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97581B1 - 급탕장치 - Google Patents

급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97581B1
KR100297581B1 KR1019940015457A KR19940015457A KR100297581B1 KR 100297581 B1 KR100297581 B1 KR 100297581B1 KR 1019940015457 A KR1019940015457 A KR 1019940015457A KR 19940015457 A KR19940015457 A KR 19940015457A KR 100297581 B1 KR100297581 B1 KR 1002975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water
flow path
load
heater
heat exchan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154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01669A (ko
Inventor
노보루 마루야마
Original Assignee
노보루 마루야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보루 마루야마 filed Critical 노보루 마루야마
Priority to KR10199400154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97581B1/ko
Publication of KR9600016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16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75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7581B1/ko

Links

Landscapes

  • Steam Or 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AREA)

Abstract

급탕장치는 열수발생유로를 지닌 열수발생부와 부하유로를 지닌 부하부를 구비하고 있어, 열수발생유로와 부하유로가 왕복유로에 의하여 연결되고, 이것들에 의하여 순환펌프를 지닌 폐유로가 형성되었으며, 열수발생부에는 가열기를 지닌 열교환기 및 열수발생유로에 설치되어서 가열기의 작동을 제어하는 열센서가 설치되고, 부하유로에는 보온조정밸브가 설치되었으며, 부하유로에 보온조정밸브에 상하류측을 연결하는 분기유로를 설치하고, 분기유로에 부하부재가 설치되어 있어 연결유로 사이에 열교환기의 상하류측을 연결하는 유량제어밸브를 구비한 바이패스유로가 설치되어 있다.

Description

급탕장치(HOT WATER SUPPLYING APPARATURE)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배관도.
제2도는 동상의 온수발생부의 일부의 종단면도.
제3도는 동상의 가열실의 연소가스에 의한 열교환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제4도는 동상의 온수발생부에 다른 예의 종단면도.
제5도는 동상의 또 다른 예의 종단면도.
제6도는 동상의 가열실의 연소가스에 의한 열교환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제7도는 본 발명과 같은 종류의 종래의 급탕장치의 배관도.
제8도는 동상의 온수발생부의 일부의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열수(熱水)발생부 3:열수방생유로(流路)
7:순환펌프 8:바이패스유로
10:가열기 11-1,11-2,11-3:열교환기
13:보온조절밸브 19:가열실
23:화염공급구(flame supply port) 24:배기구
본 발명은 1가구 주택, 맨션 등의 집합 주택, 호텔, 일반 빌딩, 공장 등 다수의 주거실을 갖는 건물의 급탕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급탕장치는 제7도, 제8도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은 것이 있으며, 이것은 열수발생부(1)와 부하부(2)를 지니고, 열수발생부(1) 및 부하부(2)에는 각기 열수발생유로(3) 및 부하유로(load flow path)(4)가 형성되어 있어, 열수발생유로(3)의 출구와 부하유로(4)의 입구 등을 외향(outward)유로(5)에서, 또 부하유로(4)의 출구와 열수발생유로(3)의 입구 등을 순환펌프(7)가 설치되어 있는 내향(inward)유로(6)에서 연결하여, 이들에 의하여 폐(閉)유로가 형성되고, 내향유로(6)에는 밸브(26)를 구비한 급수로(27)가 연결되어 있다. 