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86124B1 - Combination dice for extrusion processing and extrusion processing - Google Patents

Combination dice for extrusion processing and extrusion process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86124B1
KR100286124B1 KR1019930002854A KR930002854A KR100286124B1 KR 100286124 B1 KR100286124 B1 KR 100286124B1 KR 1019930002854 A KR1019930002854 A KR 1019930002854A KR 930002854 A KR930002854 A KR 930002854A KR 100286124 B1 KR100286124 B1 KR 1002861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e
support
hole
mold
di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0285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야노사다히데
Original Assignee
야노 유코
유겐가이샤 야노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노 유코, 유겐가이샤 야노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야노 유코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61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6124B1/en

Links

Landscapes

  • Extrusion Of Me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자(12)를 용이하게 제작, 가공할 수 있으면서 중자지지부의 응력집중을 완화시켜 강도적 신뢰성을 항상시킨 자동조합식다이스 및 압출가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중자(12)의 측면부에 지지구멍(16)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구멍(16)에 지지핀(13)이 그 양단부를 바깥쪽으로 돌출시킨 상태로 관통배치되고, 상기 핀(13)의 양단부(13a)(13a)가 중자유지용 금형(14)의 유지구멍(21) 내부의 지지단부(23) (23)에 지지됨으로서 중자(12)가 유지용금형(14)으로 유지된 웅형구조로 구성되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combination die and an extrusion processing method which can easily manufacture and process the core 12 while alleviating the stress concentration of the core support, thereby maintaining strength reliability, and supporting the side portion of the core 12. A hole 16 is formed, the support pin 13 is disposed through the support hole 16 in a state in which both ends thereof protrude outward, and both ends 13a and 13a of the pin 13 are held in the middle. The core 12 is formed in a male structure in which the core 12 is held by the holding mold 14 by being supported by the supporting ends 23 and 23 inside the holding hole 21 of the mold 14.

Description

압출가공용 조합 다이스 및 압출가공방법Combination dies for extrusion processing and extrusion processing

제1a도는 제1 실시예에 관한 조합다이스를 도시한 수평단면도,1A is a horizontal sectional view showing a combination d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제1b도는 제1a도의 선 1-1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1b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1-1 of FIG. 1a,

제2도는 제1도의 다이스를 분해하여 도시한 사시도,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die of FIG.

제3a도는 제2 실시예에 관한 조합다이스를 도시한 수평단면도,3A is a horizontal sectional view showing a combination d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제3b도는 제3a도의 선 3-3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3b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3-3 of FIG. 3a,

제4도는 제3도의 다이스를 분해하여 도시한 사시도,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ploded die of FIG.

제5도는 뚜껑부재를 제거한 상태에서의 제3도 다이스의 후단면도,5 is a rear cross-sectional view of the die of FIG. 3 with the lid member removed;

제6도는 제3도의 다이스에 있어서 코어(中子; core)의 지지상태를 도시한 부분단면 사시도,6 is a partial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showing a support state of a core in the die of FIG.

제7a도는 제5도의 선 5-5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FIG. 7a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5-5 of FIG.

제7b도는 제5도의 선 6-6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7b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6-6 of FIG. 5,

제7c도는 제5도의 선 7-7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7c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7-7 of FIG.

제8a도 내지 제8g도는 각종 모양의 코어의 형상을 도시한 것으로서, 제2도 및 제4도의 선 8-8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8A to 8G show the shapes of the cores of various shapes, cross-sectional views taken along the lines 8-8 of FIGS. 2 and 4,

제9도는 지지핀의 횡단면도,9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upport pin,

제10도는 제3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코어와 지지핀을 분리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10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eparation state of the core and the support pin as a third embodiment,

제11도는 제4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코어와 지지핀을 분리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1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core and a support pin are separated as a fourth embodiment;

제12도는 제조 대상의 일 실시예인 열교환기용 튜브재의 단면 사시도,12 is a sectional perspective view of a tube material for a heat exchanger which is an embodiment of the manufacturing target,

제13a도는 제2 실시예의 설명을 위한 것으로서 브릿지부의 후단부를 도시한 평면도,13A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rear end portion of a bridge portion for explaining the second embodiment;

제13b도는 제13a도의 선 13-13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13b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13-13 of FIG. 13a,

제14a도는 종래 다이스의 분해 사시도,14a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die,

제14b도는 종래 코어의 사시도,14b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core,

제14c도는 종래 코어의 사시도이다.14C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core.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

1 : 튜브재 2 : 다이스1: tube material 2: dies

3 : 자형 4 : 웅형3: figure 4: male

12 : 코어 14 : 코어유지용 금형12 core 14 core holding mold

15 : 중공성형부 16 : 지지구멍15: hollow molded part 16: support hole

[발명의 목적][Purpose of invention]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 및 그 분야의 종래기술][Technical field to which the invention belongs and the prior art in that field]

본 발명은, 예컨대 알루미늄제 열교환기용 다공편평(多孔偏平;multi-bored flat) 튜브재 등을 비롯하여 각종 소형, 중형 또는 대형 압출재의 압출가공에 널리 사용되는 자웅(雌雄)조합식 다이스 및 압출가공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herb combination die and extrusion method widely used for extrusion processing of various small, medium or large extrusion materials, including, for example, multi-bored flat tube materials for aluminum heat exchangers. It is about.

제1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컨대 에어콘의 열교환기용 알루미늄제 튜브재(1)의 제조는 종래부터 각종 방법으로 행해지고 있으나, 그 중에서도 압출법에 의한 제조는 내압 성능 등이 뛰어난 튜브를 제공할 수 있다는 이점을 가지고 있어 주목받고 있다.As shown in FIG. 12, for example, the manufacture of the aluminum tube material 1 for heat exchanger of an air conditioner has been conventionally performed by various methods, but the manufacturing by extrusion method can provide the tube excellent in pressure-resistance performance etc. among these.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ttracting attention.

압출법에서는 다이스, 일반적으로는 튜브재(1) 내의 중공부를 성형하는 웅형(雄型)과, 튜브재(1)의 외주부를 성형하는 자형(雌型)과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조합다이스, 예컨대 포트홀 다이스(porthole dies) 등이 사용된다.In the extrusion method, a combination die consisting of a die, generally a male mold for forming the hollow part in the tube member 1, and a female mold for molding the outer peripheral part of the tube member 1, for example, a port hole. Porthole dies and the like are used.

그리고, 이 조합다이스는 열교환기 튜브(1)의 폭(B)이, 예컨대 10~20mm, 높이(H)가 예컨대 3~7mm와 같이 대단히 소형이면서 정교한 다공 중공편평 금형재이기 때문에 다이스 강도를 높게 하기 위해 다이스의 재질 개선이 다양하게 이루어져 왔음은 물론인 바, 게다가 마찰 등에 의한 다이스 교환으로 인해 발생하는 비용을 낮게 억제하기 위해 또는 소형화된 다이스의 제작이 용이하도록 다이스 구조도 제14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형(51)과 조합되는 웅형(52)을 선단부에 중공 성형부(53)를 가진 코어(54)와, 이 코어(54)를 유지하는 유지용 금형(55)으로 분할 구성하는 개량이 이루어져 왔다. 중ㆍ대형재의 압출다이스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의 검토가 이루어지고 있다.This combination die has a high die strength since the width B of the heat exchanger tube 1 is a very small and sophisticated hollow hollow flat die material such as 10 to 20 mm and a height H, for example, 3 to 7 mm. In order to reduce the cost caused by the die exchange due to friction or the like, the die structure is also shown in FIG. 14A to facilitate the manufacture of a compact die. As described above, the improvement in which the male 52 combined with the female 51 is divided into a core 54 having a hollow molded part 53 at its tip and a retaining mold 55 holding the core 54 are provided. Has been made. Similar considerations have been made to extrusion dies for medium and large materials.

이 분할 구성 타입의 웅형을 채용하는 조합다이스에서는 코어(54)를 유지용 금형(55)에 유지시키는 수단으로서 각종 샘플이 종래부터 제안되고 있다.In the combination die which adopts the male of this divisional configuration type, various samples have been conventionally proposed as a means for holding the core 54 to the holding die 55.

