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77440B1 - 음영지역의 cdma이동통신 서비스 방법 및 그를 위한 주파수변환장치 - Google Patents

음영지역의 cdma이동통신 서비스 방법 및 그를 위한 주파수변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77440B1
KR100277440B1 KR1019980043707A KR19980043707A KR100277440B1 KR 100277440 B1 KR100277440 B1 KR 100277440B1 KR 1019980043707 A KR1019980043707 A KR 1019980043707A KR 19980043707 A KR19980043707 A KR 19980043707A KR 100277440 B1 KR100277440 B1 KR 1002774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mission frequency
area
mobile communication
signal
communication ser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437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46199A (ko
Inventor
신일영
Original Assignee
이철호
도원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철호, 도원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철호
Priority to KR10199800437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77440B1/ko
Publication of KR199900461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461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74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7440B1/ko

Links

Landscapes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영지역의 CDMA이동통신 서비스 제공방법 및 그를 위한 주파수 변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서비스지역으로부터 음영지역으로 정보를 송신하는 순방향링크단계; 및 그 반대의 역방향링크단계를 포함한다. 순방향링크단계는 기지국에서 전송하고자 하는 정보를 CDMA 이동통신 서비스 대역내의 F1 및 F2를 이용하여 송신하는 단계; 서비스지역 내에서 F1 및 F2를 수신하여 CDMA이동통신 서비스 대역내의 F3의 수직편파 및 수평편파로 변환하여 무선송출하는 단계; 음영지역내에서 F3의 수직편파 및 수평편파 신호를 F1 및 F2 신호로 변환하는 단계; 및 F1 및 F2 신호를 이용하여 음영지역내의 가입자에게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구비한다. 역방향링크단계는 음영지역의 가입자 단말기들로부터 전송하고자 하는 정보를 서비스 대역내의 F4 및 F5를 이용하여 수신하는 단계; F4 및 F5를 대역내의 F6의 수직편파 및 수평편파신호로 변환하여 무선송출하는 단계; 및 F6의 수평편파 및 수직편파 신호를 수신하여, F4 및 F5 신호로 변환하여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하나의 FA로 2FA 기지국으로부터의 송출되는 신호를 중계할 수 있어 FA를 절약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또한 저렴한 비용으로 보다 많은 음영지역의 가입자 단말기들에게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한다.

Description

음영지역의 CDMA이동통신 서비스 방법 및 그를 위한 주파수 변환장치
본 발명은 이동통신 서비스를 위한 주파수 변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음영지역(RF null area)에서의 CDMA이동통신 서비스 방법 및 그를 위한 주파수변환장치에 관한 것이다.
CDMA이동통신의 통신 트래픽(traffic) 측면에서 볼 때,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체 면적의 5 %에 통신 트래픽의 85% 정도가 집중되고, 나머지 95%의 면적에는 15% 정도의 트래픽이 일어날 뿐이다. 따라서 트래픽은 적지만 커버리지 측면에서 중요한 고속도로, 국도 및 개활지 등의 주요 지역에 대해 저비용으로 디지털 이동전화의 커버리지를 확장하기 위해서는 설치 및 유지보수 비용이 많이 드는 기지국 대신 중계기를 사용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그러나 기존의 중계기는 일반적으로 빌딩, 숲, 터널, 지하공간 또는 특정 장애물에 의해 생겨나는 RF Null 지역을 cover 하기 위해 사용된다. 즉, 지상과 지하가 뚜렷이 분리된 지하공간이나 대형빌딩 등의 옥내공간에서 주로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지상중계 또는 전파로부터 개방(open)된 지역, 즉 고속도로, 국도 및 개활지 등에 사용되는 기존의 중계기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존의 중계기를 옥외에 설치할 경우 F1(1840 - 1850 MHz), F2(1750 - 1760 MHz)의 주파수를 중계기의 링크 안테나(A) 및 커버리지 안테나(B)에 동일하게 사용된다. 이렇게 할 경우, 중계기에 의해 증폭된 신호의 피드백(feedback) 현상 즉 Spill Over 현상으로 인해 사용에 많은 제한이 따른다.
