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92370B1 - 전지홀더 - Google Patents

전지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92370B1
KR100292370B1 KR1019970027139A KR19970027139A KR100292370B1 KR 100292370 B1 KR100292370 B1 KR 100292370B1 KR 1019970027139 A KR1019970027139 A KR 1019970027139A KR 19970027139 A KR19970027139 A KR 19970027139A KR 100292370 B1 KR100292370 B1 KR 1002923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holder
fixing
contact
electrod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271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요시오 아다치
Original Assignee
요시오 아다치
가부시키가이샤 에이 유 이 겐큐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8401996A external-priority patent/JP2999719B2/ja
Application filed by 요시오 아다치, 가부시키가이샤 에이 유 이 겐큐쇼 filed Critical 요시오 아다치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23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2370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원판형상의 전지가 장착되는 전지홀더에 관한 것으로, 전지의 장착 및 이탈을 용이하고 확실하게 할 수 있는 전지홀더를 얻을 수 있다.
홀더기초대(12)의 바닥면(16A)의 대략 중앙부에 위쪽을 향해 볼록하게 되는 지지점부(16B)가 형성되어 있다. 또 전지의 한쪽편(11C)을 고정하는 고정부(44)가 형성된 전극고정겸 전지부착틀(38), 전지의 다른쪽 편(11D)을 고정하는 고정부(54) 및 취출부가 형성된 전극고정겸 전지고정 제거틀(46)이 형성되어 있다. 전지(11)를 장착하는 경우에는, 전지(11)의 다른쪽편(11D)을 고정부와 바닥면(16A)의 사이로 삽입한 상태에서 전지(11)의 한쪽편(11C)을 마이너스측 접촉부(34A)의 부세력에 저항하여서 누른다. 이에 따라 전지(11)는 지지점부(16B)를 중심으로 회동하여 원터치로 전지수용부 내에 장착된다. 전지(11)가 장착된 상태에서 취출부(52)를 누르면 전지(11)는 지지점부(16B)를 중심으로 한쪽편(11C)이 전지수납부로부터 빠져나오도록 회동하여, 고정부(44)의 위쪽으로 올라와서 제거할 수 있는 상태로 된다.

Description

전지홀더
본 발명은, 비디오카메라 등에 사용되는 원판형상의 전지가 장착되는 전지홀더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전지의 장착 및 제거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전지홀더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원판형상의 전지를 유지하는 전지홀더로서는, 일본국 특공평 3-40464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것이 알려져 있다. 그 개요는 다음와 같다.
즉, 전지홀더를 구성하는 홀더본체는, 원판형상인 전지의 한쪽면에 대응하는 판부와, 전지의 원주면에 대응하는 둘레부를 구비하고 있으며, 전지의 다른쪽면에 대응하는 부분이 개구부로 되어 있다.
이 홀더본체의 둘레부의 일부에는 절결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둘레부의 안쪽에서 상기 절결부와 반대쪽에, 전지의 둘레면을 통해 상기 절결부 방향으로 전지를 누르는 탄성을 가진 제 1 단자가 부착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절결부와 제 1 단자 부근의 각각에는, 홀더본체 내에 수용된 전지의 다른쪽면을 눌러 전지의 이탈을 방지하는 저지부가 형성되어 있다. 또 홀더본체에는 홀더본체 내에 수용된 전지를 상기 저지부로 누르는 제 2 단자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전지홀더에 전지를 장착할 경우에는, 절결부쪽에서 전지를 제 1 단자에 누르는 것과 같이 삽입하여, 제 1 단자의 전지와 접촉한 부위를 삽입방향쪽으로 탄성변형시키고, 그리고 이 상태로 전지를 제 2단자의 탄력에 저항하여 홀더본체 내로 누른다. 이에 따라 전지는 제 1 단자의 탄력에 의하여 둘레면이, 홀더본체의 절결부 부근의 둘레부의 내면에 눌려짐과 동시에 전지의 다른쪽면이 상기 각각의 저지부에 의하여 눌려져서 전지홀더에 장착된 상태로 된다.
