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82057B1 - 단말기간의 마스터/슬레이브 결정시 듀타임값설정 방법 - Google Patents

단말기간의 마스터/슬레이브 결정시 듀타임값설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82057B1
KR100282057B1 KR1019980052284A KR19980052284A KR100282057B1 KR 100282057 B1 KR100282057 B1 KR 100282057B1 KR 1019980052284 A KR1019980052284 A KR 1019980052284A KR 19980052284 A KR19980052284 A KR 19980052284A KR 100282057 B1 KR100282057 B1 KR 1002820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me
connection
value
slave
mas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522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37651A (ko
Inventor
안정모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10199800522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82057B1/ko
Publication of KR200000376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376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20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205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4Peer-to-peer [P2P] networks
    • H04L67/1044Group management mechanisms 
    • H04L67/1051Group master selection mechanis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한된 네트워크 리소스의 억세스 충돌을 방지하기 위하여 두 단말기 사이에 이루어지는 마스터/슬레이브 결정시, 요청(request) 신호 송신후 인식(acknowledge) 신호가 수신되기까지의 듀타임값을 네트워크 환경에 적응적으로 최적의 값으로 설정할 수 있도록 한 단말기간의 마스터/슬레이브 결정시 듀타임값 설정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접속을 위한 요청 신호를 송신하고나서 상대방 단말기로부터 마스터 또는 슬레이브를 위한 인식 신호가 인가되기까지의 듀타임값을 카운트하여 저장하고, 카운트된 시간이 기설정된 듀타임값에서 소정 오차 범위 이내이면 접속 성공으로 판단하고 저장된 듀타임값과 함께 정상 접속임을 체크하여 저장한 후, 카운트된 시간이 기설정된 듀타임값에서 소정 오차 범위를 벗어나면 접속 실패로 판단하여 저장된 듀타임값과 함께 비정상 접속임을 체크하여 저장하고, 이러한 듀타임값 카운트를 소정 회수 반복한 후, 정상 접속시의 듀타임 평균값과 비정상 접속시의 듀타임 평균값을 연산하고 이 두 값을 평균값을 연산하여 최종적으로 듀타임값으로 설정함으로써, 접속 효율을 상승시킬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단말기간의 마스터/슬레이브 결정시 듀타임값 설정 방법(A method of setting due time value for master/slave determination of H.323 terminals)
본 발명은 네트워크에서의 단말기간 마스터/슬레이브 결정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제한된 네트워크 리소스의 억세스 충돌을 방지하기 위하여 두 단말기 사이에 이루어지는 마스터/슬레이브 결정시, 요청(request) 신호 송신후 인식(acknowledge) 신호가 수신되기까지의 듀타임값을 네트워크 환경에 적응적으로 최적의 값으로 설정할 수 있도록 한 단말기간의 마스터/슬레이브 결정시 듀타임값 설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H.323 통신 규격을 준수하는 H.323 단말기는 인터넷 망을 통하여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멀티미어 단말기로서, 도 1의 개념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터넷 망(200)을 통하여 다수개의 H.323 단말기(100,300)가 연결되어 있다.
한편, 이러한 H.323 단말기(100,300)들은 피어투피어 접속(Peer to Peer connection) 방식으로 상호 접속하여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송수신하게 된다.
부연 설명하면, 제한된 네트워크 리소스에 의해서 단말기간 억세스시 상호 충돌을 방지하기 위하여 두 단말기간에는 먼저 마스터와 슬레이브를 결정하게 되는 데, 이러한 마스터/슬레이브 결정을 첨부한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단말기간의 마스터/슬레이브 결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첫 번째와 두 번째 경우는 접속 성공을 나타내며, 세 번째 경우는 접속 실패에 대하여 도시하였다.
먼저, 두 단말기 간에 마스터 및 슬레이브를 결정하기 위하여 도 2의 첫 번째 경우에는 제 1 H.323 단말기(100)는 접속 요구를 위한 요구(request) 신호를 송신하게 되며, 제 2 H.323 단말기(300)는 요구 신호를 성공적으로 수신하고 나서 자신이 마스터로서 결정 가능하면 슬레이브 인식(Ack-Slave) 신호를 송신하게 된다.
그러면, 제 1 H.323 단말기(100)는 다시 이 슬레이브 인식 신호가 성공적으로 수신되면 자신을 슬레이브로 결정하고 마스터 인식 신호(Ack-Master)를 송신하게 된다.
