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99041B1 - 이동통신시스템의 라디오 링크 프로토콜 처리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시스템의 라디오 링크 프로토콜 처리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99041B1
KR100299041B1 KR1019990022100A KR19990022100A KR100299041B1 KR 100299041 B1 KR100299041 B1 KR 100299041B1 KR 1019990022100 A KR1019990022100 A KR 1019990022100A KR 19990022100 A KR19990022100 A KR 19990022100A KR 100299041 B1 KR100299041 B1 KR 1002990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ial number
frame
rlp
node
frame siz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221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06160A (ko
Inventor
장훈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900221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99041B1/ko
Publication of KR200000061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61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90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9041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39/00Evaporators; Condensers
    • F25B39/04Condens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1/00Defrosting; Preventing frosting; Removing condensed or defrost water
    • F25D21/14Collecting or removing condensed and defrost water; Drip tr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에서 RLP프레임의 일련번호 생성방법이, 지원 가능한 전송율들 각각에 대응하여 구성된 노드들에 대해 지정된 고유의 프레임 정보를 가지는 일련번호나무를 구성하는 과정과, RLP제어기의 일련번호 요청에 의해 RLP 일련번호생성기가 지정된 노드의 프레임 정보를 상기 일련번호나무로부터 독출하여 상기 RLP제어기로 공급하는 과정과, 상기 일련번호 요청에 응답하여 프레임 정보를 공급받은 상기 RLP제어기가 프레임을 송신 및 수신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동통신시스템의 라디오 링크 프로토콜 처리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radio link protocol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부호 분할 다중 접속 방식(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이하 CDMA라 칭한다) 이동통신시스템의 라디오 링크 프로토콜(Radio Link Protocol: 이하 RLP라 칭함) 처리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송율이 다양한 환경에서 패킷 데이터 통신을 위한 라디오 링크 프로토콜 처리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CDMA 이동통신시스템은 음성을 위주로 하는 IS-95 규격에서 발전하여, 음성뿐만 아니라 고속 데이터의 전송이 가능한 IMT-2000 규격으로 발전하기에 이르렀다. 상기 IMT-2000 규격에서는 고품질의 음성, 동화상, 인터넷 검색 등의 서비스가 가능하다. 기존의 상기 CDMA 이동통신시스템은 음성 서비스 위주이므로, 데이터의 최대 전송 속도가 각각 9.6 kbps 또는 14.4 kbps에 불과하다. 그러나 현재 제안되고 있는 상기 IMT-2000 규격의 이동통신시스템에서는 데이터의 전송속도가 최대 2 Mbps까지 가능하므로, 기존의 CDMA 이동통신시스템보다 많게는 256배나 더 많은 데이터를 한 번에 전송할 수 있게 된다.
상기 CDMA 이동통신시스템에서는 라디오 링크 프로토콜(Radio Link Protocol: RLP)을 사용하여 무선 환경에서 발생하는 데이터의 깨짐 현상을 해결하고 있다. 상기 라디오 링크 프로토콜은 각각 9.6 kbps 또는 14.4 kbps 또는 그 이하의 전송율에서 20 ms의 길이를 가지는 프레임을 기준으로 하고 있다.
상기 라디오 링크 프로토콜은 각각의 20 ms 프레임에 일련 번호(sequence number)를 부가함으로써, 무선 환경에서 전송 중에 유실된 데이터 프레임을 다시 전송하도록 하는 재전송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상기 데이터 프레임을 전송하는 과정에서 상기 RLP에서 사용하는 일련 번호는 8 bit의 길이를 가지므로, 상기 RLP에서 지원하는 서로 구별되는 최대의 프레임 개수는 256개가된다.
상기 RLP의 재전송 과정에서 만일 전송율이 기존의 전송율 보다 높게 변하는 경우, 재 전송되는 프레임은 다른 프레임과 함께 보냄으로써 더 높은 전송율에서 보다 효율적으로 전송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RLP의 재 전송과정에서 전송율이 기존의 전송율 보다 낮게 변하는 경우, 재 전송되는 프레임은 반드시 낮은 전송율에 맞도록 몇 개의 프레임으로 나누어져서 전송되어야 한다.
이때 상기 RLP의 재전송 과정에서 낮은 전송율에 맞게 프레임을 나누어 전송해야 하는 경우, 최대 3 개까지 나누어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RLP을 사용하는 수신 측에서는 최대 3 개로 나누어져 전송된 프레임을 다시 원래 프레임으로 조립하여, 마치 원래 프레임을 그대로 받은 것처럼 사용한다.
그러나 상기 IMT-2000 규격에서는 상기 RLP에서 지원하는 최대 전송율 9.6 kbps 또는 14.4 kbps 보다 훨씬 더 빠른 최대 2 Mbps까지 가능하므로, 상기 9.6 kbps 또는 14.4 kbps의 최대 전송율을 갖는 기존의 RLP를 그대로 적용하기에는 많은 어려움이 따른다. 또한 재 전송과정에서 필요한 경우 단순히 최대 3 개 정도로 끝나던 나누기 작업이 많은 전송율을 지원해야 함에 따라서 여러 가지 복잡한 상황에 대해서 나누기 작업의 절차를 하나하나 지정해야하는 어려움이 따르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통신시스템에서, 단말기와 시스템이 다양한 고속 전송율을 가질 수 있는 무선 채널로 연결되어 전송율이 바뀌는 경우에도 원활한 라디오 링크 프로토콜을 지원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동통신시스템에서 데이터 전송 중에 연결된 무선 채널의 전송율을 변화시키는 경우 전송된 데이터를 보호하면서 전송 중에 유실된 데이터를 재 전송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이동통신시스템에서 패킷 데이터 통신을 하는 단말기와 시스템이 유실된 데이터를 재 전송할 때 불필요하게 보내는 데이터가 없는 프레임을 생성하지 않는 종료 필드를 제안하여 효율적으로 재 전송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이동통신시스템에서 RLP프레임의 일련번호 생성방법이, 지원 가능한 전송율들 각각에 대응하여 구성된 노드들에 대해 지정된 고유의 프레임 정보를 가지는 일련번호나무를 구성하는 과정과, RLP제어기의 일련번호 요청에 의해 RLP 일련번호생성기가 지정된 노드의 프레임 정보를 상기 일련번호나무로부터 독출하여 상기 RLP제어기로 공급하는 과정과, 상기 일련번호 요청에 응답하여 프레임 정보를 공급받은 상기 RLP제어기가 프레임을 송신 및 수신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고속에서 전송하던 프레임을 저속에서 다시 전송하는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일련 번호 생성 방법을 사용하는 경우 각각의 전송율에서 필요한 일련 번호의 수를 구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고속에서 전송하던 프레임을 저속에서 다시 전송할 때 필요한 일련 번호를 부여하는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일련번호나무를 생성하는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일련번호나무를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RLP 일련번호 생성기를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다른 일련번호나무에서 노드를 찾는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일련번호나무를 참조하여 일련번호를 생성하는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일련번호나무에서 전송율의 변화에 따라 노드 포인터를 변경하는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RLP제어기와 필요한 RLP 일련번호생성기들을 도시하는 도면.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재전송의 일련번호 처리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재전송시 전송율 저하로 프레임이 여러 개로 쪼개지는 것을 설명하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의 참조와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부호분할다중접속 이동통신시스템에서 데이터 통신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전송율이 수시로 바뀌는 무선 환경에서의 데이터 유실을 방지할 수 있는 새로운 일련 번호 생성 방법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이러한 용도에 따른 새로운 일련 번호 생성 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종래의 라디오 링크 프로토콜과도 호환성을 유지해야 한다. 하기 <표 1>은 IMT-2000 시스템 전송율과 프레임 크기를 표시하는 것으로써, 상기 IMT-2000 규격에서 지원하는 전송율과 각각의 전송율에서 허용하는 최대 프레임 크기를 나타낸다.
