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85669B1 - 가스터빈의 인터스테이지 실 정렬장치 - Google Patents

가스터빈의 인터스테이지 실 정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85669B1
KR100285669B1 KR1019980053705A KR19980053705A KR100285669B1 KR 100285669 B1 KR100285669 B1 KR 100285669B1 KR 1019980053705 A KR1019980053705 A KR 1019980053705A KR 19980053705 A KR19980053705 A KR 19980053705A KR 100285669 B1 KR100285669 B1 KR 1002856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l
interstage seal
gas turbine
interstage
adju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537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38640A (ko
Inventor
김팔중
주성종
김종영
김장명
Original Assignee
김형국
한전기공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형국, 한전기공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형국
Priority to KR10199800537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85669B1/ko
Publication of KR200000386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386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56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5669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CGAS-TURBINE PLANTS; AIR INTAKES FOR JET-PROPULSION PLANTS; CONTROLLING FUEL SUPPLY IN AIR-BREATHING JET-PROPULSION PLANTS
    • F02C7/00Features, component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orm groups F02C1/00 - F02C6/00; Air intakes for jet-propulsion plants
    • F02C7/28Arrangement of sea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DNON-POSITIVE 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e.g. STEAM TURBINES
    • F01D11/00Preventing or minimising internal leakage of working-fluid, e.g. between stages
    • F01D11/003Preventing or minimising internal leakage of working-fluid, e.g. between stages by packing rings; Mechanical sea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DNON-POSITIVE 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e.g. STEAM TURBINES
    • F01D9/00Stators
    • F01D9/02Nozzles; Nozzle boxes; Stator blades; Guide conduits, e.g. individual nozzles
    • F01D9/023Transition ducts between combustor cans and first stage of the turbine in gas-turbine engines; their cooling or seal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Length Measuring Devices With Unspecified Measuring Means (AREA)
  • Mechanical Sea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스터빈의 로터를 감싸고 있는 인터스테이지 실(Interstage Seal)을 정렬(Alignment)시키기 위한 가스터빈의 인터스테이지 실 정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크게 블래드 링의 설치상태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의 터빈 어퍼 실린더에 설치하던 것을 조립 상태와 동일한 조건으로 설치할수 있는 스탠드와, 측정 포인트의 선정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의 블래드 링 페이스 실 조립부의 그루브에서 인렛 실 까지의 거리를 측정하여 상, 하 및 좌, 우 편차를 보상하던 것을 지그 형태의 정렬장치를 통하여 해결하였다.
상기 정렬장치는 다이알 게이지를 회전시키는 축이 인터스테이지 실 하우징의 내면을 기준으로 회전하면서 블래드 링 세그먼트 까지의 거리를 측정하여 각 단에서의 팁 클리어린스와 실 클리어린스를 비교 측정하여 정렬하므로서 디스크 캐비티의 온도편차가 발생하지 않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가스터빈의 인터스테이지 실 정렬장치
본 발명은 가스터빈의 로터를 감싸고 있는 인터스테이지 실(Interstage Seal)을 정렬(Alignment)시키기 위한 가스터빈의 인터스테이지 실 정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스터빈은 케이싱의 선단으로 부터 터빈의 출력에 따라 각도가 변하면서 연소용 공기의 흡입량을 조절하는 IGV(Inlet Guide Vane)와, 흡입된 공기를 압축하여 분사시키는 압축기와, 압축기로 부터 분사되는 공기와 연료탱크에서 공급되는 연료를 폭발시켜 구동원인 고압의 압축가스를 생성하는 연소기 및, 회전체인 로터가 내장되어 있다.
또한, 연소기 내에는 생성된 고압가스의 속도와 압력을 조절해 주는 벤츄리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벤츄리에서 공급된 고압의 가스는 노즐에 의해서 안내된뒤 베인(Vane)에 분사되어 상기 로터를 고속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이중, 로터의 외측에는 베인(Vane) 측으로 부터 상기 로터로 유입되는 고열의 가스를 차단하고 보호하기 위하여 인터스테이지 실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인터스테이지 실의 기능은 다음과 같다.