제14a도에 도시된 조합다이스에 있어서 웅형(52)에서는 평판상의 코어(54)는 그 외측 단부에 그 두께 방향으로 돌출된 지지용 돌출부(60)(60)가 일체로 설치되도록 구성되며, 양 지지용 돌출부(60)(60)는 코어유지용 금형(55)의 유지구멍(58) 내의 지지용 단부에 지지됨으로서 코어(54)가 유지용금형(55)에 유지되도록 구성되어 있다.In the combination die shown in Fig. 14A, in the male die 52, the flat core 54 is configured such that the supporting protrusions 60, 60 protruding in the thickness direction thereof are integrally installed at the outer end thereof. The support protrusions 60 and 60 are configured to be held by the holding die 55 by being supported by the supporting end portions in the holding holes 58 of the core holding die 55.

또, 제14b도에 도시된 다이스에 있어서 웅형(52)은 코어(54)가 그 외측 단부에 그 폭방향으로 돌출된 지지용 돌출부(57)(57)가 일체로 설치되도록 구성되며, 양 바깥쪽 돌출부(57)(57)는 유지용금형(55)의 유지구멍(58) 내의 지지용 단부에 지지되도록 구성되어 있다.Moreover, in the die shown in FIG. 14B, the male 52 is configured such that the support protrusions 57 and 57, in which the core 54 protrudes in the width direction thereof, are integrally provided at both ends thereof. The side protrusions 57 and 57 are configured to be supported by a supporting end in the holding hole 58 of the holding mold 55.

또, 제14c도에 도시된 다이스에 있어서 웅형(52)은 코어(54)가 끝이 가는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됨과 동시에, 코어유지용금형(55)의 유지구멍(58) 또한 끝이 가는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되고, 양자가 테이퍼에 끼워지도록 구성되어 있다.In the die shown in Fig. 14C, the male die 52 has a tapered shape in which the core 54 is tapered, and the holding hole 58 of the core holding mold 55 is also tapered. It is formed so that it is comprised so that both may fit in a taper.

그러나, 제14a도에 도시된 구조에서는, 특히 코어(54)의 지지용 돌출 부(60)(60)가 코어(54)의 두께 방향으로 돌출하도록 구성되어 있음으로서 코어(54)의 형상이 입체적으로 복잡하며 그 가공이 대단히 어렵게 되고, 가공 비용이 높아진다는 결점이 있었다. 또, 압출중 응력집중작용에 의해 바깥쪽 돌출부(60)(60)가 붙어있는 부분에 크랙이 발생될 위험성이 있어 강도도 반드시 신뢰성이 높다고는 말할 수 없었다.However, in the structure shown in Fig. 14A, the shape of the core 54 is three-dimensional in particular because the support protrusions 60 and 60 of the core 54 are configured to protrude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core 54. As a result, it is complicated and the machining becomes very difficult, and the machining cost is high. In addition, there is a risk that cracks are generated in the portion where the outer protrusions 60 and 60 adhere to each other by stress concentration during extrusion, and the strength is not necessarily high.

또, 제14b도에 도시된 구조에서는 코어(54)를 평판재를 사용해서 가공 제작할 수 있기 때문에 가공 제작상의 어려움은 적지만, 압출중 응력집중작용에 의해 바깥쪽 돌출부(57)(57)가 붙어있는 부분에 용이하게 크랙이 발생하여 버린다는 등 강도적 신뢰성이 상당히 낮고, 코어(54)의 교환 횟수의 증가를 초래한다는 결점이 있었다.In addition, in the structure shown in FIG. 14B, since the core 54 can be fabricated and fabricated using a flat plate material, there are few difficulties in fabrication. However, the outer protrusions 57 and 57 are formed by stress concentration during extrusion. There is a drawback that the strength reliability is considerably low such as cracking easily occurs on the adhered portion, resulting in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replacement of the core 54.

또한, 제14c도의 테이퍼 끼워맞춤식 구조에서는 유지용 금형(55)에 대한 압출방향에 있어서의 코어(54)의 상대 위치관계를 정확하게 설정하기 위해 다이스 제작상 특히 코어(54)의 테이퍼 형상에 높은 정밀도가 요구되고, 다이스에 대한 가공 비용의 상승을 초래한다는 단점이 있었다.In addition, in the tapered-fitting structure shown in Fig. 14C, in order to accurately set the relative positional relationship of the core 54 in the extrusion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holding die 55, high precision is achieved in the taper shape of the core 54, particularly in die making. Is required, resulting in an increase in processing cost for the di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결점을 해소하고, 웅형이 코어와, 유지용 금형으로 분할 구성된 타입의 조합다이스 및 이를 이용한 압출가공방법을 전제로 하여 상기 웅형, 특히 코어의 제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음과 동시에, 종래와 같은 매우 고정밀도의 가공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또한 강도적 신뢰성의 향상을 꾀할 수 있는 압출가공용 조합다이스 및 비용면에서도 유리한 압출가공을 실현할 수 있는 압출가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주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eliminates the above-mentioned drawbacks and can facilitate the manufacture of the male, in particular the core, on the premise that the male is divided into a core, a holding die, and a combination die of the type and an extrusion process using the same. At the same time, the mai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mbination die for extrusion processing which does not require a very high precision machining as in the prior art, and an extrusion processing method which can realize advantageous extrusion processing in terms of cost and improvement in strength and reliability. It is done.

상기 목적에 있어서, 본 발명은 중공재 외주부를 성형하는 자형과, 중공재 중공부를 성형하는 웅형과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압출용 조합다이스에 있어서, 상기 웅형이 선단부에 중공성형부를 가짐과 동시에, 측단부에 지지 구멍 또는 지지 오목 부가 형성된 코어와, 상기 코어의 지지 구멍 또는 지지 오목부에 바깥쪽 돌출상태로 삽입 배치된 지지편과, 압출방향 후방쪽에 면한 지지용 단부를 갖는 코어유지구멍이 형성된 코어유지용 금형을 구비하고, 상기 코어가 그 지지구멍 또는 지지오목부에 삽입 배치된 코어지지편의 바깥쪽 돌출부를 유지용 금형 유지구멍의 지지용 단부에 지지케한 상태로 상기 금형의 유지구멍에 삽입배치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가공용 조합다이스를 요지로 한다.In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an extrusion combination die consisting of a combination of a male shape for forming the outer peripheral portion of the hollow material and a male shape for forming the hollow material hollow portion, wherein the male has a hollow molded portion at the front end, A core holding hole having a core having a support hole or a support recess formed therein, a support piece inserted into the support hole or the support recess of the core so as to protrude outwardly, and a support end facing the rear side in the extrusion direction. And the core is inserted into the holding hole of the mold in such a state that the core is supported at the supporting end of the holding mold holding hole by the outer projection of the core supporting piece inserted into the supporting hole or the supporting recess. The combination die for extrusion processing characterized by the above-mentioned.

이 경우 상기 지지편은 핀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지지핀이 코어의 지지구멍 또는 지지오목부에 단부 바깥쪽 돌출상태로 삽입배치됨과 동시에, 상기 지지핀의 바깥쪽 돌출단부가 유지용 금형 유지구멍의 지지용 단부에 지지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case, the support piece is made of a pin, and the support pin is inserted into the support hole or the support recess of the core in an outwardly protruding state, and at the same time, the outer protruding end of the support pin is formed in the retaining mold holding hole. It is preferable that it is supported by the support end part.

또, 상기 지지핀은 코어유지구멍의 외측 단부개구위치로 부터 바깥쪽으로 돌출하거나, 또는 상기 개구위치에 근접하여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upport pin preferably protrudes outward from the outer end opening position of the core holding hole or is disposed close to the opening position.

상기 코어의 지지구멍 또는 지지오목부의 적어도 압출방향 후방측의 내주면이 원호상의 주면으로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지지핀의 지지구멍 또는 지지오목부에 대한 삽입부중 적어도 압출방향 후방측의 외주면도 지지구멍 또는 지지오목부의 상기 원호상 주면에 대응하는 원호상 주면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At least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pport hole or the support recess portion of the core in the extrusion direction is formed as an arcuate main surface, and at least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pport portion of the support pin or the insertion portion to the support recess portion is also a support hole or It is preferable that it is formed with the circular arc main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said circular arc main surface of a support recessed part.

이 경우에 상기 지지핀의 압출방향 후방측의 원호상 외주면은 반 원주(半周)를 넘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arcuat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ack side of the support pin in the extrusion direction is formed beyond the semi-circumference.

또, 코어는 초경합금 등의 초경합금재료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ore is preferably made of a cemented carbide material such as cemented carbide.

