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99731B1 - 킬레이트금속배위화합물을포함하는유기발광소자 - Google Patents

킬레이트금속배위화합물을포함하는유기발광소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99731B1
KR100299731B1 KR1019980010305A KR19980010305A KR100299731B1 KR 100299731 B1 KR100299731 B1 KR 100299731B1 KR 1019980010305 A KR1019980010305 A KR 1019980010305A KR 19980010305 A KR19980010305 A KR 19980010305A KR 100299731 B1 KR100299731 B1 KR 1002997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transport layer
layer
emitting device
chelate me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03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75849A (ko
Inventor
이재경
김영규
Original Assignee
김덕중
사단법인 고등기술연구원 연구조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덕중, 사단법인 고등기술연구원 연구조합 filed Critical 김덕중
Priority to KR10199800103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99731B1/ko
Publication of KR199900758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58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97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973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85/30Coordination compound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1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uminescent [EL]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4Carrier transporting layers
    • H10K50/15Hole transporting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4Carrier transporting layers
    • H10K50/16Electron transporting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05Electrodes
    • H10K50/81Anodes
    • H10K50/816Multilayers, e.g. transparent multilay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리기판, ITO(양극 투명전극), 정공수송층, 발광/전자수송층 및 금속전극(음극)층으로 이루어진 유기발광소자(Organic Light-Emitting Device)에 있어서, 상기 정공수송층 및 발광/전자수송층에 각각 p형 킬레이트 금속 배위화합물(Chelate Metal Complex) 및 n형 킬레이트 금속 배위화합물을 포함하는 유기발광소자에 관한 것으로, 금속전극과의 접합상태 및 전하전달특성이 향상되어 안정성 및 발광효율이 우수하며, 전계효과트랜시스터(Field Effect Transistor: FET) 및 광기전셀(photovoltaic cell) 등에 적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킬레이트 금속 배위화합물을 포함하는 유기발광소자{ORGANIC LIGHT-EMITTING DEVICE COMPRISING CHELATE METAL COMPLEXES}
본 발명은 킬레이트 금속 배위화합물을 포함하는 유기발광소자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p형 킬레이트 금속 배위화합물 및 n형 킬레이트 금속 배위화합물을 각각 정공수송층 및 발광/전자수송층으로 포함하여 금속전극과의 접합상태 및 전하전달특성이 향상되어 안정성 및 발광효율이 우수한 유기발광소자에 관한 것이다.
유기발광소자 제조시 전자 및 정공을 원활하게 발광층으로 주입시키기 위하여 전자 및 정공수송층을 사용하고 있으며, 이때 발광물질, 전자 및 정공수송물질로는 대부분 지방족 구조를 갖는 유기물질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지방족 구조의 유기물질은 안정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안정화된 고분자를 도입하여 전자 및 정공수송층으로 사용하고 있으나, 광산화과정이 쉽게 발생하는 등 안정화된 발광특성을 유지하기가 어려운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 안정성의 문제를 해결하고 발광효율이 우수한 유기발광소자를 개발하기 위해 예의 연구한 결과, p형 킬레이트 금속 배위화합물 및 n형 킬레이트 금속 배위화합물을 각각 정공수송층 및 발광/전자수송층으로 사용함으로써 상기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음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안정성 및 발광효율이 우수한 유기발광소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기발광소자(Organic Light-Emitting Device)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소자가 포함하는 킬레이트 금속 배위화합물(Chelate Metal Complex)의 흡수 스펙트럼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유기발광소자의 전자구조를 나타내고,
도 4 및 도 5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유기발광소자의 정공수송층(α형 프탈로시아닌 구리; PCC-α)이 200Å 두께이고 발광/전자수송층(트리스(8-히드로퀴놀리나토)알루미늄; Alq3)이 150Å 두께인 경우의, 전자발광 강도(Electroluminescent Intensity)-전류(Current)-전압(Voltage) 그래프 및 전압에 따른 전자발광 스펙트럼이고,
도 6 및 도 7은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유기발광소자의 정공수송층(PCC-α)이 500Å 두께이고 발광/전자수송층(Alq3)이 150Å 두께인 경우의, 전자발광 강도-전류-전압 그래프 및 전압에 따른 전자발광 스펙트럼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유기발광소자의 구동사진이다.
