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84126B1 - Refrigeration Showcase - Google Patents

Refrigeration Showcas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84126B1
KR100284126B1 KR1019980058913A KR19980058913A KR100284126B1 KR 100284126 B1 KR100284126 B1 KR 100284126B1 KR 1019980058913 A KR1019980058913 A KR 1019980058913A KR 19980058913 A KR19980058913 A KR 19980058913A KR 100284126 B1 KR100284126 B1 KR 1002841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storage space
showcase
beverage container
partition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5891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00042662A (en
Inventor
정낙원
Original Assignee
정낙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낙원 filed Critical 정낙원
Priority to KR10199800589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84126B1/en
Publication of KR200000426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4266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41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4126B1/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3/00Show cases or show cabinets
    • A47F3/02Show cases or show cabinets with dispensing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1/00Racks for dispensing merchandise; Containers for dispensing merchandise
    • A47F1/04Racks or containers with arrangements for dispensing articles, e.g. by means of gravity or springs
    • A47F1/12Racks or containers with arrangements for dispensing articles, e.g. by means of gravity or springs dispensing from the side of an approximately horizontal stack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3/00Show cases or show cabinets
    • A47F3/04Show cases or show cabinets air-conditioned, refrigerated
    • A47F3/0404Cases or cabinets of the closed type
    • A47F3/0426Details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용 쇼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상측의 수납공간 전방에는 도어(20)가 설치되고, 하단의 배출구(30)상에는 냉기가 외부로 유실되지 않도록 절개된 고무판(31)을 부착시킨 쇼케이스(10)와; 상기 쇼케이스(10)의 수납공간을 다수로 분할하고, 수납되는 용기들을 상하로 정렬하는 수납공간 구획부재(40)와; 상기 수납공간 구획부재(40)의 저부에 제공되며, 자유낙하되는 최하단의 용기가 상기 배출구(30) 방향으로 항상 일정거리 돌출될 수 있도록 경사부(61)를 구비하는 인출 가이드부재(60)와; 상기 수납공간 구획부재(40)에 설치되고,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상부용기의 하부이동을 억제하도록 하므로서 최하단 용기에 상부의 무게가 가해지지 않도록 자유낙하를 지연시키는 브레이크수단(80);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owcase for refrigeration, wherein a door 20 is installed in front of an upper storage space, and a showcase 10 having a rubber plate 31 cut therein so as to prevent cold air from being lost to the outside on a lower outlet 30. )Wow; A storage space partition member 40 for dividing the storage space of the showcase 10 into a plurality of storage spaces, and arranging the containers to be stored vertically; A pull-out guide member 60 provided at a bottom of the storage space partition member 40 and having an inclined portion 61 so that the lowermost container freely falling may always protrude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direction of the discharge port 30; ; A brake means (80) installed in the storage space partition member (40) to delay free movement of the uppermost container so as to suppress the lower movement of the upper containers stacked sequentially; Characterized in that comprises a.

이같은 본 발명은, 쇼케이스에 진열된 음료용기를 꺼내기 위하여 도어를 빈번하게 개방시킬 필요없이 하측 배출구를 통해 충분히 냉각된 용료용기를 간편하게 인출시킬 수 있으며, 또한 부족량의 음료용기를 상부로부터 보충하여 저장된 음료용기가 항상 최상의 냉각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상측에 적층되는 음료용기의 자유낙하를 지연시키게 되는 브레이크수단 및 인출 가이드부재에 의해 배출구가 언제나 인출 가능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withdraw a sufficiently cooled container through the lower outlet without the need to open the door frequently to take out the beverage container displayed on the showcase, and also replenish the insufficient amount of the beverage container from the top of the beverage While allowing the container to always maintain the best cooling condition, 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discharge port at all times by means of the brake means and the extraction guide member which delay the free fall of the beverage container stacked on the upper side.

Description

냉장용 쇼케이스Refrigeration Showcase

본 발명은 냉장용 쇼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음료용기를 인출시 반듯이 도어를 개폐시킨 후 음료용기를 인출해야 하는 종래 구조를 개선하여 도어를 개폐시키지 않고서도 원하는 음료용기를 인출시키도록 하므로써 음료용기의 인출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고 또한 안정된 냉기 유지로 전기소모량을 현저히 줄일 수 있도록 한 냉장용 쇼케이스(A drink bottle show-case for safe-keep cool)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frigerated showcase, and more particularly, by improving the conventional structure in which the beverage container must be withdrawn after opening and closing the beverage container, so as to withdraw the desired beverage container without opening and closing the doo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everage bottle show-case for safe-keep cool that facilitates the withdrawal of beverage containers and significantly reduces the amount of electricity consumed by maintaining a stable cold air.

