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94224B1 - 종합정보통신망에 연동되는 단말장치의 전원 다운 시, 데이터를백업하는 장치 - Google Patents
종합정보통신망에 연동되는 단말장치의 전원 다운 시, 데이터를백업하는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294224B1 KR100294224B1 KR1019990012560A KR19990012560A KR100294224B1 KR 100294224 B1 KR100294224 B1 KR 100294224B1 KR 1019990012560 A KR1019990012560 A KR 1019990012560A KR 19990012560 A KR19990012560 A KR 19990012560A KR 100294224 B1 KR100294224 B1 KR 10029422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ower
- data
- terminal device
- communication network
- information communication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7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3990 capaci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913 activ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849 deactiv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79 physical standar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8—Configuration management of networks or network elements
- H04L41/085—Retrieval of network configuration; Tracking network configuration history
- H04L41/0853—Retrieval of network configuration; Tracking network configuration history by actively collect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r by backing up configuration information
- H04L41/0856—Retrieval of network configuration; Tracking network configuration history by actively collect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r by backing up configuration information by backing up or archiv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종합정보통신망에 연동되는 단말장치의 전원 다운 시, 데이터를 백업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종합정보통신망과 연동되어 사용되는 단말장치에서 전원이 다운(down)된 경우에 DRAM의 데이터를 안정적으로 백업(backup) 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한편, 본 발명의 구성은 종합정보통신망에 연동되며 외부로부터 주 전원과 상기 종합정보통신망에서 제공되는 회선전원을 입력받는 단말장치에 있어서, 데이터가 저장되며, 상기 데이터의 백업이 가능한 메모리부; 상기 주 전원과 상기 회선전원을 상기 메모리부에서 요구하는 전원형태로 변환하여 상기 메모리부로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 상기 전원 공급부에서 상기 단말장치로 입력되는 상기 주 전원과 상기 회선전원이 상기 메모리부에 선택적으로 공급되도록 상기 주 전원과 상기 회선전원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전원 선택부; 및 상기 단말장치의 온-오프 상태에 따라 상기 주 전원과 상기 회선 전원 중 어느 하나가 상기 메모리부에 공급되도록 상기 전원 선택부를 제어하고, 상기 메모리부에 대한 데이터 백업상태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단말장치의 전원이 다운(down) 되더라도 DRAM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안정적으로 백업(backup) 할 수 있으므로 데이터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데이터의 백업(backup)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종합정보통신망(ISDN: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에 연동되어 사용되는 단말장치에 있어서, 단말장치의 전원이 다운(down)된 경우에 종합정보통신망 회선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백업(backup) 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먼저, 종합정보통신망에 대하여 간략히 설명한다.
종합정보통신망은 음성과 비음성 서비스들을 포괄적으로 지원하는 디지털 방식의 네트워크이다.
종합정보통신망은 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PSDN(Public Switched Data Network), 텔렉스(Telex) 망 및 팩스(Fax) 전용망 등을 통해 이용할 수 있는 음성과, 문자 및 영상 데이터 등의 서로 다른 형태의 정보를 모두 디지털로 변환하여 한꺼번에 하나의 망으로 통합하여 전송할 수 있다.
일반 전화방식인 아날로그 방식이 1개의 채널만을 제공하는데 반해 디지털 방식인 종합정보통신망은 2개의 채널을 제공하기 때문에 전화를 사용하면서 동시에 컴퓨터 통신이나 팩스를 이용할 수도 있다.
즉, 서로 형태가 다른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할 때 각각에 필요한 별도의 회선을 설치하지 않고도 종합정보통신망 하나로 모든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종합정보통신망은 디지털 신호를 그대로 주고받기 때문에 잡음이 없고 음의 손실이 적어 속도가 빠른 장점이 있다.