순서(i) IMT-2000 시스템전송율 프레임 크기 IMT-2000 시스템전송율 프레임 크기
0 9.6 kbps 21 바이트 14.4 kbps 33 바이트
1 19.2 kbps 45 바이트 28.8 kbps 69 바이트
2 38.4 kbps 93 바이트 57.6 kbps 141 바이트
3 76.8 kbps 189 바이트 115.2 kbps 285 바이트
4 153.6 kbps 381 바이트 230.4 kbps 573 바이트
5 307.2 kbps 765 바이트 460.8 kbps 1149 바이트
6 614.4 kbps 1533 바이트 921.6 kbps 2301 바이트
7 1036.8 kbps 2589 바이트 1036.8 kbps 2589 바이트
8 1228.8 kbps 3069 바이트 1843.2 kbps 4605 바이트
9 2073.8 kbps 5181 바이트 2073.6 kbps 5181 바이트
10 2457.8 kbps 6141 바이트
상기 <표 1>과 같이 다양한 전송율을 지원하면서, 상기 전송율이 변화하였을 때 데이터 유실을 방지하려면 고속 전송 율에서 보내던 큰 RLP프레임을 낮은 전송율에서 여러 개로 나누어 전송할 수 있어야 한다. 상기와 같이 여러 개로 나누는 것에 대해서, 종래의 RLP에서는 최대 세 개까지 나눌 수 있는 조각 및 재결합(segmentation & reassembly) 방식을 제안하고 있지만, 상기 <표 1>에 표시된 바와 같이 10 개 이상의 다양한 전송율과 수백 개로 나누어질 수 있는 경우를 고려한다면 이러한 조각 및 재결합 방법은 적절한 대안이 될 수 없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와 같은 조각 및 재결합 방법을 사용하지 않고, 큰 RLP프레임이 나누어질 때 각각의 나누어진 블록마다 유일한 일련 번호를 부여함으로써, 이미 수신된 데이터들을 최대한 보호하고 필요한 부분만 재 전송받을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나누어진 블록마다 유일한 일련 번호를 부여하기 위해서는 다른 블록이나 프레임에서는 필요한 일련 번호를 사용하지 않고 있어야 한다. 따라서 큰 RLP프레임이 생성될 때 미리 필요한 최대 개수의 일련 번호를 예약해 두고 다른 블록이나 프레임들이 이 일련 번호를 사용하지 않도록 하는 방법이 필요하다.
도 1은 상기와 같은 RLP 프레임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상기 도 1은 상기 <표 1>에서 개시하고 있는 IMT-2000 시스템 전송율 중에서 38.4 kbps를 예로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1에서 38.4 kbps 전송율을 생각하면, 전송율이 38.4 kbps 보다 더 낮은 19.2 또는 9.6 kbps로 낮아질 때 93 바이트 크기의 프레임이 각각의 새로 바뀐 전송율에서 허용하는 프레임 크기로 나누어져야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유일한 일련 번호를 부여하기 위해서는 일련 번호를 필요한 최대 개수만큼 예약을 해 두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일정 크기의 프레임이 나누어질 때, 한 번에 나누는 것보다는 여러 차례 나눠야 블록이 가장 많이 생길 수 있으므로, 필요한 최대 개수를 예상하기 위해서는 38.4 kbps에서의 프레임이 19.6 kbps 프레임으로 나누어졌다가 9.6 kbps 프레임으로 다시 나누어지는 경우를 생각하면 된다.
상기와 같은 경우, 상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93 바이트의 프레임은 19.2 kbps 전송율에서는 45 바이트, 45 바이트, 3 바이트의 3 개의 블록으로 나누어지고, 9.6 kbps에서는 모두 21 바이트, 21 바이트, 3 바이트, 21 바이트, 21 바이트, 3 바이트, 그리고 3 바이트의 7 개의 블록으로 나누어진다. 여기서 주의할 점은 19.2 kbps에서 나누어진 세 개의 블록에서 가장 마지막 블록은 전송하는 크기가 3바이트뿐이라는 것이다. 따라서 9.6 kbps로 전송율이 낮아지더라도 이 블록은 다시 나눌 필요 없이 9.6 kbps 프레임 하나에 담겨 보내질 수 있다.
상기한 예를 바탕으로 전송율이 다양한 일반적인 경우에는 도 2와 같은 순서도를 따르면 필요한 일련 번호의 수를 구할 수 있다. 상기 도 2와 같은 흐름도는 다음과 같은 가정을 기초로 수행된다. 첫 번째로 변화할 수 있는 전송율의 개수는n개이다. 두 번째로 n개의 전송율 중에서 가장 낮은 전송율의 프레임 크기를 M0, 그 다음으로 낮은 전송율의 프레임 크기를 M1, 이러한 방법으로 가장 큰 전송율의 프레임 크기를 Mn-1으로 한다. 세 번째로 상기 도 2에서 구해지는 필요한 일련 번호 개수는 가장 낮은 전송율일 때 N0, 그 다음으로 낮은 전송율일 때 N1, 이러한 방식으로 가장 큰 전송율에서 필요한 일련 번호의 개수는 Nn-1에 저장된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먼저 우선 가장 낮은 전송율에서의 일련 번호 개수 N0는 1 개로 정의한다(212단계). 그리고 0 보다 크고 n 보다 작은 정수 i에 대해서 0에서 j(i - 1)까지의 정수 k(0<k<j(=i-1))에 대해 Nk값을 모두 구하였다고 가정한다. i 번째 전송율의 일련번호개수 Ni를 구하기 위해서 Ni 값을 0으로 설정하고, 변수 S에는 Mi 값을 저장한다(214단계). 여기서 상기 S 보다 작은 Mk(단, k는 0에서 i - 1 까지의 정수)들 중에서 가장 큰 값을 Mj라고 가정한다. 그리고, S를 Mj로 나눈 몫을 f라고 정의하고(216단계), 상기 f가 '1'보다 큰가를 판단한다(218단계). 이때 상기 f가 '1'보다 큰 경우 상기 Ni 값에 f × Nj 값을 더하여 Ni 값으로 설정하고, 상기 S에서는 f × Mj 만큼을 빼서 S값으로 설정한다(220단계). 한편, 상기 220단계에서 Ni 값과 S 값이 설정되었거나 상기 218단계에서 f가 '1' 이하인 경우에는 상기 변수 j를 '1'만큼 감소시킨다(222단계). 그리고, 상기 변수 j가 '0'보다 크거나 같고, 상기 S도 '0'을 초과하는지 검사한다(224단계). 여기서 상기 224단계의 조건을 만족하면 상기 216단계로 되돌아가 이하 단계를 재 수행한다. 반면, 상기 224단계의 조건을 만족하지 않으면 상기 S가 '0'을 초과하는지 검사한다(226단계). 이때 상기 S가 '0'을 초과한 값을 가지면 상기 Ni 값에 1을 더하고(228단계),상기 S가 '0' 이하이면 상기 i에 1을 더하여 새로운 i로 설정한다(230단계). 그리고 상기 i가 상기 n보다 작은지를 검사하여, 작을 경우 상기 214단계로 되돌아가 이하 단계를 재 수행하며,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도 2에 따른 동작을 종료한다(232단계).
