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00538B1 - Tapered multi-layer lighting device - Google Patents

Tapered multi-layer lighting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00538B1
KR100300538B1 KR1019960705718A KR19960705718A KR100300538B1 KR 100300538 B1 KR100300538 B1 KR 100300538B1 KR 1019960705718 A KR1019960705718 A KR 1019960705718A KR 19960705718 A KR19960705718 A KR 19960705718A KR 100300538 B1 KR100300538 B1 KR 1003005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light
base layer
optical device
polarization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70571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롤랜드 윈스톤
로버트 엘 홀맨
벤자민 에이. 자콥슨
로버트 엠. 에몬스
Original Assignee
스프레이그 로버트 월터
미네소타 마이닝 앤드 매뉴팩춰링 캄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US08/226,016 external-priority patent/US5528720A/en
Application filed by 스프레이그 로버트 월터, 미네소타 마이닝 앤드 매뉴팩춰링 캄파니 filed Critical 스프레이그 로버트 월터
Priority claimed from PCT/US1995/004424 external-priority patent/WO1995027915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05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0538B1/en

Links

Landscapes

  • 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을 수광하여 선택적으로 출력 및 집중시키기 위한 광학 디바이스(10)에 관한 것이다. 웨지층(12)는 광굴절률이 n1이고, 상부(14), 하부(16) 및 측면(18)은 서로 교차하여 기울기 각도를 한정한다. 배면(20)은 상부(14) 및 하부(16)와 측면(18)에 걸쳐 있다. 제1층(28)은 층(12)의 하부면(16)에 결합되고 광굴절률은 n2이다. 제1층(28)의 광굴절률 n2은 광 입력(24)를 층(12)의 배면(20)을 통해 우선적으로 제1층(28) 내에 출력되게 한다. 제2층(30)은 제1층(28)의 하부(16)에 결합되고, 선택적으로 광을 주변에 출력한다. 편광층(216), 편광 변환층(226) 및 포스트 LCD 확산층(230)과 같은 추가 층들은 출력광의 시야를 향상시키기 위해 LCD 층을 통과한 편광 또는 확산광을 우선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The invention relates to an optical device 10 for receiving light and selectively outputting and concentrating light. The wedge layer 12 has an optical refractive index n 1 , and the upper portion 14, the lower portion 16, and the side surface 18 cross each other to define an inclination angle. The back side 20 spans the top 14 and bottom 16 and side 18. The first layer 28 is bonded to the bottom surface 16 of the layer 12 and has a refractive index of n 2 . The photorefractive index n 2 of the first layer 28 causes the light input 24 to be preferentially output into the first layer 28 via the back side 20 of the layer 12. The second layer 30 is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16 of the first layer 28 and optionally outputs light to the periphery. Additional layers such as polarizing layer 216, polarization converting layer 226 and post LCD diffusing layer 230 may be used to enable preferential use of polarized or diffused light through the LCD layer to improve the field of view of the output light. .

Description

[발명의 명칭][Name of invention]

테이퍼 형상의 다층 조명 장치Taper-shaped multilayer lighting device

[도면의 간단한 설명][Brief Description of Drawings]

도 1은 종래 기술의 웨지형 장치를 보여주고 있다.1 shows a wedge-shaped device of the prior art.

도 2a는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된 다수층의 테이퍼형 조명 장치를 나타내고 있다.2a shows a multi-layer tapered illumination device constructed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도 2b는 웨지층, 제1층 및 제2층의 절단된층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된 일부분에 대한 도면이다.FIG. 2B is an enlarged view of the portion of the wedge layer, the cut layers of the first and second layers combined.

도 2c는 크게 확대된 제2의 절단된층을 나타내는 도 2a의 확대된 형태를 나타낸다.FIG. 2C shows an enlarged form of FIG. 2A, showing a second enlarged cutaway layer.

도 2d는 밝기 결정을 위한 형태를 나타내는 제3층의 결합부의 일부분에 대한 도면이다.FIG. 2D is a view of a portion of the coupling portion of the third layer showing the form for determining the brightness. FIG.

도 2e는 하부에 광의 재지향을 위한 내부투과층을 가진 다수층의 웨지 장치를 나타내고 있다.FIG. 2E shows a multi-layer wedge device with an inner permeable layer for redirecting light at the bottom.

도 2f는 하부면의 반투명층을 가진 웨지 장치를 나타내고 있다.2f shows a wedge device with a translucent layer on the bottom surface.

도 2g는 하부면의 절단된 굴절층을 가진 웨지층을 나타내고 있다.2g shows a wedge layer with a cut refractive layer on the bottom surface.

도 2h는 하부면의 굴절층과 그 위에 만곡된 절단면을 가진 웨지층을 나타내고 있다.2H shows a wedge layer having a refractive layer on the bottom surface and a cut surface curved thereon.

도 2I는 가변 절단 각도를 가진 절단면의 굴절층을 가진 웨지층을 나타내고 있다.2I shows a wedge layer with a refractive layer of cut surface with variable cutting angle.

도 2J는 상기 웨지층에 결합된 단일의 굴절 프리즘을 나타내고 있다.2J shows a single refractive prism coupled to the wedge layer.

도 2k는 상기 웨지층에 결합되어 있고 일체형 렌즈를 가진 단일의 굴절 프리즘을 나타내고 있다.2K shows a single refractive prism coupled to the wedge layer and having an integrated lens.

도 2l은 상기 웨지 장치에 결합된 절단된 반사층을 나타내고 있다.2L shows the cut reflective layer bonded to the wedge device.

도 2m은 만곡된 절단 각도를 가지며 상기 웨지 장치에 결합된 절단된 반사층을 나타내고 있다.2M shows a cut reflective layer bonded to the wedge device with a curved cut angle.

도 2n은 웨지층상의 평편한 반사성 절단면을 나타내고 있다.2N shows a flat reflective cut surface on the wedge layer.

도 2o는 웨지층상의 만곡된 반사성 절단면을 나타내고 있다.2O shows a curved reflective cut surface on the wedge layer.

도 3a는 제2층의 주면측상에 만곡된 절단면을 가진 다수층의 웨지 장치를 나타내고 있다.Fig. 3A shows a multiple layer wedge device with a cut surface curved on the main surface side of the second layer.

도 3b는 웨지 장치의 다수의 층의 결합부의 확대된 부분적인 도면이다.3B is an enlarged partial view of the joint of the multiple layers of the wedge device.

도 4a는 조명의 비대칭 각도 범위들의 각도에서 계산된 밝기의 성능을 나타내고 있다.4A shows the performance of the calculated brightness at the angle of the asymmetrical angular ranges of illumination.

도 4b는 보다 대칭적인 각도 범위의 각도에서 계산된 밝기의 분배 성능을 나타내고 있다.4b shows the distribution performance of the calculated brightness at angles in a more symmetrical angular range.

도 4c는 도 4b의 대칭의 각도에서 계산된 밝기 성능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외부 확산 소자를 추가하여 나타내고 있다.4C is a diagram showing the brightness performance calculated at the angle of symmetry of FIG. 4B with the addition of an external diffusion element.

도 4d는 평행한 확산기가 없는 평면 반사 절단면과, 절반 최대 밝기에서의 전폭(full-width at half-maximum brightness)(FWHM) = 7도(degree)를 사용한 출력을 나타내는 도면이다.4D is a diagram showing a planar reflective cutting plane without parallel diffuser and an output using full-width at half-maximum brightness (FWHM) = 7 degrees.

도 4e는 평행한 볼록형 확산기를 가진 평면 절단면과, FWHM 34도를 사용하여 측정된, 거의 대칭의 출력 분포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4E shows an example of a nearly symmetrical power distribution, measured using a planar cut plane with parallel convex diffusers and a FWHM 34 degree.

도 4f는 만곡된 절단면과 FWHM = 32도를 사용하여 측정된 비대칭 출력 분산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4F shows an example of asymmetrical power variance measured using a curved cut plane and FWHM = 32 degrees.

도 4g는 만곡된 절단면과, FWHM 26도를 사용하여 측정된 비대칭 출력 분포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4G shows an example of a curved cut plane and an asymmetrical power distribution measured using FWHM 26 degrees.

도 4h는 하나의 절단된 반사층과 하나의 절단된 굴절층을 사용하여 측정된 2개 모드의 출력 분산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4H shows an example of two modes of output variance measured using one cut reflective layer and one cut refractive layer.

도 4i는 확산 반사형 하부재지향 층 및 굴절/내부 반사 상부 재지향층을 사용하여 측정된 큰 테일(tails)을 가진 출력 분산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4I shows an example of output variance with large tails measured using a diffuse reflective bottom member directing layer and a refractive / inner reflective upper redirecting layer.

도 5a는 디스크형 도광의 평면도를 나타내며, 도 5b는 도 5a의 5B-5B를 따라 취해진 단면도를 나타낸다.FIG. 5A shows a plan view of the disc-shaped light guide, and FIG. 5B show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5B-5B of FIG. 5A.

도 6a는 에어갭층을 포함하는 다수층의 테이퍼형 조명 장치의 단면도를 나타내며,6A shows a cross-sectional view of a multi-layer tapered lighting device including an air gap layer,

도 6b는 컴파운드 포물선의 광원/집중기를 가진 다른 테이퍼형 조명 장치를 단면으로 나타내고 있다.6B shows in cross section another tapered illumination device with a light source / concentrator of compound parabola.

도 6c는 가변 파라메터 프로파일 광원 및 볼록형 확산기를 가진 다른 테이퍼형 조명 장치를 단면도로 나타내고 있다.6C shows in cross section another tapered illumination device with a variable parameter profile light source and a convex diffuser.

도 6d는 비-단조 웨지층의 두께를 가진 다른 테이퍼형 조명 장치를 단면도로 나타내고 있다.6D shows in cross section another tapered lighting device having a thickness of a non-forged wedge layer.

도 7은 광원에 대하여 동심원으로 배치된 반사형 소자를 나타내고 있다.7 shows a reflective element arranged concentrically with respect to the light source.

도 8은 반사체의 곡률 중심과 광원의 중심간이 최대로 배열된 상태에서 광원주위에 배치된 반사형 소자를 나타내고 있다.Fig. 8 shows a reflective element arranged around the light source in a state where the center of curvature of the reflector and the center of the light source are arranged at maximum.

도 9a는 조명 장치의 모든 부분들로부터 방사되는 거의 유사한 각도의 분산을 제공하기 위해서 재지향을 사용하는 것을 나타내며,9A shows the use of redirection to provide a distribution of nearly similar angles radiated from all parts of the lighting device,

도 9b는 조명 장치의 다른 부분으로부터 방사되는 각도 분산에 변화를 주기위해서 특히 다양한 각도로 분산을 집중시켜 선택된 타겟 거리에서 분산의 중첩을 향상시키도록 재지향층을 사용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FIG. 9B shows the use of a redirecting layer to improve the overlap of the dispersion at selected target distances by focusing the dispersion at various angles, in particular to vary the angular dispersion emitted from other parts of the lighting device.

도 10은 조명 장치의 볼록형 어레이들의 쌍의 하나의 형태를 나타내고 있다.10 shows one form of a pair of convex arrays of a lighting device.

도 11은 조명 장치의 볼록형 확산 어레이 및 만곡된 절단면층을 나타내고 있다.11 shows a convex diffusion array and a curved cutaway layer of a lighting device.

도 12a는 한상의 회절 격자 또는 흘로그램층을 가진 웨지형 조명 장치를 나타내며,12a shows a wedge-shaped lighting device having a diffraction grating or a glog layer of one phase,

도 12b는 한쌍의 굴절 절단면층 및 확산기를 가진 웨지형 조명 장치를 나타내며,12b shows a wedge-shaped lighting device having a pair of refractive cutting surface layers and a diffuser,

도 12c는 한쌍의 절단된 층을 가진 웨지형 조명 장치를 나타내고,12c shows a wedge shaped lighting device having a pair of cut layers,

도 12d는 2개의 굴절성 단일 절단층을 가진 웨지형 조명 장치를 나타내며,12d shows a wedge-shaped lighting device with two refractive single cut layers,

도 12e는 하나의 굴절성 단일 절단면층과 하부면 재지향층을 가진 웨지형 조명 장치를 나타내고,12E shows a wedge shaped lighting device having one refractive single cut surface layer and a bottom redirecting layer,

도 12f는 절단된 굴절층 및 하부면 굴절성 및 내부 반사층으로된 상부면 재지향층을 가진 조명 장치를 나타내고,12F shows a lighting device having a cut refractive layer and an upper surface redirecting layer of lower surface refractive and internal reflective layers,

도 12g는 상부면 굴절/내부 반사성 절단층 및 하부면 굴절/내부 반사성 절단층을 가진 조명 장치를 나타내고, 도 12h는 상부면 굴절/내부 반사성 절단층 및 하부면 굴절/내부 반사성 절단층을 가진 조명 장치를 도시하며,FIG. 12G shows an illumination device having a top refracted / internal reflective cut layer and a bottom refracted / internal reflective cut layer, FIG. 12H shows an illumination with a top refracted / internal reflective cut layer and a bottom refracted / internal reflective cut layer. Showing the device,

도 12i는 하부면 거울 반사체 및 상부층 투과 회절 격자 또는 투과 홀로그램을 나타내고 있다.12I shows the bottom mirror reflector and the top layer transmission diffraction grating or transmission hologram.

도 12j는 하부면 거울 반사체 및 상부면 굴절 절단층 그리고 확산기를 가진 조명 장치를 나타내고 있다.12J shows a lighting device having a bottom mirror reflector and a top refractive cutting layer and a diffuser.

도 12k는 하부층의 거울 반사체 및 상부층의 굴절/내부 반사 절단층을 가진 조명 장치를 나타내고 있다.FIG. 12K shows a lighting device with a mirror reflector in the lower layer and a refractive / internal reflective cut layer in the upper layer.

도 12l은 하부거울 반사체 및 상부층의 굴절/내부 반사 절단층을 가진 조명 장치를 나타내고 있다.12L shows an illumination device with a lower mirror reflector and a refractive / internal reflective cut layer of an upper layer.

도 12m은 일체형의 볼록형 확산기를 포함하는 내부 반사체부를 가진 조명 장치를 나타내고 있다.12m shows a lighting device having an internal reflector portion comprising an integral convex diffuser.

도 12n은 개략적인 초기 반사체층부를 가진 조명 장치를 나타내고 있다.12N shows a lighting device with a schematic initial reflector layer portion.

도 12o는 편심 광 결합기를 가지며 웨지형부로 집속되는 조명 장치를 나타내고 있다.12o shows an illumination device having an eccentric light coupler and focused into a wedge.

도 12p는 편심 광 결합기 및 확산기와 개략적인 또는 볼록형 반사체를 가진 조명 장치를 나타내고 있다.12p shows an illumination device having an eccentric light coupler and a diffuser and a schematic or convex reflector.

도 12q는 하부 거울 또는 확산 반사층 및 상부 굴절층을 가진 조명 장치를 나타내며,12q shows a lighting device having a lower mirror or a diffuse reflecting layer and an upper refractive layer,

도 12r은 배트 웡(bat wing) 광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조명 장치를 나타내고 있다.12r shows an illumination device for generating bat wing light output.

도 13은 일체로 형성된 2개의 웨지형부를 결합한 것과 2개의 광원을 사용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Fig. 13 shows the combination of two integrally formed wedge parts and the use of two light sources.

도 14는 절단된 재지향층을 포함하는 테이퍼형 디스크 조명 장치를 나타내고 있다.14 shows a tapered disc lighting device including a cut redirecting layer.

도 15는 평행한 광(collinmted light) 출력 분포를 제공하도록 동작하는 조명 장치를 나타내고 있다.FIG. 15 shows a lighting device operative to provide parallel light output distribution.

도 16a는 종래 기술의 주변 모드 LCD를 나타내며,16A shows a prior art peripheral mode LCD,

도 16b는 종래 기술의 투과 반사형(transflective) LCD 유닛을 나타내고 있다.Fig. 16B shows a transflective LCD unit of the prior art.

도 17은 주변 및 액티브 모드에서 동작하는 절단된 재지향층 및 볼록형 확산기를 가진 조명 장치를 나타내고 있다.FIG. 17 shows a lighting device with a truncated redirecting layer and a convex diffuser operating in ambient and active modes.

도 18a는 확산 백라이트 위에 절단면이 배치된 미세프리즘들의 어레이를 갖되, 이들 미세프리즘들이 양측에서 동일한 각도를 갖고 각 미세프리즘은 면에 대하여 점진적으로 변화하는 절단 각도를 갖는 조명 장치를 나타내며,FIG. 18A shows an illumination device having an array of microprisms with a cutting plane disposed over a diffused backlight, these microprisms having the same angle on both sides and each microprism having a cutting angle that changes gradually with respect to the plane;

도 18b는 도 18a에 도시된 미세프리즘의 어레이에서 각 미세프리즘의 측면들이 절단면에 대하여 다시 변화하는 다른 각도를 갖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FIG. 18B shows that in the array of microprisms shown in FIG. 18A, the sides of each microprism have a different angle that changes again with respect to the cutting plane.

도 19a는 편광 필터층을 가진 조명 장치를 나타내며,19a shows a lighting device having a polarizing filter layer,

도 19b는 편광 필터층을 포함하는 복수의 층을 가진 조명 장치를 나타내며,19B shows a lighting device having a plurality of layers including a polarizing filter layer,

도 19c는 조명 장치의 일 측면상에 2개의 편광된 광을 출력할 수 있는 층 굴절율들을 가진 도 19b에 대한 변형예를 나타내고 있다.19C shows a variation on FIG. 19B with layer refractive indices capable of outputting two polarized lights on one side of the lighting device.

도 20a는 도 19b와 유사하지만 반사체층을 더 포함하고 있는 조명 장치를 나타내며,20a shows a lighting device similar to that of FIG. 19b but further comprising a reflector layer,

도 20b는 도 20a에서와 같은 조명 장치를 나타내지만, 재지향층이 베이스층 및 편광 필터의 동일한 측면에 베치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며,FIG. 20B shows the same lighting device as in FIG. 20A but shows that the redirecting layer is placed on the same side of the base layer and the polarizing filter,

도 20c는 제2의 재지향층 및 재배열된 n2/필터/재지향층을 가진 도 20b에 대한 변형예를 나타내고 있다.FIG. 20C shows a variation on FIG. 20B with a second redirecting layer and rearranged n 2 / filter / redirecting layer.

도 21a는 편광 변환층 및 편광 필터층을가진 조명 장치를 나타내며,21a shows a lighting device having a polarization converting layer and a polarization filter layer,

도 21b는 베이스층의 동일한 측면 상에 편광 필터층 및 편광 변환층을 가진 도 21a의 변형예를 나타내고 있다.FIG. 21B shows a variation of FIG. 21A with a polarization filter layer and a polarization converting layer on the same side of the base layer.

도 22a는 베이스층의 일 측면상에 편광 필터층을, 베이스층의 다른 측면 상에 편광 변환층을 가진 조명 장치를 나타내며,FIG. 22A shows a lighting device having a polarizing filter layer on one side of the base layer and a polarization converting layer on the other side of the base layer,

도 22b는 베이스층의 동일한 측면상에 서로 인접한 필터 및 변환층을 가진 도 22a에 대한 변형예를 나타내고 있다.FIG. 22B shows a variation on FIG. 22A with filters and conversion layers adjacent to each other on the same side of the base layer.

도 22c는 반사체층의 추가된 상기 도 22a 및 도 22b에 대한 변형예를 나타내고 있다.FIG. 22C shows a modification to the above FIGS. 22A and 22B of the reflector layer.

도 22d는 베이스층의 다른 측면으로 이동된 변환층을 가진 도 22c에 대한 변형예를 나타내고 있다.FIG. 22D shows a modification to FIG. 22C with the conversion layer moved to the other side of the base layer.

도 22e는 도 22d에 대한 또 다른 변형예를 나타내고 있다.FIG. 22E shows another modification to FIG. 22D.

도 23a는 편광 필터, 변환층, 재지향층, 반사체, 및 LCD층을 포함하는 복수 층을 가진 조명 장치를 나타내고 있다.FIG. 23A shows a lighting device having a plurality of layers including a polarizing filter, a conversion layer, a redirecting layer, a reflector, and an LCD layer.

도 23b는 도 23a에 대한 변형예를 나타내고 있다.FIG. 23B shows a modification to FIG. 23A.

도 23c는 도 23a에 대한 또 다른 변형예를 나타내고 있다.FIG. 23C shows another modification to FIG. 23A.

도 24a는 2개의 편광 상태를 위한 2개의 편광 필터층을 가진 조명 장치를 나타내고 있다.24A shows an illumination device with two polarization filter layers for two polarization states.

도 24b는 도 24a에 광 재지향층이 추가된 변형예를 나타내고 있다.24B illustrates a modification in which a light redirecting layer is added to FIG. 24A.

도 24c는 정합층, 제2의 재지향층, 및 LCD층을 가진 도 24b에 대한 또 다른 변형예를 나타내고 있다.FIG. 24C shows another variation on FIG. 24B with a matching layer, a second redirecting layer, and an LCD layer.

도 24d는 도 24b 및 도 24c에 대한 또 다른 변형예를 나타내고 있다.FIG. 24D shows another modification to FIGS. 24B and 24C.

도 24e는 도 24d에 대하여 제2의 변환층, 2개의 편광 필터층 및 2개의 재지향층을 가진 변형예를 도시하고 있다.FIG. 24E shows a variant with a second conversion layer, two polarizing filter layers and two redirecting layers relative to FIG. 24D.

도 24f는 도 24e에 대하여 베이스층의 양측면 상에 LCD층을 가진 또 다른 변형예를 나타내고 있다.FIG. 24F shows another variation of the LCD layer on both sides of the base layer with respect to FIG. 24E.

도 25a는 2개의 편광 필터층 및 편광 변환층을 사용하는 일반적인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25A shows a general configuration using two polarization filter layers and a polarization conversion layer.

도 25b는 도 25a에 대하여 제2의 재지향층을 가진 변형예를 나타내고 있다.FIG. 25B shows a variant with a second redirecting layer relative to FIG. 25A.

도 26a는 조명 장치로부터 출력된 광을 공간적으로 일정하게 제어하기 위한광 각도 트랜스포머에 결합된 광원을 가진 다수층의 조명 장치를 나타내고 있다.FIG. 26A shows a multi-layered lighting device having a light source coupled to a light angle transformer for spatially and uniformly controlling the light output from the lighting device.

도 26b는 도 26a에 대한 변형예를 나타내고 있다.FIG. 26B shows a modification to FIG. 26A.

도 27a는 절단된 재지향층, 편광 및 편광 변환층을 가진 조명 장치를 나타내고 있다.FIG. 27A shows a lighting device having a truncated redirecting layer, polarization, and polarization converting layer. FIG.

도 27b는 도 27a의 변형예로서, 재지향층이 광을 바람직한 시야각 존으로 집속하기 위한 만곡된 절단면을 가진 반사층을 포함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FIG. 27B is a variation of FIG. 27A, wherein the redirecting layer includes a reflective layer having a curved cutting plane for focusing light to a preferred viewing angle zone.

도 28a는 편광 광 필터, 편광 변환기, 절단된 재지향 및 확산층을 가진 조명장치를 나타내며,28a shows an illuminating device having a polarizing light filter, a polarizing transducer, a truncated redirecting and diffusing layer,

도 28b는 도 28a에 대하여 2개의 편광 필터층 및 2개의 절단된 재지향층을 가진 변형예를 나타내고 있다.FIG. 28B shows a variation with two polarization filter layers and two truncated redirecting layers relative to FIG. 28A.

도 28c는 조명 장치에 결합된 광원을 나타내며, 이는 도 28a에 대한 변형예이다.FIG. 28C shows a light source coupled to the lighting device, which is a modification to FIG. 28A.

도 28d는 도 28c에 대한 변형예이다.FIG. 28D is a modification to FIG. 28C.

도 28e는 도 28c에 대한 변형예이다.FIG. 28E is a modification to FIG. 28C.

도 29a는 편광된 광의 출력을 LCD층과 결합한 조명 장치를 나타내고 있다.29A shows a lighting device combining the output of polarized light with an LCD layer.

도 29b는 도 29a에 대한 변형예이다.FIG. 29B is a modification to FIG. 29A.

도 30a는 종래의 LCD 표시 시스템을 나타내며,30A shows a conventional LCD display system,

도 30b는 편광 필터층을 나타내고,30B shows a polarization filter layer,

도 30c는 편광 필터의 다층의 박막 형태를 나타내며,30C shows a multilayer thin film form of a polarizing filter,

도 30d는 편광 필터의 브루스터 스택 형태(Brewster stack form)를 나타내며,30D shows the Brewster stack form of the polarizing filter,

도 30e는 복굴절판 및 상호 작용하는 편광된 광을 나타내고 있다.30E shows the birefringent plate and interacting polarized light.

도 30f는 오일러 각도(Eulerian angles) 및 광 벡터를 나타내며,30F shows Euler angles and light vector,

도 30g는 xz 평면상에 평행한 광을 제공하는 백라이트를 나타내며,30G shows a backlight providing light parallel to the xz plane,

도 30h는 도 30g로부터 존이 확장된 것을 상세히 도시하고 있다.FIG. 30H details the zone expansion from FIG. 30G.

도 31a는 결합된 복굴절층을 가진 조명 장치를 나타내며,31a shows a lighting device with a combined birefringence layer,

도 31b는 조명 장치 및 복굴절층 그리고 추가된 광 재지향층을 나타내고 있다.31B shows the lighting device and the birefringence layer and the added light redirecting layer.

도 31c는 도 31b와 유사하나 추가된 편광 변환층이 있는 조명 시스템을 나타내고 있다.FIG. 31C shows an illumination system similar to FIG. 31B but with an additional polarization converting layer.

도 31d는 도 31c와 유사하나, 변환층이 복굴절층으로서 베이스층의 동일한 측면상에 있는 것을 나타낸다.FIG. 31D is similar to FIG. 31C but shows that the conversion layer is on the same side of the base layer as the birefringence layer.

도 31e는 도 31c에 대하여 변환층이 베이스층에 직접 접속되어 있는 변형예를 나타내고 있다.FIG. 31E shows a modification in which the conversion layer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base layer in FIG. 31C.

도 31f는 도 31d와 유사하나 재지향층이 절단된층을 포함하고 있다.FIG. 31F is similar to FIG. 31D but includes a layer in which the redirecting layer is cut.

도 31g는 도 31f의 실시예를 기초로 하고 있으나 정합층, LCD층 및 확산층을 포함하고 있다.FIG. 31G is based on the embodiment of FIG. 31F but includes a matching layer, an LCD layer and a diffusion layer.

도 31h는 도 31g에 대한 변형예이다.FIG. 31H is a modification to FIG. 31G.

도 32a는 LCD층 및 비편광된 광을 처리하기 위한 후치(post) LCD 확산층을 포함하는 조명 시스템을 나타내며,32A illustrates an illumination system including an LCD layer and a post LCD diffusion layer for processing unpolarized light,

도 32b는 도 32a에 대한 변형예이고,FIG. 32B is a variation on FIG. 32A,

도 32c는 도 32b에 대한 변형예이다.32C is a variation on FIG. 32B.

[발명의 상세한 설명]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선택된 조명(illumination)를 제공하는 조명(luminaire)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본 발명은 액정 디스플레이층으로부터 출력된 광을 선택적으로 후 확산시키고, 편광을 조정하여 선택된 편광을 필터링시켜 백라이팅함으로써, 조명 및 화상 출력을 향상시키는 웨지형 또는 디스크형과 같은 테이퍼형(tapered) 조명 장치에 관한 것이다.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generally relates to an illumination device that provides selected illumination, and 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selectively postdiffuses the light output from the liquid crystal display layer and adjusts the polarization to filter the selected polarization. By backlighting, it relates to a tapered lighting device, such as a wedge or disk, which enhances lighting and image output.

예를 들면,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용의 조명 장치로서 다양한 장치가 존재한다. 평판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소형 광원을 유지함과 함께 적당한 백라이팅을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 일반적인 조명을 목적으로 웨지형 광학 장치를 사용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광은 상기 광학 장치의 큰 단부로 입사되고, 반사 경계면의 임계각에 도달할 때까지 웨지면으로부터 내부 반사된 후에 상기 웨지형 광학장치로부터 출사된다. 그러나, 이러한 장치는 단지 평행하지 않은 조명된 출력을 투과시키는 데만 사용되었기 때문에, 자주 바람직하지 못한 공간적 및 각이 있는 출력의 투과가 행해졌다. 예를 들면, 이들 장치의 몇몇은 확산 반사체로서 화이트 페이트된 층(white painted layers)을 사용하여 평행하지 않게 출사된 광을 발생시킨다.For example, various devices exist as illumination devices for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s. In flat panel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s, it is important to provide a suitable backlighting while maintaining a small light source. It is known to use wedge optics for general illumination purposes. Light is incident on the large end of the optics and exits from the wedge-shaped optics after internal reflection from the wedge surface until the critical angle of the reflective boundary is reached. However, since these devices were only used to transmit non-parallel illuminated outputs, the transmission of undesirable spatial and angular outputs was often done. For example, some of these devices use white painted layers as diffuse reflectors to generate non-parallel emitted light.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개선된 광학 장치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Therefor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improved optical device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새로운 3차원 조명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new three-dimensional lighting devic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편광의 제어 이용과 같은 광학적 목적을 위한 개선된 다층 테이퍼형 조명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improved multilayer tapered illumination device for optical purposes such as the use of control of polariza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광의 투과 및 집중의 제어를 위한 새로운 테이퍼형 조명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It is yet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new tapered illumination device for the control of the transmission and concentration of light.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장치로부터 시준된 편광 조사를 제공하기 위한 새로운 광학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invention is to provide a novel optical device for providing collimated polarized light irradiation from the devic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편광 필터층을 갖는 개선된 테이퍼형 조명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mproved tapered illumination device having a polarizing filter layer.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편광 변환이 본 발명으로부터 출력된 조명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조명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It is yet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novel lighting device that allows the polarization conversion to improve the illumination output from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편광 필터층과 광 재지향층(light redirecting layer)의 조합을 이용하여 관측자 방향으로의 제어된 각도 범위에 걸쳐 개선된 조명을 제공하는 개선된 조명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 fur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improved illumination system that provides a combination of improved illumination over a controlled angular range in the direction of the observer using a combination of polarizing filter layer and light redirecting layer.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편광 필터, 편광 변환층 및 LCD 후 확산층의 조합을 이용하여 광학 장치로부터의 조명을 향상시키는 새로운 조명 광학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It is yet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novel illumination optics device that enhances illumination from an optical device using a combination of a polarizing filter, a polarization converting layer and a post-LCD diffusion layer.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LCD 층이 중첩하는 포스트 LCD 확산층에 인접 배치되어 광출력 또는 화질의 손실없이 관측자에게 더 넓은 각에 걸쳐 광 분포제어를 제공할 수 있는 개선된 조명 광학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improved illumination optics device in which the LCD layers are disposed adjacent to overlapping post LCD diffuser layers and can provide light distribution control over a wider angle to the viewer without loss of light output or image quality. .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징 및 이점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이하 설명되는 첨부된 도면에 따른 다음의 설명으로부터 용이하게 명백하게 될 것이다.Other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readily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which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escribed below.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본 발명의 한 형태에 따라 구성된 다층 조명 기구 장치가 도 2에 도시되어 있으며 일반적으로 10으로 표시되어 있다. 종래 기술의 웨지(11)가 도 1에 일반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 웨지(11)에서, 웨지(11) 내의 광선은 입사각이 임계각(sin-1/n) 미만일 때까지 표면으로부터 반사하는데, 여기서 n은 웨지(11)의 굴절률이다. 광은 웨지(11)의 최상부면 및 최하부면 양자 모두로부터 동일하게 나갈 수 있으며, 또한 그레이징 각(grazing angle)으로 나갈 수 있다.A multilayer luminaire device constructed in accordance with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in FIG. 2 and is generally indicated at 10. Prior art wedges 11 are shown generally in FIG. 1. In this wedge 11, the light rays in the wedge 11 reflect off the surface until the angle of incidence is less than the critical angle (sin −1 / n), where n is the refractive index of the wedge 11. Light can exit equally from both the top and bottom surfaces of the wedge 11 and also at the grazing angle.

도 2a에 도시된 다층 조명 기구 장치(10) [이하, "장치(10)"라 함]는 n1인 특성 광 굴절률을 갖는 지지체 또는 웨지층(12)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웨지층"은 단면적을 가로지르는 형태의 웨지를 갖는 수렴하는 최상부면 및 최하부면을 구비한 모든 형상을 포함한다. x, y, 및 z 축은 도 2a 및 2c내에 표시되어 있으며 "y" 축은 용지에 수직이다. 웨지층(12)을 위한 전형적인 유용한 재료는 유리, 폴리메틸 메타아크릴레이트(polymethyl methacry1ate), 폴리스티렌(poly styrene),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폴리비닐클로라이 드(polyvinylchloride),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스티렌 코폴리머(NAS), 및 스티 렌/아크릴로나이트릴(styrene/acrylo nitrile)과 같은 대부분의 투명 재료를 포함한다. 도 2a의 웨지층(12)은 최상부면(14), 최하부면(16), 측면들(18), 에지(26), 및 최상부면과 최하부면과 측변들을 연결하는 두께 to인 후면(20)을 더 포함한다. 관 형상의 형광(22)과 같은 광원은 광(24)을 후면(20)을 통해 웨지층(12)으로 도입시킨다. 광(24)은 다양한 웨지층 면들로부터 의도적으로 반사되어 웨지층(12)을 따라 에지(26)를 향하게 된다. 다른 가능한 광원들이 이용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 설명될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광원들은 실질적으로 흐트러지고, 시준되지 않은 광(uncol1imated light)을 제공하지만, 본 발명에 의해서 응집되고 시준된 광이 처리될 수 있다.The multilayer luminaire device 10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device 10”) shown in FIG. 2A includes a support or wedge layer 12 having a characteristic light index of refraction n 1 . The term "wedge layer" as used herein includes all shapes having converging top and bottom surfaces with wedges in the form of cross sections. The x, y, and z axes are indicated in Figures 2A and 2C and the "y" axis is perpendicular to the paper. Typical useful materials for the wedge layer 12 are glass, polymethyl methacry1ate, polystyrene, polycarbonate, polyvinylchloride, methylmethacrylate / styrene Most transparent materials such as copolymers (NAS), and styrene / acrylo nitrile. The wedge layer 12 of FIG. 2A has a top surface 14, a bottom surface 16, side surfaces 18, an edge 26, and a back surface 20 having a thickness t o connecting the top and bottom and side surfaces. More). A light source, such as tubular fluorescent light 22, introduces light 24 through the back side 20 into the wedge layer 12. Light 24 is intentionally reflected from the various wedge layer faces towards the edge 26 along the wedge layer 12. Other possible light sources can be used and will be described below. In general, conventional light sources are substantially disturbed and provide uncollimated light, but aggregated and collimated light can be processed by the present invention.

면들(14 및 16)이 평탄한 경우에, 선형 웨지에 대한 단일의 경사각 Φ이 최상부면(14)과 최하부면(16)에 의해 정의된다. 비선형 웨지의 경우에, 연속각 Φ를 정의할 수 있으며, 비선형 웨지는 소망의 광 출력 또는 집광의 제어를 제공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이러한 비선형 웨지는 이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In the case where the faces 14 and 16 are flat, a single tilt angle φ with respect to the linear wedge is defined by the top face 14 and the bottom face 16. In the case of a nonlinear wedge, a continuous angle Φ can be defined, and the nonlinear wedge can be designed to provide control of the desired light output or condensation. Such nonlinear wedge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도 2a에서, 제1 층(28)은 어떠한 에어갭을 개재없이 궤지층(12)에 결합되며, 제1 층(28)은 n2의 광 굴절률을 갖고 최하부면(16)에 광학적으로 연결된다. 제1 층(28)은 두께가 일정한 광 파장으로부터 훨씬 큰 두께의 범위에 있을 수 있어 소망의 기능을 달성한다. 웨지층(12)과 제1 층(28) 사이의 최종적인 유전 경계면은 웨지층(12)과 주변 대기 사이의 경계면에서보다 높은 임계각을 갖는다. 이하에서 명백해지는 바와 같이, 이러한 특징은 선택적인 각 출력과 장치(10)로부터의 광(24)의 시준을 가능하게 한다.In FIG. 2A, the first layer 28 is coupled to the gap layer 12 without any air gap, and the first layer 28 has an optical index of refraction of n 2 and is optically connected to the bottom surface 16. . The first layer 28 can range from a light wavelength of constant thickness to a much larger thickness to achieve the desired function. The final dielectric interface between wedge layer 12 and first layer 28 has a higher critical angle than at the interface between wedge layer 12 and the ambient atmosphere. As will be clarified below, this feature allows for the optional angular output and collimation of the light 24 from the device 10.

n2보다 큰, 몇몇의 실시예들에서는 양호하게 n1보다 큰 광 굴절률 n3을 갖는 제2 층(30)이 제1 층(28)에 연결된다. 이러한 구성은 광(24)이 제1 층(28)을 떠나 제2 층(30)에 진입하도록 한다. 도 2a의 실시예에서는, 제1 층(28)과 제2 층 사이에 실질적으로 에어갭이 개재되어 있지 않다. 도 2a에 도시된 본 발명의 양호한 형태에서, n1은 약 1.51 n2< 1.5 및 n3≥ n1이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n1= 1.5, n2< 1.5 (대략 1과 같음) 및 n3≥ n1이다.In some embodiments, greater than n 2 , a second layer 30 having an optical index of refraction n 3 , preferably greater than n 1 , is connected to the first layer 28. This configuration allows light 24 to leave first layer 28 and enter second layer 30. In the embodiment of FIG. 2A, there is substantially no air gap between the first layer 28 and the second layer. In a preferred form of the invention shown in FIG. 2A, n 1 is about 1.51 n 2 <1.5 and n 3 ≧ n 1 . Most preferably, n 1 = 1.5, n 2 <1.5 (approximately equal to 1) and n 3 ≧ n 1 .

도 2에 도시된 장치(10)를 위한 다층 구성에서, 웨지층(12)은 최상부면(14)으로부터의 각각의 반사의 주기적 시간 동안 입사각이 최하부면(16) 평면의 법선에 대해] 경사각 2Φ 만큼 감소하도록 한다. 최하부면(16)과의 입사각이 웨지층(12)과 제1 층(28) 사이의 경계면의 임계각 특성보다 작을 때, 광(24)은 제1 층(28)에 연결된다. 그러므로, 제1 층(28) 및 연관된 광 경계면 특성은 조건 θ < θc= sin-1(n2/n1)이 만족될 때 광(24)이 통과하도록 하는 각 필터(angular filter)를 형성한다. 즉, 기술된 임계각은 공기와 웨지층(12) 사이의 경계면에 대한 것보다 높다. 그러므로, 만일 2개의 임계각이 6Φ이상 만큼 다르다면, 최상부면(14)을 통해 웨지층(12)을 빠져나갈 수 있기 전에 거의 모든 광(24)은 웨지층(12)과 제1 층(28)사이의 경계면을 가로지를 것이다. 따라서, 만일 2개의 임계각이 Φ 미만으로 다르다면, 광의 실질적인 미소 부분 (절반보다는 작음)이 최상부면(14)을 통해 웨지층(12)을 빠져나갈 수 있다. 만일 2개의 각이 Φ이상 6Φ 미만으로 다르다면, 최상부면(14)을 통해 빠져나갈 수 있기 전에 실질적으로 절반 이상이지만 전체보다는 작은 량의 광이 웨지층(12)과 제1 층(28)을 가로지를 것이다. 따라서, 장치(10)는 최하부면(16)에 대해 조건 θ < θc가 먼저 만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음에, 탈출 광(24) [층(28)으로 진입한 광]은 예를 들어, n3> n2이기만 하면 제2 층(30)으로 진입할 것이다. 다음에, 광(24)은 웨지층(12)에 연결된 제1 층(28)에 의해 제공되며 굴절률들 간의 적절한 관계를 갖는 제2 층(30)에서 시준된 광(25)이 된다.In the multilayer configuration for the device 10 shown in FIG. 2, the wedge layer 12 has an angle of incidence 2 ° in relation to the normal of the plane of the bottom surface 16 during the periodic time of each reflection from the top surface 14. Decrease by. When the angle of incidence with the bottom surface 16 is less than the critical angle characteristic of the interface between the wedge layer 12 and the first layer 28, light 24 is coupled to the first layer 28. Therefore, the first layer 28 and associated light interface properties form an angular filter that allows light 24 to pass when the condition θ <θ c = sin -1 (n 2 / n 1 ) is satisfied. do. That is, the critical angle described is higher than for the interface between air and the wedge layer 12. Therefore, if the two critical angles differ by more than 6Φ, then almost all of the light 24 is wedge layer 12 and first layer 28 before it can exit wedge layer 12 through top surface 14. Will cross the boundary between them. Thus, if the two critical angles differ by less than Φ, a substantial minute portion of the light (smaller than half) may exit wedge layer 12 through top surface 14. If the two angles differ by more than Φ but less than 6Φ, a substantially less than half, but less than all, amount of light may pass through the wedge layer 12 and the first layer 28 before exiting through the top surface 14. Will cross. Thus, the device 10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condition θ <θ c is first satisfied for the bottom surface 16. Next, escape light 24 (light entering the layer 28) will enter the second layer 30 as long as n 3 &gt; n 2 , for example. Light 24 is then provided by first layer 28 connected to wedge layer 12 and becomes collimated light 25 in second layer 30 having an appropriate relationship between refractive indices.

