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81414B1 - 비동기전달모드 교환기의 중계선 정합장치 - Google Patents

비동기전달모드 교환기의 중계선 정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81414B1
KR100281414B1 KR1019980052172A KR19980052172A KR100281414B1 KR 100281414 B1 KR100281414 B1 KR 100281414B1 KR 1019980052172 A KR1019980052172 A KR 1019980052172A KR 19980052172 A KR19980052172 A KR 19980052172A KR 100281414 B1 KR100281414 B1 KR 1002814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tm
switch
matching device
atm cell
ce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521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37555A (ko
Inventor
윤빈영
권율
Original Assignee
정선종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계철
한국전기통신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선종,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계철, 한국전기통신공사 filed Critical 정선종
Priority to KR10199800521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81414B1/ko
Publication of KR200000375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375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14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141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54Store-and-forward switching systems 
    • H04L12/56Packet switching systems
    • H04L12/5601Transfer mode dependent, e.g. AT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54Store-and-forward switching systems 
    • H04L12/56Packet switching systems
    • H04L12/5601Transfer mode dependent, e.g. ATM
    • H04L2012/5619Network Node Interface, e.g. tandem connections, transit switch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54Store-and-forward switching systems 
    • H04L12/56Packet switching systems
    • H04L12/5601Transfer mode dependent, e.g. ATM
    • H04L2012/5625Operations, administration and maintenance [O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54Store-and-forward switching systems 
    • H04L12/56Packet switching systems
    • H04L12/5601Transfer mode dependent, e.g. ATM
    • H04L2012/5638Services, e.g. multimedia, GOS, QOS
    • H04L2012/5646Cell characteristics, e.g. loss, delay, jitter, sequence integrity
    • H04L2012/5652Cell construction, e.g. including header, packetisation, depacketisation, assembly, re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54Store-and-forward switching systems 
    • H04L12/56Packet switching systems
    • H04L12/5601Transfer mode dependent, e.g. ATM
    • H04L2012/5678Traffic aspects, e.g. arbitration, load balancing, smoothing, buffer management
    • H04L2012/568Load balancing, smoothing or shap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동기전달모드(ATM) 교환기에서 동기식 수송장치(Synchronous Transport Module: STM-1)를 이용한 중계선 정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트래픽 쉐이퍼를 사용한 비동기전달모드 교환기의 중계선 정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ATM(Asynchronous Transfer Mode) 통신망의 망-노드간 인터페이스장치와 스위치 장치 사이에 위치하고, 물리계층 정합장치와 ATM계층 정합장치로 구성되어, 상기 물리계층 정합장치로부터 전달되는 ATM 셀을 처리하고 라우팅 태그를 부착하여 상기 스위치 장치로 전달하며, 상기 스위치 장치로부터 전달되는 ATM 셀의 라우팅 태그를 제거하고 물리계층 정합장치로 전달하는 비동기전달모드 교환기의 중계선 정합장치에 있어서, 상기 ATM계층 정합장치의 ATM 셀처리부는, 상기 스위치 장치로부터 전달되는 ATM 셀을 가상채널연결(VCC: Virtual Channel Connection) 별로 감시하여, 호 설정시 협상된 트래픽의 범위를 벗어나는 ATM 셀 간격을 보상하는 쉐이퍼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전달모드 교환기의 중계선 정합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비동기전달모드 교환기의 중계선 정합장치 ( Trunk interface card of ATM switching system )
본 발명은 비동기전달모드(ATM) 교환기에서 동기식 수송장치(Synchronous Transport Module: STM-1)를 이용한 중계선 정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트래픽 쉐이퍼를 사용한 비동기전달모드 교환기의 중계선 정합장치에 관한 것이다.
비동기전달모드(Asynchronous Transfer Mode: 이하 ATM이라 함) 교환기의 중계선 정합장치는, 망-노드간의 정합장치(Network-Node Interface: NNI)를 말한다. 즉, 이 중계선 정합장치는 대국에서 전달된 ATM 셀을 목적지로 전달하기 위하여 라우팅 태그(routing tag)를 부착하여 스위치장치로 전달하거나, 스위치장치에서 전달된 데이터를 ATM 셀로 변환하여 대국으로 전달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이러한 중계선 정합장치는 셀 전달을 보장하기 위하여 유지보수기능(OAM:Operation Administration and Maintenance)을 수행한다.