한편, 전지홀더에 장착된 전지를 제거하고자 할 때에는, 전지를 절결부쪽에서 손가락 끝으로 세게 제 1 단자방향으로 눌러서, 절결부쪽의 저지부로부터 전지의 일부를 떨어 뜨려, 손가락 끝으로 전지를 끄집어 냄으로써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전지홀더에서는, 상기 전지홀더에 전지를 장착할 경우에, 상기와 같이 절결부쪽으로부터 전지를 제 1 단자에 누르는 것과 같이 삽입하고, 그리고 이 상태로 전지를 제 2단자의 탄력에 저항하여 홀더본체 내로 누를 필요가 있고, 조작이 번잡하며, 원터치로 전지를 장착시킬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또 힘을 부여하는 정도에 따라서는 전지의 장착에 실패하는 일도 있었다.
또, 전지를 제거할 경우에는, 절결부를 손가락 끝으로 세게 제 1 단자방향으로 누르고, 이 누름상태를 유지한 상태에서 손가락 끝으로 전지를 끄집어 낼 필요가 있으며, 전지를 제거조작이 번잡하고, 원터치로 전지를 제거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또 힘을 부여하는 정도에 따라서는 전지 제거에 실패하는 일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전지의 장착· 이탈을 용이하고도 확실하게 행할 수 있는 전지홀더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제1(a)도는 본 발명의 1실시예에 관한 전지홀더에 전지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제1(b)도는 제1(a)도의 I - I 선에 따른 단면도.
제2(a)도는 전지의 다른쪽편이 전지수납부에 수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제2(b)도는 제2(a)도의 II-II선에 따른 단면도.
제3도는 전지홀더에 장착된 전지를 떼어내는 동작을 설명하는 단면도.
제4(a)도는 전지홀더에 전지가 반대방향으로 장착되려고 한 경우를 나타낸 사시도, 제4(b)도는 제4(a)도의 IV-IV선에 따른 단면도.
제5도는 홀더기초대에 전극판이 부착되는 상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제6도는 전극판이 부착된 홀더기초대에 전극고정겸 전지부착틀 및 전극고정겸 전지고정 제거틀이 부착되는 상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제7도는 홀더기초대의 사시도.
제8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전지홀더를 나타낸 단면도.
제9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전지홀더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전지홀더 11 : 전지
11A : 이면 11B : 표면
11C : 한쪽편 11D : 다른쪽편
12 : 홀더 기초대 14A~14D : 가이드
16 : 전지수납부 16A : 바닥면
16B : 지지점부 22 : 플러스측 전극판(제 1 전극판)
24 : 플러스측 부착부 26 : 플러스측 단자
30 : 마이너스측 전극판(제 2 전극판)
32 : 마이너스측 부착부 36 : 마이너스측 단자
42 : 전극고정부 44 : 고정부(제 1 돌출부)
48 : 절결부 50 : 기초부
52 : 취출부 54 : 고정부(제 2 돌출부)
60 : 전지홀더 62A : 절결부
62B : 고정부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하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하면, 원판형상의 전지의 이면이 맞닿아지는 맞닿음부와, 상기 맞닿음부의 둘레 가장자리부 근방에서 뻗어나와 내부에 전지수납부를 형성하는 가이드를 구비한 홀더기초대와, 상기 홀더기초대와 일체로 되어 상기 전지수납부에 수납된 전지의 표면의 한쪽편에 맞닿는 고정부와, 상기 홀더기초대와 일체로 되어 상기 전지수납부에 수납된 전지의 표면의 다른쪽편에 맞닿으며, 평면형상이 E자형상을 이루는 고정부와, 상기 홀더기초대에 부착되어 상기 전지수납부에 수납된 전지를 상기 한쪽편으로 밀어누르는 탄성을 가진 제 1전극판과, 상기 홀더기초대에 부착되어 상기 전지수납부에 수납된 전지를 상기 고정부로 밀어누르는 탄성을 가진 제 2 전극판을 구비한 전지홀더로서, 상기 맞닿음부의 중앙부에 상기 전지의 이면의 중앙부와 맞닿는 볼록형상의 지지점부를 형성하고, 상기 전지의 한쪽편을 상기 고정부 상에 위치시켜, 상기 전지의 다른쪽편을 경사지게 하여 상기 E자형상을 이루는 고정부의 아래쪽으로 밀어넣고, 이 경사상태에서 