열수발생부(1)에는 가열기(10)를 구비한 여러개(이 실시예에서는 3개)의 열교환기(11'-1,11'-2,11'-3) 및 그 하류에서 열수발생유로(3)에 설치되어서 가열기(10)의 작동을 제어하는 열센서(12-1,12-2,12-3)가 설치되어 있다. 부하부(2)의 부하유로(4)에는 보온조정밸브(13)가 설치되어서, 그 상하류부와 여러개(이 실시예에서는 2개)의 부하부재(15) 등을 분기유로(branch flow path)(14)에서 연결하여, 분기유로(14)의 외향유로에는 열량계(16)가 설치되어 있다. 제4도에는 열수발생부(1)의 일부를 상세히 나타내었고, 이 열수발생부(1)의 열교환기(11'-1,11'-2,11'-3)는 및 가열관(加熱罐))(18)을 구비하고, 이 가열관(18)에는 하이리밋센서(high limit sensor)(17) 및 급수부(21)가 설치되어 있어서 내부에 가열실(19')이 설치되어 있고, 이 가열실(19')은 중공통상(中空筒狀)으로 되어 있으며, 그 한쪽 하부에 버어너로 된 가열기(10)의 화염공급구(flame supply port)(23)가 개구되어 있어서 다른쪽 상부에 배기구(24)가 설치되고, 이 배기구(24)에는 배기관(20)이 연결되고, 또 가열관(18)의 내부 상방으로 외향(外向)유로(5)의 열교환부(22)가 배치되어 있다. 부하부재(15)에는 각기 급탕기(給湯器)(31), 난방기 및 도면에 없는 그 밖의 부하기구가 설치되었으며, 내향(內向)유로(6)에는 정수기(28), 정수펌프(29)를 구비한 정수유로(30)가 연결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급탕장치는 보온조정밸브(13)를 완전 개구하여 밸브(26)를 개구하고 급수로(27)를 통해서 폐유로에 급수하여 이것을 채운 다음 밸브(26)를 폐쇄하고, 순환펌프(7), 정수펌프(29)를 작동하여 폐유로중의 물을 폐유로내를 순환시키며, 동시에 열교환기(11'-1,11'-2,11'-3)의 가열기(10)를 작동하여 물의 가열을 개시한다. 이와 같이 하여 가열된 물이 일정한 온도에 도달하면, 보온조정밸브(13)를 일단 완전 폐쇄하고, 그 전후에 설치된 온도·압력계(39,40)에 의하여 전후의 압력차 및 온도가 미리 설정된 최소한의 유량으로 된 개구 정도로 보온조정밸브(13)를 개구한다. 이것은 부하부(2)의 부하부재(15)에 있어서의 열수의 소비가 없는 무부하시에 있어서도 열수의 순환이 필요하지만, 열수발생부(1)와 부하부(2)의 유로를 포함하는 전체 폐유로의 길이가 가장 길기 때문에, 그 순환유량을 많게 하면, 관외 방열 손실이 순환유량에 비례하여 증대하므로, 그것을 흐르는 열수의 방열에 의한 열손실이 커지므로, 무부하시에 있어서 흐르는 열수의 유량을 가급적 작게 하여 이것을 방지하는 것과, 부하시에 있어서의 부하부재(15)에의 열수의 공급을 신속하게 실행하기 위하여 보온조정밸브(13)의 상류측과 하류측 사이에 커다란 차압을 발생시키기 위함이다.
그리고, 급탕기(31)에 있어서, 급텅전(栓)(35)이 개구하여 열수가 소비되면, 압력스위치(33)를 통하여 보급관(32)으로부터 수도물이 보급됨과 동시에 압력스위치(33)로부터의 신호가 모우터밸브(34)에 송출되어서 이 모우터밸브(34)가 개구하여 급탕기(31)에 열수가 공급되고, 이 열수와 보급된 수돗물과의 사이에서 순간적으로 열교환되어서 급탕전(35)으로부터 열수가 공급된다. 한편, 난방기를 이용시에는 밸브(36)를 개구하여 이것에 열수가 유입되고, 작업중지시에는 밸브(36)를 폐쇄하여 열수가 유입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이용된 열수는 열량계(16)를 통과함에 따라서 부하부(2)에 있어서의 소비열량으로서 파악하게 된다. 이 경우, 열센서(12-1,12-2,12-3)에는 일정한 온도가 설정되어 있어, 열수발생유로(3)내의 액체가 이 설정온도 보다 낮아지게 되면 열센서(12-1,12-2,12-3)로부터의 신호에 의하여 가열기(10)가 작동하여 열교환기(11'-1,11'-2,11'-3)내에 급수부(21)에서 공급된 액체가 가열되고, 가열된 액체와 열수발생유로(3)의 열교환부(22)를 흐르는 액체와의 사이에서 열교환이 이루어져서 이 액체가 열수로 되고, 반대로 열수발생유로(3)내의 액체가 설정온도 보다 높아지면 하이리밋센서(17)로부터의 신호에 따라서 가열기(10)가 작동을 중지하여 열교환기(11'-1,11'-2,11'-3)내에 급수부(21)에서 공급된 액체의 가열을 정지한다. 이렇게 하는 동안 순환펌프(7)는 항상 작동하여 부단히 열수를 폐유로중을 순환시킨다.
