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84008B1 - 무선가입자망 가입자 접속장치의 상태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가입자망 가입자 접속장치의 상태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84008B1
KR100284008B1 KR1019980063003A KR19980063003A KR100284008B1 KR 100284008 B1 KR100284008 B1 KR 100284008B1 KR 1019980063003 A KR1019980063003 A KR 1019980063003A KR 19980063003 A KR19980063003 A KR 19980063003A KR 100284008 B1 KR100284008 B1 KR 1002840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u
base station
subscriber
management
subscriber acc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630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46323A (ko
Inventor
차시호
Original Assignee
김진찬
주식회사머큐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찬, 주식회사머큐리 filed Critical 김진찬
Priority to KR10199800630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84008B1/ko
Publication of KR200000463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463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40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4008B1/ko

Links

Landscapes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W-CDMA 방식의 무선가입자망(WLL) 가입자 접속장치(RIU)의 상태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무선 가입자망(WLL) 교환기, 기지국 운용장치(RPOM), 기지국(RP)과의 트래픽 및 제어정보를 교환하고 SNMP 에이젼트 기능을 수행하여 기지국(RP) 운용관리 기능을 수행하는 기지국 제어기(RPC) 및 기지국(RP)과 W-CDMA 방식의 무선가입자망(WLL) 가입자 접속장치(RIU)에서, W-CDMA 방식의 무선가입자망(WLL) 가입자 접속장치(RIU)의 상태관리 방법은 구성 및 자원관리 단계; 전원 상태 검출 단계; 인터페이스 상태 검출 단계; 소프트웨어 상태 검출 단계; 하드웨어 상태 검출 단계; 및 운영과 유지보수 단계를 포함하며, 장애가 발생하면 LED 및 부저 알람을 발생시키고, 장애 정보를 기지국 제어기(RPC)의 SNMP 에이젼트로 보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W-CDMA 방식의 무선가입자망(WLL) 가입자 접속장치(RIU)의 상태관리 방법은 무선가입자망(WLL) 통신 프로토콜 및 망관리 분야의 시스템 관리분야에 적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무선가입자망 가입자 접속장치의 상태관리 방법(METHOD FOR MAINTAINING STATE OF RADIO INTERFACE UNIT ON WIRELESS LOCAL LOOP ACCODING TO W-CDMA MODE)
본 발명은 W-CDMA (Wide-Code Devision Multiple Access)방식의 무선가입자망(WLL:Wireless Local Loop) 가입자 접속장치(RIU:Radio Interface Unit)에서 상태 관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원 장애관리, 가입자 단말과의 인터페이스 장애관리, 하드웨어 장애 관리 및 소프트웨어 장애 관리기능을 가지며 통신 프로토콜 및 망관리 분야에 적용할 수 있는 W-CDMA 방식의 무선가입자망(WLL) 가입자 접속장치(RIU)의 상태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무선 가입자망(WLL)은 종전의 전화선을 이용하는 대신 기지국을 중심으로 약 2 ~ 6 km 거리 이내에 있는 가입자를 무선으로 연결하는 전화시스템 기술방식이다. 상기 무선 가입자망(WLL)의 응용분야는 음성, 팩스, 인터넷, 패킷 데이터 서비스 등 매우 다양하며 설치 비용 및 시간이 절약되므로 농어촌, 산간벽지, 섬이 많은 항만, 재해 대책 용도 등 제 2 의 시내 전화 사업을 위한 기술로 각광을 받고 있다. 상기 무선 가입자망(WLL)을 사용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장점으로는 동선을 설치하지 않아도 되므로 투자비가 저렴하고, 망을 신속하게 설치할 수가 있으며 유지보수 비용이 저렴하다.
상기 무선 가입자망(WLL)의 망을 구성하는 구성요소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무선 가입자망(WLL) 교환기(110), 기지국제어기(RPC:Radio Port Controller)(90), 기지국(RP: Radio Port)(60), 가입자 접속장치(RIU)(50) 및 기지국 운용장치(RPOM: Radio Port Operation & Maintenance center)(70)등이 있으며, 부가적으로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데이터 통신 정합 장치(IWF:InterWorking Function)(80)와 홈위치등록 장치(HLR:Home Location Register)(120)로 구성된다.
상기 기지국제어기(90:RPC)는 기지국(60:RP)과의 트래픽 정보 및 제어정보를 교환하고 SNMP Agent 기능을 수행하여 기지국(RP) 운용관리 기능을 수행하고 이의 정보를 기지국 운용장치(RPOM)와 교환하는 기능 및 호처리, 가입자 정보관리, 그리고 WLL 교환기(110) 및 통신정합장치(80:IWF)와 정합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망요소로 구성된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무선 가입자망(WLL)의 가입자 접속장치(RIU)의 기본 구성도를 나타낸다.
상기 가입자 접속장치(RIU)는 가입자측의 무선 접속을 종단시키는 역할을 하며 가입자 댁내에 위치하여 아날로그 가입자를 위해서는 A/D변환 및 D/A변환 기능을 수행하며, 팩스 및 모뎀 등 음성 대역 데이터 전송을 위해서 베어러 채널 교정(Bearer Channel Modification )을 수행한다.
