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86616B1 - One touch type necktie - Google Patents

One touch type neckti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86616B1
KR100286616B1 KR1019990009115A KR19990009115A KR100286616B1 KR 100286616 B1 KR100286616 B1 KR 100286616B1 KR 1019990009115 A KR1019990009115 A KR 1019990009115A KR 19990009115 A KR19990009115 A KR 19990009115A KR 100286616 B1 KR100286616 B1 KR 1002866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e
clip
piece
hook
skele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0911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00060633A (en
Inventor
김봉우
Original Assignee
김봉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봉우 filed Critical 김봉우
Priority to KR10199900091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86616B1/en
Publication of KR200000606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6063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66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6616B1/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5/00Neckties
    • A41D25/003Neckties provided with holding devices, e.g. button holes or loops for securing them to a shirt or for holding the two ends of the neckti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5/00Neckties
    • A41D25/02Neckties with ready-made knot or bow, with or without bands
    • A41D25/027Means for holding the neckti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20Cli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solely by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olders For Apparel And Elements Relating To Appare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터치 착탈가능 넥타이이다. 그 구성은 와이셔츠의 목 정면부에 걸기 위한 걸고리체와, 넥타이의 삼각형 부분을 구성하기 위한 소정형상의 골격체를 구비하고, 넥타이 천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간이 넥타이에 있어서, 상기 걸고리체는 원터치에 의하여 잠금기능과, 해체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착탈클립의 일부를 구성하고, 상기 착탈클립은 끝단부가 'U'자형으로 구부러진 걸고리체와, 와이셔츠 내측에 걸리는 걸림편을 가지면서 그 하부의 클립본체에 탄성적으로 결합되며, 상기 걸고리체는 끝단에 양측으로 연장형성되는 작동걸이편을 가지며, 상기 클립본체는 종방향으로 소정길이를 가지며 소정갯수로 절개되어 형성되는 스토퍼를 구비한 탄성편 및 안착편을 구비한 측탄성편으로 구성되고, 상기 클립본체는 골격체에 고정적으로 조립되며, 상기 넥타이 천은 상기 클립본체에 수직으로 형성되는 돌기체 및 이 돌기체에 억지 끼워맞춤하는 고정링에 의하여 체결되어 이룬다. 따라서 원터치로 작동하는 넥타이이기 때문에, 한손으로 넥타이를 착탈할 수 있어서 동시에 두가지 일을 해야 하는 아침 출근 준비시간 때나, 두손 동작이 부자유한 장애인이나 노약자에게 있어서 특히 편리하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one-touch detachable tie. The structure comprises a hook body for hanging on the front of the neck of the shirt, and a skeleton having a predetermined shape for forming a triangular portion of the tie, wherein the hook body is configured in one-touch including a tie cloth. And a part of a detachable clip configured to perform a locking function and a dismantling function. The detachable clip has a hook body whose end portion is bent into a 'U' shape, and a clip body at the bottom thereof, while a hook piece is caught inside the shirt. It is elastically coupled to the hook body has an operation hook piece extending to both sides at the end, the clip body has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elastic piece having a stopper formed by cutting a predetermined number and seating It is composed of a side elastic piece having a piece, the clip body is fixedly assembled to the skeleton body, the tie cloth is the clip body It fitted inhibiting the pawl and the pawl body is formed in a perpendicular form and is fastened by the retaining ring to customize. Therefore, because it is a one-touch tie, you can remove the tie with one hand, so it is particularly convenient for the morning preparation time, which requires two tasks at the same time, or for the handicapped or the elderly who have inadequate hand movements.

Description

원터치 착탈가능 넥타이{One touch type necktie}One-touch removable tie {One touch type necktie}

본 발명은 넥타이에 관한 것으로, 특히 원터치 착탈조작이 가능한 클립의 채택으로 한 손으로 넥타이의 착용 및 해체가 가능한 원터치 착탈가능 넥타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ie, and more particularly, to a one-touch detachable tie that can be worn and disassembled with one hand by adopting a clip that can be detached and operated.

