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01903B1 - 전자레인지용할로겐히터커버 - Google Patents

전자레인지용할로겐히터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01903B1
KR100301903B1 KR1019970060245A KR19970060245A KR100301903B1 KR 100301903 B1 KR100301903 B1 KR 100301903B1 KR 1019970060245 A KR1019970060245 A KR 1019970060245A KR 19970060245 A KR19970060245 A KR 19970060245A KR 100301903 B1 KR100301903 B1 KR 1003019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light
cavity
halogen lamp
microwave ov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602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39975A (ko
Inventor
박용출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700602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01903B1/ko
Publication of KR199900399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99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19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19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7Aspects related to microwave heating combined with other heating techniques
    • H05B6/6482Aspects related to microwave heating combined with other heating techniques combined with radiant heating, e.g. infrared heat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lectric Ove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할로겐램프를 또 하나의 광원으로 이용하는 전자레인지에서 할로겐램프의 하부에 설치되는 램프 커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캐비티의 상면 또는 하면에는 커버가 설치되고, 상기 커버의 상측에 할로겐램프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커버에는 할로겐램프에서의 광이 캐비티 내부로 안내될 수 있는 복수개의 사각형 관통공이 격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관통공 사이에 위치하는 격벽부는, 수직상태로 절곡되어 성형되는 것에 의하여, 가능하면 커버의 두께와 동일한 크기를 가지도록 함으로써, 할로겐램프에서의 빚이 차단되는 광량을 최소로 한다.

Description

전자레인지용 할로겐히터 커버
본 발명은 할로겐램프가 장착된 전자레인지의 할로겐램프 커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할로겐램프에서의 빛은 캐비티 내부로 충분하게 입사되도록하고, 캐비티 내부로 공급되는 마이크로웨이브가 할로겐램프를 손상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할로겐램프 커버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전자레인지는, 전기를 이용하여 마이크로웨이브를 생성시키고, 이러한 마이크로웨이브가 조리 대상물에 침투하면서, 대상물 내부에서 분자운동을 일으키고, 이에 의하여 가열되는 방식의 조리장치이다. 이러한 전자레인지는 간단하게 가열을 수행할 수 있다는 장점, 예를 들어 언 상태의 식품을 녹이는 해동과정이나, 우유와 같은 식품을 소정 온도까지 가열하는 장치로써는 간단한 구성 및 사용상의 편리함으로 인하여 널리 보급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전자레인지는 가열방식에 기인하는 사용상의 단점과 자체의 출력의제한성 등에 의하여, 여러가지 대상물의 가열에 전부 적합하다고 할 수는 없다. 즉, 마이크로웨이브만을 가열원으로 사용하는 종래의 전자레인지는, 마이크로웨이브에 의한 가열방식의 단일성과, 그 출력에 일정한 한계가 있기 때문에, 신속하면서도 양질의 조리를 제공할 수 없는 문제점이 지적되는 것이다. 예를 들면 마이크로웨이브에 의한 가열시, 대상물은 내외부가 같이 가열되는 잇점이 있지만, 이러한 잇점은 조리 대상물에 따라서 상당한 단점으로 작용하게 되는 것이다. 후술하는 바와 같은 피자 조리시에는 마이크로웨이브에 의한 가열은 대상물의 성질상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전자레인지에 의한 가열시에는, 대상물의 수분을 너무 많이 빼았아 버리는 단점도 지적된다.