즉, 터빈 2, 3, 4단의 블래드 링 어셈브리(Blade Ring Assembly)를 통해서 쿨링 에어(Cooling Air)가 공급되는데, 이 쿨링 에어는 각 단의 터빈로터와 베인(Vane) 사이로 유입되는 고온의 유동 가스가 들어오지 못하도록 디스크 캐비티 인터스테이지 실 리젼(Disc Cavity Interstage Seal Region)을 가압하여 적당한 주위온도를 유지시켜 주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상기 인터스테이지 실의 클리어린스(Clearance)가 잘못 조절되면 운전시 다음과 같은 현상들이 발생한다.
즉, 터닝시에는 터닝모터에 오버 컬런트(Over Current)가 발생하고, 운전시에는 실린더의 불균일한 팽창에 의해 진동이 발생하며, 정지시에는 인터스테이지 실이 브레이크 작용을 하여 터빈로터의 정지속도를 급격히 감소시킨다.
또한, 각 단 사이의 디스크 캐비티 온도편차를 보상하기 위하여 쿨링 에어라인에 설치된 오리피스(Orifice)의 크기를 변화시켜 주고 있는데, 이는 온도의 변화가 불규칙하게 변하므로 오리피스를 여러차례 반복해서 교체해 주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따른다.
그러나, 정비를 완료한 후에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운전을 한다 하더라도 디스크 캐비티의 온도상승 및 좌, 우 편차가 심하게 발생하고, 운전중에는 러빙(Rubbing)이 발생한다.
또한, 디스크 캐비티의 온도가 변화하는 요인으로는
첫째, 대기 온도차에 의한 공기밀도의 변화를 들수 있고,
둘째, 전술한 IGV의 각도변화에 의한 공기유입량의 감소 또는 증가를 들수 있으며,
셋째, 인터스테이지 실 스트립(Interstage Seal Strip)의 과다마모, 인터스테이지 사이드 실링 플레이트(Interstage Side Sealling Plate)의 마모, 인터스테이지 실 조립시 로터와 실 간의 정렬 문제에 의한 비정상적인 냉각공기의 유출 등을 들수 있다.
이러한 요인들중 대기온도의 영향은 가스터빈의 운전상 영향이 미미(설계상 이미 고려되었슴)하고, IGV의 각도변화에 의한 것도 운전중 쉽게 조절할수 있기 때문에 가스터빈의 운전에는 별 문제가 없으나, 인터스테이지 실의 교체를 못했거나 인터스테이지 실의 조절시 정렬이 잘못되었을 경우에는 정비를 다시 할수도 없는 상황이여서 그대로 운전을 할수 밖에 없다.
통상, 인터스테이지 실은 블래드 링 어셈브리의 베인 세그먼트(Vane Segment)에 동심으로 조립되어 터빈 실린더에 설치된다.
인터스테이지 실과 블래드 링 어셈브리는 한 몸체가 되어 회전하는데, 로터측에 설치된 무빙 블래드의 팁 클리어린스(Tip Clearance)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블래드 링 어셈브리를 움직인다.
이때, 인터스테이지 실 하우징과 블래드 링 어셈브리가 잘못 정렬되어 있다면 인터스테이지 실의 클리어린스는 편차가 발생한다.
또한, 정렬상태가 심한 불량일 경우에는 무빙 블래드의 팁 클리어린스를 조절할수 없게 된다.
그러므로, 인터스테이지 실 하우징과 블래드 링 어셈브리와의 정렬은 정확하게 유지되어야만 한다.
종래의 정렬방식은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터빈의 어퍼 실린더(Upper Cylinder)를 뒤집어서 고정한 후 블래드 링 어셈브리(10)와 인터스테이지 실 하우징(20)을 설치하고, 블래드 링 어셈브리의 중심을 기준으로 하여 인터스테이지 실 하우징의 중심을 일치시키는데, 도면에서와 같이 블래드 링(11)의 페이스 실(Face Seal,30) 조립부(12)와 인터스테이지의 인렛 실(Inlet Seal,22)과의 거리를 600mm 버니어 캘리퍼스로 측정하여 상부와 하부의 거리 편차만큼 보상하고, 좌측과 우측의 거리 편차만큼 보상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던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방법은 블래드 링 어셈브리(10)의 설치상태와 측정 포인트의 선정 및 측정장비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여러 가지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즉, 블래드 링 어셈브리(10)의 설치상태에 따른 문제점으로는
첫째, 블래드 링 어셈브리(10)의 크기는 외경에 비해 폭이 작으므로 지지점에 따라 심한 변형이 발생하고, 또한 블래드 링 어셈브리가 터빈의 실린더에 조립될 때 블래드 링 어셈브리의 상, 하 접합부에 위치한 서포트를 통하여 좌측과 우측에서 지지된다.
