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92198B1 -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넘버7메시지의송수신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넘버7메시지의송수신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92198B1
KR100292198B1 KR1019980023661A KR19980023661A KR100292198B1 KR 100292198 B1 KR100292198 B1 KR 100292198B1 KR 1019980023661 A KR1019980023661 A KR 1019980023661A KR 19980023661 A KR19980023661 A KR 19980023661A KR 100292198 B1 KR100292198 B1 KR 1002921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sage
smhp
traffic
signal point
p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236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02755A (ko
Inventor
김완태
김종학
김일대
Original Assignee
박종섭
현대전자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종섭, 현대전자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박종섭
Priority to KR10199800236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92198B1/ko
Publication of KR200000027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27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21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219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289Congestion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4Arrangements for maintaining operational cond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284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detecting congestion or overload during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8Load balancing or load distribution
    • H04W28/09Management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No.7 메시지를 처리하는 No.7 메시지 처리장치내 SMHP의 부하 상태에 따라 No.7 메시지의 트래픽 흐름을 제어하여 SMHP의 과부하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No.7 메시지의 송수신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해당 신호점의 SMHP에서 트래픽에 따른 부하 상태를 체크하여 SMHP의 부하가 일정 수준 이상으로 트래픽이 몰리는 경우라면 주위의 신호점으로 제어 메시지를 띄워 자신의 신호점으로 트래픽 전달을 자제해 달라고 요구하여 트래픽의 발생을 제한하며, 이와 같은 동작으로 인하여 SMHP의 부하가 일정 수준 이하로 줄어들면서 폭주가 해제되게 되면 주위의 신호점으로 다시 트래픽의 발생을 허락하여 트래픽이 전달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며, 이와 같이 SMHP에서의 부하 상태에 따라 인접 신호점으로 제어 메시지를 송신함으로써 SMHP의 부하 상태를 적절히 조절하여 SMHP의 과부하를 방지함으로써 이동통신 호 처리가 원활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망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넘버7 메시지의 송수신 제어방법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No.7 메시지를 처리하는 No.7 메시지 처리장치내 시그널 메시지 처리 프로세서(Signalling Message Handling Processor ; 이하, 'SMHP'라 칭함)의 부하 상태에 따라 No.7 메시지의 트래픽 흐름을 제어하여 SMHP의 과부하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No.7 메시지의 송수신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호점(Signalling Point ; SP)이란 No.7 신호 방식을 사용하여 통신하는 망내의 독립된 장치들을 말하며, 신호점 코드(Signalling Point Code ; SPC)란 상기 신호점들을 식별하기 위해 신호점에 부여되는 고유 식별 인자를 말하는 것으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No.7 신호 방식을 사용하여 통신하는 장치들로서는 이동통신 교환기(Mobile Services Switching Center ; MSC), 홈 위치 등록기(Home Location Register ; HLR), 제어국(Base Station Controller ; BSC), 방문자 위치 등록기(Visitor Location Register ; VLR) 등이 있으며, 이 장치들에는 서로 다른 고유의 신호점 코드가 부여되어 있다.
상기 신호점은 기능에 따라 수신받은 No.7 메시지를 다른 신호점으로 전달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진 신호전달점(Signalling Transfer Point ; STP)과 수신받은 No.7 메시지를 다른 신호점으로 전달할 수 있는 기능을 갖지 않은 신호점(Signalling End Point ; SEP)으로 구분되며, 상기 신호점 코드는 사용 목적에 따라 자국 교환기를 나타내는 자국 신호점 코드(Owner Point Code ; OPC)와 자국 신호점을 제외한 모든 신호점을 나타내는 타국 신호점 코드(Destination Point Code ; DPC)로 구분된다.
상기와 같은 신호점을 갖는 이동통신 시스템내 통신 장치들간의 No.7 메시지 처리를 위해 활용되는 No.7 서비스 계층 구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답 처리 기능부(Transaction Capabilities Application Part ; 이하, 'TCAP'라 칭함)(1)와, 신호 연결 제어부(Signaling Connection Control Part ; 이하, 'SCCP'라 칭함)(2)와, ISUP(ISDN User Part)(3)와, 메시지 전달부(Message Transfer Part ; 이하, 'MTP'라 칭함)(4)로 이루어진다.