상기 코어 유지구멍은 코어유지용 금형의 재료 유통구멍을 횡단하는 브릿지부에 대해 형성되며, 상기 블릿지부의 후단면과, 상기 브릿지부의 후부에 배치된 뚜껑부재의 전단면에 서로 끼워맞추는 요철이 설치되고, 상기 오목부와 볼록부의 끼워맞춤에 따라 뚜껑부재가 브릿지부는 후부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ore holding hole is formed with respect to the bridge portion crossing the material distribution hole of the core holding mold, and the unevenness is fitted to the rear end surface of the bridge portion and the front end surface of the lid member disposed at the rear portion of the bridge por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lid member is disposed at the rear portion according to the fitting of the concave portion and the convex portion.

또 하나의 발명은 중공재 외주부를 성형하는 자형과, 상기 중공재 중공부를 성형하는 웅형과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압출용 조합다이스로서, 상기 웅형이, 선단부에 중공성형부를 가짐과 동시에 측면부에 지지구멍 또는 지지오목부가 형성된 코어와, 상기 코어의 지지구멍 또는 지지오목부에 바깥쪽 돌출상태로 삽입배치되는 지지편과, 압출방향 후방측에 면한 지지용 단부를 내부에 가지는 코어유지구멍이 형성된 코어유지용 금형을 구비하고, 상기 코어가 그 지지구멍 또는 지지오목부에 삽입배치된 코어지지편의 바깥쪽 돌출부를 유지용 금형 유지구멍의 지지용 단부로 지지시킨 상태로 상기 금형의 유지구멍에 삽입배치된 조합다이스를 사용해서 압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가공방법을 요지로 한다.Another invention is an extrusion combination die composed of a combination of a male shape for forming a hollow material outer peripheral portion and a male shape for forming the hollow material hollow portion, the male having a hollow molded portion at the front end and at the same time a support hole or For core holding formed with a core having a support recess portion, a support piece inserted into the support hole or the support recess portion of the core in an outwardly protruding state, and a core holding hole having a support end portion facing the rear side in the extrusion direction. A combination provided with a mold, the core being inserted into the holding hole of the mold in a state in which the outer projection of the core support piece inserted into the supporting hole or the supporting recess is supported by the supporting end of the holding mold holding hole; The extrusion processing method characterized by extruding using a dice is made into the summary.

이런 방법에 있어서, 사용하는 다이스의 상기 지지편이 핀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지지핀이 코어의 지지구멍 또는 지지오목부에 단부 바깥쪽 돌출상태로 삽입배치됨과 동시에, 상기 지지핀의 바깥쪽 돌출단부는 유지용 금형 유지구멍의 지지용 단부로 지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method, the supporting piece of the die to be used is made of a pin, and the supporting pin is inserted into the supporting hole or the supporting recess of the core in an outwardly protruding end portion, and the outer protruding end of the supporting pin is It is preferable to be supported by the supporting end of the holding mold holding hole.

다음에는 본 발명을 제1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열교환기용 알루미늄제 튜브재(1)의 압출 가공에 사용하는 조합다이스 및 압출가공방법에 적용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Next, an embodiment in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combination die and an extrusion processing method for use in the extrusion process of the aluminum tube material 1 for heat exchanger as shown in FIG. 12 will be described.

또, 본 발명은 열교환기 튜브재외에 소형, 중형, 대형 등 각종 압출재의 압출가공에 널리 적용할 수 있는 것임은 두말할 필요도 없다.In addition,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widely applied to extrusion processing of various extruded materials such as small, medium and large size in addition to the heat exchanger tube material.

이는 웅형이 코어와 코어유지용 금형으로 분할 구성되어 있는 타입의 각종 자웅조합다이스 및 상기 다이스를 사용하는 압출가공방법에 널리 적용 된다는 것이 다.This is widely applied to various male combination dies of the type in which the male die is divided into the core and the mold for holding the core, and the extrusion processing method using the die.

[제1 실시예][First Embodiment]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된 조합다이스(2)에 있어서, 참조번호(3)는 자형, 참조번호(4)는 웅형이다.In the combination dice 2 shown in Figs. 1 and 2, reference numeral 3 is shaped like a child, and reference numeral 4 is male.

웅형(4)에 있어서 참조번호(12)는 코어, 참조번호(13)는 지지편으로서의 지지펀, 참조번호(14)는 코어유지용 금형, 참조번호(25)는 뚜껑부재이다.In the male die 4, reference numeral 12 is a core, reference numeral 13 is a support funnel as a support piece, reference numeral 14 is a core holding mold, and reference numeral 25 is a lid member.

코어(12)는 다이스강제, 초경합금제 혹은 세라믹제 등의 평판소재에 가공을 가함으로서 제작된다. 즉, 그 선단부에는 튜브재(1)의 중공부(1a)를 성형하는 빗 모양의 중공성형부(15)가 통상의 방법, 예컨대 방전가공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또, 그 측면 평면부의 외측 단부 근처인 폭방향의 중앙부에 원형 지지구멍(16)이 와어어커트방전에 의해 관통 형성되어 있다.The core 12 is produced by processing a flat plate material such as die steel, cemented carbide or ceramic. That is, the comb-shaped hollow molded part 15 which forms the hollow part 1a of the tube material 1 is formed in the tip part by a conventional method, for example, electric discharge machining. Moreover, the circular support hole 16 penetrates by the wire cut discharge part in the center part of the width direction which is near the outer edge part of the side surface part.

또한, 코어(12)는 제8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중간부 횡단면 네 귀퉁이부를 직각 및 예각 형상으로 가공한 것이어도 상관없지만, 제8b도 내지 제8e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면가공을 하거나 둔각상으로 가공하거나, 둥그스름하게 가공하는 편이 응력집중으로 인한 코어(12) 등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또, 제8f도, 제8g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상으로 가공하도록 해도 좋다.In addition, the core 12 may be machined into right and acute angles at the four corners of the cross section of the middle portion thereof, as shown in FIG. 8A, but may be sloped as shown in FIGS. 8B to 8E. It is preferable to work in an obtuse angle shape or roundish process in that the damage to the core 12 or the like due to stress concentration can be prevented. In addition, the eighth f may be processed into a shape as shown in the eighth g.

지지핀(13)은 제1a도, 제1b도 및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어(12)와 같은 재질인 원주소재의 주축면 한쪽에 전체길이에 걸쳐 원주 반을 넘는 원호 주면 형태의 평면부(17)가 가공된 것이다. 그 길이는 코어(12)의 두께 보다 길고, 코어(12)의 지지구멍(16)에 관통 배치된 상태에서 그 양단이 소정 길이로 바깥쪽으로 돌출된 것으로 되어 있다. 또 그 지름은 코어지지구멍(16) 지름과 대략 일치하도록 이루어지며, 지지핀(13)이 코어지지구멍(16) 내에 적합한 상태로 삽입 배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The support pin 13 is a plane in the form of an arc main surface over one half of its entire length on one side of the main axis surface of the base material of the same material as the core 12, as shown in FIGS. 1A, 1B and 2. The part 17 is processed. The length is longer than the thickness of the core 12, and both ends thereof protrude outward to a predetermined length in a state of being disposed through the support hole 16 of the core 12. Moreover, the diameter is made so that it may correspond substantially to the diameter of the core support hole 16, and it is comprised so that the support pin 13 may be inserted in the core support hole 16 in a suitable state.

코어유지용 금형(14)은 그 축심부의 압출재료 도통구멍(19)을 횡단하는 모양으로 브릿지(20)가 설치되며, 상기 도통구멍(19)이 좌우의 재료 도통구멍(18)(18)으로 분단된 일체 성형의 금형이다. 그리고, 블릿지(20)에는 이것을 압출 방향으로 관통하는 모양에 있어서, 코어(12)를 유지하는 코어유지구멍(21)이 형성되어 있다.The core holding die 14 is provided with a bridge 20 in a shape that traverses the extrusion material through hole 19 of the shaft center portion, and the through hole 19 has left and right material through holes 18 and 18. It is a mold of an integral molding divided into parts. The bridge 20 is formed with a core holding hole 21 for holding the core 12 in a shape that penetrates this in the extrusion direction.

이 코어유지구멍(21)은 그 내주 횡단면 형상이 코어(12)의 횡단면 형상과 대략 일치되도록 형성되며, 코어(12)가 대략 적합한 상태에서 코어유지구멍(21)내에 삽입 배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The core holding hole 21 is formed such that its inner circumferential cross sectional shape substantially coincides with the cross sectional shape of the core 12, and is configured to be inserted into the core holding hole 21 in a substantially suitable state.

