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78506B1 - Multicore PCB Pair Board Connector - Google Patents

Multicore PCB Pair Board Connec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78506B1
KR100278506B1 KR1019980008205A KR19980008205A KR100278506B1 KR 100278506 B1 KR100278506 B1 KR 100278506B1 KR 1019980008205 A KR1019980008205 A KR 1019980008205A KR 19980008205 A KR19980008205 A KR 19980008205A KR 100278506 B1 KR100278506 B1 KR 1002785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ped connecting
connecting pin
inverted
shaped
pedes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0820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9990066675A (en
Inventor
쇼지 야마다
Original Assignee
티. 사노
제이피에스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00015198A external-priority patent/JP3380849B2/en
Application filed by 티. 사노, 제이피에스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티. 사노
Publication of KR199900666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6667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85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8506B1/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3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othe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32Printed circuits being in the same plan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2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othe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26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othe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the printed circuits being on the same board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36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other printed circuits
    • H05K3/368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other printed circuits parallel to each other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과제assignment

기판의 팽창 등에 의해 생긴 외부 응력에 의해 접속 핀이 변위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함으로써, 접속 핀의 손상 등에 의한 전기적인 접촉 불량의 발생을 회피함과 동시에, 간단하고 저렴하게 제조될 수 있는 다심 기판쌍 기판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By reliably preventing displacement of the connection pins by external stresses caused by expansion of the substrate, a multi-core substrate pair can be manufactured simply and inexpensively while avoiding the occurrence of electrical contact failure due to damage of the connection pins. It is to provide a substrate connector.

해결수단Solution

리셉터클 부재의 역 L 자형 접속 핀은, 그의 받침대형 단면 형상의 부분이 그에 대응한 단면 형상의 요 (凹) 홈에 의해 기계적으로 보지되어 있기 때문에, 기판의 팽창 등에 의한 외부 압력에 의해 역 L 자형 접속 핀이 변위되어 L 자형 및/또는 역 L 자형 핀이 손상됨으로 인해 전기적인 접촉 불량을 일으키는 것을 확실하게 회피한다. 또한, 역 L 자형 접속 핀의 받침대형 단면 부분에서의 첨두 주변측의 면도 또한 다른 수직 부분과 마찬가지로 플러그 부재의 L 자형 접속 핀과 접촉하기 때문에 접촉 핀 상호간의 전기적인 접촉 면적에 부족이 생기지 않는다.Since the inverted L-shaped connecting pin of the receptacle member is mechanically held by the groove of the cross-sectional shape corresponding to the pedestal-shaped cross-sectional shape thereof, the inverted L-shaped connecting pin is inversed by external pressure due to expansion of the substrate or the like. It is reliably avoided that the contact pins are displaced, resulting in an electrical contact failure due to damage of the L-shaped and / or reverse L-shaped pins. In addition, since the shavings on the peak periphery side in the pedestal-shaped cross-sectional portion of the inverted L-shaped connecting pin also come into contact with the L-shaped connecting pin of the plug member like other vertical portions, there is no shortage in the electrical contact area between the contact pins.

Description

다심기판쌍 기판커넥터Multicore PCB Pair Board Connector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FIELD OF THE INVENTION

본 발명은 한쌍의 프린트 기판을 직접 접속하기 위한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프린트 기판에 직접 장착하여 상호 계합 및 착탈이 자유롭게 접속하기 위한 다심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nector for directly connecting a pair of printed boards, and more particularly, to a multi-core connector that is directly mounted on a printed board for mutual engagement and detachment.

종래 기술Prior art

프린트 기판에 직접 장착하는 형태의 다심 기판쌍 기판 커넥터는, 한쌍의 프린트 기판에 각각 장착되는 제 1 및 제 2 커넥터 부재로 구성되고, 제 1 및 제 2 커넥터 부재는 상호 착탈이 자유롭게 계합하여 전기적으로 접속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 1 커넥터 부재는 플라스틱제의 프레임의 총체적으로 가늘고 긴 직방체 형상의 돌기부의 측면에 복수의 총체적으로 L 자형의 강성을 구비한 접속 핀이 배치된 구조를 지니고, 그리고 제 2 커넥터 부재는 플라스틱제의 프레임의 총체적으로 가늘고 긴 직방체 형상의 비어 있는 부분의 측면에 복수의 총체적으로 역 L 자형의 접속 핀이 배치된 구조를 지니고 있다.The multi-core board-pair board connector of a type directly mounted on a printed board is composed of first and second connector members respectively mounted on a pair of printed boards, and the first and second connector members are electrically attached and detached freely. It is configured to connect. The first connector member has a structure in which a connecting pin having a plurality of totally L-shaped rigidities is arranged on the side of the overall elongated rectangular parallelepiped portion of the plastic frame, and the second connector member is made of plastic. It has a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collectively inverted L-shaped connecting pins are arranged on the side surfaces of the frame in the shape of a generally elongated rectangular parallelepiped.