상기 전지의 한쪽편을 상기 제 2 전극판측으로 밀어눌러 상기 전지를 상기 전지수납부에 수납시킴과 동시에, 전지의 한쪽편을 상기 고정부를 통하여 고정하고, 상기 이면이 상기 지지점부에 맞닿아 있는 상기 전지를, 상기 E자형상을 이루는 고정부의 중앙부에 형성된 탄성을 가진 취출부를 아래쪽으로 밀어누르는 것에 의해 상기 전지의 한쪽편의 고정이 해제되고 한쪽편이 위로 이동하여 상기 전지를 취출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홀더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E자형상을 이루는 고정부는 간격을 두고 양 끝단에 형성된 한쌍의 돌출편과, 그 중앙부에 형성되어 상기 전지수납부에 수납된 상기 전지를 상기 맞닿음부로 향해 밀어누르는 것이 가능한 탄성을 가진 취출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진 전지홀더가 제공된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각각의 고정부가 일체로 형성된 전지홀더가 제공된다.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제1(a)도 및 제1(b)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관한 전지홀더(10)는 홀더 기초대(12)를 가지고 있으며, 홀더 기초대(12)는 제5도 및 제6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판형태로서 대략 직사각형상으로 되어 있다.
홀더 기초대(12)의 네 모서리의 각각에는, 대략 원호형상의 가이드(14A)~ (14D)가 세워 설치되어 있고, 각각의 가이드(14A)∼ (14D)의 안쪽이 제1(a)도에 나타낸 전지(11)가 수납되는 전지수납부(16)로 이루어져 있다.
이 전지수납부(16)의 맞닿음부로서의 바닥면(16A)은, 제1(b)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략 중앙부가 위쪽으로, 즉 전지수납부(16)의 개구쪽으로 볼록하게 되도록 만곡되어 지지점부(16B)로 되어 있고, 전지(11)의 이면(11A)의 대략 중앙부분과 접촉하도록 되어 있다. 이 지지점부(16B)는 제1(b)도의 지면에 직교하는 방향의 전체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전지(11)는 이면(11A)에서부터 표면(11B)에 걸쳐서 점차로 직경이 확대되어 있다.
제5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홀더기초대(12)의 가이드(14A)와 가이드(14B)의 사이에는, 제 2 전극판으로서의 마이너스측 전극판(30)을 부착하기 위한 부착용 구멍(18A)이 형성되고, 홀더 기초대(12)의 가이드(14C),(14D)의 옆끝단부에는, 제 1 전극판으로서의 마이너스측 전극판(30)의 부착용의 부착용 오목부(18B)가 형성되어 있다.
또, 홀더기초대(12)에는 가이드(14A),(14B)로 막혀진 전지수납부(16)의 바깥쪽에 제6도에 나타낸 1쌍의 부착편(20A),(20A)과 부착핀(20B), (20B)이 형성되어 있다. 또 홀더기초대(12)의 가이드(14C), (14D)로 막혀진 전지수납부(16)의 바깥쪽에는 1쌍의 부착편(20C),(20C)과 부착핀(20D), (20D)이 형성되어 있다.
홀더기초대(12)에는 플러스측 전극판(22)이 부착되도록 되어 있고, 플러스측 전극판(22)은 제5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홀더기초대(12)의 피부착부(12A)에 맞닿아지는 플러스측 부착부(24), 이 플러스측 부착부(24)의 한끝단쪽으로부터 늘어진 플러스측 단자(26), 플러스측 부착부(24)의 다른 끝단쪽에 세워 설치되고 양끝단부가 서로 접근하도록 구부려서 이루어진 플러스측 접촉부(28)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플러스측 접촉부(28)는 양끝단부의 각각이 서로 접촉이탈하는 방향으로 탄성변형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플러스측 전극판(22)은, 제6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러스측 단자(26)가 부착용 오목부(18B)에 끼워 통해지고, 또 플러스측 부착부(24)가 홀더기초대(12)의 피부착부(12A)에 맞닿아진 상태로 홀더기초대(12)에 부착되도록 되어 있다. 이 부착상태에서 전지수납부(16)에 전지(11)가 수납되면 플러스측 접촉부(28)는 전지(11)를 가이드(14A),(14B)에 누르도록 되어 있다.
