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93477B1 - 복합기기의 원격제어신호 제어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복합기기의 원격제어신호 제어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93477B1
KR100293477B1 KR1019990009712A KR19990009712A KR100293477B1 KR 100293477 B1 KR100293477 B1 KR 100293477B1 KR 1019990009712 A KR1019990009712 A KR 1019990009712A KR 19990009712 A KR19990009712 A KR 19990009712A KR 100293477 B1 KR100293477 B1 KR 1002934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signal
remote control
electronic device
microcomputer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097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22602A (ko
Inventor
이순영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900097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93477B1/ko
Publication of KR200000226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26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34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347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04Q9/02Automatically-operated arrangemen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201/00Transmission systems of control signals via wireless link
    • G08C2201/90Additional features
    • G08C2201/92Universal remote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4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Abstract

복합기기를 그 설치환경에 상관없이 정확하고 편리하게 원격제어할 수 있도록 한 복합기기의 원격제어신호 제어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원격제어신호 수신부 및 마이컴을 구비한 전자기기들이 연계구성된 복합기기에 있어서, 각각의 전자기기에 설치되어 자신의 원격제어신호 수신부를 통해 수신된 원격제어신호를 상대방 전자기기에 전송하고 마이컴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대 전자기기의 원격제어신호 수신을 차단하며 상대방 전자기기의 입력 임피던스 레벨과 상관없이 자신의 원격제어신호 레벨을 소정 수준 이상으로 유지시키는 원격제어신호 전송부와, 자신의 원격제어신호 전송부와 상대방 원격제어신호 전송부를 연결하기 위한 신호라인을 포함하여 구성되므로 사용자의 편의를 극대화하고 정확한 복합기기 제어동작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Description

복합기기의 원격제어신호 제어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remote control signal of complex apparatus}
본 발명은 멀티미디어 기기 등의 복합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복합기기의 원격제어신호 제어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전자/정보 통신기술의 발전에 따라 여러 가지 기기 예를 들어, 티브이와 VCR 및 오디오를 연결하여 사용하거나, 티브이와 위성방송 수신용 셋탑박스 등을 연결하여 사용하거나, 개인용 컴퓨터에 영상 및 음성기기를 비롯한 각종 정보통신 관련기기를 연결하여 사용하는 등 복합기기로서 멀티미디어 시스템의 응용범위가 폭넓게 확대되고 있는데, 이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의 일환으로 원격제어는 이미 보편화된 기술이고 나아가 다수의 기기로 구성된 멀티미디어 환경에 적응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기기를 통합제어하기 위한 통합리모콘 등이 필수요소로 사용되고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의 기술에 따른 복합기기의 원격제어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디코더와 티브이로 이루어진 복합기기와 이를 통합 제어하기 위한 제어기기의 연계구성을 나타낸 레이아웃도로, 그 구성을 살펴보면, TV수신장치가 내장되어 안테나를 통해 방송신호를 수신하거나 외부입력단자1 및 외부입력단자2를 통해 외부기기의 영상신호를 수신하는 디코더(1)와, 디코더(1)에서 전송된 R,G,B,H/V Sync신호에 따라 일정영상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모니터(2), 디코더(1)에서 R,G,B,H/V Sync를 모니터(2)로 전송하기 위한 신호케이블(3), 디코더(1) 및 모니터(2)를 제어하기 위한 통합리모콘(4)으로 구성된다.
이때 디코더(1) 및 모니터(2)는 각각 상기 통합리모콘(3)을 통해 전송된 원격제어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원격제어신호 수신부(11)(21)와 원격제어신호 수신부(11)(21)를 통해 수신된 원격제어신호를 디코딩하여 해당 동작명령을 수행하기 위한 마이컴(12)(22)을 구비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복합기기를 원격제어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가 디코더(1)를 통해 TV방송을 시청하다가 채널을 절환하고자 하는 경우 통합리모콘(3)을 디코더(1)의 원격제어신호 수신부(11) 방향으로 향하게하고 해당 동작명령키 즉, 채널절환키를 누르면 그에 따른 적외선신호가 원격제어신호 수신부(11)에 입력된다.