상기 도 2와 같은 흐름도에서 가장 중요한 점은 한 단계 낮은 전송율을 사용하여 보내고 남은 데이터가 작은 크기일 때, 낮은 전송율에서 이것을 나누지 않고 보낼 수 있다면 하나의 프레임에 넣어 보내는, 즉 일련 번호를 하나만 사용한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전송율 38.4 kbps에서 생성된 93 바이트의 프레임이 19.2 kbps 전송율에서 재 전송된다고 가정하자. 그러면 19.2 kbps 전송율에서는 프레임의 크기가 45 바이트이므로, 상기 93 바이트의 프레임은 45 바이트 블록 2 개와 3 바이트 블록 하나로 나누어진다. 또한 45 바이트의 프레임은 보다 낮은 9.6 kbps 전송율에서 다시 3 개의 블록으로 나누어질 수 있으므로, 일련 번호 3 개를 가지게 된다. 그러나, 이때 발생한 3 바이트의 블록은 전송율이 9.6 kbps까지 낮아지더라도 하나의 프레임에 전송될 수 있으므로 일련 번호를 하나만 사용한다. 결과적으로 93 바이트 프레임을 9.6 kbps에서 재 전송한다고 했을 때 필요한 일련 번호의 수는 7개가 된다.
하기의 <표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도 2와 같은 과정을 수행하여 구해진 각 전송율에 따른 일련번호개수를 보여준다.
순서(i) IMT-2000 시스템전송율 필요한일련번호개수 IMT-2000 시스템전송율 필요한일련번호개수
0 9.6 kbps 1개 14.4 kbps 1 개
1 19.2 kbps 3개 28.8 kbps 3 개
2 38.4 kbps 7개 57.6 kbps 7 개
3 76.8 kbps 15개 115.2 kbps 15 개
4 153.6 kbps 31개 230.4 kbps 31 개
5 307.2 kbps 63개 460.8 kbps 63 개
6 614.4 kbps 127개 921.6 kbps 127 개
7 1036.8 kbps 213개 1036.8 kbps 143 개
8 1228.8 kbps 252개 1843.2 kbps 253 개
9 2073.8 kbps 426개 2073.6 kbps 288 개
10 2457.8 kbps 505개
상기 도 2와 같은 과정에 따라 상기 도 1의 나누어진 블록에 일련 번호를 붙이면, 도 3과 같은 결과를 얻는다. 상기 도 3은 전송율 38.4 kbps에서 발생된 두 개의 93 바이트 프레임에는 각각 0번과 7번의 일련 번호가 붙여진다. 만일 전송율이 19.2 kbps로 낮아지고 앞서 발생된 두 개의 프레임을 모두 재 전송해야 한다면, 상기 두 개의 프레임은 각각 세 개의 블록으로 나누어지고, 일련 번호는 각각의 블록에 대해서 0, 3, 6, 7, 10, 13이 붙게 된다. 다시 전송율이 9.6 kbps로 낮아지고 앞서 발생된 모든 프레임을 재 전송해야 한다면, 19.2 kbps의 여섯 개 프레임은 다시 14 개의 프레임으로 나누어지고, 일련 번호는 0에서부터 13까지 차례로 붙게 된다.
또한 상기 전송율이 높아지는 경우, 송신측에서 일련 번호 S까지의 프레임을 전송했다 하더라도 수신측에서는 일련 번호 R까지의 프레임만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송율이 높아진다면 수신측은 일련 번호 R 이후의 프레임들은 새로운 전송율과 상기한 새로운 일련 번호 생성 방법을 통하여 만들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송신측은 상기 수신측에서 어디까지 받았는지 알 수 없으므로, 일련 번호 R 프레임 보다 먼저 보낸 프레임들에 대해서도 재 전송할 준비를 하고 있어야 한다. 결국 일련 번호 S까지의 모든 프레임들은 새로운 일련 번호 생성 방법 아래에서도 유일하게 구분할 수 있어야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낮은 전송율에서 생성된 프레임들도 높은 전송율로 변화하는 것을 대비하여 상기 도 2에서 제시된 방법을 참고하여 일련 번호를 붙여야 한다. 높은 전송율로 변화하는 것을 대비하여 일련 번호를 붙이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일련 번호 나무(tree)를 만들어야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일련번호생성 과정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우선 411단계에서 뿌리노드를 만든다. 그리고 413단계에서 상기 뿌리모드에 최고 전송율에 해당하는 프레임크기(Mn-1) 및 일련번호 '0'을 저장하고, 나무깊이에 해당하는 변수 h를 '1'로 초기화한다. 또한, 노드포인터를 상기 뿌리노드를 가리키도록 조정한다. 이후, 415단계에서 상기 변수 h에 저장된 값이 n(현재 시스템에서 지원하는 전송율의 개수;IMT-2000시스템의 레이트셋1을 가정할 경우 11개)보다 작은지를 검사한다. 이때 상기 변수 h에 저장된 값이 상기 n보다 작으면 417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종료한다. 한편, 상기 417단계에서 현재 노드포인터가 가리키는 노드에 저장된 프레임크기(M)를 상기 노드의 전송율보다 한 단계 낮은 전송율의 프레임크기(Mn-h-1)로 나눈 몫(f)을 구하고, 419단계에서 상기 구해진 몫이 '1'이상인지를 검사한다. 이때 상기 구해진 몫(f)이 '1' 이상일 경우 421단계로 진행하며, 상기 구해진 몫이 '1' 미만일 경우 423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421단계에서는 상기 구해진 몫(f)에 해당하는 개수만큼 자식노드들을 만들고 상기 노드들에 상기 한 단계 낮은 전송율의 프레임크기(Mn-h-1)를저장하고, 상기 423단계로 진행하다. 상기 423단계에서는 상기 현재 노드포인터가 가리키는 노드에 저장된 프레임크기(M)를 상기 한단계 낮은 전송율의 프레임크기(Mn-h-1)로 나눈 나머지(R)를 구하고, 425단계에서 상기 구해진 나머지(R)가 '0'을 초과하는지 검사한다. 이때 상기 구해진 나머지(R)가 '0'을 초과할 경우 427단계로 진행하여 현재 노드포인터가 가리키는 노드에 대해 가장 오른쪽에 자식노드를 하나 더 만들고, 상기 자식노드에 상기 나머지(R)를 저장한 후 429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425단계에서 구해진 나머지(R)가 '0'을 초과하지 않는 경우에도 상기 429단계로 진행한다. 한편, 상기 429단계에서는 상기 현재 노드포인터가 가리키는 노드의 일련번호를 시작 일련번호로 하여 상기 한 단계 낮은 전송율의 일련번호개수(Nn-h-1)씩 증가시키면서 상기 생성된 각 자식노드들에 일련번호를 저장시킨다. 