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85508B1 - 통신장치의 신호 테스트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통신장치의 신호 테스트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85508B1
KR100285508B1 KR1019990010240A KR19990010240A KR100285508B1 KR 100285508 B1 KR100285508 B1 KR 100285508B1 KR 1019990010240 A KR1019990010240 A KR 1019990010240A KR 19990010240 A KR19990010240 A KR 19990010240A KR 100285508 B1 KR100285508 B1 KR 1002855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sage
test
information element
primitive
stand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102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61293A (ko
Inventor
정상현
이해영
정학진
설근석
신승호
Original Assignee
이계철
한국전기통신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계철, 한국전기통신공사 filed Critical 이계철
Priority to KR10199900102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85508B1/ko
Publication of KR200000612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612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55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550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0082Monitoring; Testing using service channels; using auxiliary channels
    • H04B17/0085Monitoring; Testing using service channels; using auxiliary channels using test signal genera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10Monitoring; Testing of transmitters
    • H04B17/15Performance tes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20Monitoring; Testing of receivers
    • H04B17/29Performance test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intenance And Management Of Digital Transmission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동기 전송 모드(ATM) 통신이 적용되는 모든 장치에 대해서 연결제어, 시그날링 및 OAMM 등 그 정확한 기능을 시험하기 위한 ATM 통신장치의 신호 테스트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ATM통신 장치 개발시 다양한 시험 시나리오를 적용하므로써, 장치의 안정화를 향상시키고, 간편한 휴대, 신속한 스타트-업(startup), 용이한 운용으로 장치 개발의 기간을 단축시키며, 장치간 연동시 쉽게 설치할 수 있고 그 내용들을 정확하게 나타내 주므로써 원인파악을 쉽게 할 수 있는 잇점을 제공하고, 또한 다른 프로토콜 테스트 장치의 가격에 비해 현저하게 저렴하여 개발비를 절감할 수 있는 경제성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통신장치의 신호 테스트 장치 및 그 방법{Device of signaling test for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비동기 전송 모드(Asynchronous Transfer Mode : 이하 ATM이라 칭한다) 통신이 적용되는 모든 장치에 대해서 연결제어, 시그날링 및 운용/유지보수 등 그 정확한 기능을 시험하기 위한 ATM 통신장치의 신호 테스트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개발되고 있는 각종 ATM 통신장치들은 아직 안정화가 되지 않아 각 장치간 연동시 어느쪽의 오류인지를 파악하기가 쉽지 않아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물론 프로토콜 테스트 장치를 이용하면 그 사항들을 알 수 있지만 이는 가격이 고가이고 또한 휴대하기가 편리하지 않아서 대개의 경우 사용을 간과하고 있다.
흔히 장치개발시 하나의 장치에 몰두하고 대개의 경우 흔히 발생하는 에러사건(event)에 대해서만 대처하는 등 짧은 개발기간에 완전한 제품을 생산하지 못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
특히 통신장치는 단말에서 상대편 단말까지 시험을 해 보지 않고는 그 성능 및 기능을 확신 할 수 없게 되며, 실제로 단말을 개발하여 각 장치에 연동해 본 결과 이러한 현상은 뚜렷하게 나타났고 그나마 ATM 단말에서 제공하는 기본적인 모니터링 기능을 이용하여 장치의 동작상태를 파악할 수 있었다.
한편, 프로토콜 테스트 장치를 사용한다면 여러대의 장치 연동시 모든 장비에 이를 적용하기에는 공급에 무리가 있고, 고가이며, 휴대, 설정 및 운용이 용이하지않아 비효율적인 점이 있다.
결국 단말에 표시되는 메시지의 상황들을 보고 개발자가 장치를 수정하는 수밖에 없었다.