또한, 이 코어유지구멍(21)의 폭쪽의 내주면 중앙부 각각에는 서로 대향 배치관계에 있어서 외측 단부으로 부터 선단측으로 퍼진 소정 깊이의 가이드용 홈부(22)(22)가 형성되며, 그들 각 내부 바닥부에 평탄한 지지용 단부(23)(23)가 형성되어 있다. 이 가이드용 홈부(22)(22)의 폭은 지지핀(13)의 지름과 일치하도록 형성되며, 지지핀(13)이 그 양단부를 가이드용 홈부(22)(22) 내에 적합상태로 돌출된 상태에 있어서 유지구멍(21)의 내부방향으로 삽입 배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Further, each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center portions of the width direction of the core holding hole 21 is formed with guide grooves 22 and 22 having a predetermined depth spreading from the outer end to the front end side in a mutually arranged relationship with each other. Flat end portions 23 and 23 are formed in the support. The width of the grooves 22 and 22 for the guide is formed to match the diameter of the support pins 13, and the support pins 13 protrude in a suitable state in the guide grooves 22 and 22 at both ends thereof. It is comprised so that insertion state may be carried out in the inner direction of the holding hole 21 in a state.

코어유지용 금형(14)의 브릿지(20) 후단면에는 금형(14)의 내부방향으로 물러나서 거기에 뚜껑부재(25)를 삽입 배치하는 뚜껑부재 끼워맞춤용오목부(26)가 형성되어 있다. 또, 뚜껑부재(25)에 대한 회전방향의 위치결정을 위해 상기 끼워맞춤오목부(26)의 양단부에는 전후방향으로 뻗은 오목조(27)(27)가 형성되며, 소정의 방향에서 뚜껑부재(25)가 끼워맞춤오목부(26) 내에 끼워맞춤 배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On the rear end surface of the bridge 20 of the core holding mold 14, a lid member fitting recess 26 for retracting inwardly the mold 14 and inserting the lid member 25 therein is formed. In addition, both ends of the fitting recess 26 are formed with concave grooves 27 and 27 extending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for positioning in the rotation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lid member 25. 25 is configured to fit within the fitting recess 26.

뚜껑부재(25)는 타원 형상의 부재로서 그 후면측이 산 형상으로 형성되고, 압출재료가 유지용 금형(14)의 양 재료 도통구멍(18, 18)에 매끄럽게 분류되어 나가도록 구성되어 있다.The lid member 25 is an elliptic member, the rear side of which is formed in the shape of a mountain, and is configured so that the extruded material is smoothly classified into both material through holes 18 and 18 of the holding die 14.

웅형(4)의 조립은 우선 지지핀(13)을 코어(12)의 지지구멍(16)에 관통 상태로 삽입 배치한다. 이 경우 지지핀(13)은 지지구멍(16) 내에서 그 평면부(17)를 압출방향 앞쪽을 향한 상태로 배치한다. 그리고, 이 코어(12)를 유지용 금형(14)의 후방으로 부터 유지구멍(21) 내로 삽입해 나가고, 지지핀(13)의 양단부(13a)(13a)를 그 평면부(17)에 있어서 유지구멍(21) 내의 지지단부(23)에 접촉하게 한다. 이 접촉에 의해 코어(12)와 유지용 금형(14) 전후 방향의 상대위치가 정확하게 정해지며 코어(12) 선단의 성형부(15)는 유지용금형(14)의 전단면에서 설정한 대로의 소정 길이 만큼 돌출하여 유지된다. 그리고, 뚜껑부재(25)를 코어유지용 금형(14) 후부의 끼워맞춤용 오목부(26) 내에 끼워맞춤 배치하고, 상기 뚜껑부재(25)를 상기 금형(14)에 용접 등으로 고정한다.In the assembly of the male 4, the support pin 13 is first inserted into the support hole 16 of the core 12 in a penetrating state. In this case, the support pin 13 arranges the flat part 17 in the support hole 16 in the extrusion direction. Then, the core 12 is inserted into the holding hole 21 from the rear of the holding mold 14, and both ends 13a and 13a of the support pin 13 are disposed on the flat portion 17. The support end 23 in the holding hole 21 is brought into contact. By this contact,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core 12 and the holding | maintenance die 14 front-back direction is correctly determined, and the shaping | molding part 15 of the front-end | tip of the core 12 is as set in the front end surface of the holding mold 14 It protrudes by a predetermined length and is maintained. Then, the lid member 25 is fitted into the fitting recess 26 at the rear of the core holding mold 14, and the lid member 25 is fixed to the mold 14 by welding or the like.

이상과 같이 조립된 웅형(4)을 자형(3)과 조합함으로서 압출용 다이스(2)에 조립되고, 코어(12)의 선단성형부(15)와 자형성형구멍(5) 사이에 튜브재(1)의 횡단면 형상에 대응하는 연속 슬릿(29)이 형성된다. 이 조합다이스(2)를 압출기에 짜넣고, 이것에 알루미늄 빌렛(aluminium billet) 금속 등의 압출재료를 통해 압출가공을 실시함으로서 다이스 전방에 다공편평 튜브재(1)가 압출 가공된다.By assembling the male mold 4 assembled as described above with the female mold 3, it is assembled to the extrusion die 2, and the tube material (between the tip molding part 15 of the core 12 and the female mold hole 5) is formed. Continuous slits 29 corresponding to the cross-sectional shape of 1) are formed. The combination die 2 is incorporated into an extruder, and the porous flat tube material 1 is extruded in front of the die by extrusion processing through an extruded material such as aluminum billet metal.

또, 자형(3)은 튜브재(1)의 외주부를 성형하는 타원편평형상의 성형구멍(5)을 축심부에 가지는 자형본체금형(6)과 상기 자형본체금형(6)의 압출방향 후부에 인접 배치되고, 웅형(4)을 통과해서 분단된 압출재료무리를 합류용착시키는 용착실(7)을 형성하는 용착실 형성용 금형(8)과, 양 금형(6)(8)을 수용하는 원통형상의 수용용 금형(9) 내에서 볼록조부(10)(10)와 오목조부(11)(11)와의 끼워맞춤으로 회전방향에서 유지되도록 구성되어 있다.Further, the female mold 3 is adjacent to the female body mold 6 having the elliptical flat molding hole 5 for form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portion of the tube member 1 and the rear side in the extrusion direction of the female body mold 6. The welding chamber forming mold 8 which forms the welding chamber 7 which joins and welds the extruded material group divided | segmented through the male mold 4, and the cylindrical shape which accommodates both metal mold | die 6 and 8 It is comprised so that it may hold | maintain in rotation direction by the fitting of the convex part 10 and 10 and the recessed part 11 and 11 in the accommodating metal mold | die 9.

상기 구성의 압출다이스(2)에서는 웅형(4)에서의 코어(12)가 이것을 유지용금형(14)에 유지시키기 위해 평판소재에 대해 지지구멍(16)을 형성한것 뿐이기 때문에 코어의 제작을 아주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그 비용 절감 나아가서는 다이스 비용 및 압출가공 비용의 절감을 실현할 수 있다. 특히 초경합금, 세라믹 등의 초경합금재료에 의한 코어도 용이하게 가공ㆍ제작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유리성이 발휘된다.In the extrusion die 2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since the core 12 in the male die 4 only forms the support holes 16 for the flat plate material in order to hold it in the holding die 14, the core is manufactured. Can be made very easy, and the cost reduction can be realized, and further, the die cost and the extrusion processing cost can be realized. Particularly, since the core made of cemented carbide materials such as cemented carbide and ceramics can be easily processed and manufactured, its advantageous properties are exhibited.

또, 제14c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종래의 테이퍼 끼워맞춤방식의 코어유지구조의 경우와 같은 정밀한 고정밀도 가공을 필요로 하지않는데다 보다 나은 비용면에서 장점을 발휘할 수 있다.In addition, it does not require precise high precision machining as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taper-fitting core holding structure as shown in FIG. 14C, and can exhibit advantages in terms of better cost.

더우기, 코어(12)를 지지핀(13)으로 지지하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강도적 신뢰성의 향상을 용이하게 도모할 수 있으며, 코어 교환횟수의 대폭 감소 등도 실현할 수 있다.Furthermore, since the core 12 is supported by the support pin 13, the strength and reliability can be easily improved, and the number of times of core replacement can be greatly reduced.