근년들어 많은 종류의 간이 넥타이가 제안되고 있다. 이는 서비스 산업 분야의 확대 내지 발달로 인하여 화이트 칼라 계층이 확산되고 이에 따라 도시생활자의 증가 및 산업사회의 발달로 인하여, 이른바 시테크에 중점을 두는 현대사회의 요구에 따른 것으로, 전통적인 방식의 넥타이 착용에 시간이 많이 걸림에 따라 넥타이를 간이하게 착용함으로써 넥타이 착탈에 따른 시간을 절약하고자 할 필요성에 기인하고 있다.In recent years, many kinds of simple ties have been proposed. This is in accordance with the demand of modern society, which focuses on the so-called Sectech, due to the spread of the white collar class due to the expansion or development of the service industry, and the increase of urban residents and the development of the industrial society. It is due to the necessity of saving time due to detachment of the tie by simply wearing the tie as it takes a lot of time.

종래, 대부분의 간이 넥타이는 와이셔츠 목 부위의 정면 단추에 착용하는 방식이었다. 즉, 미리 와이(Y)자형으로 넥타이 본체를 형성하고 그 후부에 갈고리를 만들어 단추를 채운 상태의 목부위의 와이셔츠에 걸어서 착용하고, 넥타이를 해체할 때에는 간단하게 이 걸고리 부분을 풀어서 넥타이를 와이셔츠로부터 분리하면 되는 방식이다.Traditionally, most simple neckties were worn on the front button of the neck of the shirt. In other words, the tie body is formed in the shape of Y in advance, and the hook is formed on the back of the neck, and the hook is worn on the neck shirt while the button is filled.When dismantling the tie, simply untie the hook and tie the tie. This is done by separating it from the shirt.

또 벨크로 테이프(velcro tape : 접착천)를 이용하여 와이셔츠 목부위에 부착하는 방식, 오목/볼록형 단추를 이용하여 결합하는 합단추(똑딱이 단추)형 부착 방식, 게다가 다기능 간이 넥타이로서 넥타이 삼각형 본체부분의 배면에 향수 등을 내장한 향수방식, 각종 형태의 코어를 이용하여 부착하는 방식 등, 각양각색의 간이 넥타이가 제공되고 있다.Also, it is attached to the neck of the shirt using velcro tape (adhesive cloth), a joint button type attaching method using a concave / convex button, and a triangular body part as a multifunctional simple tie Various simple ties have been provided, such as a perfume system incorporating perfume or the like and a method of attaching using various types of cores.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여러 종류의 간이 넥타이는 어느 것이나 양손을 모두 이용하여 넥타이를 착용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However, any of the various types of simple ties described above has to be worn by using both hands.

이러한 번거로움은 특히 한 손이 불편한 장애자나 노약자 등에게 있어서는 넥타이 착용 자체가 일상생활 중 하나의 괴로운 과정이 되어 넥타이 착용을 기피하게 되는 상황으로 전개된다. 결국 이들은 정장차림으로 참석해야 할 장(場)을 기피하게 되고 사회활동 범위가 제약되어 적극적인 생활을 영위하지 못하게 되는 경우도 있다.This hassle develops in a situation where the wearing of a tie itself becomes a painful process in one's daily life, especially for the handicapped or the elderly, who are uncomfortable with one hand. As a result, they may avoid the field of attendance in formal attire and limit the scope of their social activities.

또 정상인이라 할지라도 매일 직장에 출근하여야 하는 직장인의 경우, 번잡하고 경황이 없는 아침 출근 상황에서는 1분이라도 아껴야 하기 때문에, 넥타이 착용에 양손을 모두 사용한다는 것은 같은 시간에 다른 출근준비를 못하게 된다. 이는 효율적으로 아침시간을 활용한다고 할 수 없다.In addition, even a normal worker who has to go to work every day, even in the busy and uncomfortable morning must save a minute, so using both hands to wear a tie will not be able to prepare for other work at the same time. This is not an efficient use of morning time.