그런데, 정렬시에는 하부의 한 곳에서 지지되므로 정상적으로 조립되어 있는 상태와는 달리 블래드 링 어셈브리의 변형량이 다르게 된다.
둘째, 터빈의 어퍼 실린더를 턴 오버(Turn Over)시켜야 하는데 터빈의 실린더 중량이 무거워서 안전사고를 일으킬수 있다.
셋째, 터빈 실린더의 형상이 반듯하지 않아 측정자세가 불안정하므로 측정오차가 발생할 염려가 있다.
또한, 측정 포인트의 선정에 따른 문제점으로는
첫째, 블래드 링 세그먼트(40)의 중심과 블래드 링 페이스의 실 조립부(12)에 형성된 그루브(Groove)의 중심이 일치한다고 보장할수 없다.
둘째, 인터스테이지 실 하우징(20)에서 인렛 실(12) 측이 블래드 링 세그먼트(40)와 가장 먼 곳이기 때문에 인터스테이지 실 하우징과 블래드 링(11)이 어긋난 각도로 조립되어 있다면 블래드 링 세그먼트에서는 큰 편차를 일으킨다.
셋째, 블래드 링의 형상이 진원이 아니고 수평방향 보다 수직방향이 약 2mm 정도 큰 계란형인데, 상부, 하부, 좌측, 우측의 각 ″1″ 포인트 만을 선정하기 때문에 정확한 대칭점을 찾아야 하고, 전 원주에 걸쳐 정렬상태를 알기가 어렵다.
그리고, 측정장비의 선정에 따른 문제로는
첫째, 정렬의 기준 한계치가 ±0.005mm인데 비하여 버니어 캘리퍼스의 레인지(Range)는 0.05mm 이므로 정확한 측정이 불가능하다.
둘째, 인터스테이지 인렛 실 부의 버니어 캘리퍼스 조오의 삽입깊이는 약 3mm 정도이고, 블래드 링의 페이스 실(30) 조립부(12)의 삽입깊이는 약 25mm정도인데 버니어 캘리퍼스 조오의 삽입깊이에 따라 측정오차가 발생한다.
이와 같은 원인에 의해 예방정비시 블래드 링 어셈브리와 인터스테이지 실 하우징이 정상적으로 설치가 되지 않아 인터스테이지 실의 마모, 무빙 블래드 링 록크 실 플레이트 고정볼트의 손상이 발생하고, 불안정한 상태로 운전되므로 대 고객의 정비 신뢰도 및 정비품질의 불량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기술적인 과제는 조립상태와 동일한 조건으로 설치할수 있는 스탠드를 설치하여 블래드 링의 설치상태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고, 지그형태의 정렬장치를 통하여 측정 포인트의 선정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할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1은 가스터빈에서 인터스테이지 실 부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탠드의 개략적인 사사도
도 3은 본 발명의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정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블래드 링 어셈브리 11 : 블래드 링
20 : 인터스테이지 실 하우징 21 : 인터스테이지 실
40 : 링 세그먼트 50 : 스탠드
51 : 받침판 52 : 포스트
53 : 지지바 60 : 콘넥션 보디
70,70' : 어져스트 바 80 : 콘넥터
90,90' : 샤프트 100 : 롤러
101 : 돌출부 110 : 베어링
130 : 바 140 : 다이알 게이지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크게 블래드 링의 설치상태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의 터빈 어퍼 실린더에 설치하던 것을 조립 상태와 동일한 조건으로 설치할수 있는 스탠드와, 측정 포인트의 선정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의 블래드 링 페이스 실 조립부의 그루브에서 인렛 실 까지의 거리를 측정하여 상, 하 및 좌, 우 편차를 보상하던 것을 지그 형태의 정렬장치를 통하여 해결하였다.
상기 정렬장치는 다이알 게이지를 회전시키는 축이 인터스테이지 실 하우징의 내면을 기준으로 회전하면서 블래드 링 세그먼트 까지의 거리를 측정하여 각 단에서의 팁 클리어린스와 실 클리어린스를 비교 측정하여 정렬하므로서 디스크 캐비티의 온도편차가 발생하지 않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측정 포인트의 선정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정렬방법을 적용할수 있다.