이러한 현재의 전자레인지에 대하여, 다른 열원을 같이 사용하는 다양한 형태의 전자레인지가 개발되어 상용화되기에 이르렀다. 예를 들면 전자레인지의 내부에, 마이크로웨이브와는 별도로, 또 하나의 열원이라고 할 수 있는 발열 히터를 장착하는 것에 의하여, 다양한 조리 대상물에 대하여 적합한 가열을 수행할 수 있는 전자레인지를 들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히터가 내장된 전자레인지에 있어서도, 상기와 같은 히터는 단순한 다른 하나의 열원으로만 작용하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다양한 기능을 가지고 있지는 못한 것이 사실이다. 예를 들어, 피자와 은 식품을 적절하게 조리하기 위해서는, 그 표면은 적절하게 가열되어 바삭바삭한 조리상태를 가져야 하며, 그 내부는 충분히 익으면서도 수분이 많이 빼았기지 않는 가열정도를 얻을 수 있어야 한다. 그러나 현재의 전자레인지로서는 이와 같은 조리 특성을 만족시키지 못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결론적으로, 종래의 마이크로웨이브에만 의한 가열시에는 마이크로웨이브에의한 단일방식의 가열이라는 가열방식의 제한성과, 출력상의 단점, 그리고 수분 증발에 의한 여러가지 단점이 지적되고 있으며, 별도의 발열히터를 내부에 설치하는 경우에도, 상술한 바와 같은 단점을 충분히 해결하지는 못하고 있다.
상술한 종래의 전자레인지와는 달리, 다른 하나의 가열장치로써, 광파만을 단일의 가열원으로 사용하는 가열장치가 제안되었다. 즉, 미합중국 특허 5,036,179호에 의하며, 가시광선과 적외선을 방출하는 램프를 이용하여 원하는 특정 요리에 적절하게 사용하는 대량 조리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미합중국 특허에 의하면, 방사에너지의 적어도 90%가 1㎛이하의 파장을 가지는 램프를 가열원으로 사용하되, 이러한 램프에서 방사되는 가시광선과 적외선을 적절하게 이용하는것에 의하여, 피자와 같은 특정 요리를 대량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보면, 적외선과 가시광선의 파장의 차이는, 대상물에 가해지는 상이한 파장에 의한 가열방식의 차이점으로 나타나게 되고, 이러한 차이점에 의하여 대상물의 외부와 내부는 다른 형태로 가열되고 있다. 이러한 광파 가열장치에 의하면, 피자의 경우를 예로 들면, 외부는 바삭바삭한 가열정도를 가지면서도, 내부는 충분하게 가열되고 소정의 습기를 함유한 상태로 부드럽게 가열되어 있는 조리상태를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상기 미합중국특허에 의한 가열장치는, 피자를 신속하게 대량으로 생산하기 위한 업소용 또는 산업용으로 밖에 이용할 수 없고, 특히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하는 기존의 전자레인지의 장점을 이용할 수 없는 사용상의 제한이 뒤따르고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광파, 구체적으로는 가시광선과 적외선을 동시에 방사하는 램프를 조리대상물을 가열하기 위한 가열원으로써 이용하기 위해서는, 적외선과 같이 가시광선을 충분히 강하게 제공할 수 있는 램프이어야만 하고, 이러한 램프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램프에서 발생하는 빛이 충분히 강해야 한다.
또한 마이크로웨이브에 의하여 상기 램프가 손상되지 않아야 한다. 상기 램프가, 공급되는 마이크로웨이브에 노출되면 램프의 유리관에 손상이 발생하게 되기때문에, 가능하면 마이크로웨이브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램프에서의 빛은 충분하게 캐비티 내부로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면서, 캐비티 내부의 마이크로웨이브가 상기 램프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필요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실제로 캐비티 내부에서 발광하는 할로겐램프의 빛은 상당히 밝은 것이기 때문에, 전자레인지 도어의 투시창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노출되면, 눈이 부시는 등 시각적 불편함을 야기시키기 때문에, 가능하면 도어의 투시창을 통해서는 보이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은, 일반적으로 가스오븐레인지의 상부에 설치되는 전자레인지인OTR(Over The Range)형 전자레인지의 캐비티어셈블리(1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가열하고자 하는 대상물을 캐비티(12)의 내부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마그네트론(도시생략)을 발진시키는 것에 의하여 상기 캐비티(12) 내부로 마이크로웨이브를 공급하게 된다. 상기 마그네트론은, 캐비티(12)의 일측 옆에 위치하는 전장실(18)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고, 마그네트론에서 발생되는 마이크로웨이브는, 직접 또는 마이크로웨이브 가이드를 통하여 상기 캐비티(12)의 내부로 공급된다. 본 발명에 의한 전자레인지는, 상기와 같은 마이크로웨이브 이외에 별도의 가열원으로서 소정의 파장을 구비하고 있는 램프를 사용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램프는, 예를 들어, 할로겐램프이며, 이러한 할로겐램프는, 가열을 위하여 요구되는 출력으로 가열할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은 비율의 가시광선 및 적외선을 방사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예시적인 것이다. 할로겐램프는, 출력의 많은 부분이 1㎛이내의 파장을 가지는 광파를 발생하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0.4 내지 0.7㎛의 파장을 가지는 가시광선을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가시광선과 적외선을 동시에 방사시키는 경우, 그러한 광파의 자체 성질, 예를 들면 가열대상물에 파장이 침투하는 정도에 따른 조건 등에 의하여 원하는 조리 상태를 얻을수 있게 된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피자의 경우를 예를 들면, 표면은 바삭바삭한 조리상태를, 그리고 내부는 부드럽게 완숙된 조리상태를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할로겐램프는, 도 1에서 캐비티(12)의 상면(16) 및 하면(14)에 선택적으로 장착될 수 있다. 물론 할로겐램프의 장착은, 요구되는 출력을 고려하여 그 갯수 및 각각의 출력을 포함하여 결정되어야 할 것이다.
