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76661B1 - 박막형 미러 어레이(tma) 모듈을 포함하는 투사형 화상표시장치 - Google Patents

박막형 미러 어레이(tma) 모듈을 포함하는 투사형 화상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76661B1
KR100276661B1 KR1019980048221A KR19980048221A KR100276661B1 KR 100276661 B1 KR100276661 B1 KR 100276661B1 KR 1019980048221 A KR1019980048221 A KR 1019980048221A KR 19980048221 A KR19980048221 A KR 19980048221A KR 100276661 B1 KR100276661 B1 KR 1002766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mirror
module
array
light ray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482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31950A (ko
Inventor
양진세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10199800482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76661B1/ko
Publication of KR200000319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319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66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666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02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using two-dimensional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 H04N9/3105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using two-dimensional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for displaying all colours simultaneously, e.g. by using two or more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02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using two-dimensional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 H04N9/3105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using two-dimensional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for displaying all colours simultaneously, e.g. by using two or more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 H04N9/3108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using two-dimensional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for displaying all colours simultaneously, e.g. by using two or more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by using a single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41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H04N9/315Modulator illumination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97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using light modulating optical valv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59/00Optical: systems and elements
    • Y10S359/904Micromirr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rojection Apparatus (AREA)

Abstract

박막형 미러 어레이(TMA) 모듈을 포함하는 투사형 화상표시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장치는 광선을 발생하기 위한 제1 및 제2 광원, 광선을 반사시키기 위한 미러의 화소들로 구성되며 각 미러가 스크린 상에 표시되는 다수의 화소들 중 대응되는 하나의 화소의 세기에 상응하는 변형 크기로 변형되는 TMA 모듈, 제1 및 제2 광원으로부터 발생된 광선들을 혼합하여 TMA 모듈로 조사하기 위한 광 파이프, 각각의 미러 바가 광 파이프의 광축에 대해 소정 각도로 배치되어 제1 및 제2 광원으로부터 발생되는 광선들을 광 파이프 내로 반사시키기 위한 미러 바 어레이, 그리고 TMA 모듈의 각 미러로부터 반사된 광선을 스크린 상에 투사하기 위한 프로젝션 렌즈를 포함한다. 저출력의 안정적이고 고효율인 램프를 사용하여 고휘도 및 고효율의 광학계를 구성할 수 있다.

Description

박막형 미러 어레이(TMA) 모듈을 포함하는 투사형 화상표시 장치
본 발명은 투사형 화상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박막형 미러 어레이(Thin-film Micromirror Array-actuated ; TMA) 모듈을 포함하는 투사형 화상표시 장치에 있어서 두 개의 램프를 사용하여 고휘도 및 고효율의 광학계를 구성할 수 있는 투사형 화상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광학 에너지를 스크린 상에 투영하기 위한 광로조절 장치 또는 공간적 광변조기는 광통신, 화상처리 및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와 같은 다양한 분야에 응용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이러한 광변조기를 이용한 화상처리 장치들은 광학 에너지를 스크린 상에 표시하는 방법에 따라 직시형 화상표시 장치와 투사형 화상표시 장치로 구분된다.
직시형 화상표시 장치의 예로서는 CRT(Cathode Ray Tube)를 들 수 있는데, 이러한 CRT 장치는 소위 브라운관으로 불리는 것으로서 화질은 우수하나 화면의 대형화에 따라 그 중량과 용적이 증가하여 제조 비용이 상승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투사형 화상표시 장치로는 액정표시 장치(LCD), DMD(Deformable Mirror Device) 및 AMA를 들 수 있다. 이러한 투사형 화상표시 장치는 다시 그들의 광학적 특성에 따라 2개의 그룹으로 나뉠 수 있다. 즉, LCD와 같은 장치는 전송 광변조기로 분류될 수 있는데 반하여, DMD 및 AMA는 반사 광변조기로 분류될 수 있다.