레벨 트랜스잇(Level Transit)을 하는 경우 : 흔히 토목공사에서 높이를 측정하는 장비로 최소한 4곳을 측정해야 하는데 측정장치를 옮기면서 서로 비교 측정해야 하기 때문에 불편하고, 측정점에 막대자를 부착해야 하는 관계로 적용이 어렵다.
레이져 레벨 측정장비 : 기준이 되는 블래드 링 세그먼트가 테이퍼형이라 기준을 설정하기가 쉽지 않고, 인터스테이지 실의 내경과 블래드 링의 내경 차이가 커서 적용하기가 까다롭다.
또한, 장비 자체가 고가이고, 취급하는데 전문성을 요구한다.
스트레이트 에지(Straight Edge) : 이 방법은 실 스트립의 여러 개 중에서 가장 긴 부위를 ″0″포인트 로 설정하기 때문에 실의 마모량에 따른 차이에 의해 스트레이트 에지의 설치위치(″0″포인트)에서 실의 마모량 만큼 오차가 발생한다.
그리고, 4개의 스트레이트 에지를 인터스테이지 실 하우징에 90°간격으로 설치해야 하는데 블래드 링의 형상이 계란형이어서 정확한 간격으로 설치해야 한다.
또한, 스트레이트 에지와 블래드 링 세그먼트 사이의 거리를 측정할 때 정확한 수선위치를 찾기 어려워 측정오차가 발생하고,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그리고, 스트레이트 에지의 설치각도에 따라 편차가 생길수 있는데 스트레이트 에지를 인터스테이지 실 하우징에 직각 방향으로 설치하기가 어렵고, 또한 확인하기도 곤란하다.
아울러, 전 원주에 걸쳐서 인터스테이지 실 하우징과 블래드 링 까지의 거리를 측정하기 어렵다.
워터 레벨(Water Level) 이용법 : 정확도가 떨어지고, 실 정렬에 적용할수 없다.
피아노선 측정법 : 피아노선을 블래드 링 센터에 설치하는데 있어서 기준점을 선정할 곳이 없기 때문에 적용하기가 힘들고, 부대장비가 많다.
다이알 게이지 이용법 : 측정 소요시간이 짧고, 전 원주에 걸쳐 측정이 가능하다.
그러나, 인터스테이지 실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기준선을 따라 다이알 게이지가 회전할수 있어야 한다.
더미 샤프트(Dummy Shaft)를 이용한 측정법 : 측정이 편리하고, 측정시간이 짧다.
그러나, 더미 샤프트를 블래드 링 센터에 설치하는 시간이 필요하고, 크기가 거대하며, 중량이 클 뿐만 아니라 각각 스테이지에 맞는 크기를 제작해야 하고, 보관이 어렵다.
상기한 정렬방법 들을 그대로 실 정렬에 적용하기는 힘들다.
실 정렬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측정이 편리하고, 오차가 적을뿐더러 정렬 절차가 단순하여 계획 예방정비의 공정에 지장을 주지 말아야 한다.
다이알 게이지를 이용한 방법은 그 중의 한 가지 인데 다이알 게이지를 기준선에서 회전시킬수 있어야 한다.
그 첫 번째 방법은 다이알 게이지를 회전시킬수 있는 축을 인터스테이지 실의 중심에 넣은 방법이 있고, 두 번째 방법으로는 다이알 게이지를 회전시킬수 있는 축이 인터스테이지 실 하우징의 내경면을 따라 구르게 하는 방법이 있다.
그런데, 첫 번째 방법은 축을 인터스테이지 실의 내경 중심에 맞추는 정렬 절차가 필요하기 때문에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그래서 두 번째 방법인 다이알 게이지를 회전시킬수 있는 축이 인터스테이지 실 하우징의 내면을 기준선으로 하여 회전하면서 블래드 링 세그먼트 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는 방식을 채택하였다.
또한, 측정장비의 선정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측정 소요시간이 짧고 전 원주에 걸쳐 측정이 가능한 다이알 게이지를 사용하였다.