그리고, 431단계에서 상기 현재 노드포인터가 가리키는 노드가 가장 오른쪽 노드인가를 검사하여 가장 오른쪽 노드이면, 433단계로 진행하고, 가장 오른쪽 노드가 아니면 437단계로 진행하여 노드포인터를 바로 오른쪽 노드를 가리키도록 조정한 후 상기 417단계로 진행하여 이하 단계를 재 수행한다. 한편, 상기 433단계에서는 상기 변수 h에 저장된 값을 '1'만큼 증가시킨 후 435단계로 진행한다. 그리고 상기 435단계에서 상기 생성된 자식노드들 중 가장 오른쪽 노드로 노드포인터를 옮긴 후 상기 415단계로 진행하여 이하 단계를 재 수행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일련번호나무는 우선 가장 높은 전송율을 위해서 나무의 뿌리 노드를 만든다. 이 뿌리 노드에는 가장 높은 전송율에서 보낼 수 있는 프레임 크기인 Mn-1값을, 그리고 일련 번호로 0을 기억시켜 둔다. 현재 나무의 높이(height)는 1이다. 두 번째로 상기 나무의 높이 h가 아직 n이 아니면, 다음의 세 번째 과정을 반복한다. 나무의 높이 h가 n과 같게 되면 나무가 완성된 것이다. 세 번째로 현재 나무의 잎 노드(leaf node) L0, L1, …, Lk에 대해서 각각 다음의 네 번째 및 다섯 번째까지의 과정을 수행한다. 그리고 수행을 마치면 나무의 높이 h는 하나 증가하게 된다. 네 번째로 노드 Li (0 ≤ i ≤ k)에 기억된 값 M에 대해서 M을 Mn-h-1로 나눈 몫 f를 구한다. 구한 몫 f가 1 보다 크거나 같으면 f 개만큼 노드 Li에 대해서 새로운 자식 노드를 만들고 각각의 자식 노드에게 Mn-h-1 값을 기억시켜 둔다. 노드 Li의 일련 번호가 S라면 가장 왼쪽의 자식 노드부터 차례로 S, S + Nn-h-1, S + 2 * Nn-h-1, …, S + (f - 1) * Nn-h-1 값을 기억시켜 둔다. 다섯 번째로 노드 Li에 기억된 값 M에 대해서 M을 Mn-h-1로 나눈 나머지 R을 구한다. 상기 구한 나머지 R이 0 보다 크면 상기 노드 Li에 대해서 새로운 자식 노드를 가장 오른쪽에 하나 더 만들고, 새로 만들어진 이 자식 노드에게 R 값을 기억시켜 둔다. 이 자식 노드에게는 일련 번호로 S + f * Nn-h-1 값을 기억시킨다.
상기 과정에서 Mx와 Ny 값은 상기 필요한 일련 번호 개수를 구하는 방법에서 사용된 정의와 같은 의미를 가진다. 상기와 같이 나무를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표 2>에 제시된 IMT-2000 시스템에서 각 전송율에 대응되는 프레임크기 및 일련번호개수를 참조하여 일련번호나무를 생성하면 도 5와 같다. 상기 도 5는 전송율 307.2 kbps까지 노드를 만든 것을 보여준다.
상기 과정으로 일련 번호 나무를 만들면 전송할 때 간단한 방법으로 일련 번호를 정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전송시 상기 일련 번호 나무를 바탕으로 현재 전송율이 R일 때 전송율 R에 해당하는 노드들을 왼쪽에서 오른쪽 순서로 전송하고, 끝까지 전송한 다음에는 다시 왼쪽에서부터 전송을 시작하면 된다. 물론, 상기 끝까지 전송한 다음 다시 왼쪽부터 전송시 Nn-1값을 노드가 가진 일련 번호에 더하여 새로운 일련 번호를 생성한다. 상기 도 5를 예로 들어 설명하면, 현재 전송율이 1036kbps라 하면, 0번 프레임에 2589 바이트를 전송하고, 213번 프레임에 480 바이트를 전송하며, 252 프레임에 2112 바이트를 전송하고, 426번 프레임에 960 바이트를 전송한 후, 다시 나무의 처음으로 돌아와서 505(IMT2000 시스템의 Rate set1을 예로 들경우, Nn-1=505)번 프레임에 2589 바이트를 전송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의 참조와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RLP 일련번호생성기를 보여준다. 상기 도 6을 참조하면, RLP제어기61은 일련번호생성기62에서 일련번호를 받아서 현재 만드는 RLP프레임의 일련번호로 사용한다. 메모리장치63은 상기 일련번호나무를 저장하는 장치로서 노드포인터에 의해 각 노드의 위치를 알수 있다. 또한, 상기 메모리장치63은 상기 일련번호나무의 노드들과 각 노드들의 부모 및 자식노드를 알 수 있는 정보가 기록되어 있다. 여기서 각 노드들에는 앞에서 구한 일련번호와 프레임크기를 저장하고 있으며, 상기 일련번호 및 프레임크기를 프레임 정보라 칭한다. 노드포인터장치64는 상기 메모리장치63에 저장된 일련번호나무에 속하는 노드들 중 하나를 가리키는 장치이다. 제1레지스터65는 현재 생성하는 RLP프레임의 일련번호의 기준이 되는 일련번호가 저장되는 16비트 레지스터이다. 제2레지스터66은 최고 전송율에서필요한 일련번호개수가 저장되는 16비트 레지스터이다. 즉, 상기 제2레지스터에 저장되는 값은 상기 4와 같은 과정으로 일련번호나무를 완성했을 때 잎노드 수에 해당하는 값이다.
상기 일련번호생성기62는 상기 RLP제어기61로부터 다음과 같은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1)재설정명령
상기 RLP제어기61은 상기 일련번호생성기62로 상기 재설정명령과 일련번호 SEQ를 전달할수 있다. 상기 재 설정명령을 수신한 일련번호생성기62는 다음과 같은 동작을 수행한다.
첫째, 전달받은 일련번호 SEQ값을 상기 제2레지스터66에 저장된 값으로 나눈 몫 S와 나머지 M을 구한다.
둘째, 상기 일련번호생성기62는 상기 구해진 S와 상기 제2레지스터에 저장된 값을 곱해 상기 제1레지스터의 값으로 재설정한다.
셋째, 상기 나머지 M에 해당하는 일련번호를 갖는 노드를 상기 메모리장치63에 저장된 일련번호나무에서 검색한다. 상기 검색과정은 도 7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도 7를 참조하면, 우선, 711단계에서 노드포인터가 상기 메모리장치63에 저장된 일련번호나무의 뿌리노드를 가리키도록 한다. 그리고 찾는 노드에 해당하는 일련번호를 변수 SEQ에 저장한다. 이후, 713단계에서 상기 노드포인터가 현재 가리키고 있는 노드의 일련번호를 변수 S에 저장한 후, 715단계에서 상기 노드포인터가 현재 가리키고 있는 노드의 일련번호값(S)과 상기 찾는 노드에 해당하는일련번호값(SEQ)이 같은지를 검사한다. 이때 상기한 두 값이 일치하면 현재 가리키고 있는 노드가 찾는 노드이기 때문에 종료하며, 일치하지 않으면 717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현재 노드포인터가 가리키고 있는 노드의 자식노드들 중에서 일련번호값이 상기 일련번호값(SEQ)보다 작거나 같으면서 가장 가까운 값을 가지는 노드로 노드포인터를 옮긴 후 상기 713단계로 되돌아가 이하 과정을 재 수행한다.
