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83140B1 - 비동파 온수 직접 가열식 자연순환 태양열 온수기의 집열기와 집열기 그리고 집열기와 축열조의 연결구조 - Google Patents

비동파 온수 직접 가열식 자연순환 태양열 온수기의 집열기와 집열기 그리고 집열기와 축열조의 연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83140B1
KR100283140B1 KR1019970073859A KR19970073859A KR100283140B1 KR 100283140 B1 KR100283140 B1 KR 100283140B1 KR 1019970073859 A KR1019970073859 A KR 1019970073859A KR 19970073859 A KR19970073859 A KR 19970073859A KR 100283140 B1 KR100283140 B1 KR 1002831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lector
pipe
pipes
tube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738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54098A (ko
Inventor
천원기
이태규
윤영진
Original Assignee
이태규
윤영진
천원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태규, 윤영진, 천원기 filed Critical 이태규
Priority to KR10199700738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83140B1/ko
Publication of KR199900540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540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31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3140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Heat-Pump Type And Storage Water Hea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동파 온수 직접 가열식 자연순환 태양열 온수기의 집열기와 집열기 혹은 집열기와 축열조의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집열기와 집열기 혹은 집열기와 축열조를 연결하는 파이프는 열전도성이 양호한 구리등으로 제작하는데 파이프 내측에 물의 결빙시 물의 부피 괭창에 따른 파이프의 동파 방지를 위해 감압 튜브(물의 부피 팽창으로 인한 압력 흡수용 튜브)로써 실리콘 러버 튜브를 삽입하고 튜브가 항상 파이프의 증앙부에 위치하도록 하여 물이 원활하게 유동하도록 하며 연결 파이프의 외피를 단열재로 피복하여 혹한기인 겨울철 물이 결빙되어도 동파로 인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즉, 집열기(14)와 집열기(14)를 연결하는 파이프(22) 혹은 집열기(14)와 축열조(16)를 연결하는 파이프(26) 내측에 양단이 막힌 실리콘 러버 튜브(24)(실리콘 러버 튜브 대신 폴리우레탄 혹은 폴리 에틸렌 튜브 등 -50℃ ∼ 150℃의(태양열) 활용 범위내에서 내열성과 탄력성이 입중된 재질로 부드럽게 제작된 것이면 사용 가능)를 삽입하는데, 실리콘 러버 튜브(24)가 파이프 내측 중앙부에 위치하도록 파이프 양단에 고정부재(30)를 부착하여 실리콘 러버 튜브 양쪽 끝을 잡아당겨 고정시키거나 혹은 "
Figure kpo00001
"형상의 링을 일정한 간격으로 끼우거나 "

Description

비동파 온수 직접 가열식 자연순환 태양열 온수기의 집열기와 집열기 그리고 집열기와 축열조의 연결구조
본 발명은 비동파 온수 직접 가열식 자연순환 태양열 온수기의 집열기와 집열기 혹은 집열기와 축열조의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집열기와 집열기 혹은 집열기와 축열조를 연결하는 파이프는 열전도성이 양호한 구리등으로 제작하는데 파이프 내측에 물의 결빙시 물의 부피 팽창에 따른 파이프의 동파 방지를 위해 감압 튜브(물의 부피 팽창으로 인한 압려 흡수용 튜브)로써 실리콘 러버 튜브를 삽입하고 튜브가 항상 파이프의 중앙부에 위치하도록 하여 물이 원활하게 유동하도록 하며 연결 파이프의 외피를 단열재로 피복하여 혹한기인 겨울철 물이 결빙되어도 동파로 인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태양열 시스템이란 태양열을 이용해 주택이나 건물의 냉난방이나 급탕을 하도록 설치하는 시스템이다.
즉, 다시 말하면 기계 장치를 사용하여 태양열을 이용하는 설비형 시스템(active system)과 건물의 구조체가 태양열 에너지를 최대한 활용할 수 있도록 설계하는 설계형 또는 자연형 시스템 (passive system)이 있다.
설비형 시스템은 태양열을 흡수하여 물이나 기타 열 전달 매체를 데우는 집열 장치와 가열된 전달 매체를 저장하는 축열 장치, 축열 장치로부터 열전달 매체를 난방 장치로 순환시키는 급열 장치가 있으며 외기 온도 변화에 대비하여 보조 난방 장치를 설치하게 된다.
또한 설계형 시스템은 건물의 구조나 공간을 설계하는 단계에서 태양열의 이용 또는 차단을 위해 태양 에너지를 최대한 활용할 수 있도록 설계하는 방식이다.