일반적으로 판매용 음료용기는 내용물의 특성에 따른 신선도를 유지하기 위해 냉장용 쇼케이스에 보관하여 진열하게 되는데, 종래의 냉장용 쇼케이스는 내부에 음료용기를 진열시키는 선반형의 진열대가 상하 복수층으로 구비되고, 진열된 음료용기가 외부에서 확인될 수 있도록 투명체로 이루어진 도어에 의해 개폐되며, 구매자가 음료용기를 꺼낼 때에는 반듯이 도어를 개방시킨 상태에서만 인출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In general, the beverage containers for sale are stored in the showcase for refrigeration in order to maintain the freshnes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ntents, the conventional refrigerated showcase is a shelf-type display stand for displaying the beverage containers inside the upper and lower plural layers. It is opened and closed by a door made of a transparent body so that the displayed beverage container can be seen from the outside, and when the buyer takes out the beverage container, it is configured to be withdrawn only when the door is opened.

그러나, 상기와 같은 냉장용 쇼케이스는 음료용기를 꺼낼때 반듯이 도어를 개방시켜야 함에 따라 쇼케이스내에서 적정온도를 유지하는 냉기가 쉽게 외부로 유실되게 되고, 이에따른 실내온도의 급격한 변화 즉, 도어의 잦은 개폐에 따라 냉각기가 빈번하게 동작하게 되는 것이며, 이같은 요인에 의해 에너지가 많이 소모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cold showcase as described above, when opening the beverage container, the door must be opened so that the cool air maintaining the proper temperature in the showcase is easily lost to the outside, and thus the rapid change in the room temperature, that is, the frequent change of the door. The cooler is frequently operated according to the opening and closing, and a lot of energy is consumed by such factors.

또한, 종래의 쇼케이스는 음료용기를 진열대위에 세워진 상태에서 보관하게 되므로 외부에서는 전방측에 진열된 음료용기만이 투시 가능하게 되고 뒷쪽에 진열된 음료용기는 외부에서 확인할 수 없게 되어 음료 구매시 도어를 개방시킨 상태에서 일일이 찾아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발생된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showcase is a beverage container is stored on the display stand, so only the beverage containers displayed on the front side can be viewed from the outside, and the beverage containers displayed on the rear side can not be seen from the outside, so the door is opened when the beverage is purchased. In this state, troublesome to find one by one occurs.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냉장용 쇼케이스의 도어를 개방시키지 않고서도 진열된 음료용기를 간편하게 인출할 수 있도록 하는 냉장용 쇼케이스를 제공하는데 있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frigerated showcase that can easily withdraw the displayed beverage containers without opening the door of the refrigerated showcas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음료용기가 상하로 적층되어 진열되도록 하고, 적층된 음료용기가 인출시마다 배출구에 인출가능한 상태로 안정되게 낙하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llow the beverage containers to be stacked up and down, and to display the stacked beverage containers so that the stacked beverage containers can be stably dropped to the outlet at every discharge.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부족분의 음료용기를 상측으로부터 투입하고 인출은 하부 배출구를 통해 이루어짐으로서, 소비자가 언제나 장시간에 걸쳐 충분히 냉각된 양질의 음료수를 공급받을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ut the beverage container of the shortage from the upper side and withdrawal through the lower outlet, so that the consumer can always be supplied with a sufficiently high quality beverage for a long tim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냉장 쇼케이스를 나타낸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refrigerated showca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요부 사시도,2 is a perspective view of main parts of FIG. 1;

도 3은 본 발명의 사용상태 측면예시도,3 is a side view of the state of us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도 3에 나타난 브레이크 수단의 제1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예시도,4 is a front exemplary view for explaining a first embodiment of the brake means shown in FIG.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브레이크 수단의 다른 실시형태를 설명하는 사용상태 정면예시도.Fig. 5 is a front view of a use state illustrating another embodiment of brake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