그러나, 종래의 ATM 교환기의 중계선 정합장치는 쉐이퍼 기능(shaper function)을 갖고 있지 않기 때문에 대국에 위치한 망 트래픽 감시장치(NPC: network parameter control)에 의하여 데이터 손실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ATM 교환기의 중계선 정합장치에 쉐이퍼를 운용함으로써 대국에 위치한 망 트래픽 감시장치에 의한 데이터 손실을 예방하여 서비스 품질을 보장할 수 있는 비동기전달모드 교환기의 중계선 정합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비동기전달모드 통신망의 구성도,
도 2는 일반적인 비동기전달모드 교환기의 중계선 정합장치의 구성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ATM 셀처리부의 세부 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300 : NPC 처리부 301 : 수신 OAM 셀처리부
302 : 라우팅 처리부 303 : 수신 스위치 정합부
304 : 송신 스위치 정합부 305 : 헤더 변환부
306 : 송신 OAM 셀처리부 307 : 쉐이퍼
308 : 내부 메시지 처리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비동기전달모드 교환기의 중계선 정합장치는, ATM(Asynchronous Transfer Mode) 통신망의 망-노드간 인터페이스장치와 스위치 장치 사이에 위치하고, 물리계층 정합장치와 ATM계층 정합장치로 구성되어, 상기 물리계층 정합장치로부터 전달되는 ATM 셀을 처리하고 라우팅 태그를 부착하여 상기 스위치 장치로 전달하며, 상기 스위치 장치로부터 전달되는 ATM 셀의 라우팅 태그를 제거하고 물리계층 정합장치로 전달하는 비동기전달모드 교환기의 중계선 정합장치에 있어서,
상기 ATM계층 정합장치의 ATM 셀처리부는,
상기 스위치 장치로부터 전달되는 ATM 셀을 가상채널연결(VCC: Virtual Channel Connection) 별로 감시하여, 호 설정시 협상된 트래픽의 범위를 벗어나는 ATM 셀 간격을 보상하는 쉐이퍼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일반적인 비동기전달모드 통신망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비동기전달모드 교환기의 중계선 정합장치의 구성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ATM 셀처리부의 세부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ATM 교환기의 중계선 정합장치는 ATM 교환기에서 망-노드간의 정합 기능(NNI)을 수행한다. 즉, ATM 통신망은 가입자 정합장치(100, 105)와, 스위치 장치(101, 104), 그리고 중계선 정합장치(102, 103)로 구성된다. 가입자 정합장치(100, 105)는 가입자장치와 연결되어 ATM 셀을 주고받는다. 스위치 장치(101, 104)는 가입자 정합장치(100, 105) 혹은 중계선 정합장치(102, 103)에서 전달받은 ATM 셀을 교환한다. 중계선 정합장치(102, 103)는 ATM 교환기 사이, 또는 ATM 교환기와 전송장치 사이에 위치하면서 ATM 셀을 전달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중계선 정합장치는 물리계층 정합장치(200)와, ATM계층 정합장치(201)로 구성되며, ATM계층 정합장치는 두 개의 ATM 셀처리부(202, 203)로 구성된다.
물리계층 정합장치(200)는 두 개의 NNI(Network Node Interface)에서 전달되는 데이터로부터 ATM 셀을 추출하여 ATM계층 정합장치(201)로 전달하거나, 반대로 ATM계층 정합장치(201)에서 전달되는 ATM 셀을 전송선로에 적합하도록 프레임형태로 변환시켜서 NNI로 전달한다. 즉, ATM 셀처리부(202, 203)는 물리계층 정합장치(201)에서 155 Mbps 속도로 전달되는 ATM 셀을 처리하고, ATM 셀을 목적지로 전달하기 위해 라우팅 태그를 부착하여 스위치장치로 전달한다. 또한, 스위치장치에서 전달되는 ATM 셀의 라우팅 태그를 제거하고 물리계층 정합장치(200)로 전달한다.
도 3을 참조하면, ATM 셀처리부(202, 203)는, NPC(Network Parameter Control) 처리부(300)와, 수신 OAM(Operation Administration and Maintenance) 셀처리부(301), 라우팅 처리부(302), 수신 스위치정합부(303), 송신 스위치정합부(304), 헤더 변환부(305), 송신 OAM 셀처리부(306), 쉐이퍼(307), 그리고 내부 메시지 처리부(308)로 구성된다.