본 발명은 상기에 기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광대역통신단말 개발의 일환으로 개발된 ATM정합보드를 이용하여 ATM장치의 동작상태 및 상황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하므로써, ATM 장치 개발시 또는 장치간 연동시 단말입장에서 프로토콜을 생성하여 전송하고 응답하며 이들 사이에 송수신되는 프로토콜 데이터 유니트(Protocol Data Unit : PDU)를 모니터링 하여 상대방에게 자료로 제공하는 테스트 장치 및 그 방법을 구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즉 각 ATM 장치 개발시 본 발명에서 개발된 테스트 장치를 이용하면 다양한 시험시나리오 생성 및 다각적인 메시지를 조합하여 만들므로서 장치의 범용성을 시험하고, 장치간 연동시 발생하는 비연동 상황에서 각 장치의 동작상태를 파악할 수 있으므로 개발 또는 시험시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휴대의 편리성 및 손쉬운 작동으로 인하여 개발기간 단축 및 경비를 절감시키는 잇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테스트 장치의 외형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테스트 장치의 내부 블록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3a는 본 발명에 의한 테스트 장치 동작시 전송되는 프리미티브 메시지 구조를 나타내는 포맷도.
도 3b는 본 발명에 의한 테스트 장치 동작시 전송되는 표준 메시지 구조를 나타내는 포맷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메시지 덤프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테스트 장치 11 : 전원공급 포트
12 : ATM 인터페이스 모듈 13 : 모니터
14 : 키패드 15 : 직렬 포트
16 : 발광 다이오드 20 : 직렬 입/출력 처리부
21 : 메뉴 처리부 22 : 환경 제어부
23 : 메시지 생성부
24 : 응용 프로그램 인터페이스(API) 처리부
25 : OAMM/SAAL연결제어/신호 처리부
26 : 전송 처리부 30, 32 : 프리미티브 헤더
31 : 프리미티브 정보요소(PIE) 33 : 메시지 헤더
34 : 메시지 정보요소(MIE)
상기와 같이 동작되도록 하기 위해, 테스트 상황을 디스플레이 하는 모니터와;
운용자의 조작을 위한 키패드와;
테스트 대상이 되는 통신장치와의 송/수신 데이터 입/출력을 담당하는 직렬 입/출력 처리부와;
상기 테스트에 필요한 모든 메뉴를 제공하며, 사용자가 선택하고 입출력할 수 있도록 하는 메뉴 처리부와;
상기 테스트시 사용자의 요구사항에 따라 환경을 지정하며, 이 환경이 지정된 기간 동안 설정된 환경을 제어하는 환경 제어부와;
테스트에 사용할 메시지를 생성하는 부로서 각종 메시지 정보요소를 조합하여 메시지를 구성하는 메시지 생성부와;
상기 테스트 대상 통신장치와의 운용 및 유지보수 모듈(Operation Administration and Maintenance Moudle : 이하 OAMM이라 칭한다), ATM신호적응계층(Signaling ATM Adaptation Layer : 이하 SAAL이라 칭한다)연결제어 처리, 신호 처리 들에 의한 메시지를 부호화 및 복호화 하고, 수신되는 메시지들에 대해서 해당동작을 처리하는 OAMM/SAAL연결제어/신호처리부와;
운용자에 의한 테스트 명령들을 해당타스크들에게 전송하여 각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고, 상기 OAMM/SAAL연결제어/신호처리부와의 인터페이스를 담당하는 응용 프로그램 인터페이스 처리부; 및
각 부에서 발생된 각종 데이터를 전송하는 전송 처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이 동작되도록 하기 위해, 테스트 장치와 테스트 대상 장치와의 신호 처리중 송/수신되는 메시지를 덤프하기 위해 메시지덤프함수를 호출하며, 호출 시 인수로서 메시지 상단에 표시할 제목과, 프리미티브인지 표준메시지인지를 구분하는 메시지 유형과, 덤프할 메시지를 수신하는 제 1 과정과;
상기 덤프할 메시지를 인수로 받은 메시지덤프함수는 메시지 덤프 온/오프가 온 되어 있는지 검사하여 온 되어 있으면, 상기 인수로 받은 제목을 테스트 장치의 화면에 디스플레이 하고, 메시지로부터 프리미티브 헤더 정보를 추출하여 각 항목을 해당 항목명과 함께 디스플레이 하는 제 2 과정과;
이어 상기 인수로 받은 메시지가 표준메시지인가를 검사하여 표준메시지이면 메시지헤더 정보를 추출하여 디스플레이 하는 제 3 과정과;
상기 검사결과 표준메시지가 아닌 경우와, 상기 제 3 과정 수행 후 메시지의 바디를 검사하여 메시지가 마지막이 될 때까지 정보요소를 추출해 테스트 장치의 화면에 덤프하는 제 4 과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ATM 통신장치의 B-ISDN망 접속을 위한 망 접속 정합용 보드를 이용한 ATM 통신장치의 동작 상황 및 상태검증을 위한 테스트 장치로, 본 장치는 그 크기 및 규모상 매우 소형으로 이루어진다.
