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85574B1 - 자동 취사기 쌀 공급장치의 개폐변 - Google Patents

자동 취사기 쌀 공급장치의 개폐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85574B1
KR100285574B1 KR1019980053152A KR19980053152A KR100285574B1 KR 100285574 B1 KR100285574 B1 KR 100285574B1 KR 1019980053152 A KR1019980053152 A KR 1019980053152A KR 19980053152 A KR19980053152 A KR 19980053152A KR 100285574 B1 KR100285574 B1 KR 1002855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ce
cooker
ball
opening
h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531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38243A (ko
Inventor
임현덕
이해규
Original Assignee
조기형
라니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기형, 라니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조기형
Priority to KR10199800531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85574B1/ko
Publication of KR200000382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382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55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557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14Cooking-vessels for use in hotels, restaurants, or cantee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4Cooking-vessels with integral electrical hea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 취사기 쌀 공급장치의 개폐변에 관한 것으로, 취사기의 쌀 공급 통로가 구비된 뚜껑의 내부에 원통형 공급구가 일체이며 고정홈을 형성한 볼이 회전 가능하게 내장되고, 상기 볼의 고정홈에 열전도봉을 결합하여 전원을 공급받아 발열하는 PTC의 열에 의해 볼이 가열되도록함과 동시에 내부뚜껑에도 히타를 설치하여 내부뚜껑도 취사기의 내부온도와 비슷한 온도로 가열함으로써 취사시에 생기는 수증기가 보온 모드일 때 취사기 내부뚜껑의 저면에 수결되지 않도록 하여 보온의 상태로 남아있는 밥이 빨리 변색이 되거나 쉽게 상하지 않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 취사기 쌀 공급장치의 개폐변
본 발명은 자동 취사기 쌀 공급장치의 개폐변에 관한 것으로, 특히 쌀 저장고로 부터 쌀흐름부를 거쳐 공급받은 쌀을 세척 용기에서 세척한 후 볼 밸브에 의해 개폐되는 쌀 공급 통로를 통해 취사기로 공급하도록 함으로써 간단한 구성에 의해 쌀의 공급이 안정되게 행하여지면서 취사기의 뚜껑이 증기에 손상되거나 냄새가 나는 현상을 방지함과 동시에 PTC(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와 히터에 의해 볼과 내부뚜껑을 가열시켜 취사후 내부뚜껑의 저면에 수증기가 수결되지 않도록하여 취사기 내에 보온의 상태로 남아있는 밥이 빨리 변색이 되거나 쉽게 상하지 않도록 한 자동 취사기 쌀 공급장치의 개폐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가정에서는 쌀통에 쌀을 보관한 상태에서 밥짓기를 하기 위하여 쌀통의 쌀을 추출하여 사람이 직접 씻어서 밥솥에 넣고 열을 가하면서 취사를 수행하여야 하였음은 이미 잘 알려진 사실이다.
그리고 쌀을 사람이 직접 세척하여서 밥솥에 넣은 후 밥물을 조절하면서 취사를 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취사 방법에 의하여서는 사람이 직접 쌀을 씻는 과정 중에 너무 세게 세척하면 쌀눈이 없어져서 귀중한 영양분을 버리게 되거나 쌀이 부서지는 단점이 있으며, 시각과 감각에 의해 감각적으로 밥물을 조절하는 상태이므로 사람의 수가 변할경우 취반량을 적절히 변화시킬 수 없음은 물론 적절한 물량의 조절도 어려워 된밥, 진밥 또는 보통밥의 종류에 따른 밥맛을 내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최근에는 맞벌이 부부나 외출 등으로 인해 제때에 밥을 할 수 없는 경우가 많이 발생하므로 밥을 자동으로 할 수 있도록 한 자동 취반기를 개발하고 있다.