이와 같은 종래의 급탕장치에 있어서는 보온조정밸브(13)의 유량을 전술한 바와 같이 조정함에 따라서, 열수의 온도를 일정 온도로 유지함과 동시에 부하부재(15)에 순간적으로 유입시킬 수 있으나, 한편 여러개의 열교환기(11'-1,11'-2,11'-3)는 순환펌프(7)로부터 순차 먼쪽으로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관로저항이 순차로 커지게 되어서, 유통하는 열수의 유량이 순차 소량으로 되어, (1) 최저 유량의 열교환기(11'-3)에 부설된 열센서(12-3)가 설치되어 있는 열수발생유로(3)내의 열수의 흐름이 정지상태에 가까워져서 관외 자연방열 손감에 따라서 저온으로 되어 가열관(18)내의 열수의 온도가 격별히 저온으로 되어 있지 않아서 가열기(10)의 작동이 불필요함에도 불구하고 열센서(12-3)가 신호를 출력하고, 또 (2) 열교환부(22)내의 유량이 저하하면, 가열관(18)내에 급수부(21)에서 공급되어서 대류를 발생하는 액체에 의하여 제4도에서 점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열교환부(22)의 입구 부근에 열수가 이동하여 열수발생유로(3)내의 열수가 역류하여 열센서(12-3)가 신호를 출력한다. 그리고, 이와 같은 열센서(12-3)에 의한 신호가 가열기(10)에 입력되어서 가열기(10)가 작동하고, 이에 따라서 가열관(18)내의 온수와 온도가 불규칙한 고열로 되어 열교환기(11-3)에 손상을 주는 염려가 있어서 위험할 뿐 아니라, 순환펌프(7)의 무부하 운전(idling)이 발생하여 고장을 발생하기 쉽게 때문에, 하이리밋센서(17)가 이상고온이라고 판단하여, 본래 정지할 필요가 없는 열교환기(11'-3)를 정지하지 않으면 아니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급탕장치가 갖는 문제를 해소하여 열수발생유로를 흐르는 유체의 유량은 최소유량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가열관내의 열수의 온도가 불규칙한 고열로 되어서, 열교환기에 손상을 줄 염려가 없어 위험이 없으므로 정지할 필요가 없을 때에 열교환기를 정지시키는 일이 없고, 또 순환펌프의 무부하 운전을 발생하여 고장을 발생하는 일이 없는 급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열교환기 작동하여 연소실내에 발생한 연소가스는 가열실내를 상승한 다음 하강하여 배기구에서 외부로 배출되는 동안에, 그 외표면에 있는 가열관내의 액체와의 사이에서 열교환이 이루어져, 이 열교환에 의하여 가열실내의 연소가스는 그 액체에 열을 공급함으로써 하강유동성이 높아져서 연소효율이 향상하고, 불완전연소가 방지되며, 가열관내의 액체는 상승 하강하는 대류를 발생하여 연소가스와 액체와의 열교환율을 높여서 신속하게 액체를 승온시키는 급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열수발생유로를 구비한 열수발생부와, 부하유로를 지닌 부하부를 구비하고 있어, 열수발생유로와 부하유로를 연결하는 연결유로가 설치되어서, 이들에 의하여 순환펌프를 지닌 폐유로가 형성되고, 열수발생부에는 가열기를 지닌 열교환기와 열수발생유로에 설치되어서 가열기의 작동을 제어하는 열센서를 설치하였으며, 부하유로에는 보온조정밸브가 설치되어서 부하유로에서 보온조정밸브의 상하류측을 연결하는 분기유로(分岐流路)를 설치하여, 이 분기유로에 부하부재가 설치되어 있는 급탕장치에 있어서, 연결유로 사이에 열교환기의 상하류측을 연결하는 유량제어밸브를 지닌 바이패스관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전술의 