이러한 현상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중계기의 입력단(A)에서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가 커버리지 안테나(B)로부터 출력된 신호가 루프백되는 신호에 비해 15dB 이상 커야 한다. 만일 중계기의 이득(gain)이 80dB 이고, 링크안테나의 이득이 15dB일 경우 중계기 링크안테나(A)의 수신부와 커버리지 안테나(B)의 Isolation은 80+15+15=110dB 이상으로 되어야 한다.
이러한 조건은 옥외환경에서는 매우 어려운 상황이므로 이를 극복하기 위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Fiber Optic 이나 Trunk cable를 이용한 지상중계 방식을 사용하고 있으나 설치 및 코딩(coding)의 한계로 인해 극히 제한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T1/E1 링크를 이용한 지상중계 방식의 경우, 이동전화 시스템이 AMPS와 같은 아날로그 시스템이거나 TDMA 방식을 사용하는 디지털 시스템에 한정적으로 응용이 가능하지만, CDMA의 경우에는 대역폭의 제한에 의해 응용이 거의 불가능하다. 그리고 Fiber Optic Cable을 이용하는 경우는 AMPS, TDMA, CDMA 등 모든 방식에 적용이 가능하지만 기지국과 중계기 사이에 각각 광케이블을 설치 하여야 한다. 즉 주파수에 따라 Optic Cable의 파장을 고려한 광케이블을 생산 및 설치하여야 하고 도심구간에서는 케이블 설치에 따른 설비 또는 관리비용이나 도시미관 및 환경을 고려하여 관련 공공기관 허가를 받아야 하는 등의 번거로움으로 인해 대부분의 이동통신 사업자들이 채택을 기피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상술한 wire link를 대체할 수 있는 wireless link를 이용한 중계응용 장치가 필요하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음영지역(RF null area)에서의 CDMA이동통신 가입자 단말기에게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음영지역 해소를 위한 CDMA이동통신 서비스 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상기 음영지역에서의 CDMA이동통신 서비스 제공을 위해, 개활지역 및 고속도로 등에서 설치가능한 옥외형 주파수변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지상중계 또는 전파로부터 개방(open)된 지역, 즉 고속도로, 국도 및 개활지 등에 사용되는 기존의 중계기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음영지역 해소를 위해 Fiber Optic 이나 Trunk cable를 이용한 지상중계 방식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중계기를 중심으로 한 CDMA이동통신 망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국내 개인휴대통신(PCS) 사업자의 채널배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기지국, 중계기(DU, RU) 및 단말기 간의 주파수 변환관계를 도시한 것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0 : 서비스 지역, 310 : 기지국
320 : 옥외형 주파수 변환장치의 DU
322 : 태양열 전지 및 배터리
330 : 옥외형 주파수 변환장치
340 : 옥외형 주파수 변환장치의 RU, 350 : 음영지역
360, 365 : 음영지역의 가입자 단말기, 370 : 감시센타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음영지역해소를 위한 CDMA이동통신 서비스 제공방법은, 기지국이 설치되어 서비스되고 있는 지역(서비스지역)으로부터 벗어난, 기지국이 설치되어 있지 않는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하는 지역(음영지역)으로의 CDMA이동통신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지역으로부터 음영지역으로 정보를 송신하는 순방향링크단계; 및 상기 음영지역으로부터 상기 서비스 지역으로 정보를 송신하는 역방향링크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순방향링크단계는, 상기 서비스지역내의 기지국에서 전송하고자 하는 정보를 소정의 CDMA이동통신 서비스 대역내의 제1송신주파수 및 제2송신주파수를 이용하여 송신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지역 내에서 상기 제1송신주파수 및 제2송신주파수를 수신하여 CDMA이동통신 서비스 대역내의 제3송신주파수로 변환하여 무선송출하되, 상기 제1송신주파수 및 제2송신주파수를 하나는 상기 제3송신주파수의 수직편파로 변환하고 다른 하나는 상기 제3송신주파수의 수평편파로 변환하여 무선송출하는 단계; 상기 음영지역내에서 상기 제3송신주파수의 수직편파 및 수평편파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변환단계의 역으로 상기 수직편파 신호 및 수평편파 신호를 제1송신주파수 및 제2송신주파수 신호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변환된 제1송신주파수 및 제2송신주파수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음영지역내의 가입자에게 CDMA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구비한다.
