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88936B1 -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of cooker using light wave - Google Patents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of cooker using light wav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88936B1
KR100288936B1 KR1019980044798A KR19980044798A KR100288936B1 KR 100288936 B1 KR100288936 B1 KR 100288936B1 KR 1019980044798 A KR1019980044798 A KR 1019980044798A KR 19980044798 A KR19980044798 A KR 19980044798A KR 100288936 B1 KR100288936 B1 KR 1002889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locking
lever
opening
coo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4479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00027001A (en
Inventor
이관호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800447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88936B1/en
Publication of KR200000270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700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89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8936B1/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14Aspects relating to the door of the microwave heating apparatu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35Aspects relating to the user interface of the microwave heating apparatu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Electric Ove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파를 사용하는 조리기의 도어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도어핸들(21)을 잡아당기게 되면 핸들레버(30)가 동작되면서 광파의 발생을 위해 인가되던 전원이 차단되고, 상부래치(50)를 동작시키는 버튼레버(45)의 잠김상태가 해제되어 버튼스위치(40)를 눌러주면 상,하부래치(50,50')의 체결상태가 해제되어 도어(20)가 개방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고출력의 광파를 사용하는 조리기에서 도어의 급작스런 개방에 의한 잔류광파에 의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of a cooker using light wav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door handle 21 is pulled, the handle lever 30 is operated and the power applied for generation of light waves is cut off, and the locked state of the button lever 45 for operating the upper latch 50 is released. When the button switch 40 is pressed, the fastening state of the upper and lower latches 50 and 50 'is released so that the door 20 can be opened. According to such a configuration, in a cooker using a high power light wave, an accident due to residual light waves due to sudden opening of the door may be prevented in advance.

Description

광파를 사용하는 조리기의 도어개폐장치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of cooker using light wave

본 발명은 광파를 사용하는 조리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할로겐램프와 같은 고출력의 광파를 사용하여 조리를 수행하는 조리기의 조리실을 외부와 차폐하는 도어의 개폐를 위한 도어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oker using light waves, and more particularly, to a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opening and closing the door to shield the cooking chamber of the cooker to perform cooking using a high power light wave, such as a halogen lamp.

조리물을 조리하기 위한 가열장치로서 현재까지 여러 종류의 장치가 제안되었다. 가장 원시적인 가열기구로써는, 열원과 직접 접촉하는 소정 형상의 용기를 들 수 있으며, 이러한 용기내에 조리하고자 하는 조리물을 넣고, 열을 가함으로써 원하는 조리를 수행하였다.Various kinds of apparatuses have been proposed to date as heating apparatus for cooking food. The most primitive heating mechanism is a container of a predetermined shape in direct contact with a heat source, and the desired cooking is performed by putting a food to be cooked in such a container and applying heat.

그리고, 전기에너지를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이용하는 많은 종류의 조리장치가 개발되었으며, 일례로서 마이크로웨이브를 가열원으로 이용하는 전자레인지가 있다. 전자레인지는 전기를 이용하여 마이크로웨이브를 생성시키고, 이러한 마이크로웨이브가 조리 대상물에 침투하여, 조리물 내부에서 분자운동을 일으키고, 이와 같은 분자운동에 의해 열이 발생되어 가열되는 방식의 조리장치이다. 이러한 전자레인지는 간단하게 가열을 수행할 수 있다는 장점, 예를 들어 언 상태의 식품을 녹이는 해동과정이나, 우유와 같은 식품을 소정 온도까지 가열하는 장치로써는 간단한 구성 및 사용상의 편리함으로 인하여 널리 보급되어 사용되고 있다.In addition, many kinds of cooking apparatuses have been developed that use electric energy directly or indirectly. As an example, there is a microwave oven using microwaves as a heating source. The microwave oven generates microwaves using electricity, and the microwaves penetrate the object to be cooked, cause molecular motion inside the food, and heat is generated and heated by the molecular motion. Such a microwave oven is widely spread due to its simple configuration and ease of use, such as a thawing process for melting frozen food, or a device for heating food such as milk to a predetermined temperature. It is used.

한편, 상술한 전자레인지와는 달리, 다른 하나의 가열장치로써, 광파만을 단일의 가열원으로 사용하는 가열장치가 제안되었다. 즉, 미합중국 특허 5,036,179호에 개시된 바에 의하면, 가시광선과 적외선을 방출하는 램프를 이용하여 원하는 특정 요리를 수행할 수 있는 조리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즉, 방사에너지의 적어도 90%가 1μm이하의 파장을 가지는 램프를 가열원으로 사용하되, 이러한 램프에서 방사되는 가시광선과 적외선을 적절하게 이용하는 것에 의하여, 특정요리를 대량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On the other hand, unlike the above-mentioned microwave oven, as another heating apparatus, a heating apparatus using only light waves as a single heating source has been proposed. That is, as disclosed in US Pat. No. 5,036,179, a cooking apparatus capable of performing a specific cooking desired using a lamp emitting visible light and infrared light is disclosed. That is, a lamp having a wavelength of at least 90% of the radiant energy of 1 μm or less is used as a heating source, and by appropriately using visible light and infrared rays emitted from such a lamp, a specific cooking can be performed in large quantities.