이러한 종합정보통신망의 특징을 가입자와 망 제공자 측면에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기존 망에서는 이용자가 서비스별로 가입 요금, 그리고 서비스 사용 번호를 별도로 관리해야 했지만, 종합정보통신망에서는 모든 것을 단일화시켜 할 수 있기 때문에 관리가 단순해진다.
또한, 다양한 통신 기능과 획기적인 통신 능력에도 불구하고 상대적으로 이용 요금이 저렴하여 경제적으로도 유리하다.
두 번째로 제공자 측면에서 볼 때 이전의 전화는 망 기능 확장이 곤란하고, 망 구성비용이 많이 들며, 복합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기 힘들었지만, 종합정보통신망에서는 새로운 서비스 도입이 용이하고, 복합 서비스를 동시에 제공할 수 있으며, 망구성과 응용을 경제적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종합정보통신망은 가입자 접속 방식에 따라 기본 접속 서비스(BRI:Basic Rate Interface)와 일차군 접속 서비스(PRI:Primary Rate Interface)로 구분되는데 BRI와 PRI를 구분하는 기준은 회선 용량, 즉 대역폭의 차이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종합정보통신망(ISDN)의 참조점과 단말기의 연결 구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BRI와 PRI로 구축된 종합정보통신망에 접속하려면 종합정보통신망을 지원하는 단말기가 있어야하는데, 종합정보통신망에서 사용할 수 있는 단말기는 ISDN 전용 단말기와, 비ISDN 단말기로 구분된다.
ISDN 단말기는 종합정보통신망에 접속할 수 있는 ISDN 표준 인터페이스가 있는 단말기를 말하며, 비ISDN 단말기는 종합정보통신망에 직접 접속할 수 있는 기능이 없는 단말기로서, 기존의 일반 전화기, 다이얼 업 모뎀, G-3 팩시밀리 등이 여기에 속한다.
이들 비 ISDN 단말기들은 ISDN 단말정합장치(TA:Terminal Adapter)를 통해서 종합정보통신망에 접속할 수 있다.
종합정보통신망은 이들 단말기와 연결하기 위한 참조점(Reference Point)이라는 것을 정해두고 있다. 먼저, 전화국의 ISDN 교환기와 NT1 사이, 즉 ISDN 전화선을 'U점'이라고 부르고, NT1에서 NT2 사이를 'T점', NT2에서 TE1(Terminal Equipment 1, ISDN 응용 단말기) 사이를 'S점'이라 부른다.
여기서, NT2란 ISDN PBX 교환기나 PRI 라우터에 해당하는 것으로, BRI에는 해당하지 않으므로 'S'와 'T'를 합쳐'S/T점'이라고 하며 'S/T점'에는 TE1에 해당하는 응용 단말기(S 카드, ISDN 전용 전화기, ISDN 화상 단말기, G-4 팩시밀리 등)가 붙는다.
또한, TA 다음 접속점을 'R점'이라 부르는데, 여기는 TE2라 불리는 비 ISDN 단말기가 붙는 접속점으로 , 일반 PC나 전화기, 일반 팩스 등이 TE2에 해당되며, TE2 기기들은 TA를 통해 ISDN 망에 접속한다.