이어서 원격제어신호 수신부(11)는 입력된 원격제어신호를 마이컴(12)으로 전송하고 마이컴(12)은 이를 디코딩하여 채널절환이 수행되도록 내부의 채널절환부에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것이다.
한편, 사용자가 TV시청도중 음량을 조절하고자할 경우 통합리모콘(3)을 모니터(2)의 원격제어신호 수신부(21) 방향으로 향하게하고 해당 동작명령키 즉, 음량조절키를 누르면 그에 따른 적외선신호가 원격제어신호 수신부(21)에 입력된다.
이어서 원격제어신호 수신부(21)는 입력된 원격제어신호를 마이컴(22)으로 전송하고 마이컴(22)은 이를 디코딩하여 음량이 조절되도록 내부의 음량조절부에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것이다.
그러나 디코더(1)와 모니터(2) 두 기기중 어느 하나가 원격제어범위를 벗어난 위치에 설치된 경우 예를 들어, 사용자가 위치한 곳에서 디코더(1) 조작시 모니터(2)를 볼 수 없는 위치에 디코더(1)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 채널번호 또는 입력모드 등의 입력상태를 사용자가 바로 확인할 수 없다.
또한 별도의 장식장 등에 디코더(1)를 설치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원격제어신호 수신부(11)가 원격제어신호의 진행을 방해하는 물체에 의해 가려지는 것을 피해야하므로 설치에 제한을 받게된다.
종래의 기술에 따른 복합기기의 원격제어방법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째, 설치환경의 특성으로 인하여 복합기기중 특정 구성요소가 원격제어범위를 벗어나 설치된 경우 각각의 구성요소를 제어하기 위해서는 해당방향으로 리모컨신호를 입력해야하므로 사용자의 불편을 가중시킨다.
둘째, 원격제어신호 수신부가 방해물에 의해 가려지는 것을 피해야 하므로 설치환경에 제약을 받는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복합기기를 그 설치환경에 상관없이 정확하고 편리하게 원격제어할 수 있도록 한 복합기기의 원격제어신호 제어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복합기기와 제어기기의 연계구성을 나타낸 레이아웃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기기의 원격제어신호 제어장치의 일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낸 레이아웃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원격제어신호 수신을 차단하기 위한 차단신호를 나타낸 파형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201: 원격제어신호 수신부 102,202: 마이컴
103,203: 원격제어신호 전송부 104,204: 신호레벨 유지부
105,205: 신호 차단부 300: 통합리모콘
400: 신호라인
본 발명에 따른 복합기기의 원격제어신호 제어장치는 원격제어신호 수신부 및 마이컴을 구비한 전자기기들이 연계구성된 복합기기에 있어서, 각각의 전자기기에 설치되어 자신의 원격제어신호 수신부를 통해 수신된 원격제어신호를 상대방 전자기기에 전송하고 마이컴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대 전자기기의 원격제어신호 수신을 차단하며 상대방 전자기기의 입력 임피던스 레벨과 상관없이 자신의 원격제어신호 레벨을 소정 수준 이상으로 유지시키는 원격제어신호 전송부와, 자신의 원격제어신호 전송부와 상대방 원격제어신호 전송부를 연결하기 위한 신호라인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기기의 원격제어신호 제어방법은 마이컴을 구비한 전자기기들이 연계구성된 복합기기에 있어서, 사용자가 복합기기중 특정 전자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원격제어신호를 복합기기중 어느 하나에 전송하는 단계와, 원격제어신호를 전송받은 전자기기가 원격제어신호를 다른 전자기기로 전송하는 단계와, 특정 전자기기에서 원격제어신호를 디코딩하여 그에 상응하는 동작을 수행하고 마이컴의 제어신호에 따라 타 전자기기의 원격제어신호 수신을 차단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복합기기의 원격제어신호 제어장치 및 방법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기기의 원격제어신호 제어장치의 일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낸 레이아웃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원격제어신호 수신을 차단하기 위한 차단신호를 나타낸 파형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기기의 원격제어신호 제어장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기기 즉, 제1 기기와 제2 기기로 이루어진 복합기기의 예를 든 것으로서, 먼저, 제 1기기 및 제 2기기는 각각의 원격제어신호 수신부(101)(201) 및 마이컴(102)(202)을 구비한다.
