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80327B1 - Camera having a focusing mark capable of adjusting and method therefor - Google Patents

Camera having a focusing mark capable of adjusting and method theref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80327B1
KR100280327B1 KR1019980021358A KR19980021358A KR100280327B1 KR 100280327 B1 KR100280327 B1 KR 100280327B1 KR 1019980021358 A KR1019980021358 A KR 1019980021358A KR 19980021358 A KR19980021358 A KR 19980021358A KR 100280327 B1 KR100280327 B1 KR 1002803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e
mark
adjustment
focus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2135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00001214A (en
Inventor
김근섭
Original Assignee
이중구
삼성테크윈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중구, 삼성테크윈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중구
Priority to KR10199800213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80327B1/en
Publication of KR200000012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121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03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0327B1/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3/00Viewfinders; Focusing aids for cameras; Means for focusing for cameras; Autofocus systems for cameras
    • G03B13/18Focusing aids
    • G03B13/30Focusing aids indicating depth of field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18Signals indicating condition of a camera member or suitability of light
    • G03B17/20Signals indicating condition of a camera member or suitability of light visible in viewfind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utomatic Focus Adjustment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조정 가능한 초점 조절 마크를 갖는 카메라는 위치 및 방향 조정 스위치와 모드 조정 스위치가 형성되고, 동작 제어부가 위치 및 방향 조정 스위치와 모드 조정 스위치에 연결된다. 그로 인해, 동작 제어부는, 모드 조정 스위치에서 입력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제어 모드 상태를 위치 조정 모드 또는 크기 조정 모드로 판단하고, 위치 및 방향조정 스위치의 동작 상태를 판단하여 설정된 모드 상태에 따라 초점 조절 마크의 위치를 해당 방향으로 이동시키거나, 또는 크기를 확대 또는 축소시킨다. 그러므로, 뷰 파인더에 표시되는 자동 초점 마크의 위치와 크기를 촬영자 임의로 조정할 수 있으므로, 원하는 피사체를 중심으로 초점 조절이 이루어진 양질의 사진을 얻을 수 있고,사용자의 편리성을 향상시키고 사용자의 요구를 만족시킬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한다.The camera having an adjustable focus adjustment mark is provided with a position and direction adjustment switch and a mode adjustment switch, and an operation control unit is connected to the position and direction adjustment switch and the mode adjustment switch. Therefore, the operation controller determines the control mode state as the position adjustment mode or the size adjustment mode by using the signal input from the mode adjustment switch, determines the operation state of the position and direction adjustment switch, and adjusts the focus according to the set mode state. The position of the mark is moved in the corresponding direction, or the size is enlarged or reduced. Therefore, since the position and size of the auto focus mark displayed in the viewfinder can be arbitrarily adjusted by the photographer, it is possible to obtain a high-quality picture in which the focus is adjusted around a desired subject, improving user convenience and satisfying user demands.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done.

Description

조정 가능한 초점 조절 마크를 갖는 카메라 및 그 제어 방법{CAMERA HAVING A FOCUSING MARK CAPABLE OF ADJUSTING AND METHOD THEREFOR}CAMERA HAVING A FOCUSING MARK CAPABLE OF ADJUSTING AND METHOD THEREFOR}

이 발명은 카메라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 말하자면, 뷰 파인더(view finder)를 통해 비춰지는 초점 조절 마크의 상태를 변경할 수 있는 카메라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mera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to a camera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capable of changing a state of a focus adjustment mark projected through a view finder.

일반적으로 자동 카메라에는 촬영하고자 하는 피사체를 중심으로 정확하게 초점 조절이 이루어져, 양질의 촬영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카메라의 뷰 파인더(100)에 도 1에 도시한 것처럼, 초점 조절 마크(1)가 표시되어 있다.In general, an automatic camera focuses precisely on a subject to be photographed, so that a focus adjustment mark 1 is displayed in the viewfinder 100 of the camera as shown in FIG. It is.

그러므로 촬영자가 촬영하고자 하는 피사체의 중앙에 초점 조절 마크(1)가 위치할 수 있도록 하면, 카메라 내부에장착되어 있는 제어 장치의 동작에 의해 초점 조절 마크(1)가 위치한 피사체를 중심으로 자동 초점 조절을 실행하여 피사체의 촬영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Therefore, if the focus adjustment mark (1) can be positioned at the center of the subject to be photographed by the photographer, the auto focus is adjusted centering on the subject where the focus control mark (1) is located by the operation of the control device mounted inside the camera. To perform the shooting operation of the subject.