LCD와 같은 전송 광변조기는 광학적 구조가 매우 간단하므로, 얇게 형성하여 중량을 가볍게 할 수 있으며 용적을 줄이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빛의 극성으로 인하여 광효율이 낮으며, 액정재료에 고유하게 존재하는 문제, 예를 들면 응답속도가 느리고 그 내부가 과열되기 쉬운 단점이 있다. 또한, 현존하는 전송 광변조기의 최대 광효율은 1∼2% 범위로 한정되며, 수용 가능한 디스플레이 품질을 제공하기 위해서 암실 조건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DMD 및 AMA(Actuated Mirror Array)와 같은 광변조기가 개발되었다.
DMD는 5% 정도의 비교적 양호한 광효율을 나타내지만, DMD에 채용된 힌지 구조물에 의해서 심각한 피로 문제가 발생할 뿐만 아니라, 매우 복잡하고 값비싼 구동회로가 요구된다는 단점이 있다. AMA는 그 내부에 설치된 각각의 미러들이 광원으로부터 입사되는 빛을 소정의 각도로 반사하고, 상기 반사된 빛이 슬릿이나 핀홀과 같은 개구를 통과하여 스크린에 투영되어 화상을 맺도록 광속을 조절할 수 있는 장치이다. 따라서, 그 구조와 동작 원리가 간단하며, LCD나 DMD에 비해 높은 광효율(10% 이상의 광효율)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스크린에 투영되는 화상의 콘트라스트가 향상되어 보다 밝고 선명한 화상을 얻을 수 있다.
AMA의 각 액츄에이터는 인가되는 전기적인 화상 신호 및 바이어스 신호에 의하여 발생되는 전기장에 따라 변형을 일으킨다. 액츄에이터가 변형을 일으킬 때 그 상부에 장착된 각각의 미러들이 경사지게 된다. 따라서, 경사진 미러들은 광원으로부터 입사된 빛을 소정의 각도로 반사시켜 스크린 상에 화상을 맺을 수 있도록 한다. 각각의 미러들을 구동하는 액츄에이터로서 PZT (Pb(Zr, Ti)O3), 또는 PLZT ((Pb, La)(Zr, Ti)O3) 등의 압전물질이 이용된다. 또한, PMN (Pb(Mg, Nb)O3) 등의 전왜 물질로서 액츄에이터를 구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AMA는 크게 벌크형과 박막형으로 구분된다. 벌크형 AMA는 다층 세라믹을 얇게 절단하여 내부에 금속전극이 형성된 세라믹 웨이퍼를 트랜지스터가 내장된 액티브매트릭스에 장착한 후, 쏘잉 방법으로 가공하고 그 상부에 미러를 설치함으로써 이루어진다. 그러나, 벌크형 AMA는 설계 및 제조에 있어서 매우 높은 정밀도가 요구되며, 변형층의 응답이 느리다는 단점이 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반도체 제조 공정을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는 박막형 미러 어레이(TMA)가 개발되었다. 예를 들면, 본 출원인이 대한민국 특허청에 특허출원한 특허출원 제95-13353호(발명의 명칭 : 광로조절 장치의 제조방법)에 이러한 TMA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박막형 미러 어레이(TMA)는 현미경적인 미러들과 관련하여 박막 압전 액츄에이터를 이용하는 반사형 광변조기로서, 단판식으로 이루어진 미러의 300,000 개 이상의 화소(pixel)에 결쳐서 대규모 집적의 균등도를 갖도록 개발되어 왔다. 이러한 박막형 미러 어레이는 각각 적색(R), 녹색(G) 및 청색(B)을 나타내는 640×480 화소의 패널들로 구성된다. 화소들은 광효율을 높이도록 미러의 표면적을 최대화하기 위해서 캔틸레버(cantilever) 구조물로 고안된다. 캔틸레버 구조물은 화상신호가 인가되는 액티브매트릭스 및 인가된 신호 전압에 의해 작동되는 미러를 포함한다.