그리고 제1 기기 및 제2 기기에 각각 설치되어 원격제어신호 수신부(101)(201)를 통해 수신된 원격제어신호를 상대 기기에 전송하고 마이컴(102)(202)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대 기기의 원격제어신호 수신을 차단하며 상대 기기의 입력 임피던스 레벨과 상관없이 자신의 원격제어신호 레벨을 소정 수준 이상으로 유지시키는 원격제어신호 전송부(103)(203)와, 원격제어신호 전송부(103)(203)간의 원격제어신호 교환을 위한 신호라인(400)으로 구성된다.
이때 원격제어신호 전송부(103)(203)의 구성은 동일하므로 그중 제1 기기측에 설치된 원격제어신호 전송부(103)의 세부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원격제어신호 전송부(103)는 에노드에 원격제어신호 수신부(101)가 연결되고 케소드에 병렬로 대기전원 및 상기 마이컴(102)의 제1 출력단(P2)이 연결된 제1 다이오드(D11), 베이스가 상기 제1 다이오드(D11)의 에노드와 연결되고 컬렉터가 상기 제1 다이오드(D11)의 케소드와 연결되며 에미터가 커패시터(C11)를 통해 접지된 제1 트랜지스터(Q11)로 구성되어 상기 원격제어신호 수신부(101)로 수신된 원격제어신호 레벨을 소정 수준 이상으로 유지시키기 위한 신호레벨 유지부(104)와, 에노드가 저항(R11)을 통해 상기 제1 트랜지스터(Q11)의 컬렉터와 연결되고 케소드가 상기 신호라인(400)과 연결된 제2 다이오드(D12), 컬렉터가 상기 제2 다이오드(D12)의 케소드와 병렬로 연결되고 에미터가 상기 제1 다이오드(D11)의 케소드와 연결되며 베이스가 상기 마이컴(102)의 제2 출력단(P3)과 연결된 제2 트랜지스터(Q12)로 구성되어 상기 마이컴(102)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원격제어신호 수신부(101)로 수신된 원격제어신호를 상대 기기로 전송하거나 차단시키기 위한 신호 차단부(105)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복합기기 원격제어신호 제어장치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원격제어신호는 내부의 동작명령코드에 따라 실제 의도와는 다르게 복합기기가 동시에 동작되는 경우가 존재하는데, 본 발명은 이로 인한 목적 기기의 동작오류 등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와 같은 특정 동작명령코드를 마이컴(102)(202)에 설정하고 원격제어신호 전송동작을 수행함과 동시에 해당 동작명령코드를 포함한 원격제어신호가 수신되면 상술한 신호 차단부(105)(205)를 이용하여 타 기기의 원격제어신호 수신을 차단한다.
따라서 정상적인 원격제어신호 전송동작과 상기 특정 원격제어신호 전송차단동작을 구분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 정상적인 원격제어신호 전송동작 -&
사용자는 제 2기기를 제어하고자 현재 기기 설치 위치상으로 키입력이 편한 제 1기기의 원격제어신호 수신부(101) 방향으로 통합리모콘(300)의 해당 키를 조작하여 동작명령을 입력한다.
이어서 통합리모콘(300)에서 출력된 원격제어신호는 원격제어신호 수신부(101)를 경유하여 마이컴(102) 및 원격제어신호 전송부(103)로 입력된다.
이때 별도의 제어신호가 출력되지 않는 한 마이컴(102)의 제2 출력단(P3)은 '하이'상태이고 제1 출력단(P2)은 '하이' 또는 '로우'상태를 유지하여 제2 트랜지스터(Q12)는 '온'상태를 유지한다.