D: 음료용기 10: 쇼케이스 20: 도어 30: 배출구 40: 수납공간 구획부재 40a,40b: 지지축 50,100: 레버 51: 수평바 52: 수직바 53: 힌지 54,61: 경사부 60: 인출 가이드부재 70: 스프링 걸림편 80: 브레이크수단 101: 핀 102: 지지돌기 103: 연장지지바D: Beverage container 10: Showcase 20: Door 30: Outlet 40: Storage compartment partition member 40a, 40b: Support shaft 50, 100: Lever 51: Horizontal bar 52: Vertical bar 53: Hinge 54, 61: Inclined part 60: Pull out guide member 70: spring engaging piece 80: brake means 101: pin 102: support protrusion 103: extension support bar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측의 수납공간 전방에는 도어가 설치되고, 하단의 배출구상에는 냉기가 외부로 유실되지 않도록 절개된 고무판을 부착시킨 쇼케이스와; 상기 쇼케이스의 수납공간을 다수로 분할하고, 수납되는 용기들을 상하로 정렬하는 수납공간 구획부재와; 상기 수납공간 구획부재의 저부에 제공되며, 자유낙하되는 최하단의 용기가 상기 배출구 방향으로 항상 일정거리 돌출될 수 있도록 경사부를 구비하는 인출 가이드부재와; 상기 수납공간 구획부재에 설치되고,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상부용기의 하부이동을 억제하도록 하므로서 최하단 용기에 상부의 무게가 가해지지 않도록 자유낙하를 지연시키는 브레이크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front of the storage space in the upper side is installed, the showcase attached to the rubber plate cut in order to prevent the cold air is lost to the outside of the lower outlet; A storage space partitioning member for dividing the storage space of the showcase into a plurality, and aligning the containers to be stored vertically; A pull-out guide member provided at a bottom of the storage space partition member and having an inclined portion so that the lowermost free-falling container can protrude at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direction of the outlet; And a brake means installed on the storage space partition member and delaying free fall so that weight of the upper portion is not applied to the lowermost container while suppressing the lower movement of the upper container sequentially stacked.

본 발명의 일면에 따라, 상기 브레이크수단은, 상기 수납공간 구획부재의 일측에 전후방 지지축을 가로질러 힌지 결합되며, 하측 용기의 외주연에 의해 회전이 억제되는 수직바와, 적층되는 상측 용기의 하단을 경사지게 지지하게 되는 수평바로 구성된 레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invention, the brake means is hinged across the front and rear support shafts on one side of the storage space partition member, the vertical bar is inhibited by the outer periphery of the lower container and the lower end of the upper container stacked It characterized in that the lever consisting of a horizontal bar to be inclined support.

또한, 상기 수평바의 후방에는 경사부를 구비하되, 그 경사부의 시작점이 용기의 무게중심보다 전방을 지지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rear of the horizontal bar is provided with an inclined portion, so that the starting point of the inclined portion to support the front than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container.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따라, 마주보는 상기 수납공간 구획부재의 내측에, 수납되는 용기가 좌우 치우침이 없이 중앙으로 정렬되도록 한 쌍의 스프링 걸림편을 일정간격으로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air of spring engaging pieces are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such that the container to be received is aligned in the center without facing left and right inside the storage space partition member facing each other.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냉장용 쇼케이스의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a showcase for refrige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쇼케이스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요부 사시도로서 적층된 음료용기가 인출되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며, 도 3은 도 2의 측면을, 그리고 도 4는 도 1 및 도 2의 정단면 사용상태를 각각 도시하고 있다.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howca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portion of Figure 1 shows a state in which the stacked beverage containers are drawn out, Figure 3 is a side of Figure 2, Figure 4 and Figure 1 and The front end use state of FIG. 2 is shown, respectively.

본 발명에 따른 냉장용 쇼케이스는, 음료용기(D) 수납공간이 형성된 쇼케이스(10)와, 수납공간을 개폐시키는 도어(20)와, 수납공간에 진열된 음료용기(D)를 인출시키는 배출구(30)와, 쇼케이스(10)의 수납공간에 복수개의 음료용기 진열공간(41)이 형성되도록 배열시키게 되는 수납공간 구획부재(40)와, 최하단에 위치하는 음료용기(D)를 배출구(30)로 안내하는 인출 가이드부재(60), 및 상측에 적층된 음료용기(D)의 낙하를 지연시켜 최하단 용기의 분리가 용이하게 하는 브레이크수단(8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refrigeration showca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howcase 10 having a beverage container (D) storage space, a door (20) for opening and closing the storage space, and an outlet for drawing out the beverage container (D) displayed in the storage space ( 30, the storage space partition member 40 arranged to form a plurality of beverage container display space 41 in the storage space of the showcase 10, and the beverage container (D) located at the lowermost outlet 30 It comprises a withdrawal guide member 60 to guide to, and the brake means 80 to delay the fall of the beverage container (D) stacked on the upper side to facilitate the separation of the lowermost container.