접속시, 제 1 커넥터 부재의 L 자형 접속 핀은, 강성을 구비하고 있음으로써 적당히 강성변형하여 제 2 커넥터 부재의 역 L 자형 접속 핀에 접합할 수 있다. 이에 대해, 제 2 커넥터 부재의 역 L 자형 접속 핀은 선상 또는 봉상의 도전 부재를 단순한 역 L 자형으로 만곡시킨 것이지만, 그의 프레임에의 조입을 위해 90°미만의 각도로 만곡되어 있고, 또한 소자의 장착 작업등을 할 때의 기판의 팽창에 의해 그의 수직 방향 단부 또는 수직 부분과 수평 부분의 천이 부위가 프레임의 측면으로 부터 떨어져 버리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커넥터를 접속하기 곤란하게 할 뿐만 아니라, 역 L 자형 접속 핀을 만곡시켜 접속 불량을 생기게 하기에 용이한 것이었다.At the time of connection, since the L-shaped connecting pin of the first connector member has rigidity, the L-shaped connecting pin can be properly rigidly deformed and joined to the reverse L-shaped connecting pin of the second connector member. On the other hand, the inverted L-shaped connecting pin of the second connector member is a curved inverted L-shaped linear or rod-shaped conductive member, but is bent at an angle of less than 90 ° for its insertion into the frame, The expansion of the substrate at the time of mounting work tends to cause the vertical end portion or the transition portion of the vertical portion and the horizontal portion to fall off from the side of the frame, thereby making it difficult to connect the connector, as well as inverting the L shape. It was easy to bend a connection pin and to produce a connection defect.

본 발명은, 기판의 팽창 등에 의해 생긴 외부 응력에 의해 접속 핀이 변위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함으로써, 접속 핀의 손상 등에 의한 전기적인 접촉 불량의 발생을 회피함과 아울러, 간단하고 값싸게 제조할 수 있는 다심기판쌍 기판커넥터를 제공하려고 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can reliably prevent displacement of the connection pin due to external stress caused by expansion of the substrate, thereby avoiding the occurrence of electrical contact failure due to damage of the connection pin and at the same time making it simple and inexpensive. To provide a multicore board pair substrate connector.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부재와 리셉터클 부재로 구성되는 다심기판쌍 기판커넥터의 분리상태에서의 부분 측면도로서, 리셉터클 부재는 그의 길이 방향을 따른 단면으로 도시되어 있다.1 is a partial side view in a separated state of a multicore substrate pair substrate connector composed of a plug member and a receptacle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the receptacle member is shown in cross section along its length direction.

도 2 는 도 1 의 선 Ⅱ-Ⅱ 를 따른 단면도이다.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II of FIG. 1.

도 3 은 플러그 부재와 리셉터클 부재가 접속된 상태에서의 도 2 의 선 Ⅲ-Ⅲ 을 따른 단면도이다.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I-III of FIG. 2 with the plug member and the receptacle member connected;

도 4 는 플러그 부재와 리셉터클 부재가 접속된 상태에서의 도 2 의 선 Ⅳ-Ⅳ 를 따른 단면도이다.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V-IV of FIG. 2 with the plug member and the receptacle member connected.

도 5 는 접속 핀의 변형예를 보여주는 도 4 와 마찬가지인 도면이다.5 is a view similar to FIG. 4 showing a modification of the connecting pin.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the sign

1 : 플러그 부재 2 : 리셉터클 부재1 plug member 2 receptacle member

3 : 돌기부 4 : L 자형 접속핀3 projection 4 L-shaped connecting pin

5 : 비어 있는 부분 6 : 요 (凹) 홈5: empty part 6: yaw groove

7 : 역 L 자형 접속 핀7: reverse L-shaped connecting pin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Means to solve the problem

본 발명에 의한 다심기판쌍 기판커넥터는, 한쌍의 프린트 기판에 각각 장착되는 플러그 부재 및 리셉터클 부재로 구성된 커넥터이다. 플러그 부재는, 총체적으로 가늘고 긴 직방체 형상의 돌기부를 지니고, 이러한 돌기부의 길이 방향의 적어도 한쪽의 측면에 소정의 이간 (離間) 간격으로 형성된 요 (凹) 홈에 각각 수용되고 또한 상기 플러그 부재의 각 L 자형 접속 핀의 수직 부분과 계합 및 착탈이 자유롭게 접속하기 위한 수직 부분을 각각 지니는 복수의 역 L 자형의 접속 핀을 구비하고 있고, 그리고 이러한 역 L 자형 접속 핀의 각 수평 방향 단부를 다른 한쪽의 프린트 기판의 회로에 각각 접속하여 고정한다.The multicore substrate pair substrate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nnector composed of a plug member and a receptacle member respectively attached to a pair of printed circuit boards. The plug member has projections of generally elongated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and is respectively accommodated in recess grooves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on at least one side of the projec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each of the plug members And a plurality of inverted L-shaped connecting pins each having a vertical portion of the L-shaped connecting pin and a vertical portion for engaging and detaching freely, and each horizontal end of the inverted L-shaped connecting pin is connected to the other side. It is connected and fixed to the circuit of a printed board, respectively.