종래에 이러한 종합정보통신망에 연동되어 사용되는 단말장치의 전원이 다운(down)되었을 경우에는 DRAM 백업(backup) 기능이 없거나 또는 super capacitor를 사용하여 백업(backup) 기능을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 장시간 전원이 다운(down)된 경우에는 자연방전에 의하여 백업(backup)이 유지 될 수 없으며, 또한 super capacitor의 가격이 비싸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종합정보통신망과 연동되어 사용되는 단말장치에서 전원이 다운(down)된 경우에 DRAM의 데이터를 안정적으로 백업(backup) 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종합정보통신망의 참조점과 단말장치의 연결구조를 나타내는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을 수행하기 위해 종합정보통신망에 연동되는 단말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종합정보통신망에 연동되는 단말장치의 전원 다운 시, 데이터를 백업하는 장치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의 부호의 설명>
10 : 중앙처리장치 20 : 메모리부
30 : 스캐너부 40 : 프린터부
50 : 컴퓨터 인터페이스부 60 : 화소 변환부
70 : 모뎀부
80 : 무전원 백업장치
90 : 직렬 입출력 장치(SIO:Serial Input Output)
100 : 종합정보통신망 가입자 접근 제어기(ISAC:ISDN Subscriber Access Controller)
110 : 종합정보통신망(ISDN) 라인 인터페이스부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종합정보통신망에 연동되며 외부로부터 주 전원과 상기 종합정보통신망에서 제공되는 회선전원을 입력받는 단말장치에 있어서, 종합정보통신망에 연동되는 단말장치의 전원 다운 시, 데이터를 백업하는 장치는 데이터가 저장되며, 상기 데이터의 백업이 가능한 메모리부; 상기 주 전원과 상기 회선전원을 상기 메모리부에서 요구하는 전원형태로 변환하여 상기 메모리부로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 상기 전원 공급부에서 상기 단말장치로 입력되는 상기 주 전원과 상기 회선전원이 상기 메모리부에 선택적으로 공급되도록 상기 주 전원과 상기 회선전원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전원 선택부; 및 상기 단말장치의 온-오프 상태에 따라 상기 주 전원과 상기 회선 전원 중 어느 하나가 상기 메모리부에 공급되도록 상기 전원 선택부를 제어하고, 상기 메모리부에 대한 데이터 백업상태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메모리부는 외부로부터 상기 단말장치로 전송되어 수신된 데이터 또는 상기 단말장치에 부가된 기능을 사용하여 작성된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DRAM(Dynamic Random Access Memory)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말장치가 온 상태일 때, 상기 주 전원을 상기 전원 선택부에서 제어하며, 상기 단말장치가 오프 상태일 때, 상기 회선전원을 상기 전원 선택부에서 제어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전원 공급부는 교류 형태의 상기 주 전원과 상기 회선전원을 상기 메모리부에서 요구하는 직류형태로 정류하고 평활한다.
이하,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들, 특징들, 그리고 장점들을 첨부된 도면에 나타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을 수행하기 위해 종합정보통신망에 연동되는 단말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처리장치(10)는 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단말장치를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메모리(20)에는 프로그램데이터와 프로토콜데이터 및 문자데이터와 전송 및 수신에 관련된 작업내용이 저장되며 중앙처리장치(10)의 제어에 의해 데이터를 액세스하거나 저장한다.
스캐너(30)는 원고의 데이터를 스캐닝 하여 디지털형태의 이미지데이터로 변환한 후, 중앙처리장치(10)에 제공한다.
모뎀(70)은 중앙처리장치(10)의 제어를 받아 중앙처리장치(10)의 출력데이터를 아날로그형태로 변조하여 출력하고 아날로그형태의 입력신호를 복조하여 출력한다.
프린터(40)는 중앙처리장치(10)로부터의 제어신호에 의해 수신된 팩스데이터를 인쇄한다.
한편, 컴퓨터 인터페이스부(50)는 단말장치와 컴퓨터를 접속해 주는데, 접속 방법은 컴퓨터의 주변장치 접속방법인 직렬접속 또는 병렬접속 방식을 이용하는데, 직렬접속 방식은 컴퓨터의 직렬포트인 COM 포트를 이용하여 비동기 통신방식인 RS-232C 방식으로 주변장치와 통신을 하므로써 외장형 모뎀과의 접속을 지원한다.
또한, 병렬접속 방식은 프린터나 플로터와 같은 장치와 접속할 때 주로 이용되며, 단방향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장치에 많이 사용되는 방식이다.
화소변환부(60)는 스캐너부(30)로부터 입력된 화상 정보를 팩스 송/수신에 적합하도록 변환한다.