즉 ATM정합보드 1장을 가지고 모든 동작이 이루어지는데 이때 ATM보드에서 필요한 전원 공급장치와 ATM정합보드와 I/O를 위한 모니터 및 키보드만이 필요할 뿐이다. 즉 본 시스팀은 ATM보드1장과 액정모니터, 키패드(keypad)로 이루어지는 아주 소형시스팀으로 휴대가 매우 간편하다. 물론 경우에 따라서는 액정모니터와 키패드 대신에 더미(dummy) 단말을 이용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테스트 장치의 외형을 보면 도 1과 같이 도시할 수 있는 바, 외형케이스 내부에 ATM정합보드가 내장(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음)되고, 이 테스트 장치(1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포트(11);
ATM 통신용 케이블을 접속할 수 있는 ATM 인터페이스 모듈(12)과;
모니터(13)와;
운용자의 조작을 위한 키패드(14)와;
필요에 따라 노트북과 같은 시리얼장치를 통하여 자료를 저장할 수 있도록 하고, 모니터링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직렬(serial)포트(RS232C)(15)와;
테스트 장치(10)의 물리계층 상태를 나타내는 발광다이오드(LED)(16)를 구비한다.
상기와 같은 형태로 구성된 테스트 장치의 내부 기능 즉, 상기 ATM 정합보드에서 제공하는 시험종류 및 유형을 도 2의 블록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며, 이 기능들은 정합보드상에 롬으로 프로그램되어 내장되며, 모니터링의 입/출력(I/O)은 직렬 통신을 이용해 이루어진다.
각 기능을 살펴보면, 보드상의 직렬 포트(serial port)(15)와 연관되며, 모니터(13), 키패드(14), 노트북(Notebook) PC 또는 더미(dummy) 단말을 이용하여 직렬(serial)통신을 가능하도록 해주는 직렬 입/출력(Serial I/O) 처리부(20)와;
모니터링에 필요한 모든 메뉴를 제공하며, 사용자가 선택하고 입출력할 수 있도록 지원해 주는 메뉴 처리부(21)와;
상기 모니터링시 사용자의 요구사항대로 환경을 지정하여 이 환경이 지정된 기간동안에는 이의 제어를 받도록 하는 환경 제어부(22)와;
시험에 사용할 메시지를 생성하는 부로서 각종 메시지 정보요소를 조합하여 메시지를 구성하는 메시지 생성부(23)와;
사용자로 하여금 요청받은 명령들을 해당타스크들에게 전송하여 각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부로, OAMM/SAAL연결제어, 시그날링처리모듈과의 인터페이스를 담당하는 응용 프로그램 인터페이스(API) 처리부(24)와;
OAMM 처리, SAAL연결제어 처리, 신호 처리 들에 대해서 필요에 따라 메시지를 부호화/복호화 하고 수신되는 메시지들에 대해서 해당동작을 처리하는 OAMM/SAAL연결제어/신호처리부(25); 및
ATM 정합보드 내에서 발생된 각종 데이터를 전송하는 전송 처리부(26)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환경 제어부(22)는 내부적으로 각 기능 처리시 이들 환경지정의 영향을 받아 처리되도록 구현되며, 여기에는 여러가지의 항목이 있는데 이에 대해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표준 지정'은 사용되는 표준을 선택하는 기능으로서 ITU-T 규격을 따를 것인지 아니면 ATM Forum규격을 따를 것인지를 지정하는 것이다.
둘째, '시험 종류 지정'은 단말 대 단말을 접속하는지 아니면 단말대 교환기(또는 B-NT)를 접속하는지를 지정하는 항목으로, 이것은 단말대 단말 또는 단말대 비단말접속시 상태정보등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필요로 된다.