또한, ISDN 가입자를 위하여 ISDN 단말장치와 물리적인 접속을 위해 S-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디지털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직렬포트와 접속하는 기능을 수행하여 음성 및 ISDN 서비스, 디지털 데이터 서비스 등이 가능하도록 가입자 선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상기 가입자 접속장치(RIU)의 기본 구성은 RF인터페이스부(RFIU:RF Interface Unit:51), 디지털 신호처리부(DSPU:Digital Signal Processing Unit:52), 데이터 터미널 인터페이스부(DTIU:Data Terminal Interface Unit:53), 가입자 라인 인터페이스 회로(SLIC:Subscriber Line Interface Circuit: 54), 기본 속도 인터페이스부(BRI:Basic Rate Interface Unit:55) 및 전원 모듈(Power/Battery Backup:56)을 포함한 6개의 블록으로 구성된다.
상기 RF인터페이스부(RFIU:51)는 안테나부, RF신호처리부 등으로 구성되고,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부(DSPU:52)는 프로세서 및 메모리, 트랜스코더 및 기저대역 CDMA ASIC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데이터 터미널 인터페이스부(DTIU:53)는 직렬 입출력부(SIO: Serial Input Output)로 구성되며 RS232C 접속기능, 직렬통신 기능 및 디지털 데이터 단말장치 접속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가입자 라인 인터페이스 회로(SLIC:54)는 톤 발생기(Tone Generator), 링 발생기(Ring Generator), RJ-11 플러그 등으로 구성되며 단말기 접속기능 및 단말기로부터 A/D, D/A 변환기능을 제공하고, 후크 온/오프(Hook ON/OFF) 상태 검출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기본 속도 인터페이스부(BRI:55)는 RJ-45 접속 기능(ISDN 단말장치 접속 기능) 및 가입자 선로측 과전압 및 과전류 보호, 동기 상태 유지보수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전원 모듈(56)은 상기 가입자 접속장치(RIU)에 전원을 공급하는 기능 및 상용 전원 차단시 백업 밧데리(Backup Battery) 자동 절체 기능을 수행한다.
기본형 가입자 접속장치(RIU)는 음성 2회선, 데이터 1회선을 지원하며 2회선 통화가 가능한 다중 신호 모드로 동작하는 시스템이다. 32회선 가입자 접속장치(RIU)는 집단 전화형으로 음성 기준 최대 32회선을 지원하며 8회선의 동시 통화를 수용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 각각의 보드가 2회선 가입자 접속장치(RIU)가 가지고 있는 유니트 들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현재 세계적인 주요 통신 장비 업체들이 W-CDMA 방식의 무선가입자망(WLL)을 개발중에 있으며 각 사의 독자적인 가입자 접속장치(RIU) 장비뿐만 아니라 망을 관리하는 상태관리 프로그램도 개발중에 있으며, 시제품이 기술 개발의 제품이 아직 출시 되지 않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원 장애관리, 가입자 단말과의 인터페이스 장애관리, 하드웨어 장애 관리 및 소프트웨어 장애 관리기능을 가지며 통신 프로토콜 및 망관리 분야에 적용할 수 있는 W-CDMA 방식의 무선가입자망(WLL) 가입자 접속장치(RIU)의 상태관리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무선 가입자망(WLL) 교환기, 기지국 운용장치(RPOM), 기지국(RP)과의 트래픽 및 제어정보를 교환하고 SNMP Agent 기능을 수행하여 기지국(RP) 운용관리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트래픽 및 제어 정보를 상기 기지국 운용장치(RPOM)와 교환하는 기능 및 호처리, 가입자 정보관리를 수행하는 기지국 제어기(RPC) 및 기지국(RP)이 포함된 무선가입자망(WLL) 가입자 접속장치(RIU)에 있어서, 가입자 접속장치(RIU)의 구성 및 자원의 상태를 관리하기 위한 관리항목으로 타이머(timer), WLL 장치 식별자(IWEI:International WLL Equipment Identity), WLL 사용자 식별자(IWUI:International WLL User Identity), WLL 가입 식별자(WSI: WLL subscription Identity), 위치등록 정보 및 할당된 채널 번호(Assigned Channel Number)등의 구성 자원 값을 각 타스크 프로세스간 통신을 위한 메세지 큐(SM_Q)에 큐잉하여 SNMP 요청(request)에 의해 상기 기지국 제어기(RPC)로 보고하고 SNMP 응답(response)에 의해 변경하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 및 자원관리(CR Management) 단계; 상기 가입자 접속장치(RIU)의 전원 스위치의 온/오프, 밧데리의 충/방전, 밧데리의 충전량 등을 주기적으로 체크하고 전원장애 발생시 부저(Buzzer) 알람 발생 및 경보 LED를 온(ON)하고 이를 상기 기지국 제어기(RPC)로 보고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전원 상태 검출(Power Status Check) 단계; 상기 가입자 접속장치(RIU)의 공중전화망 인터페이스 보드인 PTI(POTS Terminal Interface)보드를 주기적으로 체크하여 가입자 단말기와의 인터페이스 장애를 검출하여 장애 발생시 부저 알람 발생 및 경보 LED를 온(ON)하고 이를 상기 기지국제어기(RPC)로 보고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인터페이스 상태 검출(Interface Status Check) 단계; 상기 가입자 접속장치(RIU)상에서 수행 중인 타스크들을 리얼타임 운영체계(Real Time O.S.)