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82353B1 - 디지털 티브이의 공동 채널 간섭유무 판별장치 - Google Patents

디지털 티브이의 공동 채널 간섭유무 판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82353B1
KR100282353B1 KR1019980062820A KR19980062820A KR100282353B1 KR 100282353 B1 KR100282353 B1 KR 100282353B1 KR 1019980062820 A KR1019980062820 A KR 1019980062820A KR 19980062820 A KR19980062820 A KR 19980062820A KR 100282353 B1 KR100282353 B1 KR 1002823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se
comb filter
unit
channel interference
nts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628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46143A (ko
Inventor
전정식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800628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82353B1/ko
Priority to US09/475,128 priority patent/US6456316B1/en
Publication of KR200000461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461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23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235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7/00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for television systems or their det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2Systems in which the television signal is transmitted via one channel or a plurality of parallel channels, the bandwidth of each channel being less than the bandwidth of the television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14Picture signal circuitry for video frequency region
    • H04N5/21Circuitry for suppressing or minimising disturbance, e.g. moiré or halo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6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elevision Systems (AREA)
  • Noise Elimination (AREA)
  • Picture Signal Circuits (AREA)

Abstract

잔류측파대(VSB) 방식을 사용하는 미국향 디지탈 TV 수신기에서의 NTSC 공동채널 간섭유무 판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콤 필터를 통과하지 않은 잡음에 대한 MSE의 게인을 조절하여 콤 필터의 온/오프 시점을 가변시킴으로써, 수신기의 성능을 각 채널 잡음과 NTSC 공동 채널 간섭에 대하여 최적화시킬 수 있다. 또한, 콤 필터를 통과한 잡음의 MSE와 콤 필터를 통과하지 않은 잡음의 MSE를 비교하여 NTSC 공동 채널 간섭 유무를 판별하는데 업/다운 카운터 및 컨피던스 카운터를 이용함으로써, 가우시안 잡음이 순간적으로 커졌을때 NTSC 공동 채널 간섭으로 오인되는 경우를 방지하며, 콤 필터를 통과한 잡음의 MSE와 콤 필터를 통과하지 않은 잡음의 MSE가 비슷한 경우에는 항상 콤 필터를 통과한 데이터가 출력되도록 함으로서, 시스템의 성능을 향상시킨다.

Description

디지털 티브이의 공동 채널 간섭유무 판별장치
본 발명은 잔류측파대(VSB) 방식을 사용하는 미국향 디지탈 TV 수신기에서의 공동채널(Co-channel) 간섭유무 판별장치에 관한 것이다.
고선명 텔레비전(HDTV)과 같은 디지털 TV의 방식을 통일하는 조직인 그랜드 얼라이언스(Grand Alliance ; GA)에 의하면 디지탈 TV의 고주파(Radio Frequency ; RF) 신호는 아날로그 NTSC 신호와 같으며 각 채널의 대역제한도 6MHz로 같다.
그러나, NTSC 송신 스펙트럼과 디지탈 TV 송신 스펙트럼은 매우 다르다. 즉, NTSC 송신스펙트럼은 1.25MHz 대역부분에 매우 큰 크기의 영상반송파 신호가 존재하고, 영상 반송파 신호 대역으로 부터 3.5MHz가 높은 대역에 영상반송파 신호보다 작은 크기의 색부반송파 신호가 존재하며, 영상 반송파 신호 대역으로부터 4.5MHz가 높은 대역에 색부반송파 신호보다 큰 크기의 음성 반송파 신호가 존재한다. 반면에 디지탈 TV 송신 스펙트럼은 수신단에서의 반송파 복구를 돕기 위해 0.31MHz 대역에 존재하는 매우 작은 크기의 파일럿(Pilot) 반송파 신호를 제외한 다른 반송파는 존재하지 않아 대역내의 스펙트럼이 평탄하게 나타난다.
또한, 디지털 TV 신호는 기존의 아날로그 NTSC 신호와 전혀 다른 코딩방식으로 코딩되며, 전송방식도 전혀 다른 디지털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므로, 디지털 TV 수신기로 NTSC 방송을 시청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그러나, 디지털 TV 및 NTSC는 RF 채널 사용 방법이나 중간주파수(IF) 대가 동일하게 나타나므로 튜너부를 공통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때, 디지털 TV 방송중에 다른 지역에서 공동 채널을 통해 NTSC 방송을 동시에 하는 경우 디지털 TV 채널은 NTSC로부터 공동 채널(Co-channel) 간섭을 받게 된다. 즉, NTSC의 반송파 파워 예컨대, 영상 반송파, 색부반송파, 및 음성반송파의 파워가 디지털 TV 방송의 파일럿 신호에 비해 훨씬 크므로 디지털 TV 방송에 심한 간섭이 들어온다.