직렬 입출력 장치(SIO)(90)는 컴퓨터나 스캐너로부터 입력된 데이터를 종합정보통신망의 B채널에 적합한 형태로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시스템의 내부버스를 통해 입력된 데이터를 직렬데이터 형태로 변환하여 종합정보통신망 가입자 접근 제어기(ISAC:ISDN Subscriber Access Controller 이하 'ISAC'이라 약칭)(100)에 전송하고, ISAC(100)으로부터 수신한 직렬데이터를 내부버스 데이터 전송형식인 병렬데이터로 변환하여 중앙처리장치(10)에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종합정보통신망 가입자 접근 제어기(ISAC)(100)는 D 채널 제어를 위한 종합정보통신망 계층 1 기능인 라인 코딩 및 라인 활성화/비활성화 기능과, 계층 2 기능인 LAPD(Link Access Procedure on th D-channel)기능을 수행하고, 계층 3 기능인 채널의 선택과 설정 및 다이얼에 대응한 상태에 대한 경로 설정과 상대의 속성을 조사해서 통신 가능성을 확인하고, 종합정보통신망 라인 인터페이스부(110)를 통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에서, 상기 프로토콜의 계층들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계층 1은 물리층으로 소켓으로 사용되는 8핀 모듈러 커넥터의 형상과, 가입자선에 있어서의 전송 신호의 파형과, 한 쌍의 가입선에 대한 B 및 D 채널의 시분할 다중화와, 버스 접속에 있어서의 D 채널 신호의 경합 제어 등에 대해서 규정하고 있다.
또한, 계층 2는 데이터 링크층으로 버스 접속을 서비스할 수 있도록 하나의 물리층 위에 복수의 데이터 링크 커넥션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다중 링크 접근 규약을 실현하고 있다.
상기 규약을 LAPD(Link Access Protocol on the D-channel)이라고 부른다.
원래 고수준 데이터 전송 제어(HDLC:High level Data Link Control)에 준거하고 있어서 신뢰도가 높은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계층 3은 네트워크층으로 B 채널 또는 D 채널에서 통신할 수 있도록 D 채널에서 하는 일련의 호출 제어가 계층 3의 규약이다.
회선 교환 방식에 대해서는 호출 설정 시에 있어서 채널의 선택과 설정, 다이얼에 대응한 상태에 대한 경로 설정과 상대의 속성을 조사해서 통신 가능성을 확인한다.
그리고, B 채널 패킷일 경우에는 D 채널에서 통신 채널의 선택과 설정 및 상대 단말의 선택만을 하고 X.25에 있어서의 호출 설정은 상기 설정된 채널을 사용해서 실시한다.
종합정보통신망 라인 인터페이스부(110)는 전송신호 형태로 구성된 디지털 데이터를 물리적 규격과, 전기적 규격에 맞추어 송/수신할 수 있도록 종합정보통신망의 신호를 인터페이싱한다.
무전원 백업장치(80)는 본 발명에 따라, 단말장치로 입력되는 전원이 차단되었을 때, DRAM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의 백업을 위한 전원을 제공하여 준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종합정보통신망에 연동되는 단말장치의 전원 다운 시, 데이터를 백업하는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메모리부(20)는 데이터가 저장되며, 상기 데이터의 백업이 가능하다.
전원 공급부(81)는 주 전원과 회선전원을 메모리부에서 요구하는 전원형태로 변환하여 메모리부로 공급한다.
전원 선택부(82)는 전원 공급부(81)에서 상기 단말장치로 입력되는 주 전원과 회선전원이 메모리부(20)에 선택적으로 공급되도록 주 전원과 회선전원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한다.
제어부(83)는 단말장치의 온-오프 상태에 따라 주 전원과 상기 회선 전원 중 어느 하나가 메모리부(20)에 공급되도록 전원 선택부(82)를 제어하고, 메모리부(20)에 대한 데이터 백업상태를 제어한다.