비동기전달모드에서는 가입자와 가입자 사이에서 ATM 셀을 전달하기 위해서 가상 채널 연결(Virtual Channel Connection: VCC) 혹은 가상 경로 연결(Virtual Path Connection: VPC)이 설정된다. 이러한 VPC와 VCC가 설정될 때 데이터의 최고 속도와 평균 속도 등과 같은 트래픽 형태가 규정된다. NPC 처리부(300)는 모든 VPC나 VCC가 규정된 트래픽을 준수하는 지를 감시하여 VPC나 VCC의 서비스 질을 보호하기 위한 장치이다. NPC 처리부(300)는 물리계층 정합장치(200)로부터 ATM 셀을 전달받아 협상된 트래픽을 준수하지 않는 ATM 셀을 폐기하거나 혹은 표시하여 수신 OAM 셀처리부(301)로 전달한다.
이 수신 OAM 셀처리부(301)는 NPC 처리부(300)로부터 ATM 셀을 전달받아 해당되는 OAM 셀을 추출하여 처리하고, 그 결과를 내부 메시지 처리부(308)로 전달한다. 라우팅 처리부(302)는 수신 OAM 셀처리부(301)로부터 ATM 셀을 전달받아 스위치장치의 경로 정보를 포함하는 라우팅 태그를 부착하여 수신 스위치 정합부(303)로 전달한다. 수신 스위치 정합부(303)는 라우팅 처리부(302)로부터 병렬 데이터를 전달받아 직렬 데이터 신호로 변환하여 스위치장치로 전달한다.
송신 스위치 정합부(304)는 스위치장치로부터 직렬 데이터를 전달받아 병렬 데이터로 변환하여 헤더 변환부(305)로 전달한다. 헤더 변환부(305)는 사용자 ATM 셀과 내부 메세지를 구분하여 사용자 ATM 셀은 송신 OAM 셀처리부(306)로 전달하고, 내부 메세지는 내부 메세지 처리부(308)로 전달한다. 또한, 방송용 셀에 대해서 VPI와 VCI 값을 변경하고 각각의 가상 채널에 대해서 셀 계수 기능을 수행한다.
내부 메시지 처리부(308)는 ATM 교환기의 중앙 제어부로부터 전달받은 라우팅 정보와 중계선 정합장치 내의 유지보수정보를 관리하며, 송신 OAM 셀처리부(306)에 OAM 셀을 전달한다. 송신 OAM 셀처리부(306)는 헤더 변환부(305)로부터 ATM 셀, 내부 메시지 처리부(308)로부터 OAM 셀, 그리고 수신 OAM 셀처리부(301)로부터 OAM 셀을 전달받아 쉐이퍼(307)로 전달한다.
ATM 셀들을 목적지로 전달하기 위해서는 스위치장치 등을 통과해야 한다. 스위치장치는 ATM 셀들을 동일한 목적지로 전달하기 위해서 다중화 및 역다중화 동작을 반복하기 때문에 ATM 셀 간격에 변이가 발생한다. 만약, 이러한 변이가 호 설정시 VCC 별로 협상된 속도 범위를 초과하면 대국에 위치한 NPC 처리부(300)에 의하여 해당 ATM 셀이 폐기된다. 쉐이퍼(307)는 송신 OAM 셀처리부(306)로부터 전달된 ATM 셀들을 VCC 별로 감시하여 호 설정시 협상된 범위를 넘어가는 ATM 셀 간격을 보상한다. 이러한 보상으로 인하여 대국으로 전달되는 ATM 셀들이 대국에서 폐기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ATM 교환기의 중계선 정합장치에서 쉐이퍼를 이용하여 호 설정시 협상된 트래픽의 범위를 벗어나는 ATM 셀 간격을 보상해 줌으로써, 대국에 위치한 망 트래픽 감시장치에 의한 데이터 손실을 방지하여 서비스 품질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ATM(Asynchronous Transfer Mode) 통신망의 망-노드간 인터페이스장치와 스위치 장치 사이에 위치하고, 물리계층 정합장치와 ATM계층 정합장치로 구성되어, 상기 물리계층 정합장치로부터 전달되는 ATM 셀을 처리하고 라우팅 태그를 부착하여 상기 스위치 장치로 전달하며, 상기 스위치 장치로부터 전달되는 ATM 셀의 라우팅 태그를 제거하고 물리계층 정합장치로 전달하는 비동기전달모드 교환기의 중계선 정합장치에 있어서,
    상기 ATM계층 정합장치의 ATM 셀처리부는,
    상기 스위치 장치로부터 전달되는 ATM 셀을 가상채널연결(VCC: Virtual Channel Connection) 별로 감시하여, 호 설정시 협상된 트래픽의 범위를 벗어나는 ATM 셀 간격을 보상하는 쉐이퍼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전달모드 교환기의 중계선 정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TM 셀처리부는,
    상기 물리계층 정합장치로부터 ATM 셀을 전달받아 트래픽을 감시하여, 규정된 트래픽을 준수하지 않는 ATM 셀을 폐기하거나 표시하는 NPC 처리부와,
    상기 ATM 셀에서 수신 OAM(Operation Administration and Maintenance) 셀을 추출하는 수신 OAM 셀처리부,
    상기 ATM 셀의 헤더에 라우팅 태그를 부착하는 라우팅 처리부,
    상기 라우팅 처리부로부터 병렬 데이터를 입력받아 직렬 데이터로 변환하여 스위치 장치로 출력하는 수신 스위치 정합부,