또 종래의 대부분의 간이 넥타이가 와이셔츠 목 부분에 걸고리체를 삽입하는 구조로 되어 있는데, 그 삽입이 용이하지 않아 양손을 모두 사용하는 불편함 이외에도, 근본적인 문제, 즉 전통적인 넥타이를 사용할 때의 착용시간과 거의 같은 시간이 걸린다고 하는 문제도 있다.In addition, most conventional simple neckties have a hook body inserted into the neck of a shirt, and since the insertion is not easy, there is a fundamental problem besides the inconvenience of using both hands. Another problem is that it takes about the same time as.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간이 넥타이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발명된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한 손으로 용이하게 넥타이를 착용하고 해체할 수 있게 한 원터치 착탈가능 넥타이를 제공함에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invent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n view of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simple tie, and an object thereof is to provide a one-touch detachable tie which enables one to easily wear and disassemble the tie with one hand.

도 1은 본 발명의 원터치 착탈가능 넥타이의 주요 얼개를 나타낸 배면 분해사시도1 is a rear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ain ear of the one-touch detachable ti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원터치 착탈가능 넥타이의 얼개가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배면사시도2 is a rear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n ear of the one-touch detachable ti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ssembled;

도 3은 본 발명의 원터치 착탈가능 넥타이를 나타낸 측단면도Figure 3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one-touch removable ti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원터치 착탈가능 넥타이를 부착하였을 때의 얼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frozen state when attached to the one-touch detachable ti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원터치 착탈가능 넥타이를 해체하였을 때의 얼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frozen state when the one-touch detachable ti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mantled

도 6은 본 발명의 원터치 착탈가능 넥타이의 전체 배면사시도Figure 6 is a full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one-touch detachable ti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착탈클립 12 : 걸고리체10: removable clip 12: hook body

13 : 작동걸이편 14 : 걸림편13: operation hook piece 14: locking piece

20 : 클립본체 22 : 탄성편20: clip body 22: elastic piece

23 : 스토퍼 24 : 측탄성편23: stopper 24: side elastic piece

26 : 안착편 28 : 걸림돌기26: seating piece 28: the locking projection

30 : 골격체 31 : 고정편30: skeletal body 31: fixing piece

32 : 날개편 34 : 돌기체32: wing part 34: protrusion

40 : 고정링 42 : 조임돌기40: retaining ring 42: tightening protrusion

50 : 넥타이 천50: tie cloth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원터치 착탈가능 넥타이는,One-touch detachable ti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와이셔츠의 목 정면부에 걸기 위한 걸고리체와, 넥타이의 삼각형 부분을 구성하기 위한 소정형상의 골격체를 구비하고, 넥타이 천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간이 넥타이에 있어서,In the simple tie which comprises a hook body for hanging on the neck front part of a shirt, and the frame | skeleton of the predetermined shape for forming the triangular part of a tie, and consists of a tie cloth,

상기 걸고리체는 원터치에 의하여 잠금기능과, 해체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착탈클립의 일부를 구성하고,The hook body constitutes a part of a detachable clip configured to perform a locking function and a dismantling function by one touch,

상기 착탈클립은 끝단부가 'U'자형으로 구부러진 걸고리체와, 와이셔츠 내측에 걸리는 걸림편을 가지면서 그 하부의 클립본체에 탄성적으로 결합되며,The detachable clip is elastically coupled to the clip body of the lower end having a hook body bent in a 'U' shape, and the engaging piece to be caught inside the shirt,

상기 걸고리체는 끝단에 양측으로 연장형성되는 작동걸이편을 가지며,The hook body has an operation hook piece extending to both sides at the end,

상기 클립본체는 종방향으로 소정길이를 가지며 소정갯수로 절개되어 형성되는 스토퍼를 구비한 탄성편 및 안착편을 구비한 측탄성편으로 구성되고,The clip body is composed of an elastic piece having a stopper and a side elastic piece having a seating piece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cut and formed in a predetermined number,