태양열 시스템은 제1차 유류파동 이후 주택과 건물에 본격적으로 활용하고 있으며, 특히 우리나라에서는 연평균 일조율이 50% 이상 되므로 태양열 주택을 건립하기에 좋은 기상 여건을 갖추고 있다.
그리고 여기서 태양열 집열기란 렌즈나 오목 거을 등을 사용하지 않은 평판형 태양열 집열기로서, 열매체가 그 내측을 흐르는 구리 등으로 제작된 라이져 튜브 및 헤더 그리고 태양열의 집열을 위한 흡열판과 집열된 열을 보존하기 위한 유리 덮개 및 단열재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당초에는 개인 주택용으로 사용되었으나 현재는 공장이나 공공 건물에도 보급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시스템의 원리인 종래 태양열 온수기는 제1도와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열매체로 부동액을 사용하므로 축열조는 물을 데우기 위한 이중 탱크 방식등 별도의 열교환 장치를 필요로 하며 이는 부동액을 열매체로 사용하지 않고 집열기에서 물을 직접 가열할 경우 겨울철에 라이져 튜브(100), 헤더(102) 그리고 집열기(104)와 축열조(106)를 연결하는 파이프(108)등의 내부에 들어 있는 물이 기온의 강하로 인해 얼게 될 때 물의 결빙에 따른 부피 팽창과 이로 인한 내부의 압력 상승을 흡수할 장치가 없어 헤더나 파이프가 동파 파손되기 때문이다. 특히, 집열기와 집열기 그리고 집열기와 축열조를 연결하는 파이프는 동파에 상당히 취약한 구조로서 이에 대한 보완이 절실한 실정이다.
이밖에 물을 직접 가열하지 않고 부동액을 사용할 경우, 그 열효율이 물을 직접 가열할 경우에 비해 상당히 떨어지며 부동액의 정기적인 보층에 따른 여러 불편함도 초래하게 된다. 아울러 일반적으로 부동액은 유해하며 이로 인하여 축열조 내의 데워진 물에 대한 안전성 등에 문제가 발생될 수 있으며 부동액의 사용으로 인한 환경 오염등도 무시할 수 없는 현안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집열기와 집열기 혹은 집열기와 축열조를 연결하는 파이프는 구리등 비교적 열전도성이 양호한 구리등으로 제작하며, 파이프 내측에 동파 방지를 위해 실리콘 러버 튜브를 삽입하고 튜브가 항상 파이프의 중앙부에 위치하도록 하여 물이 원활하게 유동하도록 함과 동시에 연결 파이프의 외피를 단열재로 피복하여 휵한기인 겨울철 물이 빙되어도 동파로 인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집열기의 라이져 튜브와 헤더 그리고 집열기를 축열조와 연결하는 파이프로 구성되는 태양열 온수기에 있어서; 집열기와 집열기를 연결하는 파이프 혹은 집열기와 축열조를 연결하는 파이프 내측에 양단이 막힌 실리콘 러버 튜브를 삽입하는데, 실리콘 러버 튜브가 파이 내측 중앙부에 위치하도록 고정장치를 설치함에 있어서 파이프 양단에 고정부재를 부착하여 실리콘 러버 튜브 양쪽 끝을 잡아당겨 고정시키거나 혹은 적합한 형상의 링을 일정한 간격으로 끼우거나 그 밖에 내경이 두 가지인 스프링을 이용하는 방법은 내경이 작은 스프링은 실리콘 러버 튜브를 탄착하고, 내경이 큰 스프링은 파이프의 내측벽에 탄착하여 지지하도록 하는 등 여러 방법이 있으며 이 모두 파이프 내측을 유동하는 물이 고정장치와 실리콘 러버 튜브 사이의 공간부를 통과하여 원활히 유동할 수 있도록 제공함에 있는 것이다. 또한 파이프의 외측벽을 단열재로 피복하여 외기와의 열교환을 억제하며, 파이프 내 실리콘 러버 튜브의 삽입으로 파이프를 통과하는 물이 기온의 하강으로 인해 결빙되더라도 실리콘 러버 튜브가 일시적으로 수축이 되어 파이프의 파손을 방지하고 열전도성이 양호한 재질로된 파이프는 주간에 집열기 내부의 데워진 헤더 또는 축열조로부터 파이프로의 충분한 열전도를 가능케 해 파이프 내부의 결빙된 물을 녹일 수 있도록 한다.
제1도는 종래 태양열 온수기의 전체 외형도.
제2도는 제1도의 A-A 선 단면도.
제3도는 본 발명 태양열 온수기의 전체 외형도.
제4도는 제3도의 B-B 선 단면도.
제5도는 본 발명의 연결 구조도.