따라서 카메라의 제어 장치가 촬영을 원하는 피사체와의 초점 조절을 정확하게 실행하기 위하여, 촬영자는 카메라를 수평 방향으로 위치 이동시키면서 초점을 조절해야 한다.Therefore, in order for the control device of the camera to accurately perform focus adjustment with the subject to be photographed, the photographer must adjust the focus while moving the camera in the horizontal direction.

그러나, 카메라의 뷰 파인더(100)에 표시되어 있는 초점 조절 마크(1)가 고정되어 있고, 또한 사진을 촬영할 때피사체가 항상 화면의 중심에 위치하지 않으므로 초점 조절이 정확하게 이루어진 양질의 사진을 얻을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한다.However, since the focus adjustment mark 1 displayed in the viewfinder 100 of the camera is fixed and the subject is not always positioned at the center of the screen when taking a picture, it is possible to obtain a high-quality picture with precise focus adjustment. The case occurs.

또한, 피사체에 따라 초점 조절 마크(1)의 위치를 조정하기 위해서는 카메라 자체를 수평 방향으로만 이동시켜 촬영 구도를 변경해야 하므로, 원하는 구도로의 촬영 동작에 많은 지장이 발생하고 촬영자의 불편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In addition, in order to adjust the position of the focus control mark 1 according to the subject, the camera should be moved only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o change the shooting composition, which causes a lot of trouble in the shooting operation of the desired composition and causes inconvenience to the photographer. A problem occurs.

그러므로 발명이 이루고자하는 기술적 과제는 초점 조절을 위한 촬영 구조 변경없이 사용자가 원하는 촬영 구조로촬영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Therefore, 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invention is to enable the user to shoot with the desired shooting structure without changing the shooting structure for focus adjustment.

도 1은 종래의 초점 조절 마크를 도시한 카메라의 뷰 파인더이고,1 is a view finder of a camera showing a conventional focusing mark,

도 2a는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정 가능한 초점 조절 마크를 갖는 카메라의 블럭도이고,2A is a block diagram of a camera having an adjustable focusing ma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b는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치 및 크기 조정 스위치를 도시한 것이고,2B illustrates a position and scale switch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도 3a는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정 가능한 초점 조절 마크를 갖는 카메라 제어 방법의 동작 순서도이고,3A is an operational flowchart of a camera control method having an adjustable focus adjustment ma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b는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초점 조절 마크를 도시한 것이다.3B illustrates a focus adjustment ma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이 발명에 따른 조정 가능한 초점 조절 마크를 갖는 카메라는 모드 조정 장치에 의해 초점 조절 마크의 제어 모드를 조정하고, 초점 조절 마크 상태 조정 장치에서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제어 모드에 맞게 초점 조절 마크의 상태를 변화시키는 것이다.The camera having an adjustable focusing ma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is problem is to adjust the control mode of the focusing mark by the mode adjusting device, and to fit the control mode according to the signal input from the focusing mark state adjusting device. It is to change the state of the focusing mark.

바람직하게, 초점 조절 마크의 위치와 크기를 조정할 수 있다.Preferably, the position and size of the focusing mark can be adjusted.

초점 조절 마크 상태 조정 장치는 상하/좌우 방향에 각각 하나의 스위치가 형성된 4 방향키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focus control mark state adjusting device may be formed of four direction keys each having one switch in up, down, left and right directions.

그러면,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정 가능한 초점 조절 마크를 갖는 카메라 및 그제어 방법에 대하여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이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The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 camera having an adjustable focusing mark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implemen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 which can be described in detail.

도 2b는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치 및 크기 조정 스위치를 도시한 것이고, 도 3a는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조정 가능한 초점 조절 마크를 갖는 카메라 제어 방법의 동작 순서도이고, 도 3b는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초점조절 마크를 도시한 것이다.FIG. 2B illustrates a position and scale adjustment swit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A is an operation flowchart of a camera control method having an adjustable focus adjustment ma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B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ws a focusing ma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도 2a를 참고로 하여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조를 살펴보면, 위치 및 크기 조정 스위치(SW1) 및 모드 조정 스위치(SW2)가 설치된다.Looking at th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Figure 2a, the position and size adjustment switch (SW1) and the mode adjustment switch (SW2) is installed.