도 2에는 캐비티(12)의 상면(16) 또는 하면(14)에 장착되는 할로겐램프(20)를 장착할 수 있는 일반적인 실시예를 보이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캐비티(12)의 상면(16) 또는 하면(14)에는 복수개의 할로겐램프(20)가 램프홀더(도시 생략)에 의하여 지지되고 있다. 상면(16) 또는 하면(14)에는, 할로겐램프(20)에서 발생하는 빛을 캐비티(12) 내부의 음식물에 조사시키기 위한 다수개의 관통공(22)이 성형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할로겐램프(20)의 이면에는, 할로겐램프(20)에서 발생하는 빛을 캐비티 내부로 반사시키기 위한 반사판(24)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관통공(22)어 성형되어 있는 커버(26)는, 캐비티상면(16)의 해당부분을 절개하여 할로겐램프(20)를 설치한 다음, 그 부분을 막도록 성형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이 일반적으로 생각될 수 있는 구조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지적된다. 상기 관통공(22)이 차지하는 면적은, 실제로 커버(26)의 면적에 비하여 충분하지 않다. 따라서 실제로 상기 할로겐램프(20)에서 발생하는 빛중에서, 상기 관통공(22)을 통하여 캐비티(12) 내부로 입사되는 양이 충분하지 않게 된다. 이는 할로겐램프(20)에서 발생하는 빛의 많은 부분이, 커버(26)의 막힌부분에 의하여 차단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렇게 차단되는 빛은 열에너지로 변화되어, 별도의 강력한 냉각장치를 요구하게 되는 등 단점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할로겐램프에서의 빛은 충분하게 캐비티 내부로 전달되고, 캐비티 내부로 공급되는 마이크로웨이브가 할로겐램프 측으로 공급되지 않도록 효율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할로겐램프 커버를 제공하는 것이다.
제1도는 일반적인 전자레인지의 캐비티 어셈블리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제2도는 할로겐램프를 전자레인지에 장착하기 위한 예시도.
제3도는 본 발명에 의한 커버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
제4도는 본 발명에 의한 커버의 부분 사시도.
제5도는 본 발명에 의한 커버의 평면도.