이하, 본 발명의 종합정보통신망에 연동되는 단말장치의 전원 다운 시, 데이터를 백업하는 장치의 동작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동작은 두 가지의 경우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다.
첫째, 단말장치의 주 전원이 온(On)되었을 때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단말장치의 주 전원이 온(On) 되어 있는 경우에는 전원 공급부(81)로 공급되는 전원들 즉, 상기 주 전원과, 종합정보통신망에서 제공되는 회선전원의 두 개의 전원이 공급되고 있다는 것이다.
이 때, 제어부(83)는 상기 주 전원의 전압이 일정 값으로 흐르고 있는가를 검출하여 상기 주 전원이 정상적으로 공급되고 있는가의 여부를 판단하며, 전원 선택부(82)는 스위칭 동작을 통해 상기 주 전원을 선택함으로써 상기 단말장치의 동작과, 상기 메모리부(20)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의 백업(backup)을 위해서 상기 주 전원을 사용한다.
둘째, 단말장치의 주 전원이 오프(Off)되었을 때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상기 단말장치의 주 전원이 오프(Off) 되어 있는 경우에는 전원 공급부(81)로 공급되는 전원들 즉, 상기 주 전원과, 종합정보통신망에서 제공되는 회선전원들 중에서, 상기 종합정보통신망에서 제공되는 회선전원만이 공급되고 있다는 것이다.
이 때, 제어부(83)는 상기 주 전원의 전압이 일정 값으로 흐르고 있는가를 검출하여 상기 주 전원이 정상적으로 공급되고 있는가의 여부를 판단한다.
즉, 상기 주 전원의 전압이 일정 값 이하로 흐르게 되어 상기 주 전원의 공급이 없는 것으로 판단한다.
이 때, 전원 선택부(82)는 스위칭 동작을 통해 상기 종합정보통신망에서 제공되는 회선전원을 선택함으로써 상기 메모리부(20)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의 백업(backup)을 위해서 상기 종합정보통신망에서 제공되는 회선전원을 사용한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기술되었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첨부된 청구 범위에 정의된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발명을 여러 가지로 변형 또는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앞으로의 실시예들의 변경은 본 발명의 기술을 벗어날 수 없을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단말장치의 전원이 다운(down) 되더라도 DRAM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안정적으로 백업(backup) 할 수 있으므로 데이터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Claims (4)
- 종합정보통신망에 연동되며 외부로부터 주 전원과 상기 종합정보통신망에서 제공되는 회선전원을 입력받는 단말장치에 있어서,데이터가 저장되며, 상기 데이터의 백업이 가능한 메모리부;상기 주 전원과 상기 회선전원을 상기 메모리부에서 요구하는 전원형태로 변환하여 상기 메모리부로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상기 전원 공급부에서 상기 단말장치로 입력되는 상기 주 전원과 상기 회선전원이 상기 메모리부에 선택적으로 공급되도록 상기 주 전원과 상기 회선전원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전원 선택부; 및상기 단말장치의 온-오프 상태에 따라 상기 주 전원과 상기 회선 전원 중 어느 하나가 상기 메모리부에 공급되도록 상기 전원 선택부를 제어하고, 상기 메모리부에 대한 데이터 백업상태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합정보통신망에 연동되는 단말장치의 전원 다운 시, 데이터를 백업하는 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부는외부로부터 상기 단말장치로 전송되어 수신된 데이터 또는 상기 단말장치에 부가된 기능을 사용하여 작성된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DRAM(Dynamic Random Access Memory)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합정보통신망에 연동되는 단말장치의 전원 다운 시, 데이터를 백업하는 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상기 단말장치가 온 상태일 때, 상기 주 전원을 상기 전원 선택부에서 제어하며, 상기 단말장치가 오프 상태일 때, 상기 회선전원을 상기 전원 선택부에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합정보통신망에 연동되는 단말장치의 전원 다운 시, 데이터를 백업하는 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공급부는교류 형태의 상기 주 전원과 상기 회선전원을 상기 메모리부에서 요구하는 직류형태로 정류하고 평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합정보통신망에 연동되는 단말장치의 전원 다운 시, 데이터를 백업하는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90012560A KR100294224B1 (ko) | 1999-04-09 | 1999-04-09 | 종합정보통신망에 연동되는 단말장치의 전원 다운 시, 데이터를백업하는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90012560A KR100294224B1 (ko) | 1999-04-09 | 1999-04-09 | 종합정보통신망에 연동되는 단말장치의 전원 다운 시, 데이터를백업하는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00065848A KR20000065848A (ko) | 2000-11-15 |
