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90620B1 - 경보처리의우선순위결정방법 - Google Patents

경보처리의우선순위결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90620B1
KR100290620B1 KR1019980046776A KR19980046776A KR100290620B1 KR 100290620 B1 KR100290620 B1 KR 100290620B1 KR 1019980046776 A KR1019980046776 A KR 1019980046776A KR 19980046776 A KR19980046776 A KR 19980046776A KR 100290620 B1 KR100290620 B1 KR 1002906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arm
priority
relevance
alarms
proc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467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31000A (ko
Inventor
이재오
김영호
Original Assignee
이계철
한국전기통신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계철, 한국전기통신공사 filed Critical 이계철
Priority to KR10199800467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90620B1/ko
Publication of KR200000310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310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06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062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3/00Selecting arrangements
    • H04Q3/0016Arrangements providing connection between exchanges
    • H04Q3/0062Provisions for network management
    • H04Q3/0087Network testing or monitor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163Fault alar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 Maintenance And Management Of Digital Transmiss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경보 처리의 우선 순위 결정 방법에 관한 것으로, 경보 관련성 검사와 경보의 우선 순위 처리 방식을 도입한 경보 수집자 체계를 구성하여 우선 순위 기준점을 제안하므로써, 수집된 경보들을 유지하고 우선 순위를 할당하여, 실시간적으로 경보 처리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인 바, 망에서 발생할 수 있는 장애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하여, 피관리자 시스팀으로부터 제공되지 않을 수 있는 경보의 관련성 그리고 진단 및 회복 제안과 같은 선택적 정보를 관리자 시스팀이 유지하므로, 경보 처리 수행 부담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고, 또한 일반적인 사건 보고의 실시간 처리 환경의 개발로 확장할 수 있으며, 우선 순위의 결정 요소를 관리자 시스팀의 관리자가 유동적으로 변형시킬 수 있는 체계를 구성할 수 있는 잇점을 수반한다.

Description

경보 처리의 우선 순위 결정 방법
본 발명은 경보 처리의 우선 순위 결정 방법에 관한 것으로, 경보 관련성 검사와 경보의 우선 순위 처리 방식을 도입한 경보 수집자 체계를 구성하여 우선 순위 기준점을 제안하므로써, 수집된 경보들을 유지하고 우선 순위를 할당하여, 실시간적으로 경보 처리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다수의 망 관리 분야에서는 피관리 객체로부터 입력된 경보를 경보가 입력된 순으로 단순하게 처리하고 있다.
이는 경보의 지나친 보고인 범람을 고려하지 않은 것으로 망 관리를 효율적으로 수행하지 못하고 있다는 의미이다. 즉 관리자 시스팀내의 장애 처리의 실시간 환경을 제공하는데 어려움을 가지고 있었다.
그리고 경보 데이터로부터 제공되는 정보의 부족으로 인하여, 같은 피관리 객체로부터 전송된 경보를 처리하는 경우에 불필요한 실행을 반복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피관리자 시스팀으로부터 관리자 시스팀이 과다한 경보를 수령할 시, 경보의 중요도에 따라서 진단과 회복의 절차를 수행할 경보들의 순서를 조절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사항이다.
