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93832B1 - 정수장 슬러지의 재활용을 위한 부피 경감 방법 - Google Patents

정수장 슬러지의 재활용을 위한 부피 경감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93832B1
KR100293832B1 KR1019980031643A KR19980031643A KR100293832B1 KR 100293832 B1 KR100293832 B1 KR 100293832B1 KR 1019980031643 A KR1019980031643 A KR 1019980031643A KR 19980031643 A KR19980031643 A KR 19980031643A KR 100293832 B1 KR100293832 B1 KR 1002938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udge
water
drying
volume reduction
pel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316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76482A (ko
Inventor
문무철
황규홍
김종오
Original Assignee
문무철
김강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무철, 김강엽 filed Critical 문무철
Publication of KR199900764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64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38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3832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pyrolysi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3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he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06Sludge reduction, e.g. by lysi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20Sludge process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40Valorisation of by-products of wastewater, sewage or sludge proces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체의 첨가물을 가하지 않고 정수장 슬러지만으로 부피를 획기적으로 경감시켜 대량으로 처리할 수 있고 부피 경감시 발생하는 균열을 억제하여 재활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정수장 슬러지의 재활용을 위한 부피 경감 방법에 관한 것으로,
정수장 슬러지를 기계적으로 가압하여 여과 탈수하는 과정과 상기에서 얻어진 슬러지를 교반하고 압출하여 펠렛 형태로 성형시키는 과정과, 펠렛 형태인 슬러지를 건조 또는 소성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정수장 슬러지를 균열 발생이 없도록 부피를 경감시켜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환경오염과 고가의 비용을 지출해야 되는 정수장 폐기물인 슬러지를 대량으로 처리가 가능하고 재활용이 가능하며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획기적인 방법인 것이다.

Description

정수장 슬러지의 재활용을 위한 부피 경감 방법
본 발명은 일체의 첨가물을 가하지 않고 정수장 슬러지만으로 부피를 획기적으로 경감시켜 대량으로 처리할 수 있고 건조 수축시 발생하는 균열을 억제하여 재활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정수장 슬러지의 재활용을 위한 부피 경감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도시 인구의 증가와 공업용수 증대, 수질오염 등으로 인하여 정수장에서 발생되는 폐기물인 슬러지의 양이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어 이에 대한 처리문제가 아주 심각한 실정에 이르고 있다. 따라서 지금까지는 일반 쓰레기 처리장에서 주로 매립에 의해 그 처리를 하여 왔으나 이는 슬러지의 높은 함수율로 인한 침출수의 누출, 이에 따른 부패와 악취로 환경오염을 유발하는 등의 부작용이 있어 왔다. 더욱이 근래에는 매립장의 절대적 부족으로 새로운 매립적지의 확보가 어려워 매립비용의 증가가 예상됨에 따라 해양투기를 하기도 하는데 이는 해양오염은 물론 육로와 해상수송을 병행하여야 하므로 높은 처리비용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정수장 슬러지의 단순한 수분제거만을 위해서는 종래의 밸트프레스나 원심력에 의한 기계적 탈수후 건조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설비 장치는 압력의 한계가 있으며 단순한 탈수 및 건조에 의해서는 효과적인 부피경감을 기대할수 없다. 