셋째, '트레이스 온/오프(Trace On/Off) 지정'은 모니터 상에 트레이스 메시지를 표시 할 것인지 표시하지 않을지를 지정하는 것으로서 필요에 따라 선택한다.
네째, '트레이스 레벨(Trace level) 지정'은 트레이스 온 지정시 트레이스의 정도를 지정하는 것으로서, 이것은 0 ∼ 3까지 구분하여 사용자가 0을 지정하면 최소한의 트레이스 메시지를 표시해 주고, 3을 지정하면 상세하게 메시지를 표시해 주므로써, 필요에 따라 간략한 흐름정보 내지 상세한 인수등의 정보까지 볼 수 있어, 디버깅이 용이하도록 한다.
다섯째, '트레이스 모듈(Trace Module) 지정'은 사용자가 특별히 관심이 있는 모듈만을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지정하는 것으로서 이는 각 타스크들(예: Q2931, Q2971, OAMM, SAAL 등)의 조합으로 지정이 가능하다.
여섯째, '타이머 값 지정'은 규격에서 정의된 타이머 값을 조절 가능하게 하므로서 장치간의 모니터링시 응답지연으로 인한 만료발생을 지연시키기 위해서 필요하며, 이는 각 타이머들에 대해서 개별적으로 지정이 가능하다.
일곱째, '메시지 덤프 온/오프(dump On/Off)'는 사용자와 주고 받는 프리미티브, 상대장치와 주고받는 표준메시지에 대해서 그 내용을 덤프 할 것인지, 덤프하지 않을 것인지를 지정하는 항목으로서, 만일 이 값이 온(On)으로 지정되면 송수신되는 모든 프리미티브 또는 메시지에 대하여 표준에서 정의된 구조로 헤더정보 및 각 정보요소를 구분하여 디스플레이해 주어 사용자로 하여금 주고받는 메시지를 정확히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덤프할 메시지의 구조를 살펴보면, 덤프할 메시지는 사용자와 주고받을 순수한 프리미티브(도 3a) 이거나 장치간에 주고 받는 표준메시지(도 3b) 로 구분된다.
상기 프리미티브 메시지 구조는 프리미티브 헤더(30)와, 각 프리미티브 정보요소(PIE1 ∼ PIEn)(31)로 구성되고, 이 프리미티브 정보요소(31)는 사설포맷으로서 스트럭트(structure) 구조체로 구성되며, 상기 프리미티브 헤더(30)는 프로토콜 판별기(Protocol discriminator), 호 레퍼런스(Call reference), 프리미티브 유형(Type), 프리미티브 길이(Length)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표준메시지 구조는 프리미티브 헤더(32)와, 메시지 헤더(33)와, 각 메시지 정보요소(MIE ∼ MIEn)(34)로 구성되고, 이 메시지 정보요소(34)는 표준포맷으로서 정보요소 식별번호 + 정보요소 길이 + 정보요소 내용(content)으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덤프할 메시지 처리 과정을 도 4에 도시된 순서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신호 처리도중 메시지를 받거나 보낼 때 메시지덤프함수(dump_MSG())를 호출하게 되는데 이 메시지덤프함수는 인수로서 메시지 상단에 표시할 제목(title), 프리미티브인지 표준메시지인지를 구분하는 유형(type) 그리고 덤프할 메시지(msg)를 받는다(S1).
그러면 메시지덤프함수는 현재 환경제어부(22)에서 설명한 메시지 덤프 온/오프(On/Off) 가 온 되어 있는지를 검사하고, 만일 온 되어있지 않다면 리턴(return) 한다. 그러나 검사 결과 온 되어 있다면 상기 인수로 받은 제목을 화면에 디스플레이 하고, 메시지로부터 프리미티브 헤더 정보를 추출하여 각 항목을 해당 항목명과 함께 디스플레이 한다. 특히 코드로 존재하는 프리미티브 유형 등은 그 이름으로 대체하여 프린트한다(S2).
그런 다음 인수로 받은 메시지가 표준메시지인가를 검사하여 표준메시지이면 메시지헤더 정보를 추출하여 디스플레이 한다(S3).