따라서, NTSC 공동 채널 간섭이 존재하는 경우 이를 제거하여야 하는데, 통상 콤필터를 사용한다. 상기 콤 필터는 지연기와 감산기로 구성되는데, 상기 지연기는 필터링에 적당한 전달특성을 얻기 위해 12개의 직렬 연결된 레지스터로 구성되어, 입력되는 신호를 12 심볼 동안 지연시킨다. 즉, 상기 콤 필터는 현재의 데이터에서 12 심볼 동안 지연된 데이터를 뺀다. 그러면, NTSC의 반송파의 크기 즉, 파워가 0으로 수렴한다. 즉, NTSC의 영상 반송파, 색부반송파, 및 음성반송파는 모두 널 포인트(Null Point) 근처에 있으므로 상기 콤 필터를 통과하면 영상 반송파, 색부반송파, 및 음성반송파의 파워가 없어져 디지털 TV 방송에 간섭을 일으키지 않게 된다.
이때, 디지털 TV 방송의 파워도 줄어들어 화질이 조금 떨어지지만 NTSC 공동 채널 간섭이 제거되는 효과가 더 크기 때문에 NTSC 공동 채널 간섭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콤 필터를 사용하는 것이 더 낫다.
그러나, NTSC 공동채널 간섭이 항상 존재하는 것은 아니므로 디지털 TV 수신기에서는 NTSC 공동 채널 간섭의 존재 유무를 판단하여 NTSC 공동 채널 간섭이 존재하는 경우에만 콤 필터를 사용하도록 한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디지털 TV 수신기의 구성 블록도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보면, VSB 방식으로 변조된 RF 신호가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면 튜너(11)는 튜닝에 의해 원하는 채널의 주파수를 선택한 후 IF 신호로 변환하고, FPLL부(12)는 상기 튜너(11)에서 출력되는 IF 신호를 베이스 밴드의 I, Q 신호로 복조하여 주파수와 위상을 록킹한다. 즉, 상기 FPLL부(12)는 주파수 트랙킹 루프와 PLL을 일체화한 회로로서, 먼저 주파수를 록킹하고 주파수가 록킹되면 위상을 록킹한다. 그리고, 아날로그/디지탈(Analog/Digital ; A/D) 변환부(13)는 상기 FPLL부(12)의 I 신호를 일정비트(예를 들면, 10비트)의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한다. 여기서, Q 신호는 상기 FPLL부(12)내에서 캐리어 복구에 이용된다. 동기 복원부(14)는 타이밍 복구, 등화등에 이용하기 위해 디지털로 변환된 10비트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송신시 삽입되었던 데이터 세그먼트 동기 신호, 필드 동기 신호등을 복원한다. 즉, 약속에 의해 송신측에서는 832 심볼마다 4심볼의 데이타 세그먼트 동기 신호를 강제로 만들어 삽입하고, 313 데이터 세그먼트 위치에서는 1 데이터 세그먼트 길이의 필드 동기 신호를 만들어 삽입한 후 전송하므로 수신측에서는 이를 복원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데이터 세그먼트 동기 신호는 NTSC 신호에서 수평 동기 신호에 해당되고, 필드 동기 신호는 수직 동기 신호에 해당되며 동일한 형태의 신호는 아니다.
이 동기 신호들은 수신된 데이터의 복구가 편리하도록 배려된 것으로서, 오검출 될 때는 데이터의 복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전체 시스템에 커다란 악영향을 미치게 된다. 등화 및 에러정정부(15)는 상기 동기 복원부(14)에서 복원된 데이터 세그먼트, 필드 동기 신호들을 트레이닝 신호로 이용하여 심볼간 간섭을 일으키는 진폭의 선형 왜곡, 건물이나 산등에서 반사되어 생기는 고스트 등을 수정하는 등화(Equalization)를 수행한 후 전송 채널을 통하여 발생된 에러등을 정정한다. 비디오 디코더(16)는 상기 등화 및 에러 정정된 신호를 MPEG 알고리즘으로 디코딩하여 시청자가 볼 수 있는 신호로 만든다.
이때, 상기 동기 복원부(14)에서 동기 신호를 복원한 후 등화 및 에러 정정부(15)로 데이터를 출력하기 전에 NTSC 공동 채널 간섭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하여 NTSC 공동 채널 간섭이 존재하지 않으면 콤 필터를 통과하지 않은 데이터를 등화 및 에러 정정부(15)로 출력하고, NTSC 공동 채널 간섭이 존재하면 콤 필터를 통과시킨 데이터를 등화 및 에러 정정부(15)로 출력한다.
그리고, 디지털 TV나 NTSC와 같은 지상파 방송은 방송신호가 자유 공간을 매체로 하여 전송되기 때문에 자유 공간에 떠다니는 온갖 잡음에 노출되고 감쇠도 매우 심하게 된다. 이와 같이 채널을 통과하면서 생긴 잡음을 가우시안 잡음이라고 한다. 이 가우시안 잡음은 파워는 일정하나 순시치는 큰 값이 나올 수 있는데 이 경우 NTSC 공동 채널 간섭으로 오인되어 콤 필터를 통과한 데이터가 등화 및 에러 정정부(15)로 출력되는 경우가 발생한다.