상기 클립본체는 골격체에 고정적으로 조립되며,The clip body is fixedly assembled to the skeleton,

상기 넥타이 천은 상기 클립본체에 수직으로 형성되는 돌기체 및 이 돌기체에 억지 끼워맞춤하는 고정링에 의하여 체결되어 이룬다.The tie cloth is fastened by a protrusion formed perpendicular to the clip body and a fixing ring for interference fitting with the protrusion.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골격체는 넥타이 삼각형을 이루기 위하여 좌우로 뻗은 2개의 날개편을 형성하고, 상기 날개편은 합성수지재로 형성하며, 상기 골격체와 클립본체의 상호 고정을 위하여, 클립본체의 하단을 받아들이기 위하여 골격체 전면에 고정편을 형성하고, 상기 클립본체의 하단부에 걸림돌기를 형성하고 있는 것과, 상기 고정링은 빠짐방지를 위하여 내측방향으로 돌출된 다수개의 조임돌기를 형성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configuration, the skeletal body forms two wing pieces extending from side to side to form a tie triangle, the wing pieces are formed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for mutual fixing of the frame body and the clip body, Forming a fixing piece on the front surface of the skeleton to receive the lower end, and forming a locking projection on the lower end of the clip body, and the fixing ring to form a plurality of tightening projections projecting inward to prevent the fall out. desirable.

따라서, 본 발명은 원터치로 작동하는 클립과 넥타이 삼각형의 기초가 되는 소정구조의 골격체를 이용하여 넥타이를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한손으로 용이하게 넥타이를 와이셔츠에 착탈할 수 있어서, 동시에 두가지 이상의 출근준비를 해야 하는 아침 출근 준비시간 때나, 손동작이 부자유한 장애인이나 노약자에게 있어서 특히 편리하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tie is formed by using a one-touch clip and a skeleton having a predetermined structure that is the basis of the tie triangle, the tie can be easily attached or detached to the shirt with one hand, so that two or more types of work can be simultaneously started. It is especially convenient for the handicapped person with disabilities or the elderly who have a bad hand.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원터치 착탈가능 넥타이에 대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an accompanying drawing, the one-touch detachable tie of this invention is demonstrated in detail.

도 1은 본 발명의 원터치 착탈가능 넥타이의 주요 얼개를 나타낸 배면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원터치 착탈가능 넥타이의 얼개가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배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원터치 착탈가능 넥타이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원터치 착탈가능 넥타이를 부착하였을 때의 얼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원터치 착탈가능 넥타이를 해체하였을 때의 얼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원터치 착탈가능 넥타이의 전체 배면사시도이다.Figure 1 is a rear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ain piece of the one-touch detachable ti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rear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of the assembly of the one-touch detachable ti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one-touch detachable ti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when the attached state when attaching the one-touch detachable ti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ate of the state when the one-touch detachable ti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It is an overall back perspective view of the one-touch detachable tie of this invention.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원터치 착탈가능 넥타이는 크게 두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다. 먼저, 윗쪽에 도시한 것에 대하여 설명하면, 이는 원터치에 의하여 부착기능 및 해체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본 발명의 독자적인 구조의 착탈클립(10)이다. 이 착탈클립(10)은 하부의 클립본체(20)에 탄성적으로 결합되어 있다.1 and 2, the one-touch detachable tie of the present invention consists of two parts. First, what is shown above, this is a detachable clip 10 of the original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to perform an attachment function and a dismantling function by one touch. The removable clip 10 is elastically coupled to the lower clip body 20.

상기 착탈클립(10)은 끝단부가 'U'자형으로 구부러진 걸고리체(12)와, 와이셔츠 내측에 걸리는 걸림편(14)으로 구성된다.The detachable clip 10 is composed of a hook body 12 bent in the 'U' shape, and the engaging piece 14 is caught inside the shirt.

상기 걸고리체(12)의 끝단에는 양측으로 작동걸이편(13)이 연장형성되어 있다. 이 작동걸이편(13)은 상기 걸림편(14)의 폐쇄작용 및 개방작용에 의하여 클립작용을 한다.At the end of the hook body 12, the operation hook piece 13 is extended to both sides. The actuation hanger 13 acts as a clip by the closing and opening action of the locking piece 14.

상기 클립본체(20)는 종방향으로 일정길이만큼 3부분으로 절개되어 있다. 즉, 중앙의 탄성편(22)을 중심으로 양측으로 2개의 측탄성편(24)이 형성되도록 종방향을 따라서 일정 길이로 절개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클립본체(20)의 상단, 더 자세하게는 상기 측탄성편(24) 상에는 반원형 또는 호형으로 형성된 안착편(26)이 형성되어 상기 작동걸이편(13)을 탄성적으로 걸고 있다.The clip body 20 is cut in three parts by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at is, it cuts to a predetermined length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that two side elastic pieces 24 may be formed in both sides about the center elastic piece 22. As shown in FIG. And on the upper end of the clip body 20, more specifically, the side elastic piece 24, a seating piece 26 formed in a semi-circular or arc shape is formed to elastically hang the operation hanger piece (13).