특히, 지지구멍(16)이 원형구멍으로 형성되고, 압출중 상기 지지구멍(16)의 원호상 내주면이 원주형상의 핀(13)의 원호상 주면에 적함상태로 지지되도록 구성되어 있음으로서, 압출중 코어(16)에 작용하는 응력집중이 대폭적으로 완화되어 다이스(1)의 강도적 신뢰성을 매우 높게 할 수 있다. 또한, 코어(12)가 지지핀(13)을 중심으로 하는 약간의 흔들이(swing) 동작을 할 수 있기 때문에 무리없이 자동 조심(調芯)되므로, 강도적으로 더욱 신뢰성이 높은 다이스가 실현된다.In particular, the support hole 16 is formed into a circular hole, and is configured such that the arcuat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pport hole 16 is supported on the arcuat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lumnar pin 13 during extrusion, thereby being extruded. The stress concentration acting on the heavy core 16 is greatly alleviated, so that the strength and reliability of the die 1 can be made very high. In addition, since the core 12 can perform a slight swinging motion around the support pin 13, it can be self-aligned without difficulty, thereby achieving a more reliable die in strength. .

또, 지지핀(13)의 평면부(17)를 제외한 원호상 주면부는 핀(13)의 반주를 초과해 남겨지도록 구성되어 있음으로서, 유지구멍(21)에서 지지단부(23)와 핀(13)의 평면부(17)가 완전한 평행상태에서 접촉하지 않더라도 핀(13)의 양단부 원호상 주면부가 유지용 금형(14)의 가이드용 홈부(22) 내에 적합하게 배치된 상태로 유지됨으로서, 코어(12)는 바른 지지방향에서 지지되고, 그 지지방향의 어긋남으로 인한 압출중에 코어 파손 등도 방지할 수 있다.Moreover, since the circular arc main surface part except the flat part 17 of the support pin 13 is comprised so that the accompaniment of the pin 13 may be left, the support end part 23 and the pin 13 in the holding hole 21 will be left. Even if the planar portion 17 of the core 13 does not come into contact in a completely parallel state, the arcuate main surface portions at both ends of the pin 13 are maintained in the guide groove portion 22 of the retaining mold 14, whereby the core ( 12) is supported in the correct supporting direction, and can also prevent core breakage during extrusion due to misalignment of the supporting direction.

아울러, 지지핀(13)에는 전체 길이에 걸친 평면부(17)가 형성되고, 이 평면부(17)가 유지구멍(21)의 지지단부(23)에 접촉되도록 구성되어 있음으로서 핀(13)의 양단부가 안정적으로 지지단부(23)(23)에 지지된다.In addition, the support pin 13 is formed with a flat portion 17 over its entire length, and the flat portion 17 is configured to be in contact with the support end 23 of the retaining hole 21. Both ends of the support are stably supported by the support ends (23, 23).

그러나, 코어성형부(15)와 자형성형구멍(5)의 상대위치 관계의 설정은 제9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핀(13)의 평면부(17)의 절삭 깊이를 바꿀 수 있고, 자형성형구멍(5)에 대한 코어성형부(15)의 위치설정 내지는 위치변경을 쉽게 할 수 있다.However, setting the relative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core forming portion 15 and the self-forming hole 5 can change the cutting depth of the planar portion 17 of the support pin 13, as shown in FIG. It is possible to easily position or change the position of the core molding portion 15 relative to the molding hole 5.

[제2 실시예]Second Embodiment

제2 실시예에 따른 다이스는 상기 제1 실시예 다이스(2)의 개량에 관한 것 이다.The di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relates to the improvement of the die 1 of the first embodiment.

즉, 상기 제1 실시예에 따른 다이스(2)에서는 압출 조건이 그다지 가혹하지 않을 경우 매우 높은 유용성을 발휘할 수 있으나, 한편으로 압출조건이 매우 가혹한 것일 경우에는 이것을 사용하여 압출을 하였을 경우, 압출후의 다이스에 있어 서 제13a도 및 제13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지구멍(21)의 길이방향 외측 단부에 있어서 브릿지부(20)의 양 벽(20a)(20a)이 압출중인 압출재료에 의한 압출을 받아 내부방향이 만곡형상으로 변형을 일으키는 것이 드물게 보여진다.That is, in the die 2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exert a very high usefulness when the extrusion conditions are not very severe. On the other hand, when the extrusion conditions are used in the case where the extrusion conditions are very harsh, the extrusion is performed after extrusion. As shown in FIGS. 13A and 13B in the die, at the longitudinal outer end of the retaining hole 21, both walls 20a and 20a of the bridge portion 20 are extruded by the extruded material being extruded. It is rarely seen that the inner direction causes deformation in a curved shape.

이것은 코어(12)의 외측 단부가 유지구멍(21) 밖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지지핀(13) 전체가 코어유지구멍(21)의 내부방향으로 들어가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그것도 코어(12)의 외측 단부 측면과, 유지구멍(21)의 외측 단부 내주면 사이에 빈틈이 존재하는 데 기인하는 것이다.It is configured such that the entire support pin 13 enters the inner side of the core holding hole 21 so that the outer end of the core 12 does not protrude out of the holding hole 21, which is also the outer end side of the core 12. And the gap betwee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uter end portion of the retaining hole 21.

이와 같은 사태의 발생은 마찰 등에 의한 코어(12)의 교환시 코어(12)를 유지구멍(21) 내부로 부터 후방으로 끌어내고자 하면 지지핀(13)의 양단이 변형된 벽(20a)(20a)에 간섭하여 코어(12)를 끌어내는 것이 곤란해져서 코어(12)의 교환을 매끄럽게 수행할 수 없는 경우를 만들어낸다는 문제가 원인이 된다.The occurrence of such a situation occurs when the core 12 is pulled backward from the inside of the retaining hole 21 when the core 12 is replaced by friction or the like, and the walls 20a and 20a at which both ends of the support pin 13 are deformed. ), It becomes difficult to pull out the core 12 by interfering with), and this causes the problem of creating a case where the exchange of the core 12 cannot be performed smoothly.

이 문제를 해결하고, 그밖의 유용성을 발휘할 수 있게 한 것이 제2 실시예에 따른 다이스이다.It is the d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that solve this problem and allow other usefulness to be exhibited.

즉, 제3a도 내지 제7c도에 도시된 본 실시예의 다이스(2)에서는 코어유지용 금형(14)에 있어서 코어유지구멍(21)의 가이드용 홈부(22)(22)의 길이 즉, 유지구멍(21) 내에서 지지용 단부(23)(23)가 설치되는 깊이 위치가 상기 지지용 단부(23)(23)에 지지핀(13)이 그 평면부(17)측을 단부(23)(23)쪽으로 지지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지지핀(13)이 유지구멍(21)의 외측 단부 개구부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That is, in the die 2 of the present embodiment shown in FIGS. 3A to 7C, the lengths of the guide grooves 22 and 22 of the core holding hole 21 in the core holding mold 14, i.e., holding The depth position at which the supporting ends 23 and 23 are installed in the hole 21 is supported by the supporting ends 23 and 23, and the supporting pins 13 have the flat portion 17 side at the end 23. The support pin 13 is designed to protrude outward from the outer end opening portion of the retaining hole 21 in the state of being supported toward (23).

지지용 단부(23)가 설치되는 깊이 위치는 이와 같이 지지핀(13)이 지지구멍(21)의 외측 단부 개구부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될 수 있게 설계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지만, 돌출된 것이 아니더라도 지지핀(13)이 유지구멍(21)의 외측 단부 개구부 위치에 근접해서 배치되도록 설계되어도 좋다.The depth position at which the support end 23 is installed is most preferably designed such that the support pin 13 can protrude outward from the outer end opening of the support hole 21. 13 may be designed to be disposed close to the position of the outer end opening of the retaining hole 21.

또한,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어유지용금형(14)의 브릿지부(20) 후부에는 상기 브릿지부(20)의 후단면이 금형(14)의 내부방향으로 밀림으로서 뚜껑부재(25)의 배치공간(26)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브릿지부(20)의 후단면에 있어서 지지구멍(21)의 개구를 끼운 양측 위치의 각각에 끼워맞춤오목부 (34)(34)가 브릿지부(20)의 폭 방향으로 연장된 모양으로 설치되어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4, the rear end surface of the bridge portion 20 is pushed inwardly to the inside of the mold 14 at the rear of the bridge portion 20 of the core holding mold 14. The arrangement space 26 is formed. In the rear end surface of the bridge portion 20, the fitting recesses 34 and 34 exten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bridge portion 20 at each of the two positions at which the openings of the support holes 21 are inserted. Installed.

