지장치 | |
JPH11270900A (ja) | 湯張り機能付き強制循環式風呂釜 | |
KR960000677B1 (ko) | 엘피지(lpg) 가스보일러에서의 가스량부족시 연소제어방법 및 그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702 Year of fee payment: 13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627 Year of fee payment: 1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16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