다음에, 제 2 H.323 단말기(300)는 제 1 H.323 단말기(100)로부터 인가되는 마스터 인식 신호를 성공적으로 수신하여 최종적으로 자신을 마스터로 결정하여 통신을 수행하게 된다.
반대로, 도 2의 두 번째 경우에는 제 1 H.323 단말기(100)는 접속 요구를 위한 요구(request) 신호를 송신하게 되며, 제 2 H.323 단말기(300)는 요구 신호를 성공적으로 수신하고 나서 자신이 슬레이브로서 결정 가능하면 마스터 인식(Ack-Master) 신호를 송신하게 된다.
그러면, 제 1 H.323 단말기(100)는 다시 이 마스터 인식 신호가 성공적으로 수신되면 자신을 마스터로 결정하고 슬레이브 인식 신호(Ack-Slave)를 송신하게 된다.
다음에, 제 2 H.323 단말기(300)는 제 1 H.323 단말기(100)로부터 인가되는 슬레이브 인식 신호를 성공적으로 수신하게 되면 최종적으로 자신을 슬레이브로 결정하여 통신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상술한 마스터/슬레이브 결정에서 요청 신호를 송신하는 단말기가 요청 신호를 송신하고 나서 인식 신호가 수신되기 까지의 시간을 듀타임값(due time value)이라 하며, 이 듀타임값이 종래에는 소정 값으로 고정되어 있었다. 그러나, 네트워크의 환경에 따라서 요청 신호를 송신하고 나서 인식 신호가 수신되기 까지의 튜타임값은 가변되게 마련이다.
도 2의 세 번재 경우를 참조하여 부연 설명하면, 제 1 H.323 단말기(100)는 요청 신호를 송신하게 되고, 제 2 H.323 단말기(300)는 이 요청 신호를 수신하고 나서 자신이 슬레이브로서 동작이 가능하게 되면 마스터 인식 신호(Ack-Master)를 송신하게 된다. 이때, 인터넷 망(200)의 네트워크 환경에 의해 전달 시간이 지연되어 기설정된 듀타임값이 경과해도 제 1 H.323 단말기(100)에서 이 마스터 인식 신호를 수신하지 못하게 되면 듀타임값 경과후 해제(Release) 신호를 송신하게 되며, 제 2 H.323 단말기(300)는 이 해제 신호를 수신하여 마스터/슬레이브 결정을 거절 지시하게 된다.
따라서, 요청 신호를 송신하고 나서 인식 신호가 설정된 듀타임값이내에 수신되지 않으면 접속 실패가 되어 이 과정을 단순히 반복하게 되어, 단순히 특정값으로 듀타임값을 미리 고정시키는 것은 매우 불합리한 문제점으로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제한된 네트워크 리소스의 억세스 충돌을 방지하기 위하여 두 단말기 사이에 이루어지는 마스터/슬레이브 결정시 요청(request) 신호 송신후, 인식(acknowledge) 신호가 수신되기까지의 듀타임값을 네트워크 환경에 적응적으로 최적의 값으로 설정할 수 있도록 접속 이력을 기초로하여 최적의 값으로 가변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제한된 네트워크 리소스의 억세스 충돌을 방지하기 위하여 두 단말기 사이에 이루어지는 마스터/슬레이브 결정시, 접속 요청(request) 신호 송신후, 인식(acknowledge) 신호가 수신되기까지의 듀타임값을 소정 회수 카운트하여 그 평균값으로 설정하여 저장함으로써, 두 단말기 간에 마스터와 슬레이브를 결정하는 접속 이력을 기초로하여 네트워크 환경에 적응적으로 최적의 듀타임값을 이용하여 접속을 수행하여 접속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한 단말기간의 마스터/슬레이브 결정시 듀타임값 설정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인터넷 망을 이용한 H.323 단말기 통신 개념도.