구체적으로 보면, 적외선과 가시광선의 파장의 차이는, 대상물에 가해지는 상이한 파장에 의한 가열방식의 차이점으로 나타나게 되고, 이러한 차이점에 의하여 대상물의 외부와 내부는 다른 형태로 가열된다. 이러한 광파 가열장치에 의하면, 피자의 경우를 예로 들면, 외부는 바삭바삭한 가열정도를 가지면서도, 내부는 충분하게 가열되고 소정의 습기를 함유한 상태로 부드럽게 가열되어 있는 조리상태를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Specifically, the difference between the wavelengths of the infrared light and the visible light is represented by the difference in the heating method by the different wavelengths applied to the object, and by the difference, the outside and the inside of the object are heated in different forms. According to such a light-wave heating apparatus,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pizza, it is possible to obtain a cooking state in which the outside has a crunchy heating degree and the inside is sufficiently heated and softly heated with a predetermined moisture. .

상술한 바와 같이 광파, 구체적으로는 가시광선과 적외선을 동시에 방사하는 램프를 조리대상물을 가열하기 위한 가열원으로써 이용하기 위해서는, 적외선과 같이 가시광선을 충분히 강하게 제공할 수 있는 램프이어야만 하고, 이러한 램프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램프에서 발생하는 광량은 상당하기 때문에, 전류를 차단한 후에도 약 2초간은 빛이 잔류하게 되는 특성이 있다.As described above, in order to use a lamp that simultaneously emits light waves, specifically visible light and infrared light, as a heating source for heating a cooking object, it must be a lamp capable of sufficiently providing visible light such as infrared light. In the case of use, since the amount of light generated by the lamp is considerable, there is a characteristic that light remains for about 2 seconds even after the current is cut off.

한편, 마이크로웨이브를 사용하여 조리를 수행하는 전자레인지에 있어서, 조리실 내부를 외부와 차폐하여 조리시에 사용되는 마이크로웨이브가 외부로 누설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해 도어를 사용한다. 이때, 상기 도어를 개폐하기 위한 구성이 도 1에 도시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in a microwave oven to cook using a microwave, the door is used to shield the inside of the cooking chamber from the outside to prevent leakage of microwaves used in cooking. At this time, the configuration for opening and closing the door is shown in FIG.

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도어(2)의 내부에는 상하에 성형된 래치(3a,3b)를 구비하는 래치부재(3)가 스프링(7)에 의하여 탄성적으로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래치(3a,3b)에 각각 걸리는 걸림부(5a,5b)를 구비하는 래치보드(5)가, 전자레인지의 전면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걸림부(5a,5b)의 주위에서 상기 래치(3a,3b)에 의하여 온/오프되는 도어스위치(4a,4b)가 설치되어 있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latch member 3 having the latches 3a and 3b formed above and below is elastically supported by the spring 7 inside the door 2. Then, a latch board 5 having latching portions 5a and 5b latched to the latches 3a and 3b, respectively, is provided on the front side of the microwave oven, and the latching boards 5a and 5b are disposed around the latching portions 5a and 5b. Door switches 4a and 4b which are turned on and off by the latches 3a and 3b are provided.

도 1에 도시된 상태는 도어(2)가 닫힌 상태이고,이 때 상기 래치(3a,3b)는 걸림부(5a,5b)에 걸린 상태이며, 상기 래치(3a,3b)에 의하여 상하부의 도어스위치(4a,4b)는 온상태로 되어 있다. 이렇게 도어(2)가 닫힌 상태에서, 마이크로웨이브를 발생시키기 위한 마그네트론 및 고압트랜스에는 전원이 인가될 수 있으며, 이렇나 상태에서 내부에는 마이크로웨이브의 공급에 의하여 가열이 진행된다.In the state shown in FIG. 1, the door 2 is closed, and the latches 3a and 3b are locked to the latching portions 5a and 5b, and the upper and lower doors are opened by the latches 3a and 3b. The switches 4a and 4b are in the on state. In such a state that the door 2 is closed, power may be applied to the magnetron and the high voltage transformer for generating the microwaves. In this state, the heating is performed by the supply of the microwaves.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도어핸들(1)을 잡아당기는 것에 의하여, 상기 래치(3a,3b)가 걸림부(5a,5b)에서 해제되면서, 래치(3a,3b)는 도어스위치(4a,4b)를 오프시키게 된다. 이렇게 도어스위치(4a,4b)가 오프되면 마이크로웨이브 발생을 위한 전류의 공급이 중단되고, 도어(2)가 개방된다.As the user pulls the door handle 1 in this state, the latches 3a and 3b are released from the latching portions 5a and 5b, and the latches 3a and 3b release the door switches 4a and 4b. Turned off. When the door switches 4a and 4b are turned off, the supply of current for microwave generation is stopped and the door 2 is opened.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구조에 있어서는 상기 래치(3a,3b)가 해제되면 바로 도어(2)가 열리도록 구성되어 있다. 물론 도어(2)가 열리는 순간에 전자레인지 내부에 공급되는 전류가 오프되어, 마이크로웨이브는 발생하지 않게 되어 있지만, 상술한 바와 같은 광파를 사용하는 조리기에 있어서는 상기와 같은 도어의 개폐구조는 바람직하지 않다.However, in such a conventional structure, the door 2 is opened as soon as the latches 3a and 3b are released. Of course, the current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microwave oven is turned off at the moment the door 2 is opened, so that microwaves are not generated. However, in a cooker using light waves as described above, the opening and closing structure of the door is not preferable. not.