단판식 박막형 미러 어레이를 포함하는 종래의 투사형 화상표시 장치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투사형 화상표시 장치(10)는 광선을 방출하기 위한 170W 내지 270W의 금속 할로겐 램프(11), 램프(11)로부터 광선을 반사시키기 위한 반사경(19), 램프(11)로부터 방출된 광선을 평행광으로 만들기 위한 소오스 렌즈(12), 광선을 통과시키기 위한 개구를 갖고 화상을 형성하는 광선의 양을 결정하는 소오스 스톱(13), 소오스 스톱(13)을 통과한 광선을 반사시키기 위한 반사 수단(14), 소오스 스톱(13)의 이미지를 프로젝션 스톱(20)에 1:1로 대응시키기 위한 필드 렌즈(16), 다수의 미러를 구비하며 필드 렌즈(16)로부터 조사되는 광선의 세기를 변조시키기 위한 박막형 미러 어레이 모듈(18), 광선을 통과시키기 위한 개구를 가지며 변조된 광선의 플럭스를 집중시키기 위한 프로젝션 스톱(20) 및 프로젝션 스톱(20)을 통과한 광선을 스크린(도시되지 않음) 상에 투사하기 위한 프로젝션 렌즈(22)를 포함한다.
종래의 투사형 화상표시 장치(10)의 동작 원리를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램프(11)로부터 방출된 광선이 소오스 렌즈(12)에 의해 평행광으로 집광된 후, 소오스 스톱(13)의 개구를 통과하여 반사 수단(14)에 조사된다. 반사 수단(14)으로부터 반사된 광선은 그 경로가 1차적으로 변경된 후, 필드 렌즈(16)를 통해 평행광으로 박막형 미러 어레이 모듈(18) 상에 조사된다.
박막형 미러 어레이 모듈(18)의 각각의 미러는 그 아래에 구비된 액츄에이터에 인가된 화상 신호에 따라서 진동하거나 기울어지거나 구부러진다. 이에 따라, 필드 렌즈(16)를 통과한 광선은 박막형 미러 어레이 모듈(18)의 각 미러들로부터 반사된 후 프로젝션 스톱(20)의 개구를 통과하여 프로젝션 렌즈(22)를 통해 스크린 상에 투사됨으로써 화상을 형성한다. 이 때, 박막형 미러 어레이 모듈(18)의 미러로부터 반사되는 광선의 경로는 프로젝션 스톱(20)의 개구를 통과하는 광선의 세기를 결정한다. 즉, 프로젝션 스톱(20)의 개구를 통과하는 광선의 플럭스는 프로젝션 스톱(20)에 대한 박막형 미러 어레이 모듈(18)의 미러의 방향에 의해서 제어된다.
상술한 종래의 투사형 화상표시 장치에 있어서, 램프로부터 발생되는 빛의 대부분이 소오스 렌즈를 통하여 반사 수단에 입사된다. 일반적으로, 미러로 이루어진 반사 수단은 입사되는 모든 빛을 100%의 효율로 반사시키지 못한다. 화면의 밝기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많은 광량을 가진 광선을 발생시켜 화소를 형성하여야 하므로 가능한 한 고출력, 예컨대 270W 정도의 출력을 갖는 램프를 사용하여야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고출력의 램프는 그 특성이 매우 불안정하며 램프 자체의 효율이 많이 떨어지게 된다. 또한, 고출력의 램프를 사용할 경우, 그 앞에 위치하는 렌즈나 미러와 같은 광학 구성물들에 너무 많은 광량이 조사되어 조사되는 빛의 일부가 열로 변함으로써 이 광학 구성물들에 손상을 주게 된다. 즉, 열적 충격으로 인하여 광학 구성물들이 파손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박막형 미러 어레이 모듈을 포함하는 투사형 화상표시 장치에 있어서 두 개의 램프를 사용하여 고휘도 및 고효율의 광학계를 구성할 수 있는 투사형 화상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투사형 화상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투사형 화상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3은 도 2의 장치에서 조명부를 확대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장치에 사용되는 미러 바 어레이의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투사형 화상표시 장치 102a, 102b : 램프