도 2는 단말기간의 마스터/슬레이브 결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간의 마스터/슬레이브 결정시 듀타임값 설정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제 1 H.323 단말기 200 : 인터넷 망
300 : 제 2 H.323 단말기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간의 마스터/슬레이브 결정시 듀타임값 설정 방법은, 네트워크 상에서 두 단말기간에 마스터와 슬레이브를 결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접속을 위한 요청 신호를 송신하고나서 상대방 단말기로부터 마스터 또는 슬레이브를 위한 인식 신호가 인가되기까지의 듀타임값을 카운트하여 저장하는 제 1 단계와, 카운트된 시간이 기설정된 듀타임값에서 소정 오차 범위 이내이면 접속 성공으로 판단하고 저장된 듀타임값과 함께 정상 접속임을 체크하여 저장하는 제 2 단계와, 카운트된 시간이 기설정된 듀타임값에서 소정 오차 범위를 벗어나면 접속 실패로 판단하여 저장된 듀타임값과 함께 비정상 접속임을 체크하여 저장하는 제 3 단계와, 상기 제 1,2,3 단계를 소정 회수 반복한 후, 정상 접속시의 듀타임 평균값과 비정상 접속시의 듀타임 평균값을 연산하고 이 두 값을 평균값을 연산하여 최종적으로 듀타임값으로 설정하는 제 4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술한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 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되는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술한 도 1의 제 1 H.323 단말기(100)와 제 2 H.323 단말기(300)간에 인터넷 망(300)을 통하여 마스터/슬레이브 결정 과정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간의 마스터/슬레이브 결정시 듀타임값 설정 과정을 첨부한 도 3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라서 각 단말기는 초기화시 듀타임갓을 미리 설정된 값으로 고정하여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실제 네트워크의 환경에 대응하여 적응적으로 최적의 값으로 연산하여 설정하게 된다.
제 1 H.323 단말기(100)에서 제 2 H.323 단말기(300)로 접속 요청시(단계 300), 먼저 제 1 H.323 단말기(100)는 접속 요구를 위한 요구(request) 신호를 송신하고 나서 소정의 시간을 카운트하게 된다(단계 302).
그러면, 제 2 H.323 단말기(300)는 요구 신호를 성공적으로 수신하고 나서 예를 들어, 자신이 슬레이브로서 결정 가능하면 마스터 인식(Ack-Master) 신호를 송신하게 된다.
따라서, 제 1 H.323 단말기(100)는 다시 이 마스터 인식 신호가 성공적으로 수신되는지를 판단하여(단계 304), 마스터 인식 신호가 수신되면 자신을 마스터로 결정하고 슬레이브 인식 신호(Ack-Slave)를 송신하고서, 소정 시간 카운트를 종료하고 카운트된 값을 듀타임값으로 저장하게 된다(단계 306).
이때, 제 2 H.323 단말기(300)는 제 1 H.323 단말기(100)로부터 인가되는 슬레이브 인식 신호를 성공적으로 수신하게 되면 최종적으로 자신을 슬레이브로 결정하여 통신을 수행하게 되어, 제 1 H.323 단말기(100)는 마스터로서, 제 2 H.323 단말기(300)는 슬레이브로서 결정되어 상호간에 인터넷 망(200)을 통해서 통신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상술한 단계 (306) 후에 제 1 H.323 단말기(100)는 카운트되어 저장된 듀타임값이 기설정되어 있는 기준 듀타임값과 비교하여 소정 오차 범위 이내의 값인지를 판단하게 된다(단계 308).
이때, 카운트되어 저장된 듀타임값이 기준 듀타임값에서 오차 범위이내의 값이면 접속 성공으로 간주하여 이를 저장된 듀타임값에 체크하여 저장하게 된다(단계 310).
반대로, 카운트되어 저장된 듀타임값이 기준 듀타임값보다 오차 범위을 벗어나게 되면 접속 실패로 간주하여 이를 저장된 듀타임값에 체크하여 저장하게 된다(단계 312).
다음에, 상술한 과정을 소정 회수(예를 들면, 접속 성공시 5번, 접속 실패시 3번) 반복하여 정상적인 접속 성공시의 카운트된 듀타임값 5개와, 비정상적인 접속 실패시의 카운트된 듀타임값 3개를 저장하게 된다(단계 314).
다음에, 제 1 H.323 단말기(100)는 정상적인 접속 성공시의 듀타임값중에서 최대 듀타임값과 최소 듀타임값을 선택하여 제외시키게 된다.
그런 다음, 남은 3개의 듀타임값의 평균값을 연산하여 저장하고(단계 316), 접속 실패시의 듀타임값 3개의 평균값을 연산하게 된다(단계 318).
마지막으로, 각각의 평균값의 평균값을 연산하여 최종적으로 듀타임값으로 설정 저장하게 된다(단계 320).