또, 브릿지부(20)의 전단부는 제3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끝이 가는 형상으로 형성됨에 따라 거기에 압출재료의 배압을 받는 배압면(35)(35)이 형성되도록 되어 있다. 이 배압면(35)(35)은 가급적 넓게 확보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에 따라 압출중 코어(12)에 브릿지부(20)에 의한 파지력이 작용하고, 지지핀(13)에 의한 지지력을 낮게 할 수 있으며, 지지핀(13)의 지름을 작게 할 수 있고, 나아가서는 가이드용 홈부(22)(22)의 폭을 작게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생긴다.Further, as shown in FIG. 3B,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bridge portion 20 is formed to have a thin shape so that back pressure surfaces 35 and 35 which receive back pressure of the extruded material are formed there. The back pressure surfaces 35 and 35 are preferably secured as broadly as possible. Thereby, the holding force by the bridge part 20 acts on the core 12 during extrusion, the support force by the support pin 13 can be made low, the diameter of the support pin 13 can be made small, and furthermor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width of the grooves 22 and 22 for the guide can be made small.

뚜껑부재(25)는 코어유지용 금형(14)의 브릿지부(20) 후단면에 설치된 배치공간(26)에 대응하는 형상과 사이즈를 가진 것으로 형성되어 있다.The lid member 25 is formed to have a shape and size corresponding to the arrangement space 26 provided on the rear end surface of the bridge portion 20 of the core holding mold 14.

그리고, 그 후단측이 산 형상으로 형성되고, 압축재료가 유지용금형(14)의 양 재료도통구멍(18)(18)에 매끄럽게 분류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Then, the rear end side is formed in the shape of a mountain, so that the compressed material can be smoothly classified into both material through holes 18 and 18 of the holding mold 14.

이 뚜껑부재(25)의 전면에는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중앙부에 있어서 코어(12)의 외측 단부돌출부와, 지지핀(13)의 돌출부를 수용시키는 수용용오목부 (36)가 설치되며, 또 상기 수용용 오목부(36) 양측의 각각에 상기 브릿지부(20)의 끼워맞춤오목부(34)(34)에 적합한 상태로 끼워맞춤되는 끼워맞춤볼록부(37)(37)가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뚜껑부재(25)의 후면측 양단부에는 절결부(38)(38)가 형성되고, 거기에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링(40)이 끼워맞춤 배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On the front of the lid member 25, as shown in FIG. 4, an outer end protrusion of the core 12 and a receiving recess 36 for accommodating the protrusion of the support pin 13 are provided at the center thereof. The fitting convex portions 37 and 37 are fitted to the fitting recesses 34 and 34 of the bridge portion 20 on both sides of the receiving recess 36, respectively. Formed. In addition, cutouts 38 and 38 are formed at both rear end portions of the lid member 25, and the ring 40 as shown in FIG. 3 is fitted therein.

웅형(4)의 조립은 상기 제1 실시예의 경우와 같다. 즉, 우선 지지핀(13)을 코어(12)의 지지구멍(16)에 관통상태로 삽입배치하고, 그리고 그 코어(12)를 유지용 금형(14)의 후방으로 부터 유지구멍(21) 내로 삽입해 나가면서, 지지핀(16)의 양단부(16a)(16a)를 그 평면부(17)에서 유지구멍(21) 내의 지지 단부(23)(23)에 접촉시킨다.The assembly of the male 4 is the same as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That is, the support pin 13 is first inserted into the support hole 16 of the core 12 in a penetrating state, and the core 12 is inserted into the holding hole 21 from the rear of the holding mold 14. While being inserted, both ends 16a and 16a of the support pin 16 ar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support ends 23 and 23 in the retaining hole 21 at the flat portion 17.

이 코어(12) 지지상태에서 지지핀(13)은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릿지부 (20)의 유지구멍(21) 바깥쪽으로 돌출된 상태가 된다. 이에 따라 코어(12)의 외측 단부 또한 유지구멍(21)의 바깥쪽으로 돌출된 상태가 된다.In the support state of the core 12, the support pin 13 protrudes outward from the retaining hole 21 of the bridge portion 20 as shown in FIG. Accordingly, the outer end of the core 12 also protrudes outward of the holding hole 21.

그리고, 이 상태에서 브릿지부(20) 후부의 배치공간(26)에 뚜껑부재(25)를 배치하고, 수용용 오목부(36) 내에 코어(12)의 후단돌출부와, 지지핀(13)의 후방돌출부를 수용함과 동시에, 끼워맞춤볼록부(37)(37)과, 끼워맞춤오목부(34)(34)를 요철 끼워맞춤한다. 이 끼워맞춤상태는 제7a도 내지 제7c도에 도시한 대로이다. 이상에 의해 웅형(4)에 조립된다.In this state, the lid member 25 is disposed in the placement space 26 of the rear portion of the bridge portion 20, and the rear end projection of the core 12 and the support pin 13 are placed in the recess 36 for accommodation. At the same time as accommodating the rear projections, the fitting projections 37 and 37 and the fitting recesses 34 and 34 are recessed and fitted. This fitting state is as shown to FIG. 7A-FIG. 7C. By the above, it is assembled to the male die 4.

또한, 자형(3)은 제3a도, 제3b도 및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어링팁 (41)과 베어링팁 유지용금형(42)으로 분할 구성된다. 또한 유지용 금형(42)은 백업용 금형(43)과 압출 재료의 흐름 속도 제어 뿐만 아니라 용착실형성용금형(44)과, 수용용금형(45)으로 분할 구성되어 있다.Further, the female mold 3 is divided into a bearing tip 41 and a bearing tip holding mold 42, as shown in FIGS. 3A, 3B and 4. The holding die 42 is divided into a welding chamber forming die 44 and an accommodating die 45, as well as controlling the flow rate of the backup die 43 and the extruded material.

다이스(2)는 상기 자웅양형(3)(4)을 서로 조합함으로서 구성되며, 그 조합상태에 있어서 코어(12)의 선단성형부(15)와 자형성형구멍(5) 사이에 튜브재(1)의 횡단면형상에 대응하는 연속 슬릿(29)이 형성되어 있다. 또, 이 조합다이스(2)의 후부에 링(40)을 끼워맞춤 배치함과 동시에, 다이스(2) 내에 알루미늄 등 압출재료의 용탕을 흘려넣어 압출기에 넣고, 이것에 압출재료를 압입해 나감으로서 다이스(2) 전방에는 다공편평 튜브재(1)가 압출가공된다.The die 2 is constituted by combining the male molds 3 and 4 with each other, and in the combined state, the tube member 1 is disposed between the tip molding part 15 of the core 12 and the female mold hole 5. The continuous slit 29 corresponding to the cross sectional shape of () is formed. In addition, the ring 40 is fitted to the rear portion of the combination die 2, a molten metal of an extruded material such as aluminum is poured into the die 2, and the extruded material is pressed into the extruder. In front of the die 2, the porous flat tube member 1 is extruded.

본 제2 실시예에 따른 압출다이스(2)에서는 상기 제1 실시예에 따른 다이스(2)의 이점을 그대로 구비하면서 그 위에 다음과 같은 이점을 갖는다.In the extrusion die 2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the advantages of the die 2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are provided as it is, and the following advantages are provided thereon.