제6도는 본 발명 링을 이용한 경우의 연결부의 측면도.
제7도는 본 발명 고정 부재를 이용한 경우의 실리콘 러버 튜브(감압 튜브)를 고정하는 상태도.
제8도는 본 발명의 링을 이용한 또 다른 경우의 연결부의 단면도.
제9도는 본 발명 스프링으로 실리콘 러버 튜브(감압 튜브)를 지지하는 개략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라이져 튜브 12 : 헤더
14 : 집열기 16 : 축열조
18 : 유리덮개 20 : 흡열판
22 : 연결파이프(집열기와 집열기)
24 : 실리콘 러버 튜브(감압 튜브)
26 : 연결파이프(집열기와 축열조)
28 : 스프링 30 : 고정부재
32 : 링 33 : 단열재
34 : 지지대(링에 있어서 지지대 역할을하는 부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3도는 본 발명 태양열 온수기의 전체 외형도, 제4도는 제3도의 B-B 선 단면도, 제5도는 본 발명의 연결 구조도, 제6도는 본 발명 링을 이용한 경우의 연결부의 측면도, 제7도는 본 발명 고정 부재를 이용한, 경우의 실리콘 러버 튜브(감압 튜브)를 고정하는 상태도, 제8도 은 본 발명의 링을 이용한 또 다른 경우의 연결부의 단면도, 제9도는 스프링으로 실리콘 러버 튜브(감압 튜브)를 지지하는 개략도를 도시한 것이다.
집열기(14)와 집열기(14)를 연결하는 파이프(22) 혹은 집열기(14)와 축열조(16)를 연결하는 파이프(26) 내측에 양단에 막힌 실리콘 러버 튜브(24)를 삽입함에 있어 실리콘 러버 튜브(24)가 파이프 내측 중앙부에 위치하도록 파이프 양단에 고정부재(30)를 부착하여 실리콘 러버 튜브 양쪽 끝을 잡아당겨 고정시키거나 혹은 "
Figure kpo00003
" 형상의 링을 일정한 간격으로 끼우거나 "
Figure kpo00004
"형상의 링을 링의 돌출된 부분이 12시, 3시, 6시 그리고 9시 방향을 향하도록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반복하여 설치 한다. 또한 내경이 두 가지인 스프링(28)을 이용하는 방법도 있는데, 내경이 작은 스프링(28)은 실리론 러버 튜브(24)를 탄착하고, 내경이 큰 스프링(28)은 파이프 (22, 26)의 내측벽에 탄착하여 지지하도록 한다. 한편, 파이프의 외측벽을 단열재(33)로 피복하여 외기와의 열교환을 억제한다. 이상과 같은 방법을 통하여, 파이프 내측을 유동하는 물이 고정장치(지지대)와 실리콘 러버 튜브 사이의 공간부를 통과하여 원활히 유동할 수 있도록 제공함과 동시에 파이프(22, 26)를 통과하는 물의 외기로의 열손실을 줄이고 기온의 하강으로 인해 결빙되더라도 실리콘 러버 튜브(24)가 일시적인 수축 작용으로 파이프(22, 26)의 파손율 방지하며 또한 열전도성이 양호한 재질로된 파이프(22,26)의 이용으로 주간에 집열기 내부의 데워진 헤더(12) 또는 축열조로부터 파이프(22, 26)로의 층분한 열전도를 가능케 해 파이프 내부의 결빙된 물을 녹일 수 있도록 구성되어진 것이다.
본 발명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집열기(14)와 집열기(14) 혹은 집열기(14)와 축열조(16) 안에 감압 튜브로써 양 끝이 막혀 있으며 속이 빈 탄력성 있고 내열성 있는 재질의 직경 8∼12mm의 실리콘 러버 튜브(24)(폴리 우레탄 혹은 폴리 에틸렌 튜브 등도 사용 가능)를 삽입하고, 적당한 고정 장치를 이용하여 실리콘 러버 튜브가 파이프의 중앙부에 위치하게 하여, 물의 결빙시 부피 팽창으로 인한 압력을 실리콘 러버 튜브(24)가 일시적으로 수축이 되어 흡수할 수 있도록 하므로써 파이프(22, 26)의 동파를 방지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즉, 물을 직접 가열하는 태양열 온수기의 겨울철 이용과 관련하여, 혹한 속에서도 집열기(14) 내의 물이 축열조(16)로 자연회수 되도록 유도하며, 이 과정에서 집열기와 집열기 혹은 집열기와 측열조를 연결하는 파이프(22, 26) 내의 물이 얼더라도 실리콘 러버 튜브 (감압 튜브)(24)가 결빙시 물의 부피 팽창으로 인한 압력을 자체의 수축 작용으로 흡수하여 파이프가 동파되지 않도록 한 것이다.