이하에서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크게 위치이동이 가능하며 블래드 링 어셈브리의 양측에 위치하여 상기 블래드 링 어셈브리를 조립시와 동일한 조건으로 고정시키는 2개의 스탠드와, 인터스테이지 실 하우징의 내경면에 설치되어 축이 인터스테이지 실 하우징의 내경면을 기준으로 회전하면서 블래드 링 세그먼트 까지의 거리를 측정하여 각 단에서의 팁 클리어린스와 실 클리어린스를 비교 측정하는 정렬장치로 나누어 진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탠드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스탠드(50)는 평판형의 받침판(51)과, 상기 받침판의 중앙에 입설되며 그 상단이 블래드 링 어셈브리(10)의 중심보다 상측에 위치하는 포스트(52) 및, 상기 받침판의 모서리로 부터 포스트의 상단 사이에 연결되어 포스트를 지지해 주는 복수개의 지지바(53)로 구성된다.
평판형의 받침판(51)은 충분한 강도와 크기를 갖으며 지면에 평행하게 안착된다.
포스트(52)는 받침판의 중앙에 입설되며 그 상단이 블래드 링 어셈브리(10)의 중심선 보다 상측에 위치하게 된다.
복수개의 지지바(53)는 받침판의 모서리로 부터 포스트의 상단 사이에 경사지게 연결되어 상기 포스트를 지지해 주게 된다.
상기 받침판과 포스트 및 지지바는 모두 금속재로 용접을 통하여 접합되며, 포스트와 지지바는 H-형강이 사용된다.
도 3은 정렬장치의 측단면도이고, 도 4는 설치상태를 나타낸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정렬장치는 장치의 중심에 위치하는 콘넥션 보디(60)와;
상기 콘넥션 보디의 주연에 동일한 각도를 두고 길이조절이 가능하게 연결되는 복수개의 어져스트 바(70,70')와;
상기 어져스트 바(70,70')의 단부에 길이조절이 가능하게 연결되는 링 형상의 콘넥터(80)와;
상기 콘넥터에 끼워져 어져스트 바(70,70')와 직교하는 샤프트(90,90')와;
상기 샤프트(90,90')에 베어링(110)을 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축설되며 인터스테이지 실 하우징(20)의 내경면과 구름 접촉하는 롤러(100)와;
상기 일측의 샤프트(70')에 베어링(120)을 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바(130) 및;
상기 바에 설치되어 그 측정자가 블래드 링 세그먼트(40)와 접촉하는 다이알 게이지(140); 로 구성된다.
콘넥션 보디(60)는 내부가 찬 너트 형상으로서 3방향 이상의 동일한 대칭면을 갖는 6각형으로 형성된다.
복수개의 어져스트 바(70,70')는 콘넥션 보디의 3개의 대칭면에 서로 동일한 각도를 두고 방사상으로 연결된다.
이중, 2개의 어져스트바(70)는 그 양단에 나사부가 일체로 형성되고, 이중 일측의 나사부가 콘넥션 보디(60)의 대칭면에 부착된 너트체(150)와 나사 결합된다.
나머지 1개의 어져스트 바(70')는 그 일단에만 나사부가 형성되고, 이 나사부가 콘넥션 보디의 대칭면에 부착된 또다른 너트체(150)와 나사 결합된다.
링 형상의 콘넥터(80)는 그 주연의 상기 너트체와 마주보는 위치에 각각 너트체(150)와 부시(160)가 부착되고, 너트체(150)가 부착된 2개의 콘넥터(80)에는 어져스트 바(70)의 나사부가 결합되며, 부시(160)가 부착된 1개의 콘넥터(80)에는 어져스트 바(70')의 비나사부가 끼워진다.
이때, 어져스트 바(70')와 부시(160) 사이에는 스프링(170)이 탄설된다.
따라서, 콘넥터(80)를 고정시킨채 상기 어져스트 바(70,70')를 회전시키면 너트체(150)와의 나사 결합에 의해 어져스트 바(70,70')는 길이 방향으로 신축된다.
샤프트(90,90')는 콘넥터(80)에 끼워져 고정되며, 어져스트 바(70') 측의 길이가 길게 형성된다.
롤러(100)는 콘넥터(80)의 양측으로 돌출된 샤프트(90,90')에 베어링(110)과 함께 축설되며 그 주연에는 인터스테이지 실 하우징(20)의 내경면과 구름 접촉하는 돌출부(101)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돌출부(101)는 인터스테이지 실 하우징(20)과의 접촉시 과다한 마모를 방지하기 위하여 열처리 등으로 경도를 높힌다.