즉, 광파를 발생시키는 램프에서 발생하는 광량은 상대적으로 매우 많으며, 전원의 공급이 중단되더라도, 비록 짧은 시간이지만(약 2초) 조리실의 내부에는 빛이 잔류하고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도어를 개방함과 동시에 도어가 열리게 되면 사용자는 시각적으로 상당히 불편함을 느끼게 된다. 즉 조리실에 남아 있는 잔여빛에 의해 사용자의 눈이 부시게 되어 불쾌감을 느낄 수 있게 되고, 심하면 눈에 손상을 초래한 우려가 있다. 또한 잔류열에 의한 눈의 손상도 배제할 수 없다.In other words, the amount of light generated by the lamp that generates light waves is relatively large, and even if the power supply is interrupted, the user opens the door because the light remains inside the cooking chamber even though it is a short time (about 2 seconds). At the same time, when the door is opened, the user may feel visually uncomfortable. That is, the user's eyes are dazed by the remaining light remaining in the cooking chamber, so that the user may feel uncomfortable, and in some cases, the eyes may be damaged. In addition, eye damage due to residual heat cannot be excluded.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도어의 개방시에 조리실 내에 잔류하던 광파가 소멸될 수 있는 시간 동안 개방이 지연되는 조리기의 도어개폐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and to provide a door opening and closing structure of a cooker in which the opening is delayed for a time when light waves remaining in the cooking chamber may disappear when the door is opened. .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도어의 개방시에 조리를 위해 광파의 발생에 제공되는 전류를 1차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안전한 도어의 개폐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afe door opening and closing structure capable of primarily blocking the current provided to the generation of light waves for cooking when the door is opened.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전자레인지의 도어개폐장치의 구성을 보인Figure 1 shows the configuration of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of the microwave oven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광파를 사용하는 조리기의 도어개폐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of the cooker using the light wa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의 요부구성을 보인 평면도.3 is a plan view showing the main portion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가 동작되는 것을 보인 동작상태도.4 is an operational state diagram showing that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perated.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본체 15,15': 걸림부10: main body 15, 15 ': locking portion

20: 도어 21: 도어핸들20: door 21: door handle

30: 핸들레버 34: 스프링30: handle lever 34: spring

35: 걸림레버 36: 가이드홈35: locking lever 36: guide groove

37,37': 걸림턱 38: 가이드핀37,37 ': Jaw 38: Guide pin

40: 버튼스위치 41: 스프링40: button switch 41: spring

45: 버튼레버 46: 가이드슬롯45: button lever 46: guide slot

47,47': 걸림홈 50,50': 상,하부래치47,47 ': Hanging groove 50,50': Upper, lower latch

52: 걸림턱 53: 제1연동부52: engaging jaw 53: first interlocking portion

53': 제2연동부 55: 연동레버53 ': second interlocking part 55: interlocking lever

57: 복귀부재57: return member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본체에 구비된 조리실을 개폐하는 도어와, 상기 도어를 본체에 체결/해제하기 위한 래치부재와, 상기 래치부재의 본체에의 체결/해제와 광파발생을 위한 전원공급을 제어하는 개방수단과, 상기 개방수단을 체결하여 도어의 개방시 개방수단이 먼저 동작되지 않도록 하는 잠금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According to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oo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cooking chamber provided in the main body, a latch member for fastening / releasing the door to the main body, and the main body of the latch member Opening means for controlling the power supply for fastening / releasing and the generation of light waves, and locking means for locking the opening means so that the opening means is not operated first when the door is opened.

상기 래치부재는 상기 도어의 상하부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본체에 구비된 걸림부재에 걸려져 상기 도어가 본체에 체결되게 함과 동시에 도어개폐감지 및 전원공급제어를 수행한다.The latch members are provided at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door, respectively, and are latched by a locking member provided in the main body so that the door is fastened to the main body and performs door opening and closing detection and power supply control.

상기 래치부재는 연동레버에 의해 서로 연동된다.The latch members are interlocked with each other by an interlocking lever.