인 VRTXsa 라이브러리인 각 타스크의 정보를 얻는 루틴( sc_tinquiry )을 사용하여 각 타스크들의 정보를 얻어서 장애가 발생한 타스크를 검출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타스크에 대한 장애 검출시 부저 알람 발생 및 경보 LED를 온(ON)하고 이를 상기 기지국 제어기(RPC)로 보고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소프트웨어 상태 검출(S/W Status Check) 단계; 상기 가입자 접속장치(RIU)의 하드웨어를 제어하는 톤 발생(Tone generation)과 데이터 서비스, 음성 압축 확장 기능 및 펄스 부호 변조(PCM) 코딩을 수행하는 디지털 신호 처리(DSP) 보드를 주기적으로 체크하여 하드웨어 장애 발생 여부를 판별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장애 검출시 부저 알람 발생 및 경보 LED를 온(ON)하고 이를 상기 기지국 제어기(RPC)로 보고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하드웨어 상태 검출(H/W Status Check Task) 단계; 및 각 타스크의 장애 검출시 각 타스크들의 변경 정보를 프로세스간 통신에 의해 제1 운용 관리용 메시지 큐(OM_Q)에 저장하고, 상기 가입자 접속장치(RIU)와 상기 기지국 제어기(RPC)간의 송수신시 인캡슐레이션(Encapsulation) 및 디캡슐레이션(Decapsulation)을 하여 상기 타스크에 대한 변경 정보를 제 2 운용 관리용 메시지 큐(OM_Q)에 큐잉하여 상기 가입자 접속 장치(RIU)와 상기 기지국 제어기(RPC)로 SNMP 요구/응답 패킷을 송수신하는 운영 및 유지보수(Operation & Maintenance)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W-CDMA 방식의 무선가입자망(WLL) 가입자 접속장치(RIU)의 상태관리 방법을 제공한다.
도 1은 종래에 의한 무선 가입자망(WLL)의 망 구성도,
도 2는 도 1의 무선 가입자망(WLL)의 가입자 접속장치(RIU)의 기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무선가입자망(WLL)의 기지국 제어기(RPC)와 가입자 접속장치(RIU)간의 운용관리 프리미티브,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가입자 접속장치(RIU)의 상태관리 블록 도,
도 5는 구성자원 관리 타스크의 흐름도,
도 6은 전원관리 타스크의 흐름도,
도 7은 하드웨어 및 인터페이스 상태관리 타스크의 흐름도,
도 8은 소프트웨어 상태관리 타스크의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음성서비스 장치 20:팩스 및 모뎀
30: ISDN단말장치 40: 패킷 데이터 서비스 장치
50: 가입자 접속장치(RIU: Radio Interface Unit)
51: RF인터페이스부(RFIU:RF Interface Unit)
52: 디지털 신호처리부(DSPU:Digital Signal Processing Unit)
53: 데이터 터미널 인터페이스부(DTIU:Data Terminal Interface Unit)
54: 가입자 라인 인터페이스 회로(SLIC:Subscriber Line Interface Circuit)
55: 기본 속도 인터페이스부(BRI:Basic Rate Interface Unit)
56: 전원 모듈(Power/Battery Backup) 60: 기지국(RP: Radio Port)
70:기지국 운용장치(RPOM:Radio Port Operation & Maintenance center)
80: 데이터 통신 정합 장치(IWF:InterWorking Function)
90: 기지국제어기(RPC:Radio Port Controller)
100: 무선가입자망 게이트웨이(WLL Gateway)
110: WLL(Wireless Local Loop)교환기
120: 홈위치등록장치(HLR:Home Location Register)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자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무선가입자망(WLL)의 기지국 제어기(RPC:90)와 가입자 접속장치(RIU:50)간의 운용관리 프리미티브(Primitive)를 나타낸다.
상기 무선가입자망(WLL) 가입자 접속장치(RIU) 상태관리 프로그램은 VRTXsa커널을 기반으로 개발되었으며, 상기 VRTXsa는 마이크로컨트롤러에서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이르기까지 내재(embedded)된 광범위한 소프트웨어 프로젝트의 응용 프로그램을 개발할 수 있도록 해주는 내재(embedded)된 마이크로프로세서들을 위한 커널이다. 상기 무선가입자망(WLL) 기본형 가입자 접속장치(RIU:50)의 상태관리 블록은 가입자 접속장치(RIU:50)의 운용관리 기능 중에서 시험관리 기능을 제외한 장애 관리(Fault Management), 시험관리(Test Management), 구성 및 자원 관리(Configuration and Resource Management) 및 가입자 접속장치의 운용(RIU Operation)등 모든 기능을 구현하고 있다.