따라서 경보 수집자는 경보에 관한 우선 순위를 결정하고 스케쥴링을 시도하므로 관리 활동을 효과적으로 수행해야 하는 바, 이에 따른 장애 관리 분야에서 실시간 처리를 위한 기준점을 설정하여 효율적인 경보처리를 위한 방안이 필요로 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에 기술한 바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경보의 긴급성에 대해서는 오래 전에 발생된 사건을 먼저 처리한다는 개념에 입각하여 사건 발생 시간인 이벤트타임(eventTime)을 사용하고, 중요성에 대해서는 심도가 높은 경보를 중요한 경보로 고려하며, 유용성을 위하여 경보들 간에 관련성을 적용한 경보 처리 방법을 제공하여, 효율적인 장애 관리를 수행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관리자 시스팀에서의 경보 관련성 검사와 경보 수집자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경보 관련성 검사를 수행한 후 변환된 경보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2의 관련성 검사에 따른 변환된 경보 중 일부 리스트를 나타낸 리스트 구조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피관리자 시스팀이 다른 각 경보들을 입력할 시 우선 순위를 결정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5a, b는 우선순위를 고려하지 않은 상태와, 본 발명에 따른 우선순위를 적용한 상태에서 경보를 처리한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경보 큐 2 : 경보 관련성 검사
3 : 경보 수집자 4 : 진단과 회복 시스팀
5, 6 : 피관리자 시스팀 7 : 관리자 시스팀
본 발명은 상기에 기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중요성과, 긴급성과, 유용성을 조합하여 경보처리의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우선 순위 결정 방법에 있어서,
상기 중요성으로 입력된 전체 경보 중 심도가 가장 높은 경보를 중요한 경보로 처리하고, 상기 긴급성으로 사건발생시간 요소를 사용하고, 상기 유용성으로 각 경보 간 관련성을 사용하여 경보의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 및 특징들,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에 대한 기본적인 이론을 설명한다.
통상 실시간 프로세스에서는 수행해야할 작업이 스케쥴링 되어 즉시 수행되며, 높은 우선 순위의 실시간 프로세스의 요구가 있을 때까지 수행된다.
그리고 우선 순위 처리 방식의 유용성은 과부화 상태에서 태스크를 처리할 시 효과적이므로, 태스크를 구분하는 것은 중요하며 이를 위하여 우선 순위를 사용한다.
다음은 우선 순위를 결정하는 일반적인 성질을 기술한 것이다.
우선 순위(priority) = 긴급성(urgency) × 유용성(utility) × 중요성(importance)
상기처럼 우선 순위의 결정은 세 요소를 고려하므로 가능하며, 각각에 대하여 정해진 공식은 없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경보들의 실시간 처리를 가능하게 하는 기준 공식을 제안하는 바, 하기와 같은 경보 관련성 검사를 고려한 우선 순위 결정 방식과 관련된 구성 요소의 유기적인 관계 및 구체적인 방법에 기초하여 우선순위 결정방법을 제안한다.
먼저 경보 관련성 검사와 경보 수집자의 관계를 도 1을 통해 설명한다.
망에 대한 관리자 시스팀(7)의 평가는 기능적, 동작적 요소에 의하여 결정된다.
여기서 상기 기능적 요소는 표준화 되고 통합된 망 관리의 능력을 제공하는 것이고, 동작적 요소는 운영자의 사용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의 요구를 최대로 수용할 수 있는 기능의 확대는 중요한 사항이며, 필수적이다.
본 발명에서는 이를 제공하기 위해 관리자 시스팀(7)에서 경보를 처리하는데 있어, 관리자 시스팀(7)에서 피관리자 시스팀들로부터 입력된 경보들을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경보 큐(1)에 경보가 저장되면, 이들 경보에 대한 관련 정보를 통해 경보 관련성을 검사(2)한다.
이어 상기 경보 관련성이 부여된 경보는 경보 수집자(3)에서 긴급성과, 중요도에 따라 우선순위가 부여되고, 이 우선순위에 따라 진단과 회복 시스팀(4)에서 경보를 처리한다.
상기와 같은 처리 과정에서 경보 관련성 검사에 따른 변환을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경보 관련성 검사의 효율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경보 큐(1)에 임의의 n개 경보가 저장되었다고 가정하고 아래와 같이 표현한다.
경보(1), 경보(2), ........ 경보(n),
여기서 n은 1 ≤ n ≤ 큐_사이즈_쓰레시 홀드 값(queue_size_threshold_value) 이다.