상기 MTP(4)는 사용자로부터의 의도적인 정보를 No.7 신호망을 통해 요구되는 착신측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하며, 신호 데이터 링크의 물리적, 기능적인 특성을 규정한 레벨 1과, 하나의 신호 데이터 링크를 통해 신호 메시지를 전달하는 동작에 관련된 절차 및 기능을 규정한 레벨 2 및 신호망의 신호점들간의 메시지를 전달하는 동작에 관련된 절차 및 기능을 규정한 레벨 3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No.7 메시지를 처리하기 위한 처리장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통신 교환기내에서 호 처리를 위한 소프트웨어들을 로딩하여 실행하는 ASP(Access Switching Processor)(10)와, SCCP(2)와 MTP(4)의 기능을 수행하는 소프트웨어 블록들이 동작하여 다른 신호점으로부터 No.7 메시지를 수신하는 다수의 SMHP0∼SMHPn(20∼2n)와, SMLA(Signal Terminal Management Logic Board Assembly)(31)와 SMPA(Signal Terminal Management Processor Assembly)(32) 및 실제 No.7 메시지를 전달하는 경로를 유지하는 다수의 신호 터미널(Signal Terminal ; 이하, 'ST'라 칭함)(ST0∼STn)(41∼4n)로 이루어진 STG(Signal Terminal Group)(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SMHP에서는 SCCP(2)와 MTP(4)의 기능을 수행하는 소프트웨어 블록들에 의해 메시지의 루팅 기능을 수행하여 No.7 메시지를 어느 ST로 전송할 것인지를 결정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신호점들간의 No.7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SMHP의 운용에 있어서, 다수의 발신 신호점에서 동시에 하나의 착신 신호점으로 No.7 메시지를 전송하거나 다수의 발신 신호점에서 동일한 중간 신호점을 거쳐 착신 신호점으로 No.7 메시지를 전송하는 경우, 상기 착신 신호점이나 중간 신호점에서의 해당 SMPH로 트래픽이 폭주하여 SMHP가 과부하 상태가 된다.
상기와 같이 종래에는 SMHP의 폭주현상이 발생하였을 경우 이를 주위의 인접 신호점들에게 알릴 방법이 구현되어 있지 않아 SMHP가 제기능을 수행하지 못하게 되어, 결국 이동통신 호 처리를 수행할 수 없는 현상의 발생으로 망 자체가 마비되어 버리고 마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SMHP의 부하가 일정 수준 이상이 되었을 때 주위의 인접 신호점으로 제어 메시지를 띄워 트래픽의 발생을 제한하도록 요구하고, 이어 폭주가 해제되면 주위의 인접 신호점으로 제어 메시지를 띄워 트래픽의 발생을 허락하도록 함으로써 SMHP의 과부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No.7 메시지의 송수신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도 1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활용되는 No.7 서비스 계층 구조를 보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No.7 메시지 송수신 제어방법이 적용되는 No.7 메시지 처리장치의 블록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No.7 메시지 송수신 제어를 위한 제어 메시지의 포맷을 보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No.7 메시지의 송수신 제어방법을 보인 동작 흐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ASP 20∼2n : SMHP0∼SMHPn
30 : STG 31 : SMLA
32 : SMPA 40∼4n : ST0∼STn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No.7 메시지의 송수신 제어방법은, 해당 신호점의 SMHP에서 트래픽에 따른 부하 상태를 체크하여 SMHP의 부하가 일정 수준 이상으로 트래픽이 몰리는 경우라면 주위의 인접 신호점으로 제어 메시지를 띄워 자신의 신호점으로 트래픽 전달을 자제해 달라고 요구하여 트래픽의 발생을 제한하며, 이와 같은 동작으로 인하여 SMHP의 부하가 일정 수준 이하로 줄어들면서 폭주가 해제되게 되면 주위의 인접 신호점에게 다시 트래픽의 발생을 허락하여 트래픽이 전달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No.7 메시지의 송수신 제어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No.7 메시지 송수신 제어를 위한 제어 메시지의 포맷을 보인 도면으로서, 해당 신호점의 SMHP의 부하가 일정 수준 이상으로 진행되는 경우에 주위의 다른 신호점으로 이를 알려 자신의 신호점으로 트래픽 전달을 자제해 달라고 요구하기 위한 전달 제어(TransFer Controlled ; 이하, 'TFC'라 칭함) 메시지와 SMHP의 부하가 일정 수준 이하로 줄어드는 경우에 자신의 신호점으로 트래픽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도록 허용하기 위한 전달 허용(TransFer Allowed ; 이하, 'TFA'라 칭함) 메시지의 포맷이다.