〈도면의 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1: 유리 2: ITO(양극 투명전극)
3: PCC-α 함유 정공수송층 4: Alq3함유 발광/전자수송층
5: 금속전극(음극) 6: 전원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유리기판, ITO(양극 투명전극), 정공수송층, 발광/전자수송층 및 금속전극(음극)층으로 이루어진 유기발광소자에 있어서, 상기 정공수송층 및 발광/전자수송층에 p형 킬레이트 금속 배위화합물 및 n형 킬레이트 금속 배위화합물을 각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소자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되어 있듯이, 본 발명의 유기발광소자는 유리(1), 양극 투명전극층인 ITO(인듐-주석-옥시드)층(2), 정공수송층(3), 발광/전자수송층(4) 및 금속전극(음극)층(5)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구조를 가지며, 직류 또는 펄스 형태의전원(6)에 연결되어 구동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정공수송층(3) 및 발광/전자수송층(4)으로서 각각 p형 킬레이트 금속 배위화합물 및 n형 킬레이트 금속 배위화합물을 사용하며, p형 킬레이트 금속 배위화합물의 대표적인 예로는 하기 화학식 1의 PCC-α를 들 수 있고, n형 킬레이트 금속 배위화합물의 대표적인 예로는 하기 화학식 2의 트리스(8-히드로퀴놀리나토)알루미늄(Alq3), 비스(4-하이드록시아크리디나토)아연(ZnAc2), 비스(10-하이드록시벤조 퀴놀리나토)베릴륨(BeBq2) 및 비스(10-하이드록시벤조 퀴놀리나토)아연(ZnBq2)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중 Alq3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는 유기발광소자는 통상의 방법에 의해 각 층을 진공 열증착시킴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킬레이트 금속 배위화합물인 PCC-α 및 Alq3의 흡수 스펙트럼으로서, 피크(2-1)은 PCC-α의 흡수 스펙트럼을 나타내고, 피크(2-2)는 Alq3의 흡수 스펙트럼을 나타내며, 이를 근거로 p-n 접합형 유기발광다이오드로서의 접합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도 3에 본 발명의 소자의 전자구조를 나타내었다.
도 3으로부터 알 수 있듯이, 진공 수준(3-5)을 기준으로 하여, ITO(3-1)의 일함수는 4.8eV이고 알루미늄(3-4)의 일함수는 4.2eV로서 각각 양극 및 음극에 해당한다. 또한, PCC-α(3-2)의 전자구조를 살펴보면, LUMO(Lowest Unoccupied Molecular Orbital)가 특이하게 2개 존재하며 각각의 전자 수용도(Electron Affinity)가 2.6eV 및 4.0eV이고 HOMO(Highest Occupied Molecular Orbital)의 이온화포텐셜이 5.8eV이며, Alq3(3-3)의 경우는 LUMO의 전자 수용도가 3.3eV이고 HOMO의 이온화포텐셜이 5.9eV이다. 이러한 전자구조로부터 본 발명의 소자는 환원형인 전자수송층으로부터 산화형인 정공수송층으로 전자를 전달하는 p-n 접합형임을 알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에 의거하여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한정하지는 않는다.