리셉터클 부재의 역 L 자형 접속 핀의 수직 부분은, 적어도 그의 수직 방향 단부에서 요홈의 저면에 접면하는 측을 저변으로 하는 총체적으로 받침대형의 단면 형상을 각각 지니고 있다. 또한 리셉터클 부재의 요홈의 적어도 역 L 자형 접속 핀의 받침대형 단면 형상의 부분을 수용하는 부분은, 역 L 자형 접속 핀의 받침대형 단면 형상에 대응한 단면 형상을 지니고 있다.The vertical portions of the inverted L-shaped connecting pins of the receptacle member each have a pedestal-shaped cross-sectional shape as a whole, with the side facing the bottom face of the recess at least at its vertical end. Moreover, the part which accommodates the part of the pedestal-shaped cross-sectional shape of the reverse L-shaped connecting pin of the recess of the receptacle member has the cross-sectional shape corresponding to the pedestal-shaped cross-sectional shape of the reverse L-shaped connecting pin.

리셉터클 부재의 역 L 자형 접속 핀은, 그의 받침대형 단면 형상의 부분이 그에 대응한 단면 형상의 요홈에 의해 기계적으로 보지되어 있기 때문에, 기판의 팽창 등에 의한 외부 응력에 의해 역 L 자형 접속 핀이 변위되어 L 자형 및/또는 역 L 자형 접속 핀이 손상되어 전기적인 접촉 불량이 발생하는 것을 확실하게 회피한다. 또한, 역 L 자형 접속 핀의 받침대형 단면부분에서의 첨두 주변측의 면도 또한 다른 수직 부분과 마찬가지로 플러그 부재의 L 자형 접속핀과 접촉하기 때문에, 접촉 핀 상호간의 전기적인 접촉 면적에 부족이 생기지 않는다.Since the inverted L-shaped connecting pin of the receptacle member is mechanically held by the groove of the cross-sectional shape corresponding thereto, the inverted L-shaped connecting pin is displaced by external stress caused by the expansion of the substrate or the like. This ensures that the L-shaped and / or inverted L-shaped connecting pins are damaged and an electrical contact failure occurs. In addition, since the shavings on the peak periphery in the pedestal-shaped cross-section of the inverted L-shaped connecting pin also contact the L-shaped connecting pin of the plug member like other vertical parts, there is no shortage in the electrical contact area between the contact pins. .

본 발명에 의한 다심기판쌍 기판커넥터는 또한, 리셉터클 부재로 형성되는 요홈의 깊이를 역 L 자형 접속 핀의 받침대형 단면의 높이 또는 그 이상으로 선택하고, 그리고 요홈의 역 L 자형 접속 핀의 받침대형 단면 부분을 수용하는 부분에서의 비어 있는 부분의 측면 부위에서의 폭을, 적어도 역 L 자형 접속핀의 받침대형 단면의 저변의 길이보다도 작게 되도록 선택할 수 있음으로써, L 자형 접속핀과 역 L 자형 접속핀간의 접촉을 확실하게 행하게 함과 동시에, 역 L 자형 접속 핀이 요홈으로 부터 유리되어 버리는 것을 방지한다.The multicore substrate pair substrate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lso selects the depth of the groove formed by the receptacle member to be equal to or higher than the height of the pedestal-shaped cross section of the reverse L-shaped connecting pin, and the pedestal type of the reverse L-shaped connecting pin of the groove. The L-shaped connecting pin and the inverted L-shaped connection can be selected so that the width at the side surface portion of the empty portion in the section accommodating the cross-sectional portion can be selected to be at least smaller than the length of the bottom side of the pedestal-shaped cross section of the inverted L-shaped connecting pin. It ensures contact between the pins reliably and prevents the reverse L-shaped connecting pins from being released from the grooves.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다심기판쌍 기판커넥터는, 리셉터클 부재로 형성되는 요홈의 깊이를 역 L 자형 접속 핀의 받침대형 단면의 높이보다도 크게하고, 요홈의 역 L 자형 접속 핀의 받침대형 단면 부분을 수용하는 부분에서의 비어 있는 부분의 측면부위에서의 폭을 적어도 역 L 자형 접속 핀의 받침대형 단면의 저변의 길이보다도 작게 하며, 그리고 상기 플러그 부재의 L 자형 접속 핀의 적어도 역 L 자형 접속 핀에 접합하는 측의 부분의 폭을 요홈의 폭보다도 작게 하는 것도 가능함으로써, 각 L 자형 접속 핀을 대응하는 각 요홈내에 안내하여 L 자형 접속 핀과 역 L 자형 접속 핀간의 접촉을 보다 더 확실하게 행하게 함과 동시에, 역 L 자형 접속 핀이 요홈으로 부터 유리되어 버리는 것을 방지한다.In addition, the multicore board pair substrate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reases the depth of the groove formed by the receptacle member than the height of the pedestal-shaped cross section of the reverse L-shaped connecting pin, and accommodates the pedestal-shaped cross-sectional portion of the reverse L-shaped connecting pin of the groove. The width at the side surface of the empty portion in the portion to be made is at least smaller than the length of the bottom side of the pedestal-shaped cross section of the inverted L-shaped connecting pin, and joined to at least the inverted L-shaped connecting pin of the L-shaped connecting pin of the plug member. It is also possible to make the width of the side portion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groove, thereby guiding each L-shaped connecting pin into the corresponding groove to make contact between the L-shaped connecting pin and the inverted L-shaped connecting pin more reliably. , The reverse L-shaped connecting pin is released from the groove. prevent.