그리하여 본 출원인은 1996년 4월 29일자 특허출원 제 96-13499호(전자동 취사 장치)를 제안하였는 바, 이는 도 1에 도시한 것과 같이 경사면(12)이 내부에 형성된 쌀 수납부(1)의 쌀통(11)의 내부에 음이온 발생기(13)를 설치하여 코로나 방전에 의해 음이온을 발생시켜 장시간 보관시에도 벌레가 생기지 않도록 하고,
상기 쌀통(11)의 하단 토출구(14)의 내부에는 계량 모터(21)에 의해 90°씩 회전하며 격벽(23)에 의해 4 등분으로 구획된 계량부(2)의 계량 용기(22)의 수납홈(24)에는 1 인분 씩의 쌀이 담겨지도록 하여 90°씩 회전하는 상태에 의해 1 인분씩의 쌀이 하향 공급되도록 하고,
상기 계량부(2)로 부터 공급되는 쌀은 위쪽의 고정판(30)의 결합 요홈(30a)에 결합 돌기(38)가 결합되는 세척부(3)의 세척 용기(31)로 공급되도록 하고,
상단 배수구(32)와 하단 배수구(33)가 형성된 상기 세척 용기(31)의 개구된 저면(34)과 접하는 개구부(37)가 일체인 회전판(36)이 세척 모터(35)에 의해 회전하도록 하여 선택적으로 개방되어 내부의 쌀이 하향 이동하도록 하고,
다수의 배수구(42)가 형성된 배수부(4)의 배수판(41)에는 상기 세척 용기(31)의 개구된 저면(34)과 접하는 쌀 공급구(43)를 상협하광으로 돌출형성하여 밑면이 경사지게 형성된 배수 용기(44)의 쌀 공급공(45)을 통하여 돌출되도록 하고,
상기 배수판(41)의 쌀 공급구(43)의 상협하광 형의 외면에 돌기(43a, 47a)와 요홈(43b, 47b)에 의해 이탈이 방지되게 캡(47)을 결합하여 취사부(5)의 전용 취사기(51)의 뚜껑(52)에 형성한 곡면(53)에 밀리면서 승하강하여 하향 이동하는 쌀의 누출을 방지토록 하고,
상기 배수 용기(44)의 일측에는 배수구(46)를 형성하여 쌀을 세척한 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하고,
상기 세척부(3)의 세척 용기(31)에서 배수판(41)의 쌀 공급구(43)를 통하여 하향 공급되는 쌀은 전용 취사기(51)의 뚜껑(52)에 취사 모터(54)에 의해 회전하는 중에 개폐되는 볼 밸브(55)를 통하여 선택적으로 전용 취사기(51)의 내부에 유입되도록 하고,
상기 세척부(3)의 세척 용기(31)에 형성한 구멍(31a)에 끼워진 급수구(61)의 노즐(62)을 통한 세척 용수는 정수 및 급수부(6)의 급수 탱크(63)에서 제 1 솔레노이드 밸브(64)와 가압 모터(65)가 설치된 제 1 급수관(66)을 통해 공급되도록 하고,
상기 세척 용기(31)에 형성한 노즐(62)에는 제 2 솔레노이드 밸브(67)가 설치된 제 2 급수관(68)을 통한 용수도 공급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음이온 발생기가 부착된 상단의 쌀 저장부에서 장시간 보관하면서 계량부를 통해 일정량 씩의 쌀을 세척 용기에 투입하고, 정수된 물로 쌀이 손상되지 않도록 청결하게 세척한 후 전용 취사기에 공급하여 불림, 가열, 뜸들이 재가열 공정을 통해 최적의 밥맛이 나는 양질의 밥을 짓도록 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전자동 취사 장치에 의하여서는 세척부(3)의 세척 용기(31)에서 배수판(41)의 쌀 공급구(43)를 통하여 하향 공급되는 쌀이 전용 취사기(51)의 뚜껑(52)에서 취사 모터(54)에 의해 회전하는 중에 개폐되는 볼 밸브(55)를 통하여 내부에 유입되도록 함으로써 볼 밸브(55)가 설치된 공급 경로를 통하여 쌀 세척부(3)의 내부로 취사기의 증기가 누출되며, 볼 밸브(55)의 회전 상태를 정확히 제어할 수 없는 단점이 있었음은 물론, 취사시 생기는 뜨거운 수증기가 보온 모드로 전환된 후 온도가 낮아지면서 볼과 내부뚜껑의 밑면에서 수결되고, 그 수결된 물이 어느정도 모이면 아래에 있는 취사된 밥으로 떨어지면서 그 물기에 의해 밥이 빨리 변색이 되거나 쉽게 상하게 되는 단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취사기의 볼 밸브를 기밀이 유지되도록 설치하면서 포토 센서에 의해 정확한 회전각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여 간단한 구성에 의해 쌀의 공급이 안정되게 행하여지도록 하면서 열전도봉을 볼에 결합하여 PTC의 발열에 의해 볼이 가열되어 취사후에 볼의 표면에 수결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내부 뚜껑의 상면에도 히타를 설치하여 내부 뚜껑에도 수결되지 않도록 하여 취사기 내에 보온으로 있는 밥이 빨리 변색이 되거나 쉽게 상하지 않도록 하는 자동 취사기 쌀 공급장치의 개폐변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취사기의 쌀 공급 통로가 구비된 뚜껑의 내부에 뚜껑 하판을 깔고 그 위에 회전가능하게 볼을 내장한 개폐변 및 모터와 발열부를 위치시키고, 그 아래에는 내부뚜껑을 위치시키되,