특히, 디지털 TV 방송과 NTSC 방송이 겹치는 지역에서는 인접 채널 간섭이나 공동 채널 간섭이 발생하여 콤 필터를 통과한 잡음의 크기와 통과하지 않은 잡음의 크기가 비슷하게 되면, 콤 필터를 사용한 데이터와 콤 필터를 사용하지 않은 데이터가 계속해서 교차하면서 출력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수신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잡음을 제거하는 회로들인 채널 등화 및 에러 정정부(15)의 동작에 영향을 미치어 수신기가 정상적인 동작을 할 수 없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채널 상에 존재하는 잡음에 따라 NTSC 공동 채널 간섭 제거 필터의 온/오프 시점을 가변하는 디지털 TV의 공동 채널 간섭 유무 판별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가우시안 잡음의 순시치가 큰 값이 나오더라도 NTSC 공동 채널 간섭으로 오인하지 않도록 하는 디지털 TV의 공동 채널 간섭 유무 판별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콤 필터를 통과한 잡음의 크기와 통과하지 않은 잡음의 크기가 비슷한 경우에는 항상 콤 필터를 통과한 신호가 출력되도록 하는 디지털 TV의 공동 채널 간섭 유무 판별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디지털 TV 수신기의 구성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TV의 공동 채널 간섭 유무 판별 장치의 구성 블록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 : 콤 필터 22 : 멀티플렉서
23 : 공동 채널 간섭 판단부 24 : 필드 동기 패턴 발생부
25 : 콤 필터 26,27 : 제 1, 제 2 MSE부
26-1,27-1 : 감산기 26-2,27-2 : 절대값 연산부
26-3,27-3 : 플립플롭 26-4,27-4 : 제곱 연산부
28 : 게인 제어부 29 : 비교기
30 : 제 1 카운트부
30-1,30-3,31-1,31-3 : 플립플롭 30-2 : 업/다운 카운터
31-2 : 컨피던스 카운터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TV의 공동 채널 간섭유무 판별장치의 특징은, 콤 필터를 통과하지 않은 잡음의 MSE을 구하여 게인을 조절한 후 콤 필터를 통과한 잡음의 MSE와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라 콤 필터를 온/오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징 및 잇점들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들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TV의 공동 채널 간섭 유무 판별 장치의 구성 블록도로서, 게인 제어부(28)를 제외한 나머지 블록들로 구성된 디지털 TV의 공동 채널 간섭 유무 판별 장치가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된 바 있다.
즉, 도 2를 보면, 입력되는 데이터의 NTSC 간섭을 제거하는 콤 필터(21), 선택 신호에 따라 상기 콤 필터(21)를 통과한 데이타 또는 통과하지 않은 입력 데이타를 선택 출력하는 멀티플렉서(22), NTSC 공동 채널 간섭이 존재하는지를 판별하고 판별 결과에 따라 상기 멀티플렉서(22)에 선택 신호를 출력하는 공동 채널 간섭 판단부(2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공동 채널 간섭 판단부(23)는 필드 동기 신호가 입력되면 필드 동기 신호의 패턴을 발생하는 필드 동기 패턴 발생부(24), 상기 필드 동기 패턴 발생부(24)에서 발생된 기준 필드 동기 신호의 NTSC 간섭을 제거하는 콤 필터(25), 상기 콤 필터(21)와 콤 필터(25)를 각각 통과한 두 데이타의 차에 대한 평균 제곱 오차(Mean Square Error ; MSE)를 구하는 제 1 MSE부(26), 상기 콤 필터(21)를 통과하지 않은 입력 데이터와 필드 동기 패턴 발생부(24)의 기준 데이터의 차에 대한 MSE를 구하는 제 2 MSE부(27), 설정된 게인에 따라 상기 제 1 MSE부(26)에서 구한 제 1 MSE의 게인을 조절하는 게인 제어부(28), 상기 제 2 MSE부(27)에서 출력되는 제 2 MSE와 상기 게인 제어부(28)에서 게인이 제어된 제 1 MSE의 크기를 비교하는 비교기(29), 매 필드마다 리셋되며 상기 비교기(29)의 결과에 따라 카운트 값을 업 또는 다운시키는 제 1 카운트부(30), 상기 제 1 카운트부(30)의 카운트 값에 대한 신뢰도를 검사하여 콤 필터를 통과한 MSE와 콤 필터를 통과하지 않은 MSE과 서로 비슷할 경우 항상 콤 필터를 통과한 데이터를 선택하도록 상기 멀티플렉서(22)를 제어하는 제 2 카운트부(31)로 구성된다.
상기 제 1 MSE부(26)는 입력되는 필드 동기 신호와 필드 동기 패턴 발생부(24)에서 발생된 기준 필드 동기 신호의 차를 구하는 감산기(26-1), 상기 감산기(26-1)의 출력에 절대값을 취하는 절대값 연산부(26-2), 상기 절대값 연산부(26-2)의 출력에 대해 타이밍 정렬을 수행하는 플립플롭(26-3), 상기 타이밍 정렬된 절대값을 제곱하는 제곱 연산부(26-4)로 구성된다.