104a, 104b : 콘덴서 렌즈 106 : 미러 어레이
108 : 광 파이프 110 : 필드 렌즈
112 : TMA 모듈 114 : 프로젝션 스톱
116 : 프로젝션 렌즈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광선을 발생하기 위한 제1 및 제2 광원, 광선을 반사시키기 위한 미러의 화소들로 구성되며, 각 미러가 스크린 상에 표시되는 다수의 화소들 중 대응되는 하나의 화소의 세기에 상응하는 변형 크기로 변형되는 박막형 미러 어레이 모듈(TMA), 제1 및 제2 광원으로부터 발생된 광선들을 혼합하여 박막형 미러 어레이 모듈(TMA)로 조사하기 위한 광 파이프, 각각의 미러 바가 광 파이프의 광축에 대해 소정 각도로 배치되어 제1 및 제2 광원으로부터 발생되는 광선들을 광 파이프 내로 반사시키기 위한 미러 바 어레이(mirror bar array), 그리고 박막형 미러 어레이(TMA) 모듈의 각 미러로부터 반사된 광선을 스크린 상에 투사하기 위한 프로젝션 렌즈를 포함하는 투사형 화상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두 개의 광원, 즉 제1 램프와 제2 램프로부터 발생된 광선들을 미러 바 어레이에 의해 광 파이프 안으로 반사시킨다. 미러 바 어레이의 각 미러 바는 조사되어진 광선들을 모두 광 파이프 안으로 반사시키도록 광 파이프의 광축에 대해 소정 각도로 틀어져 있다. 광 파이프에서 혼합된 광선들은 광 파이프를 통과하면서 적절히 섞인 후 광 파이프의 반대편 출구로 나온다. 광 파이프의 반대편 출구로 나온 광선은 TMA 모듈의 각 미러로부터 반사되어 프로젝션 렌즈로 향한다. 이와 같이 두 개의 램프를 사용하여 램프의 출력을 둘로 나눌 수 있으므로, 저출력의 안정적이고 고효율인 램프를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고휘도 및 고효율의 광학계를 구성할 수 있으며, 광학 구성물에 가해지는 열적 충격의 양을 감소시켜 안정적인 광학계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광 파이프를 사용하여 광 분포의 균일성을 향상시키고 광손실을 경감시켜 광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단판식 박막형 미러 어레이(TMA)를 포함하는 투사형 화상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도로서, 단판식 단색 시스템을 예시한다. 도 3은 도 2의 장치에서 조명부를 확대한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투사형 화상표시 장치(100)는 제1 램프(102a), 제2 램프(102a, 102b), 제1 콘덴서 렌즈(104a), 제2 콘덴서 렌즈(104b), 미러 바 어레이(106), 광 파이프(108), 반사 수단(109), 필드 렌즈(110), 박막형 미러 어레이(TMA) 모듈(112), 프로젝션 스톱(114), 그리고 프로젝션 렌즈(116)를 포함한다.
광선을 방출하기 위한 제1 및 제2 램프(102a, 102b)는 바람직하게는, 약 120W의 금속 할로겐 램프로서 스펙트럼에서 장파장의 적외선(LWIR) 내지 자외선(UV)을 방출한다. 종래의 광학계에서는 효율이 70lm/W이고 수명이 1000시간인 270W의 램프를 사용하였으나, 본 발명은 효율이 약 85lm/W이고 수명이 약 5000시간인 120W의 램프를 두 개 사용함으로써 안정적이고 고효율의 광학계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콘덴서 렌즈(104a) 및 제2 콘덴서 렌즈(104a, 104b)는 각기 제1 램프(102a) 및 제2 램프(102a, 102b)로부터 각각 방출되는 광선들을 미러 바 어레이(106)에 도달시킨다. 미러 바 어레이(106)는 제1 및 제2 콘덴서 렌즈(104a, 104b)에 의해 조사된 광선들을 광 파이프(108)의 안으로 모두 반사시키는 역할을 한다. 바람직하게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미러 바 어레이(106)의 각 미러 바(106a)는 광 파이프(108)의 광축에 대해 약 60°정도의 각도로 틀어지도록 배치된다.