상기 마이너스측 전극판(30)은, 홀더기초대(12)에 맞닿아지는 마이너스측 부착부(32), 이 마이너스측 부착부(32)의 한 끝단쪽에서 아래쪽으로 뻗어나온 연장 끝단부가 대략 90도의 각도로 굴곡되어 다시 뻗어나와 이루어진 연장부(34)의 양쪽 끝단이 잘려서 이루어진 탄성변형이 가능한 1쌍의 마이너스측 접촉부(34A),(34A), 연장부(34)에 있어서의 마이너스측 접촉부(34A),(34A)와의 사이에서 아래로 향한 마이너스측 단자(36)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 마이너스측 전극판(30)은 마이너스측 단자(36)가 부착용 구멍(18A)에 끼워 통해져서 마이너스측 부착부(24)가 홀더기초대(12)의 제5도에 나타낸 피부착부(12B)에 맞닿아진 상태로 홀더기초대(12)에 부착되도록 되어 있다. 이 부착상태에서 마이너스측 접촉부(34A)가 전지수납부(16)에 수납된 전지(11)의 이 면(11A)[제1(b)도 참조]에 맞닿아서 전지(11)에 탄성력을 부여하도록 되어 있다.
제6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홀더기초대(12)에는 전극고정겸 전지부착틀(38)이 부착되도록 되어 있고, 전극고정부(42)와, 이 전극고정부(42)의 양단부의 각각에서 전지수납부(16)쪽으로 뻗어나온 1쌍의 고정부(44)를 구비하고 있다. 각각의 고정부(44)는 각각의 선단이 서로 접근하도록 뻗어나와 있고, 각각의 고정부(44)의 아래면이 전지수납부(16)에 수납된 전지(11)의 표면(11B)[도면 (A)참조]에 맞닿아, 전지수납부(16)로부터 전지(11)가 빠져나오는 것을 저지하도록 되어 있다.
이 전극고정겸 전지부착틀(38)은, 고정 전극부(42)에 형성된 도시하지 않은 1쌍의 부착편 삽입구멍의 각각에 부착편(20A),(20A)이 끼워넣어짐과 동시에 고정 전극부(42)에 형성된 도시하지 않은 1쌍의 부착핀 끼워넣기 구멍의 각각에 부착핀(20B),(20B)이 끼워넣어짐으로써, 홀더기초대(12)와 일체로 되도록 되어 있다(제7도 참조).
또, 홀더기초대(12)에는 전극고정겸 전지고정 제거틀(46)이 부착되도록 되어 있고, 전극고정겸 전지고정 제거틀(46)은 전체로서 평면에서 보아 대략 E자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1쌍의 절결부(48)가 형성된 기초대부착용 기초부(50)를 구비하고 있다.
기초대부착용 기초부(50)의 긴쪽방향 중간부에는, 대략 원판형상으로 탄성변형이 가능한 취출부(52)가 전극고정겸 전지부착틀(38)쪽으로 뻗어나와 있다. 또한 기초대부착용 기초부(50)의 양단부의 각각에는, 고정부(54)가 전극고정겸 전지부착틀(38)쪽으로 이어져 있다. 전극고정겸 전지고정 제거틀(46)은 1쌍의 절결부(48)의 각각에 부착편(20C),(20C)이 끼워넣어짐과 동시에 기초대부착용 기초부(50)에 형성된 도시 하지 않은 1쌍의 부착핀 끼워 넣음구멍의 각각에 부착핀(20D),(20D)이 끼워넣어짐으로써 홀더기초대(12)와 일체로 되도록 되어 있다(제7도 참조).