상기 개폐변의 양측으로 삽입공을 형성하여 일측에는 열전도봉을 삽입하고, 다른 일측의 삽입공에는 모터의 축이 삽입되도록 하며,
상기 볼에는 고정홈을 형성하여 일측에는 상기 삽입공을 통하여 삽입되는 열전도봉이 결합되도록 하고, 또 다른 일측의 고정홈에는 상기 삽입공을 통하여 삽입되는 모터의 축이 결합되도록 하며,
상기 모터의 축에는 180도의 사이각을 갖는 위치에 투광공을 형성한 회전판을 끼워 같이 회전하도록 하고,
상기 개폐변의 일측에는 90도의 사이각을 갖는 위치에 열림 포토센서와 닫힘 포토센서가 설치된 고정대를 각각 형성하여 포토 센서가 회전판의 투광공을 인식하면서 회전에 따른 각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발열부는 받침판과 PTC 및 고정판을 일체로 구성하여 전원을 공급받아 발열하는 PTC의 열이 고정판을 통하여 열전도봉에 전달되고, 그 열이 다시 볼에 전달되어 볼을 가열시키게 하고,
상기 내부뚜껑의 상면에는 히타를 설치하여 내부뚜껑을 가열하도록 구성함으로써 간단한 구성에 의해 쌀의 공급이 안정되게 행하여지도록 하는 동시에 볼과 내부뚜껑을 취사기의 내부 온도와 비슷한 온도로 가열시켜 표면에 수결되지 않도록 하여 취사기 내의 밥이 빨리 변색이 되거나 쉽게 상하지 않도록 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취사 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개폐변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개폐변의 구성을 나타낸 부분단면 개략도.
도 4은 본 발명 회전판의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1 : 취사기 120 : 개폐변
124 : 열전도봉 126 : 볼
129 : 원통형 공급구 130 : 모터
133 : 회전판 135 : 포토센서
136 : 고정대 142 : PTC
이하 본 발명을 첨부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여 보면 다음과 같다.
도 2 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취사기의 쌀 공급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고, 도 4는 회전판의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 취사기(101)의 뚜껑(102)의 내부에 쌀 투과용 공간(103)이 일체인 뚜껑 하판(104)을 깔고 그 위에 구형홈(125)을 형성하면서 양측으로 대향되는 위치에 삽입공(122)(123)을 형성한 개폐변(120) 및 모터(130)와 발열부(140)를 위치시키고,
상기 개폐변(120)의 양측으로 대향되는 위치에 형성된 일측의 삽입공(122)에는 열전도봉(124)을 삽입하고, 다른 일측의 삽입공(123)에는 모터(130)의 축(131)이 삽입되도록 하며,
상기 개폐변(120)의 구형홈(125)에 회전 가능하게 내장되는 볼(126)에는 상기 삽입공(122)(123)과 일치되는 위치에 고정홈(127)(128)을 형성하여 일측의 고정홈(127)은 상기 열전도봉(124)에 결합하여 상기 발열부(140)에서 발생하는 열을 열전도봉(124)을 통해 볼(126)에 전달되도록 하고,
상기 볼의 또 다른 일측의 고정홈(128)은 상기 삽입공(123)을 통해 삽입되는 모터(130)의 축(131)이 결합되도록 하여 축(131)의 회전에 의해 볼(126)의 개폐가 가능 하도록 함과 동시에 볼(126)의 중앙으로 원통형 공급구(129)를 형성하여 이를 통해 쌀이 하향 이동하도록 하고,
상기 모터(130)의 축(131)에는 180도의 사이각을 갖는 위치에 투광공(132) (132a)을 형성한 회전판(133)의 중앙 축공(134)을 끼워 같이 회전하도록 하고,
상기 개폐변의 일측에는 90도의 사이각을 갖는 위치에 열림 포토센서(135)와 닫힘 포토센서(135a)가 설치된 고정대(136)(136a)를 형성하여 포토 센서(135)(135a)의 발광 다이오드의 빛이 회전판(133)의 투광공(132)(132a)을 통하여 도면에 도시하지 않은 포토 트랜지스터에 수광되는 상태로 회전각을 정확히 인식하면서 모터의 회전을 제어하도록 하고,
상기 발열부(140)는 외부에서 AC 전원을 핀(141)을 통해 공급받아 자체 발열하는 PTC(142)와, 상기 핀(141)과 PTC(142)를 고정시켜 주기 위한 받침판(143) 및 재질이 스테인레스인 고정판(144)과, 상기 핀(141)과 고정판(144)을 절연시켜 주기 위한 운모판(145)을 일체로 구성하고,
상기 발열부(140)를 뚜껑 하판(104)에 고정된 탄성고정핀(146)으로 상기의 열전도봉(142)과 밀착시킴으로써 전원을 공급받아 발열하는 PTC(142)의 열이 고정판(144)을 통하여 열전도봉(124)에 전달되고, 그 열이 다시 볼(126)에 전달되어 볼(126)을 가열시켜 주는 것이다.