장치(10)로부터 광의 출력(24)을 발생시키기 위해, 제2층(30)은 도 2e에 도시된 페인트층(33) 또는 도 2b 및 도 3c 모두에 도시된 대향면(34)과 같은 광을 산란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페인트층(33)은 화상 또는 다른 비쥬얼 정보를 선택적으로 투사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폐인트층(33)은, 예를 들면, 굴절 특성 지수를 갖는 제어 가능하게 분포되어 있는 입자를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In order to generate an output 24 of light from the device 10, the second layer 30 is light such as the paint layer 33 shown in FIG. 2E or the opposing surface 34 shown in both FIGS. 2B and 3C. Means for scattering. Paint layer 33 may be used to selectively project images or other visual information. The waste layer 33 may contain, for example, particles that are controllably distributed having a refractive index.

적절한 선택에 의해, 광이 또한 웨지층(12)을 통해 대기로 재지향되거나 (도 2a 및 도 2c의 광(29) 참조) 제2층(30)으로부터 대기로 직접 출력될 수 있다 (도 2f의 광 29' 참조).By appropriate choice, light can also be redirected through the wedge layer 12 to the atmosphere (see light 29 of FIGS. 2A and 2C) or output directly from the second layer 30 to the atmosphere (of FIG. 2F). Optical 29 ').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서, "n" 값과 관련된 다른 복수의 층이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양호한 형태에서는, 최저 지수층의 지수가 개구수 및 출력각에 대한 수학식에서 n2를 교체할 수 있다 (이하에서 후술함). 이러한 다른 층들은, 예를 들면, 웨지층(12)과 제1 층(28) 사이, 제1 층(28)과 제2 층(30) 사이에 개재할수 있거나, 웨지층(12) 또는 제2층(30)의 상부층일 수 있다.In other forms of the invention, there may be multiple other layers associated with the "n" value. In on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xponent of the lowest exponent layer can replace n 2 in the equation for the numerical aperture and the output angle (to be described later). These other layers may be interposed, for example, between the wedge layer 12 and the first layer 28, between the first layer 28 and the second layer 30, or the wedge layer 12 or the second layer. It may be an upper layer of layer 30.

특정 실시예에서, 양호한 지오메트리는 웨지층(12)을 통해 재반사되지 않고 대기로 광이 출력되게 한다. 도 2g에 도시된 이 실시예의 다른 형태에서는, 굴절층(38)이 도시된다. 굴절층(38)은 콜리메이트 출력을 제공하기 위한 편평한 면(39)을 포함할 수 있다. 횡축 렌즈 모양의 산란기(83)가 도 2g에 그 모형이 도시되어 있고 이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산란층(83)은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기 웨지층(12)을 포함하여, 본 발명의 임의의 지오메트리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In certain embodiments, good geometry causes light to be output to the atmosphere without being reflected back through the wedge layer 12. In another form of this embodiment, shown in FIG. 2G, a refractive layer 38 is shown. Refractive layer 38 may include a flat surface 39 to provide collimated output. A horizontal axis lenticular scatterer 83 is shown in Fig. 2G, which is described in detail below. Scattering layer 83 can be used with any geometry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ing the wedge layer 12 as shown in FIG. 6A.

도 2h에 도시된 또 다른 예에서, 굴절층(38)은 원하는 각 분포를 통해 완곡하게 넓어진 출력을 제공하기 위한 만곡된 면(41)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1에 도시된 또 다른 예에서, 굴절층(38)은 다양한 각면(42)을 포함한다. 이 면들(42)은 출력된 광을 원하는 방식으로 집광하기 위해 면 어레이에 걸쳐 위치에 따랄 변하는 면각 및/또는 굴곡을 갖는다. 굴곡면은 부드럽게 초점이 맞춰진 영역을 생성할 수 있고 이 영역 내에서 조명될 전체 시야 스크린이 나타난다. 컴퓨터 스크린 조명에 대한 응용예를 설명한다. 도 2j 및 도 2k에서, 출력광을 집광하기 위해 인티그럴식 렌즈를 갖는 단일 굴절 프리즘 소자(43) 및 프리즘 소자(43)가 각각 도시되어 있다.In another example, shown in FIG. 2H, the refractive layer 38 may include a curved face 41 to provide an output that is smoothly widened through the desired angular distribution. In another example shown in FIG. 21, refractive layer 38 includes various facets 42. These faces 42 have facets and / or bends that vary with position across the face array to focus the output light in a desired manner. The curved surface can create a smoothly focused area and reveals the entire field of view screen to be illuminated within this area. An application example for computer screen illumination is described. 2J and 2K, a single refractive prism element 43 and a prism element 43 with an integral lens are shown, respectively, for condensing output light.

도 2l 및 도 2m은 광의 출력 분포를 제어하기 위해 각도를 이루고 배치된 면을 갖는 면 표면(34)을 도시한다.2L and 2M show a face surface 34 with faces angled and arranged to control the output distribution of light.

도 2k 및 도 2l에서, 광은 초점 "F"에 출력되고, 도 2m에서 대략 시야 범위 45를 통해서 출력된다. 도 2n 및 도 2o 콜리메이트광 출력 또는 집광된 광 출력을 제공하기 위한 반사면(48) 및 굴곡 반사면(45)을각각 갖는다.In FIGS. 2K and 2L, light is output at focal point “F” and is output through approximately the viewing range 45 in FIG. 2M. 2N and 2O have a reflecting surface 48 and a curved reflecting surface 45 for providing collimated light output or focused light output, respectively.

도 2a 및 도 2c 도시된 바와 같이, 면 표면(34)은 제2층(30), 제1층(28) 및 웨지층(12)을 통해서 광(29)을 광학적으로 반사하여 대기로 재지향한다. 각각의 면의 굴절만이 조명되면, 매우 작은 규모에서 보았을 때 출력이 교대로 밝고 어둡게 나타나게 된다. 이러한 패턴이 전형적으로 바람직하지 않기 대문에, 도 2b 도시된 양호한 실시예의 경우, 각각의 면 표면(34)들 사이의 간격의 주기는 회절 효과를 피할만큼 충분히 크나, 각각의 면이 의도한 관측 수단에 의해 검출되지 않을 만큼 작다. 간격은 또한 액정 디스플레이 또는 CCD (전하 결합 장치) 어레이와 같은 조명될 장치의 임의의 특성을 갖는 무아레(Moire) 간섭 패턴을 형성하는것을 피하도록 선택된다. 간격에 있어서의 몇몇 불규칙함은 바람직하지 못한 회절 무아레 효과를 저감시킬 수 있다. 전형적인 검은 조명 표시시에는, 대략 0.001-0.003 인치의 간격 주기가 원하는 목적을 성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S. 2A and 2C, the surface surface 34 optically reflects light 29 through the second layer 30, the first layer 28, and the wedge layer 12 and redirects it to the atmosphere. . If only the refraction of each face is illuminated, the output will alternately appear bright and dark when viewed on a very small scale. Since this pattern is typically not desirable, in the preferred embodiment shown in FIG. 2B, the period of spacing between each of the surface surfaces 34 is large enough to avoid the diffraction effect, but each surface is intended to observe. Small enough not to be detected by The spacing is also chosen to avoid forming a Moire interference pattern with any characteristics of the device to be illuminated, such as a liquid crystal display or CCD (charge coupled device) array. Some irregularities in the spacing can reduce undesirable diffraction moire effects. In a typical black illumination display, interval periods of approximately 0.001-0.003 inches can achieve the desired purpose.

도 2b및 도 2c 면 표면(34)은, 예를 들면, 통상 반사광(29)이 장치(10)로부터 출력되는 각도 범위를 제어하도록 준비될 수 있다. 층(30)의 출력각의 최소 분포는 대략 △θ = 2Ψ)[n1 2-n2 2)/(n3 2-n2 2)]1/2와 대략 동일한 폭을 갖는다.2B and 2C surface surface 34 may be prepared, for example, to control the angular range from which reflected light 29 is typically output from device 10. The minimum distribution of the output angle of the layer 30 has a width approximately equal to Δθ = 2Ψ) [n 1 2 -n 2 2 ) / (n 3 2 -n 2 2 )] 1/2 .

따라서, Ψ가 매우 작을 수 있기 때문에, 장치(10)가 매유 효과적인 콜리메이터일 수 있다. 따라서, 선형 면 표면(34)의 경우, 여기 재지향된 광(29)은 대략 △θ air = n3△θ= 2Ψ)(n1 2-n2 2)/[1-(n2/n3)2]1/2정도의 최소 각 폭을 갖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그리고 도 2h 도 2i 도 2k 도 2l 도 2m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면 지어메트리가 최소각도를 초과하여 각 출력을 제어하고 또한 출력 광을 집광하고 그 방향을 제어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Thus, since Ψ can be very small, the device 10 can be a very effective collimator. Thus, for linear plane surface 34, the excitation redirected light 29 is approximately Δθ air = n 3 Δθ = 2Ψ) (n 1 2 -n 2 2 ) / [1- (n 2 / n 3 ) 2 ] has a minimum angular width of about 1/2 . As described above, and as shown in FIGS. 2h 2i 2k 2l 2m and 3, the plane geometry exceeds each minimum angle to control each output and also to focus and control the output light. Can be used.

다양한 인터페이스 출력각을 위에서 주어진 값 이상으로 확장할 수도 있으나, 이러한 효과는 도 2b 도시된 바와 같이 1 이상의 내부 인터페이스 상에 항 반사 코팅(31)을 도포함으로써 경감될 수 있다.Although various interface output angles may be extended beyond the values given above, this effect can be alleviated by applying an antireflective coating 31 on one or more internal interfaces as shown in FIG. 2B.

설명한 실시예의 밝기 비율("BR")은 이텐듀 매치(etendue match)에 의해서 뿐만 아니라 도 2d 참조하여 결정될 수 있고, BR은로 표현하거나 또는, B.R. =조명된 영역/총 영역으로 표현할 수 있다.The brightness ratio ("BR") of the described embodiment can be determined by reference to FIG. 2D as well as by an etendue match, where BR is Or BR = lighted area / total area.

B.R.=[1-(n2/n3)2]1/2= 0.4-0.65 (거의 투명한 유전체 재료)이다. 예를 들면, 웨지층(12)은 아크릴 (n1=1.49)일 수 있고, 제1층(28)은 플루오르 폴리머 (n2=1.28-1.43) 또는 Sol-겔 (n2= 1.05-1.35), 플루오라이드 쏠트(n2= 1.38-1.43) 또는 실리콘계 폴리머 또는 접착제(n2= 1.4-1.45)일 수 있고, 제2층(30)은 에어 접촉면에서 금속화되는 폴리카보네이트(n3=1.59) 폴리 스티 렌(n3=1.59)에 폭시(n3=1.5-1.55) 또는 아크릴 (n3=1.49)과 같은 면 반사자일 수 있다.BR = [1- (n 2 / n 3 ) 2 ] 1/2 = 0.4-0.65 (almost transparent dielectric material). For example, the wedge layer 12 may be acrylic (n 1 = 1.49) and the first layer 28 may be a fluoropolymer (n 2 = 1.28-1.43) or a Sol-gel (n 2 = 1.05-1.35). , Fluoride salt (n 2 = 1.38-1.43) or silicone-based polymer or adhesive (n 2 = 1.4-1.45), and the second layer 30 is a polycarbonate (n 3 = 1.59) metalized at the air contacting surface. Polystyrene (n 3 = 1.59) may be a surface reflector such as foxy (n 3 = 1.5-1.55) or acrylic (n 3 = 1.49).

예를 들면, 도 2b 및 도 2c 도시된 편평하거나 선형적인 면 표면(34)은 광 출력의 방향을 제어하고 또한 각 필터링 효과에 의해 제2층(30)에 결합되는 광 △ θ의 각 분포를 거의 보전하기 위해 입사 광(24)을 재지향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4d참조). 예를 들면, 도 2l 도시된 한 양호한 실시예에서, 면 표면(34)은 출력광을 집광하기 위해 위치에 따라 변하는 편평한 면각을 이용하여 광을 반사한다.For example, the flat or linear planar surface 34 shown in FIGS. 2B and 2C controls the direction of light output and also accounts for the angular distribution of light Δ θ coupled to the second layer 30 by the angular filtering effect. The incident light 24 can be redirected for near integrity (see, eg, FIG. 4D). For example, in one preferred embodiment shown in FIG. 2L, the surface surface 34 reflects light using a flat surface angle that varies with position to focus the output light.

도 2m서, 면 표면(34)은 조명될 전체 스크린이 나타나는 집광된 시야 구역(45)을 생성하기 위해 위치에 따라 변하는 굴곡면 각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도 4f 및 도4g 참조). 도 2m의 모형에 본 발명과 관련하여 사용 가능한 예시적 액정 디스플레이(47) 또한 도시되어 있다. 도 3a 및 도 3b에 또한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굴곡면(36)이 또한 입사광(29)을 재지향시키나, 굴곡면은 재지향된 광(29)의 각 출력의 최종 범위를 증가시킨다 (도 2d의 편평한 면과의 비교 참조). 예를 들면, 오목트로우(concave trough)가 실화상을 생성할 수 있고, 볼록 트로우(convex through)가 가상 화상을 생성할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도 3b 참조). 각 경우에서, 화상은 원하는 각 출력 범위를 통해 광을 균일하게 출사하는 라인 소스와 같다. 따라서, 이러한 트로우 모양의 면(36)의 어레이는 제1층(28)으로부터 콜리메이트 광(25)의 유입 형태를 재지향할 수 있고, 이러한 복수의 라인 소스 화상은 재지향된 광(29)을 형성한다. 인간의 눈의 해상도보다 작은 굴곡면(36)의 간격으로 배열함으로써, 라인 소스의 최종 어레이는 관측자에게 매우 균일하게 나타날 것이다. 이전에 설명한 바와 같이, 면 간격의 주기에 대하여 약 3백 내지 5백 라인/인치 또는 0.002 내지 0.003의 선택이 이러한 결과를 제공한다. 전형적인 LCD 표시의 경우, 종래에는 약 20 인치 이상의 시야 거리였다.In FIG. 2M, the surface surface 34 includes a curved surface angle that varies with position to create a focused viewing zone 45 in which the entire screen to be illuminated appears (see, eg, FIGS. 4F and 4G). Also shown is an exemplary liquid crystal display 47 usable in connection with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model of FIG. 2M. As also shown in FIGS. 3A and 3B, the curved surface 36 also redirects the incident light 29, but the curved surface increases the final range of each output of the redirected light 29 (FIG. 2D). Comparison with flat surfaces). For example, it is known that a concave trough can produce a real image, and a convex through can generate a virtual image (see for example FIG. 3B). In each case, the image is like a line source that emits light evenly through each desired output range. Thus, such an array of trough-shaped faces 36 can redirect the inflow of collimated light 25 from the first layer 28, and the plurality of line source images can redirect the redirected light 29. Form. By arranging at intervals of the curved surface 36 smaller than the resolution of the human eye, the final array of line sources will appear very uniform to the viewer. As previously described, a selection of about 300 to 500 lines / inch or 0.002 to 0.003 for the period of face spacing provides this result. In the case of a typical LCD display, it was conventionally about 20 inches or more.

다른 유용한 면 형상은, 예를 들면, 포물선, 타원형, 쌍곡선, 원형, 지수, 다항식, 다각형,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이한 면 디자인을 이용하여 조명의 평균 발릭의 가상적인 임의의 분포를 구성할 수 있다.Other useful face shapes may include, for example, parabolas, ellipses, hyperbolas, circles, exponents, polynomials, polygons, and combinations thereof. Thus, the user can construct a virtually arbitrary distribution of the average ballics of illumination using different face designs.

예를 들면, 다각형의 면을 사용하여 다수의 피크를 갖는 출력 각 분포를 생성할 수 있다.For example, a polygonal face can be used to generate an output angular distribution with multiple peaks.

굴곡면 반사자를 이용하는 각 출력의 다양한 범위에 걸쳐서 밝기 분포의 예가 도 4a 내지 도 4c, 도 4f 및 도 4g에 도시되어 있다. 도 4c 및 도 4e는 선형면을 갖는 반사자의 경우 밝기 분포를 도시하고, 산란 소자(40)를 더 포함한다 (도 2c에 가상선으로 도시됨). 여러 각도 범위에 대한 예측된 성능 출력(predicted performance output)이 도시되며(도 4a - 도 4c 참조), 이 출력은 표시 엔지니어링(Display Engineering)의 상표명인 "웨지 라이트" 유닛(Wedge Li홋 unit)과 같은 상용으로 입수 가능한 소스("웨지"라고 라벨화 됨)에 대한 광의 측정된 각 출력(measured angular output of light)과 비교된다. 바람직한 각도 범위는 쉽사리 수정되어 용어 Ψ, n1, n2, n3들의 방정식으로 이하 후술되는 최저각 △θ(에어)까지의 어떠한 구체적인 관측(viewing)과 시준 요구(collimation requirements)를 수용할 수 있다. 이러한 수정은 도 2m에 도시되어 있으며 후술되는 방식으로 곡선 모양의 마면들(curved facets;36)의 곡률을 점진적으로 변화시킴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수직 관측각 범위의 예시된 제어뿐만 아니라, 수평 관측 범위의 수정 역시곡선 모양의 마면(36)들의 형상을 적절히 변경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i에 도시되어 있는 상기한 각 분포(angular distributions)는 개구수(numerical apperture) NA(nl 2- n2 2)1/2내에서 장치(10)가 광(24)을 처리할 때를 나타낸다. 광이 이러한 범위 밖에 있을 때, 추가적인 기술이 적용되어 각 출력 범위의 제어에 도움이 될 수도 있다.Examples of brightness distributions over various ranges of each output using curved surface reflectors are shown in FIGS. 4A-4C, 4F and 4G. 4C and 4E show the brightness distribution in the case of a reflector having a linear plane, and further include a scattering element 40 (shown in phantom in FIG. 2C). Predicted performance outputs for the various angular ranges are shown (see FIGS. 4A-4C), and these outputs correspond to the Wedge LiHot unit, a trademark of Display Engineering. It is compared to the measured angular output of light for the same commercially available source (labeled "wedge"). The preferred angular range is easily modified to accommodate any specific viewing and collimation requirements up to the lowest angle Δθ (air) described below in the equations Ψ, n 1 , n 2 , n 3 . have. This modification can be accomplished by gradually changing the curvature of the curved facets 36 in the manner described below and shown in FIG. 2M. In addition to the illustrated control of the vertical viewing angle range, modification of the horizontal viewing range can also be achieved by appropriately changing the shape of the curved facets 36. The angular distributions described above in FIGS. 4A-4I are characterized in that the device 10 processes light 24 within a numerical apperture NA (n l 2 -n 2 2 ) 1/2 . Indicates when. When light is outside this range, additional techniques may be applied to help control each output range.

도 9a와 도 9b는 빈틈없이 겹치는 포커스 조명 출력(tightly overlapping focused illumination output)과 느슨하게 겹치는 포커스 조명 출력(less overlapping)을 각각 제공하기 위해 수정수단(redirecting means)을 이용하는 것을 추가로 예시하고 있다. 이러한 개념은 통상적인 휴대형 컴퓨터 스크린(87)이 대략 150mm의 수직 범위(vertical extent;V)를 가지며, 통상적인 관측 거리 "D"가 500mm임을 고려함으로써 실제로 적용될 수 있다. 컴퓨터 스크린(87)의 수직 위치(vertical center)의 법선에 위치한 거리 "D"에서 관측자는 스크린(87)의 정점에서 측정된 -8.5 모부터 스크린(87)의 하부에서 측정된 +8.5 까지 미치는 각도에서 스크린(87)의 다른 영역을 나타내게 될 것이다. 그러나, 시야각에서의 이러한 편차는 상기 스크린 조명을 갖는 시스템의 사용시 바람직하지 못한 영향을 초래할 수 있다. 스크린(87)에 대한 제한된 조명각은 관측자가 완전히 조명 스크린(87)을 볼 수 있는 위치의 제한된 범위를 의미한다(도 9a 참조). 스크린(87)의 중앙으로부터의 각도와 거리에 관하여 관측자 위치를 한정하면, 효과적인 각도 범위는 실질적으로 공칭 조명 범위(nominal illumination range) 아래로 감소된다. 예를 들어, 공칭 조명 범위가 각각의 개별적인 마면(facet)에서 측정되는 ±12˚면, 효율적인 관측각은 도 9a에 도시된 통상적인 플랫 패널(flat panel)에서 ± 12˚로 감소된다. 스크린(87)에 대한 중앙의 어느 측면에서 12˚- 20˚사이에서의 결과적인 조명(illumination)은 관측자에게 비균일하게 나타날 것이다.9A and 9B further illustrate the use of redirecting means to provide tightly overlapping focused illumination output and loose overlapping, respectively. This concept can be practically applied by considering that a typical portable computer screen 87 has a vertical extent (V) of approximately 150 mm and a typical viewing distance "D" is 500 mm. At a distance "D" located at the normal of the vertical center of the computer screen 87, the observer angles from -8.5 squares measured at the top of the screen 87 to +8.5 measured at the bottom of the screen 87. Will represent another area of the screen 87. However, this deviation in viewing angle can lead to undesirable effects in the use of the system with the screen illumination. The limited angle of illumination for the screen 87 means a limited range of locations from which the viewer can fully see the illuminated screen 87 (see FIG. 9A). By defining the observer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angle and distance from the center of the screen 87, the effective angle range is substantially reduced below the nominal illumination range. For example, if the nominal illumination range is ± 12 ° measured at each individual facet, the effective viewing angle is reduced to ± 12 ° in the conventional flat panel shown in FIG. 9A. The resulting illumination between 12 ° -20 ° on either side of the center to the screen 87 will appear non-uniform to the viewer.

본 명세서에 기재된 발명은 마면(34)의 배향을 제어함으로써 상술한 비균일성을 극복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M에 예시된 바와 같이, 마면의 양면이 점진적으로 회전함에 따라 편평형 마면(flat facet surface)이 장치(10)의 여러 층을 한정하는 면의 에지에 대해 35.6˚ 내지 33.3˚로 변화하거나 평행해진다. 스크린(87)의 상부로부터 하부까지의 이러한 조직적인 변화(system atic variation)는 재조정된 출력(redirected output)이 조명되는 결과로 나타난다. 마면(34)은 확산기(diffuser;83) 등과 조합됨으로써 가변적이지만 제어 가능한 광조명 출력의 분포를 발생시킬 수도 있다. 편평형 마면(168)은 확산기(170)와 더 조합될 수 있다. 따라서, 도 9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크린(89) 상의 다른 포인트에서 광의 각 분포(angular distribution)를 회전시킬 수 있는 능력은 위치에 따라 관측각의 변화(variation)를 보상할 수 있도록 해준다. 마면(34) 내의 조직적인 변화는 마면화된 어느 조정층(any faceted redirecting layer)의 출력인 포커스 내로의 변화를 더 포함하고 있다. 실례들을 도 2i와 도 2l에 나타낸다.The invention described herein can be used to overcome the non-uniformity described above by controlling the orientation of the burr 34. For example, as illustrated in FIG. 2M, as both faces of the face gradually rotate, from 35.6 ° to 33.3 ° with respect to the edge of the face where the flat facet surface defines several layers of the device 10. Change or become parallel. This system atic variation from the top to the bottom of the screen 87 results in the illumination of the redirected output. The end 34 may be combined with a diffuser 83 or the like to generate a variable but controllable distribution of light illumination output. The flat surface 168 may be further combined with the diffuser 170. Thus, as shown in FIG. 9B, the ability to rotate the angular distribution of light at different points on the screen 89 makes it possible to compensate for variations in the viewing angle depending on location. The organizational change in the face 34 further includes a change into focus, which is the output of any faceted redirecting layer. Examples are shown in FIGS. 2I and 2L.

조명의 비균일성을 극복하기 위한 또다른 실시예에서, 마면(34)에 대한 마이크로 프리즘 어레이는 통상적인 확산 백라이트(diffuse backlight;101 도 18a 참조) 위에 놓여질 수 있다. 이러한 마면(34)은 굴절 및 전체 내부 반사의 조합에 의해 동작하여 한정된 각 범위(angular range) 만이 상기 층을 통해 외기(ambient)로 출력되도록 해준다. 이러한 각도 범위는 마면 각(facet angle)에 좌우된다. 아크릴 막(n = 1.49)의 경우, 최고 광도(brightness)는 통상 90 - 100도의 각을 포함하는 프리즘을 이용하여 얻어지며, 대략 ± 35도의 관측각으로 나타난다. 이러한 결합 구조(geometry)를 이용하는 백라이트는 여러 관측자들을 혼란스럽게하는 예리한 "커테이닝(curtaining)"효과를 나타낸다. 이러한 효과는 스크린의 상부로부터 하부까지 마면(38)을 회전시켜 집속 효과(focusing effect)를 발생시킴으로써 개선될 수 있다(도 18b 참조). 간단한 선 추적(ray-tracing)은 100˚- 110˚범위의 포함된 각에 대해, 3도씩 회전되는 마면은 대략 3/2씩 회전되는 각 분포를 발생시킬것이다. 도 18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점진적인 마면의 각(facet face angle)변화는 마면(34)에 따른 위치처럼 변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In another embodiment to overcome non-uniformity of illumination, the micro-prism array for the face 34 may be placed over a conventional diffuse backlight 101 (see FIG. 18A). This face 34 is operated by a combination of refraction and total internal reflection such that only a limited angular range is output to the atmosphere through the layer. This angle range depends on the facet angle. In the case of an acrylic film (n = 1.49), the highest brightness is usually obtained using a prism containing an angle of 90-100 degrees, which is represented by an observation angle of approximately ± 35 degrees. Backlights using this combination geometry have a sharp "curtaining" effect that confuses multiple observers. This effect can be improved by rotating the surface 38 from the top to the bottom of the screen to produce a focusing effect (see FIG. 18B). A simple ray-tracing will generate an angle distribution that rotates about 3/2 for a horseboard that is rotated 3 degrees for an included angle in the range of 100 ° to 110 °.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8, the gradual change in facet face angle may change as a position along the face 34. E.g,

Ψ1=35˚-(0.133˚/mm)*xΨ 1 = 35˚- (0.133˚ / mm) * x

Ψ2=35˚+(0.133˚/mm)*xΨ 2 = 35˚ + (0.133˚ / mm) * x

이러한 점진적인 마면 각 변화(facet anglechange)는 스크린(89)을 가로질러 대략 10도씩 변화하며, 앞서 개략적으로 설명한 일반적인 제한(generic constraints)을 만족하는 각 분포를 발생시킨다.This gradual facet angle change varies approximately 10 degrees across screen 89, resulting in an angular distribution that satisfies the generic constraints outlined above.

바람직한 마면 형상이 무엇이든 간에 마면(34)(도 2d 참조)은 몰딩이나 기타 공지의 밀링 처리 등과 같은 통상적인 처리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조에 대한 상세에 대해 설명한다.Whatever the preferred surface shape is, the surface 34 (see FIG. 2D) is preferably formed by conventional processing such as molding or other known milling processes. The detail about manufacture is demonstrated.

[비선형 웨지][Nonlinear Wedges]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에서 주 도파로(primary lightguide)인 웨지층(12)은 선형으로 가정된 이외의 것일 수 있다. 이러한 형상들은 다양한 선택광 분포를 달성할 수 있도록 해준다. 기타 형상들이 도 2b와 도 2c(광입력 에지로부터 약간 예리한 에지 26까지의 좌표축)에 도시된 웨지축 "Z"의 함수로서 웨지층(12)의 두께에 대해 설명될 수 있다. 선형 웨지의 경우,In another aspect of the invention, the wedge layer 12, which is the primary lightguide, may be other than assumed to be linear. These shapes make it possible to achieve various selective light distributions. Other shapes can be described with respect to the thickness of the wedge layer 12 as a function of the wedge axis “Z” shown in FIGS. 2B and 2C (the coordinate axis from the light input edge to the slightly sharp edge 26). For linear wedges

A(z)=Ao-C·zA (z) = A o -C

A0=최대 웨지 두께(도 2a 참조)A 0 = maximum wedge thickness (see FIG. 2A)

C=상수 =tanψ (1)C = constant = tanψ (1)

바람직한 공간적 각 분포의 큰 범위는 광출력 파워(제2층(30)에 연결된 파워)로 얻어질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광출력 파워는 적절히 작은 면을 낸 표면(마면; 34 또는 35)에 의해 또는 확산 반사물(33)(도 2e 참조) 또는 기타 수단에 의한 외기로 향하는 출력에 대해 이용 가능한 광이다.A large range of desirable spatial angular distributions can be obtained with light output power (power connected to the second layer 30). Thus, this light output power is light available for output to the outside air by means of a suitably small faced surface (surface 34 or 35) or by a diffuse reflector 33 (see FIG. 2E) or other means.

예를 들어, L과 M이 각각 x축과 y축에 따른 코사인 방향이라면, Lo와 Mo는 두꺼운 에지(Z = 0)에서 L과 M의 값이다. 이러한 초기 분포는 어느 정도 잘 한정되고 있는 각도 범위 내의 람베르트(Lambertian)이며, 그 범위 밖에서는 광이 적거나 전혀 없다. 이러한 분포는 이상적인 비이미지 광학 요소(non-imaging optical elements)가 한정된 람베르트 출력 분포를 갖기 때문에 특히 중요하다. 핵심적인 관계는 AoLo와 대략 동일하고, 탈출 위치(z)를 암암리에 제공하는 불변의 단열 곡선(adiabatic invariant)인 A(z)cos(θc)이다. 이러한 개념을 설명하기 위해 dp/dz가 일정하도록 균일한 조사(irradiance)를 원한다고 하자. 초기 위상 공간(initial phase space)이 다음의 표현으로 설명되는 타원 영역을 균일하게 채운다고 하자.For example, if L and M are cosine directions along the x and y axes, respectively, L o and M o are the values of L and M at the thick edge (Z = 0). This initial distribution is Lambert within an angular range that is somewhat well defined, with little or no light outside that range. This distribution is particularly important because ideal non-imaging optical elements have a defined Lambert output distribution. The key relationship is approximately the same as A o L o and A (z) cos (θ c ), an invariant adiabatic invariant that implicitly provides the escape position z. To illustrate this concept, suppose we want uniform irradiation so that dp / dz is constant. Assume that the initial phase space uniformly fills the elliptic region described by the following expression.

L0 22+M0 22=1 (2)L 0 2 / σ 2 + M 0 2 / τ 2 = 1 (2)

여기서, τ는 M축을 따른 타원의 차원이고, σ는 L을 따른 타원의 차원이다.Where τ is the dimension of the ellipse along the M axis and σ is the dimension of the ellipse along L.

다음에, dP/dL=const·[1 - L22]1/2이지만 dA/dZ[Ao/Lc]dLo/dz여기서, Lc= cosθc. 그러므로, 「1 - (LcA)2/(Aoσ)2]1/2dA = 일정 시간 dz.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σ = Lc라고 하자. 이러한 결과는 A/Ao= sin u에 의해 치환되므로 A = Aosin u이고 u + 1/2 sin (2u) = (π/2)(1-z/D)이며, 여기서, D는 웨지층(12)의 길이이다.Next, dP / dL = const · [1 − L 2 / σ 2 ] 1/2 but dA / dZ [A o / L c ] dL o / d z where L c = cosθ c . Therefore, "1-(L c A) 2 / (A o σ) 2 ] 1/2 dA = constant time dz. Let σ = L c in the preferred embodiment. This result is substituted by A / A o = sin u, so A = A o sin u and u + 1/2 sin (2u) = (π / 2) (1-z / D), where D is a wedge The length of layer 12.

보다 일반적으로, 단위 길이당 소망의 파워가 dP/dz이면, 소망의 웨지층(12)의 형태는 다음의 미분 수학식으로 결정된다:More generally, if the desired power per unit length is dP / dz, the shape of the desired wedge layer 12 is determined by the following differential equation:

이들 모든 경우에 출력 분포가 프레넬 반사에 의해 변형되기 때문에 대략 소망의 형태를 갖는다는 것은 주목할만하다. 웨지 장치(10)가 만곡되는 경우에도, 그 곡률이 너무 크지 않은 경우 평균 각도 Ψ를 정의하는데 여전히 유용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평균 각도는 시스템을 질적으로 특징 짓는다.It is noteworthy that in all these cases the power distribution is roughly desired because it is deformed by Fresnel reflections. Even if the wedge device 10 is curved, it may still be useful to define an average angle Ψ if its curvature is not too large, which averages the quality of the system.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있어서, 상기 예의 구조는 인덱스 n1 및 n2를 갖는 2 개의 반사 매체들 사이에 x, y 접촉면을 갖는다. 성분 nM, nN은 접촉면을 가로질러 n1M1=n2M2, n1N1=n2N2이도록 유지된다. x, y 평면에 투사된 입사각은 sinθ2eff=N/(L2-N2)1/2로 주어진다. 상기 관계를 이용하면, Sinθ2eff/Sinθ1eff=(n1/n2)[1-M1 2]1/2/[1-(n1/n2)2M1 2)l/2=(n1/n2)eff. 예를 들어, n1=1.49, n2=1.35, M1=0.5인 경우, 효율적인 인덱스 비율은 1.035(n1/n2)이며, 이것은 실제 인텍스 비율보다 약간만 크다.In another aspect of the invention, the structure of the above example has an x, y contact surface between two reflective media having indices n1 and n2. Components nM, nN are maintained across the contact surface such that n 1 M 1 = n 2 M 2 , n 1 N 1 = n 2 N 2 . The incident angle projected on the x, y plane is given by sinθ 2eff = N / (L 2 -N 2 ) 1/2 . Using this relationship, Sinθ 2eff / Sinθ 1eff = (n 1 / n 2 ) [1-M 1 2 ] 1/2 / [1- (n 1 / n 2 ) 2 M 1 2 ) l / 2 = ( n 1 / n 2 ) eff . For example, for n 1 = 1.49, n 2 = 1.35, M 1 = 0.5, the effective index ratio is 1.035 (n 1 / n 2 ), which is only slightly larger than the actual index ratio.

[공간 파라미터에 따른 반사율의 변화][Change of reflectance according to spatial parameter]

일반적인 테이퍼형 도광기의 경우에, 웨지층(12)은 x축을 따라 치수가 좁하지며 z축을 따른다(예를 들어, 도 2a 참조). L, M, N이 x, y, z축을 따른 구조적인 방향 코사인인 광학 방향 코사인(nL, nM, nN)을 도입하는 경우, n은 공간 위치에 따라 변할 수 있는 굴절률이다. 웨지층(12)에 전달된 광선의 경우, x측에서의 이동은 거의 주기적이며, 한 주기당 Ψ nLdx양은 광선이 z를 따라 전파됨에 따라 거의 일정하다. 전파됨에 따라 거의 일정한다. 이러한 특징은 단열 불변(adiabatic invariance)이라 칭하며, 도광 특성을 분석하는 유용한 구조를 제공한다.In the case of a typical tapered light guide, the wedge layer 12 is narrow along the x axis and along the z axis (see, eg, FIG. 2A). When L, M, and N introduce optical direction cosines (nL, nM, nN), which are structural direction cosines along the x, y, and z axes, n is a refractive index that can vary depending on the spatial position. In the case of light rays transmitted to the wedge layer 12, the movement on the x side is almost periodic, and the amount of Ψ nLdx per cycle is nearly constant as the light propagates along z. It is almost constant as it propagates. This feature is called adiabatic invariance and provides a useful structure for analyzing light guiding properties.

제1 실시예에서, 도 2a에 도시된 웨지 장치(10)는 웨지층(12)에서 균일한 인덱스를 가지며, 폭 A(z)Ao-Cz을 가지며 z가 선형으로 테이퍼된다. 그 후, 지그재그 광선 경로에 따라 L(z)A(z)는 단열 불변에 의해 대략적으로 일정해진다. L=Lo이며 z=0에서 광선이 시작되면, (Ao-C·z)L(z)는 LoAo와 대략적으로 동일해진다. L=cosθc이며, 여기서 θc는 임계각=[1-(n2/nl)2]1/2이면 웨지층(12)에서 광선이 누출된다. 따라서, 웨지층(12)을 방치하는 조건은 Ao-C·z=LoAo/cosθc이다. 이것은 z=(Ao/C)(1-Lo/cosθc)에서 발생된다. 결과적으로, z축으로 방사되는 광선 밀도는 초기 방향 코사인 Lo에서의 광선의 밀도와 비례한다. 예를 들어, 그 밀도는 Lo의 초기 분포가 균일한 경우 균일하게 된다.In the first embodiment, the wedge device 10 shown in FIG. 2A has a uniform index in the wedge layer 12, has a width A (z) A o -Cz and z is tapered linearly. Thereafter, L (z) A (z) becomes approximately constant due to adiabatic constant along the zigzag ray path. When L = L o and the ray starts at z = 0, (A o -C · z) L (z) becomes approximately equal to L o A o . L = cosθ c where θ c is the critical angle = [1- (n 2 / n 1 ) 2 ] 1/2 where light rays leak out of the wedge layer 12. Therefore, the conditions for leaving the wedge layer 12 are A o -C · z = L o A o / cosθ c . This occurs at z = (A o / C) (1-L o / cosθ c ). As a result, the ray density radiated on the z axis is proportional to the density of the ray in the initial direction cosine L o . For example, the density becomes uniform when the initial distribution of L o is uniform.

제2 실시예에서, 인덱스 프로파일은 더이상 균일하지 않고 x 및 z축 모두에서 저감된다. z축에서의 저감 정도가 x축에서보다 느린 경우, 광선 경로는 여전히 거의 주기적이며, 상기 단열 불변이 여전히 적용된다. 광선(24)이 z축으로 전달됨에 따라, x, nL 공간의 경로는 거의 주기적이다. 그러므로, L(z)의 최대치는 증가하며, 몇몇 z는 누설을 위한 임계값에 도달될 수도 있다. 누설을 위한 z 값은 인덱스(n) 프로파일에 좌우된다. 이것이 명시되면, 상술된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분석이 진행된다. 따라서, 포물선 인덱스 프로파일의 경우, 인덱스 프로파일은 -p <xp =n1 2=n2 0[1-2△]의 경우(여기서, |x| >p) n2(x)=n2 0[1-2△(x/p)2]형태를 갖는다. x=0에서의 임계각은 여전히 sin2θc=2△=1-(n1/n0)2로 주어진다. 우리가 n0를 가질 경우, 느리게 저감되는 z의 함수, x=0일 때의 기울기 θ는 Ψ nLdx의 단열 불변에 의해 느리게 증가되면서 θc가 감소되어 광선이 누출된다. 광선 분포는 인덱스 (n)가 z에 따라 얼마나 변하는지에 좌우된다.In the second embodiment, the index profile is no longer uniform and is reduced in both the x and z axes. If the degree of reduction in the z-axis is slower than in the x-axis, the ray path is still almost periodic and the adiabatic invariant still applies. As ray 24 propagates along the z-axis, the path in the x, nL space is nearly periodic. Therefore, the maximum of L (z) increases, and some z may reach a threshold for leakage. The z value for leakage depends on the index (n) profile. If this is specified, the analysis proceeds as in the embodiment described above. Thus, for a parabolic index profile, the index profile is -p <xp = n 1 2 = n 2 0 [1-2Δ] where | x |> p) n 2 (x) = n 2 0 [ 1-2Δ (x / p) 2 ] form. The critical angle at x = 0 is still given by sin 2 θ c = 2Δ = 1− (n 1 / n 0 ) 2 . If we have n 0 , the slowly decreasing function of z, the slope θ at x = 0, is slowly increased by the adiabatic instability of Ψ nLdx, and θ c is decreased, resulting in light leakage. The ray distribution depends on how the index n varies with z.

[논웨지 테이퍼형 구조][Non-Wedge Tapered Structure]

가장 일반적인 경우에, 광이 임의의 형태의 층(예를 들어, 평행 육면체, 원통형 또는 비균일 웨지)으로 입사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기술된 원리는 동일한 방식으로 적용된다. 게다가, (x, y, z)에서 바라는 바와 같이 굴절률이 변하여 광을 외부에 출력하는 수단에 결합될 때 적절한 최종 결과에 도달한다.In the most common case, light can be incident on any type of layer (eg, parallelepiped, cylindrical or non-uniform wedge), and the principles described herein apply in the same way. In addition, the refractive index changes as desired in (x, y, z) to reach the proper final result when coupled to the means for outputting light externally.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방사 방향 r으로 테이퍼되는 디스크형 도광기(46)를 고려해보자. 원통형 극좌표에서의 방향 코사인은 kr, ke, kz이다. 이러한 도광기(46)로 전달되는 광(48)은 다음 관계를 만족한다:For example, consider a disc shaped light guide 46 tapering in the radial direction r shown in FIG. 5. Directional cosines in the cylindrical polar coordinates are kr, ke and kz. The light 48 delivered to this light guide 46 satisfies the following relationship:

Φknzdz - 상수 (단열 불변) (4)Φkn z dz-constant (insulation constant) (4)

nrkθ=상수 (각 운동량 보존) (5)nrk θ = constant (angular momentum conservation) (5)

단열 불변 조건은 웨지 장치(10)의 경우와 동일하며, 웨지 장치(10)와 관련된 이전의 논의가 도광기(46)에 적용된다. 각 운동 보존 조건은, 반경을 증가시킴에 따라 소스(47)로부터 외부로 광이 출사될때 kθ 값이 저감될 필요가 있다. 그러므로, 반경이 증가되는 방향으로 광이 시준된다. 이것은 웨지 장치(10)와 근본적으로 유사한 특징이 되게 하며 광(48)이 z방향은 따라 시준되는 면으로 선정된 각도로 광(52)으로 나오게 될 수 있다.The adiabatic constant conditions are the same as for the wedge device 10, and the previous discussion with the wedge device 10 applies to the light guide 46. In each kinetic preservation condition, the kθ value needs to be reduced when light is emitted from the source 47 to the outside as the radius is increased. Therefore, light is collimated in the direction of increasing radius. This results in a fundamentally similar feature to the wedge device 10 and allows the light 48 to exit the light 52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the surface collimated along the z direction.