제6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커버의 부분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커버 12 : 관통공
14 : 격벽부 16 : 교차부
t : 커버의 두께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할로겐램프는, 전자레인지의 캐비티 내에 광을 조사하기 위한 발광램프와, 상기 발광램프에서의 광을 통과시키는 복수개의 관통공을 구비하고, 캐비티의 일측벽에 성형되는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관통공은 사각형상의 격자형으로 배열되고, 관통공을 형성하는 격벽부는 수직방향으로 형성되어, 커버의 두께에 해당하는 부분만이 상기 발광램프에서의 빛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발광램프(할로겐램프)에서 캐비티 내부로 조사되는 광량을 충분하게 확보할 수 있음과 동시에, 커버의 발열을 줄일 수 있고, 또한 할로겐램프가 직접 사용자의 눈에 띠지 않게 하여, 시각적 편의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관통공을 구비하는 커버는, 전자레인지 캐비티의 일측벽과 일체로 성형될 수도 있으며, 별도로 성형된 후에 일측벽에 부착하여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는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할로겐램프 커버(50) 만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시된 할로겐램프 커버(50)는, 별도의 금속성 플레이트를 사용하여 만들어진 뒤 캐비티의 상면 또는 하면에 부착되는 것도 가능하고, 캐비티의 상면 또는 하면과 일체로 만들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할로겐램프 커버(50)는 사각형의 격자형의관통공(52)을 가진다. 이와 같이 이러한 격자형 관통공(52)을 가지도록 구성하는 것에 의하여 할로겐램프에서의 빛이 충분하게 캐비티 내부로 공급될 수 있는 기본적인 구성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커버(50)는, 고온에서 견딜수 있는 금속성 플레이트로 성형되며, 상술한 바와 같이 캐비티의 상면 또는 저면과 일체로 성형하는 것도 가능하다.
별도의 금속성 플레이트로 성형하거나, 캐비티 상면(또는 저면)과 일체로 성형되더라도, 실질적으로 상술한 격자형 관통공(52)는 소정의 두께(t)를 가지는 판상의 재질로 성형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술한 격자형상의 관통공(52)은 금속성 플레이트에서 사각형의 구멍을 천공하는 것에 의하여 형성되는 것이고, 따라서 관통공(52) 사이의 부분은 원래의 금속성 플레이트에서 천공되지 아니한 부분으로 남게 된다. 그러나 이렇게 사각형의 관통공(52)을 천공한 후에 남는 잔여부분, 즉 격벽부분(54)이 원래의 플레이트와 동일한 평면을 가지고 있으면[즉, 관통공(52) 이의의 부분이 원래의 수평상태로 남아 있으면], 이러한 부분은 실제로 할로겐램프에서 발생하는 빛을 차단하게 되어, 충분한 광량을 캐비티 내부로 제공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관통공(52) 사이의 격벽부(54)를 다시 수직상태로 절곡하여, 격벽부(54)에 의하여 차단되는 할로겐램프의 빛이 최소가 될 수 있도록 구성한다. 도 4에 있어서, 각각의 관통공(52)의 사이 부분을 형성하는 격벽부(54)는, 수평상태에서 수직상태로 절곡하는 것에 의하여 실질적으로 수직상태로 배열되는 것이다. 이렇게 상기 격벽부(54)를 수직상태로 가공하는 경우, 각각의 격벽부(54)가 교차하는 교차부(56)를 완전하게 수직상태로 가공하는 것은 불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교차부(56)는 부분적으로 수평상태를 가지는 부분이 있을 수 있다. 그러나 가능하면 상기 격벽부(54) 및 교차부(56)는, 수직상태로 가공하는 것에 의하여, 할로겐램프에서의 빛을 차단하는 가로단면적을 줄이는 것이 바람직한 것은 사실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커버(50)의 평면도인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평면도 상에서 보았을 때, 상기 격벽부(54)는, 커버(50)를 구성하는 금속성 플레이트 자체가 가지는 두께(t)로 보이게 된다. 이러한 구성은 실질적으로 커버(50)를 통과하는, 즉 커버의 관통공(52)을 통과하는 빚의 양을 최대로 하고 있는 것임을 알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관통공(52)의 크기는, 가능하면 전자레인지에서 발생하는 마이크로웨이브가 침투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자레인지의 동작시 공급되는 마이크로웨이브가 상기 커버(50)를 통하여 많이 누설되게 되면, 이러한 마이크로웨이브는 할로겐램프의 표면(유리관)에 직접 닿게 되어 할로겐램프의 표면을 손상시키게 된다. 또한 램프 내부의 금속성 필라멘트의 예리한 부분에 접하게 되면 스파크가 발생하는 등 사용성이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마이크로웨이브가 상기 커버를 통하여 할로겐램프 측으로 들어가지 않도록 상기 관통공(52)의 크기를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관통공(52)을 통한 마이크로웨이브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는 크기에 대한 예시적인 것으로, 마이크로웨이브의 파장의 약반에 해당하는 5 내지 7mm,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6mm 내외로 설정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다른 실시예의 커버의 구성을 보이는 저면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한 커버(50a)의 관통공(52)은, 수직상태의 격벽부(54a)에 의하여 형성된다. 상술한 제1실시예는, 한장의 금속성 플레이트에서 사각형 관통공(52)을 형성한 뒤, 상기 관통공(52)을 구분하는 격벽부(54)를 수직상태로 벤딩하여 성형하였다. 따라서 각각의 격벽부(54)의 교차부(56)는 완전하게 수직상태로 되지 않고, 부분적으로 수평상태를 유지하는 부분으로 남아 있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각각의 관통공(52a)이 전체가 수직상태의 격자형 격벽부(54a)에 의하여 형성되는 것이어서, 실제로 상기 격벽부(54a)의 교차부분도 완전한 수직상태를 가지게 된다. 즉 격벽부(54a)가 소정의 두께(예를 들면 금속판재의 두께인 t)를 가지면서 완전하게 수직상태를 가질 수 있게 된다.