상기 메시지 포맷은 헤더부(a)와, 착신점(b)과, 발신 신호점(c)과, 착신 신호점(d)으로 구성되며, 상기 헤더부(a)는 SMHP의 트래픽 제어에 관련된 메시지임을 표시하고, 상기 착신점(b)은 부하가 일정 수준 이상인 신호점을 나타내며, 이는 SMHP의 부하가 일정 수준 이상인 경우 주위의 신호점으로 제어 메시지를 전송하는 발신 신호점(c)과 동일하며, 상기 착신 신호점(d)은 제어 메시지를 수신받는 신호점을 나타낸다.
이때, 상기 착신점(b)은 TFC 메시지인 경우 SMHP의 부하가 일정 수준 이상으로 증가된 신호점을 나타내며 착신 신호점(d)으로 트래픽 발생을 제한하도록 요구하고, TFA 메시지인 경우 SMHP의 부하가 일정 수준 이하로 줄어든 신호점을 나타내며 착신 신호점(d)으로 트래픽 발생을 허용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No.7 메시지의 송수신 제어방법을 도 4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해당 신호점의 No.7 메시지 처리장치내 SMHP에서 트래픽에 따른 부하 상태를 체크하여(S1), SMHP의 부하가 일정 수준 이상으로 트래픽이 몰리는지를 판단한다(S2).
상기 단계(S2)에서 SMHP의 부하가 일정 수준 이상으로 트래픽이 몰리는 경우라면 SMHP에서는 주위의 인접 신호점으로 도 3에 도시된 포맷의 TFC 메시지를 띄워 자신의 신호점으로 트래픽 전달을 자제해 달라고 요구하여(S3) 트래픽의 발생을 제한하도록 한다(S4).
반면, 상기 단계(S2)에서 SMHP의 부하가 일정 수준 이하인 경우나, 상기 단계(S3,S4)에서의 동작에 따라 해당 신호점으로 트래픽이 몰리지 않아 SMHP의 폭주가 해제되는 경우라면(S5) 주위의 인접 신호점으로 도 3에 도시된 포맷의 TFA 메시지를 띄워(S6) 자신의 신호점으로 다시 트래픽의 발생을 허용하도록 한다(S7).
일예를 들어 설명하면, A,B,C,D,E,F 등의 신호점이 있을 때, A신호점이 B신호점을 경유하여 F신호점으로 트래픽 메시지를 보낼 경우 B신호점으로부터 B신호점의 SMHP의 부하가 일정 수준 이상으로 TFC 메시지가 전송되면 A신호점에서는 상기 TFC 메시지의 수신에 따라 B신호점을 경유하지 않고 다른 신호점, 예를 들면 C신호점을 거쳐서 최종 F신호점으로 트래픽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한다.
이후, B신호점의 SMHP의 부하가 일정 수준 이하로 줄어들게 되면 B신호점은 인접한 A신호점으로 TFA를 전달하여 자신을 경유하여 트래픽 메시지를 보낼 수 있도록 허용한다.
이상, 상기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SMHP에서의 부하 상태에 따라 인접 신호점으로 제어 메시지를 송신함으로써 SMHP의 부하 상태를 적절히 조절하여 SMHP의 과부하를 방지함으로써 이동통신 호 처리가 원활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망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이동통신 시스템의 No.7 처리장치내 SMHP의 부하 상태에 따라 No.7 메시지의 트래픽 흐름을 제어하기 위한 No.7 메시지의 송수신 제어방법에 있어서,
    해당 신호점의 SMHP에서 트래픽에 따른 부하 상태를 체크하는 제1단계와, 상기 제1단계의 체크 결과로부터 SMHP의 부하가 일정 수준 이상으로 트래픽이 몰리는지를 판단하는 제2단계와, 상기 제2단계에서 SMHP의 부하가 일정 수준 이상으로 트래픽이 몰리는 경우라면 인접 신호점으로 TFC 메시지를 띄워 트래픽의 발생을 제한하도록 하는 제3단계와, 상기 제2단계에서 SMHP의 부하가 일정 수준 이하인 경우이거나 또는 상기 제3단계의 동작에 따라 해당 신호점의 SMHP에서의 트래픽 폭주가 해제되는 경우라면 인접 신호점으로 TFA 메시지를 띄워 자신의 신호점으로 트래픽의 발생을 허용하도록 하는 제4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No.7 메시지의 송수신 제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의 TFC 메시지가, SMHP의 트래픽 제어에 관련된 메시지임을 표시하는 헤더부(a)와, SMHP의 부하가 일정 수준 이상인 신호점을 나타내는 착신점(b)과, TFC 메시지를 전송하는 신호점을 나타내는 발신 신호점(c)과, TFC 메시지를 수신받는 신호점을 나타내는 착신 신호점(d)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No.7 메시지의 송수신 제어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4단계의 TFA 메시지가, SMHP의 트래픽 제어에 관련된 메시지임을 표시하는 헤더부(a)와, SMHP의 부하가 일정 수준 이하로 줄어든 신호점을 나타내는 착신점(b)과, TFA 메시지를 전송하는 신호점을 나타내는 발신 신호점(c)과, TFA 메시지를 수신받는 신호점을 나타내는 착신 신호점(d)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No.7 메시지의 송수신 제어방법.