상기 역방향링크단계는, 상기 음영지역내의 하나의 가입자 단말기로부터 전송하고자 하는 정보를 소정의 이동통신 서비스 대역내의 제4송신주파수를 이용하여 수신하고, 상기 음영지역내의 다른 하나의 가입자 단말기로부터 전송하고자하는 정보를 소정의 이동통신 서비스 대역내의 제5송신주파수를 이용하여 수신하는 단계; 상기 음영지역 내에서 수신된 상기 제4송신주파수 및 제5송신주파수를 이동통신 서비스 대역내의 제6송신주파수로 변환하여 무선송출하되, 하나는 상기 제6송신주파수의 수직편파신호로 변환하고 다른 하나는 상기 제6송신주파수의 수평편파신호로 변환하여 무선송출하는 단계; 및 상기 서비스지역내에서 상기 제6송신주파수의 수평편파 및 수직편파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변환단계의 역으로 하나는 제4송신주파수 신호로 변환하고 다른 하나는 제5송신주파수 신호로 변환하여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구비한다.
상기 다른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옥외형 주파수 변환장치는, 기지국이 설치되어 서비스되고 있는 지역(서비스지역)으로부터 벗어난, 기지국이 설치되어 있지 않는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하는 지역(음영지역)으로의 CDMA이동통신 서비스 제공을 위한 주파수 변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지역내에 위치하며, 상기 서비스 지역내의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된 소정의 CDMA이동통신 서비스 대역내의 제1송신주파수 및 제2송신주파수를 수신하여 CDMA이동통신 서비스 대역내의 제3송신주파수의 수평편파 및 수직편파신호로 각각 변환하여 무선송출하고, 하기 RU로부터 송신된 CDMA이동통신 서비스 대역내의 제6송신주파수의 수직편파 및 수평편파 신호를 CDMA이동통신 서비스 대역내의 제4송신주파수 신호 및 제5송신주파수신호로 각각 변환하여 상기 서비스 지역내의 기지국으로 전달하는 DU; 및 상기 음영지역내에 위치하며, 상기 DU로부터 송출된 제3송신주파수의 수직편파 및 수평편파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제1송신주파수 및 제2송신주파수 신호로 각각 변환하여 음영지역 가입자 단말기들에게 전달하고, 음영지역 가입자 단말기들로부터 수신한 제4송신주파수 신호 및 제5송신주파수 신호를 제6송신주파수의 수직편판 및 수평편파 신호로 각각 변환하여 상기 DU로 무선송출하는 하나 이상의 RU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중계기를 중심으로 한 CDMA 이동통신 망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으로서, 기지국(310), 옥외형 주파수변환장치(330) 및 음영지역의 가입자 단말기(360)를 포함하고, 부가적으로 상기 옥외형 주파수변환장치(330)의 고장여부를 감시하는 감시센타(370)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옥외형 주파수변환장치(Frequency Block Translator: FBC)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FA를 제공하는 2 FA 기지국(BTS, 310)의 서비스 범위(서비스 지역, 300)내에 위치하는 DU(Donor Unit, 320)와 확장하고자하는 서비스 지역(음영지역, 350)의 중심에 위치하는 RU(Repeater Unit, 340)로 구성된다.
기지국이 설치되어 있는 서비스지역(300)으로부터 기지국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음영지역(350)으로 전파를 통해 정보를 송신하는 연결을 순방향링크(forward link)라 하고, 반대로 음영지역(350)으로부터 서비스지역(300)으로의 연결을 역방향링크(backward link)라 부르기로 한다.
상기 기지국은 2개의 FA를 제공하는 2 FA 기지국이다.