위치 및 크기 조정 스위치(SW1)는 카메라 본체(도시되지 않음)의 어느 한 부분에 위치할 수 있도록 배치되고, 도2b에 도시한 것처럼 각 방향에 해당 스위치(SW11∼SW14)가 설치된 4방향(상하 및 좌우 방향)키로 형성된다.The position and size switch SW1 is disposed so as to be positioned at any part of the camera main body (not shown), and as shown in FIG. 2B, four directions (up and down) in which the switches SW11 to SW14 are installed in each direction. And left and right directions) keys.

그리고 모드 조정 스위치(SW2)는 도 2b에 도시한 것처럼, 4방향키의 스위치(SW11∼SW14)가 설치된 중앙 부분에 설치되어, 동작 여부에 따라 제어 모드가 변환되어 위치 조정 모드나 크기 조정 모드를 설정한다.As shown in Fig. 2B, the mode adjustment switch SW2 is provided at the center portion where the switches SW11 to SW14 of the four-way key are installed, and the control mode is switch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to set the position adjustment mode or the size adjustment mode. do.

모드 조정 스위치(SW2)가 작동하여 위치 조정 모드로 제어되면, 상하/좌우 방향을 나타내는 스위치(SW1∼SW14)가모두 작동한다. 그러나, 모드 조정 스위치(SW2)가 오프 상태로 변환되면 크기 조정 모드로 변환되고, 좌우 방향을 나타내는 스위치(SW13, SW14)만 이용 가능하다.When the mode adjustment switch SW2 is operated to control the position adjustment mode, all the switches SW1 to SW14 indicating the up, down, left and right directions operate. However, when the mode adjustment switch SW2 is switched to the off state, the mode adjustment switch SW2 is switched to the scale adjustment mode, and only the switches SW13 and SW14 indicating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re available.

이때 도면을 중심으로 오른쪽에 위치한 스위치(SW14)는 확대키로 작동하고, 왼쪽에 위치한 스위치(SW13)는 축소키로 작동한다.At this time, the switch SW14 located on the right side of the drawing operates as an enlargement key, and the switch SW13 located on the left side operates as a reduction key.

또한 릴리즈 1단 스위치(SW3)가 설치되어, 피사체의 초점 조절을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는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이때, 릴리즈 1단 스위치(SW3)는 1단과 2단 스위치가 수동 동작에 의해 순차적으로 연동하여 작동하는 릴리즈 스위치중 하나이다.In addition, a release first stage switch SW3 is installed to output a control signal for automatically adjusting the focus of the subject. In this case, the first stage stage switch SW3 is sequentially operated by manual operation of the first stage and second stage switches. One of the release switches that work together.

위치 및 크기 조정 스위치(SW1), 모드 조정 스위치(SW2) 및 릴리즈 1단 스위치(SW3)에 동작 제어부(10)가 연결된다. 그로 인해, 동작 제어부(10)는 위치 및 크기 조정 스위치(SW1)와 모드 조정 스위치(SW2)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초점 조절 마크(B)의 위치와 크기를 변경하도록 제어한다.The operation control unit 10 is connected to the position and size adjustment switch SW1, the mode adjustment switch SW2, and the release first stage switch SW3. Therefore, the operation control unit 10 controls to change the position and size of the focus adjustment mark B according to the signals output from the position and size adjustment switch SW1 and the mode adjustment switch SW2.

또한 동작 제어부(10)에는 메모리(21)와 뷰 파인더부(22), 및 자동 초점 조절부(24)가 연결된다.In addition, the memory controller 21, the view finder unit 22, and the auto focus controller 24 are connected to the operation controller 10.

그로 인해, 메모리(21)는 동작 제어부(10)에서 출력되는 초점 조절 마크(B)의 크기와 위치를 저장하고, 뷰 파인더부(22)를 통해 해당 크기 및 위에 초점 조절 마크(B)가 표시된다.Therefore, the memory 21 stores the size and position of the focus adjustment mark B output from the operation control unit 10 and displays the size and the focus adjustment mark B on the view finder unit 22 through the view finder unit 22. do.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져 있는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작을 도2a와 도 2b 및 도 3a와 도 3b를 참고로 하여 설명한다.An ope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structur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A and 2B and FIGS. 3A and 3B.