발명에 있어서 열교환기의 내부에 설치된 가열실은 한쪽 하부에 가열기의 화염공급구가 개구되어 있어 그 반대측 하부에 배기구가 설치되고 이들 중간이 역 U자형으로 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발명에서 가열실의 가열기의 화염공급구는 배기구 보다 상방에 설치되어 있고, 이 화염공급구는 가열기에 의하여 밀봉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있어서, 보온조정밸브를 완전 개구하여 바이패스유로를 포함하는 모든 폐유로에 물을 충만한 다음, 순환펌프를 작동하여 폐유로중의 물을 폐유로내를 순환시키고, 동시에 열교환기를 작동하여 물을 가열하며, 이와 같이 하여 가열된 물이 일정한 온도에 도달하면 보온조정밸브를 그 전후의 열수의 압력차 및 온도가 미리 설정된 최소한의 유량으로 되는 개구의 정도로 보온조정밸브를 개구하고, 이와 같이 하여 열수발생유로내의 액체가 설정온도 보다 낮아지면, 열교환기가 작동하여 물을 가열하고, 반대로 열수발생유로내의 액체가 설정온도 보다 높아지면 열교환기의 작동을 중지하여 물의 가열을 정지한다. 이러는 동안에 순환펌프는 항상 작동하여 부단히 열수를 왕복유로와의 사이를 순환시킴과 동시에 바이패스유로중에도 유통시키고, 이에 따라서 열수발생부의 열교환기에 유입되는 열수의 양이 증가한다. 이 경우, 열교환기의 가열기가 작동하면, 가열실내에 발생한 연소가스는 가열실내를 상승한 다음 반전하여 하강하고, 배기구를 거쳐 배기관으로부터 외부로 배출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연소가스는 가열실내를 상승 하강하는 동안에 그 외표면에 있는 가열관내의 액체와의 사이에서 열교환이 이루어지고, 이 열교환에 의하여 특히 하강부내의 연소가스는 그 내외측의 액체에 열을 공급함에 따라서 그 하강유동성이 높아지게 되고, 이 동안에 가열관내의 액체는 같은 가열관내를 상승 하강하는 대류를 발생하여 연소가스와 액체와의 열교환율을 높이며, 또한 열교환기의 작동정지중이였어도 연소가스는 열교환기의 내부에 체류하여 외부로부터의 냉기의 침입을 방지한다.
[실시예]
제1도, 제2도에 나타낸 본 발명의 실시예는 그 대부분이 종래의 급탕장치와 마찬가지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이와 같은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임으로써 설명을 생략하고, 주로 상이한 부분에 대하여 설명한다. 왕복유로로서의 외·내향유로(5,6) 사이에 있어서, 열교환기(11-1,11-2,11-3)의 상하류측을 연결하는 유량제어밸브(9)를 지닌 바이패스유로(8)를 설치하고 있다. 그리고, 열교환기(11-1,11-2,11-3)의 가열관(18)의 내부에는 한쪽 하부에 가열기(10)의 화염공급구(23)가 개구하고 있어, 그 반대측 하부에 배기구(24)가 설치되었으며, 이들의 중간이 역 U자형으로 되어 있는 가열실(19)이 설치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급탕장치에 있어서 종래의 급탕장치와 마찬가지로 하여 보온조정밸브(13)를 완전 개구하여 바이패스유로(8)를 포함하는 전체 폐유로에 물을 채운 다음, 순환펌프(7)를 작동하여 폐유로중의 물을 폐유로내를 순환시키고, 동시에 열교환기(11-1,11-2,11-3)를 작동하여 물을 가열하며, 이와 같이 하여 가열된 물을 일정한 온도에 도달하면, 보온조정밸브(13)를 그 전후의 열수의 압력차 및 온도가 미리 설정된 최소한의 유량으로 되는 개구의 정도로 보온조정밸브(13)를 개구한다. 