바(130)는 샤프트(90')의 일측에 베어링(120)을 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다이알 게이지(140)는 통상의 것으로서 상기 바(130)에 설치되어 샤프트(90')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며, 그 측정자가 블래드 링 세그먼트(40)와 접촉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동작 및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2개의 스탠드(50) 사이에 블래드 링 어셈브리(10)를 2개의 스탠드(50) 사이에 안착시켜 조립시와 동일한 상태로 고정시킨다.
그리고, 정렬장치의 어져스트 바(70,70')를 각 단의 크기에 맞는 것으로 조립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정렬장치를 인터스테이지 실 하우징(20)의 내측에 삽입하여 각각의 롤러(100)를 인터스테이지 실(21)의 내경면과 접촉시킨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정렬장치를 회전시키면서 정해진 측정점의 내경을 다이알 게이지(140)로 측정하여 링 세그먼트(40)와 무빙 블래드 사이의 틈새인 팁 클리어린스(Tip Clearance)와, 인터스테이지 실(21)과 로터 사이의 틈새인 실 클리어린스(Seal Clearance)를 각 단별로 비교 측정한다.
상기와 같은 동작을 통하여 팁 클리어린스의 레프트와 라이트의 편차를 알수 있고, 또한 실 클리어린스의 롱(Long), 쇼트(Short), 인렛(Inlet)의 레프트와 라이트의 편차를 알수 있으므로 그 편차에 따라 블래드 링 어셈브리(10)의 위치를 조정하여 팁 클리어린스와 실 클리어린스를 정렬하면 된다.
상기 동작중, 어져스트 바(70')에 탄설된 스프링(170)은 인터스테이지 실 하우징(20)의 내경면이 진원이 아니므로 그 내경면의 상태에 따라 탄력적으로 압축 및 팽창하면서 롤러(100)를 내경면에 탄력적으로 구름 접촉시켜 정렬장치의 회전을 원할하게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블래드 링 어셈브리를 조립 상태와 동일한 조건으로 설치할수 있는 스탠드를 포함하는 지그형태의 정렬장치를 사용하여 다이알 게이지를 회전시키는 축이 인터스테이지 실 하우징의 내면을 기준으로 회전하면서 블래드 링 세그먼트 까지의 거리를 측정하여 각 단에서의 팁 클리어린스와 실 클리어린스를 비교 측정한 후 정렬하므로서 디스크 캐비티의 온도편차가 발생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가스터빈의 계획 예방정비에 적용하므로서 신뢰성 높은 정비기법으로 인해 안정된 가스터빈의 운전이 가능하고, 또한 경상 정비시에는 관련기기의 문제점이 감소되어 정비시간의 단축과 정비기술의 향상에 기여할수 있는 것이다.

Claims (6)

  1. 평판형의 받침판(51)과, 상기 받침판의 중앙에 입설되며 그 상단이 블래드 링 어셈브리(10)의 중심보다 상측에 위치하는 포스트(52) 및, 상기 받침판의 모서리로 부터 포스트의 상단 사이에 연결되어 포스트를 지지해 주는 복수개의 지지바(53)로 구성되는 2개의 분할된 스탠드(50)를 포함하며;
    장치의 중심에 위치하는 콘넥션 보디(60)와;
    상기 콘넥션 보디의 주연에 동일한 각도를 두고 길이조절이 가능하게 연결되는 복수개의 어져스트 바(70,70')와;
    상기 어져스트 바(70,70')의 단부에 길이조절이 가능하게 연결되는 링 형상의 콘넥터(80)와;
    상기 콘넥터에 끼워져 어져스트 바(70,70')와 직교하는 샤프트(90,90')와;
    상기 샤프트(90,90')에 베어링(110)을 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축설되며 인터스테이지 실 하우징(20)의 내경면과 구름 접촉하는 롤러(100)와;
    상기 일측의 샤프트(70')에 베어링(120)을 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바(130) 및;
    상기 바에 설치되어 그 측정자가 블래드 링 세그먼트(40)와 접촉하는 다이알 게이지(140); 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터빈의 인터스테이지 실 정렬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탠드(50)의 포스트(52)는 받침판(51)의 중앙에 입설되며 그 상단이 블래드 링 어셈브리(10)의 중심선 보다 상측에 위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터빈의 인터스테이지 실 정렬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어져스트바(70)는 그 양단에 나사부가 일체로 형성되고, 이중 일측의 나사부가 콘넥션 보디(60)의 대칭면에 부착된 너트체(150)와 나사 결합되며, 나머지 1개의 어져스트 바(70')는 그 일단에만 나사부가 형성되어 이 나사부가 콘넥션 보디의 대칭면에 부착된 또다른 너트체(150)와 나사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터빈의 인터스테이지 실 정렬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콘넥터(80)는 그 주연의 상기 너트체와 마주보는 위치에 각각 너트체(150)와 부시(160)가 부착되고, 너트체(150)가 부착된 2개의 콘넥터(80)에는 어져스트 바(70)의 나사부가 결합되며, 부시(160)가 부착된 다른 1개의 콘넥터(80)에는 어져스트 바(70')의 비나사부가 끼워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터빈의 인터스테이지 실 정렬장치.