그리고 원격제어신호 수신부(101)의 출력이 '로우'일 경우 제1 기기측의 제1 트랜지스터(Q11)가 '온'상태이므로 접지단, 커패시터(C11), 제1 트랜지스터(Q11), 제2 트랜지스터(Q12)와 제2 기기측의 제2 다이오드(D22), 저항(R21), 제1 다이오드(D21) 패스를 통해 원격제어신호 수신부(201)의 출력도 '로우'를 나타내므로 입력단(P1)을 통해 마이컴(202)에 '로우'신호가 입력된다.
제1 기기측의 원격제어신호 수신부(101)의 출력이 '하이'일 경우에도 상기와 동일한 패스를 통해 제2 기기측의 원격제어신호 수신부(201)의 출력인 '하이'가 마이컴(202)에 입력된다.
이어서 원격제어신호를 수신한 제1 기기 및 제2 기기의 마이컴(102)(202)에서 원격제어신호 코드를 파악하고 코드가 매칭되는 제2 기기측의 마이컴(202)에서 원격제어신호를 디코딩하여 해당 동작명령을 수행한다.
&- 특정 원격제어신호 전송 차단동작 -&
사용자는 제 2기기를 제어하고자 제 1기기의 원격제어신호 수신부(101) 방향으로 통합리모콘(300)을 위치시키고 해당 키를 조작하여 동작명령을 입력한다.
이어서 통합리모콘(300)에서 출력된 원격제어신호는 원격제어신호 수신부(101)를 경유하여 마이컴(102) 및 원격제어신호 전송부(103)로 입력된다.
그리고 상술한 원격제어신호 전송과정을 통해 제2 기기로 원격제어신호가 전송된다.
이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격제어신호는 리더 코드(Leader Code), 커스텀 코드(Custom Code) 및 데이터 코드로 구성되는데, 이 코드들을 통해 동작명령의 종류를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마이컴(102)(202)은 입력된 원격제어신호가 자신에게 하달된 것이고 그 동작명령 내용이 기설정된 동작명령과 동일한지 파악하여 동일 할 경우 리더 코드의 4.5ms구간에 신호수신 차단용 파형 즉, 듀티비 50%의 2ms파형을 중첩시켜 상대 기기에 전송함으로서 상대 기기가 원격제어신호를 인식할 수 없도록 하는 것이다.
즉, 제2 기기의 마이컴(202)에서 원격제어신호를 전송받고 디코딩하여 그 동작명령코드가 기설정된 동작명령코드이면 제1 출력단(P2)을 통해 상기 신호수신 차단용 파형을 출력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제1 출력단(P2)을 통해 출력된 신호수신 차단용 파형은 저항(R26) 및 신호라인(400)을 통해 제1 기기측의 제2 다이오드(D12), 저항(R11), 제1 다이오드(D11), 마이컴(102)의 입력단(P1) 패스를 통해 마이컴(102)에 입력된다.
이때 제2 출력단(P3)을 통해 '로우'신호를 출력하여 제2 트랜지스터(Q22)를 '오프'시킴으로서 상기 신호수신 차단 파형이 자신의 원격제어신호 수신부(201)에 입력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제1 기기측의 마이컴(102)은 상기 신호수신 차단용 파형이 중첩된 원격제어신호가 입력되므로 원래의 원격제어신호를 인식하지 못하고 그에 따른 동작명령을 수행하지 못하는 것이다.
한편, 제1 기기 또는 제2 기기중 어느 하나에 전원이 차단되는 경우, 신호라인(400)의 부하 임피던스가 저하되고 그에 따라 원격제어신호레벨이 저하되어 정확한 동작명령 인식이 어렵게 된다.