    상기 스위치 장치로부터 직렬 데이터를 입력받아 병렬 데이터로 변환하는 송신 스위치 정합부,
    상기 송신 스위치 정합부로부터 병렬 데이터를 입력받아 송신 OAM 셀과 내부 메시지로 구분하는 헤더 변환부,
    상기 헤더 변환부로부터 내부 메시지를 전달받고 라우팅 정보와 유지보수정보를 관리하는 내부 메시지 처리부, 및
    상기 송신 OAM 셀과 수신 OAM 셀을 상기 쉐이퍼로 전달하는 송신 OAM 셀처리부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전달모드 교환기의 중계선 정합장치.
KR1019980052172A 1998-12-01 1998-12-01 비동기전달모드 교환기의 중계선 정합장치 KR1002814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2172A KR100281414B1 (ko) 1998-12-01 1998-12-01 비동기전달모드 교환기의 중계선 정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2172A KR100281414B1 (ko) 1998-12-01 1998-12-01 비동기전달모드 교환기의 중계선 정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7555A KR20000037555A (ko) 2000-07-05
KR100281414B1 true KR100281414B1 (ko) 2001-02-01

Family

ID=195606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52172A KR100281414B1 (ko) 1998-12-01 1998-12-01 비동기전달모드 교환기의 중계선 정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81414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7555A (ko) 2000-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05591A (en) Subscriber network interface
WO1997032411A9 (en) Subscriber network interface and method
US7944900B2 (en) Base station modulator/demodulator and send/receive method
CA2207616A1 (en) Method for indicating traffic congestion in an atm network to an fr network
KR100281414B1 (ko) 비동기전달모드 교환기의 중계선 정합장치
KR100337648B1 (ko) 이동통신 기지국에서 에이티엠 적응층 트래픽 스위칭 방법
US7088704B1 (en) Transporting voice telephony and data via a single ATM transport link
KR100194623B1 (ko) Atm 교환기의 stm-1 중계선 정합장치
JP4293730B2 (ja) 通信システム
KR100372519B1 (ko) 복합 비동기 전송 모드 가입자 정합 장치
KR20010063768A (ko) 다중프로토콜 레이블 스위치 시스템의 가입자 정합장치
KR100221300B1 (ko) 에이티이엠교환기의 디에스1이급 가입자 정합장치
KR100194810B1 (ko) 유효비트율(abr) 서비스 제공을 위한 이더넷/비동기전달모드 연동장치
EP0903046B1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atm transmission by radio
KR970011840B1 (ko) 분산형 엑세스 네트워크 시스템
KR20000015191A (ko) 에이디에스엘 망 접속 장치의 양방향 사용자 파라미터 제어 동기전송모듈 인터페이스 장치
KR100372876B1 (ko) 에스티엠-4씨급 가입자 정합 장치 및 방법
CN100401719C (zh) 一种通信信息处理传输系统
KR0185873B1 (ko) 에이치엠가입자접면에서의멀티캐스팅셀복사장치
KR100284000B1 (ko) 비동기식 전송 모드 기반의 통신장치에 있어서 atm 셀 주소번역 및 라우팅 헤더 삽입 장치
KR0139584B1 (ko) 단일링 구조하의 에이티엠 셀 송신장치
KR0132954B1 (ko) 링구조하의 1:7 atm 셀분기/결합 다중화기
KR100230186B1 (ko) 두 개의 셀 버스를 이용한 호스트 디지탈 터미널
JP2001313644A (ja) Atmシステムおよびその電源断検出方法
WO2000033608A2 (en) Method and apparatus in a communication networ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109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