이를 다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파이프(22,26) 내 실리콘 러버 튜브(감압 튜브)를 삽입·고정함에 있어서 파이프 양단에 고정부재(30)를 부착하여 실리콘 러버 튜브 양쪽 끌을 잡아당겨 고정시키거나 혹은"
Figure kpo00005
"형상의 링을 일정한 간격으로 끼우거나 "
Figure kpo00006
"형상의 링을 링의 돌출된 부분이 12시, 3시, 6시 그리고 9시 방향을 향하도록 일정한 간격온 두고 반복하여 설치한다. 또한 내경이 두 가지인 스프링(28)을 이용하는 방법도 있는데, 내경이 작은 스프링(28)은 실리콘 러버 튜브(24)를 탄착하고, 내경이 큰 스프링(28)은 파이프(22, 26)의 내측벽에 탄착하여 지지하도록 한다. 한편, 파이프의 외측벽을 단열재(33)로 피복하여 외기와의 열교환을 억제한다. 이상과 같은 방법을 통하여, 파이프 내측을 유동하는 물이 고정장치와 실리콘 러버 튜브 사이의 공간부를 통과하여 원활히 유동할 수 있도록 제공함과 동시에 파이프(22, 26)를 통과하는 물의 외기로의 열손실을 줄이고 기온의 하강으로 인해 결빙되더라도 실리콘 러버 튜브(24)가 일시적인 수축 작용으로 파이프(22, 26)의 파손을 방지한다. 아울러 열전도성이 양호한 재질로된 파이프(22,26)의 이용으로 주간에 집열기 내부의 데워진 헤더(12) 또는 축열조(16)로부터 파이프(22, 26)로의 충분한 열전도를 가능케 해 파이프 내부의 결빙된 물을 녹일 수 있도록 한다. 겨울철 혹한기에서도 연결 파이프는 동파되지 않으며 비동파 온수 직접 가열식 자연순환 태양열 온수기의 사용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미설명 부호(18)은 유리덮개, (20)은 흡열판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물을 직접 순환시키는 태양열 온수기에 있어 집열기와 집열기를 혹은 집열기와 축열조를 연결하는 파이프의 동파 방지를 위한 획기적인 내용을 담고 있는바, 파이프 내측 중앙부에 동파방지를 위해 양단이 막힌 실리콘 러버 튜브를 삽입하는 원리와 이를 효율적으로 고정시키는 다양한 방법 그리고 이를 통하여 -40℃에서도 동파되지 태양열 온수기 시스템의 실현을 가능케 하여 우리 일상생활에 태양열에너지 이용의 극대화를 완성할 수 있는 상당히 그 파급 효과가 기대되는 발명인 것이다.

Claims (4)

  1. 집열기의 라이져 튜브와 헤더 그리고 집열기를 축열조와 연결하는 파이프로 구성되는 태양열 온수기에 있어서; 집열기와 집열기 혹은 집열기와 축열조를 연결하는 파이프(22,26)는 열전도성이 양호한 구리등으로 제작하며 파이프 내측에 물의 결빙시 물의 부피 팽창에 따른 동파 방지를 위해 감압 튜브(물의 부피 팽창으로 인한 압력 흡수용 튜브)로써 실리콘 러버 튜브를 삽입하고 튜브가 항상 파이프의 중앙부에 위치하도록 내경이 두 가지인 스프링(28)을 이용함에 있어 내경이 작은 스프링(28)은 실리콘 러버 튜브(24)를 탄착하고, 내경이 큰 스프링(28)은 파이프(22,26)의 내측벽에 탄착하여 지지하므로써 파이프 내측을 유동하는 물이 스프링과 실리콘 러버 튜브 사이의 공간부를 통과하여 원활히 유동할 수 있도록 제공함과 동시에 물이 기온의 하강으로 인해 결빙 되더라도 실리콘 러버 튜브(24)가 일시적으로 수축이 되어 파이프(22,26)의 파손을 방지하고 열전도성이 양호한 재질로 된 파이프(22,26)는 주간에 집열기 내부의 데워진 헤더(12) 또는 축열조로 부터 파이프(22,26)로의 충분한 열전도를 가능케 해 파이프 내부의 결빙된 물을 녹일 수 있도록 한 비동파 온수 직접 가열식 자연순환 태양열 온수기의 연결 파이프의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스프링을 이용한 파이프 내 실리콘 러버 튜브의 고정 대신, 파이프 양단에 고정부재(30)를 부착하여 실리콘 러버 튜브 양쪽 끝을 잡아당겨 고정시키거나 혹은 "
    Figure kpo00007
    " 형상의 링을 일정한 간격으로 끼우거나 "
    Figure kpo00008
    "형상의 링을 링의 돌출된 부분이 12시, 3시, 6시 그리고 9시 방향을 향하도록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반복하여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파 온수 직접 가열식 자연순환 태양열 온수기의 연결 파이프의 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외측벽을 단열재로 피복하여 외기와의 열교환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파 온수 지접 가열식 자연순환 태양열 온수기의 연결 파이프의 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실리콘 러버를 대신하여 폴리 우레탄이나 폴리 에틸렌 등 -50℃∼150℃의(태양열)활용 범위내에서 내열성과 탄력성이 입증된 재질의 부드러운 재질로 제작된 양끝이 막힌 감압 튜브(24)를 파이프(22,26) 내측에 삽입 설치하는 것으로 구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파 온수 직접 가열식 자연순환 태양열 온수기의 연결 파이프의 구조.