물론 본 실시예에 의한 상기 격벽부(54a)는, 별도의 금속성 플레이트를 이용하여 전체적으로 소정의 크기를 가지도록 미리 만들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한 커버(50a)는, 캐비티의 상면 또는 하면에 형성되어 커버(50a)를 장착할 수 있는 장착공에 설치하는 것에 의하여 완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커버(50,50a)는, 사각형의 격자형 관통공(52,52a)을 구비하도록 하고, 이러한 관통공(52,52a)을 구분하는 격벽부(54,54a)는 가능하면 수직상태로 구성하는 것에 의하여, 실질적으로 원재료 플레이트의 두께(t)에 해당하는 부분만이 수평방향의 면적을 가질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커버(50,50a)와 할로겐램프의 빛과는 다음과 같은 관계를 가지는 것이다.
격벽부(54,54a)를 수직으로 성형하는 것은 먼저 할로겐램프에서의 빛이 가장많이 캐비티 내부로 입사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즉, 격벽부(54,54a)를 수직으로 구성하는 것에 의하여, 실제로 할로겐램프의 빛이 상기 격벽부(54,54a)에 의하여 차단되는 광량은, 금속성 플레이트의 두께(t)에 해당하는 부분으로써, 실제로 빛 차단량이 가장 작게 된다. 따라서 할로겐램프에서의 빛을 가장 효율적으로 캐비티 내부로 입사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가열에 필요한 충분한 빛에너지를 얻을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커버(50,50a)에 의하여 차단되는 빛이 가장 작기 때문에, 커버에 조사되는 에너지가 최소화되고, 따라서 커버의 발열을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된다. 커버의 발열이 최소화 될 수 있다는 것은, 그 만큼 냉각을 위한 불필요한 에너지의 낭비를 줄일 수 있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에 의한 커버(50,50a)의 구성에 의하면, 수직방향으로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측면에서 보았을 경우(전자레인지의 도어의 투시창을 통하여 캐비티 내부를 보았을 경우), 발광원인 할로겐램프가 사용자에게 보이는 것을 가능한 한 가릴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가열원으로 할로겐램프(발광램프)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발생되는 광량이 많아야 하기 때문에, 실제로 사용자가 발광원을 보면 눈이 부시게 되는 등 시각적 장애가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한 구성에 의하면, 격벽부(54,54a)를 수직상태로 하는 것에 의하여 수직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가지게 되고, 따라서 측면에서는 가능한 범위내에서 사용자의 눈에 발광원이 직접 눈에 띄지 않도록 하고 있다. 예를 들어 조리중에 조리상태를 확인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도어의 투시창을 통하여 들여다 보는 경우, 할로겐램프가 직접 눈에 보이지 않도록 구성함으로써, 사용의 편의성을 높이고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기대된다.