상기 제 2 MSE부(27)는 상기 콤 필터(21,25)를 각각 통과한 두 신호의 차를 구하는 감산기(27-1), 상기 감산기(27-1)의 출력에 절대값을 취하는 절대값 연산부(27-2), 상기 절대값 연산부(27-2)의 출력에 대해 타이밍 정렬을 수행하는 플립플롭(27-3), 상기 타이밍 정렬된 절대값을 제곱하는 제곱 연산부(27-4)로 구성된다.
상기 제 1 카운트부(30)는 상기 비교기(29)의 출력에 대해 타이밍 정렬을 수행하는 플립플롭(30-1), 매 필드마다 리셋되며 필드 동기 구간동안 상기 플립플롭(30-1)에서 출력되는 데이터 값에 따라 업 또는 다운 카운트를 수행하는 업/다운 카운터(30-2), 인에이블 신호에 의해 상기 업/다운 카운터(30-2)에서 출력되는 최상위 비트 값을 저장하는 플립플롭(30-3)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 2 카운트부(31)는 상기 플립플롭(30-3)의 인에이블 신호보다 1 클럭 늦은 인에이블 신호를 발생하는 플립플롭(31-1), 상기 플립플롭(31-1)에서 발생되는 인에이블 신호에 의해 상기 플립플롭(30-3)의 출력에 대한 신뢰도를 검사하여 신뢰도가 최대값 또는 최소값이 되면 인에이블 신호를 출력하는 컨피던스 카운터(31-2), 상기 컨피던스 카운터(31-2)의 인에이블 신호에 의해 동작하여 상기 멀티플렉서(22)로 선택 신호를 출력하는 플립플롭(31-3)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서 입력되는 10 비트의 디지털 데이터(Din[9:0])는 바로 멀티플렉서(22)로 입력됨과 동시에 콤 필터(21)를 통과하여 NTSC 성분을 제거한 후 상기 멀티플렉서(22)의 다른 입력단자로 입력된다. 상기 멀티플렉서(22)는 선택 신호에 따라 콤 필터(21)를 통과한 데이터 또는 콤 필터(21)를 통과하지 않은 데이터를 선택 출력한다.
공동 채널 간섭 판단부(23)는 NTSC 간섭이 존재하는지의 유무를 판단하여 상기 멀티플렉서(22)에 선택 신호를 제공한다. 이때, NTSC 공동 채널의 존재 유무 판단은 필드 동기 구간에서만 이루어지는데 이는 입력되는 필드 동기 신호를 알기 때문이다. 즉, 본 발명은 동기 복원부(14)에 의해 필드 동기 신호가 복원된 후 수행된다.
상기 필드 동기 신호는 1 데이터 세그먼트 길이로 이루어지며, 처음 4개의 심볼(symbol)에 데이타 세그먼트 동기 패턴인 ‘1001’이 존재하고, 그 다음에 유사 랜덤 시퀀스(Pseudo Random Sequence)인 PN 511, PN 63, PN 63, PN 63이 존재하며, 그 다음 24 심볼에는 VSB 모드 관련 정보가 존재한다.
따라서, 필드 동기 패턴 발생부(24)는 필드 동기 신호가 입력되면 이미 알고 있는 필드 동기 신호의 패턴을 기준 신호로서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실시예로 필드 동기 신호의 PN 511 구간에서만 NTSC 간섭 존재 유무를 판단한다고 가정하면, 상기 필드 동기 패턴 발생부(24)는 이미 알고 있는 PN 511의 패턴을 발생한다.
이때, 제 1 MSE부(26)의 감산기(26-1)는 동기 복원부(14)를 통해 입력되는 필드 동기 신호와 상기 필드 동기 패턴 발생부(24)에서 발생된 기준 필드 동기 신호와의 차값을 연산한다. 여기서, 입력되는 필드 동기 신호에는 채널상에서 추가되는 잡음도 포함되어 있다. 또한, 이 잡음에는 NTSC 공동 채널 간섭도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상기 감산기(26-1)의 출력은 필드 동기 신호가 제거된 신호이므로 잡음만이 남아있다. 이 잡음 성분의 크기를 구하기 위하여 절대값 연산부(26-2)는 상기 감산기(26-1)의 출력에 절대치를 취하고, 플립플롭(26-3)을 통해 타이밍을 정렬한 후 제곱 연산부(26-4)에서 제곱을 하여 게인 제어부(28)로 출력한다.
한편, 동기 복원부(24)를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는 NTSC 공동 채널 간섭을 제거하기 위하여 콤 필터(21)를 통과하고, 필드 동기 패턴 발생부(24)에서 발생되는 기준 필드 동기 신호도 콤 필터(25)를 통과한다. 상기 두 콤 필터(21,25)의 출력은 제 2 MSE부(27)의 감산기(27-1)로 입력되어 잡음 성분을 구한다. 이 잡음 성분에는 NTSC 공동 채널 간섭 성분은 제거되어 있다. 즉, 순수한 가우시안 잡음만이 남아있다. 그런데, 이 가우시안 잡음은 콤 필터를 통과하면 잡음의 파워가 2배가 된다. 상기 감산기(27-1)의 출력은 절대값 연산부(27-2)에서 절대값으로 변하고, 이 절대값은 플립플롭(27-3)을 통해 타이밍 정렬된 후 제곱 연산부(27-4)에서 제곱을 하여 비교기(29)로 출력된다.