넷째, 상기한 과정을 통해 찾고자 하는 노드를 찾으면, 상기 일련번호생성기62는 RLP제어기61로 재 설정이 성공적으로 종료했음을 알린다.
2)일련번호요청
상기 RLP제어기61은 상기 일련번호생성기62에게 일련번호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일련번호 요청을 수신한 상기 일련번호생성기62는 도 8에서와 같은 과정으로 일련번호를 생성하여 상기 RLP제어기61에게 전송한다. 상기 도 8을 참조하면, 우선 상기 일련번호생성기62는 811단계에서 현재 노드포인터가 가리키는 노드에서 일련번호와 프레임크기를 읽어와 변수 S와 M에 각각 저장한다. 그리고, 상기 일련번호생성기62는 813단계에서 상기 변수 S에 상기 제1레지스터에 저장된 값을 더한다. 이때 구해진 S와 M값이 상기 RLP제어기61로 전달될 일련번호와 가능한 프레임크기가 된다. 이렇게 일련번호와 크기를 구하면, 상기 일련번호생성기62는 다음 일련번호를 준비하기 위해 노드포인터를 옮긴다. 여기서, 상기 일련번호생성기62는 815단계에서 현재 노드포인터가 가리키는 노드가 가장 오른쪽 노드인지를 검사한다. 만일, 상기 현재 노드포인터가 가장 오른쪽 노드를 가리키고 있지 않으면 817단계로 진행하여 현재 노드에서 오른쪽에 있는 노드를 가리키도록노드포인터를 옮긴 후 종료한다. 반면, 상기 현재 노드포인터가 가장 오른쪽 노드를 가리키고 있다면 더 이상 진행할수 없으므로 819단계에서 현재 나무깊이에서 가장 왼쪽에 있는 노드를 가리키도록 노드포인터를 옮기고, 821단계에서 상기 제1레지스터65에 상기 제2레지스터66의 값을 더한 후 종료한다. 그리고 상기한 과정을 마치면 상기 일련번호생성기62는 상기 RLP제어기61에게 상기 변수 S 값을 일련번호값으로, 그리고 변수 M값을 가능한 프레임크기로 돌려준다.
3)전송율 변화 알림
상기 RLP제어기61은 상기 일련번호생성기62에게 전송율 변화를 알릴 수 있다. 상기 전송율 변화를 통보 받은 상기 일련번호생성기62는 도 9와 같은 과정을 통해 노드포인터를 조정한다. 상기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일련번호생성기62는 911단계에서 변경된 전송율에 해당하는 일련번호나무의 높이를 변수 h에 저장한다. 그리고 913단계에서 전송율의 상승 또는 하강여부를 판단한다. 만일 전송율이 상승했다면, 상기 일련번호생성기62는 915단계로 진행하여 현재 노드포인터가 변수 h에 저장된 높이에 해당되는지 검사한다. 이때, 상기 현재 포인터가 변수 h에 저장된 높이에 해당되면 종료하고, 그렇지 않으면 919단계로 진행하여 현재 노드포인터가 가리키는 노드가 자신의 부모노드에 대한 가장 왼쪽노드인가 검사한다. 이때 가장 왼쪽노드이면 917단계로 진행하여 노드포인터를 현재 노드포인터가 가리키는 노드의 부모노드로 옮긴 다음 상기 915단계로 되돌아가며, 상기 가장 왼쪽노드가 아니면 921단계로 진행하여 노드포인터를 현재 노드포인터가 가리키는 노드의 부모노드의 바로 오른쪽 노드로 옮긴 후 상기 915단계로 되돌아간다. 여기서, 만일, 바로오른쪽 노드가 없다면 노드포인터를 부모 노드의 가장 왼쪽 노드로 옮긴 후 상기 제1레지스터65에 상기 제2레지스터66 값을 더한 후 상기 915단계로 되돌아간다.
한편, 상기 913단계에서 상기 전송율이 하강되었다고 판단하면, 상기 일련번호생성기62는 923단계로 진행하여 현재 노드포인터가 가리키는 노드가 상기 변수 h에 저장된 높이에 해당되는지 검사한다. 이때, 상기 변수 h에 해당되면 종료하고, 상기 변수 h에 해당되지 않으면 925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노드포인터를 현재 노드포인터가 가리키는 노드의 가장 왼쪽의 자식노드로 옮긴 후 상기 923단계로 되돌아간다. 그리고, 상기한 과정들을 종료한 상기 일련번호생성기62는 상기 RLP제어기61에게 성공적으로 노드포인터 조정을 마쳤음을 알린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RLP제어기61은 상기 일련번호생성기62를 사용하여 송신 프레임의 일련번호를 생성하거나 수신 프레임의 일련번호를 예측한다. 도 10은 이러한 RLP제어기와 RLP일련번호 생성기의 구성을 보여준다. 상기 RLP제어기61은 새로 전송하는 프레임에 대한 일련번호를 생성하는 제1일련번호생성기100과 다음에 수신되는 프레임의 일련번호를 계산하는 제2일련번호생성기200, 그리고 재전송할 프레임에 대한 일련번호를 생성하는 제3일련번호생성기300 등 총 세 개의 일련번호생성기를 사용한다.
상기 RLP제어기61은 새로 전송하는 프레임을 생성할 때 상기 제1 일련번호생성기100을 통해 다음과 같은 과정으로 일련번호를 얻는다.
첫째, 상기 RLP제어기61은 초기화 작업을 수행할 때마다 상기 제1 일련번호생성기100으로 일련 번호 '0'과 함께 재 설정명령을 보낸다.
둘째, 상기 RLP제어기61은 전송율이 변화할 때마다 상기 제1 일련번호생성기100으로 변화된 전송율과 함께 전송율 변화를 알려준다.
셋째, 상기 RLP제어기61은 새로 전송하는 프레임을 생성할 때 상기 제1 일련번호생성기100에 일련 번호를 요청한다. 그러면, 상기 제1 일련번호생성기100은 상기 도 8의 과정으로 일련번호를 구하고, 상기 구해진 일련번호와 가능한 프레임크기를 상기 RLP제어기61로 돌려준다. 그러면 상기 RLP제어기61은 상기 제1 일련번호생성기100에서 전달된 상기 가능한 프레임크기를 현재 전송할 수 있는 데이터의 최대크기와 비교하여, 동일하지 않으면 상기 제1 일련번호생성기100에 일련번호를 다시 요청한다. 즉, 상기 RLP 제어기61은 상기 제1 일련번호생성기100에서 전달된 가능한 데이터의 크기가 현재 전송할 수 있는 데이터의 최대 크기가 될 때까지 상기 과정을 반복 수행한다. 상기 RLP 제어기61은 상기 제1 일련번호생성기100에서 전달된 가능한 데이터의 크기가 현재 전송할 수 있는 데이터의 최대 크기가 되면 전달된 일련 번호를 새 프레임의 일련 번호로 사용한다.