상기 장애관리는 상기 가입자 접속장치(RIU:50)에서 발생하는 각종 장애를 관리하기 위한 관리항목이다. 기본형 가입자 접속장치(RIU:50)의 장애관리에서 관리하는 장애의 타입은 소프트웨어 장애, 하드웨어 장애, 전원 장애 및 인터페이스 장애가 있다. 상기 전원 장애는 상 전원 또는 밧데리 전원 장애를 나타내고, 상기 인터페이스 장애는 가입자 단말 장치와 가입자 단말 장치와 상기 가입자 접속장치(RIU:50)간 인터페이스 장애를 나타낸다.
상기 시험관리는 상기 가입자 접속장치(RIU:50)를 이용하여 시스템의 각종 테스트를 하기 위한 관리항목으로, 상기 가입자 접속장치(RIU:50)의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루프백 테스트(Loopback Test)를 수행한다.
상기 구성/자원 관리는 상기 가입자 접속장치(RIU:50)의 구성 및 자원의 상태를 관리하기 위한 관리항목으로서, 타이머(timer), WLL 장치 식별자(IWEI: International WLL Equipment Identity), WLL 사용자 식별자(IWUI: International WLL User Identity), WLL 가입 식별자(WSI: WLL subscription Identity), 위치등록 정보 및 할당된 접근 채널 번호(Assigned Access Channel Number)등의 상태의 보고와 변경을 수행한다. 32회선 가입자 접속장치(RIU:50)에서의 구성관리는 기본형 가입자 접속장치(RIU:50)의 구성관리 항목에 각 보드의 실/탈장 관리, 각 보드의 기능오류 관리가 추가된다.
상기 가입자 접속장치의 운용은 상기 가입자 접속장치(RIU:50)의 운용과 관련한 항목으로 상기 가입자 접속장치(RIU:50)의 재시동 요청을 받아 수락여부를 판별하고 수락가능하면 재시동을 수행하는 일을 수행한다.
한편, 보드 개폐 검출 타스크(Board Open/Close Check Task)와 보드 기능 탈장 검출 타스크(Board Function Fail Check Task)는 32회선 가입자 접속장치(RIU)에만 존재하는 타스크이고 기본형 가입자 접속장치(RIU)에는 상기 타스크는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기본형 가입자 접속장치(RIU) 상태관리 프로그램에는 상기 보드 개폐 검출 타스크(Board Open/Close Check Task)와 보드 기능 탈장 검출 타스크(Board Function Fail Check Task) 및 루프백 시험 타스크(Loopback Test Task)는 구현되어 있지 않다. 상기 루프백 시험 타스크(Loopback Test Task)는 시험관리 블록 다이아그램에서 구현되어진다.
각각의 프로세스들은 큐(Queue)통신을 통해 서로간에 메시지를 주고 받는다.
상기 구성/자원 관리 타스크(CR Management Task)와 상기 루프백 시험 타스크(Loopback Test Task)는 상기 기지국제어기(RPC)의 SNMP Agent나 콘솔의 요청에 의해 요구된 관리행위를 수행하고, 다른 모든 타스크들은 자신이 관리하는 디바이스의 상태를 주기적으로 관리하고 만일 장애가 발생하면 그 장애에 따른 상태 표시를 가시 가청 경보로 발생하기 위해 LED와 부저(Buzzer) 알람을 발생시키고 그 정보를 상기 기지국 제어기(RPC)의 SNMP 에이젼트(Agent)로 보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운영 및 유지보수 타스크(Operation & Maintenance Task)는 상기 기지국 제어기(RPC) SNMP 에이젼트(Agent)와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수행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가입자 접속장치(RIU)의 상태관리 블록도이다.