상기 DU(310)는 순방향링크인 경우 상기 서비스지역(300)내의 2 FA 기지국(310)으로부터 송신된 CDMA 이동통신 서비스 대역내의 제1송신주파수(F1) 및 제2송신주파수(F2)를 수신하여 CDMA이동통신 서비스 대역내의 제3송신주파수(F3)로 변환하여 무선송출한다. 이 때, 상기 제1송신주파수(F1)은 상기 제3송신주파수(F3)의 수직편파 또는 수평편파 신호로 변환하여 무선송출하고, 상기 제2송신주파수(F2)는 상기 제3송신주파수(F3)의 상기 수직편파 또는 수평편파 중 다른 하나의 편파 신호로 변환하여 무선송출한다. 즉, F1이 F3의 수평편파로 변환되면, F2는 F3의 수직편파로 변환된다. 또는 F1이 F3의 수직편파이면, F2는 F3의 수평편파로 변환된다. 따라서 DU에는 수평편파신호 및 수직편파신호를 무선송출하는 수평편파 발생용 안테나 및 수직편파 발생용 안테나를 구비한다.
그리고 역방향링크인 경우에는 상기 RU(340)로부터 수신된 CDMA이동통신 서비스 대역내의 제6송신주파수(F6)의 수직편파 및 수평편파 신호를 CDMA 이동통신 서비스 대역내의 제4송신주파수(F4) 신호 및 제5송신주파수(F5)신호로 각각 변환하여 상기 서비스지역(300)내의 기지국(310)으로 전달한다. 상기 F6의 수직편파 신호는 F4 신호로, F6의 수평편파 신호는 F5 신호로의 변환은 상기 RU에서의 변환의 역과정에 의해 결정된다.
또한 상기 DU(310)는 저전력으로 동작가능하며, 따라서 전원공급장치로 태양열 전지(solar cel, 322)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태양열 전지에서 생성된 전기 에너지를 저장할 수 있는 배터리(battery, 322)를 함께 사용하면 더욱 효과적이다.
상기 RU(340)는 순방향링크인 경우 상기 DU(320)로부터 송출된 제3송신주파수(F3)의 수직편판 및 수평편파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제1송신주파수(F1) 및 제2송신주파수신호로 변환하여 음영지역 가입자 단말기들(360, 365)에 전달한다. 역방향링크인 경우에는 음영지역 가입자 단말기들(360, 365)로부터 수신한 제4송신주파수(F4) 신호 및 제5송신주파수 신호를 제6송신주파수(F6)의 수직편파 및 수평편파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DU(320)로 무선송출한다. 따라서 상기 RU(340)에는 수평편파신호 및 수직편파신호를 무선송출하는 수평편파 발생용 안테나 및 수직편파 발생용 안테나를 구비한다. 상기 RU(340)는 도 3에서는 한 개만 도시되어 있지만 필요에 따라 복수의 RU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내지 제6송신주파수는 CDMA이동통신 사업자에게 할당된 주파수 대역 내의 송신 주파수를 말한다. 그리고 제1송신주파수 및 제2송신주파수는 동일한 FA에 속하고, 제4송신주파수(F4) 및 제5송신주파수(F5)도 동일한 FA에 속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3송신주파수(F3) 및 제6송신주파수(F6)도 동일한 FA에 속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하나의 FA를 사용하여 2FA 기지국에서 송출되는 신호를 중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CDMA 이동통신 주파수 대역은 PCS주파수 대역 뿐만 아니라 셀룰라 주파수 대역도 포함한다.
도 4는 국내 개인휴대통신(PCS) 사업자의 채널배치를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표 1 및 표 2는 상기 채널별 주파수를 도시한 것으로서, 표 1은 이동국 송신(기지국 수신) 주파수를 나타내고, 표 2는 기지국 송신(이동국 수신) 주파수를 나타낸 것이다. CDMA중심주파수는 1.25MHz간격으로 할당되어 있다.