발명의 실시 형태Embodiment of the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다심기판쌍 기판커넥터는, 도 1 및 도 2 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한쪽의 프린트 기판 ( 도시되지 않음 ) 에 장착되는 플러그 부재 (1) 와, 다른 한쪽의 프린트 기판 ( 도시되지 않음 ) 에 장착되는 리셉터클 부재 (2) 로 구성된다.The multicore substrate pair substrate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g member 1 mounted on one printed circuit board (not shown), and the other printed circuit board, as shown in FIGS. 1 and 2. It consists of the receptacle member 2 attached to (not shown).

플러그 부재 (1) 는 플라스틱 등의 절연 재료로 작성되어 있고, 총체적으로 가늘고 긴 직방체 형상의 돌기부 (3) 를 구비하고 있다. 돌기부 (3) 의 길이 방향의 적어도 한쪽의 측면 ( 도시된 경우, 양측면 ) 에는 소정의 이간 간격으로 배열된 복수의 총체적으로 L 자형의 접속 핀 (4) 이 설치되어 있다. L 자형 접속 핀 (4) 은, 리셉터클 부재 (2) 를 접속시킨 경우에 그의 접속 핀과 탄성적으로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접속하도록, 적당한 탄성을 일으킬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L 자형 접속 핀 (4) 의 각 수평 방향 단부는 프린트 기판에 형성된 회로에 소프트솔더링 ( soft soldering ) 등의 수단에 의해 직접 접속되어 고정되어 있다.The plug member 1 is made of an insulating material such as plastic, and is provided with an elongated rectangular parallelepiped portion 3 as a whole. A plurality of L-shaped connecting pins 4 which are arrang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re provided on at least one side surface (in this case, both sid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rotrusion 3. When the receptacle member 2 is connected, the L-shaped connecting pin 4 is formed in a shape capable of producing proper elasticity so as to elastically contact and electrically connect with the connecting pin. Each horizontal end of the L-shaped connecting pin 4 is directly connected to and fixed to a circuit formed on a printed board by means of soft soldering or the like.

리셉터클 부재 (2) 는 플라스틱 등의 절연 재료에 의해 작성되어 있고, 플러그 부재의 돌기부 (3) 를 착탈이 자유롭게 수용하기 위한 총체적으로 가늘고 긴 직방체 형상의 비어 있는 부분 (5) 을 구비하고 있다. 비어 있는 부분 (5) 의 길이 방향의 적어도 한쪽의 측면 ( 도시된 경우, 양측면 ) 에는 L 자형 접속 핀 (4) 의 이간 간격에 따른 간격으로 형성된 복수의 요홈 (6) 이 설치되어 있다. 각 요홈 (6) 에는 역 L 자형의 접속 핀 (7) 의 수직 부분이 각각 삽입되어 장착되어 있다. 역 L 자형 접속 핀 (7) 의 수직 부분은 선상 또는 봉상의 도전성 부재를 단순한 L 자상으로 만곡시킴으로써 형성된 것이기 때문에, 전술한 L 자형 접속핀 (4) 의 형상적인 탄성에 의해 L 자형 접속핀 (4) 의 수직 부분과 상호 탄성적으로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각 역 L 자형 접속 핀 (7) 의 수평 방향 단부는, 플러그 부재 (1) 에서와 마찬가지로, 프린트 기판에 형성된 회로에 소프트 솔더링 등의 수단에 의해 직접 접속되어 고정되어 있다.The receptacle member 2 is made of an insulating material such as plastic, and has a generally thin rectangular parallelepiped hollow portion 5 for detachably receiving the protrusion 3 of the plug member. A plurality of recesses 6 formed at intervals corresponding to the spacing between the L-shaped connecting pins 4 are provided on at least one side surface (in both sides, in this cas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empty portion 5. Each recess 6 is inserted with a vertical portion of the inverted L-shaped connecting pin 7 respectively. Since the vertical portion of the inverted L-shaped connecting pin 7 is formed by bending a linear or rod-shaped conductive member into a simple L-shape, the L-shaped connecting pin 4 is formed by the shape elasticity of the L-shaped connecting pin 4 described above.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elastically with the vertical part of The horizontal end part of each inverse L-shaped connecting pin 7 is directly connected and fixed to the circuit formed in the printed circuit board by means, such as soft soldering, similarly to the plug member 1.