상기 쇼케이스(10)는 내부에 음료용기 수납공간을 형성하고, 전방으로 개방된 구조를 취하게 되며, 도어(20)에 의해 개폐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쇼케이스(10)의 음료용기 수납공간 하단. 즉, 도어(20)의 하단과 하향으로 소정거리 이격된 위치에는 상기 도어(20)의 개폐유무에 관계없이 외측으로 진열된 음료용기(D)를 인출시킬 수 있도록 배출구(30)가 복수개 구비되며, 상기 배출구(30)에는 중앙부가 방사형으로 절개된 탄성체의 고무판(31)이 개방가능한 상태로 부착되어 돌출되는 용기의 주둥이부분을 감싸는 형태로서 내부의 냉기 유실을 차단하게 된다.The showcase 10 forms a beverage container storage space therein, takes a structure that is open to the front, and is opened and closed by the door 20. And the bottom of the beverage container storage space of the showcase (10). That is, a plurality of outlets 30 are provided at a position spaced downward from the lower end of the door 20 so as to draw out the beverage container D displayed to the outside regardless of whether the door 20 is opened or closed. In addition, the outlet port 30 is attached to the rubber plate 31 of the elastic body in which the center portion is radially cut in such a way as to surround the spout of the protruding container to block the loss of cold air therein.

상기 쇼케이스(10)내의 수납공간에는 음료용기(D)가 상하로 적층되어져 삽입될 수 있도록 복수개의 수납공간 구획부재(40)가 등간격으로 배열되고, 이 수납공간 구획부재(40)에 의해 쇼케이스(10)내에는 인접하는 복수개의 음료용기 진열공간(41)이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수납공간 구획부재(40)는 각각 전후 한쌍으로 이루어지는 지지축(40a)(40b)을 가지게 된다.In the storage space in the showcase 10, a plurality of storage space partition members 40 are arranged at equal intervals so that the beverage containers D may be stacked and inserted up and down. The storage space partition members 40 showcase the space. A plurality of adjacent beverage container display spaces 41 are provided in 10. And, the storage space partition member 40 has a support shaft 40a, 40b consisting of a pair of front and rear, respectively.

이같은 수납공간 구획부재(40) 사이에는 또한, 상하로 적층된 음료용기(D) 가운데 최하단에 위치하는 음료용기(D1)가 상측에 적층되는 음료용기들의 중량에 눌리어서 배출구(30)를 향해 소정길이 많큼 돌출시킬 수 있도록 안내하는 인출 가이드부재(60)가 쇼케이스(10) 내부의 음료용기 수납공간 바닥면을 따라 설치된다.Between the storage space partition member 40, the beverage container (D1) located at the lowermost end of the beverage containers (D) stacked up and down is pressed by the weight of the beverage containers stacked on the upper side toward the discharge port (30) A withdrawal guide member 60 for guiding the protruded length is installed along the bottom surface of the beverage container storage space in the showcase 10.

뿐만 아니라, 상기 수납공간 구획부재(40)의 전후 지지축(40a)(40b) 하단에는, 적층된 상부 음료용기의 하부이동을 억제함으로서 최하단에 위치하는 음료용기(D1)가 원활하게 이탈되도록 하는 브레이크수단(80)이 구비되게 된다.In addition, the lower end of the front and rear support shafts (40a) (40b) of the storage space partition member 40, by suppressing the lower movement of the stacked upper beverage containers to ensure that the beverage container (D1) located at the lowest end to be separated smoothly. The brake means 80 is provided.

상기 브레이크수단(80)은, 상기 배출구(30)를 통해 하나의 음료용기(D1)가 빠져나가게 되면 그 상측에 적층된 또 하나의 음료용기(D2)를 낙하시킴과 동시에 적층된 인접하는 상부 음료용기(D3)의 자유낙하를 억제시키도록 하기 위한 것이며, 이는 수납공간 구획부재(40)의 전후 지지축(40a)(40b)을 관통하여 회동가능하게 힌지(53) 결합되는 레버(50)를 포함한다.The brake means 80, when one beverage container (D1) exits through the discharge port 30, while dropping another beverage container (D2) stacked on the upper side and the adjacent upper beverage stacked at the same time It is to suppress the free fall of the container (D3), which is to rotate the hinge 50 is coupled to the hinge (53) through the front and rear support shafts (40a, 40b) of the storage compartment partition member 40 Include.