구성 및 자원관리 타스크(CR Management Task)는 상기 가입자 접속장치(RIU:50)의 구성 및 자원의 상태를 관리하기 위한 관리항목으로 타이머(timer), WLL 장치 식별자(IWEI:International WLL Equipment Identity), WLL 사용자 식별자(IWUI:International WLL User Identity), WLL 가입 식별자(WSI:WLL subscription Identity), 위치등록 정보 및 할당된 채널 번호(Assigned Channel Number)등의 값을 요청에 의해 보고하고 변경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전원 상태 검출 타스크(Power Status Check Task)는 상기 가입자 접속장치(RIU:50)의 전원 스위치의 온/오프, 밧데리의 충/방전, 밧데리의 충전량 등을 주기적으로 체크하고 전원장애 발생시 부저(57)알람을 발생 및 경보 LED(58)를 온(ON)하고 이를 상기 기지국제어기(RPC:90)로 보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인터페이스 상태 검출 타스크(Interface Status Check Task)는 상기 가입자 접속장치(RIU)의 공중전화망 인터페이스 보드인 PTI(POTS Terminal Interface)보드를 주기적으로 체크하여 가입자 단말기와의 인터페이스 장애를 검출하여 장애 발생시 부저 및 경보 LED를 온(ON)하고 이를 상기 기지국제어기(RPC)로 보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소프트웨어 상태 검출 타스크(S/W Status Check Task)는 상기 가입자 접속장치(RIU)상에서 수행 중인 타스크들을 VRTXsa 라이브러리인 sc_tinquiry를 사용하여 각 타스크들의 정보를 얻어서 장애가 발생한 타스크를 검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타스크에 대한 장애 검출시 부저 및 경보 LED를 온(ON)하고 이를 상기 기지국제어기(RPC:90)로 보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하드웨어 상태 검출 타스크(H/W Status Check Task)는 상기 가입자 접속장치(RIU:50)의 하드웨어를 제어하는 톤 발생(Tone generation)과 데이터 서비스, 음성 압축 확장 기능 및 펄스 부호 변조(PCM) 코딩을 수행하는 디지털 신호 처리(DSP) 보드를 주기적으로 체크하여 하드웨어 장애 발생 여부를 판별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장애 검출시 부저 및 경보 LED를 온(ON)하고 이를 상기 기지국제어기(RPC:90)로 보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운영 및 유지보수 타스크(Operation & Maintenance Task)는 상기 구성 자원관리 타스크, 상기 전원 상태 검출 타스크, 상기 인터페이스 상태 검출 타스크, 상기 소프트웨어 상태 검출 타스크 및 상기 하드웨어 상태 검출 타스크에 대한 타스크의 장애 검출시 각 타스크들의 변경 정보를 임시로 제1 운용 관리용 메시지 큐(OM_Q)에 저장하고, 상기 가입자 접속장치(RIU)에서 상기 기기국 제어기(RPC)로 송신시 인캡슐레이션(Encapsulation)하여 각 타스크에 대한 변경 정보를 제 2 운용 관리용 메시지 큐(OM_Q)에 큐잉하여 순차적으로 상기 각 타스크의 변경 정보인 SNMP 질의(Request) 패킷을 상기 기지국 제어기(RPC)의 SNMP 에이젼트(Agent)로 보고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수신시 상기 기지국 제어기(RPC)의 SNMP 에이젼트(Agent)로부터 SNMP 응답(Response) 패킷을 수신하여 디캡슐레이션(Decapsulation)을 수행하여 큐(Queue)잉 프로세스간 통신으로 상기 구성 및 자원관리 타스크로 전송한다.
도 5는 구성자원 관리 타스크의 흐름도이다.
무선가입자망(WLL) 가입자 접속장치(RIU)에서 구성/자원 관리 타스크를 수행하여(S1 단계), 전송된 메시지를 큐(Queue)에 일시 저장하고(pending)(S2 단계), 상기 기지국 운용장치(RPOM), 기지국 제어기(RPC) 및 기지국(RP)을 통과하여 전송된 메시지를 분석하여(S3 단계), 상기 가입자 접속장치(RIU)의 재시작(Reset) 명령이면 무선가입자망(WLL) 가입자가 사용중인지를 체크하여(S5 단계), 가입자가 사용중이 아니면 상기 가입자 접속장치(RIU)의 재시작(Reset)을 수행하고(S6 단계), 가입자가 사용중이면 상기 가입자 접속장치(RIU)의 재시작 요청명령 거절(Reject) 메세지를 상기 기지국 제어기(RPC)의 SNMP 에이젼트(Agent)로 보고한다(S7 단계).
상기 가입자 접속장치(RIU)의 재시작(Reset) 명령이 아니면 타이머, WLL 장치 식별자(IWEI), WLL 사용자 식별자(IWUI), WLL 가입 식별자(WSI), 위치등록 정보 및 할당된 채널 번호등의 구성/자원 값을 요청하여(S8 단계) 상기 기지국 제어기(RPC)의 SNMP 에이젼트(Agent)로 구성자원 값을 보고하고(S9 단계), 상기 가입자 접속장치(RIU)의 자체의 상기 구성/자원 값을 변경할 필요가 없는 경우는 큐 펜딩(Queue pending)을 계속 수행하고(S10 단계), 상기 구성/자원 값을 변경이 요구되면 가입자가 사용중 인지를 체크하여(S11 단계), 가입자가 사용중이 아니면 상기 가입자 접속장치(RIU)의 상기 구성 자원 값을 변경하고(S12 단계), 가입자가 사용중이면 상기 가입자 접속장치(RIU)의 상기 구성/자원 값 변경 거절(Reject) 메세지를 상기 기지국 제어기(RPC)의 SNMP 에이젼트(Agent)로 보고한다(S13 단계).
도 6은 전원관리 타스크의 흐름도이다.