광 파이프(108)는 미러 바 어레이(106)로부터 반사된 광선들을 혼합하여 적절히 섞은 후 박막형 미러 어레이(TMA) 모듈(112)로 조사하는 역할을 한다. 광 파이프(108)는 광 손실을 경감시키기 위해 비집속 전송이나 반사를 이용하는 광 전송 요소로서, 빛을 보다 균일하게 분배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광 파이프(108)는 램프로부터 방출되는 원형 광선이 스톱이나 렌즈와 같은 광학 구성물을 통과할 때 그 일부분이 상기 광학 구성물의 엣지부에서 손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원형 광선의 손실 부위를 미리 컷팅하여 광 손실을 경감시키고, 전반사 면을 이용하여 빛의 각도 분배를 재분배하는 변환기(scrambler)의 역할을 하며, 램프의 후면에 위치한 반사경에 의해 야기되는 색 이동(color shift)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 경우, 광 파이프(108)의 출구가 종래의 소오스 스톱 역할을 할 수도 있고, 광 파이프(108)의 출구면에 소오스 스톱을 별도로 배치할 수도 있다.
반사 수단(109)은 바람직하게는 미러로 구성되며, 광 파이프(108)를 통과한 광선을 반사시켜 그 경로가 박막형 미러 어레이(TMA) 모듈(112)로 향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필드 렌즈(110)는 광 파이프(108)의 이미지가 프로젝션 스톱(116)에 1:1로 대응되도록 하기 위하여 광 파이프(108)를 통과한 광선을 광손실 없이 박막형 미러 어레이(TMA) 모듈(112)로 조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박막형 미러 어레이 모듈(112)은 조사된 광선을 반사시키기 위한 다수의 미러를 포함하며, 각 미러는 그 아래에 구비된 액츄에이터에 인가되는 전기 신호에 따라서 광선의 세기를 변조한다. 즉, 각 미러는 스크린 상에 표시되는 다수의 화소들 중에서 대응되는 하나의 화소의 세기에 상응하는 변형 크기로 변형된다.
프로젝션 스톱(114)은 광학적으로 불투명한 부재이며, 광학적으로 반사면인 전면 및 광선을 통과시키도록 형성된 개구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개구는 핀홀 또는 슬릿이다. 상기 프로젝션 스톱(114)의 개구를 통과하는 광선의 플럭스는 박막형 미러 어레이 모듈(112)의 각 미러로부터 반사된 광선의 세기를 제어한다. 프로젝션 렌즈(116)는 프로젝션 스톱(114)의 개구를 통과한 광선을 스크린(도시되지 않음) 상에 투사하여 그에 상응되는 화상을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술한 구조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투사형 화상표시 장치(100)의 작동 원리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금속 할로겐 램프와 같은 아크 램프로 구성된 제1 램프(102a) 및 제2 램프(102b)로부터 각기 방출된 광선들이 그 전방에 배치된 제1 콘덴서 렌즈(104a) 및 제2 콘덴서 렌즈(104b)에 의해 미러 바 어레이(106)에 도달한다. 상기 미러 바 어레이(106)의 각 미러 바(106a)는 광 파이프(108)의 광축에 대해 약 60°정도의 각도로 틀어져서 배치되어 있으므로, 미러 바 어레이(106)의 각 미러 바(106a)로부터 반사된 광선들은 모두 광 파이프(106) 안으로 들어간다.
상기 광 파이프(106) 내로 들어간 광선들은 광 파이프(106)를 통과하면서 적절히 혼합된 후 광 파이프(106)의 반대편 출구로 나온다. 광 파이프(106)의 반대편 출구로 나온 광선은 반사 수단(109)에 조사된다. 반사 수단(109)으로부터 반사된 광선은 그 경로가 1차적으로 변경된 후, 필드 렌즈(110)에 의해 평행광으로 박막형 미러 어레이 모듈(112)에 조사된다.