도시를 위해, 우리는 일정한 굴절률을 갖는 가이드 재료를 사용하였다. 그러한 구조의 경우, 5B-5B선을 따라 절취한 양방향 횡단면을 따른 광선(48)은 상술된 것과 상응하는 웨지 장치(10)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작용한다. 유사하게, 소망의 광 조정 특성을 달성하는데 다양한 부가층(54 및 56) 및 다른 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크 도광기(46)의 경우, 양호한 면 어레이(56)는 디스크(46)와 동심인 일련의 원이다. 따라서, 면(56)의 단면이 선형이면, 광선(52)은 상술된 장치(10)에서와 같이 굴절률의 함수를 총 각도 2Ψ배 내로 시준되는 방향으로 나오게 된다.For illustration purposes, we used a guide material with a constant refractive index. For such a structure, the light rays 48 along the bidirectional cross-section cut along the lines 5B-5B act as in the case of the wedge device 10 corresponding to that described above. Similarly, various additional layers 54 and 56 and other means can be used to achieve the desired light adjusting characteristics. For example, in the case of the disc light guide 46, the preferred face array 56 is a series of circles concentric with the disc 46. Thus, if the cross-section of the face 56 is linear, then the ray 52 emerges in a direction collimating the function of refractive index within a total angle of 2Ψ as in the device 10 described above.

[인덱스가 낮은 2층을 구비한 테이퍼형 발광체][Tapered Light Emitting Device with Two Layers of Low Index]

도 6a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있어서, 장치(10)는 광학 굴절률 n1을 갖는 제1층(61) 및 적어도 하나의 경사각 Ψ을 설정하도록 집광되는 제1 또는 상부층면(62) 및 제2 또는 하부층면(64)을 포함한다. 제1층(61)은 또한, 상부층면(62) 및 하부층면(64)에 이르는 후면(65)을 포함한다.In another form of the invention shown in FIG. 6A, the device 10 comprises a first layer 61 having an optical index of refraction n 1 and a first or upper layer surface 62 condensed to set at least one inclination angle Ψ and A second or lower layer surface 64. The first layer 61 also includes a back surface 65 that leads to the upper layer surface 62 and the lower layer surface 64.

제1층(61)에 인접하여, 하부층면(64)에 인접 배치되거나 그 하부에 배치되며 굴절률 n2의 제1 중간층(66)과 같은 하부 투명층 수단과 같은 층 수단이 존재한다. 게다가, 층 수단은 상부 투명층 수단이며 상부층면(62)에 인접 배치된 굴절률 n2의 제2 중간층(81)을 구현할 수 있다. 층(66 및 81) 중 하나의 층은 적어도 에어 갭이거나 다른 기체 또는 투명 유전체 갭일 수 있다.Adjacent to the first layer 61, there are layer means, such as bottom transparent layer means, such as the first intermediate layer 66, which is disposed adjacent or below the lower layer surface 64 and has a refractive index n 2 . In addition, the layer means are upper transparent layer means and can implement a second intermediate layer 81 of refractive index n 2 disposed adjacent the upper layer surface 62. One of layers 66 and 81 may be at least an air gap or another gas or transparent dielectric gap.

인장시에(도시되지 않음) 층을 지지하거나 제1층(61)과 인접한 광 재지향층(70) 사이에 스페이서(68)를 배치하는 것과 같은 외부 지지부와 같은 종래 수단으로 에어 갭이 설정될 수 있다. 유사하게, 제1층(61)과 제2 광 재지향층(70) 사이에 스페이서(68)가 위치될 수 있다. 그렇지 않고, 층(66 및 81)을 구성하기 위한 투명 유전체에 고형 재료가 사용될 수 있으며, 구조적으로 완전하고, 강하며 조립이 용이하도록 개선될 수 있다. 그러한 고형 재료는 예를 들어, 솔-겔(n2=1.05-1.35), 플로폴리머(n2=1.28-1.43), 프로라이드 솔트(n2=1.38-1.43) 또는 실리콘-기재 폴리머 및 접착제(n2=1.40-1.45)를 포함할 수 있다. 투명 유전체용의 그러한 고형 재료는 그것을 지지하거나 유지할 수단을 분리할 필요가 없으며, 에어갭의 경우보다 인덱스가 높기 때문에 N.A. 수용도가 낮게 된다.Air gaps may be established by conventional means, such as external support such as supporting a layer upon stretching (not shown) or disposing a spacer 68 between the first layer 61 and the adjacent light redirecting layer 70. have. Similarly, a spacer 68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layer 61 and the second light redirecting layer 70. Otherwise, a solid material can be used in the transparent dielectric for constructing the layers 66 and 81 and can be improved to be structurally complete, strong and easy to assemble. Such solid materials include, for example, sol-gel (n 2 = 1.05-1.35), flopolymer (n 2 = 1.28-1.43), prolide salt (n 2 = 1.38-1.43) or silicon-based polymers and adhesives ( n 2 = 1.40-1.45). Such solid materials for transparent dielectrics do not need to separate the means for supporting or retaining them, and the NA acceptability is lower because the index is higher than in the case of air gaps.

층(66 및 81)은 제1층(61)으로부터 입사된 광을 전달시킨다. 이 실시예에서, 광의 일부는 상부층면(62)에 관련하여 θc를 달성하며, 광은 층(81)으로 입사되어 광 재지향층(82)에 의해 다시 처리된다. 나머지 광은 하부층면(64)에 관련하여 θc를 달성하므로, 층(66)으로 입사되어 광 재지향층(70)에 의해 다시 처리된다.Layers 66 and 81 transmit light incident from the first layer 61. In this embodiment, some of the light achieves θ c with respect to the upper layer surface 62, and the light is incident on the layer 81 and processed again by the light redirecting layer 82. The remaining light achieves [theta] c with respect to the lower layer surface 64, and therefore enters the layer 66 and is processed again by the light redirecting layer 70.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서(도 6a 참조), 층(66 및 81) 모두가 존재하며 유사하지만 상당히 상이한 인덱스 n2a및 n2b를 각각 갖는다. 인덱스는 웨지 각 Ψ과 크기가 유사한 접촉면(62 및 64)에서 임계값을 설정할 경우 유사한 것으로 고려된다. 예를 들어,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ee FIG. 6A), both layers 66 and 81 are present and have similar but significantly different indices n 2a and n 2b , respectively. The index is considered similar when setting thresholds at contact surfaces 62 and 64 that are similar in size to the wedge angle Ψ. E.g,

|arcsin(n2a/n1)-arcsin(n2b/n1)|<6Ψ (6)| arcsin (n 2a / n 1 ) -arcsin (n 2b / n 1 ) | <6Ψ (6)

이 경우, 광의 중요한 부분들(동일하지는 않음)이 각각의 층(66 및 81)으로 입사하여 각각 재지향층(70 및 82)에 의해 후속 처리된다. 두 개의 굴절율 n2a및 n2b중 큰 쪽의 층으로 큰 부분이 입사한다. 재지향층(70)은 층(66)으로 입사하는 단편만을 처리한다. 그러므로, 광의 출력 각도 분포에 대한 재지향층(70)의 영향은 굴절율 n2a및 n2b간의 관계를 변동시킴으로써 변화될 수 있다.In this case, important portions (but not identical) of light are incident into each layer 66 and 81 and subsequently processed by the redirecting layers 70 and 82 respectively. A larger portion enters into the larger layer of the two refractive indices n 2a and n 2b . The redirecting layer 70 processes only the fragments entering the layer 66. Therefore, the influence of the redirecting layer 70 on the output angular distribution of light can be changed by var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fractive indices n 2a and n 2b .

본 발명의 다른 양호한 실시형태에 있어, 층(66 및 81)은 굴절율 n2< n1인 동일한 투명 재질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n2의 값이 작으면 광 입사면에서 개구수를 증가시켜 장치(10)의 효율성이 향상된다. 그러므로, 층(66 및 81)이 (n2= 1-1.01 인) 공기나 다른 개스로 채워진 갭인 경우에 집광 효율성이 최대로 될 수 있다.In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layers 66 and 81 may be the same transparent material having a refractive index n 2 <n 1 . In general, a small value of n 2 increases the numerical aperture at the light incident surface, thereby improving the efficiency of the device 10. Therefore, the light collection efficiency can be maximized when the layers 66 and 81 are gaps filled with air or other gas (where n 2 = 1-1.01).

층(66 및 81)의 두께는 장치(10)의 출력 파워 공간 분포를 제어하거나 그 시각적 균일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선택적으로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층(81)의 두께를 0.002"-0.030" 증가시키면 비-균일성이 현저히 감소하는데, 이는 장치(10)의 두꺼운 단부에서 나타나는 경향이 있다. 층(66 및 81)의 두께는 출력되는 광의 원하는 공간 분포에 영향을 주도록 위치에 따라 완만하게 변동될 수 있다 (도 12l 참조).The thicknesses of layers 66 and 81 can be optionally changed to control the output power spatial distribution of device 10 or to improve its visual uniformity. For example, increasing the thickness of layer 81 by 0.002 "-0.030" significantly reduces non-uniformity, which tends to appear at the thick end of device 10. The thicknesses of layers 66 and 81 may vary gently with position to affect the desired spatial distribution of the light output (see FIG. 12L).

도 6a에 도시된 본 발명의 양호한 형태에서, 광 재지향층(70)은 층(66) 및 제1 층(61)을 통해 광을 반사시키는 반사층(71)을 포함한다. 광은 상층 표면(62)을 통해, 결국 광 재지향층(82)을 통해 제1 층(61)으로 출력되어 후속 처리된다. 반사층(71)은, 예를 들어, 평면 거울 반사기, 부분적인 또는 전체적인 발산 반사기, 마면 반사기(faceted reflector, 또는 다면화된 반사기)를 적절히 조합한 것일 수 있다.In a preferred form of the invention shown in FIG. 6A, the light redirecting layer 70 includes a reflective layer 71 that reflects light through the layer 66 and the first layer 61. Light is output through the upper surface 62 and eventually through the light redirecting layer 82 to the first layer 61 for subsequent processing. Reflective layer 71 may be, for example, a combination of a planar mirror reflector, a partial or total divergent reflector, a faceted reflector, or a polyhedral reflector.

평면 거울 반사기를 사용하면. 층(81)내의 각도 분포가 가장 좁아진다. 그러므로, 원하는 출력 각도 분포가 단일형태인 경우 광 재지향층(82)의 설계에 평면 거울 반사기가 이용될 수 있다. 발산 반사기 또는 마면 반사기는 넓은 범위의 각도 분산을 달성하거나 (도 4h 및 4i 참조), 균일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도 4n 참조) 층(71) 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발산 반사기는 원하는 각도 분포가 넓은 "테일(tails)"을 갖는 경우 바람직하다 (특히, 도 4i 참조). 마면 반사기는 층(81)에서 이중 형태 각도 분포를 생성할 수 있다 (도 4h 참조). 그러므로, 원하는 출력 각도 분포가 이중 형태인 경우 상기한 마면 반사기가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이중 형태 "배트웡(batwing)" 분포는 눈부심을 감소시키기 때문에 실내 조명용 조명기에 바람직하다.Using a flat mirror reflector. The angular distribution in layer 81 is the narrowest. Therefore, a planar mirror reflector can be used in the design of the light redirecting layer 82 when the desired output angle distribution is monolithic. The diverging reflector or the specular reflector can be used for the layer 71 to achieve a wide range of angular dispersion (see FIGS. 4H and 4I) or to improve the uniformity (see FIG. 4N). Is preferred if has a wide “tails” (see, in particular, FIG. 4I). The reflector may produce a dual shape angular distribution in layer 81 (see FIG. 4H). Therefore, the specular reflector described above is preferred when the desired output angular distribution is of dual form. For example, the bimodal “batwing” distribution is preferred for indoor lighting illuminators because it reduces glare.

일반적으로, 층(71)의 각진 마면은 재지향층(82)에 의한 후속 처리를 위해 층(66) 및 제1 층(61)을 통해 반사되는 광의 각도 분포를 제어할 수 있는 형상으로 만들어 질 수 있다. 장치(10)내의 각도 분포는 재지향층(82)으로부터 주변으로 출력되는 광의 각도 분포에 영향을 준다. 예를 들어, 굴곡진 마면을 사용하여 각도 분포를 원만하게 확장하는 한편 발산 효과를 제공하여 균일성을 개선할 수 있다. 반사층(71)은 출력 파워 공간 분포와 각도 분포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반사층(71)의 반사도, 경면 반사도, 기하학적 형태는 원하는 출력 분포를 달성하도록 위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술한 바와 같이, 반사층(71)의 각 성분의 경사도를 위치 함수로서 약간 변동시키면 광 출력 분포는 상당히 변동한다.In general, the angular surface of layer 71 can be made into a shape capable of controlling the angular distribution of light reflected through layer 66 and first layer 61 for subsequent processing by redirecting layer 82. have. The angle distribution in the device 10 affects the angular distribution of light output from the redirecting layer 82 to the periphery. For example, curved curved surfaces can be used to smoothly expand the angular distribution while providing divergence effects to improve uniformity. The reflective layer 71 may affect the output power spatial distribution and the angular distribution. The reflectivity, specular reflectivity, and geometry of the reflective layer 71 may vary with location to achieve the desired output distribution. For example, as described above, if the inclination of each component of the reflective layer 71 is slightly varied as a function of position, the light output distribution fluctuates significantly.

광 재지향층(82)은 굴절율 n3> n2을 가지며, 사실상 투명 또는 반투명이다. 저 굴절율 층(81)의 광은 층(82)으로 입사하여 주변쪽으로 재지향된다. 투과성 재지향층(82)도 재지향층(71)의 반사에 의해 처리된 다음 저 굴절율 층(66) 및 제1 층(61)을 통해 역으로 전달되는 광을 재지향시킨다. 층(82)의 투과성 및 기하학적 형태는 장치(10)의 출력 공간 분포에 영향을 주도록 위치에 따라 변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양호한 형태에 있어, 재지향층(82)은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 굴절율 층(81)과의 접촉면에서 다면화된 표면을 포함한다. 층(82)으로 들어가는 광은 각진 마면(85)의 한 측면(84)에서 굴절된 다음 각각의 마면(85)의 제2 측면(86)에서 내부적으로 전반사된다. 본 발명의 한 형태에서, 재지향층(82)은 3M 코포레이션이 판매하는 3M 코포레이션의 상표인 "투명 직각 필름(Transparent Right-Angle Film)" (이하, TRAF)으로 만들 수 있는다. TRAF는 굴절 및 내부 전반사를 통해 입사광을 대략 90도 각도 방향 전환하도록 동작하는데, 이는 전형적인 LCD 백라이트 분야에서 바람직한 것이다. 종래 기술의 TRAF의 허용 각도는 약 21도인데, 이 정도면 저 굴절율 층(81)으로 입사하는 광의 많은 부분을 재지향하기에 충분하다. 본 발명의 다욱 양호한 형태로써, 전술한 굴절에 내부 전반사를 더한 매카니즘을 통해 저 굴절율 층(81)으로 입사하는 광(75)의 더 많은 부분을 재지향하도록 마면 각도가 선택된다. 마면의 표면(84 및 86) 또는 이들중 하나는 출력 각도 분포를 제어할 수 있는 형상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굴곡진 마면을 사용하여 분포를 원만하게 확장시키는 한편 광 발산 효과를 제공하여 균일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light redirecting layer 82 has a refractive index n 3 > n 2 and is substantially transparent or translucent. Light in the low index layer 81 enters layer 82 and is redirected towards the periphery. The transmissive redirecting layer 82 is also processed by the reflection of the redirecting layer 71 and then redirects the light transmitted back through the low refractive index layer 66 and the first layer 61. The permeability and geometry of layer 82 may vary with location to affect the output spatial distribution of device 10. In a preferred form of the invention, the redirecting layer 82 comprises a polyhedralized surface in contact with the low refractive index layer 81 as shown in FIG. 6A. Light entering the layer 82 is refracted at one side 84 of the angled face 85 and then totally internally reflected at the second side 86 of each face 85. In one aspect of the invention, the redirecting layer 82 may be made of "Transparent Right-Angle Film" (hereinafter TRAF), a trademark of 3M Corporation sold by 3M Corporation. TRAF operates to redirect the incident light approximately 90 degrees through refraction and total internal reflection, which is desirable in typical LCD backlight applications. The allowable angle of the prior art TRAF is about 21 degrees, which is sufficient to redirect a large portion of the light incident on the low refractive index layer 81. In a further preferred form of the invention, the angle is selected to redirect more of the light 75 incident on the low index of refraction layer 81 through a mechanism that adds total internal reflection to the aforementioned refraction. The corrugated surfaces 84 and 86 or one of them can be made into a shape that can control the output angular distribution. For example, curved curved surfaces can be used to smoothly expand the distribution while providing a light divergence effect to improve uniformity.

다른 양호한 실시예에서, 재지향층(82)의 마면 각도 표면을 점진적으로 변동시켜 전형적인 시야 거리에서 볼 때 위치에 따라 시야 각도의 변동을 보상할 수 있다. 이러한 보상 효과에 관해서는 도 2m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반사 마면층의 설계와 관련하여 상술한 바 있다. 굴절층 및 굴절/내부-반사층을 포함하는 임의의 다면화된 재지향층의 설계에도 유사한 원리를 적용할 수 있다. 이러한 점진적으로 변동되는 다면화된 층을 사용할 수 있는 실시예는, 예를 들어, 도 12e(층 140), 도 12g(층 152), 도 12h(층 166), 도 12k(층 186), 도 12n(층 210), 도 12o(층 228), 도 12p(층 246)에 도시되어 있다.In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the angular surface of the redirection layer 82 may be gradually varied to compensate for variations in viewing angle depending on location when viewed at typical viewing distances. This compensation effect has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design of the reflective masking layer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2M. Similar principles can be applied to the design of any faceted redirecting layer, including refractive layers and refractive / inner-reflective layers. Embodiments in which such progressively varying polyhedralized layers can be used are described, for example, in FIGS. 12E (layer 140), FIG. 12G (layer 152), FIG. 12H (layer 166), FIG. 12K (layer 186), FIG. 12n (layer 210), FIG. 12O (layer 228), and FIG. 12P (layer 246).

본 발명의 다른 형태로써, 층(66 및 81)은 유사하지만 약간 다른 굴절율 n2및 n2' 을 각각 가질 수 있다. 제1 층(61) 및 두 개의 층(66 및 81) 사이의 접촉면과 연관된 임계 각도가 제1 층 수렴 각도 이상으로 다르지 않다면, 장치(10)의 동작 원리는 사실상 유사하다.In another form of the invention, layers 66 and 81 may have similar but slightly different refractive indices n 2 and n 2 ′, respectively. If the critical angle associated with the contact surface between the first layer 61 and the two layers 66 and 81 does not differ by more than the first layer convergence angle, the operating principle of the device 10 is substantially similar.

|arcsin(n2'/nl) -arcsin(n2/n1)|<Ψ (7)| arcsin (n 2 '/ n l ) -arcsin (n 2 / n 1 ) | <Ψ (7)

그러므로, 이 경우 거의 동일한 부분의 광이 층(66 및 81)으로 입사하여 각각 재지향층(70 및 82)에서 후속 처리된다.In this case, therefore, light of substantially the same portion is incident on layers 66 and 81 and subsequently processed in redirecting layers 70 and 82, respectively.

본 발명의 모든 형태에는 도 2c에 점선으로 도시된 출력 발산층(40) 또는 도 6a에 도시된 투과성 또는 반투명성 발산층(83)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발산층(40)은 표면 발산기, 체적 발산기, 또는 적어도 일부분의 실린더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렌티큘러 어레이"로 알려짐)로 될 수 있다. 상기 층(40 및 83)은 광 균일성을 증가시키거나 각도 분포를 주변으로 확장시킬 수 있다. 렌티큘러 어레이는 표면 또는 체적 발산기에 비해 백-스캐터링이 적으며, 시준 광선에 의해 조사될 때 예리한 출력 각도 컷-오프를 가지므로, 더 유익하다. 렌티큘러 어레이는 각각의 실린더형 마이크로 렌즈의 축 방향으로 주행할 부분만을 우선적으로 발산시킨다.All forms of the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n output diverging layer 40 shown in dashed lines in FIG. 2C or a transmissive or translucent diverging layer 83 shown in FIG. 6A. In general, the diverging layer 40 may be a surface diverger, a volume diverter, or at least one micro lens array (also known as a “lenticular array”) having at least a portion of a cylinder. The layers 40 and 83 can increase light uniformity or extend the angular distribution around. Lenticular arrays are more beneficial because they have less back-scattering than surface or volume diverters and have sharp output angle cut-off when irradiated by collimating rays. The lenticular array preferentially diverges only portions to travel in the axial direction of each cylindrical micro lens.

도 10에 도시된 양호한 실시예에서, 광 재지향층(10)은 출력 광이 고도로 시준되도록 편평한 마면(111)을 사용한다. 적절한 춧점비를 갖고 그 실리더형 마이크로 렌즈가 y-축에 대략 평행하게 주행하는 렌티큘러 발산기(112)를 포함함으로써 원하는 출력 각도 분포를 더 제어할 수 있다. 렌티큘러 발산기(112)는 일반적으로 y-축 방향으로 주행할 비-균일성을 발산시킨다. 이 실시예에서, 제2 렌티큘러 확산기(113)를 포함시켜 일반적으로 z-방향으로 주행할 비-균일성을 발산시킬 수 있다. 상기 제2 렌티큘러 발산기의 마이크로 렌즈는 z-축과 대략 평행하게 주행한다(도 12h 및 12n 참조). 발산기(112 및 112)의 위치 설정 순서는 광학적 이점을 손상시키지 않고도 상호 교환될 수 있다. 유사하게, 렌티큘러 발산기(112 및 113)는 반전될 수 있으며, 도 10에 도시된 볼록형 대신 오목형일 수 있다. 이러한 변경이 세부적인 성능에 영향을 줄 수도 있지만, 발산층(112 및 113)은 여전히 전술한 일반적인 이점을 제공할 수 있다.In the preferred embodiment shown in FIG. 10, the light redirecting layer 10 uses a flat mask surface 111 so that the output light is highly collimated. The desired output angular distribution can be further controlled by including a lenticular diverter 112 having an appropriate aperture ratio and whose cylinder-type microlenses travel approximately parallel to the y-axis. The lenticular diverter 112 generally emits non-uniformity to travel in the y-axis direction. In this embodiment, a second lenticular diffuser 113 may be included to dissipate non-uniformity that would generally travel in the z-direction. The microlenses of the second lenticular emitter travel approximately parallel to the z-axis (see FIGS. 12H and 12N). The order of positioning of the emitters 112 and 112 can be interchanged without compromising the optical advantage. Similarly, lenticular diverges 112 and 113 may be inverted and concave instead of convex as shown in FIG. 10. Although this change may affect detailed performance, the diverging layers 112 and 113 may still provide the general benefits described above.

도 11에 도시된 또 다른 실시예에서, 도 10에서의 평판 마면형(다면형) 광 재지향층(110, flat-faceted light redirecting layer) 및 병렬 렌티큘러 확산기(112, parallel lenticular diffuser))의 기능 모두는 곡선형 마면들(예를 들어, 곡선형 마면들을 도시하는 도 2h, 2m 및 3a 참조)이 있는 광 방향 수정층(114)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들 곡선 마면층들은 광의 방향을 수정하고, 적절한 마면 곡률을 가짐으로써 출력되는 각을 제어하고, y 축의 일반적 방향에서 비균일한 진행을 위해 확산기로서 역할을 한다. 단일층 내에서 이 기능들을 결합하여, 다수의 구성 요소들이 감소되어, 두께, 비용 및 제조 능률을 개선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단일 렌티큘러 확산기(115)가 없었다면 일반적인 z 축 방향에서 진행할 것으로 보이는 잔유 비균일성을 확산하기 위하여 단일 렌티큘러 확산기(115)가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형태의 렌티큘러 확산기 마이크로 렌즈는 대략적으로 z 축에 평행하게 진행한다. 주목해야 할 것은 렌티큘러 확산기(115)가 반전되어 도 10에 도시된 볼록한 곡률이 아닌 오목한 곡률을 가질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변경들이 성능에 영향을 미칠 수는 있지만, 114와 115에서의 층들은 이러한 변경을 의도적으로 수행한다.In another embodiment shown in FIG. 11, the functionality of both the flat-faceted light redirecting layer (110) and the parallel lenticular diffuser (112) in FIG. Can be performed by the light direction correcting layer 114 with curved surfaces (see, for example, FIGS. 2H, 2M and 3A showing curved surfaces). These curved surface layers control the angle output by modifying the direction of light, having the appropriate surface curvature, and serve as diffusers for non-uniform progression in the general direction of the y axis. By combining these functions within a single layer, many of the components can be reduced, improving thickness, cost and manufacturing efficiency. In this embodiment, a single lenticular diffuser 115 may be included to spread the residual non-uniformity that would otherwise proceed in the normal z-axis direction without the single lenticular diffuser 115. This type of lenticular diffuser microlens runs approximately parallel to the z axis. It should be noted that the lenticular diffuser 115 may be inverted to have a concave curvature rather than the convex curvature shown in FIG. 10. While these changes may affect performance, the layers at 114 and 115 intentionally perform these changes.

다중 마이크로 구조형 층들을 사용하는 모든 실시예에서, 상술한 이 층들의 마면이나 렌즐릿 간격들은, 층들간의 바람직하지 못한 므아르 상호 작용을 방지하기 위하여, 비합리적인 비율을 갖도록 액정 디스플레이와 함께 선택될 수 있다.In all embodiments using multiple microstructured layers, the facets or lenslet spacings of these layers described above can be selected with a liquid crystal display to have an unreasonable ratio to prevent undesired MAR interactions between the layers. have.

유사한 렌티큘러 확산기들은 웨지형(쐐기형) 크로스 액션을 갖는 비웨지형의 기하학적 형태와 함께 사용되어, 확산기 단면들이 대략적으로 도 10 및 11에 도시된 바와 같을 경우에 유사한 장점을 제공한다. 그 일 예가 도 5에 도시된 테이퍼형(tapered) 디스크이다. 이 경우에, 도 10에서의 층(112)과 비슷한 렌티큘러 확산기는 그 축들이 디스크 회전축 주위의 동심원 내에서 움직이는 마이크로 렌즈를 가질 것이다. 도 10에서의 층(113) 및 도 11에서의 층(115)와 유사한 확산기는 그 축들이 디스크의 중심측으로부터 방사형으로 발산하는 마이크로 렌즈를 가질 것이다.Similar lenticular diffusers are used with non-wedge shaped geometries with wedge (wedge) cross action, providing similar advantages when the diffuser cross-sections are approximately as shown in FIGS. 10 and 11. One example is the tapered disc shown in FIG. In this case, a lenticular diffuser similar to layer 112 in FIG. 10 will have a micro lens whose axes move in concentric circles around the disk rotation axis. A diffuser similar to layer 113 in FIG. 10 and layer 115 in FIG. 11 will have micro lenses whose axes radiate radially from the center side of the disc.

[광원 및 커플러][Light source and coupler]

도 2a 및 b에 도시된 본 발명의 보다 양호한 형태에 있어서, 마면층(30)은 광의 방향을 광학적으로 수정하기 위하여 포함되었다. 마면들(34)은 층에 합쳐지거나 분리된 마면층이 될 수 있다. 이러한 마면층의 상세한 동작은 상술하였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 마면층(74)은 광원(76)과 제1 층(61) 사이에 위치될 수도 있다. 마면층(74)은 주위에 보다 밝고 균일한 출력광(80)을 제공하는 입력광(78)에 대해 조준 효과(collimating effect)를 제공하는 프리즘형 마면 어레이가 될 수 있다.In a more preferred form of the invention shown in FIGS. 2A and 2B, a masking layer 30 has been included to optically modify the direction of light. The floors 34 may be a floor layer that is joined to or separated from the layer. The detailed operation of this masking layer has been described above. As shown in FIG. 6A, the input masking layer 74 may be located between the light source 76 and the first layer 61. The mask layer 74 may be a prismatic mask array providing a collimating effect for the input light 78 which provides a brighter and more uniform output light 80 around it.

y 축에 평행한 선형 프리즘들은 입력 개구울에 보다 근접하게 일치시키는 입력 각 분포를 조절함으로써 균일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x 축에 평행한 선형 프리즘들은 출력 횡각 분포를 한계지을 수 있으며, 또한 형광 램프 광원으로 사용될 경우에 출력 명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들에 있어서, 광원의 확산이 기대되는데, 여기서 확산기(79)는 광 균일도를 향상시키는 빛을 확산하는 광 분포를 확산하는데 사용된다. 확산기(79)로는 렌티큘러 어레이가 바람직하며, 실린더형 렌즐릿은 y 축에 평행하다. 또한, 확산기(79)는 표준 표면이나 체적 확산기가 될 수 있으며, 이산적인 막일 수도 있고, 또는 웨지형 층(61)에 총체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다중 프리즘이나 확산기 막들은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막은 확산기(79)를 형성하고, 절단형 층(74)은 위치가 상호 변환되어 그 효과를 변화시킬 수 있다.Linear prisms parallel to the y axis can improve uniformity by adjusting the input angle distribution to more closely match the input aperture. Linear prisms parallel to the x-axis can limit the output transverse angle distribution and can also improve the output brightness when used as a fluorescent lamp light source. In other forms of the invention, diffusion of the light source is expected, where the diffuser 79 is used to diffuse a light distribution that diffuses light to improve light uniformity. As the diffuser 79 a lenticular array is preferred, with the cylindrical lenslets parallel to the y axis. Further, diffuser 79 may be a standard surface or volume diffuser, may be a discrete film, or may be collectively coupled to wedge-like layer 61. Multiple prism or diffuser films may be used in combination. This film forms diffuser 79 and the cut layer 74 can be transversely positioned to change its effect.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호한 형태에 있어서, 내부 전반사용 CPC 부(100)(복합파라볼릭 동심체)의 일부가 광원(76)과 제1 층(61)간에 삽입될 수 있다 (도 2l, 12o 및 12p 참조). CPC 부(100)는 입력광을 입력 개구율에 보다 근사하도록 입력광을 조절한다. CPC 부(100)는 제1 층(61)과 합체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nother preferred form of the invention, a portion of the total internal use CPC portion 100 (composite parabolic concentric) may be inserted between the light source 76 and the first layer 61 (FIGS. 2L, 12O and 12p). The CPC unit 100 adjusts the input light to more closely approximate the input light to the input aperture ratio. The CPC unit 100 is preferably formed by coalescing with the first layer 61.

도 7 및 8에 도시된 반사 소자들(92 및 94)은 각각 광원(76)으로부터 광-파이프 개구로 광 스루픗을 최소화하기 위한 형태로 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것은 광원(76)으로 되돌려지는 광 반사를 최소화하는 것과 같은데, 이것은 되돌려진 광을 부분적으로 흡수하는 것이다. 광원(76)은 실린더형인 것이 전형적이며, 투명 유리 덮개(93)로 둘러싸이는데, 각각은 도 7 및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원형 크로스 섹션을 갖는다. 이러한 예의 광원들은 형광관들 및 긴 필라멘트를 갖는 백열들을 포함한다. 광원(76)의 외경은 유리 덮개(93)의 내경 이하가 될 수 있다. 도 7은 광원 주위를 거울 반사형 중합체 막으로 감싸고, 이 막의 각 단부에서 웨지형 층(12)과 접촉하게 하므로써 형성된 종래의 U자형 반사기(92)를 도시한다. 전형적으로, 이 반사기 소자(92)는 대략적으로 웨지형 층(12)에 대향하는 광원(76)의 측면상의 원의 호 형태로 형성되고, 직선부들은 대략적으로 호의 각 끝점과 웨지형 층(12)을 접속시킨다. 반사기 소자(92)를 웨지형 층(12)에 결합하는 이와 같은 방식은 반사기 소자의 크로스 섹션에 예리한 코너가 없는 경우에 가장 용이하게 달성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광원(76)은 램프 효율을 감소시킬 수 있는 열적인 그리고 전기적인 커플링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웨지형 층(12)이나 반사형 막 중 하나와 접촉하는 것을 허용하지는 않는다.Reflecting elements 92 and 94 shown in FIGS. 7 and 8 may be arranged in a form to minimize light through from light source 76 to light-pipe openings, respectively. This is equivalent to minimizing light reflections returned to the light source 76, which partially absorbs the returned light. The light source 76 is typically cylindrical and is surrounded by a transparent glass lid 93, each having a circular cross section as shown in FIGS. 7 and 8. Light sources of this example include fluorescent tubes and incandescents with long filaments. The outer diameter of the light source 76 may be equal to or less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glass lid 93. FIG. 7 shows a conventional U-shaped reflector 92 formed by wrapping a mirror reflective polymer film around the light source and bringing it into contact with the wedge-shaped layer 12 at each end of the film. Typically, this reflector element 92 is formed in the form of an arc of a circle on the side of the light source 76 which is roughly opposed to the wedge-shaped layer 12, with the straight portions being approximately each endpoint of the arc and the wedge-shaped layer 12. ). This manner of coupling the reflector element 92 to the wedge-shaped layer 12 may be most easily achieved where there are no sharp corners in the cross section of the reflector element. In general, the light source 76 does not allow contact with either the wedge-like layer 12 or the reflective film to minimize thermal and electrical coupling that may reduce lamp efficiency.

도 8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형태에 있어서, 광원(76)으로 되돌아 오는 광의 부분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반사기 소자(94)가 설계되고 광원(76)이 배치될 수 있어서 효율을 증가시킨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적어도 반사기 소자(94)의 한 섹션은 각 점에서 반사기 소자(94)의 표면에서 수직으로 연장되는 선이 광원(76)의 원형 크로스 섹션에 접하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른 반사기 형태는 광원(76)의 인볼루트(involute)로서 알려져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8, the reflector element 94 can be designed and the light source 76 can be arranged so as to minimize the portion of the light returned to the light source 76 to increase efficiency. In one preferred embodiment, at least one section of reflector element 94 is formed such that at each point a line extending perpendicular to the surface of reflector element 94 abuts the circular cross section of light source 76. The reflector shape accordingly is known as the involute of the light source 76.

인볼루트가 최대 효율을 제공하는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다른 형태들이 보다 용이하게 제조될 수 있다. 중합체 막들은 상술한 바와 같이 거의 반원인 호를 포함하는 완만한 곡선 내로 용이하게 휘어질 수 있다. 광원(76)의 크로스 섹션과 반사기 소자(92)의 반원형 섹션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한 중심을 갖는 경우에, 반사기 소자(92)의 반원형 섹션은 광원(76)으로 모든 입사광들을 되돌리기 때문에 효율을 낮게 한다는 것이 보여질 수 있다. 이러한 비효율성은 자기 흡수형 원형 광원과 동심성 반원형 반사기들의 일반적인 특성이다. 이러한 일반적 특성은 단순히 광선 추적이나 비대칭 불변의 원리로부터 유도될 수 있다. 반사기 소자(92)가 완전한 원형이 아니더라도, 광원(76)의 크로스 섹션이 그 반사기 섹션의 곡률의 중심 부근에 중심이 있다면, 반사기 소자(92)의 각 부분은 빛을 광원(76)으로 되돌리는 경향이 있다.Where involutes provide maximum efficiency, other forms may generally be easier to manufacture. Polymeric membranes can easily bend into a gentle curve that includes an almost semicircular arc as described above. In the case where the cross section of the light source 76 and the semi-circular section of the reflector element 92 have the same center as shown in FIG. 7, the semi-circular section of the reflector element 92 returns all incident light to the light source 76. It can be seen that the efficiency is lowered. This inefficiency is a common characteristic of self-absorbing circular light sources and concentric semicircular reflectors. This general characteristic can be derived simply from the principle of ray tracing or asymmetry invariant. Although the reflector element 92 is not perfectly circular, if the cross section of the light source 76 is centered near the center of curvature of the reflector section, each portion of the reflector element 92 returns light to the light source 76. There is a tendency.

또 다른 양호한 실시예에 있어서, 도 8에서의 반사기 소자(94)의 크로스 섹션은 하나 이상의 거의 원형인 호들을 포함하며, 그 효율은 반사기 소자(94)의 곡률의 중심으로부터 떨어진 광원(76)의 중심에 위치시킴으로써 증가된다. 광선 추적 및 실험은 이러한 양호한 실시예들이 하기의 규칙들을 사용하여 결정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In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the cross section of the reflector element 94 in FIG. 8 includes one or more nearly circular arcs, the efficiency of which is determined by the light source 76 being away from the center of curvature of the reflector element 94. Increased by centering Ray tracing and experimentation show that these preferred embodiments can be determined using the following rules:

1. 반사기 소자(94)의 크로스 섹션은 웨지층(12)(또는, 광 파이프)의 최대두께와 같은 x 방향 길이의 한계에서 최대치를 갖는다;1. The cross section of the reflector element 94 has a maximum at the limit of the x direction length such as the maximum thickness of the wedge layer 12 (or the light pipe);

2. 반사기 소자(94)의 크로스 섹션은 광학적으로 뾰족한 코너들을 갖지 않는다;2. The cross section of the reflector element 94 does not have optically pointed corners;

3. 반사기 소자(94)의 곡률 반경은 가능한한 크게 한다;및3. The radius of curvature of the reflector element 94 is made as large as possible; and

4. 광원(76)은 웨지층(12)으로부터 가능한한 멀게 배치하지만, 제조시 최악의 변경을 방지하기 위해 반사기 소자(94)로부터 충분히 멀리한다.4. The light source 76 is placed as far from the wedge layer 12 as possible, but far enough from the reflector element 94 to prevent the worst change in manufacturing.

도 8은 내경 2 mm, 외경 3 mm인 광원(76), 웨지층(12)(또는, 광 파이프)의 두께 5 mm, 및 반사기 소자(94)와 글래스 덮개(93)의 외경간의 간격으로 0.25 mm를 허용하는 제조 공차에 대하여 상술한 설계 규칙들을 만족하는 커플러의 일 예를 도시한다. 양호한 실시예 중 이 예에서는, 반사기 소자(94)의 곡률 반경은 2.5 mm이고, 광원(76)의 중심은 웨지층(12)의 개구로부터 0.75mm 정도 떨어져 위치된다. 이 설계에 따라 구성된 커플러는 도 7에 도시된 동심 커플러와 비교해 10-15% 정도 더 밝다.FIG. 8 shows a light source 76 having an inner diameter of 2 mm, an outer diameter of 3 mm, a thickness of 5 mm of the wedge layer 12 (or a light pipe), and 0.25 at intervals between the outer diameter of the reflector element 94 and the glass lid 93. An example of a coupler that satisfies the design rules described above for manufacturing tolerances that allow mm is shown. In this example of the preferred embodiment, the radius of curvature of the reflector element 94 is 2.5 mm and the center of the light source 76 is located about 0.75 mm away from the opening of the wedge layer 12. Couplers constructed according to this design are about 10-15% brighter compared to the concentric coupler shown in FIG.

전술한 인볼루트 및 U자형 반사기 소자들(92 및 94)은 개구 표면의 법선에 대하여 ±90˚로 접근하는 각들을 갖는 웨지층(12)의 개구로 빛을 출력하도록 설계 된다. 또 다른 양호한 실시예에서, 반사기 소자(94)는 장치(10)의 N.A.에 보다 근접하는 각 분포를 갖는 빚을 출력하기 위한 형태를 갖는다. 도 6b 및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사기 소자(94)의 형태들은 복합 파라볼릭 소스 반사기(86)와 비영상화 조명 소스 반사기(88) 등의 다른 기하학적 형태를 포함한다. 소스 반사기(88)의 일예는 본 명세서에서 참조적으로 설명되는 본 출원인에게 양도된 미국 특허 출원 제 07/732,982호에서 설명된다.The above-described involute and U-shaped reflector elements 92 and 94 are designed to output light to the opening of the wedge layer 12 with angles approaching ± 90 ° with respect to the normal of the opening surface. In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the reflector element 94 is shaped to output a debt having an angular distribution closer to the N.A. of the device 10. As shown in FIGS. 6B and 6C, the shapes of reflector element 94 include other geometric shapes such as composite parabolic source reflector 86 and non-imaging illumination source reflector 88. One example of a source reflector 88 is described in US patent application Ser. No. 07 / 732,982, assigned to Applicant, which is described herein by reference.