먼저, 각 장치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이 공급되어 카메라의 상태가 동작 가능한 상태이면, 동작 제어부(10)는 뷰파인더부(22)를 통해 표시되는 초점 조절 마크(B)의 위치 및 크기의 상태를 조정하기 위한 제어 동작을 시작한다(S10).First, when power required for the operation of each device is supplied and the state of the camera is operable, the operation control unit 10 checks the state of the position and size of the focus adjustment mark B displayed through the viewfinder unit 22. The control operation for adjustment is started (S10).

그러므로 동작 제어부(10)는 4 방향키의 가운데 부분에 형성된 모드 조정 스위치(SW2)에서 입력되는 신호를 판독하여(S11), 모드 조정 스위치(SW2)가 온 상태를 유지하는 위치 조정 모드인지를 판단한다(S12).Therefore, the operation control unit 10 reads the signal input from the mode adjustment switch SW2 formed at the center of the four direction keys (S11), and determines whether the mode adjustment switch SW2 is in the position adjustment mode in which it remains in the on state. (S12).

판단된 모드 조정 스위치(SW2)가 사용자에 의해 온되면, 동작 제어부(10)는 제어 모드를 위치 조정 모드로 판정하여 위치 및 크기 조정 스위치(SW1)에 따라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방향을 판정한다(S13).When the determined mode adjustment switch SW2 is turned on by the user, the operation control unit 10 determines the control mode to be the position adjustment mode and determines the direction selected by the user according to the position and size adjustment switch SW1 (S13). ).

즉, 상하/좌우의 방향을 나타내는 스위치(SW11∼SW14) 중에서 작동된 스위치를 판정한 후, 그에 해당하는 방향을판정한다.That is, after determining the switch operated among the switches SW11 to SW14 indicating the up / down / left / right directions, the corresponding direction is determined.

그런 다음, 동작 제어부(10)는 4 방향키의 스위치(SW11∼SW14)중 작동된 스위치의 해당 방향(위쪽, 아래쪽, 왼쪽,및 오른쪽)으로, 초점 조절 마크(B)의 위치를 이동시키고, 뷰 파인더부(22)를 통해 변경된 위치에 초점 조절 마크(B)를 표시한다(S14,S15).Then, the operation control unit 10 moves the position of the focus adjustment mark B in the corresponding direction (up, down, left, and right) of the operated switch among the switches SW11 to SW14 of the four direction keys, and the view is The focus adjustment mark B is displayed at the changed position through the finder unit 22 (S14 and S15).

그런 다음 동작 제어부(10)는 단계 S12로 넘어가 다시 초점 조절 마크(B)의 위치 조정이 이루어졌는지를 판단한다.Then, the operation control unit 10 proceeds to step S12 to determine whether the position adjustment of the focus adjustment mark B is made again.

이때, 초점 조절 마크(B)는 도 4에 도시한 것처럼, 영상 전체의 부분(A) 중에서 네개의 위치((X1, Y1), (X2, Y2),(X3, Y3), X4, Y4))를 차지하고 있다. 따라서 4방향키의 해당 스위치(SW11∼SW14)의 동작에 따라 이미 설정된 방향으로 위치 이동하여 표시하므로, 초점 조절 마크(B)의 위치를 가변시킨다.At this time, as shown in Fig. 4, the focus adjustment mark B has four positions ((X1, Y1), (X2, Y2), (X3, Y3), X4, Y4 among the portions A of the entire image. Occupies). Therefore, since the position is shifted and displayed in the direction already set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corresponding switches SW11 to SW14 of the four-way key, the position of the focus adjustment mark B is varied.

이와 같이, 모드 조정 스위치(SW2)의 온 동작으로 제어 모드가 위치 조정 모드일 경우엔, 동작 제어부(10)는 4 방향키의 각 방향에 해당하는 스위치(SW11∼SW14)의 동작을 판단하여 선택된 방향으로 초점 조절 마크(B)의 위치를변경시킨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control mode is the position adjustment mode due to the on operation of the mode adjustment switch SW2, the operation control unit 10 determines the operation of the switches SW11 to SW14 corresponding to the respective directions of the four direction keys, and selects the selected direction. To change the position of the focus adjustment mark (B).