경보 관련성은 프로토콜내의 연관성 정보(CorrelatedInfo)에서 제공되는 경보 인식자 혹은 같은 피관리 객체에서 발생된 경보로서 파악되며, 이러한 파라메터는 선택적인 것과 강제적인 것으로 존재할 수 있는 바, 본 발명에서는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정의 1) 경보에 대한 피관리객체를 (mo(alarm)),
경보 인식자를 (id(alarm)),
상기 경보와 관련된 다른 경보의 인식자를 (correlated_id(alarm)) 라 할 때, 다음과 같은 관계가 성립하면 관련성(C(alarm(i), alarm(j)))이 있다라고 가정한다.
① mo(alarm(i)) = mo(alarm(j)) (즉, 경보가 발생된 피관리객체가 동일할때)
② id(alarm(i)) = correlated_id(alarm(j)) (즉, 현재 경보와 다른 경보 간 관련 정보가 있을때)
입력된 경보의 집합을 "A = 경보(1), 경보(2),...., 경보(n)"이라고 하면, 관련성을 고려하여 생성된 경보의 집합 "B = 경보'(1), 경보'(2),...., 경보'(k)"가 되고, 여기서 k의 범위가 1 ≤ k ≤ n 이므로, 함수(f) : A → B인 관련성 검사에 따른 함수가 존재한다.
예를 들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보 큐에 1 ≤ i ≤ 7인 모든 경보(i)에서 경보(1), 경보(2), 경보(3), 경보(4)가 관련성을 가지며, 경보(5), 경보(6)이 관련성을 가지고, 경보(7)이 관련성이 없는 경우에 관련성 검사(2)를 수행하면, 경보'(1), 경보'(2), 경보'(3)로서 변환된다.
이처럼 경보 관련성 검사(2)를 수행하면 도면에서와 같이 처리될 경보의 수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관련성을 가진 상기 k개의 경보에 따른 진단과 회복 절차의 가동 수는 최대한 상기 n보다는 작거나 같다.
이어 경보 관련성 검사를 수행하여 처리될 경보와 관련된 경보는 경보 리스트에 보관된다. 경보 리스트의 유지는 입력된 경보에 인식자를 할당하여 표현하며, 해결된 문제에 대하여 관련된 경보들을 제거한다.
도 3은 상기 경보'(1)에 대한 경보 리스트 구조를 타나낸 것으로, 관련 경보들이 함께 저장되어 있다.
그러나 도면에서와 같이 관련된 경보들에서 각 경보에 대한 심도는 증가 혹은 감소될 수 있고, 이를 위하여 심도 경향을 나타내는 요소를 고려하여야 하며, 이를 본 발명에서는 강(strong) 관련성과 약(weak) 관련성으로 분류 정의한다.
정의 2) p개의 관련된 경보로 관련성 C(alarm(1),....,alarm(p))에서 1 ≤ i ≤ p인 순서화 된 각 경보의 심도를 S(i)라고 할 경우, 다음 (a), (b)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a) if S(1) ≤ S(2) ≤ .... ≤ S(p).
(b) if S(1) ≥ S(2) ≥ .... ≥ S(p).
이때 상기에서 (a)의 경우에는 강 관련성, (b)의 경우에는 약 관련성이 존재한다고 볼 수 있다.
관련성을 가진 경보들 가운데 진단과 회복의 처리를 위하여 선택될 경보는 강 관련성인 경우에는 심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설정하고, 약 관련성인 경우에는 심도가 가장 낮은 것으로 설정한다.
경보'(1)은 도 3의 네 개의 경보 가운데에서 심도 값을 비교하고, 강 관련성과 약 관련성에 따라 처리될 경보를 설정하는 바, 다음과 같이 정의할 수 있다.
정의 3) p개의 관련된 경보로 관련성 C(경보(1),...., 경보(p))에서 1 ≤ i ≤ p인 순서화 된 각 경보의 심도를 S(i), 그리고 그 중 대표 경보를 경보'(k)라고 하는 경우에, 진단과 회복 처리를 위한 상기 경보'(k)는 아래와 같다.