먼저, 할로겐램프의 빛을 내부로 공급하기 위한 커버의 관통공을 가능한 범위 내에서 넓게 하고 있다. 따라서 할로겐램프에서의 빛은 가장 효율적으로 캐비티 내부로 입사될 수 있기 때문에, 가열의 효율성을 높이게 된다. 이러한 점은 실제로는 불필요한 전력의 낭비를 방지함과 동시에 신속하게 가열을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할로겐램프의 빛의 많은 양이 캐비티 내부로 입사된다고 하는 것은, 커버에 의하여 차단되는 빛이 최소화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커버에 의하여 차단되는 빛이 최소화된다는 것은, 커버에 가해지는 빛에너지를 최소로 한다는 것을 의미하고, 그 만큼 발열량이 줄어들기 때문에 냉각을 위한 불필요한 에너지의 낭비 및 구성의 복잡성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전자레인지 도어의 투시창을 통하여 내부를 보았을 경우에도, 가능하면 할로겐램프가 사용자에게 직접 보이지 않도록 구성하는 것에 의하여, 사용자의 시각적 편의성을 높이고 있다.

Claims (3)

  1. 전자레인지의 캐비티 내에 광을 조사하기 위한 발광램프와;
    상기 발광램프에서의 광을 통과시키는 복수개의 관통공을 구비하고, 캐비티의 일측벽에 성형되는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관통공은 사각형상의 격자형으로 배열되고, 관통공을 형성하는 격벽부는 수직방향으로 성형되어, 커버의 두께에 해당하는 부분만이 상기 발광램프에서의 빛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레인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공을 구비하는 커버는,
    전자레인지 캐비티의 일측벽과 일체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레인지.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부는 커버와 동일한 플레이트 상태에서, 수직방향으로 벤딩하여 성형되는 전자레인지.
KR1019970060245A 1997-11-15 1997-11-15 전자레인지용할로겐히터커버 KR1003019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0245A KR100301903B1 (ko) 1997-11-15 1997-11-15 전자레인지용할로겐히터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0245A KR100301903B1 (ko) 1997-11-15 1997-11-15 전자레인지용할로겐히터커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9975A KR19990039975A (ko) 1999-06-05
KR100301903B1 true KR100301903B1 (ko) 2001-11-22

Family

ID=375292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60245A KR100301903B1 (ko) 1997-11-15 1997-11-15 전자레인지용할로겐히터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0190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6748B1 (ko) * 2002-09-18 2005-08-05 임재강 전기 오븐기
KR100896311B1 (ko) * 2002-10-22 2009-05-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레인지의 그릴히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9975A (ko) 1999-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29543B1 (ko) 전자레인지의할로겐램프냉각구조
KR20010083892A (ko) 브라우닝 장치를 갖춘 극초단파 오븐
GB2152790A (en) Additional heating in microwave ovens
CN108369011A (zh) 食品处理设备
KR100288933B1 (ko) 광파히터를 사용하는 전자레인지의 히터커버
KR100301903B1 (ko) 전자레인지용할로겐히터커버
KR101222738B1 (ko) 전기 오븐
KR100293351B1 (ko) 전자레인지용 할로겐 히터의 반사구조
KR20000010884U (ko) 전자레인지의 할로겐히터 설치구조
KR200206430Y1 (ko) 적외선 발생 소자를 가진 전자렌지
KR101656526B1 (ko) 전기 오븐
KR20000009949A (ko) 상이한 파장의 가열원을 구비하는 전자레인지
KR19990038883A (ko) 전자레인지용 할로겐램프의 필라멘트구조
KR101650576B1 (ko) 전기 오븐
US8119955B2 (en) Device for preventing leakage of microwave for microwave oven
KR19990030582U (ko) 전자렌지용 히터의 고정 브라켓
KR100288924B1 (ko) 전자레인지용 할로겐 히터 단열구조
JPH0552355A (ja) 調理器
KR100396763B1 (ko) 전자레인지
KR20000003794U (ko) 전자레인지의 할로겐램프 냉각구조.
KR100662304B1 (ko) 전자 레인지
KR101705358B1 (ko) 전기 오븐
JP2001193936A (ja) 加熱調理器
KR100189129B1 (ko) 전자렌지의 도어와 이에 설치되는 차폐부재의 제조방법
KR20110089698A (ko) 전기 오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52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