도 6d, 12l, 12n 및 12o에 도시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웨지층(90)은 웨지형 크로스 섹션 중 다양한 선택부에 대해 웨지꼴 크로스 섹션의 두께를 변화시킴으로써 비단조(non-monotonic)를 갖는다. 이러한 크로스 섹션을 조절하여 출력되는 광 분포가 제어된다. 또한, 고유 광원 효과뿐만 아니라 광경계 효과도 원하지 않는 이상(anomalies)을 갖는 출력 광 분포를 주도록 결합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S. 6D, 12L, 12N and 12O, the wedge layer 90 may be non-forged by varying the thickness of the wedge-shaped cross section for various selections of wedge-shaped cross sections. -monotonic). By adjusting this cross section, the light distribution outputted is controlled. In addition, the intrinsic light source effect as well as the photoboundary effect can be combined to give an output light distribution with unwanted anomalies.

그러므로, 예를 들어 전형적으로 입력광을 수신하는 보다 두꺼운 단부 부근에서 웨지층(90)의 실제 크기에서의 비선형 변화를 갖는 웨지형 크로스 섹션을 제공하여 이러한 이상들을 보상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에 의해, 광 분포를 제어하기 위한 또 다른 자유도를 가질 수 있을뿐만 아니라 어떠한 경계 효과나 광원에 대하여 보상하기 위한 임의의 설계를 사실상 제공할 수 있다. 더욱이, 광의 분포를 수정하기 위해 전술한 방법으로 웨지층(90) 내에서 굴절률을 변화시킬 수 있으며, 또한 희망하는 광 분포 출력을 제공하기 위해 광 입력 이상을 보상할 수 있다.Thus, for example, we can compensate for these anomalies by providing a wedge-shaped cross section with a non-linear change in the actual size of the wedge layer 90, typically near the thicker end receiving the input light. This control not only has another degree of freedom to control the light distribution but can also virtually provide any design for compensating for any boundary effect or light source. Moreover, the refractive index can be varied within the wedge layer 90 in the manner described above to modify the distribution of light, and can also compensate for light input abnormalities to provide the desired light distribution output.

[조명 장치의 제조][Manufacture of lighting device]

본 발명의 한 형태에 있어서, 선택된 접착제들과 조명 절차를 주의 깊게 사용하여 장치(10)를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n1인 굴절률을 갖는 웨지층(12)은 n2인 굴절률을 갖는 제1 층(28)에 밀착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접착층(60, 도 3b 참조)은 웨지층(12)의 최하부면(16)에 밀착되어 결합된다. 일반적으로, 다양한 층들의 결합 순서는 임의대로 주어진 순서로 될 수 있다.In one form of the invention, the selected adhesives and lighting procedure can be used carefully to make the device 10. For example, the wedge layer 12 having a refractive index n 1 can be bonded to come into close contact to the first layer 28 having a refractive index of n 2. The adhesive layer 60 (see FIG. 3B) is tightly bonded to the bottom surface 16 of the wedge layer 12. In general, the order of joining the various layers can be in any order given.

층(12)을 층(28) 및 다른 이와 같은 층들에 적용시에, 제조 공정은 사실상 완곡한 접촉면들인 내부층 접촉면들의 형성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렇지 않으면, 서로 다른 굴절률을 갖는 층들간의 각각의 접촉면이 자신만의 특성 임계각을 갖는 반사면으로서 작용하기 때문에, 적당하게 배치된 이러한 내부층들이 성능을 열화시킬 수 있다. 접촉면들이 실질적으로 완만하다면, 불균일면들의 열화 효과는 무시된다. 그러므로, 장치(10)의 다양한 층들의 적층시에, 방법론적으로 상술한 완곡한 접촉면층들을 제공하는 접착제들 및/또는 결합 기술들을 사용하여야 한다. 적층 공정의 예들은 추가 접착층들없이 결합하고, 한 층을 도포한 다음 접착제가 있는 제2 층에 결합하고, 막층을 두개의 접착층들(서로 결합될 각 층면의 한면)에 적용하는 공정들을 제한없이 포함한다.When applying layer 12 to layer 28 and other such layers, the manufacturing process preferably includes the formation of inner layer contact surfaces that are substantially smooth contact surfaces. Otherwise, since each contact surface between layers having different refractive indices acts as a reflecting surface with its own characteristic critical angle, these inner layers suitably disposed may degrade performance. If the contact surfaces are substantially gentle, the deterioration effect of the nonuniform surfaces is ignored. Therefore, in the stacking of the various layers of the device 10, adhesives and / or bonding techniques that provide the methodically described smooth contact surface layers should be used. Examples of lamination processes include, without limitation, bonding without additional adhesive layers, applying one layer and then bonding to a second layer with an adhesive, and applying the membrane layer to two adhesive layers (one side of each layer side to be joined together). Include.

양호한 실시예에서, 층들의 적층은 그 잠재적인 접촉면의 거침이 광 분포를 왜곡하는 어떠한 추가적인 내부층이 없이 행해진다. 장치(10)에 대한 이러한 기하 형태의 예는 웨지층(12)과 제2 층(30) 사이의 액체층일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은 제1 층(29)(액체층 등)이 접착층으로서의 역할을 한다면 가장 잘 적용된다. 부분적으로든 전체적으로든지간에, 장치(10)의 다양한 층들의 결합 전과 결합 후 중 어느 한 시기에 접착제를 경화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웨지층(12)의 최하부면과 제2 층(30)의 상부면에 의해 광학적 접촉면이 정의된다.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stacking of layers is done without any additional inner layers whose potential contact surface roughness distorts the light distribution. An example of this geometry for device 10 may be a liquid layer between wedge layer 12 and second layer 30. This method works best if the first layer 29 (liquid layer, etc.) serves as an adhesive layer. Whether in part or in whole, the adhesive can be cured at any time before or after the joining of the various layers of the device 10. As such, the optical contact surface is defined by the bottom surface of the wedge layer 12 and the top surface of the second layer 30.

코팅이 접착층으로 사용되는 다른 실시예에서, 제1 층(28)은 제2 층(30)에 인가되는 코팅일 수 있다. 다음, 코팅막과 웨지층(12) 간에 접착제를 인가함으로써 제2 단계에서 코팅막은 웨지층(12)에 적층될 수 있다. 제2 층(30)이 전형적으로 연속적인 막 롤 형태로 공급되기 때문에, 낮은 인덱스 코팅을 직접 웨지층(12)에 인가하기 보다는 제2 층(30)에 인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제로, 이산 조각을 코팅하는 것보다는 이러한 연속 롤을 코팅하는 것이 비용에 더 효과적이다. 이 방법으로, 인가된 낮은 인덱스층의 두께를 제어하는 것이 더 편리하다.In another embodiment where a coating is used as the adhesive layer, the first layer 28 may be a coating applied to the second layer 30. Next, the coating film may be laminated to the wedge layer 12 in a second step by applying an adhesive between the coating film and the wedge layer 12. Because the second layer 30 is typically supplied in the form of a continuous film roll, it is desirable to apply a low index coating to the second layer 30 rather than directly to the wedge layer 12. Indeed, coating such continuous rolls is more cost effective than coating discrete pieces. In this way, it is more convenient to control the thickness of the applied low index layer.

다른 실시예에서, 제2 층(30)은 추가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제1 층(28)을 직접 부착하는 방식으로 제조된다. 예를 들면, 제2 층(30)은, 폴리머 재료층을 제1 층(28)에 인가한 다음, 이 재료를 소정의 제2 층 구조를 갖도록 주형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제1 층(28)은 제2 층(30)의 엔보싱 동안 캐리어막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엔보싱 공정 동안에 적절한 온도를 사용하여, 제2 층(30)은 제1 층(28)에 가열-휴즈될 수 있다. 이러한 가열-휴징은 거의 500℉이상에서 엔보싱함으로써 종래의 FEP 제1 층막을 사용하여 달성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the second layer 30 is made by directly attaching the first layer 28 without using additional adhesive. For example, the second layer 30 may be manufactured by applying a layer of polymer material to the first layer 28 and then molding the material to have a predetermined second layer structure. In another example, the first layer 28 can function as a carrier film during the enbossing of the second layer 30. Using an appropriate temperature during the enbossing process, the second layer 30 can be heat-fused to the first layer 28. This heat-fusing can be achieved using a conventional FEP first layer film by enbossing at nearly 500 ° F. or higher.

막과 두개의 접착제를 사용하는 다른 실시예에서, 제1 층(28)은 웨지층(12)에 적층되거나, 또는 두가지 유형의 접촉면들 간에 접착제를 사용하여 웨지층(12) 및 제2 층(30) 사이에 적층되는 막을 압출 성형 또는 주형될 수 있다. 전술된 해로운 광 산란을 최소화하기 위해, 접착층은 평탄하고 매끄러워야 한다. 막은 업계에 유용한 저렴한 형태로 낮은 인덱스 재료로서 얻어질 수 있다. 이러한 추가 접착층은 층들 각각 사이에 접착제를 갖는 다층 구성에 의해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using a membrane and two adhesives, the first layer 28 is laminated to the wedge layer 12, or using the adhesive between the two types of contact surfaces, the wedge layer 12 and the second layer ( The film laminated between 30) can be extruded or molded. To minimize the harmful light scattering described above, the adhesive layer should be flat and smooth. The film can be obtained as a low index material in an inexpensive form useful in the industry. This additional adhesive layer can increase the strength by means of a multilayer construction with an adhesive between each of the layers.

일반적인 접착제의 사용으로, 장치(10)의 성능은, 웨지층과 제1 층 간의 접착제 인덱스가 가능한한 제1 층(28)의 인덱스에 근접할 때 최적화된다. 웨지/접착제 접촉면에서의 임계각이 가능한한 낮을 때, 광은 장치(10)를 빠져나가기 전에 보다 저품질의 막 접촉면으로부터 떨어진 곳에서 최소의 반사를 겪는다. 또한, 막 표면의 거칠기 효과를 감소시키는 제1 층막의 표면에서의 인덱스 변화는 최소화된다.With the use of a general adhesive, the performance of the device 10 is optimized when the adhesive index between the wedge layer and the first layer is as close as possible to the index of the first layer 28. When the critical angle at the wedge / adhesive contact surface is as low as possible, light undergoes minimal reflection away from the lower quality film contact surface before exiting the device 10. In addition, the index change at the surface of the first layer film which reduces the roughness effect of the film surface is minimized.

마면들은 마스터 도구를 사용하여 몰드를 마이크로-머신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머싱은 적절한 모양의 다이아몬드 도구로 통제함으로써 실행될 수 있다. 마스터 도구는 전기 주형 또는 주형과 같은 공지된 기술에 의해 복제될 수 있다.The masks can be made by micro-machined the mold using a master tool. Machining can be carried out by controlling with a diamond tool of the appropriate shape. The master tool can be replicated by known techniques such as electric moulds or moulds.

각각의 복제 단계는 소정의 표면 모양을 반전시킨다. 이 때, 그 결과로 나타나는 몰드 또는 복제물은 제2 층(30)에서 소정의 모양을 엔보싱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직접 통제되는 표면이 또한 사용될 수 있지만, 상술된 엔보싱 방법은 바람직하다. "밀링" 공정은 화학적 에칭 기술, 이온 빔 에칭 및 레이저 빔 에칭을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Each replication step reverses the desired surface shape. At this time, the resulting mold or replica can be used to enboss the desired shape in the second layer 30. Directly controlled surfaces can also be used, but the enbossing method described above is preferred. It should be appreciated that the "milling" process may include chemical etching techniques, ion beam etching, and laser beam etching.

또 다른 기계적 제조 방법에서, 마면(34)(예를 들면, 도 2b 및 도 2m 참조)은 하나의 표면상에 소정의 마면(34)의 프로파일의 반전을 갖는 하드 도구를 사용하여 엔보싱 또는 주형과 같은 용접 공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따라서, 제조상의 문제는 적절한 도구를 머싱하는 물질에 의해 감소한다. 일반적으로, 머신된 도구는 템플레이트로서 사용되어, 주형 또는 엔보싱 공정에 실제 사용되는 도구를 형성한다. 도구들은 전형적으로 전기 주형에 의해 복제된다. 전기 주형은 표면 프로파일을 반전시키고, 전기 주형은 다른 전기 주형으로부터 형성될 수 있기 때문에, 임의의 수의 이러한 반전들은 달성되고 직접 머신된 "마스터"는 마면(3A) 또는 그 반전의 모양을 가질 수 있다.In another mechanical manufacturing method, the face 34 (see FIGS. 2B and 2M, for example) is enbossed or moulded using a hard tool having a reversal of the desired face 34 profile on one surface. It can be produced by a welding process such as. Thus, manufacturing problems are reduced by the materials that machine the appropriate tools. Generally, machined tools are used as templates to form the tools that are actually used in the mold or enbossing process. The tools are typically replicated by an electrical mold. Since the electric mold inverts the surface profile and the electric mold can be formed from other electric molds, any number of such inversions are achieved and the directly machined "master" can have the shape of the mask 3A or its inversion. have.

마면(34)의 도구는 단일-포인트 다이아몬드 머싱에 의해 제조될 수 있는데, 커프링 도구 및 작업물 간의 거리는 소정의 프로파일을 추적하기 위해 변화된다. 다이아몬드 커프링 도구는 매우 날까로워야 하지만, 대체로, 거의 임의의 프로파일이 생성될 수 있다. 소정의 설계는 또한 커프링 도구의 비제로 반경에 부합하도록 특정한 적응성을 요구할 수 있다. 곡선 마면이 요구되면, 원호는 제조를 용이하게 하는데 바람직하다. 커프링 도구는 잘린 기판을 통해 이동되고 도구의 유사한 모양을 갖는 그루브를 절단한다. 단일 다이아몬드 도구를 사용하여 전체 조각을 머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방법이 마면(34)의 "포커싱" 형태를 만드는데 사용될때, 가변 그루브 프로파일은 다양한 그루브 프로파일이 동일한 도구에 의해 머신될수 있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필요로 하는 모양 변화는 그루브 공간 및 깊이뿐 아니라, 도구의 각도를 변화시킴으로써 여전히 달성될 수 있다.The tool 34 of the face 34 may be manufactured by single-point diamond machining, where the distance between the cuffing tool and the workpiece is varied to track the desired profile. Diamond cuffing tools should be very sharp, but in general, almost any profile can be generated. Certain designs may also require specific adaptations to match the non-zero radius of the cuffing tool. If curved masks are required, arcs are preferred to facilitate manufacturing. The cuffing tool is moved through the cut substrate and cuts the groove having a similar shape of the tool. It is desirable to machine the entire piece using a single diamond tool. When this method is used to create the "focusing" shape of the mask 34, the variable groove profile must be designed so that various groove profiles can be machined by the same tool. The shape change required can still be achieved by varying the angle of the tool as well as the groove space and depth.

바람직하게 마면(34)의 설계는 일반적인 일부 제한 사항을 만족한다.Preferably, the design of the burr 34 satisfies some general limitations.

1. 위치의 함수로서 조명 각도 분포의 중심에서 거의 선형적인 변화. 전형적인 컴퓨터 화면의 상부에서 바닥까지 11˚± 5.5˚)의 변화가 효과적이다.1. A nearly linear change in the center of the illumination angle distribution as a function of position. A change of 11 ° ± 5.5 ° from the top to the bottom of a typical computer screen is effective.

2. 광 출력의 가변 각 분포의 폭은, 관찰자에게 거의 균일한 밝기를 달성하기 위해 로컬 조명에 거의 비례해야 한다. 이하 제공된 예들은 공간 분포가 거의 균일하여, 각도 콘은 거의 균일한 폭을 갖는다는 것을 도시한다.2. The width of the variable angular distribution of the light output should be nearly proportional to the local illumination to achieve an almost uniform brightness for the observer. The examples provided below show that the spatial distribution is nearly uniform, such that the angular cone has a nearly uniform width.

3. 마면들(38)의 그루브들 간의 공간은 회절 효과를 피하도록 총분히 크거나 충분히 불규칙적이어야 하며, LCD 패널에 사용될 때 모이어 패턴을 피하도록 선택되어야 한다. 실제로, 이들 요구 조건들은 허용된 공간 변화를 한정한다.3. The space between the grooves of the bevels 38 should be large or irregular enough to avoid diffraction effects and should be chosen to avoid moir patterns when used in LCD panels. In practice, these requirements define the allowed spatial variation.

장치(10) 제조시, 예를 들면, 시야각은 마면들(38) 각각의 틸트 및 굴곡에 의존한다. 포커싱은 위치 함수로서 마면 구조를 회전시킴으로써 달성된다. 500mm 떨어져서 본 150mm 화면의 예를 사용하여, 조명 콘은 상부에서 바닥까지 17˚(즉, ± 8.5˚)만큼 변화될 수 있다. 전형적인 재료인 아크릴, FEP인 경우, 이는 마면이 화면(89)의 상부에서 바닥까지 약 5.7˚만큼 회전하도록 요구한다(도 9b 참조).In manufacturing the device 10, for example, the viewing angle depends on the tilt and bending of each of the facets 38. Focusing is accomplished by rotating the horsepower structure as a function of position. Using the example of a 150 mm screen viewed 500 mm apart, the illumination cone can be varied by 17 degrees (ie ± 8.5 degrees) from top to bottom. In the case of a typical material acrylic, FEP, this requires that the mask surface rotates by about 5.7 ° from the top to the bottom of the screen 89 (see FIG. 9B).

설계의 제약 사항은, 제한 사항 (1)-(3)이 단일 도구로 다양하게 굴곡된 그루브를 머신할 필요성과 함께 조합될 때 기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정한 절단 깊이에서 일정한 각도 폭(제약 사항 #1)을유지하는 것은 그루브 공간 또는 그루브 깊이의 보상 변화를 요구한다. 상세하게는 그루브 공간의 선형 변화는, 각각의 곡선 반사기 마면의 일부(도 2m 참조)가 인접한 마면의 상부 에지에 의해 가려지도록 그루브를 절단하는 형태 도구가 밝기 변화를 무시할 만한 레벨로 감소시킬 수 있다. 이 공간 변화는 제약 사항 #3을 만족시키는데 층분히 작을 수 있다.The constraints of the design can result from the limitations (1)-(3) combined with the need to machine various curved grooves with a single tool. For example, maintaining a constant angular width (constrain # 1) at a constant cut depth requires a compensating change in groove space or groove depth. Specifically, the linear change in groove space can be reduced to a level where the shape tool that cuts the groove so that a portion of each curved reflector face (see FIG. 2M) is covered by the upper edge of the adjacent face is negligible. . This spatial variation can be quite small to satisfy constraint # 3.

다른 제조 방법은, 제1 층이 상술된 바와 같이 매우 얇을 수 있기 때문에 제1 층(28)의 기상 증착, 스퍼터링 또는 이온 빔 증착을 포함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층(30)은 (마스킹 및 층 증착과 같은) 도 2b에 도시된 마면층(30)을 형성하기 위해 제어가능하게 인가될 수 있다.Another manufacturing method may include vapor deposition, sputtering or ion beam deposition of the first layer 28 since the first layer may be very thin as described above. Likewise, second layer 30 may be controllably applied to form the surface layer 30 shown in FIG. 2B (such as masking and layer deposition).

[간단한 시준기 장치로서 웨지 도광판][Wedge Light Guide Plate as Simple Collimator Device]

가장 일반적인 실시예에서, 웨지층(12)은 간단한 시준 광 소자로서 조합 환경으로 기능할 수 있다. 실질적으로 투명한 웨지층(12)은 광 굴절율 n1을 갖고, 상부면(14) 및 최하부면(16)은 적어도 하나의 입사각 Ψ을 수립하도록 수렴한다(도 15 참조). 웨지층(12)은 또한 최상부면(14) 및 최하부면(16)을 연결하는 뒷면(20)을 포함한다. 웨지층(12)에 인접한 것은 공기 틈을 포함한 굴절률 n2을 갖는 투명한 제1 층(28)이다. 제1 층(28)에 인접한 것은 제2 층(30)의 마면(34)과 같이, 거울 반사층이다.In the most common embodiment, the wedge layer 12 may function in a combined environment as a simple collimating optical device. The substantially transparent wedge layer 12 has an optical index of refraction n 1 , and the top surface 14 and the bottom surface 16 converge to establish at least one incident angle Ψ (see FIG. 15). The wedge layer 12 also includes a back side 20 connecting the top face 14 and the bottom face 16. Adjacent to the wedge layer 12 is a transparent first layer 28 having a refractive index n 2 including an air gap. Adjacent to the first layer 28 is a mirror reflective layer, such as the face 34 of the second layer 30.

실질적으로 비시준광은 소오스(22)에 의해 뒷면(20)을 통해 도입된다. 광은, 입사각이 임계각 θc보다 작을 때까지각각의 광선이 상부 및 최하부면(14 및 16)에 대한 입사각을 감소시키며 웨지층(12) 내에 전달한다. 일단 각도가 θc보다 작으면, 광선은 대기로 출사한다. 최하부면(16)을 통해 출사하는 광선은 웨지층(12)으로 역반사된 다음 대기로 출력된다. 상술된 각도-필터링 효과에 의해, 출력광은 거의 다음 수학식에 표현된 각도 폭의 콘 내에서 시준된다.Substantially non-collimated light is introduced through the back side 20 by the source 22. Light propagates in the wedge layer 12 with each ray decreasing the angle of incidence to the top and bottom surfaces 14 and 16 until the angle of incidence is less than the critical angle θ c . Once the angle is less than θ c , the light beam exits into the atmosphere. Light rays exiting through the bottom surface 16 are reflected back to the wedge layer 12 and then output to the atmosphere. By the above-described angle-filtering effect, the output light is collimated within the cone of the angular width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equation.

△θ1/2(n2-1)1/4 Δθ 1/2 (n 2 -1) 1/4

조명될 영역(99)은 웨지층(12)의 단부를 벗어나고 실질적으로 거의 상기 정의된 폭의 큰 △θ내에 위치한다.The region 99 to be illuminated is beyond the end of the wedge layer 12 and is located substantially within a large Δθ of substantially the above defined width.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광-재지향 수단은 웨지층(12)의 단부를 벗어나 배치되고 상기 정의된 폭의 콘 △θ내에 실질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광-재지향 수단은 렌즈, 평면 거울 반사기, 또는 곡선 반사기일 수 있다. 광-재지향 수단은 조명될 영역에 광을 반사하거나 또는 굴절시킨다. 렌즈 확산기와 같은 이러한 재지향 수단에 대한 다른 세부사항과 용도가 이하 설명될 것이다.In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the light-redirecting means may be disposed beyond the end of the wedge layer 12 and substantially disposed within the cone Δθ of the above defined width. The light-directing means can be a lens, a planar mirror reflector, or a curved reflector. The light redirecting means reflects or refracts the light in the area to be illuminated. Other details and uses for such redirecting means, such as lens diffusers, will be described below.

두개의 공기 틈 또는 투명한 유전체층을 갖는 도 6의 실시예에서, 광 재지향층은 독립적이므로, 다른 유형의 층들을 갖는 장치를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광이 장치(10)의 양 측으로부터 출사될 때 또는 최대 시준이 요구될 때마다 두개의 전송 재지향층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두개의 재지향층에 대한 모든 발명의 재지향층(82)의 예들은 도 12의 예들을 포함하는데, 여기서 괄호안의 문자는 도 12의 적절한 도면에 대응한다. 즉,(a) 도 12a에서 회절 격자(120) 또는 홀로그램(122),(b) 도 12B에서 확산기(126)를 갖는 두개의 굴절 마면층들(124), (c) 웨지층(12)으로부터 출력된 광을 굴절시키고 내부로 반사하도록 설계된 마면들(120)을 갖는 두개의 마면층(128), 이러한 마면들(130)은 굴절만에 의한 각도보다 큰 각도를 통한 광 출력을 전환시킬 수 있으며, (d) 두개의 굴절 단일 마면층(132)(프리즘), (e) 포커싱을 위한 곡선 출력면(136)을 갖는 굴절 단일 마면층(134)을 갖는 웨지층(12)을 위한 상부면 재지향층이다. 최하부면(138)은 마면층(140)을 사용하여 광을 굴절시키고 내부로 반사하기 위한 재지향층을 포함하며, 마면 각도는 F에서 출력광(142)을 포커스하기 위해 위치에 따라 변화되며, (f) 굴절 마면층(146)으로 구성된 상부면 재지향층(144) 및 광의 좁은 각도 출력을 갖는 굴절/내부 반사층(148)으로 구성된 바닥 재지향층, 및 확산기 층(150)은 광 출력 각 분포를 매끄럽게 넓히기 위해 추가될 수 있으며, (g) 출력 각 분포를 넓히도록 볼록하게 휘어진 굴절면(154)을 갖는 굴절/내부 반사 마면층(152)의 상부면 재지향층, 마면 각도는 위치에 따라 변화되므로, 광 출력 각도 콘에게 한정된 거리에서 바람직한 시야 영역을 생성하도록 선택적으로 지향하며, 이 구성은 곡선 마면층(152)에 의해 제거되지 않는 불균일성을 확산하는 트랜스버스 렌즈 확산기(156)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바닥 재지향층은 반사층(160)이 제어 방식으로 광 출력 각 분포를 넓히도록 볼록하게 휘어진 굴절/내부 반사 마면층(158)을 포함하며, (h) 제어 방식으로 출력 각 분포를 넓히고 균일성을 개선하기 위해 곡선 마면(164)를 갖는 굴절 마면층(162)을 포함하는 상부 재지향층, 좁은 각도 출력의 평탄한 마면들(168)를 갖고 한정된 거리에서 출력광을 포커스하기 위해 위치에 따라 변화되는 마면 구조를 갖는 굴절/내부 반사 마면층(166), 병렬 렌즈 확산기(170)는 제어 방식으로 출력 각 분포를 매끄럽게 넓히고 균일성을 개선하는데 사용될 수 있으며, 가상선으로 도시된 트랜스버스 이미지는 렌즈 확산기상에 인쇄되거나 또는 접착해서 기반이 될 수 있으며, 트랜스버스 렌즈 확산기(172)는 병렬 렌즈 확산기(170)에 의해 제거되지 않은 불균일성을 확산시키는데 사용된다. 포커스된 평탄한-마면층(166) 및 확산기(170)의 조합은 포커스된 곡선 마면의 사용과 유사하게, 한정된 거리에서 바람직한 시야 구역을 생성하도록 한다. 또한 도시되어 있는 것은 이와 함께 사용가능한 LCD 구성요소(173)(가상선) 및 임의의 다른 형태의 조명용 장치(10)를 제안한다.In the embodiment of FIG. 6 with two air gaps or transparent dielectric layers, the light redirecting layer is independent, thus making it possible to construct a device with other types of layers. For example, it is desirable to use two transmission redirecting layers whenever light is emitted from both sides of the device 10 or whenever maximum collimation is required. In general, examples of all inventive redirecting layers 82 for two redirecting layers include the examples of FIG. 12, where the letters in parentheses correspond to the appropriate figures in FIG. 12. That is, (a) from two refractive mask layers 124, (c) wedge layer 12 with diffraction grating 120 or hologram 122, (b) diffuser 126 in Figure 12B. Two mask layers 128 having surfaces 120 designed to refract and reflect the light output therein, such surfaces 130 can switch the light output through an angle greater than the angle by refraction alone. (d) two refractive single mask layers 132 (prism), (e) top surface redirecting for wedge layer 12 having refractive single mask layer 134 with curved output surface 136 for focusing. Layer. The bottom surface 138 includes a redirecting layer for refracting and reflecting light using the masking layer 140, the masking angle being changed depending on the position to focus the output light 142 at F, ( f) The bottom redirecting layer 144 consisting of the refractive mirror layer 146 and the bottom redirecting layer consisting of the refractive / inner reflecting layer 148 having a narrow angular output of light, and the diffuser layer 150 smoothing the light output angular distribution. Can be added to widen, (g) the top surface redirecting layer of the refractive / internally reflective mirror layer 152 having a refracting surface 154 convexly curved to widen the output angular distribution, so that the mask angle varies with position, The configuration may further include a transverse lens diffuser 156 that selectively directs the output angle cone to produce a desired field of view at a defined distance, which diffuses non-uniformities that are not eliminated by the curved masking layer 152. The floor redirecting layer includes a refracting / inner reflective masking layer 158 that is convexly curved so that the reflective layer 160 broadens the light output angle distribution in a controlled manner, and (h) widens the output angle distribution in a controlled manner and is uniform. A top redirecting layer comprising a refractive mask layer 162 with a curved mask 164, having a narrow angular output of flat masks 168 and varying with position to focus the output light at a defined distance. The refraction / inner reflective masking layer 166, the parallel lens diffuser 170, having a spherical structure, can be used to smoothly widen the output angular distribution and improve uniformity in a controlled manner. Printed or adhered to the gaseous base, the transverse lens diffuser 172 can be used to diffuse non-uniformities that are not removed by the parallel lens diffuser 170. It is. The combination of the focused flat-mask layer 166 and the diffuser 170 allows to create the desired viewing area at a limited distance, similar to the use of a focused curved mask. Also shown is an LCD component 173 (virtual line) and any other form of illumination device 10 usable with it.

다른 구조에서, 1 투과 및 1 반사 재지향층이 결합될 수 있다. 이들은 전술한 각종 투과 재지향층과 반사 재지향층의 결합이다. 반사 재지향층은 정반사층, 부분 난반사층, 난반사층, 마면층(faceted layer) 또는 이들의 결합일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일측에서만 조명이 요구되는 경우에 또는 최소 비용이 중요한 몇몇 경우에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조의 예로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i) 최하부면 정반사기(174)가 상층 투과 회절 격자 또는 투과 흘로그램(176)과 결합된 구조; (j) 최하부면 정반사기(178)가 최상부면 굴절 마면층(180), 난반사기(182)(도 12j에 가상선으로 도시됨) 및 삽입 화상 형성층(171)과 결합된 구조; (k) 최하부면 정반사기(184)가 상층 굴절/내부 반사 마면(다면)층(186)과 결합되고 마면(다면) 구조가 유한 거리에 출력광을 집광하도록 위치에 따라 변하며 가상선으로 도시된 난반사기(188)를 구비한 구조; (l) 최하부면 정반사기(190)가 최상부면 굴절/내부 반사 마면층(192)과 결합되고 다곡면(194)이 제어 방식으로 광의 각 출력을 점진적으로 확대하고 균일도를 향상시키는 데 사용되는 구조가 있다. 웨지 층(12)과 최상부면 및 죄하부면 저굴절률 층(196)(예컨대 에어갭)의 두께는 광출력 공간 분포에 영향을 미치도록 변하고; (m) 균일도를 개선하기 위하여 최하부면 반사기(198)는 부분정반사, 부분 난반사형이며; 도 12m은 통합 렌티큘라 난반사기(200)의 추가에 의해난반사가 제어될 수 있는 초기 반사부를 나타내고; 난반사기(200)는 두꺼운 단부근처에서 전반적인 y 측 방향으로 출력에 나타나는 불균일을 선택적으로 감소시키도록 설계되며; 굴절/내부 반사형이고 반사 곡면을 가진 최상부 재지향층이 또한 포함되며; (n) 하부 반사층(204)은 균일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부분 정반사, 부분 난반사층이고; 도 12n은 정반사를 감소시켜 두꺼운 단부(208) 근처에서 출력에 나타나는 불균일을 선택적으로 감소시키기 위하여 약간 거칠어진 초기 반사부(206)를 나타내며; 편평 마면층(212)을 구비한 굴절/내부 반사 상부 재지향층(210)이 사용되고, 다면 구조(마면 구조)는 각각의 면에서 유한 거리의 공통 초점으로 광을 재지향하도록 변하며; 횡 렌티큘라 난반사기(213)가 가상선으로 도시되어 있고; 평행 렌티큘라 난반사기(214)가 제어 방식으로 출력 각 분포를 점진적으로 확대시키는데 사용되어, 편평 마면층(212)의 초점 영역을 더 넓은 바람직한 시역으로 변환하며; 렌티큘라 난반사기(213)는 또한 균일도를 향상시키고; LCD 표시(216) 또는 다른 투명 화상이 가상선으로 도시되고; (o)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편심 결합기(218)는 도 120에 가상선으로 도시된 균일도 강화 렌티큘라 난반사기(220)를 사용한다. 수렴 테이퍼부(222) 또는 CPC(웨지층과 일체)가 웨지층(12)의 입력 N.A.와 더 근사하게 일치하도록 출력 각 분포를 변환한다. 웨지층(12)의 두께는 출력 공간 분포에 영향을 주어 균일도를 향상시키도록 점진적으로 변하며; 하부 재지향층(224)은 정반사 또는 부분 난반사 반사기이고; 상부 재지향층(226)은 제어 방식으로 출력각도를 점진적으로 확대시키도록 볼록화된 반사면(230)을 구비한 굴절/내부 반사마면(다면)층(228)이며; 마면(다면) 구조는 유한 거리에 바람직한 시야(232)를 형성하기 위하여 각 면으로부터의 광의 각 원뿔을 선택적으로 배향하도록 위치에 따라 변하고; 힁 렌티큘라 난반사기(234)가 가상선으로 도시되어 있으며; LCD 표시(236) 또는 다른 투명 화상이 또한 가상선으로 도시되어 있고; 재지향 및 저굴절률층은 고수렴부를 덮을 필요가 없기 때문에 고수렴 N.A.-정합부는 마면(다면) 재지향층과 결합되는 것이 유리하며; 따라서 장치(10)의 입력 개구(따라서 효율)는 장치의 총 두께의 최소 증가와 함께 증가하고; (p) LCD 백라이팅에 대한 또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도 12p에 가상선으로 도시된 균일성 강화 난반사기를 구비한 편심 결합기를 사용하며; 수렴 하프-테이퍼부(240) 또는 하프-CPC(웨지층(12)과 일체)는 웨지층(12)의 입력 N.A.에 더 근사하게 일치하도록 결합기 출력 각 분포를 변환시킨다. 또한, 난반사기(239)(가상선)가 광원(217)과 웨지층(12)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충분히 끝이 잘린 하프-CPC(240)는 바로 단순 테이퍼부이다. 부분 정반사, 부분 난반사의 하부 반사기(242)가 균일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도 12p는 정반사를 줄이기 위해 약간 거칠어지거나 일련의 평행 반사 그루브로 성형되어 더 두꺼운 단부 근처에서 출력에 나타나는 불균일을 선택적으로 감소시키는 초기 반사부(244)를 나타내며; 상부 재지향층(246)은 제어 방식으로 출력 각을 점차 확대시키도록 볼록화된 굴절면(250)을 가진 굴절/내부 반사 마면(다면)층(248)이며; 다면(마면) 구조는 유한 거리에 바람직한 시역을 형성하기 위하여 각 면으로부터의 광의 각 원뿔을 선택적으로 재지향하도록 위치에 따라 변하며; 횡 렌티큘라 난반사기(252)가 가상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또한, 가상선으로 도시된 LCD 표시(254) 또는 다른 투명 화상이 포함된다.In other structures, one transmissive and one reflective redirecting layer may be combined. These are combinations of the various transmissive redirecting layers and the reflective redirecting layer described above. The reflective redirecting layer may be a specular reflection layer, a partial diffuse reflection layer, a diffuse reflection layer, a faceted layer, or a combination thereof. This structure is desirable when lighting is required on only one side or in some cases where minimum cost is important. Examples of such a structure include: (i) a structure in which the bottommost specular reflector 174 is combined with an upper transmission diffraction grating or transmission flowchart 176; (j) a structure in which the bottom surface reflector 178 is combined with the top surface refractive mirror layer 180, the diffuse reflector 182 (shown in phantom in FIG. 12J), and the embedded image forming layer 171; (k) The bottommost specular reflector 184 is coupled with the top refracting / inner reflecting facet (face) layer 186 and the facet (facet) structure varies with position to focus the output light at a finite distance and is depicted in phantom lines. A structure having a diffuse reflector 188; (l) a structure in which the bottom surface reflector 190 is combined with the top surface refractive / inner reflective masking layer 192 and the curved surface 194 is used to gradually magnify each output of light in a controlled manner and to improve uniformity. There is. The thicknesses of the wedge layer 12 and the top and bottom surface low refractive index layers 196 (eg, air gaps) vary to affect the light output spatial distribution; (m) the bottom reflector 198 is partially specular, partially diffuse reflective to improve uniformity; 12M shows an initial reflector where diffuse reflection can be controlled by the addition of an integrated lenticular diffuse reflector 200; The diffuse reflector 200 is designed to selectively reduce unevenness appearing in the output in the overall y-lateral direction near the thick end; A top redirecting layer is also included that is refractive / internally reflective and has a reflective curve; (n) the lower reflective layer 204 is a partial specular reflection, a partial diffuse reflection layer to improve uniformity; 12N shows an initial reflector 206 that is slightly roughened to reduce specular reflection to selectively reduce unevenness in the output near the thick end 208; A refractive / internally reflective upper redirecting layer 210 with a flat mirror layer 212 is used, and the multi-faceted structure (masked structure) changes to redirect light at a common focal point of a finite distance on each side; Transverse lenticular diffuser 213 is shown in phantom; Parallel lenticular diffuser 214 is used to progressively enlarge the output angular distribution in a controlled manner, converting the focal region of flat mirror layer 212 to a wider preferred viewing field; Lenticular diffuse reflector 213 also improves uniformity; LCD display 216 or other transparent image is shown in phantom lines; (o) 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eccentric coupler 218 uses a uniformity enhanced lenticular diffuse reflector 220 shown in phantom in FIG. 120. The converging taper 222 or CPC (integrated with the wedge layer) converts the output angular distribution so that it more closely matches the input N.A. of the wedge layer 12. The thickness of the wedge layer 12 changes gradually to affect the output spatial distribution to improve uniformity; Lower redirecting layer 224 is a specular or partial diffuse reflection reflector; The upper redirecting layer 226 is a refractive / internal reflecting face (face) layer 228 with a convex reflecting surface 230 to gradually enlarge the output angle in a controlled manner; The face (face) structure varies with position to selectively orient each cone of light from each face to form the desired field of view 232 at a finite distance; Lenticular diffuse reflector 234 is shown in phantom; LCD display 236 or other transparent image is also shown in phantom lines; Since the redirecting and low refractive index layers do not need to cover the high converging portions, it is advantageous that the high converging N.A.-matching portions are combined with the mask (facet) redirecting layer; Thus the input opening (and thus efficiency) of the device 10 increases with a minimum increase in the total thickness of the device; (p)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for LCD backlighting uses an eccentric coupler with a uniformly enhanced diffuse reflector, shown in phantom in FIG. 12P; Converging half-taper portion 240 or half-CPC (integrated with wedge layer 12) transforms the combiner output angular distribution to more closely match the input N.A. of wedge layer 12. In addition, a diffuse reflector 239 (virtual line)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light source 217 and the wedge layer 12. The fully cut half-CPC 240 is a simple taper. The bottom reflector 242 of partial specular reflection, partial diffuse reflection is used to improve uniformity. FIG. 12P shows an initial reflector 244 that is slightly roughened or shaped into a series of parallel reflective grooves to reduce specular reflection to selectively reduce unevenness appearing in the output near thicker ends; Upper redirecting layer 246 is a refractive / internally-reflected surface (side) layer 248 having a convex surface 250 that is convex to gradually enlarge the output angle in a controlled manner; The multifaceted (facet) structure varies with position to selectively redirect each cone of light from each face to form a desired field of view at a finite distance; Transverse lenticular diffuser 252 is shown in phantom lines. Also included are LCD displays 254 or other transparent images shown in phantom lines.

재지향 고굴절률층은 고수렴부를 덮을 필요가 없기 때문에, 고수렴 N.A.-정합부(예컨대 하프-테이퍼부(240))는 마면 재지향층과 결합되는 것이 유리하며, 따라서 장치(10)의 수광 개구는 총 두께를 증가시키지 않으면서 증가된다. 장점은 또한 도 12o에 도시된 완전 테이퍼부(222)에 의해 주어진다. 그러나, 이에 비해도 12p의 하프-테이퍼부(240)는 동일한 N.A.-정합 효과에 대해 테이퍼 방향으로 더긴 대신에 일측에서 더 큰 두께 감소를 제공한다. 최상부면 저굴절률층은 균일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더 두꺼워질 수 있기 때문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께 감소를 일측에 집중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코너 주위의 반사막을 굽힐 필요 없이 하부 반사층이 결합기 반사기 공동에 일체화될 수 있기 때문에 더욱 쉽게 제조될 수 있으며; (q) 하부 정반사 또는 난반사층(256)이 또 다른 실시예에서 단일면 굴절 상부층(258)과 결합될 수 있으며(도 12q 참조); (r) 내부 조명용의 경우, 이중 "배트-웡(bat-wing)" 각 광분포가 바람직하며; 도 12r에 면(264)을 구비한 상부 굴절층(262)이 도시되어 있는데, 이는 각 출력을 점차 확대하고 균일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굽은 정면을 가지며 출력 광은 주로 전방 사분면을 향하며; 하부 반사층(268)은 주로 상부 재지향층의 후면을 통해 광을 반사시키며 출력은 실질적으로 후방 사분면을 향한다.Since the redirecting high refractive index layer does not need to cover the high converging portion, it is advantageous that the high converging NA-matching portion (such as half-taper portion 240) is combined with the redirection layer so that the light receiving opening of the device 10 is It is increased without increasing the total thickness. The advantage is also given by the full taper 222 shown in FIG. 12O. However, in contrast, the half-taper portion 240 of 12p provides greater thickness reduction on one side instead of longer in the taper direction for the same N.A.-matching effect. Since the topmost low refractive index layer may be thicker to improve uniformity, it may be desirable to focus the thickness reduction on one side as shown. This structure can be made easier because the lower reflective layer can be integrated into the combiner reflector cavity without having to bend the reflective film around the corners; (q) lower specular or diffuse reflection layer 256 may be combined with single-sided refractive top layer 258 in another embodiment (see FIG. 12Q); (r) for internal lighting, double "bat-wing" angle light distribution is preferred; An upper refractive layer 262 with a face 264 is shown in FIG. 12R, which has a curved front to gradually magnify each output and improve uniformity and the output light is mainly directed to the front quadrant; Lower reflective layer 268 reflects light primarily through the backside of the upper redirecting layer and the output is directed substantially toward the rear quadrant.