리셉터클 부재 (2) 의 역 L 자형 접속 핀 (7) 의 수직 부분은 각각 도 3 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방형의 단면 형상을 지니고 있지만, 그의 수직 방향 단부는, 도 4 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요홈 (6) 의 저면 (6a) 에 접면하는 측을 저변으로 하는 총체적으로 받침대형의 단면 형상을 지니고 있다. 그에 대응하여, 리셉터클 부재 (2) 의 요홈 (6) 은 전체적으로 방형의 단면 형상을 지니고 있지만 ( 도 3 참조 ), 역 L 자형 접속 핀 (7) 의 수직 부분의 받침대형 단면 부분을 수용하는 부분은, 요홈 (6) 의 저면 (6a) 에 접면하는 측을 저변으로 하는 총체적으로 받침대형의 단면 형상을 지니고 있다 ( 도 4 참조 ).The vertical portions of the inverted L-shaped connecting pins 7 of the receptacle member 2 each have an overall rectangular cross-sectional shape, as shown in FIG. 3, but the vertical end thereof is as shown in FIG. 4. Similarly, it has a pedestal-shaped cross-sectional shape as a whole, with the side facing the bottom face 6a of the groove 6 as the bottom side. Correspondingly, the recess 6 of the receptacle member 2 has an overall rectangular cross-sectional shape (see FIG. 3), but the portion accommodating the pedestal-shaped cross-sectional portion of the vertical portion of the inverted L-shaped connecting pin 7 And the bottom face 6a of the groove 6 has a pedestal-shaped cross-sectional shape as a base (see Fig. 4).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커넥터는, 전술한 바와 같이, 플러그 부재 (1) 의 L 자형 접속 핀 (4) 및 리셉터클 부재 (2) 의 역 L 자형 접속 핀 (7) 의 수평 방향 단부의 각 수평 방향 단부를 소프트 솔더링 등의 수단에 의해 대응하는 프린트 기판에 형성된 회로에 각각 접속시킨다. 리셉터클 부재 (2) 의 역 L 자형 접속 핀 (7) 에 기판의 팽창 등에 의한 외부 응력이 가해진 경우, 역 L 자형 접속 핀 (7) 의 수직 방향 단부는 그의 단면 형상을 받침대형으로 형성시키고, 또한 당해 받침대형 단면 부분을 요홈 (6) 의 받침대형 단면 부분이 기계적으로 보지하고 있음으로써, 역 L 자형 접속 핀 (7) 의 수직 부분 또는 수직 부분과 수평 부분의 천이 부위가 비어 있는 부분 (5) 의 측면으로 부터 변위 또는 유리되지 않는다. 그 때문에, 종래에서와 같은, 역 L 자형 접속 핀이 손상 또는 굴곡되어 접촉 불량을 생기게 하거나, 접속할 수 없게 되거나 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conn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has the L-shaped connecting pin 4 of the plug member 1 and the horizontal end of the reverse L-shaped connecting pin 7 of the receptacle member 2 as described above. Each horizontal end part is connected to the circuit formed in the corresponding printed board by means, such as soft soldering, respectively. When an external stress is applied to the reverse L-shaped connecting pin 7 of the receptacle member 2 due to expansion of the substrate or the like, the vertical end of the reverse L-shaped connecting pin 7 forms its cross-sectional shape in a pedestal shape, and The pedestal-shaped cross-section portion of the recess 6 is mechanically held by the pedestal-shaped cross-section portion, so that the vertical portion of the inverted L-shaped connecting pin 7 or the portion where the transition portion between the vertical portion and the horizontal portion is empty (5). It is not displaced or released from the side of the. Therefore, it is possible to reliably prevent the inverted L-shaped connecting pins from being damaged or bent as in the prior art, resulting in poor contact or becoming inaccessible.

역 L 자형 접속 핀 (7) 의 받침대형 단면형상과 요홈 (6) 의 받침대형 단면 형상간의 치수 관계는, 적어도 역 L 자형 접속 핀 (7) 을 요홈 (6) 의 펴서 늘리는 방향에 삽입시키는 것이 가능하도록 선정되어 있으면 충분하지만, 역 L 자형 접속 핀 (7) 의 받침대형 단면 부분을 요홈 (6) 의 받침대형 단면 부분에 삽입함으로써, 적어도 조립 작업중, 역 L 자형 접속 핀 (7) 을 요홈 (6) 의 소정 위치에 보지할 수 있는 바와 같은 치수 관계로 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요홈 (6) 의 역 L 자형 접속 핀 (7) 의 받침대형 단면 부분을 수용하는 부분은, 반드시 도시된 바와 같이 역 L 자형 접속 핀 (7) 의 받침대형 단면 형상으로 합치시킬 필요는 없으며, 비어 있는 부분 (5) 의 측면 부위의 요홈 (6) 의 폭 (d1) 을 적어도 역 L 자형 접속 핀의 받침대형 단면의 저변의 길이 (d2) 보다도 작게 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면 좋다는 것은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The dimens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pedestal-shaped cross-sectional shape of the inverted L-shaped connecting pin 7 and the pedestal-shaped cross-sectional shape of the recess 6 is to insert at least the inverted L-shaped connecting pin 7 in the direction of extending the recess 6. Although it is sufficient to be selected to be possible, inserting the pedestal-shaped cross-section portion of the reverse L-shaped connecting pin 7 into the pedestal-shaped cross-section portion of the groove 6 allows at least the inverted L-shaped connecting pin 7 to be grooved ( It is preferable to select by the dimensional relationship which can be hold | maintained at the predetermined position of 6). In addition, the part accommodating the pedestal-shaped cross-sectional part of the inverted L-shaped connecting pin 7 of the recess 6 does not necessarily need to coincide with the pedestal-shaped cross-sectional shape of the inverted L-shaped connecting pin 7 as shown. It should be easily understood that the width d1 of the groove 6 in the side portion of the empty portion 5 is formed to be at least smaller than the length d2 of the base of the pedestal-shaped cross section of the inverted L-shaped connecting pin. will be.