그러나, 위의 단계(S12) 단계에서 판단된 제어 모드가 위치 조정 모드가 아닐 경우, 즉 모드 조정 스위치(SW2)가오프되면, 동작 제어부(10)는 제어 모드를 크기 조정 모드로 판정한다(S16).However, when the control mode determined in the above step S12 is not the position adjustment mode, that is, when the mode adjustment switch SW2 is turned off, the operation control unit 10 determines the control mode as the scale mode (S16). ).

그런 다음 동작 제어부(10)는 4 방향키 중에서 왼쪽과 오른쪽 방향에 해당하는 스위치(SW13, SW14)가 사용자에 의해 작동하여 초점 조절 마크(B)의 크기 조정 동작이 이루어졌는지를 판단한다(S17).Then, the operation control unit 10 determines whether the switches SW13 and SW14 corresponding to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four direction keys are operated by the user to adjust the size of the focus adjustment mark B (S17).

해당 스위치(SW13, SW14)의 동작으로 크기 조정 동작이 이루어지면, 동작 제어부(10)는 스위치(SW13, SW14)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를 판독하여, 초점 조절 마크(B)를 크기를 확대하기 위한 오른쪽 방향키(SW14)가 작동했는지를 판단한다(S19).When the resizing operation is performed by the operations of the switches SW13 and SW14, the operation control unit 10 reads a signal input through the switches SW13 and SW14 to enlarge the focus adjustment mark B.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right arrow key SW14 is operated (S19).

그로 인해, 오른쪽 방향키(SW14)가 작동한 상태로 판단되면 동작 제어부(10)는 초점 조절 마크(B)의 크기를 이미설정된 크기만큼 확대한 후(S20), 뷰 파인더부(22)로 표시한다(S21).Therefor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right direction key SW14 is operated, the operation control unit 10 enlarges the size of the focus adjustment mark B by a predetermined size (S20), and then displays it with the view finder unit 22. (S21).

그러나, 왼쪽 방향키(SW3)가 작동한 상태로 판단되면, 동작 제어부(10)는 초점 조절 마크(B)의 크기를 이미 설정된 크기만큼 축소한 후, 뷰 파인더부(22)를 통해 표시한다(S23, S24).However,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left direction key SW3 is operated, the operation control unit 10 reduces the size of the focus adjustment mark B by a predetermined size and then displays it through the view finder unit 22 (S23). , S24).

그런 다음, 모드 조정 스위치(SW2)의 동작으로 제어 모드가 위치 조정 모드로 변환되었는지를 판단하여(S22), 위치 조정 모드로 변환된 경우엔 단계 S13으로 넘어가 초점 조절 마크(B)의 위치 조절을 위한 동작이 실행됐는지를판단한다. 반면에 위치 조정 모드로 변환되지 않을 경우엔, 초점 조절 마크(B)의 크기를 조정하기 위한 제어 상태인지를 판단한다(S17).Then,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control mode is switched to the position adjustment mode by the operation of the mode adjustment switch SW2 (S22), and when it is converted to the position adjustment mode, the flow advances to step S13 to adjust the position adjustment of the focus adjustment mark B. Determines if the operation was performed. On the other hand, if it is not converted to the position adjustment mode,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control state for adjusting the size of the focus adjustment mark (B) (S17).

그러나 위 단계 S17에서 초점 조절 마크(B)의 크기를 조정하기 위한 동작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엔, 동작 제어부(10)는 현재 초점 조절 마크(B)의 위치와 크기를 메모리(21)에 저장한다(S24).However, when the operation for adjusting the size of the focus adjustment mark B is not performed in step S17, the operation control unit 10 stores the position and size of the current focus adjustment mark B in the memory 21. (S24).

그런 다음, 동작 제어부(10)는 릴리즈 1단 스위치(SW3)의 동작을 체크하여(S25), 사용자에 의한 릴리즈 스위치의동작으로 릴리즈 1단 스위치(SW3)가 작동했는지를 판단한다(S26)Then, the operation control unit 10 checks the operation of the release first stage switch SW3 (S25), and determines whether the release first stage switch SW3 has been operated by the operation of the release switch by the user (S26).

릴리즈 1단 스위치(SW3)가 동작되면, 동작 제어부(10)는 자동 초점 조절부(23)를 동작시켜, 현재의 초점 조절 마크(B)의 상태에 따라 자동으로 초점 조절을 실행하여(S29), 피사체 촬영 동작을 실행한다.When the release first stage switch SW3 is operated, the operation control unit 10 operates the auto focus control unit 23 to automatically execute focus adjustment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current focus adjustment mark B (S29). , Perform the subject shooting operation.