상기 작동걸이편(13)이 안착편(26)에 걸림으로써 클립본체(20)와 착탈클립(10)이 조립된다. 상기 탄성편(22)의 상단은 'ㄱ'자로 구부러진 스토퍼(23)를 형성하여 상기 안착편(26)과의 사이에 상기 작동걸이편(13)을 탄성적으로 조립하고 있다.The clip body 20 and the detachable clip 10 are assembled by the operation hook piece 13 to the seating piece 26. The upper end of the elastic piece 22 forms a stopper 23 bent by the letter 'A' to elastically assemble the operation hook piece 13 between the seating piece 26.

이어서 넥타이의 삼각형 모양부분의 골격을 이루는 골격체(30)에 대하여 설멍한다. 이 골격체(30)는 넥타이가 삼각형을 이루기 위하여 좌우로 뻗은 2개의 날개편(32)을 형성하고 있다.Subsequently, the skeleton 30 forming the skeleton of the triangular portion of the tie is sulked. This skeletal body 30 forms two wing pieces 32 extending from side to side to form a triangle in a tie.

이 날개편(32)은 합성수지재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중앙에 상기 클립본체(20)의 하단을 삽입하여 착탈클립(10)과의 조립을 시도하기 위한 고정편(31)을 형성하고 있다(도 3 참조).The wing piece 32 is preferably formed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and forms a fixing piece 31 for attempting assembly with the removable clip 10 by inserting the lower end of the clip body 20 in the center ( 3).

또 이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고정편(31)의 하단에 걸리도록 상기 클립본체(20)에 걸림돌기(28)를 형성하고 있다.3, the locking projection 28 is formed in the clip main body 20 so that it may be caught by the lower end of the said fixing piece 31. As shown in FIG.

상기 골격체(30)의 배면에는 천으로 된 넥타이와의 결합을 위하여 돌기체(34)가 형성되어 있고 이 돌기체(34)에는 넥타이 천(50)을 삽입한 후 이 상태를 고정 유지하기 위한 고정링(40)이 끼워지게 된다. 즉, 상기 골격체(30)를 이용하여 넥타이 천(50)을 삼각형 모양으로 만든 후, 상기 돌기체(34)를 넥타이천(50)에 관통하고 관통된 돌기체(34)의 끝단에 상기 고정링(40)을 압착함으로써 상기 넥타이천(50)과 골격체(30)는 조립되는 것이다.The back surface of the skeleton 30 is formed with a projection body 34 for engagement with a tie made of cloth, and the projection body 34 is inserted into the tie fabric 50 to maintain this state. Fixing ring 40 is fitted. That is, after the tie fabric 50 is made into a triangular shape using the skeletal body 30, the protrusion 34 penetrates the tie cloth 50 and is fixed to the end of the penetrating protrusion 34. The tie cloth 50 and the skeleton 30 are assembled by compressing the ring 40.

상기 고정링(40)은 빠짐방지를 위하여 내측방향으로 돌출된 다수개의 조임돌기(42)를 형성하고 있다.The fixing ring 40 forms a plurality of tightening protrusions 42 protruding inward to prevent the fall.