상기 과정에서 일련번호를 데이터의 크기가 최대가 될 때까지 반복하여 구하는 것은 현재 전송율에서 보장하는 프레임 크기 보다 작게 보내는 경우 전송 효율이 떨어지므로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방법이다. 물론 상기 방법을 사용하는 경우 수신측 RLP 제어기도 같은 방법으로 도착할 새 프레임의 일련 번호를 예측해야 송신측 RLP제어기가 사용하지 않는 일련 번호를 알 수 있으므로 빠진 일련 번호가 나타나더라도 재전송 요청을 하지 않게 된다.
상기 RLP제어기61은 다음에 수신되는 프레임이 가질 일련번호를 생성할 때상기 제2 일련번호생성기200을 통해 다음과 같은 과정으로 일련 번호를 얻는다.
첫째, 상기 RLP제어기61은 초기화 작업을 수행할 때마다 상기 제2 일련번호생성기200에 일련 번호 0과 함께 재 설정 명령을 보낸다.
둘째, 상기 RLP제어기61은 전송율이 변화할 때마다 상기 제2 일련번호생성기200에 변화된 전송율과 함께 전송율 변화를 알려준다.
셋째, 상기 RLP제어기61은 다음에 수신될 프레임이 가질 일련 번호를 예측할 때 상기 제2 일련번호생성기200에 일련 번호를 요청한다. 이후, 상기 제2 일련번호생성기200에서 전달된 가능한 데이터의 크기가 현재 전송할 수 있는 데이터의 최대 크기가 아니면 상기 RLP 제어기61은 상기 제2 일련번호생성기200에 일련 번호를 다시 요청한다. 상기 RLP 제어기61은 상기 제2 일련번호생성기200에서 전달된 가능한 데이터의 크기가 현재 전송할 수 있는 데이터의 최대 크기가 될 때까지 상기 과정을 반복 수행한다. 상기 RLP 제어기61은 상기 제2 일련번호생성기200에서 전달된 가능한 데이터의 크기가 현재 전송할 수 있는 데이터의 최대 크기가 되면 전달된 일련 번호를 다음에 수신될 프레임의 예상 일련 번호로 사용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송신측과 수신측 RLP 제어기가 모두 같은 방법을 사용함으로서 실제 사용되는 일련 번호를 동일하게 예측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수신측 RLP 제어기는 상기 과정에서 얻은 예상 일련 번호와 실제 수신된 새 프레임의 일련 번호가 일치하지 않으면 중간에 빠진 일련 번호에 대해서 송신측 RLP 제어기에게 재전송을 요청한다. 상기 재전송 요청을 받은 송신측 RLP제어기는 재전송 요청에 해당하는 일련 번호를 가지는 데이터 부분을 재 전송한다. 상기 송신측 RLP 제어기는 상기 데이터 부분을 재 전송할 때 재 전송하는 프레임이 가질 일련 번호를 재전송 프레임에 대한 일련 번호를 생성하는 상기 제3 일련번호생성기300을 통해 다음과 같은 과정으로 얻는다.
첫째, 상기 RLP 제어기61은 재전송 프레임을 처음 보낼 때 상기 제3 일련번호생성기300에 상기 요청된 데이터 부분의 일련 번호와 함께 재 설정 명령을 보낸다.
둘째, 상기 RLP 제어기61은 전송율이 변화할 때마다 상기 제3 일련번호생성기300에 변화된 전송율과 함께 전송율 변화를 알려준다.
셋째, 상기 RLP 제어기61은 이번에 재 전송할 데이터 부분을 담은 재전송 프레임이 가질 일련 번호를 상기 제3 일련번호생성기300에게 요청한다. 상기 RLP 제어기61은 재 전송할 데이터 부분에서 상기 제3 일련번호생성기300에서 전달된 가능한 데이터의 크기만큼 잘라낸 부분을 전달된 일련 번호로 사용하여 재전송 프레임을 만들고, 상기 만들어진 재전송 프레임을 송신한다. 상기 RLP 제어기61은 다음 재전송 프레임을 만들 때는 이번에 보내진 부분이 아닌 다음 부분을 전송하게 된다.
넷째, 상기 과정을 통하여 요청된 데이터 부분을 모두 전송하였으면 상기 RLP제어기61은 재전송을 마친다.
도 11은 재전송의 일련번호 처리 예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11은 상기 도 4에서 구해진 일련번호나무를 바탕으로 307.2 kbps에서 전송하는 예를 보여준다. 우선 송신측에서는 일련 번호 0 번과 63 번을 사용하여 프레임을 전송한다. 일련번호 126 번은 일련 번호 나무 상에는 존재하지만 허용하는 크기가 전송율 307.2 kbps에서 허용하는 크기 765 바이트 보다 작으므로 전송 효율을 유지하기 위해서 사용하지 않는다. 일련 번호 127 번은 765 바이트를 보낼 수 있으므로 127 번을 사용하여 또 하나의 데이터 프레임을 전송한다. 마찬가지 방법으로 일련 번호 190, 213, 378, 379, 489 번은 사용하지 않고 일련 번호 252, 315, 426, 505 (0 + 505), 568 (63 + 505) 번을 사용하여 데이터 프레임들을 전송한다.
상기 과정 중에 전송율이 올라가면 노드 포인터를 현재 노드 포인터가 가리키고 있는 노드의 부모 노드(parent node)로 올리면 된다. 또한, 상기 과정 중에 전송율이 내려가면 노드 포인터를 현재 노드 포인터가 가리키고 있는 노드의 자식 노드 중에서 가장 왼쪽에 있는 자식 노드를 가리키도록 조정하면 된다. 이러한 방법으로 전송율이 변화하여도 아무런 문제없이 전송을 계속할 수 있다.
상기 과정 중에서, 만일 재 전송해야 하는 노드가 현재 전송율에서 보내는 노드 보다 아래에 있다면 충분히 현재 전송율에서 재전송이 가능하므로 아무런 문제가 없다. 만일 재 전송해야 하는 노드가 현재 전송율에서 보내는 노드 보다 위에 있다면 재 전송해야 하는 프레임은 여러 개의 프레임으로 나누어서 보내야 한다.
도 12는 재전송시 여러 개의 프레임으로 나누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기 도 12는 1036.8 kbps에서 전송되던 1500 바이트 데이터가 307.2 kbps에서 5 개의 프레임으로 나뉘어 전송되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한 1500 바이트 데이터는 1036.8 kbps에서 보장하는 최대 크기인 2589 바이트보다는 훨씬 짧은 길이의 데이터이므로 307.2 kbps 전송율에서는 2 개의 프레임이면 모두 전송이 가능하다. 따라서 RLP프레임의 헤더 부분에 새로운 필드인 종료 필드(END field)를 만들어서 부모 노드 또는 조상 노드를 재 전송할 때 이 자식 노드가 마지막 데이터이고 이 이후에는 보낼 것이 없음을 표시하도록 하면 훨씬 효율적인 재전송 방법이 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데이터 전송율을 가지는 IMT-2000 시스템에서 라디오 링크 프로토콜을 사용할 때, 확장된 일련 번호 생성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전송율 변화에 쉽게 대응할 수 있도록 하였을 뿐만 아니라 종료 필드를 전송하여 보다 효율적인 재전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였다.