경보' (k) =
n개의 경보 가운데 관련된 경보의 수가 많은 경우에는 피관리 객체에 대한 감시의 수행 빈도가 높은 것으로, 관리자는 중요한 피관리 객체로 취급한다. 이는 관리자가 피관리 객체의 감시 주기를 조정하는 관리 활동을 수행하여 피관리 객체의 중요성을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도 2에서 알람'(1)의 관련된 경보의 수는 4이고 발생율이 가장 높다. 관련된 경보의 수에 관한 정의는 다음과 같다.
정의 4) 관련성 C(경보(1),....., 경보(p))인 경보'(k)의 관련된 경보 수 p는 아래와 같다.
p = | 경보'(k) |
n개의 경보 가운데 경보'(k)가 갖는 관련된 경보의 비율 그리고 강 관련성과 약 관련성에 따른 가중치 W를 적용하여 C(k)로 나타내면 아래 식과 같으며, 우선 순위를 결정하는 요소로서 사용된다.
C(k)의 값은 강 관련성이 존재하고 관련된 경보에 대한 비율이 높은 것을 관련성이 큰 것으로 고려한 것이다.
식)
우선 순위 처리 방식에서 얻을 수 있는 장점으로는 경보를 분류하고 처리하여 진단과 회복 과정이 시급한 피관리 객체의 진단 및 회복 처리 시기를 단축하는데 기여한다. 따라서 심도와 사건 발생 시간에 따른 선택도 이외에 경보 관련성 검사에서 얻은 정보 요소인 관련성을 고려하여 우선 순위를 결정한다. 아래의 우선 순위는 유용성을 일정하게 두고, 관련성을 부가한 경우이다.
우선 순위 = 긴급성 × 중요성 × 관련성 (× : 카티션 프로덕트)
장애 관리의 구성에 따라 긴급성인 사건 발생 시간과 중요성인 심도 그리고 부가적으로 관련성을 우선 순위를 결정하는 기준으로 설정한다.
관련성의 의미는 한 순간에 같은 피관리 객체 혹은 관련된 경보로서 경보가 연속적으로 통지되어 관리자 시스팀에게 제공된 것으로서, 관리 활동에 따른 진단과 회복의 처리에 관한 경보의 처리 순서 조절에 기여한다. 따라서 관련된 경보'(k)의 우선 순위는 아래와 같은 요소를 고려하므로 결정된다.
우선순위(priority)(경보'(k)) = 이벤트_타임(event_time)(경보'(k)) × 심도(severity)(경보'(k)) × 관련성(C)(경보'(k)) (× : 카티션 프로덕트)
상기와 같이 설명한 우선순위 결정 방법 중 관련성 검사에 관한 처리 과정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경보가 수신되면, 이 경보를 저장하는 경보 큐의 사이즈를 검색하여 현재 경보 큐에 입력된 경보를 저장할 메모리가 남아있는지 검사한 후, 저장장소가 있으면 경보를 저장한다.
이어 상기 저장된 경보에 대한 관련성을 체크하고, 약 관련성과 강 관련성을 부여한다.
그런다음 관련성이 부여된 각 경보 중 비중값을 구해 가장 비중이 큰 경보를 대표 경보로 선택하고, 다른 경보들과의 우선순위값(이벤트_타임×심도×관련성)을 계산하여 우선순위를 결정한다.
마지막으로 현재 구한 경보의 우선순위 값과 기존 경보 리스트에 저장되어 있는 경보의 우선순위 값을 비교하여, 리스트의 순위를 변경한다.
본 발명에서는 이상과 같은 과정을 거쳐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바, 우선 순위 요소의 값을 결정하는 방식은 일정하지 않으며, 시스팀의 설계 시 비중을 달리하여 여러 종류의 함수를 설정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서 제시한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방법에 따라 경보를 처리하는 일 예를 들어본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피관리자 시스팀(5, 6)으로부터 경보가 발생하는 경우에, 심도가 다르고, 우선 순위도 다르지만, 실제로 두 피관리 객체에서 발생한 경보가 임의 제한 시간 내에 처리되어야 하는 조건이 있는 경우에 대하여 살펴보자.