이어 상기 검사결과 표준메시지가 아닌 경우와, 상기 S3단계 수행 후 메시지의 바디를 검사하여 정보요소를 프린트하는 과정을 수행하게 되는데, 이 바디는 다음 표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보요소들의 집합에 해당된다(S4).
<표 1>
정보 요소(Information Element) 유형(Type) 길이(Length)
프로토콜 판별기(Protocol discriminator) 필수(Mandatory) 1
호 참조번호(Call reference) 필수 4
메시지 유형(Message type) 필수 2
메시지 길이(Message length) 필수 2
AAL 파라미터(AAL parameters) 선택(Optional) 4-21
ATM 사용자 셀 율(ATM user cell rate) 필수 12-30
광대역 베어러 기능(Broadband bearer capability) 필수 6-7
광대역 상위계층 정보(Broadband high layer information) 선택 4-13
광대역 반복 지시자(Broadband repeat indicator) 선택 4-5
광대역 하위계층 정보(Broadband low layer information) 선택 4-17
수신자 주소(Called party number) 필수 25
수신자 세부주소(Called party subaddress) 선택 4-25
송신자 주소(Calling party number) 선택 4-26
송신자 세부주소(Calling party subaddress) 선택 4-25
연결 지시자(Connection identifier) 필수 9
서비스 품질 파라미터(QoS parameter) 필수 6
광대역 전송 완료(Broadband sending complete) 선택 4-5
전송 네트워크 선택(Transit network selection) 선택 4-8
파티 참조번호(Endpoint reference) 선택 4-7
따라서 바디의 첫포인터부터 검사하여 정보요소 식별자를 추출하는데 도 3에서와 같이 정보요소의 구조는 프리미티브인 경우와 표준메시지인 경우가 서로 다르다.
이에 따라 정보요소를 스캔해나가는 방법이 서로 상이한데 프리미티브인 경우는 이를 관리하는 테이블에서 그 크기를 구한후, 오프셋(offset)에 정보요소 크기를 누적하여 다음번 정보요소위치를 구하고, 표준메시지인 경우에는 그 다음 포인터에 나타난 길이정보를 오프셋에 누적하여 다음 정보요소 위치를 구한다.
이러한 방법으로 그 다음 정보요소를 얻는데 적용하고 오프셋(offset)이 메시지의 마지막이 될 때까지 각 정보요소에 대하여 그 코드를 모니터(13)로 덤프한다(S5).
한편, 상기 메시지 생성부(23) 시험에 사용할 메시지를 생성하는데 셋-업(SETUP)메시지를 예로 들면 호 요청시 셋-업 요청(Setup_req) 프리미티브를 만들어 보내게 되는데 이때 여기에 포함되는 정보요소들은 상기 표 1과 같다.
즉 셋-업 메시지의 구조는 표 1에 도시된 정보요소들의 조합으로 이루어 질 수 있는데, 상기 메시지 생성부(23)는 이들 메시지를 조합하고 또한 각 정보요소의 각 항목에 값을 넣고 이를 메시지로 만드는 기능을 담당한다.
특히 메시지 생성부(23)에서는 송신용과 수신용이 초기 선택에 의해서 정해지고, 수신인 경우 자동으로 응답메시지를 보내거나 수동으로 보내는 등 다양한 형태의 응답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응용 프로그램 인터페이스(API) 처리부(24)에서 제공하는 주요기능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 최근에 보낸 메시지 보기 : 이 기능은 단말입장에서 가장 최근에 보낸 메시지를 덤프하여 보여주는 기능이다.
- 최근에 받은 메시지 보기 : 이 기능은 단말입장에서 가장 최근에 받은 메시지를 덤프하여 보여준다.
- 지정된 타이머 정보 보기 : 이 기능은 연결제어 및 신호 처리도중에 설정된 타이머들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 한다.
- 연결설정 요청기능 : 이 기능은 서비스 관련 연결 서비스(Service Specific Connection Oriented Protocol : SSCOP) 수준의 연결설정을 요청하는 기능이다. 이는 장치연동시 초기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가 많아 이 기능을 이용하여 인위적으로 연결설정을 시도하여 SAAL의 상태를 검증한다.
- 연결해제 요청기능 : 이 기능은 SAAL의 연결을 해제하고자 요청하는 기능이다.