또한, 상기 고정부(44)의 전지수납부(16)쪽으로의 돌출량은, 제2(a)도 및 제2(b)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지(11)가 바른 방향으로, 즉 전지(11)의 이면(11A)이 전지수납부(16)의 바닥면(16A)에 대향한 상태로 전지수납부(16)에 장착되려고 하였을 경우, 전지(11)의 한쪽편(11C)을 전지수납부(16) 안쪽으로 가이드 가능한 칫수로 되어 있다. 또 고정부(44)는 전지(11)가 잘못된 방향[제4(a),(b)도에 나타낸 방향]으로 장착되려고 하였을 경우, 전지(11)의 표면(11B)에 맞닿아 전지(11)의 전지수납부(16)로의 장착을 저지하는 스톱퍼로서의 기능을 발휘하도록 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하여, 전지홀더(10)가 구성되고, 플러스측 단자(26) 및 마이너스측 단자(36)를 도시하지 않은 인쇄배선기판에 형성된 관통구멍으로 관통시키고, 인쇄배선기판의 이면에 형성된 인쇄배선에 납땜을 행함으로써 전지홀더(10)가 전기적 및 기계적으로 부착된다.
다음에, 전지홀더(10)에 대한 전지(11)의 착탈조작에 대해 설명한다. 전지(11)를 전지홀더(10)에 장착할 경우에는, 전지(11)의 한쪽편(11C)을 손가락으로 집어 전지(11)의 다른쪽편(11D)을 바닥면(16A)과 고정부(54)의 틈새로 삽입한다[제2(a),(b)도 상태]. 이 삽입상태에서는 전지(11)의 한쪽편(11C)이 고정부(44) 상에 위치하여, 전지홀더(10)에 대해 전지(11)가 경사진 상태로 되어 있다.
이 경사상태에서 전지(11)의 한쪽편(11C)을 마이너스측 접촉부(34A)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누른다. 이에 따라 전지(11)는 지지점부(16B)를 중심으로 하여 한쪽편(11C)이 바닥면(16A)으로 접근하도록 이동하고, 전지(11)의 한쪽편(11C)이 고정부(44)의 아래쪽으로 이동하여 바닥면(16A)과 고정부(44)에 의하여 끼워진 상태로 됨과 동시에, 전지(11)는 다른쪽편(11D)이 플러스측 전극판(22)의 플러스측 접촉부(28)를 탄성력에 저항하여 가이드(14C),(14D) 쪽으로 누르면서 이동하며, 전지(11)의 다른쪽편(11D)이 고정부(54)와 바닥면(16A)과의 사이에 끼워진 상태로 되어, 전지(11)가 전지홀더(10)에 장착된 상태로 된다[제1(a),(b)도 참조].
이 전지(11)의 장착상태에서 전지(11)는 마이너스측 접촉부(34A)에 의해 한쪽편(11C)의 고정부(44)에 눌리고, 플러스측 접촉부(28)에 의해 한쪽편(11C)의 둘레면이 가이드(14A),(14B)에 눌리기 때문에 덜컥거리지 않으며, 더구나 전지수납부(16)로부터 빠져나오는 일이 없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지(11)의 한쪽편(11C)을 단순히 한쪽편으로 누르는 것만으로, 즉 원터치로 전지(11)를 전지홀더(10)에 장착시킬 수 있기 때문에 전지(11)의 장착을 매우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종래의 전지홀더와 달리 전지(11)를 특정방향으로 누르고, 이 누름상태를 유지하면서 다른 방향으로도 누른다고 하는 복수의 동작을 필요로 하는 일 없이, 단순히 한 방향으로 누르는 것만으로 전지(11)를 장착할 수 있으므로 전지(11)의 장착을 실패없이 확실하게 할 수 있다.
전지홀더(10)에 장착된 전지(11)를 전지수납부(16)에서 제거하는 경우에는, 제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취출부(52)를 누르면 된다. 이에 따라 전지(11)는 지지점부(16B)를 중심으로 하여 전지(11)의 한쪽편(11C)이 바닥면(16A)에서 떨어지도록 이동한다.