예를 들어, 제1 기기의 전원이 차단된 경우 제2 기기는 신호라인(400)을 통해 제1 기기의 제2 다이오드(D12) 및 저항(R11)(R12)(R15)(R16)과 연결된 상태이므로 신호레벨 유지부(204)의 저항(R21)과 저항(R25)에 의해 신호라인(400)의 부하 임피던스 저하가 방지되고 따라서 자신의 입력신호 레벨을 일정수준 이상으로 유지시켜 정확한 원격제어신호 인식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복합기기가 제 1 및 제 2기기로 구성된 경우를 예로 든 것이지만, 복합기기가 3개 이상의 기기로 구성된 경우에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복합기기를 구성하는 기기의 수에 상관없이 각각의 기기에 원격제어신호 전송부를 설치하고 각 원격제어신호 전송부의 출력을 신호라인을 통해 서로 연결하며, 각 기기의 동작명령코드중 일치되는 것을 각 마이컴에 설정시킴으로서 동작오류를 방지하고 어느 하나를 통해 입력된 원격제어신호를 나머지 전 기기에 전달하여 해당 기기에서 원격제어신호에 상응하는 제어동작을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멀티미디어 시스템은 물론이고 모든 원격제어가능 복합기기에 적용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기기의 원격제어신호 제어장치 및 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그 설치위치에 상관없이 복합기기중 사용자가 제어하고자하는 특정 기기가 아닌 모든 기기를 통해 해당 동작명령입력을 가능하게 하므로 사용자의 편의를 극대화할 수 있다.
둘째, 자신 이외의 기기의 동작상태에 상관없이 원격제어신호 입력레벨을 일정 수준 이상으로 유지시켜 신호인식 성능을 향상시키고 필요시 타 기기의 원격제어신호 수신을 차단하므로서 복합기기의 신호인식 오류를 방지할 수 있어 정확한 복합기기 제어동작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Claims (9)

  1. 원격제어신호 수신부 및 마이컴을 구비한 전자기기들이 연계구성된 복합기기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전자기기에 설치되어 자신의 원격제어신호 수신부를 통해 수신된 원격제어신호를 상대방 전자기기에 전송하고 상기 마이컴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대 전자기기의 원격제어신호 수신을 차단하며 상대방 전자기기의 입력 임피던스 레벨과 상관없이 자신의 원격제어신호 레벨을 소정 수준 이상으로 유지시키는 원격제어신호 전송부와,
    상기 자신의 원격제어신호 전송부와 상대방 원격제어신호 전송부를 연결하기 위한 신호라인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기기의 원격제어신호 제어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제어신호 전송부는 상기 원격제어신호 수신부로 수신된 원격제어신호 레벨을 소정 수준 이상으로 유지시키기 위한 신호레벨 유지부와,
    상기 마이컴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원격제어신호 수신부로 수신된 원격제어신호를 상대방 원격제어신호 수신부로 전송하거나 차단시키기 위한 신호 차단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기기의 원격제어신호 제어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레벨 유지부는 에노드에 상기 원격제어신호 수신부가 연결되고 케소드에 병렬로 대기전원 및 상기 마이컴의 제1 출력단이 연결된 제1 다이오드와,
    베이스가 상기 제1 다이오드의 에노드와 연결되고 컬렉터가 상기 제1 다이오드의 케소드와 연결되며 에미터가 커패시터를 통해 접지된 제1 트랜지스터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기기의 원격제어신호 제어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차단부는 에노드가 저항을 통해 상기 제1 트랜지스터의 컬렉터와 연결되고 케소드가 상기 신호라인과 연결된 제2 다이오드와,
    컬렉터가 상기 제2 다이오드의 케소드와 병렬로 연결되고 에미터가 상기 제1 다이오드의 케소드와 연결되며 베이스가 상기 마이컴의 제2 출력단과 연결된 제2 트랜지스터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기기의 원격제어신호 제어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라인은 전자기기간의 각종 데이터를 전달하기 위한 입/출력 케이블에 내장됨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기기의 원격제어신호 제어장치.