이동국 송신(기지국 수신) 주파수
FA번호 중심주파수[MHz] FA번호 중심주파수[MHz] FA번호 중심주파수[MHz]
1 1751.25 8 1761.25 15 1771.25
2 1752.50 9 1762.50 16 1772.50
3 1753.75 10 1763.75 17 1773.75
4 1755.00 11 1765.00 18 1775.00
5 1756.25 12 1766.25 19 1776.25
6 1757.50 13 1767.50 20 1777.50
7 1758.75 14 1768.75 21 1778.75
기지국 송신(이동국 수신) 주파수
FA번호 중심주파수[MHz] FA번호 중심주파수[MHz] FA번호 중심주파수[MHz]
1 1841.25 8 1851.25 15 1861.25
2 1842.50 9 1852.50 16 1862.50
3 1843.75 10 1853.75 17 1863.75
4 1845.00 11 1855.00 18 1865.00
5 1846.25 12 1856.25 19 1866.25
6 1847.50 13 1857.50 20 1867.50
7 1848.75 14 1858.75 21 1868.75
한편, 상기 구성에 의거하여 음영지역 해소를 위한 CDMA 이동통신 서비스 제공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순방향링크인 경우, 서비스지역(300)에 위치한 2FA 기지국(BT, 310)이 두 개의 RF신호 F1 및 F2를 송출하면, 상기 RF신호 F1 및 F2는 상기 서비스 지역(300)에 위치한 DU(320)에 의해 수신되어 F1 및 F2신호로 분리되어 증폭된다. 그리고 상기 F1 신호 및 F2 신호는 제3송신주파수(F3) 신호로 변환된다. 이 때, 상기 F1은 수직편파 안테나에 의해 F3의 수직편파신호로, F2는 수평편파 안테나에 의해 F3의 수평편파신호로 변환된다. 그리고 나서 상기 DU(320)에 의해 F3의 수직편파 및 수평편파신호로 변환된 신호는 음영지역(350)에 위치하고 있는 RU(340)에 의해 수신된다. 상기 RU(340)에서는 상기 F3의 수직편파 및 수평편파 신호를 RF신호 F1 및 F2로 변환하여 음영지역의 가입자 단말기들(360, 365)로 각각 전달한다.
그리고 역방향 링크인 경우에는, 상기 음영지역(350)내의 가입자 단말기(360)로부터 전송하고자 하는 RF신호 F4 및 F5는 상기 음영지역(350) 내에 위치하고 있는 RU(340)에 의해 수신된다. 이 신호들은 각각 증폭되어 수직편파 안테나 및 수평편파 안테나에 의해 F6의 수직편파 및 수평편파신호로 주파수변환된다. 상기 주파수 변환된 F6의 수직편파 및 수평편파 신호는 RU(340)에 의해 상기 서비스 지역(300) 내에 있는 DU(320)으로 무선송출된다. 그 다음에 상기 DU(320)는 상기 RU(340)에 의해 무선송출된 F6의 수직편파 및 수평편파 신호를 수신하여 F4 및 F5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서비스지역내의 기지국(310)으로 전달한다.
이상에서 기지국, 중계기(DU, RU) 및 단말기 간의 주파수 변환관계를 도시하면 도 5와 같다.
한편, 옥외형 주파수 변환장치(330)의 DU(320) 및 RU(340)의 고장을 검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상기 DU(320)는 지형적인 조건, 예를 들어 높은 산 꼭대기에 설치되어 있음으로 인해 감시센타(370)와 유선으로 연결되어 있지 못할 경우가 있다. 먼저, 상기 DU(320)의 순방향링크 고장 검출은 통상적인 방법으로 가능하다. 즉, 기지국(310)에서 출력되는 CDMA파형 신호가 DU(320)를 거쳐 음영지역의 RU(340)에 도달될 때, 상기 RU(340)에 도달된 파형신호를 검사한다. 상기 검사결과 고장으로 판단되면, 즉 상기 도달된 파형이 없다든지 크게 왜곡되어 있으면, 상기 DU(320)가 고장임을 나타내는 정보를 감시센타(370)로 전송하여 순방향링크에 대한 DU의 고장을 검출한다.