한편, 이러한 받침대형 단면 부분에서의 요홈 (6) 의 깊이 (d3) 는, 플러그 부재의 L 자형 접속 핀 (4) 이 역 L 자형 접속 핀 (7) 에 당접하는 것을 저해하는 것이 없도록, 역 L 자형 접속 핀 (7) 의 받침대형 단면의 높이 (d4) 를 넘지 않게 선정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나, 도 5 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리셉터클 부재 (2) 에 형성되는 요홈 (6) 의 깊이 (d3) 를 역 L 자형 접속 핀 (7) 의 받침대형 단면의 높이 (d4) 보다도 크게 형성하며, 그리고 플러그 부재의 L 자형 접속 핀 (4) 의 적어도 역 L 자형 접속 핀 (7) 에 접합하는 측의 부분의 폭 (d5) 을 요홈 (6) 의 폭 (d1) 보다도 작게 함으로써, 각 L 자형 접속 핀 (4) 은 대응하는 각 요홈 (6) 내에 각각 안내되어 역 L 자형 접속 핀 (7) 에 접촉함으로써, 각 접속 핀 사이를 보다 확실하게 접속시키는 것이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the depth d3 of the groove 6 in this pedestal-shaped cross-sectional portion is such that the reverse L does not prevent the L-shaped connecting pin 4 of the plug member from contacting the inverted L-shaped connecting pin 7. It should be selected not to exceed the height d4 of the pedestal-shaped cross section of the female connecting pin 7. However, as shown in FIG. 5, the depth d3 of the recess 6 formed in the receptacle member 2 is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height d4 of the pedestal-shaped cross section of the inverted L-shaped connecting pin 7. And each L-shape by making the width d5 of the portion of the plug member on the side joined to at least the inverse L-shape connecting pin 7 smaller than the width d1 of the groove 6. The connecting pins 4 are respectively guided in the corresponding recesses 6 and contact the inverted L-shaped connecting pins 7, whereby the connection pins can be more reliably connected.

본 발명에 의하면, 리셉터클 부재 (2) 의 역 L 자형 접속 핀 (7) 의 수직 방향 단부에 형성된 받침대형 단부형상의 부분이 요홈 (6) 의 그에 대응한 단면 형상에 기계적으로 보지되어 있기 때문에, 기판의 팽창 등에 의한 외부 응력에 의해 역 L 자형 접속 핀 (7) 이 변위되어 접속 핀 (4, 7) 의 손상과 전기적인 접촉 불량을 생기게 하는 것을 확실하게 회피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역 L 자형 접속 핀 (7) 의 받침대형 단면 부분에서의 첨두 주변측의 면도 또한 다른 수직 부분과 마찬가지로 플러그 부재 (1) 의 L 자형 접속 핀 (4) 과 접속하기 때문에, 상호간의 전기적인 접촉 면적에 부족이 생기는 염려가 없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pedestal-shaped end portion formed at the vertical end of the inverted L-shaped connecting pin 7 of the receptacle member 2 is mechanically held in the cross-sectional shape corresponding to that of the recess 6, It is possible to reliably avoid that the inverted L-shaped connecting pin 7 is displaced by external stress caused by the expansion of the substrate, resulting in damage of the connecting pins 4 and 7 and poor electrical contact. In the pedestal-shaped cross-section of the pedestal-shaped connecting pin 7, the shavings on the peak periphery are also connected to the L-shaped connecting pins 4 of the plug member 1 like the other vertical portions, so that the electrical contact area between them is insufficient. There is no worry of this happening.