심도의 차이에 따른 처리 완료 요구 시간의 차를 Τ (s)로, 사건 발생 시간의 차이에 따른 처리 완료 요구 시간의 차를 Τ (e)로 그리고 관련도에 따른 처리 완료 요구 시간 차를 Τ (c)로 설정하는 경우에 심도와 사건 발생 시간 그리고 경보 관련성의 특성에 따라 경보'(i)와 경보'(j)의 처리 완료 시간에 차이가 발생된다.
관리자 시스팀(7)은 경보들의 우선 순위 기준점을 선정하기 위하여 두 경보의 처리 완료 요구시간의 차로서 아래의 가정을 정의하며, 임의의 경보 처리를 위한 처리 완료 요구 시간을 t로 설정하였다.
또한 각 피관리자 시스팀(5, 6)에서 심도에 따른 처리 완료 요구 시간의 차에 대한 상대 값 정보는 관리자 시스팀(7)이 유지할 수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사건 발생 시간은 프로토콜로부터 그리고 경보 관련성은 관련성 검사의 수행으로부터 제공된 것으로 가정한다.
가정 1) 두 경보의 심도 차이에 따른 처리 완료 요구 시간의 차를 Τ (s)로 설정하고, 이 값이 존재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심도(경보'(i)) 심도(경보'(j))
└---------------┘
Τ (s)
처리 완료 요구 시간: t(경보'(i)), t + Τ (s)(경보'(j))
두 경보의 심도 차이에 따라 각 경보의 처리 완료 요구 시간의 상대 값이 존재하며, 경보'(j)의 처리 완료 요구 시간이 Τ (s) 만큼 긴 것으로 가정한 상태에서, 우선 순위를 고려한 ①과, 우선 순위를 고려하지 않은 ②를 계산해 보면 두 경보의 전체 처리 완료 요구 시간에 다음과 같은 차이가 있다.
① 경보'(i), 경보'(j)의 순 : t + (t + (t + Τ (s)) = 3t + Τ (s)
② 경보'(j), 경보'(i)의 순 : (t + Τ (s)) + ((t + Τ (s)) + t) = 3t + 2 Τ (s)
상기에서 첫번째 경보를 처리한 다음 두 번째 경보를 처리할 경우에는 첫 번째 경보를 처리하는데 소요되는 처리 완료 요구시간 만큼 기다린 다음 두 번째 경보를 처리해야 한다.
따라서 우선순위를 부여하지 않고 경보를 처리한 ②번 방법은 첫 번째 경보 처리에 소요되는 시간이 더욱 길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Τ (s)의 시간이 더 지연된다.
즉, 이를 반대로 말하면 ①의 방식으로 경보를 처리하면 상대적으로 Τ (s) 만큼의 감소된 중앙처리장치의 처리 완료 요구 시간이 주어져도 두 경보를 스케쥴링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가정 2) 상기 가정 1)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우선 순위 방법을 이용하면, 상대적으로 경보의 사건 발생 시간에 따라서 처리 완료 요구 시간 차인 Τ (e)가 존재한다.
가정 3) 관련된 경보의 보고 간격이 짧다는 것은 피관리 객체의 처리에 관한 중요도가 높고, 관련된 경보 수의 증가는 시급성을 제공한다. 관련된 경보가 존재하는 경우에 약 관련성은 상대적으로 심도의 변화에 따라서 처리 완료 요구 시간을 증가시키고, 강 관련성은 처리의 완료 요구 시간을 감소시킨다. 이는 가정1)의 경우가 마찬가지로 우선 순위 방법을 이용하면, 상대적으로 경보의 관련성에 따라서 처리 완료 요구 시간 차인 Τ (c)가 존재한다.