그리고 상기 DU(320)의 역방향링크 고장검출은 우선 상기 DU에서 역방향 링크에 대한 DU고장을 자체적으로 검출한다. 그리고 나서 역방향링크 고장이 검출되면, 순방향 링크를 단절시킨다. 그러면 상술한 순방향 링크 DU고장 검출과 같은 방법으로 DU고장이 검출된다. 즉, 상기 음영지역(350)의 RU(340)에서 순방향링크의 단절을 검출하여 DU고장 정보를 감시센타(370)로 전송하여 DU 고장을 검출한다.
본 발명에 의한 음영지역으로의 이동통신 서비스 제공방법은 하나의 FA로 2FA 기지국으로부터의 송출되는 신호를 중계할 수 있어 FA를 절약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특히 PCS와 같은 한정된 FA를 사용하는 서비스 사업자에게는 절약된 FA를 서비스 대역으로 활용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저렴한 비용으로 보다 많은 음영지역의 가입자 단말기들에게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한다.

Claims (4)

  1. 2개의 FA를 제공하는 2 FA 기지국이 설치되어 서비스되고 있는 지역(서비스지역)으로부터 벗어난, 기지국이 설치되어 있지 않는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하는 지역(음영지역)으로의 CDMA이동통신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지역으로부터 음영지역으로 정보를 송신하는 순방향링크단계; 및
    상기 음영지역으로부터 상기 서비스 지역으로 정보를 송신하는 역방향링크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순방향링크단계는
    상기 서비스지역내의 기지국에서 전송하고자 하는 정보를 소정의 CDMA이동통신 서비스 대역내의 제1송신주파수 및 제2송신주파수를 이용하여 송신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지역 내에서 상기 제1송신주파수 및 제2송신주파수를 수신하여 CDMA이동통신 서비스 대역내의 제3송신주파수로 변환하여 무선송출하되, 상기 제1송신주파수 및 제2송신주파수를 하나는 상기 제3송신주파수의 수직편파로 변환하고 다른 하나는 상기 제3송신주파수의 수평편파로 변환하여 무선송출하는 단계;
    상기 음영지역내에서 상기 제3송신주파수의 수직편파 및 수평편파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변환단계의 역으로 상기 수직편파 신호 및 수평편파 신호를 제1송신주파수 및 제2송신주파수 신호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변환된 제1송신주파수 및 제2송신주파수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음영지역내의 가입자에게 CDMA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구비하고,
    상기 역방향링크단계는
    상기 음영지역내의 하나의 가입자 단말기로부터 전송하고자 하는 정보를 소정의 이동통신 서비스 대역내의 제4송신주파수를 이용하여 수신하고, 상기 음영지역내의 다른 하나의 가입자 단말기로부터 전송하고자하는 정보를 소정의 이동통신 서비스 대역내의 제5송신주파수를 이용하여 수신하는 단계;
    상기 음영지역 내에서 수신된 상기 제4송신주파수 및 제5송신주파수를 이동통신 서비스 대역내의 제6송신주파수로 변환하여 무선송출하되, 하나는 상기 제6송신주파수의 수직편파신호로 변환하고 다른 하나는 상기 제6송신주파수의 수평편파신호로 변환하여 무선송출하는 단계; 및
    상기 서비스지역내에서 상기 제6송신주파수의 수평편파 및 수직편파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변환단계의 역으로 하나는 제4송신주파수 신호로 변환하고 다른 하나는 제5송신주파수 신호로 변환하여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음영지역 가입자에 대한 CDMA이동통신 서비스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DMA이동통신 서비스 대역은
    개인통신서비스(PCS) 주파수 대역이고, 상기 제3송신주파수 및 제6송신주파수는 동일한 FA 임을 특징으로 하는 음영지역 가입자에 대한 CDMA이동통신 서비스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DMA이동통신 서비스 대역은
    셀룰라 주파수 대역임을 특징으로 하는 음영지역 가입자에 대한 CDMA이동통신 서비스 방법.