이와 같이 하여 열수발생유로(3)내의 액체가 설정온도 보다 낮아지게 되면 열교환기(11-1,11-2,11-3)가 작동하여 물을 가열하고, 반대로 열수발생유로(3)내의 액체가 설정온도보다 높아지면, 열교환기(11-1,11-2,11-3)의 작동을 중지하여 물의 가열을 정지한다. 이러는 동안 순환펌프(7)는 항시 작동하여 부단히 열수를 왕복유로(외·내향유로)(5,6)사이를 순환시킴과 동시에 바이패스유로(8)중에도 유통시켜, 이에 따라서 열수발생부(1)에 유입되는 열수의 양이 증가하고, 그 유량부족에 따라서 가열관내의 온수의 온도의 이상한 고열의 발생을 방지하여 열교환기에 손상을 줄 염려가 없어 위험이 없고, 정지할 필요가 없을 때에 열교환기를 정지시키는 일이 없으며, 또 순환펌프의 무부하운전이 발생하여 고장을 발생하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의 경우, 제2도에 나타낸 열교환기(11-1,11-2,11-3)의 가열기(10)가 작동하면, 가열실(19)내에 발생한 연소가스는 상승부(41)내를 상승하고, 상부유통부(43)에 들어간 다음 반전하여 하강부(42)를 하강하여 배기구(24)를 거쳐 배기관(20)에서 외부로 배출하게 된다. 이와 같은 열교환기(11)는 이 출원인이 제안한 일본국 실용신안 공고 소55-42216호 공보에 게재된 바와 같은 것으로서, 연소가스의 승강유동이라고 일컷는 현상이 발생하므로 이것을 제3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가열기(10)가 작동하여 발생한 연소가스는 가열실(19)의 상승부(41)와 이것과 같은 높이(H)의 하강부(42)를 지닌 연소가스통로에 있어서는 발열점을 U, 중간점을 M, 배기점을 D이라 하였을 경우, 외기(外氣)의 상태와는 관계없이 다음의 식 (1), (2)에 나타낸 내부 통기력(Pch)이 발생한다는 것이 주지되고 있다.
Pch=d-u)·H …(1)
Pch=PH/R(1/Td-1/Tu) …(2)
여기에서,d:하강부(42)에 있어서의 연소가스 비중량
u:상승부(41)에 있어서의 연소가스 비중량
H:중간점(M)의 발열점(U)으로부터의 높이
P:연소가스 압력
R:연소가스 정수
Td:하강부(42)에 있어서의 연소가스 온도
Tu:상승부(41)에 있어서의 연소가스 온도
그리고 열교환기(11)의 작동시, 즉 가열기(10)의 작동시에 있어서는 항상 Tu>Td으로 되어 있는 사실로부터(1/Td-1/Tu)>0으로 되어서 연소가스는 발열점(U)→중간점(M)→배기점(D)의 방향으로 흐른다. 이에 대하여 열교환기(11)의 작동정지중은 Tu=Td=주위의 저류수(貯留水) 온도와 같이 되고, 따라서 내부통기력(Pch=0)으로 되어서 연소가스통로내의 연소가스의 흐름이 정지하여 여기에서 체류하여 외부로부터의 냉기의 침입을 방지하여 보온작용을 하게 된다.
제4도, 제5도에는 열교환기(11)의 그 밖의 2예(이하, 제2예, 제3예라고 한다)를 나타내고 있으며, 이 예는 설치되는 건축물의 구조상 제6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발열점(U)으로부터 배기점(D)이 h만큼 하방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전술한 수식 (1), (2)에 있어서 제6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기점(D)은 발열점(U)에서 거리(h)만큼 하방으로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각 점 U, M, D의 압력을 Pu, Pm, Pd이라 하면
Pd=Pm+∫d·dH …(3)
Pu=Pm+∫u·dH=PH+u·H …(4)
으로 되고, 여기에서 Pd는 대기에 해방되어 있기 때문에 Pd-Po(대기압)으로 된다.