박막형 미러 어레이 모듈(112)의 각 미러는 그 아래에 구비된 액츄에이터에 인가된 신호에 따라서 광선을 변조한다. 만일, 특정 액츄에이터에 오프(OFF) 전압, 즉 제로(zero)의 전압이 인가되면, 그 액츄에이터에 대응되는 미러가 틸팅되지 않으며 이에 따라 상기 미러에 조사된 광선은 프로젝션 스톱(114)을 통과하지 못하게 된다.
그러나, 특정 액츄에이터에 온(ON) 전압이 인가되면, 그 액츄에이터에 대응되는 미러가 틸팅되고 이에 따라 상기 미러에 조사된 광선은 그 세기가 변조되어 필드 렌즈(110)를 거쳐 프로젝션 스톱(114)으로 향한다. 이때, 미러로부터 반사되는 광선의 경로는 프로젝션 스톱(114)의 개구를 통과하는 광선의 세기를 결정한다. 즉, 프로젝션 스톱(114)의 개구를 통과하는 광선의 플럭스는 프로젝션 스톱(114)에 대한 박막형 미러 어레이 모듈(112)의 미러의 방향에 의해서 제어된다.
이와 같이 프로젝션 스톱(114)의 개구를 통과한 광선은 프로젝션 렌즈(116)에 의해 스크린 상에 투사되어 그에 대응되는 화상을 표시한다.
상술한 바에 있어서, 도 2는 단판식 박막형 미러 어레이를 사용한 단색 시스템을 예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적색, 녹색 및 청색 투과 필터들의 일련의 색 단편들로 이루어진 컬러 휠을 사용하여 순차적으로 적색, 녹색 및 청색광을 단판식 박막형 미러 어레이에 조사함으로써 적색, 녹색 및 청색 화상들을 표시할 수 있는 단판식 컬러 시스템에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3판식 박막형 미러 어레이를 사용하는 다판식 컬러 시스템에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투사형 화상표시 장치에 의하면, 두 개의 광원, 즉 제1 램프와 제2 램프로부터 발생된 광선들을 미러 바 어레이에 의해 광 파이프 안으로 반사시킨 후, 광 파이프를 통과한 광선을 박막형 미러 어레이 모듈에 의해 변조하여 스크린 상에 투사한다. 따라서, 두 개의 램프를 사용하여 램프의 출력을 둘로 나눌 수 있으므로, 저출력의 안정적이고 고효율인 램프를 사용하여 고휘도 및 고효율의 광학계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저출력의 램프를 사용하여 광학 구성물에 가해지는 열적 충격의 양을 감소시킴으로써 안정적인 광학계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광 파이프를 사용하여 광분포의 균일성을 향상시키고 광손실을 경감시켜 광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5)

  1. 광선을 발생하기 위한 제1 광원(102a) 및 제2 광원(102b);
    광선을 반사시키기 위한 미러의 화소들로 구성되며, 각 미러가 스크린 상에 표시되는 다수의 화소들 중 대응되는 하나의 화소의 세기에 상응하는 변형 크기로 변형되는 박막형 미러 어레이(TMA) 모듈(112);
    상기 제1 및 제2 광원(102a, 102b)으로부터 발생된 광선들을 혼합하여 상기 박막형 미러 어레이 모듈(112)로 조사하기 위한 광 파이프(108);
    각각의 미러 바(106a)가 상기 광 파이프(108)의 광축에 대해 소정 각도로 배치되어 상기 제1 및 제2 광원(102a, 102b)으로부터 발생되는 광선들을 상기 광 파이프(108) 내로 반사시키기 위한 미러 바 어레이(106); 그리고
    상기 박막형 미러 어레이 모듈(112)의 각 미러로부터 반사된 광선을 스크린 상에 투사하기 위한 프로젝션 렌즈(116)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사형 화상표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광원(102a, 102b)으로부터 발생된 광선들을 상기 미러 바 어레이(106)로 조사하기 위하여 상기 제1 광원(102a)과 미러 바 어레이(106)의 사이에 배치된 제1 콘덴서 렌즈(104a) 및 상기 제2 광원(102b)과 미러 바 어레이(106)의 사이에 배치된 제2 콘덴서 렌즈(104b)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사형 화상표시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러 바 어레이(106)의 각 미러 바(106a)는 상기 광 파이프(108)의 광축에 대하여 약 60°의 각도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사형 화상표시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 파이프(108)와 상기 박막형 미러 어레이 모듈(112)의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광 파이프(108)를 통과한 광선의 플럭스를 집중시키기 위한 소오스 스톱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사형 화상표시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광원(102a, 102b)은 약 120W의 저출력 램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사형 화상표시 장치.