- 리셋 요구(Reset Request) 기능 : 이 기능은 호설정과 관련하여 특정 호 또는 모든 호에 대하여 리셋을 요청하여 처리하는 기능이다.
이 외에도 단말 모니터링을 위하여 특정번지의 값을 보는 기능이라든지 특정메모리에 값을 써넣는 방법등 많은 기능이 있다.
또한, 상기 전송 처리부(26) : 이 기능은 하드웨어(H/W)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각종 데이터를 전송하는 부로, 여러가지 ATM 모듈 인터페이싱(interfacing)이 가능하다.
이상 상기와 같은 기능을 수행함에 있어 경우에 따라 테스트 장치의 고장여부를 진단하기 위해 자체시험 기능을 제공하는데, 보드의 송수신을 루프백시키고 연결설정 및 시그날링을 요청하므로써 그 동작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는가를 알 수 있다.
실제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모든 기능이 구비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ATM통신단말에 장착된 ATM정합보드를 이용하여 'HAN-B' 사업의 일환으로 개발된 장치인 교환기, 'CANS', 'ARP-서버' 및 국산 개발인 프로토콜 테스트 장치 까지 본 발명에서 구현한 테스트 장치로 테스트를 한 결과 큰 성과를 얻었으며, 이러한 본 발명의 테스트 장치는 상기 예로써 ATM 장치에 적용하였지만 타 장치에도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ATM통신 장치 개발시 다양한 시험 시나리오를 적용하므로써, 장치의 안정화를 향상시키고, 간편한 휴대, 신속한 스타트-업(startup), 용이한 운용으로 장치 개발의 기간을 단축시키며, 장치간 연동시 쉽게 설치할 수 있고 그 내용들을 정확하게 나타내 주므로써 원인파악을 쉽게 할 수 있는 잇점을 제공한다.
또한, 다른 프로토콜 테스트 장치의 가격에 비해 현저하게 저렴하여 개발비를 절감할 수 있는 경제성을 제공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며,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등이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등은 이하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Claims (14)

  1. 테스트 진행상황의 내용을 디스플레이 하는 모니터와;
    운용자의 조작을 위한 키패드와;
    테스트 대상이 되는 통신장치와의 송/수신 데이터 입/출력을 담당하는 직렬 입/출력 처리부와;
    상기 테스트에 필요한 모든 메뉴를 제공하며, 사용자가 선택하고 입출력할 수 있도록 하는 메뉴 처리부와;
    상기 테스트시 사용자의 요구사항에 따라 환경을 지정하며, 이 환경이 지정된 기간 동안 설정된 환경을 제어하는 환경 제어부와;
    테스트에 사용할 메시지를 생성하는 부로서 각종 메시지 정보요소를 조합하여 메시지를 구성하는 메시지 생성부와;
    상기 테스트 대상 통신장치와의 운용 및 유지보수(OAMM) 처리, ATM 신호적응계층(SAAL)연결제어 처리, 신호 처리 들에 의한 메시지를 부호화 및 복호화 하고, 수신되는 메시지들에 대해서 해당동작을 처리하는 OAMM/SAAL연결제어/신호처리부와;
    운용자에 의한 테스트 명령들을 해당타스크들에게 전송하여 각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고, 상기 OAMM/SAAL연결제어/신호처리부와의 인터페이스를 담당하는 응용 프로그램 인터페이스 처리부; 및
    각 부에서 발생된 각종 데이터를 전송하는 전송 처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치의 신호 테스트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환경 제어부에서는, 테스트 장치에서 사용되는 표준을 선택하는 기능으로서 ITU-T 규격 또는 ATM 포럼(Forum)규격을 따를 것인지를 지정하는 표준 지정과;
    단말 대 단말을 접속하는지 아니면 단말대 교환기를 접속하는지를 지정하는 시험 종류 지정과;
    필요에 따라 선택하는 사항으로 모니터 상에 트레이스 메시지를 표시 할 것인지 표시하지 않을 것인지를 지정하는 트레이스 온/오프(Trace On/Off) 지정과;
    트레이스 온 지정시 트레이스의 정도를 지정하는 트레이스 레벨 지정과;