Claims (19)

  1. 지원 가능한 전송율들 각각에 대응하여 구성된 노드들에 대해 지정된 고유의 프레임 정보를 가지는 일련번호나무를 구성하는 과정과,
    RLP제어기의 일련번호 요청에 의해 RLP 일련번호생성기가 지정된 노드의 프레임 정보를 상기 일련번호나무로부터 독출하여 상기 RLP제어기로 공급하는 과정과,
    상기 일련번호 요청에 응답하여 프레임 정보를 공급받은 상기 RLP제어기가 프레임을 송신 및 수신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시스템의 라디오 링크 프로토콜 처리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련번호나무를 구성하는 과정은,
    부모노드의 프레임크기를 자식노드의 프레임크기로 나눈 몫에 해당하는 자식노드들을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몫에 따른 나머지가 존재하면 자식노드를 하나 더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몫에 의해 생성된 자식노드들에 상기 자식노드의 프레임크기를 저장하는 과정과,
    상기 나머지에 의해 생성된 자식노드에 상기 나머지를 저장하는 과정과,
    상기 부모노드의 일련번호를 시작 일련번호로 하여 상기 자식노드의 일련번호개수씩 증가시켜 상기 생성된 자식노드들의 일련번호를 부여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시스템의 라디오 링크 프로토콜 처리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자식노드의 일련번호개수는,
    상기 부모노드의 일련번호를 시작 일련번호로 하는 자식노드로부터 생성될 수 있는 잎노드의 총수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시스템의 라디오 링크 프로토콜 처리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일련번호를 공급하는 과정은,
    상기 RLP제어기의 일련번호 요청에 의해 현재 전송율과 일련번호 요청회수에 의해 정하여진 노드값이 지정하는 노드의 일련번호 및 프레임 크기를 독출하는 과정과,
    상기 독출한 일련번호에 기준 일련번호를 합한 일련번호와 상기 독출한 프레임 크기를 상기 RLP제어기로 공급하는 과정과,
    상기 현재 전송율에 대응하는 노드들의 지정이 한번 순환될 때마다 상기 기준 일련번호에 상기 일련번호나무의 잎노드 수를 누적하여 상기 기준 일련번호를 갱신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시스템의 라디오 링크 프로토콜 처리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송신과정은,
    상기 일련번호 요청에 따라 상기 RLP일련번호생성기로부터의 일련번호와 프레임크기를 공급받는 과정과,
    상기 공급받은 프레임크기와 상기 현재 전송율에 대응하는 프레임크기를 비교하는 과정과,
    상기 비교과정에 의해 상기 RLP 일련번호생성기로부터 공급되는 프레임 크기가 상기 현재 전송율에 대응하는 프레임 크기와 동일하면, 상기 프레임 크기의 송신프레임을 구성하고 상기 일련번호생성기로부터 공급된 일련번호를 부여하여 송신하는 과정과,
    상기 비교과정에 의해 상기 RLP 일련번호생성기로부터 공급되는 프레임 크기가 상기 현재 전송율에 대응하는 프레임 크기와 동일하지 않으면, 상기 RLP 일련번호생성기로부터 동일한 프레임크기가 공급될 때까지 반복하여 일련번호 요청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시스템의 라디오 링크 프로토콜 처리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RLP제어기가 상대측 RLP제어기로부터 재전송을 요청받은 일련번호를 가지는 프레임의 데이터부분을 재전송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시스템의 라디오 링크 프로토콜 처리방법.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수신과정은,
    상기 일련번호 요청에 따라 상기 RLP일련번호생성기로부터의 일련번호와 프레임크기를 공급받는 과정과,
    상기 공급받은 프레임크기와 상기 현재 전송율에 대응하는 프레임크기를 비교하는 과정과,
    상기 비교과정에 의해 상기 RLP 일련번호생성기로부터 공급되는 프레임 크기가 상기 현재 전송율에 대응하는 프레임 크기와 동일하면, 상기 RLP 일련번호생성기로부터 공급되는 일련번호를 가지는 프레임이 수신되는지를 감시하는 과정과,
    상기 비교과정에 의해 상기 RLP 일련번호생성기로부터 공급되는 프레임 크기가 상기 현재 전송율에 대응하는 프레임 크기와 동일하지 않으면, 상기 RLP 일련번호생성기로부터 동일한 프레임크기가 공급될 때까지 반복하여 일련번호 요청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시스템의 라디오 링크 프로토콜 처리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감시과정에서, 상기 RLP 일련번호생성기로부터 공급되는 일련번호를 가진 프레임을 수신하지 못할 경우 송신측 RLP제어기로 상기 수신하지 못한 프레임의 재전송을 요청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시스템의 라디오 링크 프로토콜 처리방법.
  9.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지원 가능한 전송율들 각각에 대응하여 구성된 노드들에 대해 지정된 고유의 프레임 정보를 가지는 일련번호나무를 구비하는 라디오 링크 프로토콜계층의 일련번호 생성방법에 있어서,
    RLP제어기로부터 재설정 요구시 RLP 일련번호생성기가 상기 RLP제어기로부터 공급받은 일련번호의 노드로 상기 일련번호나무의 노드포인터를 재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RLP제어기로부터 전송율 변화 통보시 상기 RLP 일련번호생성기가 상기 RLP제어기로부터 공급받은 전송율을 만족하는 조상노드 또는 자손노드로 상기 일련버호나무의 노드포인터를 조정하는 과정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이동통신시스템에 있어서,
    지원 가능한 전송율들 각각에 대응하여 구성된 노드들에 대해 지정된 고유의 프레임 정보를 가지는 일련번호나무를 구비하며, 일련번호 요청이 있을 시 지정된 노드의 프레임 정보를 상기 일련번호나무로부터 독출하여 공급하는 RLP 일련번호생성기와,
    상기 일련번호 요청에 응답하여 공급되는 프레임 정보에 의해 RLP 프레임을 송신 및 수신하는 RLP제어기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시스템의 라디오 링크 프로토콜 처리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RLP 일련번호생성기는,
    상기 일련번호나무를 저장하는 메모리와,
    현재 전송율과 일련번호 요청 횟수에 의해 정하여진 노드 값을 저장하는 노드포인터와,
    기준 일련번호를 저장하는 제1레지스터와,
    상기 일련번호나무의 잎노드 수를 저장하는 제2레지스터와,
    상기 일련번호 요청에 의해 상기 노드 값이 지정하는 노드의 프레임 정보를 구성하는 일련번호 및 프레임 크기를 독출하고, 상기 독출한 일련번호에 상기 기준 일련번호를 합한 일련번호와 상기 독출한 프레임 크기를 공급하는 일련번호생성기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시스템의 라디오 링크 프로토콜 처리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일련번호생성기는,
    상기 현재 전송율에 대응하는 노드들의 지정이 한번 순환될 때마다 상기 제1레지스터에 저장된 기준 일련번호에 상기 제2레지스터에 저장된 잎노드 수를 누적하여 상기 기준 일련번호를 갱신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시스템의 라디오 링크 프로토콜 처리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RLP 제어기는,
    상기 일련번호생성기로부터 공급되는 프레임 크기가 상기 현재 전송율에 대응하는 프레임 크기와 동일하면, 상기 프레임 크기의 송신프레임을 구성하고 상기 일련번호생성기로부터 공급된 일련번호를 부여하여 송신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시스템의 라디오 링크 프로토콜 처리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RLP제어기는,
    상기 일련번호생성기로부터 공급되는 프레임 크기가 상기 현재 전송율에 대응하는 프레임 크기와 동일하지 않으면, 상기 일련번호생성기로부터 동일한 프레임크기가 공급될 때까지 반복하여 일련번호 요청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시스템의 라디오 링크 프로토콜 처리장치.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RLP 제어기는,
    상기 일련번호생성기로부터 공급되는 프레임 크기가 상기 현재 전송율에 대응하는 프레임 크기와 동일하면, 상기 일련번호생성기로부터 공급된 일련번호를 가지는 프레임이 수신되는지를 감시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시스템의 라디오 링크 프로토콜 처리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RLP제어기는,
    상기 일련번호생성기로부터 공급되는 프레임 크기가 상기 현재 전송율에 대응하는 프레임 크기와 동일하지 않으면, 상기 일련번호생성기로부터 동일한 프레임크기가 공급될 때까지 반복하여 일련번호 요청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시스템의 라디오 링크 프로토콜 처리장치.