또한 상기 뚜껑 하판(104)의 하측으로 쌀 유입구(151)가 형성된 내부뚜껑(150)을 부착하고 그 상면으로 히타(105)를 고정 설치하여 내부뚜껑(150)의 온도를 밥통 내부온도 보다 1∼2℃ 높은 75∼76℃로 유지시켜 밥통안의 수증기가 내부뚜껑(150)의 밑면에 수결되지 않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한 본 발명의 자동 취사기의 쌀 공급장치는 도면에 도시하지 않은 세척부의 세척 용기에서 쌀이 완전히 세척되고 세척된 물의 배수가 완료되면, 세척 용기의 개구된 하단이 취사기(101)의 개폐변(120) 상단에 접하는 상태로 회전하게 된다.
그 상태를 인식한 제어부에서는 모터(130)로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얼마간 동작하도록 하고, 이에 따라 모터(130)의 축(131)도 같이 회전하게 된다.
이 때에는 모터(130)의 축(131)에 끼워져 같이 회전하는 회전판(133)의 투광공(132)(132a)을 고정대(136)(136a)에 설치된 2 개의 포토 센서(135)(135a)의 빛이 투광하는 상태로 정확한 위치를 검출한다.
여기서 모터(130)의 속도는 순간적인 제어가 가능한 정도로 충분히 감속되도록 한다.
상기 모터(130)의 회전에 따라 축(131)이 정확한 각도(90도) 씩 회전하면서 이의 끝단에 끼워진 볼(126)을 일정한 각(90도) 만큼 회전시켜 볼(126)의 원통형 공급구(129)가 수직의 상태가 되도록 한다.
그러므로 쌀 세척 용기의 개구된 하단을 통해 하향 이동하는 세척된 쌀이 볼(126)의 원통형 공급구(129)를 통하여 정확히 취사기(101)의 내부로 이동하게 된다.
세척 용기에서 세척된 쌀과 밥물의 조절을 위한 물까지 취사기(101)로 이동하였으면, 이를 인식한 제어부에서 모터(130)로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얼마간 작동하도록 하고, 이에 따라 모터(130)의 축(131)도 같이 회전하게 된다.
이때에는 모터(130)의 축(131)에 끼워져 같이 회전하는 회전판(133)의 투광공(132)(132a)을 고정대(136)(136a)에 설치된 2 개의 포토 센서(135)(135a)의 빛이 투광하는 상태로 정확한 위치를 검출한다.
상기 모터(130)의 회전에 따라 축(131)이 90도 씩 회전하면서 이의 끝단에 끼워진 볼(126)을 90도 만큼 회전시켜 볼(126)의 원통형 공급구(129)가 수평의 상태가 되도록 한다.
그러므로 취사기(101)의 쌀 공급 통로가 볼(126)의 원통형 공급구(129)에 의해 상부의 세척부와 연결되지 않은 상태가 되도록 한다.
또한 취사후 보온상태가 되면 제어부에서는 핀(141)을 통하여 상기 PTC(142)와 히타에 전원을 공급하여 PTC(142)를 발열시키면 그 열이 고정판(144) 및 열전도봉(124)을 통하여 볼(126)을 밥통의 내부온도 보다 1∼2℃ 높은 75∼76℃로 가열시킴과 동시에 내부뚜껑(150)에 설치된 히타(105)에도 전원을 공급하여 히타(105)의 열에 의해 내부뚜껑(150)도 상기와 같이 밥통의 내부온도 보다 1∼2℃ 높은 75∼76℃로 가열시킴으로써 밥통내부와 외부의 온도차에 의해 볼(126)이나 내부뚜껑(150)의 밑면에 수결되는 것을 방지 하도록 한다.