이와 같은 구조로 된 본 발명의 원터치 착탈가능 넥타이는,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은 클립작용을 한다. 즉, 도 4와 같이 상기 걸림편(14)을 화살표 방향으로 젖히면 상기 작동걸이편(13)은 안착편(26)과 탄성편(22) 사이에서 탄성적으로 폐쇄동작을 한다. 즉, 상기 작동걸이편(13)이 탄성편(22)에 대하여 직각방향으로 있는 상태(클립 개방 상태)에서 도 4의 화살표 방향으로 걸림편(14)을 젖히면 상기 작동걸이편(13)은 상기 탄성편(22)과 평행하게 배치되어 폐쇄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 동작은 사용자가 인위적으로 상기 착탈클립(10)의 작동걸이편(13)을 젖힐 때에 일정 가압력 이상이 되면, 즉 작동걸이편(13)을 탄성적으로 지지하고 있던 상기 탄성편(22)과 측탄성편(24) 사이의 가압력 이상이 되면 그 후부터는 이들 탄성편(22)과 측탄성편(24) 사이의 가압력에 의하여 용이하게 폐쇄동작을 한다.The one-touch detachable tie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structure functions as a clip as shown in FIGS. 4 and 5. That is, as shown in FIG. 4, when the locking piece 14 is folded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the operation hook piece 13 elastically closes between the seating piece 26 and the elastic piece 22. That is, when the operating hook piece 13 is in a state perpendicular to the elastic piece 22 (clip open state), when the locking piece 14 is flipped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of FIG. It is disposed parallel to the elastic piece 22 to maintain a closed state. This operation is performed when the user artificially flips the operation hanger piece 13 of the detachable clip 10, when the pressur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pressing force, that is, the elastic piece 22 that elastically supports the operation hanger piece 13. When the pressing force between the side elastic pieces 24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at, the closing operation is easily performed by the pressing force between the elastic pieces 22 and the side elastic pieces 24 thereafter.

본 발명의 넥타이 착용 시의 편리함은 다음 이유 때문이다. 상기 걸고리체(12)는 작동걸이편(13)의 동작에 의하여 골격체(30)로부터 크게 벌어질 수 있는 구조이다. 이것은 본 발명의 넥타이를 좁은 와이셔츠와 목 사이로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는 용이 삽입 위치를 확보할 수 있기 때문이다.The convenience of wearing the ti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the following reason. The hook body 12 is a structure that can be largely opened from the skeleton body 30 by 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 hook piece (13). This is because it is possible to secure an easy insertion position in which the ti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inserted between the narrow shirt and the neck.

또 일단 목과 와이셔츠 사이로 걸고리체(12)가 삽입된 것을 감지한 사용자는 그 상태에서 그대로 목 쪽으로 눌러주기만 하면 상기 작동걸이편(13)은 회전하여 상기 탄성편(22)과 측탄성편(24) 사이에 자리잡게 되고 이들 두 요소의 가압력에 의하여 그 상태를 그대로 유지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특유의 동작은 일련의 원터치 연속동작으로 진행되는 것이어서 착용시 3초 내지 5초 미만의 시간이 걸릴 뿐이다.In addition, once the user detects that the hook body 12 is inserted between the neck and the shirt, the user simply presses the neck as it is in the state, and the operation hook piece 13 rotates to the elastic piece 22 and the side elastic piece 24. ) And the state is maintained by the pressing force of these two elements. This uniqu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ceed in a series of one-touch continuous operation, it takes only less than 3 seconds to 5 seconds when worn.

반대로, 도 4의 폐쇄상태에서 상기 작동걸이편(13)을 아까와는 반대로 젖히게 되면 상기 탄성편(22)과 측탄성편(24) 사이의 작동걸이편(13)은 이들에 저항하여 이들에 대하여 직각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작동걸이편(13)의 끝단은 상기 탄성편(22)의 상단에 형성된 'ㄱ'자로 구부러진 스토퍼(23)의 내측모서리에 걸리게 되고 이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클립 개방동작을 완료하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특유의 동작은 단 1회의 해체동작으로 진행되는 것이어서 착용시 2초 미만의 시간이 걸릴 뿐이다.On the contrary, in the closed state of FIG. 4, when the operating hook piece 13 is flipped, the operating hook piece 13 between the elastic piece 22 and the side elastic piece 24 resists them. The end of the operation hanger piece 13 is disposed at right angles to and is caught by the inner edge of the stopper 23 bent by the letter 'B'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elastic piece 22, thereby maintaining the clip opening operation. Will complete. Such a specific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proceeds with only one dismantling operation, so it takes less than 2 seconds when worn.

상기 스토퍼(23)는 상기 작동걸이편(13)이 탄성편(22)과 측탄성편(24) 사이에서 탄성적으로 운동할 때에 이 작동걸이편(13)의 임의 이탈을 방지하고 소정의 정지자세, 즉 클립동작의 두가지 정지자세(개방과 폐쇄)를 유지하는 기능을 한다.The stopper 23 prevents any detachment of the actuation hanger 13 when the actuation hanger 13 elastically moves between the elastic piece 22 and the side elastic piece 24 and stops a predetermined stop. It maintains two postures (open and closed) of posture, that is, clip motion.