특히 회전건조로에 의한 건조시 건조로의 회전에 의하여 덩어리응집체가 생기게 되고 이 생성된 응집체의 크기차이가 심하며 응집체의 크기에 따라 열전도의 차이가 크므로 연료소모량이 많고 전체부피가 크게줄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반면 정수장 슬러지는 가소성을 가져 원하는 형상으로의 성형이 가능하므로 단순 탈수 및 건조에 의한 매립 처리보다는 재활용 방안이 강구되고 있다. 그러나 높은 함수율에 따른 건조 및 소성수축과 그에 따른 균열 때문에 정수장에서 발생되는 슬러지를 그대로 재활용하는 것이 아니라 첨가물, 즉 소석회나 점토, 모래, 폐유리 등을 첨가하여 고체화시켜 재활용하는 방법이 주로 연구되어져 왔다. 그러나 폐슬러지의 양보다 많은 첨가물이 첨가되어 대량으로 배출되는 슬러지의 처리가 한정되게 된다. 또한 첨가물 투입공정등이 추가되어 처리방법상 2중의 처리과정을 거치게 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재활용 기술이 갖는 문제점, 즉 함수율이 높고 응집되어진 슬러지는 수분이 증발할 때 큰 폭으로 수축하면서 균열이 발생되어 재활용할 수 없었던 점과 열건조시 가루발생과 수분흡수시 다시 부풀어지점을 해결하는대 그 목적이 있다. 즉, 심하게 응집되어진 정수장 슬러지를 전체적으로 교반하여 물과 슬러지 입자가 고루 분산되게 한 다음 펠렛(PELLET) 형태로 가압 압출 성형시켜 건조 또는 소성하는 비교적 간단한 처리과정을 통하여 적은 비용으로 정수장 슬러지를 균열됨 없이 부피를 획기적으로 경감시켜 상토흙 배양토, 톱밥대용 흡수제, 화단 미화석, 건축재료, 토공재료등으로 재활용하는데 목적이 있다.
도1은 정수장 슬러지를 균일하게 교반했을 때의 슬러지 입자와 물의 분포 단면도.
도2는 정수장에서 응집제에 의해 응집되어진 폐슬러지 입자와 물의 분포 단면도.
도3은 건조수축에 의한 균열 발생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는 형상으로 성형한 펠렛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슬러지 입자, 20 : 물,
100 : 응집된 폐슬러지를 균일하게 교반했을때의 슬러지
200 : 응집되어진 슬러지
300 : 펠렛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정수장 슬러지를 기계적으로 가압하여 여과 탈수하는 과정과 상기에서 얻어진 슬러지를 교반하고 압출하여 펠렛 형태로 성형시키는 과정과, 펠렛 형태인 슬러지를 건조 또는 소성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정수장 슬러지를 균열 발생이 없도록 부피를 경감시켜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한 방법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물(20)과 슬러지 입자(10)가 균일하게 분산되도록 전체를 교반한 분포 상태이다. 즉, 여과 탈수과정을 거쳐 수분이 60% 이하가 된 슬러지를 전체적으로 균질하게 교반한 것이며, 슬러지(100)에 첨가된 응집제(alum. 또는 음이온계고분자응집제)의 응집력을 고루 분산시킨 것으로 수분 증발시 균열 발생을 억제시켜 재활용을 가능하게 한다.
제2도는 교반을 하지 않은 정수장 슬러지(100)내의 고형입자의 분포도로 정수를 위해 첨가된 응집제(alum. 또는 음이온계고분자응집제)의 영향으로 슬러지가 부분적으로 응집되어진 2차 입자 상태로 분리되어져 있다. 따라서 이 응집된 2차 입자들 간에는 성형이 이루어지더라도 건조 후에는 주로 이 경계를 따라 큰 균열이 발생하게 된다.
도3은 길이 방향으로 두께가 균일하므로 건조 수축에 의한 균열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고 열전달이 빠르고 고르게 할수 있는 펠렛(300) 형상으로 성형 및 건조, 소성된 슬러지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을 과정별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1 과정>
정수장에서 발생되어진 슬러지의 함수율은 대략 70%∼80% 정도가 된다.
이렇게 함수율이 70∼80% 정도인 정수장의 슬러지는 정수장에서 원수중의 콜로이드 입자를 슬러지로 만들 때 사용하는 alum, 또는 음이온계 고분자응집제 때문에 슬러지 입자가 제2도에서와 같이 2차 입자들로 응집되어 존재한다. 따라서 금형틀 사이에 장치된 여과포의 여과구멍 사이로 슬러지 입자는 빠지지 않고 수분만 손쉽게 탈수시킬 수 있어 간단한 가압 여과 장치를 통하여 함수율을 60% 정도로 가압, 탈수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이 과정에서 100ℓ의 슬러지가 함유하고 있는 80%의 수분을 60%까지 탈수시키면 100ℓ의 슬러지의 부피가 약 80ℓ로 경감된다.