상기 래치부재는 힌지축을 중심으로 소정각도 회전가능하게 상기 도어에 설치되고, 상기 걸림부재에의 체결을 위한 걸림턱이 일단부에 구비되며, 타단부에는 상기 개방수단 및 잠금수단과의 연동을 위한 연동부가 각각 구비된다.The latch member is installed on the door rotatably at a predetermined angle about the hinge axis, the locking jaw for fastening to the locking member is provided at one end, and the other end is for interlocking with the opening means and the locking means. Interlocks are provided respectively.

상기 개방수단은 상기 도어의 외면으로 노출되게 설치된 버튼스위치와, 상기 버튼스위치와 함께 직선운동하면서 상기 래치부재의 연동부와 연동되는 버튼레버로 구성되어, 상기 버튼스위치의 동작에 의해 상기 래치부재를 회전시켜 걸림부재로부터 해제되도록 동작된다.The opening means is composed of a button switch installed to be expos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door, and a button lever which is interlocked with the interlocking portion of the latch member while linearly moving with the button switch, the latch member by the operation of the button switch It is rotated to be released from the locking member.

상기 잠금수단은 도어의 도어핸들에 설치되는 핸들레버와, 상기 핸들레버의 동작에 연동되고 상기 개방수단의 동작을 규제하는 걸림레버로 구성된다.The locking means includes a handle lever installed on the door handle of the door, and a locking lever interlocked with the operation of the handle lever and regulating the operation of the opening means.

상기 걸림레버에는 상기 버튼레버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가 구비되고, 상기 버튼레버의 걸림홈에 걸려지는 걸림턱이 형성되어, 상기 걸림레버가 소정각도 회전하여야만 상기 걸림턱이 걸림홈으로부터 해제되도록 구성된다.The locking lever is provided with a guide part for guiding the movement of the button lever, and the locking jaw is formed to be caught in the locking groove of the button lever, so that the locking jaw is released from the locking groove only when the locking lever is rotated by a predetermined angle. do.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광파를 사용하는 조리기에서 도어의 개방시에 잔류광파가 소멸될 때까지 도어의 개방이 지연되도록 구성되어 광파에 의한 사용자의 불편함과 안전사고가 미연에 방지되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the opening of the door is delayed until the remaining light is extinguished when the door is opened in the cooker using light waves, which prevents inconvenience and safety accidents of the user due to the light waves. There is an advantage.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광파를 사용한 조리기의 도어개폐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of the cooker using the light wa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2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본체(10)의 전면 일측에는 걸림레버(15,15')가 설치되어 있다. 물론 상기 본체(10)의 내부에는 조리실(도시되지 않음)이 구비된다.2 show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is, the engaging levers 15 and 15 'are provided at one side of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10. Of course, a cooking chamber (not shown) is provided inside the main body 10.

그리고, 상기 본체(10)의 조리실을 개폐하는 도어(20)가 구비된다. 상기 도어(20)는 일측의 힌지축(도시되지 않음)을 중심으로 소정 각도 회전되면서 상기 조리실을 조리중에 외부와 차폐하고 조리가 완료된 후에는 개방하게 된다. 도면 부호 21은 도어(20)의 작동시에 사용자가 잡는 도어핸들이다.Then, the door 20 for opening and closing the cooking chamber of the main body 10 is provided. The door 20 is rotated by a predetermined angle around a hinge axis (not shown) on one side to shield the cooking chamber from the outside during cooking and open after cooking is completed. Reference numeral 21 denotes a door handle that is held by the user when the door 20 is operated.

이와 같은 도어(20)에는 도어(20)가 임의로 열리지 않도록 하는 구성이 구비되어 있다. 즉, 상기 본체(10)의 걸림레버(15,15')에 걸려지는 상,하부래치(50,50')가 상기 걸림레버(15,15')와 대응되는 도어(20) 상의 위치에 설치된다.Such a door 20 is provided with a structure such that the door 20 is not opened arbitrarily. That is, the upper and lower latches 50 and 50 'which are engaged by the locking levers 15 and 15' of the main body 10 are installed at positions on the door 20 corresponding to the locking levers 15 and 15 '. do.

여기서, 상기 상,하부래치(50,50')의 동작을 위한 구성을 살펴본다. 먼저, 상기 도어핸들(21)에는 사용자가 도어핸들(21)을 잡아당김에 의해 동작되는 핸들레버(3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핸들레버(30)는 상기 도어핸들(21)의 내측에 위치되고, 상단부(31)는 아래에서 설명될 걸림레버(35)와 연동핀(31P)으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핸들레버(30)의 하단부(32)는 스프링(34)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이때, 상기 스프링(34)은 상기 핸들레버(30)를 도어(20) 쪽으로 당겨주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핸들레버(30)의 이동궤적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하단부(32)에는 가이드슬롯(3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슬롯(33)에는 상기 도어핸들(21)에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돌기(22)가 위치되어 상기 도어핸들(21)의 이동을 안내하게 된다.Here, the configuration for the operation of the upper and lower latches 50 and 50 'will be described. First, the door handle 21 is provided with a handle lever 30 which is operated by the user by pulling the door handle 21. The handle lever 30 is located inside the door handle 21, and the upper end portion 31 is connected to the locking lever 35 and the interlocking pin 31P to be described below. The lower end 32 of the handle lever 30 is supported by a spring 34. At this time, the spring 34 pulls the handle lever 30 toward the door 20. In addition, a guide slot 33 is formed at the lower end 32 to control the movement trajectory of the handle lever 30. The guide slots 22 formed on the door handle 21 are positioned in the guide slot 33 to guide the movement of the door handle 21.