KR1019980048221A 1998-11-11 1998-11-11 박막형 미러 어레이(tma) 모듈을 포함하는 투사형 화상표시장치 KR1002766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8221A KR100276661B1 (ko) 1998-11-11 1998-11-11 박막형 미러 어레이(tma) 모듈을 포함하는 투사형 화상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8221A KR100276661B1 (ko) 1998-11-11 1998-11-11 박막형 미러 어레이(tma) 모듈을 포함하는 투사형 화상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1950A KR20000031950A (ko) 2000-06-05
KR100276661B1 true KR100276661B1 (ko) 2001-01-15

Family

ID=195578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48221A KR100276661B1 (ko) 1998-11-11 1998-11-11 박막형 미러 어레이(tma) 모듈을 포함하는 투사형 화상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76661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1950A (ko) 2000-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76661B1 (ko) 박막형 미러 어레이(tma) 모듈을 포함하는 투사형 화상표시장치
KR100201827B1 (ko) 광로 조절 장치의 투사 시스템
KR100270999B1 (ko) 액츄에이티드 미러 어레이 광학계
KR100257604B1 (ko) 투사형 화상 표시 장치
KR20000044178A (ko) 투사형 화상표시 장치
KR100209956B1 (ko) 액튜에이티드 미러 어레이 광학계 및 이를 이용한 투사방법
KR20000044177A (ko) 투사형 화상표시 장치
KR100208675B1 (ko) 액튜에이티드 미러 어레이 광학계
KR100208662B1 (ko) 투사형 화상 표시장치 및 이를 이용한 투사 방법
KR20000044171A (ko) 박막형 미러 어레이 패널을 포함하는 투사형 화상표시 장치
KR100251113B1 (ko) 액츄에이티드 미러 어레이 광학계
KR100251112B1 (ko) 액튜에이티드 미러 어레이 광학계 및 이를 이용한 투사 방법
KR100208679B1 (ko) 액튜에이티드 미러 어레이 광학계 및 이를 이용한 투사 방법
KR100251099B1 (ko) 액츄에이티드 미러 어레이 프로젝터 및 이를 이용한 투사 방법
KR100201825B1 (ko) 광로 조절장치의 투사 시스템
KR100209955B1 (ko) 액튜에이티드 미러 어레이 광학계 및 이를 이용한 투사 방법
KR20000044179A (ko) 박막형 미러 어레이 패널을 포함하는 투사형 화상표시 장치
KR100208661B1 (ko) 광학적 투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광 투사 방법
KR19980040064A (ko) 광학적 투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광 투사 방법
KR100257607B1 (ko) 투사형 화상 표시 장치
KR19990004785A (ko) 액츄에이티드 미러 어레이 광학계 및 이를 이용한 투사 방
KR19990034631A (ko) 투사형 화상 표시 장치
KR20000044175A (ko) 박막형 미러 어레이 패널을 포함하는 투사형 화상표시 장치
KR19990034630A (ko) 투사형 화상 표시 장치
KR20000044173A (ko) 박막형 미러 어레이 패널을 포함하는 투사형 화상표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00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