따라서, 현재 네트워크 환경에 대응하여 접속 요청시 요청 신호를 보내고 나서 상대방 단말기로부터의 인식 신호를 대기하는 시간을 최적으로 설정함으로써, 접속 효율을 향상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 실시가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제한된 네트워크 리소스의 억세스 충돌을 방지하기 위하여 두 단말기 사이에 이루어지는 마스터/슬레이브 결정시, 요청(request) 신호 송신후 인식(acknowledge) 신호가 수신되기까지의 듀타임값을 네트워크 환경에 적응적으로 최적의 값으로 설정하여 운영함으로써, 두 단말기간의 접속 효율을 상승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네트워크 상에서 두 단말기간에 마스터와 슬레이브를 결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접속을 위한 요청 신호를 송신하고나서 상대방 단말기로부터 마스터 또는 슬레이브를 위한 인식 신호가 인가되기까지의 듀타임값을 카운트하여 저장하는 제 1 단계와;
    카운트된 시간이 기설정된 듀타임값에서 소정 오차 범위 이내이면 접속 성공으로 판단하고 저장된 듀타임값과 함께 정상 접속임을 체크하여 저장하는 제 2 단계와;
    카운트된 시간이 기설정된 듀타임값에서 소정 오차 범위를 벗어나면 접속 실패로 판단하여 저장된 듀타임값과 함께 비정상 접속임을 체크하여 저장하는 제 3 단계와;
    상기 제 1,2,3 단계를 소정 회수 반복한 후, 정상 접속시의 듀타임 평균값과 비정상 접속시의 듀타임 평균값을 연산하고 이 두 값을 평균값을 연산하여 최종적으로 듀타임값으로 설정하는 제 4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간의 마스터/슬레이브 결정시 듀타임값 설정 방법.
KR1019980052284A 1998-12-01 1998-12-01 단말기간의 마스터/슬레이브 결정시 듀타임값설정 방법 KR1002820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2284A KR100282057B1 (ko) 1998-12-01 1998-12-01 단말기간의 마스터/슬레이브 결정시 듀타임값설정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2284A KR100282057B1 (ko) 1998-12-01 1998-12-01 단말기간의 마스터/슬레이브 결정시 듀타임값설정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7651A KR20000037651A (ko) 2000-07-05
KR100282057B1 true KR100282057B1 (ko) 2001-05-02

Family

ID=195607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52284A KR100282057B1 (ko) 1998-12-01 1998-12-01 단말기간의 마스터/슬레이브 결정시 듀타임값설정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8205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7088B1 (ko) * 2017-07-13 2019-11-20 주식회사 언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리소스 할당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7651A (ko) 2000-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3472606B (zh) 一种心跳超时检测方法、服务器及电子设备
EP1022878B1 (en) Data transmission system
US5448561A (en) Method & apparatus for data exchange in data processing installations
US5121382A (en) Station-to-station full duplex communication in a communications network
KR900005042B1 (ko) 데이타 통신 네트워크에서 통신 용이 방법
US5862326A (en) Efficient request-reply protocol for a client-server model
JP3165837B2 (ja) 送信機及び受信機の操作を制御するためにパケット交換cdma通信ネットワークの作動を制御するための方法
CN110808948B (zh) 远程过程调用方法、装置及系统
US4536877A (en) Tack-on acknowledgment in computer networks
CN110311847B (zh) 一种批量数据传输方法和装置
CN111884875A (zh) 一种离线设备确定方法及装置
US640475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ccess to a communication channel
CN109768850B (zh) 一种车载通信方法和系统
US2001004361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ccess to a communication channel
CN109756464B (zh) 一种通信方法及服务器、客户端
KR100282057B1 (ko) 단말기간의 마스터/슬레이브 결정시 듀타임값설정 방법
US788132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ccess to a communication channel
JPH07112209B2 (ja) Rs232通信用リンクプロトコル
US20220116827A1 (en) Bidirectional Forwarding Detection (BFD) Parameter Negotiation Method, Apparatus and Chip
US20030162541A1 (en) Method for supporting a number of checksum algorithms in a network node
KR100283478B1 (ko) 단말기간의 마스터/슬레이브 결정시 듀타임값설정 방법
CN114423093A (zh) 数据传输方法和装置、计算机可读存储介质、终端设备
EP1195025A1 (en) Network slot synchronization scheme for a computer network communication channel
CN110289937B (zh) 延迟响应方未就绪否定应答
KR0179282B1 (ko) 데이터 충돌검출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10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1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