당해 분야에 공지된 바와 같이, 도면에 도시된 각종 소자는 테이퍼 조명 장치의 소자와 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두 가지 결합 구성의 예가 도 13 및 14에 도시되어 있는데, 각 도면은 또한 도시된 구조에 고유한 특징을 포함한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웨지(276)는 결합되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결합은 2개의 광원이 동일한 총 면적에 광을 공급할 수 있기 때문에 동일한 크기를 가진 단일 웨지보다 더 높은 휘도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장치에서 휘도는 증가하지만, 2개의 광원은 하나의 광원에 필요한 전력의 2배를 요구하기 때문에 효율은 비슷하다. 면(274)을 가진 재지향막(272)은 도시된 바와 같이 양 방향으로부터 수광하는 단일 대칭 설계일 수 있다. 대안으로, 재지향막(272)은 버터플라이의 각 웡에 대해 다른 설계를 가질 수 있다.As is known in the art, the various elements shown in the figures can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 elements of the tapered lighting device. Examples of two combination configurations are shown in FIGS. 13 and 14, each drawing also including features unique to the structure shown. As shown in FIG. 13, the two wedges 276 may be combined and integrally formed. This combination can provide higher brightness than a single wedge of the same size because the two light sources can supply light to the same total area. In these devices the brightness increases, but the efficiency is similar because the two light sources require twice the power required for one light source. Redirect film 272 with face 274 may be of a single symmetrical design that receives light from both directions as shown. Alternatively, the redirecting film 272 may have a different design for each shock of the butterfly.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테이퍼 디스크(270)의 3차원 해석이 도 14에 도시되어 있는데, 각종 층의 외관을 나타내기 위해 절단되어 있다. 마면 재지향층(280)은 광 파이프부(284)의 축에서의 갭 위에 놓인 광원(288) 바로 위에서 재지향층(280)이 렌즈(예컨대 프레넬 렌즈(280)가 도시됨)의 형태를 취한다. 광원(288)의 바로 아래에는 광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광을 광 파이프부(284) 안으로 또는 렌즈를 통해 재지향하도록 배치된 반사기(290)가 있다. 반사기에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가 제공되어 와이어 또는 광 파이프와 같이 소자의 통과를 허용한다.A three-dimensional analysis of tapered disc 270 as shown in FIG. 5 is shown in FIG. 14, cut to show the appearance of the various layers. The redirection layer 280 takes the form of a lens (eg Fresnel lens 280 shown) with the redirection layer 280 directly above the light source 288 overlying the gap in the axis of the light pipe portion 284. . Just below the light source 288 is a reflector 290 disposed to prevent light from leaking and to redirect light into the light pipe portion 284 or through the lens. The reflector is provided with at least one opening to allow passage of the device, such as a wire or light pipe.

[화상 형성층 또는 착색층의 사용][Use of image forming layer or colored layer]

본 발명의 모든 실시예는 화상을 형성하기 위해 가변 투과율을 갖거나 각 출력의 적어도 일부를 착색시키는 하나 이상의 층을 포함할 수 있다. 화상 형성층은 통상의 투명 표시와 같은 정지 화상, 또는 액정 디스플레이와 같은 선택 제어 화상을 포함할 수 있다. 화상 형성 또는 착색층은 재지향층 중 하나 위에 배치되거나, 대안으로 저굴절률층 중 하나와 관련 재지향층 사이의 중간층, 또는 재지향층의 내부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상부 화상 형성층(129)이 도 12c 및 12g에 가상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내부 화상 형성층(171)의 예가 도 12h 및 12j에 도시되어 있다.All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one or more layers having variable transmittance or coloring at least a portion of each output to form an image. The image forming layer may include a still image such as a normal transparent display, or a selection control image such as a liquid crystal display. The image forming or colored layer may be disposed over one of the redirecting layers or may alternatively comprise an intermediate layer between one of the low refractive index layers and the associated redirecting layer, or an internal element of the redirecting layer. For example, the upper image forming layer 129 is shown in phantom in FIGS. 12C and 12G. Examples of the inner image forming layer 171 are shown in Figs. 12H and 12J.

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화상 형성층(예컨대 129 및 170)은 폴리머 분산 액정(PDLC)층이다. 층들의 적절한 배열을 통해 화상 또는 칼라는 장치로부터 출력 각 분포의 선택부 안에 투사될 수 있다. 화상 또는 선택된 칼라는 출력 각 분포의 잔여부에는 실질적으로 없을 수 있다.In one preferred embodiment, the image forming layers (such as 129 and 170) are polymer dispersed liquid crystal (PDLC) layers. With proper arrangement of the layers an image or color can be projected from the device into the selection of the output angular distribution. The image or selected color may be substantially absent in the remainder of the output angular distribution.

[LCD 패널 조명용 이중 반사 웨지][Double Reflective Wedges for LCD Panel Lighting]

몇몇 응용예에서, 주변광 또는 액티브 백라이팅에 의해 선택적으로 단일 LCD 패널을 조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응용예에서 주변 조명은 표시에 의한 전력 소모를 최소화하기 위해 양호하게 조명된 환경에서 선택된다. 유효 주변 조명이 너무 낮아 적당한 표시 화질을 제공할 수 없는 경우에는 액티브 백라이팅이 선택된다. 이러한 선택적인 이중 동작 모드는 액티브 모드에서 LCD를 효율적으로 백라이트할 수 있고 주변 모드에서 주변광을 효율적으로 반사시킬 수 있는 후면 조명 장치를 필요로 한다.In some applications, it is desirable to illuminate a single LCD panel selectively by ambient light or active backlighting. In this application the ambient lighting is chosen in a well lit environment to minimize power consumption by the display. Active backlighting is selected when the effective ambient lighting is too low to provide adequate display quality. This optional dual operation mode requires a back lighting device that can efficiently backlight the LCD in the active mode and reflect the ambient light efficiently in the ambient mode.

가장 많이 보급된 종래 기술의 이중-모드식 액정 디스플레이(bi-modal liquid crystal display)는, 도 16b에 도시된 것과 같은 "투과 반사형 디스플레이(transflective display)(101)"이다. 이 방식은 통상적인 백라이트(102)와 투과성 LCD 패널(103), 및 부분적으로는 반사성이고 부분적으로는 투과성인 중간층(104)을 이용한다. 적절한 주변광 모드 성능을 얻기 위해, 중간층은 전형적으로 80 - 90%의 반사율을 가져야 한다. 이로 인한 낮은 투과율은 투과 반사형 디스플레이(101)가 활성 모드의 동작에서 비효율적이게 한다.The most prevalent prior art bi-modal liquid crystal display is a "transflective display 101" as shown in Figure 16B. This approach utilizes a conventional backlight 102 and a transmissive LCD panel 103 and an interlayer 104 that is partially reflective and partially transmissive. To achieve adequate ambient light mode performance, the interlayer typically should have a reflectance of 80-90%. This low transmittance makes the transmissive reflective display 101 inefficient in the active mode of operation.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가 도 17에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는, 활성 모드에서 종래 기술의 투과 반사형 디스플레이보다 성능이 뛰어나며, 주변광 모드에서도 상당한 성능을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서, 최하부면(16)을 가지는 웨지층(wedge layer)(12)(굴절율 nl)이 굴절율 n2< n1인 투명층(28) -에어갭도 가능함- 에 결합된다. 도 1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리플렉터층(105)은, 예를 들어, 주변광 모드 전용으로 사용되던 종래의 LCD 패널에서 이용되던 리플렉터와 유사한 것이 바람직하다. 웨지층의 최상부면(14)에는, 초소형 렌즈를 구비하는 렌즈 확산기(20) 등의 마면된 재지향층(106, redirecting layer)이 y축에 거의 평행하게 놓여져 있다.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107)이 마면된 재지향층(106) 위에 놓인다. 웨지층(106)의 후면(20)은 광원(22)에 결합된다.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in FIG. This embodiment outperforms prior art transmissive reflective displays in active mode and exhibits significant performance even in ambient light mode. In this embodiment, a wedge layer 12 (refractive index nl) having a bottom surface 16 is bonded to a transparent layer 28, possibly with an air gap, with a refractive index n 2 <n 1 . As shown in Fig. 16A, the reflector layer 105 is preferably similar to the reflector used in the conventional LCD panel, for example, used exclusively for the ambient light mode. On the top surface 14 of the wedge layer, a masked redirecting layer 106, such as a lens diffuser 20 having a micro lens, is placed almost parallel to the y axis. The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107 overlies the masked redirecting layer 106. The backside 20 of the wedge layer 106 is coupled to the light source 22.

렌즈 재지향층(106)과 웨지층(12)은 실질적으로 입사 및 반사광에 대해 투명하기 때문에, 주변광 모드에서, 장치(10)는 종래의 주변광 모드 전용 디스플레이와 유사한 방식으로 동작한다. 활성 모드가 선택되면, 광원(22)이 활성화되고, 복수층이 전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층들의 굴절율과 수렴 각도 간의 관계에 의해 빛을 장치(10)에 걸쳐 실질적으로 균일하게 스프레딩한다. 이로 인한 균일한 조명이 웨지층(12)의 최상부면(14)을 통해 출사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주변광 모드의 성능을 최대화하기 위해, 리플렉터층(105)은 거의 거울과 같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최상부면으로부터 출사된 광은 LCD 디스플레이 패널(107)에 의한 투과에 적합하지 못한 그레이징 각도(grazing angle)에서 대량으로 출사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재지향층(106)은 이러한 빛의 일부를 굴절과 내부 전반사의 결합에 의해 재지향시킨다. 재지향층(106)은 적어도 빛의 10-20%가 LCD 법선으로부터 30도 미만의 각도로 재지향되도록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형적으로 이 각도 범위 내에서 LCD 투과율이 가장 높음). 종래 기술의 투과 반사형 디스플레이는 활성 모드의 동작에서 상당히 비효율적이기 때문에, 후방 조명(back-illumination)의 일부만을 적절한 각도로 재지향시키면 충분하다.Because lens redirecting layer 106 and wedge layer 12 are substantially transparent to incident and reflected light, in ambient light mode, device 10 operates in a manner similar to conventional ambient light mode only displays. When the active mode is selected, the light source 22 is activated and the plurality of layers spread light substantially uniformly across the device 10 b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fractive index and the convergence angle of the plurality of layers, as described above. This uniform illumination is emitted through the top surface 14 of the wedge layer 12. In the preferred embodiment, the reflector layer 105 is almost mirror like to maximize the performance of the ambient light mode. 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light emitted from the top surface is emitted in large quantities at a grazing angle which is not suitable for transmission by the LCD display panel 107. As noted above, the redirecting layer 106 redirects some of this light by the combination of refraction and total internal reflection. The redirecting layer 106 is preferably designed such that at least 10-20% of the light is redirected at an angle of less than 30 degrees from the LCD normal (typically the highest LCD transmittance within this angle range). Since prior art transmissive displays are considerably inefficient in active mode of operation, it is sufficient to redirect only a portion of the back-illumination at an appropriate angle.

[편광된 빛의 처리][Processing of Polarized Light]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서, 광학 장치(10)에 의해 처리된 빛은 고유의 편광(선편광, 회전 편광 및 타원 편광 등)을 가지며, 이러한 편광은 액정 디스플레이("LCD") 시스템으로부터의 조명 또는 편광된 빛의 이용에 의존하는 다른 출력을 개선하는 데 유리하게 사용될 수 있다. LCD를 채용하는 시스템에서, 한 종류의 편광된 빛(308)은 제거하고, 다른 종류의 편광된 빛만을 LCD 층에 전달할 필요가 있다.In another aspect of the invention, the light processed by the optical device 10 has inherent polarization (linear polarization, rotation polarization and elliptic polarization, etc.), which polarization is illumination or polarization from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system. It can be advantageously used to improve other outputs depending on the use of the light provided. In a system employing an LCD, one type of polarized light 308 needs to be removed and only another type of polarized light transmitted to the LCD layer.

도 30에 도시된 예시에서, 종래의 편광층(312)은 한 편광을 광원으로부터 입사된 광의 약 절반에 해당하는 양까지 선택적으로 흡수하고, 선택된 편광은 LCD 층(316)으로 전달한다. 적절한 편광으로 편광된 빛은 액정 및 제2 편광기(314)에 의해 원하는 방식으로 처리되어, 디스플레이된 대상의 형태를 제공한다. 이러한 종래의 시스템에서는, 광원으로부터 입사되는 광의 약 절반이 불필요한 것이 되며, 대상을 LCD 출력으로 제공하려는 목적에 이용되지 못한다. 결과적으로, (불필요한 편광을 제거하지 않고) 두 가지 유형의 편광된 빛을 모두 활용할 수 있는 수단이 발견될 수 있다면, 액정 디스플레이에 대해 효율과 밝기의 실질적인 이득이 얻어질 것이다. 본 발명은 부분적으로 이러한 점을 위한 것이며, 하기의 실시예들은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구성 및 방법이다.In the example shown in FIG. 30, the conventional polarization layer 312 selectively absorbs one polarization up to an amount corresponding to about half of the light incident from the light source, and the selected polarization passes to the LCD layer 316. Light polarized with appropriate polarization is processed in a desired manner by the liquid crystal and second polarizer 314 to provide the shape of the displayed object. In such a conventional system, about half of the light incident from the light source becomes unnecessary and cannot be used for the purpose of providing the object to the LCD output. As a result, if a means can be found that can utilize both types of polarized light (without removing unnecessary polarization), a substantial gain in efficiency and brightness will be obtained for the liquid crystal display. The present invention is in part directed to this point and the following examples are preferred configurations and methods for achieving this object.

편광 필터의 가장 개략적인 설명에서, 도 30b를 참조하면, 편광 필터층(307)의 기능은 타입 1 및 타입 2의 두 가지 편광 상태로 구성되는 입사광(308)을 이용하여, 편광 상태 (3) 및 (4)로 구성되는 투과광(309)과 편광 상태 (5) 및 (6)로 구성되는 반사광(311)을 생성하는 것이다. 이것은 이하에서 참조 번호 "제1" 및 "제2"와 연관되며, 상태 (1),(3) 및 (5)는 "제1 편광(218)"으로 칭해지고, 상태 (2), (4) 및 (6)은 "제2 편광(220)"으로 칭해진다. 따라서, 상태 (3) 및 (5)의 형태는, 그들이 편광 상태 (1)로 입사한 부분의 빛으로 인해 투과 및 반사되는 빛을 지정하도록 선택된 것으로 가정하고, 상태 (4) 및 (6)는 편광 상태 (2)와 연관된 것으로한다. 그러나, 편광 상태의 형태는 더 이상 특정한 방식으로 관련될 필요가 없다. 몇몇 스팩트럼 파장 범위에 걸친 입사 각도의 일부 범위와 입력 편광 상태의 특정선택 일부에 대해, 편광 필터층(307)은 특정한 총 전력 관계에 따라 입사광(308)을 처리하고, 출사광(309)을 생성한다. 각각의 편광 상태(i, i= 1,2,3,4,5,6)에서 전력 (Pi)을 정의하면, 조건은 다음과 같다.In the most schematic description of the polarization filter, referring to FIG. 30B, the function of the polarization filter layer 307 is to use the incident light 308 composed of two polarization states, type 1 and type 2, to form the polarization state 3 and It is to generate the transmitted light 309 composed of (4) and the reflected light 311 composed of the polarization states 5 and 6. This is associated with reference numerals "first" and "second" below, and states (1), (3) and (5) are called "first polarization 218", and states (2), (4 And (6) are referred to as "second polarization 220". Thus, the forms of states (3) and (5) assume that they have been selected to specify the light that is transmitted and reflected due to the light of the portion incident into the polarization state (1), and states (4) and (6) It is assumed that the polarization state is associated with (2). However, the shape of the polarization state no longer needs to be related in a particular way. For some ranges of incidence angles over some spectral wavelength ranges and some specific selections of input polarization states, the polarization filter layer 307 processes the incident light 308 in accordance with a particular total power relationship and generates output light 309. . If the power Pi is defined in each polarization state i, i = 1,2,3,4,5,6, the condition is as follows.

정의에 의해, 적절한 각도 및 스펙트럼 범위에서 상기 특성을 나타내는 층이 편광필터층(307)의 형태이다 일반적으로, 고려되는 편광상태는 선형, 회전 또는 타원형과 같은 임의의 유형일 수 있다. 후반부에서는, 다음과 같이 정의되는 편광 정도(PT)에 의해 편광 필터층(307)의 기능을 정량화할 것이다.By definition, the layer exhibiting this property at an appropriate angle and spectral range is in the form of a polarization filter layer 307. In general, the polarization state contemplated may be of any type, such as linear, rotational or elliptical. In the second half, the function of the polarization filter layer 307 will be quantified by the degree of polarization P T , defined as follows.

여기에서,From here,

이다. 무손실 층에 대해, 투과율은 다음 식에 의해 반사율 R과 연관된다.to be. For the lossless layer, the transmittance is associated with the reflectance R by the following equation.

여기에서,From here,

편광 필터층(307)에 대해, 상기와 같은 성질을 가지는 층 매체의 예는 다양하다. 이러한 예로는, (1) 코팅, 압출 성형, 또는 다른 공정에 의해 제조되고, 비복굴절성 또는 복굴절성 중 하나이며, 광학 간섭 코팅으로서 동작하도록 설계되는 박막층, (2) 대상의 스펙트럼 밴드의 임의의 위치에서 광학적으로 1/4 파장 이상 두껍고, 각도와 굴절율이 브루스터 각 조건과 정확하게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도 브루스터 스택으로서 동작하는 "두꺼운" 층, (3) 박막과 두꺼운 막 방식의 조합, 및 (4) 편광 의존 산란을 유발하고, 에칭, 엠보싱, 마이크로-머신화(micro-machining)등의 방법에 의해 생성되는 연관, 부분 연관 또는 비연관된 표면 거칠기 또는 프로필 중 한 가지 유형 이상의 층과,2색성 재료에 기초하는 층을 포함하는 예들이 있지만,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상기 예들 중 한 가지 유형 이상의 층에 의해 형성되는 집결층은, 편광 필터층에 대해 상술한 일반적인 기능 사양을 만족하기만 한다면 적절한 편광 필터층(307)이 된다.For the polarization filter layer 307, examples of the layer medium having the above properties are various. Examples include (1) thin film layers prepared by coating, extrusion, or other processes, either birefringent or birefringent, and designed to operate as optical interference coatings, (2) any of the spectral bands of interest "Thick" layers optically thicker than a quarter wavelength in position and acting as Brewster stack even when angle and refractive index do not exactly match Brewster angle conditions, (3) combination of thin and thick film methods, and (4) A layer of at least one type of associative, partially associative or unassociated surface roughness or profile that causes polarization dependent scattering and is produced by methods such as etching, embossing, micro-machining, etc. Examples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underlying layers. In general, the aggregation layer formed by one or more types of layers in the above examples is an appropriate polarization filter layer 307 as long as it satisfies the general functional specification described above for the polarization filter layer.

편광 필터층(307)의 구현은, 박막 또는 두꺼운 막의 복굴절 또는 비복굴절층중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복굴절층의 특정예 및 논의는 후에 제공된다.Implementation of the polarization filter layer 307 may be composed of one of a birefringent or non-birefringent layer of a thin film or a thick film. Specific examples and discussion of birefringence layers are provided later.

두꺼운 막 형태의 편광 필터층(307)의 한 실시예는, 도 30c에 도시된 바와 같은, 특정 설계의 중심 파장(6O) 및 특정 설계의 동작 각도(3inc)에 기초하고, 등방성 평면층에 기초한다. 이러한 설계 예시에서의 층(313)은 2가지 유형의 교대층 -각각 광학 굴절율 nH및 nL인 하이(H)층(314) 및 로우(L)층(315)으로 칭해짐- 을 포함한다. 스넬의 법칙으로부터, 입사각을 알면, 빛이 임의의 층(313)에서 이동하는 각도를 표면 법선(3L, 3H)에 대하여 층의 굴절율(ninc, nL, nH)의 식으로 알 수 있다. 이것은 다음과 같다.One embodiment of a thick film-shaped polarizing filter layer 307 is based on the center wavelength 60 of a particular design and the operating angle 3 inc of a particular design, as shown in FIG. 30C, and based on an isotropic planar layer. do. Layer 313 in this design example includes two types of alternating layers, referred to as high (H) layer 314 and low (L) layer 315, each having optical refractive indices n H and n L. . From Snell's law, knowing the angle of incidence, the angle at which light travels in any layer 313 can be found in terms of the refractive index of the layer (n inc , n L , n H ) with respect to the surface normals 3L, 3H. . This is

두개의 광학적으로 등방성인 영역 사이의 접촉면 상으로 입사하는 P 편광된 형태의 빛(317)에 대하여, 접촉면의 반사율이 0이되는 각도인 브루스터 각이 존재한다. 표면 법선에 대하여 측정한 이 각도(θH/L, θL/H)는, 다음과 같다.For P-polarized light 317 incident on the contact surface between two optically isotropic regions, there is a Brewster angle, the angle at which the contact surface reflects zero. These angles (θ H / L , θ L / H ) measured with respect to the surface normal are as follows.

브루스터 각에서 S 편광된 빛에 대한 접촉면의 반사율은 상당할 수 있다. 차별적으로 p 편광 상태를 투과시키는 층(313)은, 이러한 접촉면들을 1/4 파장의 광학적 두께만큼 이격시킴으로써 설계될 수 있다. 이러한 1/4 파장 두께(tL, tH)는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The reflectivity of the contact surface for S polarized light at Brewster's angle can be significant. The layer 313 that transmits the p polarization state differentially can be designed by separating these contact surfaces by an optical thickness of a quarter wavelength. This quarter wavelength thickness t L , t H is given by

H 및 L 굴절율이 설계 방정식에 의해 연관됨을 증명할 수 있다.It can be proved that the H and L refractive indices are related by the design equation.

예시로서 다음과 같은 특별한 경우를 생각하자.As an example, consider the following special case:

이것은, 저 굴절율층의 설계 굴절율과 저 굴절율층(314) 및 고 굴절율층(315)의 물리적인 두께가 각각 nL= 1.31, tL= 145nm, tH= 110nm이어야 함을 의미한다. nH= 1.5 및 nL= 1.31 각각에 대하여 스퍼터링된 유리 및 리튬 클로라이드를 이용하여 획득될 수 있다. 도 30c와 일치하게 설계가 이루어진 경우, 굴절율 1.5로 둘러싸인 층(313)을 이용하여, 공지된 라우어드 방법에 의해 반사율을 쉽게 계산할 수 있다. 외부 표면이 항상 반사 방지 코팅되기 때문에, 이러한 일치 가정은 상당이 일반적이다. 층(313)의 역할을 하는 다양한 베이스층의 반사율이 아래의 표 1에 나타나 있다.This means that the design refractive index of the low refractive index layer and the physical thicknesses of the low refractive index layer 314 and the high refractive index layer 315 should be n L = 1.31, t L = 145 nm, and t H = 110 nm, respectively. Can be obtained using sputtered glass and lithium chloride for n H = 1.5 and n L = 1.31, respectively. If the design is made consistent with FIG. 30C, the reflectance can be easily calculated by a known Lauard method using the layer 313 surrounded by the refractive index 1.5. Since the outer surface is always an antireflective coating, this consensus assumption is quite common. The reflectances of the various base layers serving as layer 313 are shown in Table 1 below.

유사한 대안적인 설계들이 다수 존재한다. 단일 굴절율 이상이 층(313)의 박막 구조의 일부로서 사용될 수 있다. 서라운딩 층이 반드시 공기일 필요는 없으며 저 굴절율 및 고 굴절율 층의 정확한 개수도 변경 가능하다. 캐리어 또는 기판은 다른 굴절율 값을 가질 수 있다. 층(313)은 설계 각도 및 파장에서 1/4 파장두께로부터 변경되어 스펙트럼 및 각 밴드폭을 개선시킬 수 있다. 실제로, 층(313)의 실시 가능성은 상당히 넓은 밴드가 될 수 있으며, 브루스터 각 설계는 굴절율 및 각도에서 고정밀도를 가질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굴절울을 변경시킴으로써, s- 반사율과 p- 투과율을 번갈아 사용할 수 있다. 전체 시스템은 기능 변화없이 플립될 수 있다.Many similar alternative designs exist. More than a single refractive index may be used as part of the thin film structure of layer 313. The surrounding layer need not necessarily be air and the exact number of low and high refractive index layers can also be changed. The carrier or substrate can have different refractive index values. Layer 313 may be changed from quarter wavelength at design angle and wavelength to improve spectral and angular bandwidths. In practice, the feasibility of layer 313 can be a fairly wide band, and Brewster's angle design need not have high precision in refractive index and angle. For example, by changing the refractive index, the s- reflectance and the p-transmittance can be used alternately. The entire system can be flipped without changing functionality.

바람직한 실시예의 변경은 상이한 굴절율의 층을 적어도 2개 포함한다. 이러한 배열은 nH와 nL이 nH/nL> 1.5의 관계를 가져서, 고도의 편광 선택성에 요구되는 층의 개수를 최소화한다. 또한, 굴절율 n이고, 두께 t가 50nm/(n2-1)1/2< t < 350nm/(n2-1)1/2인 적어도 하나의 층을 이용하여 성능을 향상시키는 데 광학 간섭이 사용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설명에서 tL및 tH에 관해 주어진 방정식에서, 파장이 400nm 내지 700nm의 가시 광선 범위에 있고, 입사각이 임계각에 가까워서 n sinθ∼1 이 성립하고, 광 파장의 1/8과 1/2 사이의 광학 두께를 가지는 층에 의해 광학 간섭 효과가 촉진된다는 점에 유의하여 이 관계를 유도할 수 있다. 이러한 층들을 제조하기 위한 재료 및 방법은 다층 유전체 코팅에 관한 기술 분야에 공지되어 있다.Modifications of the preferred embodiment include at least two layers of different refractive indices. This arrangement has a relationship where n H and n L have a relationship of n H / n L > 1.5, minimizing the number of layers required for high polarization selectivity. In addition, optical interference can be improved by using at least one layer having a refractive index n and a thickness t of 50 nm / (n 2 -1) 1/2 <t <350 nm / (n 2 -1) 1/2 . Most preferably used. In the equation given for t L and t H in the above description, the wavelength is in the visible light range of 400 nm to 700 nm, the angle of incidence is close to the critical angle, and n sinθ-1 is established, between 1/8 and 1/2 of the light wavelength. This relationship can be derived by noting that the optical interference effect is promoted by a layer having an optical thickness of. Materials and methods for making such layers are known in the art for multilayer dielectric coatings.

브루스터 스택 방식은, 층들이 파장의 수 배의 두께를 가지고 광학 간섭 코팅에서 발생하는 간섭 효과보다는 웨이브의 비간섭성 가산에 크게 기초하여 기능하는 경향이 있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상술한 박막 방식과 유사하다. 이러한 형태의 편광 필터층(307)의 설계는, 광학적으로 적어도 파장의 수 배이기만 하면 층 두께가 중요하지 않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상술한 박막 편광의 설계와 동일하다. 광학두께의 부족은 브루스터 스택 구현의 성능이 일반적으로 스펙트럼 파장 및 각 변화에 대해 덜 민감해야 한다는 것을 제안한다. 도 30d의 기하 평면의 N층 쌍의 집합들의 s 및 p 편광된 빛의 투과율(Ts, Tp)의 견지에서 정의된 투과율은 다음과 같은 근사 공식을 이용하여 추정될 수 있다.The Brewster stack approach differs from the thin film approach described above, except that the layers have a thickness several times the wavelength and tend to function based largely on the incoherent addition of the wave rather than on the interference effect that occurs in the optical interference coating. similar. The design of the polarization filter layer 307 of this type is the same as that of the thin film polarization described above, except that the layer thickness is not important as long as it is optically at least several times the wavelength. The lack of optical thickness suggests that the performance of the Brewster stack implementation should generally be less sensitive to spectral wavelengths and angular changes. The transmittance defined in terms of the transmittances (Ts, Tp) of the s and p polarized light of sets of N-layer pairs in the geometric plane of FIG. 30D can be estimated using the following approximation formula.

층 쌍의 수를 변화시켜가면서 기하 평면에 이 공식을 적용한 결과가 표 2에 나타나 있다.The results of applying this formula to the geometry plane with varying number of layer pairs are shown in Table 2.

일반적으로, 이러한 유형의 편광 필터층(307)은, 동일한 반사율에 대해 훨씬 큰 굴절율 차이와 더 많은 수의 층을 요구한다. 박막 설계와 브루스터 스택 방식 간의 확실한 경계는 없다. 두께가 증가함에 따라, 간섭 효과는 서서히 감소하며, 광 신호의 스팩트럼 밴드폭에 따라 달라지는 어느 지점을 넘어서는, 간섭 효과가 비간섭 효과에 비래 작아진다 여기에 설명된 예들은, 단지 간섭 및 비간섭 상황의 극단적인 경우들이다.In general, this type of polarization filter layer 307 requires a much larger refractive index difference and a greater number of layers for the same reflectance. There is no clear boundary between the thin film design and the Brewster stack approach. As thickness increases, the interference effect gradually decreases, and beyond some point depending on the spectral bandwidth of the optical signal, the interference effect becomes smaller than the non-interfering effect. The examples described here are merely interference and non-interfering situations. In extreme cases.

도 19는 편광 조명기 시스템(204)의 일 형태를 변형한 것을 도시한다. 특히, 도 19b에서 시스템(204)은 웨지 형상이고 광 굴절률 n을 갖는 단면적을 갖는 베이스층(206)과, 적어도 하나의 경사각 Φ를 정의하기 위해 수렴하는 제1면(208)과 제2면(210)을 포함한다. 베이스층(206)은 제1면(208)과 제2면(210)을 스패닝(spanning)하는 후면(211)을 더 포함한다. 후면(211)을 통해 소스(도시 안됨)에 의해 입사된 광(212)은 제1 및 제2면으로부터 반사되고 베이스층(216)을 통해 출사하는 데 이때, 광(212)은 상기 면(208 및 210)으로부터 각각 반사에 의한 상기 제1 및 제2 면의 법선 방향으로의 입사각이 베이스층(206)과 층(214)와 같은 제1층 수단과의 인터페이스 특성에 의해 임계각 3c미만으로 될 때까지 상대적으로 감소시킨다. 이러한 층(214)은 베이스층(206)에 비해 제2면(210)을 초과하여 위치하며 굴절율 n2가 n1보다 적은 층부분을 포함한다. 제1층(214)은 베이스층(206)에 있는 광(212)의 입사각이 베이스층(206)과, 층(214) 내의 굴절율 n2를 갖는 층부분과의 사이의 인터페이스 특성인 임계각 3c미만으로 될 때, 광(212)이 베이스층(206)으로 부터 출력된 다음 제1층(214)으로 입사될 수 있게 한다.19 illustrates a modification of one form of polarization illuminator system 204. In particular, in FIG. 19B, the system 204 is a wedge-shaped base layer 206 having a cross-sectional area having an optical index of refraction n, and a first surface 208 and a second surface (converging to define at least one inclination angle Φ). 210). The base layer 206 further includes a rear surface 211 that spans the first surface 208 and the second surface 210. Light 212 incident by a source (not shown) through the back surface 211 is reflected from the first and second surfaces and exits through the base layer 216, where the light 212 is the surface 208. And the angle of incidence of the first and second surfaces in the normal direction by the reflections from 210 respectively becomes less than the critical angle 3 c by the interface characteristics of the first layer means such as the base layer 206 and the layer 214. Until it is relatively reduced. This layer 214 is located beyond the second surface 210 relative to the base layer 206 and includes a layer portion having a refractive index n 2 less than n 1 . The first layer 214 has a critical angle 3 c that is an interface characteristic between the base layer 206 and the layer portion having the refractive index n 2 in the layer 214 with an incident angle of light 212 in the base layer 206. When below, light 212 can be output from base layer 206 and then incident to first layer 214.

또한 이러한 시스템(204)은 한 상태를 다른 상태와 비교하여 바람직하게 편광 처리하는 편광 필터층(216)(앞의 설명에서 편광 필터층(307) 참조)과 같은 층 수단을 포함한다. 또한 필터층(307)에 대해 설명된 샘플 외에도, 다른 예로서 복 굴절재인 편광 필터층(216)을 각 서브섹션에서 특정한 실시예의 내용으로 이하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9에서, 입사광(212)는 제1 편광된 광(218)과 제2 편광된 광(220)을 포함한다. 다음 바람직하게는 필터층(216)은 광(212)과 상호 작용하여 제2 편광 상태의 광(220)과 비교되는 제1 편광 상태의 광(218)을 출력한다. 이러한 필터층(216)은 베이스층(206)에 상대적인 제2면(210)을 지나 위치되고, 또한 필터층(216)은 광(220)의 적어도 일부를 반사할 수 있다. 이 반사광(220)은 제1층(214)과 베이스층(206) 둘다를 통하여 대기(air)와 같은 굴절율 n3의 매체(207)로 투과된다. 다른 광(218)은 편광 필터층(216)을 갖는 시스템(204)의 베이스층(206)으로부터 출력된다. 도 19b에서, 광(218)은 굴절율 n4의 매체(221)로 출력되도록 도시된다. 도 19b의 실시예에서, 굴절율 간의 관계식은 다음과 같다.This system 204 also includes layer means, such as polarization filter layer 216 (see polarization filter layer 307 in the foregoing description), which preferably polarizes one state compared to the other. In addition to the samples described for the filter layer 307, the polarization filter layer 216, which is a birefringent material as another example, will be described below in the context of a particular embodiment in each subsection. In FIG. 19, incident light 212 includes first polarized light 218 and second polarized light 220. Next, filter layer 216 preferably interacts with light 212 to output light 218 in a first polarization state compared to light 220 in a second polarization state. This filter layer 216 may be positioned past the second surface 210 relative to the base layer 206, and the filter layer 216 may also reflect at least a portion of the light 220. This reflected light 220 is transmitted through both the first layer 214 and the base layer 206 to the medium 207 of refractive index n 3 , such as air. The other light 218 is output from the base layer 206 of the system 204 with the polarization filter layer 216. In FIG. 19B, light 218 is shown to be output to medium 221 of refractive index n 4 . In the embodiment of FIG. 19B, the relation between the refractive indices is as follows.

n4≥n2그리고n 4 ≥ n 2 and

arcsin (n2/n1)-2Φ< arcsin(n3/n1) < arcsin (n2/n1) + 2Φ (9)arcsin (n 2 / n 1 ) -2Φ <arcsin (n 3 / n 1 ) <arcsin (n 2 / n 1 ) + 2Φ (9)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n2및 n3는 n이 대략 1인 대기층일 수 있다. 이와 동일한 굴절율 관계식이 도 19a에 적용될 수 있고, 도 19b는 이의 변형이며, 굴절률 n2로 된 제1층(214)은 편광 필터층(216)보다 베이스층(206)으로 부터 더 떨어져 위치해있다. 도 19b의 실시예서, 제1층(214)은 편광 필터층(216)보다 베이스층(206)에 더 근접해 있다.In a preferred embodiment, n 2 and n 3 may be atmospheric layers where n is approximately one. The same refractive index equation can be applied to FIG. 19A, where FIG. 19B is a variation thereof and the first layer 214 of refractive index n 2 is located further from the base layer 206 than the polarization filter layer 216. In the embodiment of FIG. 19B, the first layer 214 is closer to the base layer 206 than to the polarization filter layer 216.

도 19c에 도시된 다른 실시예에서, 굴절율은 이하의 수학식(10)과 같고, 그 결과 도 19a 및 1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면(208)을 통하여 출사되는 것보다는 계속하여 내부 반사를 하게 하는 제2 편광 상태의 광(220)으로 된다. 그리하여 굴절율 n3는 광(220)d1 필터층(216)에서 나타내는 광(220)의 바람직한 반사도 범위를 벗어나는 각도를 감소시킬 만큼 충분히 작아질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적어도 광(220)의 일부가 제2면(210)을 통과하지만 제1 편광 상태의 광(218)과는 상대적인 출력으로 분리된다. 도 19c의 실시예에서 굴절율은 다음과 같은 관계식을 갖는다.In another embodiment shown in FIG. 19C, the index of refraction is equal to Equation (10) below, resulting in continued internal reflection rather than being emitted through the first surface 208 as shown in FIGS. 19A and 19B. Light 220 of the second polarization state. Thus, the index of refraction n 3 can be small enough to reduce the angle outside the desired reflectivity range of the light 220 represented by the light 220 d1 filter layer 216. As a result, at least a portion of the light 220 passes through the second surface 210 but is separated at an output relative to the light 218 in the first polarization state. In the example of FIG. 19C, the refractive index has the following relationship.

n4≥n2그리고 arcsh(n3/n2) < arcsin(n2/n1)-4Φ (10)n 4 ≥n 2 and arcsh (n 3 / n 2 ) <arcsin (n 2 / n 1 ) -4Φ (10)

아주 바람직하게는 편광 필터층(216)은 광(218)을 출력하고 입사각이 수학식에서 큰 경우 광(220)을 반사한다.Very preferably the polarization filter layer 216 outputs light 218 and reflects light 220 when the incident angle is large in the equation.

θp=arcsin[1-4Φ((n1/n2)2-1)1/2] (11)θ p = arcsin [1-4Φ ((n 1 / n 2 ) 2 -1) 1/2 ] (11)

입사광의 각도가 3p보다 적어지면, 필터층(216)은 양 편광 상태의 광(즉, 광(218) 및 광(220))을 실지로 투과시킨다.When the angle of the incident light is less than 3p, the filter layer 216 actually transmits the light in both polarization states (ie, the light 218 and the light 220).

예를 들어 도 20a 내지 20c에서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시스템(204)은 도 20a에 도시된 광 반사층(222)과 같은 광 재지향 수단과, 좀더 일반적으로는 도 20b 및 20c에 도시된 바와 같은 광 재지향층(224)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장치(10)(도 20의 시스템(204))에서, 입사 광선이 전파하여 광 재지향층(224)으로부터 벗어나는 개념으로 광 재지향 수단을 정의 할 수 있다. 광선이 굴절율 ni를 갖는 광 매체에서 유닛 벡터 rc에 평행하게 전파하는 경우를 고려하자. u가 광선이 입사하는 지점에서 광 재지향층(224)에 직교하는 단위 벡터이고, 광 재지향층(224)으로부터 입사광이 시작되는 쪽으로 방향을 잡는다면, 입사 광선은 광 재지향층(224)과 상호 작용하여 광선이 상호 작용 영역으로부터 이탈하게 한다. 이탈한 광선이 굴절율 ni를 갖는 광 매체에서 유닛 벡터 rc의 분포에 평행하게 전파된다면, 광 재지향 수단은 입사광을 프로세스하는 어떤 층을 포함하는 데 이러한 이탈 광선은 동작 각도 범위를 통한 입사 광선을 고려한 다음의 특성 중 하나를 갖는다.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shown in FIGS. 20A-20C, the system 204 is a light redirecting means, such as the light reflecting layer 222 shown in FIG. 20A, and more generally shown in FIGS. 20B and 20C. Light redirecting layer 224 as shown. In general, in the apparatus 10 (system 204 of FIG. 20) of the present invention, light redirecting means may be defined with the concept that incident light propagates and deviates from the light redirecting layer 224. Consider the case where light rays propagate parallel to the unit vector r c in an optical medium having a refractive index n i . If u is a unit vector orthogonal to the light redirecting layer 224 at the point of incidence of the light rays and orients from the light redirecting layer 224 toward the beginning of the incident light, then the incident light rays interact with the light redirecting layer 224. To deviate from the interaction zone. If the stray light propagates parallel to the distribution of the unit vector r c in the optical medium having the refractive index n i , the light redirecting means comprises a layer which processes the incident light, which stray light incident through the operating angle range. It has one of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considered.

(1) 이탈광선의 적어도 25%에 대해 nc(rcxu)는 ni(rixu)와 같지않음 (12)(1) n c (r c xu) is not equal to n i (r i xu) for at least 25% of the deviation

(2) 이탈광선의 적어도 90%에 대해 rc=ri-2(u·ri)u (13)(2) r c = r i -2 (ur i ) u (13) for at least 90% of the deviation

광 재지향층(224)은 (a) 광이 거친 광 표면과 상호 작용하고, (b) 광이 입사면과 경사가 다른 광표면과 상호 작용하거나, (c) 재지향층(224)이 적당한 각으로 광을 회절시킨다면 수학식(12)의 조건에 따라 광 방향을 재지정한다. 예를 들어, 조건(1)에 따른 광 재지향 수단이 투과 또는 반사, 회절 또는 비회절, 및 프리즘 또는 텍스튜어층과 조합된 상태일 수 있다. 또한, 광 재지향층은 회절발(diffraction grating), 흘로그램(ho1ogram), 또는 이진 광학층(binary optics layer)일 수 있다.The light redirecting layer 224 interacts with (a) the light surface where the light is coarse, (b) the light interacts with the light surface that is different from the incident surface, or (c) the redirecting layer 224 is at an appropriate angle. If the light is diffracted, the light direction is redirected according to the condition of Equation (12). For example, the light redirecting means according to condition (1) may be in a state combined with transmission or reflection, diffraction or non-diffraction, and a prism or texture layer. In addition, the light redirecting layer may be a diffraction grating, a hologram, or a binary optics layer.