그러나, 릴리즈 1단 스위치(SW3)가 작동 상태가 아니면, 동작 제어부(10)는 계속해서 피사체의 촬영 동작을 위한릴리즈 1단 스위치(SW3)의 상태를 체크한다.However, if the release first stage switch SW3 is not in the operating state, the operation control unit 10 continuously checks the state of the release first stage switch SW3 for the photographing operation of the subject.

이 때, 시간을 설정하여, 초점 조절 마크(B)의 동작 상태를 체크할 수도 있다. 즉, 설정 시간을 경과할 동안 초점 조절 마크(B)의 크기를 조정하기 위한 동작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엔, 동작 제어부(10)는 자동 초점 조절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At this time, by setting the time, the operation state of the focus adjustment mark B may be checked. That is, when no operation for adjusting the size of the focus adjustment mark B is made while the set time elapses, the operation control unit 10 may execute a control operation for controlling the auto focus operation.

이와 같이, 피사체를 촬영하기 전에 초점 조절 마크(B)의 크기 및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size and position of the focus adjustment mark B can be changed before the subject is photographed.

이와 같이 동작하는 이 발명은 원하는 구도에서 촬영하고자 하는 피사체를 중심으로 초점 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뷰 파인더에 표시되는 자동 초점 마크의 위치와 크기를 촬영자 임의로 조정할 수 있으므로, 원하는 피사체를중심으로 초점 조절이 이루어진 양질의 사진을 얻을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한다.In this way, the present invention can adjust the position and size of the auto focus mark displayed in the viewfinder arbitrarily so that the focus can be adjusted around the subject to be shot in the desired composition, so that the focus adjustment is focused on the desired subject. The effect is to get a good quality photo.

또한, 촬영 구도 변경이나 촬영 위치의 이동 없이 간단한 스위치 조작으로 원하는 구도에 맞는 초점 조절을 실행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리성을 향상시키고 사용자의 요구를 만족시킬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한다.In addition, since the focus adjustment can be performed according to the desired composition by a simple switch operation without changing the photographing composition or moving the photographing position, there is an effect of improving user convenience and satisfying the user's demand.

Claims (4)