즉, 상기와 같은 핀지지타입의 웅형(4)에 있어서, 코어(12)가 브릿지부(20)의 유지구멍(21) 내에 지지핀(13)으로 지지된 상태에서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핀(13)이 유지구멍(21)의 바깥쪽으로 돌출된 것으로 이루어져 있음으로서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핀(13)의 양단부가 유지구멍(21)의 외측 단부에 있어서 브릿지부(20) 양측의 상대적으로 얇은 벽(20a)(20a)을 내부방향으로 부터 지지할 수 있는데 그 때문에 압출중에 압출재료에 따른 압력이 상기 벽(20a)(20a)의 외면부에 작용해도 지지핀(13)의 양단부가 상기 벽(20a)(20a)을 내부방향으로부터 지지하고, 그것에 따라 상기 벽(20a)(20a)의 변형이 적극적으로 방지된다. 따라서, 코어(12)에 대한 중공성형부(15)의 마찰 등을 일으켜서 그 교환을 할 때 지지핀(13)을 벽(20a)(20a)에 늘어뜨려 코어(12)를 끌어내기가 곤란해진다는 사태의 발생의 회피되며, 코어(12)의 해체를 무난하고 매끄럽게 할 수 있다.That is, in the male pin 4 of the pin support type as described above, as shown in FIG. 6 in the state in which the core 12 is supported by the support pin 13 in the retaining hole 21 of the bridge portion 20. As shown in FIG. 5, the supporting pin 13 protrudes outward of the holding hole 21, so that both ends of the supporting pin 13 are formed at the outer end of the holding hole 21. (20) The relatively thin walls 20a and 20a on both sides can be supported from the inside direction, so that the support pins can be supported even if the pressure of the extruded material acts on the outer surface of the walls 20a and 20a during extrusion. Both ends of (13) support the walls 20a and 20a from the inside direction, whereby the deformation of the walls 20a and 20a is actively prevented.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pull out the core 12 by causing the support pin 13 to hang on the walls 20a and 20a when the hollow molding part 15 is rubbed against the core 12 and replaced. This avoids the occurrence of an avalanche and can make the disassembly of the core 12 smooth and smooth.

또한, 브릿지부(20)의 후단면과 뚜껑부재(25)의 전면에 서로 끼워맞추는 끼워맞춤오목부(34)(34)와 끼워맞춤볼록부(37)(37)가 설치되며, 그들 요철 끼워맞춤에 의해 뚜껑부재(25)는 브릿지부(20)의 후단면에 배치되도록 구성되어 있음으로서 뚜껑부재(25)를 용접으로 브릿지부(20)의 후부에 접합시켜 고정하는 경우에 비해 코어(12)의 교환시 뚜껑부재(25)의 해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In addition, fitting recesses 34 and 34 and fitting protrusions 37 and 37 are fitted to the rear end surface of the bridge portion 20 and the front surface of the lid member 25, and the recesses and protrusions thereof are provided. By the fitting, the lid member 25 is configured to be disposed on the rear end surface of the bridge portion 20, so that the core member 12 is bonded to the rear portion of the bridge portion 20 by welding to fix the core 12. ), The disassembly of the lid member 25 can be facilitated.

더욱이, 끼워맞춤용 오목부(34)(34) 및 상기 볼록부(37)(37)는 브릿지부 (20)의 후단면과 뚜껑부재(25)의 전면에 설치되도록 구성되어 있음으로서 압출중에 압출재료에 의한 불안정한 압력이 뚜껑부재(25)에 작용해도 상기 뚜껑부재(25)의 길이방향 중간부에 옆쪽으로의 본의 아닌 변형을 일으키는 것이 규제되므로 압출중에 뚜껑부재(9)의 위치어긋남이나 탈락의 염려도 없다.Furthermore, the fitting recesses 34 and 34 and the convex portions 37 and 37 are configured to be installed on the rear end surface of the bridge portion 20 and the front surface of the lid member 25 so as to extrude during extrusion. Even if an unstable pressure caused by the material acts on the lid member 25, it is regulated to cause an inadvertent deformation to the side in the longitudinal middle portion of the lid member 25, so that the displacement or dropping of the lid member 9 during extrusion is prevented. There is no worry.

특히, 지지핀(17)의 설치 위치를 높게 해서 코어(12)의 후단부가 유지구멍 (21)의 바깥쪽으로 돌출된 구조와의 결합에 있어서, 뚜껑부재(25)와 브릿지부(20)는 상기와 같은 상호 대향면 사이에서 요철 끼워맞춤 구조에 의해 끼워맞춤 조합됨으로서, 압출중에 뚜껑부재(25)의 길이방향 중간부 옆쪽으로의 변형이 강력하게 규제됨으로서 뚜껑부재(25)가 그 변형으로 인해 코어(12)의 외측 단부에 본의 아니게 간섭하는 것이 회피되어 압출중인 코어(12)의 손상ㆍ파손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In particular, in the engagement with the structure in which the mounting position of the support pin 17 is raised so that the rear end of the core 12 protrudes outward of the retaining hole 21, the lid member 25 and the bridge portion 20 are By the fitting combination by the uneven fitting structure between the mutually opposing surfaces such as, the deformation of the lid member 25 sideways in the longitudinal middle portion of the lid member 25 is strongly regulated during extrusion so that the lid member 25 has a core due to the deformation. Unintentional interference with the outer end of (12) is avoided, and damage and damage to the core 12 being extruded can be effectively prevented.

[제3 실시예]Third Embodiment

제3 실시예에 따른 다이스는 제10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어(12)의 측면에는 지지구멍으로 바꾸어 지지오목부(30)가 형성되고, 이 지지오목부(30)에는 지지핀(31)이 삽입배치되며 이 지지핀(31)으로 코어(12)를 지지 유지하도록 한 것이다.As shown in FIG. 10, the di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is formed in the support 12 in the side of the core 12 by a support hole, and the support pin 31 is formed in the support recess 30. The insertion is arranged to hold the core 12 with the support pin 31.

[제4 실시예][Example 4]

제4 실시예에 따른 다이스는 제1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어(12)에 좌우 2개의 지지구멍(16)(16)이 형성되고, 지지구멍(16)(16) 각각에 지지핀(13)(13)이 삽입 배치되고, 이들 2개의 지지핀(13)(13)으로 코어(12)를 지지하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이 2점 지지구조로 함으로서 지지상태를 매우 안정되게 할 수 있다. 또, 2점을 초과하는 지지구조로 구성해도 상관없다.As shown in FIG. 11, the die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has two support holes 16 and 16 formed in the core 12 and support pins (16) in each of the support holes 16 and 16. 13 and 13 are inserted to support the core 12 with these two support pins 13 and 13. In this way, the support state can be made very stable by using the two-point support structure. Moreover, you may comprise with the support structure more than two points.

상술한 전체 실시예 모두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명시하기 위한 것이라 인식하지 않으면 안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내라면 다른 여하한 설계적 변경도 허용되는 것이다. 예컨대 지지편의 경우 코어를 유지용금형의 유지구멍에 지지ㆍ유지시킬 수 있는 것이라면 그 형상 내지는 구조, 갯수 등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적절한 설계 변경이 가능하다.It should be recognized that all the above-described examples are intended to specify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any other design change is allow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in the case of the support piece, as long as the core can be supported and held in the holding hole of the holding mold, the shape, the structure, the number, and the like are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but appropriate design changes can be made.

상술한 대로 본 발명의 조합다이스는 지지핀 등의 지지편을 사용하며 이 지지편으로 코어를 유지용 금형의 유지구멍에 지지ㆍ유지시킨 것으로서 코어에는 지지구멍 또는 지지오목부를 가공하는 것만으로도 되기 때문에 코어에 대한 가공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분할타입의 웅형제작, 나아가서는 다이스의 제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다이스를 비용면에서도 유리하게 제작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combination die of the present invention uses a support piece such as a support pin, and the support piece supports and holds the core in the holding hole of the holding mold, and the core may be processed only by the support hole or the support recess. As a result, the core can be easily machined, and the male part of the split type can be easily manufactured, and further, the die can be easily manufactured, and the die can be advantageously manufactured in terms of cost.

또한, 유지용금형의 유지구멍 단부에 지지편을 지지시키고, 상기 지지편에 코어를 지지시킨 구조이기 때문에, 압출방향에서의 유지용 금형과 코어와의 적정한 상대 위치관계를 코어 등에 고정밀도의 정밀가공을 가하지 않더라도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어 코어 나아가서는 다이스의 제작 비용을 더 한층 절감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support piece is supported at the end of the retaining hole of the retaining mold and the core is supported by the support piece, an accurate relative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retaining mold and the core in the extrusion direction is achieved with high precision and the like. It can be easily set even without processing, further reducing the production cost of the die and the die.

아울러, 코어를 지지편으로 지지시켜 유지용 금형으로 지지시킨 구조이기 때문에, 압출중인 코어에 대한 응력집중의 완화를 용이하게 도모할 수 있으며, 강도적으로도 신뢰성 높은 웅형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core is supported by the support piece and supported by the holding mold, the stress concentration on the core being extruded can be easily reduced, and the shape of the bearing can be provided with high reliability.