광 재지향 수단은 수학식 13이 경철 반사기(specular reflector)인 조건(2)에 따라 광의 방향을 재지정한다. 이러한 경철 반사기의 예들로 금속 코팅(예를 들면, 도 20a의 광 반사기층(222)이 금속 코팅될 수 있음), 다층 유전재 코팅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각 경우에서, 내부 및 외부 표면은 바람직하게는 스무스하고 상호 평행이다.The light redirecting means redirects the light according to condition (2) in which Equation 13 is a specular reflector. Examples of such light reflector may be a metal coating (eg, the light reflector layer 222 of FIG. 20A may be metal coated), a multilayer dielectric coating, or a combination thereof. In each case, the inner and outer surfaces are preferably smooth and parallel to each other.

바람직한 실시예중 하나인 도 20a에서, 광 반사와, 광(220)을 반사하는 반사기층(222)의 형태인 반사 수단을 포함한다. 반사기층(222)은 베이스층(206)의 제1 면(208)을 초과하거나 그 아래에 위치하고 바람직하게는 금속 코팅된 평탄한 경철 반사기이다. 또한 베이스층(206)과 반사기층(222)과의 사이에 위치한 굴절율 n3의 간섭층(interveing layer)이 도시되어 있다. 이 간섭층(223)은 베이스층(206)의 일부이거나 또는 베이스층(206)과 간섭층(223) 사이의 기능적 상호 작용에 따른 분리층일 수 있다. 이 간섭층(223)의 굴절율 n3는 간섭층(223)과 직면한 다음 결과의 광(212) 공간적 및 각도 분포에 영향을 미치도록 조정될 수있다.20A, one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includes light reflection and reflecting means in the form of a reflector layer 222 that reflects light 220. The reflector layer 222 is a flat light reflector positioned above or below the first side 208 of the base layer 206 and preferably metal coated. Also shown is an interfering layer of refractive index n 3 located between the base layer 206 and the reflector layer 222. The interference layer 223 may be part of the base layer 206 or a separation layer due to functional interaction between the base layer 206 and the interference layer 223. The refractive index n 3 of this interference layer 223 can be adjusted to face the interference layer 223 and then affect the resulting light 212 spatial and angular distribution.

도 20b 및 20c를 예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광 재지향층(224)은 다른 위치에 위치될 수 있고, 각 층(224)은 다른 특성을 가지고 특정한 애플리케이션에 필요되는 바와 같은 다른 광 출력 특성을 달성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특정한 실시예에서 뿐아니라 광 재지향 수단의 예를 나머지 도면에서 도시하고 이하에서 상세히 기술될 것이다.As can be seen in FIGS. 20B and 20C, the light redirecting layer 224 may be located at different locations, each layer 224 having a different characteristic and achieving different light output characteristics as required for a particular application. You can do it. Also examples of light redirecting means as well as in specific embodiments are shown in the remaining figures and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편광 조명기 시스템(204)의 다른 실시예에서, 광 변환 수단이 포함되고 예를들어 도 21 및 22에서 편광 변환층(226)으로서 도시된다. 이러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굴절울은 n4≥n2이고, 수학식(9)의 상태를 충족시켜야 한다. 이들 실시예에서, 광변환 수단은 적어도 (광(220) 등의)일 편광 상태를 (광(218), 제1 및 제2 상태의 조합인 제3 편광 상태의 광(227) 등의) 다른 편광 상태로 변화시키는 층을 포함한다.In another embodiment of polarization illuminator system 204, light conversion means are included and are shown, for example, as polarization conversion layer 226 in FIGS. 21 and 22. In this preferred embodiment, the refraction is n 4 ≧ n 2 and must satisfy the condition of equation (9). In these embodiments, the light converting means differs from at least one polarization state (such as light 220) (such as light 218, light 227 in a third polarization state, which is a combin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states). And a layer for changing to a polarization state.

편광 변환층(226)은 90˚(π/2)만큼 회전 편광시킴으로써 편광 상태를 다른 상태로 변화시키는 기능을 갖는다. 또한, 이러한 변환은 경사진 입사의 경우에 가장 바람직하다. 일예로서 광축에 수직인 굴절율이 방향에 관계없는 경우에는 단축 복굴절재에 대한 이러한 변환 특성을 설명한다. 대부분의 바람직한 재료는 이러한 종류의 신장된 형광 폴리머막 등이다. 글절율이 모든 방향에서 다른 경우 좀더 일반적인 복굴절재는 여기서 설명된 다음의 일반적인 방법들을 사용할 수 있다. 편광 변환 프로세스를 이해하기 위해, 일단 법선 방향 입사를 고려한다.The polarization converting layer 226 has a function of changing the polarization state to another state by rotating polarization by 90 ° (π / 2). This conversion is also most preferred in the case of inclined incidence. As an example, when the refractive index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is not related to the direction, this conversion characteristic for uniaxial birefringent materials will be described. Most preferred materials are elongated fluorescent polymer films of this kind and the like. If the text rate differs in all directions, the more general birefringent material can use the following general methods described here. To understand the polarization conversion process, one considers normal incidence.

도 30e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복굴절 재료로 된 판(229)는 벡터 K를 따른 횡축을 갖고 광축은 벡터 I를 따라 있다(도 30f 참조). 신장된 복굴절 막의 경우, 신장 방향은 벡터 I를 따라서 있을 것이다. 벡터 I, J, K는 x,, , z축을 따른 직교한 3가의 단위 벡터이다. 법선 방향 입사에서, 법선인 파형은 벡터 K를 따라 있다. 변위 벡터 K에 의해 전자기파의 분극화(polarization)를 설명할 수 있다. D'을 통상의 광선에 대한 편광이라하고, D"을 이상 광선에 대한 편광이라 한다. n'을 정상 굴절율이라하고, n"을 이상 굴절율이라 한다. 복굴절 판(229)의 광축을 입사 편광 벡터 이에 대해 45˚(π/4) 각도로 배향할 수 있다. 이 벡터는 D0x=(1/2) Docoswt 및 D0y =(1/2) D0coswt인 두개의 성분을 갖는다. 복굴절 판(229)에서, 벡터 D는 D0x =(1/2) D0cos(wt-δ") 및 D0y =(1/2) Docos(wt-δ')을 갖고, 여기서 δ'= (2/λ)n'h 및 δ"= (2/λ)n"h이며, 여기서 h는 판 두께이다. 그리하여 발생된 위상차는 δ'-δ"= |(2/λ)(n'- n") |h 이다. 특히, 나타나는 광이 초기편광 벡터 D'에 대해 오른쪽 각도로 편광 벡터 D를 갖는다면, δ'-δ"= (또는 좀더 일반적으로는 δ'-δ"= (2m+1)이며, 여기서 m은 소정 정수이다). 이는 두께 h가 h= |(2m+1)/(n"-n')|λ/2로서 선택되어야 한다.As shown in FIG. 30E, the plate 229 of birefringent material has a horizontal axis along the vector K and the optical axis is along the vector I (see FIG. 30F). For elongated birefringent membranes, the stretching direction will be along the vector I. The vectors I, J, and K are orthogonal trivalent unit vectors along the x,, and z axes. At normal incidence, the normal waveform is along the vector K. The polarization of the electromagnetic wave can be explained by the displacement vector K. FIG. D 'is called polarization for ordinary light rays, D "is called polarization for abnormal light rays. N' is called normal refractive index, and n" is called ideal refractive index. The optical axis of the birefringent plate 229 may be oriented at an angle of 45 [deg.] ([Pi] / 4) with respect to the incident polarization vector. This vector has two components, D 0 x = (1/2) D o coswt and D 0 y = (1/2) D 0 coswt. In the birefringent plate 229, the vector D has D 0 x = (1/2) D 0 cos (wt-δ ") and D 0 y = (1/2) D o cos (wt-δ '), Where δ '= (2 / λ) n'h and δ "= (2 / λ) n" h, where h is the plate thickness. Thus, the generated phase difference is δ'-δ "= | (2 / λ) (n'-n ") | h. In particular, if the appearing light has a polarization vector D at an angle to the initial polarization vector D ', δ'-δ" = (or more generally δ'-δ " = (2m + 1), where m is a predetermined integer, which thickness h should be selected as h = | (2m + 1) / (n "-n ') | λ / 2.

요약하면, 상기 수식에 의해 두께 h를 선택하고 입사 편광에 45˚배향시킨다. 도 26b와 같은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에서, 광은 변환층(226)과 복굴절 판(229)를 두번 횡단하므로써 실제 두께는 상기에서 지정된 것에 반이 된다. 즉, 상기 두께는 공지된 λ/4 판이다. 금속 미러(231)로부터의 반사가 있으면 양 성분들에 위상 시프트를 추가로 실시하여 결과는 변화되지 않는다.In summary, the thickness h is selected by the above equation and is 45 ° to the incident polarization. In a preferred form of the invention as shown in FIG. 26B, the light crosses the conversion layer 226 and the birefringent plate 229 twice so that the actual thickness is half that specified above. That is, the thickness is a known λ / 4 plate. If there is reflection from the metal mirror 231, both components are further subjected to a phase shift so that the result is unchanged.

실시예에서 광이 변환층(226)(도 26b 참조)과 경사져 입사되면, 일단 입사빔을 두개의 빔(공지된 복굴절 효과)으로 분할할 필요가 있어 어려움을 야기시키지는 않는다. 이유는 두개 빔이 초기 방향과 평행하도록 나타나지만 각각이 미소하게 변위되기 때문에 문제가 되지 않는 것이다. 두개 빔은 상호 밀착되어 변위는 λ보다 적다. 각도 분할은 △θtan θc△ n/n이고 여기서 θc는 임계각이고 △n-(n"-n'), n=(n"+ n')/2이다. 변위는 h△ θc/cos θc= h△ ntanθ/cosθc이다. 그러나, h△ θc/cos θc= λ/4로 선택하므로써, 자동적으로 변위는 λ보다 적고 두개의 광빔은 하나로서 취급될 수 있다.In the embodiment, once light is incident at an angle with the conversion layer 226 (see FIG. 26B), it is necessary to split the incident beam into two beams (known birefringent effect), which does not cause difficulties. The reason is that the two beams appear to be parallel to the initial direction, but this is not a problem because each is slightly displaced. The two beams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and the displacement is less than λ. Angular division is △ θ tan θ c Δ n / n where θ c is the critical angle and Δn− (n ″ −n ′), n = (n ″ + n ′) / 2. The displacement is hΔθ c / cos θ c = hΔntanθ / cosθ c . However, by selecting hΔθ c / cos θ c = λ / 4, the displacement is automatically less than λ and two light beams can be treated as one.

복굴절 판(229)의 단측 형상 위에 있는 경사진 입사각의 기하학 구조는 다소 복잡하여 재료들을 단순하시키고, 도 30f에 도시된 바와 같은 오일러 각을 도입한다. (i, j, k)벡터 3상과 (I, J, K)벡터 3상과의 관계는 표 3으로부터 알 수 있다.The geometry of the inclined angle of incidence above the short side shape of the birefringent plate 229 is rather complicated to simplify the materials and introduces an Euler angle as shown in FIG. 30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 j, k) vector three phases and the (I, J, K) vector three phases can be seen from Table 3.

[표 1]TABLE 1

대기/판 접촉면에 대한 법선을 K라고 하고, 법선 방향의 입사 파장을 k라하고, 판(229)의 광축을 I로 한다. 입사 편광 Do를 90˚만큼 회전시키도록 한다. 입사 편광 D0는 접촉면이기 때문에, D0가 i0에 일치하므로써 Ψ0=/2이 된다. 정상광선의 편광 D'은 I 및 K에 직교한다. 따라서, D'을 i'을 따라 설정한다. i'x = O이다. 표3으로부터 tan Ψ'= cosΨcosθ이 된다. 이상 광선 D"의 편광은 D' 및 k 둘다에 직교한다. 따라서, Ψ"= Ψ'±/2 이다. 여기서, Ψ"= Ψ'-/2을 선택하면, tanΨ"= cosΨ/cosθ이다. 소망하는 출력을 얻기 위해, Ψ를 D' 및 D" 방향으로 45˚에 있도록 설정한다. 그리하여, Ψ"= /2이고, tanΨ = cosθ이다. 전형적인 경우에서, θ가 θc 40˚, Ψ=37˚에 근접시킨다. 실제로, 입사각과 파장 범위로서 개시점과 가이드로서 상기 수식을 사용하여 Ψ를 실험적으로 조정하여 가장 완전한 편광 변환을 얻을 수 있다. 다음 복굴절판(229)의 두께 h를 결정한다. 법선 방향 입사의 경우에서와 같이, 조건은 h = |(2m+1)(n"-n')|λ/2이다. 그러나, 이상 굴절율 n"은 입사각 θ에 의존하여 타원 굴절율은 다음과 같다: (1/n")2=(1/no)2sin2θ+(1/ne)2cos2θ여기서, n0는 정상 굴절율이고 ne는 이상 굴절율이다. 또한, n'= n0이다. 전형적으로, 굴절율 차이는 0.1보다 적고 대략 (n"- n')(ne- nc)cos2θ이다. 또한, 경사진 입사각의 광 경로 길이는 법선 방향의 입사각에서보다 크다. 경사진 입사각에서의 광 경로 길이 h는 판(229)의 두께보다 1/cosθ 인수만큼 더 크다. 따라서, 유효 굴절율 차가 cos2θ 만큼 감소되기 때문에, 경로 길이는 1/cosθ만큼 증가되어, 경사진 입사에 대해 필요한 두께는 법선 방향의 입사보다 대략 1/cosθ만큼 크다. 실제로, 개시점과 가이드로서 상기 식을 사용하여 입사각과 파장 범위로서 h를 조정하여 가장 완전한 편광 변환을 얻게된다.The normal to the air / plate contact surface is K, the incident wavelength in the normal direction is k, and the optical axis of the plate 229 is I. Rotate the incident polarization DO by 90 ° . Since incident polarization D 0 is a contact surface, Ψ 0 = / 2 is obtained because D 0 coincides with i 0 . The polarization D 'of normal light is orthogonal to I and K. Therefore, D 'is set along i'. i'x = O. From Table 3, tan Ψ '= cos Ψ cosθ. The polarization of the extraordinary light beam D "is orthogonal to both D 'and k. Thus, Ψ" = Ψ' ± / 2. Here, if Ψ "= Ψ '/ 2 is selected, tanΨ" = cos Ψ / cosθ. In order to obtain the desired output, set Ψ to be 45 ° in the D 'and D "directions. Thus, Ψ" = / 2 and tanΨ = cosθ. In a typical case, θ is θ c Close to 40˚, Ψ = 37˚. In practice, the most complete polarization conversion can be obtained by experimentally adjusting Ψ using the above equations as starting point and guide as incidence angle and wavelength range. Next, the thickness h of the birefringent plate 229 is determined. As in the case of normal incidence, the condition is h = | (2m + 1) (n "-n ') | λ / 2. However, the ideal refractive index n" is dependent on the incident angle θ and the elliptic refractive index is (1 / n ") 2 = (1 / n o ) 2 sin 2 θ + (1 / n e ) 2 cos 2 θ where n 0 is the normal refractive index and n e is the ideal refractive index. n 0. Typically, the refractive index difference is less than 0.1 and approximately (n "-n ') (n e -n c ) cos 2 θ. Further, the optical path length of the inclined angle of incidence is larger than that of the normal incidence angle. The optical path length h at the inclined angle of incidence is greater than the thickness of the plate 229 by the 1 / cosθ factor. Therefore, since the effective refractive index difference is reduced by cos 2 θ, the path length is increased by 1 / cos θ so that the thickness required for the inclined incidence is approximately 1 / cos θ larger than that in the normal direction. In practice, using the above equation as a starting point and guide, h is adjusted as the angle of incidence and the wavelength range to obtain the most complete polarization conversion.

다른 실시예에서, 하나의 편광을 다른 편광 상태로 변환하는 것은 3가지 단계를 포함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1) 차동 편광 상태를 시스템(204)의 기점마다에서 실질적으로 별개의 빔들로 분리시키고, (2) 소망하는 편광에 영향을 끼치지 않으면서 편광 변환을 하고, (3) 출력되는 광에서는 편광 특성이 없어지면서 적당한 각도 분포로 광 확산이 일어난다.In another embodiment, converting one polarization to another polarization state is considered to comprise three steps: (1) separating the differential polarization state into substantially distinct beams at each origin of system 204 and , (2) polarization conversion is performed without affecting the desired polarization, and (3) light output causes light diffusion with an appropriate angle distribution while the polarization characteristic is lost.

여기서 기술된 바와 같이, 시스템(204)에서 편광 상태를 다르게 분리시키기 위해 다양한 방법들이 사용된다. 예를 들어,낮은 굴절율층(214)은 도 31a 내지 31c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복굴절성일 수 있다. 층(214)는 예를 들어, 시스템(204)의 매 지점마다 출현하는 두개의 광빔(218 및 220)이 직교 편광되도록 하는 배향 형광 폴리머 변환층일 수 있다. 이는 두가지 조건들이 층족된다면 사용될 수 있다. 제1 조건은 층(214)의 복굴절이 두개의 편광 빔(218 및 220) 간에 중첩을 방지시키기에 충분할 만큼 커야 된다. 이러한 조건은 수학식(15) 내지 (17)으로 요약되는 데 여기서 C는 적어도 1이고 바람직하게는 4보다 크다, 제2 조건은 제1 층(214)의 복굴절 배향(신장 방향)의 방향이 거의 y축과 평행하다.As described herein, various methods are used to separate the polarization states differently in the system 204. For example, the low refractive index layer 214 may be birefringent as shown in FIGS. 31A-31C. Layer 214 may be, for example, an oriented fluorescent polymer conversion layer such that two light beams 218 and 220 appearing at every point of system 204 are orthogonally polarized. This can be used if both conditions are met. The first condition should be large enough that the birefringence of layer 214 is sufficient to prevent overlap between the two polarizing beams 218 and 220. These conditions are summarized by equations (15) to (17), where C is at least 1 and preferably greater than 4, and the second condition is that the direction of birefringent orientation (extension direction) of the first layer 214 is almost parallel to the y-axis

Ψ = 1 -1.5˚로서, 복굴절은 수학식 (15-17)을 충족시키기 위해 적어도 0.03 내지 0.05 이어야 한다. 다양한 형광 폴리머 막의 복굴절율을 측정하기 위해 다음의 데이타 (평균 굴절율, 복굴절율)를 산출한다.Ψ = 1 -1.5 °, the birefringence must be at least 0.03 to 0.05 to satisfy Equation (15-17). In order to measure the birefringence of various fluorescent polymer films, the following data (average refractive index, birefringence) is calculated.

Tefze1 250 zh: (1.3961, 0.054)Tefze 1 250 zh: (1.3961, 0.054)

Tefzel 150 zm: (1.3979, 0.046)Tefzel 150 zm: (1.3979, 0.046)

Teflon PFA 200 pm: (1.347, .030)Teflon PFA 200 pm: (1.347, .030)

프레넬 반사부들이 중첩되지 않는 경우에도, 250zh 재료로 적층된 웨지층(206)은 막 분리된 편광빔을 발생시켰다.Even if the Fresnel reflectors did not overlap, the wedge layer 206 laminated with 250 zh material generated polarized beams that were separated.

다른 실시예에서는, 복굴절률이 높은 재료를 포함하는 패시트형 방향 전환층(faceted redirecting layer)을 사용함으로써 편광에 있어서 보다 큰 각도 분리를 달성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greater angular separation in polarization can be achieved by using a faceted redirecting layer comprising a high birefringent material.

편광 상태들을 분리하기 위한 제3 방법은 도 30g 및 h에 도시한 복굴절/투명층(427)의 교호적인 구조로 이루어지는 중합 빔 스플리터의 시트를 사용한다. 이러한 층(427) 어레이는 시준된 백라이트(428)의 상부에 존재할 수 있으며, 선택적총 내부 반사에 의해 편광시킨다. 광 입사면에 대해 평행한 중합층(429)의 막의 굴절률은 투명층(430)에 비해 낮으며, 광 입사면에 대해 수직인 굴절률은 투명층(430)에 대해 가까이 정합되어, 백라이트(428) [빔 스플리터층(427)에 대해 경사져 있음]로부터 유입되는 시준된 광 빔(431)이 분리된다: 평행 편광 빔(431)은 전체적으로 내부적으로 반사되지만, 수직 성분은 투과된다.A third method for separating the polarization states uses a sheet of polymerized beam splitter consisting of an alternating structure of birefringence / transparent layer 427 shown in Figs. 30G and h. This array of layers 427 may be on top of the collimated backlight 428 and polarized by selective total internal reflection. The refractive index of the film of the polymerized layer 429 parallel to the light incident surface is lower than that of the transparent layer 430, and the refractive index perpendicular to the light incident surface is closely matched with respect to the transparent layer 430, so that the backlight 428 [beam The collimated light beam 431 coming from the slanted to the splitter layer 427 is separated: The parallel polarization beam 431 is internally reflected internally, but the vertical component is transmitted.

이러한 배치의 일 예로서 마일라/렉산(Mylar/Lexan)층을 들 수 있다. 마일라 굴절률은 (1.62752, 1.6398, 1.486)이다. 렉산 굴절률은 1.586이다. 임계각의 여각(complement)은 20도이므로, 입사각의 여각이 (렉산에서) 20도 미만이면 빔 스플리터층(427)이 작용할 것이다. 그러나, 각도가 벗어나면, 프레넬 반사는 편광의 정도를 감소시킨다. 예를 들어, 13도의 경우에 프례넬 반사 수직 성분은 9%이다.One example of such an arrangement is the Mylar / Lexan layer. Mylar refractive indices are (1.62752, 1.6398, 1.486). Lexan refractive index is 1.586. Since the complement angle of the critical angle is 20 degrees, the beam splitter layer 427 will act if the angle of incidence angle is less than 20 degrees (in Lexan). However, if the angle deviates, Fresnel reflections reduce the degree of polarization. For example, at 13 degrees, the Fresnel reflection vertical component is 9%.

층(427)의 이러한 배치의 다른 예는 단축 나일론/렉산(Nylon/Lexan)이다. 나일론 굴절률은(1.568, 1.529, 1.498)이다. 여기서, 두 개의 임계각이 있으며, 그 여각들은 수직 및 평행의 경우 각각 9도와 19도이다. 그러므로, 편광이 일어나도록 경사각은 이러한 각도 범위 내에 있어야 한다. 프레넬 반사에 대해 마일러(30도 각도)와 동일한 경우를 취하면, 굴절률 정합이 보다 양호하기 때문에, 프레넬 반사 수직 성분은 5%에 불과하다.Another example of this arrangement of layer 427 is a uniaxial nylon / Lexan. Nylon refractive indices are (1.568, 1.529, 1.498). Here, there are two critical angles, the complementary angles of which are 9 degrees and 19 degrees respectively in the vertical and parallel directions. Therefore, the angle of inclination must be within this angle range so that polarization occurs. Taking the same case as the mylar (30 degree angle) for Fresnel reflection, the Fresnel reflection vertical component is only 5% because the refractive index matching is better.

이들 예 각각에 대하여, 빔(431)의 모든 빔들이 필름/렉산 계면과 정확히 하나의 상호 작용을 갖도록 각각의 빔 스플리터층(427)은 적당한 종횡비를 가져야 한다.For each of these examples, each beam splitter layer 427 must have an appropriate aspect ratio so that all beams of the beam 431 have exactly one interaction with the film / lexan interface.

일 실시예에서, 일단 상이한 편광 상태의 광이 백라이트(458)를 따라 모든 위치에서 두 개의 직교 편광 빔으로 분리되면, 원하지 않는 편광을 원하는 편광으로 변환시키는 수단, 예를 들어 평관 변환층 [도 31c의 346 및 도 30g의 429]이 있어야 한다.In one embodiment, once light in different polarization states is separated into two orthogonal polarization beams at all locations along the backlight 458, means for converting the unwanted polarization into the desired polarization, for example a flat conversion layer [FIG. 31C]. 346 and FIG. 30G 429].

편광 변환을 수행하는 일 방법은 하나의 렌즈 또는 렌즈형 어레이와 결합된 교번 웨이브플레이트에 의해 실현된다. 단일 렌즈를 사용하는 첫 번째 방법에서, 광 빔(218,220)은 초점면에서 직교 편광의 광의 두 개의 비중첩 스트립들에 초점 맞추어진 렌즈들 상에 도달한다. 교번 웨이브플레이트는 빔들 중의 오직 하나의빔(220)의 편광을 90도만큼 회전시키도록 작용하며, 불시에 나타나는 광은 광(218)로 완전히 변환될 것이다. 이것은 일 편광의 광(220)만을 포착하도록 배치된 반파 지연기(half-wave retarder)의 존재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이것은 대 렌즈, 플라스틱 지연판 및 폴라로이드 필터 (폴라로이드는 폴라로이드사의 등록 상표임)로 가시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One method of performing polarization conversion is realized by alternating waveplates combined with one lens or lenticular array. In a first method using a single lens, the light beams 218, 220 arrive on the lenses focused on two non-overlapping strips of orthogonal polarized light at the focal plane. The alternating waveplate acts to rotate the polarization of only one of the beams 220 by 90 degrees, with the light appearing to be completely converted to light 218. This may be realized by the presence of a half-wave retarder arranged to capture only light 220 of one polarization. This can be visually confirmed by large lenses, plastic retardation plates and polaroid filters (Polaroid is a registered trademark of Polaroid).

렌즈형 어례이를 사용하는 두 번째 방법에서는, 얇은 시트형 렌즈들 및 교번웨이브플레이트 구조 (렌즈 주파수와 동일한 주파수를 가짐)를 사용하며, 각각의 렌즈에 대해 180도씩 지연도가 변화한다. 렌즈형 어레이 1mm 두께의 경우, 각각의 이미지는 5,000분의 1 인치 정도의 크기이며, 이로써 웨이브플레이트를 갖는 렌즈형 어레이의 등록은 1,000분의 1 인치 미만의 스택업 오류(stack-up errors)를 방지할 수 있을 만큼 충분히 정확해야 한다.In the second method using the lenticular array, thin sheet-like lenses and alternating waveplate structures (having the same frequency as the lens frequency) are used, with a delay varying by 180 degrees for each lens. For 1mm thick lenticular arrays, each image is about 1 / 5,000th the size, so registration of a lenticular array with waveplates results in stack-up errors of less than 1 / 100th of an inch. It must be accurate enough to prevent it.

편광 변환을 수행하는 다른 방법은, 도 31c의 층(346) 및 도 30g의 층(429)와 같은 변환층의 다른 실시예인 이중 프레넬 사방형(DFR: double Fresnel rhombus)을 사용하는 것이다. DFR은 위치 대신 각도에 따라 선택적으로 지연시킴으로써 등록 문제를 방지한다. 이러한 DFR은 제1 편광 상태의 광으로 하여금 위상시프트의 4×45˚= 180˚에 대응하는 총 내부 반사 결과를 받게 하는 반면, 나머지 편광 상태의 광은 투과만 시켜, 출력광이 단부에서 하나의 면의 제1 편광의 광으로 완전히 편광되게 한다. DFR은, 예를 들어, 각각 45도 프리즘으로 엠보싱되고, 모두 포개진 네 개의 아크릴 또는 렉산막을 구비함으로써 구성될 수 있다. 지연을 일으키는 DFR에 대해, 두 개의 직교 면 편광 빔(L, R)이 (1/4 웨이브 플레이트에 의해) 발생한다. 만일 L이 DFR에 의해 투과되면, R 빔은 DFR에 의해 L 빔으로 변환될 것이다. 마지막으로, L 빔은 편광의 최종면을 결정하는 다른 1/4 웨이브플레이트에 의해 편광된 면으로 변환될 것이다.Another method of performing polarization conversion is to use a double Fresnel rhombus (DFR), which is another embodiment of a conversion layer, such as layer 346 of FIG. 31C and layer 429 of FIG. 30G. DFR avoids registration problems by selectively delaying by angle instead of location. This DFR causes the light in the first polarization state to receive a total internal reflection result corresponding to 4 × 45 ° = 180 ° of phase shift, while the light in the remaining polarization states only transmits, so that the output light is one at the end. To be fully polarized with the light of the first polarization of the face. The DFR can be constructed, for example, by having four acrylic or lexan films all embossed with 45 degree prisms, all stacked. For the DFR causing the delay, two orthogonal plane polarization beams L and R are generated (by quarter wave plate). If L is transmitted by DFR, the R beam will be converted to L beam by DFR. Finally, the L beam will be converted to the polarized plane by another quarter waveplate that determines the final plane of polarization.

도 21a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변환층(226)은 편광 필터층(216)에 대해 베이스층(206)의 대향측 상에 배치된다. 도 21b의 실시예에서, 변환층(226)은 편광 필터층(216)과 동일한 측상에 배치된다. 도 21a 및 21b를 참조로 하여 알수 있듯이, 변환층(226)은 광(218,220)을 다른 제3 편광 상태의 광(227)으로 변환시킬 수도 있다. 이 광(227)은, 예를 들어, 제3 편광 상태의 광 또는 상술한 제1 또는 제2 편광 상태의 변형 또는 조합의 광일 수 있다. 최종 편광은 변환층(226)의 응답 특성에 의존한다. 따라서, 변환층(226)은 원하는 출력 편광 상태의 광을 발생시킬 필요가 있을 때 응답하도록 설계될 수 있으며, 층(226)을 적당히 위치 결정하여, 원하는 편광 특성을 갖는 원하는 방향의 출력 광을 발생시킬 수 있다.In the preferred embodiment shown in FIG. 21A, the conversion layer 226 is dispos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base layer 206 relative to the polarization filter layer 216. In the embodiment of FIG. 21B, the conversion layer 226 is disposed on the same side as the polarization filter layer 216. As can be seen with reference to FIGS. 21A and 21B, the conversion layer 226 may convert light 218 and 220 into light 227 in another third polarization state. This light 227 may be, for example, light of a third polarization state or light of a modification or combination of the aforementioned first or second polarization states. The final polarization depends on the response characteristic of the conversion layer 226. Accordingly, the conversion layer 226 may be designed to respond when it is necessary to generate light in a desired output polarization state, and properly position the layer 226 to generate output light in a desired direction having a desired polarization characteristic. You can.

도 22a 내지 도 22b에 예시한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서, 변환층(226)은 다른 광학적 용도로 이용된다. 도 22, 23, 24e-f, 25-27, 28a와 28c, 및 29는 모두 변환층(226)을 사용하여 제2 편광 상태의 광(220)을 제1 편광 상태의 광(218)으로 변환시키는 것을 예시한다. 아울러, 조명 시스템(204)의 요소들은, 처리될 광이 변환층(226)을 적어도 한번 통과한 후에 하나 이상의 편광 필터층(216)을 통과하거나 적어도 마주치도록 배치된다. 예를 들어, 광(220)을 처리하는 경우, 이러한 요소들의 배치는 광(220)이 변환층(226)을 통과한 후에 편광 필터층(216)을 통과하도록 복귀시킬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광(220)이 제1 편광 상태의 광(218)으로서 출력되기 전에 편광 필터층(216)과 2회 이상 마주칠 수도 있다. 도 22a-e는 원하는 출력을 얻기 위한 다양한 구성의 예를 예시한다. 도 22a에서, 광(212)이 편광 필터층(216)과 마주친 후, 반사광(220)은 변환층(226)을 통과하여 광(218)으로 변환된다. 이 광은 그 후 내부 반사를 거쳐 편광 필터층(216)에 복귀된다. 또한, 도 22b에서, 광(220)은 변환층(226)을 통과하여, 광(218)로 변환된 후, 내부 반사된 후에 다시 필터층(216)으로 복귀된다. 이들 경우에, n3는 수학식 10에서 n1, n2, n3사이의 관계를 만족할만큼 층분히 낮다.In another form of the invention illustrated in FIGS. 22A-B, the conversion layer 226 is used for other optical purposes. 22, 23, 24e-f, 25-27, 28a and 28c, and 29 all use the conversion layer 226 to convert light 220 in the second polarization state to light 218 in the first polarization state. To illustrate. In addition, elements of the illumination system 204 are arranged such that light to be processed passes through or at least encounters one or more polarization filter layers 216 after passing through the conversion layer 226 at least once. For example, when processing light 220, the placement of these elements may be returned to pass through polarization filter layer 216 after light 220 passes through conversion layer 226. In some cases, the light 220 may encounter the polarization filter layer 216 two or more times before being output as the light 218 in the first polarization state. 22A-E illustrate examples of various configurations for obtaining the desired output. In FIG. 22A, after the light 212 encounters the polarization filter layer 216, the reflected light 220 passes through the conversion layer 226 and is converted into the light 218. This light is then returned to the polarization filter layer 216 via internal reflection. In addition, in FIG. 22B, light 220 passes through conversion layer 226, is converted to light 218, and then returned back to filter layer 216 after being internally reflected. In these cases, n 3 is sufficiently low to satisfy the relationship between n 1 , n 2 , n 3 in equation (10).

도 22c-e의 실시예에서는, 광 반사층(222) 형태의 방향 전환 수단이 부가되어 광(220)을 편광 필터층(216)에 복귀시킨다. 도 20a의 실시예에 대해 상술한 바와 같이, 개재층(223)은 층(224)과 마주치는 광의 공간 및 각도 분포에 영향을 미치도록 조정될 수 있는 굴절률 n3를 가진다. 도 22c-22e에 도시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에서, 굴절률 n2, n3의 층은 에어갭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형태에서는, 굴절률 n2의 층이 에어갭이다.In the embodiment of FIGS. 22C-E, redirection means in the form of a light reflective layer 222 is added to return the light 220 to the polarization filter layer 216. As described above with respect to the embodiment of FIG. 20A, intervening layer 223 has a refractive index n 3 that can be adjusted to affect the spatial and angular distribution of light encountered with layer 224. In the preferred form of the invention shown in Figs. 22C-22E, the layers of refractive index n 2 , n 3 may comprise an air gap, and in the most preferred form of the invention, the layer of refractive index n 2 is an air gap.

도 24a-24f는 도 24a의 편광 필터층(216)의 하나를 사용하여 시작하여 조명시스템(204)의 보다 복잡한 형태의 구성으로 이어지는 구성의 시퀀스를 예시한다.24A-24F illustrate a sequence of configurations starting with one of the polarization filter layers 216 of FIG. 24A and leading to more complex configurations of the illumination system 204.

도 24c-24f에서는, 하나 이상의 광 방향 전환층(224), 적어도 하나의 액정 디스플레이(LCD) 층(230), 및 정합층(232)과 같은 광 정합 수단이 부가된다. 정합 수단은 다른 층의 조립체에 의해 출력된 광을 타겟 장치 또는 LCD층(230)과 같은 부가적인 층에 적합한 특정 편광 상태로 변환시키도록 작용한다. 이와 같이, 정합층(232)은 변환층(226)의 특수한 경우이다.In FIGS. 24C-24F, light matching means such as one or more light redirecting layers 224, at least one liquid crystal display (LCD) layer 230, and matching layer 232 are added. The matching means act to convert the light output by the assembly of the other layers into a particular polarization state suitable for the additional layer, such as the target device or the LCD layer 230. As such, the matching layer 232 is a special case of the conversion layer 226.

도 23a-23c는 LCD층(230)과 조합된 편광 광 조명 시스템(204)의 다른 형태를 예시한다. 도 23a의 실시예의 하나의 일반적인 형태에서는, 층(234)이 포함된다. 예를 들어 도 23과 같은 본 발명의 다른 특정 형태에서, n2의 바람직한 값은 약 1(예를 들어 도 23b 및 23c 참조)이다. 도 23a의 소정 형태에서, n2> 1이 이용될 수도 있다. 또 다른 방식으로서, 굴절률들간의 관계에 관한 바람직한 선택은 수학식 9 및 10에 설정되어 있다.23A-23C illustrate another form of polarized light illumination system 204 in combination with LCD layer 230. In one general form of the embodiment of FIG. 23A, layer 234 is included. In another particular form of the invention, for example, in FIG. 23, the preferred value of n 2 is about 1 (see, eg, FIGS. 23B and 23C). In certain aspects of FIG. 23A, n 2 > 1 may be used. As another way, the preferred choice regar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fractive indices is set in equations (9) and (10).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의 예들을 도 26a 및 도 26b에 도시하며, 도 26a는 냉음극 형광관(CCFT) 광원(236)을 포함한다. 이 실시예는, 또한, 광의 각도 분포를 변화시키도록 작동하는 각도 변환층(238)을 포함한다. 이러한 각도 변환층(238)은, 예를 들어, xz면에서의 분포를 변화시켜 장치(10)로부터 출력된 광의 공간 균일성을 제어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출력광(250)의 분포는 출력 표면의 적어도 90% 이상에서 공간 분포면에서 거의 균일하다. 그리고, xz면의 광(212)의 각도 분포는 후면(211)의 법선에 대해 대략 ±θmax이다.Examples of yet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are shown in FIGS. 26A and 26B, which includes a cold cathode fluorescent tube (CCFT) light source 236. This embodiment also includes an angle conversion layer 238 that operates to change the angle distribution of the light. Such an angle conversion layer 238 can control the spatial uniformity of the light output from the device 10 by changing the distribution in the xz plane, for example. 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distribution of output light 250 is nearly uniform in terms of spatial distribution at least 90% of the output surface. The angle distribution of the light 212 on the xz plane is approximately ± θ max with respect to the normal of the back surface 211.

후면(211)은 제1 표면(208) 및 제2 표면(210)의 적어도 하나에 대해 대략 수직이다. 각도 변환층(238)은 테이퍼형 광파이프부, CPC(compound parabolic concentrator), 마이크로 프리즘 막(도 28c), 거친 표면층 또는 흘로그램일 수 있다. 각도 변환층(238)은 공기갭을 개재할 필요없이 베이스층(206)에 가장 바람직하게 광학적으로 결합된다. 각도 변환층(238)은 yz면에서의 광분포를 변화시켜,바람직하게는 좁게 하여 휘도, LCD 이미지 품질 및 시청자 프라이버시 등을 향상시키도록 작동할 수 있다. 그리고, 도 26a에서, LCD층(230) 이전에 출력 확산층(248)이 부가되어, LCD층(230)에 제공된 출력광(242)의 균일성을 향상시키고 각도 분포를 넓힐 수 있다.The back surface 211 is approximately perpendicular to at least one of the first surface 208 and the second surface 210. The angle converting layer 238 may be a tapered light pipe portion, a compound parabolic concentrator (CPC), a micro prism film (FIG. 28C), a rough surface layer, or a flow chart. The angle converting layer 238 is most preferably optically coupled to the base layer 206 without the need for intervening air gaps. The angle converting layer 238 can operate to vary the light distribution on the yz plane, preferably narrower, to improve brightness, LCD image quality, viewer privacy, and the like. In addition, in FIG. 26A, an output diffusion layer 248 may be added before the LCD layer 230 to improve the uniformity of the output light 242 provided to the LCD layer 230 and to widen the angle distribution.