상기 핸들레버(30)의 상단부(31)에 연결되어 있는 걸림레버(35)는 상기 핸들레버(30)의 동작에 의해 상기 연동핀(31P)을 중심으로 소정각도 회전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걸림레버(35)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버튼레버(45)가 가이드되는 가이드홈(36)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홈(36)은 상기 걸림레버(35)의 길이방향에 대해 소정 각도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으로, 그 상하측 좌우 단부에는 걸림턱(37,37')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홈(36)의 내부에는 상기 버튼레버(45)의 이동궤적을 제어하기 위한 가이드핀(38)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걸림레버(35)는 상기 상부래치(50)의 제1연동부(53)와도 연동되어 상,하부래치(50,50')가 소정각도 회전되어 광파의 발생을 위해 인가되던 전원이 차단되도록 한다.The locking lever 35 connected to the upper end 31 of the handle lever 30 is rotated by a predetermined angle about the interlocking pin 31P by the operation of the handle lever 30. The locking lever 35 is provided with a guide groove 36 to guide the button lever 45 to be described below. The guide grooves 36 are formed to b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ocking lever 35, and locking jaws 37 and 37 'are formed at upper and lower left and right ends thereof, respectively. In addition, a guide pin 38 is formed in the guide groove 36 to control a movement trajectory of the button lever 45. The locking lever 35 is also interlocked with the first interlocking portion 53 of the upper latch 50 so that the upper and lower latches 50 and 50 'are rotated by a predetermined angle to cut off the power applied for the generation of light waves. Be sure to

상기 도어핸들(21)의 상측에는 버튼스위치(4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버튼스위치(40)는 사용자가 상기 도어핸들(21)을 오른손으로 잡았을 때, 엄지손가락에 의해 동작가능한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버튼스위치(40)는 스프링(41)에 의해 지지되어 도어(2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경향을 가진다.The button switch 40 is formed above the door handle 21. The button switch 40 is preferably installed in a position operable by the thumb when the user holds the door handle 21 with his right hand. The button switch 40 is supported by the spring 41 has a tendency to protrude to the outside of the door 20.

상기 버튼스위치(40)의 후단에는 버튼레버(45)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버튼레버(45)에는 상기 걸림레버(35)와의 연동을 위한 구성이 구비되어 있다. 즉, 상기 버튼레버(45)에는 상기 가이드핀(38)이 위치되는 가이드슬롯(46)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스롯(46)은 상기 가이드핀(38)과 연동되면서, 상기 버튼레버(45)의 이동궤적과 행정을 규제하게 된다.A button lever 45 is formed at the rear end of the button switch 40. The button lever 45 is provided with a configuration for interlocking with the locking lever 35. That is, the button lever 45 is formed with a guide slot 46 in which the guide pin 38 is located. The guide slot 46 is interlocked with the guide pin 38 to regulate the movement trajectory and the stroke of the button lever 45.

그리고, 상기 걸림레버(35)의 걸림턱(37,37')이 걸려지는 걸림홈(47,47')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걸림홈(47,47')과 걸림턱(37,37')은 상기 도어(20)가 닫혀져 있는 상태에서는 서로 체결되어 상기 버튼스위치(40)가 동작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은 버튼레버(45)의 일측 단부에는 상기 상부래치(50)의 제2연동부(53')와 연동되는 연동경사부(48)가 구비되어 있다.In addition, the locking grooves 47 and 47 'are formed to engage the locking jaws 37 and 37' of the locking lever 35. The locking grooves 47 and 47 'and the locking step 37 and 37' are engaged with each other when the door 20 is closed, thereby preventing the button switch 40 from operating. One end of the button lever 45 as described above is provided with an interlocking inclined portion 48 interlocked with the second interlocking portion 53 ′ of the upper latch 50.

한편, 상기 도어(20)에는 상기 상,하부래치(50,50')가 설치되어 있는데, 상기 상부래치(50)와 하부래치(50')의 구성을 서로 동일하므로 상부래치(50)를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상부래치(50)는 힌지핀(51)을 중심으로 소정 각도 회전가능하게 도어(20)에 설치되고, 그 선단부에는 상기 걸림부재(15)에 걸려지는 걸림턱(52)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후단부에는 상기 걸림레버(35)와 연동되는 제1연동부(53)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연동부(53)와 대략 수직되는 방향으로 상기 버튼레버(45)와 연동되는 제2연동부(53')가 형성되어 있다.Meanwhile, the upper and lower latches 50 and 50 'are installed in the door 20. Since the upper latch 50 and the lower latch 50' have the same configuration, the upper latch 50 is referred to. This will be described. The upper latch 50 is installed on the door 20 so as to be rotated by a predetermined angle about the hinge pin 51, and a locking jaw 52 that is caught by the locking member 15 is formed at a tip end thereof. In addition, a first interlocking portion 53 interlocked with the locking lever 35 is formed at a rear end portion, and the first interlocking portion 53 interlocks with the button lever 45 in a direction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first interlocking portion 53. Two interlocking portions 53 'are formed.