이러한 상기 레버(50)는, 전면 지지축(40a)의 전방으로 노출된 체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며 최하단의 음료용기(D1)에 의하여 회전이 억제되고 있는 수직바(52)와, 수납공간 구획부재(40)의 전후 두 지지축(40a)(40b)에 걸쳐서 각기 지지되며 상기 힌지(53)를 중심으로 소정의 경사각을 이룬체 음료용기(D2)와 평행하게 놓여져서 음료용기(D2)가 하부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게 되는 수평바(51)가 일체로 형성되는 절곡된 단일철심의 구조를 취하게 된다.The lever 50, the vertical bar 52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exposed to the front of the front support shaft (40a) and the rotation is suppressed by the lowermost beverage container (D1) and the storage space partition member The front and rear two support shafts 40a and 40b of 40 are respectively supported and placed parallel to the beverage container D2 having a predetermined inclination angle around the hinge 53 so that the beverage container D2 is lowered. It takes the structure of the bent single iron core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horizontal bar 51 to regulate the movement to.

상기 수평바(51)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상기 음료용기 진열공간(41)에 체워지는 음료용기(D2)의 하측을 경사지게 지지하는 구조로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음료용기(D2)와의 접촉점의 위치가 외접면의 바깥쪽에 위치하도록 절곡하고, 그 길이방향에는 도 3에서와 같이 후방에 절곡된 경사부(54)를 형성하되, 상기 경사부(54)의 시작점(g1)이 음료용기(D2)의 무게중심(G)보다 전방에 위치하도록 설계한다.The horizontal bar 51, as shown in Figure 4 is formed in a structure for supporting the lower side of the beverage container (D2) in the beverage container display space 41 inclined, preferably the beverage container (D2) ) Is bent so that the position of the contact point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inclined portion 54 is bent in the rear as shown in Figure 3, the starting point (g1) of the inclined portion 54 Designed to be located in front of the center of gravity (G) of the beverage container (D2).

이같은 구성에 의해, 일정한 길이로 돌출된 체 평행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하부의 음료용기(D1)는, 수평바(51)에 의해 지지되고 무게중심(G)을 수평바(51)의 경사부 시작점(g1)보다 후방에 둠으로서 전방이 들린체 경사지게 적층되는 다수의 음료용기(D2)(D3)와 최소의 접촉면적을 유지하게 되는 것이며, 따라서 하부 음료용기(D1) 분리시 최소의 마찰력을 가지게 된다.By this structure, the lower beverage container D1 which maintains the sieve parallel state which protruded by the fixed length is supported by the horizontal bar 51, and the center of gravity G is the inclination part of the horizontal bar 51. Since it is placed behind the starting point (g1) to maintain a minimum contact area with a plurality of beverage containers (D2) (D3) that are stacked obliquely in front of the lifting point (g1), and thus the minimum frictional force when separating the lower beverage container (D1) Have.

그리고 상기 수직바(52)는, 상기 음료용기(D2)(D3)들의 적층시에 최하단으로 낙하되는 음료용기(D1)에 의해 상기 수납공간 구획부재(40)에 밀착된 상태로 하향 연장되는 것이며, 음료용기(D2)의 측면 하단을 지지하는 상기 수평바(51)의 회동을 억제시키기 위한 것이다.In addition, the vertical bar 52 extends downward in close contact with the storage space partition member 40 by the beverage container D1 falling to the bottom end when the beverage containers D2 and D3 are stacked. To suppress the rotation of the horizontal bar 51 supporting the lower side of the beverage container (D2).

다시말해, 상기 쇼케이스(10)의 음료용기 진열공간(41)에 적층된 최하단 음료용기(D1)를 구매자가 배출구(30)로 꺼내게 되면, 상기 레버(50)의 수직바(52)는 지지력이 해제되어 도 4와 같이 회동가능한 상태로 전환되고, 바로 윗쪽에 적층된 음료용기(D2)가 큰 자중을 가하게 됨에 따라 음료용기(D2)의 하부이동을 규제하고 있던 상기 수평바(51)는 음료용기(D2)가 하부로 미끄러져 내려오는 것과 동시에 시계방향으로의 회전을 시작하게 된다.In other words, when the buyer pulls out the lowermost beverage container D1 stacked in the beverage container display space 41 of the showcase 10 through the outlet 30, the vertical bar 52 of the lever 50 has a bearing force. 4, the horizontal bar 51 restricting the movement of the lower portion of the beverage container D2 as the beverage container D2, which is directly stacked on the upper side, exerts a large weight. As soon as the container D2 slides down, it starts to rotate clockwise.