도 26b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CPC(239)는 xz면의 적당한 각도 분포내에 출력광(250)을 유지시키도록 작동하는 광원(244)에 결합된다. 아울러, 패시트(247)과 같은 평탄한 프리즘 패시트를 사용하여, 층(246)과 같은 프리즘 방향 전환 층과 같은 광 방향 전환 수단을 사용함으로써 출력된 각도의 범위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유형의 층 및 프리즘 패시트를 도 28c, d, e 및 도 29a, b에 도시하며, 다음으로 이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8e에 도시한 바와 같은 실시예는 프리즘층(251) 및 패시트(253)에 관한 것이며, 이 실시예는 LCD층(302) 이후에 광 확산층(304)을 부가하여 특정 면의 광 분포를 넓게 한다. 예를 들어 도 28e에 도시한 이러한 실시예의 가장 바람직한 형태에서, 광(242)은 xz면에서 좁은 각도 범위 내의 LCD층(302)을 통과하게 된다. 따라서, 조명 시스템(204)의 요소들은, 이미지 형성 특성이 최적화되는 각도에서 LCD층(302)을 통해 광(242)이 투과되는 것을 보조하도록 구성된다. 베이스층(206)에 대해 LCD층(302)의 다른 측에 위치 결정된 확산층(304)을 사용하여, xy면의 광(250)을 확산시키지 않으면서 확산층(304)은 시청자 출력광(250)의 각도 분포를 넓힐 수 있다. 예를 들어, 확산층(304)은 y축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그루브를 가진 홀로그래픽 확산기 또는 렌즈형 확산기의 형태를 취할 수 있는 "평행" 확산기일 수 있다. 광범위한 각도에서의 시청자는, 후속적으로 LCD층(302)을 통해 투과되어 광(25)을 형성하는 광(242)에 대한 최적의 각도 특성을 갖는 이미지를 볼 수 있다. 이러한 형태의 일반적인 구성을 이용하는 예시적인 구성이 도 28d, e 및 도 29a, b에 도시된다. 또한, 도 28d, e 및 도 29a는, xz면에서의 광(242)의 분포를 넓히지 않으면서 균일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xy면에만 LCD층(302)에 제공된 출력광(242)을 확산시키는 힁단 확산기층(252)도 포함한다. 예를 들어, 횡단 확산기(252)는 z축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그루브를 갖는 홀로그래픽 확산기 또는 렌즈형 확산기일 수 있다. 다음에,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In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FIG. 26B, the CPC 239 is coupled to a light source 244 that operates to maintain the output light 250 within the proper angular distribution of the xz plane. In addition, a flat prism facet such as facet 247 may be used to control the range of angles outputted by using light turning means such as a prism turning layer such as layer 246. For example, this type of layer and prism facet is shown in FIGS. 28C, d, e and 29A, b, which will be described in detail next. An embodiment as shown in FIG. 28E relates to a prism layer 251 and a facet 253, which add a light diffusing layer 304 after the LCD layer 302 to provide light distribution on a particular surface. Widen. For example, in the most preferred form of this embodiment shown in FIG. 28E, light 242 passes through the LCD layer 302 within a narrow angle range in the xz plane. Thus, elements of the illumination system 204 are configured to assist in the transmission of light 242 through the LCD layer 302 at an angle at which image forming characteristics are optimized. Using the diffusion layer 304 positioned on the other side of the LCD layer 302 relative to the base layer 206, the diffusion layer 304 is used to produce the viewer output light 250 without diffusing the light 250 on the xy plane. The angle distribution can be widened. For example, diffusion layer 304 may be a "parallel" diffuser, which may take the form of a holographic diffuser or a lenticular diffuser having grooves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y axis. Viewers at a wide range of angles can view images with optimal angular properties for light 242 subsequently transmitted through LCD layer 302 to form light 25. Exemplary configurations using this type of general configuration are shown in FIGS. 28D, e and 29A, B. FIG. 28D, e, and 29A also show that the output light 242 provided to the LCD layer 302 is diffused only on the xy surface to improve uniformity without widening the distribution of the light 242 on the xz surface. It also includes an epitaxial diffuser layer 252. For example, the cross diffuser 252 may be a holographic diffuser or a lenticular diffuser having grooves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z axis. Next, thi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도 27a 및 27b는 굴절 계수 n2의 제1 층 수단이 가장 바람직하게 에어가 아닌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이다. 이 실시예는 광 재지향(redirecting)층(224)의 다른 예를 도시한다. 더욱이, 도 27a에서, 계수 n3를 갖는 매체(254)는 에어일 필요가 없으나, 시스템(204)의 다양한 계수는 상술된 전체 내부 반사를 얻기 위하여 방정식(10)의 요건을 만족해야만 한다. 도 27b에서, 매체(254)는 에어이며, 광 재지향층(224)는 작은 곡면(256)을 가지며, 광(245)은 바람직한 관찰 영역(258)내에 촛점이 모인다.27a and 27b are other preferred embodiments in which the first layer means of refractive index n 2 is most preferably not air. This embodiment shows another example of the light redirecting layer 224. Moreover, in FIG. 27A, the medium 254 having the coefficient n 3 need not be air, but the various coefficients of the system 204 must meet the requirements of equation (10) to obtain the overall internal reflection described above. In FIG. 27B, the medium 254 is air, the light redirecting layer 224 has a small curved surface 256, and the light 245 focuses within the preferred viewing area 258.

도 28 및 29의 실시예는 제1 층 수단으로서 에어 갭층을 바람직하게 사용한다, 층(260)은, 광(21)이 베이스층(206)과 에어 갭층(260) 사이의 접촉면의 임계 각 3σ보다 작은 입사각을 달성한 후, 광이 층(260)에 들어가게 한다. 도 28b의 실시예는 베이스층(206)과 확산층(264) 사이의 제1 재지향층(262), 및 베이스층(206)의 다른 측상의 제2 재지향층(265)을 포함한다. 제1 재지향층(262)은 굴절/내부 반사 프리즘을 포함하며, 제2 재지향층(265)이 굴절 프리즘(268)을 포함한다. 편광 필터층(216) 중 둘은 베이스층(260)의 어느 한편에 배치되며, 각각이 관련된 광 재지향층(262 및 265) 각각을 통과하는 적당한 광(218 또는 220)을 투과한다.28 and 29 preferably use an air gap layer as the first layer means, layer 260, where the light 21 has a critical angle of 3 sigma of the contact surface between the base layer 206 and the air gap layer 260. After achieving a smaller angle of incidence, light enters layer 260. The embodiment of FIG. 28B includes a first redirecting layer 262 between the base layer 206 and the diffusion layer 264, and a second redirecting layer 265 on the other side of the base layer 206. The first redirecting layer 262 includes a refractive / internal reflecting prism, and the second redirecting layer 265 includes a refractive prism 268. Two of the polarizing filter layers 216 are disposed on either side of the base layer 260 and transmit appropriate light 218 or 220 respectively passing through each of the associated light redirecting layers 262 and 265.

도 28c에는 광 재지향층(246)이 비교적 작은 프리즘을 갖는 굴절/내부 반사 층을 포함하는 더욱 바람직한 실시예가 예시된다. 프리즘(247) 각각의 표면각은 상술한 방식으로 재지향층(246)의 상술한 크기를 따라 변동할 수 있다. 이런 각의 변동은 프리즘(247)으로 들어오는 광의 다른 콘(cones)이 바람직한 관찰 영역(258)에 촛점을 맞출 수 있게 한다(도 27b 참조). 광 반사층(222)은 상술한 바와 같이 금속코팅일 수 있다.28C illustrates a more preferred embodiment in which the light redirecting layer 246 includes a refractive / inner reflective layer having a relatively small prism. The surface angle of each of the prisms 247 may vary in accordance with the above-described size of the redirecting layer 246 in the manner described above. This change in angle allows other cones of light entering the prism 247 to focus on the desired viewing area 258 (see FIG. 27B). The light reflection layer 222 may be a metal coating as described above.

반사기층(222)은 종래의 진공 증발 기술 또는 다른 적당한 방법에 의해 변환층(226)에 인가될 수 있다. 재지향층(246)과 같은 다른 층은 투명 폴리머 물질을 직접 정합층(232)에 주조하여 형성될 수 있다(도 24c-f 및 28c 및 d). 편광 필터층(216)은 다수의 얇은 층을 기저층(211)에 직접 증착하는 것과 같은 종래의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후면(211)과 결합되는 각 변환층(274)이 또한 포함된다(도 28c 참조). 이 각 변환기(274)는 LCD 층(230)에 입력광(218)의 보다 공간적인 균일한 형태를 제공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베이스층(206)에 대한 입력광(212) 각 분포를 넓히는 프리즘(276)을 포함한다. 각 변환층(274)의 다른 현태는 개재된 에어 갭없이 후면(211)(또는 다른 입력면)과 결합된 홀로그램(도시 안됨) 및 거친 표면층일 수 있다.The reflector layer 222 may be applied to the conversion layer 226 by conventional vacuum evaporation techniques or other suitable method. Other layers, such as the redirecting layer 246, can be formed by casting the transparent polymer material directly into the matching layer 232 (FIGS. 24C-F and 28C and d). Polarizing filter layer 216 may be manufactured by conventional methods such as depositing multiple thin layers directly on base layer 211. Also included is each conversion layer 274 that is coupled to the back surface 211 (see FIG. 28C). This angle converter 274 widens the angle distribution of the input light 212 with respect to the base layer 206 to help provide the LCD layer 230 with a more spatially uniform shape of the input light 218. 276). Other states of each conversion layer 274 may be a hologram (not shown) and a coarse surface layer coupled to the backside 211 (or other input surface) without intervening air gaps.

도 28d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제1 프리즘 광 재지향층(249)은 베이스층(206)과 편광 필터층(216) 사이에 배치된다. 이런 재지향층(249)은 편광 필터층(216)에 입사되는 광(280)의 입사각을 감소시킨다. 제2 프리즘 광 재지향층(282)은 필터층(216)으로부터 LCD 층(302)에 출력되는 광(284)을 상술한 바와 같은 평행 확산기로써 동작가는한 후치(post) 확산층(216)으로 재지향한다. 이 실시예는 광원(236) 내부 직경의 인보루트(involute) 내부 직경의 적어도 일부분에 후속하는 위치를 갖는 반사기(290)를 갖춘 CCFT 광원(236)을 포함한다. 후면(211)과 직접 대향하는 반사기(290)의 다른 부분은 볼록하게 구부러지거나 또는 휘어진다.In the preferred embodiment of FIG. 28D, the first prism light redirecting layer 249 is disposed between the base layer 206 and the polarization filter layer 216. This redirecting layer 249 reduces the angle of incidence of light 280 incident on the polarization filter layer 216. The second prism light redirecting layer 282 redirects the light 284 output from the filter layer 216 to the LCD layer 302 to the post diffusion layer 216 which is operated with a parallel diffuser as described above. This embodiment includes a CCFT light source 236 with a reflector 290 having a position subsequent to at least a portion of the involute inner diameter of the light source 236 inner diameter. The other part of the reflector 290 that directly faces the back surface 211 is bent or curved convexly.

도 28e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광 재지향층(251)은 굴절 마이크로 프리즘(253)을 포함한다. 극성화 필터층(296)은 변환층(298)과 인접해 배치되며, 역확산층(252)은 재지향층(251)과 LCD 층(302) 사이에 배치된다. 평행 확산기(304)는 LCD 층(302)의 베스트 이미지-형성 특성(콘트라스트, 칼라, 충실도 및 응답 시간)에 대한 출력 광(301)을 최적화하기 위하여 바람직한 각도에서 LCD 층(302)을 통과하는 광(242)을 갖는 LCD 층(302)의 광 외부측상에 배치된다.In the preferred embodiment of FIG. 28E, the light redirecting layer 251 includes a refractive micro prism 253. The polarization filter layer 296 is disposed adjacent to the conversion layer 298, and the despreading layer 252 is disposed between the redirecting layer 251 and the LCD layer 302. Parallel diffuser 304 allows light to pass through LCD layer 302 at a preferred angle to optimize output light 301 for the best image-forming characteristics (contrast, color, fidelity and response time) of LCD layer 302. Disposed on the light outer side of LCD layer 302 having 242.

도 29a 및 29b의 실시예는 도 30a에 도시된 종래의 LCD 편광자 시스템(304)에 대해 발명의 몇몇 형태의 이점들을 도시한다. 도 30a에서, 종래의 백라아트(306)는 거의 동일한 특성으로 편광의 광(308)을 출사한다. 전형적인 종래의 LCD 층 배열은 제1 형태의 편광 필터(312) 및 제2 형태의 편광 필터(314)를 포함하며, 그들사이에 샌드위치된 액정층(316)을 가진다. 이런 LCD 층 배열에서, 제1 편광 필터(312)는 고 편광율, 즉 적당한 LCD 콘트라스트를 제공하기 위하여 LCD 층 배열(310)에 대해 순서대로 액정층(316)으로 입력을 원치않는 제2 편광 상태의 광의 매우 낮은 전송을 가져야만 한다. 실제로, 편광 필터(312)는 또한 제1 ㅍ편광 상태의 소정 광에 대한 고 광학 밀도를 가진다. 따라서, 결과적인 손실은 LCD 광 전송 및 이미지 출력을 더욱 악화시킨다. 이런 종래의 배열(310)에 대조적으로, 본 발명은 LCD 층 배열(316)에 의해 바람직한 매우 높은 퍼센트의 광을 제공하여, 원치 않은 제2 편광의 실질 부분 광 사용을 가능하게 하며, 제1 편광 상태의 소정 광의 손실을 또한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The embodiments of FIGS. 29A and 29B illustrate some form of advantages of the invention over the conventional LCD polarizer system 304 shown in FIG. 30A. In FIG. 30A, the conventional back art 306 emits light 308 of polarization with almost the same characteristics. A typical conventional LCD layer arrangement includes a first type of polarizing filter 312 and a second type of polarizing filter 314, with a liquid crystal layer 316 sandwiched therebetween. In such an LCD layer arrangement, the first polarization filter 312 is a second polarization state that does not want to enter the liquid crystal layer 316 in order relative to the LCD layer arrangement 310 to provide a high polarization rate, i.e., an appropriate LCD contrast. Must have a very low transmission of light. In practice, the polarization filter 312 also has a high optical density for a given light in the first p-polarized state. Thus, the resulting loss further exacerbates LCD light transmission and image output. In contrast to this conventional arrangement 310,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very high percentage of the light desired by the LCD layer arrangement 316, enabling the use of the actual partial light of the undesired second polarization and the first polarization. It is also possible to minimize the loss of certain light in the state.

도 28a의 실시예에서, LCD 층(316)에 대한 광(218 및 220)을 처리하는 이런 이점은 베이스층(206)에 인접하게 변환층(226)을 위치시킴으로써 달성된다. 편광 필터층(216)이 변환층(226)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광 재지향층(224)은 xy 평면에서 광 분포의 각을 넓히고 조명 시스템(204)으로부터 출력된 광 분포의 균일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만곡된 마이크로 프리즘 작은 평면(318)을 포함한다. 역 확산기(320)는 광 재지향층(224)에 바람직하게 조명되거나 또는 단일 폴리머층(도시 안됨)의 대향측상에 형성될 수 있다. 편광 필터층(216)은 제1 표면(208)에 순서대로 직접 증착되거나 적층되는 변환층(226)에 직접 적층되거나 또는 증착된다.In the embodiment of FIG. 28A, this benefit of processing light 218 and 220 for the LCD layer 316 is achieved by placing the conversion layer 226 adjacent to the base layer 206. The polarization filter layer 216 is disposed adjacent to the conversion layer 226. The light redirecting layer 224 includes a curved micro-prism small plane 318 to widen the angle of the light distribution in the xy plane and to improve the uniformity of the light distribution output from the illumination system 204. Reverse diffuser 320 may be preferably illuminated on light redirecting layer 224 or formed on opposite sides of a single polymer layer (not shown). The polarization filter layer 216 is deposited or deposited directly on the conversion layer 226 which is deposited or deposited directly on the first surface 208 in order.

도 29a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LCD 층(302)용 광(218 및 220)의 처리는 제1 편광 필터층(324) 및 제2 편광 필터층(322)의 사용에 의해 이롭게 달성된다. 그러나, 제1 필터(3240는 종래의 편광 필터(312)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편광율을 가진다. 에컨데, 편광 필터층(324)은 종래의 필터(312) 보다 작은 염색 농도를 가질 수 있다. 이런 차이는 보다 높은 LCD 광 투과가 가능하게하며 상술한 이미지 형성 특성이 개선되게 한다. 이런 바람직한 실시예는 LCD 시스템(330)(층(324), 액정층(302) 및 층(322)의 조합)과 결합된 후치 확산층(328)을 활용한다. 바람직하게, 후치 확산층(328)은 제2 편광 필터층(322)과 일체로 형성되도록 적층된다.In the preferred embodiment of FIG. 29A, the treatment of the light 218 and 220 for the LCD layer 302 is advantageously accomplished by the use of the first polarization filter layer 324 and the second polarization filter layer 322. However, the first filter 3240 has a relatively low polarization rate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polarizing filter 312. For example, the polarizing filter layer 324 may have a smaller dye concentration than the conventional filter 312. The difference allows for higher LCD light transmission and allows for the above-described image forming characteristics to be improved This preferred embodiment is an LCD system 330 (combination of layer 324, liquid crystal layer 302 and layer 322). And post diffusion layer 328. Preferably, post diffusion layer 328 is laminated to be integrally formed with second polarization filter layer 322.

도 29b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조명 시스템(204)의 비용 감소 및 광투과 증가를 초래하는 단지 하나의 편광 필터층(248)을 사용하는 이점이 달성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정합층(232)을 통과하는 광은 바람직한 LCD 편광 상태의 광(218)으로 적어도 90%가 바람직하게 이루어진다. 후면(211)과 결합된 결합각 트랜스포머(334)는 YZ 평면에서 광 분포의 각 폭을 감소시키고, 이런 감소된 각 분포는 조광 시스템(204)으로부터 LCD 이미지를 형성하는 출력 광의 특성을 더욱 개선한다.In the preferred embodiment of FIG. 29B, the advantage of using only one polarization filter layer 248 that results in a reduced cost and increased light transmission of the illumination system 204 is achieved. In this embodiment, the light passing through the matching layer 232 is preferably at least 90% of the light 218 in the preferred LCD polarization state. Coupling angle transformer 334 in combination with backside 211 reduces the angular width of the light distribution in the YZ plane, which further improv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output light forming the LCD image from dimming system 204. .

[조명 기구 시스템의 복굴절층][Birefringence Layer of Lighting System]

복굴절 물질은 상술한 편광 조광 기구 시스템에 이점을 주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도 31a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1 층(214)은 2개의 서로 다른 편광 상태 "a" 및 "b"의 광(212)에 대하여 1보다는 작은 2개의 서로 다른 광학 계수 n2q및 n2p를 갖는 계수 n2의 복굴절 물질일 수 있다. 이 광(212)은 이들 2개의 편광 상태에 대하여 각각의 임계각 부근의 층(214)과 만난다.Birefringent materials can be used to benefit the polarization dimming system described above.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31A, the first layer 214 has two different optical coefficients n 2q and n 2p less than 1 for light 212 in two different polarization states “a” and “b”. It may be a birefringent material having a coefficient n 2 having a. This light 212 encounters the layer 214 near each critical angle for these two polarization states.

θ= arcsin (n/n1) (15)θ = arcsin (n / n 1 ) (15)

θ= arcsin (n/nl) (16)θ = arcsin (n / n l ) (16)

수학식 10의 조건은 독립적으로 n와 n둘다와 같은 n2에 대하여 만족되어야 한다. 편광 상태의 광(212)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표면(208) 및 제2 표면(210)으로부터 각 사이클릭 반사에 대하여 각 2Φ만큼 입사각을 감소시킨다. 이 실시예에서, n> n이고, 따라서 θ> θ이다.The condition of Equation 10 must be independently satisfied for n 2 , such as both n and n . Light 212 in the polarized state reduces the angle of incidence by 2Φ for each cyclic reflection from the first surface 208 and the second surface 210 as described above. In this example, n > n , and θ > θ .

양 편광 상태에 대하여 입사각이 감소할 때, 양 편광 상태의 광(212)은 제1 임계각 θ보다 작고 제2 임계각 θ를 초과하는 입사각을 갖는 광으로 복굴절 제1 층(214)과의 접촉면과 만날 수 있다. 따라서, 제1 편광 상태의 광(218)은 복굴절 제1 층(214)을 통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투과되는 한편, 제2 상태의 광(220)은 종 내부 반사에 의해 우선적으로 반사된다. 반사된 제2 상태 광(220) 및 나머지 제1 상태 광(218)은 언속하는 반사로 그들의 입사각을 감소시키도록 연속한다. 제1 편광 상태의 광(218)은 제1 층(214)과 제2 층(206) 사이의 접촉면과 만나는 연속하는 각 지점에서 투과된다. 제2 상태의 광(220)은 그의 입사각이 제2 상태 광(220)이 복굴절 제1 층(214)을 통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투과되는 지점에서, 제2 임계각 θ보다 작아질 때까지 이 접촉면에서 총 내부 반사를 겪도록 연속한다. 이메카니즘 및 계수 n와 n차의 우수성에 의해, 복굴절 제1 층(214)을 통과하는 광은 2개의 편광 상태 "a" 및 "b"에 대하여 서로 다른 각도 분포를 갖는다.When the amount of the incident angle decreases with respect to the polarization state, both the light 212 of the polarization state is the contact surface between the first critical angle θ smaller the birefringence to light having an incident angle of 2 greater than the critical angle θ than first layer 214 You can meet with Thus, light 218 in the first polarization state is at least partially transmitted through birefringent first layer 214, while light 220 in the second state is preferentially reflected by longitudinal internal reflection. The reflected second state light 220 and the remaining first state light 218 are continuous to reduce their angle of incidence with frozen reflection. Light 218 in the first polarization state is transmitted at each successive point of contact with the contact surface between the first layer 214 and the second layer 206. The light 220 in the second state is at this contact surface until its angle of incidence is less than the second critical angle θ at the point at which the second state light 220 is at least partially transmitted through the birefringent first layer 214. Continue to experience total internal reflection. Due to the superiority of the mechanism and coefficients n and n 2β differences , the light passing through the birefringent first layer 214 has different angular distributions for the two polarization states “a” and “b”.

복굴절 물질은 일반적으로 이방성 굴절률을 갖는 결정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한 물질은 스트렛칭 불소 첨가막과 같은 스트래칭 중합체막이다. 스르렛칭은 막을 배향하고 그 방향을 따라 서로 다른 굴절률을 만든다. 이들 스트렛칭불소 중합체 막의 복굴절 값을 0.030-0.054 범위의 △n으로 제공한다. 다른 막들은 PVA(폴리비닐알콜), 폴리프로필렌, 폴리올레핀 또는 폴리에스테르(마일라; Mylar)이다. 마일라는 실제로 2축(biaxia1)이지만, 편광을 회전시키는데 이용될 수도 있다. 통상의 1축 복굴절 물질들은: 방해석(calcite) 및 수정이다. 이들은 스트렛칭막으로서 실용적이지 못하다. 예를 들면, 2개의 편광 상태는 2개의 계수가 충분히 다른 경우에만 잘 분리된다. 이 조건은 다음의 수학식 17로 표현될 수 있다:The birefringent material may generally comprise a crystalline material having an anisotropic refractive index. Preferred materials are stretched polymer films such as stretched fluorine-added films. Thretching orients the film and produces different refractive indices along that direction. The birefringence values of these stretched fluoropolymer films are given as Δn in the range of 0.030-0.054. Other membranes are PVA (polyvinyl alcohol), polypropylene, polyolefin or polyester (Mylar). Mylar is actually biaxia1, but can also be used to rotate polarization. Common uniaxial birefringent materials are: calcite and quartz. These are not practical as stretching films. For example, the two polarization states are well separated only if the two coefficients are sufficiently different. This condition can be expressed by the following equation (17):

θ≥ θsΦ (17)θ ≥ θ sΦ (17)

여기서, s는 적어도 1이어야 하고 바람직하게는 4보다 커야 한다. 이 조건은 예를들면, 복굴절층으로서의 1축으로 배향된 불소 공중체, 베이스층(206)으로서의 아크릴 공중체 및 Φ(1과 1½사이가 노트북 컴퓨터 LCD 백라이팅으로서 전혁적임)의 공진값을 이용하여 달성될 수 있다.Here, s must be at least 1 and preferably greater than 4. This condition uses, for example, the resonance value of uniaxially oriented fluorine copolymer as birefringence layer, acrylic copolymer as base layer 206 and Φ (between 1 and 1½ is revolutionary as notebook computer LCD backlighting). Can be achieved.

도 31b는 도 31a와 마찬가지이지만, 재지향층(224)이 추가되고, 바람직한 실시예는 계수 n3을 갖는 층(207)에 대하여 공기를 사용한다. 광(218) 및 광(220)은 시스템(204)으로부터 서로 다른 각도로 출력된다.FIG. 31B is the same as FIG. 31A, but with the redirecting layer 224 added, the preferred embodiment uses air for layer 207 having a coefficient n 3 . Light 218 and light 220 are output from the system 204 at different angles.

도 31c는 도 31 및 도 31b의 다른 변형을 도시하지만, 재지향층(224)은 평평하게 깍은 면이 있는 반사층(340)을 포함한다. 광(218)과 광(220)은 그 편광을 실질적으로 변화시키지 않고서 광(218)을 투과하는 변환층(346)으로 유도되지만, 편환층(346)은 광(220)원하는 제1 편광 상태의 광(218)으로 변환시킨다. 도 31c에도시한 변환층(346)은 광(220)에 의해 점유된 각도 범위 내에서만 편광을 변환하도록 동작하는 구성을 갖는다. 따라서, 변환층(346)은 광(218) 및 광(220)의 모식적으로 도시된 각도 분리를 이용하여, 광(218)을 광(220)으로 변환시키지 않고서 광(220)의 광(218)으로의 변환을 수행한다.31C shows another variation of FIGS. 31 and 31B, the redirecting layer 224 includes a reflective layer 340 with a flat cut face. Light 218 and light 220 are directed to a conversion layer 346 that transmits light 218 without substantially changing the polarization thereof, while the polarization layer 346 is light 220 in the desired first polarization state. Convert to light 218. The conversion layer 346 shown in FIG. 31C has a configuration that operates to convert polarization only within the angular range occupied by the light 220. Accordingly, the conversion layer 346 uses the angular separation of the light 218 and light 220 to convert the light 218 into the light 220 without converting the light 218 into the light 220. Perform the conversion to).

도 31d 및 도 31e의 실시예에서, 광(220)의 반사 형태는 복굴절 제1 층(214)과 베이스층(206)의 접촉면로 복귀된다. 이는 광(220)을 제1 편광 상태의 광(218)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변환하는 변환층(346)을 통해 적어도 2배 통과하는 것과 함께 광(220)의 총 내부 반사의 우수성에 의해 달성된다. 이 광(218)은 제1 임계각 θ보다 작은 입사각으로 가지므로, 광(218)은 베이스층(206)과 제1층(214) 사이의 접촉면을 통해 투과된다. 이 광(218)은 재지향층(224)의 특질에 따라, 재지향층(224)에 의해 반사되거나 투과될 수 있다.In the embodiment of FIGS. 31D and 31E, the reflective form of light 220 is returned to the contact surface of the birefringent first layer 214 and the base layer 206. This is achieved by the superiority of the total internal reflection of the light 220 with at least twice passing through the conversion layer 346 which at least partially converts the light 220 into the light 218 in the first polarization state. Since the light 218 has an incident angle smaller than the first critical angle θ , the light 218 is transmitted through the contact surface between the base layer 206 and the first layer 214. This light 218 can be reflected or transmitted by the redirecting layer 224, depending on the nature of the redirecting layer 224.

반복적으로 투과되고 반사되는 광이 도 31a와 도 31e에 가상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31d의 실시예에 있어서, 변환층(346)은 복굴절성의 제1층(214)과 같이 베이스층(206)의 동일 측상에 있다. 변환층(346)은 베이스층(206)과 복굴절성 제1층(214) 사이에도 배치된다. 도 31e의 실시예는 도 31d의 또 다른 변형으로서 베이스층(206)의 반대 측들 상에 배치된 변환층(346)과 복굴절성 제1층을 갖는 예를 도시한다.Repeatedly transmitted and reflected light is shown virtually in FIGS. 31A and 31E. In addition, in the embodiment of FIG. 31D, the conversion layer 346 is on the same side of the base layer 206 as the birefringent first layer 214. The conversion layer 346 is also disposed between the base layer 206 and the birefringent first layer 214. The embodiment of FIG. 31E shows an example having a birefringent first layer and a conversion layer 346 disposed on opposite sides of the base layer 206 as another variation of FIG. 31D.

도 31f의 실시예에 있어서, 시스템(204)은 도 31d의 실시예와 유사하지만, 재지향층(224)이 작은 면들의 층(311)을 포함한다. 도 31g의 실시예에 있어서, 시스템(204)은 LCD층(302), 정합층(232)을 더 포함하고, 확산층(304)은 광이 LCD층(302)을 통해 통과한 다음의 공간적 위치에 배치된다. 재지향층(224)은 편평한 면들을 갖는 마이크로프리즘들의 층(251), 및 광에 대한 높은 반사율을 갖는 금속 코팅(342)을 포함한다. 또한 시스템(204)으로부터 출력된 광의 공간적 분산을 제어하기 위한 각도 변환층(238)이 도시되어 있다. 도 31h의 실시예는 도 31g의 실시예와 유사하지만, 시스템(204)이 출력된 광(250)을 바람직한 시야 영역에 포커스하기 위해 재지향층 (224)용으로 다른 공간적 위치들로 조정된 면 각도를 갖는 곡면들을 사용한다. 각도 변환기(238)는 CPC로서 예시된다.In the embodiment of FIG. 31F, the system 204 is similar to the embodiment of FIG. 31D, but the redirecting layer 224 includes a layer 311 of small sides. In the embodiment of FIG. 31G, the system 204 further includes an LCD layer 302, a matching layer 232, where the diffusion layer 304 is at a spatial location after light passes through the LCD layer 302. Is placed. The redirecting layer 224 includes a layer 251 of microprisms with flat sides, and a metal coating 342 with high reflectance for light. Also shown is an angle conversion layer 238 for controlling the spatial dispersion of light output from the system 204. The embodiment of FIG. 31H is similar to the embodiment of FIG. 31G, but the plane angle adjusted by the system 204 to other spatial positions for the redirecting layer 224 to focus the light 250 output to the desired viewing area. Use curved surfaces with Angle converter 238 is illustrated as a CPC.

[LCD층 프로세싱 이후의 광 확산기][Light diffuser after LCD layer processing]

도 12n과 도 12o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LCD 표시(216 또는 236)는 관측자에게 광을 출력한다. 이 실시예들의 더 향상된 예들에 있어서, 후치 확산층(post diffusion layer, 350)이 LCD 층(302)으로부터 출력된 광(250)의 경로에 배치된다(도 32a 및 도 32b를 참조). 이 도면들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있어서, 그 대략적인 동작은 도 26b, 28d, 28e, 29a, 29b, 및 도 31g에 도시된 실시예들과 유사하지만, 어떤 편광 필터 층들(216)도 갖지 않는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콜리메이트된 각도 범위에서,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LCD층(302)에 수직하게 광을 입사시켜 그로부터 출력되는 화상을 최적화하는 것이 유리하다. 후치 확산층(350)의 사용은 출력광(253)이 관측자들에게 넓은 각도 범위에 걸쳐 광의 콘트라스트와 컬러의 정확도를 절충하지 않은 화상을 제공하게 해준다.In the embodiments of FIGS. 12N and 12O, the LCD display 216 or 236 outputs light to the viewer. In further advanced examples of these embodiments, a post diffusion layer 350 is disposed in the path of the light 250 output from the LCD layer 302 (see FIGS. 32A and 32B). In the preferred embodiments shown in these figures, the approximate operation is similar to the embodiments shown in FIGS. 26B, 28D, 28E, 29A, 29B, and 31G, but any polarization filter layers 216 Don't have As described above, it is advantageous to inject light in the collimated angle range, preferably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LCD layer 302 to optimize the image output therefrom. The use of post diffusion layer 350 allows output light 253 to provide viewers with an image that does not compromise the contrast of light and the accuracy of color over a wide angular range.

후치 확산층(350)을 포함하는 시스템에서 바람직하게 제어되는 한가지 특징은 LCD층(302)을 통해 투과되는 각도 분포의 xz-평면 내의 폭이다. 출력 각도 분포는 총 폭이One feature that is preferably controlled in a system comprising a post diffusion layer 350 is the width in the xz-plane of the angular distribution transmitted through the LCD layer 302. Output angle distribution has total width

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총 폭이 이 값의 반보다 작은 것이 더 바람직하다. 이 수학식에서, △ θpd는 라디안이고, nLCD은 LCD층(302) 내의 평균 굴절율이고, p는 z-방향으로 표시 픽셀 로우들의 반복 주기이고, d는 LCD층(302)의 두께이다. 노트북 컴퓨터에 사용되는 전형적인 LCD에서, nLCD은 대략 1.5이고, 1=0.3mm이고, d=3mm이다. 이 예에서, △θpd는 바람직하게 18도 이하이고, 총 폭이 9도 이하인 것이 보다 더 바람직하다. 비교해보면, 수학식(8)은 도 32a(층(359)) 또는 도 28b(층(26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평한 면의 프리즘성 재지향층을 사용하는 본 발명의 출력 각도 폭을 계산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전형적인 노트북 컴퓨터의 백라이팅 시스템에서, Φ=1.3도이고 n=1.49이다. 이 예에서, 수학식(8)은 18도의 출력 각도 분포을 준다.Smaller is preferred, and it is more preferred that the total width is less than half of this value. In this equation, Δ θ pd is radians, n LCD is the average refractive index in the LCD layer 302, p is the repetition period of display pixel rows in the z-direction, and d is the thickness of the LCD layer 302. In a typical LCD used in notebook computers, n LCD is approximately 1.5, 1 = 0.3 mm, and d = 3 mm. In this example, Δθ pd is preferably 18 degrees or less, and even more preferably the total width is 9 degrees or less. In comparison, Equation (8) calculates the output angular width of the present invention using a flat surface prism redirecting layer, as shown in FIG. 32A (layer 359) or 28B (layer 262). It can be used to In the backlighting system of a typical notebook computer, Φ = 1.3 degrees and n = 1.49. In this example, equation (8) gives an output angle distribution of 18 degrees.

도 32a는 LCD층(302)을 중첩하도록 배치되는 평행한 형태의 후치 확산기(350)를 갖는 시스템(204)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다. 후면(211)에 배치된 홀로그래픽 각도 변환기(364)가 또한 포함된다.32A illustrates a preferred embodiment of a system 204 with a post diffuser 350 in parallel form disposed to overlap the LCD layer 302. Also included is a holographic angle converter 364 disposed on the back side 211.

도 32b에 도시된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굴절/내부적 반사층(360)은 LCD층(302)을 통해 입사된 광의 xz-평면에서의 각도 분포를 좁히기 위해 곡면들(362)을 포함하고, 이것에 의해 후치 확산층(350)에서의 시차(parallax)를 감소시킴으로써 화질을 향상시킨다. 본 실시예는 반사 곡면들(362)을 가지나, 도 3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평한 굴절면들이 원하는 기능을 달성할 수도 있다. 이 두 경우에 있어서, 곡면들(362)은 바람직하게 각각의 면들(362) 사이의 반복 주기보다 작은 초점 거리를 갖는다. xz-평면에서의 각도 분포는 바람직하게 수학식(8)에 에 주어진 폭이상으로 좁혀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수학식에 주어진 폭 이상으로 좁혀지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재지향층(224)의 면 각도들은 시스템(204)의 다른 부분들로부터 출력된 광을 바람직한 시야 영역 상에 포커스하도록 배열된다. 이 도면은 또한 마이크로-프리즘 각도 변환층(274)을 나타낸다.In another embodiment shown in FIG. 32B, the refractive / internal reflecting layer 360 includes curved surfaces 362 to narrow the angular distribution in the xz-plane of light incident through the LCD layer 302. As a result, image quality is improved by reducing parallax in the post diffusion layer 350. This embodiment has reflective curved surfaces 362, but as shown in FIG. 32C, flat refractive surfaces may achieve the desired function. In both cases, the curved surfaces 362 preferably have a focal length that is less than the repetition period between the respective surfaces 362. The angular distribution in the xz-plane is preferably narrowed to more than the width given in equation (8), most preferably more than the width given in equation (8). In addition, the plane angles of the redirecting layer 224 are arranged to focus the light output from the other portions of the system 204 onto the desired viewing area. This figure also shows a micro-prism angle conversion layer 274.

도 32c에는 도 32b의 실시예에 대한 변형예가 도시되어 있다. 시스템(204)에는 LCD층 배열(370)이 도 30에 도시된 종래 기술의 LCD층 배열(310)과 다르다. 특히, 평행 광 확산층(372) (홀로고래픽 확산기와 같은 확산층)이 LCD층 (도 30의 층(316))과 제2 편광 필터층(322)(도 30의 층(314)) 사이에 배치된다. 이러한 배열은, 이러한 배열이 아니라면 확산층(372)에 의해 반사되는 주위의 광에 의해 야기될 수 있는 섬광을 제2 편광 필터층(322)이 줄일 수 있도록 해준다. 도 32c는 도 32b에 도시된 반사 곡면들(376)과 같은 각도 협소화 기능을 수행하는 광 재지향층(374)을 더 나타낸다.FIG. 32C shows a variation of the embodiment of FIG. 32B. The system 204 has an LCD layer arrangement 370 different from the prior art LCD layer arrangement 310 shown in FIG. In particular, a parallel light diffusing layer 372 (diffusion layer, such as a holographic diffuser) is disposed between the LCD layer (layer 316 of FIG. 30) and the second polarization filter layer 322 (layer 314 of FIG. 30). . This arrangement allows the second polarization filter layer 322 to reduce glare that could otherwise be caused by ambient light reflected by the diffusion layer 372. 32C further shows a light redirecting layer 374 that performs an angle narrowing function, such as the reflective curved surfaces 376 shown in FIG. 32B.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개시되고 설명되었으나, 당해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에게는 다양한 변형과 변경들이 이하에 주어진 클레임들에 의해 지정된 본 발명의 더 넓은 범위의 특징들을 벗어나지 않고 만들어질 수 있음을 명백히 알 것이다.Whil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isclosed and described above,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broader scope of the invention specified by the claims given below. You will know clearly.