또한, 리셉터클 부재 (2) 에 형성되는 요홈 (6) 의 깊이를 역 L 자형 접속 핀 (7) 의 받침대형 단면의 높이 또는 그 이하로 선정하며, 그리고 요홈 (6) 의 역 L 자형 접속 핀의 받침대형 단면 부분을 수용하는 부분에서의 비어 있는 부분의 측면 부위에서의 폭을, 적어도 역 L 자형 접속 핀 (7) 의 받침대형 단면의 저변의 길이보다 작게 되도록 선정함으로써, L 자형 접속 핀 (4) 과 역 L 자형 접속 핀 (7) 사이의 접촉을 확실하게 행함과 동시에, 역 L 자형 접속 핀 (7) 이 요홈 (6) 으로 부터 변위 또는 유리되어 버리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Further, the depth of the groove 6 formed in the receptacle member 2 is selected to be equal to or less than the height of the pedestal-shaped cross section of the reverse L-shaped connecting pin 7, and the depth of the reverse L-shaped connecting pin of the groove 6 is also determined. The L-shaped connecting pin 4 is selected by selecting the width at the side portion of the empty portion in the portion accommodating the pedestal-shaped cross section so as to be at least smaller than the length of the bottom side of the pedestal-shaped cross-section of the inverse L-shaped connecting pin 7. ) And the reverse L-shaped connecting pin 7 can be reliably performed, and the reverse L-shaped connecting pin 7 can be reliably prevented from being displaced or released from the groove 6.

더우기, 리셉터클 부재 (2) 에 형성되는 요홈 (6) 의 깊이를 역 L 자형 접속 핀 (7) 의 받침대형 단면의 높이보다도 크게하고, 요홈 (6) 의 역 L 자형 접속 핀의 받침대형 단면 부분을 수용하는 부분에서의 비어 있는 부분의 측면 부위에서의 폭을 적어도 역 L 자형 접속 핀의 받침대형 단면의 저변의 길이보다도 작게 하며, 그리고 플러그 부재 (1) 의 L 자형 접속 핀 (4) 의 적어도 역 L 자형 접속 핀에 접합하는 측의 부분의 폭을 요홈 (6) 의 폭보다 작게 함으로써, 각 L 자형 접속 핀 (4) 을 대응하는 각 요홈 (6) 내에 안내하여 역 L 자형 접속 핀 (7) 에 보다 더 확실하게 접촉시키는 것이 가능함과 동시에, 마찬가지로 역 L 자형 접속 핀 (7) 이 요홈 (6) 으로 부터 변위 또는 유리되어 버리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Furthermore, the depth of the recess 6 formed in the receptacle member 2 is made larger than the height of the pedestal-shaped cross section of the inverted L-shaped connecting pin 7, and the pedestal-shaped cross-sectional part of the inverted L-shaped connecting pin of the recess 6 is formed. The width at the side surface of the empty portion in the portion accommodating the gap is at least smaller than the length of the bottom side of the pedestal-shaped cross section of the inverted L-shaped connecting pin, and at least of the L-shaped connecting pin 4 of the plug member 1. By making the width of the portion on the side joined to the inverted L-shaped connecting pin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recess 6, each L-shaped connecting pin 4 is guided into the corresponding recess 6 and the inverted L-shaped connecting pin 7 It is possible to make more reliable contact with), and at the same time, it is assured that the reverse L-shaped connecting pin 7 is displaced or released from the groove 6. Underground is possible.

Claims (3)