상기 이동시에는, 마이너스측 접촉부(34A)에 의하여 한쪽편(11C)이 전지수납부(16)에서 빠져나오는 방향으로의 부세력을 받음과 동시에, 플러스측 접촉부(28)에 의하여 전지(11)가 가이드(14A),(14C)쪽으로 부세되어 전지(11)의 한쪽편(11C)이 고정부(44)를 넘어 전지수납부(16)에서 제거해 낼 수 있는 상태로 된다(제3도 참조). 그리고 이 제3도의 전지의 정지상태 [손가락으로 전지(11)에 누르는 힘을 부여하고 있지 않는 상태]에서 전지(11)를 손가락으로 끄집어냄으로써, 전지의 제거작업이 완료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종래의 전지홀더와 달리, 전지를 소정 방향으로 누른 상태에서 전지를 끄집어 낼 필요가 없으므로, 전지의 제거 작업이 용이하고도 확실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제4(a),(b)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지(11)가 반대방향인 상태에서, 전지(11)의 다른쪽편(11D)이 바닥면(16A)과 고정부(54)의 사이에 삽입되었을 경우에는, 전지(11)의 표면(11B)에 고정부(44)가 닿아 전지(11)가 전지수납부(16)에 수납되는 것이 저지된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전극고정겸 전지고정 제거틀(46)에 취출부(52)를 형성하고, 이 취출부(52)를 누름으로써 전지(11)를 제거하도록 하고 있으나, 취출부(52)를 형성하지 않아도 좋다. 이 경우에는 전지홀더(10)에 장착된 전지(11)를 제거하는 경우에는, 전지(11)의 다른쪽편(11D)에 있어서의 고정부(54)의 각각의 사이를 누르면 된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 지지점부(16B)는 바닥면(16A)에 있어서의 전지(11)[전지수납부(16)에 수납된 전지 (11)]의 대략 중앙부에 맞닿아지는 위치에 형성하고 있으나, 예컨대 제8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지(11)의 대략 중앙부 보다도 다른쪽편(11D)에 맞닿도록 형성하여도 좋다.
본실시예에 있어서도 전지(11)는 전지수납부(16)에 착탈시킬 때에, 지지점부(16B)를 중심으로 하여 상기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동작하기 때문에, 전지(11)의 착탈을 원터치로 용이하고도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지지점부(16B)를 전지(11)의 대략 중앙부보다도 다른쪽편(11D)에 맞닿아지는 위치에 형성하고 있으므로, 지렛대의 원리에 따라 전지(11)의 장착에 요하는 힘을 작게 할 수 있다. 한편 전지(11)를 제거해 낼 경우에는, 마이너스측 접촉부(34A)(제5도 참조)의 부세력 이 전지(11)의 제거 힘의 일부로서 기여하므로, 제거조작에 지장을 초래하는 일은 없다.
또한, 지지점부(16B)의 형성위치는, 전지(11)의 이면(11A)에 맞닿는 위치이면 특히 한정되지 않으나, 전지(11)를 장착할 경우에는, 마이너스측 접촉부(34A)의 부세력에 저항하여 전지(11)를 밀어내릴 필요가 있으므로, 전지(11)이 중앙부보다도 다른쪽편(11D)에서 접촉하는 위치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지지점부(16B)는 제1(b)도의 지면에 직교하는 방향 전체에 걸쳐 형성되어 있으나, 부분적으로 단 1개만 형성하여도 좋고, 간격을 두고 복수개 형성하여도 좋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전지(11)를 전지수납부(16) 내에 유지하기 위한 부재를 2개의 부재[전극고정겸 전지부착틀(38) 및 전극고정겸 전지고정 제거틀(46)]에 의하여 구성하고 있으나, 제9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일 부재에 의해 구성하여도 좋다.