따라서 본 발명의 넥타이는 오른손 또는 왼손 하나만으로 와이셔츠의 목부에 가볍게 끼워넣고 삼각형 부분을 누르는 동작만으로 작동걸이편(13)은 중심선(X)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작동걸이편(13)이 눌러져서 상기 탄성편(22)과 측탄성편(24) 사이에 작동걸이편(13)이 자리잡게 되어 넥타이를 착용할 수 있고, 반대로 넥타이를 풀 때에는 사용자가 한손으로 넥타이의 삼각형 부분을 가볍게 잡아당기면 상기 작동걸이편(13)은 상기 탄성편(22)과 측탄성편(24) 사이에서 중심선(X)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이들 두 부재에 저항하면서 풀려지게 되어 클립 개방동작이 수행되어 원활하게 넥타이를 해체할 수가 있는 것이다.Therefore, the ti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ightly inserted into the neck of the shirt with only one right hand or left hand and the operation hook piece 13 is rotated about the centerline X only by pressing the triangular part, while the operation hook piece 13 is Pressed so that the operation hook piece 13 is positioned between the elastic piece 22 and the side elastic piece 24 to wear a tie, on the contrary, when untieing the tie, the user grasps the triangular portion of the tie lightly with one hand. When pulled, the operation hook piece 13 is released while rotating about the centerline X between the elastic piece 22 and the side elastic piece 24 while resisting these two members, thereby smoothly opening the clip. The tie can be dismantled.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한손만으로 클립동작을 하는 착탈클립(10)을 채용하고 있기 때문에 한손으로 넥타이를 착용할 수 있고 해체가능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adopts the detachable clip 10 that performs the clip operation with only one hand, so that the tie can be worn with one hand and can be disassembled.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원터치 착탈가능 넥타이에 의하면, 원터치로 작동하는 클립과 넥타이 삼각형의 기초가 되는 골격체를 이용하여 넥타이를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한손으로 넥타이를 착탈할 수 있어서, 동시에 두가지 일을 해야 하는 아침 출근 준비시간 때나, 두손 동작이 부자유한 장애인이나 노약자에게 있어서 특히 편리하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one-touch detachable tie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tie is formed by using the one-touch clip and the skeleton that is the basis of the tie triangle, the tie can be attached and detached with one hand. This is especially convenient for the morning preparation time, when you have to do the work, or for the handicapped or the elderly who have limited hands.

그리고 본 발명은 각 구성요소(부품)의 조립에 아무런 기계요소를 사용하지 아니하고 조립구조만으로 상호 체결되고 조립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부품수를 줄이는 효과 및 조립시의 시간을 절약하는 스루풋의 향상을 가져오는 효과도 있다.In addition, since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be fastened and assembled together only by the assembly structure without using any mechanical elements for assembling each component (part), the effect of reducing the number of parts and the improvement of the throughput saving time during assembly are improved. It also has the effect.

Claims (2)