실시예
ITO 전극위에, PCC-α를 5×10-6토르의 조건하에서 0.2Å/sec의 속도로 두께가 200Å가 되도록 증착시켰으며, 이때의 열증착용 도가니의 온도는 390℃였다. 이어, PCC-α가 코팅된 면위에, Alq3를 5×10-6토르의 조건하에서 0.2Å/sec의 속도로 두께가 150Å가 되도록 증착시켰으며, 이때의 도가니 온도는 280℃였다. 이 위에, 알루미늄을 같은 압력하에서 2 내지 10Å/sec의 속도로 두께가 3,000 내지 5,000Å가 되도록 증착시켜 PCC-α 정공수송층 및 Alq3발광/전자수송층으로 이루어진 유기발광소자를 제조하였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본 발명의 소자의 전자발광 강도-전류-전압 그래프 및 전압에 따른 전자발광 스펙트럼이 각각 도 4 및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도 4a는 전류-전압 그래프로서 켜짐(turn-on)전압이 6.0V이고 그 이상의 전압에서는 전형적인 다이오드 특성을 나타내고 있다. 도 4b는 전자발광 강도-전압 그래프로서 광검출기(Silicon Detecter)가 감지하기 시작하는 전압이 7.8V로서 켜짐전압에 비해 약 1.7V가 높은 것을 알 수 있는데, 이는 주입된 전자 및 정공의 밀도가 빛 방출조건 이상이 되어야 서로 결합하면서 빛을 방출할 수 있으며 광검출기가 인지할 수 있는 최소의 임계 광자수가 존재하기 때문이다. 도 4c는 전자발광 강도-전류 그래프를 나타낸다.
도 5는 7V에서 12V까지의 인가전압에 따른 전자발광 스펙트럼으로서, 인가전압이 증가함에 따라 스펙트럼의 강도가 증가하고 있으며, 발광에너지는 2.43eV(514nm)로서 녹색빛을 나타낸다.
또한, 정공수송층(PCC-α)이 500Å 두께이고 발광/전자수송층(Alq3)이 150Å두께인 경우의 전자발광 강도-전류-전압 그래프 및 전압에 따른 전자발광 스펙트럼이 각각 도 6 및 도 7에 도시되어 있다. 도 6a는 전류-전압 그래프로서 켜짐전압이 4.5V이고 그 이상의 전압에서는 전형적인 다이오드 특성을 나타내고 있으며, 도 6b는 전자발광 강도-전압 그래프로서 광검출기가 감지하기 시작하는 전압이 11.3V로서 켜짐전압에 비해 약 6.8V가 높다.
도 7은 11V에서 16V까지의 인가전압에 따른 전자발광 스펙트럼으로서, 인가전압이 증가함에 따라 스펙트럼의 강도가 증가하고 있으며, 발광에너지는 2.43eV(514nm)로서 녹색빛을 나타낸다.
도 4b 및 도 6b의 전자발광 강도-전압 그래프로부터 정공수송층(PCC-α)의 두께가 얇아짐에 따라 구동전압이 낮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정공수송층(PCC-α)의 두께가 각각 150Å 및 500Å인 소자의 구동사진을 나타내는 도 8a 및 도 8b를 비교해보면, PCC-α의 두께가 얇을수록 발광면적이 불균일함을 관찰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발광면적의 불균일함은 ITO(양극 투명전극)의 표면 거칠기와 직접적으로 관련되기 때문에 ITO의 표면을 표면처리함으로써 개선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정공수송층의 두께가 200Å 보다 얇으면 소자의 발광면적이 불균일해지고, 500Å 보다 두꺼우면 절연특성이 우세하게 되어 소자의 전류효율이 저하되므로, 정공수송층의 두께는 200 내지 500Å 범위가 바람직하다.
또한, 도 5 및 도 7로부터 본 발명의 소자는 발광파장이 514nm로서 전형적인 녹색빛을 나타내며, 발광영역이 Alq3에 의한 것임을 알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된 본 발명의 유기발광소자는 밝기 500Cd/m2(15V에서) 및 효율 4ℓm/W로 발광효율이 우수함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유기발광소자는, 킬레이트 금속 배위화합물로 이루어진 정공수송층 및 발광/전자수송층을 포함함으로써 금속전극과의 접합상태 및 전하전달특성이 향상되어 안정성 및 발광효율이 우수하며, 전계효과트랜시스터(Field Effect Transistor: FET) 및 광기전셀(photovoltaic cell) 등에 적용할 수 있다.