다음에, 제9도에 나타낸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상기 실시예와 본 실시예는 전지를 전지수납부내에 유지하기 위한 부재 이의 구성이 상기 실시예와 기본적으로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동일한 부재에 대해서는 상기 실시예와 동일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즉, 본 실시예에 관한 전지홀더(60)에서, 전지(11)[제1(a)도 참조]를 전지수납부(16) 내에 유지하기 위한 전지고정부재(62)는, 제9도의 왼쪽편에 절결부(62A)가 형성된 대략 링 형상으로 되어 있고, 양단부의 각각에 대략 L자형상의 고정부(62B),(62B)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 고정부(62B)는 상기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제2(a),(b)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지(11)의 이면(11A)이 바닥면(16A)에 대향한 상태로 전지수납부(16)에 장착되려고 하였을 경우에, 전지(11)의 한쪽편(11C)을 전지수납(16)에 가이드 가능한 칫수로 되어 있음과 동시에, 고정부(62B)는 전지(11)가 잘못된 방향으로 장착되려고 하였을 경우, 제4(a),(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지 (11)의 표면(11B)에 맞닿아서 전지(11)가 전지수납부(16)에 장착되는 것을 저지하는 스톱퍼로서의 기능을 발휘하도록 되어 있다.
또, 도면중에서, 부호(64)는 마이너스측 전극판을 나타내고 있다. 마이너스측 전극판(64)은 평판부(64A)를 개재하여 홀더기초대(12)에 고정되어 있으며, 이 평판부(64A)의 중간부로부터 동일 평면내에서 뻗어나온 마이너스측 단자(64B), 평판부(64A)에서 이 마이너스측 단자(64B)를 사이에 두고 뻗어나온 1쌍의 마이너스측 접촉부(64C)를 구비하고 있다.
각각의 마이너스측 접촉부(64C)는, 바닥면(16A)에서 약간 떨어져 있으며, 전지수납부(16)에 수납된 전지를 고정부(62B)로 누르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바닥면(16A)의 평판부(64A)의 근방이 지지점부(16B)로 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전지홀더(10)에 전지(11)[제1(a) 참조]를 장착할 경우에는, 전지(11)의 한쪽편을 손가락으로 집어 절결부(64A)를 통하여 전지 (11)를 전지수납부(16)에 삽입하고, 전지(11)의 다른쪽편을 고정부(54)와 바닥면(16A) 사이로 삽입한다. 이어서 전지(11)의 절결부(64A)쪽을 손가락으로 누른다. 이에 따라 상기 실시예와 마찬가지 동작에 의하여 전지(11)가 전지수납부(16)에 장착된다.
본 실시예에서도, 상기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전지(11)의 전지홀더(60)에 대한 부착을 용이하고도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전지수납부(16)에 장착된 전지(11)를 제거할 경우에는 취출부(52)를 누른다. 이에 따라 전지(11)가 지지점부(16B)를 중심으로 하여 상기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이동하고, 전지(11)의 절결부(64A) 쪽의 끝단부가 고정부(62B) 위에 이르러 전지(11)를 제거할 수 있는 상태로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지고정부재(64)에 절결부(64A)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 스페이스에 손가락을 삽입함으로써, 원활하게 전지(11)를 제거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전지(11)를 전지수납부(16) 내에 유지하기 위한 부재를 단일부재로 구성하고 있으므로, 그 만큼 부품수를 삭감할 수 있음과 동시에 전지홀더의 제작이 용이해진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지의 착탈을 용이하고도 확실하게 행할 수 있는 전지홀더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3)

  1. 원판형상의 전지(11)의 이면(11A)이 맞닿아지는 맞닿음부와, 상기 맞닿음부의 둘레 가장자리부 근방에서 뻗어나와 내부에 전지수납부(16)를 형성하는 가이드(14A),(14B),(14C),(14D)를 구비한 홀더기초대(12)와, 상기 홀더기초대(12)와 일체로 되어 상기 전지수납부(16)에 수납된 전지(11)의 표면(11B)의 한쪽편(11C)에 맞닿는 고정부(44), (62B)와, 상기 홀더기초대(12)와 일체로 되어 상기 전지수납부(16)에 수납된 전지(11)의 표면(11B)의 다른쪽편(11D)에 맞닿으며, 평면형상이 E자형상을 이루는 고정부(54)와, 상기 홀더기초대(12)에 부착되어 상기 전지수납부(16)에 수납된 전지(11)를 상기 한쪽편으로 밀어누르는 탄성을 가진 제 1 전극판(22)과, 상기 홀더기초대(12)에 부착되어 상기 전지수납부(16)에 수납된 전지(11)를 상기 고정부(44), (62B)로 밀어누르는 탄성을 가진 제 2 전극판(30)을 구비한 전지홀더로서, 상기 맞닿음부의 중앙부에 상기 전지(11)의 이면(11A)의 중앙부와 맞닿는 볼록형상의 지지점부(16B)를 형성하고, 상기 전지(11)의 한쪽편(11C)을 상기 고정부(44), (62B) 상에 위치시켜, 상기 전지(11)의 다른쪽편(11D)을 경사지게 하여 상기 E자형상을 