    테스트 장치 운용자가 모니터링 대상에서 특정 부분만을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지정하는 트레이스 모듈 지정과;
    규격에서 정의된 타이머 값을 조절 가능하게 하여, 테스트 장치와 테스트 대상 장치간의 모니터링시 응답지연으로 인한 만료발생을 지연시키기 위한 타이머 값 지정; 및
    운용자와 주고 받는 프리미티브, 테스트 대상 장치와 주고받는 표준메시지에 대해서 그 내용을 덤프 할 것인지, 덤프하지 않을 것인지를 지정하는 메시지 덤프 온/오프 지정 기능을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치의 신호 테스트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스 레벨 지정은 0 ∼ 3까지 구분하며, 0은 최소한의 트레이스 메시지를 표시해 주고, 3은 상세한 인수의 정보 까지 표시해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치의 신호 테스트 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덤프 온/오프 지정에서 온(On)으로 지정되면 송수신되는 모든 프리미티브 및 메시지에 대하여 표준에서 정의된 구조로 헤더정보 및 각 정보요소를 구분하여 디스플레이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치의 신호 테스트 장치.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덤프할 메시지는 운용자와 송/수신하는 순수한 프리미티브와, 테스트 장치와 테스트 대상 장치간에 송/수신하는 표준메시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치의 신호 테스트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미티브 메시지 구조는 프리미티브 헤더와, 사설포맷인 각 프리미티브 정보요소를 구비하며,
    상기 프리미티브 헤더는 프로토콜 판별기, 호 레퍼런스, 프리미티브 유형, 프리미티브 길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치의 신호 테스트 장치.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표준메시지 구조는 프리미티브 헤더와, 메시지 헤더와, 표준포맷인 각 메시지 정보요소를 구비하며,
    상기 메시지 정보요소는 정보요소 식별번호, 정보요소 길이, 정보요소 내용(content)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치의 신호 테스트 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응용 프로그램 인터페이스 처리부는, 단말측에서 가장 최근에 보낸 메시지를 덤프하여 보여주는 최근 송신한 메시지 보기 기능과;
    단말측에서 가장 최근에 수신한 메시지를 덤프하여 보여주는 최근 수신한 메시지 보기 기능과;
    연결제어 및 신호 처리도중에 설정된 타이머들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는 지정된 타이머 정보 보기 기능과;
    서비스 관련 연결서비스 수준의 연결설정을 요청하는 기능으로, 인위적인 연결설정을 시도하여 ATM 신호적응계층(SAAL) 상태를 검증하는 연결설정 요청기능과;
    상기 SAAL의 연결을 해제하고자 요청하는 연결해제 요청기능; 및
    호설정과 관련하여 특정 호 또는 모든 호에 대하여 리셋을 요청하는 리셋 요구 기능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치의 신호 테스트 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송신단과 수신단을 루프백 시킨 다음 연결설정 및 시그날링을 요청하여 그 동작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는가를 판단하여, 자체 고장여부를 진단하는 자체테스트 기능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치의 신호 테스트 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테스트 시 테스트 장치의 상황을 나타내는 디스플레이 수단과;
    테스트 대상 장치와의 ATM 케이블 접속을 위한 ATM 인터페이스 모듈과;
    전원 공급을 위한 전원공급포트; 및
    테스트된 결과의 외부 저장을 위해 직렬 포트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치의 신호 테스트 장치.