하지만 이러한 회전운동은, 상기 음료용기(D2)가 하부로 이동하여 레버(50)의 수직바(52)와 만나는 순간까지만 계속되는 것이며, 음료용기(D2)가 수직바(52)에 닿게 되면 다시 힌지(53)를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 이때 수평바(51) 역시 반시계방향으로 이동하여 초기의 위치로 복귀되는 것이므로 이어서 낙하되는 또 다른 음료용기(D3)의 외주면을 지지하게 되어 음료용기(D)의 낙하가 순차적으로 지연되는 상태를 반복적으로 실행하게 되는 것이다.However, this rotational movement is continued until the moment when the beverage container D2 moves downward and meets the vertical bar 52 of the lever 50, and when the beverage container D2 touches the vertical bar 52, the hinge is hinged again. It rotates counterclockwise about (53). At this time, since the horizontal bar 51 also moves counterclockwise to return to the initial position, the horizontal bar 51 supports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another beverage container D3 that is subsequently dropped, so that the drop of the beverage container D is sequentially delayed. It will run repeatedly.

상기 인출 가이드부재(60)는 복수개의 경사지게 절곡된 안내바(61)들로 이루어지며, 상기 쇼케이스(10)의 음료용기 진열공간(41) 바닥 후방에 위치되어 낙하되는 음료용기(D)를 배출구(30)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소정의 경사부(61)을 가지게 되고, 그 일측단부가 상기 수납공간 구획부재(40)들 사이의 바닥면에 그리고 타측단부가 상기 쇼케이스(10)의 내벽에 소정의 경사도를 가지며 고정된다.The withdrawal guide member 60 includes a plurality of inclined guide bars 61 and is disposed at the rear of the beverage container display space 41 of the showcase 10 and falls down from the beverage container D. It has a predetermined inclined portion 61 so as to move in the (30) direction, one end of which is on the bottom surface between the storage compartment partition members 40 and the other end is on the inner wall of the showcase 10. It is fixed with a predetermined inclination.

여기서, 상기 인출 가이드부재(60)는 상기 쇼케이스(10)의 작동매체로부터 배출되는 냉기가 용이하게 순환되도록 망사형태의 구조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Here, the take-out guide member 60 is preferably made of a mesh structure so that the cold air discharged from the working medium of the showcase 10 is easily circulated.

또한, 도면부호 70은 음료용기(D)의 자유낙하시 좌우 치우침을 방지하기 위한 스프링 걸림편으로서, 상기 스프링 걸림편(70)은 수납공간 구획부재(40)의 내측 대향면에 각각 힌지되어져 자유낙하되는 음료용기(D)의 외측을 소정의 탄성력으로 지지하므로써 음료용기(D)의 자중력을 감쇄 및 낙하되는 음료용기(D)가 중앙으로 정렬될 수 있도록 하게 된다.In addition, reference numeral 70 denotes a spring engaging piece for preventing left and right deviation of free fall of the beverage container D, and the spring engaging piece 70 is hinged to the inner facing surface of the storage space partition member 40, respectively, to be free. By supporting the outside of the beverage container (D) to be dropped with a predetermined elastic force to reduce the self-gravity of the beverage container (D) and drop the beverage container (D) to be aligned to the center.

이상에서와 같은 냉장용 쇼케이스의 사용상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use state of the refrigeration showcase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먼저, 음료용기(D)를 진열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쇼케이스(10)의 도어(20)를 개방시킨 상태에서 수납공간 구획부재(40)에 의해 분리된 음료용기 진열공간(41)에 각각 음료용기를 상하로 적층시키고 개방된 도어(20)를 닫는다.First, when the beverage container D is to be displayed, the beverage containers are respectively displayed in the beverage container display space 41 separated by the storage space partition member 40 while the door 20 of the showcase 10 is opened. Are stacked up and down and the open door 20 is closed.

그런다음, 구매자가 배출구(30)를 통해 원하는 음료용기(D1)를 당기게 되면, 윗쪽 음료용기(D2)가 자중에 의해 자유낙하되며 레버(50)의 수평바(51)를 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키게 되고, 동시에 수직바(52)는 수납공간 구획부재(40)(40a)의 힌지(53)를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동되게 된다.Then, when the buyer pulls the desired beverage container D1 through the outlet 30, the upper beverage container D2 falls freely by its own weight and rotates the horizontal bar 51 of the lever 50 clockwise. At the same time, the vertical bar 52 is rotated clockwise around the hinge 53 of the storage compartment partition members 40 and 40a.