가정 4) 위의 가정 1) ∼ 가정 3)에 따라서 심도, 사건 발생 시간, 관련성을 고려할 시 경보들의 처리 완료 요구 시간에 대한 상대 값의 합이 존재하며, 이를 Τ (d)로 정의하면,
Τ (d) = Τ (s) × Τ (e) × Τ (c)
위와 같은 방법에 따라서 우선 순위 요구 사항인 심도, 사건 발생 시간, 관련성을 기준으로 각 경보의 처리 완료 요구 시간의 상대 값이 결정되는 경우에 처리 완료 요구 시간을 우선 순위로 하여 스케쥴링하면 더 많은 경보를 처리할 수 있다.
한편, 각 경보의 Τ (d)를 사용하여 우선 순위를 결정할 때, 각각의 Τ (s), Τ (e), Τ (c)의 값이 "0"인 경우가 존재할 수 있다.
즉, 경보들의 심도 (s)가 모두 "0"인 경우에는, 그 다음으로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사항으로 사건 발생 시간에 따른 Τ (e)나 관련성에 따른 Τ (c)에 의하여 결정한다.
다음 예는 위의 가정 조건에 따라 선입선출기(FIFO)와 우선 순위를 사용할 때, 경보들의 스케쥴링에 관한 사항이다.
예) 관리자가 관련성 검사를 수행한 세개의 경보에 대하여 중앙처리장치 사용 시간인 중앙처리장치(경보'(i))를 10으로 하고, Τ (d)에 따른 각 경보의 처리 완료 요구 시간을 D(경보'(i))로 결정하는 경우에 선입선출기와 우선 순위에 따른 스케쥴링의 효율성을 도 5를 통해 살펴본다.
이때 도 5(a)는 선입선출기에서 우선순위에 관계없이 실행된 결과를 나타내고, 도 5(b)는 우선순위에 따라서 실행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경보'(1) : 중앙처리장치(경보'(1)) = 10, D(경보'(1)) = 30
경보'(2) : 중앙처리장치(경보'(2)) = 10, D(경보'(2)) = 20
경보'(3) : 중앙처리장치(경보'(3)) = 10, D(경보'(3)) = 10
도면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경보의 처리 완료 요구 시간이 설정된 경우에 도 5(b)의 방식은 모든 경보들을 스케쥴링할 수 있다.
또한 도 5(b)에서 경보'(1)의 D(경보'(1))이 30 보다 적어 중앙처리장치가 수행하는 중간에 처리를 중단할 시, 응용의 요구인 하드 실시간성 또는 소프트 실시간성의 특성에 따라서 성공 혹은 실패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경보의 처리 완료 요구 시간으로서 우선 순위의 기준점을 설정하였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망에서 발생할 수 있는 장애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하여, 피관리자 시스팀으로부터 제공되지 않을 수 있는 경보의 관련성 그리고 진단 및 회복 제안과 같은 선택적 정보를 관리자 시스팀이 유지하므로, 경보 처리 수행 부담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일반적인 사건 보고의 실시간 처리 환경의 개발로 확장할 수 있으며, 우선 순위의 결정 요소를 관리자 시스팀의 관리자가 유동적으로 변형시킬 수 있는 체계를 구성할 수 있는 잇점을 수반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며,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등이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등은 이하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Claims (4)

  1. 중요성과, 긴급성과, 유용성을 조합하여 경보처리의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우선 순위 결정 방법에 있어서,
    상기 중요성으로 입력된 전체 경보 중 심도가 가장 높은 경보를 중요한 경보로 처리하고, 상기 긴급성으로 사건발생시간 요소를 사용하고, 상기 유용성으로 각 경보 간 관련성을 사용하여 경보의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보 처리의 우선 순위 결정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각 경보에 대한 심도가 '0'로 동일한 경우에는 각각의 사건발생시간 요소의 빠름과, 관련성으로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보 처리의 우선 순위 결정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관련성 C(k) 은 하기와 같은 식을 통해 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보 처리의 우선 순위 결정 방법.