KR1019980023661A 1998-06-23 1998-06-23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넘버7메시지의송수신제어방법 KR1002921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23661A KR100292198B1 (ko) 1998-06-23 1998-06-23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넘버7메시지의송수신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23661A KR100292198B1 (ko) 1998-06-23 1998-06-23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넘버7메시지의송수신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2755A KR20000002755A (ko) 2000-01-15
KR100292198B1 true KR100292198B1 (ko) 2001-07-12

Family

ID=195404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23661A KR100292198B1 (ko) 1998-06-23 1998-06-23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넘버7메시지의송수신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9219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5401B1 (ko) * 2001-12-29 2004-01-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넘버.세븐 신호 메시지 트래픽에 대한 폭주 제어 장치 및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23100A (ko) * 1993-12-21 1995-07-28 양승택 전전자 교환기에서 No.7 신호방식 사용자부와 메시지 전달부간 정합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23100A (ko) * 1993-12-21 1995-07-28 양승택 전전자 교환기에서 No.7 신호방식 사용자부와 메시지 전달부간 정합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2755A (ko) 2000-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PL183244B1 (pl) Sposób przetwarzania komunikatów sygnalizacyjnych w stacji przekazywania sygnałów i w systemie telekomunikacyjnym zawierającym stację przekazywania sygnałów
NZ251791A (en) Message packets between mobile switching centres inform of switching centre software package capabilities
EP1219125B1 (en) Transmission of a short message in a telecommunication system
US7460858B2 (en) System for reducing paging channel occupancy for message waiting indication in mobile switching centers
KR100270216B1 (ko) Cdma 시스템에서 무선가상 사설망 기능을 구현하는 방법
KR100475754B1 (ko) 넘버 세븐 신호망에서 엠티피 사용자부의 폭주 상태 처리방법
EP1111940B1 (en) Signalling in a telecommunication network
KR100292198B1 (ko)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넘버7메시지의송수신제어방법
US20040116136A1 (en) Method for providing price information to subscribers of a digital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CN102771107A (zh) 呼叫尝试通知
WO2000078061A1 (en) Paging in a mobile telecommunications network
KR100264058B1 (ko) 넘버7 메시지 처리장치의 신호점 관리방법
KR100814515B1 (ko) 착신전환을 통한 무료통화를 방지시키는 이동통신 시스템및 방법
KR100307408B1 (ko) 넘버 7 메시지 처리장치의 과부하 제어방법
KR100269590B1 (ko) 공통선 신호망에서 디폴트 루트 구성을 통한 신호메시지 라우팅 방법
KR100210794B1 (ko) 홈 위치 등록기 기능 중단시 자국호 착신 방법
KR100327864B1 (ko) 이동통신망의 홈위치등록기-방문자위치등록기간 링크 비활성시호처리 방법
CN1151235A (zh) 通信网络中呼叫的建立和业务调用
KR19980056918A (ko) No.7 신호 프로토콜을 이용한 제어국과 교환기 간의 인터페이스 장치
US7130407B1 (en) Method for processing call establishment requests
KR100376135B1 (ko) 종합정보통신망 사용자부의 가용성 여부 관리 제어방법
KR100353085B1 (ko) 넘버 세븐 신호망에서 신호 루팅 경로 관리 방법
KR100194597B1 (ko) 디지탈 이동통신 교환기의 본가입자위치등록기/인증센터 과부하 제어방법
KR100441487B1 (ko) 넘버 세븐 신호망에서의 신호 모니터링 방법
KR100584405B1 (ko) 에이에이엘2를 적용한 차세대 교환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31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