전원 관리 타스크를 수행하고(S20 단계), 디바이스 억세스 전원 어드레스를 읽어들여(S21 단계), 스위치 온/오프, 밧데리 충/방전 및 밧데리 충전레벨 검사하고(S22 단계), 스위치가 온(ON)이 되었는지를 체크하여(S23 단계), 스위치 온이 안된 경우 스위치 오프(OFF)에 의한 위치 등록을 수행하고(S24 단계), 밧데리의 방전을 체크하여(S25 단계) 방전되었으면 충전 LED를 온(ON)으로 표시하며 상기 전원관리 타스크를 반복 수행하며(S26 단계), 상기 스위치가 온(ON)이면 상기 스위치 온에 의한 위치등록을 수행하고(S27 단계), 밧데리의 방전 여부를 체크하여(S28 단계), 상기 밧데리가 방전되었으면 알람 경보를 울리고, 충전 LED를 오프(OFF)하며 알람 LED를 온(ON)으로 표시하며(S29 단계) 상기 기지국 제어기(RPC)로 전원장애를 보고하며(S30 단계), 상기 밧데리가 방전되지 않았으면 충전 LED를 온(ON)으로 표시한다(S31 단계).
상기 전원 장애 보고후, 상기 밧데리의 충전이 일정치보다 낮은(LOW)지를 체크하고 낮지 않으면 상기 전원 관리 타스크를 반복 수행하고(S32 단계), 상기 밧데리의 충전이 일정치보다 낮으면 알람(Alarm)경보를 울리고, 알람 LED를 온으로 표시하며(S33 단계), 상기 기지국 제어기(RPC)로 밧데리 충전 로우(LOW) 보고를 수행한후 상기 전원 관리 타스크를 반복 수행한다(S34 단계).
도 7은 하드웨어 및 인터페이스 상태관리 타스크의 흐름도이다.
하드웨어의 상태관리 및 인터페이스 상태관리 타스크를 수행하여(S40 단계),공중전화망 인터페이스 보드인 PTI(POTS Terminal Interface)보드, 및 디지털 신호 처리(DSP) 메모리 주소에 저장된 값을 분석하고(S41 단계), 상기 PTI(POTS Terminal Interface)보드, 및 디지털 신호 처리(DSP) 보드 실장 정보를 획득하며(S42 단계), 상기 PTI 보드 탈장 유무를 판단하여(S43 단계), 상기 PTI 보드가 탈장됐으면 알람 경보를 울리고 알람 LED를 온(ON)시키고(S44 단계),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DSP) 보드의 실장 여부를 판단하여(S45 단계) 실장이 않됐으면 알람경보를 울리고 알람 LED를 온 시키며, 상기 하드웨어의 상태관리 및 인터페이스 상태관리 타스크를 반복 수행한다(S46 단계).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DSP) 보드가 실장 됐으면 Add_High 주소에 '1'을 저장하고(S47 단계),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DSP) 보드 Data_High 주소에 Ox410043에 저장하며(S48 단계), 1초간 지연시켜(S49 단계),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DSP) 보드에 다시 '1'을 저장하고(S50 단계),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DSP) 보드에 Data_High의 값을 16비트 우로 이동후 Ox7f로 비트 앤드(AND) 연산을 수행하고(S51 단계), 비트 연산 결과값이 아스키(ASCII) 값으로 정상적인 상태를 나타내는 'a'를 나타내는 Ox61이면 상기 하드웨어의 상태관리 및 인터페이스 상태관리 타스크를 반복하여 수행하고(S52 단계), 상기 비트 연산 결과 값이 Ox61이 아니면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DSP) 보드에 에러(fail)가 발생한 경우로 알람 경보를 울리고, 알람 LED를 온 시킨후 상기 하드웨어의 상태관리 및 인터페이스 상태관리 타스크를 반복하여 수행한다(S53 단계).
도 8은 소프트웨어 상태관리 타스크의 흐름도이다.
소프트웨어의 상태관리 타스크를 실행하고(S60 단계), 수행중인 타스크들의 정보 및 각 타스크의 식별자(ID)를 읽어들이며(read)(S61 단계) 실시간 운영체계인 VRTXsa 라이브러리의 타스크 정보를 획득하는 루틴인 Sc_tinquiry()함수를 사용하여 타스크의 정보를 획득하여(S62 단계), 타스크의 정보 값이 일시정지 또는 휴지(IDLE) 상태(Explicitily Suspended )인지를 체크하여(S63 단계) 일시정지 및 유지 상태이면 알람 경보를 울리고, 알람 LED를 온(ON) 시키며(S64 단계), 상기 타스크의 정보값이 휴지 상태인지를 체크하여 휴지상태가 아니면 상기 소프트웨어 상태 관리 타스크를 반복 수행하며(S65 단계), 상기 타스크의 정보값이 휴지(IDLE) 상태이면 상기 알람 경보를 울리고, 상기 알람 LED를 온(ON) 시키며(S64 단계) 상기 소프트웨어 상태관리 타스크를 반복 수행한다(S66 단계).
본 발명에 의한 W-CDMA 방식의 무선가입자망(WLL) 가입자 접속장치(RIU)의 상태관리 프로그램에서 관리하는 주요 기능으로는 전원 장애관리, 가입자 단말과의 인터페이스 장애관리, 하드웨어 장애 관리 및 소프트웨어 장애 관리기능이 있다.