  11. 테스트 장치와 테스트 대상 장치와의 신호 처리중 송/수신되는 메시지를 덤프하기 위해 메시지덤프함수를 호출하며, 호출 시 인수로서 메시지 상단에 표시할 제목과, 프리미티브인지 표준메시지인지를 구분하는 메시지 유형과, 덤프할 메시지를 수신하는 제 1 과정과;
    상기 덤프할 메시지를 인수로 받은 메시지덤프함수는 메시지 덤프 온/오프가 온 되어 있는지 검사하여 온 되어 있으면, 상기 인수로 받은 제목을 화면에 디스플레이 하고, 메시지로부터 프리미티브 헤더 정보를 추출하여 각 항목을 해당 항목명과 함께 디스플레이 하는 제 2 과정과;
    이어 상기 인수로 받은 메시지가 표준메시지인가를 검사하여 표준메시지이면 메시지헤더 정보를 추출하여 디스플레이 하는 제 3 과정과;
    상기 검사결과 표준메시지가 아닌 경우와, 상기 제 3 과정 수행 후 메시지의 바디를 검사하여 메시지가 마지막이 될 때까지 정보요소를 추출해 테스트 장치의 모니터로 덤프하는 제 4 과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치의 신호 테스트 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과정에서 항목 디스플레이시 코드로 존재하는 프리미티브 유형은 그 이름으로 대체하여 디스플레이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치의 신호 테스트 방법.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과정에서 정보요소 추출 시 프리미티브 메시지인 경우, 프리미티브를 관리하는 테이블에서 정보요소의 크기를 구해 오프셋에 누적하여 다음번 정보요소위치를 구한 후, 이 위치의 정보요소를 추출하고, 이를 오프셋이 마지막이 될 때까지 반복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치의 신호 테스트 방법.
  14.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과정에서 정보요소 추출 시 표준메시지인 경우, 그 다음 포인터에 나타난 길이정보를 오프셋에 누적하여 다음 정보요소 위치를 구한 후, 이 위치의 정보요소를 추출하고, 이를 오프셋이 마지막이 될 때까지 반복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치의 신호 테스트 방법.
KR1019990010240A 1999-03-25 1999-03-25 통신장치의 신호 테스트 장치 및 그 방법 KR1002855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0240A KR100285508B1 (ko) 1999-03-25 1999-03-25 통신장치의 신호 테스트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0240A KR100285508B1 (ko) 1999-03-25 1999-03-25 통신장치의 신호 테스트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1293A KR20000061293A (ko) 2000-10-16
KR100285508B1 true KR100285508B1 (ko) 2001-03-15

Family

ID=195776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10240A KR100285508B1 (ko) 1999-03-25 1999-03-25 통신장치의 신호 테스트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8550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17087B2 (en) * 2000-12-29 2006-03-21 Teradyne, Inc. Enhanced loopback testing of serial devic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1293A (ko) 2000-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659753A1 (en) Monitoring control system and method
CN105117344B (zh) 一种基于pb的接口集成测试方法和系统
KR100652698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단문 메시지 서비스 원격 제어 장치 및 방법
US20070047448A1 (en) Network equipment testing method and system
KR100285508B1 (ko) 통신장치의 신호 테스트 장치 및 그 방법
US20070291906A1 (en) A Test System and Method of Operation
US8473601B2 (en) Multiple ping management
CN111274137A (zh) 异步接口检测方法、异步接口检测系统和可读存储介质
CN116095664A (zh) 一种新增北斗用户机在系统中实现服务注册的方法
CN108306939A (zh) 一种数据处理方法、装置及转发设备
KR100279679B1 (ko) 차세대 이동 통신 교환기의 이동성을 검증하기 위한 신호 프로토콜 처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험장치
KR0152215B1 (ko) 개인통신교환기 시험용 가입자정보처리 장치 시뮬레이터의 제어 방법
GB2395087A (en) Probing a server
KR0169040B1 (ko) 가입자정보 처리장치 시뮬레이터에서의 개인통신응용부 프로토콜 처리방법
KR100249859B1 (ko) 차세대지능망 지능형정보제공시스템 지능망응용프로토콜 시험장치
KR100406031B1 (ko) Oms를 이용한 교환기 시뮬레이션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020057176A (ko) 무선 자원 시뮬레이터
KR100349668B1 (ko) 통신 시스템 시험 장치
KR100478833B1 (ko) 교환기의 데이터 전송경로 시험 장치 및 방법
KR0138595B1 (ko) 개인 이동응용프로토콜 시뮬레이션 장치 및 방법
Kim et al. Experiences with the design of B-ISDN integrated test system (BITS)
KR20000042935A (ko) 프로세서간 통신 성능 테스트 방법 및 장치
KR0131852B1 (ko) 종합정보통신망 교환시스템의 시간 스위치에서의 패킷고정경로 시험 방법
KR20030025621A (ko) 네트워크의 트래픽 점검방법
JPH07107140A (ja) プロトコルアナライ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8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2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