  4. 2개의 FA를 제공하는 2 FA 기지국이 설치되어 서비스되고 있는 지역(서비스지역)으로부터 벗어난, 기지국이 설치되어 있지 않는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하는 지역(음영지역)으로의 CDMA이동통신 서비스 제공을 위한 주파수 변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지역내에 위치하며, 상기 서비스 지역내의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된 소정의 CDMA이동통신 서비스 대역내의 제1송신주파수 및 제2송신주파수를 수신하여 CDMA이동통신 서비스 대역내의 제3송신주파수의 수평편파 및 수직편파신호로 각각 변환하여 무선송출하고, 하기 RU로부터 송신된 CDMA이동통신 서비스 대역내의 제6송신주파수의 수직편파 및 수평편파 신호를 CDMA이동통신 서비스 대역내의 제4송신주파수 신호 및 제5송신주파수신호로 각각 변환하여 상기 서비스 지역내의 기지국으로 전달하는 DU; 및
    상기 음영지역내에 위치하며, 상기 DU로부터 송출된 제3송신주파수의 수직편파 및 수평편파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제1송신주파수 및 제2송신주파수 신호로 각각 변환하여 음영지역 가입자 단말기들에게 전달하고, 음영지역 가입자 단말기들로부터 수신한 제4송신주파수 신호 및 제5송신주파수 신호를 제6송신주파수의 수직편판 및 수평편파 신호로 각각 변환하여 상기 DU로 무선송출하는 하나 이상의 RU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주파수 변환장치.
KR1019980043707A 1998-10-19 1998-10-19 음영지역의 cdma이동통신 서비스 방법 및 그를 위한 주파수변환장치 KR1002774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3707A KR100277440B1 (ko) 1998-10-19 1998-10-19 음영지역의 cdma이동통신 서비스 방법 및 그를 위한 주파수변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3707A KR100277440B1 (ko) 1998-10-19 1998-10-19 음영지역의 cdma이동통신 서비스 방법 및 그를 위한 주파수변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6199A KR19990046199A (ko) 1999-07-05
KR100277440B1 true KR100277440B1 (ko) 2001-01-15

Family

ID=658947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43707A KR100277440B1 (ko) 1998-10-19 1998-10-19 음영지역의 cdma이동통신 서비스 방법 및 그를 위한 주파수변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77440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6199A (ko) 1999-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897492B2 (ja) 移動通信装置
US7929940B1 (en) System and method for transmitting wireless digital service signals via power transmission lines
US20040185794A1 (en) Multi-sector in-building repeater
CN211830769U (zh) 一种5g变频光分布系统
EP0468688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wireless communications between remote locations
US20180310226A1 (en) Main unit and distributed antenna system including the same
US20020082050A1 (en) Operations, administration and maintenance of components in a mobility network
US7756469B2 (en) Extended radio base station system having broadcast wave retransmitting function
US20010038670A1 (en) Multibit spread spectrum signalling
US2007001019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utilizing selective signal polarization and interference cancellation for wireless communication
US9712212B2 (en) Multiple service distributed-antenna system
JP3300552B2 (ja) 光ケーブルを利用した中継装置
KR100277440B1 (ko) 음영지역의 cdma이동통신 서비스 방법 및 그를 위한 주파수변환장치
KR20010018024A (ko) 역방향 성능 향상을 위한 무선통신 시스템
KR100277337B1 (ko) 음영지역해소를위한cdma이동통신서비스제공방법및그를위한주파수변환장치
Hatsuda et al. Ku-band long distance site-diversity (SD) characteristics using new measuring system
KR20000019793A (ko) 터널내부의 이동통신 서비스를 위한 중계장치및 그 설치방법
KR100285887B1 (ko) Cdma이동전화시스템에서의전용채널에의한지하철및건물내부서비스시스템
KR100208958B1 (ko) 무선광전송을 이용한 이동통신시스템용 중계시스템
KR19990080825A (ko) 레이저를 이용한 무선 cdma 광중계기
Gammie et al. The TJ radio relay system
CN213717975U (zh) 一种新型5g微功率放大系统
KR19990081469A (ko) 광시스템을 이용한 매크로셀 구성의 무선망 시스템
KR20010047506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 장치 및 그 구성 방법
RU2405259C1 (ru) Система сотовой связ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00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