각각에 타스크에 대해 장애가 발생하면 부저(buzzer)를 제어하여 온/오프(On/Off) 하고 경보를 발생시키며, LED를 제어하여 경보 LED를 온/오프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장애정보를 실시간으로 기지국 제어기 SNMP 에이젼트(RPC SNMP Agent)로 보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W-CDMA 방식의 무선가입자망(WLL) 가입자 접속장치(RIU)의 상태관리 프로그램의 적용분야는 SNMP Agent의 서브 에이젼트의 역할을 수행하여 주므로 무선가입자망 통신 프로토콜 및 망관리 분야의 시스템 관리분야에 적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W-CDMA 방식의 무선가입자망(WLL) 가입자 접속장치(RIU)의 상태관리 방법은 전원 장애관리, 가입자 단말과의 인터페이스 장애관리, 하드웨어 장애 관리 및 소프트웨어 장애 관리기능을 할 수 있으며, 장애가 발생하면 LED에 경보를 표시 및 부저 알람을 발생시키고, 그 정보를 기지국 제어기(RPC)의 SNMP 에이젼트로 보고하는 기능을 수행함으로서, 상기 W-CDMA 방식의 무선가입자망(WLL) 가입자 접속장치(RIU)의 상태관리 프로그램에 적용분야는 SNMP Agent의 서브 에이젼트의 역할을 수행하므로 무선가입자망(WLL) 통신 프로토콜 및 망관리 분야의 시스템 관리분야에 적용할 수 있다.

Claims (3)

  1. 무선 가입자망(WLL) 교환기, 기지국 운용장치(RPOM), 기지국 제어기(RPC) 및 기지국(RP)이 포함된 W-CDMA 방식의 무선가입자망(WLL) 가입자 접속장치(RIU)에 있어서,
    가입자 접속장치(RIU)의 소정 관리항목의 구성 자원 값을, 각 타스크 프로세스간 통신을 위한 메세지 큐에 큐잉하여 망관리프로토콜(SNMP) 요청(request)에 의해 상기 기지국 제어기(RPC)로 보고하고, 망관리프로토콜(SNMP) 응답(response)에 의해 변경하는 구성 및 자원관리 단계;
    상기 가입자 접속장치(RIU)의 전원상태를 주기적으로 체크하고, 전원장애 발생시 경보를 발생함과 아울러 상기 기지국 제어기(RPC)로 보고하는 전원 상태 검출 단계;
    상기 가입자 접속장치(RIU)의 공중전화망 인터페이스 보드를 주기적으로 체크하여 인터페이스 장애 발생시 경보를 발생함과 아울러 상기 기지국제어기(RPC)로 보고하는 인터페이스 상태 검출 단계;
    상기 가입자 접속장치(RIU)상에서 실시간 운영체계의 라이브러리(sc_tinquiry)를 사용하여 각 타스크들의 정보를 얻어서 장애가 발생한 타스크를 검출하고, 이를 상기 기지국 제어기(RPC)로 보고하는 소프트웨어 상태 검출 단계;
    상기 가입자 접속장치(RIU)의 디지털 신호 처리(DSP) 보드를 주기적으로 체크하여 하드웨어 장애 발생 여부를 판별하고, 장애발생시 경보를 발생함과 아울러 상기 기지국 제어기(RPC)로 보고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하드웨어 상태 검출 단계; 및
    각 타스크의 장애 검출시 각 타스크들의 변경 정보를 제1 운용 관리용 메시지 큐와 제 2 운용 관리용 메시지 큐에 큐잉하여 상기 가입자 접속 장치(RIU)와 상기 기지국 제어기(RPC)로 망관리프로토콜(SNMP) 요구/응답 패킷을 송수신하는 운영 및 유지보수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가입자망(WLL) 가입자 접속장치(RIU)의 상태관리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 자원관리 단계는
    무선가입자망(WLL) 가입자 접속장치(RIU)에서 구성/자원 관리 타스크를 수행하는 단계; 전송된 메시지를 큐에 일시 저장하는 단계; 상기 기지국 운용장치(RPOM), 기지국 제어기(RPC) 및 기지국(RP)을 통과하여 전송된 메시지를 분석하는 단계; 상기 가입자 접속장치(RIU)의 재시작(Reset) 명령이면 무선가입자망(WLL) 가입자가 사용중인지를 체크하는 단계; 가입자가 사용중이 아니면 상기 가입자 접속장치(RIU)의 재시작(Reset)을 수행하는 단계; 가입자가 사용중이면 상기 가입자 접속장치(RIU)의 재시작 요청명령 거절(Reject) 메세지를 상기 기지국 제어기(RPC)의 SNMP 에이젼트(Agent)로 보고하는 단계; 상기 가입자 접속장치(RIU)의 재시작(Reset) 명령이 아니면 소정의 구성/자원 값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기지국 제어기(RPC)의 SNMP 에이젼트(Agent)로 구성자원 값을 보고하는 단계; 상기 가입자 접속장치(RIU)의 자체의 상기 구성/자원 값을 변경할 필요가 없는 경우는 큐 펜딩(Queue pending)을 계속 수행하는 단계; 상기 구성/자원 값 변경이 요구되면 가입자가 사용중 인지를 체크하는 단계; 가입자가 사용중이 아니면 상기 가입자 접속장치(RIU)의 상기 구성 자원 값을 변경하는 단계; 및 가입자가 사용중이면 상기 가입자 접속장치(RIU)의 상기 구성/자원 값 변경 거절(Reject) 메세지를 상기 기지국 제어기(RPC)의 SNMP 에이젼트(Agent)로 보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가입자망(WLL) 가입자 접속장치(RIU)의 상태관리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드웨어 및 인터페이스 상태 검출 단계는
    하드웨어의 상태관리 및 인터페이스 상태관리 타스크를 수행하는 단계; 공중전화망 인터페이스 보드 및디지털 신호 처리(DSP) 메모리 주소에 저장된 값을 분석하는 단계; 상기 공중전화망 인터페이스 보드 및 디지털 신호 처리(DSP) 보드 실장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공중전화망 인터페이스 보드 탈장 유무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공중전화망 인터페이스 보드가 탈장되었으면 경보를 울리는 단계;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DSP) 보드의 실장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DSP) 보드가 탈장되었으면 경보를 울리고, 상기 하드웨어의 상태관리 및 인터페이스 상태관리 타스크를 반복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가입자망(WLL) 가입자 접속장치(RIU)의 상태관리 방법.