<제 2 과정>
상기 과정에서 얻어진 함수율이 60% 이하로 된 슬러지를 교반 과정을 통하여 고루 섞으면 도1의 분산상태를 갖는 슬러지(100)로 만들어진다. 이 슬러지는 포함된 응집제 때문에 자체적인 가소성을 갖고 있으므로 별도의 결합제 없이도 성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건조 또는 소성과정에서 균열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형상인 펠렛으로 성형하기 위하여 압출기를 통하여 직경 1㎜∼5㎜ 정도의 구멍사이로 가압압출시켜 절단하여 성형한다.
<제 3 과정>
상기와 같이 가압 압출 성형된 펠렛은 도3과 같은 형상의 슬러지(100) 펠렛을 재활용 용도에 따라 회전 건조로에 의해 건조 시키거나 회전 소성로에서 1,000∼1,200℃로 소성시킨다.
건조과정에서는 제1탈수과정에서 경감된 약 80ℓ의 슬러지(100)가 잔류 수분증발과 함께 약 30ℓ까지 수축된다.
소성과정에서는 불순성분이 많은 슬러지 펠렛의 유리화 및 치밀화가 진행되면서 최종적으로 약 20ℓ 정도로 부피가 수축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제1과정에서 약 20% 정도의 부피가 줄고, 제3과정에서는 제1과정에서 줄어든 부피의 나머지인 80%에 대하여 약60∼75%의 부피가 줄어들어 슬러지의 부피를 총 70∼80%까지 줄일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의한 정수장 슬러지만으로 부피경감이 이루어진 도3과 같은 재활용이 가능한 펠렛(300)을 얻을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환경오염과 고가의 비용을 지출해야 되는 정수장 폐기물인 슬러지를 대량으로 처리가 가능하고 재활용이 가능하며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획기적인 방안으로 큰 기대되며 슬러지의 부피를 70∼80%까지 경감하여 재활용하므로 대량 폐출되는 슬러지에 대한 처리문제를 근본적으로 해소할 수 있고, 공정이 단순하고 기타 첨가물이 혼입되지 않으므로 경제적이어서 대량처리의 목적에 부합되며, 폐기물 재활용으로 인한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고 매립장의 부족난을 해소할 수 있으며, 소성공정을 거친 펠렛은 강도가 매우 높아 건축 골재로 사용할 수 있고, 건조공정을 거친 펠렛은 건조강도가 높아 물에 쉽게 풀리지 않고 취급이 용이하여 토공재, 토양개선재로 사용할 수 있으며, 고른 크기의 입자와 미려한 색상으로 화분, 화단 미화에 사용할 수 있고, 강도가 높고 보수력, 통기성, 보비력등이 뛰어나고 다공질의 가벼운 입자형태이고 정수효과가 있어 육묘상 상토, 분재, 난 배양토, 벼묘판 상토등으로 사용할 수 있등 여러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2)

  1. 정수장의 정수처리 과정에서 발생하는 슬러지를 수분 함량 60%되게 가압탈수 과정과 균질하게 교반하여 가압압출시켜 직경 1∼1.5㎜의 펠렛 형상으로 성형하는 성형과정과 1000∼1200℃로 소성시키는 소성과정에 의해 슬러지의 부피를 경감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장 슬러지의 재활용을 위한 부피 경감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소성과정을 행하지 않고 회전건조로에 의해 건조시키는 건조과정에 의해 슬러지의 부피를 경감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장 슬러지의 재활용을 위한 부피 경감 방법.