  17. 제14항 또는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RLP제어기는,
    상기 현재 전송율이 변화할 때마다 상기 RLP일련번호생성기로 상기 변화된 현재 전송율과 전송율 변화를 통보하여 상기 노드포인터에 저장된 노드값을 변화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시스템의 라디오 링크 프로토콜 처리장치.
  18. 지원 가능한 전송율들 각각에 대응하여 구성된 노드들에 대해 지정된 고유의프레임 정보를 가지는 일련번호나무를 구비하며, 제1일련번호 요청이 있을 시 지정된 노드의 프레임 정보를 상기 일련번호나무로부터 독출하여 새로 전송하는 프레임에 대한 프레임 정보로 공급하는 제1 RLP 일련번호생성기와,
    지원 가능한 전송율들 각각에 대응하여 구성된 노드들에 대해 지정된 고유의 프레임 정보를 가지는 일련번호나무를 구비하며, 제2일련번호 요청이 있을 시 지정된 노드의 프레임 정보를 상기 일련번호나무로부터 독출하여 다음 수신되는 프레임에 대한 프레임 정보로 공급하는 제2 RLP 일련번호생성기와,
    지원 가능한 전송율들 각각에 대응하여 구성된 노드들에 대해 지정된 고유의 프레임 정보를 가지는 일련번호나무를 구비하며, 제3일련번호 요청이 있을 시 지정된 노드의 프레임 정보를 상기 일련번호나무로부터 독출하여 재전송할 프레임에 대한 프레임 정보로 공급하는 제3 RLP 일련번호생성기와,
    상기 일련번호 요청에 응답하여 공급되는 프레임 정보에 의해 RLP 프레임을 송수신 및 재전송하는 RLP제어기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시스템의 라디오 링크 프로토콜 처리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및 제3 RLP 일련번호생성기는,
    상기 일련번호나무를 저장하는 메모리와,
    현재 전송율과 일련번호 요청 횟수에 의해 정하여진 노드 값을 저장하는 노드포인터와,
    기준 일련번호를 저장하는 제1레지스터와,
    상기 일련번호나무의 잎노드 수를 저장하는 제2레지스터와,
    상기 일련번호 요청에 의해 상기 노드 값이 지정하는 노드의 프레임 정보를 구성하는 일련번호 및 프레임 크기를 독출하고, 상기 독출한 일련번호에 상기 기준 일련번호를 합한 일련번호와 상기 독출한 프레임 크기를 공급하는 일련번호생성기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시스템의 라디오 링크 프로토콜 처리장치.
KR1019990022100A 1998-06-13 1999-06-14 이동통신시스템의 라디오 링크 프로토콜 처리장치 및 방법 KR1002990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2100A KR100299041B1 (ko) 1998-06-13 1999-06-14 이동통신시스템의 라디오 링크 프로토콜 처리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9980022216 1998-06-13
KR1019980022216 1998-06-13
KR1019990022100A KR100299041B1 (ko) 1998-06-13 1999-06-14 이동통신시스템의 라디오 링크 프로토콜 처리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6160A KR20000006160A (ko) 2000-01-25
KR100299041B1 true KR100299041B1 (ko) 2001-11-01

Family

ID=266337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2100A KR100299041B1 (ko) 1998-06-13 1999-06-14 이동통신시스템의 라디오 링크 프로토콜 처리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9904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1898B1 (ko) 2005-06-14 2013-01-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시그널링 방법
US8571556B2 (en) 2005-06-14 2013-10-29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communicating signals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6160A (ko) 2000-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53003B1 (en) Device and method processing a radio link protocol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570130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daptively companding data packets in a data communication system
US6956855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transmitting data according to radio link protocol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100383611B1 (ko) 이동 통신시스템에서 라디오링크프로토콜에 따른 가변길이의 데이터 전송 장치 및 방법
KR100806979B1 (ko) 주어진 전송 시간 간격(tti) 제한조건들 하에서 데이터 스트림들을 할당하는 방법 및 장치
US7123617B1 (en) Radio link protocol enhancements for dynamic capacity wireless data channels
RU2280958C2 (ru)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опроса блока протокольных данных буфера передачи
KR100539930B1 (ko) 부호분할다중접속 이동통신시스템에서 데이터 전송 최적화를 위한 전송 포맷 선택 방법
US6895010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according to radio link protocol in a mobile communications systems
CN1175702C (zh) 控制承载性质的方法以及用于控制承载的系统
US9485776B2 (en) Method for operating multi-type beacons
CN101039273B (zh) 通信设备、传输控制方法、和传输控制程序
KR20030078542A (ko) 부호분할다중접속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전송 포맷 선택을위한 검색시간 최소화 방법
CN1240071A (zh) 无线基干结构中同步通信的方法及设备
KR20090053791A (ko)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데이터를 전송 및 분석하기 위한 방법 및 그의 장치
EP1722525B1 (en) Radio communication apparatuses and radio communication methods
EP0794630A2 (en) Data communication method and data communication apparatus
CN101689964A (zh) 使用crc和相等长度分组进行分组传输的方法和装置
KR100299041B1 (ko) 이동통신시스템의 라디오 링크 프로토콜 처리장치 및 방법
US9398600B2 (en) Base station device, radio communication system, and base station device control method
EP1770942B1 (en) Connection configuration in a wireless telecommunications system using hash values
CN101989896B (zh) 一种arq连接的反馈方法及装置
KR100304372B1 (ko) 기지국의슬롯할당/슬롯크기변경방법및그를이용한이동단말기의경쟁채널을통한패킷데이터전송방법
KR101732548B1 (ko)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을 이용한 데이터 전송 장치 및 방법
CN101415019A (zh) 管理信息传输有效性协商的方法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9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