    식)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우선순위 결정 요소를 이용하여 경보의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과정은, 경보가 수신되면, 이 경보를 저장하는 경보 큐의 사이즈를 검색하여 현재 경보 큐에 입력된 경보를 저장할 메모리가 남아있는지 검사한 후, 저장장소가 있으면 경보를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저장된 경보에 대한 관련성을 체크하고, 약 관련성과 강 관련성을 부여하는 단계와;
    상기 관련성이 부여된 각 경보 중 비중값을 구해 가장 비중이 큰 경보를 대표 경보로 선택하고, 다른 경보들과의 우선순위값(이벤트_타임×심도×관련성)을 계산하여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현재 계산한 경보의 우선순위 값과 기존 경보 리스트에 저장되어 있는 경보의 우선순위 값을 비교하여, 리스트의 순위를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보 처리의 우선 순위 결정 방법.
KR1019980046776A 1998-11-02 1998-11-02 경보처리의우선순위결정방법 KR1002906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6776A KR100290620B1 (ko) 1998-11-02 1998-11-02 경보처리의우선순위결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6776A KR100290620B1 (ko) 1998-11-02 1998-11-02 경보처리의우선순위결정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1000A KR20000031000A (ko) 2000-06-05
KR100290620B1 true KR100290620B1 (ko) 2001-07-12

Family

ID=195568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46776A KR100290620B1 (ko) 1998-11-02 1998-11-02 경보처리의우선순위결정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9062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1496B1 (ko) * 2001-12-26 2007-11-30 주식회사 케이티 통신망 경보에 대한 법칙기반 상관관계 분석시스템에서법칙의 우선순위 선별 및 적용 방법
CN102693598B (zh) * 2011-03-22 2014-03-12 感知技术无锡有限公司 一种入侵报警优先级获取方法及系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42212A (ja) * 1995-03-06 1996-09-17 Fujitsu Ltd 障害ランク・カスタマイズ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42212A (ja) * 1995-03-06 1996-09-17 Fujitsu Ltd 障害ランク・カスタマイズ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1000A (ko) 2000-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03612B1 (ko) 멀티프로토콜 기반의 이기종 리더 지원을 위한 전파식별리더 인터페이스 및 이벤트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EP3932025B1 (en) Computing resource scheduling method, scheduler, internet of things system,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JP3537356B2 (ja) ジョブシステムにおける遅延要因解析方法
EP0687089B1 (en) Event-processing system and method of constructing such a system
Collinot et al. SONIA: a knowledge-based scheduling system
EP0990349A1 (en) A telecommunications performance management system
Levi et al. Scheduling with testing
Green et al. Testing the validity of a queueing model of police patrol
JPH05303494A (ja) リアルタイム制約に適合し得るエキスパートシステム
Li et al. Data-driven analysis of downtime impacts in parallel production systems
EP3295567B1 (en) Pattern-based data collection for a distributed stream data processing system
KR100290620B1 (ko) 경보처리의우선순위결정방법
CN106600446B (zh) 基于动态优先级的生产现场事件实时处理系统及方法
CN111078503B (zh) 一种异常监控方法及系统
CN116974805A (zh) 根因确定方法、设备和存储介质
Hawkins et al. Inverse Gaussian cumulative sum control charts for location and shape
Shnits et al. Controlling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based on a dynamic selection of the appropriate operational criteria and scheduling policy
Golmakani et al. A two-phase algorithm for multiple-route job shop scheduling problem subject to makespan
Li et al. Jointly optimal design of perfect maintenance policy and CUSUM control chart
Sharp et al. Selecting Optimal Data for Creating Informed Maintenance Decisions in a Manufacturing Environment
Cobb Limited memory influence diagrams for attribute statistical process control with variable sample sizes
Ramesh et al. Multicriteria jobshop scheduling
Dagnino Data mining methods to analyze alarm logs in IoT process control systems
CN117544426B (zh) 一种核安全级网关数据传输优先级处理方法、系统及设备
Waheed et al. Modelling, evaluation, and adaptive control of an instrumenta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302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