이루는 고정부(54)의 아래쪽으로 밀어넣고, 이 경사상태에서 상기 전지(11)의 한쪽편(11C)을 상기 제 2 전극판(30) 측으로 밀어눌러 상기 전지(11)를 상기 전지수납부(16)에 수납시킴과 동시에, 전지(11)의 한쪽편(11C)을 상기 고정부(44), (62B)를 통하여 고정하고, 상기 이면(11A)이 상기 지지점부(16B)에 맞닿아 있는 상기 전지(11)를, 상기 E자형상을 이루는 고정부(54)의 중앙부에 형성된 탄성을 가진 취출부(52)를 아래쪽으로 밀어누르는 것에 의해 상기 전지(11)의 한쪽편(11C)의 고정이 해제되어 한쪽편(11C)이 위로 이동하여 상기 전지(11)를 취출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홀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E자형상을 이루는 고정부(54)는 간격을 두고 양 끝단에 형성된 한쌍의 돌출편과, 그 중앙부에 형성되어 상기 전지수납부(16)에 수납된 상기 전지(11)를 상기 맞닿음부로 향해 밀어누르는 것이 가능한 탄성을 가진 취출부(52)를 구비하여 이루어진 전자홀더.
  3.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고정부가 일체로 형성된 전지홀더.
KR1019970027139A 1996-06-25 1997-06-25 전지홀더 KR10029237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8401996A JP2999719B2 (ja) 1996-06-25 1996-06-25 電池ホルダ
JP96-184019 1996-06-2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92370B1 true KR100292370B1 (ko) 2001-06-01

Family

ID=579400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27139A KR100292370B1 (ko) 1996-06-25 1997-06-25 전지홀더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292370B1 (ko)
TW (1) TW352480B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98854A (ja) * 1982-05-14 1983-11-1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池の収納ケ−ス
JPS5978445A (ja) * 1982-10-28 1984-05-07 Sony Corp 電池ホル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98854A (ja) * 1982-05-14 1983-11-1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池の収納ケ−ス
JPS5978445A (ja) * 1982-10-28 1984-05-07 Sony Corp 電池ホル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352480B (en) 1999-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999719B2 (ja) 電池ホルダ
US4684183A (en) Connector for flexible printed circuit
US8597038B2 (en) Connector
US4064551A (en) Apparatus for insertion and withdrawal of printed circuit boards into and from mounting frames
KR20060115914A (ko) 카드용 커넥터
US5803761A (en) Edge connector
US7473126B1 (en) Battery connector with improved contact
KR100404629B1 (ko) 카드 커넥터
US20020132504A1 (en) Relay socket
EP0122486B1 (en) Electrical connectors with quasi-terminal pins
KR940011572B1 (ko) Ram 접속기
US5695047A (en) Key switch device
US5240792A (en) Battery holder for electronic apparatus
US6890216B2 (en) Connector which can be simplified in structure of an end portion in a card inserting/removing direction
KR100292370B1 (ko) 전지홀더
JP2595705Y2 (ja) 回路基板挿着用電気コネクタ
JP3554667B2 (ja) カードコネクタ
EP0279903A2 (en) Construction of battery compartment
JP2002222392A (ja) カード用コネクタ装置
US4792650A (en) Module mounting system
JP6295165B2 (ja) 端子ユニット及びカード用コネクタ
JP3948782B2 (ja) カードモジュールコネクタ装置
JPH08102309A (ja) 電池ホルダ
JP5585492B2 (ja) 電池収容ケース
JPH0737564A (ja) 電池ホル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5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0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6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1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