연속해서 낙하되는 음료용기(D2)의 후단은, 인출 가이드부재(60)의 경사지게 절곡된 안내바(61)를 따라 슬라이드 되어져 음료용기(D2) 선단의 두껑부가 배출구(30)에 근접하여 위치되게 되며, 연속된 동작으로 낙하되는 음료용기(D2)의 외측이 레버(50)의 수직바(52)를 반시계방향으로 회동시켜 수평바(51)의 경사부(54)가 힌지(53)를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동되면서 낙하되는 음료용기(D3)의 전방 외측을 지지하게 되어 적층된 음료용기(D)의 낙하를 지연시키게 되는 것이다.The rear end of the beverage container D2 which is continuously dropped is slid along the guide bar 61 bent inclined of the withdrawal guide member 60 so that the lid portion of the beverage container D2 tip is located close to the outlet 30. The outer side of the beverage container D2 falling in a continuous motion rotates the vertical bar 52 of the lever 50 counterclockwise so that the inclined portion 54 of the horizontal bar 51 hinges the hinge 53. It rotates counterclockwise toward the center to support the front outer side of the beverage container (D3) falling to delay the falling of the stacked beverage container (D).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브레이크수단(80)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음료용기(D)의 자중낙하를 지연시키게 되는 레버(100)가 상기 음료용기 진열공간(41)의 수납공간 구획부재(40) 양측에 좌우 한 쌍의 구조로 대향되게 구성된 상태를 보이고 있다. 이는 음료용기(D)의 자유낙하시 그 외경의 크기에 관계없이 상하로 적층되는 음료용기(D)를 그 진열공간(41)의 중심방향으로 원활히 안내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Figure 5 shows another embodiment of the brake means 8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ever 100 which delays the falling of the weight of the beverage container (D) is divided into the storage space of the beverage container display space 41 The member 40 is shown to be configured to face each other in a pair of left and right structures. This is to ensure that the free fall of the beverage container (D) can be smoothly guided toward the center of the display space 41 of the beverage container (D) stacked up and down regardless of the size of the outer diameter.

즉, 상기 레버(100)는 상기 수납공간 구획부재(40)의 전방에 한 쌍으로 회동가능하게 핀(101) 고정되며, 상측에는 상측 음료용기(D2)를 지지할 수 있도록 절곡된 지지돌기(102)를 구비하고, 하측에는 하부 음료용기(D1)에 의해 상기 지지돌기(102)의 회전을 억제시키는 연장지지바(103)를 형성한다.That is, the lever 100 is fixed to the front of the storage compartment partition member 40 in a pair of pins (101), the support protrusions bent to support the upper beverage container (D2) on the upper side ( 102 is provided, the lower side is formed with an extended support bar 103 to suppress the rotation of the support protrusion 102 by the lower beverage container (D1).

다시말해, 상기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동일한 직경을 갖는 음료용기(D)외에 다양한 직경을 갖는 음료용기가 적층되는 경우에 있어서도 상기 레버(100)가 좌우에서 동시에 지지할 수 있게 되므로서 낙하되는 음료용기의 좌우 치우침이 발생되지 않고 안전하게 중심방향으로 정렬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In other words,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even in the case where beverage containers having various diameters are stacked in addition to the beverage containers having the same diameter, the beverage containers drop while being able to support the lever 100 at the same time from the left and right. The left and right side of the is not generated and can be safely aligned in the center direction.

이상에서 구체적으로 살펴본 바와같이 본 발명은, 쇼케이스에 진열된 음료용기를 꺼내기 위하여 도어를 빈번하게 개방시킬 필요없이 하측 배출구를 통해 충분히 냉각된 용료용기를 간편하게 인출시킬 수 있으며, 또한 부족량의 음료용기를 상부로부터 보충하여 저장된 음료용기가 항상 최상의 냉각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상측에 적층되는 음료용기의 자유낙하를 지연시키게 되는 브레이크수단 및 인출 가이드부재에 의해 배출구가 언제나 인출 가능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As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withdraw a sufficiently cooled container through the lower outlet, without having to frequently open the door to take out the beverage container displayed on the showcase, and also insufficient amount of beverage container The beverage container, supplemented from the top, can always maintain the best cooling state, while the outlet can always be withdrawn by the brake means and the extraction guide member which delay the free fall of the beverage container stacked on the upper side. Will be.

Claims (5)