만일, 상기 게인 제어부(28)의 게인의 크기가 '1'로 설정되어 있을 경우, 상기 제 1 MSE부(26)에서 구한 제 1 MSE가 그대로 비교기(29)로 입력된다.
상기 비교기(29)는 제 1, 제 2 MSE의 크기를 비교하여 NTSC 공동 채널 간섭 유무를 판별한다. 만일 채널상에 NTSC 공동 채널 간섭이 존재하지 않으면 콤 필터(21)를 통과한 쪽의 잡음의 MSE 즉, 제 2 MSE부(27)의 출력이 제 1 MSE부(26)의 출력보다 크다. 이는 가우시안 잡음이 콤 필터(21)를 통과하면 2배로 되기 때문이다.
마찬가지로, 채널상에 NTSC 공동 채널 간섭이 존재하면 비록 가우시안 잡음의 크기가 콤 필터(21)를 통과하여 2배가 되더라도 NTSC 공동 채널에 의한 간섭이 그보다 더 크므로, 콤 필터(21)를 통과하지 않은 쪽의 잡음의 MSE 즉, 제 1 MSE부(26)의 출력이 제 2 MSE부(27)의 출력보다 크다.
상기 비교기(29)는 이러한 정보를 제 1 카운트부(30)의 플립플롭(30-1)을 통해 타이밍 정렬한 후 업/다운 카운터(30-2)로 전달한다. 상기 제 1 카운트부(30)는 NTSC 공동 채널 간섭이 존재하지 않은데, 상기 가우시안 잡음의 순시치가 큰 값이 되어 NTSC 공동 채널 간섭으로 오인되는 경우를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때, 상기 업/다운 카운터(30-2)는 매 필드 마다 즉, 필드 동기 신호의 초마다 리셋되어야 한다. 즉, 필드 동기 신호의 PN 511이 시작될 때 리셋 상태이면 된다. 이때, 상기 업/다운 카운터(30-2)는 상기 비교기(29)의 출력이 콤 필터를 통과한 잡음의 MSE가 크다고 나타내면 NTSC 공동 채널 간섭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로서, 카운트 값을 한 스텝 내리고, 콤 필터를 통과한 잡음의 MSE가 작다고 나타내면 NTSC 공동 채널 간섭이 존재하는 경우로서, 카운트 값을 한 스텝 올린다.
결국, 상기 업/다운 카운터(30-2)는 511 심볼동안 카운트를 수행하게 되므로 상기 가우시안 잡음의 순시치가 큰 값이 되더라도 무시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업/다운 카운터(30-2)가 511 심볼 동안 카운트를 수행하게 되면, NTSC 공동 채널 간섭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업 카운트에 의해 카운트 값은 +가 되고, NTSC 공동 채널 간섭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다운 카운트에 의해 카운트 값은 -가 된다.
그러므로, 상기 업/다운 카운터(30-2)는 카운트 값의 최상위 비트 즉, 부호 비트를 플립플롭(30-3)으로 출력한다. 즉, NTSC 공동 채널 간섭이 존재하면 0가 출력되고, NTSC 공동 채널 간섭이 존재하지 않으면 1이 출력된다.
상기 업/다운 카운터(30-2)의 출력은 플립플롭(30-3)을 통해 제 2 카운트부(31)의 컨피던스 카운터(31-2)와 플립플롭(31-3)으로 동시에 출력된다.
즉, 상기 비교기(29)로 입력되는 두 MSE의 크기가 비슷하면 상기 제 1 카운트부(30)의 업/다운 카운터(30-2)는 매 필드 동기 신호마다 0과 1을 반복적으로 출력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멀티플렉서(22)는 콤 필터(21)를 통과한 데이터와 통과하지 않은 데이터를 계속해서 교차하면서 출력하게 되고, 이는 등화 및 에러 정정부(15)의 동작에 악영향을 미치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 2 카운트부(31)가 이용된다. 이러한 경우는 디지털 TV 방송과 NTSC 방송이 겹치는 지역에서 발생할 확률이 매우 크며, 이때에는 NTSC 공동 채널 간섭이 어느 정도는 존재한다고 볼 수 있다. 그러므로, 이 경우에는 항상 콤 필터(21)를 통과한 데이터를 출력하는 것이 시스템의 성능을 향상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 역할을 상기 제 2 카운트부(28)에서 수행한다.
이때, 제 2 카운트부(31)의 컨피던스 카운터(31-2)는 플립플롭(31-1)에 의해 제 1 카운트부(30)의 플립플롭(30-3)보다 1 클럭 늦게 인에이블된다. 그러므로, 컨피던스 카운터(31-2)가 인에이블될 때 상기 플립플롭(30-3)에 저장된 데이터가 컨피던스 카운터(31-2)로 입력된다.