Claims (3)

  1. 유리기판, ITO(양극 투명전극)층, 정공수송층, 발광/전자수송층 및 금속전극(음극)층으로 이루어진 유기발광소자(Organic Light-Emitting Device)에 있어서, 정공수송층이 p형 킬레이트 금속 배위화합물(Chelate Metal Complex)로서 α형 프탈로시아닌 구리(PCC-α)를 포함하고, 발광/전자수송층이 n형 킬레이트 금속 배위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소자.
  2. 제 1 항에 있어서,
    n형 킬레이트 금속 배위화합물이 트리스(8-히드로퀴놀리나토)알루미늄(Alq3), 비스(4-하이드록시아크리디나토)아연(ZnAc2), 비스(10-하이드록시벤조 퀴놀리나토)베릴륨(BeBq2) 및 비스(10-하이드록시벤조 퀴놀리나토)아연(ZnBq2)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소자.
  3. 제 1 항에 있어서,
    정공수송층의 두께가 200 내지 500Å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소자.
KR1019980010305A 1998-03-25 1998-03-25 킬레이트금속배위화합물을포함하는유기발광소자 KR1002997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0305A KR100299731B1 (ko) 1998-03-25 1998-03-25 킬레이트금속배위화합물을포함하는유기발광소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0305A KR100299731B1 (ko) 1998-03-25 1998-03-25 킬레이트금속배위화합물을포함하는유기발광소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5849A KR19990075849A (ko) 1999-10-15
KR100299731B1 true KR100299731B1 (ko) 2001-09-06

Family

ID=375287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0305A KR100299731B1 (ko) 1998-03-25 1998-03-25 킬레이트금속배위화합물을포함하는유기발광소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9973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5740B1 (ko) * 2001-02-09 2004-01-24 헬릭스 테크놀로지 인코퍼레이티드 유기 발광다이오드를 제조하는 방법
KR20090082778A (ko) 2008-01-28 2009-07-31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88067A (ja) * 1995-04-11 1996-11-01 Hitachi Maxell Ltd 薄膜型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JPH09312196A (ja) * 1996-05-23 1997-12-02 Casio Comput Co Ltd 電界発光素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88067A (ja) * 1995-04-11 1996-11-01 Hitachi Maxell Ltd 薄膜型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JPH09312196A (ja) * 1996-05-23 1997-12-02 Casio Comput Co Ltd 電界発光素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5849A (ko) 1999-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30089B2 (en) Electronic device with a layer structure of organic layers
JP3897468B2 (ja) 有機発光ダイオード
JP3614405B2 (ja) p−型半導体性質を有する有機化合物を含む電子素子
US5677546A (en) Polymer light-emitting electrochemical cells in surface cell configuration
US7358538B2 (en) 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with multiple hole injection layers containing fullerene
US6521360B2 (en) White and colored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s using single emitting material by novel color change technique
JP3327558B2 (ja)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セント・デバイスを改良するために使用される有機/無機合金
US6274979B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US20060175958A1 (en) Organic electroluminescent element
KR20020092977A (ko) 고효율의 투명한 유기 발광소자
JP2004515895A5 (ko)
US20040144974A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evice with organic hole transporting material and phosphorescent material
US11837989B2 (en) Integrated photovoltaic window and light source
WO2007071450A1 (en) Electronic device with a layer structure of organic layers
Yu et al. Planar light-emitting devices fabricated with luminescent electrochemical polyblends
CN100397678C (zh) 包含具有p-型半导体特性的有机化合物的电子器件
KR100683050B1 (ko) 유기 전계발광 장치
US5122711A (en) Electroluminescent device
US20040265623A1 (en) Conducting polymer for electronic devices
JPH1074584A (ja) ホール輸送層からの放射を備えた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センスデバイス
KR100299731B1 (ko) 킬레이트금속배위화합물을포함하는유기발광소자
KR100581639B1 (ko) 유기 전계발광 소자
US20110024770A1 (en) Inverted Bottom-Emitting OLED Device
Liou et al. White Organic Light-emitting Diode Using Nano-double Ultrathin Carrier-trapping Materials in Performance Stability.
JP3253368B2 (ja) 電界発光素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52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