KR1019980031643A 1998-03-13 1998-07-31 정수장 슬러지의 재활용을 위한 부피 경감 방법 KR10029383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09386A KR19980019452A (ko) 1998-03-13 1998-03-13 정수장 슬러지의 부피 경감방법
KR1019980009386 1998-03-13
KR1998-009386 1998-03-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6482A KR19990076482A (ko) 1999-10-15
KR100293832B1 true KR100293832B1 (ko) 2001-10-19

Family

ID=3752740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09386A KR19980019452A (ko) 1998-03-13 1998-03-13 정수장 슬러지의 부피 경감방법
KR1019980031643A KR100293832B1 (ko) 1998-03-13 1998-07-31 정수장 슬러지의 재활용을 위한 부피 경감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09386A KR19980019452A (ko) 1998-03-13 1998-03-13 정수장 슬러지의 부피 경감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9980019452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1108A (ko) * 2002-07-27 2004-02-05 전정숙 슬러지와 건설폐기물을 재활용한 건자재 및 그의 제조하는방법
KR100481956B1 (ko) * 2002-10-12 2005-04-14 수자원기술 주식회사 정수장 슬러지를 이용한 작물용 상토 및 그 제조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67599A (en) * 1979-11-06 1981-06-06 Niigata Eng Co Ltd Treatment for sludge such as waste sand containing organic component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67599A (en) * 1979-11-06 1981-06-06 Niigata Eng Co Ltd Treatment for sludge such as waste sand containing organic componen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9452A (ko) 1998-06-05
KR19990076482A (ko) 1999-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838378B (zh) 一种建筑固体废弃物彻底无害化、资源化处理工艺
CN107324710B (zh) 一种具备高吸附性能的污泥生物炭透水砖的制备方法
CN107721455A (zh) 一种由固体废弃物制备的陶粒、其制备方法及应用
CN101851086B (zh) 污泥制自保温砖的生产方法
CN102161562B (zh) 一种利用粉煤灰处置剩余污泥的工艺方法
CN107602041B (zh) 一种污淤泥环保型免烧砖及其制备方法
CN108558254A (zh) 用固体废物制备的多孔材料
CN101503643A (zh) 一种污泥干化固体燃料
CN102070352A (zh) 一种资源化处理脱水污泥、河道底泥和粉煤灰的方法
KR100678367B1 (ko) 정수슬러지를 활용한 경량 점토벽돌 및 점토바닥벽돌과 그제조방법
CN104529396B (zh) 一种利用生活污泥制砖的方法
CN111499404A (zh) 一种采用原污泥制备多孔砖的方法和系统
CN106830888A (zh) 一种工业污泥的综合处理方法
CN107129270A (zh) 一种掺煤渣和污泥烧制陶粒的方法
KR100293832B1 (ko) 정수장 슬러지의 재활용을 위한 부피 경감 방법
KR100450898B1 (ko) 하수슬러지를 이용한 소성 건자재 제조방법
CN103159348A (zh) 一种利用粉煤灰陶粒材料处理印染废水色度的方法
KR20040080631A (ko) 음식물 찌꺼기와 무기성 오니나 건설폐기물·토사 또는재활용 모래를 이용한 건축 토목 세라믹 자재와 생태 복원블럭의 제조방법
CN110550934A (zh) 一种利用城市污泥和建筑垃圾制作烧结制作透水砖及其制作方法
KR100587624B1 (ko) 요업제품 생산공정을 이용한 유기성 탈수슬러지의 처리, 처분 및 재활용 방법
KR101339911B1 (ko) 정수슬러지를 주원료로 한 내오염성 점토벽돌의 제조방법
KR100687627B1 (ko) 하수 슬러지의 고화 처리방법
KR100760478B1 (ko) 하수 또는 분뇨 슬러지 처리에 의한 셀 제조 방법
CN112679222A (zh) 一种污泥干化焚烧造粒的资源化处置方法
JPH0448745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