초점 조절 마크의 제어 모드를 조정하는 모드 조정 장치와; 상기 모드 조정 장치의 동작에 따라 작동 상태가 변화되고, 초점 조절 마크의 위치와 크기를 조정할 수 있는 초점 조절마크 상태 조정 장치와; 상기 모드 조정 장치와 초점 조절 마크 상태 조정 장치에 연결되고, 상기 모드 조정 장치의 동작 상태에 따라 제어 모드를 결정하고, 결정된 제어 모드에 따라 초점 조절 마크 상태 조정 장치에서 입력되는 신호를 판독하여 초점 조절 마크의 상태를 조정하는 동작 제어부와; 상기 동작 제어부와 연결되어 있고, 동작 제어부의 제어 동작에 의해 결정되는 초점 조절 마크의 상태에 따라 초점 조절 마크를 표시하는 데이터 출력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점 조절 마크 조정 장치.A mode adjusting device for adjusting a control mode of the focus adjustment mark; A focus adjustment mark state adjustment device which changes an operation state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mode adjustment device and which can adjust the position and size of the focus adjustment mark; It is connected to the mode adjusting device and the focusing mark state adjusting device, the control mode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state of the mode adjusting device, and the focus is adjusted by reading a signal input from the focusing mark state adjusting device according to the determined control mode. An operation controller for adjusting the state of the mark; And a data output unit connected to the operation control unit and displaying a focus adjustment mark according to a state of a focus adjustment mark determined by a control operation of the operation control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초점 조절 마크 상태 조정 장치는 상하/좌우 방향에 각각 하나의 스위치가 형성된 4 방향키와, 중앙부에 형성된 모드 조정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동작 제어부는 상기 모드 조정 스위치에서 입력되는 신호가 위치 조정 모드 신호인 경우, 상하/좌우 방향에 각 형성된 스위치를 이용하여 초점 조절 마크의 위치를 조정하고, 상기 모드 조정 스위치에서 입력되는 신호가 크기 조정 모드 신호인 경우, 좌우방향에 해당하는 스위치를 이용하여 초점 조절 마크의 크기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점 조절 마크조정 장치.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focus control mark state adjusting device comprises four direction keys each having one switch in up, down, left, and right directions, and a mode adjustment switch formed in a central portion thereof, wherein the operation control unit is input from the mode adjustment switch. When the signal is a position adjustment mode signal, the position of the focus adjustment mark is adjusted by using switches formed in the up, down, left, and right directions, and when the signal input from the mode adjustment switch is the scale mode signal, A focus control mark adjustmen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adjusting the size of the focus control mark using a switch.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제어부는, 모드 조정 장치에 의해 제어 모드가 위치 조정 모드일 경우, 초점 조절 마크 상태 조정 장치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판독하여, 선택된 위치를 판정하고, 판정된 위치로 초점 조절 마크의 위치를 이동시켜 데이터 출력부로 표시하며, 모드 조정 장치에 의해 제어 모드가 크기 조정 모드인 경우, 초점 조절 마크 상태 조정 장치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판독하여, 초점 조절 마크의 크기를 확대하거나 축소시킨 후, 데이터 출력부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점 조절 마크 조정 장치.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when the control mode is the position adjustment mode by the mode adjustment device, the operation control unit reads a signal output from the focus adjustment mark state adjustment device, determines a selected position, and focuses to the determined position. The position of the adjustment mark is shifted and displayed on the data output unit. When the control mode is the scale mode by the mode adjusting device, the signal output from the focusing mark state adjusting device is read to enlarge or reduce the size of the focusing mark. And display on the data output unit.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제어 모드를 판단하는 단계와; 입력되는 신호의 상태를 판단하여, 판단된 제어 모드에 따라 초점 조절 마크의 위치와 크기를 조정하여 초점 조절 마크의 상태를 변환시키는 단계와; 초점 조절 마크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의 초점 조절 마크 조정 방법.Determining a control mode according to an input signal; Determining the state of the input signal, and adjusting the position and size of the focus adjustment mark according to the determined control mode to change the state of the focus adjustment mark; And outputting a focus adjustment mark.
KR1019980021358A 1998-06-09 1998-06-09 Camera having a focusing mark capable of adjusting and method therefor KR10028032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21358A KR100280327B1 (en) 1998-06-09 1998-06-09 Camera having a focusing mark capable of adjusting and method theref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21358A KR100280327B1 (en) 1998-06-09 1998-06-09 Camera having a focusing mark capable of adjusting and method theref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1214A KR20000001214A (en) 2000-01-15
KR100280327B1 true KR100280327B1 (en) 2001-03-02

Family

ID=195387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21358A KR100280327B1 (en) 1998-06-09 1998-06-09 Camera having a focusing mark capable of adjusting and method theref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80327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9135B1 (en) 2004-11-11 2006-05-1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Method for capturing convergent-type multi-view imag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1214A (en) 2000-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46290B2 (en) Multi-point auto-focus digital camera including electronic zoom
US8525892B2 (en) Imag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US20050195293A1 (en) Portable imaging device
JP2001159730A (en) Electronic camera
JP2001208961A (en) Camera
JP4050385B2 (en) Electronic imaging device
US6903775B2 (en) Lens unit with local control by the lens unit or remote control by a camera unit and with detecting of signal from camera unit
JPH08338942A (en) Information setting device for camera
KR100280327B1 (en) Camera having a focusing mark capable of adjusting and method therefor
JP4810452B2 (en) Imag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4399668B2 (en) Imaging device
JP4717140B2 (en) Electronic still camera apparatus and image zoom method
JPH11266387A (en) Image pickup device
JP2000235226A (en) Camera device for drawings and calligraphy
JP2000039643A (en) Electronic image pickup device
JP2000232598A (en) Electronic still camera
JP6270508B2 (en) Imaging apparatus and image display method of imaging apparatus
JPWO2003084215A1 (en) Image enlargement apparatus and method
JPH08137575A (en) Image input system
JPH07306461A (en) Camera capable of specifying trimming
JP4785502B2 (en) Digital camera,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01208960A (en) Camera
JP2003172866A (en) Optical control device, optical driving unit, optical system and photographing system
JPH08307906A (en) Lens controller for solid camera
JPH1184212A (en) Image pickup device,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nd storage medium storing program for executing processing theref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02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30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