그리고, 상기 상,하부래치(50,50')는 연동레버(55)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어, 상기 상부래치(50)가 동작되면 상기 하부래치(50')도 함께 동작된다. 상기 연동레버(55)는 복귀부재(57)에 의해 지지되어 있어 항상 상기 걸림턱(52)이 상기 걸림부재(15)에 걸려지는 방향으로 상기 상,하부래치(50,50')가 회전되려는 경향을 가진다.The upper and lower latches 50 and 5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n interlocking lever 55. When the upper latch 50 is operated, the lower latch 50' is also operated together. The interlocking lever 55 is supported by the return member 57 so that the upper and lower latches 50 and 50 'are rotat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locking jaw 52 is caught by the locking member 15 at all times. Have a tendency.

도면 부호 17,18,19는 상기 상,하부래치(50,50')와 연동되어 온오프되는 감지센서이다.Reference numerals 17, 18, and 19 are sensing sensors which are turned on and off in conjunction with the upper and lower latches 50 and 50 '.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바람직한 실시예 외에도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핸들레버(30)의 동작에 의해 솔레노이드나 모터가 동작되어 먼저 전원을 차단하고, 일정 시간 경과후에 도어가 개방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Meanwhile, in addition to the preferred embodiment as described above, as another embodiment, the solenoid or the motor may be operated by the operation of the handle lever 30 to cut off power first, and may be configured to open the door after a predetermined time. .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도어개폐장치가 동작되는 것을 도 3 및 도 4를 참고로 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4.

먼저, 도 3의 상태는 도어(20)가 닫혀져 있는 상태이다. 이때에는 상기 핸들레버(30)가 스프링(34)에 의해 당겨져 상기 핸들레버(30)의 상단부(31)와 연결되어 있는 걸림레버(35)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으로 위치되어 있게 된다.First, the state of FIG. 3 is a state in which the door 20 is closed. At this time, the handle lever 30 is pulled by the spring 34 so that the locking lever 35 connected to the upper end 31 of the handle lever 30 is positioned vertically, as shown in FIG. do.

따라서, 상기 버튼레버(45)의 걸림홈(47,47')에 상기 걸림레버(35)의 걸림턱(37,37')이 체결되어 상기 버튼레버(45)는 구속되어 이동하지 못하는 상태가 된다. 그러므로,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상기 버튼스위치(40)를 누르더라도 상기 버튼레버(45)가 이동되지 않게 된다.Accordingly, the locking jaws 37 and 37 'of the locking lever 35 are engaged with the locking grooves 47 and 47' of the button lever 45 so that the button lever 45 is restrained and cannot move. do. Therefore, in this state, the button lever 45 is not moved even when the button switch 40 is pressed.

이와 같은 상태에서 도어(20)를 개방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상기 도어핸들(21)을 잡은 상태로 당겨 주게 되는데, 도어핸들(21)을 당겨줌과 동시에 상기 핸들레버(30)도 당겨지게 된다. 즉, 상기 스프링(34)의 탄성력을 극복하면서 상기 핸들레버(30)가 당겨지게 되면, 상기 핸들레버(30)의 상단부(31)와 연결되어 있는 걸림레버(35)가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걸림레버(35)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하여, 상기 걸림레버(35)의 걸림턱(37,37')이 상기 버튼레버(45)의 걸림홈(47,47')으로부터 빠져나오게 된다.In such a state, in order to open the door 20, the user pulls the door handle 21 while holding the door handle 21. The handle lever 30 is also pulled at the same time as the door handle 21 is pulled out. That is, when the handle lever 30 is pulled while overcoming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34, the locking lever 35 connected to the upper end 31 of the handle lever 30 rotates. Accordingly, the locking lever 35 is rotated as shown in FIG. 4, so that the locking jaws 37 and 37 'of the locking lever 35 are engaged with the locking grooves 47 and 47' of the button lever 45. Escape from