이때 탄성고정핀(146)은 발열부(140) 받침판(143)의 정점을 탄성력으로 열전도봉(124)에 밀착 고정시킴으로써 볼(126)이 개폐할 때에 볼(126)의 유동에도 발열부(140)의 고정판(144)이 열전도봉(124)의 전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자동 취사기 쌀 공급장치의 개폐변에 의하여서는 취사기의 쌀 공급 통로에 원통형 공급구가 일체이며 고정홈을 형성한 볼이 구형 홈에 내장된 개폐변을 위치시키고, 상기 볼의 고정홈에 열전도봉을 결합하여 전원을 공급받아 발열하는 PTC의 열에 의해 볼이 가열되어 볼의 표면에 수결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내부뚜껑에도 히타를 설치하여 내부뚜껑도 내부온도와 비슷한 온도로 가열함으로써 취사기에 쌀을 안정되게 공급하며, 보온 모드로 있는 취사된 빨리 변색이 되거나 쉽게 상하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취사기(101)의 쌀 공급 통로가 구비된 뚜껑(102)의 내부에 원통형 공급구(129)가 일체인 볼(126)이 회전 가능하게 내장 된 개폐변(120)에 있어서,
    상기 개폐변(120)의 양측으로 대향되는 위치에 삽입공(122)(123)을 형성하여 일측의 삽입공(122)에는 열전도봉(124)을 삽입하고, 다른 일측의 삽입공(123)에는 모터(130)의 축(131)이 삽입되도록 하며,
    상기 개폐변(120)에 회전 가능하게 내장되는 볼(126)에는 상기 삽입공(122) (123)과 일치되는 위치에 고정홈(127)(128)을 형성하여 일측의 고정홈(127)은 상기 열전도봉(124)에 결합하고, 또 다른 일측의 고정홈(128)은 상기 삽입공(123)을 통해 삽입되는 모터(130)의 축(131)이 결합되도록 하고,
    상기 열전도봉(124)의 외측으로 PTC(142)와 받침판(143) 및 고정판(144)이 일체로 구성된 발열부(140)를 탄성고정핀(146)으로 고정 하고,
    내부뚜껑(150)의 상면에 히타(105)를 설치하여서 구성 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취사기 쌀 공급장치의 개폐변.
KR1019980053152A 1998-12-04 1998-12-04 자동 취사기 쌀 공급장치의 개폐변 KR1002855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3152A KR100285574B1 (ko) 1998-12-04 1998-12-04 자동 취사기 쌀 공급장치의 개폐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3152A KR100285574B1 (ko) 1998-12-04 1998-12-04 자동 취사기 쌀 공급장치의 개폐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8243A KR20000038243A (ko) 2000-07-05
KR100285574B1 true KR100285574B1 (ko) 2001-05-02

Family

ID=195614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53152A KR100285574B1 (ko) 1998-12-04 1998-12-04 자동 취사기 쌀 공급장치의 개폐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85574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8243A (ko) 2000-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41071B1 (ko) 가열조리장치
US5865104A (en) Food steamer
US6267046B1 (en) Convection steamer
ES2320885T3 (es) Generador de vapor para aparato de cocina.
EP2083223A1 (en) Device for diluting discharged vapor and cooker with the same
PT1450655E (pt) Maquina de cafe
BR202016026015Y1 (pt) Vaporizador de alimentos
CN105147046A (zh) 沥米甑子饭蒸饭煲
US20220074601A1 (en) A water guiding apparatus
WO2010113865A1 (ja) 加熱調理器
KR100285574B1 (ko) 자동 취사기 쌀 공급장치의 개폐변
CN210169738U (zh) 一种茶具
KR100820735B1 (ko) 과열증기 조리장치
KR101129091B1 (ko) 간이 떡찜장치
RU2284741C1 (ru) Самовар
CN219763075U (zh) 烹饪器具
KR100209435B1 (ko) 자동판매기의 온수공급장치
AU734602B2 (en) Apparatus for steaming food
CN208926038U (zh) 灭酶装置和食物料理机
KR200165198Y1 (ko) 찜기
JPH0443164Y2 (ko)
KR200152964Y1 (ko) 자동 취사기의 쌀 공급장치
KR200176327Y1 (ko) 찜질기에 있어서의 좌변기용 증기 유도구
JPS5827284Y2 (ja) 蒸し兼用調理器
KR200286860Y1 (ko) 자동급수 식품온장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216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