와이셔츠의 목 정면부에 걸기 위한 걸고리체와, 넥타이의 삼각형 부분을 구성하기 위한 소정형상의 골격체를 구비하고, 넥타이 천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간이 넥타이에 있어서,In the simple tie which comprises a hook body for hanging on the neck front part of a shirt, and the frame | skeleton of the predetermined shape for forming the triangular part of a tie, and consists of a tie cloth, 상기 걸고리체는 원터치에 의하여 잠금기능과, 해체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착탈클립의 일부를 구성하고,The hook body constitutes a part of a detachable clip configured to perform a locking function and a dismantling function by one touch, 상기 착탈클립은 끝단부가 'U'자형으로 구부러진 걸고리체와, 와이셔츠 내측에 걸리는 걸림편을 가지면서 그 하부의 클립본체에 탄성적으로 결합되며,The detachable clip is elastically coupled to the clip body of the lower end having a hook body bent in a 'U' shape, and the engaging piece to be caught inside the shirt, 상기 걸고리체는 끝단에 양측으로 연장형성되는 작동걸이편을 가지며,The hook body has an operation hook piece extending to both sides at the end, 상기 클립본체는 종방향으로 소정길이를 가지며 소정갯수로 절개되어 형성되는 스토퍼를 구비한 탄성편 및 안착편을 구비한 측탄성편으로 구성되고,The clip body is composed of an elastic piece having a stopper and a side elastic piece having a seating piece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cut and formed in a predetermined number, 상기 클립본체는 골격체에 고정적으로 조립되며,The clip body is fixedly assembled to the skeleton, 상기 넥타이 천은 상기 클립본체에 수직으로 형성되는 돌기체 및 이 돌기체에 억지 끼워맞춤하는 고정링에 의하여 체결되어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착탈가능 넥타이.The tie fabric is a one-touch detachable tie, characterized in that the fastening is formed by a projection body formed perpendicular to the clip body and a fixing ring for fitting to the projection body.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골격체는 넥타이 삼각형을 이루기 위하여 좌우로 뻗은 2개의 날개편을 형성하고, 상기 골격체와 클립본체의 상호 고정을 위하여, 클립본체의 하단을 받아들이기 위하여 골격체 전면에 고정편을 형성하며, 상기 클립본체의 하단부에 걸림돌기를 형성하고,상기 고정링은 빠짐방지를 위하여 내측방향으로 돌출된 다수개의 조임돌기를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착탈가능 넥타이.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keleton forms two wing pieces extending to the left and right to form a tie triangle, the front of the skeleton to receive the lower end of the clip body for mutual fixing of the skeleton and the clip body Forming a fixing piece, and forming a locking projection on the lower end of the clip body, The fixing ring is a one-touch detachable tie, characterized in that to form a plurality of tightening projections protruding inward to prevent the fall.
KR1019990009115A 1999-03-18 1999-03-18 One touch type necktie KR10028661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9115A KR100286616B1 (en) 1999-03-18 1999-03-18 One touch type neckti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9115A KR100286616B1 (en) 1999-03-18 1999-03-18 One touch type neckti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0633A KR20000060633A (en) 2000-10-16
KR100286616B1 true KR100286616B1 (en) 2001-04-16

Family

ID=195768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09115A KR100286616B1 (en) 1999-03-18 1999-03-18 One touch type neckti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86616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8991B1 (en) 2007-04-16 2008-05-14 김윤중 Wear-device of a necktie
KR101236321B1 (en) 2011-05-09 2013-02-22 최수빈 One touch type knotter for neckti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80649A (en) * 2005-01-06 2006-07-11 서원석 Neckti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8991B1 (en) 2007-04-16 2008-05-14 김윤중 Wear-device of a necktie
KR101236321B1 (en) 2011-05-09 2013-02-22 최수빈 One touch type knotter for neckti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0633A (en) 2000-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353364B1 (en) Snap fastener
JPH11318517A (en) Belt connector
WO2010110860A1 (en) Improved clothing fasteners
KR100286616B1 (en) One touch type necktie
JP3111240U (en) tie
WO2005023033A1 (en) Necktie, shirt, button, and napkin
US20060282935A1 (en) Necktie with wearing attachment
JPH0280602A (en) Glove structure having means mounting accessories in detachable manner
JP3757245B2 (en) Fastener
JP3232025U (en) &#34;Cool down shirt&#34; is a cutter shirt that does not spread too much even if you remove the tie and goes down firmly.
JP3122495U (en) Fasteners and their application to masks and bedspreads
JP3045964U (en) Napkin stopper
JP2597061Y2 (en) Snap fastener
KR200254557Y1 (en) A knot part for an assembling necktie
JP3097927U (en) Sunburn prevention shawl
KR101402004B1 (en) A fixing device for a nectie
JP3040449U (en) Bias tape with snap made of synthetic resin
JP2004137616A (en) Garment
KR200384145Y1 (en) Neck tie with button binding element
JP3080059U (en) Clothes button
KR200179004Y1 (en) One touch tie
JPH0354107Y2 (en)
JP3025989U (en) Elastic belt for tightening the waist
JP3070485U (en) Baby clothes
KR870000186Y1 (en) Advaneed neck-ti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716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