따라서,
Po=Pm+d·H+d·h …(5)
Pm=Po-d·H+d·h …(6)
으로 된다.
그리하여, 이것을 식(4)에 대입하면
Pu=Po-d·H-d·h+u·H=Po-d·h …(7)
으로 된다.
여기에서, 열교환기(21)의 작동정지중은d=u이므로 Pu=Po-d·h, 즉 Pu-Po=d·h<0으로 되어서 항상 Pu<Po이라 하는 관계가 지속하고, 연소 가스통로내의 연소가스는 동 연소가스통로내에 체류하는 일이없고, 배기점(D)→중간점(M)→가열점(U)의 방향으로 흘러서, 외기의 침입을 방지하는 일이 없고, 가열관(18)내의 온탕의 열을 외부에 방열하게 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즉, 가열기(10)가 작동을 정지하였을 경우, 이론상으로는 종래의 급탕장치와 마찬가지로 내부의 연소가스가 배기점(D)→중간점(M)→가열점(U)이라 하는 바와 같이, 열교환기(2)의 작동시와는 반대방향으로 흘러서 장치밖으로 유출하려 한다. 그러나, 이러한 제2예는 화염공급구(23)에 가열기(10)가 설치되어서 시일링하여, 그 유통을 억지하므로 연소가스는 가열실(19)의 내부에 체류하여 외부로부터의 냉기의 침입을 방지하여 보온작용을 함에 따라서 가열관(18)내의 온탕의 열을 외부에 방열하는 일이 없다. 그 위에, 제3예는 하강부(42)가 가열관(18)의 외부에 위치하여 이 하강부(42)는 단열재(44)로 피복되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것으로, 청구의 범위 제1항의 발명은 열수발생부의 발생유로와 부하부의 부하유로를 왕복유로에서 연결하고, 이에 따라서 순환펌프를 지닌 폐유로가 형성되었고, 열수발생부에는 가열기를 지닌 열교환기 및 열수발생유로에 설치되어서 가열기의 작동을 제어하는 열센서가 설치되었으며, 부하유로에는 보온조정밸브가 설치되고, 부하유로에서 보온조정밸브의 상하류측을 연결하는 분기유로를 설치하며, 이 분기유로에 부하부재를 설치하여 전술한 왕복유로 사이에 열교환기의 상하류측을 연결하는 유량제어밸브를 지닌 바이패스관을 설치하였으므로 열수발생유로를 흐르는 유체의 유량은 최소 유량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가열관내의 온수의 온도가 이상하게 고열로 되어서 열교환기에 손상을 줄 염려가 없어 위험이 없으므로, 정지할 필요가 없을 때에 열교환기를 정지시키는 일이 없고, 또 순환펌프의 무부하 운전을 발생하여 고장을 발생하는 일이 없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청구의 범위 제2항, 제3항의 발명은, 청구의 범위 제1항의 발명에서, 열교환기의 내부에 설치된 가열실은 한쪽 하부에 가열기의 화염공급구가 개구하고 있어 그 반대측 하부에 배기구가 설치되었고, 이것들 중간에 역 U자형으로 되어 있으므로, 청구의 범위 제1항의 발명과 마찬가지의 효과를 갖고 있음에 대하여 열교환기가 작동하여 연소실내에 발생한 연소가스는 가열실내를 상승한 다음 하강하여 배기구로부터 외부에 배출되는 동안에, 그 외표면에 있는 가열관내의 액체와의 사이에서 열교환이 이루어져, 이 열교환에 의하여 가열실내의 연소가스는 그 내외측의 액체에 열을 공급함에 따라서 그 하강유동성이 높아지게 되어서 연소효율이 향상하여 불완전연소가 방지되고, 가열실내의 액체는 상승 하강하는 대류를 발생하여 연소가스와 액체와의 열교환율을 높여서 신속하게 액체를 승온시키며, 또 열교환기가 작동을 정지하였을 경우, 연소가스가 외부에 유출하려 하여도 화염공급구내에 설치된 연소기가 그 유통을 억제하여 연소가스가 열교환기의 내부에 체류하여 외부로부터의 냉기의 침입을 방지하여 보온작용을 한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열수발생유로(3)를 지닌 열수발생부(1)와 부하유로(4) 및 분기유로(14)를 지닌 부하부(2)와 상기 열수발생유로(3)를 부하유로(4)에 연결하고, 거기에 순환펌프(7)를 지닌 왕복유로(5,6)를 구비하는 급탕장치에 있어서, 열수발생부(1)에는 열수발생유로(3)에 설치된 열교환기(11)와, 가열기(10) 및 이 가열기(10)의 작동을 제어하는 열센서(12)를 지니는 각 열교환기(11)를 구비하고, 부하유로(4)에는 보온조정밸브(13)를 구비하고, 분기유로(14)에는 부하부재(15) 및 보온조정밸브(13)의 상하류측을 연결하고, 상기 왕복유로(5,6)에는 상기 열교환기(11)의 상하류측을 연결하는 유량제어밸브(9)를 