상측의 수납공간 전방에는 도어가 설치되고, 하단의 배출구상에는 냉기가 외부로 유실되지 않도록 절개된 고무판을 부착시킨 쇼케이스와;A showcase in which a door is installed at the front of the upper storage space and a rubber plate cut out on the outlet of the lower side so that cold air is not lost to the outside; 상기 쇼케이스의 수납공간을 다수로 분할하고, 수납되는 용기들을 상하로 정렬하는 수납공간 구획부재와;A storage space partitioning member for dividing the storage space of the showcase into a plurality, and aligning the containers to be stored vertically; 상기 수납공간 구획부재의 저부에 제공되며, 자유낙하되는 최하단의 용기가 상기 배출구 방향으로 항상 일정거리 돌출될 수 있도록 경사부를 구비하는 인출 가이드부재와;A pull-out guide member provided at a bottom of the storage space partition member and having an inclined portion so that the lowermost free-falling container can protrude at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direction of the outlet; 상기 수납공간 구획부재에 설치되고,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상부용기의 하부이동을 억제하도록 하므로서 최하단 용기에 상부의 무게가 가해지지 않도록 자유낙하를 지연시키는 브레이크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용 쇼케이스.The brake unit is installed in the storage space partition member, the brake means for delaying the free fall so that the weight of the upper portion is not applied to the lowermost container while suppressing the lower movement of the upper container is sequentially stacked. Dragon showcas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수단이, 상기 수납공간 구획부재의 일측에 전후방 지지축을 가로질러 힌지 결합되며, 하측 용기의 외주연에 의해 회전이 억제되는 수직바와, 적층되는 상측 용기의 하단을 경사지게 지지하게 되는 수평바로 구성된 단일 레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용 쇼케이스.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rake means is hinged across the front and rear support shaft to one side of the storage space partition member, the vertical bar is inhibited by the outer periphery of the lower container and the lower end of the stacked upper container to be inclined Refrigerating showcase, characterized in that the single lever consisting of a horizontal bar to support.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바의 후방에는 경사부를 구비하되, 그 경사부의 시작점이 용기의 무게중심보다 전방의 외주면을 지지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용 쇼케이스.3. The showcase for refrigeration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an inclined portion is provided at the rear of the horizontal bar, and a starting point of the inclined portion supports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in front of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contain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수단이, 상기 수납공간 구획부재의 전방에 각기 핀으로 고정되며, 상측에는 상부용기를 지지하는 지지돌기를 구비하고, 하측에는 적층된 하부용기에 의해 상기 지지돌기의 회전을 억제시키는 연장지지바를 갖는 좌우 한 쌍의 레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용 쇼케이스.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rake means, each of which is fixed with a pin in front of the storage space partition member, the upper side has a support projection for supporting the upper container, the lower side of the support projection by the laminated lower container Refrigerating showcase, characterized in that the left and right pair of levers having an extended support bar to suppress the rotation. 제 1 항 내지 제 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마주보는 상기 수납공간 구획부재의 내측에, 수납되는 용기가 좌우 치우침이 없이 중앙으로 정렬되도록 한 쌍의 스프링 걸림편을 일정간격으로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용 쇼케이스.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characterized in that a pair of spring engaging pieces are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so that the container to be received is aligned to the center without facing left and right inside the storage space partition member facing each other. Refrigeration showcase.
KR1019980058913A 1998-12-26 1998-12-26 Refrigeration Showcase KR10028412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8913A KR100284126B1 (en) 1998-12-26 1998-12-26 Refrigeration Showcas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8913A KR100284126B1 (en) 1998-12-26 1998-12-26 Refrigeration Showcas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2662A KR20000042662A (en) 2000-07-15
KR100284126B1 true KR100284126B1 (en) 2001-03-02

Family

ID=195659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58913A KR100284126B1 (en) 1998-12-26 1998-12-26 Refrigeration Showcas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84126B1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2662A (en) 2000-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587199B1 (en) Refrigerator
EP2594875B1 (en) Refrigerator
US10119747B2 (en) Refrigerator including a door having a storage chamber
KR102073328B1 (en) Accommodation containe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US6799818B2 (en) Tiltable storage module for refrigerator
EP3401620B1 (en) Refrigerator
US8220886B2 (en) Refrigerator with auxiliary basket
US6073460A (en) Rotary cooler
KR20200085103A (en) Refrigerator
US10827834B2 (en) Bottle support assembly for a refrigerator appliance
JP4044400B2 (en) Can storage device for refrigerator
KR100284126B1 (en) Refrigeration Showcase
EP0490693A2 (en) Dispenser
US2971675A (en) Dispensing display cabinet
KR101857655B1 (en) Refrigerator
JP2011028361A (en) Vending machine
US11808515B2 (en) Can dispenser rack for refrigerator door
JP2003166781A (en) Refrigerator
KR100624674B1 (en) Refrigerator
KR200318313Y1 (en) Wine barrel combined bottle storage unit_
JP2018159537A (en) Ice cream display cabinet and ice cream drawers
KR200464312Y1 (en) Refrigerator
CN209553806U (en) A kind of mounted refrigerating case for Cold Chain Logistics
KR20190072227A (en) A drawer type can container
KR200340300Y1 (en) Door pocket support device of refriger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025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