  5. 제 1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어져스트 바(70')와 부시(160) 사이에는 스프링(170)이 탄설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터빈의 인터스테이지 실 정렬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100)는 콘넥터(80)의 양측으로 돌출된 샤프트(90,90')에 베어링(110)과 함께 축설되며 그 주연에는 인터스테이지 실 하우징(20)의 내경면과 구름 접촉하는 돌출부(101)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터빈의 인터스테이지 실 정렬장치.
KR1019980053705A 1998-12-08 1998-12-08 가스터빈의 인터스테이지 실 정렬장치 KR1002856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3705A KR100285669B1 (ko) 1998-12-08 1998-12-08 가스터빈의 인터스테이지 실 정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3705A KR100285669B1 (ko) 1998-12-08 1998-12-08 가스터빈의 인터스테이지 실 정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8640A KR20000038640A (ko) 2000-07-05
KR100285669B1 true KR100285669B1 (ko) 2001-04-02

Family

ID=195618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53705A KR100285669B1 (ko) 1998-12-08 1998-12-08 가스터빈의 인터스테이지 실 정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8566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9605B1 (ko) * 2013-01-03 2014-08-13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가스터빈의 블레이드 링 센터링 장치
KR20180079908A (ko) * 2017-01-03 2018-07-11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터빈 블레이드 링 정렬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9605B1 (ko) * 2013-01-03 2014-08-13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가스터빈의 블레이드 링 센터링 장치
KR20180079908A (ko) * 2017-01-03 2018-07-11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터빈 블레이드 링 정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8640A (ko) 2000-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28181B2 (en) Alignment of machine components within casings
US4604030A (en) Compressor with variable incidence stator vanes
CN1936494B (zh) 检查涡轮机喷嘴扇形件的方法和设备
US20090165540A1 (en) Method for measuring blade tip clearance
US10202859B2 (en) Axial turbomachine blade with platforms having an angular profile
JP7362307B2 (ja) 回転機器のためのシャフト中心線整列システム
CN211178310U (zh) 一种发动机转子综合测量平台
CN110785551B (zh) 用于组装涡轮机的方法
US20140044582A1 (en) Scroll compressor having adjustable spacers
KR960004209B1 (ko) 터어빈 블레이드의 장착방법
CA2709938A1 (en) Apparatus for measuring blade tip clearance
KR100285669B1 (ko) 가스터빈의 인터스테이지 실 정렬장치
US8764384B2 (en) Joint for housing alignment
US20070094880A1 (en) Nozzle seal slot measuring tool and method
US20170074120A1 (en) Device for positioning an inspection tool
KR101438107B1 (ko) 가스터빈엔진의 구동부 및 피동부 로터의 개별적 정렬상태 측정용 장치
US20170173708A1 (en) Portable milling tool with method for turbomachine milling
CN114000925B (zh) 一种膨胀导向结构、膨胀导向系数计算方法及汽缸
CN115977749A (zh) 用于测量涡轮机中的角度的系统和方法
US8011110B2 (en) Centering mechanism
US11400527B2 (en) System and method for machining a slot in an inner surface of a casing for a gas turbine engine
CN113059515A (zh) 航空发动机涡轮叶片叶冠弦宽的测量夹具及测量方法
US11661864B2 (en) Turbine casing, gas turbine, and aligning method
EP3675336A1 (en) Device and method for surface inspection of a wedge for fixing a bar of a generator
FR3112364A1 (fr) Témoin d’usure pour une turbomachine, turbomachine équipée d’un tel témoin d’usure, et procédé de mesure d’un jeu entre la périphérie externe d’une roue aubagée et un revêtement abradable dans une telle turbo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7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6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7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6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3

Year of fee payment: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6

Year of fee payment: 1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