이와 동시에 상기 걸림레버(35)의 선단부가 상기 상부래치(50)의 제1연동부(53)를 눌러주게 되어 상부래치(50)가 소정 각도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상부래치(50)가 감지센서(19)로부터 이탈된다. 또한, 상기 연동레버(55)의 연동에 의해 상기 하부래치(50')도 함께 회전하여 감지센서(17)와 접촉이 해제된다. 하지만, 상기 상,하부래치(50,50')는 아직 상기 걸림부재(15)로부터 완전히 해제되지는 않아 도어(20)가 개방될 수 없는 상태이다. 이때, 상기 감지센서(17,19)가 오프되면 광파의 발생을 위한 조리기로 공급되던 전원의 공급이 차단된다.At the same time,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locking lever 35 presses the first interlocking portion 53 of the upper latch 50 so that the upper latch 50 is rotated by a predetermined angle. Thus, the upper latch 50 is separated from the sensor 19. In addition, the lower latch 50 'is also rotated together by the interlocking lever 55 so that the contact with the detection sensor 17 is released. However, the upper and lower latches 50 and 50 'are not completely released from the locking member 15, and thus the door 20 cannot be opened. In this case, when the detection sensors 17 and 19 are turned off, the supply of power supplied to the cooker for generating light waves is cut off.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버튼스위치(40)를 눌러주면, 상기 버튼레버(45)가 상기 상부래치(50)의 제2연동부(53')를 눌러주어 상기 상부래치(50)가 힌지핀(51)을 중심으로 도면 상의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상부래치(50)의 걸림턱(52)이 걸림부재(15)로부터 완전히 해제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하부래치(50')도 상기 연동레버(55)에 의해 함께 동작되어 상기 걸림부재(15')로부터 해제된다. 그리고, 상기 감지센서(18)와의 접촉도 해제된다.In the above state, when the user presses the button switch 40, the button lever 45 presses the second interlocking portion 53 'of the upper latch 50 so that the upper latch 50 The hinge pin 51 is rotated counterclockwise on the drawing. Therefore, the locking jaw 52 of the upper latch 50 is completely released from the locking member 15. At the same time, the lower latch 50 'is also operated by the interlocking lever 55 to be released from the locking member 15'. In addition, the contact with the detection sensor 18 is also released.

이와 같이 되면 도어(20)가 상기 본체(10)로부터 개방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도어(20)가 일단 개방된 후에는 상기 상,하부래치(50,50')는 다시 상기 복귀부재(57)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걸림부재(15,15')와 체결될 수 있는 위치로 회전되고, 상기 버튼레버(45)는 사용자가 손을 놓게 되면 상기 스프링(41)의 복원력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돌아오게 된다.In this case, the door 20 may be opened from the main body 10. On the other hand, once the door 20 is opened as described above, the upper and lower latches 50 and 50 'may be engaged with the locking members 15 and 15' again by the elastic force of the return member 57. It can be rotated to a position, the button lever 45 is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spring 41 when the user releases the hand.

그리고, 상기 핸들레버(30) 역시 사용자가 손을 놓게 되면, 상기 스프링(34)의 복원력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도어(20)를 닫아주면, 상기 상,하부래치(50,50')는 상기 복귀부재(57)의 탄성력을 극복하면서 상기 걸림부재(15,15')에 걸려진 후 다시 상기 복귀부재(57)의 탄성력에 의해 원위치하여 상기 도어(20)가 개방되지 않도록 한다.In addition, the handle lever 30 also returns to its original position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spring 34 when the user releases his hand. Therefore, when the user closes the door 20 in such a state, the upper and lower latches 50 and 50 'are caught by the locking members 15 and 15' while overcoming the elastic force of the return member 57. After the return, the door 20 is not opene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return member 57 again.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광파를 사용하는 조리기의 도어개폐장치는 도어를 개방함에 있어, 핸들레버를 조작하여 전원의 공급을 차단함과 동시에 버튼레버의 잠김상태를 해제하고, 그 후에 상기 버튼레버를 동작시켜야만 도어가 개방되므로 조리실 내의 잔류광파에 의한 사고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The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of the cooker using the light wa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n detail, in opening the door, operating the handle lever to cut off the supply of power and at the same time release the locked state of the button lever. Since the door is opened only when the button lever is operated, there is an advantage that an accident can be prevented due to residual light waves in the cooking chamber.

Claims (7)