KR100294224B1 true KR100294224B1 (ko) | 2001-06-15 |
Family
ID=195792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90012560A KR100294224B1 (ko) | 1999-04-09 | 1999-04-09 | 종합정보통신망에 연동되는 단말장치의 전원 다운 시, 데이터를백업하는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294224B1 (ko) |
-
1999
- 1999-04-09 KR KR1019990012560A patent/KR100294224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00065848A (ko) | 2000-11-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0382416B1 (en) | Facsimile service | |
US5938735A (en) | System for establishing optimized ISDN communication by identifying common communication attributes of destination and source terminals prior to establishing communication link therebetween | |
US6282238B1 (en) | Adapter card that selects between an ISDN interface and an analog modem interface | |
JP3820064B2 (ja) | ディジタル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ディジタルネットワークスイッチ,isdnシステムの処理装置,およびディジタル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サブチャネル確立方法 | |
US5896512A (en) | Modified network interface unit with terminal device access | |
US5341418A (en) | ISDN terminal adapter for access from analog signal equipment of four-wire full duplex type to ISDN | |
US6215799B1 (en) | Analog telephone to ISDN interface apparatus and method therefor | |
US6711175B1 (en) | Procedure for scanning or disconnecting a module line in a V5.2 access node | |
KR100294224B1 (ko) | 종합정보통신망에 연동되는 단말장치의 전원 다운 시, 데이터를백업하는 장치 | |
US6486970B1 (en) | Multifunctional apparatus for transferring and receiving facsimile data and communication data by using an integrated service digital network | |
US6215868B1 (en) | Connection apparatus for connecting a digital or analog subscriber line of communication network to communication device | |
US6343118B1 (en) | Device and method to establish communication | |
KR100288711B1 (ko) | 외부출력장치가 연동되는 종합정보통신망 팩시밀리 시스템 | |
US6496282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establishing synchronous fax communication through ISDN | |
KR100265041B1 (ko) | 복합 기능을 실행하는 종합정보통신망에 연동되는 단말장치 및방법 | |
KR20000019763A (ko) | 종합정보통신망 복합기에서 무정전 시 전화기능을 사용하는 장치 | |
KR960011706B1 (ko) | Isdn 망에 접속가능한 디지탈 키폰 시스템 | |
KR200231660Y1 (ko) | 종합정보통신망에 연동되는 팩시밀리의 작동 상태를 관리하는 장치 | |
KR100248225B1 (ko) | 인터페이스장치를 내장한 팩시밀리장치 | |
US6301270B1 (en) | Right to left matching of device address numbers with provided 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 destination numbers | |
KR100257819B1 (ko) | 종합정보통신망에 이중 접근을 지원하는 이중접근제어부를구비한 복합기 및 그 제어 방법 | |
KR100214340B1 (ko) | *팩시밀리를 공중회선 교환망과 종합정보 통신망에 접속하는 회로와 방법, 공중회선 교환망과 종합정보 통신망에 접속가능하는 팩시밀리 | |
KR100277736B1 (ko) | 팩스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 | |
KR950003716B1 (ko) | 팁/링과 v-계열 인터페이스에 대한 터미널 어댑터 | |
KR19990011673A (ko) | 단말장치를 내장한 팩시밀리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80328 Year of fee payment: 8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