KR1019970073859A 1997-12-26 1997-12-26 비동파 온수 직접 가열식 자연순환 태양열 온수기의 집열기와 집열기 그리고 집열기와 축열조의 연결구조 KR1002831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3859A KR100283140B1 (ko) 1997-12-26 1997-12-26 비동파 온수 직접 가열식 자연순환 태양열 온수기의 집열기와 집열기 그리고 집열기와 축열조의 연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3859A KR100283140B1 (ko) 1997-12-26 1997-12-26 비동파 온수 직접 가열식 자연순환 태양열 온수기의 집열기와 집열기 그리고 집열기와 축열조의 연결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4098A KR19990054098A (ko) 1999-07-15
KR100283140B1 true KR100283140B1 (ko) 2001-06-01

Family

ID=660998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73859A KR100283140B1 (ko) 1997-12-26 1997-12-26 비동파 온수 직접 가열식 자연순환 태양열 온수기의 집열기와 집열기 그리고 집열기와 축열조의 연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8314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3149B1 (ko) 2016-12-14 2018-02-27 오문근 온수 및 스팀보일러용 열교환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24828U (ko) * 1995-11-09 1997-06-20 가스보일러용 파이프 동파방지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24828U (ko) * 1995-11-09 1997-06-20 가스보일러용 파이프 동파방지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3149B1 (ko) 2016-12-14 2018-02-27 오문근 온수 및 스팀보일러용 열교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4098A (ko) 1999-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202474T3 (es) Sistema de calefaccion solar de agua con tubos calefactores y deposito integrado.
US5413091A (en) Solar collector with freeze damage protection
USH2231H1 (en) Tubular heating-pipe solar water-heating-system with integral tank
ES2974831T3 (es) Sistema de intercambio de calor
US5857515A (en) Heat exchanging device
KR100283140B1 (ko) 비동파 온수 직접 가열식 자연순환 태양열 온수기의 집열기와 집열기 그리고 집열기와 축열조의 연결구조
KR101036261B1 (ko) 휨방지 장치를 구비한 평판형 태양열 집열기
CN205807873U (zh) 一种防冻型平板式超导管太阳能集热器
KR100449956B1 (ko) 동파방지용 진공관형 태양열 집열기
JP2007512498A (ja) 太陽熱温水器
US20080000435A1 (en) Solar thermal tube plate heat exchanger
KR100290229B1 (ko) 러버 헤드를 이용한 직접식 자연순환형 전천후 태양열 온수기
KR100251489B1 (ko) 태양열온수기의환형단면유로의튜브위치고정장치
KR19990054096A (ko) 비동파 온수 직접 가열식 자연순환 태양열 온수기
KR100543174B1 (ko) 고리형으로 밀봉장치가 형성된 완전 유리식 진공 파이프의태양열 집열기
KR101030691B1 (ko) 진공관을 이용한 태양열 집열기의 전열판
JP3177748B2 (ja) 熱伝導膜
AU661494B2 (en) Solar collector
KR200306346Y1 (ko) 진공부동전
CN211875994U (zh) 一种立式加热炉水位计防冻装置
JPH046426Y2 (ko)
WO2012144739A2 (ko) 건물 단열구조
US20080283045A1 (en) Flexible solar power collector
KR100228234B1 (ko) 태양열 난방장치에 있어 열저장탱크의 열교환 시스템구조
KR100512809B1 (ko) 고리형으로 밀봉장치가 형성된 완전 유리식 "u"자형진공 파이프의 태양열 집열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7122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7122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001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0110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0120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0120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120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120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120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205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120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