총체적으로 가늘고 긴 직방체 형상의 돌기부를 지니고, 당해 돌기부의 길이 방향의 적어도 한쪽의 측면에 소정의 이간 간격으로 배열된 복수의 탄성을 지니는 총체적으로 L 자형의 접속 핀을 구비하며, 그리고 당해 L 자형 접속 핀의 각 수평 방향 단부를 프린트 기판의 회로에 각각 접속하여 고정하는 플러그 부재와,An overall L-shaped connecting pin having a generally elongated rectangular parallelepiped, having a plurality of elastically arranged on at least one side surfac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rotrusion at a predetermined spacing, and the L-shaped connecting A plug member which connects and fixes each horizontal end of the pin to the circuit of the printed board, respectively; 상기 플러그 부재의 돌기부를 착탈이 자유롭게 수용하는 비어 있는 부분을 지니고, 상기 비어 있는 부분의 길이 방향의 적어도 한쪽의 측면에 소정의 이간 간격으로 형성된 요홈에 각각 수용되며 상기 플러그 부재의 각 L 자형 접속 핀의 수직 부분과 계합 및 착탈이 자유롭게 접속하기 위한 수직 부분을 각각 지니는 복수의 역 L 자형의 접속 핀을 구비하고, 당해 역 L 자형 접속 핀의 각 수평 방향 단부를 다른 프린트 기판의 회로에 각각 접속하여 고정하는 리셉터클 부재Each L-shaped connecting pin of the plug member has an empty portion for detachably accommodating the protrusion of the plug member, and is respectively accommodated in a groove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on at least one side surfac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empty portion. A plurality of inverted L-shaped connecting pins each having a vertical portion for engaging and detaching freely with a vertical portion of the insulator, and connecting each horizontal end of the inverted L-shaped connecting pin to a circuit of another printed board, respectively. Receptacle member to fix 로 구성된 다심기판쌍 기판커넥터에 있어서,In the multi-core substrate pair substrate connector, 상기 리셉터클 부재의 역 L 자형 접속 핀의 수직 부분은 적어도 그의 수직 방향 단부에서 요홈의 저면에 접면하는 측을 저변으로 하는 총체적으로 받침대형의 단면 형상을 각각 지니며, 상기 리셉터클 부재의 요홈의 적어도 역 L 자형 접속 핀의 받침대형 단면 부분을 수용하는 부분은 당해 받침대형 단면 형상에 대응한 단면 형상을 지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The vertical portions of the inverted L-shaped connecting pins of the receptacle member each have a generally pedestal-shaped cross-sectional shape, with the base on the side facing the bottom of the groove at its vertical end at least, and at least the reverse of the grooves of the receptacle member. A portion for accommodating the pedestal-shaped cross-sectional portion of the L-shaped connecting pin has a cross-sectional shape corresponding to the pedestal-shaped cross-sectional shap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셉터클 부재에 형성되는 요홈의 깊이는 역 L 자형 접속 핀의 받침대형 단면의 높이를 넘지 않도록 선정되며, 요홈의 역 L 자형 접속 핀의 받침대형 단면 부분을 수용하는 부분에서의 비어 있는 부분의 측면 부위에서의 폭은 적어도 역 L 자형 접속 핀의 받침대형 단면의 저변의 길이보다도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The recess of claim 1, wherein the depth of the recess formed in the receptacle member is selected so as not to exceed the height of the pedestal-shaped cross section of the inverted L-shaped connecting pin, and in the portion accommodating the pedestal-shaped cross-section portion of the inverted L-shaped connecting pin of the recess. The width | variety in the side part part of the empty part of the connector is at least smaller than the length of the base of the base cross section of an inverted L-shaped connecting pi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셉터클 부재에 형성되는 요홈의 깊이는 역 L 자형 접속 핀의 받침대형 단면의 높이보다도 크게 하며, 요홈의 역 L 자형 접속 핀의 받침대형 단면 부분을 수용하는 부분에서의 비어 있는 부분의 측면 부위에서의 폭은 적어도 역 L 자형 접속 핀의 받침대형 단면의 저변의 길이보다도 작게 하고, 상기 플러그 부재의 L 자형 접속 핀의 적어도 역 L 자형 접속 핀에 접합하는 측의 부분의 폭은 요홈의 폭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2. The via of claim 1, wherein the depth of the groove formed in the receptacle member is greater than the height of the pedestal-shaped cross section of the inverted L-shaped connecting pin, and the via in the portion accommodating the pedestal-shaped cross-sectional portion of the inverted L-shaped connecting pin of the groove. The width | variety in the side part part of a part which is present is made at least smaller than the length of the base of the base cross section of an inverted L-shaped connecting pin, and the width of the part of the side joined to at least the inverted L-shaped connecting pin of the L-shaped connecting pin of the said plug member. Is a connector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groove.
KR1019980008205A 1998-01-05 1998-03-12 Multicore PCB Pair Board Connector KR100278506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00015198A JP3380849B2 (en) 1997-02-06 1998-01-05 Processing rate calculation method
JP151/1998 1998-01-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6675A KR19990066675A (en) 1999-08-16
KR100278506B1 true KR100278506B1 (en) 2001-01-15

Family

ID=114660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08205A KR100278506B1 (en) 1998-01-05 1998-03-12 Multicore PCB Pair Board Connector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278506B1 (en)
TW (1) TW407386B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81991B2 (en) * 2012-08-07 2015-09-24 京セラコネクタプロダクツ株式会社 connector
KR101488266B1 (en) 2013-08-06 2015-01-30 주식회사 유니드 Matable electrical interconnection structure for electrical interconnection, connector, semiconductor package assembly, and electrical device having the same
KR101689547B1 (en) * 2015-01-22 2016-12-26 주식회사 유니드 Method for manufacturing electrical interconnection structure
KR101689546B1 (en) * 2015-01-22 2016-12-26 주식회사 유니드 Matable electrical interconnection structure and electrical device hav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6675A (en) 1999-08-16
TW407386B (en) 2000-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7973B1 (en) Fine pitch high density high-speed orthogonal card edge connector
US3466591A (en) Electrical connector for printed-circuit boards
US5961347A (en) Micro connector
JP4592462B2 (en) Board connector
KR950012475B1 (en) Board edge connector to contain and keep the edge of pcb horizontally thereion and method of making same
KR20180077069A (en) Electric connector
JP2007128876A (en) Electric connector
US3631380A (en) Universal circuit board connector
KR100621392B1 (en) Connector small in size and simple in structure
KR890015459A (en) Flexible circuit board with coupler
JP4102747B2 (en) connector
KR960016024A (en) Surface Mount Connectors and Their Electrical Contacts
JP4623735B2 (en) connector
KR100278506B1 (en) Multicore PCB Pair Board Connector
KR101049007B1 (en) connector
US3894784A (en) Plug connector for a printed circuit board
JP4613128B2 (en) connector
JP4758465B2 (en) Card connector
KR950024377A (en) Electrical Connectors for Circuit Boards
KR940004436Y1 (en) Multipole connector
KR100303412B1 (en) Printed board connector
JP4498890B2 (en) Pair of header contacts and header connector using the same
JP3050420U (en) Multi-core board-to-board connector
JP2000100501A (en) Floating connector
JP2005123163A (en) Electrical conn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