상기 컨피던스 카운터(31-2)는 콤 필터를 통과한 쪽의 MSE가 통과하지 않은 쪽의 MSE보다 크면 즉, NTSC 공동 채널 간섭이 없다고 판단되어 제 1 카운트부(30)에서 1이 출력되면 신뢰도를 1 스텝 감소시키고, 콤 필터를 통과한 쪽의 잡음의 MSE가 통과하지 않은 쪽의 잡음의 MSE보다 작으면 즉, NTSC 공동 채널 간섭이 존재한다고 판단되어 제 1 카운트부(30)에서 0이 출력되면 신뢰도를 1 스텝이 아닌 2 스텝 이상으로 증가시킨다.
예를 들어, 콤 필터를 사용한 쪽의 잡음의 MSE와 콤 필터를 사용하지 않은 쪽의 잡음의 MSE가 한번씩 번갈아가며 작아지고, 현재까지 축적된 신뢰도는 '0'이며, 컨피던스 카운터(31-2)의 신뢰도 증감은 증가 시 '16'이고 감소 시 '-1'이라고 가정을 하자. 이때, 콤 필터를 사용한 쪽의 잡음의 MSE가 작으면 플립플롭(30-3)에서는 0이 출력되고 컨피던스 카운터(31-2)의 신뢰도는 16이 된다. 그 다음 필드 동기 신호 구간에서 콤 필터를 사용하지 않은 쪽의 잡음의 MSE가 작으면 플립플롭(30-3)에서는 1이 출력되고 컨피던스 카운터(31-2)의 신뢰도는 '-1' 감소하여 15가 된다. 또한, 그 다음 필드 동기 신호 구간에서 콤 필터를 사용한 쪽의 잡음의 MSE가 작으면 다시 플립플롭(30-3)에서는 0이 출력되고 컨피던스 카운터(31-2)의 신뢰도는 '16' 증가하여 31이 된다. 그 다음의 필드 동기 신호 구간에서의 컨피던스 카운터(31-2)의 신뢰도는 30이 된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반복하면 컨피던스 카운터(31-2)에 축적된 신뢰도는 계속해서 증가하게 된다. 이와 같은 과정으로 컨피던스 카운터(31-2)의 카운트 값이 최대값이 되면 컨피던스 카운터(31-2)는 플립플롭(31-3)을 인에이블 시킨다.
이와 같이, 콤 필터를 사용한 쪽의 잡음의 MSE와 콤 필터를 사용하지 않은 쪽의 잡음의 MSE가 한번씩 번갈아가며 작아지더라도 일정 시간이 지나면 컨피던스 카운터(31-2)의 신뢰도는 최대값이 되므로, 상기 플립플롭(31-3)은 항상 '0'을 상기 멀티플렉서(22)로 출력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비교기(26-9)로 입력되는 두 잡음의 MSE가 거의 비슷한 경우에는 상기 제 2 카운트부(31)의 제어에 의해 멀티플렉서(22)는 콤 필터(21)를 통과한 데이터를 선택 출력하게 된다.
이때, 상기 비교기(29)는 상기 제 1, 제 2 MSE부(26,27)에서 구한 MSE를 NTSC 간섭 유무 판단의 근거로 사용하는데, 상기 MSE는 NTSC 공동 채널 간섭이 아닌 다른 잡음이 채널 상에 존재하거나 화면의 종류에 따라서도 변한다. 즉, 화면의 종류에 따라서도 NTSC 캐리어 크기가 변하므로 같은 지역에서도 제 1 MSE부(26)에서 구한 MSE가 변한다.
이와 같이, 상기 제 1 MSE부(26)에서 구한 제 1 MSE는 NTSC 공동 채널 간섭에 대한 것만 아니라 다른 잡음, 화면의 종류등에 따라서도 영향을 받는다. 그리고, 상기 제 1 MSE가 변하면 비교기(29)의 결과가 반전될 수 있으므로 콤 필터의 온/오프되는 시점도 변한다.
특히, 어떠한 경우에는 NTSC 간섭이 심한 경우인데도 다른 잡음등의 영향으로 MSE값이 변하여 NTSC 간섭이 없다고 판별되는 경우가 있다. 이때, 콤 필터가 온이 되지 못하면 수신기에 에러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콤 필터를 온시킨다면 에러를 제거할 수 있다.
이를 상기 게인 제어부(28)에서 수행한다.
즉, 상기 게인 제어부(28)로 입력되는 게인의 크기가 '1'이면 제 1 MSE부(26)에서 구한 제 1 MSE가 그대로 비교기(29)로 출력되고, '1'보다 작으면 상기 제 1 MSE값이 작아져서 비교기(29)로 출력된다. 이러한 경우는, 수신된 신호에 NTSC 공동 채널 간섭의 크기가 더욱 커지더라도 멀티플렉서(22)에서는 콤 필터(21)를 통과하지 않은 신호가 출력된다. 즉, 콤 필터(21)의 온 시점이 더욱 늦어진다.