따라서, 압출 도중에 코어에게 파손을 일으켜서 교환을 하는 횟수도 대폭적으로 절감할 수 있어 안정된 압출을 장기적으로 계속 수행할 수 있다.Therefore, the number of times of exchange by causing damage to the core during extrusion can be greatly reduced, and stable extrusion can be continued for a long tim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압출가공방법은 상기와 같은 압출다이스를 사용해서 압출을 하는 것이기 때문에 비용면에서도 유리하게 압출재의 압출가공을 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extrus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o be extruded using the above-described extrusion dice, it is possible to advantageously extrude the extruded material in terms of cost.

Claims (4)

중공재 외주부를 성형하는 자형과, 상기 중공재 중공부를 성형하는 웅형과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압출용 조합다이스에 있어서, 상기 웅형이 선단부에 중공성형부를 가짐과 동시에 측면부에 지지구멍 또는 지지오목부가 설치된 코어와, 상기 코어의 지지구멍 또는 지지오목부에 외부방향 돌출상태로 삽입배치되는 지지편과, 압출방향 후방측에 면한 지지용 단부를 가진 코어유지구멍이 형성된 코어유지용 금형을 구비하고, 상기 코어가 그 지지구멍 또는 지지오목부에 삽입배치된 코어지지편의 외부방향 돌출부를 유지용 금형유지구멍의 지지용 단부에 지지시킨 상태로 상기 금형의 유지구멍에 삽입배치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가공용 조합다이스.In a combination die for extrusion comprising a combination of a female shape for forming a hollow material outer periphery and a male shape for forming a hollow material hollow part, the male shape has a hollow molded part at the tip and a support hole or support recess part at a side part thereof. And a core holding mold having a support piece inserted into the support hole or the support recess of the core in an outwardly protruding state, and a core holding hole having a support end facing the rear side in the extrusion direction. The combination for extrusion process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insert is placed in the retaining hole of the mold while supporting the outward protrusion of the core support piece inserted into the support hole or the support recess portion at the support end of the retaining mold retaining hole. D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편이 코어유지구멍의 개구 위치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하거나, 또는 상기 개구 위치에 근접하여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가공용 조합다이스.The combination die for extrusion processing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upport piece protrudes outward from the opening position of the core holding hole or is disposed close to the opening position.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유지구멍이 코어유지용 금형의 재료도통구멍을 횡단하는 브릿지부에 대해 형성되고, 상기 브릿지부의 후단면과, 상기 브릿지부의 후부에 배치된 뚜껑부재의 전단면에 서로 끼워맞추는 요철이 설치되고, 상기 오목부와 볼록부의 끼워맞춤에 의해 뚜껑부재가 브릿지부의 후부에 고정상태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가공용 조합다이스.3. A core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core holding hole is formed with respect to the bridge portion crossing the material conduction hole of the core holding mold, and has a rear end surface of the bridge portion and a lid member disposed at the rear portion of the bridge portion. A combination die for extrusion processing, characterized in that irregularities are fitted to the front end face, and the lid member is fixed to the rear portion of the bridge portion by fitting the concave portion and the convex portion. 중공재 외주부를 성형하는 자형과, 상기 중공재 중공부를 성형하는 웅형과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압출용 조합다이스에 있어서, 상기 웅형이 선단부에 중공성형부를 가짐과 동시에, 측면부에 지지구멍 또는 지지오목부가 형성된 코어와, 상기 코어의 지지구멍 또는 지지오목부에 외부방향 돌출상태로 삽입배치되는 지지편과, 압출방향 후방측에 면한 지지용 단부를 가진 코어유지구멍이 형성된 코어유지용 금형을 구비하고, 상기 코어가 그 지지구멍 또는 지지오목부에 삽입배치된 코어지지편의 바깥쪽 돌출부를 유지용 금형 유지구멍의 지지용 단부에 지지시킨 상태로 상기 금형의 유지구멍에 삽입 배치된 조합다이스를 사용해서 압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가공방법.In the combination die for extruded combination consisting of a male shape for forming the outer peripheral portion of the hollow material and a male shape for forming the hollow material hollow portion, the male shape has a hollow molded portion at the front end and a support hole or support recess is formed at the side surface. And a core holding mold having a core, a support piece inserted into the support hole or the support recess of the core in an outwardly protruding state, and a core holding hole having a support end facing the rear side in the extrusion direction. The core is extruded using a combination die inserted into the holding hole of the mold in a state where the outer projection of the core support piece inserted into the supporting hole or the supporting recess is supported at the supporting end of the holding mold holding hole. Extrusion process, characterized in that.
KR1019930002854A 1992-02-27 1993-02-26 Combination dice for extrusion processing and extrusion processing KR100286124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2-41496 1992-02-27
JP4041496A JP2564069B2 (en) 1992-02-27 1992-02-27 Combination die for hollow material extrus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86124B1 true KR100286124B1 (en) 2001-04-16

Family

ID=126099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02854A KR100286124B1 (en) 1992-02-27 1993-02-26 Combination dice for extrusion processing and extrusion processing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564069B2 (en)
KR (1) KR100286124B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1964B1 (en) 2007-04-10 2008-06-27 김육중 Cast for product having uniform density
KR101240494B1 (en) 2011-06-17 2013-03-11 동화경금속공업(주) Extrustion molding enable to improve durability and abrasion resistance for aluminum tube
KR101240500B1 (en) 2011-06-17 2013-03-11 동화경금속공업(주) Extrusion die enable to minimize thickness deviation and welding lines
KR101369385B1 (en) 2012-11-13 2014-03-04 일심알맥스(주) Extrusion dies for a perforated tub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06000B2 (en) * 2007-08-24 2012-12-26 カヤバ工業株式会社 Variable displacement vane pump
JP5773586B2 (en) * 2010-06-30 2015-09-02 三菱アルミニウム株式会社 Extrusion die, extrusion die apparatus, and extrusion part manufacturing method
US8821147B2 (en) 2010-06-30 2014-09-02 Mitsubishi Aluminum Co., Ltd. Extrusion die devic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366344A (en) * 1940-10-21 1945-01-02 Aluminum Co Of America Extrusio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366344A (en) * 1940-10-21 1945-01-02 Aluminum Co Of America Extrusion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금속가공학(1981.5.20초판인쇄, 대한금속학회) p166~p168 *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1964B1 (en) 2007-04-10 2008-06-27 김육중 Cast for product having uniform density
KR101240494B1 (en) 2011-06-17 2013-03-11 동화경금속공업(주) Extrustion molding enable to improve durability and abrasion resistance for aluminum tube
KR101240500B1 (en) 2011-06-17 2013-03-11 동화경금속공업(주) Extrusion die enable to minimize thickness deviation and welding lines
KR101369385B1 (en) 2012-11-13 2014-03-04 일심알맥스(주) Extrusion dies for a perforated tub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564069B2 (en) 1996-12-18
JPH0623424A (en) 1994-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686344B (en) Internal groove insert and tool holder therefor
CA2090252C (en) Combination die assembly and a method of extrusion using the die assembly
JPH06315717A (en) Extrusion molding die and device for said die
KR100286124B1 (en) Combination dice for extrusion processing and extrusion processing
KR100286122B1 (en) Extrusion Die and Extrusion Process
US5337593A (en) Extrusion die and an extrusion method using same
KR100366529B1 (en) Dies for extrusion processing of extruded materials with fine holes
JP3763799B2 (en) Porthole dice
JP3763778B2 (en) Dies for extruding perforated tube material
JPH0525704B2 (en)
JP3014506B2 (en) Hollow Rice for Conform Extrusion
CN212703721U (en) Micro-miniature groove heat pipe extrusion die
JPH07124633A (en) Die for extruding hollow material
JP2564088B2 (en) Extrusion tool for simultaneous extrusion of multiple hollow materials
US4888906A (en) Fishing line guide
JP3742019B2 (en) Die for extrusion of hollow material
JP2564075B2 (en) Combination die for hollow material extrusion
JP2003191009A (en) Extrusion die for perforated tube
JP2564076B2 (en) Extrusion die
CN210080528U (en) Strip bending structure
CN111940534A (en) Micro-miniature groove heat pipe extrusion die
JP2602403B2 (en) Dies for simultaneous extrusion of multiple hollow materials
CN220028637U (en) Insert splicing structure
JPH11129024A (en) Hollow material extruding die of divided type
JP2001191109A (en) Extruding die for hollow material, and mandrel for extruding di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108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