본체에 구비된 조리실을 개폐하는 도어와,A doo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cooking chamber provided in the main body, 상기 도어를 본체에 체결/해제하기 위한 래치부재와,A latch member for fastening / releasing the door to the main body; 상기 래치부재의 본체에의 체결/해제와 광파발생을 위한 전원공급을 제어하는 개방수단과,Opening means for controlling the power supply for fastening / releasing the latch member to the main body and generating light waves; 상기 개방수단을 체결하여 도어의 개방시 개방수단이 먼저 동작되지 않도록 하는 잠금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광파를 사용하는 조리기의 도어개폐장치.The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of a cooker using light wave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locking means for fastening the opening means so that the opening means is not operated first when the door is opened.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래치부재는 상기 도어의 상하부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본체에 구비된 걸림부재에 걸려져 상기 도어가 본체에 체결되게 함과 동시에 도어개폐감지 및 전원공급제어를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광파를 사용하는 조리기의 도어개폐장치.The latch members are provided at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door, respectively, and are caught by a locking member provided in the main body to lock the door to the main body, and at the same time to perform door opening and closing detection and power supply control.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of the cooker.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래치부재는 연동레버에 의해 서로 연동됨을 특징으로 하는 광파를 사용하는 조리기의 도어개폐장치.The latch member is a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of a cooker using light waves, characterized in that the interlocking lever interlocked with each other.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래치부재는 힌지축을 중심으로 소정각도 회전가능하게 상기 도어에 설치되고, 상기 걸림부재에의 체결을 위한 걸림턱이 일단부에 구비되며, 타단부에는 상기 개방수단 및 잠금수단과의 연동을 위한 연동부가 각각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광파를 사용하는 조리기의 도어개폐장치.The latch member is installed on the door rotatably at a predetermined angle about the hinge axis, the locking jaw for fastening to the locking member is provided at one end, and the other end is for interlocking with the opening means and the locking means.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of the cooker using light waves, characterized in that the interlocking unit is provided.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개방수단은 상기 도어의 외면으로 노출되게 설치된 버튼스위치와, 상기 버튼스위치와 함께 직선운동하면서 상기 래치부재의 연동부와 연동되는 버튼레버로 구성되어, 상기 버튼스위치의 동작에 의해 상기 래치부재를 회전시켜 걸림부재로부터 해제되도록 동작됨을 특징으로 하는 광파를 사용하는 조리기의 도어개폐장치.The opening means is composed of a button switch installed to be expos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door, and a button lever which is interlocked with the interlocking portion of the latch member while linearly moving with the button switch, the latch member by the operation of the button switch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a cooker using a light wave, characterized in that the rotation is released to be released from the locking member.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잠금수단은 도어의 도어핸들에 설치되는 핸들레버와,The locking means is a handle lever installed on the door handle of the door; 상기 핸들레버의 동작에 연동되고 상기 개방수단의 동작을 규제하는 걸림레버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광파를 사용하는 조리기의 도어오픈장치.The door opening device of the cooker using light waves, characterized in that the locking lever is interlocked with the operation of the handle lever and regulating the operation of the opening means.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5 or 6, 상기 걸림레버에는 상기 버튼레버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가 구비되고, 상기 버튼레버의 걸림홈에 걸려지는 걸림턱이 형성되어, 상기 걸림레버가 소정각도 회전하여야만 상기 걸림턱이 걸림홈으로부터 해제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광파를 사용하는 조리기의 도어오픈장치.The locking lever is provided with a guide part for guiding movement of the button lever, and a locking jaw is formed to be caught by the locking groove of the button lever, so that the locking jaw is released from the locking groove only when the locking lever is rotated by a predetermined angle. Door opening device for a cooker using a light wave characterized in that.
KR1019980044798A 1998-10-26 1998-10-26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of cooker using light wave KR10028893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4798A KR100288936B1 (en) 1998-10-26 1998-10-26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of cooker using light wav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4798A KR100288936B1 (en) 1998-10-26 1998-10-26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of cooker using light wav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7001A KR20000027001A (en) 2000-05-15
KR100288936B1 true KR100288936B1 (en) 2001-05-02

Family

ID=195553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44798A KR100288936B1 (en) 1998-10-26 1998-10-26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of cooker using light wav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88936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11349A1 (en) * 2021-03-31 2022-10-06 삼성전자주식회사 Latch and cooking apparatus comprising same
WO2023224258A1 (en) * 2022-05-18 2023-11-23 삼성전자주식회사 Cooking applian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6304B1 (en) * 2006-04-11 2007-10-11 김주일 Circuit breaker of supply power when door opens
KR101085901B1 (en) * 2006-09-28 2011-11-23 삼성전자주식회사 A Heating Cooke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11349A1 (en) * 2021-03-31 2022-10-06 삼성전자주식회사 Latch and cooking apparatus comprising same
WO2023224258A1 (en) * 2022-05-18 2023-11-23 삼성전자주식회사 Cooking applian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7001A (en) 2000-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70000020B1 (en) Switch mechanism of cooking device
US4288118A (en) Door lock mechanism of microwave oven
US4672160A (en) Door safety switch-lock assembly for an electrical apparatus
KR100288936B1 (en)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of cooker using light wave
KR100272367B1 (en) Structure of openning and locking door of microwave
EP0075309B1 (en) Locking device for door of cooking apparatus
US4201901A (en) Adjustable safety interlock for microwave ovens
US3995899A (en) Microwave oven interlock
US3770930A (en) Microwave oven apparatus
KR100273874B1 (en) Structure for opening and closing of microwave oven
KR100578399B1 (en) Microwave oven
KR100267934B1 (en) Microwave oven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000042602A (en) Device for opening and closing door of microwave oven
KR19990030842A (en) Safety device for microwave oven
JP3695034B2 (en) Combined cooking rice cooker
KR101202755B1 (en) Door inter-lock apparatus of microwave oven
JPS6349608Y2 (en)
EP1564497B1 (en) Door opening/closing apparatus for electric oven
KR100247784B1 (en) Safety locking device
KR19990010889U (en) microwave
KR100412105B1 (en) Microwave oven
JPH0587347A (en) Heating cooking appliance
JP2975864B2 (en) Cooking device
KR20230155750A (en) Mehod for contolling cooking appliance
KR970001941Y1 (en) Microwave ov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12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