KR1019980063003A 1998-12-31 1998-12-31 무선가입자망 가입자 접속장치의 상태관리 방법 KR1002840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63003A KR100284008B1 (ko) 1998-12-31 1998-12-31 무선가입자망 가입자 접속장치의 상태관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63003A KR100284008B1 (ko) 1998-12-31 1998-12-31 무선가입자망 가입자 접속장치의 상태관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6323A KR20000046323A (ko) 2000-07-25
KR100284008B1 true KR100284008B1 (ko) 2001-04-02

Family

ID=195696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63003A KR100284008B1 (ko) 1998-12-31 1998-12-31 무선가입자망 가입자 접속장치의 상태관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8400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9869B1 (ko) * 2002-11-27 2005-08-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가입자망 시스템에서의 알람 처리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11718A (ko) * 2000-06-13 2001-12-20 박종섭 유선교환기의 광링크 감시방법
KR100464149B1 (ko) * 2000-11-24 2004-12-31 엘지전자 주식회사 교환기의 장애 정보 배정 방법
KR100491882B1 (ko) * 2000-12-28 2005-05-31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가입자망의 이중화 기지국운용장치 및 그 방법
KR100460507B1 (ko) * 2001-12-29 2004-12-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가입자망 시스템의 트랩 메시지 전송 방법
KR100869248B1 (ko) * 2006-12-05 2008-11-1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Sca 기반 기지국 시스템의 장애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9869B1 (ko) * 2002-11-27 2005-08-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가입자망 시스템에서의 알람 처리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6323A (ko) 2000-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872458B2 (ja) 電話交換システム、および、通信交換システムを介してデータアクセス装置から宅内装置にアクセスする方法
CA2183911C (en) Maintenance and administration of remote systems via radio pager
US6275481B1 (en) Procedure for setting up an emergency call in a wireless local loop
KR100284008B1 (ko) 무선가입자망 가입자 접속장치의 상태관리 방법
US7345997B2 (en) Packet call routing i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WO1995029563A2 (en) Method for handling collision of calls
AU728225B2 (en) Procedure for the processing of an unexpected disconnect request
Cisco FastPadmpr12/24 Secured Mode
Cisco FastPadmpr12/24 Secured Mode
Cisco FastPadmpr12/24 Secured Mode
Cisco FastPadmpr12/24 Secured Mode
JPH09501028A (ja) インテリジェントネットワーク
US6823052B2 (en) Method and system in an overload situation in a telephone exchange system
EP0986878B1 (en) Method for the switching of data traffic in a data communication system
KR100403214B1 (ko) 통화로 시험 방법
KR100264534B1 (ko) 교환시스템과단말장치간의링크및응용프로세스들의상태관리방법
JP2605619B2 (ja) 保守運用情報の通知方法
WO1998056142A2 (en) Procedure for the switching of data traffic in a data communication system
CA2078081A1 (en) Network node event notification in circuit switched environments
WO2000051295A1 (en) Method and system for setting up a call
KR100260029B1 (ko) 분산구조를 갖는 전송장치
KR100385218B1 (ko) 발신 호 처리 시스템 및 방법
KR100316186B1 (ko) 전자교환기의 가입자정합서브시스팀 성능 테스트 방법
KR100221837B1 (ko) 위성통신 시스템의 채널모뎀 이용상태 표시장치
KR100329351B1 (ko) 국설 교환기와의 알2엠에프시를 지원하는 제어국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