Claims (78)

(2희 정정) 광원으로부터의 광에 대해 작용하고 관측자에게 광을 선택적으로 출력하기 위한 광학 장치에 있어서, 웨지형 단면을 갖고, 광학 굴절율이 n1이며, 적어도 하나의 경사각 Φ를 정의하도록 한군데로 모아지는 제1 및 제2 면을 갖는 베이스 층 - 상기 베이스 층은 상기 제1 및 제2 면에 걸치는 배면을 더 포함하고, 그 내부에서 반사된 광이 상기 제1 및 제2 층 면들 중 적어도 하나의 법선에 대한 각도가 감소하여 입사각이 상기 법선에 대한 임계각 θc보다 적게 될 때 상기 광이 상기 베이스 층으로부터 출사됨-; 상기 베이스층에 대해 상기 제2 면 너머에 배치되는 굴절율이 n1보다 작은 n2인 층을 포함하는 제1 층 수단 - 상기 베이스 층내의 상기 광이 상기 베이스층과 상기 굴절율 n2 층과의 계면에서 상기 임계각 θc보다 작은 입사각 특성을 가질때, 상기 광이 상기 베이스 층으로부터 출력된 후 상기 제1 층 수단에 입사하는 것을 가능하게 함 -; 및 제2 편광 상태에 비하여 제1 편광 상태의 광을 우선적으로 출력하는 제2 층 수단 - 상기 제2 층 수단은 상기 베이스 층에 대해 상기 제2 면 너머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층 수단은 또한 상기 제2 편광 상태를 갖는 광의 적어도 일부를 반사할 수 있음-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장치.(2 correction) An optical apparatus for operating on light from a light source and for selectively outputting light to an observer, wherein the optical device has a wedge-shaped cross section, has an optical refractive index of n1, and is defined in one place to define at least one inclination angle Φ. A base layer having a first and a second side, wherein the base layer further comprises a backing over the first and second sides, wherein light reflected therein is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layer sides. The light is emitted from the base layer when the angle to the normal is reduced such that the angle of incidence is less than the critical angle θ c for the normal; First layer means comprising a layer having a refractive index disposed over said second surface over said second surface with respect to said base layer, wherein said light in said base layer is at said interface between said base layer and said refractive index n2 layer; when having an angle of incidence characteristic less than θ c, makes it possible for the light to be incident on the first layer means after being output from the base layer; And second layer means for preferentially outputting light in a first polarization state relative to a second polarization state, said second layer means being disposed beyond said second face with respect to said base layer, said second layer means also And capable of reflect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light having the second polarization state. (정정)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장치로부터 출력된 광의 각도 범위를 제어하기 위한 광 재지향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장치.(Correction) The optical device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light redirecting means for controlling the angular range of the light output from the optical device. (정정)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층은 그것에 결합되는 부가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장치.(Correction) The optical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ase layer includes an additional layer bonded thereto. (정정)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편광 상태의 광을 상기 제1 편광 상태의광으로 변환시키는 광 변환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장치.(Correction) The optical device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light conversion means for converting light in the second polarization state into light in the first polarization state. (정정)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층 수단은 상기 변화 수단에 대해 상기 베이스층의 반대쪽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장치.(Correction) The optical device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the second layer means is disposed opposite the base layer with respect to the changing means. (2회 정정)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장치로부터 출력되는 광의 각도 범위를 제어하기 위한 광 재지향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층 수단은 상기 광 재지향 수단과 같이 상기 베이스층의 동일측 상에 배치되며, 상기 광 재지향 수단보다 상기 베이스층에 더 가까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장치.(Twice correction)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4, further comprising light redirecting means for controlling an angular range of light output from the optical device, wherein the second layer means is the same side of the base layer as the light redirecting means. And is disposed closer to the base layer than to the light redirecting means. (정정)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층 수단들 중 적어도 하나는 하나의 편광 상태의 광을 다른 편광 상태의 광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변환하기 위한 광 변환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장치.(Correct)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layer means comprises light conversion means for at least partially converting light in one polarization state into light in another polarization state. Optical device. (정정) 제1항에 있어서, 관측자에 대해 출력되는 광의 각도를 변경하기 위한 광 재지향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장치.(Correction) The optical device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light redirecting means for changing the angle of light output to the observer.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광 재지향 수단은 광 출력의 각도 범위를 제어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장치.9. An optical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8, wherein said light redirecting means further comprises means for controlling the angular range of light output. (정정) 제8항에 있어서, 하나의 편광 상태의 광을 다른 편광 상태의 광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변환하기 위한 변환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장치.(Correct) The optical device according to claim 8, further comprising conversion means for at least partially converting light in one polarization state into light in another polarization state. (정정)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층과 상기 제1 층 수단 사이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중간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중간층은 광의 적어도 일부가 투과되게하며, 상기 제1 층 수단은 적어도 에어 갭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장치.(Correction)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t least one intermediate layer disposed between the base layer and the first layer means, wherein the intermediate layer allows at least a portion of the light to pass through, and wherein the first layer means is at least air Optical device comprising a gap. (정정)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 수단은 복굴절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장치.(Correction) The optical device according to claim 10, wherein the conversion means comprises a birefringent layer. (정정)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층 수단은 (a) 상기 제2 층 수단보다 상기 제2 면으로부터 더 멀리 이격되고, (b) 상기 제2 층 수단보다 상기 제2 면에 가깝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장치.(Correction)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layer means is (a) spaced farther from the second surface than the second layer means, and (b) disposed closer to the second surface than the second layer means. Optica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정정)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에 인접하여 배치된 액정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하고, 광은 상기 광학 장치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로 재지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장치.(Correction) The optical device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liquid crystal display disposed adjacent to the device, wherein light is redirected to the display by the optical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층 수단은 에어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장치.The optical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said first layer means comprises an air gap. (정정) 광원으로부터의 광에 대해 작용하여 관측자에게 광을 선택적으로 출력하기 위한 광학 장치에 있어서, 웨지형 단면을 갖고 있고, 광굴절율이 n1이며, 적어도 하나의 경사각 Φ를 정의하도록 한군데로 모아지는 제1 및 제2 면을 갖는 베이스층 - 상기 베이스 층은 상기 제1 및 제2 면에 걸치는 배면을 더 포함하고, 그 내부에서 반사된 광이 상기 제1 및 제2 층 면들 중 적어도 하나의 법선에 대한 각도가 감소하여 입사각이 상기 법선에 대한 임계각 θc보다 적게 될 때 상기 광이 상기 베이스 층으로부터 출사됨-; 및 상기 베이스층에 결합되고, 제2 편광 상태에 비하여 제1 편광 상태의 광을 우선적으로 출력하는 층 수단 - 상기 층 수단은 또한 상기 제2 편광 상태를 갖는 광의 적어도 일부를 반사할 수 있음-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장치.(Correction) An optical apparatus for acting on light from a light source and selectively outputting light to an observer, the optical device having a wedge-shaped cross section, having an optical refractive index of n 1 and defining at least one inclination angle? A base layer having a first and a second side, wherein the base layer further comprises a backing over the first and second sides, wherein light reflected therein is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layer sides. The light is emitted from the base layer when the angle to the normal is reduced such that the angle of incidence is less than the critical angle θ c for the normal; And layer means coupled to the base layer, the layer means for preferentially outputting light in a first polarization state relative to a second polarization state, wherein the layer means may also reflect at least a portion of the light having the second polarization state. Optical device comprising a.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층 수단은 n1보다 작은 굴절율 n2의 층을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장치.The optical device according to claim 16, wherein the layer means comprises a layer of refractive index n 2 less than n 1 .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층 수단은 상기 베이스층에 직접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장치.18. The optical device according to claim 17, wherein the layer means is directly bonded to the base layer.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층 수단은 에어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장치.18. The apparatus of claim 17, wherein said layer means comprises an air gap. (2회 정정)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층 수단은 한 편광 상태의 광을 다른 편광 상태의 광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변환하기 위한 광 변환 수단을 포함하고, 또한 관측자에 대한 광의 각도 출력 범위를 제어하도록 광에 대해 작용하는 광 재지향층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장치.(Twice correction) The method of claim 17, wherein the layer means comprises light conversion means for at least partially converting light in one polarization state into light in another polarization state, and also controlling the angular output range of light to the observer. Optical redirecting means for acting on the light so as to act on the light.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광 변환 수단 및 상기 광 재지향층 수단은 서로 인접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장치.21. The optical device according to claim 20, wherein the light conversion means and the light redirecting layer means are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광 변환 수단은 복굴절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장치.21. The optical device according to claim 20, wherein the light converting means comprises a birefringent layer.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복굴절층은 상기 광 재지향층 수단과 대조되는 상기 베이스층의 한 측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장치.23. The optical device according to claim 22, wherein the birefringent layer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base layer as opposed to the light redirecting layer means. (2회 정정)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층 수단은 복굴절층, 상기 제2 편광 상태의 광을 상기 제1 편광 상태의 광으로 변환하기 위한 변환 수단, 및 관측자에 대한 광의 각도 출력 범위에 대해 제어하도록 광에 대해 작용하는 광 재지향층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장치.(Twice correction)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7, wherein the layer means includes a birefringent layer, conversion means for converting light in the second polarization state into light in the first polarization state, and an angular output range of light to an observer. Optical redirecting means for acting on the light to control.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광 재지향층 수단은 상기 복굴절층 및 상기 변환 수단보다 상기 베이스층으로부터 더 멀리 떨어져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장치.25. The optical device according to claim 24, wherein the light redirecting layer means is disposed farther from the base layer than the birefringence layer and the converting means.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 수단은 상기 복굴절층보다 상기 베이스층에 더 가깝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장치.27. The optical device according to claim 25, wherein the conversion means is disposed closer to the base layer than to the birefringence layer. (2회 정정)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층 수단은 또한 상기 베이스층의 상기 제1 면을 통해 투과되는 상기 제1 편광 상태의 광, 및 상기 베이스층의 상기 제2 면을 통해 투과되는 상기 제2 편광 상태의 광의 일부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장치.(Twice correction)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7, wherein the layer means is also light in the first polarization state transmitted through the first face of the base layer, and the light transmitted through the second face of the base layer. Providing a portion of light in a second polarization state. (2회 정정) 광원으로부터의 광에 대해 작용하여 관측자에게 광을 선택적으로 출력하기 위한 광 장치에 있어서, 웨지형 단면을 갖고, 광학 굴절율이 n1이며, 적어도 하나의 경사각 Φ를 정의하도록 제1 및 제2 면을 갖는 베이스 층 - 상기 베이스 층은 상기 제1 및 제2 면에 걸치는 배면을 더 포함하고, 그 내부에서 반사된 광이 상기 제1 및 제2 층 면들 중 적어도 하나의 법선에 대한 각도가 감소하여 입사각이 상기 법선에 대한 임계각 θc보다 적게 될 때 상기 광이 상기 베이스 층으로부터 출사됨 -; 상기 베이스층에 대해 상기 제2 면 너머에 배치되는 에어갭을 포함하는 제1층 수단 - 상기 베이스 층내의 상기 광이 상기 베이스층과 상기 에어갭과의 계면에서 상기 임계각 θc보다 작은 입사각 특성을 가질 때, 상기 광이 상기 베이스 층으로부터 출력된 후 상기 에어갭에 입사하는 것을 가능하게 함 -; 제2 편광 상태에 비하여 제1 편광 상태의 광을 우선적으로 출력하는 제2 층수단 - 상기 제2 층 수단은 상기 베이스 층에 대해 상기 제2 면 너머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층 수단은 또한 상기 제2 편광 상태를 갖는 광의 적어도 일부를 반사할수 있음-; 및 상기 베이스층을 통과한 광에 작용하여 상기 광이 상기 장치로부터 출력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광 재지향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장치.(Twice Correction) An optical apparatus for acting on light from a light source to selectively output light to an observer, the optical device having a wedge-shaped cross section, having an optical refractive index of n1 and defining at least one inclination angle Φ; A base layer having a second surface, the base layer further comprising a rear surface extending over the first and second surfaces, wherein light reflected therein is angled with respect to a normal to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layer surfaces The light is emitted from the base layer when the angle of incidence decreases so that the angle of incidence is less than the critical angle θ c with respect to the normal; First layer means comprising an air gap disposed beyond the second surface with respect to the base layer, wherein the light in the base layer has an incident angle characteristic less than the critical angle θ c at an interface between the base layer and the air gap When it is possible for the light to be incident from the base gap after being output from the base layer; Second layer means for preferentially outputting light in a first polarization state relative to a second polarization state, said second layer means being disposed beyond said second surface with respect to said base layer, said second layer means further May reflect at least a portion of light having a second polarization state; And light redirecting means for acting on the light passing through the base layer to enable the light to be output from the device. (정정)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재지향 수단은 상기 제2 층 수단을 통과한 광에 작용하여 상기 광의 출력 각도를 제어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장치.(Correction) The optical device according to claim 28, wherein the redirecting means includes means for acting on the light passing through the second layer means to control the output angle of the light. (정정)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광 재지향 수단은 상기 반사광에 작용하여 상기 반사광을 상기 제2 층 수단 쪽으로 재지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장치.(Correction) The optical device according to claim 29, wherein the light redirecting means acts on the reflected light to redirect the reflected light toward the second layer means. (2회 정정)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광 재지향 수단은 상기 베이스층에 대해 상부면 너머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장치.(Twice correction) The optical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30, wherein the light redirecting means is disposed beyond an upper surface with respect to the base layer.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광 재지향 수단은 적어도 반사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장치.32. The optical device of claim 31 wherein the light redirecting means comprises at least a reflective layer. (2회 정정) 광원으로부터의 광에 작용하여 광을 관측자에게 선택적으로 출력하기 위한 광학 장치에 있어서, 웨지형 단면을 갖고, 광학 굴절율이 n1이며, 적어도 하나의 경사각 Ψ를 정의하도록 한군데로 모아지는 제1 및 제2 면을 갖는 베이스 층 - 상기 베이스 층은상기 제1 및 제2 면에 걸치는 배면을 더 포함하고, 그 내부에서 반사된 광이 상거제1 및 제2 층 면들 중 적어도 하나의 법선에 대한 각도가 감소하여 입사각이 상기 법선에 대한 임계각 θc보다 적게 될 때 상기 광이 상기 베이스 층으로부터 출사됨-; 상기 베이스층에 대해 적어도 상기 제1 면 너머에 배치되는 에어갭을 포함하는 제1 층 수단 - 상기 베이스 층내의 상기 광이 상기 베이스층과 상기 에어갭 층과의 계면에서 상기 임계각 θc보다 작은 입사각 특성을 가질 때, 상기 광이 상기 베이스 층으로부터 출력된 후 상기 제1 층 수단에 입사하는 것을 가능하게 함 -; 및 제2 편광 상태에 비하여 제1 편광 상태의 광을 우선적으로 출력하는 제2 층 수단 - 상기 제2 층 수단은 상기 베이스 층에 대해 상기 제2 면 너머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층 수단은 에어갭을 포함하고 또한 상기 제2 편광 상태를 갖는 광의 적어도 일부를 반사할 수 있음-;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장치.(Twice Correction) An optical apparatus for selectively outputting light to an observer by acting on light from a light source, the optical device having a wedge-shaped cross section and having an optical refractive index of n1 and gathered together to define at least one inclination angle Ψ. A base layer having first and second faces, the base layer further comprising a backing over the first and second faces, wherein light reflected therein is normal to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layer faces The light is emitted from the base layer when the angle to is reduced such that the angle of incidence is less than the critical angle θ c with respect to the normal; First layer means comprising an air gap disposed at least beyond the first surface with respect to the base layer, the angle of incidence of the light in the base layer being less than the critical angle θ c at the interface between the base layer and the air gap layer When having said light, allowing said light to enter said first layer means after being output from said base layer; And second layer means for preferentially outputting light in a first polarization state compared to a second polarization state, said second layer means being disposed beyond said second face with respect to said base layer, said second layer means being air Can include at least a gap and reflect at least a portion of light having the second polarization state; Optical device comprising a.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층을 덤는 재지향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재지향층은 제어된 각도 범위에 걸쳐 관측자 쪽으로 광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장치.34. The optical device of claim 33, further comprising a redirecting layer bearing the first layer, wherein the redirecting layer transmits light toward the viewer over a controlled angular range. (정정)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층 수단은 상기 제2 편광 상태의 광의 적어도 일부를 변환하여 관측자에 대해 상기 제1 편광 상태의 광을 제공하기 위한 변환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장치.(Correct) The method of claim 33, wherein the second layer means further comprises conversion means for convert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light of the second polarization state to provide light of the first polarization state to an observer. Optical device. (정정)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광은 선형 편광, 원형 편광 및 타원 편광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장치.(Correction) The optical device according to claim 33, wherein the light includes at least one of linearly polarized light, circularly polarized light, and elliptical polarized light.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층 수단은 적어도 10%의 효율로 제2 편광 상태의 광을 제1 편광 상태의 광으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장치.36. The optical device of claim 35, wherein the second layer means converts light in the second polarization state into light in the first polarization state with an efficiency of at least 10%.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층 수단은 상기 제1 및 제2 편광 상태를 둘다 갖는 광에 투과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장치.34. The optical device of claim 33, wherein the second layer means is transmitted to light having both the first and second polarization states. (정정)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층 수단은 면 법선에 대해 각도 x로 입사된 광에 대해 관측자에게 출력뒨 상기 광의 각도 분포의 변화를 10% 보다 작게 다음 수식과 같이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장치.(Correction)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3, wherein the second layer means generates a change in the angular distribution of the light smaller than 10% as output to the observer for light incident at an angle x with respect to the plane normal, as follows. Optical device made with. 여기에서, n1= 상기 베이스층의 굴절율이고, n2= 상기 제1 층 수단의 굴절율이다.Where n 1 = refractive index of the base layer and n 2 = refractive index of the first layer means. (정정)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층과 상기 관측자 사이에 배치되고, 하나의 편광 상태의 광을 다른 편광 상태의 광으로 변환하기 위한 제3 층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장치.(Correction) The optical device according to claim 33, further comprising a third layer means disposed between the base layer and the observer and for converting light in one polarization state into light in another polarization state. . (정정)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층 수단은 통과되는 광의 편광을 하나의 편광 상태로부터 다른 편광 상태로 변환시키도록 전기적으로 활성화된 액정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장치.(Correction) The optical device according to claim 40, wherein the third layer means further comprises a liquid crystal layer electrically activated to convert the polarization of the light passing from one polarization state to another. (정정) 제33항에 있어서, 광을 상기 제1 편광 상태로부터 상기 제2 편광 상태로 변환하기 위해, 상기 액정층과 상기 제3 층 수단을 형성하는 분리층 부분과의 사이에 에어갭 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장치.(Correction) The air gap layer according to claim 33, wherein an air gap layer is provided between the liquid crystal layer and a separation layer portion forming the third layer means for converting light from the first polarization state to the second polarization state. It further comprises an optical device. (정정)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 상태 변환 수단은 굴절율이 n ≥ 1.4, 두께가 ≥ 5㎛이며, △ n > 0.05가 되도록 복굴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장치.(Correction) The optical device according to claim 35, wherein the polarization state converting means is birefringent such that the refractive index is n? 1.4, the thickness is? 5 m, and? N> 0.05. (정정)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복굴절 제2 층 수단은 2축 배향층과 복굴절 재료의 단측 배향층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장치.(Correction) The optical device according to claim 33, wherein the birefringent second layer means comprises at least one of a biaxially oriented layer and a short sided oriented layer of birefringent material. (정정)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복굴절 제2 층 수단은 폴리에스터, 아크릴 및 폴리카보나이드 재료들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장치.(Correction) The optical device according to claim 43, wherein the birefringent second layer means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ester, acrylic and polycarbonide materials. (2회 정정) 광원으로부터의 광에 작용하여 광을 관측자에게 선택적으로 출력하기 위한 광학 장치에 있어서, 웨지형 단면을 갖고, 광학 굴절율이 n1이며, 적어도 하나의 경사각 Ψ 를 정의하도록 한군데로 모아지는 제1 및 제2 면을 갖는 베이스 층 - 상기 베이스 층은 상기 제1 및 제2 면에 걸치는 배면을 더 포함하고, 그 내부에서 반사된 광이 상기 제1 및 제2 층 면들 중 적어도 하나의 법선에 대한 각도가 감소하여 입사각이 상기 법선에 대한 임계각 θc보다 적게 될 때 상기 광이 상기 베이스 층으로부터 출사됨-; 에어갭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층에 대해 상기 제1 면 및 상기 제2 면 중 적어도 하나의 너머에 배치되고, 광학 굴절율 n2를 가지며, 상기 베이스층으로부터 받은 광의 투과를 허용하는 제1 층 수단; 및 하나의 편광 상태의 광을 다른 편광 상태로 변환하기 위한 변환층 수단 - 상기 변환층 수단은 상기 베이스 층의 상부 또는 하부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장치.(Twice correction) An optical device for selectively outputting light to an observer by acting on light from a light source, the optical device having a wedge-shaped cross section and having an optical refractive index of n1 and gathered together to define at least one inclination angle Ψ. A base layer having first and second faces, the base layer further comprising a backing over the first and second faces, wherein light reflected therein is normal to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layer faces The light is emitted from the base layer when the angle to is reduced such that the angle of incidence is less than the critical angle θ c with respect to the normal; First layer means including an air gap and disposed over at least one of said first and second surfaces relative to said base layer, said first layer means having an optical index of refraction n2 and allowing transmission of light received from said base layer; And conversion layer means for converting light in one polarization state into another polarization state, wherein the conversion layer means is disposed on at least one of the top or the bottom of the base layer. 제4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층 수단의 상부 및 하부 중 적어도 하나에 존재하며, 상기 제1 층 수단으로부터 출력된 광을 선택적으로 재지향하기 위한 광 재지향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장치.47. The optical device of claim 46, further comprising light redirecting means present in at least one of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first layer means for selectively redirecting light output from the first layer means. . (2회 정정) 제46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층으로부터 수신된 상기 제2 편광상태의 광을 반사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베이스층에 대해 상기 제2 면 너머에 존재하는 반사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장치.(Twice correction)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6, further comprising a reflecting layer that is present beyond the second surface with respect to the base layer to reflect light of the second polarization state received from the base layer. Optical device made with. (정정) 제46항에 있어서, 다른 편광 상태의 광에 대한 하나의 편광 상태의 광을 우선적으로 투과시키기 위한 제2 층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장치.(Correction) The optical device according to claim 46, further comprising second layer means for preferentially transmitting light in one polarization state to light in another polarization state. (정정) 제4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편광 상태의 광을 회전시켜 관측자에게 출력되는 상기 제1 편광 상태의 광을 제공하기 위한, 상기 베이스 층에 대한 상기 반사층 상의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장치.(Correction) 49. The apparatus of claim 48, further comprising means on the reflective layer for the base layer to rotate light in the second polarization state to provide light in the first polarization state output to an observer. Optical device made with. (정정) 제5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층과 상기 관측자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편광 상태의 광을 LCD 양호한 편광 상태를 갖는 광으로 변환하기 위한 제3 층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장치.(Correction) 51.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50, further comprising: third layer means disposed between the first layer and the observer and for converting light in the first polarization state into light having an LCD good polarization state. Optical device made with. 제5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층 수단은 복굴절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장치.The optical device according to claim 51, wherein said third layer means comprises a birefringent layer. (정정) 광원으로부터의 광에 작용하여 광을 관측자에게 선택적으로 출력하기 위한 광학 장치에 있어서, 웨지형 단면을 갖고, 광학 굴절율이 n1이며, 적어도 하나의 경사각 Ψ를 정의하도록 한군데로 모아지는 제1 및 제2 면을 갖는 베이스 층 - 상기 베이스 층은 상기 제1 및 제2 면에 걸치는 배면을 더 포함하고, 그 내부에서 반사된 광이 상기 제1 및 제2 층 면들 중 적어도 하나의 법선에 대한 각도가 감소하여 입사각이 상기 법선에 대한 임계각 θc보다 적게 될 때 상기 광이 상기 베이스 층으로부터 출사됨-; 상기 베이스 층 제1 면 및 상기 베이스층에 대해 상기 제2 면 너머에 에어갭을 포함하는 제1 층 수단 - 상기 제1층 수단은 상기 광이 상기 베이스층과 상기 총 수단과의 계면에서 상기 임계각 θc보다 작은 입사각 특성을 가질 때, 상기 광이 상기 베이스 층으로부터 상기 층 수단에 입사하는 것을 가능하게 함 -; 상기 베이스 층을 통과한 광에 작용하고, 관측자쪽으로 상기 광을 출력하기 위한 광 재지향 수단; 및 상기 베이스 층에 대해 상기 제1 면 너머의 층이고, 상기 베이스 층에 대해 상기 광 재지향 수단 너머의 층인 층 위치에 배치되는 제2 층 수단 - 상기 제2 층 수단은 제2 편광 상태에 비하여 제1 편광 상태의 광을 우선적으로 투과하고, 상기 제2 편광 상태의 광을 우선적으로 반사시킴 -;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장치.(Correction) An optical device for selectively outputting light to an observer by acting on light from a light source, the optical device having a wedge-shaped cross section, having an optical refractive index of n1 and being gathered in one place to define at least one tilt angle Ψ And a base layer having a second surface, the base layer further comprising a back surface extending over the first and second surfaces, wherein light reflected therein is directed to at least one normal of the first and second layer surfaces. The light is emitted from the base layer when the angle is reduced such that the angle of incidence is less than the critical angle θ c with respect to the normal; First layer means comprising an air gap over said first layer and said second layer relative to said base layer, said first layer means being said critical angle at said interface between said base layer and said total means; when having an angle of incidence characteristic less than θ c, enables the light to enter the layer means from the base layer; Light redirecting means for acting on light passing through the base layer and outputting the light towards an observer; And second layer means disposed at a layer position relative to the base layer, the layer beyond the first face and a layer beyond the light redirecting means with respect to the base layer, wherein the second layer means are second relative to a second polarization state. Preferentially transmitting light in one polarization state and preferentially reflecting light in the second polarization state; Optical device comprising a. (2회 정정) 제5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층 수단은 상기 베이스층에 대해 상기 제1 면 너머에 배치되고, 상기 광학 장치는 상기 베이스층에 대해 상기 제2 층 수단 및 상기 제1 면을 둘다의 위에 배치된 다른 광 재지향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장치.(Twice correction) 54. The apparatus of claim 53, wherein the second layer means is disposed beyond the first face with respect to the base layer, and the optical device is provided with the second layer means and the first face with respect to the base layer. And other light redirecting means disposed above both. 제53항에 있어서, 상기 재지향 수단은 광을 반사할 수 있는 반사층 및 통과하는 광의 각도 분포를 변형할 수 있는 투과층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장치.54. The apparatus of claim 53, wherein the redirecting means comprises at least one of a reflective layer capable of reflecting light and a transmissive layer capable of modifying the angular distribution of light passing therethrough. 제5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층 수단은 상기 베이스층에 대해, 상기 광 재지향 수단 중 제1 수단 상에 배치되고, 상기 베이스층과 상기 제2 층 수단 사이에 에어갭이 배치듸며, 상기 제2 층 수단과 상기 광 재지향 수단 중 제2 수단과의 사이에 다른 에어갭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장치.54. The apparatus of claim 53, wherein the second layer means is disposed on a first means of the light redirecting means with respect to the base layer, and an air gap is disposed between the base layer and the second layer means. And another air gap is arranged between the two layer means and the second means of the light redirecting means. (2회 정정) 광원으로부터의 광에 작용하여 광을 관측자에게 선택적으로 출력하기 위한 광학 장치에 있어서, 웨지형 단면을 갖고, 광학 굴절율이 n1이며, 적어도 하나의 경사각 Ψ 를 정의하도록 한군데로 모아지는 제1 및 제2 면을 갖는 베이스 층 - 상기 베이스 층은 상기 제1 및 제2 면에 걸치는 배면을 더 포함하고, 그 내부에서 반사된 광이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제1 및 제2 층 면들 중 적어도 하나의 법선에 대한 각도가 감소하여 입사각이 상기 법선에 대한 임계각 θc보다 적게 될 때 상기 광이 상기 베이스층으로부터 출사됨 -; 에어갭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층에 대해 상기 제1 면 너머 및 상기 베이스층에 대해 기저층 면 너머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되며, 광학 굴절율 n2를 갖고, 상기 베이스층으로부터 받은 광의 투과를 허용하는 제1 층 수단; 제2 편광 상태에 비하여 제1 편광 상태의 광을 우선적으로 투과시키는 제2층 수단 - 상기 제2층 수단은 적어도 (a) 상기 베이스 층에 대해 상기 제1면 및 상기 제1층 수단 너머에 배치되거나, (b) 상기 제2 면 및 상기 제1층 수단 너머에 배치되고, 상기 제2 편광 상태를 갖는 상기 광의 적어도 일부의 반사를 가능하게 함 -; 상기 제2 층 수단에 의해 반사된 상기 광에 작용하여 상기 제2층 수단 쪽으로 다시 재지향하는 광 재지향 수단; 및 상기 제2 편광 상태의 상기 광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제l 편광 상태의 광으로 변환하기 위한 제3층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장치.(Twice correction) An optical device for selectively outputting light to an observer by acting on light from a light source, the optical device having a wedge-shaped cross section and having an optical refractive index of n1 and gathered together to define at least one inclination angle Ψ. A base layer having first and second sides, the base layer further comprising a backing over the first and second surfaces, wherein light reflected therein is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layer surfaces; The light is emitted from the base layer when the angle for one normal is reduced such that the angle of incidence is less than the critical angle θ c for the normal; A first including an air gap, disposed over at least one of the first surface relative to the base layer and over the base layer surface relative to the base layer, the optical layer having an optical index of refraction n2 and allowing transmission of light received from the base layer Layer means; Second layer means for preferentially transmitting light in a first polarization state relative to a second polarization state, said second layer means being disposed at least over (a) said first surface and said first layer means relative to said base layer; Or (b) allowing reflection of at least a portion of said light disposed over said second face and said first layer means and having said second polarization state; Light redirecting means acting on the light reflected by the second layer means and redirecting back to the second layer means; And third layer means for converting at least a portion of said light in said second polarization state into light in said first polarization state. (정정) 제57항에 있어서, 상기 광 재지향 수단은 상기 베이스층의 상기 제2 면 하부에 배치된 반사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층 수단은 상기 베이스층 상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장치.(Correction) The optical device according to claim 57, wherein the light redirecting means includes a reflecting layer disposed below the second surface of the base layer, and the second layer means is disposed above the base layer. . 제57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층 수단은 상기 제2 층 수단과 상기 광 재지향 수단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장치.59. The optical device according to claim 57, wherein said third layer means is disposed between said second layer means and said light redirecting means. 제58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층 수단은 상기 반사층과 상기 제2 층 수단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장치.59. The optical device according to claim 58, wherein the third layer means is disposed between the reflective layer and the second layer means. (2회 정정) 제60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층 수단은 상기 제2 층 수단과 함께 상기 제1 면 너머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장치.(Twice correction) The optical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60, wherein the third layer means is disposed over the first surface together with the second layer means. (정정) 제60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층 수단은 상기 반사층과 함게 상기 제2 면 하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장치.(Correction) The optical device according to claim 60, wherein the third layer means is disposed below the second surface together with the reflective layer. 제5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층 수단은 굴절율이 교대로 높거나 낮은 재료로 된 다수의 층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장치.59. The optical device of claim 57, wherein the second layer means comprises a plurality of layers of alternating high or low refractive index material. 제63항에 있어서, 굴절율 nH(고굴절율) 및 nL(저굴절율)이 다음 조건을 만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장치.The optical device according to claim 63, wherein the refractive indices n H (high refractive index) and n L (low refractive index) satisfy the following conditions. tan θH= nH/ nL;tan θ H = n H / n L ; tan θL= nL/ nH; 및tan θ L = n L / n H ; And n2 Hn2 L n2 H+n2 L n 2 H n 2 L n 2 H + n 2 L 제64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층들 각각의 두께는 상기 층들 내의 광의 파장의 약 1/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장치.65. The optical device of claim 64, wherein the thickness of each of the plurality of layers is about one quarter of the wavelength of light in the layers. 제64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층들 각각의 두께는 상기 층들 내의 광의 파장의 적어도 2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장치.65. The optical device of claim 64, wherein the thickness of each of the plurality of layers is at least twice the wavelength of light in the layers. (2회 정정) 광원으로부터의 광에 대해 작용하여 광을 관측자에게 선택적으로 출력하기 위한 광학 장치에 있어서, 웨지형 단면을 갖고, 광학 굴절율이 n1이며, 적어도 하나의 경사각 Ψ 를 정의하도록 한군데로 모아지는 제1 및 제2 면을 갖는 베이스 층 - 상기 베이스 층은상기 제1 및 제2 면에 걸치는 배면을 더 포함하고, 그 내부에서 반사된 광이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제1 및 제2 층 면들 중 적어도 하나의 법선에 대한 각도가 감소하여 입사각이 상기 법선에 대한 임계각 θc보다 적게 될 때 상기 광이 상기 베이스층으로부터 출사됨 -; 제2 편광 상태에 비하여 제1 편광 상태의 광을 우선적으로 출력하기 위한 층 수단 - 상기 층 수단은 상기 광을 필터링하여 제1 편광 상태의 상기 광을 우선적으로 통과하게 하기 위한 제1 필터층 수단을 포함하고, 제2 편광 상태의 상기 광의 적어도 일부를 제1 편광 상태의 상기 광으로 변환하기 위한 변환 수단을 더 포함함-; 제1 편광 상태의 상기 광을 수신하여 상기 광을 관측자에게 출력하도록 배치 되는 액정 디스플레이 층; 및 상기 층 수단 및 상기 액정 디스플례이 층으로부터 출력된 광을 확산시켜 평면에서의 좁은 각도 분포의 상기 광을 넓힘으로써, 화상 품질을 저하시키지 않고 넓은 범위의 시야각에 걸쳐서 관측자에게 광을 출력하는 광 확산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장치.(Twice Correction) An optical apparatus for acting on light from a light source and selectively outputting light to an observer, wherein the optical device has a wedge-shaped cross section, has an optical refractive index of n1, and is defined so as to define at least one inclination angle Ψ. A base layer having a first and a second side, wherein the base layer further comprises a backing over the first and second side, wherein light reflected therein is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layer sides The light is emitted from the base layer when the angle for at least one normal is reduced such that the angle of incidence is less than the critical angle θ c for the normal; Layer means for preferentially outputting light in a first polarization state relative to a second polarization state, said layer means comprising first filter layer means for filtering said light to preferentially pass said light in a first polarization state And converting means for convert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light in the second polarization state into the light in the first polarization state; A liquid crystal display layer arranged to receive the light in a first polarization state and output the light to an observer; And light for outputting light to an observer over a wide range of viewing angles without degrading image quality by diffusing the light output from the layer means and the liquid crystal display layer to widen the light with a narrow angular distribution in the plane. And diffusing means. 제67항에 있어서, 상기 층 수단은 적어도 하나의 편광 필터층 및 적어도 하나의 광 편광 변환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장치.68. The optical device according to claim 67, wherein said layer means comprises at least one polarizing filter layer and at least one optical polarization converting layer. 제67항에 있어서, 상기 광 확산 수단은 평행 광 확산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장치.68. The optical device of claim 67 wherein the light diffusing means comprises a parallel light diffuser. (정정) 제67항에 있어서, 상기 광 확산 수단은 프리즘 마면을 갖는 광 재지향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장치.(Correction) The optical device according to claim 67, wherein the light diffusing means includes a light redirecting layer having a prism face. (2회 정정) 광원으로부터의 광에 작용하여 광을 관측자에게 선택적으로 출력하기 위한 광학 장치에 있어서, 웨지형 단면을 갖고, 광학 굴절율이 n1이며, 적어도 하나의 경사각 Ψ를 정의하도록 한군데로 모아지는 제1 및 제2 면을 갖는 베이스 층 - 상기 베이스 층은 상기 제1 및 제2 면에 걸치는 배면을 더 포함하고, 그 내부에서 반사된 광이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제1 및 제2 층 면들 중 적어도 하나의 법선에 대한 각도가 감소하여 입사각이 상기 법선에 대한 임계각 θc보다 적게 될 때 상기 광이 상기 베이스증으로부터 출사됨 -; 상기 베이스층에 대해 상기 제2 면 너머에 배치되는 굴절율이 n1보다 작은 n2인 층을 포함하는 제1 층 수단 - 상기 베이스 층 내의 상기 광이 상기 베이스층과 상기 굴절율 n2 층과의 계면에서 상기 임계각 θc보다 작은 입사각 특성을 가질때, 상기 광이 상기 베이스 층으로부터 출력된 후 상기 제1 층 수단에 입사하는 것을 가능하게 함 -; 제1 편광 상태의 상기 광을 수신하여 상기 광을 관측자에게 출력하도록 배치되는 액졍 디스플레이 층; 및 상기 층 수단 및 상기 액정 디스플레이 층으로부터 출력된 광을 확산시켜 평면에서의 좁은 각도 분포의 상기 광을 넓힘으로써, 화상 품질을 저하시키지 않고 넓은 범위의 시야각에 걸쳐서 관측자에게 광을 출력하는 광 확산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장치.(Twice Correction) An optical apparatus for selectively outputting light to an observer by acting on light from a light source, the optical device having a wedge-shaped cross section and having an optical refractive index of n1 and gathered together to define at least one inclination angle Ψ. A base layer having first and second sides, the base layer further comprising a backing over the first and second surfaces, wherein light reflected therein is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layer surfaces; The light exits from the base case when the angle for one normal is reduced such that the angle of incidence is less than the critical angle θ c for the normal; First layer means comprising a layer having a refractive index disposed over said second surface over said second surface with respect to said base layer, wherein said light in said base layer is at said interface between said base layer and said refractive index n2 layer; when having an angle of incidence characteristic less than θ c, makes it possible for the light to be incident on the first layer means after being output from the base layer; An liquid crystal display layer arranged to receive the light in a first polarization state and output the light to an observer; And light diffusing means for diffusing the light output from the layer means and the liquid crystal display layer to widen the light having a narrow angular distribution in a plane, thereby outputting light to an observer over a wide range of viewing angles without degrading image quality. Optical device comprising a. 제71항에 있어서, 반사층, 광 재지향층, 및 상기 액정 디스플레이층보다 상기 베이스층에 가깝게 배치된 횡축 확산기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장치.72. The optical device of claim 71 further comprising at least one of a reflective layer, a light redirecting layer, and a transverse diffuser disposed closer to the base layer than the liquid crystal display layer. (2회 정정) 광원으로부터의 광에 대해 작용하여 광을 관측자에게 선택적으로 출력하기 위한 광학 장치에 있어서, 웨지형 단면을 갖고, 광학 굴절율이 n1이며, 적어도 하나의 경사각 Ψ를 정의하도록 한군데로 모아지는 제1 및 제2 면을 갖는 베이스 층 - 상기 베이스 층은 상기 제1 및 제2 면에 걸치는 배면을 더 포함하고, 그 내부에서 반사된 광이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제1 및 제2 층 면들 중 적어도 하나의 법선에 대한 각도가 감소하여 입사각이 상기 법선에 대한 임계각 θc보다 적게 될 때 상기 광이 상기 베이스증으로부터 출사됨 -; 상기 베이스층에 대해 상기 제2 면 너머에 배치되는 굴절율이 n1보다 작은 n2인 층을 포함하는 제1 층 수단 - 상기 베이스 층내의 상기 광이 상기 베이스층과 상기 굴절율 n2 층과의 계면에서 상기 임계각 θc보다 작은 입사각 특성을 가질때, 상기 광이 상기 베이스 층으로부터 출력된 후 상기 제1 층 수단에 입사하는 것을 가능하게 함 -; 제2 편광 상태에 비하여 제1 편광 상태의 광을 우선적으로 출력하는 제2 층수단 - 상기 제2 층 수단은 상기 베이스 층에 대해 상기 제2 면 너머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층 수단은 또한 상기 제2 편광 상태를 갖는 광의 적어도 일부를 반사할수 있음- 상기 장치로부터 출력된 광의 각도 범위를 제어하기 위한 광 재지향 수단; 및 상기 제1 편광 상태의 상기 광을 수신하여 상기 광을 관측자에게 출력하도록 배치되는 액정 디스플레이 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장치.(Twice correction) An optical apparatus for acting on light from a light source and selectively outputting light to an observer, wherein the optical device has a wedge-shaped cross section, has an optical refractive index of n1, and is defined in one place to define at least one inclination angle Ψ. A base layer having a first and a second side, wherein the base layer further comprises a backing over the first and second side, wherein light reflected therein is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layer sides The light exits from the base case when the angle for at least one normal is reduced such that the angle of incidence is less than the critical angle θ c for the normal; First layer means comprising a layer having a refractive index disposed over said second surface over said second surface with respect to said base layer, wherein said light in said base layer is at said interface between said base layer and said refractive index n2 layer; when having an angle of incidence characteristic less than θ c, makes it possible for the light to be incident on the first layer means after being output from the base layer; Second layer means for preferentially outputting light in a first polarization state relative to a second polarization state, said second layer means being disposed beyond said second surface with respect to said base layer, said second layer means further Capable of reflect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light having a second polarization state—light redirecting means for controlling the angular range of light output from the device; And a liquid crystal display layer arranged to receive the light in the first polarization state and output the light to an observer. 제7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층 수단은 편광 필터층 및 편광 변환층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장치.74. The optical device of claim 73, wherein the second layer means comprises at least one of a polarization filter layer and a polarization converting layer. (2회 정정) 광원으로부터의 광에 작용하여 광을 관측자에게 선택적으로 출력하기 위한 광학 장치에 있어서, 웨지형 단면을 갖고, 광학 굴절율이 n1이며, 적어도 하나의 경사각 Ψ를 정의하도록 한군데로 모아지는 제1 및 제2 면을 갖는 베이스 층 - 상기 베이스 층은상기 제1 및 제2 면에 걸치는 배면을 더 포함하고, 그 내부에서 반사된 광이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제1 및 제2 층 면들 중 적어도 하나의 법선에 대한 각도가 감소하여 입사각이 상기 법선에 대한 임계각 θc보다 적게 될 때 상기 광이 상기 베이스층으로부터 출사됨 -; 에어갭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층에 대해 상기 제1 면 너머 및 상기 제2 면너머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되며, 광학 굴절율 n2를 갖고, 상기 베이스층으로부터 받은 광의 투과를 허용하는 층 수단; 하나의 편광 상태의 광을 다른 편광 상태의 광으로 변환시키기 위한 변환 층수단 - 상기 변환 층 수단은 상기 베이스 층의 상부 또는 하부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됨 -; 및 상기 제1 편광 상태의 상기 광을 수신하여 상기 광을 관측자에게 출력하도록 배치되는 액정 디스플레이 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장치.(Twice Correction) An optical apparatus for selectively outputting light to an observer by acting on light from a light source, the optical device having a wedge-shaped cross section and having an optical refractive index of n1 and gathered together to define at least one inclination angle Ψ. A base layer having a first and a second surface, the base layer further comprising a backing over the first and second surfaces, wherein light reflected therein is at least one of the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layer surfaces The light is emitted from the base layer when the angle for one normal is reduced such that the angle of incidence is less than the critical angle θ c for the normal; Layer means including an air gap, disposed over at least one of said first surface and said second surface relative to said base layer, said layer means having an optical index of refraction n2 and allowing transmission of light received from said base layer; Conversion layer means for converting light in one polarization state into light in another polarization state, wherein the conversion layer means is disposed on at least one of the top or the bottom of the base layer; And a liquid crystal display layer arranged to receive the light in the first polarization state and output the light to an observer. (정정) 제75항에 있어서, 상기 층 수단 및 상기 액정 디스플레이 층으로부터 출력된 광을 확산시켜 선택된 좁은 각도 분포의 상기 광을 넓히기 위하 광 확산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장치.(Correction) The optical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75, further comprising light diffusing means for diffusing the light output from the layer means and the liquid crystal display layer to widen the light having a narrow angle distribution selected. 제75항에 있어서, 상기 층 수단은 적어도 하나의 편광 필터층 및 적어도 하나의 광 편광 변환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장치.76. The optical device according to claim 75, wherein said layer means comprises at least one polarizing filter layer and at least one optical polarization converting layer. 제75항에 있어서, 상기 광 재지향 수단은 상기 베이스층 상부 또는 하부에배치된 광 재지향층 및 상기 배면에 인접 배치된 광 재지향층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장치.76. The optical device of claim 75, wherein the light redirecting means comprises at least one of a light redirecting layer disposed above or below the base layer and a light redirecting layer disposed adjacent the back surface.
KR1019960705718A 1994-04-11 1995-04-10 Tapered multi-layer lighting device KR100300538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8/226,016 1994-04-11
US08/226,016 US5528720A (en) 1992-03-23 1994-04-11 Tapered multilayer luminaire devices
PCT/US1995/004424 WO1995027915A1 (en) 1994-04-11 1995-04-10 Tapered multilayer luminaire device
CA002187151A CA2187151C (en) 1994-04-11 1996-10-04 Tapered multilayer luminaire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00538B1 true KR100300538B1 (en) 2001-10-26

Family

ID=718324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705718A KR100300538B1 (en) 1994-04-11 1995-04-10 Tapered multi-layer lighting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00538B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73634B1 (en) Luminaire device
JP3694024B2 (en) Tapered multilayer lighting system
US6993242B2 (en) Luminaire device
US5594830A (en) Luminaire device
KR100319357B1 (en) Tapered Multi-Layer Lighting Devices
US5854872A (en) Divergent angle rotator system and method for collimating light beams
KR100300538B1 (en) Tapered multi-layer lighting device
CA2157898C (en) Tapered multilayer luminaire devices
CA2540097A1 (en) Tapered multilayer luminaire devi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617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