지닌 바이패스유로(8)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11)의 내부에 설치된 가열실(19)은 한쪽 하부에 가열기(10)의 화염공급구(23)가 개구되었으며, 그 반대측 하부에 배기구(24)가 설치되고, 화염공급구(23)와 배기구(24)의 연결된 중간이 역 U자형으로 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급탕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가열실(19)의 가열기(10)의 화염공급구(23)는 배기구(24)보다 상방에 설치되고, 또 가열기(10)에 의하여 시일링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급탕장치.
KR1019940015457A 1994-06-30 1994-06-30 급탕장치 KR1002975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15457A KR100297581B1 (ko) 1994-06-30 1994-06-30 급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15457A KR100297581B1 (ko) 1994-06-30 1994-06-30 급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1669A KR960001669A (ko) 1996-01-25
KR100297581B1 true KR100297581B1 (ko) 2001-10-24

Family

ID=666888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15457A KR100297581B1 (ko) 1994-06-30 1994-06-30 급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9758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4102A (ko) * 2002-01-25 2003-07-31 주식회사 일진실업 인조가죽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1669A (ko) 1996-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78116A (en) Water heater
US20100282440A1 (en) Fluid Heater
KR100246731B1 (ko) 액체가열장치
KR100297581B1 (ko) 급탕장치
KR100753596B1 (ko) 난방 제어시스템 및 난방 제어방법
CN108844220A (zh) 一种带供暖功能的燃气热水器
US20220205682A1 (en) Smart circulation control instantaneous-heating storage heat exchanger
EP0690269B1 (en) Hot water supplying apparatus
CN219120769U (zh) 一种带烟温补偿结构的燃气采暖热水炉
KR100279883B1 (ko) 가스보일러의 보온운전 제어방법
GB2130347A (en) Heating installation
RU2256856C2 (ru) Автономное устройство безопасности и регулирования для газового котла (варианты)
JP4004170B2 (ja) 熱源設備
KR200200273Y1 (ko) 보일러의 응축수 발생방지장치
JP2700847B2 (ja) セントラル給湯システム
GB2333145A (en) Storage waterheater with cold water overflow
KR0178186B1 (ko) 가스보일러의 온수온도제어 방법
RU16619U1 (ru) Система отопления и горячего водоснабжения
JPH074677A (ja) 給湯装置
JPH10103605A (ja) 流体加熱機の台数制御方法
RU10442U1 (ru) Газовый нагреватель
KR930007293Y1 (ko) 온수 보일러
KR100756910B1 (ko) 동파 및 부식 방지용 온수 난방 보일러
JP2589237Y2 (ja) 一缶二回路式の給湯機
KR900006506Y1 (ko) 증기 보일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