  6. 마이컴을 구비한 전자기기들이 연계구성된 복합기기에 있어서,
    사용자가 상기 복합기기중 특정 전자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원격제어신호를 복합기기중 어느 하나에 전송하는 단계;
    원격제어신호를 전송받은 전자기기가 상기 원격제어신호를 다른 전자기기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특정 전자기기에서 원격제어신호를 디코딩하여 그에 상응하는 동작을 수행하고 마이컴의 제어신호에 따라 타 전자기기의 원격제어신호 수신을 차단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기기의 원격제어신호 제어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제어신호를 해당기기에서 디코딩하는 단계는 자신에게 전송된 원격제어신호의 코드포멧과 자신의 코드포멧이 일치하면 상기 원격제어신호를 디코딩하는 단계임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기기의 원격제어신호 제어방법.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타 전자기기의 원격제어신호 수신을 차단하는 단계는 자신에게 입력된 원격제어신호가 기설정된 동작명령을 수행하기 위한 원격제어신호일 경우 원격제어신호에 타 전자기기 마이컴의 신호수신 동작을 차단하기 위한 소정 신호를 중첩시켜 타 전자기기로 전송하는 단계임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기기의 원격제어신호 제어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기설정된 동작명령은 자신 및 타 전자기기에 대해 동일한 원격제어 코드를 갖는 동작명령임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기기의 원격제어신호 제어방법.
KR1019990009712A 1998-09-17 1999-03-22 복합기기의 원격제어신호 제어장치 및 방법 KR1002934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9712A KR100293477B1 (ko) 1998-09-17 1999-03-22 복합기기의 원격제어신호 제어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9980038507 1998-09-17
KR1019980038507 1998-09-17
KR1019990009712A KR100293477B1 (ko) 1998-09-17 1999-03-22 복합기기의 원격제어신호 제어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2602A KR20000022602A (ko) 2000-04-25
KR100293477B1 true KR100293477B1 (ko) 2001-06-15

Family

ID=266341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09712A KR100293477B1 (ko) 1998-09-17 1999-03-22 복합기기의 원격제어신호 제어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93477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2602A (ko) 2000-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00691A (en) Remote control identifier setup in a video system having both IR and RF transmitters
US4817203A (en) Remote control system
US20100043027A1 (en) Bi-directional remote control unit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US6104341A (en) Satellite receiving system featuring antenna reception level signal generation in response to signal reception level and/or bit error rate
US5948084A (en) System for remotely controlling a computer having a user interface software communicating with a device driver and driving an application software to perform operation based on a combined key signal
US20020124266A1 (en) Method and device for remote access of a power control system of a set-top box
US20020113908A1 (en) Remote control handset
KR100293477B1 (ko) 복합기기의 원격제어신호 제어장치 및 방법
JP4989819B2 (ja) 衛星テレビ信号受信設備
KR100433240B1 (ko) 무선으로 양방향 조절이 가능한 셋탑 시스템
EP251388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n electronic system
KR100276799B1 (ko) 인터넷 셋 탑 박스를 이용한 웹과 티브이채널 연동장치 및 방법
JPH06311385A (ja) テレビジョン受像機
KR0153833B1 (ko) 케이블 박스의 최적 수신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케이블박스 조정 방법 및 그 장치
KR0183737B1 (ko) 텔레비젼 방송신호와 케이블 방송신호를 하나의 송신기로 제어하는 장치
JPH05236294A (ja) テレビジョン受信機
KR100651283B1 (ko) 원격제어시스템
KR200176784Y1 (ko) 전화선을 이용한 텔레비젼과 컴퓨터 연결 장치
KR100227737B1 (ko) 원격제어신호 검출방법
JPH10243474A (ja) プリセットリモコン設定機能を有する機器
KR0115294Y1 (ko) 텔레비전의 기능조작 외부제어장치
KR200189549Y1 (ko) 다목적 케이블 tv 디코더 시스템
KR200189576Y1 (ko) 영상기기의 파워링크 장치
JP3053692B2 (ja) 画像信号受像制限装置
KR20030004525A (ko) 셋톱박스를 이용한 로컬 데이터통신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31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