이와 반대로, 상기 게인 제어부(28)로 입력되는 게인의 크기가 '1'보다 크면 제 1 MSE는 더욱 큰 값으로 변하여 비교기(29)로 입력된다. 따라서, NTSC 공동 채널 간섭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작아져도 멀티플렉서(22)에서는 콤 필터(21)를 통과한 데이터가 출력된다. 이때에는 콤 필터(21)의 온/오프 시점이 게인이 '1'인 경우보다 빨라진다. 즉, 게인이 '1'인 경우보다 NTSC 공동 채널 간섭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작은 경우에도 콤 필터(21)가 온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 게인 제어부(28)로 입력되는 게인의 크기를 '1'보다 크게 하여 콤 필터(21)의 온/오프 시점을 좀 더 빨리 일어나게 한다. 이는, 이미 NTSC 공동 채널 간섭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콤 필터를 온시키는 것이 수신기의 성능면에서 효과적이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NTSC가 있는 경우에는 콤 필터가 빨리 온되도록 가중치를 주어 수신기의 성능을 최적화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TV의 공동 채널 간섭 유무 판별 장치에 의하면, 콤 필터를 통과하지 않은 잡음의 MSE에 대한 게인을 조절하여 콤 필터의 온/오프 시점을 가변함으로써, 수신기의 성능을 각 채널 잡음과 NTSC 공동 채널 간섭에 대하여 최적화시킬 수 있다. 또한, 콤 필터를 통과한 잡음의 MSE와 콤 필터를 통과하지 않은 잡음의 MSE를 비교하여 NTSC 공동 채널 간섭 유무를 판별하는데 업/다운 카운터, 컨피던스 카운터를 이용함으로써, 가우시안 잡음이 순간적으로 커졌을때 NTSC 공동 채널 간섭으로 오인되는 경우를 방지하며, 콤 필터를 통과한 잡음의 MSE와 콤 필터를 통과하지 않은 잡음의 MSE가 비슷한 경우에는 항상 콤 필터를 통과한 데이터가 출력되도록 함으로서, 시스템의 성능을 향상시킨다.

Claims (7)

  1. 입력되는 데이터의 NTSC 간섭을 제거하는 콤 필터와, 선택 신호에 따라 상기 콤 필터를 통과한 데이터 또는 콤 필터를 통과하지 않은 데이터를 선택 출력하는 선택부를 포함하는 디지털 티브이 수신 장치에 있어서,
    콤 필터를 통과하지 않은 잡음의 평균 제곱 오차(MSE)를 구하는 제 1 MSE부와,
    콤 필터를 통과한 잡음의 평균 제곱 오차(MSE)를 구하는 제 2 MSE부와,
    상기 제 1 MSE부에서 구한 제 1 MSE의 게인을 조절하는 게인 제어부와,
    상기 제 2 MSE부에서 구한 제 2 MSE와 상기 게인 제어부에서 게인이 조절된 제 1 MSE의 크기를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른 선택 신호를 상기 선택부로 출력하는 비교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티브이의 공동 채널 간섭 판별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MSE부는
    수신 필드 동기 신호와 기준 필드 동기 신호의 차를 구하여 절대치를 취한 후 제곱을 하여 콤 필터를 통과하지 않은 잡음의 MSE를 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티브이의 공동 채널 간섭 판별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MSE부는
    각각의 콤 필터를 통과한 수신 필드 동기 신호와 기준 필드 동기 신호의 차를 구하여 절대치를 취한 후 제곱을 하여 콤 필터를 통과한 잡음의 MSE를 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티브이의 공동 채널 간섭 판별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게인 제어부로 입력되는 게인의 크기는 적어도 '1'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티브이의 공동 채널 간섭 판별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부의 비교 결과에 따라 소정 심볼동안 업 또는 다운 카운트를 수행한 후 그중 최상위 비트 데이터만을 출력하는 제 1 카운트부와,
    상기 제 1 카운트부의 출력에 대해 신뢰도를 검사하여 신뢰도가 최대값이 되면 콤 필터를 통과한 데이터를 선택하는 제어 신호를, 최소값이 되면 콤 필터를 통과하지 않은 데이터를 선택하는 선택 신호를 상기 선택부로 출력하는 제 2 카운트부를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티브이의 공동 채널 간섭 판별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카운트부는
    상기 제 1 카운트부의 출력에 따라 신뢰도의 증감을 다르게하여 신뢰도가 최대값이 되면 콤 필터를 통과한 데이터를 선택하는 선택 신호를, 최소값이 되면 콤 필터를 통과하지 않은 데이터를 선택하는 선택 신호를 상기 선택부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티브이의 공동 채널 간섭 판별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카운트부는
    상기 제 1 카운트부의 출력이 NTSC 공동 채널 간섭이 존재하지 않음을 의미하면 신뢰도를 1 스텝 감소시키고, NTSC 공동 채널 간섭이 존재함을 의미하면 신뢰도를 2 스텝 이상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티브이의 공동 채널 간섭 판별 장치.
KR1019980062820A 1998-12-31 1998-12-31 디지털 티브이의 공동 채널 간섭유무 판별장치 KR1002823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62820A KR100282353B1 (ko) 1998-12-31 1998-12-31 디지털 티브이의 공동 채널 간섭유무 판별장치
US09/475,128 US6456316B1 (en) 1998-12-31 1999-12-30 Apparatus for judging if co-channel interference exists in digital TV receiv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62820A KR100282353B1 (ko) 1998-12-31 1998-12-31 디지털 티브이의 공동 채널 간섭유무 판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6143A KR20000046143A (ko) 2000-07-25
KR100282353B1 true KR100282353B1 (ko) 2001-02-15

Family

ID=195694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62820A KR100282353B1 (ko) 1998-12-31 1998-12-31 디지털 티브이의 공동 채널 간섭유무 판별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6456316B1 (ko)
KR (1) KR10028235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0433B1 (ko) * 2001-02-28 2003-07-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tv 수신기의 에러 추적 장치
KR100398449B1 (ko) * 2001-12-24 2003-09-1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블라인드 판정 궤환 등화 장치 및 그 방법
US7369155B2 (en) * 2005-05-16 2008-05-06 Mediatek In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rejecting co-channel interference signal
US20070064156A1 (en) * 2005-09-19 2007-03-22 Mediatek Inc. System and method for removing co-channel interference
US7515910B2 (en) * 2005-09-26 2009-04-07 Motorola, Inc. Cellular/WLAN hybrid-terminal handover techniques
US7564912B2 (en) * 2006-02-15 2009-07-21 Mediatek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hannel state information generation in a DVB-T receiver
US8265584B2 (en) * 2009-06-29 2012-09-11 Silicon Laboratories Inc. Providing image rejection calibration for a receiver
US9819524B2 (en) 2014-11-21 2017-11-14 Silicon Laboratories Inc. Image rejection calibration with a passive network
US9319027B1 (en) 2014-12-17 2016-04-19 Silicon Laboratories Inc. Injecting a tone for image rejection calibration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15012A (en) * 1996-03-13 1998-02-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Radio receivers for receiving both VSB and QAM digital HDTV signals
KR0165507B1 (ko) * 1996-01-09 1999-03-20 김광호 기준신호를 이용한 등화방법과 등화기
KR19980076495A (ko) * 1997-04-10 1998-11-16 윤종용 Hdtv/ntsc 공용 수신기와 수신 신호 선택방법
KR100219643B1 (ko) * 1997-06-26 1999-09-01 윤종용 동일채널 간섭 검출기와 그 구동방법
KR100238301B1 (ko) * 1997-07-10 2000-01-15 윤종용 동일채널 간섭 검출기와 그 방법
KR100244221B1 (ko) * 1997-12-16 2000-02-01 구자홍 디지털 티브이의 인접 채널 간섭유무 판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6143A (ko) 2000-07-25
US6456316B1 (en) 2002-09-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51050B1 (ko) 잔류 측파대 변조된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6535553B1 (en) Passband equalizers with filter coefficients calculated from modulated carrier signals
US7480009B2 (en) Synchronization signal detection in a digital television receiver
KR0170730B1 (ko) 필드 동기신호 검출회로 및 그 방법
KR100651049B1 (ko) Hdtv 수신기의 복조기를 위한 위상 에러 추정 방법
US5592235A (en) Terrestrial/cable broadcasting signal receiver for HDTV
JP5390971B2 (ja) 復調器が効率的にロックできるようにする方法及び装置、並びに復調器が効率的に開始できるようにする方法
KR980013372A (ko) 고선명 텔레비젼 시스템의 동작 모드 절환 방법 및 장치
KR20010021059A (ko) 디지탈 기호 타이밍 복구 네트워크를 구비하여데이타스트림을 처리하는 장치 및 그 방법
KR100320477B1 (ko) 디지털 텔레비전의 타이밍 복원 장치
KR100244221B1 (ko) 디지털 티브이의 인접 채널 간섭유무 판별장치
US6057877A (en) NTSC interference detectors using pairs of comb filters with zero-frequency responses, as for DTV receivers
KR100282353B1 (ko) 디지털 티브이의 공동 채널 간섭유무 판별장치
US5835131A (en) Digital television receiver with adaptive filter circuitry for suppressing NTSC co-channel interference
US6480233B1 (en) NTSC co-channel interference detectors responsive to received Q-channel signals in digital TV signal receivers
US5995135A (en) Digital television receiver with adaptive filter circuitry for suppressing NTSC Co-channel interference
KR100557122B1 (ko) 동일채널간섭을 받는 디지털 텔레비젼 신호용 수신기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0260421B1 (ko) 최종 중간 주파수 신호 포락선의 필드 동기화 코드에 응답하는정합필터를 구비한 디지털 수신기
KR100508520B1 (ko) 수신된 잔류 측파대(vsb) 변조된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시스 템에서 사용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0540675B1 (ko) 고화질 텔레비전 잔류 측파대 수신기 및 이러한 수신기에서의 사용 방법
CA2267679C (en) Ntsc co-channel interference detectors responsive to received q-channel signals in digital tv signal receivers
AU702137B1 (en) Digital television receiver with adaptive filter circuitry for suppressing NTSC co-channel interference
CA2241067C (en) Digital television receiver with adaptive filter circuitry for suppressing ntsc co-channel interference
KR19990042248A (ko) 디지털 텔레비전의 자동 게인 조절 제어 장치
KR20010037172A (ko) 브이.에스.비 모드 검출기와 디지털 텔레비젼 신호 수신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6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4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4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3

Year of fee payment: 1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